KR20190032690A -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 Google Patents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690A
KR20190032690A KR1020170119772A KR20170119772A KR20190032690A KR 20190032690 A KR20190032690 A KR 20190032690A KR 1020170119772 A KR1020170119772 A KR 1020170119772A KR 20170119772 A KR20170119772 A KR 20170119772A KR 20190032690 A KR20190032690 A KR 20190032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transmission
sensor
reception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437B1 (ko
Inventor
손호석
김관호
조성연
구자승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437B1/ko
Priority to US16/102,467 priority patent/US10817117B2/en
Priority to EP18194832.4A priority patent/EP3457267B1/en
Priority to CN201811085878.4A priority patent/CN109521904B/zh
Publication of KR2019003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bstract

입력감지유닛은 각각이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일부의 센서들에 연결된 복수의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센서에 포함된 돌출부들의 개수는 다른 센서에 포함된 돌출불들의 개수보다 더 적다.

Description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입력감지유닛 및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는 표시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정보제공을 위해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최근에 표시장치들은 입력장치로써 표시패널의 상단부에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한다. 입력감지유닛의 종류로는 애드-온(Add on) 방식, 커버 글래스(Cover glass) 일체형 방식, 및 디스플레이 일체형 방식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일체형 방식은 인셀(In-Cell) 방식, 온셀(On-Cell) 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영역별로 균일한 정전용량을 가지는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영역이 입력을 정확히 감지하지 못하는 고스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젤이 얇은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은 복수의 수신전극들 및 복수의 송신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고, 각각이 제1 수신센서 및 제2 수신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송신전극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고, 각각이 제1 송신센서 및 제2 송신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신센서는 제1 수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수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신센서는 제2 수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2 수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보다 더 많은 개수의 복수의 제2 수신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송신센서는 제1 송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송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송신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송신센서는 제2 송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2 송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수신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송신돌출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수신신호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송신전극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송신신호라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송신전극들이 배치되는 감지영역 및 상기 수신신호라인들 및 상기 송신신호라인들이 배치되는 비감지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제1 수신센서는 상기 감지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수신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수신센서에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수신신호라인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중 홀수번째 수신전극들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영역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수신신호라인들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중 짝수번째 수신전극들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영역의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신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신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1 수신신호라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수신신호라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수신프레임부에서 일정한 너비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수신프레임부에서 연장되고, 제1 너비를 가지는 서브돌출부 및 상기 서브돌출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너비보다 큰 제2 너비를 가지는 메인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수신프레임부에서 연장되면서, 점점 너비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센서, 상기 제2 수신센서, 상기 제1 송신센서, 및 상기 제2 송신센서는 각각 메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센서 및 상기 제1 송신센서는 제1 정전용량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수신센서 및 상기 제2 송신센서는 제2 정전용량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정전용량 또는 상기 제2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구동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3 수신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수신센서는, 제3 수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3 수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보다 더 많고, 상기 복수의 제2 수신돌출부들 보다 더 적은 개수의 제3 수신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수신센서는 상기 제1 수신센서 및 상기 제2 수신센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신센서는 상기 제1 송신센서와 정전결합하는 정전결합부 및 상기 정전결합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정전결합부와 절연된 플로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은 복수의 발광소자들이 배치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는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은 복수의 수신전극들 및 복수의 송신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고, 각각이 제1 수신센서 및 제2 수신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송신전극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고, 각각이 제1 송신센서 및 제2 송신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신센서는 제1 수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수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신센서는 제2 수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2 수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보다 더 많은 개수의 복수의 제2 수신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송신센서는 제1 송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송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송신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송신센서는 제2 송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2 송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수신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송신돌출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감지유닛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고, 제1 센서들 및 제2 센서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전극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들이 배치되는 감지영역 및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는 비감지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제1 센서들 각각은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센서들 각각은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들보다 더 많은 개수의 복수의 제2 돌출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전극들 중 홀수번째 전극들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영역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신호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전극들 중 짝수번째 전극들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영역의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센서들은 상기 감지영역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한 센서들간 균일한 정전용량을 형성하는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정전용량을 형성함으로써, 고스트 현상이 억제된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들에 연결되는 신호라인들을 좌우로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베젤이 얇은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입력감지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감지영역(SA)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7의 BB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7의 CC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도 7의 AA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사시도이다.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 좌측 및 우측은 각각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기준이 변하는 경우 다르게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면(IS)은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D-DA) 및 표시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DD-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DD-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영역(DD-NDA)에 의해 표시장치(DD)의 베젤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도시하였다. 일 예로써, 표시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DD-NDA)은 표시영역(DD-DA)을 에워싸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장치(DD)는 윈도우 부재(WM) 몇 표시모듈(DM)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입력감지유닛(ISU) 및 표시패널(DP)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모듈(DM)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입력면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표시패널(DP)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성질을 갖는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윈도우 부재(WM)와 표시모듈(DM) 사이에 접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DM)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은 플라스틱 필름을 베이스층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물질은 플라스틱 수지들에 제한되지 않고, 유/무기 복합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패널(DP)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표시패널(DP)은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화소들(PX)이 배치되어 사용자들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의 주변영역으로, 화소들(PX)을 구동하기 위한 배선 및 전자부품들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제1 패드영역(PA1)을 포함한다. 제1 패드영역(PA1)에 제1 인쇄회로기판(PCB1)이 접속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PCB1)의 일단에는 제1 전자부품(ED1)이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자부품(ED1)은 제2 패드영역(PA2)를 포함하며, 제1 인쇄회로기판(PCB1)은 제2 패드영역(PA2)을 통해 제1 전자부품(ED1)과 접속된다.
제1 구동회로(DIC1)는 제1 인쇄회로기판(PCB1)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구동회로(DIC1)는 칩-온 글래스(Chip-On Glass; COG) 방식 또는 칩-온 플라스틱(Chip-on Plastic; COP)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제1 구동회로(DIC1)는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이거나,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스캔 드라이버 집적 회로이거나, 소스 드라이버 및 스캔 드라이버가 모두 집적된 통합 드라이버 집적회로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표시패널(DP)에 하나의 제1 구동회로(DIC1)가 실장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집적회로들이 표시패널(DP)에 실장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화소들(PX)은 직교하는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소들(PX) 각각은 레드 컬러, 그린 컬러 또는 블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소들(PX)은 화이트 컬러, 시안 컬러, 또는 마젠타 컬러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표시패널(DP)의 표시부로 정의될 수 있다. 화소들(PX) 각각은 발광소자를 포함하며, 발광소자에 의해 상기 컬러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화소들(PX)의 종류에 따라서 표시패널(DP)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전기습윤 표시패널 등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소(PX)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4에는 어느 하나의 게이트 라인(GL)과 어느 하나의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 라인(PL)에 연결된 화소(PX)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화소(PX)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화소(PX)는 표시소자로써 발광소자(OLED)를 포함한다. 발광소자(OLED)는 전면 발광형 다이오드이거나, 배면 발광형 다이오드일 수 있다. 또는 발광소자(OLED)는 양면 발광형 다이오드일 수 있다. 화소(PX)는 발광소자(OLED)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로써 제1 트랜지스터(TFT1,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제2 트랜지스터(TFT2, 또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CAP)를 포함한다. 발광소자(OLED)는 트랜지스터(TFT1, TFT2)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의 의해 광을 생성한다.
제1 트랜지스터(TFT1)는 게이트 라인(GL)에 인가된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커패시터(CAP)는 제1 트랜지스터(TFT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2 트랜지스터(TFT2)는 발광소자(OLED)에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TFT2)는 커패시터(CAP)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발광소자(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발광소자(OLED)는 제2 트랜지스터(TFT2)의 턴-온 구간 동안 발광한다.
도 5는 도 3의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제2 트랜지스터(TFT2) 및 발광소자(OLED)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층(SUB) 상에 회로층(CL)이 배치된다. 베이스층(SUB) 상에 제2 트랜지스터(TFT2)의 반도체 패턴(AL)이 배치된다. 반도체 패턴(AL)은 아몰포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 금속 산화물 반도체에서 서로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회로층(CL)은 유기/무기층들(BR, BL, 12, 14, 16), 제1 트랜지스터(TFT1, 도 4 참조), 제2 트랜지스터(TFT2)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무기층들(BR, BF, 12, 14, 16)은 기능층(BR, BF), 제1 절연층(12), 제2 절연층(14), 및 제3 절연층(16)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BR, BF)은 베이스층(SUB)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BR, BF)은 배리어층(BR) 또는 버퍼층(BF)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반도체 패턴(AL)은 배리어층(BR) 또는 버퍼층(BF)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층(SUB) 상에 반도체 패턴(AL)을 커버하는 절연층(12)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12)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1 절연층(12)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상에 제2 트랜지스터(TFT2)의 제어전극(GE)이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트랜지스터(TFT1, 도 4 참조)의 제어전극 역시 제1 절연층(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전극(GE)은 게이트 라인(GL, 도 4 참조)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전극(GE)은 게이트 라인들(GL)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고,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고,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상에 제어전극(GE)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14)이 배치된다. 제2 절연층(14)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2 절연층(14)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데이터 라인(DL, 도 4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제2 트랜지스터(TFT2)의 입력전극(SE) 및 출력전극(DE)이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트랜지스터(TFT1, 도 4 참조)의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 역시 제2 절연층(14) 상에 배치된다. 입력전극(SE)은 데이터 라인들(DL)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분기된다. 전원 라인(PL, 도 4 참조)은 데이터 라인들(DL)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전극(SE)은 전원 라인(PL)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커패시터(CAP)의 전극중 일부가 배치된다. 상기 커패시터(CAP)의 전극중 일부는 데이터 라인들(DL) 및 전원 라인(PL)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고,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고,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전극(SE)과 출력전극(DE)은 제1 절연층(12) 및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반도체 패턴(AL)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트랜지스터(TFT1)와 제2 트랜지스터(TFT2)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입력전극(SE), 출력전극(DE)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16)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16)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3 절연층(16)은 평탄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제2 절연층(14), 및 제3 절연층(16) 중 어느 하나는 화소의 회로 구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및 제3 절연층(16) 각각은 층간 절연층(interlayer)으로 정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은 층간 절연층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된 도전패턴과 상부에 배치된 도전패턴의 사이에 배치되어 도전패턴들을 절연시킨다.
제3 절연층(16) 상에 발광소자층(ELL)이 배치된다. 발광소자층(ELL)은 화소정의막(PXL) 및 발광소자(OLED)을 포함한다. 제3 절연층(16) 상에 애노드(AE)가 배치된다. 애노드(AE)는 제3 절연층(16)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을 통해 제2 트랜지스터(TFT2)의 출력전극(DE)에 연결된다. 화소정의막(PX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정의막(PXL)의 개구부(OP)는 애노드(AE)의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발광소자층(ELL)은 발광영역(PXA)과 발광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을 포함한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PXA)을 에워싸을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애노드(AE)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그러나, 발광영역(PXA)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광영역(PXA)은 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면 충분하다. 발광영역(PXA)은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애노드(AE)의 일부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공 제어층(HCL)과 같은 공통층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도 4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된다. 발광층(EML)은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전자 제어층(ECL)이 배치된다. 전자 제어층(ECL) 상에 캐소드(CE)가 배치된다. 캐소드(CE)는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터닝된 발광층(EM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발광층(EM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층(EML)은 백색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EML)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박막봉지층(TFE)은 캐소드(CE)를 직접 커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소드(CE)를 커버하는 캡핑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박막봉지층(TFE)은 캡핑층을 직접 커버한다. 박막봉지층(TFE)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유기층 및 무기물을 포함하는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입력감지유닛(ISU)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감지영역(SA)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입력감지유닛(ISU)에는 감지영역(SA)과 비감지영역(NSA)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영역(SA)은 표시영역(DA)과 중첩하고, 비감지영역(NSA)는 비표시영역(NDA)와 중첩할 수 있다.
감지영역(SA)은 복수의 송신전극들(TXP) 및 수신전극들(RXP)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감지영역(SA)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펜 등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감지영역(NSA)은 감지영역(SA)의 주변영역으로, 송신전극들(TXP) 및 수신전극들(RXP)로부터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배선 및 전자부품들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송신전극들(TXP) 및 수신전극들(RXP) 각각은 복수의 센서들(SNR, SNT)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전극들(TXP)은 각각 복수의 송신센서들(SNT)를 포함하고, 수신전극들(RXP)은 각각 복수의 수신센서들(SNR)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전극들(RXP)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될 수 있다. 송신전극들(TXP)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될 수 있다.
수신센서들(SNR) 및 송신센서들(SNT) 각각은 메쉬(mesh)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신센서들(SNR) 및 송신센서들(SNT)은 서로 정전결합할 수 있다. 센서들(SNR, SNT)은 표시패널(DP, 도 5 참조)의 박막봉지층(TFE, 도 5 참조)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의 의미는 센서들(SNR, SNT)을 형성하는 공정이 박막봉지층(TFE) 상에서 직접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들(SNR, SNT)은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되고, 베이스 필름이 접착부재에 의해 표시패널(DP)에 접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하에서, 수신센서들(SNR)은 수신기 역할을 하는 센서들이고, 송신센서들(SNT)은 송신기 역할을 하는 센서들일 수 있다. 단, 수신센서들(SNR) 및 송신센서들(SNT)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형상이나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비감지영역(NSA)은 복수의 신호라인들(SL1 내지 SLn, UL1 내지 ULm)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 신호라인은 배선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신호라인들(SL1 내지 SLn, UL1 내지 ULm)은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n) 및 송신 신호라인들(UL1 내지 ULm)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n)은 수신전극들(RXP)로부터 연장되고, 송신 신호라인들(UL1 내지 ULm)은 송신전극들(TXP)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단,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n) 및 송신 신호라인들(UL1 내지 ULm)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형상이나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n) 중 홀수번째 수신 신호라인들은 감지영역(SA)의 좌측에 배치되고,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n) 중 짝수번째 수신 신호라인들은 감지영역(SA)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n) 중 홀수번째 수신 신호라인들은 감지영역(SA)의 우측에 배치되고,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n) 중 짝수번째 수신 신호라인들은 감지영역(SA)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n)은 홀수번째 수신 신호라인들과 짝수번째 수신 신호라인들이 감지영역(SA)의 양측에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n)은 감지영역(SA)의 양측으로 분산하여 배치함으로써, 비감지영역(NSA)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비감지영역(NSA)에는 제2 인쇄회로기판(PCB2)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PCB2)에는 제2 구동회로(DIC2)가 실장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PCB2)은 제2 전자부품(ED2)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구동회로(DIC2)는 수신센서들(SNR) 및 송신센서들(SNT)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12개의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12) 및 9개의 송신 신호라인들(UL1 내지 UL9)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즉, 도 6에서 n=12이고, m=9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12) 중 홀수번째 수신 신호라인들(SL1, SL3, SL5, SL7, SL9, SL11) 각각은 대응하는 수신전극(RXP)의 좌측으로 연장된다.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12) 중 짝수번째 수신 신호라인들(SL2, SL4, SL6, SL8, SL10, SL12) 각각은 대응하는 수신전극(RXP)의 우측으로 연장된다.
수신센서들(SNR) 중 수신 신호라인들(SL1 내지 SL12)과 연결된 수신센서들(SNR)이 포함된 단위감지영역들은 제2 방향(DR2)에서 자신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다른 단위감지영역들에 비해 정전용량이 크다. 여기서, 단위감지영역이란, 도 7에서 AA, BB, 또는 CC로 표시된 부분과 대응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3번째 수신 신호라인(SL3)과 연결된 수신센서(SNR)가 포함된 단위감지영역인 AA영역은 자신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다른 단위감지영역에 비해서 정전용량이 클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정전용량의 상하 편차가 발생하여,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고스트 현상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신센서들(SNR) 및 송신센서들(SNT)의 형상 및 이들이 배치되는 위치관계 등에 대한 내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A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7의 BB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7의 CC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A영역은 좌측 제1 수신센서(SNR1-1), 우측 제1 수신센서(SNR1-2), 상부 제1 송신센서(SNT1-1), 및 하부 제1 송신센서(SNT1-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제1 수신센서(SNR1-1)는 제1 수신 프레임부(FRR1) 및 복수의 제1 수신 돌출부들(PTR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돌출부들(PTR1)은 제1 수신 프레임부(FRR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수신 프레임부(FRR1)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제1 수신 돌출부들(PTR1)은 제1 수신 프레임부(FRR1)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수신 돌출부들(PTR1) 각각은 제1 너비(W1)를 가지고, 제2 너비(W2)로 이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신 돌출부들(PTR1) 각각은 제1 너비(W1)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1 수신 프레임부(FRR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수신 돌출부들(PTR1) 각각은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신 돌출부들(PTR1)이 형성하는 외곽선은 지그재그(zigzag) 패턴일 수 있다.
우측 제1 수신센서(SNR1-2)는 연결부(CP)에 의해 좌측 제1 수신센서(SNR1-1)와 연결될 수 있다. 우측 제1 수신센서(SNR1-2)의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좌측 제1 수신센서(SNR1-1)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상부 제1 송신센서(SNT1-1)는 제1 송신 프레임부(FRT1) 및 복수의 제1 송신 돌출부들(PTT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돌출부들(PTT1)은 제1 송신 프레임부(FRT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송신 프레임부(FRT1)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제1 송신 돌출부들(PTT1)은 제1 송신 프레임부(FRT1)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송신 돌출부들(PTT1) 각각은 제3 너비(W3)를 가지고, 제4 너비(W4)로 이격 될 수 있다.
제1 송신 돌출부들(PTT1)은 제1 수신 돌출부들(PTR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1 너비(W1)는 제3 너비(W3)보다 작고, 제2 너비(W2)는 제4 너비(W4)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송신 돌출부들(PTT1) 각각은 제4 너비(W4)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1 송신 프레임부(FRT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송신 돌출부들(PTT1) 각각은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송신 돌출부들(PTT1)이 형성하는 외곽선은 지그재그(zigzag) 패턴일 수 있다.
하부 제1 송신센서(SNT1-2)는 브릿지 형상을 갖는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상부 제1 송신센서(SNT1-1)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제1 송신센서(SNT1-2)의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상부 제1 송신센서(SNT1-1)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BB영역은 좌측 제2 수신센서(SNR2-1), 우측 제2 수신센서(SNR2-2), 상부 제2 송신센서(SNT2-1), 및 하부 제2 송신센서(SNT2-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제2 수신센서(SNR2-1)는 제2 수신 프레임부(FRR2) 및 복수의 제2 수신 돌출부들(PT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신 돌출부들(PTR2)은 제2 수신 프레임부(FRR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수신 프레임부(FRR2)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제2 수신 돌출부들(PTR2)은 제2 수신 프레임부(FRR2)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수신 돌출부들(PTR2) 각각은 제5 너비(W5)를 가지고, 제6 너비(W6)로 이격 될 수 있다.
제5 너비(W5)는 제1 너비(W1) 보다 작고, 제6 너비(W6)는 제2 너비(W2) 보다 작다. 따라서, 제2 수신 프레임부(FRR2)에서 돌출되는 제2 수신 돌출부들(PTR2)의 개수는 제1 수신 프레임부(FRR1)에서 돌출되는 제1 수신 돌출부들(PTR1)의 개수보다 많다.
수신센서들(SNR)과 송신센서들(SNT) 사이의 정전용량은 인접한 센서들간의 경계선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경계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수신센서들(SNR)과 송신센서들(SNT)간에 정전용량을 형성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AA영역의 제1 수신 돌출부들(PTR1)의 개수가 BB영역의 제2 수신 돌출부들(PTR2)의 개수보다 적으므로, AA영역의 센서들(SNR1-1, SNR1-2, SNT1-1, SNT1-2)간의 경계선의 길이는 BB영역의 센서들(SNR2-1, SNR2-2, SNT2-1, SNT2-2)간의 경계선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AA영역 내에서의 센서들(SNR1-1, SNR1-2, SNT1-1, SNT1-2)간의 정전용량은 BB영역의 센서들(SNR2-1, SNR2-2, SNT2-1, SNT2-2)간의 정전용량보다 작다.
도 7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종래 기술에서, AA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의해 감지영역(SA)내에서 정전용량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도 7의 AA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 8과 같이 형성하고 및 도 7의 AA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도 9와 같이 형성하여 감지영역(SA)내에서 정전용량의 불균일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수신 돌출부들(PTR2) 각각은 제5 너비(W5)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2 수신 프레임부(FRR2)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수신 돌출부들(PTR2) 각각은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우측 제2 수신센서(SNR2-2)는 연결부(CP)에 의해 좌측 제2 수신센서(SNR2-1)와 연결될 수 있다. 우측 제2 수신센서(SNR2-2)의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좌측 제2 수신센서(SNR2-1)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상부 제2 송신센서(SNT2-1)는 제2 송신 프레임부(FRT2) 및 복수의 제2 송신 돌출부들(PTT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신 돌출부들(PTT2)은 제2 송신 프레임부(FRT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송신 프레임부(FRT2)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제2 송신 돌출부들(PTT2)은 제2 송신 프레임부(FRT2)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송신 돌출부들(PTT2) 각각은 제7 너비(W7)를 가지고, 제8 너비(W8)로 이격 될 수 있다.
제2 송신 돌출부들(PTT2)은 제2 수신 돌출부들(PTR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5 너비(W5)는 제7 너비(W7)보다 작고, 제6 너비(W6)는 제8 너비(W8)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송신 돌출부들(PTT2) 각각은 제8 너비(W8)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2 송신 프레임부(FRT2)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송신 돌출부들(PTT2) 각각은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제2 송신센서(SNT2-2)는 브릿지 형상을 갖는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상부 제2 송신센서(SNT2-1)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제2 송신센서(SNT2-2)의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상부 제2 송신센서(SNT2-1)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CC영역은 좌측 제3 수신센서(SNR3-1), 우측 제3 수신센서(SNR3-2), 상부 제3 송신센서(SNT3-1), 및 하부 제3 송신센서(SNT3-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제3 수신센서(SNR3-1)는 제3 수신 프레임부(FRR3) 및 복수의 제3 수신 돌출부들(PT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신 돌출부들(PTR3)은 제3 수신 프레임부(FRR3)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3 수신 프레임부(FRR3)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제3 수신 돌출부들(PTR3)은 제3 수신 프레임부(FRR3)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수신 돌출부들(PTR3) 각각은 제9 너비(W9)를 가지고, 제10 너비(W10)로 이격 될 수 있다.
제9 너비(W9)는 제1 너비(W1) 보다 작고 제5 너비(W5) 보다 크며, 제10 너비(W10)는 제2 너비(W2) 보다 작고 제6 너비(W6) 보다 크다. 따라서, 제3 수신 프레임부(FRR3)에서 돌출되는 제3 수신 돌출부들(PTR3)의 개수는 제1 수신 프레임부(FRR1)에서 돌출되는 제1 수신 돌출부들(PTR1)의 개수보다 많고, 제2 수신 프레임부(FRR2)에서 돌출되는 제2 수신 돌출부들(PTR2)의 개수보다 적다.
CC영역에서 센서들(SNR3-1, SNR3-2, SNT3-1, SNT3-2)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은 AA영역에서 센서들(SNR1-1, SNR1-2, SNT1-1, SNT1-2)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과 BB영역에서 센서들(SNR2-1, SNR2-2, SNT2-1, SNT2-2)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사이값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DR1) 상에서 센서들(SNR, SNT) 사이의 정전용량을 리니어(linear) 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수신 돌출부들(PTR3) 각각은 제9 너비(W9)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3 수신 프레임부(FRR3)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 수신 돌출부들(PTR3) 각각은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우측 제3 수신센서(SNR3-2)는 연결부(CP)에 의해 좌측 제3 수신센서(SNR3-1)와 연결될 수 있다. 우측 제3 수신센서(SNR3-2)의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좌측 제3 수신센서(SNR3-1)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상부 제3 송신센서(SNT3-1)는 제3 송신 프레임부(FRT3) 및 복수의 제3 송신 돌출부들(PTT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송신 돌출부들(PTT3)은 제3 송신 프레임부(FRT3)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3 송신 프레임부(FRT3)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제3 송신 돌출부들(PTT3)은 제3 송신 프레임부(FRT3)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송신 돌출부들(PTT3) 각각은 제11 너비(W11)를 가지고, 제12 너비(W12)로 이격 될 수 있다.
제3 송신 돌출부들(PTT3)은 제3 수신 돌출부들(PTR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9 너비(W9)는 제11 너비(W11)보다 작고, 제10 너비(W10)는 제12 너비(W12)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송신 돌출부들(PTT3) 각각은 제12 너비(W12)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3 송신 프레임부(FRT3)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3 송신 돌출부들(PTT3) 각각은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제3 송신센서(SNT3-2)는 브릿지 형상을 갖는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상부 제3 송신센서(SNT3-1)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제3 송신센서(SNT3-2)의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상부 제3 송신센서(SNT3-1)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도 7의 AA영역에 대응하는 단위감지영역(AA-1, AA-2, AA-3)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위감지영역(AA-1)은 좌측 제1 수신센서(SNR1-3), 우측 제1 수신센서(SNR1-4), 상부 제1 송신센서(SNT1-3), 및 하부 제1 송신센서(SNT1-4)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제1 수신센서(SNR1-3)는 제1 수신 프레임부(FRR1) 및 복수의 제1 수신 돌출부들(PTR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돌출부들(PTR1-1)은 제1 수신 프레임부(FRR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수신 프레임부(FRR1)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제1 수신 돌출부들(PTR1-1)은 제1 수신 프레임부(FRR1)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수신 돌출부들(PTR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서브돌출부(PT-S) 및 메인돌출부(PT-M)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돌출부(PT-S)는 제1 수신 프레임부(FRR1)에서 제13 너비(W13)로 연장될 수 있다. 메인돌출부(PT-M)는 서브돌출부(PT-S)에서 제13 너비(W13)보다 더 큰 제14 너비(W14)로 연장될 수 있다.
우측 제1 수신센서(SNR1-4)는 연결부(CP)에 의해 좌측 제1 수신센서(SNR1-3)와 연결될 수 있다. 우측 제1 수신센서(SNR1-4)의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좌측 제1 수신센서(SNR1-3)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상부 제1 송신센서(SNT1-3)는 제1 송신 프레임부(FRT1) 및 복수의 제1 송신 돌출부들(PTT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돌출부들(PTT1-1)은 제1 송신 프레임부(FRT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송신 프레임부(FRT1)는 4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제1 송신 돌출부들(PTT1-1)은 제1 송신 프레임부(FRT1)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송신 돌출부들(PTT1-1)의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제1 수신 돌출부들(PTR1-1)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하부 제1 송신센서(SNT1-4)는 브릿지 형상을 갖는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상부 제1 송신센서(SNT1-3)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제1 송신센서(SNT1-4)의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상부 제1 송신센서(SNT1-3)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위감지영역(AA-2)은 좌측 제1 수신센서(SNR1-5), 우측 제1 수신센서(SNR1-6), 상부 제1 송신센서(SNT1-5), 및 하부 제1 송신센서(SNT1-6)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감지영역(AA-2)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돌출부들(PTR1, PTT1, PTR1-1, PTT1-1)과 다른 형상을 갖는 돌출부들(PTR1-2, PTT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돌출부들(PTR1-2)은 제1 수신 프레임부(FRR1)에서 연장되며, 제1 수신 돌출부들(PTR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장되는 방향에서 점점 제15 너비(W15)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수신 돌출부들(PTR1-2) 각각은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송신 돌출부들(PTT1-2)은 제1 수신 돌출부들(PTR1-2)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외 다른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단위감지영역(AA-3)은 좌측 제1 수신센서(SNR1-7), 우측 제1 수신센서(SNR1-8), 상부 제1 송신센서(SNT1-7), 및 하부 제1 송신센서(SNT1-8)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제1 수신센서(SNR1-7)는 제1 수신 프레임부(FRR1-1) 및 복수의 제1 수신 돌출부들(PTR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돌출부들(PTR1)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제1 수신 프레임부(FRR1-1)는 정전결합부(CPC) 및 플로팅부(FLR)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결합부(CPC)는 상부 제1 송신센서(SNT1-7) 또는 하부 제1 송신센서(SNT1-8)와 정전결합할 수 있다. 플로팅부(FLR)는 정전결합부(CPC)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플로팅부(FLR)는 정전결합부(CPC)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우측 제1 수신센서(SNR1-8)는 연결부(CP)에 의해 좌측 제1 수신센서(SNR1-7)와 연결될 수 있다. 우측 제1 수신센서(SNR1-8)의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좌측 제1 수신센서(SNR1-7)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상부 제1 송신센서(SNT1-7)는 제1 송신 프레임부(FRT1-1) 및 복수의 제1 송신 돌출부들(PTT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돌출부들(PTT1)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제1 송신 프레임부(FRT1-1)는 정전결합부(CPC) 및 플로팅부(FL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프레임부(FRT1-1)의 정전결합부(CPC)는 좌측 제1 수신센서(SNR1-7) 또는 우측 제1 수신센서(SNR1-8)와 정전결합할 수 있다. 플로팅부(FLR)는 정전결합부(CPC)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플로팅부(FLR)는 정전결합부(CPC)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하부 제1 송신센서(SNT1-8)는 브릿지 형상을 갖는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상부 제1 송신센서(SNT1-7)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제1 송신센서(SNT1-8)의 구조 또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상부 제1 송신센서(SNT1-7)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
도 14을 참고하면, 단위감지영역(AA-4)은 좌측 제1 수신센서(SNR1-9), 우측 제1 수신센서(SNR1-10), 상부 제1 송신센서(SNT1-9), 및 하부 제1 송신센서(SNT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감지영역(AA-4)의 센서들(SNR1-9, SNR1-10, SNT1-9, SNT1-10)은 메쉬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쉬형상에 의해 정의된 개구부(OPP)에 의해 표시패널(DP, 도 3 참조)의 발광소자들(OLED, 도 4 참조)이 노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2)는 일부분 또는 전체가 벤딩 또는 롤링될 수 있다.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M: 표시모듈
DP: 표시패널 ISU: 입력감지유닛
WM: 윈도우 부재 SL1~SLn: 수신 신호라인
UL1~ULm: 송신 신호라인 TXP: 송신전극
RXP: 수신전극 SNR: 수신센서
SNT: 송신센서

Claims (20)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고, 각각이 제1 수신센서 및 제2 수신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신전극들;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고, 각각이 제1 송신센서 및 제2 송신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송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센서는,
    제1 수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수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센서는,
    제2 수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2 수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보다 더 많은 개수의 복수의 제2 수신돌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센서는,
    제1 송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송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송신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센서는,
    제2 송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2 송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수신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송신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입력감지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수신신호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송신전극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송신신호라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송신전극들이 배치되는 감지영역 및 상기 수신신호라인들 및 상기 송신신호라인들이 배치되는 비감지영역이 정의되는 입력감지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센서는 상기 감지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입력감지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수신센서에 연결되는 입력감지유닛.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신호라인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중 홀수번째 수신전극들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영역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수신신호라인들;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중 짝수번째 수신전극들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영역의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신신호라인들을 포함하는 입력감지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1 수신신호라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수신신호라인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입력감지유닛.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수신프레임부에서 일정한 너비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입력감지유닛.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수신프레임부에서 연장되고, 제1 너비를 가지는 서브돌출부; 및
    상기 서브돌출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너비보다 큰 제2 너비를 가지는 메인돌출부를 포함하는 입력감지유닛.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수신프레임부에서 연장되면서, 점점 너비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입력감지유닛.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센서, 상기 제2 수신센서, 상기 제1 송신센서, 및 상기 제2 송신센서는 각각 메쉬형상을 가지는 입력감지유닛.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센서 및 상기 제1 송신센서는 제1 정전용량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수신센서 및 상기 제2 송신센서는 제2 정전용량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정전용량 또는 상기 제2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구동회로를 더 포함하는 입력감지유닛.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3 수신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수신센서는,
    제3 수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3 수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보다 더 많고, 상기 복수의 제2 수신돌출부들 보다 더 적은 개수의 제3 수신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입력감지유닛.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신센서는 상기 제1 수신센서 및 상기 제2 수신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입력감지유닛.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센서는,
    상기 제1 송신센서와 정전결합하는 정전결합부; 및
    상기 정전결합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정전결합부와 절연된 플로팅부를 포함하는 입력감지유닛.
  15. 복수의 발광소자들이 배치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는 입력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고, 각각이 제1 수신센서 및 제2 수신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신전극들;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되고, 각각이 제1 송신센서 및 제2 송신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송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센서는,
    제1 수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수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신센서는,
    제2 수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2 수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보다 더 많은 개수의 복수의 제2 수신돌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센서는,
    제1 송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송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수신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송신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센서는,
    제2 송신프레임부; 및
    상기 제2 송신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수신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송신돌출부들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감지유닛은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수신신호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송신전극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송신신호라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감지유닛에는 상기 복수의 수신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송신전극들이 배치되는 감지영역 및 상기 수신신호라인들 및 상기 송신신호라인들이 배치되는 비감지영역이 정의되는 표시모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센서는 상기 감지영역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신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수신센서에 연결되는 표시모듈.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센서, 상기 제2 수신센서, 상기 제1 송신센서, 및 상기 제2 송신센서는 각각 복수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들은 상기 개구부들에 의해 노출되는 표시모듈.
  19.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되고, 제1 센서들 및 제2 센서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전극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신호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들이 배치되는 감지영역 및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이 배치되는 비감지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1 센서들 각각은,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들 각각은,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들보다 더 많은 개수의 복수의 제2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전극들 중 홀수번째 전극들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영역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신호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전극들 중 짝수번째 전극들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영역의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신호라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들 각각은 상기 신호라인들 중 대응하는 신호라인과 연결되는 입력감지유닛.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들은 상기 감지영역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입력감지유닛.
KR1020170119772A 2017-09-18 2017-09-18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KR102446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72A KR102446437B1 (ko) 2017-09-18 2017-09-18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US16/102,467 US10817117B2 (en) 2017-09-18 2018-08-13 Input-sensing device and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EP18194832.4A EP3457267B1 (en) 2017-09-18 2018-09-17 Input-sensing device and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01811085878.4A CN109521904B (zh) 2017-09-18 2018-09-18 输入感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72A KR102446437B1 (ko) 2017-09-18 2017-09-18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690A true KR20190032690A (ko) 2019-03-28
KR102446437B1 KR102446437B1 (ko) 2022-09-23

Family

ID=6378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772A KR102446437B1 (ko) 2017-09-18 2017-09-18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17117B2 (ko)
EP (1) EP3457267B1 (ko)
KR (1) KR102446437B1 (ko)
CN (1) CN1095219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3288B (en) 2017-12-22 2022-06-15 1004335 Ontario Inc Carrying On Business As A D Metro Capacitive touch sensor apparatus having branching electrodes
JP7473567B2 (ja) 2019-11-28 2024-04-23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 タッチ電極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及び電子機器
CN113220150B (zh) * 2020-01-21 2023-09-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模组、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1039A1 (en) * 2009-12-15 2011-06-16 Lee Chun-Yi Touch panel
KR20130123599A (ko) * 2012-05-03 2013-11-13 한국과학기술원 속도 의존적인 자동 디밍 기술
KR20140044118A (ko) *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US20160246405A1 (en) * 2014-04-21 2016-08-2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substrate and touch screen
KR20160126903A (ko) * 2015-04-24 2016-11-02 애플 인크. 터치 스크린의 병합된 플로팅 픽셀들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751B1 (ko) * 2004-09-24 201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358661B (en) 2007-06-14 2012-02-21 Elan Microelectronics Corp Object location sensor of touch pad
KR101686092B1 (ko) 2009-12-18 2016-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20027956A (ko) 2010-09-14 2012-03-22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TW201237717A (en) * 2011-03-04 2012-09-16 Raydium Semiconductor Corp Touch panel and touch pad
US8988086B1 (en) 2011-08-10 2015-03-24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ive sensor array with pattern variation
US9116581B2 (en) 2011-08-24 2015-08-2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Edge accuracy in a capacitive sense array
GB2499388B (en) 2012-02-13 2014-02-12 Touchnetix Ltd Touch sensor for non-uniform panels
TW201337695A (zh) 2012-03-13 2013-09-16 Raydium Semiconductor Corp 位於觸控感測元件上的電極單元
TW201337694A (zh) * 2012-03-13 2013-09-16 Raydium Semiconductor Corp 位於觸控感測元件上的電極單元
KR101446722B1 (ko) 2012-05-16 2014-10-07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터치 스크린 패널
JP2013254360A (ja) 2012-06-07 2013-12-19 Kyocera Display Corp タッチパネル
US9600125B2 (en) 2012-07-18 2017-03-21 Ct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ensor array with edge pattern
KR102055003B1 (ko) 2012-10-30 2019-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KR20140096507A (ko) 2013-01-28 2014-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영상표시장치
JP6054193B2 (ja) 2013-02-06 2016-12-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TW201445621A (zh) * 2013-05-24 2014-12-01 Wintek Corp 觸控感測電極結構及觸控裝置
KR102149498B1 (ko) 2013-09-24 2020-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JP6384058B2 (ja) * 2014-02-12 2018-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239861B1 (ko) * 2014-11-26 2021-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629011B2 (ja) 2015-08-31 2020-01-15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タッチセンサおよびタッチセンサ内蔵型表示装置
KR102402256B1 (ko) * 2015-11-04 2022-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120489B2 (en) * 2016-04-28 2018-11-06 Atmel Corporation Touch sensor mesh designs
KR102354247B1 (ko) 2017-04-24 2022-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1039A1 (en) * 2009-12-15 2011-06-16 Lee Chun-Yi Touch panel
KR20130123599A (ko) * 2012-05-03 2013-11-13 한국과학기술원 속도 의존적인 자동 디밍 기술
KR20140044118A (ko) *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US20160246405A1 (en) * 2014-04-21 2016-08-2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substrate and touch screen
KR20160126903A (ko) * 2015-04-24 2016-11-02 애플 인크. 터치 스크린의 병합된 플로팅 픽셀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21904A (zh) 2019-03-26
EP3457267A1 (en) 2019-03-20
US10817117B2 (en) 2020-10-27
EP3457267B1 (en) 2023-09-13
KR102446437B1 (ko) 2022-09-23
CN109521904B (zh) 2023-10-13
US20190087033A1 (en)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2071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2577155B1 (ko) 표시장치
US11422652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US1089244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381712B (zh) 具有集成天线的显示设备
KR102446436B1 (ko) 표시 장치
CN109213366B (zh) 具有集成触摸屏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GB2570566A (en)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EP3457267B1 (en) Input-sensing device and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230051888A1 (en) Display device and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6156944A (zh) 显示装置和显示面板
KR20230046609A (ko) 터치 표시 장치
KR20230103186A (ko) 표시 장치
KR202300828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CN116390567A (zh) 显示装置
KR20220096033A (ko)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20200091982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