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002B1 -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002B1
KR102244002B1 KR1020140017228A KR20140017228A KR102244002B1 KR 102244002 B1 KR102244002 B1 KR 102244002B1 KR 1020140017228 A KR1020140017228 A KR 1020140017228A KR 20140017228 A KR20140017228 A KR 20140017228A KR 102244002 B1 KR102244002 B1 KR 102244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display
blocking block
cover shee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567A (ko
Inventor
서광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002B1/ko
Priority to US14/323,754 priority patent/US9582042B2/en
Publication of KR2015009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댐 부재는 장변과 단변을 포함하는 차단블록, 및 차단블록의 어느 한 면에 부착된 커버시트를 포함하고, 커버시트는 차단블록의 일측 장변 방향으로 돌출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DAM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panel), 액정 표시 패널(LCD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PD panel), 및 일렉트로 웨팅 표시 패널(EWD panel)과 같이 다양한 표시 패널이 표시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윈도우는 레진 등과 같은 접합부재를 매개로 상기 표시 패널에 접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레진은 그 자체가 유동성을 갖는 바, 충분히 경화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도포되는 등을 이유로 상기 레진의 넘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의 레진의 넘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윈도우의 버튼부 및 표시모듈의 회로영역으로 레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 장치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댐 부재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는, 장변과 단변을 포함하는 차단블록, 및 차단블록의 어느 한 면에 부착된 커버시트를 포함하고, 커버시트는 차단블록의 일측 장변 방향으로 돌출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는, 차단블록의 장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가 차단블록의 장변 길이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차단블록은, 커버시트가 부착된 면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영역 및 회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표시모듈과 대향하고, 버튼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표시모듈의 표시영역과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표시모듈과 윈도우를 접합하는 접합부재, 및 표시영역 및 회로영역의 경계를 따라 위치하고 접합부재가 표시영역을 넘는 것을 방지하는 댐 부재를 포함하고, 댐 부재는 접합부재가 회로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블록 및 접합부재가 버튼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는, 차단블록의 어느 한 면에 위치하고, 버튼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는, 차단블록과 표시모듈 사이에 개재되고, 회로영역을 향하여 돌출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의 돌출된 면은, 버튼부와 표시모듈의 회로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는, 차단블록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차단블록과 커버시트는, 일체형일 수 있다.
또한, 차단블록은, 표시모듈과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고, 접합부재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는, 회로영역에 대응하고 버튼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버튼 구동부를 포함하고, 커버시트는 버튼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차단블록의 표시모듈과 대향하는 면은, 버튼 구동부의 표시모듈과 대향하는 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는, 버튼 구동부의 표시모듈과 대향하는 면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의 회로영역을 향하여 돌출된 면을 포함하고, 돌출된 면과 버튼 구동부는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회로영역에 위치하는 집적 회로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블록은, 집적 회로칩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모듈은, 제 1기판, 표시영역과 대응하고 제 1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2기판을 포함하고, 집적 회로칩은, 회로영역과 대응하는 제 1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표시모듈과 연결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는, 연결부재의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모듈은,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상에 위치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연결부재의 일측은 터치패널에 연결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진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의 버튼부로 레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댐 부재를 J1-J1'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댐 부재를 I1-I1'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댐 부재를 J2-J2'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댐 부재를 I2-I2'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표시 장치를 I3-I3'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표시 장치를 I4-I4'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댐 부재를 I5-I5'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댐 부재를 J5-J5'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표시 장치를 I6-I6'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표시 장치를 I7-I7'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27은 도 26의 표시 장치를 I8-I8'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댐 부재를 J1-J1'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댐부재를 I1-I1'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댐 부재(100)는, 장변(B)과 단변(A)을 포함하는 차단블록(110) 및 차단블록(110)의 어느 한 면에 부착된 커버시트(120)를 포함하고, 커버시트(120)는 차단블록(110)의 일측 장변(B) 방향으로 돌출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댐 부재(100)에서 차단블록(110)의 수평 단면은 장변(B)과 단변(A)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 변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블록(110)은 상면과 하면이 서로 평행한 형상일 수 있고, 일정 높이를 형성할 수 있어,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일 수 있다. 또한, 차단블록(110)의 높이는 단변(A)의 길이에 비해 10% 내지 20% 정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단블록(110)의의 단변(A)의 길이는 0.5㎜ 내지 4㎜ 정도이고, 차단블록(110)의 높이는 0.1㎜ 내지 0.8㎜ 정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차단블록(110)의 단변(A)의 길이가 2㎜ 정도일 경우, 차단블록(110)의 높이는 0.25㎜ 정도일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표시 장치에 댐 부재가 적용될 경우, 표시영역에서의 레진이 회로영역으로 넘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커버시트(120)는 차단블록(110)의 일측 장변(B) 방향으로 돌출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시트(120)는 차단블록(1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에 부착되고, 차단블록(110)의 단변(A)에 평행한 방향의 어느 한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시트(120)와 차단블록(110)이 서로 접하는 면은 커버시트(120)가 형성되는 차단블록(110)의 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120)는 수평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수평 단면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커버시트(120)는 차단블록(110)의 장변(B)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C1)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커버시트(120)에서 차단블록(110)의 장변(B)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C1)를 커버시트(120)의 폭이라 하면, 커버시트(120)의 폭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차단블록(110)의 장변(B)의 길이와 이와 평행한 방향으로의 커버시트(120)의 길이(C1)가 같은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후술할 도 4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101)와 같이 차단블록(111)의 장변(B)의 길이보다 커버시트(120)의 폭을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커버시트(120)는 후술할 표시 장치에 적용되어, 표시영역에서 차단블록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넘치는 레진이 윈도우의 버튼부로 침투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시트(120)의 폭을 댐 부재(100)의 장변(B)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거나, 보호하고자 하는 버튼부의 폭에 맞춰 조절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댐 부재를 J2-J2'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 6에는 도 4의 댐 부재를 I2-I2'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커버시트(121)의 폭(C2)은 차단블록(111)의 장변(B)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댐 부재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102)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버시트(122)는 차단블록(112)의 일 면에 일부와 접하면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댐 부재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103)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버시트(123)는 끝 면의 수평 단면이 라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커버시트의 수평 단면 이외에도, 도면상으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타원 형상, 삼각형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댐 부재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 부재(104)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와 같이, 차단블록(114)에 부착되는 커버시트(124)는 차단블록(114)의 일 면 중 어느 한 측면으로 치우쳐져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커버시트(124)는 후술할 표시장치에서 버튼부에 레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버튼부가 형성되는 위치나, 버튼부에 형성되는 버튼 구동부 등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댐 부재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댐 부재(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차단블록(110)은, 커버시트(120)가 부착되는 면의 반대면 상에 위치하는 접착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접착부재(130)는 후술할 표시 장치에서 윈도우에 상기 댐 부재를 부착하거나, 윈도우 하면에 위치하는 차광부재에 댐 부재를 부착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의 표시 장치(1)를 I3-I3'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영역(DA) 및 회로영역(CA)을 포함하는 표시모듈(300), 표시모듈(300)과 대향하고, 버튼부(BA)를 포함하는 윈도우(200), 표시모듈(300)의 표시영역(DA)과 윈도우(200) 사이에 배치되고, 표시모듈(300)과 윈도우(200)를 접합하는 접합부재(400), 및 표시영역(DA)과 회로영역(CA)의 경계를 따라 위치하고 접합부재(400)가 표시영역(DA)을 넘는 것을 방지하는 댐 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댐 부재(100)는 접합부재(400)가 회로영역(CA)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블록(110) 및 접합부재(400)가 버튼부(BA)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시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3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의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다. 상기 표시 패널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anel, OLED panel)과 같은 자발광이 가능한 표시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EPD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EWD panel)과 같은 비발광성 표시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로서 비발광성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표시모듈(300)은 상기 표시 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모듈(300)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로 영상이 제공되는 표시영역(DA) 및 외부로 영상이 제공되지 않는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은 서로 인접하여 있을 수 있으며, 표시영역(DA)은 윈도우(100)의 버튼부(BA)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모듈(300) 상에는 윈도우(100)가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표시모듈(300)에서 영상이 출사되는 방향 상에 위치하여 표시모듈(300)과 대향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표시모듈(300)에서 출사되는 영상을 외부의 시청자가 시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글라스(glass) 또는 투명한 고분자 수지 등일 수 있다. 또한, 윈도우(10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표시모듈(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표시모듈(300) 이외에도 내부의 집적회로 등과 같은 소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버튼부(BA)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BA)에 의해 표시 장치(1)를 구동할 수 있으며, 버튼부(BA)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표시모듈(300)에 신호를 전달하여, 표시모듈(300)이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버튼부(BA)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표시 장치(1)의 내부의 집적 회로(미도시)로 전달하여, 표시모듈(300)로 전달하기 위해 물리적 버튼(미도시)이나, 터치되는 신호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정전식 터치 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버튼부(BA)에서 표시모듈(300)과 대향하는 면에는 외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버튼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윈도우(100)는 표시모듈(300) 상에서 표시모듈(300)과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모듈(300)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를 커버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표시모듈(300)과 윈도우(100) 사이에 위치하는 접합부재(400)에 의해 표시모듈(30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접합부재(400)와 함께 표시모듈(300)을 보호하여 표시 장치(1)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윈도우(100)는 표시모듈(300)보다 클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모듈(300)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윈도우(100)와 표시모듈(300) 사이에는 접합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접합부재(400)는 표시모듈(300)의 표시영역(DA)과 윈도우(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합부재(400)가 표시모듈(300)과 윈도우(100)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표시모듈(300)과 윈도우(100)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모듈(300)과 윈도우(100)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갭 발생과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에 따라, 표시모듈(300)에서 표시하는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재(400)는 표시패널(300)과 윈도우(100)를 서로 접합하는 역할을 하며, 윈도우(100)와 함께 표시모듈(30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표시장치(1)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합부재(400)는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접합부재(400)는 유동성을 갖는 레진을 표시모듈(200)과 윈도우(300) 사이에 형성한 후, 레진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화공정이 진행되기 전의 접합부재(400)는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접합부재(400)는 광투과성이 높은 레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진은 예를 들어, OCR(Optically Clear Resin)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접합부재(400)는 윈도우(200)가 부착된 이후에도 광학적 특성이 유지되도록 광학 굴절률이 윈도우(2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접합부재(400)는 광경화성 레진,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열경화성 레진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윈도우(200)와 표시모듈(300) 사이에는 댐 부재(100)가 위치할 수 있으며, 댐 부재(100)는 차단블록(110)과 커버시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댐 부재(100)의 차단블록(110)은 표시영역(DA)과 회로영역(CA) 사이의 경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댐 부재(100)의 차단블록(110)은 회로영역(CA)과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일부가 표시영역(DA)과 중첩될 수 도 있다. 댐 부재(100)의 차단블록(110)은 표시영역(DA)과 회로영역(CA) 사이의 경계를 따라 배치됨에 따라, 유동성을 갖는 접합부재(400)가 표시영역(DA)으로부터 회로영역(CA)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표시 장치(1)와 같이, 댐 부재(100)의 차단블록(110)은 표시영역(DA)과 회로영역(CA) 사이의 경계 부분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댐 부재(100)의 차단블록(110)은 표시모듈(300)의 하부 측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하나의 긴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차단블록(110)은 표시패널(300)의 하부 측면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댐 부재에 대해 설명하면, 댐 부재(100)는 접합부재(400)가 회로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블록(110) 및 접합부재(400)가 버튼부(BA)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시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댐 부재(100)가 차단블록(110) 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댐 부재(100)가 형성하는 높이의 불균형, 댐의 끊어짐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댐 부재(100)를 넘어서 접합부재(400)가 넘칠 수 있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었다. 따라서, 차단블록(110)과 차단블록(110)에 부착되어 접합부재(400)가 버튼부(BA)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시트(120)를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차단블록(110)을 넘치는 접합부재(400)가 버튼부(BA) 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시트(120)는 차단블록(110)의 어느 한 면에 위치하고, 버튼부(BA)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커버시트(120)는 차단블록(110)과 표시모듈(300) 사이에 개재되어 차단블록(110)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회로영역(CA)을 향하여 돌출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버시트(120)는 차단블록(110)의 일 면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이면서, 표시모듈(300)을 기준으로는 회로영역(CA) 측면으로, 윈도우(200)를 기준으로는 버튼부(BA)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시트(120)의 돌출된 면은 버튼부(BA)와 표시모듈(300)의 회로영역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커버시트(120)는 차단블록(110)에 부착되거나, 접착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차단블록(110)과 커버시트(120)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차단블록(110)과 커버시트(120)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댐 부재를 미리 준비하고, 이를 윈도우(200)와 표시모듈(30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접합부재(400)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제조하고자 하는 표시 모듈의 모델에 따라,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댐 부재를 제조하고, 이를 표시 모듈에 부착함으로써, 댐 부재를 세팅하는데 있어, 적은 시간을 소요하더라도, 접합부재(400)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윈도우(200)는 표시모듈(300)의 회로영역(CA)에 대응하고 버튼부(BA)의 하측에 위치하는 버튼 구동부(250)를 포함하고, 커버시트(120)는 버튼 구동부(25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버튼 구동부(250)는 표시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버튼부(BA)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모듈(300) 상으로 전달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집적 회로칩(미도시)이나, 구동 회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블록(110)의 표시모듈(300)과 대향하는 면은, 버튼 구동부(250)의 표시모듈(300)과 대향하는 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차단블록(110)이 표시모듈(300)과 접하거나 부착되는 면의 높이와, 버튼 구동부(250)의 윈도우(200)를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면의 높이는 동일하여,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시트(120)가 차단블록(110)에 부착되면, 커버시트(120)는 버튼 구동부(250)의 표시모듈(300)과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 면과 접하여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시트(110)는 회로영역(CA)을 향하여 돌출된 면을 포함할 수 있고, 돌출된 면과 버튼 구동부(250)는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으며, 또한, 접하여 있을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의 표시 장치(2)를 I4-I4'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2)의 댐 부재의 차단블록(115)은 표시모듈(300)과 윈도우(200) 사이에 위치하고, 접합부재(3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 부재의 차단블록(115)은 내부에 접합부재(30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빈 공간(150)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접합부재(3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재가 표시 모듈(2)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는 도 13의 댐 부재(105)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도 15의 댐 부재(105)를 I5-I5'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 17에는 도 15의 댐 부재(105)를 J5-J5'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여 댐 부재(105)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댐 부재(105)의 차단블록(115)은 표시모듈(300)의 4 측면들 전체를 둘러쌓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차단블록(115)은 접합부재(400)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접합부재(400)의 형성과정 또는 표시모듈(300)과 윈도우(200)의 접합과정에서 접합부재(400)의 일부가 외부(또는 외곽)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barrier)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차단블록(115)이 접합부재(4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될 경우, 커버시트(125)는 회로영역(CA)과 버튼부(BA)가 위치하는 차단블록(115)의 일 측면에 부착되어 버튼부(BA)로 접합부재(400)가 흘러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14에서, 접합부재(400)는 표시모듈(300)의 비표시영역(NDA)과 윈도우(200) 사이에도 일부 위치할 수도 있다.
댐 부재(105)의 커버시트(125)는 차단블록(115)의 일 측면에 형성된 단차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4 및 도 15 내지 17을 보면, 커버시트(125)가 부착되는 위치의 차단블록(115)의 높이는 커버시트(125)가 부착되지 않는 위치의 차단블록(115)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으며, 커버시트(125)가 부착됨으로써, 동일한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커버시트(125)가 부착되는 위치의 차단블록(115)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커버시트(125)가 부착되지 않는 위치의 차단블록(115)의 높이를 H3라 하며, 커버시트(125) 자체의 높이를 H2라 할 때, 커버시트(125)가 부착되는 위치에서 커버시트(125)와 차단블록(115)이 부착됨으로써, 높이 H3의 댐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8을 참조할 경우, 표시 장치는 차단블록과 커버시트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댐 부재(10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되어 있는 커버시트를 제외하고 차단블록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의 표시 장치는 댐 부재(106)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 내지 2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 내지 21을 참조하면, 도 19와 같이 댐 부재(107)는 차단블록(117)의 일 면의 일부에 형성된 단차 상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20과 같이, 커버시트(125-1)는 버튼 구동부(250)와 일부 중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커버시트(125-1)가 돌출되어 있는 길이는 버튼 구동부(250)를 모두 커버하지 않고, 일부만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시트(125-1)의 돌출된 끝부분의 위치(P)가 수직선상에서 버튼 구동부(25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20과는 다르게 도 21과 같이, 커버시트(125-2)의 돌출된 끝부분의 위치(Q)가 버튼 구동부(250)를 넘어 버튼 구동부(250)를 모두 커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커버시트(125-2)의 돌출된 끝부분의 위치(Q)의 수직선상에는 버튼 구동부(250)가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2)은 윈도우(100)의 하측면, 즉, 윈도우(100)에서 표시모듈(300)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차광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재(500)는 표시모듈(300)의 비표시영역(NDA)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모듈(300)의 비표시영역(NDA)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으나, 차광부재(500)는 버튼부(BA)의 하측에 위치하는 버튼 구동부(250)의 형상에 대응하는 빈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차광부재(500)는 표시모듈(300)의 비표시영역(NDA)이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광부재(500)은 광흡수성 물질 또는 광차단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광부재(500)는 크롬(Cr) 및 몰리브덴(Mo)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같이 반사율이 낮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광부재(500)는 CrOx 및 MoOx 중 어느 하나와 같이, 불투명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차광부재(330)는 카본블랙과 같은 불투명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3에는 도 22의 표시 장치(3)를 I6-I6'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 및 23을 참조하면, 댐 부재는 표시모듈(300)과 윈도우(200) 사이에 위치하고 접합부재(4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 1차단블록(118-A), 표시모듈(300)의 표시영역(DA)과 회로영역(CA)의 경계를 따라 위치하고, 접합부재(400)가 표시영역(DA)을 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차단블록(118-B), 및 제 2차단블록(118-B)에 부착되고 회로영역(CA)으로 돌출되어 접합부재(400)가 버튼부(BA)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시트(12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차단블록(118-A)는 접합부재(400)가 표시 장치(3)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회로영역(CA) 부분으로 접합부재가 흐르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제 2차단블록(118-B) 및 커버시트(128)는 회로영역(CA)과 버튼부(BA)로 접합부재(400)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200)의 버튼부(BA)에는 홈버튼(50)을 삽입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홈버튼(50) 상에는 표시모듈에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하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미도시)나 연결 부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5에는 도 24의 표시 장치(4)를 I7-I7'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 및 25를 참조하면, 회로영역(CA)에 위치하는 집적 회로칩(6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블록(115)은 집적 회로칩(6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표시모듈(300)은 제 1기판(310) 및 표시영역(DA)과 대응하고 제 1기판(310) 상에 위치하는 제 2기판(3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집적 회로칩(610)은 회로영역(CA)과 대응하는 제 1기판(310) 상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모듈(300-1)은 상호 대향하는 제1 기판(310) 및 제2 기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모듈(300-1)이 액정(liquid crystal)을 포함하는 경우, 제1기판(310)과 제2기판(330) 사이에는 상기 액정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표시모듈(300-1)이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경우, 제1기판(310)과 제2기판(330) 사이에는 상기 유기발광소자가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기판(310)은 제1 넓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기판(330)은 상기 제1 넓이보다 작은 제2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기판(330)이 제1 기판(310)보다 작은 넓이를 가짐으로써, 제2 기판(330)은 회로영역(CA)에 대응하는 제1 기판(310)의 일 부분을 노출할 수 있다. 즉, 제1기판(310)은 제2기판(33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노출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영역(P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영역(CA)의 일부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출영역(PA)과 회로영역(CA)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30)은 제2 기판(3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실런트(미도시)에 의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집적 회로칩(610)은 제1 기판(310)의 노출영역(PA)에 실장(mount)될 수 있으며, 집적 회로칩(610)은 제1 기판(310)에서 제2 기판(330)과 부착된 면과 동일한 방향의 면에 실장될 수 있다. 즉, 제2 기판(330)과 집적 회로칩(610)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집적 회로칩(610)은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제1기판(310)의 노출영역(PA)에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판(310)은 표시 영역(DA)에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치된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310)은 표시 영역(DA), 회로영역(CA) 또는 노출영역(PA)에 배치되고 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310)은 노출영역(PA)에 배치된 패드 전극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집적 회로칩(610)은 제1 기판(310)의 노출영역(PA)에 실장되어 패드 전극(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310)은 집적 회로칩(610)과 상기 드라이버(미도시)를 서로 연결하는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칩 연결부재(630)는 일측이 제1 기판(310)의 노출영역(PA)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은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회로(미도시)에서 발생된 구동 신호는 칩 연결부재(630)를 통해 집적 회로칩(610) 또는 제1 기판(310)의 드라이버(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칩 연결부재(630)는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모듈(300-1) 상에는 윈도우(20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윈도우(200)와 는 표시모듈(300-1) 사이에는 차광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00)와 표시모듈(300-1) 사이에는 접합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 접합부재(400)는 표시모듈(300-1)의 표시영역(DA)과 윈도우(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외 표시모듈(300-1)의 비표시영역(NDA)과 윈도우(200) 사이에도 일부 위치할 수 있다. 접합부재(400)는 표시모듈(300-1)의 제2기판(330)과 윈도우(200)를 접합할 수 있다.
윈도우(200)와 표시모듈(300-1) 사이에는 차단블록(115)과 커버시트(125)를 포함하는 댐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차단블록(115)은 표시영역(DA)과 회로영역(CA) 사이의 경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차단블록(11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영역(CA)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일부가 표시영역(DA)과 중첩될 수도 있다. 차단블록(115)은 표시영역(DA)과 회로영역(CA) 사이의 경계를 따라 배치됨에 따라, 유동성을 갖는 접합부재(400)가 표시영역(DA)으로부터 회로영역(CA)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단블록(115)에 부착된 커버시트(125)에 의해 차단블록(115)을 넘어 버튼부(BA)로 침투하게 되는 접합부재(400)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7에는 도 26의 표시 장치(5)를 I8-I8'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6 및 2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5)는 일측이 표시모듈(300)과 연결된 연결부재(6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시트(125)는 연결부재의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모듈(300)은 표시패널(310, 330) 및 표시패널(310, 330) 상에 위치하는 터치패널(3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650)의 일측은 터치패널(35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모듈(200-2)은 상호 대향하는 제1 기판(310), 제2 기판(330) 및 제2 기판(330) 상에 위치하는 터치패널(35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350)은 표시 영역(DA)에 대응하여 제2기판(33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터치 수단에 의한 터치를 인식하여 터치가 수행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터치구동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 패널(350)은 표시 장치(5)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서 이용되며, 그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터치 패널(350)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g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Integral Strain guage),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Surface Acoustic Wave), 피에조 효과 방식(Piezo Electric)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650)는 일단이 터치 패널(350)과 연결되고 타단은 터치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650)는 터치 패널(350)이 인식한 터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터치구동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부재(650)는 연성 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모듈(300-2) 상에는 윈도우(20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윈도우(200)는 터치패널(35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모듈(300-2)과 윈도우(200) 사이에는 차광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00)와 표시모듈(300-2) 사이에는 접합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 접합부재(400)은 표시모듈(300-2)의 표시영역(DA)과 윈도우(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외 표시모듈(300-2)의 비표시영역(NDA)과 윈도우(200) 사이에도 일부 위치할 수 있다. 접합부재(400)는 표시모듈(300-2)의 터치패널(350)과 윈도우(200)를 접합할 수 있다.
윈도우(200)와 표시모듈(300-2) 사이에는 차단블록(115)과 커버시트(125)를 포함하는 댐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차단블록(115)은 표시영역(DA)과 회로영역(CA) 사이의 경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차단블록(11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영역(CA)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일부가 표시영역(DA)과 중첩될 수도 있다. 차단블록(115) 표시영역(DA)과 회로영역(CA) 사이의 경계를 따라 배치됨에 따라, 유동성을 갖는 접합부재(400)가 표시영역(DA)으로부터 회로영역(CA)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시트(125)를 차단블록(115)과 연결하여 회로영역(CA)과 버튼부(BA) 영역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유동성을 가지는 접합부재(400)가 차단블록(115)을 넘어서 버튼부(BA)와 버튼 구동부(125)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댐 부재의 커버시트(125)는 터치패널(350)에 연결된 연결부재(65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커버시트(125)는 연결부재(650)와 터치패널(350)의 연결부위, 즉 연결부재(650)의 일단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합부재(400)가 표시영역(DA)으로부터 회로영역(CA)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접합부재(400)가 연결부재(650)으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으나, 연결부재(650)의 일단은 차단블록(115)에 의해 연결부재(650)의 일단이 커버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 단변
B: 장변
BA: 버튼부
CA: 회로영역
DA: 표시영역
NDA: 비표시영역
PA: 노출영역
50: 홈버튼부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댐 부재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8-A, 118-B: 차단블록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커버시트
130: 접착부재
200: 윈도우
250: 버튼 구동부
280: 홈부
300, 300-1, 300-2: 표시모듈
310: 제 1기판
330: 제 2기판
350: 터치패널
400: 접합부재
500: 차광부재
610: 집적 회로칩
630: 칩 연결부재
650: 연결부재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표시영역 및 회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과 대향하고, 버튼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상기 표시모듈의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모듈과 상기 윈도우를 접합하는 접합부재; 및
    상기 표시영역 및 상기 회로영역의 경계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접합부재가 상기 표시영역을 넘는 것을 방지하는 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 부재는 상기 접합부재가 상기 회로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블록 및 상기 접합부재가 상기 버튼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차단블록의 어느 한 면에 위치하고, 상기 버튼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표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차단블록과 상기 표시모듈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회로영역을 향하여 돌출된 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의 상기 돌출된 면은 상기 버튼부와 상기 표시모듈의 회로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차단블록에 부착된 표시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블록과 상기 커버시트는 일체형인 표시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블록은,
    상기 표시모듈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접합부재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된 표시 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회로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버튼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버튼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버튼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블록의 상기 표시모듈과 대향하는 면은
    상기 버튼 구동부의 상기 표시모듈과 대향하는 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버튼 구동부의 상기 표시모듈과 대향하는 면에 접하는 표시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의 상기 회로영역을 향하여 돌출된 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된 면과 상기 버튼 구동부는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표시 장치.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영역에 위치하는 집적 회로칩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블록은, 상기 집적 회로칩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표시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제 1기판, 상기 표시영역과 대응하고 상기 제 1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집적 회로칩은, 상기 회로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제 1기판 상에 실장된 표시 장치.
  18. 제 4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표시모듈과 연결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위치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은 상기 터치패널에 연결된 표시 장치.
KR1020140017228A 2014-02-14 2014-02-14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44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28A KR102244002B1 (ko) 2014-02-14 2014-02-14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4/323,754 US9582042B2 (en) 2014-02-14 2014-07-03 Dam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28A KR102244002B1 (ko) 2014-02-14 2014-02-14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567A KR20150096567A (ko) 2015-08-25
KR102244002B1 true KR102244002B1 (ko) 2021-04-27

Family

ID=5379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228A KR102244002B1 (ko) 2014-02-14 2014-02-14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82042B2 (ko)
KR (1) KR102244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982B1 (ko) * 2014-10-20 2021-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9961B1 (ko) * 2015-12-30 2023-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98831B1 (ko) * 2016-07-29 2019-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6231B1 (ko) * 2016-12-15 2024-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303B1 (ko) * 2003-03-11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388A (en) 1974-02-21 1977-01-25 Ppg Industries, Inc. Window panel edge construction
JP2005100685A (ja) 2003-09-22 2005-04-1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082223B1 (ko) 2009-08-17 2011-11-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윈도우 결합 구조체
KR101117399B1 (ko) 2010-05-11 2012-03-07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이치글로벌리소스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장치의 결합 방법
US20120092580A1 (en) * 2010-10-13 2012-04-19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spacing between display and reinforcement layer
US9664955B2 (en) * 2012-08-28 2017-05-30 Apple Inc. Method to design the integrated full coverage LCD module cover glass
JP5909682B2 (ja) * 2012-10-09 2016-04-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JP6275943B2 (ja) * 2012-10-16 2018-02-0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KR102022868B1 (ko) * 2012-11-05 2019-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308007B2 (ja) * 2013-07-16 2018-04-11 ソニー株式会社 配線基板およ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15128033A (ja) * 2013-12-27 2015-07-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9363342B2 (en) * 2014-03-05 2016-06-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arrangement to generate a bending force on a display
KR102293728B1 (ko) * 2014-07-04 2021-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933812B2 (en) * 2014-09-05 2018-04-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input/output device, and data processor
KR102263982B1 (ko) * 2014-10-20 2021-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303B1 (ko) * 2003-03-11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37755A1 (en) 2015-08-20
KR20150096567A (ko) 2015-08-25
US9582042B2 (en)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4889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0029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72216B1 (ko) 타일드 표시 장치
JP5058018B2 (ja) 液晶表示装置
US10347864B2 (en) Display device
US9846455B2 (en) Display device
KR102049909B1 (ko) 영상 표시 장치
KR102244002B1 (ko) 댐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330288B2 (ja) 表示装置
CN103676271A (zh) 显示装置以及罩部件
JP5923417B2 (ja) 表示装置及びカバー部材
KR20140102946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89112A (ko) 표시 장치
KR102177962B1 (ko)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52830B1 (ko) 터치 패널
US20230314865A1 (en) Display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TWI726328B (zh) 蓋板結構及顯示裝置
KR102329182B1 (ko) 휴대 전자 기기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20170072526A (ko) 기능성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93795B1 (ko) 보강부재가 도포된 터치 패널
KR102227163B1 (ko) 표시 장치
KR101014022B1 (ko) 액정 표시 장치
US11614650B2 (en) Display device
JP2018169996A (ja) 表示装置
KR20170061015A (ko) 터치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