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391A - 화상 형성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391A
KR20160042391A KR1020150141380A KR20150141380A KR20160042391A KR 20160042391 A KR20160042391 A KR 20160042391A KR 1020150141380 A KR1020150141380 A KR 1020150141380A KR 20150141380 A KR20150141380 A KR 20150141380A KR 20160042391 A KR20160042391 A KR 20160042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control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520B1 (ko
Inventor
아츠시 히키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2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4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 H04N1/00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involving facsimile protocols or a combination of facsimile protocols and computer data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ower to different circuits or for supplying power at different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64Multi-address calling
    • H04N1/32069Multi-address calling simultaneously to a plurality of destinations, e.g. 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39Generating signals
    • H04N1/32741Generating ringing or calling signals or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prior to start of transmission, input or output of the picture signal only
    • H04N1/3332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prior to start of transmission, input or output of the picture signal only transmission mode only, e.g.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46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adapting to a particular standardised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55Managing power consumption, e.g.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전력 제어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상태로 이행하는 조건을 만족한 경우, 외부 장치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응답이 필요한 특정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문의에 대하여 응답하는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 절전 상태에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고, 특정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제2 절전 상태로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킨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절전 상태로 천이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유저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지 않은 경우에 절전 상태로 이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절전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고려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9254호 공보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스탠바이 상태일 때에 화상 정보의 처리나 기억이 가능한 컨트롤러 유닛과, 네트워크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입출력 유닛에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9254호 공보에는, 절전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절전 상태일 때에, 컨트롤러 유닛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되고, 입출력 유닛이 외부 장치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게 하는 것이 기재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9254호 공보에서와 같이, 절전 상태에서 컨트롤러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면, 이하와 같은 것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네트워크나 팩시밀리 장치(입출력 유닛)는, 통신 상대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요구(이하, "문의"라고도 한다)에 대하여, 규정 시간 이내에 응답을 되돌려 보낼 필요가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가 SIP 서버로부터의 요구에 대하여 규정 시간 이내에 응답을 되돌려 보내지 않으면, 접속이 캔슬되기 때문이다. SIP 서버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 규정 시간은, 예를 들어 4초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컨트롤러 유닛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된 절전 상태로부터 복귀할 경우에, 수 초 내지 수십 초의 시간(슬립 복귀 시간)을 필요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슬립 복귀 시간이 상기의 규정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상태로 이행하면, 규정 시간 이내에 통신 상대의 디바이스에 응답을 되돌려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미리 정해진 절전 상태로 적절하게 이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외부 장치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응답이 필요한 특정한 기능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절전 상태로 이행시키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설정 유닛이 상기 특정한 기능을 설정하고 있으면, 상기 문의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고, 상기 설정 유닛이 상기 특정한 기능을 설정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제2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전력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외부 장치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응답이 필요한 특정한 기능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절전 상태로 이행시키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설정 단계에서 상기 특정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문의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고, 상기 설정 단계에서 상기 특정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제2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기능이 실행될 수 있는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가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모드로 적절하게 이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조작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접속 슬립 상태(connected sleep state)에서의 급전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에서의 급전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링크 유지 모드(link maintenance mode)에서의 급전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제어를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급전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특정 기능을 허가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급전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급전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소비 전력의 천이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13a 내지 도 13c는 소비 전력의 천이를 나타내는 다른 타이밍차트.
도 14는 급전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이하의 실시 형태에 따라 설명되는 측면의 조합 모두가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에 대하여 필수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고,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기능, 스캐너 기능, 데이터 통신 기능 등을 구비하는 소위 MFP(Multi Functional Peripheral)를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1)는 LAN(108)을 통해서 PC 등의 컴퓨터(109)와 서로 통신가능하게 접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1)는 LAN(108)을 통해서 컴퓨터(109)로부터 잡(job)을 수신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시스템에서, 복수의 컴퓨터가 LAN(108)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스캐너 장치(102)는 원고대의 판독 위치의 원고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그것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프린터 장치(104)는 스캐너 장치(102)에 의해 변환된 화상 데이터, 컴퓨터(109)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용지 등의 기록 매체(이하, 용지라고 한다)에 화상을 인쇄한다. 조작 유닛(105)은 화상 형성 장치(101)에 대한 유저 설정 조작을 접수하고, 잡의 처리 상태, 장치 상태 등을 표시하는 터치 패널 및 하드 키를 포함하고 있다. 하드디스크(HDD)(106)는 화상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프로그램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경우도 있다. 팩스 장치(107)는 전화 회선 등을 통해서 화상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행한다. 컨트롤러(103)는 스캐너 장치(102), 프린터 장치(104), 조작 유닛(105), 하드디스크(106) 및 팩스 장치(107)의 각 모듈과 접속되고 있다. 컨트롤러(103)는 각 모듈을 제어하여, 화상 형성 장치(101)의 각 기능에 대응하는 잡(예를 들어, 인쇄 잡 및 스캔 잡)을 실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는 LAN(108)을 통해서 컴퓨터(109)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109)로부터 발행된 잡 등도 수신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02)는 원고 다발을 화상 판독 위치에 연속적으로 급지가능한 원고 급지 유닛(121)과, 원고대의 판독 위치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해서 그것을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스캐너 유닛(122)을 포함한다. 스캐너 유닛(122)에 의해 변환된 화상 데이터는 컨트롤러(103)에 송신된다.
프린터 장치(104)는 탑재된 용지 다발로부터 1매씩 순차적으로 급지가능한 급지 유닛(142)과, 급지된 용지 위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유닛(141)과, 인쇄된 용지를 장치로부터 배지하기 위한 배지 유닛(143)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에는 피니셔 장치(150)가 접속가능하다. 피니셔 장치(150)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프린터 장치(104)의 배지 유닛(143)로부터 출력된 용지에 대하여, 소팅, 스테이플링, 펀칭, 재단 등의 피니싱 가공을 실행한다.
전원 스위치(110)는 컨트롤러(103)에 접속되고 있다. 전원 스위치(110)가 온(ON) 상태이면, (후술하는) 전원 제어 유닛(703), 조작 유닛(105), 컨트롤러(103)의 메인 보드(300)의 적어도 일부에 급전된다. 또한, 전원 스위치(110)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도, 각 유닛에의 급전이 즉시 정지하지 않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종료 처리를 기다린 후에, 전원 제어 유닛(703)의 일부 등의 전원 스위치(110)를 다시 온 상태로 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다.
[시스템 기능]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실행가능한 잡(기능)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 복사 기능
화상 형성 장치(101)는, 스캐너 장치(102)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하드디스크(106)에 보존하고, 프린터 장치(104)에 의해 용지 상에 그것을 인쇄하는 복사 기능을 갖는다.
· 화상 송신 기능
화상 형성 장치(101)는, 스캐너 장치(102)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LAN(108)을 통해서 컴퓨터(109)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기능을 갖는다.
· 화상 보존 기능
화상 형성 장치(101)는, 스캐너 장치(102)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하드디스크(106)에 보존하고, 필요에 따라, 화상 송신 및 화상 인쇄를 행하는 화상 보존 기능을 갖는다.
· 화상 인쇄 기능
화상 형성 장치(101)는, 컴퓨터(109)로부터 송신된, 예를 들어 페이지 기술 언어를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프린터 장치(104)에 의해 용지 상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 인쇄 기능을 갖는다.
[조작 유닛(105)의 구성]
도 2는 도 1의 조작 유닛(105)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LCD 터치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되는 조작 유닛(105)은 컨트롤러(103)에 접속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하는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I/F)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LCD 터치 패널(200)을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101)의 동작 모드의 설정, 화상 형성 장치(101)의 상태 정보의 표시 등이 행하여진다. 텐 키 패드(201)는 수치를 입력하기 위해서 0 내지 9를 나타내는 키를 포함한다. ID 키(202)는,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1)가 각 부분마다 관리되고 있는 경우에, 부분 번호와 패스워드 코드를 입력하는 데에 사용된다. 리셋 키(203)는 설정된 내용을 초기 상태로 리셋하기 위한 키이다. 가이드 키(204)는 각 모드에 관한 설명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키이다. 유저 모드 키(205)는 일반 유저에 의해 사용가능한 유저 모드 화면으로 들어가기 위한 키이다. 개입(interrupt) 키(206)는 개입 복사를 행하기 위한 개입 키이다. 스타트 키(207)는 복사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스타트 키이다. 스톱 키(208)는 실행 중인 복사 잡을 중지시키기 위한 키이다.
절전 키(209)가 눌러지면, LCD 터치 패널(200)의 백라이트가 소등되고,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절전화된 슬립 상태로 변한다. 카운터 확인 키(210)가 눌러지면, 그때까지 사용된 전체 복사 매수를 표시하는 카운트 화면이 LCD 터치 패널(200) 상에 표시된다. 조정 키(211)는 LCD 터치 패널(200)의 표시 콘트라스트를 조정하기 위한 키이다.
잡 LED(212)는 잡이 실행되고 있거나, 화상 메모리에 화상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LED이다. 에러 LED(213)는 페이퍼 잼이나 도어의 개방 등, 화상 형성 장치(101)가 에러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LED이다. 전원 LED(214)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원 스위치(110)가 온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LED이다.
키(251, 252, 253, 254, 255, 256)는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실행가능한 각 기능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키이다. 이들 키는, 복사, 스캔 및 보존, 보존 문서의 인쇄, 스캔 및 송신, 팩스, 전력 가시화의 각 기능에 관한 화면으로 이행시키기 위한 키이다. 키(251)는, 복사 기능의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이다. 키(252)는, 스캐너 장치(102)에 의해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하드디스크(106)에 보존하는 기능의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이다. 키(253)는, 하드디스크(106)에 보존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장치(104)에 의해 인쇄하는 기능의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이다. 키(254)는, 스캐너 장치(102)에 의해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LAN(108)을 통해서 컴퓨터(109)에 보내는 기능의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이다. 키(255)는, 팩스 장치(107)에 의해 전화 회선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03)를 통해 프린터 장치(104)에 의해 인쇄하는 기능의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이다. 키(256)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를, LCD 터치 패널(200)에 표시하는 기능의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이다.
[컨트롤러(103)의 전력 공급 상태 1: 스탠바이 상태]
컨트롤러(103)의 블록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의 컨트롤러(103)의 전력 공급 상태를,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라고 칭한다. 소비 전력 "N"은, N의 숫자가 작은 것이 전력 소비가 많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의 컨트롤러(10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는, 전력 공급 상태는 스탠바이 상태이며, 모든 디바이스(모듈 혹은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전력 상태에 대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전력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낮은 도 4 내지 도 6의 전력 상태를 총칭해서 절전 상태라고도 한다.
도 3에서, 컨트롤러(103)는, 메인 보드(300) 및 서브 보드(320)를 포함한다. 메인 보드(300)는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의 범용적인 CPU 시스템이다. 메인 보드(300)는, CPU(301), 부트 ROM(302), 메모리(303), 버스 컨트롤러304), 불휘발성 메모리(305), 디스크 컨트롤러(306), 플래시 디스크(307), USB 컨트롤러(308)를 포함한다. CPU(301)는 메인 보드(300) 전체를 제어한다. 부트 ROM(302)은 부트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메모리(303)는, CPU(301)의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버스 컨트롤러(304)는, 외부 버스와의 브리지 기능을 갖는다. 불휘발성 메모리(305)는,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내부의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는 메모리이며, 유저 데이터, 설정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디스크 컨트롤러(306)는 하드디스크(106) 등의 스토리지 장치를 제어한다. 플래시 디스크(307)는, 반도체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비교적 작은 용량의 스토리지 장치이며, 예를 들어 SSD(Solid State Drive)이다. USB 컨트롤러(308)는 USB 장치(309)에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USB 장치(309), 조작 유닛(105), 하드디스크(106)는 메인 보드(300)에 접속된다. USB 장치(309)는, USB 호스트와 USB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일 수 있고, USB 디바이스에는, USB 메모리, USB 키보드, USB 마우스, USB-HUB, USB 카드 리더, PC 등이 포함된다. CPU(301)는 개입 컨트롤러(310)와 접속되고 있다. 개입 컨트롤러(310)는, 네트워크 컨트롤러(311), 실시간 클럭(RTC)(312), 팩스 장치(107), 절전 키(209)를 포함하는 조작 유닛(105), USB 컨트롤러(308) 및 전원 스위치(110)와 접속되고 있다. 개입 컨트롤러(310)는, 예를 들어 절전 키(209)의 누름의 검출을 개입으로서 검출하고, 화상 형성 장치(101)를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시킨다.
서브 보드(320)는, 메인 보드(300)보다 작은 범용 CPU 시스템과 화상 처리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된다. 서브 보드(320)는, CPU(321), 메모리(323), 버스 컨트롤러(324), 불휘발성 메모리(325), 화상 처리 프로세서(이미지 프로세서)(327), 디바이스 컨트롤러(326)를 포함한다. CPU(321)는, 서브 보드(320) 전체를 제어한다. 메모리(323)는 CPU(321)의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버스 컨트롤러(324)는 외부 버스와의 브리지 기능을 갖는다. 불휘발성 메모리(325)는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내부의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는 메모리이며, 유저 데이터, 설정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화상 처리 프로세서(327)는 데이터 포맷 변환, 보간 처리 등, 각종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스캐너 장치(102)와 프린터 장치(104)는, 대응하는 디바이스 컨트롤러(326)를 통하여 서브 보드(320)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팩스 장치(107)는 CPU(321)에 의해 직접 제어된다. 피니셔 장치(150)는, 프린터 장치(104)로부터 출력된 용지에 대하여 각종 피니싱 가공을 행한다.
도 3은 블록도이며 간략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CPU(301), CPU(321) 등에는 칩셋, 버스 브리지, 클럭 발생기 등의 CPU 주변 하드웨어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만, 간략화해서 나타내고 있다. 메인 보드(300) 및 서브 보드(320)에는, 범용적인 ROM이나 RAM도 포함되고, 각 실시 형태의 동작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ROM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컨트롤러(103)의 동작에 대해서, 복사 기능을 예로서 설명한다. 유저가 조작 유닛(105) 상에서 복사 기능의 실행을 지시하면, CPU(301)는, CPU(321)를 통해서 스캐너 장치(102)에 원고 화상의 판독 명령을 보낸다. 스캐너 장치(102)는, 원고대의 판독 위치에서 원고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해서 이것을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바이스 컨트롤러(326)를 통해서 화상 처리 프로세서(327)에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화상 처리 프로세서(327)는, CPU(321)를 통해서 메모리(323)에 DMA 전송을 행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한다.
CPU(301)는, 메모리(323)에 미리 정해진 양 혹은 모든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확인하면, CPU(321)를 통해서 프린터 장치(104)에 화상의 출력 지시를 보낸다. CPU(321)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327)에 메모리(323)의 화상 데이터의 기억 위치(어드레스)를 통지한다. 메모리(323) 내의 화상 데이터는, 프린터 장치(104)로부터의 동기 신호에 따라, 화상 처리 프로세서(327)와 디바이스 컨트롤러(326)를 통하여 프린터 장치(104)에 송신된다. 프린터 장치(104)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복수 부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CPU(301)는, 메모리(323)의 화상 데이터를 하드디스크(106)에 저장하고, 2부째 이후에 대해서는, 스캐너 장치(102)로부터 화상을 취득하지 않고 하드디스크(106)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장치(104)에 보낸다.
[컨트롤러(103)의 전력 공급 상태 2: 접속 슬립 상태]
도 4는, 도 1의 컨트롤러(103)의 접속 슬립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의 컨트롤러(103)의 전력 공급 상태를, "소비 전력 2: 접속 슬립 상태"라고 칭한다. 도 4는, 외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한 통신에 대한 응답(네트워크 응답)에 필요한 기능의 실행에 관한 디바이스가 통전되는 전력 공급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빗금 부분은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부분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접속 슬립 상태란, 전력 소비량을 억제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네트워크 상의 장치와 네트워크 송수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접속 슬립 상태에서는, 특정한 회로에 전원 전력을 공급하고, 다른 부분에 대한 전원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다. 네트워크 송수신 기능 등의 네트워크 기능의 일부가 유효하고,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01)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한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접속 슬립 상태로 천이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슬립 상태에서는, 서브 보드(320), 스캐너 장치(102), 프린터 장치(104), 피니셔 장치(150)에는 급전되지 않는다. 즉, 접속 슬립 상태에서는, 도 4의 빗금 부분을 제외한 디바이스에 급전된다. 단, 네트워크 기능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시스템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접속 슬립 상태에서의 전력 공급 부분은 도 4에 도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각 시스템에 따라 전력 공급 부분이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컨트롤러(103)의 전력 공급 상태 3: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
도 5는, 도 1의 컨트롤러(103)의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의 컨트롤러(103)의 상태를, "소비 전력 3: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라고 칭한다. 도 5는, 컨트롤러(103)가 하드디스크의 회전을 유지하면서, 슬립 상태로 천이할 경우의 전력 공급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서, 빗금 부분은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부분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란, 하드디스크의 스핀 업에 수반하는 회전 대기 시간을 제거하여, 전력 소비량을 억제하면서, 통상 기동에 비하여 기동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에서는, 특정한 회로에 전원 전력을 공급하고, 다른 부분에 대한 전원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다. 하드디스크(106)의 스핀 업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길면,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01)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또는 전원 투입 중에 조작 유닛(105) 상의 절전 키(209)가 눌러진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1)는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로 천이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에서는, 컨트롤러(103)에서 메모리(303), 개입 컨트롤러(310) 등의 최소 부분에만 급전된다.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에서는, 개입 컨트롤러(310)가 슬립 복귀 개입을 받을 필요가 있어서, 메모리(303), 개입 컨트롤러(310), 네트워크 컨트롤러(311), RTC(312), USB 컨트롤러(308)에 급전된다. 또한, 조작 유닛(105) 상의 절전 키(209), 팩스 장치(107)의 일부, 각종 센서, 전원 스위치(110)에 급전된다. 하드디스크의 회전 유지를 위해서, 디스크 컨트롤러(구동 제어 유닛)(306)와 하드디스크(106)에 급전된다. 즉,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에는, 도 5의 빗금 부분을 제외한 디바이스에 급전된다.
개입 컨트롤러(310)는,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에서 이하의 1개 이상의 개입을 수신한다. 즉, 개입 컨트롤러(310)는 네트워크 착신(network incoming call), 타이머나 알람을 검지하는 RTC, 착신이나 오프 후크(off-hook)를 검지하는 팩스, 절전 키(209), 센서 검지, 삽입/제거 또는 통신을 검지하는 USB, 전원 스위치(110) 중 1개 이상의 개입을 수신한다. 개입 컨트롤러(310)는, 개입을 수신하면, 개입의 원인을 CPU(301)에 통지한다. CPU(301)는, 통지를 수신하면, 급전이나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통상 상태로 복귀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단, 슬립 복귀 요인은 시스템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에서의 전력 공급 부분은 도 5에 도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각 시스템에 따라 전력 공급 부분이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컨트롤러(103)의 전력 공급 상태 4: 링크 유지 모드에 의한 슬립 상태와 슬립 상태]
도 6은, 도 1의 컨트롤러(103)의 링크 유지 모드에 의한 슬립 상태 및 슬립 상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의 컨트롤러(103)의 전력 공급 상태를,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 혹은 "소비 전력 5: 슬립 상태"라고 칭한다.
링크 유지 상태와 슬립 상태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링크 유지 상태란, 화상 형성 장치가 네트워크와의 통신 속도(링크 속도)를 유지한 채로 슬립 상태로 천이했을 경우를 말한다. 슬립 상태란, 소비 전력의 저감을 위해서 링크 속도를 낮게 해서 화상 형성 장치가 슬립 상태로 천이했을 경우를 말한다. 즉, 링크 유지 상태보다 슬립 상태에서 소비 전력을 더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슬립 상태에서보다 링크 유지 상태에서 슬립 복귀 시간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는데, 슬립 상태로의 천 이 전후에 링크 속도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이다.
링크 유지 상태에서는, 네트워크 컨트롤러(311)의 소비 전력은 슬립 모드에 비하여 더 높다. 한편, 슬립 상태에서는 링크 속도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에 대한 전력 공급이 정지되므로, 네트워크 컨트롤러(311)의 소비 전력은 링크 유지 상태에 비하여 더 낮아진다. 즉, 링크 유지 상태와 슬립 상태는 네트워크 컨트롤러(311)에 대한 전력 공급의 점에서는 동일하고, 도 6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된다.
도 6의 빗금 부분은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링크 유지 상태란, 전력 소비량을 억제하면서, 복귀 시간을 슬립 상태에서의 복귀 시간보다 빠르게 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링크 유지 상태 및 슬립 상태에서는, 특정한 회로에 전원 전력을 공급하고, 다른 부분에 대한 전원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01)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전원 투입 중에 조작 유닛(105) 상의 절전 키(209)가 눌러진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1)는 링크 유지 상태나 슬립 상태로 천이한다.
슬립 상태에서는, 컨트롤러(103)의 메모리(303) 및 개입 컨트롤러(310) 등의 최소 부분만에 전력이 공급된다. 예를 들어, 슬립 상태에서는, 개입 컨트롤러(310)가 슬립 복귀를 위한 개입을 수신하는 부분에 전력이 공급된다. 즉, 네트워크 컨트롤러(311), RTC(312), USB 컨트롤러(308), 조작 유닛(105) 상의 절전 키(209), 각종 센서, 팩스 장치(107)의 일부, 전원 스위치(110) 등의 빗금 부분 이외의 디바이스에 전력이 공급된다.
개입 컨트롤러(310)는, 링크 유지 상태나 슬립 상태일 때에, 이하의 1개 이상의 개입을 수신한다. 즉, 개입 컨트롤러(310)는 네트워크 착신, 타이머나 알람을 검지하는 RTC, 착신이나 오프 후크를 검지하는 팩스, 절전 키(209), 센서 검지, 삽입/제거 또는 통신을 검지하는 USB, 전원 스위치(110) 중 1개 이상의 개입을 수신한다. 개입 컨트롤러(310)는, 개입을 수신하면, 개입의 원인을 CPU(301)에 통지한다. CPU(301)는, 그 통지를 수신하면, 급전이나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통상 상태로 복귀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단, 슬립 복귀 요인은 시스템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슬립 상태에서의 전력 공급 부분은 도 6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각 시스템에 따라서 전력 공급 부분이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전원 구성]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원 제어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컨트롤러(103), 프린터 장치(104), 전원 제어 유닛(703), 전원(70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서, 전원 제어 유닛(703)에는, 제1 전원 라인인 전원 라인 J(702)를 통해서 항상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전력 소비가 작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원의 오프 시에는, 전원 제어 유닛(703)만 통전되도록 전력 제어가 행하여진다.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704)는, 하기에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동작을 실행하도록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제어 신호인 IO 신호 V_ON(707)에 의해 릴레이 스위치(708)가 전환되고, 전원(701)으로부터 제2 전원 라인인 전원 라인 V(709)를 통해서 컨트롤러(103)에의 전력 공급이 제어된다. CPU(301)에 의해 복수의 타이머 값이 설정되고, 타이머 기동 시에는 CPU(301)에 의해 설정된 타이머 값에 기초하여 타이머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제2 전원 제어 신호인 IO신호 P_ON(710)에 의해 릴레이 스위치(711)가 전환되고, 전원(701)으로부터 제3 전원 라인인 전원 라인 P(712)을 통한 프린터 장치(104)에의 전력 공급이 제어된다. CPU(301)는 미리 정해진 IO신호를 제어한다. 제어 대상인 IO신호에는, 프린터 장치(104)의 CPU(720)에 접속된 DCON_LIVEWAKE 신호(705)가 포함된다. 그 신호가 어서트된 상태에서 프린터 장치(104)에 전원이 투입되면, 프린터 장치(104)는 가동부를 제어하고, 큰 전력을 소비하는 특정한 동작을 행하지 않고 조용하게 복귀한다. 그 특정한 동작에는, 모터, 롤러, 폴리곤 미러 등의 회전 동작, 드럼(721, 722, 723, 724)의 온도 조절, 팬(725)에 의한 배열 처리와 같은 제어 동작이 포함된다. 스캐너 장치(102)에 대해서도, 프린터 장치(104)와 마찬가지로, CPLD(704)로부터 전원 제어가 가능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즉, 스캐너 장치(102)에 대해서도, CPLD(704)로부터 프린터 장치(104)와 마찬가지의 전원 제어가 행하여진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마다의 전력 공급은, 예를 들어 릴레이 스위치(708)를 2계통에 의해 구성하고, 슬립 상태 등의 절전 상태에서는, 오프로 되는 블록에 연결되는 릴레이 스위치만 오프로 하고, 다른 릴레이 스위티는 온으로 유지하는 구성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전원 스위치(110)가 오프로 되는 셧다운 상태에서는, 양 계통의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로 한다. 그 경우에는, 전원 제어 신호는 이진 제어 신호가 아니라, 통전 상태에 따른 다치 제어 신호가 된다. 슬립 상태 및 셧다운 상태를 포함하는 상술한 전력 공급 상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 구성에 의해 실현된다.
[전원 제어 유닛(703)의 전원 감시 1: 기동 시의 급전]
화상 형성 장치(101)의 기동 처리에서의 전원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자(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0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작자는 전원 스위치(110)를 온(전원 온)으로 한다. 그 후에, 전원 제어 유닛(703)은, 전원 라인 J(702)로부터 전원 온을 검지하고, 전원 스위치 제어 신호(707, 710)를 사용하여 릴레이 스위치(708, 711)를 온으로 하고, 전원(701)으로부터의 전원 전력을 화상 형성 장치(101) 전체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전원 제어 유닛(703)은, 화상 형성 장치(101) 전체에 전원 온 상태에 따른 전력 공급을 행한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 유닛(703)은,컨트롤러(103), 프린터 장치(104), 스캐너 장치(102)에 각 DC 전원 공급 경로를 통해서 전력 공급을 행한다. 프린터 장치(104), 스캐너 장치(102)에서는, 그들의 CPU가 전원 온 시에 초기화 동작을 개시한다.
전력 공급이 행하여진 후에, 컨트롤러(103)의 CPU(301)는 하드웨어 초기화를 행한다. 하드웨어 초기화는, 예를 들어 레지스터 초기화, 개입 초기화, 커널 기동 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등록, 조작 유닛(105)의 초기화를 포함한다. 이어서, 컨트롤러(103)의 CPU(301)는 소프트웨어 초기화를 행한다. 소프트웨어 초기화는, 예를 들어 각 라이브러리의 초기화 루틴의 호출, 프로세스 및 스레드의 기동, 프린터 장치(104) 및 스캐너 장치(102)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동, 조작 유닛(105)의 묘화를 포함한다. 이들 기동 동작 후, 화상 형성 장치(101)의 컨트롤러(103)는 도 3의 스탠바이 상태로 이행한다.
[전원 제어 유닛(703)의 전원 감시 2: 통상 상태의 급전]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프린터 장치(104) 및 스캐너 장치(102)가 유저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통상 상태에서의 전원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상태란, 모든 유닛에 급전되고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인쇄를 실행하지 않고 있을 때에 프린터 장치(104)에 전력 공급을 하지 않는 경우, 조작 유닛(105)이 점등하고 있지 않고,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01) 앞에 없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을 때에 스캐너 장치(102)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한다. 프린터 장치(104)에 의한 인쇄의 완료나, 스캐너 장치(102)에 의한 판독의 완료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전력 공급이 행해지는 경우 또한 통상 상태에 포함된다. 그러한 경우는, 인쇄를 위한 모터 및 폴리곤 미러를 동작시키지 않는 상태, 인쇄를 위한 전사 유닛의 온도 조절을 행하지 않는 상태, 또는 판독을 위한 홈 포지션 검지를 행하지 않는 상태 등의 소위 동작 대기 상태이다.
[전원 제어 유닛(703)의 전원 감시 3: PDL 인쇄 시의 급전]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 PDL 인쇄 상태에서 프린터 장치(104) 및 스캐너 장치(102)가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전원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인쇄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의 프린터 장치(104)의 전원 온과 전원 오프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트롤러(103)의 CPU(301)는 컴퓨터(109)로부터 LAN(108)을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것을 메모리(303)에 저장한다. CPU(301)는 수신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화상 인쇄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 인쇄 잡을 생성한다.
CPU(301)는 CPLD(704)에 통지하고, 전원 제어 신호(710)를 사용하여 릴레이 스위치(711)를 전환하고, 전원(701)으로부터 전원 라인 P(712)를 통해서 프린터 장치(104)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CPU(301)는, 프린터 장치(104)가 사용가능하게 되면 인쇄 잡을 실행한다. CPU(301)는 메모리(303)로부터, 버스 컨트롤러(304), 서브 보드(320)의 버스 컨트롤러(324)를 통하여 서브 보드(320)의 CPU(321)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는, 또한, 화상 처리 프로세서(327), 디바이스 컨트롤러(326)를 통하여 프린터 장치(104)에 송신된다. 프린터 장치(104)는,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하고, 인쇄 완료 후, 처리 결과를 CPU(301)에 통지한다. CPU(301)는, 인쇄 완료 후, 전원 제어 유닛(703)을 제어하고, 전원 제어 신호(710)를 사용하여 릴레이 스위치(711)를 오프로 하고, 프린터 장치(104)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
[전원 제어 유닛(703)의 전원 감시 4: 슬립 이행 시의 급전]
이어서, 컨트롤러(103)의 슬립 이행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01)를 사용하지 않는 스탠바이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계속되면,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1)가 슬립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한다. CPU(301)는 전원 제어 유닛(703)에 슬립 상태로의 이행을 통지하고, 컨트롤러(103)에의 급전을, 도 6에 나타내는 슬립 상태의 컨트롤러(103)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변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마다의 급전은, 예를 들어 릴레이 스위치(708)를 2계통에 의해 구성하고, 슬립 상태에서는, 오프로 되는 블록에 연결되는 릴레이 스위치만을 오프로 하고, 다른 릴레이 스위치를 온으로 유지하는 구성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전원 제어 유닛(703)의 전원 감시 5: 절전 상태 시의 급전]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절전 상태에서의 전원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01)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 조작 유닛(105) 상의 절전 키(209)가 눌러진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각에 도달한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절전 상태로 천이한다. 예를 들어, 슬립 상태에서는, 컨트롤러(103)의 메모리(303), 개입 컨트롤러(310), 네트워크 컨트롤러(311), RTC(312), USB 컨트롤러(308) 등에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조작 유닛(105)의 절전 키(209), 팩스 장치(107)의 일부, 각종 센서 등에도 전력이 공급된다. 단, 슬립 복귀 요인은 시스템에 따라 상이하므로, 슬립 상태에서의 전력 공급부는 시스템에 따라 구성된다.
슬립 복귀 시의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입 컨트롤러(310)는, 슬립 중에, 네트워크, 타이머나 알람을 검지하는 RTC, 착신이나 오프 후크를 검지하는 팩스, 소프트웨어 스위치, 각종 센서, 삽입/제거 또는 통신을 검지하는 USB 중 1개 이상의 개입을 검출한다. 개입 컨트롤러(310)는 CPU(301)에 개입의 원인을 통지한다. CPU(301)는, 그 통지를 수신하면, 급전이나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통상 상태로 복귀시키는 슬립 복귀 처리를 행한다.
[전원 제어 유닛(703)의 전원 감시 6: 슬립 복귀시의 급전]
컨트롤러(103)의 슬립 복귀 시의 전원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절전 상태 중에, 개입 컨트롤러(310)가 슬립 복귀 요인인 절전 키(209)의 누름 이벤트를 검지하면, CPU(301)는 슬립 복귀를 행한다. CPU(301)는 슬립 복귀를 전원 제어 유닛(703)에 통지한다. 그 후, 전원 제어 유닛(703)은 전원 스위치 제어 신호(707, 710)를 사용하여 릴레이 스위치(708, 711)를 온으로 한다. 그 결과, 컨트롤러(103), 프린터 장치(104), 스캐너 장치(102)에 대한 전력 공급이 행하여진다. 스캐너 장치(102)에 대한 전원 제어 신호는 도 7에 나타나지 않지만, 전원 제어 신호는 프린터 장치(104)와 공유되거나, 혹은, 별도의 신호(도시하지 않음)로서 준비되어도 된다.
인쇄 잡의 종료 후에,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1)가 다시 절전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한다. CPU(301)는 절전 상태로의 이행을 전원 제어 유닛(703)에 통지한다. 전원 제어 유닛(703)은 전원 제어 신호(710)를 사용하여 릴레이 스위치(711)를 오프로 하고, 컨트롤러(103) 이외의 부분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다.
절전 상태 중에, 슬립 복귀 요인인 네트워크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설명한다. 전원 제어 유닛(703)은, 슬립 복귀 요인을 수신하면, 전원 제어 신호(707)를 사용하여 릴레이 스위치(708)을 온으로 하고, 컨트롤러(103)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에 응답하여, CPU(301)는 슬립 복귀를 행한다. 프린터 장치(104) 및 스캐너 장치(102)에 대하여는, 잡이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디바이스 정보의 취득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전력 공급이 행하여지지 않아도 된다.
[전력 공급 제어 시퀀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행 예정의 잡이 없고, 전력 상태에 따라 실행이 제한되는 특정 기능이 화상 형성 장치(101) 내에서 허가되는(유효한) 경우에, 그 특정 기능의 제공에 관계없는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1)를 절전 상태로 천이시킨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급전 제어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의 각 처리는, 예를 들어 CPU(301)에 의해 메모리(303)에 전개된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그것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공정 S801에서, CPU(301)는, 전력 상태의 천이 확인 시에, 실행 중인 잡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실행 중인 잡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공정 S805에서 현재의 전력 공급 상태를 유지한다. 공정 S805의 전력 공급 상태를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로 정의한다. CPU(301)가 실행 중인 잡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공정 S802에서, 메모리(303), 하드디스크(106) 등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정보(후술함)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공정 S802에서 적어도 1개의 특정 기능이 유효하다고 판정한 경우, 공정 S804에서, 그 특정 기능의 실행에 관계하지 않는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공정 S804의 전력 상태를 "소비 전력 2: 접속 슬립 상태"라고 한다. 특정 기능이 모두 무효(비허가)일 경우에는, 공정 S803에서, CPU(301)는, 개입 처리를 행하기 위한 최소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공정 S803의 전력 상태를 "소비 전력 5: 딥 슬립 상태(deep sleep state)"라고 한다.
잡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잡이란,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하나로, 잡 실행 중에는, 절전 상태에의 천이(공정 S803 또는 S804)는 실행되지 않는다. 잡에는, 예를 들어 인쇄, 스캔, 유저 데이터의 백업 및 복원,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정보의 서버 통지, 네트워크를 통한 스캐너 장치(102), 프린터 장치(104) 및 피니셔 장치(150)의 설정 변경을 행하기 위한 잡이 포함된다. 팩시밀리에 관련되는 잡에는, 예를 들어 송신 예약, 인쇄 대기, 전송 중, 통화 중, 통신 중, 정각 송신, 중계 중의 잡이 있다. 회선 절단 후 미리 정해진 기간, ISDN 보드 접속, 다회선 팩스 보드 접속 등도 잡으로서 다룬다. 잡에는 상기 이외의 잡이 포함되어도 된다.
특정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정 기능은, 네트워크, 팩시밀리 등의 일부의 기능을 포함하고, 이들 기능의 실행은, 응답 시간, 수신 기능, 송신 기능, 전력 부족의 점에 대해서 제약을 가진다. 표 1은 특정 기능과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대응(관련)을 나타내는 일람표이다.
제약 CPU, 메모리 HDD NIC FAX-CCU
SIP(NGN 환경 하의 IP-FAX) 응답 시간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멀티캐스트 DNS(mDNS) 응답 시간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모뎀
다이얼 인
응답 시간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호출자 ID
디스플레이
응답 시간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BMLinkS 수신 기능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IEEE802.1X 수신 기능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AutoIP 수신 기능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NetWare 송신 기능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AppleTalk 송신 기능 필요 필요 필요 불필요
팩시밀리
고정 수신
전력 부족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팩시밀리
착신 호출
전력 부족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팩시밀리
원격 수신
전력 부족 필요 필요 불필요 필요
응답 시간에 제약이 있는 기능은, 예를 들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IPv4/6 멀티캐스트 DNS(mDNS), 모뎀 다이얼 인, 호출자 ID 디스플레이이다. 이들 기능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대하여 규정 시간(단위: 초) 이내에 응답을 되돌려 보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최단 규정 시간이 3초 내지 6초이며, 슬립 상태로부터의 복귀 시간이 4초 내지 10초 이상이면, 화상 형성 장치(101)가 요구를 수신하더라도, 화상 형성 장치는 규정 시간 이내에 응답을 돌려 보낼 수 없다.
수신 기능에 제약이 있는 기능은, 예를 들어 BMLinkS, IEEE802.1X, AutoIP이다. 제약의 상세 내용은 이들 기능 간에 상이하다. 예를 들어 BMLinkS에서는, 응답 패턴이 복수 개가 있어 복잡하다. IEEE802.1X에서는, 암호 인증이 필요하다. AutoIP는 비어 있는 IP를 허가하는 기능이며, 제1 패킷으로부터 제2 패킷까지의 시간에 따라 응답을 돌려줄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이들 기능은 복잡한 프로토콜 해석, 암호 인증 등을 필요로 하는 것이며, 컨트롤러 유닛의 CPU에의 전력 공급이 행하여지지 않고 있는 슬립 상태에서 이들 기능을 실행하는 것은 어렵다.
송신 기능에 제약이 있는 기능은, 예를 들어 Netware, AppleTalk이다. 이들 기능은,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의 탐색을 위해서, 서버 등에의 단말기 등록을 정기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들 기능도 컨트롤러 유닛의 CPU에의 전력 공급이 행하여지지 않고 있는 슬립 상태에서 실행하는 것은 어렵다.
전력 부족의 제약이 있는 기능은, 예를 들어 팩시밀리 고정 수신, 팩시밀리의 착신 호출, 팩시밀리의 원격 수신이다. 이들 기능은 전화계의 기능이며, 슬립 상태에서는 전력이 충분하지 않아, 이들 기능을 실행할 수 없다. 전화계의 기능의 예는, 벨의 울림수를 설정하고, 회선 착신 시에 지정 횟수만큼 벨을 울리는, 소위 착신 호출 기능이다. 화상 형성 장치(101)가 슬립 상태에서 착신을 수신하면, 핸드셋(전화)은 급전되고 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슬립 복귀 전에 전화가 울린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전화의 울림 횟수를 카운트할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특정 기능은 상기의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슬립 복귀의 시간에 의해 실행이 제한되는 기능이 특정 기능으로서 다루어진다.
도 9는 LCD 터치 패널(200)에 표시되는, SIP 기능을 유효하게 하기 위한 화면이다. 설정 화면(900)에서, 유저에 의해 버튼(901) 및 OK 버튼(904)이 눌러지면, 화상 형성 장치(101)는 SIP 기능을 유효화한다. 이때,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메모리(303) 등의 기억 영역에, SIP 기능이 유효한 것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유저에 의해 버튼(902) 및 OK 버튼(904)이 눌러지면, 화상 형성 장치(101)는 SIP 기능을 무효화한다. 이때, CPU(301)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메모리(303) 등의 기억 영역에, SIP 기능이 무효인 것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설정 화면(900) 상에서, 유저에 의해 버튼(901 또는 902)이 눌러지면, 하이라이트가 반전된다. 이때, 유저에 의해 캔슬 버튼(903)이 눌러지면, 하이라이트의 반전이 취소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설정 화면(900)은 SIP 기능을 유효화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으로서 나타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각 특정 기능에 대해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하, 도 8의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mDNS와 호출자 ID 디스플레이가 유효하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팩시밀리 송신 잡이 완료한 때에, 도 8의 처리가 개시한다.
먼저,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전력 상태의 천이 확인 시에 실행 중인 잡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공정 S801). 화상 형성 장치(101)가 실행 중인 잡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메모리(303), 하드디스크(106) 등에 기억되고 있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의 특정 기능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한다(공정 S802). 본 예에서는, mDNS와 호출자 ID 디스플레이가 유효와 설정되고 있으므로, 각 기능과 디바이스의 대응을 표 1을 참조하여 취득한다.
표 1로부터, mDNS에 대해서는, CPU(301), 메모리(303), 하드디스크(106), NIC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311)에의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호출자 ID 디스플레이에 대해서는, CPU(301), 메모리(303), 하드디스크(106), FAX-CCU를 포함하는 팩스 장치(107)에의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로 인해, 적어도 CPU(301), 메모리(303), 하드디스크(106), NIC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311), FAX-CCU를 포함하는 팩스 장치(107)에 대하여 전력 공급을 계속하고, 그 이외의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약이 있는 특정 기능이 유효한 경우에는, 그 특정 기능의 잡이 실행되지 않아도, 특정 기능에 관계하는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을 계속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를 절전 상태로 천이시킨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슬립 복귀를 행하는 경우에도, 슬립 복귀에 걸리는 시간때문에 요구에 대한 규정 시간 이내의 응답을 할 수 없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수신 응답 시간에 제약이 있는 특정 기능이 유효할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는 네트워크의 링크 속도를 줄이지 않고(유지하면서) 슬립 상태로 천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러한 특정 기능으로서 SIP를 예로서 설명한다. SIP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는, SIP 서버로부터의 요구에 대하여 규정 시간 이내에 응답을 돌려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SIP 서버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 규정 시간은 4초인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슬립 상태로 천이하는 경우에는, 소비 전력의 저감화를 위해서 링크 속도를 저하시킨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101)가 슬립 복귀를 행할 경우에, 링크 속도를 복귀시키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상기의 SIP에 관한 규정 시간보다 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01)는 SIP 서버에 대하여 응답할 수 없고, 접속이 캔슬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 응답 시간에 제약이 있는 특정 기능이 유효할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1)는 링크 속도를 유지하면서 슬립 상태로 천이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급전 제어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각 처리는, 예를 들어 CPU(301)가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에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공정 S1001에서, CPU(301)는 전력 상태의 천이 확인 시에, 실행 중인 잡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실행 중인 잡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공정 S1009에서 현재의 전력 공급 상태를 유지한다. 공정 S1009의 전력 상태를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라고 한다. CPU(301)가 실행 중인 잡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공정 S1002에서 메모리(303), 하드디스크(106) 등에 기억되고 있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공정 S1002에서 특정 기능이 유효하지 않다(무효이다)라고 판정한 경우, 공정 S1003에서 네트워크의 링크 속도를 저하시킨다. 네트워크의 링크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링크 유지 모드를 무효화한다고도 한다. 공정 S1006에서, CPU(301)는 개입 처리를 위한 최소의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공정 S1006의 전력 상태를 "소비 전력 5: 딥 슬립 상태"라고 한다.
CPU(301)가 공정 S1002에서 적어도 1개의 특정 기능이 유효하다고 판정한 경우, 공정 S1004에서 유효한 특정 기능이 SIP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유효인 특정 기능은 SIP만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공정 S1005에서 네트워크의 링크 속도를 유지한다. 네트워크의 링크 속도를 유지하는 것을 링크 유지 모드의 유효화라고도 한다. 공정 S1007에서, CPU(301)는 개입 처리 및 링크 속도 유지를 위한 최소의 디바이스이외의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공정 S1007의 전력 상태를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라고 한다.
CPU(301)가 공정 S1004에서 유효한 특정 기능은 SIP만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공정 S1008에서 표 1을 참조하여 특정 기능의 실행에 관계하지 않는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예를 들어, CPU(301)는, SIP인 경우에는, 표 1을 참조하고, SIP가 CPU(301), 메모리(303), 하드디스크(106), NIC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311)에의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CPU(301)는, CPU(301), 메모리(303), 하드디스크(106), NIC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311)에의 전력 공급을 계속하고, 그 이외에의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공정 S1008의 전력 상태를 "소비 전력 2: 접속 슬립 상태"라고 한다.
도 1에서,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의 소비 전력은, 예를 들어 26 내지 50W이며, "소비 전력 2: 접속 슬립 상태"의 소비 전력은, 예를 들어 12 내지 18W이다.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의 소비 전력은, 예를 들어 1.6W이며, "소비 전력 5: 딥 슬립 상태"의 소비 전력은, 예를 들어 1W 이하이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수신 응답 시간에 제약이 있는 특정 기능이 유효할 경우에, 링크 속도를 유지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를 슬립 상태로 천이시킨다. 그 특정 기능이 무효일 경우에는, 링크 속도를 저하시키고, 화상 형성 장치를 슬립 상태로 천이시킨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 기능의 예로서 SIP를 설명한다. SIP는, 서버가 IP 단말기의 서버 내의 정기적인 재등록 시간 간격을 지정하는 프로토콜로서 사용된다. 서버가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을 지정하는 프로토콜로서는, SIP 이외에도, DHCP 등이 있다. 그러나, DHCP인 경우, 그러한 시간 간격은 8시간 또는 24시간과 같이 비교적 장기간일 경우가 많다. 한편, NGN(Next Generation Network) 환경 하의 IP-FAX에 사용되고 있는 SIP에서는, SIP 서버는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을 1시간으로서 규정하고 있다. 패킷 손실에 의한 재전송을 위해서 절반 이하의 시간을 설정하면, 30분 이하에서의 재등록이 필요해진다. 허브 상의 SIP 서버는, 제품에 따라서는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이 초 단위로 설정되고 있는 것이 있다. 이상으로부터, SIP 서버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은 수 초 내지 수십 분으로 생각된다.
서버 내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은, DHCP에서는, 8시간 또는 24시간과 같이 비교적 장기간이다. 그러한 경우에는, 잡이 없거나, 유저 조작이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없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1)는 링크 유지 모드를 유효화하여, 슬립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는, SIP 서버에 의해 규정되고 있는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에 40%의 시간 간격으로 SIP 서버에의 재등록을 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제1 패킷의 도착이 지연되거나,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제2 패킷에서의 복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SIP 서버에서의 설정 시간 간격이 1시간이면,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의 송신 간격은, 1시간의 40%인 24분이다. SIP 서버에서의 설정 시간 간격이 10분으로 설정되면,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의 송신 간격은, 10분의 40%인 4분이. 이러한 단시간 간격으로 SIP 서버에의 재등록이 행하여지면, 예를 들어 유저 조작 등이 없을 경우, SIP 서버에의 재등록만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도, 화상 형성 장치(101)는 슬립 상태로 천이할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수신 응답 시간에 제약이 있는 특정 기능이 유효할 경우, 서버에의 송신 간격(예를 들어,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을 더 고려하여, 천이 목적지로서의 절전 상태를 변경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급전 제어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의 각 처리는, 예를 들어 CPU(301)가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에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1의 처리는 공정 S1106의 처리 면에서 도 10과 상이하다. 도 11의 공정 S1101 내지 S1105, 및 S1107 내지 S1110은, 공정 S1001 내지 S1005, 및 S1006 내지 S1009에 대응한다.
공정 S1105에서 링크 유지 모드가 유효화되면, CPU(301)는 공정 S1106에서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의 설정값이 미리 정해진 역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설정값이 미리 정해진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공정 S1108로 진행한다. CPU(301)가 설정값이 미리 정해진 역치 이상이 아니다(역치 미만)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공정 S1109로 진행한다.
즉,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이, 예를 들어 2분이고, 미리 정해진 역치보다 짧은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101)를 특정 기능의 실행에 관계하지 않는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시키는 "소비 전력 2: 접속 슬립 상태"로 천이시킨다. 즉,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 기능이 SIP만인 경우에는, 개입 처리 및 링크 속도 유지를 위한 최소의 디바이스에 대하여만 전력 공급하면 된다. 그러나, 재등록 시간 간격이 미리 정해진 역치 미만일 경우에는, CPU(301), 메모리(303), 하드디스크(106), NIC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311)에의 전력 공급을 계속한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슬립 상태에서 급전 정지가 가능한 부분(CPU(301), 메모리(303), 하드디스크(106))까지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가 슬립 상태로 천이할 수 없고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가 계속될 경우보다, 소비 전력을 저감하면서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a 내지 도 12c 및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a 내지 도 12c 및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3a 내지 도 13c에서, 종축은 전력 소비량을 나타내고, 횡축은 시간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a 및 도 13a는,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이 21분 이상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 및 도 13b는,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이 11분 이상 21분 미만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c 및 도 13c는,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이 11분 미만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 및 도 13a 내지 도 13c에서는, 공정 S1106에서 사용되는 미리 정해진 역치가 20분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 재등록 설정 시간 간격이 21분 이상인 경우
도 12a 및 도 13a는,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이 21분 이상인 경우의 전력 상태의 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의 공정 S1201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는, 개입의 1요인인 RTC(312)에 기초하여, 슬립 상태인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로부터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로 슬립 복귀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는, 슬립 복귀 후 즉시, 다음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이벤트를 발행하고, RTC(312)에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을 재설정한다(공정 S1202). 재등록 시간 간격은 25분으로 한다.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로부터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로 슬립 복귀한 후에, 하드디스크(106), 릴레이 스위치 등의 디바이스 보호 타이머가 기동한다(공정 S1203). 여기서, 디바이스 보호 타이머는 10분으로 한다.
디바이스 보호 타이머의 타임 아웃이 발생하면, 가까운 시각에 알람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공정 S1204). 알람은, 예를 들어 다음 번의 IP 단말기 재등록 시각이다. 이러한 알람 판정이 행하여지는 이유는, 소비 전력을 저감시켜도 개입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가 바로 복귀할 경우에는, 소비 전력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알람 판정은 10분에 행해진다.
본 예인 경우,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은 25분이므로,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람 판정에서는 알람이 없는 것으로 판정된다. 알람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전력 상태는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로 천이한다. 15분(25분-디바이스 보호 타이머 10분) 후에, 전력 상태는 다시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로 슬립 복귀한다(공정 S1205). 그 후, 상기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13a의 처리는 도 12a와 같다.
· 재등록 설정 시간 간격이 11분 이상 21분 미만인 경우
도 12b 및 도 13b는,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이 11분 이상 21분 미만인 경우의 전력 상태의 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b의 공정 S1211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는 개입의 1요인인 RTC(312)에 기초하여, 슬립 상태인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로부터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로 슬립 복귀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는, 슬립 복귀 후 즉시, 다음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이벤트를 발행하고,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을 RTC(312)에 설정한다(공정 S1212). 재등록 시간 간격은 15분으로 한다.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로부터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허 슬립 복귀하면, 하드디스크(106), 릴레이 스위치 등의 디바이스 보호 타이머가 기동한다(공정 S1213). 여기서, 디바이스 보호 타이머는 10분으로 한다.
디바이스 보호 타이머의 타임 아웃이 발생하면, 가까운 시각에 알람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공정 S1214). 여기서, 알람 판정은 10분간에 한다.
본 예인 경우,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은 15분이므로,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5분-디바이스 보호 타이머 10분=5분이 알람 판정 10분에 포함되게 되므로, 알람 판정에서는 알람 있음으로 판정된다. 재등록 시간 간격 15분이 경과하면 즉시, 다음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이벤트를 발행하여, 재등록 시간 간격을 RTC(312)에 재설정한다(공정 S1215). 재등록 시간 간격은 15분이다.
RTC(312)에의 재설정의 후 즉시, 알람 판정이 다시 행하여진다(공정 S1216). 이 경우의 알람 판정에서는,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RTC에의 재설정 후의 15분은 알람 판정 10분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알람 판정에서는 알람 없음으로 판정된다. 알람 없음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전력 상태는,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로 천이한다.
RTC(312)에의 재설정의 15분 후에,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는, RTC(312)에 기초하여, 슬립 상태인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로부터,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에 슬립 복귀한다(공정 S1217). 그 후, 상기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12b에서는, 디바이스 보호 타이머 10분간에, 전력 상태는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가 되고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 보호 타이머를 기동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이 기간에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로 설정해도 된다.
도 13b는 도 11의 처리를 실행한 결과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본 예에서는, 재등록 시간 간격은 15분이므로, 도 11의 공정 S1106에서 재등록 시간 간격이 미리 정해진 역치 20분 미만으로 판정된다.
도 13b의 타이밍 차트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공정 S1211의 전단에서 도 11의 처리가 행하여지고, 공정 S1109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가 "소비 전력 2: 접속 슬립 상태"로 천이하고 있다. 이후, 유저 조작 등이 없이,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동작이 계속되는 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는 "소비 전력 2: 접속 슬립 상태"를 유지한다. 도 13b의 공정 S1212 내지 S1217은 도 12b의 공정 S1212 내지 S1217과 같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상태 변화(1301)에 의해서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력 상태 변화(1302)에 의해서 전체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도 12b에서는, 소비 전력이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와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의 사이에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도 13b에서는, 소비 전력을 접속 슬립 상태에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 재등록 설정 시간 간격이 11분 미만인 경우
도 12c 및 도 13c는,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이 11분 미만인 경우의 전력 상태의 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c의 S1221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는, 개입의 1요인인 RTC(312)에 기초하여, 슬립 상태인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로부터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로 슬립 복귀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는, 슬립 복귀 후 즉시, 다음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이벤트를 발행하고,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을 RTC(312)에 재설정한다(공정 S1222). 재등록 시간 간격은 5분으로 한다. "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로부터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로 슬립 복귀하면, 하드디스크(106), 릴레이 스위치 등의 디바이스 보호 타이머가 기동한다(공정 S1223). 여기서, 디바이스 보호 타이머는 10분으로 한다.
RTC(312)에의 재설정의 후 즉시, 알람 판정이 행하여진다(공정 S1224). 이 알람 판정에서는,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람 판정 10분은 아직 계측이 개시되지 않고 있으므로, 알람 없음으로 판정된다. 그러나, 디바이스 보호 타이머는 기동하고 있으므로,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한다. 재등록 시간 간격 5분이 경과하면 즉시, 다음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 5분을 설정하는 이벤트를 발행하여, 재등록 시간 간격을 RTC(312)에 재설정한다(공정 S1225).
RTC(312)에의 재설정 후 즉시, 알람 판정이 다시 행하여진다(공정 S1226). 본 예인 경우, 재등록 시간 간격 5분이 알람 판정 10분에 포함되므로, 알람 판정에서는 항상 알람 있음으로 판정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는 "소비 전력 1: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천이하지 않는다.
도 13c는 도 11의 처리를 실행한 결과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본 예에서는 재등록 시간 간격은 5분이므로, 도 11의 공정 S1106에서 재등록 시간 간격이 미리 정해진 역치 20분 미만으로 판정된다.
도 13c의 타이밍 차트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공정 S1221의 전단에서 도 11의 처리가 행하여져서, 공정 S1109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는 "소비 전력 2: 접속 슬립 상태"로 천이하고 있다. 그후, 유저 조작 등이 없이,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동작이 계속되는 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는 "소비 전력 2: 접속 슬립 상태"를 유지한다. 도 13c의 공정 S1222 내지 S1226은, 도 12c의 공정 S1222 내지 S1226과 같다.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상태 변화(1303)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력 상태 변화(1304)까지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한 수신 응답 시간에 제약이 있는 특정 기능이 유효하고, 단시간 간격에 서버에의 송신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는 절전 모드로 천이할 수 없고, 소비 전력이 많은 상태를 유지해야 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시간 간격에 따라 전력 상태의 천이 목적지를 변경한다.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수신 응답 시간에 제약이 있고, 단시간 간격에 서버에 송신을 행하는 특정 기능이 유효하고, 스핀 업 시간이 긴 하드디스크(106)가 장착되고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의 동작 외에, 하드디스크(106)의 스핀 업 시간의 길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상태의 천이 목적지를 변경한다. 서버가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을 지정하는 프로토콜로는, SIP 이외에도, DHCP 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도, 재등록 시간 간격이 비교적 짧은 SIP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급전 제어 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의 각 처리는, 예를 들어 CPU(301)가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에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4의 처리는, 공정 S1406 내지 S1409, S1412의 면에서, 도 11과 상이하다. 도 14의 공정 S1401 내지 S1406, S1410, S1411, S1413, S1414는, 공정 S1101 내지 S1106, S1107, S1108, S1109, S1110에 대응한다.
공정 S1406에서 SIP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시간 간격의 설정값이 미리 정해진 역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공정 S1407에서, CPU(301)는, 하드디스크(106)의 스핀 업 시간이 역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301)가 스핀 업 시간이 역치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공정 S1408로 진행한다. 스핀 업 시간이 역치 이상일 경우에는 CPU(301)는 공정 S1409로 진행한다. 공정 S1407의 판정은, 예를 들어 기억 영역에 미리 보존된 스핀 업 시간과 하드디스크 모델과의 대응을 나타내는 테이블에 기초하여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원 투입 시에, 하드디스크(106)의 구동 개시 후에 R/W 가능하게 되는 상태까지의 시간을 실측하고, 그 측정값에 기초하여 판정이 행하여져도 된다.
공정 S1408에서, CPU(301)는 슬립 상태로 천이할 때에 하드디스크(106)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설정한다. 슬립 상태로 천이할 때에 하드디스크(106)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이 디폴트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CPU(301)는 공정 S1408에서 특히 처리를 행하지 않고, 공정 S1411로 진행한다. 공정 S1411에서는, CPU(301)는 개입 처리 및 링크 속도 유지를 위한 최소의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소비 전력 4: 링크 유지 상태").
공정 S1409에서, CPU(301)는, 슬립 상태로 천이할 때에 하드디스크(106)의 구동을 개시하도록(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설정한다. 공정 S1412에서는, CPU(301)는, 개입 처리, 링크 속도 유지 및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를 위한 최소의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소비 전력 3: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 상태").
이상과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드디스크(106)의 스핀 업 시간이 긴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는 하드디스크(106)의 회전을 유지하면서 슬립 상태로 천이한다. 이것은, 슬립 복귀 시에, 스핀 업 시간 때문에 서버에의 IP 단말기의 재등록 동작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에서, 공정 S1407의 판정 처리는, 공정 S1406의 판정 처리의 후단에서 행하여지고 있지만, 다른 부분에서 행하여져도 된다. 예를 들어, 공정 S1402에서 특정 기능이 무효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공정 S1407의 판정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스핀 업 시간이 역치보다 길다고 판정되면, 개입 처리 및 하드디스크 회전 유지를 위한 최소의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되고,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가 공정 S1410과 S1411 사이의 소비 전력 상태로 천이한다. 즉, 스핀 업 시간이 역치 미만으로 판정된 경우에 사용되는 소비 전력에, 하드디스크의 구동을 유지하기 위한 소비 전력이 더해진 소비 전력 상태로 화상 형성 장치가 천이하게 된다.
<기타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기억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라고도 불릴 수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해서 실행하고/실행하거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면 전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기억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고/실행하거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해서 실행하는 별개의 컴퓨터 또는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기억 매체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저장소, 광 디스크(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등), 플래시 메모리 장치,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경과,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6)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외부 장치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응답이 필요한 특정한 기능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절전 상태로 이행시키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설정 유닛이 상기 특정한 기능을 설정하고 있으면, 상기 문의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고, 상기 설정 유닛이 상기 특정한 기능을 설정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제2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전력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력 제어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제1 절전 상태로 이행시킬 경우에는,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의 통신 속도를 변경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력 제어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제2 절전 상태로 이행시킬 경우에는,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의 통신 속도를 감소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능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서의 문의에 대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응답이 필요한 기능인,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능을 유효화 또는 무효화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화상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전 상태에서는, 상기 화상 처리 유닛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능과 상기 제어 유닛을 연관시키도록 구성된 연관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절전 상태로 이행시키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설정 유닛이 상기 특정한 기능을 설정하고 있으면, 상기 연관 유닛에 의해 상기 특정한 기능에 연관된 상기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기 제1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유닛은, 상기 특정한 기능과 상기 제어 유닛을 테이블 형식으로 연관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9.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방법이며,
    외부 장치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응답이 필요한 특정한 기능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절전 상태로 이행시키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설정 단계에서 상기 특정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문의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고, 상기 설정 단계에서 상기 특정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제2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력 제어 단계에서 상기 제1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이행할 경우에는,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통신 제어 유닛의 통신 속도를 변경하지 않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력 제어 단계에서 상기 제2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이행할 경우에는, 상기 통신 제어 유닛의 통신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능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응답이 필요한 기능인,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능을 유효화 또는 무효화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단계에서 상기 제1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이행할 경우에는, 화상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 유닛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되는,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능과 상기 제어 유닛을 연관시키는 연관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절전 상태로 이행시키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설정 단계에서 상기 특정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연관 단계에서 상기 특정한 기능에 연관된 상기 제어 유닛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기 제1 절전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이행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단계에서, 상기 특정한 기능과 상기 제어 유닛은 테이블 형식으로 연관되는, 제어 방법.
KR1020150141380A 2014-10-09 2015-10-08 화상 형성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006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8340A JP6425490B2 (ja) 2014-10-09 2014-10-09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4-208340 2014-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391A true KR20160042391A (ko) 2016-04-19
KR102006520B1 KR102006520B1 (ko) 2019-10-01

Family

ID=5429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380A KR102006520B1 (ko) 2014-10-09 2015-10-08 화상 형성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503600B2 (ko)
EP (1) EP3013026B1 (ko)
JP (1) JP6425490B2 (ko)
KR (1) KR102006520B1 (ko)
CN (2) CN1055165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5210B2 (ja) * 2014-06-19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故障検知方法
JP6425490B2 (ja) * 2014-10-09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25719B2 (ja) 2015-05-11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7027027B2 (ja) * 2016-03-17 2022-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6381598B2 (ja) * 2016-09-23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9034490A (ja) * 2017-08-18 2019-03-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10469250B2 (en) * 2017-12-22 2019-11-05 Max Adel Rady Physical item mapping to blockchain framework
JP2020107233A (ja) * 2018-12-28 2020-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トレージ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401234B2 (ja) * 2019-09-25 2023-12-1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KR20210043873A (ko) * 2019-10-14 2021-04-2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아날로그 신호의 중복 체크를 이용한 에러 감지
WO2021187197A1 (ja) * 2020-03-18 2021-09-23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TWI743775B (zh) * 2020-05-07 2021-10-2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電源切換裝置
JP2022072012A (ja) * 2020-10-29 2022-05-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142622A (ja) * 2022-03-25 2023-10-05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3378A (ja) * 2010-02-25 2011-09-08 Casio Electronics Co Ltd 印刷装置
EP2544085A2 (en) * 2011-07-04 2013-01-09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program,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JP2014106835A (ja) * 2012-11-29 2014-06-0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4623A (ja) * 1996-01-30 1997-08-15 Canon Inc データ通信装置
JPH09261381A (ja) * 1996-03-26 1997-10-03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その待機モード制御方法
JP3524352B2 (ja) * 1997-11-14 2004-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節電制御装置
KR100338734B1 (ko) * 1998-07-31 2002-07-18 윤종용 인쇄기및그전력제어방법
JP2003089254A (ja) 2001-09-18 2003-03-25 Canon Inc 情報入出力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ネットワーク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50229228A1 (en) * 2004-04-07 2005-10-13 Sandeep Relan Unicast cable content delivery
US7433620B2 (en) * 2004-07-13 2008-10-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rolled electric power supply to heating member
JP4182090B2 (ja) * 2004-08-05 2008-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4459150B2 (ja) * 2005-10-07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33564A (ja) * 2005-11-09 2007-05-3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JP2007276341A (ja) * 2006-04-10 2007-10-25 Canon Inc 通信装置
JP5052177B2 (ja) * 2006-05-15 2012-10-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省電力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7787796B2 (en) * 2007-04-17 2010-08-31 Kabushiki Kaisha Toshiba Power saving syste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ble in power saving modes
JP2008300922A (ja) * 2007-05-29 2008-12-11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558270B1 (ko) * 2009-01-06 2015-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소비 전력 제어 방법
JP5451202B2 (ja) * 2009-06-18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082922A (ja) * 2009-10-09 2011-04-21 Fuji Xerox Co Ltd 省電力制御装置
JP4703758B2 (ja) * 2009-11-19 2011-06-1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11161774A (ja) * 2010-02-09 2011-08-25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5473845B2 (ja) * 2010-09-16 2014-04-16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入出力装置
JP5460540B2 (ja) * 2010-09-28 2014-04-02 株式会社沖データ 印刷装置
JP2012151718A (ja) * 2011-01-20 2012-08-09 Murata Mach Ltd 通信端末装置
JP2012232539A (ja) * 2011-05-09 2012-11-29 Canon Inc 印刷装置、データ処理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25887B2 (ja) * 2011-07-05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37113A (ko) * 2011-10-05 2013-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링크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3129147A (ja) * 2011-12-22 2013-07-04 Brother Industries Ltd プリンタと代理サーバ
JP2013161381A (ja) * 2012-02-08 2013-08-1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50456B2 (ja) * 2012-02-08 2017-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3258474A (ja) * 2012-06-11 2013-12-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32518B2 (ja) * 2012-06-26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988780B2 (ja) * 2012-08-31 2016-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4079991A (ja) 2012-10-18 2014-05-08 Canon Inc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48334B1 (ko) * 2013-06-12 2020-01-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절전 모드 제어 방법
JP6860279B2 (ja) * 2014-05-23 2021-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6425490B2 (ja) * 2014-10-09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3378A (ja) * 2010-02-25 2011-09-08 Casio Electronics Co Ltd 印刷装置
EP2544085A2 (en) * 2011-07-04 2013-01-09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program,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JP2014106835A (ja) * 2012-11-29 2014-06-0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58670A (zh) 2019-07-26
CN105516529B (zh) 2019-06-14
EP3013026A1 (en) 2016-04-27
US9503600B2 (en) 2016-11-22
CN105516529A (zh) 2016-04-20
JP6425490B2 (ja) 2018-11-21
KR102006520B1 (ko) 2019-10-01
CN110058670B (zh) 2024-02-20
JP2016082252A (ja) 2016-05-16
US20160105581A1 (en) 2016-04-14
US20170041481A1 (en) 2017-02-09
EP3013026B1 (en) 2020-12-30
US10110764B2 (en)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520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제어 방법
US91583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offers chance of eliminating hang-up state by using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2018019894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983233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US20140164805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6131536B2 (ja) 画像処理装置、省電力制御方法及び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
JP6758873B2 (ja) 画像形成装置の電力制御方法
US957168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energy saving mode and error state detection
US102286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ower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700812B2 (ja) 処理装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693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ontrols display of display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11539851B2 (en) Apparatus for switching a power state among a plurality of power states and method thereof
JP2007028062A (ja) 画像形成装置
US11451684B2 (en) Processor having a plurality of cores and a controller that switches power states based on cores state
US9031445B2 (en) Power saving modes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701912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12569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08136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16100A (ja) 印刷装置
JP200321178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