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944A - 쇼벨 - Google Patents

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944A
KR20160030944A KR1020167001102A KR20167001102A KR20160030944A KR 20160030944 A KR20160030944 A KR 20160030944A KR 1020167001102 A KR1020167001102 A KR 1020167001102A KR 20167001102 A KR20167001102 A KR 20167001102A KR 20160030944 A KR20160030944 A KR 20160030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uel
image display
remaining amou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299B1 (ko
Inventor
타케야 이즈미카와
노부유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4Indicat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4Component parts for trench excavators, e.g. indicating devices travelling gear chassis, supports, skids
    • E02F5/145Component parts for trench excavators, e.g. indicating devices travelling gear chassis, supports, skids control and 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8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only one servomotor
    • B60K2360/168
    • B60K2360/17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8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system for adding a substance into the exhaust
    • F01N2900/1806Properties of reducing agent or dosing system
    • F01N2900/1814Tank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은, 엔진(11)의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탱크(55)와,연료탱크(55)에 있어서의 연료의 잔량상태를 검출하는 연료잔량센서(55a)와, 선택촉매환원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요소수를 수용하는 요소수탱크(50)와, 요소수탱크(50)에 있어서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검출하는 요소수잔량센서(50a)와, 캐빈(10) 내에 설치되는 화상표시부(41)를 구비한다. 화상표시부(41)는, 연료의 잔량상태와 함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화상표시한다.

Description

쇼벨{Power Shovel}
본 발명은, NOx 촉매환원 시스템을 탑재하는 쇼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요소수탱크에 저류하는 요소수의 레벨을 시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수레벨 측정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다만, 요소수는, NOx 촉매환원 시스템으로서의 선택촉매환원(Selective Catalytic Reduction(SCR))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환원제의 1예이다.
이 요소수레벨 측정표시장치는, 요소수탱크의 보급구의 주변에서 보급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시인 가능한 위치에 요소수의 레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그 표시부는, 어두운 장소에서도 작업자가 시인할 수 있는 휘도레벨을 갖는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22386호
그러나, 상술한 요소수레벨 측정표시장치는, 요소수탱크의 보급구의 주변에 설치된다. 그로 인하여, 요소수의 레벨을 확인하려고 하는 차량의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내려, 차량 보디에 마련된 덮개를 열어 그 요소수레벨 측정표시장치를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하부주행체 위에 상부선회체를 구비하는 쇼벨에서는, 상부선회체에 장착되는 요소수탱크의 설치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곳에 있다. 또, 요소수탱크를 덮는 커버도 비교적 견고하고 또한 도난 등에 대하여 견뢰(堅牢)하게 만들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하여, 이와 같은 요소수레벨 측정표시장치가 쇼벨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 쇼벨의 운전자는, 요소수의 레벨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소수탱크의 설치 위치까지 기어올라, 견고하고 또한 견뢰한 커버를 여는 작업을 행한다. 한편, 요소수가 부족하면 쇼벨에 의한 작업을 중단해야만 한다. 그로 인하여, 운전자는, 불편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이 번잡한 확인 작업을 반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쇼벨은 일반 도로를 주행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는 미리 작업장에 보충용의 요소수를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쇼벨은, 산간지 등의 벽지에서의 작업이 많기 때문에, 요소수의 보충에 시간과 수고가 들게 된다. 따라서, 요소수의 관리가 작업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불가결하다.
상술을 감안하여, 운전자가 환원제의 레벨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쇼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은, 운전자가 조작하여 작업을 행하는 쇼벨로서,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 상에 탑재된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배치된 내연기관과, 상기 내연기관의 동력에 의하여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에 의하여 구동하는 유압액추에이터와, 상기 내연기관의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수용부와, 상기 연료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료의 잔량상태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와, 선택촉매환원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환원제를 수용하는 환원제수용부와, 상기 환원제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환원제의 잔량상태를 검출하는 제2 검출부와, 캐빈 내에 설치되는 화상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연료의 잔량상태와 함께 상기 환원제의 잔량상태를 화상표시한다.
상술한 수단에 의하여, 운전자가 환원제의 레벨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쇼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화상표시장치가 마련된 캐빈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화상표시장치가 마련된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쇼벨의 컨트롤러와 화상표시장치의 접속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화상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표시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표시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표시화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표시화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쇼벨의 측면도이다. 쇼벨의 하부주행체(1)에는, 선회기구(2)를 통하여 상부선회체(3)가 탑재되어 있다. 상부선회체(3)에는, 붐(4)이 장착되어 있다. 또, 붐(4)의 선단에는 암(5)이 장착되고, 암(5)의 선단에는 버킷(6)이 장착되어 있다. 붐(4), 암(5), 및 버킷(6)은,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각각 유압 구동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캐빈(10)이 마련되고, 또한 내연기관인 엔진(11) 등의 동력원이 탑재된다. 캐빈(10)에는 운전석이 마련되어 있어, 운전자는 운전석에 착석하면서 쇼벨을 조작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기계적동력계는 이중선, 고압유압라인은 굵은 실선, 파일럿라인은 파선, 전기제어계는 가는 실선으로 각각 나타난다.
쇼벨의 구동계는, 주로, 엔진(11), 메인펌프(14), 파일럿펌프(15), 컨트롤밸브(17), 조작장치(26), 컨트롤러(30), 및 엔진제어장치(ECU)(74)로 구성된다.
엔진(11)은, 쇼벨의 구동원이며, 예를 들면, 소정의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디젤엔진이다. 엔진(11)의 출력축은 메인펌프(14)의 입력축 및 파일럿펌프(15)의 입력축에 접속된다.
엔진(11)으로부터의 배기가스는, 배기관(11x)에 마련된 NOx 환원촉매(52)를 통과하여 대기 중에 방출된다. 또, 배기관(11x)은, 요소수분사장치(51) 및 요소수공급관(50x)을 통하여 요소수탱크(50)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요소수탱크(50)에 저장되는 요소수는, 요소수분사장치(51)의 요소수공급펌프에 의하여 퍼올려진다. 그리고 요소수는, NOx 환원촉매(52)의 상류에서 엔진(11)으로부터의 배기가스 중에 분사되어, NOx의 환원반응을 촉진시킨다.
메인펌프(14)는, 고압유압라인(16)을 통하여 작동유를 컨트롤밸브(17)에 공급하는 유압펌프이며, 예를 들면, 사판식(斜板式)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다. 파일럿펌프(15)는, 파일럿라인(25)을 통하여 각종 유압제어기기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이며, 예를 들면, 고정용량형 유압펌프이다.
컨트롤밸브(17)는, 쇼벨에 있어서의 유압시스템을 제어하는 유압제어밸브이다. 컨트롤밸브(17)는, 예를 들면,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주행용 유압모터(1A)(우측용), 주행용 유압모터(1B)(좌측용), 및 선회용 유압모터(2A) 중 단일 또는 복수의 것에 대하여, 메인펌프(14)로부터 공급된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주행용 유압모터(1A)(우측용), 주행용 유압모터(1B)(좌측용), 및 선회용 유압모터(2A)를 집합적으로 “유압액추에이터”라고 칭한다.
조작장치(26)는, 조작자가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을 위하여 이용하는 장치이다. 조작장치(26)는, 파일럿라인(25)을 통하여, 파일럿펌프(15)로부터 공급된 작동유를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유량제어밸브의 파일럿포트에 공급한다. 다만, 파일럿포트의 각각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은,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레버 또는 페달(26A~26C)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압력이 된다.
컨트롤러(30)는, 쇼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이며, 예를 들면, CPU, RAM, ROM등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된다. 컨트롤러(30)의 CPU는, 쇼벨의 동작이나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ROM으로부터 독출하여 RAM에 로드한다. 그리고, CPU는, 그들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그들 프로그램의 각각에 대응하는 쇼벨의 동작이나 기능을 실현시킨다.
엔진제어장치(ECU)(74)는, 엔진(11)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ECU(74)는, 엔진(11)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또, ECU(74)는, 수집한 데이터에 따라 요소수의 분사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ECU(74)는, 요소수분사장치(51)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엔진(11)으로부터의 배기가스에 대한 요소수의 분사량을 제어한다. 다만, 도 2에서는, ECU(74)와 컨트롤러(30)를 별도의 구성으로 했지만, ECU(74)와 컨트롤러(30)를 일체적으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ECU(74)는, 컨트롤러(30)에 통합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쇼벨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한 쇼벨의 운전을 보조하기 위하여 화상표시장치가 운전석의 근방에 배치된다. 운전자는 화상표시장치의 입력부를 이용하여 정보나 지령을 쇼벨의 컨트롤러(30)에 입력할 수 있다. 또, 화상표시장치는, 쇼벨의 운전상황이나 제어정보를 화상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에 표시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화상표시장치가 마련된 캐빈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그 평면도이다.
화상표시장치(40)는, 화상표시부(41) 및 입력부(42)를 포함한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운전석(60)이 마련된 캐빈(10)의 프레임(필러)(10a)에 고정된다.
다만, 일반적으로, 운전석(60)에 착석한 운전자가 보았을 때 우측에 붐(4)이 배치되어 있어, 운전자는 붐(4)의 선단에 장착된 암(5)이나 버킷(6)을 시인하면서 쇼벨을 운전하는 경우가 많다. 캐빈(10)의 우측 전방의 프레임(10a)은 운전자의 시야의 방해가 되는 부분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 부분을 이용하여 화상표시장치(40)를 마련하고 있다. 이로써, 원래 시야의 방해가 되고 있던 부분에 화상표시장치(40)가 배치되므로, 화상표시장치(40) 자체가 운전자의 시야를 크게 방해하는 일은 없다. 프레임(10a)의 폭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화상표시장치(40) 전체가 프레임(10a)의 폭에 들어가도록, 화상표시장치(40)는, 화상표시부(41)가 세로로 길게 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다만, 도 3 및 도 4는, 상부선회체(3)에 배치되는 엔진(11), 요소수탱크(50) 등을 덮는 커버(3a) 위에 촬상장치(80)가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3 및 도 4는, 촬상장치(80)가, 좌측방 감시카메라(80L), 후방 감시카메라(80B), 및 우측방 감시카메라(80R)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쇼벨의 컨트롤러(30)와 화상표시장치(40)의 접속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표시장치(40)는, Controller Area Network(CAN), Local Interconnect Network(LIN) 등의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된다. 다만, 화상표시장치(40)는, 전용선을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도 된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화상표시부(41)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는 변환처리부(40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환처리부(40a)는, 촬상장치(80)의 출력에 근거하여 화상표시부(41) 상에 표시되는 카메라화상을 생성한다. 그를 위하여, 촬상장치(80)는, 예를 들면 전용선을 통하여 화상표시장치(40)에 접속된다.
또, 변환처리부(40a)는, 화상표시장치(40)에 대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중 화상표시부(41) 상에 표시시키는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다만, 화상표시장치(40)에 대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좌측방 감시카메라(80L), 후방 감시카메라(80B), 및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의 각각이 출력하는 화상데이터를 포함한다.
또, 변환처리부(40a)는, 컨트롤러(30)의 출력에 근거하여 화상표시부(41) 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환처리부(40a)는,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중 화상표시부(41) 상에 표시시키는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다만,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엔진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요소수의 잔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변환처리부(40a)는, 변환된 화상신호를 화상표시부(41)에 대하여 출력하고, 대응하는 화상을 화상표시부(41) 상에 표시시킨다.
다만, 변환처리부(40a)는, 화상표시장치(40)가 갖는 기능으로서가 아니라, 컨트롤러(30)가 갖는 기능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이 경우, 촬상장치(80)는, 화상표시장치(40)가 아니라, 컨트롤러(30)에 접속된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입력부(42)로서의 스위치패널(42)을 포함한다. 스위치패널(42)은, 각종 하드웨어스위치를 포함하는 패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패널(42)은, 하드웨어버튼으로서의 라이트스위치(42a), 와이퍼스위치(42b), 및 윈도와셔스위치(42c)를 포함한다. 라이트스위치(42a)는, 캐빈(10)의 외부에 장착되는 라이트의 점등·소등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와이퍼스위치(42b)는, 와이퍼의 작동·정지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 윈도와셔스위치(42c)는, 윈도와셔액을 분사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축전지(70)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다만, 축전지(70)는 엔진(11)의 얼터네이터(11a)(발전기)에서 발전한 전력으로 충전된다. 축전지(70)의 전력은, 컨트롤러(30) 및 화상표시장치(40) 이외의 쇼벨의 전장품(72) 등에도 공급된다. 또, 엔진(11)의 스타터(11b)는, 축전지(70)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어, 엔진(11)을 시동한다.
엔진(11)은, 엔진제어장치(ECU)(74)에 의하여 제어된다. ECU(74)로부터는, 엔진(11)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수온센서(11c)에서 검출되는 냉각수온(물리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상시 송신된다. 따라서, 컨트롤러(30)는 일시기억부(메모리)(30a)에 그 데이터를 축적해 두고, 필요할 때에 화상표시장치(40)에 송신할 수 있다.
또, 컨트롤러(30)에는 이하와 같이 각종 데이터가 공급되어, 컨트롤러(30)의 일시기억부(30a)에 격납된다.
먼저,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인 메인펌프(14)의 레귤레이터(14a)로부터 사판각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또, 메인펌프(14)의 토출압력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토출압력센서(14b)로부터 컨트롤러(30)에 보내진다. 이들 데이터(물리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일시기억부(30a)에 격납된다. 또, 메인펌프(14)가 흡입하는 작동유가 저장된 탱크와 메인펌프(14)의 사이의 관로에는, 유온센서(14c)가 마련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그 관로를 흐르는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유온센서(14c)로부터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또, 환원제수용부(50)에 있어서의 환원제수용량 검출부(50a)로부터 환원제수용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원제수용부로서의 요소수탱크(50)에 있어서의 환원제수용량 검출부로서의 요소수잔량센서(50a)로부터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요소수잔량센서(50a)는, 내부에 마그넷이 고정된 플로트와, 상이한 높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자기구동식 리드스위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요소수잔량센서(50a)는, 액면에 추종하는 플로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리드스위치가 도통상태가 되는 것을 이용하여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소수잔량센서(50a)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8개의 리드스위치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요소수잔량센서(50a)는, 화상표시장치(40)에서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8단계 표시시킬 수 있다. 다만, 환원제수용량 검출부(50a)의 검출방식은, 사용환경, 환원제의 응고점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 것이며, 환원제의 잔량상태를 무단계 표시시킬 수 있는 검출방식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 연료수용부(55)에 있어서의 연료수용량 검출부(55a)로부터 연료수용량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수용부로서의 연료탱크(55)에 있어서의 연료수용량 검출부로서의 연료잔량센서(55a)로부터 연료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연료잔량센서(55a)는, 액면에 추종하는 플로트와, 플로트의 상하 변동량을 저항값으로 변환하는 가변저항(퍼텐쇼미터)으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연료잔량센서(55a)는, 화상표시장치(40)에서 연료의 잔량상태를 무단계 표시시킬 수 있다. 다만, 연료수용량 검출부(55a)의 검출방식은, 사용환경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 것이며, 연료의 잔량상태를 단계 표시시킬 수 있는 검출방식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 유압센서(15a, 15b)는, 조작레버(26A~26C)가 조작되었을 때에 컨트롤밸브(17)에 보내지는 파일럿압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파일럿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공급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벨은, 캐빈(10) 내에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을 구비한다.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은,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회전수를 4단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로부터는, 엔진회전수의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컨트롤러(30)에 상시 송신된다. 또,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은, SP모드, H모드, A모드, 및 아이들링모드의 4단계로 엔진회전수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도 5는,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에서 H모드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다.
SP모드는, 작업량을 우선하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가장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H모드는, 작업량과 연비를 양립시키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2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A모드는, 연비를 우선하면서 저소음으로 쇼벨을 가동시키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3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아이들링모드는, 엔진을 아이들링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가장 낮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그리고, 엔진(11)의 회전수는,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에서 선택된 회전수모드의 엔진회전수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여기에서, 도 6을 참조하여, 화상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 상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6은, 표시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화면(41V)은, 일시(日時) 표시영역(41a), 주행모드 표시영역(41b), 어태치먼트 표시영역(41c), 평균연비 표시영역(41d), 엔진제어상태 표시영역(41e), 엔진작동시간 표시영역(41f),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회전수모드 표시영역(41i),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작동유온 표시영역(41k), 및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을 포함한다.
일시 표시영역(41a)은, 현재의 일시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디지털 표시가 채용되어, 일자가 2013년 2월 19일이며, 시각이 23시 59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주행모드 표시영역(41b)은, 현재의 주행모드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주행모드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를 이용한 주행용 유압모터의 설정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주행모드에는, 저속모드 및 고속모드가 있다. 저속모드는, “거북이”를 본뜬 마크로 표시되고, 고속모드는 “토끼”를 본뜬 마크로 표시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거북이”를 본뜬 마크가 표시되어 있어, 운전자는 저속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 표시영역(41c)은, 현재 장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쇼벨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는, 버킷, 착암기, 그래플, 리프팅마그넷 등 다양한 어태치먼트를 포함한다. 어태치먼트 표시영역(41c)은, 예를 들면, 이들 어태치먼트를 본뜬 마크 및 어태치먼트에 대응하는 번호를 표시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착암기를 본뜬 마크가 표시되고, 또한 착암기의 출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로서 “1”이 표시되어 있다.
평균연비 표시영역(41d)은, 현재의 평균연비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위[L/hr(리터/시)]를 이용한 값과 그 막대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다만, 평균연비는, 컨트롤러(30)로부터 엔진(11)으로 송신되는 연료 분사량의 지령값에 근거하여 구할 수 있다.
엔진제어상태 표시영역(41e)은, 엔진(11)의 제어상태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운전자는, 엔진(11)의 제어상태로서 “자동감속·자동정지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자동감속·자동정지모드”는, 엔진부하가 작은 상태의 지속시간에 따라, 엔진회전수를 자동적으로 저감하고, 나아가서는 엔진(11)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제어상태를 의미한다. 그 외, 엔진(11)의 제어상태에는, “자동감속모드”, “자동정지모드”, “수동감속모드” 등이 있다.
엔진작동시간 표시영역(41f)은, 엔진(11)의 누적작동시간을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위 “hr(시)”를 이용한 값이 표시된다.
냉각수온 표시영역(41g)은, 현재의 엔진냉각수의 온도상태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엔진냉각수의 온도상태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다만, 엔진냉각수의 온도는, 엔진(11)에 장착되는 수온센서(11c)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근거한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수온 표시영역(41g)은, 이상범위표시(41g1), 주의범위표시(41g2), 정상범위표시(41g3), 세그먼트표시(41g4), 및 아이콘표시(41g5)를 포함한다.
이상범위표시(41g1), 주의범위표시(41g2), 정상범위표시(41g3)는 각각, 엔진냉각수의 온도가 이상고온상태, 주의를 필요로 하는 상태, 정상상태에 있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이다. 또, 세그먼트표시(41g4)는, 엔진냉각수의 온도의 고저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표시이다. 또, 아이콘표시(41g5)는, 이상범위표시(41g1), 주의범위표시(41g2), 정상범위표시(41g3), 및 세그먼트표시(41g4)가 엔진냉각수의 온도에 관한 표시인 것을 나타내는 심벌 도형 등의 아이콘이다. 다만, 아이콘표시(41g5)는, 엔진냉각수의 온도에 관한 표시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여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세그먼트표시(41g4)는, 점등·소등상태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8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냉각수온이 높아질수록 점등상태의 세그먼트의 수가 증가한다. 다만, 도 6의 예에서는, 4개의 세그먼트가 점등상태로 되어 있다. 또, 세그먼트표시(41g4)는, 소정 원의 일부(원호)를 구성하여, 엔진냉각수의 온도의 상하동(上下動)에 따라 그 원호의 길이가 신축하도록 표시된다. 또, 도 6의 예에서는, 각 세그먼트가 나타내는 온도의 폭은 동일하지만, 세그먼트마다 온도의 폭을 변경해도 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상범위표시(41g1), 주의범위표시(41g2), 정상범위표시(41g3)는 각각, 세그먼트표시(41g4)의 신축방향(소정 원의 원주방향)을 따르도록 나열되어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도형이며, 적색, 황색, 녹색으로 상시 점등된다. 또, 세그먼트표시(41g4)는, 1번째(최하위)로부터 6번째의 세그먼트가 정상범위에 속하고, 7번째의 세그먼트가 주의범위에 속하며, 8번째(최상위)의 세그먼트가 이상범위에 속한다.
다만, 냉각수온 표시영역(41g)은, 이상범위표시(41g1), 주의범위표시(41g2), 및 정상범위표시(41g3)를 원호 형상의 도형으로서 표시하는 대신에, 이상레벨, 주의레벨, 정상레벨을 나타내는 문자, 기호 등을 각각의 경계가 되는 곳에 표시해도 된다.
다만, 이상범위표시, 주의범위표시, 정상범위표시, 세그먼트표시, 및 아이콘표시를 포함하는 상술의 구성은,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및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채용된다. 또,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은, 이상범위, 주의범위, 및 정상범위를 나타내는 원호 형상의 도형을 표시하는 대신에, “Full(가득 찬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F” 또는 검은 동그라미(색이 칠해진 동그라미표), “Empty(빈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 “E” 또는 흰 동그라미(색이 칠해지지 않은 동그라미표) 등을 각각의 경계가 되는 곳에 표시해도 된다.
연료잔량 표시영역(41h)은, 연료탱크(55)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잔량상태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현재의 연료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다만, 연료의 잔량은, 연료잔량센서(55a)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근거한다.
회전수모드 표시영역(41i)은, 현재의 회전수모드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회전수모드는, 예를 들면, 상술한 SP모드, H모드, A모드, 및 아이들링모드의 4개를 포함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P모드를 나타내는 기호 “SP”가 표시되어 있다.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은, 요소수탱크(50)에 저장되어 있는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현재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다만, 요소수의 잔량은, 요소수잔량센서(50a)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근거한다.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은, 작동유탱크 내의 작동유의 온도상태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작동유의 온도상태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다만, 작동유의 온도는, 유온센서(14c)가 출력하는 데이터에 근거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및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의 각각의 세그먼트표시가, 동일한 1개의 소정 원의 원주방향을 따라 신축하도록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이 각각, 그 소정 원의 좌측, 상측, 하측, 우측 부분에 배치된다. 또,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및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에서는, 상측으로부터 차례로 이상범위표시, 주의범위표시, 정상범위표시가 나열되고,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및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이상범위표시, 주의범위표시, 정상범위표시가 나열된다. 또,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및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에서는, 세그먼트표시는, 잔량이 많을수록 점등상태의 세그먼트의 수가 많아지도록 표시되어, 1번째(우측단)로부터 6번째의 세그먼트가 정상범위에 속하고, 7번째의 세그먼트가 주의범위에 속하며, 8번째(좌측단)의 세그먼트가 이상범위에 속한다.
또, 냉각수온 표시영역(41g),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작동유온 표시영역(41k)에서는, 막대그래프 표시 대신에 바늘 표시가 채용되어도 된다.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은, 카메라화상을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쇼벨은, 운전자의 시야 이외의 부분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장치(80)(도 3~도 5 참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장치(80)는, 캐빈(10)이 향하고 있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후방)을 촬상하는 후방 감시카메라(80B)(도 3 및 도 4 참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촬상장치(80)는,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화상표시장치(40)의 변환처리부(40a)로 보낸다. 이로써, 운전자는 촬상장치(80)가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화상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에서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은, 쇼벨이 가동하고 있는 동안은 항상 후방 감시카메라(80B)가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표시한다. 운전자가 백미러에 의지하지 않고 쇼벨의 후방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백미러를 생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은, 표시화면(41V)의 우측의 3분의 2 정도의 영역을 차지한다. 화상표시장치(40)가 운전석의 우측 전방에 설치되는 환경에 있어서, 운전석(운전자)에 가까운 측에 연료잔량 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 등이 표시되고, 운전석(운전자)으로부터 먼 측에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이 표시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시인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단, 표시화면(41V)에 있어서의 각 표시영역의 사이즈 및 배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또, 표시화면(41V)은, 상술한 표시영역(41a~41k)의 일부를 생략해도 되고, 상술 이외의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화면(41V)은, 배기가스필터(예를 들면, 디젤 미립자 제거장치(Diesel Particulate Filter(DPF))임)의 막힘상태를 표시하는 배기가스필터상태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배기가스필터상태 표시영역은, 배기가스필터의 허용 최대 사용시간에 대한 현재의 사용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를 표시해도 된다. 또, 표시화면(41V)은, 작동유의 온도상태의 표시를 생략해도 되고, 작동유의 온도상태 및 냉각수의 온도상태의 표시를 생략해도 된다.
또,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의 하부에는, 상부선회체(3)의 커버(3a)의 후측단의 상측가장자리가 포함된다. 이로써, 화상표시장치(40)는,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에 표시되는 물체와 쇼벨의 사이의 거리감을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화상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7은, 표시화면(41VA)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7의 표시화면(41VA)은, 도 6의 표시화면(41V)에 대응한다. 그로 인하여, 도 7의 표시화면(41VA)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참조부호는, 도 6의 표시화면(41V)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참조부호의 말미에 “A”를 붙여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화면(41VA)은, 냉각수온 표시영역(41gA), 연료잔량 표시영역(41hA),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A), 및 작동유온 표시영역(41kA)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신축하는 막대그래프 표시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무단계로 신축하는 막대그래프 표시를 채용하는 점에서, 도 6의 표시화면(41V)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표시화면(41VA)은, 도 6의 표시화면(41V)에서 채용되는, 8단계 정도의 비교적 적은 세그먼트수로 구성되는 막대그래프 표시가 아니라,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단계로 구성되는 막대그래프 표시를 채용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화상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의 또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8은, 표시화면(41VB)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8의 표시화면(41VB)은, 도 6의 표시화면(41V)에 대응한다. 그로 인하여, 도 8의 표시화면(41VB)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참조부호는, 도 6의 표시화면(41V)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참조부호의 말미에 “B”를 붙여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화면(41VB)은, 각 표시영역의 배치가 도 6의 표시화면(41V)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표시화면(41VB)은, 엔진제어상태 표시영역(41e)을 생략하고, 배기가스필터상태 표시영역(41nB)을 추가한 점에서, 도 6의 표시화면(41V)과 상이하다.
배기가스필터상태 표시영역(41nB)은, 현재의 배기가스필터상태를 화상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배기가스필터의 허용 최대 사용시간에 대한 현재의 사용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배기가스필터는 요소수의 분사장치보다 엔진측에 배치된다. 또, 배기가스필터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차압이 엔진제어장치(ECU)(74)를 통하여 컨트롤러(30)로 입력된다. 그리고, 요소수의 잔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과 함께, 컨트롤러(30)는, 차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변환처리부(40a)로 송신한다. 변환처리부(40a)는, 수신한 그 차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화상을 화상표시부(41) 상에 표시시킨다.
또, 표시화면(41VB)은, 냉각수온 표시영역(41gB), 연료잔량 표시영역(41hB),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B), 작동유온 표시영역(41kB)에 있어서의 세그먼트표시가, 소정 원의 원주방향이 아니라, 도의 상하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점에서, 도 6의 표시화면(41V)과 상이하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화상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표시화면의 또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9는, 표시화면(41VC)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 도 9의 표시화면(41VC)은, 도 6의 표시화면(41V)에 대응한다. 그로 인하여, 도 9의 표시화면(41VC)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참조부호는, 도 6의 표시화면(41V)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참조부호의 말미에 “C”를 붙여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화면(41VC)은, 좌측 절반에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C1)을 배치하고, 우측 절반에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C2)을 배치하는 점에서, 도 6의 표시화면(41V)과 상이하다.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C1)은, 쇼벨이 가동하고 있는 동안은 항상 후방 감시카메라(80B)가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표시한다. 또,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C2)은, 쇼벨이 가동하고 있는 동안은 항상 우측방 감시카메라(80R)(도 3 및 도 4 참조)가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표시한다. 다만, 표시화면(41VC)은, 후방 감시카메라(80B)가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우측 절반에 표시하고, 좌측방 감시카메라(80L)(도 3 및 도 4 참조)가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좌측 절반에 표시해도 된다. 또, 표시화면(41VC)은, 3개 이상의 카메라의 각각이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화면(41VC)은, 좌측방 감시카메라(80L)가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좌측의 3분의 1에 표시하고, 후방 감시카메라(80B)가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중앙의 3분의 1에 표시하며, 우측방 감시카메라(80R)가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우측의 3분의 1에 표시해도 된다. 또, 표시화면(41VC)은, 복수의 카메라의 각각이 촬상한 복수의 카메라화상을 합성하여 생성되는 시점변환화상, 조감화상 등의 합성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또, 표시화면(41VC)은, 그 상측가장자리부분에 그 외의 표시영역(41aC~41kC)을 배치하여, 연료잔량 표시영역(41hC),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C), 작동유온 표시영역(41kC)에 있어서의 세그먼트표시가, 도면의 좌우방향을 따라 신축하도록 배치된다. 다만, 표시화면(41VC)에서는, 평균연비 표시영역, 엔진작동시간 표시영역, 및 냉각수온 표시영역이 생략되어 있다.
또,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C1, 41mC2)의 하부에는, 상부선회체(3)의 커버(3a)의 후측단의 상측가장자리, 우측단의 상측가장자리가 각각 포함된다. 이로써, 화상표시장치(40)는,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C1, 41mC2)에 표시되는 물체와 쇼벨의 사이의 거리감을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좌측방 감시카메라(80L)가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카메라화상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화상표시장치(40)는,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캐빈(10) 내에 있는 운전자가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연료의 잔량상태와 함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캐빈(10) 내에 있는 운전자가 연료의 잔량상태와 함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촬상장치(80)가 촬상한 카메라화상과 함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캐빈(10) 내에 있는 운전자가 사각(死角)영역을 감시하면서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화상표시장치(40)는, 후방 감시카메라(80B)가 촬상한 카메라화상과 함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캐빈(10) 내에 있는 운전자가 쇼벨의 후방을 감시하면서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엔진(11)의 냉각수의 온도상태와 함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캐빈(10) 내에 있는 운전자가 냉각수의 온도상태와 함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작동유의 온도상태와 함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캐빈(10) 내에 있는 운전자가 작동유의 온도상태와 함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캐빈(10) 내에 있는 운전자가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보다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도 9의 예에서는, 화상표시장치(40)는, 가로로 긴 표시화면(41VC)의 좌측에후방 감시카메라(80B)의 카메라화상을 화상표시하고, 그 우측에 우측방 감시카메라(80R)의 카메라화상을 화상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화상표시장치(40)는, 2개의 카메라화상 표시영역(41mC1, 41mC2)을 합친 카메라화상 표시영역의 전역에, 후방 감시카메라(80B)의 카메라화상만을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화상표시장치(40)는, 표시화면(41VC)의 상측에 연료의 잔량상태 및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화상표시하고, 표시화면(41VC)의 하측에 후방 감시카메라(80B)가 촬상한 카메라화상을 화상표시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화상표시장치(40)는, 세로로 긴 표시화면을 이용함으로써, 연료잔량 표시영역(41hC), 요소수잔량 표시영역(41jC), 작동유온 표시영역(41kC)에 있어서의 세그먼트표시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화상표시장치(40)는,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 및 연료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를 포함하는 복수의 막대그래프가 동일한 1개의 원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그들 막대그래프를 표시한다. 그로 인하여, 화상표시장치(40)는, 좁은 표시범위에 복수의 막대그래프를 알기 쉽게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상표시장치(40)는, 프레임(필러)(10a)의 폭에 들어가 그 표시범위가 제한되는 경우이더라도, 연료의 잔량상태와 함께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알기 쉽게 운전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온도가 높을수록 이상범위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갖는 냉각수 및 작동유의 온도상태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의 각각을 동일한 1개의 원의 좌측부분 및 우측부분에 배치한다. 즉, 쌍방의 막대그래프가 상방으로 늘어나고 하방으로 줄어들도록 배치한다. 그로 인하여, 화상표시장치(40)는, 2개의 막대그래프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늘어나는 정도가 클수록 이상범위에 가까운 것을 운전자에게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잔량이 적을수록 이상범위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갖는 요소수 및 연료의 잔량상태를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의 각각을 동일한 1개의 원의 상측부분 또는 하측부분에 배치한다. 즉, 쌍방의 막대그래프가 오른쪽으로 늘어나고 왼쪽으로 줄어들도록, 혹은, 쌍방의 막대그래프가 좌측으로 늘어나고 우측으로 줄어들도록 배치한다. 그로 인하여, 화상표시장치(40)는, 2개의 막대그래프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막대그래프가 늘어나는 정도가 작을수록(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가까울수록) 이상범위에 가까운 것을 운전자에게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쇼벨에 탑재되는 화상표시장치(40)의 표시화면의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화상표시장치(40)에서 표시되는 표시화면은, 쇼벨과 무선통신하는 관리장치에서 표시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상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을 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표시장치(40)는, 각 막대그래프의 바(신축부분)를 항상 동일한 색으로 표시하지만, 각 막대그래프가 표현하려고 하는 상태의 레벨에 따라 그 신축부분의 색을 변화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화상표시장치(40)는, 그 레벨이 정상범위에 속할 때는 그 신축부분을 녹색으로 표시하고, 그 레벨이 주의범위에 속할 때는 그 신축부분을 황색으로 표시하며, 그 레벨이 이상범위에 속할 때는 그 신축부분을 적색으로 표시해도 된다. 또, 화상표시장치(40)는, 각 막대그래프가 표현하려고 하는 상태의 레벨이 이상범위에 속할 때 그 신축부분 또는 막대그래프 전체를 점멸시켜도 된다.
또, 본원은, 2013년 7월 17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13-148883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들 일본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원에 참조로 원용한다.
1 하부주행체
1A, 1B 주행용 유압모터
2 선회기구
2A 선회용 유압모터
3 상부선회체
3a 커버
4 붐
5 암
6 버킷
7 붐실린더
8 암실린더
9 버킷실린더
10 캐빈
10a 프레임
11 엔진
11x 배기관
14 메인펌프
14a 레귤레이터
14b 토출압력센서
14c 유온센서
15 파일럿펌프
15a, 15b 유압센서
16 고압유압라인
17 컨트롤밸브
25 파일럿라인
26 조작장치
26A, 26B 레버
26C 페달
30 컨트롤러
30a 일시기억부
40 화상표시장치
40a 변환처리부
41 화상표시부
41V, 41VA, 41VB, 41VC 표시화면
41a 일시 표시영역
41b 주행모드 표시영역
41c 어태치먼트 표시영역
41d 평균연비 표시영역
41e 엔진제어상태 표시영역
41f 엔진작동시간 표시영역
41g 냉각수온 표시영역
41h 연료잔량 표시영역
41i 회전수모드 표시영역
41j 요소수잔량 표시영역
41k 작동유온 표시영역
41m 카메라화상 표시영역
41nB 배기가스필터상태 표시영역
42 입력부, 스위치패널
42a 라이트스위치
42b 와이퍼스위치
42c 윈도와셔스위치
50 환원제수용부, 요소수탱크
50a 환원제수용량 검출부, 요소수잔량센서
50x 요소수공급관
51 요소수분사장치
52 NOx 환원촉매
55 연료수용부, 연료탱크
55a 연료수용량 검출부, 연료잔량센서
60 운전석
70 축전지
72 전장품
74 엔진제어장치(ECU)
75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
80 촬상장치
80B 후방 감시카메라
80L 좌측방 감시카메라
80R 우측방 감시카메라

Claims (9)

  1. 운전자가 조작하여 작업을 행하는 쇼벨로서,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 상에 탑재된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배치된 내연기관과,
    상기 내연기관의 동력에 의하여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에 의하여 구동하는 유압액추에이터와,
    상기 내연기관의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수용부와,
    상기 연료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료의 잔량상태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와,
    선택촉매환원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환원제를 수용하는 환원제수용부와,
    상기 환원제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환원제의 잔량상태를 검출하는 제2 검출부와,
    캐빈 내에 설치되는 화상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연료의 잔량상태와 함께 상기 환원제의 잔량상태를 화상표시하는 쇼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쇼벨의 가동 중에, 후방 감시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을 화상표시하는 쇼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화상표시부의 표시영역에 있어서의 운전석에 가까운 측에 상기 연료의 잔량상태 및 상기 환원제의 잔량상태를 화상표시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있어서의 운전석으로부터 먼 측에 후방 감시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을 화상표시하는 쇼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에 있어서의 냉각회로의 냉각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3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연료의 잔량상태 및 상기 환원제의 잔량상태와 함께, 상기 냉각매체의 온도상태를 화상표시하는 쇼벨.
  5. 제 1 항에 있어서,
    어태치먼트를 구동하는 작동유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4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연료의 잔량상태 및 상기 환원제의 잔량상태와 함께, 상기 작동유의 온도상태를 화상표시하는 쇼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연료의 잔량상태 및 상기 환원제의 잔량상태와 함께, 상기 쇼벨의 누적가동시간을 화상표시하는 쇼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연료의 잔량상태 및 상기 환원제의 잔량상태를 막대그래프로 화상표시하는 쇼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그래프는, 소정의 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쇼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는, 상기 화상표시부의 표시영역의 상측에 상기 연료의 잔량상태 및 상기 환원제의 잔량상태를 화상표시하고, 상기 표시영역의 하측에 후방 감시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을 화상표시하는 쇼벨.
KR1020167001102A 2013-07-17 2014-07-08 쇼벨 KR102137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48883 2013-07-17
JP2013148883A JP6505356B2 (ja) 2013-07-17 2013-07-17 ショベル
PCT/JP2014/068129 WO2015008655A1 (ja) 2013-07-17 2014-07-08 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944A true KR20160030944A (ko) 2016-03-21
KR102137299B1 KR102137299B1 (ko) 2020-07-23

Family

ID=5234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102A KR102137299B1 (ko) 2013-07-17 2014-07-08 쇼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7184B2 (ko)
EP (1) EP3023552B1 (ko)
JP (1) JP6505356B2 (ko)
KR (1) KR102137299B1 (ko)
CN (1) CN105392943A (ko)
WO (1) WO2015008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562B1 (ko) * 2012-12-24 2019-07-2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감지 장치 및 방법
JP5876571B2 (ja) * 2014-02-18 2016-03-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用表示装置及び作業車両
CN107532400A (zh) 2015-03-19 2018-01-02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JP6689044B2 (ja) * 2015-08-18 2020-04-28 株式会社竹内製作所 作業用車両
EP3351692A4 (en) 2015-09-15 2018-09-05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hovel
JP6938389B2 (ja) * 2016-01-29 2021-09-22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の周囲を飛行する自律式飛行体
WO2017170900A1 (ja) * 2016-03-31 2017-10-05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KR102506636B1 (ko) * 2017-02-21 2023-03-03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CN110352281B (zh) * 2017-03-31 2022-03-11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挖土机的显示装置及挖土机的图像显示方法
KR102490735B1 (ko) * 2017-10-30 2023-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표시 장치
USD872109S1 (en) 2018-08-07 2020-01-07 Caterpillar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980642B2 (ja) * 2018-12-28 2021-12-15 株式会社クボタ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7146631B2 (ja) * 2018-12-28 2022-10-04 株式会社クボタ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6980643B2 (ja) * 2018-12-28 2021-12-15 株式会社クボタ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WO2020138462A1 (ja) * 2018-12-28 2020-07-02 株式会社クボタ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20104811A (ja) * 2018-12-28 2020-07-09 株式会社クボタ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WO2020196516A1 (ja) 2019-03-26 2020-10-01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CN111654666A (zh) * 2020-05-19 2020-09-11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托盘烟用材料余量识别系统及识别方法
CN112196641A (zh) * 2020-10-10 2021-01-08 上海星融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尿素溶液续驶里程的预测提示方法
JP7445619B2 (ja) * 2021-03-30 2024-03-07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機械用表示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用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用表示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23050799A (ja) * 2021-09-30 2023-04-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7521A (ja) * 2007-11-22 2009-06-11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車両の排ガス後処理装置
KR20110119539A (ko) * 2010-04-26 2011-11-02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JP2012002061A (ja) * 2010-05-17 2012-01-05 Isuzu Motors Ltd Scrシステム
JP2012062707A (ja) * 2010-09-17 2012-03-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JP2012122386A (ja) 2010-12-07 2012-06-28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尿素水レベル測定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694A (ja) * 2000-07-31 2002-02-15 Komatsu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02081096A (ja) * 2000-09-11 2002-03-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
JP4122251B2 (ja) * 2003-04-02 2008-07-23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3902168B2 (ja) * 2003-09-04 2007-04-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診断情報表示システム
JP3718209B2 (ja) * 2003-10-03 2005-11-24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3687917B2 (ja) * 2003-10-31 2005-08-24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液体還元剤の濃度及び残量検出装置
JP4332027B2 (ja) * 2003-12-25 2009-09-16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表示器制御システム
JP4264733B2 (ja) 2004-03-08 2009-05-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079113B2 (ja) 2004-04-19 2008-04-2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US7441189B2 (en) * 2005-06-20 2008-10-21 Navico International Limited Instrumentation interface display customization
JP4341594B2 (ja) * 2005-06-30 2009-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7331602A (ja) * 2006-06-15 2007-12-2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US8289284B2 (en) * 2007-08-09 2012-10-16 Volcano Corporation Controller user interface for a catheter lab intravascular ultrasound system
JP2008127997A (ja) * 2006-11-16 2008-06-05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5160814B2 (ja) * 2007-05-31 2013-03-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9002859A (ja) * 2007-06-22 2009-01-08 Toyota Motor Corp 車両の走行支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9121256A (ja) * 2007-11-12 2009-06-04 Toyota Motor Corp 排気浄化システム
JP2010261373A (ja) * 2009-05-08 2010-11-18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
CN201687560U (zh) * 2009-12-09 2010-12-2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选择性还原催化转换器中反应剂的剩余量显示装置
JP4938914B2 (ja) * 2009-12-18 2012-05-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モニタ装置
JP5271300B2 (ja) * 2010-03-19 2013-08-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5471831B2 (ja) * 2010-05-25 2014-04-1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Scrシステム
JP2011247232A (ja) 2010-05-31 2011-12-08 Caterpillar Sarl 作業機械
CN201736818U (zh) * 2010-06-24 2011-02-0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控制信息显示装置及其车辆
JP2012013452A (ja) 2010-06-29 2012-01-19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メータ装置
JP5341044B2 (ja) * 2010-09-29 2013-11-13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JP4948643B1 (ja) * 2010-12-24 2012-06-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ガイダンス出力装置、ガイダンス出力方法、及びガイダンス出力装置を備えた建設機械
JP5888956B2 (ja) 2011-12-13 2016-03-22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及び該ショベルの周囲画像表示方法
DE112013000265B4 (de) * 2013-12-11 2018-07-26 Komatsu Ltd. Arbeitsmaschine, Steuersystem für eine Arbeitsmaschine und Steuerverfahren für eine Arbeitsmas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7521A (ja) * 2007-11-22 2009-06-11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車両の排ガス後処理装置
KR20110119539A (ko) * 2010-04-26 2011-11-02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
JP2012002061A (ja) * 2010-05-17 2012-01-05 Isuzu Motors Ltd Scrシステム
JP2012062707A (ja) * 2010-09-17 2012-03-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JP2012122386A (ja) 2010-12-07 2012-06-28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尿素水レベル測定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3552B1 (en) 2020-11-25
JP2015021258A (ja) 2015-02-02
US20160125666A1 (en) 2016-05-05
WO2015008655A1 (ja) 2015-01-22
KR102137299B1 (ko) 2020-07-23
JP6505356B2 (ja) 2019-04-24
EP3023552A1 (en) 2016-05-25
CN105392943A (zh) 2016-03-09
US10497184B2 (en) 2019-12-03
EP3023552A4 (en)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299B1 (ko) 쇼벨
EP3135827B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2333783B1 (ko) 건설기계 및 건설기계의 제어방법
JP6366989B2 (ja) 建設機械
US10927528B2 (en) Shovel
EP3438356B1 (en) Shovel
JP7416685B2 (ja) ショベル
KR102493019B1 (ko) 쇼벨, 쇼벨의 표시장치 및 쇼벨의 표시방법
JP7219262B2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用の表示装置
JP6214976B2 (ja) 建設機械
CN105040771B (zh) 建筑机械
JP6537782B2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