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735B1 - 자동차의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735B1
KR102490735B1 KR1020170142523A KR20170142523A KR102490735B1 KR 102490735 B1 KR102490735 B1 KR 102490735B1 KR 1020170142523 A KR1020170142523 A KR 1020170142523A KR 20170142523 A KR20170142523 A KR 20170142523A KR 102490735 B1 KR102490735 B1 KR 102490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fuel
vehicle
amount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043A (ko
Inventor
성태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735B1/ko
Priority to US16/155,073 priority patent/US10648845B2/en
Publication of KR2019004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01F23/802Particular electronic circuits for digital processing equipment
    • G01F23/804Particular electronic circuits for digital processing equipment containing circuits handling parameters other than liquid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60K37/0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weight, e.g. to determine the level of stored liquefied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60K2350/1028
    • B60K2350/20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8Target or limit va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4Economic dri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특성을 디지털로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제2 특성을 스칼라 값으로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제3 특성을 회전각으로 표시하는 제3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특성 내지 제3 특성이 하나의 표시 유닛 내에 구비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표시 장치{DISPLAY DEVICE OF A VEHICLE}
실시예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속력 표시부 내지 RPM 표시부 또는 연료량 표시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앞에 구비되는 계기판 내지 클러스터는, 자동차를 최적의 상태로 운전할 수 있도록, 또한 안전운전을 위하여 운전중에 자동차의 상황을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각종 표시부가 장착된다.
클러스터는 엔진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RPM 표시부와, 연비 표시부와, 차량의 속력를 표시하는 속력 표시부와, 차량의 총주행거리를 표시하는 적산거리표시부 및 잔여 연료량을 나타내는 연료량 표시부 등을 포함한다.
클러스터에는 클러스터 콘트롤러가 내장되어 있어서, 엔진의 ECU 또는 PCU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 자동차의 속력 및 적산거리 등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의 클러스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클러스터에서는 적산거리만을 표시할 뿐, 차량의 주행에 따른 연료사용량과 그에 따른 연료소비금액을 알기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은 특히 장거리 운전시나 매월 연료사용량을 계산할 필요가 있을 때에, 그때마다의 연료소비량을 계산하고, 그에 따른 리터당 연료비를 확인하여 산출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특히 연료소비량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어려운 문제 때문에 부정확한 값이 산출되고는 한다.
또한, RPM은 차량의 연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따로 표시되어, 운전자가 고속으로 자동차를 운전 중에 RPM와 연비를 함께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잔여 연료량만이 표시되어, 잔여 연료로 목적 거리에 도달할 수 있는지 또한 도달할 수 없다면 얼마만큼 주유를 추가로 하여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그리고, 운전자가 특정 지점에 도달하고자 할 경우, 해당 지점까지 필요한 연료량과 충전 금액과 예상 충전 시간 및 예상 평균 연비를 파악하기도 어렵다.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운전자가 특히 장거리 운전시에 차량의 주행에 따른 연료사용량과 그에 따른 연료소비금액을 함께 파악할 수 있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운전자가 고속으로 자동차를 운전 중에 RPM와 연비를 함께 파악할 수 있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운전자가 잔여 연료로 목적 거리에 도달할 수 있는지 또한 도달할 수 없다면 얼마만큼 주유를 추가로 하여야 하는지 판단하기 쉬운 자동차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운전자가 특정 지점에 도달하고자 할 경우, 해당 지점까지 필요한 연료량과 주유금액과 예상 충전 시간 및 예상 평균 연비를 쉽게 파악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운전자의 목표 도착 지점이 정하여지지 않은 경우에도, 현재의 연료량과 풀 연료량과 일부 충전 연료량과 각각의 충전에 따른 예상 충전 금액을 표시하여, 운전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특성을 디지털로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제2 특성을 스칼라 값으로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제3 특성을 회전각으로 표시하는 제3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특성 내지 제3 특성이 하나의 표시 유닛 내에 구비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제1 특성 내지 제3 특성은, 각각 자동차의 평균 연비와 순간 연비 및 RPM(revoluntion per minute) 중 서로 다른 어느 하나씩일 수 있다.
제1 특성은 상기 자동차의 평균 연비이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특성은 상기 자동차의 순간 연비이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1 표시부와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시 유닛의 가장 자리 영역 방향으로 상기 제2 특성을 스칼라 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는 제1 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스칼라 값은 상기 제1 색과 다른 제2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3 특성은 상기 자동차의 RPM(revoluntion per minute)이고, 상기 제3 표시부는 상기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기설정된 각도 내에 배치된 원주 상에 구비되는 스케일(scale)일 수 있다.
제2 표시부는 회전자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자는 일단이 상기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고 끝단이 상기 스케일과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의 끝단이 상기 자동차의 RPM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특성 내지 제3 특성은, 각각 자동차의 평균 연비와 순간 연비 및 순간 속력 중 서로 다른 어느 하나씩일 수 있다.
제3 특성은 상기 자동차의 순간 속력이고, 상기 제3 표시부는 상기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기설정된 각도 내에 배치된 원주 상에 구비되는 스케일(scale)일 수 있다.
제2 표시부는 회전자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자는 일단이 상기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고 끝단이 상기 스케일과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의 끝단이 상기 자동차의 순간 속력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잔여 연료량을 표시하는 제4 표시부; 상기 잔여 연료량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는 제5 표시부; 및 기설정된 도착 지점을 상기 제5 표시부와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6 표시부가 하나의 표시 유닛 내에 구비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제5 표시부는, 상기 도착 지점에 도달한 후 상기 잔여 연료량에 따른 상기 자동차의 전체 주행 가능 거리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제5 표시부는, 상기 주행 가능 거리와 상기 전체 주행 가능 거리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주행 가능 거리와 상기 전체 주행 가능 거리를 스칼라로 표시하고, 상기 주행 가능 거리와 상기 전체 주행 가능 거리를 디지털로 표시하는 제7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표시부는 풀 주유를 위한 제1 연료비와 상기 기설정된 도착 지점에 도달을 위한 제2 연료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1,2 연료비는 상기 자동차와 최인접한 주유소의 유가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4 표시부는 풀 주유시의 제1 충전 예상시간과 현재 연료량에 따른 제2 충전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1,2 예상 시간은 상기 자동차의 표준 연비와 규정 속력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풀 연료량과 적어도 하나의 충전 연료량 및 현재 연료량을 표시하는 제11 표시부; 상기 제11 표시부의 연료량에 대한 연료비를 각각 표시하는 제12 표시부; 및 상기 제11 표시부의 연료량 각각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는 제13 표시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제11 표시부의 연료량 각각에 따른 예상 충전 시간을 표시하는 제14 표시부; 및 상기 연료량의 변화에 따른 연비의 변화를 표시하는 제15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상 충전 시간은 상기 자동차에서 제공되는 예상 충전 시간과 충전기에서 제공되는 예상 충전 시간으로부터 설정되고, 상기 연비의 변화는 상기 연료량의 변화에 따른 상기 자동차의 중량 변화를 반영하는 설정될 수 있다.
제11 표시부는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고, 탑승자가 상기 제1 표시부에서 특정 연료량을 터치하면,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특정 연료량에 대한 제13 연료비를 표시하고, 상기 제13 표시부는 상기 특정 연료량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고, 상기 제14 표시부는 상기 특정 연료량에 따른 예상 충전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연료량에 대한 결재 금액을 표시하는 제16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표시 장치는 하나의 표시 유닛 내에, 자동차의 RPM과 순간 연비와 평균 연비가 함께 표시되고 특히 서로 다른 특성으로 표시되어 운전자가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표시 장치는, 운전자 내지 동승자가 클러스터나 또는 네비게이션에서 일정 연료량을 터치 등의 방법으로 결정하면, 그에 따른 연료비와 주행 가능 거리와 주행 가능 시간 및 예상되는 평균 연비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표시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자동차의 표시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방법과 차량 제어기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지 이들로부터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배치하다' 또는 '이루어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단수 표현인 '상기'는 아래위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또는/및'은 열거되는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표시 장치(1000)는, 자동차의 클러스터에 표시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등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네비게이션이 구비되지 않은 차량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자동차 외에 연료에 의하여 속력를 가지고 움직이는 이동 수단 예를 들면 비행기 등에 사용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표시 장치(1000)는 제1 특성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1100)와, 제2 특성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1200) 및 제3 특성을 표시하는 제3 표시부(1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특성 내지 제3 특성은 자동차의 특히 주행과 관련한 서로 다른 특성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각각 자동차의 평균 연비와 순간 연비 및 RPM(revoluntion per minute) 중 서로 다른 어느 하나씩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부 내지 제3 표시부(1100~1300)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제1 특성 내지 제3 특성을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지털과 스칼라 값과 회전각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표시부 내지 제3 표시부는 하나의 표시 유닛 내에 표시될 수 있다. 하나의 표시 유닛이라 함은, 자동차의 예를 들면 클러스터 내에서 하나로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1 표시부(1100)는 제1 특성을 디지털로 표시하였으며, 제1 특성은 자동차의 평균 연비일 수 있다. 제2 표시부(1200)는 자동차의 제2 특성을 스칼라 값으로 표시하고, 제2 특성은 예를 들면 순간 연비일 수 있다. 제3 표시부(1300)는 자동차의 제3 특성을 회전각으로 표시하고, 제3 특성은 예를 들면 RPM(revolution per minute)일 수 있다.
제1 표시부(1100)는 하나의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로 자동차의 평균 연비를 표시하고 있다. 평균 연비는 예를 들를, 자동차의 엔진을 켠 후의 평균 연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에서 표시 장치(1000)의 하부 영역에는 자동차의 잔여 연료량이 제4 표시부(150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연료는 휘발유 등의 화석 연료 외에 차량에 충전되는 전기, 수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제3 표시부(1300)은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 즉 제1 표시부(1100)를 중심으로 하여, 제1 표시부(110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원주 상에서 일정 각도 내에 배치되는 스케일(scale)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3 표시부(1300)는 자동차의 RPM을 나타내며, 제2 표시부(1200)를 이루는 바늘 형상의 회전자가 회전할 때 회전자의 일단은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 즉 제1 표시부(1100)에 고정되고, 회전자의 끝단이 상술한 스케일을 가리키며 회전하여 자동차의 RPM을 가리키며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1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늘 형상의 회전자일 수 있는데, 일정 폭을 가진 긴 직사각형과 유사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시부(1200)는 제1 표시부(1100)와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표시 유닛의 가장 자리 영역의 제3 표시부(1300)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부(1200)는 제1 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상술한 스칼라 값인 자동차의 순간 연비는 상기 제1 색과 다른 제2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색과 제2 색은 서로 구분이 쉬운 색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서로 보색일 수 있다.
제1 색은 제2 표시부(1200)의 테두리가 일정한 색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고, 제2 색은 제2 표시부(1200)의 중심에 라인(line) 형상으로 발광소자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 등이 구비되어 구현될 수 있다.
자동차의 순간 연비가 제로(zero)일 때 제2 색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고, 순간 연비가 최대치에 도달할 때 제2 색이 가장 길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1200)는 제2 색의 길이에 의하여 순간 연비를 표시하고 회전각도에 의하여 RPM을 표시하므로, 제2 표시부(1200)의 색 변화와 회전각은 벡터 값으로 순간 연비와 RPM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제2 표시부(1200)의 위치 내지 형상이 3개의 부분에 예시되고 있다. 제1 예(1210)의 경우 순간 연비는 최대치를 나타내고 RPM은 제로일 수 있고, 제2 예(1220)는 순간 연비가 최대치보다 적고 RPM은 30(×1000)일 수 있으며, 제3 예(1230)는 순간 연비가 가장 적고 RPM은 55(×100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표시 장치는 하나의 표시 유닛 내에, 자동차의 RPM과 순간 연비와 평균 연비가 함께 표시되고 특히 서로 다른 특성으로 표시되어 운전자가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자동차의 표시 장치(1400)는, 잔여 연료량을 표시하는 제4 표시부(1410)와, 상술한 잔여 연료량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는 제5 표시부(1420), 및 기설정된 도착 지점을 표시하는 제6 표시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표시부(1410)에서 잔여 연료량은 연료가 가득참을 뜻하는 'F'와 연료가 없음을 뜻하는 'E'의 사이에서 스칼라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6 표시부(1430)는 제5 표시부(1420)와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5 표시부(1420)는 잔여 연료량에 따른 주행 거리를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과 스칼라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6 표시부(1430)에서 기설정된 도착 지점을 깃발 형식으로 표시하며, 특히 제5 표시부(1420)에서 표시되는 잔여 연료량에 따른 주행 거리와 도착 지점이 중첩되어 표시되면 운전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잔여 연료량에 따른 주행 거리는, 자동차의 공인 연비 또는 운행 평균 연비와 현재의 연료량에 따라 계산된 것이며, 운전자가 네이게이션 등에서 목적이로 설정한 곳이 도착 지점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운행 평균 연비는 해당 자동차의 운행에 따라 계산된 평균 연비일 수 있다.
도 2에서 제6 표시부(1430)에 도착 지점을 뜻하는 깃발을 사이에 두고 각각 20km(킬로미터)와 35km가 표시되고 있으며, 이 영역을 제7 표시부라고 할 수도 있다. 여기서, 20km는 도착 지점까지의 거리를 뜻하고, 35km는 도착 지점에 도달한 후 잔여 연료량에 따른 자동차의 추가거리를 뜻한다. 여기서, 20km를 주행 가능 거리라 하고 35km를 전체 주행 가능 거리라 할 수 있다.
제5 표시부(1420)에서 주행 가능 거리와 전체 주행 가능 거리가 그래프 형식의 스칼라 값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쉽게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도 3의 자동차의 표시 장치(2400)는, 잔여 연료량을 표시하는 제4 표시부(2410)를 포함하고, 제4 표시부(2410)는 잔여 연료량 외에 제1,2 연료비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연료비는 풀(F) 주유를 위한 비용이고 도 3에서는 일 예로 54,320원이 표시되고 있다. 제2 연료비는 기설정된 도착 지점에 도달을 하기 위한 연료비일 수 있다. 제1,2 연료비는 네비게이션 등의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자동차와 최인접한 주유소의 유가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전국 평균 유가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료비 외에, 제4 표시부(2410)의 각 스케일(scale)까지 주유할 때의 비용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 연료비 등은 디지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4 표시부(2410)의 상부의 제1 영역(2450)에는 유가가 표시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등의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자동차와 최인접한 주유소의 유가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전국 평균 유가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450)에는 상기 유가 정보와 일치하는 해당 주유소의 명칭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의 자동차의 표시 장치(3400)는, 잔여 연료량을 표시하는 제4 표시부(3410)를 포함하고, 제4 표시부(3410)는 잔여 연료량 외에 제1,2 충전비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충전비는 풀(F) 충전을 위한 비용이고 도 4에서는 일 예로 5,320원이 표시되고 있다. 제2 연료비는 각 스케일까지 충전을 위한 충전비용일 수 있다. 그리고, 제1,2 충전비와 함께 해당 충전 후 자동차의 주행 가능 시간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제4 표시부(3410)의 상부의 제1 영역(3450)에는 충전비가 표시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등의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자동차와 최인접한 충전소의 유가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전국 평균 충전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제4 표시부(3410)에 표시되는 제1,2 충전비의 아래에는 시간이 표시되고 있다. 제1 충전비의 아래에 표시되는 제1 주행 가능 시간은 풀(F) 충전 후에 자동차가 추가 충전 없이 주행할 수 있는 시간을 나타내고, 제2 충전비의 아래에 표시되는 제2 주행 가능 시간은 제2 충전비만큼 충전 후에 자동차가 추가 충전 없이 주행할 수 있는 시간이다.
이때, 제1,2 주행 가능시간은 자동차의 표준 연비와 규정 속력를 기준으로 계산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2 주행 가능 시간은 자동차의 표준 연비 대신에 운전자의 운전 습성을 고려한 평균 연비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자동차의 표시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자동차의 표시 장치(400)는, 제11 표시부 내지 제16 표시부(4100~4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표시부(4100)는 풀(full) 연료량과 현재의 연료량 및 적어도 하나의 특정 연료량, 예를 들면 50% 충전, 58% 충전 및 83% 충전 등을 나타낼 수 있고, 상부에는 디지털로 표시되고 하부에는 스칼라 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50% 충전량은 풀 연료량에 대하여 50%를 충전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12 표시부(4200)는 제11 표시부(4000)의 연료량에 대한 제11 연료비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즉, 제11 표시부(4100)에서 연료를 각각 25%, 50%, 58%, 82% 및 100% 채우거나 충전할 때 각각의 연료비가 제12 표시부(4200)에 표시되고 있다. 여기서, 연료비는 자동차와 최인접한 주유소의 유가 정보를 기준으로 계산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제13 표시부(4300)는 제11 표시부(4100)의 연료량 각각에 대한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고 있으며, 또한 제12 표시부(4200)에 표시된 연료비만큼 연료를 주유 또는 충전한 후의 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를 나타낸다.
제14 표시부(4400)는 제11 표시부(4100)의 각각의 연료량에 대한 예상 충전 시간을 표시하고 있으며, 또한 제12 표시부(4200)에 표시된 연료비만큼 연료를 주유 또는 충전한 후의 자동차의 주행 가능 시간을 나타낸다. 여기서, 주행 가능 시간은 자동차의 표준 연비 또는 운전자의 운전 습성을 고려한 평균 연비와 규정 속력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상 충전 시간은, 자동차에서 제공되는 예상 충전 시간과 충전기에서 제공되는 예상 충전 시간으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제15 표시부(4500)는 연료량의 변화에 따른 자동차의 연비의 변화를 표시할 수 있는데, 동일 자동차라도 연료량의 변화에 따라 중량이 변화되어 연비가 변화될 수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제11 표시부(4100)는 터치 패널(touch pan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운전자 등 자동차의 탑승자가 제11 표시부(4100)에서 풀 연료량과 현재 연료량 사이의 특정 연료량을 터치하면, 제12 표시부 내지 제15 표시부(4200~4500)도 그에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제11 표시부(4100)에서 주유량 82%로 터치 내지 드래그(drag)하면, 제12 표시부(4200)에서는 연료비 50,000원을 표시하고, 제13 표시부(4300)에서는 추행 가능 거리 412km를 표시하고, 제14 표시부(4400)에서는 예상 충전 시간 2시간 30분을 표시하고, 제15 표시부(4500)에서는 예상되는 연비인 15km/L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6 표시부(4600)에서는 각 연료량(주유금액)에 대한 결재창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의 경우 운전자가 제2 표시부(4200)의 50,000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터치할 수 있다. 만약, 본 표시 장치(4000), 특히 제16 표시부(4600)가 네비게이션에 구비될 경우, 무선 통신을 통하여 주유량을 결정하고 결재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유 금액(충전 금액)이 복수 개로 표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주유 금액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와 예상 충전 시간과 예상 평균 연비도 복수 개가 표시될 수 있어서, 운전자에게 다양한 주유량(주유금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유 금액을 표시할 때 화폐 단위로 10,000원이나 50,000원 등 잔돈이 필요 없는 단위를 제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표시 장치는, 운전자 내지 동승자가 클러스터나 또는 네비게이션에서 일정 연료량을 터치 등의 방법으로 결정하면, 그에 따른 연료비와 주행 가능 거리와 주행 가능 시간 및 예상되는 평균 연비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0, 1400, 2400, 3400, 4000: 표시 장치
1100: 제1 표시부 1200: 제2 표시부
1210~1230: 제1~3 예 1300: 제3 표시부
1410, 2410, 3410: 제4 표시부
1420: 제5 표시부 1430: 제6 표시부
2450, 3450: 제1 영역 4100~4600: 제11~16 표시부

Claims (20)

  1. 자동차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특성을 디지털로 표시하는 제1 표시부;
    제2 특성을 스칼라 값으로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제3 특성을 회전각으로 표시하는 제3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특성 내지 제3 특성이 하나의 표시 유닛 내에 구비되며,
    풀 연료량과 적어도 하나의 충전 연료량 및 현재 연료량을 표시하는 제11 표시부;
    상기 제11 표시부의 연료량에 대한 연료비를 각각 표시하는 제12 표시부; 및
    상기 제11 표시부의 연료량 각각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는 제13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성 내지 제3 특성은, 각각 자동차의 평균 연비와 순간 연비 및 RPM(revolution per minute) 중 서로 다른 어느 하나씩인 자동차의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성은 상기 자동차의 평균 연비이고,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특성은 상기 자동차의 순간 연비이고,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제1 표시부와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표시 유닛의 가장 자리 영역 방향으로 상기 제2 특성을 스칼라 값으로 표시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제1 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스칼라 값은 상기 제1 색과 다른 제2 색으로 표시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특성은 상기 자동차의 RPM(revolution per minute)이고, 상기 제3 표시부는 상기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기설정된 각도 내에 배치된 원주 상에 구비되는 스케일(scale)인 자동차의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회전자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자는 일단이 상기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고 끝단이 상기 스케일과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의 끝단이 상기 자동차의 RPM을 표시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성 내지 제3 특성은, 각각 자동차의 평균 연비와 순간 연비 및 순간 속력 중 서로 다른 어느 하나씩인 자동차의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특성은 상기 자동차의 순간 속력이고, 상기 제3 표시부는 상기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기설정된 각도 내에 배치된 원주 상에 구비되는 스케일(scale)인 자동차의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는 회전자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자는 일단이 상기 표시 유닛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고 끝단이 상기 스케일과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자의 끝단이 상기 자동차의 순간 속력을 표시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잔여 연료량을 표시하는 제4 표시부;
    상기 잔여 연료량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는 제5 표시부; 및
    기설정된 도착 지점을 상기 제5 표시부와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6 표시부가 하나의 표시 유닛 내에 구비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표시부는, 상기 도착 지점에 도달한 후 상기 잔여 연료량에 따른 상기 자동차의 전체 주행 가능 거리를 더 표시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표시부는, 상기 주행 가능 거리와 상기 전체 주행 가능 거리를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가능 거리와 상기 전체 주행 가능 거리를 스칼라로 표시하고, 상기 주행 가능 거리와 상기 전체 주행 가능 거리를 디지털로 표시하는 제7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15. 제1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표시부는 풀 주유를 위한 제1 연료비와 상기 기설정된 도착 지점에 도달을 위한 제2 연료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1,2 연료비는 상기 자동차와 최인접한 주유소의 유가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16. 제1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표시부는 풀 주유시의 제1 충전 예상시간과 현재 연료량에 따른 제2 충전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1,2 예상 시간은 상기 자동차의 표준 연비와 규정 속력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17. 삭제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표시부의 연료량 각각에 따른 예상 충전 시간을 표시하는 제14 표시부; 및
    상기 연료량의 변화에 따른 연비의 변화를 표시하는 제15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상 충전 시간은 상기 자동차에서 제공되는 예상 충전 시간과 충전기에서 제공되는 예상 충전 시간으로부터 설정되고,
    상기 연비의 변화는 상기 연료량의 변화에 따른 상기 자동차의 중량 변화를 반영하는 설정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표시부는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고,
    탑승자가 상기 제11 표시부에서 특정 연료량을 터치하면, 상기 제12 표시부는 상기 특정 연료량에 대한 연료비를 표시하고, 상기 제13 표시부는 상기 특정 연료량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고, 상기 제14 표시부는 상기 특정 연료량에 따른 예상 충전 시간을 표시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료량에 대한 결재 금액을 표시하는 제16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표시 장치.
KR1020170142523A 2017-10-30 2017-10-30 자동차의 표시 장치 KR102490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23A KR102490735B1 (ko) 2017-10-30 2017-10-30 자동차의 표시 장치
US16/155,073 US10648845B2 (en) 2017-10-30 2018-10-09 Display device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23A KR102490735B1 (ko) 2017-10-30 2017-10-30 자동차의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43A KR20190048043A (ko) 2019-05-09
KR102490735B1 true KR102490735B1 (ko) 2023-01-20

Family

ID=6624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523A KR102490735B1 (ko) 2017-10-30 2017-10-30 자동차의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48845B2 (ko)
KR (1) KR102490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3563B2 (en) * 2019-07-10 2022-09-13 Toyota North America, Inc. Driving range based on past and future data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109A (ja) 2000-02-17 2001-08-24 Toyota Motor Corp 運転状態報知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燃料電池搭載車両
JP2003035571A (ja) 2001-07-18 2003-02-07 Denso Corp 指針計器
JP2004236472A (ja) 2003-01-31 2004-08-19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JP2006023141A (ja) 2004-07-07 2006-01-26 Hitachi Ltd 車両の燃料情報出力装置
JP2010286257A (ja) * 2009-06-09 2010-12-24 Yazaki Corp 自動車用計器、及び、自動車用計器の表示方法
JP2011214913A (ja) * 2010-03-31 2011-10-27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360B1 (ko) * 1996-08-28 1999-06-15 정몽규 다기능 계기판
KR19990031035U (ko) * 1997-12-30 1999-07-26 양재신 자동차용 항법 장치를 이용한 연료 소비량 확인 장치
US6812942B2 (en) * 2000-12-28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responsive in-vehicle display system
JP4622751B2 (ja) * 2005-09-02 2011-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5215204B2 (ja) * 2009-01-29 2013-06-1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表示構造
US20140002256A1 (en) * 2011-03-24 2014-01-02 Toyota Jidosha Kabushki Kaisha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US9269169B2 (en) * 2012-10-23 2016-02-23 Denso Corporation 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display control unit
JP6505356B2 (ja) * 2013-07-17 2019-04-24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JP2015230540A (ja) * 2014-06-04 2015-12-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触覚呈示装置
KR20170034477A (ko) * 2015-09-21 201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80032109A (ko) * 2016-09-21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109A (ja) 2000-02-17 2001-08-24 Toyota Motor Corp 運転状態報知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燃料電池搭載車両
JP2003035571A (ja) 2001-07-18 2003-02-07 Denso Corp 指針計器
JP2004236472A (ja) 2003-01-31 2004-08-19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JP2006023141A (ja) 2004-07-07 2006-01-26 Hitachi Ltd 車両の燃料情報出力装置
JP2010286257A (ja) * 2009-06-09 2010-12-24 Yazaki Corp 自動車用計器、及び、自動車用計器の表示方法
JP2011214913A (ja) * 2010-03-31 2011-10-27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43A (ko) 2019-05-09
US10648845B2 (en) 2020-05-12
US20190128725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42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porting state of charge in electric vehicles
EP2168826B1 (en) Hybrid vehicle
CN100572133C (zh) 量计显示设备及其显示方法以及装配有其的混合动力车辆
EP2172740B1 (en) Map display device, map display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tangible medium
US9213670B2 (en) Method and user interface system of a vehicle for providing an energy level gauge relative to a vehicle range meter
US1113881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nd reporting electric vehicle range while towing
US20160063772A1 (en) Instantaneous Status To Target Gauge For Vehicle Application
US20080270016A1 (en) Navigation System for a Vehicle
CN102602293A (zh) 用于显示电动模式状态的车辆仪表及方法
JP5621682B2 (ja) 車載用情報提示装置
US10328854B2 (en) Hybrid vehicle having notification mechanism
CN102486531A (zh) 用于计算电动车的剩余可行驶距离的装置和方法
CN106500707B (zh) 用于示出车辆中燃料里程测量的装置和方法
CN102582437A (zh) 用于车辆的信息显示器
EP2772380B1 (en) System, vehicle with such a system and method for actively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location of a refuelling access point and/or charging connector on a vehicle
JP5241604B2 (ja) 車両走行情報比較システム
JP5125964B2 (ja) 燃費モニタ表示装置
KR102490735B1 (ko) 자동차의 표시 장치
US20130162451A2 (en) Device for entering fuel price information into vehicles
JP6088092B1 (ja) 燃費計算システム
CN202518105U (zh) 一种带发动机工作时间显示的电子仪表
US9052987B2 (en) Vehicle informa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with at least two engines, motor vehicle and method
KR101393479B1 (ko)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는 차량의 운행 패턴 분석 방법 및 차량의 운행 패턴 분석하는 컴퓨터 시스템
CN112448058A (zh) 显示系统、车辆和显示二次电池的状态的方法
JP2010195156A (ja) 燃費報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