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477A -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4477A KR20170034477A KR1020150132767A KR20150132767A KR20170034477A KR 20170034477 A KR20170034477 A KR 20170034477A KR 1020150132767 A KR1020150132767 A KR 1020150132767A KR 20150132767 A KR20150132767 A KR 20150132767A KR 20170034477 A KR20170034477 A KR 201700344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charging
- service
- information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7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 B60L11/182—
-
- B60L11/1825—
-
- H02J7/025—
-
- B60L2230/1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4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ed to technical updates when adding new parts or softwa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은 충전 차량으로부터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 정보에 매칭되는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서비스 차량의 서비스 정보를 상기 충전 차량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차량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차량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차량과 상기 충전 차량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차량과 상기 충전 차량을 접근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차량과 상기 충전 차량의 주행 중 무선 충전이 수행된 후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환경적, 경제적 측면에서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하여 차량을 이동시키는 전기 자동차가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전기 충전량에 한계가 있어 장거리 운행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 인프라가 갖추어지지 못하여 보급이 지연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배터리에 경우, 특수한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급격하게 배터리가 방전되어 충전이 필요한 긴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식으로는 전기 충전소에서 전송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충전 방식과,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식이 있다.
유선 충전에 경우, 고압 전선을 사용자가 차량에 플러그 인하는 과정에서 감전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무선 충전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선 충전장비가 설치된 특정 공간에서만 충전이 가능하여, 긴급한 상황에도 충전소를 찾아가서 충전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행 중에 차량에 충전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장치는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충전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주행 충전 서비스를 요청하여 상기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차량과 내비게이션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서비스 차량과 도킹한 후 상기 무선 충전부를 통해 주행 중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주행 충전 서비스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제공장치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충전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충전 차량으로부터 주행 충전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충전 차량과 내비게이션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충전 차량과 도킹한 후 상기 무선 충전부를 통해 주행 중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주행 충전 서비스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은 충전 차량으로부터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 정보에 매칭되는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서비스 차량의 서비스 정보를 상기 충전 차량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차량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차량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차량과 상기 충전 차량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차량과 상기 충전 차량을 접근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차량과 상기 충전 차량의 주행 중 무선 충전이 수행된 후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하게 충전이 필요한 경우, 주행 중 무선 충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장치는 사용자가 적절한 조건을 갖는 충전 서비스 제공차량을 주행 중에 만나 충전을 받는 일련의 과정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제공장치는 사용자가 충전 요청이 있는 충전 차량을 만나 충전을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은 서로 매칭되는 충전 차량과 서비스 차량을 매칭시키고, 이후 결제, 보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중계 서버에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장치에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부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부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단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충전 차량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기 위한 충전 차량의 내관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장치가 주행 충전 서비스를 받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 내지 도 21은 도 13의 주행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주행 충전 서비스를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가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 내지 도 30은 도 22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3 내지 도 35는 도 32의 군집 주행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8 내지 도 41은 도 37의 군집 주행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중계 서버에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장치에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부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부로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단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충전 차량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기 위한 충전 차량의 내관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장치가 주행 충전 서비스를 받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 내지 도 21은 도 13의 주행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주행 충전 서비스를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가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 내지 도 30은 도 22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3 내지 도 35는 도 32의 군집 주행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8 내지 도 41은 도 37의 군집 주행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전기를 이용한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율 주행이 가능한 차량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LHD(Left Hand Drive)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주행 충전 장치(100)를 포함하여 주행 중에 충전 가능한 충전 차량(10), 주행 중 충전을 제공하는 주행 주행 충전 제공장치(200)를 포함하는 충전 서비스 차량(20) 및 주행 충전 서비스를 중계하는 중계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충전 차량(10)은 주행 충전 장치(100)를 이용하여 주행 중 충전이 가능한 차량일 수 있다. 즉, 충전 차량(10)은 주행 충전 장치(100)를 통해 주행 중에 전력을 수신하여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자세히, 충전 차량(10)은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이하 “서비스 차량(20)”)과 만나고 주행 중 충전을 받은 후 결제까지의 일련의 주행 충전 서비스 과정이 주행 충전 장치(1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차량(10)은 중계 서버(30) 또는/및 서비스 차량(20)으로 충전 요청을 하고, 서로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공유하여 엑세스한 후, 전기적으로 서비스 차량(20)과 도킹하여 전력을 전달 받음으로써,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차량(20)은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를 포함하여, 주행 중 충전을 요청한 충전 차량(10)에게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차량(20)은 주행 중에 충전 차량(10)으로 전력을 송신하여 충전 차량(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차량(20)은 충전에 따른 보상을 충전 차량(10) 또는/및 중계 서버(30)로부터 받음으로써,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자세히, 서비스 차량(20)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충전 차량(10)의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서로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공유하여 엑세스한 후, 전기적으로 서비스 차량(20)과 도킹하여 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차량(20)과 충전 차량(10)의 주행 충전 서비스 과정의 일부는 중계 서버(3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자세히, 서비스 차량(20)과 충전 차량(10)이 직접 서로 연결되어,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군집 주행 중에 충전이 필요한 차량이 주행 전력 송신이 가능한 서비스 차량(20)에게 직접 충전 요청하여 주행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은 군집 주행이나 인접한 거리 내에서 주행 중인 경우로, 내비게이션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상황일 수 있다.
다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넘어와, 중계 서버(30)는 서비스 차량(20)이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와 충전 차량(10)의 충전 요청 정보를 매칭하여, 서로 매칭되는 서비스 차량(20)과 충전 차량(10)을 연결시킴으로써, 주행 충전 서비스를 중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중계 서버(30)는 서버 통신부(31), 서버 제어부(32) 및 서버 저장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서버 통신부(31)는 충전 차량(10) 및 서비스 차량(20)과 무선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자세히, 서버 통신부(31)는 충전 차량(10)으로부터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요청 정보는 요청 정보는 필요 전력량, 현재 차량 위치, 이동 경로, 목적지 정보, 충전 방식 및 충전 비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1)는 서비스 차량(20)으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정보는 충전 비용, 서비스 차량(20) 위치, 서비스 차량(20)의 차종, 충전 방식, 충전 효율, 서비스 제공업체 및 서비스 만족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33)는 서버 저장부(33)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주행 충전 서비스 중계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33)는 서버 통신부(31)를 통해 전달된 충전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 저장부(33)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서버 제어부(32)는 주행 충전 서비스 중계를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32)는 요청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매칭하고, 서로 매칭되는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을 연결시켜주어, 서비스 차량(20)으로 하여금 충전 차량(10)을 주행 충전하도록 중계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 제어부(32)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중계 서버(30)가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서버 제어부(32)는 서버 통신부(31)를 통해 충전 차량(10)으로부터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101)
이때, 서버 저장부(33)에는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차량(20)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33)에는 복수의 서비스 차량(20)에 대한 서비스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버 제어부(32)는 요청 정보에 매칭되는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차량(20)을 검색할 수 있다. (S103)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32)는 충전 차량(10)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 가능 차량을 검색함으로써, 서비스 차량(20)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2)는 충전 차량의 목적지(311) 경로와 적어도 일부가 일치하는 경로를 갖는 서비스 차량(20)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2)는 충전 차량(10)이 요구한 충전 비용을 갖는 서비스 차량(20)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2)는 충전 차량(10)이 주행 충전하는 방식과 일치하는 서비스 차량(20)을 검색할 수 있다.
즉, 서버 제어부(32)는 충전 차량(10)이 요구하는 조건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차량(20)의 조건을 매칭시킴으로써, 주행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중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 제어부(32)는 서버 통신부(31)를 통해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차량(20)의 서비스 정보를 충전 차량(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서버 제어부(32)는 서비스 차량(20)의 충전 비용, 서비스 차량(20) 위치, 서비스 차량(20)의 차종, 충전 방식, 충전 효율, 서비스 제공업체 및 서비스 만족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충전 차량(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와 달리, 서버 제어부(32)는 요청 정보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 차량(20)을 직접 매칭하고 바로 서로 내비게이션 정보를 공유하도록 할 수 도 있다.
실시예에서, 중계 서버(30)는 서비스 차량(20)에 대한 추가 정보를 충전 차량(10)에 더 제공하고 표시하고 충전 차량(10)으로 하여금 서비스 차량(20)을 선택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서버 제어부(32)는 서버 통신부(31)를 통해 충전 차량(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차량(20)을 선택한 선택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109)
자세히, 충전 차량(10)은 중계 서버(30)로 전달 받은 서비스 차량(20)들 중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서비스 차량(20)을 선택하고 서버 통신부(31)로 선택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나, 직접 서비스 차량(20)으로 선택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다음, 서버 제어부(32)는 선택된 서비스 차량(20)과 충전 차량(1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차량(20)과 충전 차량(10)을 접근시키기 위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전송할 수 있다. (S111)
자세히, 서버 제어부(32)는 서비스 차량(20)의 위치, 이동방향 등의 내비게이션 정보와, 충전 차량(10)의 위치, 이동방향, 목적지 경로 등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양 차량이 서로 만날 수 있도록,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32)는 충전을 위한 도킹 위치 경로 설정, 이동 경로 재설정 및 권장속도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32)는 이를 다시 서버 통신부(31)를 통해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에 전송하여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이 만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이 도킹 위치에서 만나면, 전기적으로 도킹한 후 전력을 송수신함으로써, 주행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서버 제어부(32)는 서비스 차량(20)과 충전 차량(10)의 주행 중 무선 충전이 수행된 후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정보는 전달한 전력량, 주행 거리, 주행 충전 서비스를 수행한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서버 제어부(32)는 충전 정보에 따라 충전 비용을 산출하고, 충전 차량(10)이 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결제 정보를 충전 차량(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2)는 충전 정보에 따라 서비스 차량(20)에 서비스 비용을 산출하여 서비스 차량(20)에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S115)
이하,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충전 차량(10)은 주행 충전 장치(100)를 포함하는 차량이고, 서비스 차량(20)은 주행 충전 제공장치(200)를 포함하는 차량으로,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700)은, 전기를 동력원으로 주행하는 전기 차량으로, 배터리(780)와, 배터리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충전부는 유선 충전부 또는/및 차량의 하부에 배치된 무선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700)은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량일 수 있다.
자세히, 도 4를 참조하면, 차량(700)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및 AVN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차량(10)은 주행 충전 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차량(20)은 주행 충전 제공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차량과 이동 단말기 사이, 차량과 외부 서버(510) 사이 또는 차량과 타차량(51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무선 인터넷 모듈(712), 근거리 통신 모듈(713), 위치 정보 모듈(714) 및 광통신 모듈(7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7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차량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714)은,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51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수단(721), 카메라(195),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차량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하 설명 도 2참조) 운전 조작 수단(721)은 조향 입력 수단(721A), 쉬프트 입력 수단(721D), 가속 입력 수단(7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수단(7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7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7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7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722)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50)는 탑승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50)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31에서는 모니터링부(150)와 카메라(722)가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7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긴급 정비 서비스 제공장치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722)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차량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150)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모니터링부(150)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정비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서스펜션 구동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7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한다.
제어부(770)는, 차량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70)은 긴급 정비 서비스 제공장치의 실행 신호 전달에 따라서, 전달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전술한 프로세서(170)의 역할을 위임할 수 있다. 즉, 긴급 정비 서비스 제공장치의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제어부(770)에 직접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긴급 정비 서비스 제공장치는 차량의 일부 구성들을 합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70)는 프로세서(17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해주도록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충전 차량(10)은 주행 중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780)를 충전할 수 있는 주행 충전 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충전 장치(100)는 별도의 장치로서, 차량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필요 정보를 주고 받으며 운전을 보조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차량의 유닛 중 일부의 집합을 주행 충전 장치(100)로 정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별도의 장치일 때, 주행 충전 장치(100)의 각 유닛들 중 일부는 주행 충전 장치(100)에 포함되지 않고, 차량 또는 차량에 탑재된 다른 장치의 유닛일 수 있다. 이러한 유닛들은 주행 충전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함으로써, 주행 충전 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서비스 차량(20)은 주행 중 전력을 송신하여 충전 차량(10)의 배터리(780)를 충전시킬 수 있는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별도의 장치로서, 차량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필요 정보를 주고 받으며 운전을 보조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차량의 유닛 중 일부의 집합을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로 정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별도의 장치일 때,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의 각 유닛들 중 일부는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에 포함되지 않고, 차량 또는 차량에 탑재된 다른 장치의 유닛일 수 있다. 이러한 유닛들은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함으로써,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차량(10)은 상황에 따라 서비스 차량(20)이 될 수 있고, 서비스 차량(20)은 충전 차량(10)이 될 수 있다. 즉, 충전 차량(10)에 주행 충전 장치(100)에서 무선 충전부가 전력 송신이 가능할 때, 충전 차량(10)은 서비스 차량(20)이 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차량(20)도 배터리(780) 상태에 따라서 주행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 차량(10)이 되어 다른 서비스 차량(20)으로부터 주행 충전을 제공받을 수 있다.
먼저, 도 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주행 충전 장치(100)와, 주행 충전 장치(100)를 통해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주행 충전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무선 충전부(150), 카메라(160), 프로세서(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 공급부(190) 및 알림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주행 충전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운전 보조장치 기능을 온/오프하거나, 주행 충전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실행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충전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복수의 후보 서비스 차량(20)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 입력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 및 음성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 충전 장치(100)는 타차량(510), 단말기(600) 및 서버(50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주행 충전 관련 정보를 무선으로 교환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주행 충전을 요청하기 위해,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차량(20) 또는/및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서비스 차량(20)의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서비스 차량(20)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서비스 차량(20)과 엑세스하기 위한 업데이드 된 내비게이션 정보를 지속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서비스 차량(20)과 엑세스한 후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도킹을 위해, 도킹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충전 정보를 송신하고, 충전 정보에 따른 결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정보 또는/및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차량 주행과 관련된 맵(map)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및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타차량(510), 이동 단말기(600) 또는/및 서버(5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통신부(120)는 서비스 차량(20)과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또는 NFC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주행 충전 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직접 장거리 통신이 어려운 경우, 이동 단말기의 장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서버/타차량과 주행 충전 관련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 충전 장치(10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차량(10)이 자율 주행으로 서비스 차량(20)과 도킹하고 주행 충전하는 경우, 주행 충전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여 자율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자세히, 주행 충전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 또는/및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제어부(770),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 및 센서부(76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AVN 장치(400) 또는/및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의 방향 정보, 위치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전진/후진 정보, 연료 정보,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 정보, 차량과 차선과의 거리 정보 및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780)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차량의 입력부(720)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부(77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즉, 입력부(110)가 차량 자체 내에 구성으로 배치된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서버(500)로부터 획득된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500)는 교통을 관제하는 교통 관제소에 위치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500)로부터 교통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교통 정보를 제어부(77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주행 충전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소정 오브젝트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오브젝트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로 교통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차선, 교통 표지판과 같은 소정의 교통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교통 정보가 또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 충전 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충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무선 충전부(150)는 주행 중에 주행 주행 충전 제공장치(200)에서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 차량(10)의 배터리(780)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차량(10)에는 별도로 배터리(780) 충전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780) 충전부는 충전 차량(10)이 정차한 상태에서 배터리(780)를 충전할 수 있는 유닛일 수 있다. 자세히, 배터리(780) 충전부가 무선 충전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차량의 바닥면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설명으로 돌아와, 무선 충전부(150)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및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부(150)는 주행 중에 일정 이격 거리 변동을 가지며 주행하는 차량간 원활한 전력 송수신을 위해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주행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은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의 무선 충전부(150)의 송신부(1000)와 송신부(10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 받는 주행 충전 장치(100)의 무선 충전부(150)의 수신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송신부(1000)는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 송신 코일부(1400) 그리고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는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의 제어 하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로써,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는 서브 시스템으로 정류기(1110)와 송신측 직류/직류 변환부(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정류기(1110)는 제공되는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시스템으로써 이를 구현하는 실시예로 고주파수 동작 시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을 가지는 다이오드 정류기, 원-칩(one-chip)화가 가능한 동기 정류기 또는 원가 및 공간 절약이 가능하고 및 데드 타임(Dead time)의 자유도가 높은 하이브리드 정류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송신측 직류/직류 변환부(1120)는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의 제어 하에 정류기(1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를 구현하는 예로 입력 신호의 레벨을 낮추는 벅 컨버터(Buck converter), 입력 신호의 레벨을 높이는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입력 신호의 레벨을 낮추거나 높일 수 있는 벅 부스트 컨버터(Buck Boost converter) 또는 축 컨버터(Cuk converter)가 될 수 있다.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는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의 제어 하에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신호를 교류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를 구현하는 예로 하프 브릿지 인버터(Half bridge inverter) 또는 풀 브릿지 인버터(Full bridge inverter)가 있다. 또한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는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Ocillator)와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는 서로 다른 임피던스를 가진 지점에서 반사파를 최소화하여 신호의 흐름을 좋게 한다. 송신부(1000)와 수신부(2000)의 두 코일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자기장의 누설이 많으므로 송신부(1000)와 수신부(2000)의 두 연결단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를 보정하여 전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는 인덕터, 커패시터 그리고 저항 소자로 구성될 수 있고, 통신 및 제어부(1500)의 제어 하에 인덕터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그리고 저항의 저항 값을 가변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임피던스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송신측 임피던스 매칭부(1300)는 송신부(1000)와 수신부(2000) 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거나 금속성 이물질, 다수의 디바이스에 의한 상호 영향 등에 따라 코일의 특성의 변화로 에너지 전송 선로상의 매칭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의 실시간 보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그 보정 방식으로써 커패시터를 이용한 멀티 매칭 방식, 멀티 안테나를 이용한 매칭 방식, 멀티 루프를 이용한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송신측 코일(1400)은 복수개의 코일 또는 단수개의 코일로 구현될 수 있고, 송신측 코일(1400)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서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들이 중첩되어 배치되는 경우 중첩되는 면적은 자속 밀도의 편차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 코일(1400)을 제작할 때 내부 저항 및 방사 저항을 고려하여 제작할 수 있고, 이 때 저항 성분이 작으면 품질 지수(Quality factor)가 높아지고 전송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통신 및 제어부(1500)는 송신측 제어부(1510)와 송신측 통신부(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신측 제어부와 통신부(120)는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의 프로세서(170)와 통신부(120)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송신측 제어부(1510)는 수신부(2000)의 전력 요구량, 현재 충전량 그리고 무선 전력 방식을 고려하여 송신측 교류/직류 변환부(110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최대 전력 전송 효율를 고려하여 송신측 직류/교류 변환부(1200)를 구동하기 위한 주파수 및 스위칭 파형들을 생성하여 전송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송신측 통신부(1520)는 수신측 통신부(26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 방식의 일 예로 블루투스, NFC, 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송신측 통신부(1520)와 수신측 통신부(2620)는 서로간에 충전 상황 정보 및 충전 제어 명령 등의 송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상황 정보로는 수신부(2000)의 개수, 배터리(780) 잔량, 충전 횟수, 사용량, 배터리(780) 용량, 배터리(780) 비율 그리고 송신부(1000)의 전송 전력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신측 통신부(1520)는 수신부(2000)의 충전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 기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수신부(2000)를 제어하여 충전 기능을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하게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신부(2000)는 수신측 코일부(2100), 수신측 임피던스 매칭부(2200),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 직류/직류변환부(2400), 부하(2500) 및 수신측 통신 및 제어부(26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측 코일부(2100)은 자기 공진 방식을 통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 수신 방식에 따라서 공진 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측 코일부(2100)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NFC: Near Field Communication)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측 코일부(2100)은 송신측 코일부(1400)와 동일할 수 있고, 수신 안테나의 치수는 수신부(200)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신측 임피던스 매칭부(2200)는 송신기(1000)와 수신기(2000)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한다.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는 수신측 코일부(2100)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정류하여 직류 신호를 생성한다.
수신측 직류/직류변환부(2400)는 수신측 교류/직류 변환부(2300)에서 출력되는 직류 신호의 레벨을 부하(2500)의 용량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부하(2500)는 배터리(780), 디스플레이, 음성 출력 회로, 메인 프로세서(170) 그리고 각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측 통신 및 제어부(2600)는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로부터 웨이크-업 전력에 의해 활성화 될 수 있고, 송신측 통신 및 제어부(15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부(2000)의 서브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수신부(2000)는 단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송신부(1000)로부터 동시에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즉 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송신부(1000)로부터 복수의 타켓 수신부(2000)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송신부(1000)의 송신측 매칭부(1300)는 복수개의 수신부(2000)들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자기 유도 방식에서 서로 독립적인 수신측 코일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000)가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 전력 수신 방식이 동일한 시스템이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부(1000)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시스템이거나 양 방식을 혼용한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주행 충전 장치(100)의 무선 충전부(150)는 전술한 수신부(2000)를 포함하여 전력을 전달받아 배터리(780)로 전달하여 주행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부(150)는 수신부(2000)와 송신부(100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신부(2000)는 상황에 따라 송신부(10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주행 충전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전력을 송신하는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무선 충전부(150)의 전력 수신부(2000)는 충전 차량(10)의 바디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부(150)는 충전 차량(10)의 전후좌우 측 바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디에 배치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좌측 무선 충전부(150b)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무선 충전부(150c)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터(fendere)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무선 충전부(150d)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무선 충전부(150a)는,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50)는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서비스 차량(20)의 무선 충전부(25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보면, 주행 충전 장치(100)의 무선 충전부(150)가 전방 바디에 배치된 경우, 서비스 차량(20)의 후방에 위치한 무선 충전부(25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보면, 주행 충전 장치(100)의 무선 충전부(150)가 우측 바디에 배치된 경우, 서비스 차량(20)의 좌측 바디에 위치한 무선 충전부(25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150)가 한 개인 경우, 복수의 서비스 차량(20)으로부터 주행 충전을 제공받을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먼저 접근한 제 1 서비스 차량(20_1)부터 충전을 받고, 이후 접근한 제 2 서비스 차량(20_2)으로부터 제 1 서비스 차량(20_1)의 충전 후 충전을 받을 수 있다.
무선 충전부(150)가 복수개인 경우, 동시에 복수의 서비스 차량(20)으로부터 주행 충전을 제공받을 수 있다.
자세히, 도 11을 보면, 무선 충전부(150c, 150d)가 좌측 바디와 후방 바디에 각각 배치된 경우, 후방에 위치한 제 1 서비스 차량(20_1)과, 좌측에 위치한 제 2 서비스 차량(20_2)으로부터 동시에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 충전 장치(100)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할 수 있다.
주행 충전 장치(100)는 주행 충전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내비게이션 정보, 도킹 정보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접 운전을 하여 주행 충전하는 경우, 주행 충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12를 보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의 윈드실드(W)(windshield)에 이미지를 투사하여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부(181)는 HUD(Head Up Display)로, 윈드실드(W)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 모듈이 투사하는 투사 이미지는 일정 투명도를 가져, 사용자는 투사 이미지 뒤 모습과 투사 이미지를 동시에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디스플레이부(181)에서 표시되는 투사 이미지는 윈드실드(W)에 투영되는 투영 이미지와 겹쳐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제 2 디스플레이부(183)는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나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일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부(18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디스플레이부(183)는 제스쳐 입력부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주행 충전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출력부(185)는 주행 충전 서비스에 대한 설명, 실행 여부 등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주행 충전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한 시각적인 표시와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185)의 오디오를 통해 설명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충전 장치(100)는 알림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알림부(195)는 주행 충전이 시작된 후 주변에 충전 중임을 무선 충전 중임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알림부(195)는 소리나 이미지 표시를 통해 주변에 무선 충전 중임을 출력하여, 주변 사람이나 차량에 경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행 충전 장치(100)는 주행 충전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주행 무선 충전을 받기 위한 전반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17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17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거나, 제어부를 통해 차량을 여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프로세서(170)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 13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301)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이 있거나, 주행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3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보면, 프로세서(170)는 일정 충전량 이하일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주행 충전을 요청하는 버튼(320)을 활성화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버튼(320)을 입력하면 충전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12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충전 차량의 현재 위치(310), 주변 맵 등 내비게이션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보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목적지(311)를 입력하면, 목적지 경로(312)를 설정하고, 목적지 경로(312)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전력량(313)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한 전력량이 잔여 전력량 보다 클 때, 목적지(311)까지 이동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아 충전 요청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차량(20)의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303)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요청 정보에 맞게 검색된 서비스 차량(20)의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서비스 차량(20)의 서비스 정보를 전송 받고, 직접 요청 정보에 일치하는 서비스 차량(20)을 검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충전 차량의 현재 위치(310)에서 일정 반경(321) 내에 위치한 서비스 차량(20)의 서비스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차량(20)이 검색되면, 프로세서(170)는 검색된 서비스 차량(2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고, 서비스 차량(20) 선택을 위한 입력창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을 보면,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충전 차량의 현재 위치(310), 목적지 경로(312), 서비스 제공 가능한 서비스 차량(20)들의 위치(331a, 331b, 331c) 및 선택 입력창(333)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더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각각의 서비스 차량(20)의 위치 정보(331a, 331b, 331c)와, 간단한 서비스 정보(332c, 332d)(예컨대, 충전 비용)이 더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 차량(20)을 선택하면, 특정 서비스 차량(20)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 입력창(333)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사용자가 서비스 차량(20)을 선택하면, 선택된 서비스 차량(20)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307) 이때, 내비게이션 정보는 이전 서비스 정보에 일부 포함된 정보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70)는 서비스 차량(20)의 내비게이션 정보에 따라서 충전 차량(10)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표시할 수 있다. (S309)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서비스 차량(20)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전달 받아 충전을 위한 도킹 위치 경로 설정, 이동 경로 재설정 및 권장속도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70)는 중계 서버(30)로부터 업데이트된 내비게이션 정보를 직접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70)는 실시간으로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이 도킹 위치에서 엑세스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 입력창을 통해 특정 서비스 차량(20)을 선택하면, 도 17과 같이 주행 충전 서비스 요청이 완료되었음이 표시되고, 서비스 차량(20)과 만나기 위한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0)는 충전 차량(10)이 서비스 차량(20)에 근접 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S311)
그 다음, 프로세서(170)는 일정 거리 내에 서비스 차량(20)이 위치하면 서로 도킹하기 위한 도킹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S313) 여기서, 도킹 정보는 서비스 차량(20)과의 충전 방향, 이격 거리 및 주행 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은 서로 엑세스 할 때까지 중계 서버(30)를 통해 통신하고, 서로 근접하면 직접 통신을 통해 도킹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도킹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서비스 차량(20)과 도킹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을 보면, 제 1 디스플레이부(180)에는 도킹 정보로 서비스 차량(20)을 나타내는 제 1 가상 이미지(334), 충전 차량(10)의 이동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가상 이미지(10i), 그리고 주행 충전을 설명하는 제 3 가상 이미지(315)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충전 차량(10)이 자율 주행하여 도킹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70)는 서비스 차량(20)과 도킹이 되었음이 확인되면, 무선 충전부(150)를 통해 주행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S315)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원활한 주행 충전을 위한 거리, 충전 효율, 충전량 등의 충전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자세히, 도 19를 보면, 프로세서(170)는 충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충전 차량(10)의 위치를 제 1 디스플레이부(18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최 인접 한계선(316a)과, 충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최대 한계선(316b)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충전 차량(10)이 주행 충전 중 자율 주행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량, 충전 소요시간, 충전 요금 등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343)를 직접 산출하거나, 중계 서버(30)로부터 전달받아, 도 20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도 21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창(345)과, 서비스 만족도 입력창(346)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충전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와,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를 통해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주행 충전 장치(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주행 충전 장치(100)의 유닛과 중복되는 용어로 표현된 유닛은 하드웨어는 공통되며 동작의 차이가 있어 차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입력부(210), 통신부(220), 인터페이스부(230), 메모리(240), 무선 충전부(250), 카메라(260), 프로세서(270), 디스플레이부(280), 오디오 출력부(285), 전원 공급부(290) 및 알림부(29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10)를 통해 운전 보조장치 기능을 온/오프하거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실행 입력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타차량(510), 단말기(600) 및 서버(50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주행 충전 관련 정보를 서버/타차량과 무선으로 교환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220)는 주행 충전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차량(20) 또는/및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정보는 비스 정보는 충전 비용, 서비스 차량 위치, 서비스 차량의 차종, 충전 방식, 충전 효율, 서비스 제공업체 및 서비스 만족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충전 차량(10)의 충전 요청 메시지와, 내비게이션 정보 및 도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220)는 충전 차량(10)과 엑세스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지속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충전 차량(10)과 엑세스한 후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도킹을 위해, 도킹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충전 정보를 송신하고, 충전 정보에 따른 리워드 정보를 송신할 수 잇다.
또한, 통신부(220)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정보 또는/및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차량 주행과 관련된 맵(map) 정보, 차량의 위치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및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2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차량(20)이 자율 주행으로 충전 차량(10)과 도킹하고 주행 충전하는 경우,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여 자율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 또는/및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메모리(240)는 프로세서(2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240)는, 카메라(260)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소정 오브젝트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오브젝트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충전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무선 충전부(250)는 주행 중에 충전 차량(10)으로 전력을 무선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250)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및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부(250)는 주행 중에 일정 이격 거리 변동을 가지며 주행하는 차량간 원활한 전력 송수신을 위해 자기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부(250)는 도 23과 도 24의 주행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의 송신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의 무선 충전부(250)는 수신부(2000)와 송신부(100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부(250)는 상황에 따라 송신부(1000) 또는 수신부(20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전력을 송신하는 주행 충전 장치(100)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무선 충전부(250)의 송신부(1000)는 서비스 차량(20)의 바디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도 25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부(250)는 서비스 차량(20)의 전후좌우 측 바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디에 배치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좌측 무선 충전부(250b)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무선 충전부(250c)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터(fendere)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무선 충전부(250d)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무선 충전부(250a)는,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250a, 250b, 250c, 250d)는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충전 차량(10)의 무선 충전부(250)로부터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의 무선 충전부(250)가 전방 바디에 배치된 경우, 서비스 차량(20)의 후방에 위치한 충전 차량(10)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250)가 한 개인 경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차량에 충전하고 있는 타 서비스 차량이 있으면, 상기 타 서비스 차량의 충전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충전 차량에게 전력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250)가 복수개인 경우, 동시에 복수의 충전 차량(10)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부(250)가 좌측 바디와 후방 바디에 배치된 경우, 후방에 위치한 제 1 충전 차량(10_1)과, 좌측에 위치한 제 2 충전 차량(10_2)에 동시에 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주행 충전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80)는 내비게이션 정보, 도킹 정보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접 운전을 하여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주행 충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부(280)는 차량의 윈드실드(W)(windshield)에 이미지를 투사하여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28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80)는 차량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오디오 출력부(285) 및 전원 공급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출력부(285)는 주행 충전 서비스에 대한 설명, 실행 여부 등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80)를 통한 시각적인 표시와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285)의 오디오를 통해 설명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알림부(2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알림부(295)는 주행 충전이 시작된 후 주변에 충전 중임을 무선 충전 중임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알림부(295)는 소리나 이미지 표시를 통해 주변에 무선 충전 중임을 출력하여, 주변 사람이나 차량에 감전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는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2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270)는 주행 무선 충전을 받기 위한 전반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프로세서(270)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 26 내지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2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501) 이때,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중계 서버(30) 또는/및 충전 차량(10)에서 전달된 메시지일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20)를 통해 서비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S503) 중계 서버(30)에 경우, 미리 서비스 차량(20)의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20)를 통해 주행 충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505)
그리고 도 27과 같이 디스플레이부(280)에 충전 차량의 현재 위치(310), 충전 차량의 목적지(311), 목적지 경로(312)와, 서비스 차량의 현재 위치(331)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80)에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묻는 실행창(351)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주행 충전 서비스 요청을 송신한 충전 차량(10)의 충전 정보는 서비스 차량(20)의 서비스 정보와 매칭되었기 때문에, 디폴트로 서비스를 제공해야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20)를 통해 충전을 요청한 충전 차량(10)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507)
다음으로, 프로세서(270)는 충전 차량(10)의 내비게이션 정보에 따라서 서비스 차량(20)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표시할 수 있다. (S509)
자세히, 프로세서(270)는 충전 차량(10)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전달 받아 도 28과 같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도킹 위치(340), 이동 경로(341) 설정 및 권장속도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70)는 중계 서버(30)로부터 업데이트된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70)는 실시간으로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이 도킹 위치에서 엑세스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70)는 충전 차량(10)이 서비스 차량(20)에 근접 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S511)
그 다음, 프로세서(270)는 일정 거리 내에 충전 차량(10)이 위치하면 서로 도킹하기 위한 도킹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S513) 여기서, 도킹 정보는 충전 차량(10)과의 충전 방향, 이격 거리 및 주행 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70)는 도킹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충전 차량(10)과 도킹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를 보면, 제 1 디스플레이부(280)에는 도킹 정보로 충전 스 차량(10)을 나타내는 제 1 가상 이미지, 이동할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가상 이미지(20i), 그리고 주행 충전을 설명하는 제 3 가상 이미지(315)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서비스 차량(20)이 자율 주행하여 도킹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프로세서(270)는 충전 차량(10)과 도킹이 되었음이 확인되면, 무선 충전부(250)를 통해 주행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S515)
그리고 프로세서(270)는 원활한 주행 충전을 위한 거리, 충전 효율, 충전량 등의 충전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자세히, 도 30을 보면, 프로세서(270)는 충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 차량(20)의 위치(316)를 제 1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최 인접 한계선과, 충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최소 한계선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70)는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량, 충전 소요시간, 충전 요금 등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중계 서버(30)로 전송 받고, 이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S515, S517)
한편, 이러한 무선 주행 충전 서비스는 군집 주행 또는 인접 주행 중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군집 주행 중 전력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군집 주행의 주행 순서 배열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하, 복수의 차량이 함께 주행할 때, 서로 충전 상태를 공유하여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군집 주행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 31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시스템은 충전이 필요한 충전 차량(10), 주행 충전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차량(20) 및 군집 주행에 속하여 주행하고 있는 일반 주행 차량인 군집 주행 차량(40)의 주행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군집 주행 시스템은 군집 주행 중인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이나 중계 서버(30)에 포함되어, 군집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차량(20)이 군집 주행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군집 주행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서비스 차량(20)의 통신부(22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220)는 군집 주행 차량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군집 주행 시스템은 통신부(220)를 통해 군집 주행 중인 차량들의 충전 상태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상태정보는 충전량, 연비, 잔여 경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군집 주행 중인 차량 또는 군집 주행에 인접한 충전 차량(10)으로부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프로세서(270)에서 산출된 군집 주행 순서를 각 군집 차량들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20)는 군집 주행 순서에 따른 내비게이션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군집 주행 순서 제어를 위한 전반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32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군집 주행 시스템이 군집 주행 순서를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270)는 군집 차량 간의 군집 주행 순서를 제어하여 군집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S1001)
자세히,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20)를 통해 군집 주행 차량들의 주행 순서, 주행 경로, 차량들 사이의 거리 등을 송신하여, 군집 주행 차량들의 군집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20)를 통해 군집 주행들의 차량 정보 및 충전 상태정보를 전송 받아, 충전 상태정보에 따라 충전 차량(10) 또는/및 서비스 차량(20)을 검출할 수 있다. (S1003, S1005)
자세히, 프로세서(270)는 군집 주행 차량들 중 일정 충전량 이하를 갖는 차량을 충전 차량(10)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20)를 통해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차량을 충전 차량(10)으로 설정할 수 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70)는 충전 서비스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서비스 차량(20)으로 검출할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270)는 충전 요청 시간, 충전 상태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라서 군집 주행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S1007)
도 33을 보면, 서비스 차량(20)은 선두 차량으로 주행하고, 군집 주행 차량(40)이 서비스 차량(20)의 후방에서 군집 주행하고, 충전이 필요한 충전 차량(10)이 군집 주행 차량(40)의 후방에서 군집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차량(10)에서 충전 요청 메시지를 보내거나, 충전 차량(10)의 충전량이 일정 충전량 이하라면, 프로세서(270)는 군집 주행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270)는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이 서로 인접하여 주행하도록 주행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4를 보면, 프로세서(270)는 서비스 차량(20)에 후방에서 충전 차량(10)이 주행하고, 군집 주행 차량(40)이 충전 차량(10)에 후행하도록 군집 주행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270)는 군집 주행 차량(40)이 서비스 차량(20)과 거리를 벌리도록 내비게이션 정보를 송신하고, 충전 차량(10)은 군집 주행 차량(40)을 추월하여 서비스 차량(20)에 후방에서 주행하도록 내비게이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주행 순서 배열이 완료되면, 도 35와 같이, 서비스 차량(20)과 충전 차량(10)이 도킹되고 주행 전력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지속적으로 충전 상태정보를 전달받고, 충전이 완료되면 다시 주행 순서를 배열할 수 있다. (S1009)
이하, 도 36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복수의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이 있는 경우, 군집 주행을 통해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군집 주행 제어시스템을 설명한다.
이러한 군집 주행 제어시스템은 충전 차량(10), 서비스 차량(20) 및 중계 서버(30)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군집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차량(20)이 군집 주행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군집 주행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서비스 차량(20)의 통신부(22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220)는 충전 차량(10)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군집 주행을 하면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군집 주행 제어를 위한 전반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37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군집 주행 시스템이 군집 주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2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차량(10)으로부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2001)
프로세서(270)는 충전 요청 메시지가 있고,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황이면, 충전 차량(10)과 군집 주행하면서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270)는 충전 차량(10)을 서비스 차량(20)에 후행하도록 군집 주행시키고,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270)는 둘 이상의 충전 차량(10)으로부터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충전 요청 시간에 따라 군집 주행 순서를 정할 수 있다. (S2003)
자세히, 도 38을 보면, 프로세서(270)는 먼저 충전 요청을 한 제 1 충전 차량(10_1)을 서비스 차량(20)에 후행하도록 제어하고, 이후 충전 요청을 한 제 2 충전 차량(10_2)은 제 1 충전 차량(10_1)에 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70)는 충전 차량(10)들과 충전 상태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S2005)
그리고 프로세서(270)는 충전 상태정보에 따라서 군집 주행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S2007)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제 1 충전 차량(10_1)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 2 충전 차량(10_2)을 서비스 차량(20)에 인접하도록 주행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충전 차량(10)의 충전량이 일정 충전량 이하여서 긴급 충전이 필요한 경우, 군집 주행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270)는 긴급한 충전 차량(10)과 서비스 차량(20)이 서로 인접하여 주행하도록 주행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40을 보면, 제 2 충전 차량(10_2)이 긴급 충전이 필요한 상황의 경우, 프로세서(270)는 제 1 충전 차량(10_1)과 제 2 충전 차량(10_2)의 주행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270)는 제 1 충전 차량(10_1)과 서비스 차량(20)의 거리를 넓히고, 제 2 충전 차량(10_2)이 제 1 충전 차량(10_1)을 추월하여 서비스 차량(20)에 후방에서 주행하도록 제 1 충전 차량(10_1)과 제 2 충전 차량(10_2)에 내비게이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주행 순서 배열이 완료되면, 서비스 차량(20)과 충전 차량(10)이 도킹되고 주행 전력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70)는 지속적으로 충전 상태정보를 전달받고, 충전이 완료되면 다시 주행 순서를 배열할 수 있다. (S2009)
실시예와 달리, 군집 주행 차량(40)과 충전 차량(10)에 전력 송신부와 수신부가 있다면, 주행 순서 변경없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1을 보면, 서비스 차량(20)이 후방의 제 1 충전 차량(10_1)으로 전력을 전송하면, 제 1 충전 차량(10_1)은 일부 전력은 충전하거나 사용하고 일부는 후행하는 제 2 충전 차량(10_2)으로 전달하여, 주행 순서 없이 전력 교환이 가능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정비,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정비,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0)
-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충전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주행 충전 서비스를 요청하여 상기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차량과 내비게이션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서비스 차량과 도킹한 후 상기 무선 충전부를 통해 주행 중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주행 충전 서비스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충전 서비스 중계 서버로 충전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 정보는 필요 전력량, 현재 차량 위치, 이동 경로, 목적지 정보, 충전 방식 및 충전 비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서비스 차량으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후보 서비스 차량 및 상기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는 충전 비용, 서비스 차량 위치, 서비스 차량의 차종, 충전 방식, 충전 효율, 서비스 제공업체 및 서비스 만족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에서 복수의 후보 서비스 차량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서비스 차량과 내비게이션 정보를 공유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업데이트는 상기 도킹 위치 경유 경로 설정, 이동 경로 재설정 및 권장속도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차량과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내로 진입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도킹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도킹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도킹 정보는 상기 서비스 차량과의 충전 방향, 이격 거리 및 주행 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상기 서비스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차량의 전후좌우 측 바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디에 배치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복수의 상기 서비스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차량으로부터 위치를 달리하여 동시에 전력을 수신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 차량으로부터 충전 시간을 달리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충전 중 외부에 충전 상황임을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주행 충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차량과 도킹 후 주행 충전 중에 상기 차량을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주행 충전장치. -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충전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충전 차량으로부터 주행 충전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충전 차량과 내비게이션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충전 차량과 도킹한 후 상기 무선 충전부를 통해 주행 중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주행 충전 서비스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주행 충전 제공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충전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요청 정보 및 상기 요청 승낙 여부를 표시하는
주행 충전 제공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업데이트 된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주행 충전 제공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 업데이트는 상기 도킹 위치 설정, 이동 경로 설정 및 권장속도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업데이트 된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주행 충전 제공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차량과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내로 진입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도킹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도킹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도킹 정보는 상기 서비스 차량과의 충전 방향, 이격 거리 및 주행 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행 충전 제공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상기 충전 차량에게 전력을 송신하는
주행 충전 제공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차량의 전후좌우 측 바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디에 배치되는
주행 충전 제공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차량에 충전하고 있는 타 서비스 차량이 있으면, 상기 타 서비스 차량의 충전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충전 차량에게 전력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주행 충전 제공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차량에 충전하고 있는 타 서비스 차량이 있으면, 상기 타 서비스 차량의 충전이 완료된 후 상기 충전 차량과 도킹하는
주행 충전 제공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충전 중 외부에 충전 상황임을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주행 충전 제공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차량과 도킹 후 주행 충전 중에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주행 충전 제공장치. - 충전 차량으로부터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 정보에 매칭되는 주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서비스 차량의 서비스 정보를 상기 충전 차량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차량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차량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서비스 차량과 상기 충전 차량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차량과 상기 충전 차량을 접근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차량과 상기 충전 차량의 주행 중 무선 충전이 수행된 후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 가능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인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 및 상기 충전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서비스 차량과 상기 충전 차량이 컨택할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인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차량과 상기 서비스 차량이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면, 상기 충전 차량과 상기 서비스 차량은 도킹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정보에 따라 충전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충전 차량이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차량에 서비스 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서비스 차량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행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2767A KR20170034477A (ko) | 2015-09-21 | 2015-09-21 |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방법 |
PCT/KR2015/011329 WO2017051972A1 (ko) | 2015-09-21 | 2015-10-26 |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2767A KR20170034477A (ko) | 2015-09-21 | 2015-09-21 |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4477A true KR20170034477A (ko) | 2017-03-29 |
Family
ID=5838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2767A KR20170034477A (ko) | 2015-09-21 | 2015-09-21 |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34477A (ko) |
WO (1) | WO2017051972A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95555A (zh) * | 2018-08-02 | 2018-12-14 | 蔚来汽车有限公司 | 车辆寻桩充电方法和系统、监控端以及电子设备、存储介质 |
KR20190048043A (ko) * | 2017-10-30 | 2019-05-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표시 장치 |
KR20190124032A (ko) * | 2018-04-25 | 2019-11-04 | 한국전력공사 | 전기차용 이동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00034031A (ko) * | 2018-09-14 | 2020-03-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CN111798589A (zh) * | 2019-04-04 | 2020-10-20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用于车辆的充电服务系统、提供充电服务的方法以及使用该系统和方法的车辆 |
KR20210013965A (ko) * | 2019-07-29 | 2021-02-08 | 나용범 | 스마트 전기 충전 시스템 |
US10942036B2 (en) | 2017-11-01 | 2021-03-09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US11051145B2 (en) | 2017-11-01 | 2021-06-29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KR20220124109A (ko) * | 2021-03-02 | 2022-09-13 | 주식회사 티비유 | 차량 충전을 위한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
WO2023061671A1 (de) * | 2021-10-12 | 2023-04-20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Übertragen von serviceinformation von einer ladestation an ein elektrofahrzeu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5040B1 (ko) * | 2018-07-26 | 2024-03-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이동식 충전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
KR102543313B1 (ko) * | 2018-10-15 | 2023-06-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US12077061B2 (en) | 2020-03-18 | 2024-09-03 | T-Mobile Usa, Inc. | Network-based control of induction charging of electrical vehicles |
KR102451470B1 (ko) * | 2021-12-03 | 2022-10-07 | (주)에바 | 자율주행이 가능한 이동식 충전 모듈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KR20240082467A (ko) * | 2022-12-01 | 2024-06-11 | 라온프렌즈 주식회사 | 방문식 차량 충전 서비스의 서비스 제공 루트 결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52118A (ja) * | 2006-03-16 | 2007-09-27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電力供給設備および電力供給方法 |
WO2009014125A1 (ja) * | 2007-07-23 | 2009-01-29 | Universal Device Technology Co., Ltd. | 充電池ユニットとそのための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電力伝送方法 |
JP5359093B2 (ja) * | 2008-07-29 | 2013-12-04 | 富士通株式会社 | 移動充電装置及び移動充電方法 |
KR101142746B1 (ko) * | 2010-10-21 | 2012-05-04 |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 무선 충전 방법 및 시스템 |
KR102199469B1 (ko) * | 2013-12-09 | 2021-01-06 |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 전기차량에서 외부 차량과 상호 전력 공급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2015
- 2015-09-21 KR KR1020150132767A patent/KR2017003447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10-26 WO PCT/KR2015/011329 patent/WO201705197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8043A (ko) * | 2017-10-30 | 2019-05-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표시 장치 |
US10942036B2 (en) | 2017-11-01 | 2021-03-09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US11051145B2 (en) | 2017-11-01 | 2021-06-29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KR20190124032A (ko) * | 2018-04-25 | 2019-11-04 | 한국전력공사 | 전기차용 이동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
CN108995555A (zh) * | 2018-08-02 | 2018-12-14 | 蔚来汽车有限公司 | 车辆寻桩充电方法和系统、监控端以及电子设备、存储介质 |
CN108995555B (zh) * | 2018-08-02 | 2021-08-03 |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 车辆寻桩充电方法和系统、监控端和电子设备、存储介质 |
KR20200034031A (ko) * | 2018-09-14 | 2020-03-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CN111798589A (zh) * | 2019-04-04 | 2020-10-20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用于车辆的充电服务系统、提供充电服务的方法以及使用该系统和方法的车辆 |
CN111798589B (zh) * | 2019-04-04 | 2023-09-08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用于车辆的充电服务系统、提供充电服务的方法以及使用该系统和方法的车辆 |
KR20210013965A (ko) * | 2019-07-29 | 2021-02-08 | 나용범 | 스마트 전기 충전 시스템 |
KR20220124109A (ko) * | 2021-03-02 | 2022-09-13 | 주식회사 티비유 | 차량 충전을 위한 충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
WO2023061671A1 (de) * | 2021-10-12 | 2023-04-20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Übertragen von serviceinformation von einer ladestation an ein elektrofahrzeu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51972A1 (ko) | 2017-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34477A (ko) |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방법 | |
CN110869259B (zh) | 用于车辆占用确认的方法和系统 | |
US10663970B2 (en) |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i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 |
KR101979694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
KR101732983B1 (ko) | 차량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
KR101861700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EP3425469A1 (en) | Driving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thereof | |
KR20170034478A (ko) | 군집 주행 제어시스템 및 방법 | |
KR101860626B1 (ko) |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
KR20190056800A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20170141082A (ko) |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
KR20170016177A (ko)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
US11430436B2 (en) | Voice interaction method and vehicle using the same | |
KR101917412B1 (ko) |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
KR101979268B1 (ko) | 자율 주행 시스템 | |
KR101790426B1 (ko) |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
US11044598B2 (en) | Mobile its station and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a message thereof | |
KR20160147557A (ko) | 자동 주차 장치 및 차량 | |
KR20190079259A (ko) |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
KR101841501B1 (ko) | 카 쉐어링을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카 쉐어링 시스템의 동작 방법 | |
KR20170053880A (ko) |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
KR101843535B1 (ko) |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
KR101929303B1 (ko) |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20190019681A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101929816B1 (ko)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