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426B1 -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426B1
KR101790426B1 KR1020160005692A KR20160005692A KR101790426B1 KR 101790426 B1 KR101790426 B1 KR 101790426B1 KR 1020160005692 A KR1020160005692 A KR 1020160005692A KR 20160005692 A KR20160005692 A KR 20160005692A KR 101790426 B1 KR101790426 B1 KR 101790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space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6197A (ko
Inventor
임채환
백일주
홍기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5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4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85Parking performed automatical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B60W2050/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는,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복수의 분할공간을 포함하는 가상 주차라인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에서 주차선을 검출하면 상기 검출된 주차선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 주변 영상에서 주차선을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가상 주차라인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APPARATUS FOR AUTOMATIC PARKING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자동차는 사용되는 원동기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가스터빈(gas turbine)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등이 있다.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에너지 삼아 전기 모터를 돌리는 자동차를 뜻하며, 순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이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자율 주행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자율 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율 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로 카메라, 적외선센서, 레이더, GPS, 라이더(Lidar),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는데, 그 중 카메라는 사람의 눈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는 센서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각 종 센서와 전자 장비들의 개발로 사용자 운전을 보조하여, 주행 안전성 및 편의 등을 향상시키는 운전 주행 보조기능을 구비한 차량들이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운전자가 조작에 어려움을 겪는 주차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주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자동 주차 기술의 일례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차선을 감지하고 주차선 내에서 감지된 주차공간에 자동주차를 수행하는 기술이 있다.
하지만, 주차선이 없는 임시 주차장이나, 자동차 등 의해 주차선이 가려지는 경우와 같이 주차선을 인식이 어려울 경우, 자동 주차가 불가능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부분에 주차선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는, 주차 난이도가 높은 상황이므로, 이러한 상황에서 자동주차가 수행되지 못하면 자동주차 기능의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절한 주차공간에 안전하게 자동주차를 수행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는,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복수의 분할공간을 포함하는 가상 주차라인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에서 주차선을 검출하면 상기 검출된 주차선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 주변 영상에서 주차선을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가상 주차라인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전술한 자동주차 보조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는, 주차선이 미인식되는 상황에서도 자동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는, 타차량들과의 위치관계 또는/및 주차장 상황에 맞는 최적의 주차위치에 자동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평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영상에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내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주차공간 인식이 어려운 차량 주변 상황의 일례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분할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분할공간 기반 주차공간 감지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분할공간 기반 주차공간 감지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분할공간 기반 주차공간 감지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분할공간을 보정하는 일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분할공간 기반 주차공간 감지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전술한 자동주차 보조장치를 포함하는 도 1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LHD(Left Hand Drive)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자동주차 보조장치는 차량에 구비되는 별도의 장치로서, 차량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필요 정보를 주고 받으며 차량 운전 보조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차량의 유닛 중 일부의 집합을 자동주차 보조장치로 정의할 수도 있다.
자동주차 보조장치가 별도의 장치일 때, 자동주차 보조장치의 각 유닛들(도 2 참조) 중 적어도 일부는 자동주차 보조장치에 포함되지 않고, 차량 또는 차량에 탑재된 다른 장치의 유닛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 유닛들은 자동주차 보조장치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자동주차 보조장치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각 유닛들을 직접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RL) 및 자동주차 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는, 주차선 인식이 어려운 상황임을 감지하면 가상 분할공간 기반 공간 감지기능을 통해 주차공간을 감지하고, 감지된 주차공간에 자동주차를 실행하여, 안전하게 자동주차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는, 타차량들과의 위치관계 또는/및 주차장 상황에 맞는 최적의 주차위치에 자동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모니터링부, 센서부(155), 프로세서(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의 유닛들은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 먼저,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의 자동주차 기능을 실행하는 입력을 하거나,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실행 입력 등을 할 수 있다. 자세히,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차량에 인접한 공간에 자동주차를 실행하는 자동주차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자동주차 중 다시 수동주행으로 변경하는 입력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 입력부(예를 들어 (optical sensor) 등),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 센서(touch sensor),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 및 음성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microphon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타차량(510), 단말기(600) 및 서버(50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내비게이션(Navigation) 정보, 타차량 주행정보 및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주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및 서버(500)로부터 위치 정보, 날씨 정보 및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을 갖춘 서버(500)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정보는 신호등 정보, 차선 정보, 주차장 정보 및 주차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서버(500) 또는/및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차량 주행과 관련된 맵(map) 정보, 차선 정보, 차량의 위치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및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내비게이션 정보로 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타차량(510)으로부터 타차량(510)의 주행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의 주행정보를 송신하여, 차량간 주행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공유하는 주행정보는 방향 정보, 위치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이동경로 정보, 전진/후진 정보, 인접차량 정보 및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타차량(510),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무선테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기술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paring)하고, 이동 단말기의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타차량(510) 또는 서버(500) 등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차량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자동주차 기능 실행을 위한 제어 신호나,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에서 생성한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자동으로 주차를 실행하기 위한 차량 조작신호를 전송하여, 차량이 자동 주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감지된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차량의 제어부가 수신한 주차공간에 자동주차를 실행하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다.
또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신된 정보는, 자동주차 기능을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제어부(770),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 및 센싱부(760)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AVN 장치(400) 또는/및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싱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의 방향 정보, 위치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전진/후진 정보, 연료 정보,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 정보, 차량과 차선과의 거리 정보 및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도어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차량의 입력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부(77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즉, 입력부가 차량 자체 내에 구성으로 배치된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서버(500)로부터 획득된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500)는 교통을 관제하는 교통 관제소에 위치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500)로부터 교통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교통 정보를 제어부(77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자동주차 보조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40)는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자동주차 보조장치(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70)에 의하여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에는, 주차공간을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 주변의 일정영역을 가상으로 구획된 주차라인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가상 주차라인이 형성되는 차량 주변의 일정 영역은, 차량과의 위치관계에서 설정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40)는, 주차장법 규칙에 매칭되는 분할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는 가상 주차라인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메모리(140)는, 주차장법 규칙에 맞는 직사각형상의 분할공간을 복수개 포함하는 가상 주차라인을 저장하고, 프로세서(170)는, 저장된 가상 주차라인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에서 차량이 주차할 공간을 구획해 놓은 주차공간은 나라에 따른 주차장법 규칙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주차공간의 표준규격은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너비는 2 내지 4 미터 사이일 수 있고, 길이는 3.5 내지 6 미터 사이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분할공간은 직사각 형상으로 장변은 2 내지 4 미터 사이일 수 있고, 단변은 3.5 내지 6 미터 사이일 수 있다.
좀더 자세히, 도 11을 참조하면, 가상 주차라인(30)은, 차량 주변의 일정 영역을 3개의 분할공간으로 구획한 제 1 분할공간 내지 제 3 분할공간(31, 32, 3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상 주차라인(30)은, 차량의 좌측 또는/및 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영역에 3개의 직사각형의 분할공간(31, 32, 33)이 단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의 가상 주차라인(30)은, 병렬 주차를 위한 것이다.
메모리(140)는, 직렬주차를 위한 가상 주차라인, 사선주차를 위한 가상 주차라인 등을 더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70)는, 주차장 상황에 맞는 가상 주차라인을 검출하여 검출된 가상분할 공간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주차라인은, 차량 크기에 대응되는 것이므로, 특수 차량의 경우에는 특수 차량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주차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의 메모리(140)는, 여러 상황에 따른 가상 주차라인을 각각 저장하여, 차량 주변 상황에 맞게 주차공간을 감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영상에 포함되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에서, 소정 오브젝트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60)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 주차선, 주차공간 보조 오브젝트, 타차량, 교통 표지판, 이륜차, 보행자와 같은 소정의 오브젝트가 포함되면,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모니터링부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모니터링부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모니터링 정보는 알림 상황 판단시에 이용될 수 있다.
자세히, 모니터링부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는 차량 내부에 배치된 영상 획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는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 카메라를 포함하여, 차량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차량 내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도어를 열려는 동작이 검출되면, 하차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는 도어 손잡이에 도어 센서를 직접 구비하여, 하차 상황을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가 감지하는 생체 인식 정보는,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 정보,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는 이러한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차량 주변 객체를 감지하는 센서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별도의 센서부(155)를 포함하여 주변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차량 자체의 센싱부(770)에서 얻어진 센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센서부(155)에서 얻어진 센서 정보를 통해 주차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55)는 오브젝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150) 또는/및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센서(150)는 오브젝트의 위치, 거리 및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센서(150)는 차량의 전후좌우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리 센서(150)는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거리 센서(150)는 차량의 바디의 전후좌우 및 천장(150a, 150b, 150c, 150d, 150e)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센서(150)는 라이다(lidar) 센서, 레이저(laser) 센서, 초음파(ultrasonic waves) 센서 및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등 다양한 거리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센서(150)는 레이저 센서로서, 레이저 신호 변조 방법에 따라 시간 지연 방식(time-of-flight, TOF) 또는/및 위상 변조 방식(phase-shift)을 사용하여, 차량과 오브젝트 사이의 위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다. 자세히, 시간 지연 방식은, 펄스 레이저 신호를 방출하고 측정 범위 내에 있는 오브젝트들로부터의 반사 펄스 신호들이 수신기에 도착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55)는,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은 프로세서(170)가 차량 주변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오브젝트의 속성을 검출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오브젝트의 종류, 오브젝트가 표시하는 교통 정보, 오브젝트와 차량 사이의 거리 및 오브젝트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센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오브젝트를 트래킹하고,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오브젝트를 확인하는 등의 오브젝트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에는 주차선, 주차 표지물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70)는, 주차선을 감지하면, 주차선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정보에서 주차선을 검출하고, 주차선으로 구획된 내부공간에 타 차량과 같은 주차방해 객체가 없다고 판단하면, 해당 내부공간을 자동 주차공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는, 영상 정보 내에 주차선이 없거나, 명확하지 않다면 가상 주차라인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자세히, 카메라(160)는 차량 내부에서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는 내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카메라(160)는, 각각 차량의 좌측, 후방, 우측, 전방 및 천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60b)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60c)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터(fendere)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카메라(160d)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카메라(160a)는,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천장 카메라(160e)는 차량의 천장 상에 배치되어 차량의 전후좌우를 모두 촬영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사방에서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을 탑뷰에서 바라본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이미지 생성시, 각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영상 각각의 경계에는 경계선(202a, 202b, 202c, 202d)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어라운드 뷰 이미지에는, 차량 주변 영상(201)에는 차량 이미지(700i)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이미지(700i)는 프로세서(17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에서 주차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에서 주차공간을 감지하는 것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직접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영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70)가 오브젝트 분석을 좀더 수월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160)는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센서부(155)는 거리 센서(150)와 카메라(160)를 스테레오 카메라로 동시에 구비할 수 있다. 즉, 스테레오 카메라는 동시에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오브젝트와의 위치 관계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프로세서(170)가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스테레오 카메라(160)는 제1 렌즈(163a)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160a), 제2 렌즈(163b)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16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각각, 제1 렌즈(163a)와 제2 렌즈(163b)에 입사되는 광을 차폐하기 위한, 제1 광 차폐부(light shield)(162a), 제2 광 차폐부(162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제1 및 제2 카메라(160a, 160b)로부터, 차량 주변에 대한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하고, 스테레오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스패러티(disparity) 검출을 수행하고, 디스패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을 수행하며, 오브젝트 검출 이후, 계속적으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로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 내의 프로세서(170)는,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패러티 연산부(420),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이하 설명에서는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패러티 연산부(420),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 순으로 영상이 처리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영상 전처리부(image preprocessor)(410)는, 카메라(160)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전처리부(410)는, 이미지에 대한, 노이즈 리덕션(noise reduction), 렉티피케이션(rectification),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색상 강화(color enhancement), 색상 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CSC),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카메라(160) 게인 컨트롤(camera gain control)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160)에서 촬영된 스테레오 이미지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패러티 연산부(disparity calculator)(420)는, 영상 전처리부(410)에서 신호 처리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들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stereo matching)을 수행하며, 스테레오 매칭에 따른,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차량 전방에 대한,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스테레오 매칭은, 스테레오 이미지들의 픽셀 단위로 또는 소정 블록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패러티 맵은, 스테레오 이미지, 즉 좌,우 이미지의 시차(時差) 정보(binocular parallax information)를 수치로 나타낸 맵을 의미할 수 있다.
세그멘테이션부(segmentation unit)(432)는,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로부터의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세그먼트(segment) 및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그멘테이션부(432)는,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배경(background)과 전경(foreground)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패리티 맵 내에서 디스페러티 정보가 소정치 이하인 영역을, 배경으로 연산하고, 해당 부분을 제외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전경이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패리티 맵 내에서 디스페러티 정보가 소정치 이상인 영역을, 전경으로 연산하고, 해당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경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레오 이미지에 기반하여 추출된 디스페러티 정보 정보에 기초하여, 전경과 배경을 분리함으로써, 이후의, 오브젝트 검출시, 신호 처리 속도, 신호 처리 양 등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오브젝트 검출부(object detector)(434)는, 세그멘테이션부(432)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 검출부(434)는, 디스페러티 정보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브젝트 검출부(434)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세그먼트에 의해 분리된 전경으로부터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 오브젝트 확인부(object verification unit)(436)는, 분리된 오브젝트를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할 수 있다(verify).
이를 위해,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오브젝트들과, 검출된 오브젝트를 비교하여,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위험 지역, 터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오브젝트 트래킹부(object tracking unit)(440)는, 확인된 오브젝트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들에 내의,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브젝트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를 연산하며, 연산된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이동 등을 트래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위험 지역, 터널 등을 트래킹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어플리케이션부(450)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다양한 오브젝트들, 예를 들면, 다른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등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험도 등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앞차와의 추돌 가능성, 차량의 슬립 여부 등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부(450)는, 연산된 위험도, 추돌 가능성, 또는 슬립 여부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등을, 차량 운전 보조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자세 제어 또는 주행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 제어 정보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페러티 연산부(420), 세그먼테이션부(432),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는 프로세서(170)내의 영상 처리부(도 31 참조)의 내부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페러티 연산부(420), 세그먼테이션부(432),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카메라(160)가 모노 카메라(160) 또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160)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는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세그먼테이션부(432)는 제외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카메라(160)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 내의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는, 영상 전처리부(410)에서 신호 처리된, 스테레오 이미지(FR1a, FR1b)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테레오 이미지(FR1a, FR1b)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20)을 획득한다.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20)은, 스테레오 이미지(FR1a, FR1b) 사이의 시차를 레벨화한 것으로서, 디스패러티 레벨이 클수록, 차량과의 거리가 가깝고, 디스패러티 레벨이 작을수록, 차량과의 거리가 먼 것으로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디스패러티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디스패러티 레벨이 클수록, 높은 휘도를 가지고, 디스패러티 레벨이 작을수록 낮은 휘도를 가지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2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28a, 528b, 528c, 528d) 등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며, 공사 지역(522), 제1 전방 차량(524), 제2 전방 차량(526)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
세그멘테이션부(432)와,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디스패러티 맵(520)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FR1a, FR1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세그먼트, 오브젝트 검출, 및 오브젝트 확인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20)을 사용하여, 제2 스테레오 이미지(FR1b)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이미지(53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38a, 538b, 538c, 538d), 공사 지역(532), 제1 전방 차량(534), 제2 전방 차량(536)이,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처리로, 프로세서(170)는 자동 주차를 수행할 주차공간을 감지할 수 있고, 자동 주차를 수행에 필요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영상 정보를 통해 주차선을 검출하고, 주차선 내에 오브젝트를 감지 유무에 따라 주차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영상 정보를 통해 주차선이 감지되지 않으면, 가상 주차라인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하고, 가상 주차라인 내의 분할공간과 타차량과의 위치관계에 따라서 주차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자동주차 기능에 관한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부(180)는, 자동 주차기능이 실행되는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표시하고 주차공간을 감지하면 그래픽 이미지로 감지된 주차공간을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에 가상 주차라인을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하여 주차공간을 감지하는 과정을 보여줄 수 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의 윈드실드(W)(windshield)에 그래픽 이미지를 투사하여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18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부(180a)는 HUD(Head Up Display)로, 윈드실드(W)에 그래픽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 모듈이 투사하는 투사 그래픽 이미지는 일정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래픽 이미지 뒤 모습과 그래픽 이미지를 동시에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그래픽 이미지는 윈드실드(W)에 투영되는 투영 이미지와 겹쳐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이룰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는 차량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자동주차 기능에 대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180b)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제 2 디스플레이부(180b)는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나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일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부(180b)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디스플레이부(180b)는 제스쳐 입력부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오디오 출력부(185)는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의 기능에 대한 설명, 실행 여부 등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한 시각적인 표시와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185)의 음향 출력을 통해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의 기능에 대한 설명을 서로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자동주차 보조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7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17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17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거나, 제어부를 통해 차량을 여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7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가 자동 주차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자동 주차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S101)
자동 주차기능은, 입력부(1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자동 주차기능은, 내비게이션 정보에서 목적지 도착이 확인되면, 자동 주차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자동 주차 기능이 실행되면,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S102)
자세히,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카메라(160) 또는/및 거리 센서(150)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카메라(160)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프로세서(170)가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차량 주변 상황을 감지할 수 있고, 이때, 거리 센서(150)가 정보를 보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차량 주변 정보에서 주차선이 검출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103)
실시예에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차량 주변의 영상 정보에서 주차선이 검출되면, 주차선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하고, 주차선 내에 빈 주차공간이 감지되면, 감지된 주차공간에 자동주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4)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정보에서 주차선을 검출하고, 주차선 내의 공간에 타 차량과 같은 객체가 없다고 판단하면, 해당 주차선 내의 공간을 자동 주차공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차량 주변의 영상 정보에서 주차선이 감지되지 않거나 주차선 감지율이 소정의 감지율 이하이면, 프로세서(170)는, 가상 주차라인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S105)
도 10a를 참조하면, 임시 주차장이나 교외 지역의 경우, 주차선이 없거나 밧줄, 스티커와 같이 일반적인 주차선 표지방식이 아닌 방식으로 주차선을 표시하여, 주차선을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도 10b를 참조하면, 타차량 등과 같은 객체 등에 의해 주차선이 가려지거나 주차선이 손상되는 경우, 영상 정보를 통해 주차선을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의 경우, 사람은 주차장 전체의 아웃라인(20)을 연석 등을 통해 확인하고, 타차량이나 주차표지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위치에 주차할 수 있으나, 자동주차 보조장치는 혼란을 일으켜 자동 주차를 하지 못하거나 무작위로 선정된 주차공간에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 주차라인(30)을 기반으로 주차장 상황에 맞는 적절한 주차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가상 분할공간(31, 32, 33)은, 병렬주차 방식으로 주차하기 위한 주차공간을 검색하는 가상 주차라인(30)에 해당하며, 차량 주변의 일정영역을 3개의 직사각형 주차공간으로 구획한 제 1 분할공간 내지 제 3 분할공간(31, 32, 3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상 주차라인(30)은, 차량의 좌측 또는/및 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영역에 3개의 직사각형의 분할공간(31, 32, 33)이 나열된 구조일 수 있다.
가상 주차라인(30)은, 직렬주차를 위한 가상 주차라인(30) 및 사선 주차를 위한 가상 주차라인(3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70)는, 타차량들이 주차한 방향 및 주차장의 아웃라인(20) 등을 통해 주차장 상황에 맞는 가상 주차라인(30)을 검출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타차량(11, 12)이 병렬주차되어 있음을 감지하면, 병렬주차를 위한 가상 주차라인(30)을 메모리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가상 주차라인(30)을 기반으로 주차공간 감지를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과 타차량(11)이 주차된 방향이 도로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이면 병렬주차를 위한 가상 주차라인(30)을 검출하고, 평행방향이면 직렬주차를 위한 가상 주차라인(30)을 검출하고, 사선방향이면 사선주차를 위한 가상 주차라인(30)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검출한 가상 주차라인(30)을 차량과의 관계에서 고정시킨 후 차량을 이동시키며 주차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타차량(11)의 위치를 기초로 가상 주차라인(3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가상 주차라인(30)은 타차량(11)이 위치한 측에 배치되며, 가상 주차라인(30)이 설정되는 영역은 타차량(11)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히, 가상 주차라인(30)의 내측 선이 타차량(11)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가상 주차라인(30)이 설정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타차량(11)이 위치한 우측에 가상 주차라인(30)을 설정한 후 차량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상 주차라인(30)과 타차량(11)의 위치관계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현 상황에서, 타차량(11)은 제 1 분할공간(31)과 제 2 분할공간(32) 사이에 위치하고, 제 3 분할공간(33)은 주차장 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주차공간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프로세서(170)는, 가상 주차라인(30)내의 일 분할공간을 타차량(11)이 점유하면, 타차량(11)이 점유하는 분할공간 이외의 분할공간 중 하나를 주차공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도 12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영상 정보에서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가상 주차라인(30)이 이동하여, 타차량(11)이 제 2 분할공간(32)을 점유하게 됨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타차량(11)이 분할공간을 점유한다는 의미는, 타차량(11)이 분할공간의 적어도 소정의 면적 이상을 차지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의미로, 타차량(11)이 타 분할공간을 차지하는 면적이 소정의 면적 이하임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의미로, 타차량(11)이 분할공간을 구획하는 가상 주차라인(30)과 오버랩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타차량(11)이 제 2 분할공간(32)을 점유하면, 제 1 분할공간(31) 또는 제 3 분할공간(33)을 주차공간으로 결정하여, 타차량(11)과 조화로운 위치에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70)는, 제 3 분할공간(33)에 경우, 주차장 외에 위치이고, 아웃라인(20)(예컨대, 연석)을 나타내는 객체가 위치함으로, 제 3 분할공간(33)을 제외하고 제 1 분할공간(31)을 주차공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타차량이 두대인 경우,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제 2 분할공간(32)을 제 1 타차량(11)이 점유하고, 제 3 분할공간(33)을 제 2 타차량(12)이 점유함을 검출하면, 차량이 없는 제 1 분할공간(31)은 주차공간으로 결정하여, 다른 차량들과 조화로운 위치에 자동주차를 수행할 수 잇다.
다른 예시로,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제 1 분할공간(31)을 제 1 타차량(11)이 점유하고, 제 3 분할공간(33)을 제 3 타차량(11)이 점유함을 검출하면, 제 2 분할공간(32)을 주차공간으로 결정하여, 다른 차량들과 조화로운 위치에 자동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변 상황에 따라 가상 주차라인(30)을 보정할 수 있다. (S106) 자세히, 프로세서(170)는, 타차량들(11,12)이 주차 상태에 따라 가상 주차라인(30)의 모양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를 참조하면, 제 1 타차량(11)과 제 2 타차량(12)의 간격이 넓어 각각의 차량이 분할공간을 점유하기 어려움을 감지하면, 가상 주차라인(30)의 크기를 간격에 대응시켜 증가시키는 보정을 할 수 있다.
반대로, 타차량들(11,12)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간격 이하인 경우, 가상 주차라인(30)의 크기를 줄이는 보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5b를 참조하면, 타차량들(11,12)이 주차된 방향이 사선방향이라면, 가상 주차라인(30)은 직사각형의 분할공간이 사선으로 나열된 형상으로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와 같이, 가상 주차라인(30)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탐지하는 과정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부(18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에 가상 주차라인(30)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를 더 표시하는 방식으로, 가상 주차라인(30) 기반 주차공간 탐지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가상 주차라인(30) 내에 주차공간을 검출하면, 자동 주차하려는 주차공간을 하이라이트 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타차량(11)이 없는 경우, 주차위치를 나타내는 표지를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탐지할 수도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가상 주차라인(30)의 각각의 분할공간(31, 32, 33)에 주차위치를 나타내는 표지(13a, 13b, 13c)가 각각 포함되면, 분할공간(31, 32, 33) 중 하나를 주차공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영상 정보에서 제 1 주차위치 표지(13c)가 제 1 분할공간(31)을 점유하고, 제 2 주차위치 표지(13b)가 제 2 분할공간(32)을 점유하고, 제 3 주차위치 표지(13a)가 제 3 분할공간(33)을 점유함을 검출하면, 제 1 내지 제 3 분할공간(31, 32, 33) 중 하나의 분할공간을 주차공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 주차라인(30) 기반으로 주차공간이 검출되면,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주차공간에 차량이 자동 주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검출된 주차공간에 자동으로 주차를 실행하기 위한 차량 운전 조작신호를 전송하여, 차량이 자동 주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감지된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차량의 제어부가 수신한 주차공간에 자동주차를 실행하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술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는 차량(7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자동주차 보조장치(100) 및 AVN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주차 보조장치(100)에 포함되는 유닛과, 차량(700)에 기재된 유닛 중 동일한 명칭을 갖는 유닛은, 차량(7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부(710)는, 차량과 이동 단말기(600) 사이, 차량과 외부 서버(500) 사이 또는 차량과 타차량(51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무선 인터넷 모듈(712), 근거리 통신 모듈(713), 위치 정보 모듈(714) 및 광통신 모듈(7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7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714)은,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51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수단(721), 카메라(195),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차량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하 설명 도 2참조) 운전 조작 수단(721)은 조향 입력 수단(721A), 쉬프트 입력 수단(721D), 가속 입력 수단(7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수단(7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7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7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7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722)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725)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725)는 탑승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725)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서는 모니터링부(725)와 카메라(722)가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7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주차 보조장치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722)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차량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725)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모니터링부(725)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서스펜션 구동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7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제공한다.
제어부(770)는, 차량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70)은 자동주차 보조장치의 실행 신호 전달에 따라서, 전달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전술한 프로세서(170)의 역할을 위임할 수 있다. 즉, 자동주차 보조장치의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제어부(770)에 직접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자동주차 보조장치는 차량의 일부 구성들을 합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70)는 프로세서(17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해주도록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복수의 분할공간을 포함하는 가상 주차라인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에서 주차선을 검출하면 상기 검출된 주차선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량 주변 영상에서 주차선을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가상 주차라인을 기반으로 주차공간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주차라인의 분할공간과 상기 차량 주변에 배치된 타차량과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공간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 감지과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어라운드 뷰 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가상 주차라인을 상기 어라운드 뷰 이미지에 더 표시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차량이 상기 복수의 분할공간 중 하나의 분할공간을 점유하면, 나머지 분할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주차공간으로 판단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주차라인은,
    제 1 분할공간, 상기 제 1 분할공간에 인접한 제 2 분할공간, 상기 제 2 분할공간에 인접한 제 3 분할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분할공간 내지 제 3 분할공간 중 2개의 분할공간을 제 1 타차량과 제 2 타차량이 점유하면, 점유되지 않은 하나의 분할공간을 주차공간으로 판단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주차라인과 상기 차량의 위치관계를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가상 주차라인이 이동되어, 상기 타차량과 상기 가상 주차라인의 위치관계가 변경되는 방식으로 상기 주차공간을 감지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직렬주차, 병렬주차 및 사선주차를 위한 가상 주차라인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직렬주차, 병렬주차 및 사선주차를 위한 가상 주차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가상 주차라인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공간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타차량의 간격에 따라 상기 가상 주차라인의 분할공간 크기를 보정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에서 주차위치를 나타내는 표지를 검출하고,
    상기 가상 주차라인과 상기 주차위치를 나타내는 표지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공간을 감지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주차 보조장치.
  11. 제 1항에 기재된 자동주차 보조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60005692A 2016-01-18 2016-01-18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90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692A KR101790426B1 (ko) 2016-01-18 2016-01-18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692A KR101790426B1 (ko) 2016-01-18 2016-01-18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197A KR20170086197A (ko) 2017-07-26
KR101790426B1 true KR101790426B1 (ko) 2017-10-26

Family

ID=5942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692A KR101790426B1 (ko) 2016-01-18 2016-01-18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3597B2 (en) 2020-12-30 2023-10-10 Continental Autonomous Mobility US, LLC Image semantic segmentation for parking space det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494B1 (ko) * 2017-10-13 2022-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목표주차공간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2019164444A (ja) * 2018-03-19 2019-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FR3080075B1 (fr) * 2018-04-13 2021-11-19 Renault Sas Procede et systeme d'aide au pilotage d'un vehicule
KR102639080B1 (ko) * 2018-08-31 2024-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주차를 위한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64702B1 (ko) * 2019-04-26 2020-10-14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자동 주차 장치 및 자동 주차 방법
CN112249005B (zh) * 2020-10-23 2021-10-12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自动泊车的交互方法和装置
KR102585646B1 (ko) * 2021-07-30 2023-10-06 유알아이 주식회사 영상인식을 이용한 자전거의 전방 추돌 경고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558A (ja) * 2006-04-25 2007-11-08 Toyota Motor Corp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JP2012001081A (ja) * 2010-06-16 2012-01-05 Nissan Motor Co Ltd 駐車支援システム
JP2013035327A (ja) * 2011-08-04 2013-02-21 Nissan Motor Co Ltd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JP5388299B2 (ja) * 2007-11-14 2014-01-15 ボッシュ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2014076697A (ja) * 2012-10-09 2014-05-01 Denso Corp 駐車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558A (ja) * 2006-04-25 2007-11-08 Toyota Motor Corp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JP5388299B2 (ja) * 2007-11-14 2014-01-15 ボッシュ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2012001081A (ja) * 2010-06-16 2012-01-05 Nissan Motor Co Ltd 駐車支援システム
JP2013035327A (ja) * 2011-08-04 2013-02-21 Nissan Motor Co Ltd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JP2014076697A (ja) * 2012-10-09 2014-05-01 Denso Corp 駐車支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3597B2 (en) 2020-12-30 2023-10-10 Continental Autonomous Mobility US, LLC Image semantic segmentation for parking space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197A (ko)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885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32466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65829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1699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49438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9843676B (zh) 自动泊车辅助装置以及包括其的车辆
KR1018264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381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42793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90426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37414A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58188A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60626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60615B1 (ko)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43538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의 차량 운전 보조방법
KR101962348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72352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29294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43535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88259B1 (ko) 차량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37236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38884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29288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29300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87618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