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031A -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031A
KR20200034031A KR1020180110119A KR20180110119A KR20200034031A KR 20200034031 A KR20200034031 A KR 20200034031A KR 1020180110119 A KR1020180110119 A KR 1020180110119A KR 20180110119 A KR20180110119 A KR 20180110119A KR 20200034031 A KR20200034031 A KR 20200034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ehicle
autonomous
charging reserv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952B1 (ko
Inventor
박종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0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9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7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7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3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이 예약한 충전 스케줄을 각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상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해당 충전소의 충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에 있어서, 충전예약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 기록된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 웨이크업(Wake-Up) 메시지를 전송하여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부터의 충전예약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상의 충전순서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CHARGE RESERVATION OF AUTONOMOUS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율주행 차량이 개발되고 있는데, 자율주행 차량은 스스로 도로 환경을 인식하고 주행상황을 판단하여, 현재 위치에서 계획된 주행경로를 따라 목표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조향장치를 포함한 차량 내 각 장치를 제어한다.
이러한 자율주행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긴급 제동 시스템(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전방 충돌 경고 시스템(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FCW), 적응 순항제어 시스템(Adaptive Cruise Control, ACC), 차선이탈 경고 시스템(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S),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사각지대 감지장치(Blind Spot Detection, BSD), 후방충돌 경고 시스템(Rear-end Collision Warning System, RCW), 자동 주차 보조 시스템(Smart Parking Assist System, SPAS) 등이 필요하다.
참고로, 자율주행기술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4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현재의 자율주행기술은 3단계를 넘어 4단계에 진입하여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단계 분류 설명
0 No Automation Driver in complete and sole control at all times
1 Function-specific Automation Driver can regain control or stop faster than if driving without the special function
2 Combined Function Automation Driver is temporarily relieved of these driving functions
3 Limited Self-Driving Automation Driver must be available to take over controls
4 Full Self-Driving Automation Driver not expected to take control at any time
최근 대기 오염 등 환경 문제의 인식 변화에 따라 무공해차량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런 추세와 함께 전기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전에는 저속 전기자동차(최고속도 60km 이하)의 주행가능 도로가 제한적 경로에 한정되었지만, 최근에는 최고시속 160km 이상 가능한 전기자동차의 등장으로 운행도로 제한이 일반 자동차의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전기자동차는 주행 동력원으로서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고, 이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모터 구동에 의하여 주행이 이루어진다. 전기자동차의 주행중, 회생제동시 모터에 의한 발전이 이루어져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주행중에는 그 충전량 이상의 배터리 방전이 이루어지므로 일정 거리 및 시간이 지나면 반드시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전기차량 역시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아직까지 충전소의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충전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각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을 관리해야 한다.
특히, 자율주행 전기차량은 운전자의 탑승 여부에 상관 없이 기 설정된 충전예약시간에 해당 충전소까지 자율주행하여 충전을 수행한 후 출발지까지 되돌아 올 수 있으므로, 심야 주차 시간대에 충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까지 제시된 바 없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5-0048262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이 예약한 충전 스케줄을 각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상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해당 충전소의 충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에 있어서, 충전예약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 기록된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 웨이크업(Wake-Up) 메시지를 전송하여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부터의 충전예약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상의 충전순서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예약 확인정보는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 및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충전순서를 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의 차이가 임계시간 이내면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이 많은 차량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을 대상으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차량을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2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을 대상으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된 차량을 대체하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대체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상의 차량을 재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조절된 충전예약 테이블을 해당 자율주행 전기차량 및 충전소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방법에 있어서, 충전예약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 기록된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 웨이크업(Wake-Up)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자율주행 전기차량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부터의 충전예약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상의 충전순서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예약 확인정보는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 및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순서를 조절하는 단계는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충전순서를 정할 수 있다. 이때,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의 차이가 임계시간 이내면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이 많은 차량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제1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을 대상으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웨이크업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차량을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단계; 제2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을 대상으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된 차량을 대체하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대체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상의 차량을 재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재조절된 충전예약 테이블을 해당 자율주행 전기차량 및 충전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이 예약한 충전 스케줄을 각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상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해당 충전소의 충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일예시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하나의 충전소(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10), 충전예약 관리장치(20), 및 충전소(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소(30)는 복수의 충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은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스스로 충전소(30)까지 주행할 수 있는 차량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은 운행되지 않는 밤시간대(차량이 주차된 시간)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의 충전예약은 해당 운전자에 의해 낮시간대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은 충전예약 테이블상에 기록된 충전예약 스케줄에 따라 충전소(30)로 자율주행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충전을 수행한다.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일종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1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방식은 텔레매틱스를 통한 이동통신은 물론 V2X(Vehicle to Everthing)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10)으로부터 충전예약정보를 전송받고, 이에 기초하여 충전예약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충전예약정보는 차량 번호, 차량 전화번호(일례로, 텔레매틱스 단말 전화번호), 예약충전 시작시간, 배터리 잔량,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제1 임계시간(일례로,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30분 이후부터 3시간) 이내에 예약된 차량을 대상으로 충전예약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제1 임계시간에 예약된 차량이 없으면 충전예약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는다.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충전예약 테이블이 생성되면, 충전예약 테이블에 기록된 자율주행 전기차량(10)으로 웨이크업(Wake-Up)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을 활성화한다. 즉, 자율주행 전기차량(10)에 탑재된 자율주행시스템을 활성화한다. 이때, 활성화된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은 충전예약 확인정보를 충전예약 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충전예약 확인정보는 차량 번호, 차량 전화번호, 예약충전 시작시간, 배터리 잔량,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 및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자율주행 전기차량(10)으로부터 전송받은 충전예약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충전예약 테이블 상의 충전 순서를 조절(정렬)한다. 즉,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충전 순서를 정한다. 이때,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의 차이가 임계시간(일례로, 5분) 이내면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이 많은 차량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이 2시 50분인데, A 차량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3시 10분이고 원하는 충전량이 80이며, B 차량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3시 13분이고 원하는 충전량이 90이라면, 충전예약 테이블 상의 충전 순서는 B 차량이 먼저이고 A 차량의 나중이 된다.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웨이크업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1시간을 초과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즉, 충전소의 충전 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여 충전예약을 취소한다.
예를 들어, 충전예약 테이블에 기록된 10대의 차량으로 웨이크업 메시지를 전송하였는데, 웨이크업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1시간을 초과하는 차량이 3대라면 충전예약 테이블에는 7대의 차량이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기록된다.
이렇게 3대의 차량이 제외됨으로써, 충전예약 테이블에는 3대 차량만큼의 여유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채우기 위해 제2 임계시간(일례로,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3시간 초과 5시간 이내) 이내에 예약된 차량을 대상으로 웨이크업 메시지를 전송하여 충전예약 확인정보를 수신하고,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가장 짧은 순서로 3대의 차량을 충전예약 테이블 상의 해당 위치에 기록한다. 즉, 기존의 7대의 차량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과 새롭게 추가된 3대의 차량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을 통합하여 우선순위를 다시 정한다. 이때, 선택된 3대의 차량이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의 합은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된 차량의 배터리 충전량의 합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각 차량이 원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은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므로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은 없다.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최종 갱신된 충전예약 테이블을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 기록된 각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은 물론 충전소(30)로 전송한다. 이때, 최종 갱신된 충전예약 테이블을 수신한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은 수신완료 메시지를 충전예약 관리장치(20)로 전송한 후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충전소(30)는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완료정보를 충전예약 관리장치(20)로 전송하여 충전예약 테이블에 기록되도록 한다. 이는 충전예약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는, 저장부(21), 통신부(22), 및 제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아울러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저장부(21)는 충전예약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1)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는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1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방식은 텔레매틱스를 통한 이동통신은 물론 V2X(Vehicle to Everthing)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2)는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10)으로부터 충전예약정보, 충전예약 확인정보, 충전완료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 충전예약정보는 차량 번호, 차량 전화번호(일례로, 텔레매틱스 단말 전화번호), 예약충전 시작시간, 배터리 잔량,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충전예약 확인정보는 차량 번호, 차량 전화번호, 예약충전 시작시간, 배터리 잔량,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 및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는 충전소(3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즉, 통신부(30)는 충전소 단말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3)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23)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23)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어부(23)는 통신부(22)를 통해 수신한 충전예약정보에 기초하여 충전예약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는 제1 임계시간(일례로,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30분 이후부터 3시간) 이내에 예약된 차량을 대상으로 충전예약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23)는 제1 임계시간에 예약된 차량이 없으면 충전예약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는다.
제어부(23)는 충전예약 테이블이 생성되면, 충전예약 테이블에 기록된 자율주행 전기차량(10)으로 웨이크업(Wake-Up)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을 활성화한다. 즉, 자율주행 전기차량(10)에 탑재된 자율주행시스템을 활성화한다. 이때, 활성화된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은 충전예약 확인정보를 충전예약 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
제어부(23)는 자율주행 전기차량(10)으로부터 전송받은 충전예약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충전예약 테이블 상의 충전 순서를 조절한다. 즉, 제어부(23)는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충전 순서를 정한다. 이때,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의 차이가 임계시간(일례로, 5분) 이내면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이 많은 차량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제어부(23)는 웨이크업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1시간을 초과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한다. 즉, 충전소의 충전 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여 충전예약을 취소한다.
이렇게 3대의 차량이 제외됨으로써, 충전예약 테이블에는 3대 차량만큼의 여유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채우기 위해 제2 임계시간(일례로,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3시간 초과 5시간 이내) 이내에 예약된 차량을 대상으로 웨이크업 메시지를 전송하여 충전예약 확인정보를 수신하고,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가장 짧은 순서로 3대의 차량을 충전예약 테이블 상의 해당 위치에 기록한다. 즉, 기존의 7대의 차량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과 새롭게 추가된 3대의 차량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을 통합하여 우선순위를 다시 정한다.
이때,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에 기초하여 3대의 차량을 선택할 때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을 고려할 수도 있다. 즉, 선택된 차량들이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의 합은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된 차량들의 배터리 충전량의 합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는 A 차량, B 차량, C 차량, D 차량이고, A 차량이 원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은 80, B 차량이 원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은 90, C 차량이 원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은 85, D 차량이 원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은 70이라 할 때,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된 3대의 차량이 원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의 합이 250이었다면, A 차량과 B 차량 및 D 차량이 선택된다(80+90+70=240). 이때, A 차량과 B 차량 및 C 차량이 원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의 합은 250을 초과하기 때문에 C 차량은 제외된다(80+90+85=255). 이는 일례로서 상식선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제어부(23)는 최종 갱신된 충전예약 테이블을 통신부(22)를 통해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 기록된 각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은 물론 충전소(30)로 전송한다. 이때, 최종 갱신된 충전예약 테이블을 수신한 자율주행 전기차량(10)은 수신완료 메시지를 충전예약 관리장치(20)로 전송한 후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구체적으로 충전예약 관리장치(20)의 제어부(23)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아울러, 자율주행 전기차량은 심야 주차상태(장시간 주차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충전예약 테이블을 저장한다(301). 즉,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자율주행 전기차량(10)으로부터 충전예약정보를 수신한 후 이에 기초하여 충전예약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후,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제1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 웨이크업 메시지를 전송하여 활성화하고(302), 제1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부터 제1 충전예약 확인정보를 수신한다(303). 이때, 제1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은 일례로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30분 이후부터 3시간 이내에 예약된 차량을 의미한다.
이후,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충전예약 확인정보 중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에 기초하여 충전예약 테이블을 갱신한다(304).
이때,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결격 차량이 존재하면(305),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결격 차량을 삭제한 후(306), 제2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 웨이크업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2 충전예약 확인정보를 수신한다(307, 308). 결격 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310"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제2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은 일례로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3시간 초과 5시간 이내에 예약된 차량을 의미한다.
이후,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제2 충전예약 확인정보 중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에 기초하여 충전예약 테이블에 차량을 추가한다(309). 이때, 차량이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을 더 고려하여 충전예약 테이블에 추가될 차량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후,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충전예약 테이블을 제1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과 제2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 및 충전소(30)로 전송한다(310 내지 312).
이후,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이 이루어지면 충전소(30)는 충전완료정보를 충전예약 관리장치(20)로 전송한다(313, 314).
이후, 충전예약 관리장치(20)는 충전예약 테이블에 충전완료정보를 기록한다(315). 물론,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충전이 완료된 차량을 삭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그룹과 제2 그룹은 충전예약 확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자율주행 전기차량
20: 충전예약 관리장치
21: 저장부
22: 통신부
23: 제어부
30: 충전소

Claims (15)

  1. 충전예약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 기록된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 웨이크업(Wake-Up) 메시지를 전송하여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부터의 충전예약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상의 충전순서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예약 확인정보는,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 및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충전순서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의 차이가 임계시간 이내면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이 많은 차량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을 대상으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차량을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을 대상으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된 차량을 대체하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대체 차량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상의 차량을 재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조절된 충전예약 테이블을 해당 자율주행 전기차량 및 충전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10. 충전예약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 기록된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 웨이크업(Wake-Up)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자율주행 전기차량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자율주행 전기차량으로부터의 충전예약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상의 충전순서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예약 확인정보는,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 및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순서를 조절하는 단계는,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충전순서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순서를 조절하는 단계는,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의 차이가 임계시간 이내면 원하는 배터리 충전량이 많은 차량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제1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을 대상으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없거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차량을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단계;
    제2 그룹의 자율주행 전기차량을 대상으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에서 삭제된 차량을 대체하되,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대체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
    충전소까지의 도달 가능시간이 짧은 순서로 상기 충전예약 테이블상의 차량을 재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재조절된 충전예약 테이블을 해당 자율주행 전기차량 및 충전소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방법.
KR1020180110119A 2018-09-14 2018-09-14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598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119A KR102598952B1 (ko) 2018-09-14 2018-09-14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119A KR102598952B1 (ko) 2018-09-14 2018-09-14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031A true KR20200034031A (ko) 2020-03-31
KR102598952B1 KR102598952B1 (ko) 2023-11-06

Family

ID=7000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119A KR102598952B1 (ko) 2018-09-14 2018-09-14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9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0407A (ja) * 2011-03-14 2012-10-04 Denso It Laboratory Inc 充電施設予約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40109568A (ko) * 2013-03-05 2014-09-16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자동차의 충전 예약 서비스 방법
KR20150048262A (ko) 2013-10-24 2015-05-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용 전기 차량의 충전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4477A (ko) * 2015-09-21 201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80009882A (ko) * 2016-07-20 2018-01-30 인포뱅크 주식회사 원격 자율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0407A (ja) * 2011-03-14 2012-10-04 Denso It Laboratory Inc 充電施設予約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40109568A (ko) * 2013-03-05 2014-09-16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자동차의 충전 예약 서비스 방법
KR20150048262A (ko) 2013-10-24 2015-05-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주택용 전기 차량의 충전 스케줄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4477A (ko) * 2015-09-21 201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행 충전장치, 주행 주행충전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80009882A (ko) * 2016-07-20 2018-01-30 인포뱅크 주식회사 원격 자율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952B1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26888B (zh) 配车系统以及配车方法
US11086544B2 (en) Autonomous driving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2023008189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fueling vehicle
US10279757B2 (en) Control device update in a motor vehicle
US10504303B2 (en) Server, vehicle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erver
US10926652B2 (en) Method for automatic unlocking of a charging arrangement and motor vehicle
CN104344503B (zh) 用于对车辆进行持续空气调节的方法和装置
US10875420B2 (en) Full-service charging station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718844B2 (en) Charge notification method for 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s
US6357244B1 (e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s for common use
US10969236B2 (en) Vehicle route control based on user-provided trip constraints
CN106985682A (zh) 合格的车辆充电站的识别
DE102011018182A1 (de) Selbstlernendes durch eine Satellitennavigation unterstütztes Hybridfahrzeug-Steuersystem
US20220055488A1 (en) Electrified vehicle with indication of adequate driving range based on autoencoder
CN111824145A (zh) 用于电动车辆的远距离导航规划和充电策略
DE102017217175A1 (de)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aktuellen Betriebsstrategievorschlags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3154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mit einer elektrischen Maschine angetriebenen Kraftfahrzeuges
JP2007104799A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KR102598952B1 (ko) 자율주행 전기차량의 충전예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70700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CN113356719A (zh) 汽车逃生系统、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3911113A (zh) 用于控制车辆的方法
US20230406130A1 (en) Automated charging process for a motor vehicle
US20230150394A1 (en) Battery electric vehicl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 usage and off-roading
DE102017218965B4 (de) System zum Konfigurieren eines Fahrzeu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