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091A -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091A
KR20160027091A KR1020167002505A KR20167002505A KR20160027091A KR 20160027091 A KR20160027091 A KR 20160027091A KR 1020167002505 A KR1020167002505 A KR 1020167002505A KR 20167002505 A KR20167002505 A KR 20167002505A KR 20160027091 A KR20160027091 A KR 20160027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ehicle body
lower side
edge portion
motor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643B1 (ko
Inventor
아키코 이시카와
다로 니시모토
가즈노리 요시무라
아유무 쯔지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62J17/06Leg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5/00Mud-guards f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5/00Mud-guards for wheels
    • B62J15/02Fastening means; St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3/00Other protecto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62J25/04Floor-type foot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48Fairings forming part of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10Ventilation or air guiding devices forming part of fai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차체 형상의 독자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주행풍에 대해서도 양호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를 제공한다.
전륜(18)의 외주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된 프론트 펜더(63)와, 헤드 파이프(15)의 전방으로부터 측방에 걸쳐 차체 전방부(10a)를 덮는 프론트 커버(21)와, 프론트 커버(21)의 하방에 있어서, 전륜(18)의 후방의 차체 전방면을 덮는 프론트 로어 커버(30)와, 탑승자가 발을 배치하는 스텝 플로어(23)와, 스텝 플로어(23)의 하방 및 전방의 차체 측방을 덮는 언더 사이드 커버(24)를 포함하는 보디 커버(20)를 구비하고, 차체 측면에서 보아, 프론트 커버(21)의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론트 펜더(63)의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63u)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언더 사이드 커버(24)의 전방부 상단부(24p)가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와 미리 정해진 거리 떨어진 위치까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MOTORCYCLE BODY COVER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 이륜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는, 보디 형상을 형성하는 보디 커버 구조로서, 예컨대, 차량 전방의 프론트 로어 커버, 프론트 커버의 후방부를 덮는 이너 커버, 프론트 로어 커버 하부의 프론트 레그 실드, 프론트 레그 실드 후방의 레그 실드 로어 커버, 또한, 이너 커버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여 차체 프레임의 중앙을 덮는 센터 커버와, 센터 커버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연장되어 차체 프레임의 후방부를 덮는 사이드 커버 등을 갖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4835239호 공보
종래, 보디 커버 구조에 있어서는, 차체의 특징이나 독자성을 갖게 하기 위해, 예컨대 보디 커버의 윤곽 형상, 능선 형상, 팽출 형상, 개구 형상이라고 하는 형상을 이용하고 있다. 즉, 보디 커버의 특징만으로 차체의 독자성을 갖게 하고 있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이상으로 차체의 독자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도, 보디 커버 주변의 구조도 이용하여 차체의 독자성을 갖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차체 형상의 디자인성만을 지나치게 쫓으면, 보디 커버의 기능의 하나로서, 주행풍을 받아 차량의 주행 성능 및 승차성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구조 상의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체 형상의 독자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주행풍에 대해서도 양호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전륜의 외주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된 프론트 펜더와, 헤드 파이프의 전방으로부터 측방에 걸쳐 차체 전방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하방 및 후방측으로부터 승차 시트의 하방에 배치되며 탑승자가 발을 배치하는 스텝 플로어와, 상기 스텝 플로어의 하방 및 전방의 차체 측방을 덮는 언더 사이드 커버를 포함하는 보디 커버를 구비하는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에 있어서, 차체 측면에서 보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론트 펜더의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언더 사이드 커버의 전방부 상단부가 상기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와 미리 정해진 거리 떨어진 위치까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전륜의 후방의 차체 전방면을 덮는 프론트 로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로어 커버에는 상기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전방부 상단부 사이에 노출되어 보디 커버 외측면에 면하는 오버행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버행부는, 차체 전방을 향하여 볼록형으로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스텝 플로어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발판부로부터 차체 상방으로 상승하는 로어 사이드 커버를 형성하고, 상기 로어 사이드 커버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오버행부의 후단 가장자리부가 연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오버행부의 외표면은, 상기 프론트 커버 및 상기 언더 사이드 커버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차폭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오버행부 및 상기 로어 사이드 커버는, 상기 프론트 커버 혹은 상기 언더 사이드 커버에 대하여 상이한 재질 또는 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오버행부는, 인접하는 상기 보디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로킹부를 통해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차체 측면에서 보아,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형성되는 선분과, 프론트 펜더의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형성되는 선분을 대략 동일한 선분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디 커버 측면의 외관 라인 형성 영역으로서 프론트 펜더도 더함으로써, 차체 최선단부로부터 후륜의 근방까지의 전후로 긴 연속한 보디 형상의 라인 선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디 커버의 차체 후방측의 측면으로부터 차체 최선단까지 연속적인 강조 라인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없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긴 강조 라인을 형성할 수 있어 차체 형상의 독자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언더 사이드 커버의 전방부 상단부가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와 미리 정해진 거리 떨어진 위치까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와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의 선분을 차체 하방측보다 강조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프론트 로어 커버에,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와 전방부 상단부 사이에 노출되어 보디 커버 외측면에 면하는 오버행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차체 측방에서 보이지 않는 부재가 노출된다. 이 결과, 차체 측면에서 보아, 프론트 커버의 하부의 보디 형상 라인에, 종래에는 없는 노출 부분이 나타남으로써 독자성을 더욱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오버행부가 차체 전방을 향하여 볼록형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주행풍을 대략 전체면에서 받는 프론트 로어 커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스텝 플로어가 발판부로부터 차체 상방으로 상승하는 로어 사이드 커버를 형성함으로써, 차체 측면의 대략 중앙의 차체 전후 방향으로 차체 강조 액센트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로어 사이드 커버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오버행부의 후단 가장자리부가 연속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오버행부와 로어 사이드 커버가 차체 측면에 있어서 연속하여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에 접하는 하나의 선분을 형성한다. 이 결과,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차체 전후 방향의 긴 선분을 인식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차체 형상의 독자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로어 사이드 커버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오버행부의 후단 가장자리부가 대략 동일면에 연속하도록 접속되기 때문에, 오버행부로부터 유도된 주행풍을 로어 사이드 커버를 통해 차체 후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주행풍을 탑승자의 무릎부로 흐르게 할 수 있어, 승차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오버행부와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가 단차를 가지고 접하고 있기 때문에,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의 선분을 더욱 강조할 수 있어, 차체 형상의 독자성을 보다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오버행부가, 프론트 커버 및 언더 사이드 커버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차폭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풍을 단차 부분을 이용하여 차체 후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 결과, 적절한 주행풍을 탑승자의 무릎부에 흐르게 할 수 있어, 승차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오버행부 및 로어 사이드 커버가 프론트 커버 혹은 언더 사이드 커버에 대하여 상이한 재질 또는 색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의 선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커버 혹은 언더 사이드 커버를 외관 상 뛰어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독자성을 선분뿐만 아니라, 색채나 색조에 의해 강조하여 한층 더 독자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오버행부는, 인접하는 보디 커버에 대하여, 로킹부를 통해 로킹되기 때문에, 오버행부를 강고하게 유지하며 인접하는 언더 사이드 커버나 로어 사이드 커버 등의 보디 커버도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풍을 정면으로부터 받는 프론트 로어 커버를 오버행부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디 커버 구조의 일실시형태가 채용된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전륜 부분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프론트 로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프론트 로어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프론트 로어 커버의 주요부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의 프론트 로어 커버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있어서의 A-A선을 따른 부분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른 부분의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 도 1∼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하며, 또한, 도면 중에 나타내는, Fr, Rr, U, D, R, L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방 방향, 후방 방향, 상방 방향, 하방 방향, 우방 방향, 좌방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는, 차체 프레임(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차체 프레임(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전방부(10a)에 마련되는 헤드 파이프(15)와, 헤드 파이프(15)로부터 후방 또한 하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51)과, 메인 프레임(51)의 중간부로부터 대략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52)과, 메인 프레임(51)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프레임(53)과, 로어 프레임(53)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 후방 또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리어 프레임(54)을 구비한다.
또한, 자동 이륜차(1)는, 헤드 파이프(1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프론트 포크(17)와, 프론트 포크(17)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스티어링 핸들(11)과, 프론트 포크(17)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전륜(18)과, 로어 프레임(53)의 후단부에 있어서 피봇 지지축(56)에 지지된 링크를 통해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부착되는 파워 유닛(55)과, 파워 유닛(55)의 후단부에 부착되는 후륜(19)과, 파워 유닛(55)의 후단과 리어 프레임(54) 사이에 부착되는 리어 쿠션(61)과, 리어 프레임(54)에 지지된 승차 시트(12)를 구비한다.
또한, 로어 프레임(53)에는, 메인 스탠드(65a)나 사이드 스탠드(65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배기관(66)이 파워 유닛(55)의 실린더부(55a)로부터 차체 하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파워 유닛(55)의 하방을 통하여 차체 후방의 소음기(6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10) 및 각종 구성 부재는 보디 커버(20)에 의해 외측이 적절하게 덮여져 있다.
보디 커버(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파이프(15)의 전방측 및 측방측을 연속하여 덮는 프론트 커버(21)와, 이 프론트 커버(21)의 후방부를 덮는 이너 커버(22)를 가지고, 이 프론트 커버(21)와 이너 커버(22)에 의해, 차체 전방부(10a)를 덮고 있다. 또한, 보디 커버(20)는, 이너 커버(22)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여 차체 프레임(10)의 중앙[전방 프레임(52)의 양측]을 덮는 센터 커버(26)와, 센터 커버(26)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연장되어 차체 프레임(10)의 후방부 양측[리어 프레임(54)의 양측]을 덮는 사이드 커버(27)를 갖는다.
또한, 보디 커버(20)는, 센터 커버(26) 및 사이드 커버(27)의 하부 양측을 덮개 운전자의 발을 올리는 좌우의 스텝 플로어(23)를 구비하는 로어 사이드 커버(28)와, 스텝 플로어(23)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는 좌우의 언더 사이드 커버(24)와, 이 좌우의 언더 사이드 커버(24)의 하방 가장자리(24e) 사이를 덮는 언더 커버(25)와, 프론트 커버(21)의 하방측의 프론트 로어 커버(30)를 갖는다.
언더 커버(25)는, 프론트 로어 커버(30)보다 차체 후방에서, 파워 유닛(55)보다 전방의 차체 하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에 있어서는, 이너 커버(22), 센터 커버(26) 및 승차 시트(1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승차를 용이하게 하는 걸침 공간(RS)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체 최전방부에 있어서는, 전륜(18)의 외주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된 프론트 펜더(6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보디 커버(20)에서는, 차체 측면에서 보아, 전륜(18) 및 후륜(19) 사이의 영역에서 또한 차체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에 로어 사이드 커버(28)가 마련되어 있고, 이 로어 사이드 커버(28)의 상단 가장자리부(28p)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대략 수평인 선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 상단 가장자리부(28p)는, 그 전방부측에 있어서는, 프론트 커버(21)의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단 가장자리부(28p)의 후방측에 있어서는, 사이드 커버(27)의 사이드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7u)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 및 사이드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7u)와 상단 가장자리부(28p)가 중첩되도록 하여 차체 전후 방향에 형성된 1개의 선분은, 차체의 외관 형상을 강조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21)의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체 측면에서 보아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펜더(63)의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63u)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프론트 커버(21)의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와 프론트 펜더(63)의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63u)가 대략 연속한 선분을 형성하며, 또한 로어 사이드 커버(28)의 상단 가장자리부(28p)에 연속하는 선분으로서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X-X선과 Y-Y선이 대략 연속하여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와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63u)는, 확대도인 도 2에 있어서는, 약간의 어긋남을 가지고 있어도,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보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최선단부로부터 시작되는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63u)와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는 연속하는 선분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형상이다. 또한, 프론트 포크(17)의 신축에 의해,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63u)에 의해 형성되는 선분(X-X)이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에 의해 형성되는 선분(Y-Y)에 걸치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탑승자가 승차 시트(12)에 앉았을 때에, X-X선과 Y-Y선을 보다 근접시킬 수 있는 형상이다. 또한, 언더 사이드 커버(24)의 전방부 상단부(24p)는,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와 미리 정해진 거리(L1) 떨어진 위치까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방부 상단부(24p)와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의 상하 위치 사이에,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63u)가 위치하고 있다.
이하, 도 3∼도 9를 참조하여, 프론트 로어 커버(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론트 로어 커버(3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커버(21)의 하부에서 전륜(18)의 상부 측방으로부터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프론트 로어 커버(30)는, 전륜(18)의 선회를 허용하도록 차체 방향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가는 만곡면으로 형성되는 대향면(30a)(도 4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 로어 커버(30)는, 양측면의 전방 가장자리부(30f)(도 4 참조)가 언더 사이드 커버(24)의 전방 가장자리(24f)에 접속되고, 후단 가장자리(37e)가 언더 커버(25)의 전단 가장자리(25f)에 접속되어 있다.
프론트 로어 커버(3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18)에 대향하는 대향면(30a)을 차체 전방으로 팽출시킨 팽출부(34)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팽출부(34)의 좌우 양측에는, 팽출부(34)보다 차체 후방으로 만곡면을 가지고 팽창되는 후방부벽(35, 35)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후방부벽(35, 35)으로부터 차체 전방으로 연속하는 전방 상측부(31, 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전방 상측부(31, 31)는, 그 선단측의 내면[대향면(30a)]을 차체 하방을 향하여 약간 비틀어진 벽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팽출부(34)는, 헤드 파이프(15)로부터 차체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51)을 따르도록 차체 전방으로 팽출하고 있다. 이 팽출부(34)는, 메인 프레임(51)의 경사에 대응하여, 상단 부분이 가장 차체 전방으로 돌출하며, 아래로 감에 따라 차체 후방으로 후퇴하는 경사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로어 커버(30)의 하부측에는, 차량 전방 또한 하방을 향하여 팽창되는 만곡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만곡부(36)로부터 차체 후방을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면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36)는, 바닥면에서 보아, 차폭 방향의 중앙 부분이 차체 후방에 위치하는 것 같은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로어 커버(30)는, 정면에서 보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전방 가장자리부(30f, 30f)가 하방을 향함에 따라 간격을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보아, 전방 가장자리부(30f)가 차량 후방을 향하여 팽창하는 만곡 형상이며, 또한 하단에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바닥면부(37)를 구비한 대략 삼각 형상(도 1 참조)이다. 또한, 만곡부(36)를 포함하는 대향면(30a)으로부터 바닥면부(37)에 걸쳐 차폭 외측보다 차폭 중앙측이 차체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론트 로어 커버(30)는, 전륜(18) 주변에 있어서 전방으로부터 받는 주행풍(fw)을 차체 하부로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론트 로어 커버(30)의 고정은, 복수의 구멍(30h, 41h)에의 고정 부재(80, 80a, 80b)에 의한 체결에 의해, 적절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론트 로어 커버(30)의 좌우의 전방 가장자리부(30f)에는, 프론트 커버(21)의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와 언더 사이드 커버(24)의 전방부 상단부(24p) 사이에 보디 커버(20)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돌출한 오버행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버행부(4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전방을 향하여 볼록으로 만곡하고 있는 오버행 본체부(40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오버행 본체부(40a)는, 전방 가장자리부(30f)로부터 차체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팽창되도록 돌출하고 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단면 형상에 있어서, 차체 전방을 향하여 뾰족해지는 것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텝 플로어(23)는, 차체 외측에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며 또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발판부(23b)를 가지고, 이 발판부(23b)로부터 차체 상방으로 상승하도록 하여 로어 사이드 커버(28)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로어 사이드 커버(28)가 오버행부(40)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로어 사이드 커버(28)의 전단 가장자리부(28f)와 오버행부(40)의 후단 가장자리부(40r)가 연속하여 대략 동일한 보디 커버 외표면을 형성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버행부(40)의 외표면(40s)은, 프론트 커버(21) 및 언더 사이드 커버(24)에 대하여, 차폭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오버행부(40)의 외표면(40s)은,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전방에서 보았을 때에, 프론트 커버(21)의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 및 언더 사이드 커버(24)의 전방부 상단부(24p)보다 차체 중앙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오버행부(4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도 7∼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오버행부(4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출 부분으로서 형성된 오버행 본체부(40a)의 상부측, 하부측 및 측부측에 로킹부(41, 42, 43)를 3부분 구비하고 있다.
제1 결합 구조로서는, 상부의 로킹부(41)에, 나사 구멍(41h)이 상하 방향을 향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나사 구멍(41h)에 부착 나사(80a)가 돌려 끼워진다. 따라서, 프론트 로어 커버(30)의 오버행부(40)와 로어 사이드 커버(28)(도 9 참조)가 연결된다.
제2 결합 구조로서는, 하부의 로킹부(42)에, 대략 직사각 형상의 맞물림 구멍(42h)이 대략 수평 후방에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맞물림 구멍(42h)에 언더 사이드 커버(24)의 내측에 마련된 맞물림 돌기(24c)가 삽입된다(도 8 참조). 이 맞물림 돌기(24c)와 맞물림 구멍(42h)을 맞물린 상태로, 언더 사이드 커버(24)와 프론트 로어 커버(30)가 부착 나사(80b)를 통해 연결된다.
제3 결합 구조로서는, 측부의 로킹부(43)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사이에 둔 2개의 돌출편(40c)가 오버행부(40)의 후단 가장자리부(40r)의 오버행부 내측(40i)에 차량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2개의 돌출편(40c) 사이에서 오버행부 내측(40i)에는, 오목부(40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로어 사이드 커버(28)에는, 측부의 로킹부(43)에 대응하는 맞물림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로어 사이드 커버(28)의 전단 가장자리부(28f)의 내측(28i)에, 2개의 돌출편(40c) 사이에 위치하는 전단부 돌출편(28c)이 마련되어 있다. 즉, 전단부 돌출편(28c)은, 그 선단 부분을 오버행부 내측(40i)으로부터 오목부(40d)에 맞물리도록 대응한다. 따라서, 오버행부(40)와 로어 사이드 커버(28)는 서로의 내측으로 돌출편(40c) 및 전단부 돌출편(28c)이 돌출하도록 맞물린다. 이에 의해, 오버행부(40)의 후단 가장자리부(40r)와 로어 사이드 커버(28)의 전단 가장자리부(28f)가 걸리도록 로킹된다. 이 결과, 오버행부(40)의 외표면(40s)과 로어 사이드 커버 외표면(28s)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연속하도록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 높이 방향에 있어서 체결된 제1 맞물림 구조에 대하여, 제2 맞물림 구조가 차폭 방향으로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체결 방향이 교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프론트 로어 커버(30)를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로어 커버(30), 로어 사이드 커버(28) 및 언더 사이드 커버(24)의 결합부를 오버행부(40)에 집중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결합부를 오버행부(40)에 모음으로써, 그 지지 방향도 복수 방향으로 할 수 있어, 오버행부(40)를 통한 프론트 로어 커버(30)의 지지를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의 주행에 의해, 프론트 커버(21) 및 전륜(18)의 영역을 흐르는 주행풍은, 기본적으로는, 보디 커버(20) 표면을 따라 차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흐른다. 여기서, 예컨대, 보디 하부측에서는, 전륜(18)의 주위를 따라 흐르는 주행풍(fw)에 의해 프론트 로어 커버(30)의 내측을 따라 흐르는 주행풍(fw)과, 보디 측부를 따라 흐르는 주행풍(fws)이 생긴다.
프론트 로어 커버(30)의 내측의 주행풍(fw)은,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륜(18)의 상방 및 좌우 양측으로부터 프론트 로어 커버(30)에 닿도록 흘러, 프론트 로어 커버(30)의 대향면(30a)을 따라 보디 하부로 흐른다.
또한, 전륜(18)의 측방을 따라 흘러 보디 커버(20)의 측부로 흐르는 주행풍(fws)의 일부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행부(40)의 표면을 따라 흘러 후방으로 유도된다. 이 주행풍(fws)에 대하여, 오버행부(40)는, 차체 전방을 향하여 뾰족해지도록 형성(도 8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풍(fws)의 저항은 작다. 또한, 오버행부(40)는, 그 상측의 프론트 커버(21) 및 하측의 언더 사이드 커버(24) 사이에 위치하여 단차가 있는 오목형(도 6 참조)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풍(fws)을 오버행부(40)의 표면을 통과시켜 후방으로 유도하여 로어 사이드 커버(28)를 따라 흐르는 주행풍을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버행부(40) 및 로어 사이드 커버(28)는 프론트 커버(21)와 상이한 색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버행부(40) 및 로어 사이드 커버(28)는 언더 사이드 커버(24)에 대해서도 상이한 색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버행부(40) 및 로어 사이드 커버(28)는, 프론트 커버(21)와 언더 사이드 커버(24)에 대하여 그 색채를 적극적으로 바꾸지 않아도, 단순히 재질을 바꾸는 구성이어도 색채를 바꾼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디 커버(20)의 표면 부재를 인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에 따르면, 차체 측면에서 보아,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에 의해 형성되는 선분(Y-Y)과, 프론트 펜더(63)의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63u)에 의해 형성되는 선분(X-X)을 대략 동일한 선분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디 커버(20)의 외장 부분에 프론트 펜더(63)도 더함으로써, 차체 최선단부로부터 후륜(19)의 근방까지의 전후로 긴 연속한 보디 형상의 라인 선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디 커버(20)의 차체 후방측의 측면으로부터 차체 최선단까지 연속적인 강조 라인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없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긴 강조 라인을 형성할 수 있어 차체 형상의 독자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언더 사이드 커버(24)의 전방부 상단부(24p)가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와 미리 정해진 거리(L1) 떨어진 위치까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63u)와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의 선분을 차체 하방측보다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에 따르면, 프론트 로어 커버(30)에,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와 전방부 상단부(24p) 사이에 노출되어 보디 커버 외측면에 면하는 오버행부(4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차체 측방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부재가 노출된다. 이 결과, 차체 측면에서 보아, 프론트 커버(21)의 하측의 보디 형상 라인에 종래에는 없는 노출 부분이 나타남으로써 독자성을 더욱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오버행부(40)가 차체 전방을 향하여 볼록형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주행풍을 대략 전체면에서 받는 프론트 로어 커버(30)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오버행부(40)가, 수평 단면 형상에 있어서, 차체 전방을 향하여 뾰족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주행풍의 저항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에 따르면, 스텝 플로어(23)가 발판부(23b)로부터 차체 상방으로 상승하는 로어 사이드 커버(28)를 형성함으로써, 차체 측면의 대략 중앙의 차체 전후 방향으로 차체 강조 액센트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로어 사이드 커버(28)의 전단 가장자리부(28f)와 오버행부(40)의 후단 가장자리부(40r)가 연속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오버행부(40)를 갖는 프론트 로어 커버(30)와 로어 사이드 커버(28)가 차체 측면에 있어서 연속하여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에 접하는 1개의 선분(Y-Y)을 형성한다. 이 결과,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를 포함하는 차체 전후 방향의 긴 선분을 인식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차체 형상의 독자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로어 사이드 커버(28)의 전단 가장자리부(28f)와 오버행부(40)의 후단 가장자리부(40r)가 대략 동일면에 연속하도록 접속되기 때문에, 오버행부(40)로부터 유도된 주행풍(fws)을 로어 사이드 커버(28)를 통해 차체 후방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주행풍을 탑승자의 무릎부로 흐르게 할 수 있어, 승차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에 따르면, 오버행부(40)와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가 단차를 가지고 접하고 있기 때문에,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의 선분(Y-Y)을 더욱 강조할 수 있어, 차체 형상의 독자성을 보다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오버행부(40)가, 프론트 커버(21) 및 언더 사이드 커버(24)에 대하여, 차폭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풍(fws)을 단차 부분을 이용하여 차체 후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 결과, 적절한 주행풍(fws)을 탑승자의 무릎부로 흐르게 할 수 있어, 승차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에 따르면, 오버행부(40) 및 로어 사이드 커버(28)가 프론트 커버(21) 혹은 언더 사이드 커버(24)에 대하여 상이한 재질 또는 색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의 선분(Y-Y)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커버(21) 혹은 언더 사이드 커버(24)를 보디 커버(20)에 있어서 외관 상 뛰어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독자성을 선분뿐만 아니라, 색채나 색조에 의해 강조하여 한층 더 독자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에 따르면, 오버행부(40)는, 인접하는 보디 커버(20)에 대하여, 로킹부(41, 42, 43)를 통해 로킹되는 연결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버행부(40)를 강고하게 유지하며 인접하는 언더 사이드 커버(24)나 로어 사이드 커버(28) 등의 보디 커버(20)도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풍을 정면으로부터 받는 프론트 로어 커버(30)를 오버행부(40)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버행부(40)의 외표면(40s)은, 프론트 커버(21) 및 언더 사이드 커버(24)에 대하여, 차폭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론트 커버(21) 및 언더 사이드 커버(24)의 어느 한쪽에 대하여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버행부(40)는, 언더 사이드 커버(24) 및 로어 사이드 커버(28)와의 맞물림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버행부(40)는, 인접하는 보디 커버(2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로킹되어 있으면 좋다.
1 자동 이륜차
10 차체 프레임
10a 차체 전방부
11 스티어링 핸들
12 승차 시트
15 헤드 파이프
18 전륜
19 후륜
20 보디 커버
21 프론트 커버
21u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
22 이너 커버
23 스텝 플로어
23b 발판부
24 언더 사이드 커버
24p 전방부 상단부
25 언더 커버
26 센터 커버
27 사이드 커버
28 로어 사이드 커버
28f 전단 가장자리부
30 프론트 로어 커버
40 오버행부
40r 후단 가장자리부
40s 외표면
41, 42, 43 로킹부
51 메인 프레임
55 파워 유닛
63 프론트 펜더
63u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
fw, fws 주행풍
X-X선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형성되는 선분
Y-Y선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형성되는 선분

Claims (6)

  1. 전륜(18)의 외주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된 프론트 펜더(63)와,
    헤드 파이프(15)의 전방으로부터 측방에 걸쳐 차체 전방부(10a)를 덮는 프론트 커버(21)와,
    상기 프론트 커버(21)의 하방 및 후방측으로부터 승차 시트(12)의 하방에 배치되며, 탑승자가 발을 배치하는 스텝 플로어(23)와,
    상기 스텝 플로어(23)의 하방 및 전방의 차체 측방을 덮는 언더 사이드 커버(24)
    를 포함하는 보디 커버(20)를 구비하는 자동 이륜차(1)의 보디 커버 구조에 있어서,
    차체 측면에서 보아, 상기 프론트 커버(21)의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가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론트 펜더(63)의 펜더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63u)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언더 사이드 커버(24)의 전방부 상단부(24p)가 상기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와 미리 정해진 거리 떨어진 위치까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1)의 보디 커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21)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전륜(18)의 후방의 차체 전방면을 덮는 프론트 로어 커버(30)를 구비하며,
    상기 프론트 로어 커버(30)에는 상기 프론트 측면 하측 가장자리부(21u)와 상기 전방부 상단부(24p) 사이에 노출되어 보디 커버 외측면에 면하는 오버행부(40)가 형성되며,
    상기 오버행부(40)는 차체 전방을 향하여 볼록형으로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1)의 보디 커버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플로어(23)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발판부(23b)로부터 차체 상방으로 상승하는 로어 사이드 커버(28)를 형성하고,
    상기 로어 사이드 커버(28)의 전단 가장자리부(28f)와 오버행부(40)의 후단 가장자리부(40r)가 연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1)의 보디 커버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부(40)의 외표면(40s)은, 상기 프론트 커버(21) 및 상기 언더 사이드 커버(24)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차폭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고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1)의 보디 커버 구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부(40) 및 상기 로어 사이드 커버(28)는, 상기 프론트 커버(21) 혹은 상기 언더 사이드 커버(24)에 대하여 상이한 재질 또는 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1)의 보디 커버 구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부(40)는, 인접하는 상기 보디 커버(2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로킹부(41, 42, 43)를 통해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1)의 보디 커버 구조.
KR1020167002505A 2013-07-31 2013-07-31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 KR101845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0818 WO2015015610A1 (ja) 2013-07-31 2013-07-31 自動二輪車のボディカバー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091A true KR20160027091A (ko) 2016-03-09
KR101845643B1 KR101845643B1 (ko) 2018-04-04

Family

ID=5243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505A KR101845643B1 (ko) 2013-07-31 2013-07-31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688335B2 (ko)
EP (1) EP3028931B1 (ko)
JP (1) JP6014766B2 (ko)
KR (1) KR101845643B1 (ko)
CN (1) CN105452095B (ko)
AR (1) AR097048A1 (ko)
AU (1) AU2013395870B2 (ko)
BR (1) BR112016001863B1 (ko)
TR (1) TR201815467T4 (ko)
WO (1) WO2015015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5609A1 (ja) * 2013-07-31 2015-0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ボディカバー構造
CN109070961B (zh) * 2016-05-30 2021-01-1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摩托车踏板周围的覆盖结构
USD826789S1 (en) * 2017-04-12 2018-08-28 Roy Leon Sears, Jr. Motorcycle body
EP3680157B1 (en) * 2019-01-11 2021-09-0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traddled vehicle
JP2022052966A (ja) * 2020-09-24 2022-04-05 スズキ株式会社 フロントフェンダ
JP7376558B2 (ja) 2021-11-24 2023-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5239B2 (ja) 2006-04-06 2011-12-14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266Y2 (ko) 1984-12-26 1990-03-20
JP3816210B2 (ja) * 1997-09-30 2006-08-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低床式自動二輪車の車体構造
JP4684826B2 (ja) * 2005-09-26 2011-05-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4675735B2 (ja) * 2005-09-26 2011-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車体後部構造
JP4991349B2 (ja) * 2007-02-28 2012-08-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JP2009107568A (ja) * 2007-10-31 2009-05-21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用カウル及び自動二輪車
JP2011079337A (ja) * 2008-01-18 2011-04-21 Yamaha Motor Co Ltd 車体カバーおよび鞍乗型車両
JP5129592B2 (ja) * 2008-01-31 2013-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ロア構造
ES2446936T3 (es) * 2008-08-08 2014-03-10 Honda Motor Co., Ltd. Vehículo
JP5289883B2 (ja) 2008-09-30 2013-09-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5271224B2 (ja) * 2009-09-25 2013-08-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部構造
JP5566708B2 (ja) * 2010-01-27 2014-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カウリング構造
EP2353981B1 (en) * 2010-02-09 2016-06-29 Suzuki Motor Corporation Motorcycle
WO2011105356A1 (ja) * 2010-02-23 2011-09-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電動車両の車両接近告知装置
JP5485087B2 (ja) * 2010-09-09 2014-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レッグシールド構造
JP5615637B2 (ja) * 2010-09-15 2014-10-2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フロントカウル
JP2012121450A (ja) * 2010-12-08 2012-06-28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5771100B2 (ja) * 2011-09-06 2015-08-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5734149B2 (ja) * 2011-09-27 2015-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JP5925547B2 (ja) * 2012-03-22 2016-05-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導風構造
JP5869964B2 (ja) * 2012-05-31 2016-0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防風構造
JP5806643B2 (ja) * 2012-05-31 2015-1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車体カバー構造
ES2545366T3 (es) * 2012-09-28 2015-09-10 Yamaha Motor Co., Ltd. Vehículo del tipo de montar a horcajadas
JP2014184827A (ja) * 2013-03-22 2014-10-02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US10286969B2 (en) * 2013-04-19 2019-05-14 Amadeo José Srabstein Extensible frontal roof for a motorcycle
WO2015015609A1 (ja) * 2013-07-31 2015-0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ボディカバー構造
JP5922641B2 (ja) * 2013-12-26 2016-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ボディカバー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5239B2 (ja) 2006-04-06 2011-12-14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01863B1 (pt) 2022-01-11
BR112016001863A2 (pt) 2017-08-01
AU2013395870A1 (en) 2016-02-18
EP3028931B1 (en) 2018-09-19
AR097048A1 (es) 2016-02-17
JPWO2015015610A1 (ja) 2017-03-02
EP3028931A4 (en) 2017-04-26
CN105452095B (zh) 2018-04-17
JP6014766B2 (ja) 2016-10-25
US20160176464A1 (en) 2016-06-23
TR201815467T4 (tr) 2018-11-21
CN105452095A (zh) 2016-03-30
US9688335B2 (en) 2017-06-27
KR101845643B1 (ko) 2018-04-04
WO2015015610A1 (ja) 2015-02-05
AU2013395870B2 (en) 2016-09-29
EP3028931A1 (en)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643B1 (ko) 자동 이륜차의 보디 커버 구조
JP5129592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ロア構造
EP2163464B1 (en) Straddle-type vehicle
JP4848550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外装構造
JP6356627B2 (ja) ウィンカーを備える鞍乗り型車両
CN104417661B (zh) 车身罩构造
EP3889014A1 (en) Straddled vehicle
JP5468524B2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構造
JP6133338B2 (ja) 自動二輪車の前部構造
CN105501335B (zh) 车身后部构造
JPWO2021064837A5 (ko)
CN105501342B (zh) 鞍乘式车辆
JP6723280B2 (ja) 鞍乗型車両
JP2021160582A (ja) 鞍乗型車両
JP2006182225A (ja) 自動二輪車
WO2015152840A1 (en) Front garnish structure of motorcycle
JP6433717B2 (ja) 作業車輌
JP6404031B2 (ja) 作業車輌
JP2021030799A (ja) 鞍乗型車両
JP2006273004A (ja) トラクタ
JP2012183876A (ja) 鞍乗型車両のフロントフェンダ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