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903A - 안티 블로킹성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안티 블로킹성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903A
KR20160026903A KR1020157036641A KR20157036641A KR20160026903A KR 20160026903 A KR20160026903 A KR 20160026903A KR 1020157036641 A KR1020157036641 A KR 1020157036641A KR 20157036641 A KR20157036641 A KR 20157036641A KR 20160026903 A KR20160026903 A KR 20160026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film
active energy
energy ray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205B1 (ko
Inventor
료이치 다나베
노조무 와시오
Original Assignee
리껭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껭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껭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7/0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7Level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6Cans, t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트를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P)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0 질량부 ; (Q) 평균 입자경 10 ∼ 300 nm 의 유기 미립자 0.02 ∼ 5 질량부 ; (R) 아크릴실리콘계 레벨링제 0.0002 ∼ 2 질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방법이, (1)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필름 기재에 도포하여, 웨트 도포막을 형성하는 공정 ; (2) 상기 웨트 도포막을 건조시켜, 건조 도포막을 형성하는 공정 ; (3) 상기 건조 도포막을, 온도 50 ∼ 90 ℃ 의 조건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하드 코트 필름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안티 블로킹성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NTI-BLOCKING HARD COAT FILM}
본 발명은, 안티 블로킹성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안티 블로킹성, 투명성이 우수하고, 터치 패널의 부재로서 바람직한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 상에 설치되어, 표시를 보면서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입력을 실시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이 보급되고 있다. 터치 패널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필름 기재를 포함하는 부재가 다용되고 있다. 그 필름 기재의 터치면측의 최표면에는, 터치 패널의 조작 시에 손가락의 손톱이나 펜 끝에 의한 긁힘 상처 등이 생기지 않도록 내찰상성의 하드 코트를 형성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또, 터치 패널에는 필름 기재와, 산화인듐주석 등의 금속 산화물 박막 등의 투명 도전막과의 투명 도전성 적층체가 다용되고 있다. 그 투명 도전성 적층체에는, 필름 기재 등으로부터의 올리고머의 석출을 억제하거나, 적층체의 반사색이나 투과색을 조정하거나 하는 목적으로, 하드 코트를 형성하거나, 하드 코트 필름을 적층하거나 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필름 기재에 하드 코트를 형성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투명 도전성 적층체에 하드 코트를 형성하는 경우, 및 투명 도전성 적층체와 하드 코트 필름을 적층하는 경우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적층 필름을 롤상으로 권회한 상태로 보존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적층 필름은, 하드 코트측의 표면과 그 반대측의 이면이 장시간에 걸쳐 압착된 채가 되기 때문에, 표면과 이면이 종종 강하게 부착되어 버린다. 그 결과, 필름 롤로부터 적층 필름을 인출할 때, 순조롭게 인출할 수 없거나, 적층 필름의 하드 코트가 파괴되어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는, 하드 코트를 형성하는 도료에 미립자를 함유시켜 하드 코트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표면과 이면의 실제 접촉 면적을 작게 하는 기술이 다용되고 있다. 그러나, 충분한 안티 블로킹성을 얻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사이즈의 입자를 사용하거나 또는 미립자를 다량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어, 투명성이 터치 패널 전용으로서는 불만족스러운 것이 되어 있었다.
그래서, 필름 기재의 하드 코트측의 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에, 실리카 등의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도료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형성하여, 이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399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27401호 참조). 그러나, 이들의 기술에서는, 충분한 안티 블로킹성을 얻기 위해서는, 안티 블로킹성 코트에 사용하는 도료에 비교적 큰 사이즈의 입자를 함유시키거나 또는 미립자를 다량으로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이면이어도, 이와 같은 도막을 형성하면, 투명성이 터치 패널 전용으로서는 불만족스러운 것이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 실리카 등의 무기 미립자는, 경도가 높기 때문에, 제조 장치의 마모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도로 분산된 실리카 등의 무기 미립자는, 표면 활성이 높고, 금속 부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도공 롤 등에 실리카 등의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도료가 부착되었을 때, 그 도공 롤 등의 청소 작업에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도 있다.
또, 하드 코트를 형성하는 도료의 베이스 수지를 상분리시킴으로써 하드 코트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63535호 참조). 그러나, 이 기술에는, 제조 시의 건조·온도 조건 등에 그 효과가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안정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안티 블로킹제를 집합시키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41937호 참조). 이 기술에 의하면, 안티 블로킹제로서 미세한 입자를 소량 사용하면 충분한 안티 블로킹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전용으로서 충분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41937호의 기술은, 「블로킹 방지제로서, 불소 화합물을 표면에 갖는 미립자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미립자를 하드 코트층 표면에 블리드시켜, 소량으로 효과적으로 표면 요철을 형성시키고, 게다가, 하드 코트층의 물성과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블로킹 방지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이 기술은, 필름 기재 등으로부터의 올리고머의 석출을 억제하는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또, 안티 블로킹성 하드 코트면에 산화인듐주석 박막 등의 도전막을 적층하고자 해도, 충분한 밀착 강도로 적층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이 필름은, 손가락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조작하는 터치 패널 전용으로서는, 내오염성, 내지문성의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399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274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6353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419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안티 블로킹성, 투명성이 우수하고, 터치 패널의 부재로서 바람직한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하드 코트 형성용 도료로서의 특정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특정의 조건으로 경화시키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트를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P)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0 질량부 ;
(Q) 평균 입자경 10 ∼ 300 nm 의 유기 미립자 0.02 ∼ 5 질량부 ;
(R) 아크릴실리콘계 레벨링제 0.0002 ∼ 2 질량부
를 함유하고,
상기 방법이,
(1)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필름 기재에 도포하여, 웨트 도포막을 형성하는 공정 ;
(2) 상기 웨트 도포막을 건조시켜, 건조 도포막을 형성하는 공정 ;
(3) 상기 건조 도포막을, 온도 50 ∼ 90 ℃ 의 조건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하드 코트 필름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하드 코트 필름은, 안티 블로킹성, 투명성이 우수하다. 또, 이 하드 코트 필름은, 내오염성, 내지문성, 내찰상성도 우수하다. 그 때문에, 터치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의 보호 필름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하드 코트 필름과 투명 도전막을 적층함으로써, 터치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투명 도전성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 1 에서 사용된, 온도 제어 가능한 자외선 조사 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트를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후에서는 「도료」 또는 「도료 조성물」 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은,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중합·경화시켜, 하드 코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며,
(P)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
(Q) 평균 입자경 10 ∼ 300 nm 의 유기 미립자 ; 및
(R) 아크릴실리콘계 레벨링제를 함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의미이다. 또,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의 의미이다.
성분 (P) 는, 우레탄 결합과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킬 때의 경화 반응이 빠르다는 특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온도 50 ∼ 90 ℃ 의 조건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경화 반응이 빠른 도료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성분 (P) 를 함유함으로써, 빠른 경화 반응이 실현된다.
성분 (P) 는, 우레탄 결합과 (메트)아크릴로일기 이외의 관능기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된다. 우레탄 결합과 (메트)아크릴로일기 이외의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기, 카르복실기, 페닐기, 티올기, 인산기, 에폭시기, 할로겐, 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P) 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시판예로서는, 아라카와 화학 주식회사의 다관능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빔 세트 575 (상품명)」, 「빔 세트 575CB (상품명)」 ; 사토머·재팬 주식회사의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CN 시리즈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P) 로서는, 이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Q) 는, 평균 입자경 10 ∼ 300 nm 의 유기 미립자이다. 여기서의 성분 (Q) 의 「유기 미립자」 는, 소정 범위 내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유기 화합물인 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Q) 는, 상기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트에 바람직한 안티 블로킹성을 부여하도록 작용한다. 그 때문에, 성분 (Q) 의 평균 입자경은, 일정 이상의 크기인 것이 요구된다. 성분 (Q) 의 평균 입자경은, 구체적으로는 10 nm 이상일 필요가 있다.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80 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nm 이상이어도 된다.
한편, 성분 (Q) 는, 하드 코트의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평균 입자경은 일정 이하의 크기인 것이 요구된다. 성분 (Q) 의 평균 입자경은, 구체적으로는 300 nm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250 n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nm 이하이다.
안티 블로킹제는, 하드 코트의 표면 또는 표면 근방에 존재할 때에 큰 효과를 발현하고, 하드 코트의 내부에 완전히 매몰되어 있을 때는 거의 효과를 발현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소량의 배합량으로 바람직한 안티 블로킹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하드 코트의 표면 또는 표면 근방에 모이기 쉬운 안티 블로킹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유기 미립자인 성분 (Q) 는, 하드 코트의 표면 또는 표면 근방에 모이기 쉬운 특성을 갖기 때문에, 안티 블로킹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론에 구속될 의도는 없지만, 유기 미립자가 하드 코트의 표면 또는 표면 근방에 모이기 쉬운 것은, 비중이 작아 웨트 도막의 표면에 뜨게 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 등으로 예상된다.
성분 (Q) 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틸렌계 수지, 프로필렌계 수지, 함불소계 수지, 및 아미노계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의 경화 수지 등의 수지 비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아크릴계 수지의 가교체의 미립자가, 하드 코트의 표면 또는 표면 근방에 모이기 쉽고, 또한, 투명성이나 내용제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성분 (Q) 로서는, 이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Q) 의 시판예로서는, 세키스이 화학공업 주식회사의 가교 또는 미가교의 아크릴 수지계 미립자 「ADVANCELL NS (상품명)」 ; 토아 합성 주식회사의 가교 아크릴 수지계 미립자 「UJ 시리즈 (상품명)」, 「DJ 시리즈 (상품명)」 ; JX 닛코우 닛세키 에너지 주식회사의 가교 아크릴 수지계 미립자 「ENEOS 유니파우다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구한 입자경 분포 곡선에 있어서, 입자가 작은 쪽으로부터의 누적이 50 질량% 가 되는 입자경이다. 이 평균 입자경은, 예를 들어, 닛키소 주식회사의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도 분석계 「MT3200II (상품명)」 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성분 (Q) 의 배합량의 하한은, 하드 코트 필름의 안티 블로킹성 확보의 관점에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하드 코트 필름에서는, 하드 코트의 표면 또는 표면 근방에 안티 블로킹제가 집중한다. 그 때문에, 안티 블로킹성의 발현에 최저한 필요하게 되는 성분 (Q) 의 배합량은, 하드 코트 1 ㎡ 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도료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성분 (Q) 의 질량 (q) 로 나타낼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관한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질량 (q) 는 적어도 10 mg 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5 mg 이상이어도 된다. 따라서, 도료 조성물 중의 임의 성분의 양에 따라 약간의 상하는 있지만, 경화 후의 하드 코트의 두께를 2 ㎛ 로 하면, 성분 (P) 100 질량부에 대해, 0.5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8 질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 두께를 10 ㎛ 로 하면, 0.1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16 질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 두께를 50 ㎛ 로 하면, 0.02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32 질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한편, 성분 (Q) 의 배합량의 상한은, 하드 코트 필름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결정할 수 있다. 성분 (Q) 의 배합량의 상한은, 성분 (P) 100 질량부에 대해, 5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성분 (R) 은, 아크릴실리콘계 레벨링제이며, 성분 (P) 보다 극성이나 표면 장력이 조금 낮다는 특성을 갖는다. 성분 (R) 은, 성분 (Q) 를 도료 조성물 중에 양호하게 분산시킴과 함께, 하드 코트의 표면 또는 표면 근방에 모이기 쉽게 하도록 작용한다. 여기서의 성분 (R) 의 「아크릴실리콘계 레벨링제」 는, 상기 작용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 를 가지며, 또한 실리콘을 함유하는 레벨링제인 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R) 의 배합량의 하한은, 성분 (Q) 를 도료 조성물 중에 분산시켜, 하드 코트의 표면 또는 표면 근방에 모이기 쉽게 하는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결정할 수 있다. 성분 (R) 의 배합량의 하한은, 성분 (Q) 100 질량부에 대해, 성분 (R) 1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성분 (Q) 100 질량부에 대한 성분 (R) 의 배합량이 1 질량부 이상임으로써, 성분 (Q) 를 분산시켜, 하드 코트의 표면 또는 표면 근방에 모이기 쉽게 하는 효과가 충분해져, 양호한 안티 블로킹성을 얻을 수 있다.
성분 (R) 배합량 하한의 성분 (P) 대한 양비는, 상기와 같이 도료 조성물 중의 임의 성분의 양이나 하드 코트의 두께의 영향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 후의 하드 코트의 두께가 2 ㎛ 일 때는, 성분 (P) 100 질량부에 대해 성분 (Q) 가 고형분으로서 0.5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8 질량부 이상이기 때문에, 성분 (R) 은 0.005 질량부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008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질량부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4 질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동일하게, 경화 후의 하드 코트의 두께가 50 ㎛ 일 때는, 성분 (P) 100 질량부에 대해 성분 (Q) 가 0.02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32 질량부 이상이기 때문에, 성분 (R) 은 0.0002 질량부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00032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6 질량부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96 질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한편, 성분 (R) 의 배합량의 상한은, 산화인듐주석 박막 등의 도전막과의 하드 코트 필름의 적층 전의 어닐 공정에 있어서, 레벨링제가 하드 코트 표면에 블리드 아웃하여, 하드 코트와 도전막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일이 없도록 결정할 수 있다. 성분 (R) 의 배합량의 상한은, 성분 (P) 100 질량부에 대해, 2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아크릴실리콘계 레벨링제의 시판예로서는, 쿠스모토 화성 주식회사의 「Disparlon UVX272 (상품명)」, 「Disparlon UVX2280 (상품명)」, 「Disparlon UVX2285 (상품명)」, 「Disparlon AQ7120 (상품명)」, 「Disparlon AQ7180 (상품명)」, 「Disparlon LHP810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시판품은, 용제에 의해 희석되어 있으므로, 아크릴실리콘계 레벨링제 (고형분) 의 양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환산한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양호하게 진행시키기 위해,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 (-N=C=O) 를 갖는 화합물 (S) 및/또는 광 중합 개시제 (T) 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 (S) 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렌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어덕트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어덕트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어덕트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체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 및,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블록형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우레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가교 시에는, 필요에 따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에틸헥소에이트 등의 촉매를 첨가해도 된다.
광 중합 개시제 (T) 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메틸-o-벤조일벤조에이트, 4-메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질메틸케탈 등의 벤조인계 화합물 ;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 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아밀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 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등의 알킬페논계 화합물 ; 트리아진계 화합물 ; 비이미다졸 화합물 ;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화합물 ; 티타노센계 화합물 ; 옥심에스테르계 화합물 ; 옥심페닐아세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 하이드록시케톤계 화합물 ; 및, 아미노벤조에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도에 있어서, 성분 (P), (Q), (R), (S), (T)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프레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셀로솔브(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하이드로겐프탈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실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단관능 반응성 모노머 ; N-비닐피롤리돈, 스티렌 등의 단관능 반응성 모노머 ;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옥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폴리프로필렌옥시페닐)프로판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2 관능 반응성 모노머 ;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3 관능 반응성 모노머 ;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4 관능 반응성 모노머 ;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 6 관능 반응성 모노머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1 종 이상을 구성 모노머로 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내후성 안정제, 내광성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대전 방지제, 계면 활성제, 착색제, 칙소성 부여제 등의 첨가제를 1 종, 또는 2 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도공하기 쉬운 농도로 희석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용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성분, 및, 그 밖의 임의 성분과 반응하거나, 이들의 성분의 자기 반응 (열화 반응을 포함한다) 을 촉매 (촉진) 하거나 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용제로서 예를 들어, 1-메톡시-2-프로판올, 아세트산n부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에틸, 및, 다이아세톤알코올 등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이들의 성분을 혼합, 교반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1)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필름 기재에 도포하여, 웨트 도포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웨트 도포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하는 하드 코트의 두께에 대응시켜, 예를 들어 0.5 ㎛ ∼ 100 ㎛ 여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필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웨브 도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및 다이 코트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필름 기재는, 고도의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투명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평활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 강성이나 표면 경도도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투명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틸렌노르보르넨 공중합체 등의 고리형 탄화수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머형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을 들 수 있다. 또, 투명 수지 필름에는, 무연신 필름, 1 축 연신 필름, 및, 2 축 연신 필름이 포함된다.
필름 기재로서의 투명 수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 1000 ㎛ 가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필름의 두께가 10 ㎛ 이상임으로써,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투명 수지 필름의 두께가 1000 ㎛ 이하임으로써, 공지된 웨브 도포 방법·장치를 사용한 도포를 실시할 수 있다. 투명 수지 필름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250 ㎛ 이다.
상기의 투명 수지 필름과 임의의 1 층 혹은 2 층 이상의 광학 기능막 또는/및 임의의 1 층 혹은 2 층 이상의 투명 도전막의 적층체를, 필름 기재로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필름 기재에 도포하기 전에, 필름 기재의 표면에, 하드 코트와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 앵커 코트를 형성해도 된다.
앵커 코트를 형성하기 위한 앵커 코트제로서는, 1-메톡시-2-프로판올, 아세트산n-부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톤 등의 공지된 용제에 잘 용해되고, 또한, 충분한 앵커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앵커 코트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및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계 등의 관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앵커 코트제의 시판예로서, 토요보 주식회사의 「VYLON 24SS (상품명)」, 주식회사 토쿠시키의 「AU2141NT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앵커 코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필름 기재의 표면에, 관용의 방법으로 앵커 코트제를 도포하여 앵커 코트를 형성해 두고, 이 앵커 코트 위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하드 코트를 형성할 수 있다.
앵커 코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0.01 ∼ 5 ㎛ 정도여도 된다. 이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5 ∼ 2 ㎛ 이다.
앵커 코트제를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웨브 도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및 다이 코트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2) 상기 웨트 도포막을 건조시켜, 건조 도포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웨트 도포막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건조는, 예를 들어, 온도 30 ∼ 120 ℃, 시간 3 ∼ 120 초간 정도의 조건으로 실시할 수 있다. 건조 온도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필름 기재에 도포될 때, 성분 (Q) 는 수지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이기 때문에, 건조 전에, 성분 (Q) 가 웨트 도포막의 표면 또는 표면 근방에 모이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공정 (1) 에서 웨트 도포막을 형성 후, 공정 (2) 의 건조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 (예를 들어, 공업적으로는, 웨브가 도포 헤드 위치로부터 건조로 내에 들어갈 때까지의 반송에 필요로 하는 시간) 을, 3 초 이상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간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초 이상이다. 또한, 건조로를 연장하여 건조로 입구를 도포 헤드에 근접시키면, 건조로 체류 시간이 연장되고, 보다 낮은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너무 근접시키면, 도포 헤드의 청소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가 번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작업 효율 및 생산 코스트의 관점에서도, 공정 (1) 에서 웨트 도포막을 형성 후, 공정 (2) 의 건조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은, 역시 3 초 이상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정 (1) 및 (2) 에 관한 생산 효율의 관점에서, 이 시간은, 최대 30 초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속하는 (3) 의 경화 공정의 온도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공정의 건조 온도와 (3) 공정의 온도를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 양태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3) 상기 건조 도포막을, 온도 50 ∼ 90 ℃ 의 조건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하드 코트 필름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종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막을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은, 상온 부근에서 실시되고 있었다. 가온하면 필름 기재의 강성이 저하되어, 하드 코트 필름에 주름이 생기는 등의 트러블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자들은, 경화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 조건을 검토한 결과, 놀랍게도, 특정의 온도 조건에서는, 하드 코트 필름의 안티 블로킹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알아냈다.
하드 코트 필름의 안티 블로킹성의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경화 공정의 온도는 50 ℃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경화 공정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이다. 한편, 경화 공정의 온도의 상한은, 필름 기재의 강성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하드 코트 필름에 주름 등의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해야 할 점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공정의 온도는, 필름 기재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2 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인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9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공정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이다.
경화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 조건을 제어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관련된 도 1 과 같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와 대치한 롤에 공정 (2) 에서 얻은 적층체를 감싸서, 롤의 표면 온도를 소정 온도로 제어하는 방법 ;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주변을 조사로로서 둘러싸서, 조사로 내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제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임의의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광원으로 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은, 사용하는 하드 코트 형성용 도료로서의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 특성에 의해 적절히 조절해도 된다. 이 조사량은, 통상적으로는 100 ∼ 10000 mJ/c㎡ 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하드 코트의 두께는,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의 두께가 0.5 ㎛ 이상임으로써, 내손상성의 개량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한편, 하드 코트의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없다. 비용 억제의 관점에서는, 하드 코트의 두께는 최대 50 ㎛ 여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종 물성의 측정 방법
(i) 안티 블로킹성
하드 코트 필름으로부터 세로 20 cm × 폭 12 cm 의 크기의 시험편을, 세로 방향이 하드 코트 필름의 머신 방향이 되도록, 2 매 잘라내어, 2 매의 시험편의 일방의 하드 코트면과 타방의 반대측의 이면을 중첩하고, 그 중앙부에 세로 10 cm × 가로 10 cm, 질량 1000 g 의 크기의 스테인리스판을 올리고 (하중 10 g/c㎡), 온도 90 ℃ 에서 10 분간 밀착시킨 후, 손으로 T 자 박리를 시도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전혀 밀착되어 있지 않다.
○ : 약간 밀착되어 있지만, 상측의 시험편의 편 단변을 들어 올리면, 하측의 시험편은 자중으로 벗겨 떨어진다.
△ : 밀착되어 있어, 상측의 시험편의 편 단변을 들어 올리면, 하측의 시험편도 들린다. 그러나, 이음(異音)의 발생은 없다.
× : 강하게 밀착되어 있어, T 자 박리를 실시할 때에, 이음이 발생한다.
(ii) 전체 광선 투과율
JIS K7361-1 : 1997 에 따라, 닛폰 덴쇼쿠 공업 주식회사의 탁도계 「NDH2000」(상품명) 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iii) 헤이즈
JIS K7136 : 2000 에 따라, 닛폰 덴쇼쿠 공업 주식회사의 탁도계 「NDH2000」(상품명) 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iv) 내오염성 (유성 매직)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 표면을 유성 빨강 매직에 의해 스폿 오염한 후, 오염 부분을 시계 접시로 피복하여, 실온에서 24 시간 방치했다.
이어서, 오염 부분을,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충분히 함유시킨 Kimwipe (상품명) 를 이용하여, Kimwipe에 새롭게 오염이 붙지 않게 될 때까지 닦아 세정한 후, 상기 부분을 육안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오염 없음.
○ : 오염이 약간 남아 있다.
△ : 오염이 꽤 남아 있다.
× : 오염이 현저하게 남아 있다.
(v) 내오염성 (수성 매직)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 표면을 수성 빨강 매직에 의해 스폿 오염한 후, 오염 부분을 시계 접시로 피복하여, 실온에서 24 시간 방치했다.
이어서, 오염 부분을, 유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수도물을 충분히 함유시킨 Kimwipe (상품명) 를 이용하여, Kimwipe에 새롭게 오염이 붙지 않게 될 때까지 닦아 세정한 후, 상기 부분을 육안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오염 없음.
○ : 오염이 약간 남아 있다.
△ : 오염이 꽤 남아 있다.
× : 오염이 현저하게 남아 있다.
(vi) 내지문성
애플사의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을 구비한 휴대 단말 「iPad (상품명)」의 터치 패널 조작면에 하드 코트 필름을 하드 코트가 터치면이 되도록 첩합(貼合)하고, 휴대 단말을 5 분간 조작한 후에 지문이 눈에 띄는지의 여부를 육안 관찰했다.
시험은 10 명이 각각 실시하고, 지문이 눈에 띄는 경우를 0 점, 눈에 띄지 않는 경우를 1 점으로 하여 각자의 점수를 집계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8 ∼ 10 점
△ : 4 ∼ 7 점
× : 0 ∼ 3 점
(vii) 내찰상성
세로 200 mm × 가로 25 mm 의 샘플을, 세로 방향이 하드 코트 필름의 머신 방향이 되도록 채취하고, 이것을 하드 코트가 표면이 되도록 JIS L0849 의 학진 시험기에 놓았다. 계속해서, 학진 시험기의 마찰 단자에 #0000 의 스틸울을 장착한 후, 250 g 하중 (1 cm × 1 cm) 을 가하여 시험편의 표면을 10 왕복 문질렀다.
상기 표면을 육안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 상처가 없다.
○ : 1 ∼ 5 개의 상처가 있다.
△ : 6 ∼ 10 개의 상처가 있다.
× : 11 개 이상의 상처가 있다.
(viii) 연필 경도
JIS K5600-5-4 에 따라, 750 g 하중의 조건으로, 미츠비시 연필 주식회사의 연필 「유니」(상품명) 를 이용하여, 하드 코트의 표면의 경도를 평가했다.
(ix) 투명 도전성 박막과의 밀착성
하드 코트 필름을 80 ℃ 에서 1 시간 어닐 처리한 후, 그 하드 코트 표면에, 직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성 박막 (두께 20 nm) 을 형성했다. 타겟은 산화주석을 10 질량% 함유한 산화인듐으로 하고, 인가 직류 전력은 1.0 KW 로 하고, 센터 롤 온도는 23 ℃ 로 하고, 스퍼터 중의 아르곤 가스 분압은 0.67 Pa 로 했다. 또 산소 가스를, 표면 저항값이 최소가 되도록 미량 흘렸지만, 그 분압은 7.5 × 10-3 Pa 였다.
다음으로 압출기와 다층 T 다이를 구비하는 제막 장치를 이용하여, 미츠이·듀퐁 폴리 케미컬 주식회사의 아연 아이오노머 「Himilan 1650 (상품명)」 과 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의 폴리에틸렌 「Evolue 4030 (상품명)」 의 공압출 필름 (전체 두께 100 ㎛, 층비 : 아이오노머/폴리에틸렌/폴리에틸렌 = 1/2/1) 을 제막했다.
계속해서, 상기에서 얻은 투명 도전성 박막을 적층한 하드 코트 필름으로부터, 세로 100 mm × 폭 20 mm 의 단책상의 시험편 A 를, 필름의 머신 방향이 샘플의 세로 방향이 되도록 잘랐다. 동일하게 상기에서 얻은 공압출 필름으로부터, 세로 100 mm × 폭 20 mm 의 단책상의 시험편 B 를, 필름의 머신 방향이 샘플의 세로 방향이 되도록 잘랐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은 시험편 A 의 투명 도전성 박막면과 시험편 B 의 아이오노머면을, 온도 130 ℃, 압력 0.5 MPa, 시간 2 초, 시일 면적은 세로 10 mm × 폭 15 mm 의 조건으로, 히트 시일했다. 24 시간, 실온, 상대 습도 50 % 의 조건으로 상태 조절한 후, T 형 박리법에 의해, 시험 속도 200 mm/분의 조건으로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또한, 박리는 모든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투명 도전성 박막과 하드 코트의 계면에 있어서 일어났다.
사용한 원재료
(P)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
(P1) 아라카와 화학 주식회사의 4 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빔 세트 575CB (상품명)」
(Q) 평균 입자경 10 ∼ 300 nm 의 유기 미립자 ;
(Q1) 세키스이 화학공업 주식회사의 가교 아크릴 수지계 미립자 「ADVANCELL NS K-001 (상품명)」, 평균 입자경 150 nm
(R) 아크릴실리콘계 레벨링제 ;
(R1) 쿠스모토 화성 주식회사의 아크릴실리콘계 레벨링제 「Disparlon UVX272 (상품명)」
(S) 이소시아네이트 ;
(S1)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 량체 「Coronate HX (상품명)」
(T) 광 중합 개시제 ;
(T1) 치바·재팬 주식회사의 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계 광 중합 개시제 「IRGACURE127 (상품명)」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상기 (P1) 100 질량부에 대해, 상기 (Q1) 1.5 질량부, 상기 (R1) 0.2 질량부 (고형분 환산치), 상기 (T1) 3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40 질량부,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40 질량부를 혼합·교반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라비아 방식의 도공 장치를 사용하여, 토오레 주식회사의 2 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 「Lumirror U (상품명), 두께 50 ㎛」 를 필름 기재로 하여, 상기에서 얻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하드 코트의 경화 후 두께가 3 ㎛ 가 되도록 도포하고, 온도 80 ℃, 2 분간의 조건으로 건조시켜 웨브 (3) 를 얻었다. 이 웨브 (3) 를, 고압 수은등 타입의 자외선 조사 장치 (1) 와 직경 25.4 cm 의 경면 금속 롤 (2) 을 대치한 경화 장치를 사용하여 (도 1 참조), 경면 금속 롤의 온도 80 ℃, 조사량 200 mJ/c㎡, 라인 속도 15 m/min, 포위각 (도면 중 4) 120 °의 조건으로 경화시켜,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을 권관(卷管)에 권취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웨트 도포막을 형성 후, 그 도막의 건조를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은 7 초였다. 상온에서 24 시간의 양생 후, 상기 (i) ∼ (ix) 의 물성 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경면 금속 롤의 온도를 60 ℃ 로 변경한 것 이외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드 코트 필름의 형성 및 물성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경면 금속 롤의 온도를 50 ℃ 로 변경한 것 이외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드 코트 필름의 형성 및 물성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참고예 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웨트 도포막을 형성 후, 그 도막의 건조를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이 2 초가 되도록 건조로 입구 위치를 변경한 것 이외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드 코트 필름의 형성 및 물성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경면 금속 롤의 온도를 30 ℃ 로 변경한 것 이외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드 코트 필름의 형성 및 물성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경면 금속 롤의 온도를 100 ℃ 로 변경한 것 이외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드 코트 필름의 형성을 실시했다.
필름 기재의 강성이 저하되어 하드 코트 필름에 주름이 생겨, 외관이 양호한 샘플을 얻을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상기 물성의 시험은 생략했다.
실시예 4
또한 상기 (S1) 3 질량부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모두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드 코트 필름의 형성 및 물성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조제할 때에, 성분 (R1) 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드 코트 필름의 형성 및 물성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 10, 참고예 2
사용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배합, 및 하드 코트 두께를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드 코트 필름의 형성 및 물성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은, 안티 블로킹성, 투명성, 내오염성, 내지문성, 내찰상성, 연필 경도가 우수하고, 투명 도전막과의 밀착 강도도 양호한 레벨에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은, 건조 도포막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이 50 ∼ 90 ℃ 의 범위보다 낮기 때문에, 안티 블로킹성이 열등했다. 또, 비교예 2 는, 건조 도포막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이 50 ∼ 90 ℃ 의 범위보다 높기 때문에, 양호한 외관의 하드 코트 필름을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3 은, 성분 (R) 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안티 블로킹성이 열등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하드 코트 필름은, 안티 블로킹성,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터치 패널의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자외선 조사 장치
2 : 경면 금속 롤
3 : 웨브
4 : 포위각

Claims (4)

  1.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하드 코트를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P)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0 질량부 ;
    (Q) 평균 입자경 10 ∼ 300 nm 의 유기 미립자 0.02 ∼ 5 질량부 ;
    (R) 아크릴실리콘계 레벨링제 0.0002 ∼ 2 질량부
    를 함유하고,
    상기 방법이,
    (1)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필름 기재에 도포하여, 웨트 도포막을 형성하는 공정 ;
    (2) 상기 웨트 도포막을 건조시켜, 건조 도포막을 형성하는 공정 ;
    (3) 상기 건조 도포막을, 50 ∼ 90 ℃ 의 온도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하드 코트 필름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1) 에서 웨트 도포막을 형성 후, 상기 공정 (2) 를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이 3 ∼ 30 초인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하드 코트 필름.
  4. 제 3 항에 기재된 하드 코트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20157036641A 2013-07-04 2014-06-17 안티 블로킹성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263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0335 2013-07-04
JPJP-P-2013-140335 2013-07-04
PCT/JP2014/065966 WO2015001948A1 (ja) 2013-07-04 2014-06-17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903A true KR20160026903A (ko) 2016-03-09
KR102263205B1 KR102263205B1 (ko) 2021-06-09

Family

ID=5214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641A KR102263205B1 (ko) 2013-07-04 2014-06-17 안티 블로킹성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845393B2 (ko)
JP (2) JP6211082B2 (ko)
KR (1) KR102263205B1 (ko)
CN (2) CN105358262B (ko)
TW (2) TWI660014B (ko)
WO (1) WO2015001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5852B2 (en) 2015-03-18 2021-07-20 Riken Technos Corporation Adhesive film
KR101970093B1 (ko) 2015-03-18 2019-04-17 리껭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하드 코트 적층 필름
CN110330855B (zh) * 2015-03-18 2022-02-08 理研科技株式会社 成型体
KR102479158B1 (ko) 2015-03-18 2022-12-19 리껭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하드 코트 적층 필름
JP6625885B2 (ja) * 2016-01-19 2019-12-25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成形体
KR101942163B1 (ko) 2015-03-18 2019-01-24 리껭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하드 코트 적층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6147739A1 (ja) 2015-03-18 2016-09-22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US11433651B2 (en) 2015-03-18 2022-09-06 Riken Technos Corporation Hard coat laminated film
TWI745316B (zh) 2015-11-25 2021-11-11 日商理研科技股份有限公司 門體
US11774166B2 (en) 2015-11-25 2023-10-03 Riken Technos Corporation Door body
JP6644534B2 (ja) 2015-12-08 2020-02-12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CN109922959B (zh) 2016-09-14 2021-01-12 理研科技株式会社 硬质涂层层压膜
JP7064313B2 (ja) 2016-11-25 2022-05-10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CN113652163A (zh) * 2021-06-29 2021-11-16 浙江凯伦特种材料有限公司 一种耐异氰酸酯的离型涂层配方及其离型纸和其制作方法与应用
CN115197596A (zh) * 2021-09-14 2022-10-18 广东硕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平整性的载板用硬化薄膜及其制备方法
CN116554769A (zh) * 2023-06-08 2023-08-08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加硬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4249A (ja) * 2008-09-08 2010-03-25 Sumitomo Chemical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偏光板
JP2010163535A (ja) 2009-01-15 2010-07-29 Nippon Paint Co Ltd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硬化性樹脂組成物、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を含む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0241937A (ja) 2009-04-03 2010-10-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層用硬化性樹脂組成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透過型光学表示装置
JP2011039978A (ja) 2009-08-18 2011-02-24 Toppa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2027401A (ja) 2010-07-27 2012-02-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KR20130031910A (ko) * 2010-09-29 2013-03-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이 형성된 수지 필름, 적층 필름 및 터치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975A (ja) 1999-08-04 2001-04-17 Dainippon Ink & Chem Inc 塗料組成物
JP2002060735A (ja) 2000-08-24 2002-02-26 Toppan Printing Co Ltd 防眩性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塗布した防眩性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膜形成体
JP2005247939A (ja) * 2004-03-02 2005-09-15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552480B2 (ja) * 2004-03-31 2010-09-29 日本製紙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746863B2 (ja) * 2004-11-11 2011-08-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層形成用材料及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US20060134400A1 (en) * 2004-12-17 2006-06-22 Nitto Denko Corporation Hard-coated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781493B2 (en) * 2005-06-20 2010-08-2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tective coating for window glass
JP4137133B2 (ja) * 2006-03-08 2008-08-20 アイカ工業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剤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9062400A (ja) * 2007-09-04 2009-03-26 Aica Kogyo Co Ltd 紫外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剤及びフィルム成型物
JP4815425B2 (ja) 2007-11-30 2011-11-1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拡散粒子偏在ポリマー層を有する光拡散部材、及び光学素子
JP5104698B2 (ja) 2008-09-30 2012-1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ハードコート層用硬化性樹脂組成物
JP5259334B2 (ja) * 2008-10-17 2013-08-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11068034A (ja) 2009-09-25 2011-04-07 Fujifilm Corp 印刷用紙シーズニング装置及び方法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2128157A (ja) 2010-12-15 2012-07-0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01931A (ja) 2010-03-24 2011-10-13 Toyo Ink Sc Holdings Co Ltd ハードコート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塗工した基材
JP2011201930A (ja) 2010-03-24 2011-10-13 Toyo Ink Sc Holdings Co Ltd ハードコート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塗工した基材
JP5470166B2 (ja) 2010-06-11 2014-04-16 東亞合成株式会社 硬化型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
CN102985498B (zh) * 2010-08-06 2015-04-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硬涂层用固化性树脂组合物、硬涂薄膜的制造方法、硬涂薄膜、偏振片及显示面板
KR101511880B1 (ko) * 2010-08-27 2015-04-1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US9021015B2 (en) * 2010-10-18 2015-04-28 Code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ublishing virtual applications to a web server
JP5707856B2 (ja) 2010-10-27 2015-04-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2140533A (ja) * 2010-12-28 2012-07-26 Jgc Catalysts & Chemicals Ltd 透明被膜形成用塗布液および透明被膜付基材
EP2664628B1 (en) * 2011-01-13 2015-08-12 Maruzen Petrochemical Co., Ltd. Resin composition for photoimprinting, pattern forming process and etching mask
JP5899663B2 (ja) 2011-06-06 2016-04-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層用組成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US20130025281A1 (en) * 2011-07-27 2013-01-31 Rentech, Inc. 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5146790B1 (ja) * 2011-09-06 2013-02-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09706B2 (ja) * 2011-09-15 2015-04-30 日揮触媒化成株式会社 透明被膜形成用塗料および透明被膜付基材
JP6080154B2 (ja) * 2012-10-18 2017-02-15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耐指紋性ハードコート塗料及びそれを塗布した部材・物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4249A (ja) * 2008-09-08 2010-03-25 Sumitomo Chemical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偏光板
JP2010163535A (ja) 2009-01-15 2010-07-29 Nippon Paint Co Ltd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硬化性樹脂組成物、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層状構造体を含む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0241937A (ja) 2009-04-03 2010-10-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層用硬化性樹脂組成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透過型光学表示装置
JP2011039978A (ja) 2009-08-18 2011-02-24 Toppa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2027401A (ja) 2010-07-27 2012-02-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KR20130031910A (ko) * 2010-09-29 2013-03-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이 형성된 수지 필름, 적층 필름 및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27239B (zh) 2018-06-21
CN108530664A (zh) 2018-09-14
WO2015001948A1 (ja) 2015-01-08
CN105358262A (zh) 2016-02-24
US10538673B2 (en) 2020-01-21
CN105358262B (zh) 2018-05-01
CN108530664B (zh) 2021-02-26
TWI660014B (zh) 2019-05-21
US20160194500A1 (en) 2016-07-07
KR102263205B1 (ko) 2021-06-09
JPWO2015001948A1 (ja) 2017-02-23
TW201512327A (zh) 2015-04-01
US9845393B2 (en) 2017-12-19
JP2018024253A (ja) 2018-02-15
TW201831620A (zh) 2018-09-01
US20180072893A1 (en) 2018-03-15
JP6211082B2 (ja) 2017-10-11
JP6457037B2 (ja)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7037B2 (ja)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3785906B1 (en) Hard coat laminat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086762B1 (ko) 광경화성 조성물
TW201634281A (zh) 硬化塗佈層積薄膜
JP2015527458A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WO2011043269A1 (ja) 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粘着剤用原料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7033477B2 (ja) 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4152281A (ja) 透明樹脂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3879340A1 (en) Coating material for formation of light-diffusing layer, film for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screen
KR101496456B1 (ko) 하드코팅필름
EP3513970B1 (en) Hard coat laminated film
JP2001113648A (ja) 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JP2000168015A (ja) 液晶表示板表面保護フィルム
JP6508559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2012166480A (ja) 耐指紋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647016A (zh) 笔输入装置用表面材料和笔输入装置
EP3406660B1 (en) Hard coat laminate film
JP5694629B2 (ja) 光学シート用表面保護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シート用表面保護粘着フィルム
JP2008036927A (ja) 耐擦傷性樹脂板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型情報端末の表示窓保護板
KR101780849B1 (ko) 광학 부재 및 그의 용도
JP7140187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6502999B2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21177212A (ja) 低屈折率bステージ塗膜、積層フィルム、三次元成形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11018035A (ja) 鋳型用フィルム及び防眩性樹脂板の製造方法
JP2010030247A (ja) 耐擦傷性樹脂板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