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880B1 -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880B1
KR101511880B1 KR1020137007630A KR20137007630A KR101511880B1 KR 101511880 B1 KR101511880 B1 KR 101511880B1 KR 1020137007630 A KR1020137007630 A KR 1020137007630A KR 20137007630 A KR20137007630 A KR 20137007630A KR 101511880 B1 KR101511880 B1 KR 101511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coat layer
optical laminate
meth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195A (ko
Inventor
마사유키 츠네카와
가나 야마모토
도시키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7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킹 방지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 및 하드 코트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이며, 상기 하드 코트층은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고, 상기 미세한 요철 형상은 평균 PV 거칠기를 Rtm이라고 하고, 3위점 거칠기를 R3z라고 하고, 10점 평균 거칠기를 Rz라고 했을 경우에, Rtm이 2.2 내지 11.5㎚이고, R3z가 2.5 내지 13.5㎚이며, Rz가 2.6 내지 13.5㎚이며, 또한 Rtm<R3z≤Rz를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OPTICAL LAYERED PRODUCT,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필드에미션 디스플레이(FED),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태블릿 PC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최표면에는 방현성, 반사 방지성이나 대전 방지성 등의 다양한 성능을 갖는 기능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광학 적층체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명 기재 상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된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일반적으로 다관능 단량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투명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도막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서 형성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이러한 광학 적층체는 제조 공정에서 권취하거나 적층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광학 적층체의 하드 코트층은 아크릴 수지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학 적층체끼리가 서로 부착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로 인해, 제조 가공 시에 광학 적층체를 롤로 권취하거나 했을 때, 상기 광학 적층체끼리가 벗겨지기 어려워져서 형상이 변화하거나, 부착된 자국이 남기도 한다는 등의, 소위 블로킹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학 적층체의 하드 코트층 상에 보호 필름을 더 구비하여, 편광판 가공을 행할 때, 상기 보호 필름 상으로부터 강한 자외선 조사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 필름 상의 일부에, 공정 관리 상 로트 넘버 등의 마킹을 행하게 되어져 있고, 마킹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에 도달하는 자외선 조사량이 변화한다. 이로 인해, 상기 하드 코트층에 미반응 단량체가 잔류하고 있으면, 자외선 조사에 의해 미반응 단량체가 반응하는데, 상기 마킹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의 경화 수축에 차이가 발생하고, 그 결과,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마킹의 자국이 남게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317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6064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현 상황을 감안하여 블로킹 방지성, 마킹 자국 방지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 및 하드 코트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이며, 상기 하드 코트층은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고, 상기 미세한 요철 형상은 평균 PV 거칠기를 Rtm이라고 하고, 3위점 거칠기를 R3z라고 하며, 10점 평균 거칠기를 Rz라고 했을 경우에,
Rtm이 2.2 내지 11.5㎚이고, R3z가 2.5 내지 13.5㎚이며, Rz가 2.6 내지 13.5㎚이고, 또한 Rtm<R3z≤Rz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이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이활제(易滑劑)를 함유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미세한 요철 형상은 상기 이활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활제는 실리카 입자 및 스티렌-아크릴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메트)아크릴 중합체, 다관능 단량체 및 이활제를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아크릴로일 측쇄를 가지며, 또한 고형분 수산기값이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만이며,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이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 단량체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중의 (메트)아크릴 중합체와 다관능 단량체의 고형분 질량비가 1/9 내지 3/7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편광 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이며, 상기 편광 소자의 표면에 상술한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또한, 최표면에 상술한 광학 적층체, 또는 상술한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기도 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 상에, 특정한 표면 미세 요철 형상을 갖는 하드 코트층을 갖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블로킹 방지성, 마킹 자국 방지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 및 하드 코트층을 갖는다.
상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는 평활성, 내열성을 구비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복굴절이 없고, 투명성도 우수하다.
상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의 두께는 2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는 보다 바람직한 상한이 100㎛이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이 30㎛이다.
또한, 상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는, 그 위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할 때, 접착성 향상을 위해 코로나 방전 처리, 산화 처리 등의 물리적인 처리 이외에, 앵커제 혹은 프라이머라고 불리는 도료의 도포를 미리 행해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하드 코트층을 갖는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는다.
상기 미세한 요철 형상은 평균 PV 거칠기를 Rtm이라고 하고, 3위점 거칠기를 R3z라고 하며, 10점 평균 거칠기를 Rz라고 했을 경우에, Rtm이 2.2 내지 11.5㎚이고, R3z가 2.5 내지 13.5㎚이며, Rz가 2.6 내지 13.5㎚이고, 또한 Rtm<R3z≤Rz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이 이러한 특정한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기 때문에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 매우 선명성이 높은 화상이 얻어지고, 방현성 하드 코트와 같은 흐림도 전혀 없어, 광학 특성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Rtm은 평균 PV 거칠기(peak-to-valley roughness)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구역을 9분할하고, 분할된 각 구역에 있어서의 PV(최대 높이)를 평균하여 얻어지는 값이다. 상기 PV(최대 높이)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길이에 있어서의 가장 높은 산 정상과, 가장 낮은 골짜기의 저부의 차이이다.
상기 Rz는 10점 평균 거칠기이며, JIS 0601(1994)에 준거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z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가 길이에 있어서의 5점의 산 정상(P1 내지 P5)과, 5점의 골짜기의 저부(V1 내지 V5)의 절대값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상기 R3z는 3위점 거칠기이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가 길이 ln(표준 n=5) 중의 기준 길이 lr마다 세번째로 높은 산 정상과 세번째로 낮은 골짜기의 저부 간의 높이 3zi를 구하여, 그 평균값으로 한 것이다(수학식 1).
Figure 112013025987942-pct00001
구체적으로는 상기 Rtm, Rz 및 R3z는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Zygo사 제조)를 사용해서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해서 얻어지는 값이다.
즉, 각 광학 적층체를 유리판 상에 올리고, 10배 렌즈를 사용하여 2배 줌으로 하드 코트층 표면의 관찰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의 Advanced Texture Application으로 Roughness/Wavingness Map으로부터 Rtm, Rz, R3z를 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Zygo사 제조 New View 6300)로 해석 소프트웨어 MetroPro 8.3.2를 사용하고, 어플리케이션으로서 AdvText.App를 사용한다. 유리판 상에 광학 적층체를 올리고, 10배 렌즈를 사용하여 2배 줌으로 하드 코트층 표면의 간섭 줄무늬를 맞추고, Measure 버튼을 눌러서 얻어지는 결과를 채용한다. 또한, 얻어지는 결과는 Roughness Filled Plot에 표시되는 값이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이활제를 함유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미세한 요철 형상은 상기 이활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활제를 함유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미끄럼성을 부여할 수 있고, 블로킹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활제로는 실리카 입자, 스티렌 입자 및 스티렌-아크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이활제로는 하드 코트층의 표층에 모으기 위해 수지와의 친화성으로부터 실리카 입자 및 스티렌-아크릴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활제의 종류로는 실리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이활제는 평균 입경이 100 내지 6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입경이 100㎚ 미만이면 블로킹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600㎚를 초과하면, 헤이즈가 상승하고, 하드 코트층이 백화될 우려가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은 150 내지 3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입경은 메틸이소부틸케톤 5질량% 분산액의 상태에서, 레이저 회절 산란법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또는 SEM으로 관찰에 의해 측정해서 얻어진 값이다.
상기 이활제의 함유량은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중의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0.5질량부 미만이면 원하는 이활성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3질량부를 초과하면 분산성이 악화되고, 응집이나 겔화의 원인이 되며,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의 헤이즈가 높아질 우려가 있다.
상기 이활제의 함유량은 1 내지 2.5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상기 이활제 외에, (메트)아크릴 중합체 및 다관능 단량체를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 및 다관능 단량체는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중에 바인더 수지로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이 상기 이활제 외에, 바인더 수지로서 특정한 수지를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술한 특정한 미세 요철 형상을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고, 우수한 블로킹 방지성이 발휘될 뿐만 아니라, 컬이나 데미지를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수산기값이 높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사용하면, 상기 바인더 수지의 높은 수산기값에 의해, 이활제(실리카 입자)가 끌어 당겨져, 형성하는 하드 코트층의 표면 형상을 제어할 수 없고, 블로킹 방지성을 발휘할 수 없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수산기값을 내림으로써, 상기 바인더 수지와 이활제(실리카 입자)와의 친화성을 저하시키고, 결과적으로 이활제(실리카 입자)가 하드 코트층 표면 부근에 편재하여, 원하는 미세 요철 형상이 형성되고, 그 결과, 블로킹 방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컬이란, 자외선 조사에 의한 하드 코트층 형성 시에 바인더 수지의 경화 수축이 커지고, 기재와의 사이에 응력 차이가 발생하여, 광학 적층체 전체가 휘도록 변형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데미지란, 강한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도막의 경화 반응에 있어서 발열하고, 그리고, 경화 반응 후에 급격하게 냉각됨으로써, 형성한 하드 코트층의 경화 수축과 더불어, 하드 코트층과 기재가 흐르는 방향으로 줄무늬 형상으로 물결치는 현상을 말한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로서, 후술하는 아크릴로일 측쇄를 갖는 (메트)아크릴 중합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컬 및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자외선 조사 시에 반응은 하지만, 발열, 경화 수축이 다관능 단량체보다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마킹 자국 남김을 방지할 수도 있다. 광학 적층체의 하드 코트층 상에 보호 필름을 더 구비하고, 편광판 가공을 행할 때, 상기 보호 필름 상으로부터 강한 자외선 조사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 필름 상의 일부에, 공정 관리 상 로트 넘버 등의 마킹을 행하게 되고, 마킹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에 도달하는 자외선 조사량이 변화한다. 이로 인해, 상기 마킹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 있어서, 미반응 단량체가 잔류하고 있으면, 하드 코트층의 경화 수축에 차이가 발생하고, 그 결과, 하드 코트층의 표면에 마킹 자국이 남게 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술한 특정한 수지를 사용해서 형성된 하드 코트층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마킹 자국 남김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아크릴로일 측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로일 측쇄를 가짐으로써, 하드 코트층 형성 시의 컬이나 데미지를 방지하고, 원하는 연필 경도 및 내찰상성을 부여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의 주골격에 아크릴로일기를 붙이는 방법으로서, 카르복실기와 에폭시를 반응시켜서 아크릴의 주쇄에 아크릴로일기의 측쇄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서는 카르복실기와 에폭시를 반응시키기 때문에 반드시 수산기가 발생한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에 수산기가 많으면, 실리카 입자 등의 이활제와의 상성(相性)이 맞아져, 이활제는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한다. 그 결과, 광학 적층체가 제조 공정에서 권취되었을 때 이면과 부착되어 버린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의 측쇄의 수산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이활제가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광학 적층체의 부착 방지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의 수산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산기를 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카르복실기로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가 카르복실기를 가지면, 상기 이활제와 결부되어서 이활제는 수지에 도입되고, 이활성이 발휘되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의 수산기를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시켜 우레탄 결합을 형성시켜서 수산기를 감소시킨 (메트)아크릴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소량의 이활제의 첨가로 블로킹 방지성이 적절하게 발휘되고, 또한 동시에 광학 특성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반응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작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고형분 수산기값이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형분 수산기값이 150을 초과하면, 중합체에 의해 이활제가 끌어 당겨져, 하드 코트층의 표면 형상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고, 충분한 블로킹 방지성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고형분 수산기값은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형분 수산기값은 배합한 단량체로부터 산출되는 수산기값과 중량 평균 분자량에 의해 구한 값이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미만이면 연필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3만을 초과하면, 도막 밀착성이 저하하거나,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해서 도포 시공면이 악화되거나, 핸들링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상한이 2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이 20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이 200 미만이면 합성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Tg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300을 초과하면, 이중 결합이 적고,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하드 코트층의 연필 경도나 내찰상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은 상한이 2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은 배합한 단량체로부터 산출되는 이중 결합량과 중량 평균 분자량에 의해 구한 값이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4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가 40℃ 미만이면 연필 경도, 내찰상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80℃를 초과하면,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거나, 상기 조성물이 겔화할 우려가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50 내지 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Tg로부터 계산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산가가 1㎎KOH/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가가 1㎎KOH/g을 초과하면, 마킹 자국 남김이 발생하거나, 원하는 연필 경도 및 내찰상성을 갖는 하드 코트층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산가는 0.8㎎KOH/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바인더 수지 중, 고형분으로 10 내지 30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질량% 미만이면 마킹 자국 남김을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30질량%를 초과하면, 하드 코트층의 연필 경도 및 내찰상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의 함유량은 고형분으로 10 내지 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로서, 다관능 단량체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와 함께, 다관능 단량체를 함유함으로써, 연필 경도, 내찰상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킹 자국 남김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시아누르산EO 변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연필 경도와, 컬 및 데미지 방지의 밸런스가 가장 좋다는 점에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 조성물 중의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와 다관능 단량체의 고형분 질량비는 1/9 내지 3/7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비가 1/9 미만이면 컬이나 데미지 및 마킹 자국 남김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3/7을 초과하면, 내찰상성이나 기재에 대한 하드 코트층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질량비는 1/9 내지 2/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공지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류(예를 들어, 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의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의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벤조페논류, 티오크산톤류,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 메타세론 화합물, 벤조인술폰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토페논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중의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7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1질량부 미만이면 광중합 개시제의 양이 부족하고, 경화 부족이 될 우려가 있다. 7질량부를 초과하면, 광중합 개시제가 과잉이 되고, 잔존하는 광중합 개시제에 의해 마킹 자국이 개선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은 레벨링제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벨링제를 함유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의 평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로는, 예를 들어 불소계 레벨링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아크릴계 레벨링제 등의 공지된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첨가량이 적고, 도막 표면의 평면성이나 도액의 가용 시간이 양호한 점에서, 불소계 레벨링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레벨링제의 함유량은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중의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질량부 미만이면 도막의 평면성이 나빠지고, 헤이즈가 높아지거나,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가용 시간이 악화된다는 등의 우려가 있다. 1질량부를 초과하면, 원하는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분산성이나 이활성을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 레벨링제의 함유량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상술한 (메트)아크릴 중합체, 다관능 단량체, 이활제, 광중합 개시제 및 레벨링제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는 상기 이외의 수지, 열 중합 개시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 가교제, 경화제, 중합 촉진제, 점도 조정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오염 방지제, 슬립제, 굴절률 조정제,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상술한 (메트)아크릴 중합체, 다관능 단량체, 이활제 및 광중합 개시제, 레벨링제 및 다른 임의의 성분을 용제 중에 혼합 분산시킨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분산은 페인트 쉐이커, 비즈 밀, 니이더 등의 공지된 장치를 사용해서 행하면 좋다.
상기 용제로는 알코올(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부탄올, t-부탄올, 벤질 알코올, PGME, 에틸렌글리콜), 케톤(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헵타논, 디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지방족 탄화수소(예를 들어, 헥산, 시클로헥산), 할로겐화 탄화수소(예를 들어,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방향족 탄화수소(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아미드(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에테르(예를 들어,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테르 알코올(예를 들어, 1-메톡시-2-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제로서, 원하는 요철 형상을 갖는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기 쉬운 점에서,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및 아세트산 메틸 등의 휘발성이 높은 용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은 총 고형분이 30 내지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30%보다 낮으면, 잔류 용제가 남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45%를 초과하면,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고, 도포 시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총 고형분은 35 내지 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 후, 상기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스핀 코트법, 침지법, 스프레이법, 다이 코트법, 바 코트법, 롤 코터법, 메니스커스 코터법, 플렉소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비드 코터법 등의 공지된 각종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건조의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30 내지 120℃에서 3 내지 120초간 건조를 행하면 좋다.
상기 도막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상기 조성물의 내용 등에 따라서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이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라면, 도막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키면 좋다.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량이 100mJ/㎠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mJ/㎠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mJ/㎠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트층은 층 두께가 3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미만이면 연필 경도, 내찰상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15㎛를 초과하면, 잔류 용제가 남기 쉽고, 도막 밀착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상기 하드 코트층의 층 두께는 하한이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이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층 두께는 하드 코트층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SEM, TEM, STEM)으로 관찰함으로써 측정해서 얻어진 값이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경도가 JIS K5600-5-4(1999)에 의한 연필 경도 시험(하중 4.9N)에 있어서, 2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표면을 #0000번의 스틸울을 사용하여, 마찰 하중 1㎏/㎠로 10 왕복 마찰한 후에 상기 표면을 관찰한 경우, 상기 표면의 도막의 박리가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90%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한 경우에 있어서, 색 재현성이나 시인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것 외에, 원하는 콘트라스트를 얻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9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헤이즈 미터(무라카미시키사이기쥬츠켄큐쇼사 제조, 제품 번호; HM-150)를 사용해서 JIS K-7361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헤이즈가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를 초과하면, 원하는 광학 특성이 얻어지지 않고,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화상 표시 표면에 설치했을 때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0.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이다.
상기 헤이즈는 헤이즈 미터(무라카미시키사이기쥬츠켄큐쇼사 제조, 제품 번호; HM-150)를 사용해서 JIS K-7136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 상에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재료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상술한 하드 코트층의 형성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재료나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메트)아크릴 중합체, 다관능 단량체 및 이활제를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형성된 하드 코트층을 갖는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컬이나 데미지 및 광학 적층체끼리의 부착이 방지된 것이며, 연필 경도가 높고, 내찰상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하드 코트층 상에 보호 필름을 배치하고, 보호 필름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에, 마킹의 자국 남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재와 하드 코트층의 밀착성도 우수한 것이다.
또한, 편광 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이며, 상기 편광 소자의 표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를 접합하는 등 해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도 본 발명 중 하나이다.
상기 편광 소자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요오드 등에 의해 염색하고,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포르말 필름,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비누화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 소자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라미네이트 처리에 있어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에 비누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화 처리에 의해, 접착성이 양호해져서 대전 방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상기 광학 적층체의 하드 코트층 상에 보호 필름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보호 필름은 광학 적층체의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보호 필름이 표면 상에 로트 넘버 등의 마킹을 갖는 경우에도, 상기 보호 필름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해서 편광판 가공했을 때, 마킹의 자국 남김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최표면에 상기 광학 적층체 또는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이기도 한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LCD, PDP, FED, ELD(유기 EL, 무기 EL), CRT,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태블릿 PC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이어도 좋다.
상기 대표적인 예인 LCD는 투과성 표시체와, 상기 투과성 표시체를 배면으로부터 조사하는 광원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LCD일 경우, 이 투과성 표시체의 표면에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 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이 상기 광학 적층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광원 장치의 광원은 광학 적층체의 하측(기재측)으로부터 조사된다. 또한, STN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소자와 편광판 사이에, 위상차판이 삽입되어도 좋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각 층간에는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층이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인 PDP는 표면 유리 기판과 당해 표면 유리 기판에 대향하고 그 사이에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서 배치된 배면 유리 기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가 PDP인 경우, 상기 표면 유리 기판의 표면, 또는 그 전방면판(유리 기판 또는 필름 기판)에 상술한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이기도 한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전압을 걸면 발광하는 황화아연, 디아민류 물질: 발광체를 유리 기판에 증착하고, 기판에 거는 전압을 제어해서 표시를 행하는 ELD 장치, 또는 전기 신호를 광으로 변환하고, 인간의 눈에 보이는 상을 발생시키는 CRT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각 표시 장치의 최표면 또는 그 전방면판의 표면에 상술한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모든 경우에 텔레비전,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CRT, 액정 패널, PDP, ELD, FED,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태블릿 PC 등의 고정밀 화상용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블로킹 방지성이 우수하고, 서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수지 경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드 코트층으로 함으로써, 컬이나 데미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연필 경도가 높고, 내찰상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하며, 또한 편광판 가공의 공정에 있어서, 마킹이 있는 보호 필름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에, 마킹의 자국 남김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필드에미션 디스플레이(FED),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태블릿 PC 등, 특히 고정밀화 디스플레이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최대 높이(PV)의 설명도이다.
도 2는 10점 평균 거칠기 Rz의 측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3은 3위점 거칠기 R3z의 측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는 광학 적층체의 컬의 평가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 개략도이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문 중, 「부」 또는 「%」라고 되어 있는 것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이르가큐어 184(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4질량부를, 메틸이소부틸케톤에 최종 고형분이 35질량%가 되도록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에 PETA 80질량부(고형분)와 아크릴 중합체(Tg=50℃, Mw=1만9천, 산가=0.8, 아크릴 이중 결합량=230, 고형분 수산기값=146) 20질량부(고형분)를 최종 고형분이 35질량%가 되도록 혼합해서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레벨링제(제품명 디펜더 MCF-350-5, DIC사 제조)를 고형분비로 0.2질량부 첨가해서 교반하고, 마지막으로 이활제(제품명 SIRMIBK15WT%-E65, 실리카 입자 분산액, CIK나노테크사 제조)를 고형분비로 1질량부 첨가해서 교반하여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기재(상품명 KC8UX2M, 두께 80㎛, 코니카미놀타옵토사 제조) 상에 슬릿리버스·다이 코트에 의해, 도포량 10g/㎡로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도막을 70℃에서 1분간 건조시킨 후, 자외선 조사량 150mJ/㎠로 자외선을 조사해서 도막을 경화시켜,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실시예 1의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8, 비교예 1 내지 7 및 참고예 1)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조성에 있어서, 사용하는 (메트)아크릴 중합체종, 사용 용제, 사용 용제 비율(질량비) 및 이활제를 표 1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TAC 기재 상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표 1의 스티렌-아크릴 입자로서, 아이카고교사 제조 아이카아이트론 Z732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하기의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블로킹 방지성>
큰 크기, 예를 들어 A4대, 또한 그것보다 큰 크기의 각 광학 적층체를 2장 준비하고, 하드 코트층끼리가 접하도록 하여, 양쪽 손바닥으로 강하게 서로 문지른다. 각각의 하드 코트층끼리를 서로 문질러서 미끄러짐 용이성을 평가하여, 잘 미끄러지는 것을 ◎라고 하고, 미끄러지기 쉬운 것을 ○라고 하며, 약간 미끄러지는 것을 △라고 하고, 미끄러지지 않는 것을 ×라고 하였다.
<마킹 자국>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미리 마킹(유성 매직 등)을 실시한 폴리에틸렌제 보호 필름을 접합하고, N2 치환하지 않고 자외선(광량 4800mJ/㎠)을 보호 필름측으로부터 조사하였다. 조사 후, 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형광등 아래에서 하드 코트층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마킹의 자국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라고 하고,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라고 하였다.
<컬>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10㎝×10㎝로 잘라내고, 도포 시공면을 위로 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하고 있는 폭(W)을 측정하였다. 폭이 90㎜ 이상이면 ○라고 하고, 90㎜ 미만이면 ×라고 하였다.
<데미지>
기재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하드 코트층 형성 시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데미지(열 주름)의 발생 정도를 형광등 아래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고, 명확한 굴곡과 같은 주름이 있으면 ×, 거의 주름이 없으면 ○라고 하였다.
<연필 경도>
각 광학 적층체를 온도 25℃, 상대 습도 60%의 조건에서 2시간 조습한 후, JIS-S-6006이 규정하는 시험용 연필(경도 HB 내지 3H)을 사용하여, JIS K5600-5-4(1999)가 규정하는 연필 경도 평가 방법에 따라, 4.9N의 하중으로 하드 코트층이 형성된 표면의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내찰상성(내스틸울(SW)성)>
각 광학 적층체의 하드 코트층의 표면을, #0000번의 스틸울을 사용하여, 소정의 마찰 하중(1kg/㎠)으로 10 왕복 마찰하고, 그 후 도막의 박리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흠집 없음(도막의 박리가 전혀 없었음)
×: 흠집 있음(도막의 박리가 있었음)
<헤이즈>
각 광학 적층체의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에 대해서, 헤이즈 미터(무라카미시키사이기쥬츠켄큐쇼사 제조, 제품 번호; HM-150)를 사용해서 JIS K-7136(헤이즈)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도막의 백화>
암실에서 3 파장관을 사용하여, 각 광학 적층체의 하드 코트층 면으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하고, 투과·반사로 하드 코트층의 백화를 판단하였다. 또한, 각 광학 적층체의 이면(TAC 기재 측면)에 흑색 테이프를 부착하고, 마찬가지로 암실에서3 파장관을 사용하여, 하드 코트층의 백화에 대해서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어느쪽의 결과도 백화는 없고, 투명하다.
△: 적어도 한쪽이 조금 희지만, 문제는 없다.
×: 적어도 한쪽이 희다.
<Rtm, Rz 및 R3z>
각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Rtm, Rz 및 R3z를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Zygo사 제조)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표 3 중의 단위는 ㎚이다.
(측정 조건)
각 광학 적층체를 유리판 상에 올리고, 10배 렌즈를 사용하여 2배 줌으로 관찰을 행하였다. 또한, 비접촉 표면 형상 측정기의 Advanced Texture Application으로 Measure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표시되는 Roughness/Wavingness Map으로부터 Rtm, Rz, R3z를 구하였다.
Figure 112013025987942-pct00002
Figure 112013025987942-pct00003
Figure 112013025987942-pct00004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블로킹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연필 경도, 내찰상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마킹의 자국이 남지 않으며, 컬이나 데미지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의 광학 적층체는 모든 항목이 양호한 것은 아니다. 또한, 참고예 1의 광학 적층체는 다관능 단량체의 배합량이 (메트)아크릴 중합체에 대하여 너무 적었기 때문에, 컬 및 데미지의 평가가 떨어졌다. 또한, 표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시예 1 내지 4는 용제로서 MIBK를 사용했지만, 실시예 5 내지 7은 용제로서 MIBK와 아세트산 메틸 또는 MEK를 사용했기 때문에, 하드 코트층 표면에서의 간섭 줄무늬 방지성도 우수했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음극선관 표시 장치(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ELD), 필드에미션 디스플레이(FED),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태블릿 PC 등, 특히 고정밀화 디스플레이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광학 적층체

Claims (9)

  1.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 및 하드 코트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이며,
    상기 하드 코트층은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을 갖고,
    상기 미세한 요철 형상은 평균 정상-저부 거칠기(peak-to-valley roughness)를 Rtm이라고 하고, 3위점 거칠기를 R3z라고 하고, 10점 평균 거칠기를 Rz라고 했을 경우에,
    Rtm이 2.2 내지 11.5㎚이고, R3z가 2.5 내지 13.5㎚이며, Rz가 2.6 내지 13.5㎚이고, 또한 Rtm<R3z≤Rz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은 이활제(易滑劑)를 함유하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미세한 요철 형상은 상기 이활제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적층체.
  3. 제2항에 있어서, 이활제는 실리카 입자 및 스티렌-아크릴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광학 적층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메트)아크릴 중합체, 다관능 단량체 및 이활제를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아크릴로일 측쇄를 갖고, 또한 고형분 수산기값이 150 이하인 광학 적층체.
  5. 제4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3만이며, 아크릴 이중 결합 당량이 300 이하인 광학 적층체.
  6. 제4항에 있어서, 다관능 단량체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인 광학 적층체.
  7. 제4항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 중의 (메트)아크릴 중합체와 다관능 단량체의 고형분 질량비가 1/9 내지 3/7인 광학 적층체.
  8. 편광 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이며,
    상기 편광 소자의 표면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9. 최표면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또는 편광 소자의 표면에 상기 광학 적층체를 구비한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37007630A 2010-08-27 2011-08-23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511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1194 2010-08-27
JP2010191194 2010-08-27
PCT/JP2011/068929 WO2012026446A1 (ja) 2010-08-27 2011-08-23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195A KR20130097195A (ko) 2013-09-02
KR101511880B1 true KR101511880B1 (ko) 2015-04-13

Family

ID=4572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630A KR101511880B1 (ko) 2010-08-27 2011-08-23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97844B2 (ko)
JP (1) JP5720688B2 (ko)
KR (1) KR101511880B1 (ko)
CN (1) CN103068571B (ko)
TW (1) TWI474035B (ko)
WO (1) WO2012026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5981B (zh) 2012-02-14 2017-03-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层叠体、偏振片和图像显示装置
JP6094226B2 (ja) * 2013-01-09 2017-03-15 Dic株式会社 保護粘着フィルム、スクリーン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
US9845393B2 (en) 2013-07-04 2017-12-19 Riken Technos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nti-blocking hard coat film
WO2015029623A1 (ja) * 2013-08-27 2015-03-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60272854A1 (en) * 2014-03-04 2016-09-22 Sekisui Chemical Co., Ltd. Adhesive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and adhesive film for mounting flip chip
JP6364297B2 (ja) * 2014-09-24 2018-07-25 帝人株式会社 導電性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るタッチパネル
CN110358343B (zh) 2015-03-18 2022-06-17 理研科技株式会社 防眩性硬涂层层叠膜
CN107405897B (zh) 2015-03-18 2020-08-07 理研科技株式会社 粘合膜
US11433651B2 (en) 2015-03-18 2022-09-06 Riken Technos Corporation Hard coat laminated film
KR102479158B1 (ko) 2015-03-18 2022-12-19 리껭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 하드 코트 적층 필름
EP3272528B1 (en) 2015-03-18 2021-04-14 Riken Technos Corporation Multilayer hard coating film
EP3272518B1 (en) 2015-03-18 2022-05-11 Riken Technos Corporation Hard coat laminat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4808277A (zh) * 2015-05-11 2015-07-2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偏振光片和包含其的液晶显示装置
US11774166B2 (en) 2015-11-25 2023-10-03 Riken Technos Corporation Door body
TWI745316B (zh) 2015-11-25 2021-11-11 日商理研科技股份有限公司 門體
JP6644534B2 (ja) 2015-12-08 2020-02-12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EP3808800B1 (en) 2016-09-14 2022-01-05 Riken Technos Corporation Hard coat laminated film
JP7064313B2 (ja) 2016-11-25 2022-05-10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JP7270698B2 (ja) * 2017-05-11 2023-05-10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JP2017138626A (ja) * 2017-05-11 2017-08-10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積層フィルム
JP7035381B2 (ja) * 2017-08-30 2022-03-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又はタッチパネル
JP2019152686A (ja) * 2018-02-28 2019-09-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機能性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146682B2 (ja) * 2019-03-27 2022-10-04 住友理工株式会社 電子写真機器用現像ロールおよび電子写真機器用現像ロールの製造方法
JP2020163339A (ja) * 2019-03-29 2020-10-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転写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転写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ハードコート積層体
KR102184006B1 (ko) * 2019-04-09 2020-11-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의료 기기용 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2713A (ja) 2002-01-31 2003-08-08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JP5453777B2 (ja) * 2008-10-23 2014-03-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234A (ja) * 2001-07-26 2003-02-14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2004042653A (ja) * 2002-07-12 2004-02-12 Nitto Denko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197112B2 (ja) * 2002-08-27 2008-12-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層を有するフィルム、及びハードコート層を有するフィルムを適用した製品
JP4737915B2 (ja) * 2002-10-30 2011-08-03 株式会社きもと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
JP4448681B2 (ja) * 2002-11-25 2010-04-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04049018A1 (en) 2002-11-25 2004-06-10 Fuji Photo Film Co., Ltd.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0397099C (zh) * 2002-11-25 2008-06-25 富士胶片株式会社 防反射薄膜、偏振片和液晶显示器
JP2005017707A (ja) 2003-06-26 2005-01-20 Nitto Denko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6049287A1 (en) * 2004-11-04 2006-05-11 Fujifilm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light-scattering film, polarizer comprising light-scattering film,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polarizer
US20090128747A1 (en) * 2005-09-12 2009-05-21 Fujifilm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e Acylat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182519A (ja) * 2006-01-10 2007-07-19 Nippon Paint Co Ltd 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光硬化性樹脂組成物、それを基材上に被覆硬化したアンチブロッキング性構造体およびその製法
US7848021B2 (en) * 2006-02-17 2010-12-07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film,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1506693B (zh) * 2006-08-18 2013-05-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层积体、偏振片及图像显示装置
JP2008158023A (ja) * 2006-12-21 2008-07-10 Toray Ind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
JP4510124B2 (ja) * 2008-03-31 2010-07-21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304111B2 (ja) 2008-09-01 2013-10-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US9284426B2 (en) * 2008-10-23 2016-03-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Hard coat film and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
JP5463120B2 (ja) * 2008-10-31 2014-04-0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5332558B2 (ja) 2008-12-02 2013-1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2713A (ja) 2002-01-31 2003-08-08 Fuji Photo Film Co Ltd 防眩性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JP5453777B2 (ja) * 2008-10-23 2014-03-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68571B (zh) 2014-12-10
US9097844B2 (en) 2015-08-04
JP5720688B2 (ja) 2015-05-20
TW201226960A (en) 2012-07-01
TWI474035B (zh) 2015-02-21
JPWO2012026446A1 (ja) 2013-10-28
CN103068571A (zh) 2013-04-24
WO2012026446A1 (ja) 2012-03-01
KR20130097195A (ko) 2013-09-02
US20130222906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880B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865982B1 (ko) 하드 코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130115469A1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 method for producing hard coat film,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panel
US9296177B2 (en) Optical layered body,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5304111B2 (ja) 光学積層体、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929460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前面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004603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4266623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5003516A (ja) 保護コート層付フィルム
JP5899663B2 (ja) ハードコート層用組成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672806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961947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前面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202313334A (zh) 硬塗薄膜、光學構件及影像顯示裝置
JP6192255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413494B2 (ja)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60143677A (ko) 방현 필름
JP6651821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偏光板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6155657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520431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7187784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前面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8047563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