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726A -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726A
KR20160006726A KR1020157034502A KR20157034502A KR20160006726A KR 20160006726 A KR20160006726 A KR 20160006726A KR 1020157034502 A KR1020157034502 A KR 1020157034502A KR 20157034502 A KR20157034502 A KR 20157034502A KR 20160006726 A KR20160006726 A KR 2016000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helf
guide
walls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해먼드
이안 우드
Original Assignee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3/0447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69Details, e.g. night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2003/046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shelves having air du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에어 커튼들을 사용하는 전면 개방식 디스플레이 유닛용 덕티드 선반은 선반을 통해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며, 방출 또는 복귀 개구부를 갖는 전방 단부에서 연통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이 덕트의 전방 단부의 폭 방향이 후방 단부의 폭 방향보다 넓게 된다. 가이드 벽들은 상기 덕트를 폭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채널 그룹으로 분할한다. 각각의 채널은 이 채널의 후방 단부와 전방 단부 사이의 폭 방향 오프셋 정도를 반영하는 각각의 길이를 갖는다. 이 그룹 중 긴 채널은 그 후방 및 전방 단부에서의 폭 방향이 이 그룹 중 짧은 채널보다 큰 폭을 갖는다.

Description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냉장 또는 냉동 식품 및 음료 제품을 냉장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고, 소매판매하기 위한 소매점 등에서 사용되는 냉장 멀티-데크 디스플레이 케이스 또는 캐비넷들로 예시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매점용 식품 및 음료 캐비넷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원리는 냉장 저장이 요구되는 다른 물품들, 예를 들어 변질되기 쉬운 약품 또는 과학 물품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는 소매점에서의 사용에 특히 유리하다.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의 전면(front)에 슬라이딩 또는 힌지식 유리문을 끼워맞추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론적으로는, 찬 공기가 캐비넷의 개방 전면으로부터 소매점 내의 캐비넷들의 통로로 유출되는 것에 의한 "냉기 통로 증후군(cold aisle syndrome)"을 방지하기 위해, 찬 공기는 이 유리문 뒤에서 유지되지만, 그러나 불행하게도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냉기 통로 증후군은 쇼핑객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이외에, 캐비넷을 차갑게 유지하고 또한 소매점 구역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를 소모시킨다.
문을 갖는 냉장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것은, 소매 환경에서 중대한 단점이 있다. 문은 쇼핑객과 디스플레이된 물품 사이에 장벽을 만들어, 판매를 매우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문은 캐비넷을 다시 채우고, 청소하고, 유지관리하는 직원에 대한 장벽과 추가적인 작업을 만들어 상당한 소매점 제비용을 부가한다. 또한, 쇼핑객이 문을 열고 카트(trolley)를 사용할 수 있도록 넓은 통로가 필요하며, 이는 소매점 공간의 평방미터 당 매출이익률을 감소시킨다. 또한, 문을 연 다음 뒤따르는 흐려짐과 안개현상을 줄이기 위해 문에 열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중요한 단점들을 초래하는 것 이외도, 바쁜 소매점 내의 쇼핑객과 직원이 장기간 동안 자주 그리고 때때로 문을 열게 되는 간단한 이유로, 문은 찬 공기 유지에 효과적이지 않다. 문이 열릴 때마다 차가운 짙은 공기가 쏟아져 나올 것이다. 캐비넷 내부로부터 손실된 찬 공기는 필연적으로 주변 공기로 대체될 것이다. 따라서, 실제 상황에서, 캐비넷에 대한 문의 부가는 에너지 소비, 온도 제어 및 주변 공기의 유입을 크게 향상시키지 않는다.
주변 공기의 유입은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의 작동 중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반입되는 주변 공기의 열이 냉각 듀티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기기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공기가 운반하는 습기는 결로를 야기하며, 또한 결빙을 유도할 수 있다. 결로는 쇼핑객들에게 보기 흉하고, 외면받고, 불쾌감을 주며, 또한 기기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협할 수 있으며, 생물체와 같이 물의 존재를 필요로 하는 미생물들의 활동을 촉진시킨다. 또한, 반입되는 주변 공기 자체가 미생물, 먼지 및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오염물질들을 포함할 것이다.
특히, 그 주변 공기가 따뜻하고, 습기가 캐비넷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캐비넷 내에 저장된 물품들이 따뜻해지고 이 물품들에 습기가 부착되어 결로로 이어진다. 따뜻한 온도와 높은 습도 수준은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키며, 이는 선반-수명을 감소시키고, 불쾌한 냄새를 야기하고, 곰팡이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또한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쇼핑객들은 문이 없는 전면 개방식 멀티-데크 디스플레이 캐비넷을 선호하는 데, 이러한 캐비넷들은 방해받지 않는 접근을 제공하므로, 디스플레이에 있는 물품들을 더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구매하기 위해 쉽게 보고, 접근하고, 꺼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소매업자들도 이러한 캐비넷들을 선호하는 데, 이 캐비넷들은 유지보수 제비용을 감소시키고 소매점 공간의 더 나은 활용도를 가지면서, 넓은 범위의 제품들이 명확하게 디스플레이되고, 쇼핑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전면 개방식(open-fronted)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은 이 캐비넷의 개방 전면에 의해 형성된 접근 개구부(access opening)에 걸쳐 방출 및 복귀 공기 터미널 사이에서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대형 하방향-분사식 냉장 에어 커튼을 사용한다. 이러한 에어 커튼의 목적은 2가지이다: 뒤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부터 찬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근 개구부의 밀폐이며: 그리고, 접근 개구부를 통해 복사적으로 얻어지고 그리고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내로의 주변 공기의 침입에 의해 얻어지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부터의 열의 제거이다.
종래의 에어 커튼은 캐비넷의 접근 개구부를 밀폐하는 것을 충분히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높은 속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높은 속도는 에어 커튼 내로의 주변 공기의 비말동반율을 증가시킨다. 주변 공기의 비말동반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내로의 주변 공기의 침투를 충동하며, 기기로부터의 찬 공기의 유출에 기여한다. 또한, 찬 공기의 고속 스트림은 쇼핑객이 에어 커튼 뒤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접근하려고 할 때 쇼핑객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추가 냉각 공기는 전형적으로 캐비넷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뒤의 천공된 후면 패널을 통해 공급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냉각 공기는 공간 내의 각각의 레벨에 더 냉각을 제공하고, 에어 커튼을 지원하기 위해, 에어 커튼을 공급하는 덕트로부터 빼내진다. 이는, 에어 커튼 속도가 감소되도록 하여, 주변 공기의 비말동반률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후면 패널 유동의 조치들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캐비넷들은 주변 공기 비말동반율이 실제 상황에서 80%로 높기 때문에, 이는 과도한 에너지 소비 및 불편한 냉기 통로의 원인이 된다.
후면 패널 유동은, 접근 개구부로부터 가장 멀리 있기 때문에 가장 낮은 열취득을 받는, 선반 후면의 가장 차가운 물품들 위로 가장 찬 공기가 송풍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저장된 물품들을 가로지르는 온도 확산을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캐비넷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전체에 걸쳐 엄격한 온도 제어가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원하는 온도보다 더 높은 캐비넷 구역들에서 식품 변질이 더 빠르게 될 것이다. 반대로, 원하는 온도보다 더 낮은 캐비넷 구역들은 동결점 위 아래를 순환하여 식품 변질을 더 빠르게 촉진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 내의 레벨은, 예를 들어 중실 또는 천공된 패널 또는 개방 바스켓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선반으로 형성된다. 선반들은 캐비넷의 내부를 2개 이상의 더 작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의 스택(stack)으로 분할한다. 선반 및 그 조합된 디스플레이 공간들은 또한 나란한 열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은 각각의 전면 개방 접근 개구부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선반은 선반 위의 상부 접근 개구부 및 선반 아래의 하부 접근 개구부를 형성하며, 이 선반 위 아래의 냉장 저장 공간의 각각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있는 냉장 물품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선반 상에 전방으로 위치된 배출구 및/또는 유입구로 및/또는 이로부터, 에어 커튼들을 생성시키거나 또는 지지하기 위해,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의 선반들을 통해 공기를 덕트시키기 위한 몇 가지 제안이 있다. 이의 목적은 캐비넷의 전면 개구부를 더 효율적으로 밀폐하고, 온도 제어를 개선하고, 또한 주변 공기의 침입을 줄이기 위해, 에어 커튼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이전 특허출원인, 국제공개 WO 2011/121284호에는, 접근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에어 커튼으로서 찬 공기를 분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전방으로 위치된 방출 배출구가 공급 덕트와 연통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방으로 위치된 복귀 유입구는 에어 커튼으로부터의 공기를 수용하도록 복귀 덕트와 연통된다. 에어 커튼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종래의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방출 배출구는 선반 아래의 하부 접근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에어 커튼으로서 찬 공기를 분사하며, 복귀 유입구는 선반 위의 상부 접근 개구부를 가로질러 선반 위로 방출된 다른 에어 커튼으로부터 공기를 수용한다.
틀에 얽매이지 않고, 에어 커튼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접근 개구부를 가로질러 상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방출 배출구는 상부 접근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에어 커튼으로서 찬 공기를 분사하며, 복귀 유입구는 하부 접근 개구부를 가로질러 선반 아래로 방출된 다른 에어 커튼으로부터 공기를 수용한다. 이 발명은 또한 이러한 가능성을 포함한다.
WO 2011/121284호는, 그 전면의 구조가 하방향으로 향하는 방출 개구부 또는 배출구 및 상방향으로 향하는 복귀 개구부 또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덕티드 선반(ducted shelf)을 교시한다. 이 개구부들의 각각은 선반 전면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공기를 배출구로 공급하고 유입구로부터의 공기를 수용하도록 선반 내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적층되거나 또는 선반 내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옆에 놓이는 각각의 덕트와 연통한다.
본 출원인의 이전 특허출원인, 국제공개 WO 2011/121285호는 선반의 공급 덕트 및/또는 복귀 덕트 내의 등간격의 가이드 베인(guide vane)의 가능성을 개시한다. 이 가이드 베인의 목적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출 및 복귀 개구부들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속도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선반의 폭을 가로질러 균등하게 공기를 분배하는 데에 있다.
선반의 폭을 가로지르는 동일한 폭의 채널을 형성하는 등간격의 베인들이 가능한 반면, 매우 큰 압력 강하가 방출 공기 터미널을 가로지르는 허니콤과 같은 확산기(diffuser)에서 존재하지 않는 한, 이 베인들은 충분히 균형 잡힌 분배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대부분의 가이드 베인들에는 방출 공기 터미널과 복귀 공기 터미널을 가로질러 균형 잡힌 공기흐름을 생산하는 것이 요구된다.
베인들 사이의 각각의 채널이 다른 길이이고, 그 수력 직경(hydraulic diameter)이 채널의 길이를 따라 변화되는 경우, 이는, 각각의 공기 터미널을 가로질러 균형 잡힌 공기흐름을 달성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최적 속도 확산이 방출 공기 터미널로 이어지는 전이 입구에서 제공되는 경우, 이 공기 스트림의 경계층이 채널의 양 측면 상의 베인들에 부여되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유동 방향과 베인 사이의 발산각이 너무 큰 경우, 공기 스트림이 베인으로부터 이탈되어, 방출 공기 터미널로부터 분사된 에어 커튼을 가로질러 재순환 구역들과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다.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베인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분배를 개선하지만, 이러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특히 가이드 베인들이 조립식 구조체의 일부인 경우, 가이드 베인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재료의 낭비 및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발명이 창안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의미에서, 본 발명은 에어 커튼들을 사용하는 전면 개방식 디스플레이 유닛용 덕티드 선반에 관한 것이며, 이 선반은,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및 측면에서 측면으로 폭 방향을 형성하는 대향 측면들;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덕트로서, 선반을 통하여 대체로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며, 방출 또는 복귀 개구부를 갖는 전방 단부에서 연통되며, 덕트의 후방 단부에서보다 전방 단부에서 폭 방향이 더 넓은 덕트; 및
덕트를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경로의 그룹으로 분할하도록 덕트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벽들로서, 각각의 경로는 각각 전방 및 후방 단부를 갖는 각각의 채널을 포함하며, 가이드 벽들은 전방으로 벌어져 채널들이 그 후방 단부들보다 그 전방 단부에서 더 넓은, 가이드 벽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경로는 조합된 채널의 후방 단부와 전방 단부 사이의 폭 방향 오프셋 정도를 반영하는 각각의 길이를 가지며;
경로 그룹 중 긴 경로는 조합된 채널의 후방 및 전방 단부에서의 폭 방향이 이 그룹의 짧은 경로보다 큰 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채널의 벽들을 형성하는 가이드 벽들은 그 채널을 통과하는 중심 유동 축선으로부터 최대 15°로 분기된다. 가이드 벽들은 덕트의 전방 단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의 그 전방 단부들에서 적절하게 종단된다.
그룹의 채널들은 다른 수력 직경들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반은 경로들의 그룹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동등한 압력 강하가 생성되도록 배치된다.
편리하게, 채널들은 가이드 벽들을 결합하는 상부 또는 하부 벽들에 의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벽들은 바람직하게는 성형, 압축 또는 진공성형되는, 일원화된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로서 가이드 벽들과 일체로 된다. 상부 및 하부 벽들은 그룹의 인접 채널들 사이에서 교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부와 하부 벽들 및 가이드 벽들을 교번하는 것은 폭 방향에서 주름형 또는 성곽 모양의 단면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유리하게, 덕트는 선반을 통해 전면에서 후면으로 취해진 측면 섹션에서 전방으로 테이퍼진다.
가이드 벽들은 조합된 채널들의 후방과 전방 단부 사이의 폭 방향 오프셋 정도에 따라 선반의 전면에 대해 경사지는 중앙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채널을 형성하는 인접한 가이드 벽의 중앙 섹션들은 전방으로 벌어진다. 가이드 벽들의 전방 및/또는 후방 섹션들은 선반의 전면에 대한 가이드 벽의 중앙 섹션들보다 작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을 형성하는 인접한 가이드 벽들의 전방 및/또는 후방 섹션들은 실질적으로 평행일 수 있으며, 또한 선반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또한 덕티드 선반용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의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는,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및 측면에서 측면으로 폭 방향을 형성하는 대향 측면들;
몸체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연장되며, 후방 단부에서보다 전방 단부에서 폭 방향이 더 넓은 덕트를 형성하는 구조체들;
덕트를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경로의 그룹으로 분할하도록 덕트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벽들로서, 각각의 경로는 각각 전방 및 후방 단부를 갖는 각각의 채널을 포함하며, 가이드 벽들은 전방으로 벌어져 채널들이 그 후방 단부들보다 그 전방 단부에서 더 넓은, 가이드 벽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경로는 조합된 채널의 후방 단부와 전방 단부 사이의 폭 방향 오프셋 정도를 반영하는 각각의 길이를 가지며;
경로 그룹 중 긴 경로는 조합된 채널의 후방 및 전방 단부에서의 폭 방향이 이 그룹의 짧은 경로보다 큰 폭을 갖는다.
경로의 길이는 덕트의 후면으로부터 조합된 채널을 통하여 덕트의 전면으로, 또는 채널의 후방과 전방 단부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는,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및 측면에서 측면으로 폭 방향을 형성하는 대향 측면들;
몸체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연장되며, 후방 단부에서보다 전방 단부에서 폭 방향이 더 넓은 덕트를 형성하는 구조체들; 및
덕트를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경로의 그룹으로 분할하도록 덕트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벽들로서, 각각의 경로는 각각 전방 및 후방 단부를 갖는 각각의 채널을 포함하며, 가이드 벽들은 전방으로 벌어져 채널들이 그 후방 단부들보다 그 전방 단부에서 더 넓은, 가이드 벽들을 포함하며,
채널들은 가이드 벽을 결합하고 그룹의 인접한 채널들 사이에서 교번하는, 상부 또는 하부 벽들에 의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개념은, 폭 방향으로 한 쌍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그 덕트-형성 구조체들이 가이드 몸체들 사이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상인, 본 발명의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들의 조합으로 확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쌍 중의 하나의 가이드 몸체는 이 쌍 중의 다른 하나의 가이드 몸체에 대하여 전도된다.
이러한 조합에서, 각각의 가이드 몸체는,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및 측면에서 측면으로 폭 방향을 형성하는 대향 측면들; 및 몸체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연장되며, 후방 단부와 전방 단부 사이에 폭 방향 오프셋을 갖는 덕트를 형성하는 구조체들을 포함하며, 이 조합은 폭 방향으로 한 쌍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그 덕트-형성 구조체들이 가이드 몸체들 사이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상인,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몸체를 포함한다. 이 가이드 몸체는 적어도 두 쌍일 수 있으며, 덕트-형성 구조체들을 갖는 각각의 쌍은 가이드 몸체들 사이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상이며, 쌍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배치되며; 제1 쌍의 덕트의 후방 단부들은 폭 방향에서 측방향으로 내측이며, 제2 쌍의 덕트의 후방 단부들은 폭 방향에서 측방향으로 외측이다. 예를 들면, 각각의 쌍은 나란히 배치된 하나의 제1 가이드 몸체와 하나의 제2 가이드 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가이드 몸체의 측방향 위치는 하나의 쌍과 다른 하나의 쌍 사이에서 교환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들 중 하나 이상 또는 본 발명의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의 조합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덕티드 선반으로 확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 또는 본 발명의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의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면 개방식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 방식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도 2의 선 Ⅰ-Ⅰ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도 1의 기기의 상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덕티드 선반의 공급 덕트 구성요소와 복귀 덕트 구성요소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b는 함께 조립된 도 3a의 공급 덕트 구성요소와 복귀 덕트 구성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공급 덕트 구성요소와 복귀 덕트 구성요소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4b는 함께 조립된 도 4a의 공급 덕트 구성요소와 복귀 덕트 구성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선반의 덕트 구성요소들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기의 수직 덕트들과 결합시키는 방식을 도시하는 상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 상당도로서, 선반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기의 키바로부터 지지되는 방식을 도시하는 상세 확대도이다.
도 7은 선반의 복귀 덕트 구성요소 내에서 사용된 베인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베인 패널의 좌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9는 선반의 복귀 덕트 구성요소에서 사용하기 위해 나란히 함께 끝이 접하는, 도 7 및 도 8의 2개의 베인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선반의 공급 덕트 구성요소 내에서 사용된 베인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베인 패널의 좌측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2는 선반의 공급 덕트 구성요소에서 사용하기 위해 나란히 함께 끝이 접하는, 도 10 및 도 11의 2개의 베인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베인 패널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5a의 프레임 내로 끼워맞춰진 베인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베인 패널의 다른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원하는 크기의 베인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조립될 수 있는 채널 부분들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베인 패널의 다른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통합된 다중 셀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10)를 도시한다. 기기(10)는 공급 팬(14)들에 의해 공기가 공급된 하부-장착 증발기(12)를 구비하며, 찬 공기의 생산 및 순환을 위해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도 1에서, 증발기(12)로부터의 찬 공기는, 수직 어레이 또는 열로 스택되고, 단열된 단일 캐비넷(18) 내에 모두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흐름-관리 셀(16A, 16B, 16C)로 공급된다. 이 예에 있어서, 스택에는 3개의 셀, 즉, 상부 셀(16A), 내부 셀(16B) 및 하부 셀(16C)이 존재한다.
셀(16A, 16B, 16C)들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2개의 덕티드 선반(20)에 의해 분리된다. 셀(16A, 16B, 16C)들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물품에 대한 저장 요구사항들을 반영하기 위해 서로 다른 온도에서 물품들을 저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반(20)들은 고정식일 수 있지만, 높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셀(16A, 16B, 16C)의 상대 높이가 서로 다른 소매점의 요구사항들에 맞춰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덕티드 선반(20)은 공급 덕트(22)와 복귀 덕트(24)의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한다. 선반(20)들은 캐비넷(18)의 내부 공간을 차곡차곡 스택된 복수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재분할하며, 이 공간 차체가 각각의 공기흐름-관리 셀(16A, 16B, 16C)이 된다. 각각의 선반(20)은 스택 중의 하부 셀의 상부 벽 및 스택 중의 인접한 상부 셀의 하부 벽을 형성한다.
상부 셀(16A)의 상부 벽은 캐비넷(18)의 상부 내부 패널 위의 추가적인 공급 덕트(22)에 의해 형성된다. 유사하게, 하부 셀(16C)의 하부 벽은 캐비넷(18)의 하부 내부 패널 아래의, 냉장 물품 디스플레이용의 추가적인 선반으로서 또한 작용하는, 추가적인 복귀 덕트(24)에 의해 형성된다. 유리하게, 추가적인 공급 덕트(22)와 추가적인 복귀 덕트(24)는 이 선반(20)들에 사용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덕티드 선반(20)들은, 그들의 후면 및 측면 가장자리들에서 캐비넷(18)의 후면 내부 패널(26) 및 측벽(28)들에 대해 밀접하게 놓여, 선반(20)들의 가장자리 주위로의 공기흐름을 방지한다. 필요한 경우, 선반(20)의 가장자리들을 따라 시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선택적인 비-덕티드 중간 선반(30)들을 또한 도시하며, 이 선반들은 각각의 셀(16A, 16B, 16C)에서 중간 높이에 위치하며, 덕티드 선반(20)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설정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식품의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 가능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중간 선반(30)들 중 하나 이상은 셀(16A, 16B, 16C)들의 공기 이동을 개선하도록 천공되거나 슬롯될 수 있다. 중간 선반(30)들은 캐비넷(18)의 후면 내부 패널(26) 또는 측벽(28)들에 대해 밀폐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셀(16A, 16B, 16C)은 대응-형상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을 둘러싸는 중공 직육면체 또는 상자 형태이다. 전면 접근 개구부(32)들은 셀(16A, 16B, 16C)들에 의해 형성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들 내의 임의의 물품들에 대한 방해받지 않는 도달-접근을 부여한다.
사용시에, 각각의 접근 개구부(32)는 조합된 셀(16A, 16B, 16C)의 전면에서 하방향으로 유동하는 대체로 수직인 에어 커튼(34)에 의해 밀폐된다. 에어 커튼(34)은 하방향으로 향하는 방출 공기 그릴(DAG) 또는 방출 터미널(36)과 상방향으로 향하는 복귀 공기 그릴(RAG) 또는 복귀 터미널(38) 사이에 연장된다. 냉각된 공기는 공급 덕트(22)를 통하여 DAG(36)로 공급되어 에어 커튼(34)을 분사하고, RAG(38)를 통해 복귀 덕트(24)로 복귀되어 에어 커튼(34)으로부터의 공기를 수용한다. 에어 커튼(34)으로부터 수용된 공기는 일부 비말동반된 주변 공기를 불가피하게 포함할 것이며, 도시된 배열이 표준 설계와 비교하여 비말동반율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 주변 공기로부터의 열 및 습기는 기기(10) 내에서의 재순환 동안 제거되어야 한다.
도면들 중 도 2를 또한 참조하면, DAG(36) 및 RAG(38)와 전면에서 연통하는 공급 덕트(22)와 복귀 덕트(24)들은 각각의 수직 덕트(40, 42), 즉, 공급 수직 덕트(40) 및 복귀 수직 덕트(42)와 후면에서 연통한다. 수직 덕트(40, 42)들은 캐비넷(18)의 후면 내부 패널(26)과 인접한 단열 후방 벽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1개의 공급 수직 덕트(40)가 2개의 복귀 수직 덕트(42)들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도 2는 공통의 단열된 캐비넷(18) 내에 나란히 배치되고, 가시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퍼스펙스(perspex) 또는 강화유리와 같은 적절한 투명 재료로 제조된 수직 칸막이(44)에 의해 분할되는, 2열의 셀(16)의 덕티드 선반(20)과 수직 덕트(40, 42)들을 도시한다.
칸막이(44)는, 그 후방 가장자리에서 후면 내부 패널(26)에 대해 밀접하게 놓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후면 내부 패널(26)에 대해 밀폐된다. 칸막이(44)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선반(20)들의 실질적으로 전체 깊이로 후면 내부 패널(26)로부터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44)는 선반(20)의 전면 가장자리들의 전방으로 약간 연장된다. 칸막이(44)는 공기흐름이 하나의 열로부터 다음 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접한 셀들의 에어 커튼 활력을 방해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칸막이(44)와 선반(20)의 전면 가장자리 구역들은 결로를 방지하도록 단열되고 그리고/또는 가열될 수 있다. 칸막이(44)와 선반(20)의 전면 가장자리 구역들은 저전도성 재료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고반사 마감처리될 수 있다.
이웃하는 열의 선반(20)들이 높이에 관하여 정렬되는 경우, 칸막이(44)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증가시키도록 제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다른 특징에 있어서, 각각의 열은 복귀 수직 덕트(42)의 외부면들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키바(keybar)(46)의 쌍을 구비한다. 키바(46)들은 선반(20)의 중량을 지지하며, 수직 어레이의 슬롯을 제공하며, 이 슬롯들내로 선반(20)의 후면에 있는 스피것(spigot)들이 임의의 적절한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기기(10)의 사용시에, 찬 공기는 증발기(12)로부터 각각의 셀(16A, 16B, 16C)로 흐르며, 따뜻한 복귀 공기는 냉각, 건조, 선택적인 여과 및 재순환을 위해 각각의 셀(16A, 16B, 16C)로부터 코일(14)로 복귀된다.
공기는 팬(14)들에 의해 증발기(12)를 통해 송풍된 후, 중앙 공급 수직 덕트(40)로 추진된다. 중앙 공급 수직 덕트로부터 공기는 덕티드 선반(20) 내의 공급 덕트(22)로 진입하고, 캐비넷(18)의 상부에서 셀(16A, 16B, 16C) 당 하나씩의 DAG(36)를 통하여 에어 커튼(34)의 스택으로서 분사된다. 에어 커튼(34)들로부터의 복귀 공기는 선반(20)의 RAG(38)와 복귀 덕트(24)들을 통해 복귀되며, 캐비넷(18)의 하부에서, 중앙 공급 수직 덕트(40)의 각각의 측면 상의 복귀 수직 덕트(42)로 진입한다. 복귀 공기는 증발기(12)에 다시 진입하도록 팬(14)들의 흡입에 의해 복귀 수직 덕트(42)들로 하방향으로 유동된다.
덕티드 선반(20)으로의 공기흐름에 대한 요구사항은 공급 수직 덕트(40)와 복귀 수직 덕트(42)들에 이르는 후면 내부 패널(26) 내의 포트(48)들을 요구한다. 다양한 포트 구조들이 WO 2011/12128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우선, 이 포트(48)들은 선반(20)들이 제거되고 선택적으로 다른 높이로 재위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평행하게 수직으로 연장되는 공급 수직 덕트(40)와 복귀 수직 덕트(42)들과 정렬된 수직 어레이로 이격되어 있다. 유리하게, 이 포트(48)들은, 캐비넷(18) 내로의 원치않는 찬 공기의 유출을 감소시키도록 선반(20)이 이 포트들과 결합될 때에만 개방된다. 다시, WO 2011/121285호는 포트(48)들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폐쇄될 수 있는 방식을 개시하며, 다른 배열들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병행 특허출원들에 기술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이 도면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덕티드 선반(20)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되는 개별 공급 덕트 구성요소(50)와 복귀 덕트 구성요소(52)를 각각 도시한다. 공급 및 복귀 덕트 구성요소(50, 52)는 덕티드 선반(20)의 일부분으로서 대면 관계로 함께 놓여지는 중공 평판형 구조체들이다.
공급 및 복귀 덕트 구성요소(50, 5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기(10)의 각각의 수직 덕트(40, 42)로의 연결을 위해 그 후방 가장자리들에 공급 및 복귀 커넥터(54, 56)를 각각 구비한다. 특히, 커넥터(54, 56)들은 덕트 구성요소(50, 52)의 후방으로-돌출하는 수직으로 확장된 연장부들이다. 커넥터(54, 56)들은 균등한 공기흐름을 촉진시키고 정압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사진 또는 만곡된 분기 연결부들을 채용한다. 커넥터(54, 56)들의 후방에서의 블레이드 연결부(blade connection)(58)들은 커넥터(54, 56)와 수직 덕트(40, 42) 사이의 플러그 인(plug-in) 배열을 용이하게 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5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커넥터(54, 56)들을 형성하는 각각의 덕트 구성요소(50, 52)의 연장부들은 나란하고, 대체로 동일한 수평 높이에 놓이도록 측방향으로 오프셋된다. 특히, 덕트 구성요소(50, 52)들이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면 관계로 함께 조립될 때, 공급 커넥터(54)는 복귀 커넥터(56)들 사이에 내포된다.
덕트 구성요소(50, 52)와 커넥터(54, 56) 사이의 경사진 또는 만곡된 전이 섹션들은 균등한 공기흐름을 촉진하고, 감소된 덕트 단면적의 스로트(throat)(60)를 통해 공기가 유동할 때 정압 손실을 최소화한다. 이 스로트(60)는 선반들 사이의 공기흐름의 균형을 이루는 데 바람직한 비교적 높은 정압을 생성한다. 스로트(60)와 커넥터(54, 56)의 측방향 오프셋에 의해 형성된 고속 수축은 덕트 크기를 감소시키고 공기흐름을 더 균일하게 하는 것을 지원한다.
도 5는 수직 덕트(40, 42)들을 덕티드 선반(20)의 공급 및 복귀 덕트(22, 24)에 결합하기 위해 커넥터(54, 56)들의 후방에서 블레이드 연결부(58)들이 수직 덕트(40, 42)에 플러그 인 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블레이드 연결부(58)들은 이 블레이드 연결부(58)들이 제자리로 슬라이딩할 때, 수직 덕트(40, 42)들의 측벽(62)들에 대해 밀폐되는 데 도움을 주는 탄력성을 갖는다.
또한, 도 5는 선반(20)들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복귀 수직 덕트(42)의 외부면들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키바(46)의 쌍 중 하나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키바(46)는 도 5에 도시된 키바에 해당하지만, 선반(2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키바(46)의 슬롯 내에 맞물린 스피것(64)을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키바(46)들은 수직 어레이의 슬롯을 제공하며, 선반(20)들의 높이가 필요에 따라 조정되도록 선반(20)의 스피것(64)들이 이 슬롯 내로 임의의 적절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대칭성, 균형 및 기밀성은 본 발명에 사용된 공기흐름-관리 셀(16A, 16B, 16C)의 중요한 관점들이다. 대칭성은 설계의 유리한 모듈 방식으로 현저하게 발생된다. 균형과 관련하여, 시험은 수직 덕트(40, 42)들에서의 정압 손실들이 덕티드 선반(20)에서의 정압 손실 및 선반(20)들로 또는 선반들 내로 이어지는 스로트(60)들에서의 정압 손실에 비해 무의미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수직 덕트(40, 42)들을 따르는 서로 다른 선반(20)들의 상대 위치는 시스템 균형과 관련이 없다. 이는, 수직 덕트(40, 42)들을 따르는 그 수직 위치와 관계없이 공기는 각각의 선반(20)으로 또는 이 선반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유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면들 중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덕티드 선반(20)의 복귀 덕트(24) 내부의 공기흐름을 안내하도록 배치되는 베인 패널(vane panel)(66)을 도시한다. 이 예에 있어서, 베인 패널(66)은 평면에서 볼 때 대체로 직사각형이며, 직선 전면 가장자리(68), 이 전면 가장자리(68)에 평행한 직선 후면 가장자리(70), 및 전면 및 후면 가장자리(68, 70)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직선 측면 가장자리(72, 74)들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베인 패널(66)은 상부 및 하부 웨브(76, 78)가 교대로 나타나고, 이 상부 및 하부 웨브(76, 78)을 결합하는 직립 측벽(80)들 사이에 이 웨브들이 배치되는, 성곽 모양의 측방보행 단면(castellated sideways cross section)을 구비한다. 상부 및 하부 웨브(76, 78)는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측면 가장자리(72)로부터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측면 가장자리(74)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증가된다. 따라서, 측벽(80)들 사이의 공간은 동일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반면, 측벽(80)들의 높이는 베인 패널(66)의 폭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베인 패널(66)이 덕티드 선반(20)의 복귀 덕트 구성요소(52) 내에 위치될 때, 중공 덕트 구성요소(52)의 평행한 상부 및 하부 패널들은 인접한 상부 웨브(76)들 사이 및 하부 웨브(78)들 사이의 갭을 폐쇄할 것이다. 이 방식으로, 측벽(80)들의 인접한 쌍은 그 사이에 연속적인 공기 채널(82)들을 형성하여, 공기가 베인 패널(66)을 가로질러 유동하는 경로들을 제공한다. 성곽 모양의 단면에 의해, 채널(82)을 포함하는 경로들은 베인 패널(66)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교번된다.
채널(82)들은 도 7에 도시된 베인 패널(66)의 전면 가장자리(68)와 후면 가장자리(70) 사이에 연장된다. 복귀 덕트(24)에서의 사용시에, 채널(82)들은 전면 가장자리(68)로부터 후면 가장자리(70)로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이송한다. 측벽(80)들은 공기가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베인 패널(66)을 횡단할 때 공기가 베일 패널(66)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베인들로서 역할하는 형상이다.
일반적으로, 채널(82)들은 베인 패널(66)의 전면 가장자리(68)와 후면 가장자리(70)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 예에 있어서, 채널(82)들은 패널(66)의 전체 전면-후면 깊이로 연장되지만, 다른 변형들도 가능하며, 측벽(80) 및 채널(82)들은 전면 및/또는 후면 가장자리(68, 70)에 미치지 않고 종단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인 패널(66)이 중공 덕트 구성요소(52)의 평행한 상부 및 하부 패널 사이에 샌드위치될 때, 채널(82)의 단부들에 챔버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공기 경로들은 이 챔버들과 채널(82)들을 통해 연장된다.
측벽(80)들에 의해 분리된 채널(82)들은 전면 가장자리(68)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이격되며, 즉, 전면에서 베인 패널(66)의 실질적으로 전체 폭을 가로질러 이격된다. 측벽(80)들은 후방으로 수렴되고, 대체로 베인 패널(66)의 일측을 향하여 대체로 경사지므로, 채널(82)들은 베인 패널(66)의 후면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이에 따라 측면 가장자리(72)에 인접한 후면 가장자리(70)의 일단부 또는 측면을 향하여 모여진다.
후면 가장자리(70)와 대향 측면 가장자리(74) 사이의 베인 패널(66)의 한쪽 모서리부에서의 대체로 삼각형인 필러 구조체(filler formation)(84)는 채널(82)들이 없는 후면 가장자리(70)의 부분을 차단한다.
측벽(80)들은 평행한 전방 섹션(80A)들, 평행한 후방 섹션(80B)들 및 중앙의 전방으로 벌어진 섹션(80C)들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이 측벽(80)들 사이의 공간은 평행한 후방 섹션(80B)들보다 평행한 전방 섹션(80A)에서 더 크다. 결과적으로, 인접한 측벽(80)들 사이에 형성된 채널(82)들은, 측벽(80)의 섹션(80C)들 사이에서 적어도, 평면에서 볼 때 전방으로 넓어진다.
측벽(80)들은 전방 섹션(80A)과 중앙 섹션(80C) 사이 및 중앙 섹션(80C)과 후방 섹션(80B) 사이의 전이부들에서 매끄럽게 만곡된다.
베인 패널(66)의 전면 가장자리(68)에 대한 측벽(80)의 중앙 섹션(80C)들의 경사도가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측면 가장자리(72)를 향하여 감소하는 방향으로 채널(82)들이 후방으로 수렴된다. 즉, 베인 패널(66)의 전면 가장자리(68)에 대한 측벽(80)의 중앙 섹션(80C)들의 경사도는 대향 측면 가장자리(74)를 향하여 증가된다. 폭 방향에서의 측벽(80)의 중앙 섹션(80C)들의 이러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사도는 베인 패널(66)의 전면을 향하는 채널(82)들의 더 넓고 더 규칙적인 분배에 비해 베인 패널(66)의 후면을 향하는 채널(82)들의 측방향 오프셋의 결과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측면 가장자리(74)를 향하는 채널(82)들은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측면 가장자리(72)를 향하는 채널(82)들보다 더 길고 더 넓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측벽(80)들 사이의 공간 및 이에 따른 채널(82)들의 폭은 채널(82)들의 전면과 후면 모두를 따라 이 방향으로 증가된다.
전방 섹션(80A)과 후방 섹션(80B)들에서, 측벽(80)들은 바람직하게는 평행하게 도시되지만, 평행하지 하지 않아도 된다. 보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측벽(82)들의 전방 섹션(80A)과 후방 섹션(80B)들은 베인 패널66)의 전면 가장자리(68)에 대해 측벽(80)의 중앙 섹션(80C)들보다 작은 경사도를 갖는다. 사실, 이 예에 있어서, 측벽(80)의 평행한 전방 섹션(80A)과 평행한 후방 섹션(80B)들은 베인 패널(66)의 전면 가장자리(68)와 후면 가장자리(70)에 대체로 직각이다.
도 7에서 가장 우측에 도시된 행의 끝에서의 가장 긴 측벽(80)은 베인 패널(66)의 전면 가장자리(68)에 대해 가장 큰 경사도를 갖는다. 측벽(80)의 중앙 섹션(80C)의 돌출부는 측면 가장자리(74)를 교차하는 반면, 그 측벽(80)의 전방 섹션(80A)은 그 측면 가장자리(74)를 따른다.
도 8은 후면 가장자리(70)로부터 전면 가장자리(68)로 약간 테이퍼진 측벽(80)들의 높이에 의해 형성된 베인 패널(66)의 높이 또는 두께를 도시한다. 이는 공기흐름을 개선하며; 또한, 덕티드 선반(20)의 전면의 두께 감소시키고, 기기(10)의 전면 접근 개구부(32)들의 크기를 최대화하고, 그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들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베인 패널(66)은 채널(82)들의 절반-세트를 형성한다. 선반(20)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채널(82)들의 전체 세트는, 2개의 베인 패널(66)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 가장자리(74)들을 따라 나란히 접촉하도록 조립될 때 생성된다. 하나의 베인 패널(66)은 다른 하나의 베인 패널(66)에 대해 전도(invert)되며, 이는 동일한 몰딩이 채널(82)들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성곽 모양의 단면을 유지하면서, 양쪽 베인 패널(66)에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9로부터, 베인 패널(66)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될 때, 이 패널(66)들의 채널(82)의 절반 세트들은 서로로부터 직사각형 조합의 외측 후면 모서리부로 벌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절반 세트들은 기기(10)의 공급 수직 덕트(40)에 대해 외측으로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복귀 수직 덕트(42)와 정렬되는 각각의 후면 배출구(86)들을 형성한다.
조합된 베인 패널(66)의 측면 가장자리(74)들에 인접한 얇은 측벽(80)들은 그 전방 섹션(80A)들을 따라 접촉하며, 하나의 베인 패널(66)이 다른 하나에 대해 전도되어 있기 때문에, 조합체의 전면을 가로질러 연속된 배열의 채널(82)들을 남긴다.
도 7, 도 8 및 도 9에 대응하는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덕티드 선반(20)의 공급 덕트(22) 내부의 공기흐름을 안내하도록 배치되는 베인 패널(88)을 각각 도시한다. 베인 패널(88)들의 형상 및 구성은 도 7 내지 도 9의 베인 패널(66)들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새롭게 다시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대신, 유사한 참조부호들이 유사한 부품들에 사용된다. 실제로, 일부 배치들에 있어서는, 공급 덕트(22)에서 사용된 베인 패널(88)이 복귀 덕트(24)에서 사용된 베인 패널(66)들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몰딩으로 금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사용시, 공급 덕트(22) 내의 베인 패널(88)의 채널(82)들은 후면 가장자리(70)로부터 전면 가장자리(68)로 유동하는 공기를 이송한다. 다시 말하면, 복귀 덕트(24)의 베인 패널(66)에 대한 베인 패널(88)들의 차이점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그들의 접촉 결합(abutting conbination)으로 놓여지는 것이다. 도 12에서, 2개의 베인 패널(88)은 하나의 베인 패널(88)이 다른 베인 패널(88)에 대해 다시 전도된 상태에서 그들의 측면 가장자리(72)들을 따라 나란히 접촉하도록 조립된다.
도 12로부터, 베인 패널(88)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될 때, 이 패널(88)들의 채널(82)의 절반 세트들은 후방으로 수렴되며, 중앙 후면 유입구(90)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기기(10)의 공급 수직 덕트(40)와 정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결합된 베인 패널(88)의 측면 가장자리(72)들에 인접한 얇은 측벽(80)들은, 하나의 베인 패널(88)이 다른 하나에 대해 전도되어 있기 때문에, 조합체의 전면을 가로질러 연속된 배열의 채널(82)들을 제공하도록 접촉된다.
전체-폭 덕티드 선반(20)에 맞게 결합되도록 베인 패널(66, 88)들이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될 때, 이 예에 있어서, 결과는 선반 폭을 가로질러 전체 30개의 채널(82)이 얻어진다. 통상적으로, 덕티드 선반(20) 내에 그 폭에 비해 높이 또는 두께가 얕은 적어도 10개의 채널(82)이 존재할 것이다.
베인 패널(66, 88)들에 의한 편심 인라인 팽창 및 수축은, 예를 들어 HVAC 설비에서 사용된 90°벤드 또는 엘보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HVAC 덕트들은 엘보 또는 벤드에서 스플리터 또는 가이드 베인들을 채용하며, 피팅(fitting)의 방출에서 동등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은 아니다. 대신에, 주요 목적은 속도 변동이 더 하류에서 균형이 잡히도록 정압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베인 패널 방출의 전체 선형 폭을 가로지르는 균일한 속도를 목적으로 한다.
베인 패널(66, 88)의 측벽(80)들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베인들의 목적은, DAG(36)와 RAG(38)의 폭을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를 목표로 하여, 덕티드 선반(20)의 폭을 균등하게 가로질러 공기를 분배하는 데에 있다. 각각의 선반(20)의 채널(82)과 스로트(60)들을 통한 압력 강하는, 가능하다면, 모든 선반(20)들 사이의 공기의 균등하게 균형잡힌 분배를 보장하도록 선반(20)으로부터 선반(20)으로 동일해야 한다. 즉, 압력 강하는 또한 공통 덕트 압력 손실 및 공기의 부력에 대한 온도의 효과로 인해 에어 커튼상에 작용하는 압력으로부터 발생하는 "굴뚝 효과(stack effect)"에 비해 커야 한다.
수직 공급 덕트(40)로부터 선반(20)의 전체 폭으로의 갑작스러운 팽창은 선반(20)의 폭을 가로질러 매끄럽고 균등하게 분배된 유동을 생성하지 않을 것이다. 대신에, 공기의 대부분은 선반(20)의 중앙에서 방출될 것이며, 플리넘 챔버(plenum chamber)가 생성되더라도 선반(20)의 측면들에서 재순환이 발생할 것이다. 베인 패널(66, 88)의 측벽(80)들에 의해 형성된 베인들은 DAG(36)와 RAG(38)에서 플리넘(plenum)의 필요성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거나, 또는 그 크기를 감소시킨다.
팬(14)의 전력 소비 및 선반(20)들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DAG(36) 뒤에 진정한 플리넘 챔버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RAG(38) 뒤에 플리넘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선반(20) 및 허니콤과 같은 임의의 부착된 확산기를 통한 20 Pa의 압력 강하가 동일한 수직 덕트(40, 42)로부터 작동하는 셀(16A, 16B, 16C)들 사이의 유동을 균형잡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공기흐름-균형 셀들에 대한 효율적이고 비용-효과적인 선반 공기 가이드를 결정하는 다양한 성능 기준을 달성할 수 있으며, 특히:
그들의 길이 및 그들의 수력 직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공기 채널(82)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동등한 압력 강하를 달성하며;
DAG(36)에 이르는 전이 입구에서 최적의 속도 확산을 제공하도록 공기 스트림이 채널(82)의 양쪽의 인접한 측벽(80)들에 부여되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며;
유동 방향과 측벽 사이의 발산각을 7°내지 15°, 더 바람직하게는 7°내지 12°, 가장 바람직하게는 7°내지 10°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에 의해 공기 스트림의 경계층이 측벽(80)들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리고
가능한 한 단순한 기하학적 구조를 유지하면서 채널(80)들의 개수를 반직관적으로 최소화한다.
상기 설명은 덕티드 선반(20)으로 공기를 분배하기 위해 3개의 후면 수직 덕트(40, 42), 즉, 1개의 공급 수직 덕트(40)와 2개의 복귀 수직 덕트(42)에 관한 것이다. 이 배열에 있어서, 2개의 베인 패널(66, 88)이 공급 및 복귀 덕트(22)의 각각에 거울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배열은 표준 선반 폭이 약 1200mm인 가장 일반적인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들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일부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들에서는, 각각의 선반은 600mm 폭으로 훨씬 좁다.
이러한 좁은 선반들의 경우, 2개의 복귀 수직 덕트(42) 사이에 1개의 공급 수직 덕트를 포함하는 3-덕트 분배 시스템으로 축소하는 것을 실현 또는 실행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좁은 선반은 공급 및 복귀 덕트(22, 24)의 각각에서의 1개의 베인 패널(66, 88)의 사용에는 적합할 수 있다. 이는, 1개의 복귀 수직 덕트(42) 옆에 1개의 공급 수직 덕트(40)를 포함하는 간단한 2-덕트 시스템에 적합할 것이다. 이 점에 대해,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며, 도 13a는 단일 베인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92)을 도시하며, 도 13b는 프레임(92) 내로 끼워맞춰진 단일 베인 패널(94)을 도시한다.
베인 패널은 모듈식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표준 몰딩은 서로 다른 선반 폭에 맞게 재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금형은 모듈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더 큰 선반 폭을 위해 추가적인 섹션들이 금형에 부가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도 14는 부각적 섹션(98, 100, 102)들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96)이 원하는 선반 폭에 맞게 구축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베인 패널들을 선반의 다른 크기들을 수용하도록 재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옵션을 수용할 수 있는 선반 폭은 제한된다. 서로 다른 선반 폭들을 수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금형 배열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기 패널을 형성하는 개개의 금형(104)을 갖는 것이다. 이 채널 금형(104)들은 원하는 선반 폭을 제조하기 위해 지그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 배열의 이점은 개별 채널 금형(104)들 사이의 갭이 더욱 유연한 치수를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채널들이 개별 몰딩 세트에 의해 나란히 형성되는 경우, 서로 다른 선반 폭을 구성하는 직선형이다. 모든 교번 채널이 몰딩에 의해 형성된다면, 채널들 사이의 공간은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넓은 범위의 선반 폭에 대해 대략 2:1 유입구/배출구 비율을 달성되도록 상당한 유연성을 부여한다. 또한, 베인 패널의 전면-후면 깊이도 재단될 수 있다.
도면들 중 도 16을 최종적으로 참조하면, 도 16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귀 덕트(24)에서 사용된 베인 패널(66)의 변형인 베인 패널(106)을 도시한다. 다시, 유사한 참조부호들이 유사한 부품들에 사용된다. 이 변형에 있어서, 베인 패널(106)의 후면에서의 삼각형 절개부는 도 16의 좌측에 도시된 좁은 채널(82)들로부터 도 16의 우측에 도시된 넓은 채널(82)들로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 가장자리(108)를 구비한다.
상당한 정압 손실이 스로트(60)에서 발생하며, 이 손실은 스로트(60)의 자유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한 한가지 방식은 채널(82)들을 분할하는 벽들의 재료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벽들의 각각은 수 밀리미터 두께일 수 있다. 도 16은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이는, 유입구로부터 배출구로의 팽창비가 스로트(60)에 매우 높은 정압을 일으키는 경우에 특히 도움이 될 수 있다.
공기 채널(82)들에 대한 전체 정압 손실은 가장 긴 런(run)을 형성하여 가장 두드러진 오프셋을 갖는 채널(82)에 의해 결정될 것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인덱스 런(index run)"으로서 언급된다. 직선에 가깝고 중간-길이의 적은-오프셋 채널(82)들 사이에서, 베인 패널의 외부면 상의 짧은 채널(82)들은 인덱스 런의 채널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 강하 및 방출 속도를 달성할 목적으로 스로틀된다.
실제로, 도 16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 가장자리(70)가 절개부를 연장하지 않는 경우, 절개부의 경사진 가장자리(108)는 채널(82)들의 내측에서 종단된다. 가장자리(108)의 경사도는 계단방식으로 종단되며, 이에 따라 도 16의 좌측에 도시된 좁은 채널(82)들은 도 16의 우측에 도시된 넓은 채널(82)들보다 전면 가장자리(68)로부터 더 먼 그들의 후면에서 종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인 패널(106)이 덕티드 선반(20)의 복귀 덕트(24) 내에 설치될 때, 전면 가장자리(68)로부터 후면 가장자리(70)에 대응하는 복귀 덕트(24)의 후면으로 측정된 넓은 채널(82)들의 유효 길이는 좁은 채널(82)들의 유효 길이보다 크게 유지된다. 이 점에 대해, 베인 패널(106)은 중공 덕트 구성요소(52)의 평행한 상부 및 하부 패널 사이에 샌드위치되며, 절개부에도 불구하고 공기흐름을 제한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덕티드 선반(20)의 공급 덕트(22) 내부의 공기흐름을 안내하도록 배치되는 베인 패널(88)에 유사한 절개부 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
조립시, 공급 및 복귀 덕트(22, 24) 사이의 열 절단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열 스트립 또는 층들이 공급 및 복귀 덕트 구성요소(50, 52) 사이에 부가될 수 있다. 선반(20) 내의 공급 및 복귀 덕트 구성요소(50, 52) 사이의 벽과 그 표면들을 다른 온도에서 결합시키는 것은, 낮은 열전도성 재료이고 그리고/또는 따뜻한 덕트에서의 결로를 방지하도록 단열되고 그리고/또는 가열되어야 한다. 따뜻한 덕트는 일반적으로 복귀 덕트(24)이며, 침투 증가는 습기 레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찬 공급 덕트(22)에 근접하여 습기의 결로를 조장할 수 있다.
선반(20) 상에 위치된 임의의 제품들의 과냉각을 피하기 위해 단열재가 선반(2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과냉각은 저전도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또는 단열 플레이트, 커버 또는 매트, 또는 와이어 스탠드-오프(wire stand-off) 선반과 같은 스페이서와 끼워맞춤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반대로, 선반(20)에 의해 지지된 물품들을 냉각하기 위해 전도 냉각(conduction cooling)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열전도 플레이트 또는 커버가 선반(2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부분-길이(part-length) 베인들이 전체-길이 측벽(80)들 사이의 채널(82)에 배치될 수 있다.
채널의 절반-세트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작은 구성요소를 나란히 사용하는 것의 대안으로서, 플라스틱 몰딩과 같은 단일 구성요소가 각각의 덕트에서 요구된 모든 채널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개념 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택에서 3개 이상의 셀을 갖는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1개 이상의 내부 셀 및 2개 이상의 덕티드 선반이 존재할 것이며; 반대로, 스택 내에 단지 2개의 셀만 존재하는 실시예에서는 내부 셀은 없고 단지 1개의 덕티드 선반만 존재할 것이다.
베인 패널의 성곽 모양의 측방보행 단면은 패널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공기 패널들을 형성하는 단지 하나의 방식이다. 다른 옵션은, 대체로 편평한 패널로부터 직립하는 측벽 어레이를 제공하고, 베인 패널들이 위치되는 그 개구 상부들이 중공 덕트 구성요소의 패널에 의해 폐쇄되는 일련의 U자 형상 채널들을 형성하는 것이다.
베인 패널들은, 그들이 틀어진 덕트 또는 선반에서, 또는 틀어진 방향으로 부정확하게 설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정확한 수용 덕트 또는 선반 내의 보완 구조체들과 협력하는 구조체들을 구비할 수 있다.
캐비넷의 측벽들의 하나 또는 모두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들 내에 디스플레이된 물품들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투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양호한 단열을 유지하기 위해 측벽들은 강화유리 또는 퍼스펙스 또는 이중 또는 삼중 유리가 적합할 수 있다.
찬 공기가 다른 곳에서, 예를 들어 원격 팬 코일 유닛에서 생성되어 기기로 펌핑되는 경우, 기기는 내부의 냉장고 엔진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냉장고 엔진은 전형적인 슈퍼마켓 냉장 팩 유닛으로부터 원격으로 제공될 수 있는 일체형 유닛 또는 냉각 유닛으로서 캐비넷에 포함될 수 있다. 국부 냉각은 응축수에 대한 배수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덕티드 선반 내에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결로를 처리하기 위해, 이러한 선반들은 습기를 수집하고 이 습기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drain)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덕티드 선반의 복귀 덕트는 캐비넷의 후면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하방향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캐비넷으로부터의 물을 차단하도록 증발기에 대해 제공되는 배수 시스템으로 물을 유도할 수 있다.
기기에 사용되는 경우, 냉각 코일과 팬들은 셀들의 뒤에 위치할 수 있지만, 대신에 셀들의 위, 아래 또는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선반 내의 2단식의 층 또는 샌드위치된 배열의 단일 공급 덕트 위에 단일 복귀 덕트가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복귀 덕트가 선반 내에서 동일한 수평 높이 또는 중첩되는 높이로 공급 덕트 옆에 설치되는 다른 배열도 가능하다. 또한, 선반 당 1개 이상의 공급 덕트 또는 복귀 덕트가 존재하거나, 또는 이들 덕트가 2개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전술한 베인 패널들은, 예를 들어 강 베인의 제조에 의해, 또는 절삭 경로로의 플라스틱 또는 강 베인의 삽입에 의해,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베인 패널들은 플라스틱이며, 정밀하고 저비용 제조를 위해 열성형, 진공성형, 취입성형 또는 사출성형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3D 인쇄에 의해 베인 패널들을 생산하는 것이다.
제조시에, 작업자의 기술에 의존하는 제조 및 손 측정과는 달리, 플라스틱의 열성형이 가이드 베인들의 정밀성에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열성형은, 예를 들어 몰딩 후의 재료 시닝(thining) 및 수축과 관련하여, 문제가 있다. 이는, 모듈식 금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또 다른 이유이며, 이에 따라 알려진 단일 세트의 금형으로부터 서로 다른 선반 크기들이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채널 베인 패널 배열은 정밀한 제조, 반복 가능한 정밀도 및 간단한 조립을 보장한다. 수직 덕트들에 대한 팽창 또는 수축, 또는 수직 덕트들로의 좁은 연결부를 가능하게 하는, 넓은 DAG 및 RAG들로 그리고 이들로부터 균등한 공기 속도 분배를 보장한다.

Claims (27)

  1. 에어 커튼들을 사용하는 전면 개방식 디스플레이 유닛용 덕티드 선반에 있어서,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및 측면에서 측면으로 폭 방향을 형성하는 대향 측면들;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덕트로서, 선반을 통하여 대체로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며, 방출 또는 복귀 개구부를 갖는 전방 단부에서 연통되며, 덕트의 후방 단부에서보다 전방 단부에서 폭 방향이 더 넓은 덕트; 및
    상기 덕트를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경로의 그룹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덕트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벽들로서, 각각의 경로는 각각 전방 및 후방 단부를 갖는 각각의 채널을 포함하며, 가이드 벽들은 전방으로 벌어져 채널들이 그 후방 단부들보다 그 전방 단부에서 더 넓은, 가이드 벽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경로는 조합된 채널의 후방 단부와 전방 단부 사이의 폭 방향 오프셋 정도를 반영하는 각각의 길이를 가지며;
    경로 그룹 중 긴 경로는 조합된 채널의 후방 및 전방 단부에서의 폭 방향이 이 그룹의 짧은 경로보다 큰 폭을 갖는, 덕티드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채널의 벽들을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 벽들은 그 채널을 통과하는 중심 유동 축선으로부터 최대 15°로 분기되는, 덕티드 선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들은 덕트의 전방 단부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의 그 전방 단부들에서 종단되는, 덕티드 선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의 채널들은 다른 수력 직경들을 갖는, 덕티드 선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들의 그룹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동등한 압력 강하가 생성되도록 배치되는, 덕티드 선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은 상기 가이드 벽들을 결합하는 상부 또는 하부 벽들에 의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덕티드 선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벽들은 일원화된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로서 상기 가이드 벽들과 일체인, 덕티드 선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는 성형, 압축 또는 진공성형되는, 덕티드 선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벽들은 상기 그룹의 인접 채널들 사이에서 교번되는, 덕티드 선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와 하부 벽들 및 가이드 벽들을 교번하는 것은 폭 방향에서 주름형 또는 성곽 모양의 단면을 함께 형성하는, 덕티드 선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선반을 통해 전면에서 후면으로 취해진 측면 섹션에서 전방으로 테이퍼지는, 덕티드 선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들은 조합된 채널들의 후방과 전방 단부 사이의 폭 방향 오프셋 정도에 따라 선반의 전면에 대해 경사지는 중앙 섹션들을 포함하는, 덕티드 선반.
  13. 제12항에 있어서,
    채널을 형성하는 인접한 가이드 벽들의 중앙 섹션들은 전방으로 벌어지는, 덕티드 선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들의 전방 및/또는 후방 섹션들은 선반의 전면에 대한 상기 가이드 벽의 중앙 섹션들보다 작은 경사도를 갖는, 덕티드 선반.
  15. 제14항에 있어서,
    채널을 형성하는 인접한 가이드 벽들의 전방 및/또는 후방 섹션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덕티드 선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들의 전방 및/또는 후방 섹션들은 선반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덕티드 선반.
  17. 덕티드 선반용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에 있어서,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및 측면에서 측면으로 폭 방향을 형성하는 대향 측면들;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연장되며, 후방 단부에서보다 전방 단부에서 폭 방향이 더 넓은 덕트를 형성하는 구조체들;
    상기 덕트를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경로의 그룹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덕트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벽들로서, 각각의 경로는 각각 전방 및 후방 단부를 갖는 각각의 채널을 포함하며, 가이드 벽들은 전방으로 벌어져 채널들이 그 후방 단부들보다 그 전방 단부에서 더 넓은, 가이드 벽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경로는 조합된 채널의 후방 단부와 전방 단부 사이의 폭 방향 오프셋 정도를 반영하는 각각의 길이를 가지며;
    경로 그룹 중 긴 경로는 조합된 채널의 후방 및 전방 단부에서의 폭 방향이 이 그룹의 짧은 경로보다 큰 폭을 갖는,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
  18. 상기 경로의 길이는 덕트의 후면으로부터 조합된 채널을 통하여 덕트의 전면으로 측정되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덕티드 선반 또는 제17항의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길이는 채널의 후방과 전방 단부 사이에서 측정되는, 덕티드 선반 또는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
  20. 덕티드 선반용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에 있어서,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및 측면에서 측면으로 폭 방향을 형성하는 대향 측면들;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연장되며, 후방 단부에서보다 전방 단부에서 폭 방향이 더 넓은 덕트를 형성하는 구조체들;
    상기 덕트를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경로의 그룹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덕트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벽들로서, 각각의 경로는 각각 전방 및 후방 단부를 갖는 각각의 채널을 포함하며, 가이드 벽들은 전방으로 벌어져 채널들이 그 후방 단부들보다 그 전방 단부에서 더 넓은, 가이드 벽들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들은 가이드 벽들을 결합하고 그룹의 인접한 채널들 사이에서 교번하는 상부 또는 하부 벽들에 의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
  21. 폭 방향으로 한 쌍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그 덕트-형성 구조체들이 상기 가이드 몸체들 사이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상인, 제17항 또는 제20항의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들의 조합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쌍 중 하나의 가이드 몸체는 상기 쌍 중 다른 하나의 가이드 몸체에 대하여 전도되는,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들의 조합체.
  23. 덕티드 선반용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들의 조합체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몸체는,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및 측면에서 측면으로 폭 방향을 형성하는 대향 측면들; 및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연장되며, 후방 단부와 전방 단부 사이에 폭 방향 오프셋을 갖는 덕트를 형성하는 구조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조합체는 폭 방향으로 한 쌍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그 덕트-형성 구조체들이 가이드 몸체들 사이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상인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몸체를 포함하는,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들의 조합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쌍의 가이드 몸체를 포함하며,
    덕트-형성 구조체들을 갖는 각각의 쌍이 가이드 몸체들 사이의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거울상이며,
    상기 쌍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배치되며;
    제1 쌍의 덕트의 후방 단부들은 폭 방향에서 측방향으로 내측이며,
    제2 쌍의 덕트의 후방 단부들은 폭 방향에서 측방향으로 외측인,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들의 조합체.
  25. 제24항에 있어서,
    각각의 쌍은 나란히 배치된 하나의 제1 가이드 몸체와 하나의 제2 가이드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몸체의 측방향 위치는 하나의 쌍과 다른 하나의 쌍 사이에서 교환되는,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들의 조합체.
  26. 제17항 또는 제20항의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합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덕티드 선반.
  27. 제1항 내지 제 12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선반, 제17항 또는 제20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공기흐름 가이드 몸체 또는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합체를 포함하는, 전면 개방식 디스플레이 유닛.
KR1020157034502A 2013-05-10 2014-05-12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KR201600067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308439.7A GB201308439D0 (en) 2013-05-10 2013-05-10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GB1308439.7 2013-05-10
GB1401347.8 2014-01-27
GBGB1401347.8A GB201401347D0 (en) 2013-05-10 2014-01-27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PCT/GB2014/051452 WO2014181136A2 (en) 2013-05-10 2014-05-12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726A true KR20160006726A (ko) 2016-01-19

Family

ID=4867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502A KR20160006726A (ko) 2013-05-10 2014-05-12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0219638B2 (ko)
EP (1) EP2994024B1 (ko)
JP (1) JP6448619B2 (ko)
KR (1) KR20160006726A (ko)
CN (1) CN105431066B (ko)
AU (1) AU2014264369B2 (ko)
BR (1) BR112015028283B1 (ko)
CA (1) CA2911853A1 (ko)
ES (1) ES2641566T3 (ko)
GB (2) GB201308439D0 (ko)
HK (1) HK1218697A1 (ko)
MX (1) MX2015015435A (ko)
MY (1) MY182860A (ko)
PL (1) PL2994024T3 (ko)
PT (1) PT2994024T (ko)
RU (1) RU2650401C2 (ko)
WO (1) WO201418113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9646C2 (ru) * 2017-06-08 2021-11-16 Арнег С.п.А. Охлаждаемый прилавок-витрин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отока охлажденного воздух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08437D0 (en) 2013-05-10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GB201308439D0 (en) 2013-05-10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GB201308570D0 (en) * 2013-05-13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Height adjustment of ducted shelves
US11085455B1 (en) * 2014-08-11 2021-08-10 Delta T, Llc System for regulating airflow associated with product for sale
KR20160059417A (ko) * 2014-11-18 2016-05-26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쇼케이스
WO2018151918A1 (en) * 2017-02-14 2018-08-23 Walmart Apollo, Llc Panel powered produce display table
EP3804576B1 (en) * 2019-10-09 2024-02-14 Fri-Jado B.V. System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storing and displaying food products, and multiple shelves,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refrigerated food products in a display unit
US11576501B2 (en) * 2019-11-08 2023-02-14 Hill Phoenix, Inc. Guide vane for refrigerated display case
CN110926095A (zh) * 2019-12-08 2020-03-27 江苏星星家电科技有限公司 一种抗高温高湿冷凝蒸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2562A (en) 1939-03-11 1940-03-05 James G Scott Refrigerator apparatus
US2539726A (en) 1947-04-28 1951-01-30 North Pacific Frozen Products Tray
US2962875A (en) 1959-10-29 1960-12-06 Louis F Barroero Upright refrigerated cabinet with unimpeded front access
US3168818A (en) 1962-08-27 1965-02-09 Weber Showcase & Fixture Co In Multiple shelf refrigerated display cabinet
US3139738A (en) 1963-04-03 1964-07-07 Recold Corp Refrigerated display fixture
US3218822A (en) 1964-10-13 1965-11-23 Mccray Refrigerator Company In Frozen food display case
US3289432A (en) 1965-08-06 1966-12-06 Emhart Corp Display case
US3403525A (en) * 1967-02-03 1968-10-01 Dual Jet Refrigeration Co Defrost system for air curtain type refrigerated display case
JPS55165468A (en) * 1979-06-12 1980-12-23 Fuji Electric Co Ltd Chill air circulation open display case
JPS5694469U (ko) 1979-12-19 1981-07-27
US4314458A (en) 1980-10-01 1982-02-09 Dalcon Marketing Inc. Refrigerated display case
GB8508732D0 (en) 1985-04-03 1985-05-09 Ti Domestic Appliances Ltd Refrigerating systems
JPH01305295A (ja) 1988-06-02 1989-12-08 Nippon Denso Co Ltd 流動層熱交換器
JPH0633963B2 (ja) 1988-06-06 1994-05-02 信和産業株式会社 冷却塔用合成樹脂製熱交換体及びこの熱交換体からなる密閉式熱交換器を利用した冷却塔
IT1220755B (it) 1988-06-08 1990-06-21 Zanussi A Spa Industrie Apparecchio refrigerante con almeno uno scomparto a temperatura uniforme ed elevata umidita' relativa
JPH065581Y2 (ja) 1988-10-19 1994-02-09 株式会社東洋製作所 可逆送風冷却庫
US4938034A (en) 1989-05-03 1990-07-03 Hill Refrigeration Corporation Opened front refrigerated display case
DE4000713A1 (de) * 1990-01-12 1991-07-18 Linde Ag Verkaufskuehlmoebel
FR2695814B1 (fr) 1992-09-21 1994-12-09 Mc International Dispositif modulaire pour l'exposition à la vente de denrées alimentaires.
SE505561C2 (sv) * 1992-11-30 1997-09-15 Electrolux Ab Frysdisk med ovanför varandra anordnade hyllor och med anordning för avfrostning av dess kylelement
US5357767A (en) 1993-05-07 1994-10-25 Hussmann Corporation Low temperature display merchandiser
US5722252A (en) 1995-10-13 1998-03-03 Lg Electronics, Inc. Cooling air distribution apparatus for refrigerator
ZA986184B (en) 1997-07-09 1999-01-28 Kerbyn 62 Proprietary Limited Refrigerated food display cabinet
JP2000028255A (ja) 1998-07-10 2000-01-28 Sanden Corp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NO312006B1 (no) 2000-06-26 2002-03-04 Svein Henrik Vormedal Hylleskap for kjölevarer og fremgangsmåte til kontrollert/styrt sirkulasjon av luft i hylleskapet
JP2002318055A (ja) 2001-04-20 2002-10-31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JP3783578B2 (ja) 2001-05-31 2006-06-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空調用冷却ユニット
EP1460358A4 (en) 2001-12-27 2006-11-08 Gac Corp STORAGE DEVICE
US6519962B1 (en) * 2002-06-27 2003-02-18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angular air guide vanes
JP4179902B2 (ja) 2003-03-04 2008-11-12 三洋電機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JP3974868B2 (ja) 2003-03-11 2007-09-12 サンデン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JP3989859B2 (ja) 2003-03-11 2007-10-10 サンデン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EP1640680A1 (en) 2003-06-27 2006-03-29 Gac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DE102004033071A1 (de) 2004-07-06 2006-01-26 Linde Kältetechnik GmbH & Co. KG Kühlregal
UA23288U (en) * 2006-08-30 2007-05-25 Aisberg Ltd Ltd Liability Comp Method to maintain temperature of products in cooled volume of intermediate temperature wall mounting multilevel open refrigerated cases of shop equipment
EP2081470B1 (en) 2006-11-03 2017-05-10 Carrier Corporation Storage apparatus for the storage of goods requiring refrigeration and refrigerating cabinet comprising the same
US20100024446A1 (en) * 2008-08-04 2010-02-04 Hussmann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dual air curtain
WO2011121285A1 (en) 2010-03-29 2011-10-06 Applied Design And Engineering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SG184267A1 (en) 2010-03-29 2012-10-30 Applied Design & Eng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JP5473741B2 (ja) 2010-04-20 2014-04-16 株式会社クボタ パネル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259030A1 (en) 2010-04-23 2011-10-27 Anderson Timothy D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shelf air discharge
CN102679683B (zh) 2012-06-13 2014-07-1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02706068B (zh) 2012-06-13 2014-08-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GB201308439D0 (en) 2013-05-10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GB201308437D0 (en) 2013-05-10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GB201308570D0 (en) 2013-05-13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Height adjustment of ducted shelves
US9084496B1 (en) 2014-05-09 2015-07-21 Heatcraft Refrigeration Products Llc Refrigerated display c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9646C2 (ru) * 2017-06-08 2021-11-16 Арнег С.п.А. Охлаждаемый прилавок-витрин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отока охлажденного воздух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2994024T (pt) 2017-10-03
US10219638B2 (en) 2019-03-05
GB201308439D0 (en) 2013-06-19
WO2014181136A2 (en) 2014-11-13
BR112015028283B1 (pt) 2021-10-13
JP6448619B2 (ja) 2019-01-09
RU2650401C2 (ru) 2018-04-11
MX2015015435A (es) 2016-08-04
AU2014264369A1 (en) 2015-12-03
HK1218697A1 (zh) 2017-03-10
US20160113419A1 (en) 2016-04-28
RU2015153083A (ru) 2017-06-16
BR112015028283A2 (pt) 2017-07-25
CN105431066A (zh) 2016-03-23
AU2014264369B2 (en) 2018-05-31
CA2911853A1 (en) 2014-11-13
WO2014181136A3 (en) 2015-03-26
EP2994024B1 (en) 2017-08-02
MY182860A (en) 2021-02-05
JP2016517756A (ja) 2016-06-20
GB201401347D0 (en) 2014-03-12
RU2015153083A3 (ko) 2018-03-21
CN105431066B (zh) 2019-07-12
EP2994024A2 (en) 2016-03-16
ES2641566T3 (es) 2017-11-10
PL2994024T3 (pl)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6726A (ko)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KR101876581B1 (ko)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MX2009009395A (es) Sistema de distribucion de aire para una vitrina con temperatura controlada.
KR20160006765A (ko) 냉장 디스플레이 장치 내 또는 이와 관련된 개선구조체
US8789386B2 (en) Refrigerating device with cooling of circulating air
WO201112128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JP3714830B2 (ja) 冷蔵庫
JP2007120942A (ja) 冷蔵庫
WO2010024078A1 (ja) 冷蔵庫
JP4008555B2 (ja) 冷蔵庫の冷気循環構造
CN216159447U (zh) 冰箱抽屉及冰箱
CN102914117B (zh) 制冷设备
JP4876033B2 (ja) 冷蔵庫
AU2004238898A1 (en) Arrangement for air circulation by natural convection in refrigerators
JP2015150041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19011901A (ja) 冷蔵庫
JP2018185061A (ja) 冷蔵庫
CN117366958A (zh) 卧式冷柜
JP2010266201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