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581B1 -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581B1
KR101876581B1 KR1020127028286A KR20127028286A KR101876581B1 KR 101876581 B1 KR101876581 B1 KR 101876581B1 KR 1020127028286 A KR1020127028286 A KR 1020127028286A KR 20127028286 A KR20127028286 A KR 20127028286A KR 101876581 B1 KR101876581 B1 KR 101876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elf
air curtain
product display
displa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000A (ko
Inventor
이안 우드
에드워드 하몬드
Original Assignee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1005277.7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005277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005285.0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005285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005276.9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005276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005286.8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005286D0/en
Application filed by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1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3/0447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7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2003/046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shelves having air du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1)이 개시된다.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1)은, 오픈 프런트에 의해 제공되는 접근 개구(39)를 통해 접근가능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을 제공하는 오픈-프런트 캐비넷을 갖는다. 냉각 수단(27)은 냉기를 제공하여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 내의 물품을 냉장시킨다. 찬 공기 커튼이, 공급 덕트(45)와 연통하는 전방위치된 배기 출구(5)와 에어 커튼(9)으로부터 공기를 받는 귀환 덕트(41)와 연통하는 전방위치된 귀환 입구(7)를 사용하여, 접근 개구(39)에 걸쳐 설치된다. 공기 커튼(9)은, 이 에어 커튼(9)과는 별개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으로 공급되는 보충 냉각 공기흐름을 실제로 지원받지 않는다.

Description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본 발명은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냉장 또는 냉동된 식품 및 음료 제품의 냉저장과 디스플레이, 및 소매상용으로 상점에서 사용되는 냉장 멀티-데크 디스플레이 케이스 또는 캐비넷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소매상용 식품 및 음료 캐비넷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원리는 냉저장이 요구되는 다른 물품, 예를 들면, 변질되기 쉬운 약품 또는 과학 물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는 소매상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하다.
오픈-프런트(open-front) 멀티-데크(multi-deck) 디스플레이 캐비넷은 냉저장되는 물품에 제약받지 않고 접근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에 있는 물품을 더 가까이 관찰 및 구매하기 위해, 쉽게 보고, 접근하고, 꺼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캐비넷은, 캐비넷의 오픈 정면에 의해 정의되는 접근 개구(access opening)에 걸쳐 배출 공기 단자와 귀환 공기 단자 사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대규모 하향-분사 냉장 공기 커튼에 의해 냉각된다. 또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내의 각 레벨에서 냉각을 더 제공하고, 공기 커튼을 지원하도록, 공기 커튼을 공급하는 덕트에서 공기를 빼내는, 캐비넷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뒤의 다공 후방 패널을 통해 추가 냉각 공기가 공급된다. 캐비넷 내의 레벨은 선반에 의해 정의되며, 선반은 예를 들면, 구멍이 없거나 있는 패널 또는 오픈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커튼의 목적은 2가지이며, 찬 공기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부터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근 개구의 밀폐, 및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의 주위 공기의 침입(infiltration)에 의해 접근 개구를 통해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부터 복사적으로 얻어진 열의 제거이다.
쇼핑객은, 소매상 지역에서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의 열 또는 통로를 따라서 걸을 때 느껴지는 한기를 표현하는 '콜드 아일 신드롬(cold aisle syndrome)'에 친숙하다. 콜드 아일 신드롬은 캐비넷의 오픈 프런트에서 통로로 흘러 나오는 찬 공기에 의해 발생한다. 쇼핑객이 불편을 느껴서 냉저장된 물품을 둘러보고자 하는 쇼핑객의 의욕이 꺾이므로, 당연히 양호한 소매상 업무에 방해가 된다. 또한, 상승하는 에너지 비용 및 소매상의 탄소-감소 책무 등의 보다 엄중한 지속가능성 규정때문에, 결과로서 에너지의 낭비(디스플레이 캐비넷을 차게 유지하고, 소매상 구역을 따듯하게 유지하기 위한)가 점점 옹호될 수 없다.
소매상 디스플레이의 제조업자는 보다 효율적인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을 만들고자 수년간 노력하였으나, 냉각 설계가 기본적으로 결점이 있기 때문에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캐비넷의 정면에 걸친 공기 커튼은 '굴뚝 효과(stack effect)' 및 다른 동력으로 인해 케이스 내부에 찬 공기를 보유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일(seal)을 제공할 수 없다.
공기의 부력의 온도 효과로 인해서 커튼에서 생기는 압력으로부터 굴뚝 효과가 생긴다. 더 밀집되고, 더 찬 공기는 캐비넷 내에 가라앉아서 캐비넷의 하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커튼이 내려가면서, 공기 커튼을 캐비넷으로부터 밖으로 밀어낸다. 역으로, 캐비넷의 상단 영역에서 캐비넷 쪽으로 안쪽으로 공기 커튼을 당겨서 캐비넷의 상부에 압력의 감소가 있고, 주위의 따듯하고 습기 있는 공기의 비말동반 및 침입을 가져 온다. 그러므로, 전체 시스템은 찬공기의 유출 및 따듯한 공기의 침입이 쉽다. 종래의 공기 커튼은 캐비넷의 접근 개구를 밀폐하기에 충분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높은 속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 높은 속도는 주위 공기의 비말동반률을 증가시킨다. 또한, 찬공기의 고속 스트림으로 인해서 공기 커튼 뒤에 있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접근하려고 할 때 쇼핑객은 불편하게 느낄수 있다.
공기 커튼으로 주위 공기가 침입하므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주위 공기가 침입하게 되며, 이로 인해 기기에서 찬 공기가 누출되게 된다. 비말 동반은 또 다른 이유들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주위 공기의 열은 기기의 냉각 듀티 및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습기가 전달되어 응결을 생기게 하여 냉결을 가져오므로 또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응결은 쇼핑객에게 볼품없고, 혐오스럽고, 언짢은 것이며, 기기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위협하고, 모든 생명체와 같이 물의 존재를 요구하는 미생물 활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들어오는 주위 공기는 미생물, 먼지 및 다른 바람직하지 못한 오염물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한 것 같이, 캐비넷의 후방 패널을 통해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공급된 찬 공기는 각 선반을 냉각시킬 뿐 아니라 공기 커튼을 지원한다. 필요한 공기 커튼 속도를 줄여서 주위 공기의 비말동반률을 줄이기 위해 이 후방 패널 흐름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후방 패널 흐름은, 접근 개구에서 가장 멀리 있기 때문에 가장 낮은 열 취득을 받는 선반의 뒤에 가장 찬 물품 위로 가장 찬 공기가 부는 단점을 갖는다. 이것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저장된 물품에 대한 온도의 변화를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시킨다. 이상적으로, 유사한 물품은 동일한 온도에 저장되어야 한다.
냉장은 온도를 낮춰서 미생물 활성을 지연시킴으로써 식품을 보존한다. 저장 온도가 충분히 낮게 유지되지 않으면, 미생물 활성은 물품을 아주 빠르게 변질시킨다. 그러나, 냉장이 심하면 - 특히 의도하지 않은 주기적인 냉동 - 일부 물품의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므로, 캐비넷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대해서 엄격한 온도 제어가 유지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원하는 온도보다 더 높은 캐비넷의 영역에서 식품 변질이 더 빠르게 된다. 역으로, 원하는 온도보다 더 낮은 캐비넷의 영역은 냉동 점 아래 및 위를 순환하여, 또한 식품 변질을 더 빠르게 한다.
후방 패널 흐름은 지원 흐름의 일 예이며, 공기 커튼의 일부인 배출 공기 단자를 통해 전달되지 않는 냉각 공기의 흐름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종래 캐비넷 내 전체 공기 흐름의 20% ~ 30%를 차지하며, 나머지 70% ~ 80%는 공기 커튼 자체로서 순환된다. 후방 패널 흐름은, 지지물이 없는 이러한 캐비넷의 일반적인 치수를 갖는 접근 개구를 일반적인 배출 속도로 밀폐할 수 없는 종래의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의 공기 커튼에 필수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공기 커튼의 길이에 걸쳐 메인 공기 커튼의 온도 상승이 너무 커서 도움을 받지 않고는 냉각 요구를 맞추지 못하기 때문에, 저장된 제품에 보충 냉각을 제공하기 위해서 후방 패널 흐름이 필요하다.
후방 패널 흐름 등의 방법을 사용해도, 종래의 캐비넷은 주위 비말동반률이 실제 조건에서 80%로 높기 때문에, 과도한 에너지 소비 및 불쾌한 콜드 아일을 가져 온다. 냉장 캐비넷이 일반적으로 성능-테스트되는 표준 및 프로토콜이 에너지 효율의 지각을 왜곡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실제 조건'을 강조한다. 성능-테스트 표준이 엄격하므로, 최상의 테스트 결과를 얻기 위해, 기기가 생산 라인에서 취해져서 긴 기간 동안 조심스럽게 최적화될 수 있다.
최적화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내 저장되는 식품의 물품을 나타내는 테스트 팩의 위치의 점증 변화 및 캐비넷 주위의 냉각 공기 흐름을 균형잡기 위해 성에제거 스케쥴 및 증발 온도의 미세 조정과 관련된다. 공기 흐름 최적화는, 다공 후방 패널을 통해서 각 레벨에서 공급된 공기 커튼 및 공기 사이의 공기의 분포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테스트된 캐비넷은 오직 하나의 정확한 제품 적재 구성에 대해서 최적화된다. 그 특별한 구성은 실험실에서 조차 복제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실제 조건에서,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은 매우 다양한 상이한 형상 및 상이한 크기의 물품이 많은 다른 방식으로 적재된다. 이들 실제의 적재 패턴은 에너지 성능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 이상화된 적재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다. 실제로, 대부분은 상당히 다를 것이다. 따라서, 실제 조건에서 캐비넷의 에너지 소비는 그 캐비넷에 대해 공개된 성능값과 상당히 다르다. 그 성능이 실제 조건에서 적재 패턴의 변동에 덜 의존하는 캐비넷 설계가 요구된다.
요약하면, 현재의 오픈-프런트 멀티-데크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은 최적 식품 저장을 위한 생리적인 요구사항과 타협한다. 공기 커튼은 캐비넷을 효율적으로 밀폐하지 못하므로, 온도 제어가 좋지 않고, 침입률이 높다. 따듯하고 습기찬 주위 공기가 캐비넷으로 들어가서, 저장된 물품을 데우고, 습기가 응결된다. 더 높은 온도와 더 높은 습기 레벨은 미생물 활성을 증진시켜서, 저장 수명을 감소시키고, 냄새(off-odour)를 생기게 하고, 곰팡이 성장을 증진시켜서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의 정면에서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힌지되는 유리문을 설치하는 것이 인기가 있다. 처음에, 이 방법은 찬 공기가 문 뒤에 보유되기 때문에 오픈-프런트 캐비넷에 의해 생긴 문제를 해결하고, 에너지를 절약하고, 콜드 아일 신드롬을 방지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그러나, 문의 사용은 많은 단점을 가진다.
● 문은 쇼핑객과 디스플레이된 물품 사이에 배리어를 놓아, 상인들은 이것이 오픈-프런트 캐비넷에 비해서 판매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 - 일부 연구가 제시한 50% 만큼 - 을 알 수 있다.
● 문은 배리어를 만들고, 캐비넷을 보충, 세정 및 유지 업무를 하는 스태프에게 추가 작업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 문은 위생적이고 매력적인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 내측 및 외측을 얼룩없이 깨끗하게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들은 손상되기 쉽고, 때때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모두 소매상 제비용을 추가한다. 또한, 이것은 또한 소매상에 의해 요구되는 건강 및 안전 고려 및 위험 완화 동작에 영향을 갖는다.
● 급속히 변하는 소매상 환경에서, 쇼핑객은 저장된 제품을 접근하기 위해 문을 빈번하게 연다. 이보다는 덜 빈번하지만, 직원이 행하는 보충, 청소 및 유지작업은 보다 더 긴 주기로 문을 여는 것과 관계된다. 문이 열릴때마다 차고 밀도가 높은 공기가 밖으로 나간다. 캐비넷의 안에서 잃어버린 찬 공기는 따듯한 축축한 주위 공기로 불가피하게 대체된다.
● 구매, 보충, 청소 및 관리 동안 문의 열림으로부터 생기는 찬 공기의 유출의 결과로서, 실제 조건에서 온도 제어 및 습기의 침입은 종래의 오픈-프런트 캐비넷에서보다 현저하게 더 좋지는 않다. 그래서, 캐비넷 내 저장 공간의 영역은 좋지 못한 온도 제어 및 더 높은 습기 레벨, 저장된 물품의 변질의 가속으로 악화된다. 이것은 에너지 소비가 종래의 오픈-프런트 캐비넷에서 현저하게 더 좋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일부 조건하에서, 문의 열림에 따라서 수증기가 서리고 뿌옇게 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도어에 열이 적용되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은 종래의 오픈-프런트 캐비넷에 대해서 에너지 소비의 전체 증가를 실제로 가져올 수 있다.
● 종래의 오픈-프런트 캐비넷에서, 과도한 최적화에 따른 비현실적인 조건에서 에너지 소비의 테스트가 실행되므로, 발표된 수치는 잘못된 것이다. 현실적인 조건에서 에너지 소비는 발표된 수치보다 현저하게 더 높을 수 있다.
●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에 문을 추가하기 위해 가게 레이아웃이 변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일반적인 접근 및 쇼핑객이 문을 여는 것 및 카트를 관리하는 것과 관련된 인체공학적인 면에서 더 넓은 통로가 소매상 구역에 요구될 수 있다. 더 넓은 통로는 소매상 공간의 제곱 미터당 반품을 감소시킨다.
오픈-프런트 멀티-데크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이 가시성과 접근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쇼핑객은 이러한 캐비넷을 좋아한다. 이러한 캐비넷은 광 범위한 제품이 분명하게 디스플레이되고, 감소된 유지 제비용과 소매상 매장 공간의 더 나은 활용을 가져와서, 쇼핑객에 의해 쉽게 접근될 수 있으므로, 소매상은 이러한 캐비넷을 선호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비말 동반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엄격한 온도 제어를 제공하고, 콜드 아일 신드롬을 감소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이렇게 행하지만 문이나 다른 배리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오픈-프런트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배경에 대해서, 본 발명은, 오픈 프런트에 의해 정의된 접근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을 포함하는 오픈-프런트 캐비넷, 사용중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물품을 냉장하기 위해 찬 공기를 도입 또는 생성하는 냉각 수단, 공급 덕트와 연통되어 사용중 상기 접근 개구에 걸쳐 공기 커튼으로서 찬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위치된 배기 출구 및 귀환 덕트와 연통되어 사용중 상기 공기 커튼으로부터 공기를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위치된 귀환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커튼은, 상기 공기 커튼과 별개로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공급되는 임의의 보충 냉각 공기 흐름이 지원되지 않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저장 볼륨을 정의하는, 오픈-프런트 캐비넷; 사용중인 냉-저장 볼륨에서 물품을 냉장하기 위해 찬 공기를 도입 또는 생성하는 냉각 수단; 및 상기 냉-저장 볼륨에 배치되어 사용중 냉장된 물품을 지지하고, 나란히 있는 칼럼에 배열된,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고, 각 선반은, 상기 선반 위와 아래의 상기 냉-저장 볼륨에서, 각각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냉장된 물품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상기 선반 위의 상부 접근 개구와 상기 선반 아래의 하부 접근 개구를 정의하고, 각 선반은, 공급 덕트와 연통하고, 사용중, 상기 하부 접근 개구에 걸쳐서 공기 커튼으로서 찬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으로 위치된 배기 출구; 및 귀환 덕트와 연통하며, 사용중, 상기 상부 접근 개구에 걸쳐서 상기 선반 위에 배출된 또 다른 공기 커튼으로부터 공기를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으로 위치된 귀환 입구를 포함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형 벽에 의해 경계가 주어진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을 정의하는 오픈-프런트 캐비넷; 사용중인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있는 물품을 냉장하기 위해 찬 공기를 도입 또는 생성하는 냉각 수단; 사용중, 보고 접근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냉장된 물품을 지지하는, 상기 수직형 벽의 상이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수직형 벽 위에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포트를 통해 공급 및 귀환 덕트에 연통가능한 공기 흐름 공급 및 귀환 채널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수직 파티션은, 상기 선반이 상기 선택된 위치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칼럼으로 냉-저장 볼륨을 분할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청구 범위 및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하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공기 커튼의 높이를 감소시키는데 유리하게 구현되며, 이들 장점을 갖는 다양한 감소된 높이의 에어 커튼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유리한 기술적인 해결 방법을 제공하므로 공기 커튼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게 한다.
공기 커튼의 높이를 감소시키므로 굴뚝 효과를 감소시키고, 커튼에 걸친 동일한 온도 차이를 위해서 커튼 상의 수평력을 감소시킨다. 주어진 최초 배출 방향에 대해서, 현저하게 낮은 배출 모멘텀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현저하게 낮은 배출 속도가 사용될 수 있어서, 주위 공기의 감소된 비말동반과 낮은 에너지 소비를 가져 온다.
공기 커튼의 높이를 감소시키므로 더 낮은 최초 속도가 사용될 수 있고, 커튼의 감소된 편향이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매우 인위적인 조건의 실험실 테스트가 아니라, 실제 조건에서 에너지 효율 및 냉각 효율에 추가하여 공기 커튼의 제어와 일관성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를 통해 첨부 도면과 표를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및 간단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기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기의 정면부의 상세도이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및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의 정면에 걸쳐 분사된 공기 커튼을 배출 및 수용하는 배출 및 귀환 공기 그릴 사이의 바람직한 수평 간격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기기의 정면부의 상세도이며, 배출 및 귀환 공기 그릴의 대향면 사이의 공간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기기의 배출 공기 그릴의 상세도이며, 배출 공기 그릴의 면에 걸쳐 측정된 에어 커튼의 수평 깊이 또는 두께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기기의 배출 공기 그릴의 상세도이며, 공기 커튼의 최초 속도가 측정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 및 5의 배출 공기 그릴의 상세도이며, 공기 커튼의 두께에 걸친 바람직한 속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기기의 귀환 공기 그릴의 상세도이며, 도 6의 공기 커튼에서 바람직한 속도 프로파일을 또한 나타낸다.
도 8, 9, 10 및 11은 공기 커튼에서 저난류 흐름과 바람직한 속도 프로파일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하게 적응된 배출 공기 그릴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 및 13은 배출 공기 그릴과 인접한 캐비넷 조명의 가능한 위치를 나타내는 상세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기기의 배기 시스템의 상세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의 기기의 임펠러 시스템의 상세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대응하며, 기기의 냉 저장 공간 내 중간 선반을 갖는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17은 선택적으로 측실장된 냉장 엔진을 갖는, 본 발명의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하부-실장된 냉각 엔진과, 단일 절연된 캐비넷과 그 냉각 엔진을 공유하는 복수의 공기흐름-관리된 셀을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기기의 공기흐름-관리된 셀의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공기흐름-관리된 셀이 어떻게 스택되어 기기를 생성하는지를 나타내는, 도 18의 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기기의 선반의 상세 확대도이다.
도 22는 공통 냉각 수단으로부터 도출된 냉각 공기흐름을 공유하는, 도 20의 기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상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선반의 상세 측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기기의 공급 및 귀환 덕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공기흐름 분포도이다.
도 25는 공급 및 귀환 덕트와 공통 냉각 수단 사이에서 도 22의 기기의 공기흐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6은 덕트된 선반의 높이를 조정가능하게 하는 해결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사시도이다.
도 27 및 28은 공급 덕트 및 귀환 덕트 각각에서, 도 26에 도시된 해결 방법에서 스피것과 포트 사이의 협력 동작을 나타내는 상세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29 및 30은 두 레벨에서 선반의 단면 탑뷰이며, 도 26에 도시된 선반의 공급 덕트와 귀환 덕트를 각각 나타낸다.
도 31은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나란히 놓인 칼럼에 공기흐름-관리된 셀이 배치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기기의 단면 탑뷰이며, 그 후방 내부 패널 뒤 공급 및 귀환 공기흐름 덕트를 나타낸다.
도 33은 도 31의 기기의 정면도이며, 기기의 후방 내부 패널에서 배열된 실장 포인트 및 포트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도 34는 또 다른 배출 및 해동 배치물을 갖는, 도 1에 나타낸 기기의 일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36은 추가의 복사 냉각면을 갖는, 도 1에 나타낸 기기의 또 다른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37은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의 가능한 다양한 정면 형상을 도시하고 대조시키는 일련의 개략 평면도이며, 공기 커튼의 형상과 공기 커튼을 안내하는 피니셔에 미치는 그들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38은 공기 커튼에서 등온선을 표시하는 상이하게 셰이딩된 밴드를 이용하여 공기 커튼에 작용하는 동적 및 열적 힘을 나타내고, 또한 귀환 공기 그릴 주위의 일반적인 속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9 및 40은 도 38에 대응하는 상세 확대도이며, 그릴 주위의 귀환 공기 그릴과 공기흐름 안내 구조물의 대체 배열물을 나타낸다.
도 41은 도 31과 같이 멀티셀, 복수의 칼럼 기기의 정면 사시도이며, 이들 칼럼의 선반이 정렬되면 인접하는 칼럼들 사이의 파티션이 어떻게 제거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도 42는 도 41의 기기의 정면 사시도이며, 칼럼의 일부 선반들이 정렬되고 칼럼의 다른 선반들이 정렬되지 않으면, 미니-파티션(mini-partition)이 인접하는 칼럼들 사이에 어떻게 생성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도 43 및 44는 인접하는 칼럼들의 선반에 의해 지지되는 미니-파티션에 대한 가능한 대체 배열물을 나타내는 상세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45 및 46은 경사 선반을 갖는 공기흐름-관리된 셀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측 단면도이며, 도 42는 냉장 캐비티 내 중간 선반을 추가적으로 나타낸다.
도 47은 도 41에 나타낸 것같이 경사 선반을 갖는 공기흐름-관리된 셀로 서브분할된 기기의 측 단면도이다.
도 48은 일부는 경사 선반을 갖고, 다른 것은 경사 선반을 갖지 않는, 공기흐름-관리된 셀이 혼합된, 도 43에 나타낸 기기의 변형예의 측 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방 부분의 개략 평면도이며, 그 측면 에지를 따라서 공기 커튼을 분사하는 측면 피니셔를 나타낸다.
도 50은 도 49에 대응하지만, 공기흐름-관리된 셀을 칼럼으로 분할하는 파티션의 정면 에지상의 유사한 파티션 피니셔를 나타낸다.
도 51은 도 50에 대응하지만, 인접하는 공기 커튼 뒤에 파티션의 정면 에지를 위치시키는 또 다른 접근 방식을 나타낸다.
도 52는 본 발명의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의 정면도이며, 공급 및 귀환 덕트의 압력을 읽고 비교하여, 시스템을 균형잡기 위해 팬 속도를 조정하는 차동 압력 센서를 나타낸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커튼 및 기기에 대해서 몇몇 바람직한 기준과, 각 기준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우선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1)을 나타낸다. 유닛(1)은, 접근하기에 쉬운 적합한 높이로 이러한 유닛을 올리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캐비넷 아래에 저장고와 같은 지지 구조물이 실제로 필요하지만, 여기에서는 유닛을 스탠드-얼론(stand-alone) 동작을 할 수 있는 별개의 기기의 간단한 형태로 나타내었다. 복수의 유닛(1)들을 나란히 놓아 사용하거나, 모듈러 방식으로 쌓거나 및/또는 소매상 구역을 빙 둘러 배치시켜 냉장 디스플레이를 더 크게 만들 수 있다. 통합된 멀티-셀룰러 디스플레이 기기를 만들기 위해 복수의 모듈러 유닛들이 사용되는 방법의 원리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유닛(1)은 일반적으로 속이 빈 직육면체 또는 박스의 형태를 가지며, 여기에 해칭 영역으로 표시된 대응-형상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을 둘러 싸는 단열 상벽(31), 하벽(33), 측벽(37) 및 후벽(35)을 포함한다. 정면 접근 개구(39)가 도 1의 우측 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정면 접근 개구(39)는 유닛의 상벽(31), 하벽(33) 및 측벽(37)에 의해 정의된다. 이 접근 개구(39)를 통해 접근 개구(39) 뒤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에 있는 물품에 방해받지 않고 도달-접근할 수 있다.
하나 또는 양 측벽(37)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에 디스플레이된 물품의 가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투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측벽(37)은 강화 유리인 것이 적절하며, 단열도를 유지하도록 이중 또는 삼중 유리인 것이 적절하다.
사용시, 접근 개구(39)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의 정면에 있으며, 아래로 흐르는 일반적으로 수직인 공기 커튼(9)으로 밀폐되어 있다. 공기 커튼(9)은 하향 분사형 DAG(discharge air grille)(5) 및 상향 수용형 RAG(return air grille)(7)를 갖는다. 냉각된 공기는 DAG(5)에 공급되어 공기 커튼(9)을 분사하고, RAG(7)를 통해 귀환하여 공기 커튼(9)으로부터 공기를 받는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 설계와 비교하여 비말동반율(rate of entrainment)을 크게 감소시키지만, 공기 커튼(9)으로부터 수신된 공기는 일부 비말동반된 주위 공기를 불가피하게 포함한다.
이 국부 냉각 예에서, 공기는, 유닛(1)의 하벽(33), 후벽(35) 및 상벽(31) 내의 덕트(41, 43, 45)를 통해 RAG(5)와 DAG(7) 사이에서 유닛 내부를 순환한다. 덕트(41, 43, 45)는 각각의 벽들의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단열재에서 내측으로 떨어져 있는 비교적 얇은 내부 패널 사이로 정의된다. 덕트는 유닛의 하벽 및 후벽에 각각 하방 덕트(41)와 후방 귀환 덕트(43)를 포함하고, 유닛의 상벽에 공급 덕트(45)를 포함한다. 주위로/로부터의 공기 누출 및 유닛의 고압 공간과 저압 공간 사이에서 공기의 순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덕트 및 공기 공간(air space)은 적절히 밀폐된다.
내부 패널은 그 뒤에 흐르는 찬 공기로 인해서 사용시 냉각되므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에 일부 냉각을 제공한다. 실제로, 이 실시예에서, 어떠한 내부 패널을 통해서도 찬 공기가 흐르지 않는다. 공기 커튼(9)이 정확히 지정되면, 상부 내부 패널(31), 하부 내부 패널(32), 후부 내부 패널(35)의 냉각 면은 저장 공간 내에서 물품의 양호한 온도 조절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일부 또는 전체의 내부 패널은 단열재 또는 가열재를 갖지 않을 수 있지만, 단열재 및/또는 로컬 트레이스 가열재(local trace heating)가 일부 또는 전체의 내부 패널에 제공되어 그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열재 또는 로컬 가열재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의 인접하는 물품들의 과잉 냉각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 후방 패널은 접근 개구(39)에서 가장 멀리 있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의 영역에 들어맞도록 얇게-단열되어, 가장 낮은 열취득을 얻게 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원칙상, 열취득에 대응하기 위해서 국부적으로 증가된 냉각을 적용하고자 덕트에서 일부 찬 공기를 빼내려고 하면, 하나 이상의 내부 패널이 뒤의 덕트와 연통되는 구멍과 같은 하나 이상의 개구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열취득이 유닛의 개구 정면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높기 때문에, 내부 패널을 통해 공기가 더 공급되지 않고, 그 영역에 생긴 열취득에 대응하기 위해 공기 커튼(9)이 필요한 냉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냉기가 유닛의 먼거리에서 생성되어 유닛에 공급될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유닛 자체에서 냉각되어 국부적으로 순환되는 공기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냉각 코일, 배출 시스템 및 팬 어레이가 유닛의 후벽 내 덕트에 배치된다. 이 대신에, 국부 냉각 및 임펠러 수단이 유닛의 상부, 하부 또는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관련된 국부 배출 시설물이 편리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DAG(5)와 RAG(7)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 2 ∼ 7의 확대도를 또한 참조한다.
덕트 및 DAG(5)와 RAG(7)는 평활하고 균일한 공기 흐름 특징을 만들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사각형 벤드는 회피되고, 경사진 미트레드(73, 173), 모따기되거나 또는 둥근 벤드 또는 터닝 베인, 가이드 및 배플을 갖는 벤드가 바람직하다.
DAG(5)는 위의 공급 플리넘과 연통하는 실질적으로 수평의 배출면을 가지며, 이는 다시 공급 플리넘 뒤의 유닛의 상벽에서 더 좁은 공급 덕트(45)와 연통된다. DAG(5)의 배출면은 공급 덕트(45)의 아래의 레벨에 있으며, 경사지거나 또는 모따기된 코너에 의해 공급 덕트(45)와 결합된다. 이 예에서, 대응-경사진 코너 필렛은 공급 플리넘을 통해 모따기된 코너와 대향된다.
RAG(7)는 아래의 귀환 플리넘과 연통하는 실질적으로 수평의 흡입면을 가지며, 이는 다시 귀환 플리넘 뒤의 유닛의 하벽에서 더 좁은 귀환 덕트(41)와 연통된다. RAG(7)의 흡입면은 귀환 덕트(41)의 위의 레벨 상에 있으며, DAG(5)와 같이, 경사진 또는 모따기된 코너에 의해 귀환 덕트(41)와 결합된다.
낮은 플랜지형 라이저(61)는 RAG(7)의 흡입면의 내측 또는 후측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라이저(61)는 실질적으로 유닛의 접근 개구(39)의 전체 폭에 걸쳐 RAG(7)의 수평 길이를 따라서 연장된다. 이것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으로부터 찬 공기가 유출되지 않는 것을 돕는다. 또한, 라이저는 일반적으로 RAG(7)의 최외측 또는 앞측에 있거나, 이후에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것 같이, 라이저(61)가 전체적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상부 피니셔(65) 및 하부 피니셔(67)가 DAG(5) 및 RAG(7)의 앞측에 각각 위치하고, 일 측벽에서 타측벽까지 유닛의 전체 정면에 걸쳐 좌우로 연장된다. 이들 피니셔(65, 67)는 적어도 부분으로는 투명할 수 있지만, DAG(5) 및 RAG(7)의 정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은닉하는 심미적 피니시를 제공한다. 피니셔(65, 67)는 응결 또는 착빙을 방지하는 배리어로서 기능하므로, 도시된 것 같이 가열 및/또는 단열된다. 피니셔(65, 67)에 대한 대체물 또는 추가물은 전도성이 낮은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및/또는 복사율이 높은 피니시를 갖는다. 도 12 및 13에 나타내는 것 같이, 캐비넷 조명(15)은 피니셔(65, 67)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응결 또는 착빙을 방지하기 위한 열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피니셔(65, 67)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위치, 배향 및 단면 형상에 의해 공기 커튼(9)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공기 흐름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피니셔(65, 67)는 제품, 광고 및 가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또한 유용하다.
DAG(5)의 면을 덮는 상부 피니셔(65)의 하부 에지는 DAG(5)의 배출면 위로 10 mm 이하 또는 DAG(5)의 배출면 아래로 50 mm 이하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단열 및/또는 가열된 정면은 응결을 방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크지만, 가시성을 최대화하고 저장 영역에 접근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작아야 한다.
RAG(7)의 면을 덮는 하부 피니셔(67)는 상측 및 외측으로 경사진 상측 부분(63)을 가지며, 하부 피니셔의 상부 에지를 RAG(7)의 흡입면에 대해서 위측 및 외측으로 - 그러므로 앞측으로 - 놓는다. 하부 피니셔(67)는 일반적으로 상부 피니셔(65)와 동일한 수직면에 위치하는 하측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하부 피니셔의 경사진 상측 부분(63)은 상부 피니셔(65) 및 하부 피니셔(67)의 하측 부분을 포함하는 면에 대해서 앞측으로 위치한다.
도 1 ∼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피니셔(65)의 하부 에지는 DAG(5)의 배출면 아래에 위치하고, 하부 피니셔(67)의 상부 에지는 RAG(7)의 흡입면 위에 위치한다. 이들 특징물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특징물은 접근 개구(39)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과 높이를 약간 감소시키지만, 그 댓가로 에너지를 일부 절약한다. 이들은 DAG(5)에 의해 분사되고 RAG(7)에 의해 수용되는 공기 커튼(9)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에 일조한다. 예를 들면, 하부 피니셔(67)의 상측 부분(63)은 RAG(7)의 흡입면의 타측 위에 있는 라이저와 협력하여, 그들 사이의 공기를 공기 커튼(9)에서 RAG(7)로 보내기 위해 라이저로부터 벌어진다.
양호하고 일관된 공기 커튼(9) 다이나믹스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DAG(5) 및 RAG(7)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의 앞에서 이격되거나 수평적으로 오프셋되어야 한다. 이상적으로 DAG(5) 및 RAG(7)의 대향하는 배출면 및 흡입면의 뒷면은 도 2에 도시된 것 같이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의 대략 20mm 앞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서 예외적으로 돌출하는 임의의 물품이 공기 커튼(9)을 현저하게 방해하지 않는다.
제품 적재 라인(비도시)이 커튼 뒤 유닛의 내부 패널 상에, 더 적절하게는 내측면 패널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들 라인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서 선반 또는 물품이 위치할 수 있는 최대 전방 정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라인들은 도 38에 나타낸 것 같이, 내측 편향을 허용하는 공기 커튼(9)의 예상된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상이 주어진 배형상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시스템의 다른 곳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않는 것에 근거하여, DAG(5)에서의 질량흐름률은 대향 RAG(7)의 질량흐름률과 같아야 한다. DAG(5)는 대향 RAG(7)에 의해 모여진 공기의 50% 와 100% 사이에서 공급하여야 하며, 비말동반된 주위 공기가 공기 커튼(9)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
도 3에 도시된 것 같이 DAG(5)의 슬롯형 배출면에 걸쳐 앞에서 뒤까지 수평적으로 측정된, 공기 커튼(9)의 앞뒤 깊이, 즉 두께는 40mm ∼ 250mm이다. 그러나, DAG(5)의 배출면에 걸쳐 앞에서 뒤까지 수평적으로 측정된 실제 최적의 배출 슬롯폭은 대략 50mm 또는 70mm ∼ 100 mm 이다. 바람직하게는 전방/후방 방향에서 배기 출구의 폭은 10mm ~ 200mm, 또는 20mm ~ 150mm, 또는 50mm ~ 150mm, 또는 50mm ~ 100mm, 또는 70mm ~ 100mm이다.
DAG(5)의 배출면의 냉측(cold side)에서 온측(warm side)까지의 치수인 이 슬롯폭은 공기 커튼(9)의 두께를 결정한다. 공기 커튼(9)의 두께는 최대 열효율을 위해 최대화되어야 한다. 더 큰 배출 슬롯폭은 더 느린 배출속도(그러므로 감소된 주위 공기의 비말동반율)를 가능하게 하며, 배출부터 귀환까지 공기 커튼(9)의 길이를 따라서 감소된 온도 상승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슬롯 폭, 그러므로 공기 커튼(9)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공기의 동일한 질량흐름률을 갖는 안정된 커튼을 얻기 위해 배출 속도가 비례적으로 감소될 수 없다. 앞에서 뒤까지 DAG(5)가 넓을수록, 커튼 내에 필요한 공기의 볼륨흐름률이 더 커진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종래의 캐비넷에서, 커튼 폭을 두배로 함으로써, 더 느린 배출속도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공기의 볼륨흐름률을 1.6배 증가시킨다.
매우 두꺼운 공기 커튼(9)이 여전히 실용적이며 얇은 공기 커튼(9)보다 열적으로 더 효과적이지만, DAG(5)의 배출 슬롯 폭이 대략 150 mm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공기의 볼륨흐름률은 증발기에서 취급하기에 어렵고, 큰 볼륨의 덕트 워크 및 고용량 팬을 필요로 한다. DAG(5)의 배출 슬롯이 넓을수록, 배출은 더 느리고 더 효과적이지만, 결국 유닛 주위의 공기의 질량 흐름은 공기 커튼(9)에 실제적인 최소 배출 속도를 준다. 공기 커튼(9)은 부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운동량에 의해 구동될 필요가 있다.
물론, 과도하게 두꺼운 공기 커튼(9)은 쇼핑객을 그들이 둘러보고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으로부터 원하지 않게 분리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 대신에 DAG(5)의 배출 슬롯 폭을 감소시키는 것은, 전체적으로 더 낮은 볼륨흐름률의 공기 순환으로 안정적인 커튼(9)이 유지되고, 쇼핑객과 디스플레이된 냉장보관된 제품 사이에 최소 분리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속도는 대략 50mm보다 더 좁은 슬롯에 대해서는 차선이 된다.
공기 커튼(9)의 배출 속도는 커튼의 안정성, 커튼과 저장된 물품 사이의 대류 열전달 계수 및 커튼(9)으로의 주위 공기의 비말동반률에 영향을 준다. 주위 공기의 비말 동반, 이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려면, 배출 속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커튼(9)이 접근 개구(39)의 전체 높이에 대해 적절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배출 속도는 너무 많이 감소될 수 없다. 또한, 커튼(9)은, 노출된 물품들에 의한 복사열 취득에 대응하도록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의 정면 근처에 노출된 물품들에 적절한 냉각을 제공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것 같이 DAG(5)의 면의 아래 지점 25mm에서 측정된, 공기 커튼(9)의 배출 속도는 0.1m/s ∼ 1.5m/s에 있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낮은 속도에서 자연 부력이 운동량보다 커지므로, 이 지점에서 공기 커튼(9)의 최초 속도는 0.3m/s ∼ 1.5m/s 사이에 있으며, 또한 더 바람직하게, 0.4 또는 0.5m/s ∼ 0.8m/s에 있다. 바람직한 배기 출구를 통한 배출 공기 부피 평균 속도는, 0.3 m/s ~ 1.5m/s, 또는 0.3 m/s ~ 1.0 m/s, 또는 0.4 m/s ~ 0.8 m/s, 또는 0.5 m/s ~ 0.8 m/s이다.
종래의 캐비넷에서와 다르게, 이들 최적의 속도 수치는, 예를 들면 설계된 후방 패널 흐름으로부터의 추가적인 지원이 없으며, 접근 개구(39)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남아 있을 커튼에 대한 것이다. 다른 방식으로, 공기 커튼(9)은 현저한 추가적인 지원이 없거나, 또는 보충 공기 흐름(보충 공기 흐름의 주요하고, 우세하고 또는 압도적인 목적은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냉각하는 것이다)으로부터 조금의 추가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들 범위 내의 공기 커튼(9)의 속도는 앞에서 뒤까지의 DAG(5)의 폭 또는 깊이, 저장 온도, 주위 온도 및 커튼 높이에 의존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최소 배출 속도는 커튼 안정성 또는 제품 저장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 내 물품을 적절히 냉각시키는 것은 커튼 질량 흐름, 속도, 온도, 제품 복사율, 주위 온도 및 필요한 제품 온도에 의존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규칙으로서, 커튼이 접근 개구(39)의 높이에 걸쳐 완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배출 속도를 줄이는 것이 적합하다.
부력이 0.4 m/s 미만의 배출 속도의 공기 커튼(9)의 흐름을 지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커튼(9)은 접근 개구(39)가 특히 작고(<0.3m), 주위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 사이의 온도 차가 작고,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으로의 복사열 취득이 최소인 경우에 적합할 수 있지만,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1.5m/s 까지의 배출 속도를 갖는 커튼(9)은 더 큰 접근 개구(39)(>0.5m)에 대해 유용할 수 있지만, 그 속도에서 효율은 감소될 것이다. 이에 대해서, 일반적인 종래의 디스플레이 캐비넷이 그 공기 커튼(9) 뒤의 흐름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되었으면, 필요한 배출 속도는 주위와 13 K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사이의 온도 차에 대해서 2.5 m/s 정도이다. 이러한 높은 배출 속도에서 극대의 비효율이 있는 것이 분명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전에 감수해야 하는 것이었다.
도 5에 도시된 것 같이 DAG(5)와 RAG(7)의 대향면 사이에서 수직으로 측정된 공기 커튼(9)의 수직 높이는 바람직하게 200 mm와 800 mm 사이에 있지만, 600 mm 보다 큰 것이 차선인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DAG(5)와 RAG(7) 사이의 접근 개구의 높이는 100mm ~ 1000mm, 또는 150mm ~ 800mm, 또는 200mm ~ 800mm, 또는 200mm ~ 600mm, 또는 350mm ~ 600mm이다. 종래 공기 커튼 캐비넷은, 1 m보다 일반적으로 더 큰 높이로 접근 개구(39)를 덮도록, 본 발명에서 예상되는 것보다 현저하게 더 긴 공기 커튼(9)을 일반적으로 포함하며, 또한, 본 발명에서 필수적이지 않은, 후방 패널 흐름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해 지원받으면, 이러한 공기 커튼(9)은 최적으로 작동한다.
종래의 캐비넷의 배출시 커튼 높이와 커튼 두께 사이의 비율은 10 ∼ 30 이고, 가장 일반적인 캐비넷은 대략 20의 비율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율은 일반적으로 10 미만이며, 5 ∼ 7의 비율이 가장 실제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적합하다. 이 비율이 더 작으면, 더 효과적이므로 공기 커튼(9)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한편, 배출시 커튼 두께는 앞에서 뒤까지의 DAG(5)의 배출 면의 유효 폭으로 표현될 수 있다.
유닛의 앞에서 볼 때 측면에서 측면까지의 그 폭에 걸쳐 압력 강하가 동등하다면(따라서 공기 흐름이 균형이 잡혀 있으면), RAG(7)의 설계는 에너지 소비에 적은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본 명세서의 뒤에서 설명하는 것 같이, RAG(7)와 관련된 공기 흐름 가이드 구조물의 배향 및 위치가 중요할 수 있다. 앞에서 뒤까지 RAG(7)의 최적의 깊이 또는 폭은 그 방향에서 DAG(5)의 폭에 근접하지만, 더 적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DAG(5)의 폭의 2/3 정도이며, 이것을 입증하기 해서는 테스트가 필요하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공기 커튼(9)에 추가하여 귀환되어야 하는 지원 공기 흐름의 존재로 인해서, 귀환 공기 단자가 배출 공기 슬롯보다 앞에서 뒤까지 일반적으로 더 넓은 종래의 캐비넷과 대조적이다. 이러한 지원 공기 흐름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이 아니며, 이와 반대로, 생략될 수도 있다. 테스트는, 공기 커튼(9)의 효율 및 안정성이 DAG(5)에서의 폭 감소보다 RAG(7)에서의 폭 감소에 덜 민감한 것을 나타내며, 최초의 데이터는 최적의 RAG(7) 폭이 앞에서 뒤까지 측정된 DAG(5) 폭보다 약간 좁은 것을 의미한다.
리차드슨 수(Richardson Number)는 모멘텀력에 대한 부력의 비로서 정의된 무차원수이며, 본 발명에 따라서 공기 커튼(9)을 특징짓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 뒤까지 측정된 DAG(5) 슬롯 폭의 기본 변수를 고려하는 리차드슨 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88272532-pct00001
Ri = 리차드슨 수
Gr = 그라쇼프 수(Grashof Number)
Re =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
g = 중력가속도(m.s-2)
β= 열팽창계수 (K-1)
Tae = 주위 온도(℃)
To = 커튼의 배출 온도(℃)
H = 커튼 높이(m)
Uo = 공기 커튼의 배출 속도(m.s-1)
b = 배출 공기 그릴 폭(m)
너무 많은 변수가 있으며, 증발기 성에로 인한 배출 속도의 변동, 주위 및 저장 온도 변화 등과 같은 문제 때문에,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의 정상 동작 동안 공기 커튼(9)의 리차드슨 수가 변화한다. 따라서, 설계 포인트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은 항상 쉽지 않다.
종래의 가장 일반적인 캐비넷에서, 리차드슨 수는 일반적으로 1400 ∼ 1800 근방이다.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공기 커튼(9)의 리차드슨 수를 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은 낮은 배출 속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높은 리차드슨 수는 비안정적인 커튼과 관련되므로,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리차드슨 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40 ∼ 60 범위의 리차드슨 수는 소매상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에 적합한 경향이 있는 반면, 120을 넘는 리차드슨 수는 실제 적용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리차드슨 수는 몇 가지 주의하여 사용되어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한계가 이해되었으면 유용한 분석 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분모에서 U0b2는 그 배출 속도와 DAG(5) 폭에 대해서 대표적인 연관성이 아닐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일정한 질량 흐름은 변화하는 DAG(5) 폭에 대해서 일정한 안정성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더 넓은 DAG(5)는 전반적으로 더 큰 질량 흐름을 요구한다. 또한, 분자에서의 온도차이가 제로에 근접하면서, 이 경우에 H/b 및 난류의 함수인 등온선 자유 분류를 모델링할 수 없기 때문에 덜 중요하게 된다. 그러나, 리차드슨 수는 공기 커튼(9)의 안정성 및 편향과 대략적으로 상관될 수 있어서, 매우 유사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공기 커튼(9)의 편리한 비교를 제공한다.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서의 저장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6℃ ~ 18℃, 또는 -22℃ ~ 12℃, 또는 -18℃ ~ 8℃이고, 주위 온도는 4℃ ~ 44℃, 또는 10℃ ~ 36℃, 또는 18℃ ~ 28℃이다.
도 6은 공기 커튼(9)의 외측으로 향하는 면이 공기 커튼(9)의 내측으로 향하는 면보다 낮은 속도에 있는 속도 프로파일(11)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이 명세서에서 공기 커튼(9)의 속도는 공기 커튼(9)의 깊이에 대한 평균 속도를 의미한다. DAG(5) 위의 플리넘의 모따기된 벤드 및 대향된 코너 필렛은 이 속도 프로파일을 얻도록 한다.
삭제
공기 커튼의 외측으로 향하는 면이 더 느리면 주위 공기와 더 적은 동적 상호작용을 가지므로, 주위 공기가 비말동반되는 비율을 감소시킨다. DAG(5)를 통해 층류가 이상적인, 원활한 공기 흐름을 제공함으로써, 주위 공기와의 동적 상호작용 및 비말동반율이 또한 감소된다. 이를 위해, DAG(5)와 관련된 플리넘의 상기 특징물은, DAG(5)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채널의 적합한 크기의 배출 허니콤(53)과 결합되어야 하며,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돕는다. 그래서, DAG(5)는 반드시, RAG(7)의 레벨까지 아래로 접근 개구(39)를 밀폐하기 위해 저난류(또는 큰 층류) 공기 스트림을 분사할 필요가 있는 느린 속도 장치이다.
냉측으로 스큐된 속도 프로파일(11)은 냉장 캐비넷의 효율을 개선시키며, 냉측의 속도가 더 빠르면 공기 커튼(9)과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에 저장된 물품 사이의 대류 열전달을 개선시키며, 또한 온측의 감소된 속도는 주위 공기의 비말동반을 최소화한다.
도 7은 최소 압력 제한이 RAG(7)에서 바람직한 동안, DAG(5)에서 생성된 것과 유사한 속도 프로파일(13)을 RAG(7)에서 갖는 것이 유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을 향하는 공기 커튼(9)의 내측 면상의 더 찬 공기는 어떤 경우에도 이 프로파일을 증진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으로부터 공기 커튼(9)까지 효율적인 높은 열전달 계수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8 ∼ 11은, 도 6에 도시된 바람직한 속도 프로파일(11)로 공기 흐름을 유지하고, 저난류 흐름을 증진시키기 위한 DAG(5)로의 다양한 가능한 적응을 나타낸다. 이들 적응은 예를 들면 공기 가이드, 스플리터 및/또는 터닝 베인과 관련된다. 난류를 최소화하고, 접근 개구(39)의 폭에 걸친 좌에서 우로의 DAG(5)의 길이에 따라서 배출 속도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허니콤(53) 인서트는 DAG(5)에 사용될 수 있다. DAG(5) 위의 코너 배플(55)의 각도는 공기 커튼(9)의 배출 속도 프로파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상기 서술된 것같이 정확히 적용되면 유리할 수 있다.
도 8은 공기 흐름 방향성 및 프로파일 배출 속도를 돕기 위해 눈금이 매겨진 디바이더 판(51) 또는 허니콤(53) 슬롯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DAG(5)에서 균일한 수평 허니콤(53)을 나타내며, 웨지형상의 상면이 유닛의 앞을 향해 상승한다.
도 10은 DAG(5)에서 균일한, 수평의, 일반적으로 평평한 허니콤(53)을 나타내며, 간격을 두고 천공된 판들(54)이 플리넘 위에 연통되어 있고, 다공판들의 길이는 도시된 것같이 유닛의 앞을 향해 증가한다.
도 11은 DAG(5)에서 균일한, 수평의, 일반적으로 평평한 허니콤(53)을 나타내며, 웨지 형상의 인서트(55)를 플리넘 위에 가지며, 그 하면은 유닛의 앞을 향해 하강한다. 도 11에 도시된 인서트의 하면은 일반적으로 평면이지만, 유닛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볼록 또는 오목으로 구부러질 수도 있다.
도 12 및 13은 DAG(5)에 인접한 캐비넷 조명(15)의 가능한 위치를 나타낸다. 도 12는 DAG(5)의 앞측으로 위치된 상부 피니셔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LED 어레이를 바람직하게 포함하는, 스트립 조명을 나타낸다. 여기에 위치되면, 스트립 조명(15)은 상부 피니셔에 적합한 단열 및 가열 효과에 기여한다. 역으로, 도 13은 DAG(5)와 공급 덕트 사이의 모따기된 코너(55) 아래에, DAG(5)의 뒤측으로 위치된 스트립 조명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별개의 단열 및/또는 가열된 상부 피니셔가 DAG(5)의 앞측에 위치된다.
도 14 및 15는 원활한 공기 패턴 특징과 낮은 정동작 저항을 유지하기 위해, 드레인 트레이(17) 주위에서 그리고 냉각 코일(47), 팬(75) 및 천이 덕트(73, 77)에서 모따기된 또는 둥글어진 코너 등과 같은 공기 흐름 관리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적절한 덕트 폭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개선점은 덕트 주위의 공기 덕트에서의 난류 및 이 공기 덕트를 통한 압력 강하를 최소화한다. 흐름 방해 및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벤드에서 좋은 공기 흐름 설계를 실행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도 14를 특히 참조하면, 유닛의 하부 및 후부 리턴 덕트 사이에서의 접합의 코너에서, 냉각 코일(47) 아래의 있을 수 있는 배출 배열물(17)을 나타낸다. 냉각 코일(47)에서의 모이스쳐 드리핑이 후벽의 단열된 내부 패널에서 후방 귀환 덕트로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는 디플렉터 플레이트(171)에 의해 후방으로 편향된다. 각진 필렛(173)은 디플렉터 플레이트(171)의 후단 근방으로부터 하부 및 후방 귀환 덕트 사이의 모따기된 코너(177)로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다. 필렛 및 모따기된 코너(177)는 코너 천이에서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디플렉터 플레이트(171)의 후방 에지는 유닛의 하벽 및 후벽의 단열재 사이의 코너에서 드레인 트레이(179) 위에 있다. 드레인 트레이(179)는, 한편으로 유닛의 공기 덕트 내 미생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물을 거부하고 아이들 워터 트랩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닛의 뒤에 드레인 파이프를 포함하여 낮은 배출 포인트로 "내리는" 경사진 엘리먼트와 조합된다. 드레인 트레이(179)의 경사진 엘리먼트의 정면은 하벽의 단열재로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하는 필수적인 필렛을 갖는다. 필렛은 모따기된 코너와 마주보며 공기 흐름의 방향의 변화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준다.
드레인(17)과 냉각 코일(47)은, 온도가 국부 냉각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낮은 얼음 축적물의 해동을 위해 히터(221)가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34를 참조하여 나중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로 이동하면, 유닛의 후방 귀환 덕트(41)와 공급 덕트(45) 사이의 결합지점의 코너(19)에서 후방 귀환 덕트의 위에 임펠러(75)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각진 필렛(73)은 유닛의 후벽 및 상벽의 단열재 사이의 코너를 거쳐서 연장된다. 필렛(73)은 플레이트의 필수적인 엘리먼트이며, 또한 플레이트는 상벽의 단열재에서 후벽의 내부 패널로 전방 및 하방으로 연장하는 지지 엘리먼트(71)를 가진다. 지지 엘리먼트(71)는 지지 엘리먼트(71)에서 각각의 개구에 위치된 일렬의 팬(75)(오직 한 개만 이 측면 뷰에서 보임)을 지지하며, 한편, 지지 엘리먼트(71)는 공급 덕트(45)로부터 후방 귀환 덕트(41)를 밀폐한다. 다시, 후방 귀환 덕트(41)와 공급 덕트(45) 사이의 모따기된 코너(77)는 필렛과 함께 코너 천이(19)에서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도 16은 예를 들면, 상이한 유형의 식료품 제품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용가능한 공간을 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중간 선반(21)이 냉장한 캐버티(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간 선반(21)이 도시된 것같이 천공되거나 슬롯화되어 냉저장 공간에서 공기 흐름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선반은 후벽 또는 측벽에 대해서 밀폐될 필요는 없다.
도 17은 온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그릴 뒤에 냉장 엔진(23)이 측면-실장되어 있고,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의 접근 개구(39)가 그 옆에 배치되어 있는 유닛의 정면도이다. 냉장 엔진(23)은 케이스의 상, 하, 좌, 우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 강조된다. 통합 냉각 엔진(23)은 선택적이며, 그 대신에 멀리 위치한 냉장 엔진 또는 일반적인 냉각 회로에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복수의 모듈러 유닛이 통합된 멀티-셀룰러 디스플레이 기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의 원리를 설명한다. 이에 대해서 도 18 ∼ 33을 참조하며,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굴뚝 효과의 물리력에 대응하고,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3) 내부에 주위보다 더 찬 공기를 유지하고, 주위 공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기 커튼(9)의 안정성이 중요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굴뚝 효과의 크기는 주위 공기와 캐비넷 내부의 차거운 공기 사이의 온도차 및 캐비넷의 접근 개구(39)의 높이에 의존한다
캐비넷의 냉장 캐비티(3)는 더 작은 캐비티의 시리즈 또는 어레이로 서브분할되어 그 오픈 프런트를 통하지 않고 인접한 캐비티들 사이에 공기가 실질적으로 전달될 수 없으며, 굴뚝 효과에 영향을 주는 높이는 개별 캐비티 또는 셀의 높이이다. 본 발명은 굴뚝 효과의 결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감소된 캐비티 높이를 이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저장 온도와 주위 온도 사이의 동일한 차이를 가정할 때, 공기 커튼(9)은 종래의 캐비넷과 비교해 감소된 최초 모멘텀 필요를 갖는다.
도 18은 하부-실장된 냉장 엔진(23)과, 수직 어레이 또는 칼럼으로 스택되고, 단일의 단열 캐비넷을 공유하는 복수의 공기 흐름-관리된 셀(3a, 3b, 3c)을 갖는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1)를 나타낸다.
어레이의 하부 셀의 상벽 및 인접한 상부 셀의 하벽(즉, 3b 및 3c)은 함께 선반을 규정한다. 선반들은 캐비넷의 내측 볼륨을, 그 자체의 공기 흐름-관리된 셀에서 각각 차곡차곡 쌓여진 복수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들로 서브분할한다. 그 후단 및 측단에서, 선반은 후방 내부 패널 및 캐비넷의 측벽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선반의 이들 에지 주위의 공기 흐름을 낮춘다. 필요시 선반의 이들 에지들을 따라서 시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양 측벽은 캐비넷에 디스플레이된 물품의 가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투명할 수 있으며, 측벽은 강화 유리 및 이중 또는 삼중 유리인 것이 적합하다.
이 예에서, 3개의 공기 흐름-관리된 셀(3a, 3b, 3c)은 이들을 에워싼 캐비넷 내에 스택되며, 최상 셀(3a), 내부 셀(3b) 및 최하 셀(3c)이다. 스택에 3개 이상의 셀을 갖는 다른 예에서, 내부 셀은 하나 보다 많을 것이며, 역으로, 스택에 오직 2개의 셀을 갖는 경우, 내부 셀은 없을 것이다.
셀들은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상이한 물품에 필요한 상이한 저장 요구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다른 온도에서 물품을 저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9의 단면도에서 내측 공기 흐름-관리된 셀(3b)은, 이 셀들이 상벽 및/또는 하벽에 두꺼운 단열 부재를 갖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각각의 셀이 도 1에 도시된 개별 기기와 본질적으로 얼마나 유사한 지를 나타낸다. 상벽 및/또는 하벽에 두꺼운 단열 부재를 생략하는 대신 더 얇은 단열재가 사용되거나, 또는 단열재가 사용되지 않는다. 이것은 스택의 정상 및 바닥에 있는 셀이 아닌, 상벽 및/또는 하벽 모두가 있는 내부 셀(3b)의 경우에 해당한다. 대조적으로, 최상 셀(3a)은 그 상벽에 두꺼운 단열재를 가지며, 최하 셀(3c)은 그 하벽에 두꺼운 단열재를 가진다. 셀들의 후벽 및 상기 위치에서의 두꺼운 단열재는 복수의 셀들을 둘러싸는 캐비넷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흐름-관리된 셀은 종래의 단열된 캐비넷에 적합할 수 있거나 또는 현재의 소매상 디스플레이 캐비넷에 새로 장착될 수 있다. 이들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단열재가 일반적인 캐비넷 케이스의 일부로서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셀은 후벽에 두꺼운 단열 컴포넌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20은 캐비넷(1)의 내부 볼륨(3)을 채우기 위해 도 19의 셀들을 스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냉기는 각각의 셀로부터 및 셀로 원격 공급될 수 있지만, 이 예에서 공기는 냉각되어 국부적으로 순환된다. 그래서, 냉장 엔진(23)은 필수 유닛으로서 케이스에 포함될 수 있거나 일반적인 슈퍼마켓 냉장 팩 유닛으로부터 냉기가 원격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국부 냉각 코일(47)과 팬은, 선반의 규모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된 물품으로의 접근을 최대화하기 때문에, 도시된 것 같이 셀 뒤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대신에 냉각 코일(47) 및/또는 팬은 셀(3a, 3b, 3c)의 정상, 바닥 또는 측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국부 냉각은 각 셀의 바닥 후측 코너로의 배출 시스템(17)(이 예에서 도시)을 필요로 한다. 배출 시스템(17)의 특징물은 도 14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질적으로, 스택된 셀들은 냉장 캐비넷 내부의 선반들 사이에 작은 공기 커튼(9)들이 연속되게 한다. 공기 커튼(9)들은 공기 출구(DAG (5))들과 공기 입구(RAG(7)) 들을, 선반들을 지지하는 캐비넷 구조물에서 덕트와 연통되는, 선반 내의 각각의 채널에 의해 규정되는 공급 덕트(45)와 귀환 덕트(41)과 각각 연통되는, 각 선반의 정면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여기에 도시된 각 선반 및 그 연관된 플리넘의 DAG(5)와 RAG(7)의 특징물과 연통 덕트는 도 1 ∼ 1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응부분과 동일하다. 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된 선택적인 특징물은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배열은 도 21의 상세 확대도에서 가장 잘 설명된다. 아이디어의 이 간단한 표현에서, 2단 레이어된 배열에서 단일 귀환 덕트(41)는 단일 공급 덕트(45) 위에 있다. 그러나, 선반에서 동일한 수평 레벨 또는 중첩 레벨에서 귀환 덕트(41)가 공급 덕트(45) 옆에 있는 다른 배열들이 가능하다. 또한, 선반당 하나 이상의 공급 덕트(45) 또는 귀환 덕트(41)가 있을 수 있거나, 이들 덕트들이 브랜치로 분할될 수 있다.
상이한 온도에서 선반에서 공기 덕트들 사이의 인접한 벽들 및 그 표면들은 낮은 열 전도재료로 만들어져야 하고 및/또는 온 덕트에서 응결을 방해하기 위해 단열 및/또는 가열되어야 한다. 온 덕트는 통상적으로 귀환 덕트(41)이며, 침입 이득은 모이스쳐 레벨을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고, 냉 공급 덕트(45) 근방은 모이스쳐가 응결하는 것을 돕는다.
형성될 수 있는 응결을 처리하기 위한 다른 방법에서, 선반 덕트는 습기를 모으고 그것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반에서 귀환 덕트(41)는 약간 하방 및 후방으로 기울어져서 캐비넷의 뒤측으로 떨어지며, 캐비넷으로부터 물을 받지 않기 위해 냉각 코일(47)에 대해서 설치된 배출 시스템에 연통될 수 있다.
도 1 ∼ 1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DAG(5)와 RAG(7)의 정면에 위치된 상하 피니셔가 여기에서 반복되며, 유사한 특징물을 갖지만, 이 경우에 각 선반의 정면에서 단일 피니셔(67)에 통합된다. 그 피니셔(67)는 상측 및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부 부분을 포함하며, 관련된 선반의 RAG(7)의 흡입 면의 위 및 전방에 피니셔의 상부 에지를 놓는다. 피니셔(67)의 필수 하측 부분(63)은 관련 선반의 DAG(5)의 배출 면의 약간 아래에서 연장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개별 상부 및 하부 피니셔(65, 67)는 어레이의 최상 DAG(5)와 최하 RAG(7)의 앞에서 사용된다.
도 22 ∼ 30에 도시된 가변예들은, 셀들이 개별 냉각 코일(47)을 가질 필요가 없고, 이 예에서 캐비넷은, 예를 들면, 유닛의 베이스에 위치될 수 있는 공통 냉각 코일(47)을 갖는다. 환기된, 덕트된 선반들은 공통 덕트에 연통되고, 공기 커튼(9)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공기 커튼(9)으로부터 공기가 귀환된다. 그러므로, 냉 공급 공기는 공통 냉각 코일(47)에서 각 셀로 배기되고, 온 귀환 공기는 각 셀에서 코일로 냉각, 건조, 선택적인 필터링 및 재순환을 위해 귀환된다. 실제로, 실제로 찬 공기가 유닛 외부의 원격 또는 공유된 소스에서 각 셀로 배기되고, 재 냉각 및 처리를 위해 소스를 통해 재순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22 및 23은 공기 흐름-관리된 셀에 연통되고 이에 의해 공유되는 일반적인 평행 수직 공급 및 귀환 공기 분배 덕트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공급 덕트(45)는 선반에 대해서 중앙에 위치하며 2개의 귀환 덕트들 사이에 놓여 있고, 이들 덕트는 모두 후방 내부 패널 및 캐비넷의 후벽의 단열물 사이에서 규정된다. 다른 덕트 배열이 물론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방 내부 패널은 접근 개구(39)를 통한 열 취득으로부터 먼 영역에서 과잉 냉각을 피하기 위해 얇게 단열 및/또는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 덕트 및 귀환 덕트가, 후방 내부 패널 자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방 내부 패널 뒤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놓여지면, 단열 또는 가열은 필요하지 않다.
도 24 및 25는 도 22의 기기 내 공기 흐름 배열을 도시한다. 각각의 공기 흐름-관리된 셀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 분배 및 공기 경로 순환의 가능한 많은 변형예가 있지만, 하나의 가능한 배열이 도 24의 공기 흐름 분배 다이어그램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후방 내부 패널 뒤의 수직 공급 및 귀환 덕트가 상기 서술된 3개의 셀들을 포함하는 캐비넷에 연통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5는 도해식 평면도에서, 후방 내부 패널 뒤의 공급 및 귀환 덕트가 최하 셀 아래에 캐비넷의 베이스에서 공통 냉각 코일(47)과 공기 순환 팬에 연통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공급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코일을 통해서 팬에 의해 공기가 뽑아 내어지고, 팬은 중앙 공급 덕트를 추진시킨다. 여기에서, 공기는 선반의 공급 덕트와 캐비넷의 상벽으로 들어가고 공기 커튼(9)의 스택으로서 셀당 하나 돌출되며, 선반에서 귀환 덕트를 통해서 후방 내부 패널 뒤의 중앙 공급 덕트의 각 면에서 귀환 덕트로 귀환된다.
선반이 고정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선반들이 제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선반들은 다른 수직 위치에서 그 높이 및 각 공기 흐름-관리된 셀의 높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고 재탈착가능하다.
높이 조정을 얻기 위한 간단한 배열이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캐비넷의 후방 내부 패널은, 상이한 높이에서 선반(121) 들을 유지할 수 있는 몇몇 실장 위치를 갖는다. 선반 지지 시스템은 각 선반의 뒤에서 양팔보되고, 더 큰 힘을 위해서 후방 내부 패널에 부착될 수 있는 후방 내부 패널 또는 수직 지지물(비도시)에서 펀칭된 상보 구멍(125)에 후크되는 후크-온 브래킷(123)을 포함한다.
이러한 브래킷 및 지지물(123)을 사용하는 것은, 조정가능한 선반(121)을 위치시키기 위한 소매상 디스플레이 캐비넷의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선반(121)으로의 공기 흐름을 위해서 내부 패널 뒤에서 공급 및 귀환 공기 덕트로 유도하는 관련된 포트를 요구한다. 이들 포트는, 후방 내부 패널 뒤에 평행의 수직으로 연장하는 공급 및 귀환 공기 덕트와 정렬된 수직 어레이에서 떨어져 있다. 유리하게, 캐비넷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찬 공기의 원하지 않은 유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반이 결합될 때에만 포트들이 열릴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27 및 28을 참조한다.
이를 위해, 후방 내부 패널은 선반의 공기 덕트 연결을 위한 플랩 밸브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커트 또는 CNC 펀칭된 스프링 스틸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얇은 유연한 탄성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포트 개구(127)는 완전한 구멍이 아니라 연장된 "U"자 형상으로서 절단된다. 선반이 후측 내부 벽에 매달릴 때 "U" 절단에 의해 형성된 플랩은 선반(121)의 후측에서 대응하는 스피것에 의해 뒤로 밀린다. 스피것은 선반(121)에서 공급 또는 귀환 덕트와 연통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선반의 덕트와 후방 내부 패널 뒤의 대응하는 덕트 사이에서 적절한 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허용한다.
선반(121)은 하나 이상의 스피것(spigot)을 가지며, 각 선반의 각각의 덕트로 유도되며, 후방 내부 패널에서 대응하는 포트 및 그 포트 뒤의 대응 분배 덕트와 정렬되고 협동하도록 위치된다. 이 경우에, 선반은 그 후단에서 3개의 스피것을 가지며, 중앙의 스피것은 중앙 공급 덕트와의 정렬을 위한 것이고, 다른 2개는 후방 내부 패널 위의 중앙 공급 덕트의 각 면에서 귀환 덕트와의 정렬을 위한 것이다. 선반이 제거되면, 스피것은 포트에서 분리되고 닫혀진 위치로 귀환하기 위해 후방 내부 패널의 일반적인 면으로 플랩이 스프링백하여, 실질적으로 포트를 밀폐한다.
도 29 및 30은 도 23을 상세히 설명하며, 상기 설명된 2단 배열에 배치된 선반의 공급 및 귀환 덕트를 각각 나타낸다. 도 27과 28은 또한 선반의 공급 및 귀환 덕트가 선반의 후단에서 각각의 관련된 스피것과 연통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플랩 밸브가 닫혀질 때 후방 내부 패널을 통한 공기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U" 형상에 대한 커트 라인은 가능한 한 좁아야 한다. 이를 위해, 플랩 밸브를 시일로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선반의 스피것이 플랩 밸브를 열고자 밀지 않으면 플랩 밸브의 닫힘을 유지하기 위해 플랩 밸브에 자석을 끼울 수 있다. 그러나, 후방 내부 패널을 통해 누설되지 않는 공기는 캐비넷의 내용물들을 냉각시키는 것을 돕는다.
후방 내부 패널에서 이들 간단한 플랩 밸브는 본 발명의 조정가능한 선반 개념에 대해서 저비용 및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그러나, 임의의 비사용 포트를 차단하기 위한 플러그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형태의 힌지된 회전 또는 슬라이딩 포트 커버 또는 밸브가 대신에 예상될 수 있다.
후방 내부 패널은 선반에서 상보의 전기 단자가 협력가능한, 저전압, 일반적으로 12V에서 수직 스트립 컨택트(비도시) 등의 전원 엘리먼트를 가질 수 있다. 선반이 후방 내부 패널에 플러그되면, 조명, 가열물 및 제어 엘리먼트 등의 선반에서 전기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를 도통시키도록 단자는 컨택트에 연결된다.
도면중 도 31 ∼ 33으로 돌아가면, 이 도면들은 공기 흐름-관리된 셀들이 하나의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1)의 단일의 단열된 캐비넷을 공유하면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복수의 공기 흐름-관리된 셀들은 3개의 수직 어레이 즉, 칼럼(201, 203, 205)으로 배열되며, 각각은 더 작은 복수의 또는 서브세트의 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칼럼은 도 32에 가장 잘 도시된 것같이 그 후방 내부 패널 뒤의 2개의 귀환 덕트 사이에 중앙 공급 덕트를 가지며, 포트들의 수직 어레이는 도 33에 가장 잘 도시된 것같이 각각의 덕트와 정렬되며 이들과 연통된다. 도 33은 또한 실장 구멍들의 수직 어레이를 나타내며, 이로 인해서 선반들의 높이가 조절된다.
인접 칼럼들은 후방 내부 패널의 면에 직교하는 면에 위치하는 수직 파티션(137)에 의해 실질적으로 분리되고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그러므로, 이 예에서, 2개의 이들 파티션(137)은 상호-분리되고,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에 위치한다.
도 31 ∼ 33에 도시된 기기는 고형의 불투명한 단열 측벽(37)을 갖지만, 대신에 캐비넷에 디스플레이된 물품의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서 하나 또는 양 측벽(37)이 투명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이 도 41 및 42에 도시된다. 투명하면, 측벽은 강화 유리 및 이중-또는 삼중 유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캐비넷에 디스플레이된 물품의 가시성을 높이는 것과 유사하게, 도시된 것같이 파티션(137)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강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티션은 나란히 놓인 셀들을 다른 저장 온도로 설정할 수 있게 하므로, 이들이 투명하면, 이중 또는 삼중-유리로 만들어짐으로써 단열성을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외측 칼럼(201, 205)은 측벽 및 평행 파티션 사이로 규정되며; 내부 칼럼(201)은 이러한 2개의 파티션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적용예를 도시하기 위해, 도 31에 도시된 2개의 외측 칼럼(201, 205)은 각각 함께 4개의 셀을 정의하는 3개의 선반(121)을 갖고, 내부 칼럼은 함께 3개의 셀을 정의하는 2개의 선반(121)을 갖는다. 셀의 높이가 셀에서 셀까지 및 칼럼에서 칼럼까지 어떻게 상당히 변할 수 있는 가를 알 수 있다. 이 점에서 다양성을 위해, 선반은 탈착가능하고 선반 높이는, 예를 들면 상기 서술되고 도 32 및 33에 도시된 조정 방법들을 사용하여 조정가능한 것이 상당히 소망된다.
칼럼의 수는 크게 중요하지 않으며, 단지 2개의 칼럼이 가능하며, 각 외측 칼럼으로서 각각 하나 사용되며, 내부 칼럼이 없다; 또는 3개의 칼럼이 가능하며, 2개의 외측 칼럼 사이에 하나 이상의 내부 칼럼이 있을 수 있다. 준비된 확장을 위해, 동일한 측벽을 사용하면서 기기 폭방향을 늘리기 위한 조절 방식으로 적절한 추가 컴포넌트를 조합하여 현재의 기기에 칼럼이 추가될 수 있다.
적절한 접근 및 공기 커튼(9) 밀폐가 확실하면, 각 칼럼에서 선반 및 셀의 수는 또한 크게 중요하지 않다. 실제로, 임의의 주어진 칼럼에서 하나 이상의 셀은 필요없으므로, 선반이 없을 수도 있다. 나란히 놓인 셀 개념의 가장 간단한 표현은 둘러싸는 단열 오픈-프런트 캐비넷에서 파티션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서로의 옆에 2개의 셀을 갖는 것이다.
그 후방 에지에서, 각 파티션은 후방 내부 패널에 근접하여 놓이며, 바람직하게는 후방 내부 패널에 밀폐된다. 파티션은 앞에서 뒤로 선반의 전체 깊이까지 후방 내부 패널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것같이, 각 파티션은, 선반의 정면에 피니셔의 전방-연장 상부 부분의 적어도 전방 에지까지, 선반의 전방 에지의 약간 앞으로 연장된다.
공기 흐름이 하나의 칼럼에서 다음으로 흘러버리는 것을 방지하며, 인접 셀의 공기 커튼(9) 다이나믹을 방해한다. 이것은 각 공기 커튼(9)이 주위 공기 흐름 또는 인접 공기 커튼(9)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와 준다. 또한, 파티션은 셀 간의 상호-오염을 최소화하는 것과 셀 내 디스플레이된 물품으로 부터 생길 수 있는 유출을 포함하는 것을 도와 준다.
그 후방 및 측면 에지에서, 선반은 후방 내부 패널 및 캐비넷의 측벽 및/또는 파티션에 대해서 밀접하게 놓여져서, 선반의 이들 에지 주위의 공기 흐름을 줄인다. 필요하면, 이들 에지를 따라서 시일(seal)이 설치될 수 있다.
각 파티션의 정면 에지 영역은 응결에 대처하기 위해 단열 및/또는 가열되어야 한다. 또한, 각 파티션의 정면 에지 영역이 낮은-도전율 재료로 만들어지고 및/또는 높은-복사율 피니셔를 가질 수 있다.
공기를 냉각 코일(47)로 배출하기 위해 RAG(7)가 캐비넷의 정면에 항상 연통되는 종래의 캐비넷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셀은 유닛의 후방으로 뒤로 연장되고, 및 거기에서 냉각 코일(47)로 연장되는 귀환 공기 덕트를 가진다.
일부 변형예가 상기 기재되었으며,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 많은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사한 특징물이 다른 실시예에 또한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도 34 및 35는 제1 실시예에 적용된 또 다른 배출 및 해동 배열물을 도시한다.
섭씨 제로 위에서 동작하는 유닛에서, 냉각 코일(47)을 정지시키거나 코일 위에 공기를 계속해서 순환시킴으로써 해동이 간단히 얻어질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도 34에 도시된 것같이 열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코일 상의 로드 또는 파이프 등의 전기 또는 고압 가스 가열 엘리먼트는 배출 면이 이들 위치에 축적된 얼음을 해동한다. 추가적으로, 후방 귀환 덕트에서 냉각 코일(47) 위의 버터플라이-밸브 댐퍼는, 그 덕트에서 공기 흐름과 정렬됨으로써 통상적으로 개방되게 유지되며, 90° 회전되어, 해동 처리 동안 덕트에서 공기 흐름을 차단하며, 대류 순환을 방지한다.
도 35의 후면도는, 공기 커튼(9)의 선형 길이를 따라서 공기 흐름의 고른 분포를 용이하게 하는 다중의 원심 팬을 나타낸다. 또는, 접선 팬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5는 또한 드레인 트레이가 기기의 일 측면에서 다른 면으로 배출 파이프를 향해 기울어진 '하강'을 어떻게 갖는지를 나타낸다. 중앙의 배출 파이프에 수렴하는 반대로 기울어진 암을 갖는 또 다른 배출 트레이가 아래에 도시되어 있다.
도 36에 나타낸 변형예는 접근 개구(39) 근처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의 앞측에 저장된 물품이, 접근 개구(39)를 통한 주위의 복사열 취득에 의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문제를 해결한다. 이러한 열 취득은, 상부 및 하부 내부 패널의 전방 영역 또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을 분할하는 중간 선반의 전방 영역에서 여기에 도시된, 몇몇 복사 냉각 면(333)을 도입함으로써 크게 또는 부분적으로 상쇄될 수 있다. 도 31 ∼ 33에 도시된 실시예의 수직 파티션은 그 전방 영역에서 복사 냉각 면을 또한 가질 수 있다.
복사 냉각은 냉 복사를 위해 무광 블랙 면을 갖는 금속 시트를 따라서 도전에 의해 가장 간단히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복사면(333)이 추가의 냉각 파이프 또는 패널을 가질 수 있다.
유닛의 내부 패널에 단열재가 설치된 경우, 유닛 내 상이한 위치에서 기대되는 열 취득을 맞추기 위해 단열재는 패널에 걸쳐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열재는, 그 위치에서 기대되는 열 취득에 맞추기위해 내부 패널의 국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접근 개구(39)에서 거리가 증가하면서 더 두껍게 될 수 있다. 역으로, 비단열 내부 패널의 도전성은 유사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다.
유사하게, 내부 패널에 대한 임의의 트레이스 가열 설치물은 패널에 걸쳐, 예를 들면, 패널 상의 상이한 위치에서 가열 엘리먼트의 상이한 두께 또는 밀도를 갖는, 비균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패널 상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수의 가열 엘리먼트를 스위칭 온함으로써, 내부 패널에 걸친 트레이스 가열의 정도가 패널에 걸쳐서 온도 프로파일을 조절가능하고 가변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그 위치에서 얻어지는 열을 맞추기 위해 내부 패널의 국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냉각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해 뒤에서 덕트와 연통하는 구멍 등의 개구에 의해 천공되는 경우, 구멍의 크기 및 밀도는 패널 상의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다시, 이것은 그 위치에서 얻어지는 열에 다시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7을 통해,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의 정면은 도면의 상부에 도시된 것같이 측면(37)에서 측면(37)으로 평면형 또는 이와 다르게 직선형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기의 정면은 도면의 중간 및 하부에 도시된 것같이,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오목형의 중앙-돌출 형상으로, 직선 또는 평면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도 37의 중간 도면은 중앙 직선 부분의 측면에서 양측에서 반대로 기울어진 측면 부분을 갖는 세그먼트된 정면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도 37의 하부 도면은 이 예에서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아크형의 정면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오목의, 중앙-함몰 형상이 원칙상 가능하다. 각 경우에, 공기 커튼(9)과 피니셔(67)는 그 위치에서 기기의 정면의 평면 형상을 따른다.
선반(21)은 찬 공기를 보유하기 위해 서랍 또는 또 다른 오픈-탑 컨테이너를 지지하며, 선반 또는 이러한 서랍 또는 컨테이너는, 다른 물품들이 정면으로부터 취해지면서 중력 하에서 물품을 전방으로 추진하는 경사진 베이스 등의, 셀프-프런팅 시스템에 들어맞을 수 있다.
세정, 유지 및 보충을 위해서 서랍형 러너에서 선반이 전방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설치물이 만들어질 수 있다. 덕트된 선반은, 포트의 플랩 밸브를 통해서 후방 내부 패널 뒤의 공급 및 귀환 덕트로 연통되는 스피것을 포함하여 전체로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것처럼, 플랩 밸브는, 전방으로 슬라이드될 때 선반으로의 공기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포트로부터 스피것이 물러나면, 닫힐 것이다. 또는, 선반이 후방 내부 패널 뒤의 공급 및 귀환 덕트와 연통하여 제 자리에서 남아 있는 동안 슬라이딩 트레이 엘리먼트는 덕트된 선반 위로 및 거기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더 가능한 변형예에서, DAG(5)와 RAG(7)의 정면에 위치된 피니셔에서 응결을 방지하기 위해, 작은 이차 공기 기류(주위 온도에서 또는 그 위에서 가능할 수 있는)가 메인 공기 커튼(9)의 앞에서 분사될 수 있다.
도 38은 공기 커튼(9)에 영향을 주는 동적 및 열적 힘을 나타낸다. 공기 커튼(9)에서 상이한 형상을 갖는 밴드들은 등온선을 나타내며, 공기 커튼(9)의 내측 또는 후측에 있는 더 찬 공기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을 향한다.
종래 기술에서, 공기 커튼(9)의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공기 커튼(9)의 배출각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긴 접근 개구(39)를 거치는 긴 커튼에 특히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커튼이 종래 기술에서 찬 캐비티를 밀폐하는 경우에, 온 측(warm side)으로, 즉, 유닛의 찬 캐비티에 대해서 외측 또는 전방으로, 커튼을 기울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커튼을 이런 식으로 기울이는 것은, 최적으로 여겨지는 수직으로부터 15° ~ 20°로, 더 느린 배출 속도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인 짧은 거리와 느린 속도를 고려하여, 이와 다르게, 양호하지 않은 제품 적재로 인해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부터의 돌출물이 공기 커튼(9)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 DAG(5)에서 공기 커튼(9)을 내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스큐잉(skewing)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효율에 해로울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수직의 +30° 및 -30°내에서, 더 바람직하게 수직의 20°, 15° 또는 10°내에서, 배출 공기 방향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수직성은 DAG(5)가 RAG(7) 바로 위인 경우에 도시된 것 같은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표현되면, RAG(7)가 DAG(5)에 대해서 수평으로 오프셋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므로, DAG(5)와 RAG(7) 사이에서 직선이 수직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러므로, 배출 공기 방향이 실질적으로 DAG(5)와 RAG(7)를 연통하는 직선과 정렬되거나, 또는 적어도 그 직선의 30°안팎 내, 더 바람직하게 그 직선의 20°, 15° 또는 10°내에 있다.
이상적인 공기 커튼(9)에서, DAG(5)에서 분사된 공기의 100%는 RAG(7)에 의해 캡쳐된다. 부가적으로, RAG(7)는 비말동반이 없거나 또는 다른 공기 볼륨/질량 이득 없이 DAG(5)에서 분사된 공기만을 얻게 된다. 즉, 공기 커튼(9)은 폐쇄 회로 루프와 같이 동작한다.
그러나, 실제로, 공기 커튼(9)은, 이론적으로 가장 최악의 경우의 시나리오에서, DAG(5)에 의해 분사된 공급 공기의 100% 까지 손실되고 RAG(7)를 통해 귀환되지 않는 개방 회로이다. 공급 공기의 손실에 기여하는 팩터들은 : 쓰로우(공기 커튼(9)에 의해 커버되는 거리); 난기류(turbulence) (비층류(non-laminar air flow), 시어링(shearing) 등); 지향성 (공기 커튼(9)의 잘못된 형상 또는 방향); 열 전달 (온도 및 습기 게인); 스택 효과 (접근 개구(39)의 높이에 걸친 차동 온도에 의해 구동); 및 낮은 RAG(7) 캡쳐 (효과적으로 캡쳐되지 않은 공기 커튼(9)).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 공기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DAG(5)에서 분사된 공기의 대부분이 비말 동반된 공기를 최소한 캡쳐하면서 RAG(7)에 의해 캡쳐되는 이상적인 것에 더 근접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도 38은 RAG(7) 주위의 전형적인 속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RAG(7) 등의 흡입 또는 추출 단말이 제한된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에워싸는 공기 흐름 상에서 RAG(7)의 영향은 매우 국부적이며, 그 유효성은 그 위치 및 DAG(5)에서의 상보 분사에 크게 의존한다.
공기 커튼(9)의 온도 프로파일을 참조하면, RAG(7), 관련된 피니셔 및 RAG(7) 주위의 공기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라이저의 위치 및 배향의 변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측-돌출하는 공기-가이딩 피니셔(67)는 공기 커튼(9)의 정면측에 불가피하게 비말동반된 주위 온도의 일부를 부주의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RAG(7) 주위의 국부적인 속도 프로파일은 공기 커튼(9)의 정면에서 비말동반된 주위 공기 내에 영향을 미쳐서, 이 비말동반된 주위 공기의 일부를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이들 관찰을 고려하여, 도 39 및 40은 RAG(7)의 흡입면이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을 향하여 뒤측으로 어느 정도 향하는 선택적인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39는 보다 적게 후방을 향하고 또한 상방으로 기울어진 RAG(7)의 흡입면을 나타낸다. 도 40은 보다 크게 후방을 향하고 또한 실질적으로 상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RAG(7)의 흡입면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 변형예에서, RAG(7)와 관련된 피니셔는 그 기울기가 상방 및 후방에 반대인 상부 공기-가이드 부를 가지므로, 도 32 및 이전 실시예들에 나타낸 대응하는 특징물과 대조적으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을 향하며 내측을 향한다.
후방으로 돌출하는 공기 가이드 및/또는 후방으로 향하는 RAG(7)의 선택적 특징물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의 하부 정면 코너에서 흘러나오는 찬 공기를 얻을 뿐 아니라, 공기 커튼(9)으로부터 가장 찬 공기를 얻고 공기 커튼(9) 흐름에서 원하지 않는 온 공기를 분리하도록 배향, 위치 및 배열된다.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돌출하는 공기 가이드는 단열 및/또는 가열 등의 응결방지(anti-condensation) 특징물을 가지며, 그 위치, 크기 및 배향으로 인해서 가격, 홍보 자료 및 다른 정보를 도시하기에 특히 유용하게 된다.
상기 서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후측 패널 흐름 등의 공기 흐름을 지원하는 것을 고안하였다. 본 발명은 공기 커튼(9)의 높이를 줄여서 원하는 배출 속도와 두께를 갖는 안정적인, 비지원 공기 커튼(9)을 만든다. 후측 패널 흐름을 고안함으로써,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캐비넷은, 저장된 제품 물품에서 측정된 온도의 범위를, 종래의 일반적으로 수직 정면개방된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에서의 8.6 K에서 문이 없는 개방형 정면을 유지하면서 대략 4K로 줄이는 것으로 기대된다.
후방 내부 패널 등의 보충 또는 지원 공기 흐름이 본 발명에서 요구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가장 넓은 개념에서 그 사용은 배제되지 않는다. 캐비넷이 예를 들면, 글래스 단벽 또는 측벽을 통해서 현저한 열 이득을 갖는 경우에, 몇몇 보충 냉각은 유용할 수 있다. 공기 커튼(9)을 공급하는 선반 또는 공기 덕트에서 공급되는 찬 공기의 국부 적용에 의해 요구되는 이러한 냉각이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충 공기 흐름의 일차 목적은 냉각이며, 공기 커튼(9)에 대해서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이 점에서, 상부, 하부, 전면 및 후면 주위에 공기 순환을 고려하여, 현저한 전도열 이득이 좌측 및 우측 패널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에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열 이득을 오프셋시키기 위해 스폿-냉각 요구가 최소가 되고, 공기 커튼 흐름의 5%를 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스폿-냉각은 열 이득에 비례하여 표면의 면을 따라서 바람직하게 수직으로 균일하게 도입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측면 패널에 따른 수직의 스폿-냉각은 열 이득과 정렬된 좁은 선형 슬롯 또는 매우 작은 구멍으로부터 올 수 있다.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서 물품의 초과-냉각 가능성으로 인해서 뒤에서 보충 공기 흐름을 도입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공기 커튼 운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공기 커튼 근방의 전방 위치에 추가 공기를 도입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장 좋다.
복수의 칼럼의 셀을 갖는 멀티-셀 기기는, 인접하는 공기 커튼(9) 사이의 방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절히 인접하는 칼럼 사이에 파티션을 갖는 것을 도 31로부터 알 수 있다. 도 41은 인접하는 칼럼의 선반(21)이 정렬되면, 우측의 2개의 칼럼에서 알 수 있는 것같이, 각 선반의 효과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들 칼럼 사이의 파티션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인접하는 칼럼의 몇몇 선반이 정렬되고, 이들 칼럼의 다른 선반이 정렬되지 않으면, 예를 들면, 도 42의 우측에서 2개의 칼럼에서 비정렬된 상부 선반 참조, 비정렬된 레벨에서 칼럼들 사이에 작은 파티션이 생성될 수 있다. 정렬된 하부 선반 사이에 파티션을 주지 않아서 효과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에 도움을 준다.
도 43과 44는 인접하는 칼럼의 선반(21)에 의해 지지된 작은-파티션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배열을 나타낸다. 이들 배열은 선반들 사이에 수직 갭의 변형을 허용한다.
도 43에서 배열은 하나의 선반의 에지에 부착되고, 동일한 칼럼 또는 인접한 칼럼에 위치할 수 있는 또 다른 선반의 인접하는 수직-오프셋 에지로 연장되는 롤러 블라인드(237)를 포함한다. 롤러 블라인드(237)는 선반(21) 사이의 수직 갭을 맞추기 위해 연장 또는 후퇴될 수 있다.
도 44에서 배열은, 각각의 수직-오프셋 선반(21)에 부착된 중첩 리브(leaves) 또는 플레이트(337, 339)를 포함하며, 선반들은 동일한 칼럼 또는 인접한 칼럼에 위치할 수 있다. 리브(337, 339)는 마주보며 위치하고, 선반 사이의 수직 갭을 맞추도록 작은-파티션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함께 또는 떨어져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물론 작은 파티션은 또 다른 예로서 유닛의 후방 내측 벽에 의해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갭 조정을 위한 기능이 필요하지 않으면 더 간단한 클립-온 패널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5 ~ 48을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하나 이상의 공기 흐름-관리된 셀이 하나 이상의 슬로핑(sloping) 선반(23)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을 나타낸다. 슬로핑 선반(23)은 유닛의 뒤에서 앞을 향해서 하향으로 각이 져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것은 특정 제품을 디스플레이하며, 현재의 표준 소매상 냉장보관으로서 과일 및 채소의 디스플레이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적합한 제품-유지 형성물이 슬로핑 선반(23)에 추가되어 물품을 분리시키고 물품들이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부터 앞으로 구르거나 슬라이딩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제4 실시예의 슬로핑 선반(23)을 갖는 공기 흐름-관리된 셀은 이전에 서술된, 실질적으로 수평 선반을 갖는 통상의 공기 흐름-관리된 셀의 모든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열 상부 및 하부를 갖는 단일-셀 스탠드얼론 유닛의 일부 일 수 있으며, 배출되는 원격 냉각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도 46은 중간 선반(21)이, 슬로핑 선반(23)을 갖는 공기 흐름-관리된 셀의 냉장한 캐버티 내에서 다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중간 선반(21)이 다시 천공되거나 와이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7은 슬로핑 선반을 갖는 공기 흐름-관리된 셀이 공유된 에워싸는 단열 캐비넷 내 기기에 스택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도 48은, 일부 셀이 슬로핑 선반(23)을 갖고, 다른 셀이 실질적으로 수평 셀을 갖는, 공기 흐름-관리된 셀의 혼합을 갖는 기기를 나타낸다.
도 49 ~ 51은 시일이 없어진 공기 커튼(9)의 측면 주위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주위 공기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측정물을 나타낸다.
도 49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1)의 측벽(37)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므로 공기 커튼(9)의 약간 앞으로, 공기 커튼(9)의 각각의 측면 아래로 연장되는 측면 피니셔(161)를 나타낸다. 이들 측면 피니셔(161)는 응결 및 빙결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 및/또는 가열, 및/또는 고-복사율 피니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기 커튼(9)은 그 측면 에지에서 주위 공기 공격으로부터 직접 방지될 수 있다.
도 50은 공기 흐름-관리된 셀을 칼럼으로 분할하는 파티션의 정면 에지에서 중첩 및 측면으로 연장하는 유사한 파티션 피니셔(163)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파티션 피니셔(163)은 응결 및 빙결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히 단열 및/또는 가열, 및/또는 고-복사율 피니시를 가질 수 있다. 도 51은 인접 공기 커튼(9) 뒤에서 파티션(137)의 정면 에지를 유지하기 위한 또 다른 방식을 나타내며, 이것은 응결 및 빙결에서 보호되지만, 공기 커튼(9) 사이에 원하지 않는 상호작용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덜 바람직하다.
대칭, 균형 및 기밀성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기 흐름-관리된 셀의 중요한 구성이다. 대칭은 후방 덕트 분포가 사용되는 곳에서 동일하게 적용하는 설계의 유리한 모듈화로부터 상당한 정도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최적 성능, 다양성 및 적응성을 위해 공기 흐름 및 온도를 균형잡고, 튜닝하고 조정하는 수단을 적절히 가진다. 예를 들면, 공급 및 귀환 분포 덕트의 압력은 선반의 수 및 선반 사이의 거리(물론 변화할 수 있다)에 의존하여 변화할 수 있으며, 유닛의 성능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최적의 성능은 공급 및 귀환 덕트의 압력이 균형잡혀지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차동 압력 센서(301)는, 시스템이 균형되어 있는 것을 확실하게 하도록 팬의 스피드를 조정하기 위해, 도 52에 도시된 것같이 설치되어 덕트(41, 45)의 압력을 읽고 비교하고, 컨트롤러(303)에 신호를 송신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공기 흐름 균형 및 요구 관리가 자동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덕트에서 '쓰로트(throats)' 등의 적절한 포인트에 놓여진 온도, 압력 및/또는 흐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선반 사이의 공기 흐름을 조절 및 균형을 이루기 위해 가변 속도/볼륨 팬, 밸브 또는 댐퍼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버터플라이 밸브 등의 밸브 또는 슬라이딩 셔터가 개별 선반 또는 개별 선반과 관련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 또는 셔터는 아래의 선반까지의 거리 및 아래의 선반의 공기 흐름-관리된 셀에 대해서 요구되는 온도에 의존하여 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정은 수동 또는 전자적일 수 있다.
테스트는 수직 라이저 덕트에서 정압 손실이 선반 및 선반으로 이어지거나 또는 선반 내 쓰로트에서 정압 손실과 비교하여 현저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라이저 덕트를 따라서 상이한 선반의 상대 위치는 시스템 밸런스에서 거의 베어링을 갖지 않는다. 이것은 라이저 덕트를 따른 그 수직 위치에 상관없이 각 선반으로/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기가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커튼 및 기기에 대해서 몇몇 바람직한 기준, 각 기준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표 1에서, 기준 선호가 수치 1, 2 및 3으로 랭크되어 있고, 1은 가장 바람직한 값을 나타내고, 2는 덜 바람직한 값을 나타내고, 3은 각 기준에 대해서 용인되지만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값을 나타낸다.
격변의 DAG 또는 좁은 DAG에 대해서, 중앙 선 배출 속도는 DAG의 배출면으로부터 DAG 폭 내에서 쇠퇴한다. 그래서, 그 중앙선에서 DAG에서 배출 속도를 측정하면, 측정 점은 가능한 한 DAG의 배출 면에 근접해야 한다. 또는, 배출 속도가 DAG의 폭 및 길이에 걸쳐서 변화하기 때문에, DAG에서 공기의 전체 볼륨 흐름을 DAG의 단면적으로 분할함으로써 계산된 부피 평균 속도로서 보다 정확히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리 표시된 다른 값과 같이, 표 1의 값은 제품을 섭씨 제로 위 몇 도에 저장하도록 설계된 냉장 유닛에 관계된다. 냉장 유닛은 섭씨 제로 아래의 몇 도에 제품을 저장하도록 설계된 냉동 유닛과 구별된다. 냉동 유닛의 경우에, 다음이 선호된다.
슬롯이 70mm로 좁고 온도 상승이 크기 때문에 100mm ~ 150mm의 더 넓은 DAG 슬롯 폭;
더 빠른 배출 속도 - 대조를 통해서, 대류 냉각과 복사 열 이득의 균형을 고려하여 냉동 유닛에서 1 m/s의 배출 속도는 냉장 유닛에서 0.7 m/s의 배출 속도와 대략 같다; 및
더 짧은 공기 커튼 높이, 300mm보다 더 크지 않다. 이차 커튼 및/또는 몇몇 지원 블리드 공기가 냉동 애플리케이션에서 더 큰 접근 개구(39)에 대해서 필요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더 낮은 리차드슨 수(Richardson Numbers)는 냉동 유닛에 더 적합하고, 냉동 유닛에 대한 적어도 리차드슨 수는 냉장 유닛에 대한 값보다 더 적은 경향이 있다. 리차드슨 수 값은 냉동 유닛에 대해서 2로 낮지만, 5 ~ 10 범위의 값이 바람직하다. 공기 커튼(9)의 높이는 도미넌트 변수로서 간주되므로, 리차드슨 수의 이러한 차이는, 냉동 유닛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커튼으로 냉장 유닛이 일반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을 간단히 반영할 수 있다.
비말 동반과 침입을 최소화하는 것은 본 발명의 설계에서 엄격한 온도 제어와 에너지 효율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 덕트 및 그릴을 구체화할 때 양호한 프랙티스가 요구된다. DAG 및 RAG에서 캐비넷의 폭에 걸친 속도 프로파일의 세심한 균형이 침입을 또한 최소화한다. 공기의 배출과 귀환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침입이 높을 때, 효율 및 제품 온도 둘 다 악화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오픈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에서 발생하는 축적된 손실을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감소시키는 냉각 공기 흐름 관리 기술에 의해서 해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택적 및 필수적인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을 포함한다:
● 큰 오픈-프런트 디스플레이 영역을 수평 섹션/선반 사이에서 및 선반의 스택 사이에서는 수직으로 공기 흐름-관리된 셀로 구분하는 것은 소매상 목적에 적절하다.
● 비말 동반 및 복사에 의한 열 이득이 최소화되도록 공기 흐름-관리된 셀의 정면을 효과적으로 유효하게 밀폐하기 위해 공기 흐름-관리된 커튼은 정확한 다이나믹을 제공한다.
● 공기 흐름-관리된 셀은 공기 순환, 공기 분포, 공기 변화, 공기 부력 및 굴뚝 효과를 제어하는 파라미터들로 설계된다. 제품 유형 또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내 스택에 상관없이 엄격한 온도 관리 및 최소 침입을 유지한다.
● 저장된 물품에 가장 잘 맞추기 위해, 인접한 공기 흐름-관리된 셀은 상이한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 각각의 공기 흐름-관리된 셀을 정의하는 모듈러 기기는 소매상 환경에서 보다 편리하게 냉장 및 냉동된 제품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스택된 및 나란히 놓여진 조합으로 모듈을 조합하여 디스플레이 크기 및 구성에 많은 다양성을 준다.
● 본 발명에 따른 기기는 낮은 침입율 및 엄격한 온도 제어로 인해서 냉동 제품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도 있다. 증발기에 얼음을 적재하는 것은 낮은 침입으로 인해서 통상의 오픈 캐비넷에서보다 더 가볍다.
● 본 발명의 개선 사항들은 현존하는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넷에 공기 흐름-관리된 셀의 장점을 제공하기 위한 개선물로서 새로 장착될 수 있다.

Claims (61)

  1. 오픈 프런트에 의해 정의된 접근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을 포함하는 오픈-프런트 캐비넷;
    사용중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물품을 냉장하기 위해 찬 공기를 도입 또는 생성하는 냉각 수단;
    공급 덕트와 연통되어 사용중 상기 접근 개구에 걸쳐 공기 커튼으로서 찬 공기를 소정의 배출 속도로 분사하고, 공기 커튼의 두께를 결정하는 유효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위치된 배기 출구; 및
    귀환 덕트와 연통되어 사용중 상기 공기 커튼으로부터 공기를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위치된 귀환 입구를 포함하여, 상기 배기 출구와 상기 귀환 입구 사이의 거리가 공기 커튼의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배기 출구 아래 지점 25mm에서 측정된 상기 배출 속도는 0.1m/s에서 1.5m/s 사이이고,
    상기 공기 커튼의 높이는 상기 공기 커튼의 두께의 10배 미만이고,
    상기 공기 커튼은, 상기 공기 커튼과 별개로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공급되는 임의의 보충 냉각 공기 흐름이 지원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보충 냉각 공기 흐름의 질량 흐름률은, 상기 공기 커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배기 출구에서 분사되는 찬 공기의 질량 흐름률의 5% 보다 작은,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충 냉각 공기 흐름은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공급되지 않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의 접근 개구와 후방 내부 패널 사이의 떨어진 위치에서만 상기 임의의 보충 냉각 공기 흐름이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공급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충 냉각 공기 흐름이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의 측면 내부 패널의 영역에 공급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충 냉각 공기 흐름이 캐비넷의 선반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급 덕트와 상기 귀환 덕트는, 상기 귀환 입구와 상기 배기 출구 사이의 재순환 경로를 정의하기 위해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주위에서 함께 연장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급 덕트와 상기 귀환 덕트는,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을 정의하는 내부 패널의 뒤에 놓이며, 상기 내부 패널을 냉각하여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보충 냉각을 공급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의 국부적인 보충 냉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내부 패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열, 가열되거나 또는 낮은 도전율을 갖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 커튼은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부터 적어도 20mm 전방으로 떨어져 있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플리넘은 상기 배기 출구 위에 있으며, 상기 배기 출구의 배출 면 위의 레벨에서 상기 공급 덕트와 연통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플리넘은 상기 귀환 입구 아래에 있으며, 상기 귀환 입구의 흡입 면 아래의 레벨에서 상기 귀환 덕트와 연통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 출구 또는 상기 귀환 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면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셔를 포함하며, 각각의 피니셔는 단열되거나, 가열되거나, 낮은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낮은 복사율 피니시를 갖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피니셔는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향해진 조명을 지지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니셔는 상기 배기 출구에서 배출되거나 상기 귀환 입구에 의해 수용되는 공기 흐름에 영향을 주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배기 출구 앞의 피니셔는 상기 배기 출구의 배출 면 아래에 있는 하부 에지를 갖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귀환 입구 앞의 피니셔는 상기 귀환 입구의 흡입 면 위에서 연장되는 상부 부분을 갖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귀환 입구 앞의 상기 피니셔의 상부 부분은,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부터 상방 및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귀환 입구의 후면 위에 업스탠딩(up-standing) 라이저(riser)를 갖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 및 상기 귀환 입구 앞의 상기 피니셔의 대향하는 상부 부분은 협력하여 상기 공기 커튼으로부터 상기 귀환 입구로 공기를 보내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귀환 입구 앞의 상기 피니셔의 상부 부분은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상방 및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2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귀환 입구의 흡입면은 후방으로 향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귀환 입구의 흡입면은 상방 및 후방으로 향하게 기울어지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2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방/후방 방향에서 상기 배기 출구의 폭은 10mm ~ 200mm인,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배기 출구의 폭은 10mm ~ 200mm, 또는 20mm ~ 150mm, 또는 50mm ~ 150mm, 또는 50mm ~ 100mm, 또는 70mm ~ 100mm인,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2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귀환 입구의 폭은 전방/후방 방향에서 상기 배기 출구의 폭 보다 적은,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귀환 입구의 폭은 전방/후방 방향에서 상기 배기 출구의 폭의 2/3 보다 큰,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2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 출구를 통한 배출 공기 부피 평균 속도는, 0.3 m/s ~ 1.5m/s, 또는 0.3 m/s ~ 1.0 m/s, 또는 0.4 m/s ~ 0.8 m/s, 또는 0.5 m/s ~ 0.8 m/s인,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2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 출구와 상기 귀환 입구 사이의 접근 개구의 높이는 100mm ~ 1000mm, 또는 150mm ~ 800mm, 또는 200mm ~ 800mm, 또는 200mm ~ 600mm, 또는 350mm ~ 600mm인,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3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서의 저장 온도는 -26℃ ~ 18℃, 또는 -22℃ ~ 12℃, 또는 -18℃ ~ 8℃인,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3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주위 온도는 4℃ ~ 44℃, 또는 10℃ ~ 36℃, 또는 18℃ ~ 28℃인,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3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을 향하는 커튼의 측면에서 공기 흐름이 더 빠른, 상기 공기 커튼의 두께에 걸쳐 변하는 속도 프로파일을 만드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3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 커튼은, 상기 배기 출구와 상기 귀환 입구를 연결하는 직선의 +30° 및 -30° 내의 방향으로 배출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방향은 상기 직선과 정렬되어 있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DAG는 RAG의 바로 위에 있고, 배출 방향은 수직 하방인,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3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 커튼의 측면을 따라서 상기 공기 커튼의 앞에 배치되고, 상기 접근 개구에 걸쳐 내부로 연장되는 수직형 피니셔를 더 포함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3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급 덕트 및 상기 귀환 덕트의 압력을 비교하기 위해 배열된 차동 압력 센서; 및 상기 덕트들의 상대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에 따라서 상기 유닛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3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냉-저장 볼륨을 정의하는 오픈-프런트 캐비넷; 및
    상기 냉-저장 볼륨에 배치되어, 사용중 냉장된 물품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선반의 위와 아래의 냉-저장 볼륨내의 각각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있는 냉장 물품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상기 선반 위의 상부 접근 개구 및 상기 선반 아래의 하부 접근 개구를 정의하고,
    상기 선반은,
    공급 덕트와 연통되어, 사용중, 상기 하부 접근 개구에 걸쳐 공기 커튼으로서 찬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위치된 배기 출구; 및
    귀환 덕트와 연통되어, 사용중, 상기 상부 접근 개구에 걸쳐 상기 선반 위에서 배기되는 또 다른 공기 커튼으로부터 공기를 받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위치된 귀환 입구를 포함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3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선반들이 상기 캐비넷 내에 배치되고, 각 선반은 각각의 관련된 상부 및 하부 접근 개구를 갖고, 각각의 배기 출구와 귀환 입구는 각 선반과 연관되어 있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40.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수직 어레이로 배열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복수의 수직 어레이는 나란히 놓인 칼럼으로 배열된,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인접한 칼럼들의 선반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을 포함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높이는 가변인,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44.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적어도 정면 에지는 단열되거나, 가열되거나, 낮은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낮은 복사율 피니시를 갖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45.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냉-저장 볼륨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형 벽에 의해 경계가 주어지고, 공기의 공급 또는 귀환을 위한 공급 덕트 또는 귀환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수직형 벽 상에서 서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포트와 연통되고, 각 선반은 상기 수직형 벽 상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냉-저장 볼륨에 선택적으로 위치가능하고, 배기 출구로 이어지는 공급 채널 또는 귀환 입구에서 이어지는 귀환 채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고, 상기 공급 채널 또는 상기 귀환 채널은, 상기 공급 덕트 또는 상기 귀환 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하기 위해 상기 수직형 벽의 적어도 하나의 포트와 함께 동작가능한 연결 형성물에서 끝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46.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각 선반은 상기 캐비넷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측면에 경계가 주어지며, 상기 파티션 또는 측벽은 상기 선반을 너머 전방으로 연장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47.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정면에서 단열되거나, 가열되거나, 낮은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낮은 복사율 피니시를 갖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피니셔는 상기 선반의 일측의 파티션 또는 측벽으로부터 상기 선반의 타측의 파티션 또는 측벽으로 연장되는,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4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공기 커튼의 공기 흐름의 방향은 상기 캐비넷의 오픈 프런트에 평행한, 냉장 디스플레이 유닛.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KR1020127028286A 2010-03-29 2011-03-29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KR101876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005285.0 2010-03-29
GBGB1005277.7A GB201005277D0 (en) 2010-03-29 2010-03-29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and display
GBGB1005285.0A GB201005285D0 (en) 2010-03-29 2010-03-29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and display
GBGB1005276.9A GB201005276D0 (en) 2010-03-29 2010-03-29 Development of a design tool for recirculated air curtains used on retail display cabinets
GB1005277.7 2010-03-29
GB1005276.9 2010-03-29
GBGB1005286.8A GB201005286D0 (en) 2010-03-29 2010-03-29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and display
GB1005286.8 2010-03-29
PCT/GB2011/000474 WO2011121284A2 (en) 2010-03-29 2011-03-29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000A KR20130010000A (ko) 2013-01-24
KR101876581B1 true KR101876581B1 (ko) 2018-07-09

Family

ID=4445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286A KR101876581B1 (ko) 2010-03-29 2011-03-29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9265359B2 (ko)
EP (1) EP2552284B1 (ko)
JP (1) JP2013523238A (ko)
KR (1) KR101876581B1 (ko)
CN (1) CN102843934B (ko)
AU (1) AU2011234247B2 (ko)
BR (1) BR112012024733A2 (ko)
CA (1) CA2795143C (ko)
ES (1) ES2772128T3 (ko)
IL (1) IL222141A0 (ko)
MX (1) MX349582B (ko)
MY (1) MY167535A (ko)
RU (1) RU2012145946A (ko)
SG (2) SG184267A1 (ko)
WO (1) WO2011121284A2 (ko)
ZA (1) ZA2012077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84267A1 (en) * 2010-03-29 2012-10-30 Applied Design & Eng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US9220354B2 (en) 2012-02-17 2015-12-29 Hussmann Corporation Merchandiser with airflow divider
US9456706B2 (en) * 2012-02-17 2016-10-04 Hussmann Corporation Merchandiser with airflow divider
DE102012107713B4 (de) * 2012-08-22 2018-02-15 Aht Cooling Systems Gmbh Kühlregal
KR101796812B1 (ko) * 2013-02-15 2017-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9687088B2 (en) * 2013-04-08 2017-06-27 Heatcraft Refrigeration Products Llc Deflector for display cases
GB201308439D0 (en) 2013-05-10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GB201308437D0 (en) 2013-05-10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ITMI20130768A1 (it) * 2013-05-10 2014-11-11 Goppion Spa Vetrina a zone climatizzate differenziate
GB201308570D0 (en) * 2013-05-13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Height adjustment of ducted shelves
FI20135875L (fi) * 2013-08-30 2015-03-01 Norpe Oy Takatäytettävä kylmäkaluste
JP5644933B1 (ja) * 2013-11-29 2014-12-24 井関農機株式会社 農作物用乾燥機
US9737156B2 (en) * 2013-12-23 2017-08-22 Hussmann Corporation Zone cooling in a refrigerated merchandiser
WO2015161050A2 (en) * 2014-04-18 2015-10-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uctural lighting element
US9084496B1 (en) * 2014-05-09 2015-07-21 Heatcraft Refrigeration Products Llc Refrigerated display case
US11085455B1 (en) * 2014-08-11 2021-08-10 Delta T, Llc System for regulating airflow associated with product for sale
KR102303827B1 (ko) * 2014-10-06 2021-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전극조립체를 구비하는 복합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JP6620546B2 (ja) * 2015-12-18 2019-12-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GB2540021B (en) 2016-05-06 2017-08-02 Vertical Cabinet Company Ltd An open-front refrigerator and a method of cooling items therein
GB2550360B (en) * 2016-05-16 2018-10-24 Aerofoil Energy Ltd Improvements to open display refrigerators
KR102246442B1 (ko) * 2016-12-15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6962377B2 (ja) * 2017-09-06 2021-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冷却システム、及び、冷却方法
GB2563468B (en) * 2017-11-22 2019-06-19 Wirth Res Limited A method of configuring an open refrigerated display case
CN108709902A (zh) * 2018-05-04 2018-10-26 吴江市海拓仪器设备有限公司 一种风帘式高低温试验机
US11194259B2 (en) * 2018-08-30 2021-12-0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Equipment module with enhanced protection from airborne contaminants, and method of operation
JP7208049B2 (ja) * 2019-02-12 2023-01-18 サンデン・リテ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RU193947U1 (ru) * 2019-07-10 2019-11-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Челябинский завод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11304544B2 (en) * 2019-10-09 2022-04-19 Fri-Jado B.V. System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storing and displaying food products, and multiple shelves,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food products in a display unit
US11576501B2 (en) * 2019-11-08 2023-02-14 Hill Phoenix, Inc. Guide vane for refrigerated display case
GB2591287A (en) * 2020-01-24 2021-07-28 Aerofoil Energy Ltd Improvements to open display refrigerators
CN111854466B (zh) * 2020-08-03 2021-04-02 青岛永晟热交换器有限公司 一种便于装裁和更换冷却液的工程器械散热器结构
IT202200008312A1 (it) 2022-04-27 2023-10-27 Epta Spa Mobile espositore refrigerato verticale o semiverticale con ripiano soffiant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1323A (en) * 1972-05-17 1973-11-13 Dualjet Corp Refrigerated reach-in display compartment
US5357767A (en) * 1993-05-07 1994-10-25 Hussmann Corporation Low temperature display merchandiser
US5475987A (en) * 1994-11-17 1995-12-19 Delaware Medical Formation, Inc. Refrigerated display case apparatus with enhanced airflow and improved insulation construction
JPH11183013A (ja) * 1997-12-19 1999-07-06 Fuji Electric Co Ltd 冷気循環式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00102458A (ja) * 1998-09-29 2000-04-11 Fuji Electric Co Ltd 冷気循環式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US20020162346A1 (en) * 2001-05-04 2002-11-07 Chiang Robert Hong Leung Medium temperature refrigerated merchandiser
US20030217560A1 (en) * 2002-05-22 2003-11-27 Sanden Corporation Refrigerating open showcase
KR100412533B1 (ko) * 2001-05-30 2003-12-31 세협기계(주)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JP2005312586A (ja) * 2004-04-28 2005-11-1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3256A (en) * 1961-08-17 1962-11-13 Lamb Frank Gilbert Upright refrigerator showcase
JPH01144783U (ko) * 1988-03-28 1989-10-04
FR2690825B1 (fr) * 1992-05-05 1996-01-12 Mc International Meubles pour l'exposition et la vente en libre-service de produits frais.
FR2695814B1 (fr) * 1992-09-21 1994-12-09 Mc International Dispositif modulaire pour l'exposition à la vente de denrées alimentaires.
JP3123898B2 (ja) * 1995-06-08 2001-01-15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FI108609B (fi) * 1998-04-23 2002-02-28 Halton Oy Kylmätiskiin liittyvä ilmankiertojärjestelmä ja menetelmä ilmanvaihdossa kylmätiskillä/kylmätiskeillä varustetussa huone- tai hallitilassa tai hallitilan kylmäosastossa
NO312006B1 (no) * 2000-06-26 2002-03-04 Svein Henrik Vormedal Hylleskap for kjölevarer og fremgangsmåte til kontrollert/styrt sirkulasjon av luft i hylleskapet
JP2006046885A (ja) 2004-07-05 2006-02-16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US7121104B2 (en) * 2004-09-23 2006-10-17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Adjustable shelf system for refrigerated case
US7497770B2 (en) * 2005-02-16 2009-03-03 Hussmann Corporation Air louver for a refrigerated display case
JP2009106515A (ja) * 2007-10-30 2009-05-21 Stanley Electric Co Ltd 多段式冷蔵用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用の照明装置
US20100024446A1 (en) * 2008-08-04 2010-02-04 Hussmann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dual air curtain
SG184267A1 (en) * 2010-03-29 2012-10-30 Applied Design & Eng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1323A (en) * 1972-05-17 1973-11-13 Dualjet Corp Refrigerated reach-in display compartment
US5357767A (en) * 1993-05-07 1994-10-25 Hussmann Corporation Low temperature display merchandiser
US5475987A (en) * 1994-11-17 1995-12-19 Delaware Medical Formation, Inc. Refrigerated display case apparatus with enhanced airflow and improved insulation construction
JPH11183013A (ja) * 1997-12-19 1999-07-06 Fuji Electric Co Ltd 冷気循環式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00102458A (ja) * 1998-09-29 2000-04-11 Fuji Electric Co Ltd 冷気循環式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US20020162346A1 (en) * 2001-05-04 2002-11-07 Chiang Robert Hong Leung Medium temperature refrigerated merchandiser
KR100412533B1 (ko) * 2001-05-30 2003-12-31 세협기계(주)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US20030217560A1 (en) * 2002-05-22 2003-11-27 Sanden Corporation Refrigerating open showcase
JP2005312586A (ja) * 2004-04-28 2005-11-1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24733A2 (pt) 2017-10-03
CA2795143C (en) 2018-03-13
ZA201207791B (en) 2023-07-26
AU2011234247A1 (en) 2012-11-01
CN102843934A (zh) 2012-12-26
EP2552284B1 (en) 2019-11-20
CA2795143A1 (en) 2011-10-06
US9775448B2 (en) 2017-10-03
US20130019621A1 (en) 2013-01-24
JP2013523238A (ja) 2013-06-17
RU2012145946A (ru) 2014-05-10
SG2014011027A (en) 2014-04-28
WO2011121284A3 (en) 2012-03-15
US20160128492A1 (en) 2016-05-12
MX2012011217A (es) 2013-02-11
WO2011121284A2 (en) 2011-10-06
EP2552284A2 (en) 2013-02-06
IL222141A0 (en) 2012-12-02
CN102843934B (zh) 2016-03-30
MY167535A (en) 2018-09-05
SG184267A1 (en) 2012-10-30
KR20130010000A (ko) 2013-01-24
AU2011234247B2 (en) 2016-06-30
US9265359B2 (en) 2016-02-23
MX349582B (es) 2017-08-04
ES2772128T3 (es)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581B1 (ko)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JP6616766B2 (ja) 冷蔵陳列機器における改良または冷蔵陳列機器に関する改良
AU2014264369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US20010003248A1 (en) Airflow arrangement for a refrigerator
WO201112128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US20020047506A1 (en) Refrigerator shelf
EP1588650B1 (en) Refrigerated vending machine
RU2759646C2 (ru) Охлаждаемый прилавок-витрин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отока охлажденного воздуха
EP0593212A1 (en) Refrigerated display units
EP4268679A1 (en) Display cabinet for refrigerated products
CN219995625U (zh) 制冷设备
WO2023209248A1 (en) Refrigerated merchandising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