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765A - 냉장 디스플레이 장치 내 또는 이와 관련된 개선구조체 - Google Patents

냉장 디스플레이 장치 내 또는 이와 관련된 개선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765A
KR20160006765A KR1020157035073A KR20157035073A KR20160006765A KR 20160006765 A KR20160006765 A KR 20160006765A KR 1020157035073 A KR1020157035073 A KR 1020157035073A KR 20157035073 A KR20157035073 A KR 20157035073A KR 20160006765 A KR20160006765 A KR 20160006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eturn
conduit
ai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하몬드
이안 우드
Original Assignee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6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3/0447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69Details, e.g. night co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2003/046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shelves having air ducts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커튼(air curtain)을 사용하는 정면 개방형 디스플레이부(open-fronted display unit)를 위한 도관 선반(ducted shelf)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반은 상기 선반의 하측부에 형성되어 아래쪽을 향하는 전방 배출구(forward discharge outlet)와 연통되는 공급관(supply duct), 그리고 상기 선반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위쪽을 향하는 전방 복귀 입구(forward return inlet)와 연통되는 복귀관(return duct)을 포함한다. 상기 선반의 앞쪽에서 뒤쪽으로의 섹션에서, 공급관 앞쪽의 전방 공급관 연장 부분은 배출구 위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복귀관 앞쪽의 전방 복귀관 연장 부분은 선반의 하측부로 아래쪽으로 이어짐으로써 공급관 앞쪽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선반의 정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 디스플레이 장치 내 또는 이와 관련된 개선구조체{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본 발명은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냉장 또는 냉동 식품과 음료 제품의 냉장 보관, 디스플레이 및 판매를 위한 소매 공간에서 사용되는 냉장 멀티-선반 디스플레이 케이스 또는 캐비닛으로 특징지워지는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매 판매용 식품 및 음료 캐비닛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령, 본 발명의 원리들은 품질 저하의 우려가 있는 약품이나 기술 품목들과 같은 냉장 저장이 필요한 기타 품목들을 디스플레이 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들은 소매 판매 공간에 특히 유리하다.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닛의 정면에, 슬라이딩식 유리 문이나 힌지 결합되는 유리 문을 장착하는 것은 잘 알려진 방식이다. 이론적으로는 차가운 공기가 캐비닛의 문 뒤에 유지함으로써 캐비닛의 개방된 정면에서부터 캐비닛의 통로로 차가운 공기가 유출되어 발생하는 '차가운 통로 신드롬(cold aisle syndrome)'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불행히도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 차가운 통로 신드롬은 소비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캐비닛을 차갑게 유지하고 소매 공간을 따뜻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낭비된다.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닛에 문을 장착하는 것은 소매 환경에서 큰 단점이 된다. 문은 소비자와 디스플레이된 품목 간에 장애물이 되기 때문에, 판매율을 크게 감소시킨다. 또한, 제품의 진열, 및 캐비닛의 청소와 유지 관리를 하는 직원들에게도 캐비닛의 문은 장애물이자 일을 보태기 때문에, 소매 간접비가 늘어난다. 또한, 소비자들이 캐비닛의 문을 열고 카트를 다루기 위해서는 통로가 더 넓어야 하기 때문에, 소매 공간의 제곱 미터당 매출을 감소시킨다. 또한, 문을 연 후에 발생하는 뿌염 현상과 안개를 줄이기 위해 문에 열기가 가해져야 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증가한다.
문이 이러한 문제점들을 수반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과 직원들이 문을 자주 열고 종종 긴 시간 동안 문을 연 상태로 두는 경우가 많다는 단순한 이유 때문에 문은 차가운 공기를 효과적으로 유지하지 못한다. 차갑고 밀도 높은 공기는 문이 열릴 때마다 유출된다. 캐비닛 내부에서 유실된 차가운 공기는 주위 공기로 대체될 수 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실제 조건하에서는, 캐비닛에 문이 장착되면 에너지 소비율, 온도 조절 및 주위 공기의 침투를 개선하지 못한다.
어떤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든지 작동 중에 발생하는 주위 공기의 유입은 바람직하지 않다. 주위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열기는 냉각의 의무를 가중시키고, 기기의 에너지 소비도 증가시킨다. 공기 중의 습기는 응결을 일으킬 수 있고, 이는 빙결로 이어질 수 있다. 응결이 발생하면 소비자들에게 외관상 좋지 않고 불쾌감을 줄 수 있고, 기기의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위협할 수 있고, 모든 생명체가 그렇듯 물을 필요로 하는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주위 공기 자체에도 미생물, 먼지, 및 그 외 바람직하지 않은 오염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따뜻하고 습한 주위 공기가 캐비닛에 진입하면, 캐비닛 안의 품목들의 온도를 높이고 습기를 축적해 응결을 발생시킨다. 온도와 습도가 올라가면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키게 되고, 이는 선반의 저장 수명을 단축시키고, 악취, 곰팡이 증식, 및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소비자들은 문이 없는 정면 개방형 멀티-선반 디스플레이 캐비닛을 선호하는데, 이는 문이 없으면 소비자들이 품목들을 보고, 접근하고, 꺼내서 살펴보고 구매하는 것이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판매자들 입장에서도 이러한 캐비닛을 선호하는데, 그 이유는 소비자들이 다양한 제품들을 더 잘 볼 수 있고 더 잘 접근할 수 있고, 유지 관리 간접비도 줄어들고 판매 공간의 활용도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정면 개방형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닛에는 캐비닛의 개방된 정면부인 접근 개구부(access opening)의 위에서 아래로, 배출 단자와 복귀 공기 단자들 사이에,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대형 냉장 에어 커튼(air curtain)이 사용된다. 이러한 에어 커튼의 용도는 두 가지이다. 뒤쪽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부터 차가운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접근 개구부를 밀폐하는 것, 그리고 접근 개구부를 통한 방사에 의해 증가된 열기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주위 공기로 인한 열기를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서 제거하는 것이다.
종래의 에어 커튼은 캐비닛의 접근 개구부를 밀폐하기에 충분한 안정성을 갖기 위해 높은 속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불행히도, 에어 커튼의 속도가 높으면 주위 공기가 에어 커튼 안으로 혼입되는 비율도 높아진다. 주위 공기의 혼입은 주위 공기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안으로 침투하도록 하고 기기에서 차가운 공기가 유출되는데 기여한다. 또한, 차가운 공기 줄기의 속도가 높으면, 소비자들도 에어 커튼 뒤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접근할 때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냉각 공기는 캐비닛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뒤쪽의 다공성 후면 패널을 통해 공급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냉각 공기는 에어 커튼을 공급하는 도관들에서 배출됨으로써 공간 내 각각의 높이 내의 공기를 더욱 냉각시키고 에어 커튼을 지원한다. 이는 에어 커튼의 속도가 줄어들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주위 공기의 혼입율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후면 패널을 통한 냉각 공기에도 불구하고, 실제 조건하에서는 종래 캐비닛들의 주위 공기 혼입율이 무려 80%나 되어, 과도한 에너지 소비를 일으키고 통로를 불편할 정도로 춥게 만든다.
후면 패널을 통한 냉각 공기의 단점은, 접근 개구부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열 취득이 가장 적은, 선반 뒤쪽의 가장 차가운 품목들에 냉각 공기가 제공된다는 점이다. 이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안에 저장된 품목들 사이로 온도가 더 잘 확산되게 만드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이러한 점에서, 캐비닛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 내 온도를 철저하게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캐비닛 내부 공간 중에서 바람직한 온도보다 따뜻한 부분에 있는 식료품은 더 빨리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캐비닛 내부 공간 중에서 바람직한 온도보다 온도가 차가운 부분은 빙점보다 높은 온도와 낮은 온도 사이를 왔다갔다 할 수 있어서, 이 역시 식료품의 품질을 빠르게 저하시킬 수 있다.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닛 내부의 높이는 하나 이상의 선반들로 일반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때 이 하나 이상의 선반들은 가령 고체 패널, 다공성 패널, 또는 개방형 바구니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선반들은 캐비닛 내부를 두 개 이상의 더 작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들로 구획한다. 이 선반들 및 그에 연결된 제품 선반 공간들은 옆으로 나란한 칸(column)들로도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은 각각의 개방된 정면 접근 개구부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선반은 해당 선반 위로는 상부 접근 개구부와 해당 선반 아래로는 하부 접근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선반의 위와 아래에, 각각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들 안의 냉장 품목들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냉장 디스플레이 캐비닛의 선반들을 통해, 선반 상에 정면으로 향하게 형성된 배출구 및/또는 입구들 사이에서 공기가 이동되게 함으로써 에어 커튼을 형성 또는 지원하는 몇몇 방식들이 제안되었다. 그 목적은 캐비닛의 개방된 정면을 에어 커튼이 더 잘 밀폐하도록 도움으로써, 온도를 더 잘 제어하고 주위 공기의 유입을 줄이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의 이전 국제특허공보 WO 2011/121284에서는, 정면을 향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공급관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차가운 공기를 에어 커튼으로서 접근 개구부에 배출한다. 그리고, 정면을 향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복귀 입구가 복귀 도관과 연통되어 에어 커튼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에어 커튼이 일반적으로 상부에서 바닥으로 하향 유동하는 경우, 배출구가 선반 아래의 하부 접근 개구부에서 에어 커튼으로서 차가운 공기를 배출하는 한편, 복귀 입구는 선반 위의 상부 접근 개구부에서 선반 위에서 배출된 또 다른 에어 커튼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접근 개구부에서, 에어 커튼이 바닥에서 상부로 상향 유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배출구가 상부 접근 개구부에 차가운 공기를 에어 커튼으로서 배출하는 한편, 복귀 입구는 하부 접근 개구부에서 선반 아래에 배출된 또 다른 에어 커튼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본 발명도 이러한 가능성을 포함한다.
WO 2011/121284에서는 아래쪽을 향하는 배출 개구부 또는 배출구와 위쪽을 향하는 복귀 개구부 또는 입구를 포함하는 정면 구조를 갖는 도관 선반을 기재하고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개구부는 선반 정면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선반에서 서로 위 아래로 쌓인 도관 또는 선반에서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도관과 연통됨으로써, 배출구로 공기를 공급하고 입구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도관 선반의 정면은 아래쪽을 향하는 배출 개구부와 위쪽을 향하는 복귀 개구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개구부는 선반에서 서로 위 아래로 쌓인 도관과 연통된다. 배플(baffle), 입관(riser), 및 유동 교정기(flow straightener)를 포함하는 공기 유동 관리 특징적 구성 요소들이 상기 개구부들과 연계되어 우수한 에어 커튼 성능을 보장한다.
선반 정면이 너무 부피가 크고 두꺼우면 캐비닛 안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된 품목들을 잘 볼 수 없고 접근도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는 소비자들이 제품들을 살펴보는 것을 방해한다.
선반들은 정면 모서리가 얇은 동시에 여전히 효과적인 공기 유동 관리 특징들을 수용함으로써, 제품 정보와 티켓팅 디스플레이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응결 문제를 최소화해야 한다. 선반 정면이 얇으면 보관 중인 제품들에 대한 시야와 접근성이 향상됨으로써 소비자들이 제품을 살펴보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이 도출되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에어 커튼을 사용하는 정면 개방형 디스플레이 유닛을 위한 도관 선반을 제공하며, 이 도관 선반은 뒤쪽에서 앞쪽으로의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후면과 정면; 상기 선반의 하측부에 형성되어 아래쪽을 향하는 전방 배출구와 연통하는 공급관; 및 상기 선반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위쪽을 향하는 전방 복귀 입구와 연통하는 복귀관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의 정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섹션 안에, 상기 공급관 앞의 전방 공급관 연장 부분은 상기 배출구 위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복귀관 앞의 전방 복귀관 연장 부분은 상기 선반의 하측부를 향해 아래로 이어짐으로써 상기 공급관 앞쪽에 배치된다.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은 상기 복귀 입구 아래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고, 상기 복귀 입구의 후방 단부를 지나서 뒤쪽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가령,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은 아래쪽 및 앞쪽으로 갈수록 경사진 바닥벽으로 인해 앞쪽으로는 갈수록 넓어지고 뒤쪽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상기 바닥벽의 경사도는 뒷부분은 가파르고 앞부분은 완만하도록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공급관 연장 부분은 아래쪽 및 앞쪽으로 경사진 상부 배플(baffle)로 인해 좁아진다. 또한, 상기 상부 배플의 경사도는 뒷부분은 가파르고 앞부분은 완만하도록 달라질 수 있다.
유리하게도, 상기 공급관 연장 부분과 복귀관 연장 부분은 서로 반대되고 상보되도록 테이퍼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공급관 연장 부분과 복귀관 연장 부분의 테이퍼부는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에 대해서는 바닥벽, 그리고 상기 공급관 연장 부분에 대해서는 상부 배플 역할을 하는 공통 파티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귀 입구는 배출구보다 뒤쪽으로 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단열처리되고, 가열되고, 및/또는 열 전도성이 낮은 선반 정면 스트립이 상기 복귀 입구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귀 입구의 일부는 상기 선반 정면 스트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정면 스트립은 정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귀 입구로의 공기 유동을 변경하기 위한 입관의 역할을 하도록 상기 선반의 상부 패널 위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으로의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선반 정면 스트립은 이동 또는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복귀 입구는 상기 배출구 상에 중앙에 배치되고, 선반 정면 스트립은 위쪽으로 향하도록 뒤쪽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복귀 입구 상에 그릴(grille)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으로의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이동 또는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그릴은 상기 상부 패널 위에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귀 입구에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 또는 기타의 개구부들이 마련된 상부 섹션과, 속이 채워진(solid) 하부 정면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의 하부 정면 섹션은 단열처리되고, 가열처리되고, 및/또는 열 전도성이 낮은 것이 유리하다.
상기 복귀 입구는 상기 선반의 상부 패널과 실질적으로 높이가 같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선반의 바닥 패널과 실질적으로 높이가 같을 수 있다. 그러나, 배출 교정기(discharge straightener)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바닥 패널 아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부하선(load-line) 형성부가 상기 복귀 입구의 뒤쪽을 향해 상기 선반의 상부 패널 위에 연장 형성된다.
상기 선반의 상부 패널이 부분적으로 상기 복귀관을 형성하고 상기 선반의 바닥 패널이 부분적으로 상기 공급관을 형성한다.
상기 복귀관과 공급관 사이의 파티션이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에 대해서는 바닥벽 역할을, 상기 공급관 연장 부분에 대해서는 상부 배플(baffle) 역할을 하는 공통 분리벽 안으로 연장 형성된다.
유리하게도, 상기 선반의 앞쪽에서 뒤쪽으로의 섹션 안에서, 상기 복귀관과 공급관은 전방으로 테이퍼져 있다. 가령, 상기 선반의 상부 및 바닥 패널들은 전방으로 갈수록 수렴함으로써 상기 복귀관과 공급관에 전방 테이퍼를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도관 스플리터가 상기 전방 공급관 연장 부분 및/또는 전방 복귀관 연장 부분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도관 스플리터는 배출구 및/또는 복귀 입구의 뒤쪽 부분을 통한 공기 유동 속도를 늘리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도관 스플리터는 뒤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급관 및/또는 복귀관 안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선반은 상기 복귀 입구에 진입하는 유출물이나 공기 중의 입자들을 전방 수집통 안으로 유도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귀 입구의 뒤쪽에, 하나 이상의 전방 및 아래쪽으로 경사진 날개(vane)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또한 에어 커튼을 사용하는 정면 개방형 디스플레이 유닛을 위한 도관 선반을 포함하고, 이 선반은 뒤쪽에서 앞쪽으로의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후면과 정면; 상기 선반의 하측부에 형성되어 아래쪽을 향하는 전방 배출구와 연통하는 공급관; 및 상기 선반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위쪽을 향하는 전방 복귀 입구와 연통하는 복귀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 입구는 상기 배출구에 대해 전방으로 오프셋된다.
상기 복귀 입구의 적어도 대부분은 상기 배출구의 전방 단부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상기 선반의 정면 단부의 상단에서 바닥까지의 두께는 상기 공급관과 복귀관의 두께의 합 보다 작다.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정면 단부의 뒤쪽으로 테이퍼지거나 끝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앞쪽에서 뒤쪽으로의 섹션 안에서, 상기 선반은 상기 선반의 상측부에는 상부 전방 스텝 및 상기 선반의 하측부에는 하부 후방 스텝을 포함하는 전방 스텝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선반의 전방 단부는 상기 상부 전방 스텝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도관 선반을 포함하는 정면 개방형 디스플레이 유닛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를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를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상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과 같은 측단면도이나,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기기에 도시된 도관 선반의 정면의 세부 확대단면도로, 선반은 기기의 제품 공간들의 정면에 배출되는 에어 커튼들을 배출하고 공급받는 배출 그릴(discharge grilles)들 및 복귀 공기 그릴(return air grilles)들을 포함한다.
도 5a 및 5b는 도 4에 도시된 배출 및 복귀 배열의 변형 예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배출 및 복귀 배열을 비롯해, 본 발명의 도관 선반을 통한 정면에서 후면까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배출 및 복귀 배열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다른 배출 및 복귀 배열들을 비롯해, 본 발명의 도관 선반을 통한 정면에서 후면까지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배출 및 복귀 배열의 또 다른 변형 예들을 상세히 도시한 확대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은 통합형 멀티-셀룰러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기기(10)는 공급팬(supply fan, 14)들에 의해 공기를 제공받는, 바닥에 장착된 증발기(evaporator, 12)를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찬 공기를 생산하고 순환할 수 있는 다른 배열도 가능하다. 여기서, 증발기(12)로부터의 찬 공기는 하나의 단열 캐비닛(18) 안에 수직 배열 혹은 칸으로 쌓은 복수의 공기유동-관리 셀(16A, 16B, 16C)로 공급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셀(16A), 내부 셀(16B), 및 바닥 셀(16C) 등 세 개의 셀이 쌓여 있다.
이 셀(16A, 16B, 16C)들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두 개의 도관 선반(20)들에 의해 분리된다. 셀(16A, 16B, 16C)들은 높이가 다를 수 있고 다양한 품목들의 저장 요건들을 반영하도록 서로 다른 온도에서 품목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반(20)들은 고정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의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판매 요건들에 적합하게 셀(16A, 16B, 16C)들의 상대적인 높이들을 조정할 수 있다.
도관 선반(20)들은 각각 공급관(22)과 복귀관(24)이 겹쳐져 있다. 선반(20)들은 캐비닛(16)의 내부 용량을, 각각 공기유동-관리 셀(16A, 16B, 16C) 내에 있는 서로 차곡 차곡 쌓인 복수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들로 나눈다. 각각의 선반(20)은 쌓인 셀들 중에서 하부 셀의 상부 벽과, 인접한 상부 셀의 바닥 벽을 형성한다.
상부 셀(16A)의 상부 벽은 캐비닛(18)의 상부 내부 패널 위의 추가적인 공급관(22)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바닥 셀(16C)의 바닥 벽은 냉장 품목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추가적인 선반의 역할도 하는, 캐비닛(18)의 바닥 내부 패널 아래의 추가적인 복귀관(24)으로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추가적인 공급관(22)과 추가적인 복귀관(24)은 선반(20)들에 사용된 것들과 동일할 수 있다.
도관 선반(20)들의 후면 단부와 측면 단부들은 캐비닛(18)의 후면 내부 패널(26)과 측벽(28)에 밀착되게 배열됨으로써, 상기 선반(2)들의 단부들 주변에 공기가 흐르지 못하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선반(20)들의 단부를 따라 시일(seal)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는 또한, 선택적 비도관 중간 선반(30)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은 각 셀의 중간 높이에 도관 선반(20)들의 정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후퇴되어 배열됨으로써, 다른 종류의 식품들을 디스플레이하고 공간 활용을 더 잘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중간 선반(30)들에는 셀(16A, 16B, 16C)들 안에서의 공기 이동을 원활히 하도록 구멍 또는 슬롯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 선반(30)들은 캐비닛(18)의 후면 내부 패널(26)이나 측벽(28)들에 대해 밀봉될 필요가 없다.
각각의 셀(16A, 16B, 16C)은 자신의 형태와 상응하는 형태의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을 에워싸는, 속이 빈 직육면체나 상자의 형태로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정면 접근 개구부(front access openings, 32)들은 셀(16A, 16B, 16C)들이 형성하는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들 안의 어떤 폼목에 대해서도 제약이 없고 손이 도달 가능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사용 시, 각각의 접근 개구부(32)는 연계된 셀(16A, 16B, 16C)들의 앞쪽에서 아래로 흐르는 대체로 수직인 에어 커튼(34)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에어 커튼(34)은 아래로 향하는 배출 공기 그릴(discharge air grille, DAG) 또는 배출 단자(36)와 위로 향하는 복귀 공기 그릴(return air grille, RAG) 또는 복귀 단자(38) 사이에서 연장 형성된다. 냉각 공기가 공급관(22)을 통해 DAG(36)로 공급됨으로써 에어 커튼(34)을 방출시키고, 복귀관(24)을 통해 RAG(38)을 거쳐 복귀됨으로써 에어 커튼(34)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에어 커튼(28)에서 공급받은 공기는 혼입된 주위 공기를 일부 포함할 수밖에 없는데, 도시된 배열은 표준 디자인들에 비해 혼입 비율을 크게 감소시킴에도 불구하고 이 공기는 기기(10) 내 재순환 시 열기와 습기가 제거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로, 정면에서 DAG(36)와 RAG(38)와 연통되는 공급관(22)들과 복귀관(24)들은 입관(riser ducts, 40, 42)들, 즉 공급 입관(40)과 복귀 입관(42)과 각각 뒤쪽에서 연통될 수 있다. 입관(40, 42)들은 후면 내부 패널(26), 및 캐비닛(18)의 인접한 단열 후벽 사이에서 위로 연장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하나의 공급 입관(40)이 두 개의 복귀 입관(42)들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에서는 또한 수직 파티션(44)에 의해 분리된 공통 단열 캐비닛(18)에 나란히 배치된 두 개 칸의 셀(16)들의 입관(40, 42)들과 도관 선반(20)들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때 수직 파티션(44)은 잘 볼 수 있도록 퍼스펙스(perspex)나 강화 유리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파티션(44)의 후면 단부는 후면 내부 패널(26)에 가깝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후면 내부 패널(26)에 밀봉된다. 파티션(44)은 후면 내부 패널(26)로부터, 실질적으로 선반(20)들의 정면에서 후면까지의 전체 깊이까지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것처럼, 파티션(44)은 선반(20)의 정면 단부의 전방으로 약간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파티션(44)은 공기 유동이 하나의 칸에서 다음 칸으로 유출되어 인접한 셀들의 에어 커튼 역학 관계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파티션(44)과 선반(20)들의 정면 단부 영역들은 단열되고 및/또는 응결에 대항하도록 가열될 수 있다. 파티션(44)과 선반(20)들의 정면 단부 영역들은 또한 전도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지고 및/또는 방사율이 높도록 마감 처리가 될 수 있다.
이웃하는 칸들의 선반(20)들이 정렬된 경우에는 파티션(44)을 제거하여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또 다른 특징으로 각 칸은 복귀 입관(42)들의 외측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키바(keybar)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 키바(46)들은 선반(20)들의 무게를 지탱하고 선반(20)의 뒤쪽에서 임의의 적합한 높이에서 스피고트(spigot)들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일련의 수직 슬롯(slot)들을 제공한다.
기기(10)의 사용시, 차가운 공기는 도관을 통해 증발기(12)로부터 각각의 셀(16A, 16B, 16C)로 공급되고, 따뜻한 복귀 공기는 각각의 셀(16A, 16B, 16C)에서 냉각, 건조, 선택적 여과 및 재순환을 위해 코일(12)로 복귀된다.
공기는 팬(fan, 14)들에 의해 증발기(12)를 통해 공급된 후, 중앙 공급 입관(40)을 통해 위로 추진된다. 여기서부터, 공기는 각 셀(16A, 16B, 16C) 별로 DAG(36)들을 통과하는 에어 커튼(34) 더미로서 배출되기 위해, 도관 선반(20)들의 내부 및 캐비닛(18) 상단의 공급관(22)들에 진입한다. 에어 커튼(34)들로부터 복귀하는 공기는 선반(20)들 내의 RAG(38)들과 복귀관(24)들 및 캐비닛(18)의 바닥을 경유하여, 중앙 공급 입관(40) 양측의 복귀 입관(42)들에 진입한다. 복귀하는 공기는 팬(14)들의 흡입으로 복귀 입관(42)들 내에서 아래쪽으로 유동하여 다시 증발기(12)에 진입한다.
도관 선반(20)들로 공기 유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후면 내부 패널(26) 내에, 공급 입관(40)과 복귀 입관(42)들로 이어지는 포트(port, 48)들이 있어야 한다. WO 2011/121285에서 다양한 포트 배열을 기재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포트(48)들은, 선반(20)들이 제거되고 다른 높이에 재배치될 수 있도록, 수직-연장형 공급 입관(40)과 복귀 입관(42)들과 정렬되도록 수직 이격된다. 이러한 포트(48)들은 캐비닛(18) 안으로 차가운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선반(20)과 결합되었을 때만 개방되는 것이 유리하다. WO 2011/121285에서는 또한 사용 하지 않을 때 포트(48)들을 폐쇄하는 방식을 기재하고 있으며, 그 외 배열 방식들은 출원인이 출원한 다른 유사 특허 출원에서 기재하고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5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기기(5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기기(10)들과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했다. 주요한 차이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컸던 도관 선반(20)들을 본 발명에 의해 가능해진 더 얇은 도관 선반(52)들로 대체했다는 것이다. 이는 셀(16A, 16B, 16C)들에 디스플레이이된 제품들의 가시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선반(52)들의 더 얇아진 특징들, 특히 DAG(36)와 RAG(38)가 정면에서 후면까지 그 깊이가 줄어든 특징으로 인해, 셀(16A, 16B, 16C)들 내의 비도관 중간 선반(30)들과 선반 정면들 간의 정렬이 개선된다. 이를 통해 중간 선반(30)들이 정면에서 후면까지 더 깊어짐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중간 선반(30)들보다 더 앞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셀(16A, 16B, 16C)들 내부 및 정면에서 공기 유동 제어를 개선하고, 중간 선반(30)들에 배치된 제품들의 가시성 및 접근성을 높이고 디스플레이 면적을 늘린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관 선반(52)의 정면에서의 배출 및 복귀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선반(52)의 낮은 높이에서의 공급관(22)은, DAG(36) 위에서 좁아지는 전방-테이퍼진 전방 배출 연장 부분(forward discharge extension, 54)을 경유해 아래쪽을 향하는 DAG(36)과 연통된다.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가는 선 형태의 벌집(56) 또는 선형-슬롯이 형성된 확산기(diffuser) 등의 공기 유동 균형 수단이 DAG(36)에 배치된다.
선반(52)의 높은 높이에서의 복귀관(24)은, 후방 테이퍼진 전방 복귀 연장 부분(58)을 경유해 위쪽을 향하는 RAG(38)와 연통된다. 전방 복귀 연장 부분(58)은 아래쪽으로 향하여 선반(52)의 낮은 높이에 도달함으로써 공급관(22)보다 앞쪽에 배치된다.
경사진 파티션(60)은 전방 복귀 연장 부분(58)의 바닥 벽이자 전방 배출 연장 부분(54)의 상단벽 역할을 한다. 파티션(60)의 경사는 뒤쪽으로 갈수록 가파르고 앞으로 갈수록 얕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선반 마감 부분(shelf finisher, 62)은 사용 시 선반(50)의 정면에서 응결을 방지하도록 단열되거나, 가열되거나 및/또는 열 전도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진다.
선반 마감 부분(62)은 복귀관(24)의 상단을 지나도록 위로 연장 형성된다. 본 예에서, 선반 마감 부분(62)은 RAG(38)의 일측을 형성하거나 RAG(38) 앞쪽에서 차가운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입관 역할을 한다.
선반 마감 부분(62)은 가격, 정보 또는 판촉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준 또는 변형된 형태의 티켓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반 마감 부분(62)은 판매 정보 티켓팅을 포함하기에 적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45mm 내지 50mm인 판매 정보 티켓 스트립의 너비보다 더 깊을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 테이퍼진 전방 배출 연장 부분(54)으로 인한 공급관(22)이 축소됨으로써, 높은 속도의 공기가 DAG(36)의 뒤쪽으로 바이어스되어 에어 커튼의 속도를 그에 따라 조절한다. 전방 복귀 연장 부분(58)을 통한 반대 방향으로의 동일한 축소 또한 RAG(38)에서 복귀관(24)으로 공기 유동을 유도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이러한 배열구조는, 액체가 복귀관(24)으로 진입하기 전에 선반(52)으로부터 전방 복귀 연장 부분(58)의 바닥으로 유출되는 것을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변형된 RAG(64)가 복귀관(24)의 높이 위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선반(52)에 배치된 물건(object)의 부하선(load-line) 역할을 함으로써 에어 커튼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현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RAG(64)가 아치 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RAG(64) 위에 물건이 배치됨으로 인해 복귀관(24)으로의 공기 유동을 막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5b에서는 전방 복귀 연장 부분(58)에 갇힌 유출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선반 마감 부분(64)이 쉽게 탈착 가능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편리하게도, RAG(38)도 선반 마감 부분(62)에 부착함으로써 선반 마감 부분(62)과 함께 탈착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RAG(64)이 장착된 풀 선반(52)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정면으로 향하여 선반의 두께에 테이퍼를 부여함으로써 가시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테이퍼링에는, 공급관(22)이 뒤쪽에서 앞쪽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것, 그리고 복귀관(24)이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것이 반영되어 있는데, 이 두 가지 형태 모두 이 도관(22, 24)들에서 공기가 유동하는데에 있어 유리하다.
도 7에 도시된 변형 예에서는, 선반 마감 부분(62)이 제거되어 RAG(64)가 선반의 정면을 형성한다. 이 경우, RAG(64)의 바닥 섹션은 구멍을 포함할 필요는 없고, 응결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 처리되거나, 가열되거나 및/또는 열 전도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서는 단열 부분(insulation, 70)에 의해 지탱되는 경사 정면 마감 부분(sloping front finisher, 68)을 포함하는 풀 선반(66)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마감 부분(68)에 판매 정보가 있는 경우 그 정보를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감 부분(68)의 상단이 뒤쪽으로 비스듬히 기대도록 마련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과 비교하면, 여기서는 경사 마감 부분(68)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RAG(72)가 뒤쪽으로 밀려져 있고 DAG(74)의 위로 실질적으로 중앙에 배치된다. 본 예에서는, RAG(72)는 정면 위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고, RAG(72) 앞쪽에서 차가운 공기를 막기 위해 RAG(72)와 마감 부분(68)보다 높게 연장 형성된 선택적인 입관(76)의 뒤에 배치된다.
도 9에서는 가시성과 접근성 문제를 역시 해결하는 본 발명의 개념 범위 내에서 구현된 또 다른 형태의 선반(78)을 도시하고 있다. 이 배열에서는, DAG(82) 앞쪽에 RAG(80)가 배치되는 오프셋형(offset) 선반 정면 형태로 인해 상기 가시성과 접근성 문제가 해결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선반(78)의 높이보다 위인 눈높이에서 봤을 때의 선반 정면 부분의 시각 효과와 두께를 줄여준다. 선반(78)과 동일한 높이에서 봤을 때 선반의 정면 부분이 더 얇지 않다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더 높은 눈높이에서 봤을 때 선반(78) 아래의 더 낮은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으로의 시야각이 개선된다.
도 10에서는 RAG(84)에 슬롯 또는 구멍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RAG(84)는 뒤쪽 위를 향하고 있으며, 세척에 용이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및/또는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단열 부분(88)에 의해 지지되는 직립형 정면 마감 부분(upright front finisher, 86)은 가격 및 판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티켓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티켓 스트립은 마감 부분(86)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마감 부분(86)은 응결 방지를 위해 열 전도성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지고 및/또는 필요한 경우 가열 처리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에어 커튼의 정면 표면에서보다 후면 표면에서 속도가 더 높도록 하는 별도의 공급 에어 채널들을 구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주위 공기의 혼입이 최소화된다.
가령, 도 11에 도시된 변형 예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변형 예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며,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 11의 변형 예에서도 유출물을 수집할 수 있는 구성, 마감 부분(62) 및/또는 RAG(64)를 탈착하여 세척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경사 도관 스플리터(inclined duct splitter, 90)가 전방 배출 연장 부분(54)을 분리하는데, 이때 경사 도관 스플리터(90)의 경사도는, 전방 배출 연장 부분(54)과 전방 복귀 연장 부분(58) 사이의 파티션(60)의 경사도와 비슷하지만 그보다는 약간 더 직립해 있다. 본 예에서는, 도관 스플리터(90)가 실질적으로 DAG(36)의 높이로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 공기를 분리하는 구성은 DAG(36)의 뒤쪽 또는 안쪽으로 더 많은 공기가 유도되기에 적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도관 스플리터(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22) 안을 향해 후방 연장되는, 대체적으로 수평 형태인 후방 연장 부분(92)을 포함한다. 도관 스플리터(90)는 그것의 양쪽에 바람직한 공기 유동 비율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만큼 공급 도관(22)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변형 예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변형 예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예에서, 전방 배출 연장 부분(54)과 전방 복귀 연장 부분(58) 사이의 파티션(94)은 전방 배출 연장 부분(54)의 전방 극단까지 밑에서 봤을 때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며 부드럽게 아래로 굽어 있다. 도관 스플리터(96) 또한 실질적으로 DAG(36) 높이까지 유사하게 굽으며 아래로 연장 형성되어 있지만, 역시 공급관(22) 안쪽으로 후방 연장되는 부분은 대체적으로 수평 형태인 후방 연장 부분(98)을 포함한다.
도 10과 마찬가지로, 도 13에서도 뒤쪽 위를 향하고 있으며, 세척에 용이하도록 힌지 결합 및/또는 탈착 가능하고 슬롯 또는 구멍이 형성된 RAG(84)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와 마찬가지로, 전방 배출 연장 부분(54)과 전방 복귀 연장 부분(58) 사이에 곡선형 파티션(94)이 배치되고, 이와 유사하게 굽은 스플리터(96)가 상기 파티션(94) 아래에 배치된다. 그러나, 도 13에서는 전방 복귀 연장 부분(58)을 비롯해, 선택적으로 복귀관(24)이, 복귀관 스플리터(return duct splitter, 100)에 의해 분리된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에어 커튼 뒤쪽으로의 공기 유동 속도가 증가하도록 하여 주위 공기의 혼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의 단점은 RAG(84)에서 속도가 높은 뒤쪽 부분으로 진입하는 유출물은 복귀관(24) 바깥의 수집 지점을 향해 유도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4에 도시된 배열은 도 13에 도시된 배열과 대체적으로 일치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RAG(84)의 뒤쪽으로 높은 속도의 공기를 공급받기 위해 RAG(84) 아래에는, 정면을 향할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진 안내 날개(guide vanes, 102)들이 수평으로 정렬되어 있는데, 이들은 다음의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RAG(84)의 뒤쪽에서부터 오는 모든 유출물을 하부 전방 수집통(lower forward collection trough, 40)을 향하도록 하는 기능;
먼지 및 보풀 등과 같은 공기중 입자들이 수집통(104)을 향하도록 하는 기능, 날개(102)들에 의해 상기 입자들에 가해진 탄력 가속도와 방향은 먼지 사이클론(dust cyclone)과 유사한 방식으로 공기에서 상기 입자들이 잘 분리되어 나올 수 있도록 돕는다;
유입되는 에어 커튼의 공기 유동을 RAG(84)의 뒤쪽을 향하도록 바이어스 시키는 기능. 이러한 측면에서, 날개(102)들은 앞서 설명한 도관 스플리터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RAG(84) 앞 부분으로의 공기 유동을 줄이고, 이에 따라 주위 공기의 혼입도 줄여준다.
도 14에서는 유출 액체(106)가, 날개(102)들로부터 전방 배출 연장 부분(54)과 전방 복귀 연장 부분(58) 사이의 파티션(94)으로 떨어지고, 여기서 다시 복귀관(24)에서 멀어지도록 수집통(1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서는 또한 날개(102)들로 인해 먼지가 수집통(104)에 갇히게 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RAG(84) 및/또는 선반의 정면은 수집통을 정기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이동 또는 탈착이 용이해야 한다.
본 발명의 개념 범위 안에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가령, 셀이 세 개가 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내부 셀도 하나보다 많을 것이고 도관 선반도 두 개를 넘을 것이다. 역으로, 셀이 두 개밖에 없는 경우에는, 내부 셀은 없고 도관 선반은 하나만 있게 된다.
캐비닛의 측면 벽은 둘 중 하나 또는 둘 다 투명하게 형성되어 제품 디스플레이 공간에 디스플레이된 항목들의 가시성을 개선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측벽들은 단열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기 위해 이중 또는 삼중 유광 처리된 강화 유리로 이루어진다.
차가운 공기가 외부, 가령 팬 코일 유닛(fan coil unit)에서 생산되어 기기 안으로 펌프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기기 안에 내부 냉장 엔진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냉장 엔진을 일체형 유닛으로서 캐비닛 안에 포함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슈퍼마켓 냉장 팩 유닛에서 차가운 공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내부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도관 선반에 형성될 수 있는 응결을 해결하기 위해, 습기를 수집하고 배수할 수 있는 배수관이 선반들에 마련될 수 있다. 가령, 도관 선반 안의 복귀관이 뒤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하도록 경사져서 캐비닛의 뒤쪽으로 연결됨으로써, 증발기에 제공된 배수 시스템으로 물을 이동시켜 캐비닛에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냉각 코일과 팬들을 기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각 코일과 팬들을 셀들 뒤에 배치할 수도 있지만, 셀의 상단, 바닥 또는 측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Claims (39)

  1. 에어 커튼을 사용하는 정면 개방형 디스플레이 유닛을 위한 도관 선반으로서,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후면과 정면;
    상기 선반의 하측부에 형성되어 아래쪽을 향하는 전방 배출구와 연통하는 공급관; 및
    상기 선반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위쪽을 향하는 전방 복귀 입구와 연통하는 복귀관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의 정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섹션 안에, 상기 공급관 앞의 전방 공급관 연장 부분은 상기 배출구 위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복귀관 앞의 전방 복귀관 연장 부분은 상기 선반의 하측부를 향해 아래로 이어짐으로써 상기 공급관 앞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은 상기 복귀 입구 아래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은 상기 복귀 입구의 후방 단부를 지나서 뒤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은 아래쪽 및 앞쪽으로 갈수록 경사진 바닥벽으로 인해 앞쪽으로는 갈수록 넓어지고 뒤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의 경사도는 뒷부분은 가파르고 앞부분은 완만하도록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 연장 부분은 아래쪽 및 앞쪽으로 경사진 상부 배플(baffle)로 인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배플의 경사도는 뒷부분은 가파르고 앞부분은 완만하도록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 연장 부분과 복귀관 연장 부분은 서로 대향하고 상보적인 테이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 연장 부분과 복귀관 연장 부분의 테이퍼부는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에 대해서는 바닥벽, 그리고 상기 공급관 연장 부분에 대해서는 상부 배플 역할을 하는 공통 파티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입구는 배출구보다 뒤쪽으로 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열처리되고, 가열되고, 및/또는 열 전도성이 낮은 선반 정면 스트립이 상기 복귀 입구 앞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입구의 일부는 상기 선반 정면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정면 스트립은 정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정면 스트립은 상기 복귀 입구로의 공기 유동을 변경하기 위한 입관의 역할을 하도록 상기 선반의 상부 패널 위에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으로의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선반 정면 스트립은 이동 또는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입구는 상기 배출구 상에 중앙에 배치되고, 선반 정면 스트립은 위쪽으로 향하도록 뒤쪽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입구에 그릴(grille)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으로의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그릴은 이동 또는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상기 상부 패널 위에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상기 복귀 입구에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 또는 개구부들이 마련된 상부 섹션과, 속이 비지 않은(solid) 하부 정면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하부 정면 섹션은 단열처리되고, 가열처리되고, 및/또는 열 전도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입구는 상기 선반의 상부 패널과 거의 높이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하선(load-line) 형성부가 상기 복귀 입구의 뒤쪽을 향해 상기 선반의 상부 패널 위에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선반의 바닥 패널과 거의 높이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25. 제24항에 있어서,
    배출 교정기(discharge straightener)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바닥 패널 아래에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상부 패널이 부분적으로 상기 복귀관을 형성하고 상기 선반의 바닥 패널이 부분적으로 상기 공급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관과 공급관 사이의 파티션이 상기 복귀관 연장 부분에 대해서는 바닥벽 역할을, 상기 공급관 연장 부분에 대해서는 상부 배플(baffle) 역할을 하는 공통 분리벽 안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앞쪽에서 뒤쪽으로의 섹션 안에서, 상기 복귀관과 공급관은 전방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상부 패널 및 바닥 패널은 전방으로 갈수록 수렴함으로써 상기 복귀관과 공급관에 전방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구 및/또는 복귀 입구의 뒤쪽 부분을 통한 공기 유동 속도를 늘리도록 전방 공급관 연장 부분 및/또는 전방 복귀관 연장 부분 안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도관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스플리터는 뒤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급관 및/또는 복귀관 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입구에 진입하는 유출물이나 공기 중의 입자들을 전방 수집통 안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입구의 뒤쪽 아래에 배치된, 전방 및 아래쪽으로 경사진 날개(vane)들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34. 에어 커튼을 사용하는 정면 개방형 디스플레이 유닛을 위한 도관 선반으로서,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의 전방 방향을 형성하는 후면과 정면;
    상기 선반의 하측부에 형성되어 아래쪽을 향하는 전방 배출구와 연통하는 공급관; 및
    상기 선반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위쪽을 향하는 전방 복귀 입구와 연통하는 복귀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 입구는 상기 배출구에 대해 전방으로 오프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입구의 적어도 대부분은 상기 배출구의 전방 단부 앞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정면 단부의 상단에서 바닥까지의 두께는 상기 공급관과 복귀관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정면 단부의 뒤쪽으로 테이퍼지거나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앞쪽에서 뒤쪽으로의 섹션 안에서, 상기 선반은 상기 선반의 상측부에는 상부 전방 스텝 및 상기 선반의 하측부에는 하부 후방 스텝을 포함하는 전방 스텝 프로파일을 갖고, 상기 선반의 전방 단부는 상기 상부 전방 스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선반.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관 선반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정면 개방형 디스플레이 유닛.
KR1020157035073A 2013-05-10 2014-05-12 냉장 디스플레이 장치 내 또는 이와 관련된 개선구조체 KR201600067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308437.1A GB201308437D0 (en) 2013-05-10 2013-05-10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GB1308437.1 2013-05-10
PCT/GB2014/051451 WO2014181135A2 (en) 2013-05-10 2014-05-12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765A true KR20160006765A (ko) 2016-01-19

Family

ID=4867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073A KR20160006765A (ko) 2013-05-10 2014-05-12 냉장 디스플레이 장치 내 또는 이와 관련된 개선구조체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9788666B2 (ko)
EP (1) EP2994023B1 (ko)
JP (1) JP6616766B2 (ko)
KR (1) KR20160006765A (ko)
CN (1) CN105358014B (ko)
AU (1) AU2014264449B2 (ko)
BR (1) BR112015028282A2 (ko)
CA (1) CA2911849A1 (ko)
ES (1) ES2641563T3 (ko)
GB (1) GB201308437D0 (ko)
HK (1) HK1218846A1 (ko)
MX (1) MX2015015433A (ko)
MY (1) MY182224A (ko)
PL (1) PL2994023T3 (ko)
PT (1) PT2994023T (ko)
RU (1) RU2667870C2 (ko)
WO (1) WO2014181135A2 (ko)
ZA (1) ZA2015085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08439D0 (en) 2013-05-10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GB201308437D0 (en) 2013-05-10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GB201308570D0 (en) * 2013-05-13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Height adjustment of ducted shelves
JP6060236B1 (ja) * 2015-09-30 2017-01-1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空気流通装置
GB2549950A (en) * 2016-05-03 2017-11-08 The Marmon Group Ltd Merchandise display system and unit
NL2017055B1 (en) * 2016-06-27 2018-01-05 Fri Jado Bv Display unit for storing and displaying heated goods, and use of a display unit
WO2019149366A1 (en) * 2018-02-02 2019-08-08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sales cabinet
RU186638U1 (ru) * 2018-10-08 2019-01-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Завод "Челябторгтехник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11304544B2 (en) * 2019-10-09 2022-04-19 Fri-Jado B.V. System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storing and displaying food products, and multiple shelves,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food products in a display unit
US11576501B2 (en) * 2019-11-08 2023-02-14 Hill Phoenix, Inc. Guide vane for refrigerated display case
GB2592047A (en) * 2020-02-13 2021-08-18 Aerofoil Energy Ltd Improvements to open display refrigerators
RU197434U1 (ru) * 2020-02-13 2020-04-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Д УГУР" Охлаждаемая витрина
CN112190036A (zh) * 2020-09-10 2021-01-08 河南郑大心医助医学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医疗耗材管理柜
WO2024079589A1 (en) * 2022-10-10 2024-04-18 Crd Lamiere S.R.L. Display apparatus for fruit and vegetable items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2875A (en) * 1959-10-29 1960-12-06 Louis F Barroero Upright refrigerated cabinet with unimpeded front access
US3168818A (en) * 1962-08-27 1965-02-09 Weber Showcase & Fixture Co In Multiple shelf refrigerated display cabinet
US3139738A (en) * 1963-04-03 1964-07-07 Recold Corp Refrigerated display fixture
US3218822A (en) * 1964-10-13 1965-11-23 Mccray Refrigerator Company In Frozen food display case
US3289432A (en) * 1965-08-06 1966-12-06 Emhart Corp Display case
US3403525A (en) 1967-02-03 1968-10-01 Dual Jet Refrigeration Co Defrost system for air curtain type refrigerated display case
JPS4844892B1 (ko) * 1970-06-19 1973-12-27
JPS55165468A (en) * 1979-06-12 1980-12-23 Fuji Electric Co Ltd Chill air circulation open display case
US4314458A (en) * 1980-10-01 1982-02-09 Dalcon Marketing Inc. Refrigerated display case
GB8508732D0 (en) 1985-04-03 1985-05-09 Ti Domestic Appliances Ltd Refrigerating systems
GB8911459D0 (en) * 1989-05-18 1989-07-05 Clares Equip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units
US4938034A (en) * 1989-05-03 1990-07-03 Hill Refrigeration Corporation Opened front refrigerated display case
US4916917A (en) * 1989-08-28 1990-04-17 Jackson Jr Mcswain L Refrigerated case extender
JPH041378U (ko) * 1990-04-16 1992-01-08
JPH04129085U (ja) * 1991-05-13 1992-11-25 富士電機冷機株式会社 多段ラウンドケース
FR2695814B1 (fr) * 1992-09-21 1994-12-09 Mc International Dispositif modulaire pour l'exposition à la vente de denrées alimentaires.
US5357767A (en) * 1993-05-07 1994-10-25 Hussmann Corporation Low temperature display merchandiser
US5722252A (en) 1995-10-13 1998-03-03 Lg Electronics, Inc. Cooling air distribution apparatus for refrigerator
JP3886195B2 (ja) * 1997-01-24 2007-02-2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気循環式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ZA986184B (en) * 1997-07-09 1999-01-28 Kerbyn 62 Proprietary Limited Refrigerated food display cabinet
JP2000028255A (ja) 1998-07-10 2000-01-28 Sanden Corp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00245586A (ja) * 1999-03-02 2000-09-12 Okamura Corp 冷蔵ショーケース
EP1059052A3 (de) * 1999-06-07 2001-08-22 Günther Hertel Warenkühltheke
NO312006B1 (no) * 2000-06-26 2002-03-04 Svein Henrik Vormedal Hylleskap for kjölevarer og fremgangsmåte til kontrollert/styrt sirkulasjon av luft i hylleskapet
JP2002318055A (ja) 2001-04-20 2002-10-31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EP1460358A4 (en) * 2001-12-27 2006-11-08 Gac Corp STORAGE DEVICE
US6519962B1 (en) 2002-06-27 2003-02-18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angular air guide vanes
JP4179902B2 (ja) 2003-03-04 2008-11-12 三洋電機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JP3974868B2 (ja) 2003-03-11 2007-09-12 サンデン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JP3989859B2 (ja) 2003-03-11 2007-10-10 サンデン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US20060199495A1 (en) 2003-06-27 2006-09-07 Gac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RU35586U1 (ru) * 2003-11-12 2004-01-27 Полетаев Викто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итрина холодильная
DE102004033071A1 (de) 2004-07-06 2006-01-26 Linde Kältetechnik GmbH & Co. KG Kühlregal
KR20070113276A (ko) * 2005-03-18 2007-11-28 캐리어 코포레이션 냉장 진열장용 저부 바닥판 조립체
EP2081470B1 (en) 2006-11-03 2017-05-10 Carrier Corporation Storage apparatus for the storage of goods requiring refrigeration and refrigerating cabinet comprising the same
US20100024446A1 (en) 2008-08-04 2010-02-04 Hussmann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dual air curtain
WO2011121285A1 (en) * 2010-03-29 2011-10-06 Applied Design And Engineering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SG184267A1 (en) 2010-03-29 2012-10-30 Applied Design & Eng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US20110259030A1 (en) 2010-04-23 2011-10-27 Anderson Timothy D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shelf air discharge
GB201308439D0 (en) 2013-05-10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GB201308437D0 (en) 2013-05-10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Shelves for open-fronted display units
GB201308570D0 (en) 2013-05-13 2013-06-19 Applied Design & Eng Ltd Height adjustment of ducted shelves
US9084496B1 (en) 2014-05-09 2015-07-21 Heatcraft Refrigeration Products Llc Refrigerated display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64449B2 (en) 2018-05-31
EP2994023B1 (en) 2017-08-02
US20160113418A1 (en) 2016-04-28
BR112015028282A2 (pt) 2017-07-25
GB201308437D0 (en) 2013-06-19
MX2015015433A (es) 2016-07-11
RU2015150765A (ru) 2017-06-16
EP2994023A2 (en) 2016-03-16
CN105358014A (zh) 2016-02-24
JP6616766B2 (ja) 2019-12-04
CA2911849A1 (en) 2014-11-13
ES2641563T3 (es) 2017-11-10
PL2994023T3 (pl) 2017-12-29
ZA201508564B (en) 2017-11-29
PT2994023T (pt) 2017-10-03
MY182224A (en) 2021-01-18
RU2667870C2 (ru) 2018-09-24
WO2014181135A3 (en) 2015-02-26
US9788666B2 (en) 2017-10-17
HK1218846A1 (zh) 2017-03-17
WO2014181135A2 (en) 2014-11-13
CN105358014B (zh) 2019-11-12
JP2016518934A (ja) 2016-06-30
AU2014264449A1 (en)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6765A (ko) 냉장 디스플레이 장치 내 또는 이와 관련된 개선구조체
KR101876581B1 (ko) 개선된 냉장 디스플레이 기기
KR100839749B1 (ko) 커튼 공기 도입 조립체
EP2380465B1 (e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air cutrains
JP6448619B2 (ja) 冷蔵展示器械における又は関する改良
US20160081493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frigerated display appliances
KR200450319Y1 (ko) 개방형 냉장 쇼케이스
NL1028973C2 (nl) Koelmeubel.
US11096504B2 (en) Merchandiser
CN111609611A (zh) 利用离心风机进行散热的冰箱
US20240016314A1 (en) Merchandiser
WO2010133559A2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