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46A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46A
KR20160000846A KR1020150081374A KR20150081374A KR20160000846A KR 20160000846 A KR20160000846 A KR 20160000846A KR 1020150081374 A KR1020150081374 A KR 1020150081374A KR 20150081374 A KR20150081374 A KR 20150081374A KR 20160000846 A KR20160000846 A KR 20160000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ayer
protective layer
area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532B1 (ko
Inventor
준 후지요시
카즈토 츠루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6000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4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using temporary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표시장치의 굽힘 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는, 제1 면, 제2 면, 및 제1 면과 제2 면의 사이의 굴곡부를 갖는 기판과, 제1 면에 배치된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와 접속되고, 제1 면으로부터 굴곡부를 통하여 제2 면으로 연재하는 도전층과, 기판보다 연성이 낮고, 도전성에 대하여 기판측 및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적어도 한 쪽 측에 배치된 보호층을 구비하고, 보호층은, 굴곡부, 당해 굴곡부에서 제1 면측의 소정 영역, 및 굴곡부에서 상기 제2 면측의 소정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 이다.
액정,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이용한 표시장치는, 종래, 유리 기판 상에 표시 소자를 형성하여 제조 하였다. 최근, 플렉시블성을 갖는 기판 상에 표시 소자를 형성함으로써, 구부릴 수 있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7-183605호 공보).
플렉시블성을 갖는 기판을 구부릴 때의 곡율 반경을 작게 할수록, 기판 상에 형성된 층으로의 부하가 커지고, 파단 등의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도전층이 파단하면, 동작 불량을 초래한다. 그러나, 디자인성이나 편리성의 관점에서, 곡율 반경을 가능한 작게 하는 것, 즉, 굽힘 내성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굽힘 내성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면,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의 사이의 굴곡부를 갖는 기판과, 상기 제1 면에 배치된 표시 소자와, 상기 표시 소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굴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면으로 연재하는 도전층과, 상기 기판보다 연성이 낮고, 상기 도전층에 대하여 상기 기판측 및 상기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적어도 한 쪽 측에 배치된 보호층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굴곡부, 당해 굴곡부에서 상기 제1 면측의 소정 영역, 및 당해 굴곡부에서 상기 제2 면측의 소정 영역에 있어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보호층이 상기 굴곡부를 따라 늘어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면,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의 사이의 굴곡 예정 영역을 각각 갖는 기판에, 표시 소자, 도전층 및 보호층을 형성하고, 상기 굴곡 예정 영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굴곡시켜 고정하고, 상기 기판을 소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소자는, 적어도 상기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층은, 상기 표시 소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굴곡 예정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2 면으로 연재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기판보다 연성이 낮고, 상기 도전층에 대하여 상기 기판측 및 상기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적어도 한 쪽 측에 배치되고, 상기 굴곡 예정 영역, 당해 굴곡 예정 영역에서 상기 제1 면측의 소정 영역, 및 당해 굴곡 예정 영역에서 상기 제2 면측의 소정 영역에 걸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보호층이 상기 굴곡 예정 영역을 따라 늘어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된 표시 소자와, 상기 표시 소자와 접속되고, 소정의 방향으로 연재하는 도전층과, 상기 기판보다 연성이 낮고, 상기 도전층에 대하여 상기 기판측 및 상기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적어도 한 쪽 측에 배치된 보호층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보호층은, 상기 도전층이 연재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줄지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구부릴 영역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보호층을 주사선 등의 도전층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함으로써, 이 영역에서의 굽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 ~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 구성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굴곡부에 배치된 보호층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굴곡 전에 있어서의 보호층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굴곡부에 배치된 보호층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예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중,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의 도 6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의 도 7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의 도 8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의 도 9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의 도 10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의 도 11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호층에 관하여, 다른 층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호층에 관하여, 다른 층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있어서의 보호층에 관하여, 다른 층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있어서의 보호층에 관하여, 다른 층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등을 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실제보다, 각 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하여 모식적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 예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와 각 도에 있어서, 기출의 도에 관해서 전술한 것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1 실시예>
[개략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는, OLED를 이용한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표시장치이다. 이 표시장치는, 플렉시블성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는, 유기 EL 표시장치와 같은 자발광형 표시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전기 영동 소자를 이용한 전자 페이퍼형 표시장치 등, 다른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표시장치는, 기판에 플렉시블성을 갖는 유기 수지막을 이용하고 있다. 이 플렉시블성을 갖는 기판(이하, 플렉시블 기판 이라고 함) 상에는,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소자에는, OLED의 발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등의 구동 소자가 포함된다. 플렉시블 기판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때에는 유리 기판에 지지되어 있고, 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유리 기판에서 박리된다.
[표시장치 1의 외관 구성]
도 1A ~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1)는, 표시 영역(D1, D2), 주사선 구동 회로(103), 드라이버 IC(104), 및 FPC(Flexible printed circuits)(106)를 구비한다. 이들은, 플렉시블 기판(10)에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10)은, 표시 영역(D1)을 포함하는 제1 면(S1), 표시 영역(D2)을 포함하는 제2 면(S2), 및 주사선 구동 회로(103)를 포함하는 제3 면(S3)을 갖는다. 표시 영역(D1, D2)은, 표시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영역(D1, D2)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면(S1)과 제2 면(S2)은, 이루는 각도가 약 90°가 되도록 구부러져 있다. 구부러져 있는 영역, 즉, 제1 면(S1)과 제2 면(S2)의 사이에 영역을 굴곡부(C)(예를 들어 도 2 참조)라고 한다. 제1 면(S1)과 제3 면(S3)의 관계에 있어서도, 제1 면(S1)과 제2 면(S2)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이루는 각이 약 90°가 되도록 구부러져 있다. 또한, 구부러진 각도는 90°에 한정되지 않고, 90°이하 일 수도 있고, 90°이상 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부의 면이 구부러져 있으면, 예를 들어, 거의 직육면체의 본체를 갖는 휴대 단말(스마트 폰 등)에 있어서, 가장 큰 일 면에 표시 영역을 가능한 크게 배치하고, 구동 회로를 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도 표시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직육면체 이외의 형상의 본체여도, 그 형상에 표시장치(1)의 각 면의 구부러진 각도를 조정하여, 표시 영역, 구동 회로 등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면(S2)에 표시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표시 영역(D1)에 포함되는 회로의 구동 회로가 존재할 수도 있고,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받아 들이는 센서 등의 디바이스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면(S3)에도 표시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면을 포함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면일 수도 있고, 더 많은 면이 포함될 수도 있다.
더 많은 면이 포함되는 경우로, 제4 면을 갖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2 면(S2)의 단부(제1 면(S1) 측의 변에 대향한 변)측에 있어서, 제 4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제4 면은, 제2 면(S2)의 다른 변 측에 있어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면(S1)의 FPC(106)와는 반대측의 변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표시 영역(D1)에는, 제3 면(S3)으로부터 제1 면(S1)을 통하여 제2 면(S2)으로 연재하는 주사선(101), 및 주사선(101)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데이터 신호선(102)이 배치되어 있다. 주사선(101)과 데이터 신호선(102)의 교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화소(105)가 배치되어 있다. 화소(105)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하나의 화소(105)에, 주사선(101) 또는 데이터 신호선(102)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호선이 한 개 있지만, 복수일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영역(D1)에는 전원선 등의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배선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기재를 생략했지만, 표시 영역(D2)에 있어서도, 표시 영역(D1)과 마찬가지로, 화소(105)가 배치되어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103)는, 주사선(101)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드라이버 IC(104)는 데이터 신호선(102)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104)를 제어한다. 각 화소(105)에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전압을 토대로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화소 회로와, 화소 회로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화소 회로는,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 및 콘덴서를 포함하고,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전압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하여, 발광 소자의 발광을 제어한다. 이 발광의 제어에 의해, 표시 영역(D1, D2)에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10)에는, 각 화소(105)의 화소 회로를 덮도록, 대향 기판(20)(예를 들어, 도 5 참조)이 접합되어 있다. 대향 기판(20)은, 플렉시블성을 갖는 유기 수지층의 기판이다. 대향 기판(20)에는, 컬러 필터 및 차광재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플렉시블 기판(10)과 대향 기판(20)의 사이는, 충전제로 충전되어 있다.
도 1B는, 제2 면(S2), 제3 면(S3)이 구부려 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플렉시블 기판(10)에 표시 소자가 형성되고, 대향 기판(20)이 접합되기까지는, 적어도 도 1B에 도시하는 상태로, 각 제조 공정이 실행된다. 그 후, 제2 면(S2), 제3 면(S3)이 각각, 제1 면(S1)에 대하여 구부러진다.
이 예에서는, 제2 면(S2) 및 제 3면(S3)을 제1 면(11)에 대하여 구부려서 금형 등으로 고정한 상태로 소성한다. 드라이버 IC(104) 및 FPC(106)는, 도 1A에 도시하는 표시장치(1)에 대하여 설치되어도 되고, 도 1B에 도시하는 표시장치(10) 대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이어서, 도 1A에 도시하는 영역 Z1, 즉, 제1 면(S1)과 제2 면(S2)의 사이를 구부러진 부분(굴곡부)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호층(50)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굴곡부(C)에 배치된 보호층(50)을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면(S1)과 제2 면(S2)의 사이에서, 플렉시블 기판(10)이 구부러져 있는 영역을 굴곡부(C)라고 한다. 도전층인 주사선(101)은, 제1 면(S1)으로부터 굴곡부(C)를 통하여 제2 면(S2)으로 연재하고 있다. 주사선(101)은, 표시 영역(D1)의 표시 소자 및 표시 영역(D2)의 표시 소자와 접속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주사선(101)을 덮도록, 보호층(50)이 배치되어 있다. 보호층(50)은, 플렉시블 기판(10)보다도 연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기판(10)이 폴리 이미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호층(50)은 아크릴 수지로 형성된다.
보호층(50)은, 굴곡부(C)와, 굴곡부(C)에서 제1 면(S1) 측의 소정 영역, 및 굴곡부(C)에서 제2 면(S2) 측의 소정 영역에 있어서, 주사선(101)을 덮고 있다. 제1 면(S1)의 소정 영역은, 표시 영역(D1)과는 다른 영역이며, 표시 영역(D1)과 중복하지 않도록 정해져 있다. 제2 면(S2)의 소정 영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표시 영역(D2)과는 다른 영역이며, 표시 영역(D2)과 중복하지 않도록 정해져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하나의 주사선(101)에 대하여, 하나의 보호층(5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호층(50)은, 섬 모양으로 형성되고, 굴곡부(C)를 따라(도 1에서 도시하는 경우의 제1 면(S1)과 제2 면(S2)의 경계를 따라) 줄지어 배치된다. 또한, 보호층(50)은, 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복수의 주사선(101)에 대하여, 하나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층(50)은, 플렉시블 기판(10)보다도 연성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C)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10)의 구부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굴곡부(C)에 있어서는, 연성이 낮은 재료인 보호층(50)의 전유 면적을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굴곡부(C)에 있어서, 주사선(101)을 덮도록 보호층(50)이 배치되는 한편, 인접하는 주사선(101)의 사이에 있어서는, 보호층(50)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구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굴곡부(C)에서 제1 면(S1) 및 제2 면(S2)까지 보호층(50)이 확장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10)으로부터의 보호층(50)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면(S1) 및 제2 면(S2)에 있어서 보호층(50)이 크게 확장되어 있으면, 다른 영역(예를 들어, 표시 영역(D1, D2))에 대하여 굴곡부(C)에서 생긴 응력의 영향을 주고 만다. 따라서, 제1 면(S1) 및 제2 면(S2)에 있어서 보호층(50)은, 표시 영역(D1, D2)까지 확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10)으로부터의 보호층(50)의 박리를 억제하기 위해, 보호층(50)의 패턴 주변부에는, 각을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턴의 네 모퉁이(50C)를 곡선으로 하여, 보호층(50)의 패턴 주변부가, 꼭지점을 갖지 않는 선으로 둘러싸인 패턴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굴곡 전의 보호층(50)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3은, 도 1B에 도시하는 제2 면(S2), 제3 면(S3)을 구부리기 전의, 보호층(50)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면(S1)과 제2 면(S2)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경우, 굴곡부(C)는, 구부러졌을 때에 굴곡하는 예정의 영역(이하, 굴곡 예정 영역이라고 함)이다. 주사선(101)은, 굴곡 예정 영역을 가로 질어 연재한다. 그리고, 주사선(101)이 연재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보호층(50)이 줄지어 형성되어 있다. 굴곡 예정 영역은, 이 직선을 따라 확장되어 있다.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플렉시블 기판(10)이 구부러지면, 도 2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변화한다. 이 때, 플렉시블 기판(10)의 두께의 영향에 의해, 주사선(101)은, 당겨지는 방향(파단하기 쉬운 방향)으로 힘이 걸린다. 한편, 플렉시블 기판(10)보다도 연성이 낮은 보호층(50)이 굴곡부(C)에 존재함으로써, 보호층(50)이 플렉시블 기판(10)을 압축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플렉시블 기판(10)이 주사선(101)을 당기는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10)이 구부러진 상태로 소성되면, 플렉시블 기판(10) 및 보호층(50) 등의 유기 수지에 걸려 있는 응력이 완화된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0)은, 구부러진 상태로 형상이 유지되기 쉬워 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굴곡부(C)에 배치된 보호층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보호층(50)은, 주사선(101)을 덮는, 즉, 주사선(101)보다도, 플렉시블 기판(10)과는 반대측(이하, 단순히 상층 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배치되어 있다. 한 편, 이와는 반대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층(50)은, 주사선(101)보다도, 플렉시블 기판(10) 측(이하, 단순히 하층 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도, 보호층(50)이 플렉시블 기판(10)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플렉시블 기판(10)이 주사선(101)을 당기는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4를 조합하여, 주사선(101)의 양측(상층측 및 하층측)에 보호층(50)이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보호층(50)과 주사선(101)의 위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후술한다.
[표시장치(1)의 단면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 및 후술하는 도 6부터 도 12에 있어서, D1, D2, S1, S2, S3, C는, 후술하는 표시 영역(D1), 제1 면(S1), 제2 면(S2), 제3 면(S3), 굴곡부(C)에 대응한다. 또한, TA는, FPC(106) 등, 외부와 접속되는 단자가 구비된 영역을 도시한다.
플렉시블 기판(10)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10)가 배치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10)를 덮는 층간 절연층(111)이 배치되어 있다. 층간 절연층(111) 상에는 배선층(112)이 배치되어 있다. 배선층(112)은, 층간 절연층(111)에 구비된 콘택트 홀을 통하여 박막 트랜지스터(110)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영역(D1)에 있어서는, 배선층(112)을 덮는 층간 유기층(151)이 배치되고, 화소 전극층(114)은 층간 유기층(151) 상에 배치되어 있다. 화소 전극층(114)은, 층간 유기층(151)에 구비된 콘택트 홀을 통하여 배선층(12)에 접속되어 있다. 화소 전극층(114)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화소 전극층(114)의 단부를 덮도록, 리브 유기층(153)이 배치되어 있다. 노출된 화소 전극층(114)과 접촉하도록, 발광층(120)이 배치되어 있다.
발광층(120)은, OLED와, OLED로부터의 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 전극과, 이를 봉지하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광투과성 전극과 화소 전극층(114)을 통하여 OLED에 전류가 공급되면, OLED로부터의 광은, 광투과성 전극을 투과하여 대향 기판(20) 측으로 방사된다. 이 구성은, 일반적으로 탑 에미션 구조라고 한다. 또한, 탑 에미션 구조와는 반대로, 플렉시블 기판(10) 측으로 광이 출사되는 버텀 에미션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표시 영역(D1)에 존재하는 이들의 구성이, 표시 소자에 대응한다.
굴곡부(C) 근방에 있어서는, 층간 유기층(151)은 제거되어 있고, 배선층(112)과 화소 전극층(114)이 적층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배선층(112)과 화소 전극층(114)과의 적층 구조에 의해, 주사선(101)이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C), 굴곡부(C)에서 제1 면(S1) 측의 소정 영역, 및 굴곡부(C)에서 제2 면(S2) 측의 소정 영역에 있어서, 상술한 보호층(50)에 대응하는 리브 유기층(153)이 화소 전측층(114)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단자 영역(TA) 이외의 적어도 표시 영역(D1, D2)을 포함하는 영역, (이 예에서는, 나아가 굴곡부(C)의 근방을 포함하는 영역)에 있어서는, 각 영역에 존재하는 각 구성은, 대향 기판(20)에 의해 덮여 있다. 대향 기판(20)과 플렉시블 기판(10) 측에 형성된 각 구성과의 사이에는 충전체(170)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대향 기판(20)의 주변부를 따라, 충전제(170)을 둘러 싸도록 씰재가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2 면(S2)에 대해서는, 표시 영역(D1)과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제3 면(S3)에 대해서는, 박막 트랜지스터(110)를 이용한 구동 회로 등이 형성되어 있는 점으로, 표시 영역(D1)의 표시 소자의 일부를 이용한 구성이다. 제1 면 (S1)과 제3 면(S3)과의 사이의 굴곡부(C)에 있어서도, 제1 면(S1)과 제2 면(S2)의 사이의 굴곡부(C)와 동일한 구성이 된다.
[표시장치(1)의 제조 방법]
이어서, 상기의 표시장치(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6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1)의 제조 방법 중, 기판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유리 기판(30) 상에 플렉시블 기판(10)을 형성한다. 이 플렉시블 기판(10)은, 유기 수지층이며, 이 예에서는, 폴리 이미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폴리 이미드를 포함하는 용액을 유리 기판(30) 상에 도포하여 소성함으로써, 유리 기판(30)에 플렉시블 기판(10)을 형성한다. 플렉시블 기판(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상 50㎛ 이하이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10)은, 폴리 이미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기 수지층일 수도 있지만, 박막 트랜지스터(110)을 형성할 때의 열처리의 최고 온도(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400℃)이상의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기판(30)은, 플렉시블 기판(10)에 표시 소자 등을 형성할 때에, 플렉시블 기판(10)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으로 이용된다. 또한, 지지 기판은 반드시 이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의 도 6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플렉시블 기판(10)에, 박막 트랜지스터(110)를 형성한다. 플렉시블 기판(10)과 박막 트랜지스터(110)의 사이에는, 산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등의 절연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절연층에 의해, 수분, 가스 등의 내부로의 침입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어서, 박막 트랜지스터(110)를 덮도록, 층간 절연층(111)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층(111)은, 산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등의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유기 수지를 이용한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1)의 제조 방법의 도 7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층간 절연층(111)의 일부를 에칭하여, 박막 트랜지서터(110)의 일부(반도체층의 소스 및 드레인, 및 게이트 전극 등)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층간 절연층(111)의 에칭 후, 배선층(112)을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한다. 배선층(112)은, 상술한 주사선(101), 데이터 신호선(102) 등의 도전층이며, 층간 절연층(111)이 에칭된 영역에 노출된 박막 트랜지스터(110)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도전층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티탄 등의 금속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1)의 제조 방법의 도 8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배선층(112)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하여, 층간 유기층(151)이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층간 유기층(151)은, 아크릴 수지이다. 층간 유기층(151)은, 상기의 각 구성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10)에 감광성 아크릴 수지를 도포하고, 노광, 현상, 및 소성을 거쳐,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층간 유기층(151)은, 아크릴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기 수지일 수도 있다. 그러나, 층간 유기층(151)은, 그 연성이 플렉시블 기판(10)의 연성보다도 낮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층간 유기층(151)을 보호층(50)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플렉시블 기판(10)의 연성보다도 낮은 재료를, 층간 유기층(151)에 이용한다. 이 층간 유기층(151)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 이상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1)의 제조 방법의 도 9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상기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층간 유기층(151) 상에 화소 전극층(114)이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이 화소 전극층(114)은, ITO(Indium Tin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이 이용되고, OLED의 애노드 전극을 형성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굴곡부(C) 근방에 있어서, 배선층(112) 상에 화소 전극층(114)이 배치되고, 적층 구조에 의해 주사선(101)을 구성한다. 또한, 굴곡부(C) 근방에 있어서, 주사선(101)은, 배선층(112) 및 화소 전극층(114) 중 어느 한 쪽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1)의 제조 방법의 도 10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화소 전극층(114)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하여, 리브 유기층(153)이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리브 유기층(153)은, 아크릴 수지이다. 리브 유기층(153)은, 상기의 각 구성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10)에 감광성 아크릴 수지를 도포하고, 노광, 현상, 및 소성을 거쳐,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리브 유기층(153)은, 아크릴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기 수지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보호층으로 이용되는 리브 유기층(153)은, 그 연성이 플렉시블 기판(10)의 연성보다도 낮은 재료일 필요가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리브 유기층(153)을 보호층(50)으로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아도 된다. 이 리브 유기층(153)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 이상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이다.
표시 영역(D1)에 있어서는, 리브 유기층(153)은, 화소 전극층(114)의 주변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굴곡부(C) 근방에 있어서는, 리브 유기층(153)은, 굴곡부(C) 및 그 양측의 소정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상술한 보호층(50)을 형성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장치(1)의 제조 방법의 도 11에 이어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리브 유기층(153)을 형성한 후에, 발광층(120)을 형성한다. 그 후, 대향 기판(20)에 의해 적어도 표시 영역(D1, D2)의 영역의 표시 소자를 봉지한다. 봉지 시에는, 대향 기판(20)과 플렉시블 기판(10)의 사이에는, 아크릴 수지 등의 충전제(170)가 충전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굴곡부(C)의 근방에 대해서도 대향 기판(20)으로 봉지되어 있다.
대향 기판(20)은, 플렉시블 기판(10)과 마찬가지로, 플렉시블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유기 수지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20)에는, 컬러 필터, 차광층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 후, 유리 기판(30) 측에서 플렉시블 기판(10)을 향해서 레이저 등의 광을 조사하여, 플렉시블 기판(10)에서 유리 기판(30)을 박리한다. 유리 기판(30) 측에서 레이저 광을 조사하면, 플렉시블 기판(10)과 유리 기판(30)의 계면에 있어서 유기 수지층에 레이저 광이 흡수되어 가열된다. 이에 의해, 유기 수지층의 분해가 생기고, 유리 기판(30)과 플렉시블 기판(10)의 밀착력이 약해져, 박리가 가능해 진다. 이에 의해, 도 1B 및 도 5에 도시하는 표시장치(1)가 제조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면(S1)에 대하여, 제2(S2) 면 및 제3 면(S3)을 구부려 고정하고, 고정한 상태로 소성하면, 도 1A에 도시하는 표시장치(1)가 완성된다. 소성 온도는, 60℃ 이상 250℃ 이하이다. 표시 소자에 OLED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OLED의 내열성을 고려하여, 60℃ 이상 1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70℃ 이상 80℃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 소자에 내열성이 높은 재료를 이용한 경우, 또는, 표시 소자에 포함되는 내열성이 낮은 재료(예를 들어, OLED)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의 소성을 행하는 경우에는, 200℃ 이상 2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20℃ 이상 2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 면(S1)에 대하여, 제2 면(S2) 및 제3 면(S3)을 구부리면, 플렉시블 기판(10)의 두께의 영향에 의해, 주사선(101)은, 당겨 지는 방향(파단하기 쉬운 방향)으로 힘이 걸린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10)보다도 연성이 낮은 보호층(50)이 굴곡부(C)에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보호층(50)이 플렉시블 기판(10)을 압축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플렉시블 기판(10)이 주사선(101)을 당기는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구부릴 영역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보호층(50)을 주사선(101) 등의 도전층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함으로써, 이 영역에서의 굽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층간 유기층(151)을 보호층(50)으로 이용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호층(50)에 관하여, 다른 층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층간 유기층(151)이 보호층(50)으로 이용되고, 화소 전극층(114)은, 보호층(50)의 상층에 존재(도 4에 대응)하고 있다. 즉, 이 예에서는, 보호층(50)은, 화소 전극층(114)과 배선층(112)에 끼워져 있다.
이 경우에는, 층간 유기층(151)은, 그 연성이, 플렉시블 기판(10)의 연성보다도 낮은 재료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보호층(50)의 존재에 의해, 굴곡부(C)에 있어서 주사선(101)(배선층(112) 및 화소 전극층(114))으로의 부하가 저감되어, 굽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을 보호층(50)으로 이용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호층(50)에 관하여, 다른 층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부(C) 근방에는,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이 존재하고, 이에 의해, 보호층(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층간 유기층(151)은, 리브 유기층(153)보다도 크게 퍼져 있다. 리브 유기층(153)은 굴곡부(C)의 내부에만 존재한다.
이 예에서는, 화소 전극층(114)은,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에 의해 끼워져 있다. 즉, 화소 전극층(114)은, 보호층(50)에 끼워져 있다.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은, 각각의 연성이, 플렉시블 기판(10)의 연성보다도 낮은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리브 유기층(153)은, 그 연성이, 플렉시블 기판(10)의 연성뿐만 아니라 층간 유기층(151)의 연성보다도 낮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보호층(50)의 존재에 의해, 굴곡부(C)에 있어서 주사선(101)(배선층(112) 및 화소 전극층(114))으로의 부하가 저감되어, 굽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의 크기 관계가, 역의 관계로 되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호층(50)에 관하여, 다른 층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부(C) 근방에는,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이 존재하고, 이에 의해 보호층(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리브 유기층(153)은, 층간 유기층(151)보다도 크게 퍼져 있다. 층간 유기층(151)은 굴곡부(C)의 내부에서만 존재한다.
이 예에서는, 화소 전극층(114)은,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에 의해 끼워져 있다. 즉, 화소 전극층(114)은, 보호층(50)에 끼워져 있다.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은, 각각의 연성이, 플렉시블 기판(10)의 연성보다도 낮은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리브 유기층(153)은, 그 연성이, 플렉시블 기판(10)의 연성뿐만 아니라 층간 유기층(151)의 연성보다도 낮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보호층(50)의 존재에 의해, 굴곡부(C)에 있어서의 주사선(101)(배선층(112) 및 화소 전극층(114))으로의 부하가 저감되어, 굽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의 각각이, 굴곡부(C)에서 제1 면(S1) 및 제2 면(S2) 측으로 확대되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층(50)에 관하여, 다른 층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부(C) 근방에는,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이 존재하고, 이에 의해 보호층(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리브 유기층(153)은, 층간 유기층(151)보다도 크게 퍼져 있다.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 어느 쪽도 굴곡부(C)에서 제1 면(S1) 및 제2 면(S2) 측으로 퍼져 있다. 또한, 층간 유기층(151)과 리브 유기층(153)의 크기의 관계는, 역의 관계일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화소 전극층(114)은,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에 의해 적어도 굴곡부(C) 전체에 있어서 끼워져 있다. 즉, 화소 전극층(114)는, 적어도 굴곡부(C) 전체에 있어서 보호층(50)에 끼워져 있다.
층간 유기층(151) 및 리브 유기층(153)은, 각각의 연성이, 플렉시블 기판(10)의 연성보다도 낮은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리브 유기층(153)은, 그 연성이, 프렉시블 기판(10)의 연성뿐만 아니라 층간 유기층(151)의 연성보다도 낮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보호층(50)의 존재에 의해, 굴곡부(C)에 있어서의 주사선(101)(배선층(1120 및 화소 전극층(114))으로의 부하가 저감되어, 굽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소 전극층(114)이 금속 산화물인 경우에는 금속층보다도 파단하기 쉽기 때문에, 굴곡부(C) 전체에 있어서, 화소 전극층(114)을 상하층에서 보호층(50)이 끼워 넣음으로써, 보다 굽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토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10: 플렉시블 기판 30: 유리 기판
50: 보호층 101: 주사선
102: 데이터 신호선 103: 주사선 구동 회로
104: 드라이버 IC 105: 화소
110: 박막 트랜지스터 112: 배선층
114: 화소 전극층 120: 발광층
151: 층간 유기층 153: 리브 유기층

Claims (17)

  1. 제1 면,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의 사이의 굴곡부을 갖는 기판과,
    상기 제1 면에 배치된 표시 소자와,
    상기 표시 소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굴곡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면으로 연재하는 도전층과,
    상기 기판보다 연성이 낮고, 상기 도전층에 대하여 상기 기판측 및 상기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적어도 한 쪽 측에 배치되고, 상기 굴곡부를 따라 늘어서는 복수의 보호층이며, 각각이 상기 굴곡부, 당해 굴곡부에서 상기 제1 면측의 소정 영역, 및 당해 굴곡부에서 상기 제2 면측의 소정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측의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표시 소자가 배치된 영역과는 다른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에 있어서의 상기 도전층은 복수이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전층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기 보호층은, 당해 도전층에 인접하는 상기 도전층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기 보호층과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패턴 주변부는, 꼭지점을 갖지 않는 선으로 둘러 싸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 있어서도 표시 소자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면측의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제2 면의 상기 표시 소자가 배치된 영역과는 다른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보호층은, 유기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 이미드이며, 상기 보호층은 아크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된 표시소자와,
    상기 표시소자와 접속되고, 소정의 방향으로 연재하는 도전층과,
    상기 기판보다 연성이 낮고, 상기 도전층에 대하여 상기 기판측 및 상기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적어도 한 쪽 측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이 연재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줄지어 배치된 복수의 보호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1 면,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의 사이의 굴곡 예정 영역을 각각 갖는 기판에, 표시 소자, 도전층 및 복수의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표시 소자는, 적어도 상기 제1 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층은, 상기 표시 소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굴곡 예정 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2 면으로 연재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기판보다 연성이 낮고, 상기 도전층에 대하여 상기 기판측 및 상기 기판측과는 반대측의 적어도 한 쪽 측에 배치되고, 상기 굴곡 예정 영역, 당해 굴곡 예정 영역에서 상기 제1 면측의 소정 영역, 및 당해 굴곡 예정 영역에서 상기 제2 면측의 소정 영역에 걸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보호층이 상기 굴곡 예정 영역을 따라 늘어서 있는 상기 굴곡 예정 영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굴곡시켜 고정하는 것과,
    상기 기판을 소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측의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표시 소자가 배치된 영역과는 다른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 예정 영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복수이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전층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기 보호층은, 당해 도전층에 인접하는 상기 도전층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기 보호층과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패턴 주변부는, 꼭지점을 갖지 않는 선으로 둘러싸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 있어서도 표시 소자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면측의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제2 면의 상기 표시 소자가 배치된 영역과는 다른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보호층은, 유기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 이미드이고, 상기 보호층은 아크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0081374A 2014-06-25 2015-06-09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57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30279 2014-06-25
JP2014130279A JP6289286B2 (ja) 2014-06-25 2014-06-25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46A true KR20160000846A (ko) 2016-01-05
KR101757532B1 KR101757532B1 (ko) 2017-07-27

Family

ID=5493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374A KR101757532B1 (ko) 2014-06-25 2015-06-09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5) US9806286B2 (ko)
JP (1) JP6289286B2 (ko)
KR (1) KR101757532B1 (ko)
CN (2) CN105280673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223A (ko) * 2016-03-25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3757A (ko) * 2016-03-24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9633A (ko) * 2016-11-25 2018-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US10026921B2 (en) 2016-02-26 2018-07-17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80112203A (ko) * 2017-03-31 2018-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9286B2 (ja) * 2014-06-25 2018-03-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5679800B (zh) * 2016-01-27 2019-08-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屏及其制备方法、显示设备
KR102505878B1 (ko) * 2016-01-29 202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13997B1 (ko) 2016-02-04 2023-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61385B2 (en) 2016-02-12 2019-07-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536250B1 (ko) 2016-03-17 2023-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283574B2 (en) * 2016-03-25 2019-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bending area capable of minimizing manufacturing defects
JP6930007B2 (ja) * 2016-04-04 2021-09-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フレキシブル基板
KR102572720B1 (ko) * 2016-05-03 2023-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10025B1 (ko) * 2016-06-02 2023-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5977400B (zh) * 2016-07-21 2018-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405120B1 (ko) 2016-09-29 2022-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JP6872343B2 (ja) * 2016-10-18 2021-05-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8078057A (ja) * 2016-11-11 2018-05-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81286B1 (ko) * 2017-05-18 2022-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123667B (zh) * 2017-06-28 2020-04-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柔性显示器
WO2019021466A1 (ja) * 2017-07-28 2019-01-3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表示デバイスの製造装置
KR102427667B1 (ko) 2017-09-26 2022-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1385B1 (ko) * 2017-09-27 2022-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40081A1 (en) * 2017-11-06 2019-05-09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Tft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24340B1 (ko) * 2018-02-22 2023-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447872B (zh) 2018-03-14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08649054B (zh) 2018-05-08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0752230B (zh) * 2018-07-24 2023-04-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9166894B (zh) * 2018-08-31 2021-04-0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保护膜、显示装置
US11462713B2 (en) * 2018-10-05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9887972A (zh) * 2019-02-27 2019-06-1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具有该阵列基板的显示装置
JP7373104B2 (ja) * 2019-06-05 2023-11-02 JDI Design and Development 合同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20262372A1 (ja) * 2019-06-27 2020-12-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樹脂多層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459571B (zh) * 2019-08-19 2022-0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电致发光显示装置和阵列基板的制作方法
CN111221181A (zh) * 2020-01-20 2020-06-02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背光源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7192A (ja) * 1990-04-17 1991-12-27 Mitsubishi Cable Ind Ltd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31122A (ja) * 2000-05-18 2001-11-30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JP2005183536A (ja) * 2003-12-17 2005-07-07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835053B1 (ko) 2006-01-05 2008-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그제조 방법
KR100812001B1 (ko) * 2006-11-10 2008-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24535B1 (ko) 2008-07-07 2011-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8911653B2 (en) * 2009-05-21 2014-12-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evice
CN101996535A (zh) * 2009-08-25 2011-03-3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学装置和电子设备
JP5446790B2 (ja) * 2009-12-02 2014-03-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618157B1 (ko) * 2009-12-21 2016-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419094B (zh) * 2010-09-10 2013-12-11 Au Optronics Corp 可撓性顯示面板
US8716932B2 (en) * 2011-02-28 2014-05-0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s
US10061356B2 (en) *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79188B1 (ko) * 2012-05-09 2020-02-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4012173B (zh) * 2012-07-26 2016-08-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有机el装置
KR101965257B1 (ko) 2012-10-08 2019-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KR101973778B1 (ko) * 2012-11-16 2019-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US9349969B2 (en) * 2013-02-01 2016-05-24 L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9273622B (zh) * 2013-08-06 2021-03-1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剥离方法
JP5964807B2 (ja) * 2013-08-30 2016-08-03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レキシブル有機電界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289286B2 (ja) * 2014-06-25 2018-03-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367848B2 (ja) * 2016-02-10 2018-08-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456317B2 (ja) * 2016-02-26 2019-01-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可撓性表示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6921B2 (en) 2016-02-26 2018-07-17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217956B2 (en) 2016-02-26 2019-02-26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KR20170113757A (ko) * 2016-03-24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4223A (ko) * 2016-03-25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9633A (ko) * 2016-11-25 2018-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US11678545B2 (en) 2016-11-25 2023-06-13 Lg Display Co., Ltd.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180112203A (ko) * 2017-03-31 2018-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411067B2 (en) 2017-03-31 2022-08-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889731B2 (en) 2017-03-31 2024-01-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22722B2 (en) 2022-05-03
KR101757532B1 (ko) 2017-07-27
CN105280673A (zh) 2016-01-27
US20220238842A1 (en) 2022-07-28
CN110071139A (zh) 2019-07-30
US10797265B2 (en) 2020-10-06
CN105280673B (zh) 2019-01-11
US20200403185A1 (en) 2020-12-24
US9806286B2 (en) 2017-10-31
US20150380679A1 (en) 2015-12-31
US10355240B2 (en) 2019-07-16
US11832472B2 (en) 2023-11-28
CN110071139B (zh) 2023-05-05
US20180026231A1 (en) 2018-01-25
US20190288236A1 (en) 2019-09-19
JP6289286B2 (ja) 2018-03-07
JP2016009118A (ja)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532B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JP6497858B2 (ja) 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EP3176825B1 (en) Flexible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US971008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EP3299875A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dhesive layer
KR101701021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5407649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US10268092B2 (en) Display device
JP2019012098A (ja) 表示装置
US1044663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10621893B2 (en)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mounting device, and controller
JP5407648B2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KR20170079901A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102050384B1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패널
WO2019130739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8035113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JP2015191211A (ja) 表示装置
KR102407529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WO2019102661A1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2017007933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