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336A -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 - Google Patents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336A
KR20150119336A KR1020157025330A KR20157025330A KR20150119336A KR 20150119336 A KR20150119336 A KR 20150119336A KR 1020157025330 A KR1020157025330 A KR 1020157025330A KR 20157025330 A KR20157025330 A KR 20157025330A KR 20150119336 A KR20150119336 A KR 20150119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ph
activity
present
particularly lim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야기
요시카주 요네이
기요후미 다카야마
히로시게 가와이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학교법인 도시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학교법인 도시샤 filed Critical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3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Cyperaceae (Sedg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C12N9/50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 C12N9/64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animal tissue
    • C12N9/6421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 C12N9/6424Serine endopeptidases (3.4.2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1Serine endopeptidases (3.4.2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eu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besit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의 새로운 활성 증강화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는, 마름, 스테비아, 로즈마리, 타임, 국화, 세이보리, 쑥, 밤, 스피어민트, 마조람, 페퍼민트, 레몬 밤, 올스파이스, 차조기, 바질 및 캐러웨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OXIDIZED PROTEIN HYDROLASE ACTIVITY ENHANCING AGENT}
본 발명은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에 관한 것이다.
생체 내에서의 산화 반응 및 당화 반응은, 세포 및 조직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산화 반응 또는 당화 반응을 받은 단백질, 즉 산화 단백질 또는 당화 단백질은, 그 생성 및 축적이, 당뇨병 합병증, 알츠하이머병, 백내장, 동맥 경화 등의 질병, 및 피부 등의 조직의 노화 및 기능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이 때문에, 상기 산화 단백질 및 상기 당화 단백질은, 상해 단백질이라고 불리고 있다. 특히, 단백질에의 당의 비효소적 부가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최종 생성물 AGEs(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종말 당 화합물)의 축적이 문제시되고 있다.
통상, 이들 상해 단백질은, 프로테아좀, 및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Oxidized Protein Hydrolase, 이하 「OPH」라고 한다.) 등의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 제거된다. 그러나, 이들의 효소 활성은, 나이를 먹으면서 저하되기(비특허문헌 2) 때문에, 상기 효소의 활성을 증강시키는 것에 의한, 상기 질병, 상기 조직의 노화 및 조직의 기능 저하의 치료 및 예방의 가능성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상기 프로테아좀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거대한 효소 복합체이며, 26S 프로테아좀, 20S 프로테아좀 등이 있다. 상기 프로테아좀을 활성화하는 물질은, 대두 사포닌, 케일 추출물, 실리빈(silybin), 실란 화합물 및 붓꽃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5). 또한, 상기 OPH는, 세린프로테아제의 일종이며, 이것을 활성화하는 물질은, 로만 캐모마일, 삼백초, 서양 산사나무 및 포도 등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6). 그러나, 최근, 더욱 강력한 신규의 활성 증강화제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959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425543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08505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4-91398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07-99650호 공보 특허문헌 6: 국제 공개 제2011/004733호
비특허문헌 1: 고토 등, 실험 의학, 18(증간), 2324-2331 페이지, 1998년 비특허문헌 2: Breusing N. 등, Biol.Chem., Vol.389, p.203-209(2008)
그래서, 본 발명은, 새로운 OPH의 활성 증강화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는, 마름, 스테비아(stevia), 로즈마리, 타임(thyme), 국화, 세이보리, 쑥, 밤, 스피어민트, 마조람(marjoram), 페퍼민트, 레몬 밤(lemon balm), 올스파이스, 차조기, 바질(basil) 및 캐러웨이(caraway)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 방법은,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를, OPH를 포함하는 시료에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 분해 촉진 방법은,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를, 단백질과 OPH를 포함하는 시료에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단백질이, 산화 단백질 및 당화 단백질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를 생체에 투여하여, 산화 단백질 또는 당화 단백질의 생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및 조직의 기능 저하를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OPH의 활성의 증강화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상해 단백질, 즉, 산화 단백질 및 AGE화 단백질 등의 당화 단백질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컨대, 생체 내에 생성된 상기 상해 단백질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및 기능 저하의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예로부터 이용되어 온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우수하고, 또한, 상기 식물의 추출물은 대량으로 입수 가능하기 때문, 생산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효소 활성의 증강화는, 예컨대, 효소의 활성화 및 실활(失活) 억제의 어느 쪽의 의미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OPH는, 아실아미노산 유리 효소(AARE) 또는 아실펩티드 히드롤라제(ACPH)라고도 말한다.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름, 스테비아, 로즈마리, 타임, 국화, 세이보리, 쑥, 밤, 스피어민트, 마조람, 페퍼민트, 레몬 밤, 올스파이스, 차조기, 바질 및 캐러웨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는, 전술한 식물 중, 예컨대,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해도 좋으며, 모든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에 의하면, OPH 활성을 증강할 수 있기 때문에, 산화 단백질 또는 AGE화 단백질 등의 당화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에 의하면, 예컨대, OPH 활성의 증강화에 의해, AGE화 알부민 또는 AGE화 콜라겐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알부민은, 일반적으로, 넓게 전신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는, 상기 AGE화 알부민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전신에 효과적이며, 구체예로서 신진 대사의 향상에 유용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콜라겐은, 일반적으로, 피부, 힘줄, 뼈, 연골 등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는, 상기 AGE화 콜라겐을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피부의 개선에 유용하다고 말할 수 있다.
OPH 활성을 증강함으로써, 상기 AGE화 알부민을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경우,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는, 예컨대, 마름, 스테비아, 로즈마리, 타임, 국화, 세이보리 및 쑥으로 이루어지는 A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름, 스테비아, 로즈마리 및 타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OPH 활성을 증강함으로써, 상기 AGE화 콜라겐을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경우,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는, 예컨대, 밤(속껍질), 타임, 세이보리, 로즈마리, 스피어민트, 국화, 마름 및 스테비아로 이루어지는 B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밤(속껍질), 타임, 세이보리, 로즈마리, 스피어민트 및 국화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OPH 활성을 증강함으로써, 상기 AGE화 알부민 및 상기 AGE화 콜라겐을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경우,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는, 예컨대, 상기 A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과, 상기 B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는, 그 중에서도, 마름, 스테비아, 로즈마리, 타임 및 국화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름(학술명 Trapa japonica)은, 마름과 마름속의 식물이다. 상기 마름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花穗),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根莖), 근피(根皮),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마름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종피(種皮)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테비아(학술명 Stevia rebaudiana)는, 국화과 스테비아속의 식물이다. 상기 스테비아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스테비아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로즈마리(학술명 Rosmarinus officinalis)는, 차조기과 로즈마리누스속의 식물이다. 상기 로즈마리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로즈마리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타임(학술명 Thymus vulgaris)은, 차조기과 백리향속의 식물이다. 상기 타임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타임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국화(학술명 Chrysanthemum morifolium)는, 국화과 국화속의 식물이다. 상기 국화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국화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꽃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 식용 국화의 꽃잎이다.
상기 세이보리(학술명 Satureia hortensis)는, 차조기과 세이보리속의 식물이다. 상기 세이보리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세이보리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잎 및 꽃이삭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쑥(학술명 Artemisa indica)은, 국화과 쑥속의 식물이다. 상기 쑥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쑥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밤(학술명 Castanea crenata)은, 참나무과 밤속의 식물이다. 상기 밤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밤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겉껍질의 추출물 또는 속껍질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피어민트(학술명 Mentha spicata)는, 차조기과 박하속의 식물이다. 상기 스피어민트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스피어민트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마조람(학술명 Origanum majorana)은, 차조기과 꽃박하속의 식물이다. 상기 마조람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마조람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페퍼민트(학술명 Mentha piperita)는, 차조기과 박하속의 식물이다. 상기 페퍼민트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페퍼민트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레몬 밤(학술명 Melissa officinalis)은, 차조기과 멜리사속의 식물이다. 상기 레몬 밤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레몬 밤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올스파이스(학술명 Pimenta dioica)는, 도금양과 올스파이스속의 식물이다. 상기 올스파이스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올스파이스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과실 및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차조기(학술명 Perilla frutescens)는, 차조기과 차조기속의 식물이다. 상기 차조기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차조기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이삭의 추출물을 들 수 있으며, 구체예로서, 호지소(차조기의 어린 이삭)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질(학술명 Ocimum basilicum)은, 차조기과 바질속의 식물이다. 바질은, 예컨대, 이탈리아 요리 등에 많이 사용되는 품종으로서, 「바실리코」, 「바질」 혹은 「스위트 바질(Sweet basil)」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바질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바질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캐러웨이(학술명 Carum carvi)는, 미나리과 커민속의 식물이다. 상기 캐러웨이의 추출물은, 예컨대, 꽃, 꽃이삭, 이삭, 과피, 과실, 줄기, 가지,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의 어느 것의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캐러웨이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추출 부위 또는 식물체 전체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용매 추출법, 압착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법에 이용하는 추출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수성 용매, 유기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성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 등의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 에테르, 니트릴, 방향족 화합물 및 염화알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코올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및 무수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톤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아세톤 및 포름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아세트산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디에틸에테르 및 디옥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니트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화알킬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클로로포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예컨대, 1종류의 용매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용매를 조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는, 예컨대, 상기 수성 용매와 상기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여도 좋다. 상기 혼합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에탄올 수용액 등의 저급 알코올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혼합 용매에 있어서의 상기 유기 용매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1∼99 체적%이다.
상기 용매 추출법은, 예컨대, 전술한 추출 부위 또는 식물체 전체를 원료로 하고, 이것을 상기 추출 용매에 침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원료는, 예컨대, 상기 침지 전에, 세정, 건조 및 분쇄 등의 처리를 행해도 좋다. 상기 원료가 2종류 이상인 경우, 각 원료를 각각 추출 처리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원료의 혼합물을 추출 처리해도 좋다. 전자의 경우, 예컨대, 얻어진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로 해도 좋다. 상기 혼합 추출물에 있어서의 각 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등량(중량)이어도 좋다. 후자의 경우, 예컨대, 상기 혼합물 중의 각 원료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등량(중량)이어도 좋다.
추출에 이용하는 상기 원료와 상기 추출 용매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원료 100 g(건조 중량)에 대해, 예컨대, 상기 추출 용매 1∼1000 L, 1∼100 L이다. 상기 침지 시간은, 예컨대, 상기 원료 및 상기 추출 용매의 종류 및 양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원료 100 g을 상기 추출 용매 10 L에 침지하는 경우, 상기 침지 시간은, 예컨대, 0.5시간 이상, 0.5∼24시간이다.
또한, 상기 추출시의 상기 추출 용매의 온도는, 실온이어도 좋고, 실온 이상 또는 실온 이하여도 좋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용매가 수성 용매인 경우, 상기 추출 처리는, 예컨대, 열수(熱水) 추출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수 추출의 경우, 상기 수성 용매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하한은, 예컨대, 30℃ 이상, 50℃ 이상이며, 범위는, 예컨대, 50∼100℃이다. 또한, 상기 열수 추출의 처리 시간은, 예컨대,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 및 상기 수성 용매의 양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원료 100 g(건조 중량)을 상기 수성 용매 10 L로 추출하는 경우, 상기 처리 시간은, 하한이, 예컨대, 0.5시간 이상이고, 범위는, 예컨대, 0.5∼24시간이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추출 처리 후, 예컨대, 정제 처리 등을 실시해도 좋다. 상기 정제 처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증류 처리, 여과 처리, 크로마토그래피 처리 및 건조 처리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물 추출법, 알코올 추출법, 미셀화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을 구체예로서 들 수 있다. 물 추출법에 의하면, 예컨대, 보다 저렴하고, 보다 안전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추출법에 의하면, 예컨대, 물로는 추출할 수 없는 성분도 회수할 수 있고, 또한, 살균도 가능하다. 상기 미셀화 추출법에 의하면, 예컨대, 물에 녹는 성분과 알코올에 녹는 성분의 양방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법에 의하면, 보다 우수한 추출 효율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여과 처리는, 예컨대, 한외 여과 처리를 들 수 있다. 상기 한외 여과 처리에 있어서, 분자량 분획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회수하는 획분의 분자량은, 예컨대, 10 kDa 이하이다.
상기 추출물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액상, 페이스트상 및 분말상 등을 들 수 있고, 후술하는 OPH 활성 증강화제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는, 전술한 추출물만을 포함해도 좋고, 전술한 추출물과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이어도 좋다. 상기 성분은, 예컨대,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붕괴제, 흡수 촉진제, 유화제, 안정화제 및 방부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 중의 상기 각종 첨가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고형 형상, 겔상 및 액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형태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산제(散劑), 세립제, 과립제,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트로키제, 점안제, 액제, 첩부제, 로션제 및 연고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는, 예컨대, 생체에 투여함으로써, 생체 내에서의 OPH의 활성을 증강화 가능하다. 이 때문에,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생체 내의 산화 단백질 또는 AGE화 단백질 등의 당화 단백질이 원인이 되는 질병이나, 조직의 노화 및 기능 저하 등의 치료 방법 또는 예방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는, 예컨대, 일반 식품 및 영양 보조 식품 등의 식품, 화장료, 의약 부외품 및 의약품 등의 그 외의 성분과 배합하여, 조성물로서 투여해도 좋다.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의 배합량은, 예컨대, 상기 그 외의 성분 및 투여 대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는, 예컨대, 생체 내의 상기 산화 단백질 또는 상기 당화 단백질이 원인이 되는 질병이나, 조직의 노화 및 기능 저하 등의 치료 의약 또는 예방 의약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를, OPH를 포함하는 시료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시료 중의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을 증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컨대, 상기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의 기재를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예컨대, 생체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여도 좋고, 비생체 시료여도 좋다.
본 발명의 단백질 분해 촉진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를, 단백질과 OPH를 포함하는 시료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시료 중의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산화 단백질 또는 당화 단백질의 분해를 촉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컨대, 상기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의 기재를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분해 촉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예컨대, 생체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여도 좋고, 비생체 시료여도 좋다.
상기 산화 단백질 및 상기 당화 단백질은, 예컨대, 가령(加齡) 또는 노화 병태(病態)를 나타내는 질환에 따라 수식을 받은 단백질, 자외선 폭로(曝露) 등에 의해 산화 장해를 받은 단백질, 당에 의해 수식을 받은 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의 수식은, 예컨대, 산화, 당화, 카르보닐화, 아실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보닐화에는, 예컨대, 하이드록시노네날화, 말론디알데히드화, 글리콜알데히드화, 피랄린화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산화 단백질은, 산화옥시레독신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당화 단백질은, HbA1c, 글리코알부민 , AGEs(종말 당화 산물)화 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를 생체에 투여하여, 산화 단백질 또는 당화 단백질의 생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및/또는 조직의 기능 저하를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예방 방법이어도 좋다. 상기 질병은, 예컨대, 당뇨병 합병증, 알츠하이머병, 백내장, 동맥 경화, 골다공증, 류머티즘 및 변형성 골관절 질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직은, 예컨대, 피부, 신경, 신장, 혈관, 망막, 수정체, 뼈, 관절, 뇌조직, 간장 및 적혈구 등을 들 수 있다.
투여 대상이 되는 생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을 들 수 있고, 후자는, 예컨대, 원숭이, 소, 돼지, 개 및 고양이 등의 비인간 포유류, 닭 등의 조류 및 어패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를 들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는, 예컨대, 경피 투여 및 정맥 주사 등의 주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전술한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외의 성분과 배합한 조성물로서 투여해도 좋다.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의 배합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히 설정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의 투여량은, 예컨대, 동물종, 연령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건강한 성인이 경구 섭취하는 경우,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의 섭취량은, 상기 추출물(고형물) 환산으로, 하한이, 예컨대, 10 ㎎, 50 ㎎이고, 상한이, 2000 ㎎, 1000 ㎎이며, 그 범위가, 예컨대, 10∼2000 ㎎, 50∼1000 ㎎이다. 상기 본 발명의 OPH 활성 증강화제는, 예컨대, 상기 질병, 조직의 노화 및/또는 기능 저하의 치료약이라고도 말할 수 있고, 예방약의 의미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산화 단백질 또는 당화 단백질의 생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및/또는 기능 저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마름, 스테비아, 로즈마리, 타임, 국화, 세이보리, 쑥, 밤, 스피어민트, 마조람, 페퍼민트, 레몬 밤, 올스파이스, 차조기, 바질 및 캐러웨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추출물이다. 상기 치료는, 예방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 또는 상기 치료 의약 혹은 예방 의약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마름, 스테비아, 로즈마리, 타임, 국화, 세이보리, 쑥, 밤, 스피어민트, 마조람, 페퍼민트, 레몬 밤, 올스파이스, 차조기, 바질 및 캐러웨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화 단백질 또는 당화 단백질의 생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및 기능 저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마름, 스테비아, 로즈마리, 타임, 국화, 세이보리, 쑥, 밤, 스피어민트, 마조람, 페퍼민트, 레몬 밤, 올스파이스, 차조기, 바질 및 캐러웨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치료는, 예방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추출물 및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각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고, 조합, 사용 방법 등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OPH 활성 증강화제 또는 상기 치료 의약 혹은 예방 의약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마름, 스테비아, 로즈마리, 타임, 국화, 세이보리, 쑥, 밤, 스피어민트, 마조람, 페퍼민트, 레몬 밤, 올스파이스, 차조기, 바질 및 캐러웨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본 예에서는, AGE화 인간 혈청 알부민을 지표로 하여, 각 식물 추출물에 의한 OPH 활성에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1) 식물의 추출 샘플의 조제
식품 성분표 2012(죠시 에이요 다이가쿠 출판)에 따라, 식물을 컷트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식물의 식물 샘플을 얻었다. 상기 식물 샘플을, 건조기(다이키식 식품 건조기 쁘띠 미니(petit mini), 다이키 산교)를 이용하여, 65℃에서 20시간 건조시켰다. 얻어진 건조 샘플을, 분쇄기(라보 밀서(Labo Millser) LM-PLUS, 오사카 케미컬)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그리고, 상기 분말 샘플 2 g을 80℃의 증류수 40 mL에 현탁하고, 1시간 추출 처리를 행한 후, 원심 분리하여 상청을 얻었다. 이들 상청을 추출 샘플로 하였다.
마름: 종피
스테비아: 잎
로즈마리: 잎
타임: 잎
국화(식용 국화): 꽃잎
세이보리: 잎 및 꽃이삭
쑥: 잎
밤: 겉껍질 또는 속껍질
스피어민트: 잎
마조람: 잎
페퍼민트: 잎
레몬 밤: 잎
올스파이스: 과실 및 잎
차조기: 호지소
바질: 잎
캐러웨이: 잎
(2) OPH에 의한 AGEs 분해 활성의 측정
40 ㎎/mL 인간 혈청 알부민(code: A-16532, 시그마), 100 mmol/L 인산 완충액(pH7.4), 2 mol/L 글루코오스 및 증류수를, 체적비 2:5:1:2가 되도록 혼합하고, 이 혼합액을 60℃에서 40시간 인큐베이트하여, AGE화 인간 혈청 알부민(AGE-HSA)을 조제하였다. 이것을 OPH의 분해 활성 측정용의 기질로서 사용하였다.
OPH는, 0.5 U/mL Acylamino-acid-releasing enzyme(AARE, code 7301, 다카라 바이오)을 사용하였다(이하, 동일). 그리고, 하기 조성의 반응액을 조제하여, 37℃에서 90분 인큐베이트하였다. 인큐베이트 후, 7% 과염소산(PCA) 수용액 100 μL를 첨가하고, 20분간 빙냉(氷冷)한 후, 4℃에서 원심 분리를 행하고,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200 mmol/L Tris-HCl(pH7.4) 350 μL로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을, 96웰 흑색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250 μL씩 첨가하였다. 그리고, 상기 각 웰에 대해, AGEs 유래의 형광(여기 파장 370 ㎚, 검출 파장 440 ㎚)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였다. 동시에, 컨트롤로서, 상기 추출 샘플을 첨가하지 않는 반응액을 조제하고,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그리고, 측정값을, 5 ㎍/mL 황산키니네 용액의 형광값을 1,000으로 한 상대값으로 환산하고, 하기식으로부터 OPH의 AGEs 분해 활성 증강률(%)을 산출하였다. 하기식으로부터 산출되는 AGEs 분해 활성 증강률은, 컨트롤(추출 샘플 미첨가; 이하, C라고 표기)에 있어서의 OPH의 분해 활성에 대한 실시예(추출 샘플 첨가; 이하, S라고 표기)에 있어서의 분해 활성의 증강률을 나타낸다.
OPH의 AGEs 분해 활성 증강률(%)=[1-(S/C)]×100
Figure pct00001
이들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추출 샘플을 첨가한 실시예는, 컨트롤보다 우수한 OPH의 활성 증강화를 나타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마름 추출물은, 현저한 활성 증강화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각 식물 추출물에 의하면, OPH의 활성을 증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AGE화 단백질의 분해 제거를 촉진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2]
본 예에서는, AGE화 인간 혈청 알부민을 지표로 하여, 한외 여과한 각 식물 추출물에 의한 OPH 활성에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1) 식물의 추출 샘플의 조제
이하에 나타내는 식물의 건조 샘플을 준비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추출 처리를 행한 후, 원심 분리에 의해 상청을 회수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청을, 분획 분자량 10 kDa의 한외 여과 필터(상품명 아미콘 울트라(Amicon Ultra)-0.5 원심식 필터 유닛 울트라셀(Ultracel)-10 멤브레인 장착, 머크사(머크 밀리포어 사업 본부) 제조)를 이용하여 한외 여과하고, 분자량 10 kDa 미만의 저분자량 획분을 회수하여, 추출 샘플로 하였다.
마름: 종피
스테비아: 잎
로즈마리: 잎
타임: 잎
국화(식용 국화): 꽃잎
세이보리: 잎 및 꽃이삭
스피어민트: 잎
(2) OPH에 의한 AGEs 분해 활성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AGE화 인간 혈청 알부민(AGE-HSA)을, OPH의 분해 활성 측정용의 기질로서 사용하였다. 그리고, 하기 조성의 4종류의 반응액(A∼D)을 조제하였다(n=3). 반응액에 있어서, 각 성분은, Tris-HCl, 추출 샘플, OPH, AGE-HSA의 순으로 첨가하였다.
Figure pct00003
상기 반응액을 혼합한 후, 37℃에서 18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인큐베이트 후, 7% 과염소산(PCA) 수용액 100 μL를 첨가하고, 20분간 빙냉한 후, 4℃에서 원심 분리를 행하고,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상기 침전물을, 200 mmol/L Tris-HCl(pH7.4) 350 μL로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을, 96웰 흑색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200 μL씩 첨가하였다. 그리고, 상기 각 웰에 대해, AGEs 유래의 형광(여기 파장 370 ㎚, 검출 파장 440 ㎚)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측정값을, 5 ㎍/mL 황산키니네 용액의 형광값을 1,000으로 한 상대값으로 환산하고, 하기식으로부터 OPH의 AGEs 분해 활성 증강률(%)을 산출하였다.
OPH의 AGEs 분해 활성 증강률(%)=[1-(A-C-D)/(B-C)]×100
A: 반응액 A의 상대값
B: 반응액 B의 상대값
C: 반응액 C의 상대값
D: 반응액 D의 상대값
이들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하기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외 여과에 의해 저분자량 획분으로서 회수한 상기 샘플을 첨가한 실시예는, 컨트롤보다 우수한 OPH의 활성 증강화를 나타내고 특히, 타임은, 현저한 활성 증강화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각 식물 추출물에 의하면, OPH의 활성을 증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AGE화 단백질의 분해 제거를 촉진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3]
본 예에서는, AGE화 콜라겐을 지표로 하여, 각 식물 추출물에 의한 OPH 활성에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1) 식물의 추출 샘플의 조제
이하에 나타내는 식물의 건조 샘플을 준비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추출 처리를 행하여, 추출 샘플을 조제하였다.
마름: 종피
스테비아: 잎
로즈마리: 잎
타임: 잎
국화(식용 국화): 꽃잎
세이보리: 잎 및 꽃이삭
쑥: 잎
밤: 겉껍질 또는 속껍질
스피어민트: 잎
마조람: 잎
페퍼민트: 잎
레몬 밤: 잎
(2) OPH에 의한 AGEs 분해 활성의 측정
콜라겐(콜라겐 타입 I 소 진피 유래(펩신 가용화), 니피사 제조)을 이용하여 AGE화 콜라겐을 조제하고, 이것을, OPH의 분해 활성 측정용의 기질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인간 혈청 알부민을 대신하여 콜라겐을 사용한 것, AGE화 콜라겐의 조제 방법에서는 인큐베이트 시간의 40시간을 10일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AGEs 분해 활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하기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추출 샘플을 첨가한 실시예는, 컨트롤보다 우수한 OPH의 활성 증강화를 나타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로즈마리의 추출물 및 밤(속껍질)의 추출물은, 현저한 활성 증강화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각 식물 추출물에 의하면, OPH의 활성을 증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AGE화 단백질의 분해 제거를 촉진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원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원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13년 2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제2013-029339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 모두를 여기에 받아들인다.
본 발명에 의하면, OPH 활성의 증강화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산화 단백질 및 당화 단백질 등의 상해 단백질의 분해 촉진에 이용할 수 있고, 생체 내에 생성된 상해 단백질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및 조직의 기능 저하의 치료나 예방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로부터 이용되어 온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우수하고, 상기 식물의 추출물이 대량 입수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은 공업 제품, 식품, 의약 등의 폭넓은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5)

  1. 마름, 스테비아(stevia), 로즈마리, 타임(thyme), 국화, 세이보리, 쑥, 밤, 스피어민트, 마조람(marjoram), 페퍼민트, 레몬 밤(lemon balm), 올스파이스, 차조기, 바질(basil) 및 캐러웨이(caraway)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류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
  2. 제1항에 있어서, 2종류 이상의 상기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를 시료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시료 중의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을 증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를 시료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시료 중의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산화 단백질 또는 당화 단백질의 분해를 촉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분해 촉진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KR1020157025330A 2013-02-18 2014-02-14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 KR20150119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9339 2013-02-18
JPJP-P-2013-029339 2013-02-18
PCT/JP2014/053474 WO2014126199A1 (ja) 2013-02-18 2014-02-14 酸化タンパク質分解酵素活性増強化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336A true KR20150119336A (ko) 2015-10-23

Family

ID=5135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330A KR20150119336A (ko) 2013-02-18 2014-02-14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00855A1 (ko)
EP (1) EP2957289A4 (ko)
JP (1) JPWO2014126199A1 (ko)
KR (1) KR20150119336A (ko)
CN (1) CN105101981A (ko)
TW (1) TWI608842B (ko)
WO (1) WO20141261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8697A (zh) * 2014-11-06 2015-03-11 成都果睿医药科技有限公司 治疗骨质疏松的药物组合物
JP6077045B2 (ja) * 2015-01-29 2017-02-08 正雄 神野 不妊の改善剤組成物
WO2016121892A1 (ja) * 2015-01-29 2016-08-04 正雄 神野 不妊の改善剤組成物
US20170335304A1 (en) 2016-05-23 2017-11-23 Arkray, Inc. Oxidized protein hydrolase activity enhancing agent and glycation stress inhibitor
CN110463846A (zh) * 2019-07-30 2019-11-19 河南科技学院 留兰香提取物在制备抗宠物衰老药物或宠物食品中的应用
WO2024062164A1 (fr) * 2022-09-23 2024-03-28 A2P Sciences Acide sagerinique et compositions le contenant pour utilisation dans la prevention et/ou le traitement des troubles lies a la senescence chez un etre humain ou anima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4629A (ja) * 1984-04-23 1985-11-09 Kao Corp 生体内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組成物
JP3558349B2 (ja) * 1992-04-24 2004-08-25 御木本製薬株式会社 美白化粧料
JPH08119869A (ja) * 1994-10-26 1996-05-14 Mikimoto Pharmaceut Co Ltd 活性酸素抑制剤
JPH11246336A (ja) * 1998-02-27 1999-09-14 Ichimaru Pharco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及び美肌化粧料組成物
JP2001122757A (ja) * 1999-10-22 2001-05-08 Naris Cosmetic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抗酸化剤および化粧料
JP2001131046A (ja) * 1999-11-04 2001-05-15 Pola Chem Ind Inc 過酸化水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2179592A (ja) 2000-10-05 2002-06-26 Fancl Corp 異常蛋白質除去用組成物
JP2003063976A (ja) * 2001-08-28 2003-03-05 Ichimaru Pharcos Co Ltd ヒシ抽出物含有化粧料組成物
JP2004091398A (ja) 2002-08-30 2004-03-25 Fancl Corp プロテアソーム活性促進用組成物
TW200515915A (en) * 2002-11-08 2005-05-16 Wackvom Ltd Extract of Trapa nata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05281221A (ja) * 2004-03-30 2005-10-13 Taisho Pharmaceut Co Ltd 骨吸収抑制剤
JP2006117613A (ja) * 2004-10-25 2006-05-11 Ichimaru Pharcos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4255432B2 (ja) 2004-10-28 2009-04-15 株式会社ファンケル 異常蛋白質除去用組成物
JP2006273835A (ja) * 2005-03-04 2006-10-12 Michishi Tani 悪性腫瘍治療剤及びそれを含む飲食品
JP3914244B2 (ja) 2005-10-03 2007-05-16 株式会社ファンケル 異常タンパク質除去用組成物
JP2008308505A (ja) 2008-08-08 2008-12-25 Fancl Corp 異常蛋白質除去用組成物
JP2010077123A (ja) * 2008-08-29 2010-04-08 Hayashikane Sangyo Kk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JP5424600B2 (ja) * 2008-09-16 2014-02-2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アドバンスド・グリケーション・エンドプロダクツ分解剤及び該アドバンスド・グリケーション・エンドプロダクツ分解剤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JPWO2011004733A1 (ja) 2009-07-08 2012-12-20 アークレイ株式会社 酸化タンパク質分解酵素活性増強化剤
JP2011236149A (ja) * 2010-05-10 2011-11-24 Ogawa & Co Ltd 生体内抗酸化剤
JP2012171909A (ja) * 2011-02-22 2012-09-10 Nagano Prefecture 糖化阻害剤
JP2014037399A (ja) * 2012-07-18 2014-02-27 Up Well:Kk 抗糖化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160419A (zh) * 2013-04-02 2013-06-19 邓卫永 一种水果植物香料食用花组合搭配的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00855A1 (en) 2016-01-07
EP2957289A4 (en) 2016-12-21
EP2957289A1 (en) 2015-12-23
JPWO2014126199A1 (ja) 2017-02-02
TWI608842B (zh) 2017-12-21
TW201444568A (zh) 2014-12-01
WO2014126199A1 (ja) 2014-08-21
CN105101981A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8611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20150119336A (ko)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 증강화제
WO2011004733A1 (ja) 酸化タンパク質分解酵素活性増強化剤
JP6054700B2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JP2011148715A (ja) タンパク質のカルボニル化抑制剤及び肌の透明感向上剤
JP6600626B2 (ja) 植物抽出物及び関連組成物を得るための方法
JP5719581B2 (ja) 抗糖化作用剤
CN114344352B (zh) 一种具有抗晚期糖基化终产物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
WO2011004734A1 (ja) カルボキシメチルアルギ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コラーゲン変性抑制剤
JP6138317B2 (ja) 皮膚外用剤
KR101515073B1 (ko) 트리신 포접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02042B1 (ko) 호두 및 밤의 복합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081440A (ja) アロマターゼ活性促進剤
KR101512064B1 (ko) 알러지 성분이 제거된 분리정제봉독을 이용한 기능성 봉독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99573B1 (ko) 미백 기능 및 항주름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화장품용 후코이단 발효산물의 제조방법
JP4050560B2 (ja) 血管内皮細胞増殖因子産生促進剤
JP2013023450A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剤
KR101019643B1 (ko) 초분자체 함유 화장료 조성물
JP5745870B2 (ja) コラーゲンゲル収縮促進剤
JP5970098B2 (ja) 抗糖化作用剤
JP2022077285A (ja) 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JP2023049333A (ja) 育毛剤及び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
JP2022016060A (ja) 抗糖化剤
KR20230036753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보습 증진용 효소 추출액의 나노에멀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