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314A - 시스템 개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시스템 개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314A
KR20150119314A KR1020157025247A KR20157025247A KR20150119314A KR 20150119314 A KR20150119314 A KR 20150119314A KR 1020157025247 A KR1020157025247 A KR 1020157025247A KR 20157025247 A KR20157025247 A KR 20157025247A KR 20150119314 A KR20150119314 A KR 20150119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ntry
information list
compon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553B1 (ko
Inventor
히로유키 후루시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3907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11931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58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 function bloc editor, labvie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간단한 입력에 의해 제어 시스템의 개발 단위를 분할하기 위해서, 시스템 개발 장치는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오브젝트 타입, 당해 구성요소의 접속처를 기술한 접속 정보 및 당해 구성요소에 설정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가 1개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마다 등록되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가 격납되는 기억부와,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등록된 엔트리마다의 오브젝트 타입에 따른 표시 오브젝트를 접속 정보에 따라서 접속하여 표시하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을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마다 생성하는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와,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가 제1 시스템에 포함되는 임의의 제2 시스템을 지정한 분할 지시를 접수하면, 제1 시스템에 관한 제1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등록된 제2 시스템에 관한 엔트리를 복제하여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생성하는 분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시스템 개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SYSTEM DEVELOPMENT DEVICE,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FA 분야에서 이용되는 제어 시스템의 개발을 지원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FA 분야에서 이용되는 제어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접속된 복수의 기기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는,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PLC) 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Human Machine Interface;HMI)가 해당한다. 그리고 제어 시스템은, 근래 더욱 더 대규모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대규모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회사 또는 팀으로 분할되어 개발된다. 이들 회사 또는 팀은, 동시 진행으로 각각의 담당 범위의 개발을 행함으로써, 단기간에 제어 시스템의 개발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 시스템의 기능을 분할하기 위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프로그램을 PLC 단위로 기능 분할하여, PLC간의 인터페이스를 의식하지 않고 개개의 PLC에 프로그램을 할당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9-282014호 공보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개의 기기에 대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설정되지 않으면, 제어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또,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통신 형태에 의존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개발을 총괄하는 조직(이후, 의뢰처)에 의해서 결정된다. 개발의 의뢰처는, 상기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담당 지점의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의뢰원으로부터 수령한 후, 담당 지점의 개발을 개시한다.
한편,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 접속되어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의 개발을 지원하는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이 있다.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에 의하면,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1 이상의 PLC 및 1 이상의 HMI의 설정 정보 및 각 기기를 동작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일원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에 의한 관리 환경을 워크스페이스(workspace)라고 부른다. 작업자는 워크스페이스상에서 다양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그 워크스페이스를 통해서 관리되는 대상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의 일람(기기 리스트), 기기간의 접속 관계(접속 정보), 및 기기 또는 기기를 구성하는 유닛을 동작시키는 유저 프로그램 또는 설정 정보를, 설정하거나 편집하거나 체크하거나 할 수 있다. 워크스페이스를 통해서 관리되는 이들 정보를, 시스템 구성 정보(또는 워크스페이스 정보)로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 즉, 워크스페이스는 제어 시스템의 관리 단위 및 개발 단위로서 기능한다.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어 시스템의 개발이 행해질 때에는, 먼저, 의뢰원에 의해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의 일람의 설정,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설정 및 접속 정보의 설정을 포함하는 상류 설계가 1개의 워크스페이스상에서 행해진다. 상류 설계에 있어서는, 과거의 시스템 구성 정보가 유용되는 등에 의해서, 추가로 많은 설정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어도 좋다. 그리고 의뢰처가 담당하는 개발 범위마다 워크스페이스가 분할되고, 분할된 워크스페이스가 의뢰원에 배포된다. 워크스페이스의 분할은, 예를 들면, 개발 범위 이외의 부분을 의뢰처에 대해서 은폐하는 목적으로 행해진다.
여기서, 워크스페이스를 분할하는 작업은, 시스템 구성 정보 중 일부를 분할하는 작업을 수반하기 때문에, 의뢰원의 작업자(유저)의 부담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입력에 의해 시스템의 개발 단위를 분할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기기를 포함하는 구성요소가 서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시스템의 개발을 지원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로서, 구성요소의 타입 정보, 당해 구성요소의 접속처를 기술한 접속 정보 및 당해 구성요소에 설정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entry)가 1개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마다 등록되는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가 격납되는 기억부와, 상기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엔트리마다의 상기 타입 정보에 따른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접속 정보에 따라 접속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편집 입력을 접수하는 표시 화면을 상기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마다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화면을 통해서 접수한 편집 입력을 대응하는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반영시키는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와,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가 제1 시스템에 포함되는 임의의 제2 시스템을 지정한 분할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제1 시스템에 관한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제2 시스템에 관한 엔트리를 복제(duplicate)해서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분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개발 장치는 분할 지시가 입력되는 것만으로 개발 환경을 분할하므로 제어 시스템의 개발 단위를 분할할 때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개발 장치는 간단한 입력에 의해 제어 시스템의 개발 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시스템 개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워크스페이스 정보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의 데이터 구조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CPU가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시스템 개발 장치가 워크스페이스를 분할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분할에 수반하여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이 천이(遷移)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입력 다이얼로그(input dialog)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분할처(division destination)의 워크스페이스 정보에 설정된 직후의 상태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분할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분할처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분할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분할원(division source)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어 시스템의 개발 시의 시스템 개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분할 후부터 머지(merge)될 때까지의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이 천이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분할처의 개발 후의 워크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시스템 개발 장치가 워크스페이스를 머지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입력 다이얼로그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머지가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분할원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 정보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시스템 개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것처럼, 시스템 개발 장치(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 RAM(Random Access Memory)(3), ROM(Read Only Memory)(4), 입력 장치(5) 및 표시 장치(6)를 구비하는, 통상의 컴퓨터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CPU(2), RAM(3), ROM(4), 표시 장치(6), 입력 장치(5) 각각은, 버스 라인을 통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표시 장치(6)는,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에 의해서 구성된다. 표시 장치(6)는 CPU(2)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조작 화면 등의 유저에 대한 출력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 장치(5)는 마우스나 키보드를 구비하고 구성되어, 작업자로부터의 시스템 개발 장치(1)에 대한 조작이 입력된다. 입력 장치(5)로 입력된 조작 정보는, CPU(2)로 보내진다.
ROM(4)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프로그램인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을 미리 기억하는 기록 매체이다.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은 ROM(4)으로부터 버스 라인을 통해서 RAM(3)으로 로드된다. CPU(2)는 RAM(3) 내에 로드된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개발 장치(1)에서는, 작업자에 의한 입력 장치(5)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따라서, CPU(2)가 ROM(4) 내로부터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을 판독하여 RAM(3) 내의 프로그램 격납 영역에 전개(展開)해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에 기초한 처리의 일환으로서, CPU(2)는 작업자에게 워크스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워크스페이스란, 제어 시스템을 개발·관리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이다. 워크스페이스는 개발·관리 대상의 제어 시스템마다 작성된다. CPU(2)는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정보(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표시하기 위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을 표시 장치(6)에 표시시킬 수 있다.
도 2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것처럼, 표시 장치(6)에는,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이 제공하는 메인 화면(100)이 표시되어 있다. 메인 화면(100)은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을 구비하고 있다. 작업자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을 시인(視認)하면서 입력 장치(5)를 조작함으로써,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이후, 간단하게 오브젝트)를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할 수 있다. 오브젝트란, 여기에서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에 표시되는 부품을 말한다. 오브젝트는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기기(예를 들면 PLC 및 HMI)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도 2의 예에 있어서는, HMI_A라고 하는 명칭이 부여된 HMI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0), NET_A라고 하는 명칭이 부여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1), CONT_A라고 하는 명칭이 부여된 PLC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2), 및 CONT_B라고 하는 명칭이 부여된 PLC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3)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오브젝트(200), 오브젝트(202) 및 오브젝트(203)가 각각 오브젝트(201)에 접속되어 표시되어 있다. 이 오브젝트간의 접속 관계는, HMI_A, CONT_A 및 CONT_B는, 각각 NET_A에 접속되어 있는 것과 대응한다. 즉, 도 2의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은,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의 일람(기기 리스트)과, 기기간의 접속 정보를, 그래피컬하게 표시하고 있다.
PLC는 피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이다. 이후, 컨트롤러로 표기했을 경우에는 PLC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PLC는, 일례에서는, 백플랜인 베이스 유닛에 전원 유닛, CPU 유닛 및 CPU 유닛의 보조를 행하는 유닛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베이스 유닛에 장착되는 보조 유닛의 수는 임의이다. 전원 유닛은 PLC를 구성하는 다양한 유닛에 전원을 공급한다. CPU 유닛은 유저 프로그램과 피 제어기기에 관한 1 이상의 상태 변수(디바이스)를 내부의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는, PLC 내의 메모리의 번지에 일대일로 대응지어 있다. PLC는 유저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태 변수의 값(디바이스값)을 조작한다. 보조 유닛에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타입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피 제어기기에 아날로그 신호의 지령을 출력하거나 피 제어기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의 응답을 입력하거나 하는 아날로그 유닛이 보조 유닛에 해당한다. 또, 온도 센서에 의한 온도 검출치에 따라 온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온도 제어 유닛도 보조 유닛에 해당한다. 또,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로봇을 제어하는 로봇 컨트롤러도 보조 유닛에 해당한다. 또,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유닛도 보조 유닛에 해당한다. 유저가 PLC를 이용하여 어떠한 기능을 실현하는지에 따라 PLC를 구성하는 보조 유닛이 선택된다. 도 2에 도시하는 2개의 컨트롤러(CONT_A, CONT_B)는, 네트워크 NET_A에 접속되므로, 각각, 적어도 네트워크 유닛을 가진다. 보조 유닛은 미리 결정된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피 제어장치에 출력 신호를 출력하거나, 피 제어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미리 결정된 디바이스에 기입하거나 한다. HMI는 미리 내장하는 유저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PLC 내의 디바이스값을 표시하거나 조작하거나 할 수 있다.
CPU 유닛은 유저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가 설정된다. CPU 유닛에 설정되는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디바이스와 메모리의 번지의 대응 관계, 또는 자(自) CPU 유닛이 속하는 PLC를 구성하는 보조 유닛의 설정을 포함한다. 또한, 유저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를 총칭하여 프로젝트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프로젝트는 유저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유닛 또는 기기마다 설정된다. 프로젝트가 설정되는 대상은, CPU 유닛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젝트가 설정되는 대상에는, CPU 유닛 외에, 예를 들면, 로봇 컨트롤러가 있다. 또, HMI도 프로젝트가 설정된다.
네트워크 유닛에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설정된다.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로서, 접속 대상의 네트워크에 의존하는 정보이다.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 및 접속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자국(自局)의 국번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에는, 기기 리스트의 설정 및 접속 정보가 그래피컬하게 표시되어 있다. 작업자는 입력 장치(5)를 조작함으로써, 워크스페이스 정보에 포함되는 임의의 정보(예를 들면 네트워크 설정 정보 또는 후술하는 프로젝트)를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에 호출할 수 있다. 또, 호출한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CPU(2)는 워크스페이스 정보를 RAM(3)에 일시 격납한다(워크스페이스 정보(7)). 워크스페이스 정보(7)는 워크스페이스를 통해서 설정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워크스페이스 정보(7)는 기기 리스트, 접속 정보, 오브젝트의 표시 정보(오브젝트의 색 및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의 좌표), 기기 또는 기기를 구성하는 유닛에 설정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 및 기기 또는 기기를 구성하는 유닛에 설정된 프로젝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CPU(2)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상에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에 대해서 편집하는 조작이 입력되면, 그 편집 내용을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의 표시 내용에 반영시킴과 아울러 RAM(3)상의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반영시킨다. CPU(2)는 입력 장치(5)를 통해서 저장 지시(save command)가 입력되면, RAM(3)상의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ROM(4)에 기록하여 불휘발화(不揮發化)할 수 있다.
또한, 이후, 네트워크 설정 정보 및 프로젝트를, 설정 정보로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설정 정보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 및 프로젝트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기 또는 기기를 구성하는 유닛에 설정되고, 설정처의 기기 또는 기기를 구성하는 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이면, 어떠한 정보여도 설정 정보의 개념에 포함된다.
워크스페이스 정보(7)와 워크스페이스는 1대 1로 대응한다. CPU(2)는 워크스페이스의 판독 지시가 입력 장치(5)를 통해서 입력되면, 판독 지시받은 워크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ROM(4)으로부터 RAM(3)에 판독하고, RAM(3)에 판독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기초하여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을 생성하여, 표시 장치(6)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상에 격납하고, 네트워크 경유로 다운로드시킴으로써 RAM(3)에 전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경유로 제공 또는 배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을 미리 기억하는 기록 매체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기록 매체이면, ROM(4) 이외의 기록 매체여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CD-ROM, DVD-ROM, 또는 착탈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가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을 미리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비교되는 기술(비교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것처럼, 제어 시스템 중 일부 범위의 개발이 외부에 의뢰된 경우에는, 제어 시스템의 워크스페이스로부터 해당 범위가 다른 워크스페이스로 분할되어, 의뢰처에 건네진다. 비교예에 의하면, 워크스페이스를 분할하는 작업은,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작업을 수반한다. 예를 들면, CONT_A를 다른 워크스페이스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비교예에 의하면, 분할원의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으로부터 분할된 새로운 워크스페이스(분할처의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에 CONT_A의 오브젝트(202)를 카피하는 조작뿐만이 아니라, CONT_A를 구성하는 유닛에 설정된 설정 정보를 분할처의 워크스페이스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대응지음과 아울러 각각의 유닛에 설정 정보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대응짓는 작업이 필요했다. 의뢰처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 작업을 여러 차례 실행할 필요가 있었다.
또, 의뢰처가 개발을 완료한 후, 개발이 완료된 분할처의 워크스페이스가 의뢰원에 납품된다. 비교예에 의하면, 의뢰원에서는, 납품된 분할원의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으로부터 분할원의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에 CONT_A를 표시하는 오브젝트(202)를 카피하고 덮어쓰는 조작뿐만이 아니라,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대해, 분할시와는 반대의 수동의 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작업자가 분할 대상을 지정하여 분할을 지시하는 입력을 행하는 것만으로 시스템 개발 장치(1)는 워크스페이스를 분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워크스페이스 정보(7)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것처럼, 워크스페이스 정보(7)는 워크스페이스명(WS명)(71), 워크스페이스 ID(WS_ID)(7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 링크 정보(74)및 시큐리티 관리 정보(75)를 구비하고 있다.
워크스페이스명(71)은 작업자에 의해서 주어지는, 워크스페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명칭이다. 작업자는 임의의 명칭을 워크스페이스명(71)으로 설정할 수 있다. 워크스페이스 ID(72)는 워크스페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시스템 개발 장치(1)가 생성하는 식별자이다. 여기에서는, 워크스페이스 ID(72)는 천문학적인 수의 집단으로부터 하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유니크(unique)한 식별자가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도 4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의 데이터 구조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는, 도 2에 도시한 워크스페이스에 대응한다.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는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구성하는 개개의 엔트리를, 오브젝트 정보라고 한다.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 ID, 오브젝트명, 오브젝트 타입(타입 정보), 접속 정보, 점프처(jump-destination) 정보, 점프처 ID 및 오브젝트 부속 정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는 오브젝트마다 엔트리가 등록된다. 즉,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는 기기 리스트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오브젝트 ID는, 시스템 개발 장치(1)가 생성하는 1개의 워크스페이스 내에서 유니크한 ID이다. 도시하는 것처럼, 최초로 등록된 오브젝트 정보에는 「1」이라고 하는 오브젝트 ID가 할당되고, 이후의 오브젝트 정보에는, 등록순으로 연번(連番)이 되도록 오브젝트 ID가 할당된다. 오브젝트명은 작업자에 의해서 주어지는 명칭이다.
접속 정보는 동일한 워크스페이스 내의 접속처의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접속 정보는 동일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기재되어 있는 오브젝트 ID를 이용하여 기술된다.
오브젝트 타입은 그 오브젝트가 분류되는 타입을 나타낸다. 오브젝트 타입에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CONT), 네트워크(NET), 및 HMI 외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점프(JUMP)가 포함된다.
여기서, 점프로 분류되는 오브젝트(점프 오브젝트)란, 하나의 워크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작성된 제어 시스템 중 일부가 다른 워크스페이스로 분할되었을 경우에, 분할에 의해서 분리된 부분의 경계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분할원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 중 분할 대상에 해당하는 엔트리가 분할처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카피(복제)된다. 분할원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는, 복제 대상의 엔트리의 오브젝트 타입이 점프로 변경되고, 분할처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는 복제된 엔트리에 관한 오브젝트를 접속처로 하는 접속 정보를 구비하는 점프 오브젝트가 새롭게 추가된다. 또한, 점프 오브젝트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에 있어서는, 점프 오브젝트에 고유한 양태 또는 형상으로서, 다른 타입과의 사이에서 식별 가능한 양태 또는 형상으로 표시된다.
점프처 정보 및 점프처 ID는 협동하여, 복제원의 엔트리와 복제처의 엔트리를 대응시키는 정보(제1 정보, 제2 정보)로서 기능한다. 점프처 정보 및 점프처 ID는, 분할원의 워크스페이스와 분할처의 워크스페이스가 통합(머지)될 때에 참조된다.
오브젝트 부속 정보는, 표시 정보(오브젝트의 색 및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의 좌표), 설정 정보 및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설정 정보는, 전술한 것처럼, 네트워크 설정 정보 및 프로젝트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자신이 속하는 엔트리에서 관리되는 기기 또는 기기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유닛에 설정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이다. 오브젝트가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을 가지는 PLC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오브젝트 부속 정보는 복수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가진다. 할당 정보는 자신이 속하는 엔트리가 나타내는 기기(그 기기가 PLC인 경우에는 그 PLC가 구비하는 유닛)와, 당해 기기(또는 기기가 구비하는 유닛)에 설정된 설정 정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설정 정보와, 기기 또는 기기를 구성하는 유닛과 설정 정보의 대응 관계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구성하는 각각의 엔트리에서 관리된다.
링크 정보(74) 및 시큐리티 관리 정보(75)에 대해서는 잠시 후에 설명한다.
도 5는 CPU(2)가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을 실행함으로써 실현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것처럼, CPU(2)는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 분할부(22) 및 머지부(통합부)(23)로서 기능한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등록된 엔트리마다의 오브젝트 타입에 따른 표시 오브젝트를 접속 정보에 따라 접속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편집 입력을 접수하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을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마다 생성함과 아울러,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을 통해서 접수한 편집 입력을 대응하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반영시킬 수 있다.
분할부(22)는,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가 제1 시스템에 포함되는 임의의 제2 시스템을 지정한 분할 지시를 접수하면, 제1 시스템에 관한 제1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등록된 제2 시스템에 관한 엔트리를 복제하여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생성할 수 있다.
머지부(23)는,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가 제2 시스템을 제1 시스템에 머지하는 머지 지시(merging command)를 접수하면, 제1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의 복제원의 엔트리를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구성하는 엔트리를 치환할 수 있다. 또, 머지부(23)는 제1 시스템의 링크 정보(74)에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의 저장처 패스(save-location path)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스템으로부터 분할되는 제2 시스템의 수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 A로부터 시스템 B 및 시스템 C가 분할 지시된 경우에 있어서는, 시스템 A와 시스템 B의 관계, 및 시스템 A와 시스템 C의 관계는, 각각,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의 관계와 같다. 또, 시스템 A로부터 시스템 B가 분할 지시되어, 당해 시스템 B로부터 추가로 시스템 C가 분할 지시되는 경우가 있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시스템 A와 시스템 B의 관계, 및 시스템 B와 시스템 C의 관계는, 각각,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의 관계와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시스템 개발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시스템 개발 장치(1)가 워크스페이스를 분할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또, 도 7은 분할에 수반하여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이 천이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도 7에 있어서의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1))에 나타나고 있는 시스템 구성으로부터 CONT_B가 분할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1)에 나타나고 있는 워크스페이스는, 「WS_A」라고 하는 워크스페이스명(71) 및 「AAA」라고 하는 워크스페이스 ID(72)가 주어져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분할 직전(즉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기기 리스트, 접속 정보 및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설정이 완료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1)을 표시 장치(6)에 표시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입력 장치(5)를 조작함으로써 분할 대상의 오브젝트를 지정함과 아울러 분할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분할 대상의 오브젝트의 지정은, 예를 들면,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1)에 있어서의 범위 지정에 의해 입력된다. 범위 지정은, 예를 들면 마우스에 의한 드래그에 의해 실행된다. 또, 예를 들면, 범위 지정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이 입력되면,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분할」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고, 당해 메뉴로부터 마우스에 의해 「분할」이 선택되면, 분할 지시의 입력을 인식한다. 여기에서는, CONT_B가 분할 대상으로 지정된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가 CONT_B를 분할 대상으로 하는 분할 지시를 접수하면(스텝 S1), 분할부(22)로 제어가 이전(transfer)되어, 분할부(22)는 메인 화면(100)에 입력 다이얼로그를 표시한다(스텝 S2).
도 8은 입력 다이얼로그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것처럼, 입력 다이얼로그(300)는 저장처 패스 입력 필드(301), 참조 버튼(302), 워크스페이스명 입력 필드(303), 저장 버튼(304) 및 캔슬 버튼(305)을 가지고 있다. 작업자는 저장처 패스 입력 필드(301)에 CONT_B를 관리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워크스페이스(분할처 워크스페이스)의 저장처 패스를 입력할 수 있다. 저장처 패스란, 기억장치에 있어서의 워크스페이스 정보(7)의 저장처의 위치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참조 버튼(302)은 기억장치의 디렉토리 구성의 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작업자는 참조 버튼(302)을 프레스함으로써 분할부(22)에 시스템 개발 장치(1)의 기억 영역의 디렉토리 구성을 표시하게 함으로써, 저장처 패스를 결정하기 위한 참고로 할 수 있다. 또, 작업자는 분할처 워크스페이스의 워크스페이스명(71)을 워크스페이스명 입력 필드(303)에 입력할 수 있다. 분할부(22)는 저장처 패스 입력 필드(301) 및 워크스페이스명 입력 필드(303)에 입력된 내용을, 저장 버튼(304)이 프레스되는 것을 트리거로 하여 접수한다. 또한, 캔슬 버튼(305)이 프레스되면, 분할부(22)는 입력 다이얼로그(300)의 표시를 소거하고 제어가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로 이전할 수 있다.
분할부(22)는 입력 다이얼로그(300)를 통해서 저장처 패스 및 워크스페이스명(71)의 입력을 접수하면(스텝 S3), 분할처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빈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을 표시함과 아울러(스텝 S4), 분할처 워크스페이스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생성한다(스텝 S5). 스텝 S5의 처리는, 입력 다이얼로그(300)를 통해서 입력된 워크스페이스명(71)을 분할처 워크스페이스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설정하는 처리와, 워크스페이스 ID(72)를 생성하여 분할처의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설정하는 처리와, 빈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생성하여 분할처의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설정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또한, 스텝 S3의 처리에 있어서는, 입력 다이얼로그(300)를 통해서 「WS_B」라고 하는 워크스페이스명(71)이 입력된 것으로 한다. 분할부(22)는 분할처 워크스페이스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WS_B」라고 하는 워크스페이스명(71)을 설정한다. 그리고 분할부(22)는 「BBB」라고 하는 워크스페이스 ID(72)를 생성하여 분할처 워크스페이스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설정한 것으로 한다.
도 9는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설정된 직후의 상태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것처럼,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가 생성된 직후의 상태에 있어서는, 분할이 아직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어느 엔트리도 등록되어 있지 않다.
스텝 S5의 처리에 이어서, 분할부(22)는 스텝 S6~스텝 S12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 및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분할이 완료된 상태에 따른 내용으로 변경한다. 도 10은 분할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분할이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스텝 S6~스텝 S12의 처리를 설명한다.
분할부(22)는, 도 4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등록되어 있는 오브젝트 정보 중 분할 대상의 오브젝트 정보를,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카피한다(스텝 S6). 여기에서는, CONT_B의 오브젝트 정보(즉 오브젝트 ID가 「3」인 오브젝트 정보)가 카피 대상이 된다.
그리고 분할부(22)는,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점프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정보를 등록한다(스텝 S7).
그리고 분할부(22)는,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 오브젝트 ID 및 접속 정보를 설정한다(스텝 S8).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카피되어 온 CONT_B의 오브젝트 정보는,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등록된 최초의 오브젝트 정보이므로,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의 오브젝트 ID로서 「1」이 분할부(22)에 의해서 할당된다. 또, 점프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정보는,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2번째로 등록된 오브젝트 정보이므로, 오브젝트 ID로서 「2」가 분할부(22)에 의해서 할당된다. 또, 점프 오브젝트는 분할에 의해서 생기는 경계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이므로,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추가된 점프 오브젝트는, WS_B에 관한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로서 분할 후의 WS_A에 관한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에 접속되는 기기인 CONT_B를 접속처로 한다. 따라서 점프 오브젝트의 접속 정보에는 CONT_B의 오브젝트 ID인 「1」이, CONT_B의 접속 정보에는 점프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ID인 「2」가, 각각 분할부(22)에 의해서 기록된다.
그리고 분할부(22)는,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 점프처 정보 및 점프처 ID를 설정한다(스텝 S9). 즉, 분할부(22)는 복제처의 엔트리에 포함되는 점프처 정보에 복제원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의 오브젝트 ID(72)를 기록하고, 복제처의 엔트리에 포함되는 점프처 ID에 복제원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의 복제원의 엔트리를 특정하는 정보로서 복제원의 엔트리의 오브젝트 ID를 기록한다. 또, 분할부(22)는 점프 오브젝트에 복제원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의 오브젝트 ID(72)를 기록한다. 여기에서는, 분할부(22)는 CONT_B의 점프처 정보, 및 점프 오브젝트의 점프처 정보에, 분할원 워크스페이스의 워크스페이스 ID(72)인 「AAA」를 기록한다. 또, 분할부(22)는 CONT_B의 점프처 ID에, 카피원이 된 CONT_B의 오브젝트 정보의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의 오브젝트 ID(즉 「3」)를 기록한다.
그리고 분할부(22)는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 카피원이 된 CONT_B의 오브젝트 정보의 오브젝트 타입을 점프 오브젝트로 변경한다(스텝 S10). 즉, 분할부(22)는 CONT_B의 오브젝트 타입을, 「CONT」로부터 「JUMP」에 재기입(rewrite)한다.
그리고 분할부(22)는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 점프 오브젝트의 점프처 정보 및 점프처 ID를 설정한다(스텝 S11). 즉, 분할부(22)는 복제원의 엔트리에 포함되는 점프처 정보에 복제처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의 오브젝트 ID(72)를 기록하고, 복제원의 엔트리에 포함되는 점프처 ID에 복제처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의 복제처의 엔트리를 특정하는 정보로서 복제처의 엔트리의 오브젝트 ID를 기록한다. 여기에서는, 분할부(22)는 점프 오브젝트로 변경된 CONT_B의 점프처 정보에, 분할처 워크스페이스의 워크스페이스 ID(72)인 「BBB」를 기록한다. 또, 분할부(22)는 점프 오브젝트로 변경된 CONT_B의 점프처 ID에, 카피처의 오브젝트 정보의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의 오브젝트 ID(즉 「1」)를 기록한다.
스텝 S11의 처리 후, 제어가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로 이전되어,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분할원 및 분할처의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을 재묘화하고(스텝 S12), 분할에 관한 처리가 완료된다. 또한, 스텝 S12의 재묘화의 처리는, 각각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도 7에 있어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2)은 재묘화된 분할 후의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고 있고,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3)은 재묘화된 분할 후의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고 있다.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2)에 있어서는, CONT_B라고 하는 명칭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3)가 CONT_B라고 하는 명칭의 점프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4)로 교체되어 있다. 또,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3)에 있어서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1)에 표시되어 있던 오브젝트(203)와 동일한 오브젝트인, CONT_B라고 하는 명칭이 부여된 오브젝트(205)가 표시되어 있다. 또,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3)에 있어서는, 점프 오브젝트인 오브젝트(206)가 표시되고, 오브젝트(205)와 오브젝트(206)가 접속되어 있다.
작업자는 지정한 저장처 패스에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저장하게 한 후, 다른 사람에게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건네주어 CONT_B의 개발을 의뢰할 수 있다.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수취한 사람(의뢰처의 작업자(유저))는, 컴퓨터로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8)을 기동함으로써 그 컴퓨터에 시스템 개발 장치(1)의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의뢰원의 작업자와 의뢰처의 작업자에서, 시스템 개발 장치(1)를 실현하는 컴퓨터는 달라도 좋다. 또, 의뢰원의 작업자는,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의뢰처의 작업자에게 제공해도 좋고, 착탈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를 통해서 의뢰처의 작업자에게 제공해도 좋다. 의뢰처의 작업자는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판독하는 지시를 입력함으로써,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3)을 의뢰처의 작업자의 시스템 개발 장치(1)에 묘화하게 할 수 있다.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3)에 의하면, CONT_B가 접속되는 처(destination)의 정보가 점프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6)에 의해 은폐되어 있으므로, 의뢰원의 작업자는, 의뢰처의 작업자에 대해, CONT_B 이외의 시스템 구성을 은닉할 수 있다.
의뢰처의 작업자는 CONT_B의 개발을 행하여, WS_B에 관한 개발 후의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의뢰원의 작업자에게 건네줄 수 있다. 의뢰원의 작업자는, 분할 후의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와, WS_B에 관한 개발 후의 워크스페이스를 머지할 수 있다.
도 12는 CONT_B의 개발 시의 시스템 개발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여기에서는, CONT_B의 개발은 의뢰처의 작업자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3)을 통해서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편집하는 입력을 접수했을 때(스텝 S21), 입력된 편집 내용을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반영시키는 편집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22). 작업자(의뢰처의 작업자)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의 임의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액세스 레벨마다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액세스 레벨이란, 예를 들면, 판독 및 기입이 함께 허가되는 레벨, 판독 및 기입이 함께 금지되는 레벨, 및 판독만이 허가되는 레벨을 포함한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입력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3).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입력이 있었을 경우(스텝 S23, Yes),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패스워드가 설정된 액세스 레벨과,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 중 그 패스워드가 설정된 부분을 특정하는 정보를, 시큐리티 관리 정보(75)에 기록한다(스텝 S24).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입력이 없는 경우(스텝 S23, No), 또는 스텝 S24의 처리 후,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편집을 종료하는 지시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5). 편집을 종료하는 지시가 있었을 경우(스텝 S25, Yes),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저장하고(스텝 S26), 동작을 종료한다. 편집을 종료하는 지시가 없는 경우(스텝 S25, No), 스텝 S21의 처리가 실행된다.
도 13은 분할 후부터 머지될 때까지의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이 천이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4)은 WS_B에 관한 개발 후의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것처럼, 개발 후에 있어서는, NET_X라고 하는 명칭이 부여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7)와, CONT_X라고 하는 명칭이 부여된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오브젝트(208)가 추가되어 있다. 오브젝트(207)에는, 오브젝트(205) 및 오브젝트(208)가 접속되어 있다.
도 14는 WS_B에 관한 개발 후의 워크스페이스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개발 후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는, 도 10에 도시하는 분할이 완료된 상태(즉 개발 전)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오브젝트(208)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가 오브젝트 ID가 「3」인 엔트리에, 오브젝트(207)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가 오브젝트 ID가 「4」인 엔트리에, 각각 등록된 구성을 가진다.
도 15는 시스템 개발 장치(1)가 워크스페이스를 머지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여기에서는, 의뢰원의 작업자는, 의뢰처로부터 납품된 WS_B에 관한 개발 후의 워크스페이스를 머지 대상으로 하고,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를 머지처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의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2)은, 머지처가 되는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고 있다. 이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2)은, 도 11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대응한다. 또, 도 13의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4)은 머지 대상이 되는 WS_B에 관한 개발 후의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고 있다. 이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4)은, 도 14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대응한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2)을 표시하고 있고,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가 머지처인 것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작업자로부터의 머지 지시를 접수할 수 있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가 머지 지시를 접수하면(스텝 S31), 머지부(23)로 제어가 이전되어, 머지부(23)는 메인 화면(100)에 머지 대상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 다이얼로그를 표시한다(스텝 S32).
도 16은 입력 다이얼로그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것처럼, 입력 다이얼로그(400)는 저장처 패스 입력 필드(401), 참조 버튼(402), 워크스페이스명 입력 필드(403), 수법 지정 접수부(404), 실행 버튼(405), 및 캔슬 버튼(406)을 가지고 있다. WS_B에 관한 개발 후의 워크스페이스는, 의뢰원의 작업자의 시스템 개발 장치(1)의 기억장치에 격납되어 있다. 작업자는 저장처 패스 입력 필드(401)에 WS_B에 관한 개발 후의 워크스페이스의 저장처 패스를 입력할 수 있다. 참조 버튼(402)은 기억장치의 디렉토리 구성의 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작업자는 참조 버튼(402)을 프레스함으로써 머지부(23)에 시스템 개발 장치(1)의 기억 영역의 디렉토리 구성을 표시하게 함으로써, 저장처 패스를 특정하기 위한 참고로 할 수 있다. 또, 작업자는, WS_B에 관한 개발 후의 워크스페이스의 워크스페이스명(71)을 워크스페이스명 입력 필드(403)에 입력할 수 있다. 또, 작업자는 머지의 수법으로서, 카피에 의해 분할처 워크스페이스를 분할원 워크스페이스에 취득하는 수법과, 링크에 의해 분할처 워크스페이스를 분할원 워크스페이스에 머지하는 수법 중 하나를 지정할 수 있다. 작업자는 원하는 머지 수법을 수법 지정 접수부(404)에 입력할 수 있다. 머지부(23)는 저장처 패스 입력 필드(401), 워크스페이스명 입력 필드(403) 및 수법 지정 접수부(404)에 입력된 내용을, 실행 버튼(405)이 프레스되는 것을 트리거로 하여 접수한다. 또한, 캔슬 버튼(406)이 프레스되면, 분할부(22)는 입력 다이얼로그(400)의 표시를 소거하고 제어가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로 이전될 수 있다.
머지부(23)는 입력 다이얼로그(400)을 통해서 저장처 패스, 워크스페이스명(71) 및 머지 수법의 지정의 입력을 접수하면(스텝 S33),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와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가 정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4). 스텝 S34의 처리에 있어서는, 머지부(23)는 점프처 정보 및 점프처 ID의 값에 기초하여 복제원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로부터 복제처의 엔트리를 특정하고, 복제처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로부터 복제원의 엔트리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머지부(23)는, 복제처의 엔트리와 복제원의 엔트리가 서로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정합의 판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머지부(23)는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로부터, 점프처 정보에 「BBB」가 기록되어 있으면서, 또한 점프처 ID에 값이 기록되어 있는 엔트리를 추출한다. 그리고 머지부(23)는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로부터, 점프처 정보에 「AAA」가 기록되어 있으면서, 또한 점프처 ID에 값이 기록되어 있는 엔트리를 추출한다. 그리고 머지부(23)는 추출한 2개의 엔트리 중 1의 엔트리의 점프처 ID가 다른 엔트리의 오브젝트 ID와 일치하면서, 또한 다른 엔트리의 점프처 ID가 하나의 엔트리의 오브젝트 ID와 일치한다, 라고 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는, 스텝 S34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정합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또는 엔트리의 추출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머지부(23)는, 스텝 S34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정합하지 않는다고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로부터, 오브젝트 ID가 「3」인 엔트리가 추출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로부터, 오브젝트 ID가 「1」인 엔트리가 추출된다.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로부터 추출된 오브젝트 ID가 「3」인 엔트리의 점프처 ID에는 「1」이 기록되어 있으면서, 또한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로부터 추출된 오브젝트 ID가 「1」인 엔트리의 점프처 ID에는 「3」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도 11 및 도 14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는 서로 정합한다.
또한, 이후, 스텝 S34의 처리에 있어서 정합의 판정에 이용된 엔트리 중,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로부터 추출된 엔트리를 복제원 엔트리라고 부르고,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로부터 추출된 엔트리를 복제처 엔트리라고 부른다.
양쪽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가 정합하는 경우(스텝 S34, Yes), 머지부(23)는 카피에 의한 수법이 수법 지정 접수부(404)를 통해서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5). 카피에 의한 수법이 지정되었을 경우(스텝 S35, Yes), 복제원 엔트리의 오브젝트 타입을, 복제처 엔트리의 오브젝트 타입으로 변경함과 아울러, 복제원 엔트리로부터 점프처 정보의 값 및 점프처 ID의 값을 소거한다(스텝 S36). 이것에 의해,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 오브젝트 ID가 「3」인 엔트리의 오브젝트 타입이 「JUMP」로부터 「CONT_B」로 변경되고, 오브젝트 ID가 「3」인 엔트리의 점프처 정보 및 점프처 ID의 값이 소거된다.
그리고 머지부(23)는,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등록되어 있는 오브젝트 정보를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카피한다(스텝 S37). 다만, 스텝 S37에 있어서는, 복제처 엔트리 및 점프처 정보에 복제원의 워크스페이스 ID(72)가 기록되어 있는 점프 오브젝트는 카피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여기에서는, 복제처 엔트리인 오브젝트 ID가 「1」인 오브젝트 정보와, 점프처 정보에 「AAA」가 기록되어 있는 점프 오브젝트인 오브젝트 ID가 「2」인 오브젝트 정보가, 카피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그리고 복제처 엔트리 이외에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추가된, 오브젝트 ID가 「3」인 오브젝트 정보와, 오브젝트 ID가 「4」인 오브젝트 정보가 카피 대상이 된다. 또한, 복제처 엔트리 이외에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추가된 오브젝트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37의 처리에서는 카피는 실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머지부(23)는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 카피되어 온 오브젝트 정보의 오브젝트 ID를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 유니크한 값으로 수정함과 아울러, 오브젝트 ID의 수정에 따라 접속 정보를 수정한다(스텝 S38). 또한, 접속 정보에 복제처 엔트리의 오브젝트 ID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머지부(23)는 당해 접속 정보의 값을 복제원 엔트리의 오브젝트 ID로 수정한다.
그리고 머지부(23)는, 복제원 엔트리와 복제처 엔트리의 사이에서 오브젝트명 또는 오브젝트 부속 정보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9).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스텝 S39, Yes), 머지부(23)는 차이를 메인 화면(100)에 표시하고, 복제원 엔트리를 복제처 엔트리로 덮어 쓸지 여부의 입력을 촉구한다(스텝 S40). 또한, 머지부(23)는 차이가 복수 지점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차이마다 입력을 촉구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머지부(23)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차이를 표시한다.
머지부(23)는 덮어 쓴다는 취지의 입력을 접수하면(스텝 S41, Yes), 덮어 쓴다는 취지가 입력된 차이에 대해서, 복제처 엔트리의 내용으로 복제원 엔트리의 내용을 덮어 쓰기한다(스텝 S42). 덮어 쓰지 않는다는 취지의 입력을 접수하면(스텝 S41, No), 스텝 S42의 처리가 스킵된다.
이렇게 하여, WS_A에 관한, 머지가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가 완성된다. 도 17은 머지가 완료된 상태에 있어서의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텝 S42의 처리 후, 머지부(23)는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시큐리티 관리 정보(75)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3).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시큐리티 관리 정보(75)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스텝 S43, Yes), 머지부(23)는 WS_B에 관한 시큐리티 관리 정보(75)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WS_A에 관한 시큐리티 관리 정보(75)에 임포트(import)한다(스텝 S44). 스텝 S44의 처리에 있어서, WS_B에 관한 시큐리티 관리 정보(75)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WS_B에 관한 시큐리티 관리 정보(75)에 추가 기재된다. 여기서, 추가 기재된 내용이 오브젝트 ID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추가 기재된 내용에 포함되는 오브젝트 ID는 스텝 S38의 처리에 의해 수정된 값으로 덮어 써진다.
스텝 S44의 처리 후, 제어가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로 이전되어,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을 재묘화하고(스텝 S45), 머지에 관한 처리가 완료된다.
도 13의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5)은, 머지가 완료된 후의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것처럼,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5)에 있어서는, 점프 오브젝트(204)가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4)에 표시되어 있던 오브젝트(205), 오브젝트(207) 및 오브젝트(208)와 각각 동등한 오브젝트(209), 오브젝트(210) 및 오브젝트(211)로 교체되어 있다.
또한,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에 있어서 일부 또는 전부에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4의 처리에 의해, 시큐리티에 관한 설정 내용이, 머지 후의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에 인계된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의 패스워드가 설정된 지점에 대해서, 패스워드에 따른 액세스 레벨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패스워드가 설정된 부분에 관한 표시를 은폐하고, 패스워드 인증이 완료된 후에 그 부분을 표시한다. 또, 예를 들면,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패스워드가 설정된 부분의 편집을 금지하고, 패스워드 인증이 완료된 후에 그 부분의 편집을 허가한다.
예를 들면,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 오브젝트 부속 정보 중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판독만 허가되고, 그 이외의 정보의 판독 기입이 금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오브젝트(209), 오브젝트(210) 및 오브젝트(211) 대신에 판독이 금지되어 있다는 취지의 특별한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카피에 의한 수법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5, No), 즉 링크에 의한 수법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머지부(23)는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의 링크 정보(74)에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의 저장처 패스를 기록하고(스텝 S46), 링크에 의한 머지가 완료된다.
스텝 S46의 처리 후, 제어가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로 이전된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링크에 의한 머지가 완료되어도,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에,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를 머지 직전과 동등한 양태로 표시한다. 즉, 스텝 S46의 처리가 완료된 후에도,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도 13의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2)을 표시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작업자로부터, 링크처를 표시하게 하는 지시를 접수할 수 있다. 링크처를 표시하게 하는 지시는, 어떠한 형식으로 입력되어도 좋지만, 예를 들면, 점프 오브젝트(204)에 대한 클릭 입력이 해당한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링크처를 표시하게 하는 지시를 접수하면(스텝 S47),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를,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에 의해 관리된 내용을 반영시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에 표시한다(스텝 S48). 즉,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점프 오브젝트(204)를 대신하여, WS_B에 관한 제어 시스템인 오브젝트(209), 오브젝트(210) 및 오브젝트(211)를 표시한다. 그리고 머지에 관한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스텝 S48의 처리는, 예를 들면,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의 링크 정보(74)에 기초하여,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판독한다. 그리고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 중 복제원의 엔트리를, 상기 판독한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포함되는 WS_B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구성하는 엔트리로 치환한 내용에 기초하여,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를 재묘화한다. 여기서,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카피에 의한 수법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머지부(23)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내부 처리로 행함으로써, 도 17에 도시하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WS_A에 관한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와는 별도로 일시적으로 작성해서, 당해 일시적인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기초하여, WS_A에 관한 워크스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스텝 S34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 양쪽의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가 정합하지 않는 경우(스텝 S34, No), 머지부(23)는 머지를 할 수 없다는 취지의 표시를 행하고(스텝 S49), 머지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저장처 패스 입력 필드(301)에는, 시스템 개발 장치(1) 내의 기억 영역을 저장처로 하는 저장처 패스가 입력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기억장치 또는 컴퓨터가 구비하는 기억 영역이 입력됨으로써, 분할처의 워크스페이스 정보(7)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기억장치 또는 컴퓨터가 구비하는 기억 영역에 저장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의뢰원의 작업자의 시스템 개발 장치(1)는, 의뢰처의 컴퓨터에 직접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건네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저장처 패스 입력 필드(401)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기억장치 또는 컴퓨터가 구비하는 기억 영역이 입력됨으로써, 머지 대상의 워크스페이스 정보(7)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기억장치 또는 컴퓨터로부터 판독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의뢰원의 작업자의 시스템 개발 장치(1)는, 의뢰처의 컴퓨터로부터 직접 WS_B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시스템 개발 장치(1)는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기기 및 네트워크)의 오브젝트 타입(타입 정보), 당해 구성요소의 접속처를 기술한 접속 정보 및 당해 구성요소에 설정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가 1개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마다 등록되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가 격납되는 기억부(RAM(3) 및 ROM(4))와,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등록된 엔트리마다의 오브젝트 타입에 따른 표시 오브젝트를 접속 정보에 따라 접속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편집 입력을 접수하는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을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마다 생성함과 아울러,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을 통해서 접수한 편집 입력을 대응하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반영시키는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와,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가 제1 시스템에 포함되는 임의의 제2 시스템을 지정한 분할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제1 시스템에 관한 제1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등록된 상기 제2 시스템에 관한 엔트리를 복제하여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생성하는 분할부(22)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유저)는 분할 지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시스템 개발 장치(1)에 개발 환경을 분할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어 시스템의 개발 단위를 분할할 때의 작업자의 부담이 상술한 비교예에 비해 경감된다. 즉,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간단한 입력에 의해 제어 시스템의 개발 단위를 분할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장치(1)를 얻을 수 있다.
또, 시스템 개발 장치(1)는,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가 제2 시스템을 제1 시스템에 머지하는 머지 지시를 접수하면, 제1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있어서의 복제원의 엔트리를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구성하는 엔트리를 치환하는 머지부(23)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머지 지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시스템 개발 장치(1)에 분할된 복수의 개발 환경을 머지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간단하게 제어 시스템의 개발 단위를 머지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장치(1)를 얻을 수 있다.
또, 분할부(22)는 복제원의 엔트리에 복제처의 엔트리를 대응시키는 제1 정보로서의 점프처 정보 및 점프처 ID를 제1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기록하고, 복제처의 엔트리에 복제원의 엔트리를 대응시키는 제2 정보로서의 점프처 정보 및 점프처 ID를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머지부(23)는 복제원의 엔트리와 복제처의 엔트리를 특정할 수 있다.
또, 머지부(23)는 복제처의 엔트리를 복제원의 엔트리로 덮어 쓰기 전에, 복제처의 엔트리와 복제원의 엔트리 사이의 차분(差分)의 유무를 확인하여, 차분이 있는 경우에는, 차분을 적용할지 여부의 판정을 유저에게 촉구하고, 차분을 적용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차분 부분에 대해 복제원의 엔트리에 복제처의 엔트리를 덮어 쓰고, 차분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차분 부분에 관한 덮어 쓰기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의뢰원의 작업자는, 예를 들면 오브젝트명 또는 설정 정보에 관해, 복제처의 엔트리와 복제원의 엔트리에서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의뢰처의 작업자에 의해서 변경된 부분을 확인하면서 머지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엔트리가 포함하는 설정 정보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의뢰원의 작업자는, 의뢰처의 작업자에 의해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변경의 유무를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변경에 기인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가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 같은 사태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분할부(22)는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생성할 때에,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제2 시스템이 포함하는 기기로서 분할 후의 제1 시스템에 접속된 기기를 접속처로 하는 접속 정보와 분할된 경계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를 가지는 경계 엔트리(점프 오브젝트의 엔트리)를 추가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제2 시스템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에, 제1 시스템과의 경계를 나타내는 점프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분할부(22)는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생성할 때에, 복제원의 엔트리의 타입 정보를 분할된 경계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로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제1 시스템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에, 제2 시스템으로 분할된 부분에 점프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1개의 기기(여기에서는 CONT_B)가 분할 대상이 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서로 접속된 복수의 기기가 분할 대상이 되는 경우여도 좋다. 서로 접속된 복수의 기기가 분할 대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타입이 점프 오브젝트로 변경된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복수의 서로 접속된 점프 오브젝트의 점프처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는, 당해 복수의 서로 접속된 점프 오브젝트를 1개로 통합한 양태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 머지부(23)는,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가 제2 시스템을 제1 시스템에 머지하는 머지 지시를 접수하면,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의 저장처 패스를 기술한 링크 정보(74)를 제1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대응시키는다. 여기에서는, 대응의 일례로서, 머지부(23)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와 동일한 워크스페이스 정보(7)에 링크 정보(74)를 기록한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링크 정보(74)가 제1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대응지어진 후에 제1 시스템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을 표시할 때, 링크 정보(74)에 기초하여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판독하여, 제1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가 포함하는 복제원의 엔트리를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를 구성하는 엔트리로 치환한 내용에 기초하여 제1 시스템에 관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을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머지 지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시스템 개발 장치(1)에, 분할된 복수의 개발 환경을 머지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간단하게 제어 시스템의 개발 단위를 머지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장치(1)를 얻을 수 있다. 또, 시스템 개발 장치(1)는, 머지 후에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가 편집되었을 경우에도,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대한 편집마다 머지 지시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제2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에 대한 편집이 반영된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101)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는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73)의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에 패스워드가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상기 패스워드가 설정된 부분에 관한 표시를 은폐하고, 패스워드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패스워드가 설정된 부분을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의뢰처의 작업자가 의뢰원의 작업자에 대해서 임의의 부분을 은폐한 채로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납품하는 것과 같은 운용이 가능해진다.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21)는, 패스워드가 설정된 부분에 관한 편집을 금지하고, 패스워드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패스워드가 설정된 부분을 편집을 허가한다. 이것에 의해, 의뢰처의 작업자가 의뢰원의 작업자에 대해서 임의의 부분의 편집을 금지하여 워크스페이스 정보(7)를 납품하는 것과 같은 운용이 가능해진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개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은, FA 분야에서 이용되는 제어 시스템의 개발을 지원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1: 시스템 개발 장치, 2: CPU,
3: RAM, 4: ROM,
5: 입력 장치, 6: 표시 장치,
7: 워크스페이스 정보, 8: 시스템 개발 프로그램,
21: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 22: 분할부,
23: 머지부, 71: 워크스페이스명,
72: 워크스페이스 ID, 73: 오브젝트 정보 리스트,
74: 링크 정보, 75: 시큐리티 관리 정보,
100: 메인 화면, 101: 워크스페이스 표시 화면,
200~211: 오브젝트, 300, 400: 입력 다이얼로그,
301, 401: 저장처 패스 입력 필드, 302, 402: 참조 버튼,
303, 403: 워크스페이스명 입력 필드,
304: 저장 버튼, 305, 406: 캔슬 버튼,
404: 수법 지정 접수부, 405: 실행 버튼.

Claims (17)

  1.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기기를 포함하는 구성요소가 서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시스템의 개발을 지원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로서,
    구성요소의 타입 정보, 당해 구성요소의 접속처를 기술한 접속 정보 및 당해 구성요소에 설정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entry)가 1개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마다 등록되는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가 격납되는 기억부와,
    상기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엔트리마다의 상기 타입 정보에 따른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접속 정보에 따라 접속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편집 입력을 접수하는 표시 화면을 상기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마다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화면을 통해서 접수한 편집 입력을 대응하는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반영시키는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와,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가 제1 시스템에 포함되는 임의의 제2 시스템을 지정한 분할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제1 시스템에 관한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제2 시스템에 관한 엔트리를 복제(duplicate)하여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분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가 상기 제2 시스템을 상기 제1 시스템에 통합하는 통합 지시를 접수하면, 복제원의 엔트리를 상기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를 구성하는 엔트리를 치환하는 통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상기 복제원의 엔트리에 복제처의 엔트리를 대응시키는 제1 정보를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기록하고, 상기 복제처의 엔트리에 상기 복제원의 엔트리를 대응시키는 제2 정보를 상기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기록하며,
    상기 통합부는,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가 상기 제2 시스템을 상기 제1 시스템에 통합하는 통합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제처의 엔트리 및 복제원의 엔트리를 특정하여, 상기 특정한 복제처의 엔트리를 상기 특정한 복제원의 엔트리로 덮어 쓰고, 상기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가 상기 특정한 복제처의 엔트리와는 다른 새롭게 추가된 엔트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당해 추가된 엔트리를 복제하여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합부는, 상기 특정한 복제처의 엔트리를 상기 특정한 복제원의 엔트리로 덮어 쓰기 전에, 상기 특정한 복제처의 엔트리와 상기 특정한 복제원의 엔트리 사이의 차분(差分)의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차분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분을 적용할지 여부의 판정을 유저에게 촉구하고, 상기 차분을 적용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차분 부분의 덮어 쓰기를 실행하며, 상기 차분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차분 부분의 덮어 쓰기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기기간은 네트워크로 접속되고, 상기 기기에 설정되는 설정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기에 설정되는 설정 정보는, 당해 기기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상기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때에, 상기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상기 제2 시스템이 포함하는 기기로서 상기 제1 시스템에 접속되는 기기를 접속처로 하는 접속 정보와 분할된 경계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를 가지는 경계 엔트리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상기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때에, 상기 복제원의 엔트리의 타입 정보를 분할된 경계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는 상기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을 생성할 때, 상기 경계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에 고유한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접속처의 기기에 접속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는 상기 복제원의 엔트리의 타입 정보가 상기 분할된 경계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로 변경된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을 생성할 때, 상기 복제원의 엔트리에 관한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경계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에 고유한 표시 오브젝트로 변경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가 상기 제2 시스템을 상기 제1 시스템에 통합하는 통합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의 저장처 패스(save-location path)를 기술한 링크 정보를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대응시키는 통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는, 상기 링크 정보가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대응지어진 후에 상기 제1 시스템에 관한 표시 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를 판독하고,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가 포함하는 복제원의 엔트리를 상기 판독한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를 구성하는 엔트리로 치환한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스템에 관한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상기 복제원의 엔트리에 상기 복제처의 엔트리를 대응시키는 제1 정보를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기록하고, 상기 복제처의 엔트리에 상기 복제원의 엔트리를 대응시키는 제2 정보를 상기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기록하며,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는, 상기 링크 정보가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대응지어진 후에 상기 제1 시스템에 관한 표시 화면을 표시할 때,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판독한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대응지어진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제처의 엔트리 및 복제원의 엔트리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복제원의 엔트리를 상기 특정한 복제처의 엔트리로 치환함과 아울러 상기 판독한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가 상기 특정한 복제처의 엔트리와는 다른 새롭게 추가된 엔트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당해 추가된 엔트리를 더한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시스템에 관한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13.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청구항 11 및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는 상기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기록되는 설정 정보 중 유저로부터 지정된 설정 정보를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는, 상기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의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에 패스워드가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는, 상기 패스워드가 설정된 부분에 관한 표시를 은폐하고, 패스워드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패스워드가 설정된 부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는, 상기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의 전부 또는 임의의 일부에 패스워드가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구성 표시·편집부는, 상기 패스워드가 설정된 부분에 관한 편집을 금지하고, 패스워드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패스워드가 설정된 부분을 편집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개발 장치.
  16.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기기를 포함하는 구성요소가 서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시스템의 개발의 지원을 컴퓨터가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가, 구성요소의 타입 정보, 당해 구성요소의 접속처를 기술한 접속 정보 및 당해 구성요소에 설정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가 제1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마다 등록되는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엔트리마다의 상기 타입 정보에 따른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접속 정보에 따라 접속하여 표시하는 표시 화면으로서 상기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편집 입력을 접수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컴퓨터가, 상기 표시 화면을 통해서 접수한 편집 입력을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반영시키는 스텝과,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1 시스템에 포함되는 임의의 제2 시스템을 지정한 분할 지시를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제2 시스템에 관한 엔트리를 복제하여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 정보가 설정되는 기기를 포함하는 구성요소가 서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시스템의 개발의 지원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으로로서,
    구성요소의 타입 정보, 당해 구성요소의 접속처를 기술한 접속 정보 및 당해 구성요소에 설정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가 제1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마다 등록되는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엔트리마다의 상기 타입 정보에 따른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접속 정보에 따라서 접속하여 표시하는 표시 화면으로서 상기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편집 입력을 접수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화면을 통해서 접수한 편집 입력을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반영시키는 스텝과,
    상기 제1 시스템에 포함되는 임의의 제2 시스템을 지정한 분할 지시를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제1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에 등록된 상기 제2 시스템에 관한 엔트리를 복제하여 제2 구성요소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스텝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157025247A 2013-02-22 2013-02-22 시스템 개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700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4530 WO2014128920A1 (ja) 2013-02-22 2013-02-22 システム開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314A true KR20150119314A (ko) 2015-10-23
KR101700553B1 KR101700553B1 (ko) 2017-01-26

Family

ID=5139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247A KR101700553B1 (ko) 2013-02-22 2013-02-22 시스템 개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95976B2 (ko)
JP (1) JP5766378B2 (ko)
KR (1) KR101700553B1 (ko)
CN (1) CN105074587B (ko)
DE (1) DE112013006481B4 (ko)
TW (1) TWI475344B (ko)
WO (1) WO2014128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5943A1 (ja) * 2015-02-27 2016-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編集装置、データ編集方法及び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CN107295810B (zh) * 2016-02-12 2019-07-26 三菱电机株式会社 工程设计工具
CN110100233B (zh) * 2017-03-08 2020-12-11 三菱电机株式会社 绘图辅助装置、显示系统及绘图辅助方法
JP6900727B2 (ja) * 2017-03-28 2021-07-07 横河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ニアリング支援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支援方法、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
EP3582040B1 (en) * 2017-03-30 2023-01-11 Citizen Watch Co., Ltd. Control device for work machine
TWI709908B (zh) * 2019-05-03 2020-11-11 直得科技股份有限公司 在plc編輯環境中與其他軟體協作之方法、程式產品、電腦可讀取媒體
JP7303424B2 (ja) * 2019-05-22 2023-07-05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680A (ja) * 1993-07-23 1995-02-07 Omron Corp 並列化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JPH09282014A (ja) 1996-04-09 1997-10-31 Fuji Electric Co Ltd プログラム作成方法
JP2001325010A (ja) * 2000-05-12 2001-11-22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JP3896849B2 (ja) * 2000-11-24 2007-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ミング装置及びプログラミング方法
JP2008234379A (ja) * 2007-03-22 2008-10-02 Daikin Ind Ltd ソフトウェア生成装置ならびにソフトウェア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8441A (en) * 1990-05-30 1992-12-01 Allen-Bradley Company, Inc. Methods for set up and programming of machine and process controllers
US5321829A (en) * 1990-07-20 1994-06-14 Icom, Inc. Graphical interfaces for monitoring ladder logic programs
JPH04209007A (ja) * 1990-12-03 1992-07-30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ユーザプログラムエディットシステム
JP2698715B2 (ja) * 1991-07-12 1998-01-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シーケンス・プログラムの編集方式
US5408603A (en) * 1992-03-31 1995-04-18 Dow Benelux N.V. Global process contro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6006328A (en) * 1995-07-14 1999-12-21 Christopher N. Drake Computer software authentication, protection, and security system
US5838588A (en) * 1996-12-13 1998-11-17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for steam turbine operating conditions
JP2000207185A (ja) 1999-01-19 2000-07-28 Hitachi Ltd 動的セキュアクライアント生成方法
AU5025600A (en) * 1999-05-17 2000-12-05 Foxboro Company, The Process control configuration system with parameterized objects
CN1160601C (zh) * 1999-08-31 2004-08-04 迪吉多电子股份有限公司 编辑装置
US6477435B1 (en) * 1999-09-24 2002-11-05 Rockwell Software Inc. Automated programming system for industrial control using area-model
US6973649B1 (en) * 1999-09-30 2005-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tilizing programming object visual representation for state reflection
WO2001067192A2 (en) * 2000-03-06 2001-09-13 Siemens Technology-To-Business Center Llc Programming automation by demonstration
JP2002041111A (ja) * 2000-07-26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ミング支援装置
AU2001292692A1 (en) * 2000-09-15 2002-03-26 Wonderware Corporation A method and system for administering a concurrent user licensing agreement on amanufacturing/process control information portal server
JP4122974B2 (ja) * 2001-03-29 2008-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ミングツール
JP4238964B2 (ja) * 2001-04-27 2009-03-18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US7290030B2 (en) * 2001-07-13 2007-10-3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ternet object based interface for industrial controller
US20030061349A1 (en) * 2001-09-24 2003-03-27 George Lo Method and system for collaboratively developing programming code for programmable controllers
US7146231B2 (en) * 2002-10-22 2006-12-05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mart process modules and objects in process plants
WO2005003872A1 (ja) * 2003-07-04 2005-01-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自動プログラミ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2005084773A (ja) 2003-09-05 2005-03-31 Toppan Printing Co Ltd ラック図自動生成システム
JP3910196B2 (ja) * 2004-10-21 2007-04-2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シーケンスプログラムの編集装置
US7703027B2 (en) * 2005-01-13 2010-04-20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Merging graphical programs
JP2007048231A (ja) 2005-08-12 2007-02-22 Omron Corp 制御システム
JP5002975B2 (ja) 2006-02-08 2012-08-15 富士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ム開発支援システム
US7705849B2 (en) * 2007-03-01 2010-04-27 The Boeing Company Intelligent lamm schematics
JP5058063B2 (ja) * 2008-04-30 2012-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開発支援装置
US8782599B2 (en) * 2008-06-26 2014-07-15 Invensys Systems, Inc. Multi-mode editor for configuring process control blocks including both logical functions and arithmetic computations
US8570327B2 (en) * 2008-11-14 2013-10-2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graphically displaying control systems
JP5168099B2 (ja) 2008-11-17 2013-03-21 富士通株式会社 改修作業範囲分割プログラム,改修作業範囲分割装置,及び改修作業範囲分割方法
JP2012108568A (ja) * 2009-03-13 2012-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
EP2299341A1 (de) * 2009-09-18 2011-03-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Editiergerät und Verfahren zur Konfigurierung von Parametern einer industriellen Automatisierungsanordnung
DE112010005023B4 (de) * 2009-12-28 2023-11-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rwendung einer programmerstellungsunterstützungsvorrichtung zum erstellen von programmen für zu steuernde anlagen
US20120066265A1 (en) * 2010-09-10 2012-03-15 Sieme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Users Working on a Project
US8849429B2 (en) * 2011-05-09 2014-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block instanti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680A (ja) * 1993-07-23 1995-02-07 Omron Corp 並列化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JPH09282014A (ja) 1996-04-09 1997-10-31 Fuji Electric Co Ltd プログラム作成方法
JP2001325010A (ja) * 2000-05-12 2001-11-22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JP3896849B2 (ja) * 2000-11-24 2007-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ミング装置及びプログラミング方法
JP2008234379A (ja) * 2007-03-22 2008-10-02 Daikin Ind Ltd ソフトウェア生成装置ならびにソフトウェア生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95976B2 (en) 2019-05-21
JP5766378B2 (ja) 2015-08-19
KR101700553B1 (ko) 2017-01-26
DE112013006481T5 (de) 2015-10-29
CN105074587B (zh) 2017-08-25
US20160004239A1 (en) 2016-01-07
TW201433892A (zh) 2014-09-01
DE112013006481B4 (de) 2017-01-12
WO2014128920A1 (ja) 2014-08-28
JPWO2014128920A1 (ja) 2017-02-02
TWI475344B (zh) 2015-03-01
CN105074587A (zh)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553B1 (ko) 시스템 개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N110249274A (zh) 工业用控制器和工业用控制器的数据共享方法
CN104903801B (zh) 可编程显示器、可编程控制器系统、以及程序
JP2016506559A (ja) Hmiデバイスにおいてオブジェクトを変化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6299095B2 (ja) 共有データ定義支援システム、そのマスタ装置、ローカル端末、プログラム
JP2010198562A (ja) 制御プログラム作成方法および作成装置
KR101447846B1 (ko) 모션 sfc 프로그램 부품 작성 장치
JP633781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63449B2 (ja) 複数のアプリケーションの参照関係を管理する管理システム
TWI582555B (zh) A programmable controller system, a programmable display, a support device, a program
JP5883936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JP2017220142A (ja) プログラミング装置
JP6207694B2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プログラム
JP6095743B2 (ja) 支援装置、プログラム
JP7183092B2 (ja) ソース情報管理装置およびソース情報管理方法
JP201806373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82973B2 (ja) 情報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9064347A (ja) 作業支援情報表示装置および作業支援情報表示方法
JP2911667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装置
JPH0954688A (ja) Gui設計支援方法
JP4127318B2 (ja) プログラム生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9157534A (ja) プログラム作成支援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支援装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支援装置
JP2005316778A (ja)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
JP2008293309A (ja) 文書管理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H03269622A (ja) ジョブ制御ステートメント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