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071A -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071A
KR20150099071A KR1020140020572A KR20140020572A KR20150099071A KR 20150099071 A KR20150099071 A KR 20150099071A KR 1020140020572 A KR1020140020572 A KR 1020140020572A KR 20140020572 A KR20140020572 A KR 20140020572A KR 20150099071 A KR20150099071 A KR 20150099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via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740B1 (ko
Inventor
신승열
김재화
박충식
최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740B1/ko
Priority to TW104105523A priority patent/TWI660652B/zh
Priority to CN201510086915.3A priority patent/CN104869748B/zh
Priority to EP15155834.3A priority patent/EP2911484B1/en
Priority to US14/627,319 priority patent/US9942985B2/en
Publication of KR20150099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01L23/3677Wire-like or pin-like cooling fins or heat si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05K1/0204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 H05K1/0206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by printed thermal vi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22Multilayer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9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the chips being integrally enclosed by the interconnect and suppor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05K1/0204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using means for thermal conduction conn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05K1/0298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94Filling or covering plated through-holes or blind plated vias, e.g. for masking or for mechanical reinforc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16237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to a bonding area disposed in a recess of the surface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3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land array, e.g. LG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5Components encapsulated in the insulating substrate of the printed circuit or incorporated in internal layers of a multilayer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5Conductive through-holes or vias
    • H05K2201/09536Buried plated through-holes, i.e. plated through-holes formed in a core before la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5Conductive through-holes or vias
    • H05K2201/096Vertically aligned vias, holes or stacked vi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845Stepped hole, via, edge, bump or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02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characterized by a special circuit board as base or central core whereon additional circuit layers are built or additional circuit boards are la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기준 절연층; 상기 기준 절연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절연층; 및 상기 기준 절연층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절연층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홀을 각각 매립하는 복수의 제 1 비아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절연층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하나의 관통 홀을 매립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와 공통 연결되는 하나의 제 2 비아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반도체, 전자기기의 발전과 동시에 전자부품의 하나로서 그 지위를 굳히고 있으며, 라디오, 텔레비전,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등의 각종 전기, 전자제품에서부터 컴퓨터 및 최첨단 전자 장비에 이르기까지 모든 전기, 전자기기 등의 회로를 구현하는 부품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인쇄회로기판은 코어 구조를 가지는 패키지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FCCSP(Flip-Chip Chip Scale Package) 제품과 같은 경우, 현재 신호 전송률을 높이면서 회로를 미세화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은 제 1 절연층(10), 제 1 패턴(12), 제 2 패턴(14), 제 1 비아(16), 제 2 절연층(20), 제 3 패턴(22), 제 2 비아(26), 제 3 절연층(30), 제 4 패턴(32), 제 3 비아(36), 보호층(40), 전자소자(50), 연결부(55) 및 몰딩부(60)를 포함한다.
제 1 절연층(10)은 코어층으로 내부에 제 1 비아(1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절연층(10)은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층(10)의 상면에는 제 1 패턴(12)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 2 패턴(14)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연층(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제 1 절연층(10)의 표면 및 상기 제 1 패턴 또는 제 2 패턴을 덮는 제 2 절연층(2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절연층(20) 내부에는 제 2 비아(2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절연층(20)의 표면에는 제 3 패턴(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층(10)의 상부에 형성된 2 절연층(20)의 위 및 상기 제 1 절연층(10)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절연층(20)의 아래에는 각각 제 3 절연층(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절연층(30)의 표면에는 제 4 패턴(32)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절연층(30)의 내부에는 제 3 비아(36)가 형성된다.
또한, 보호층(40)은 상기 3 절연층(30)의 표면 및 상기 제 4 패턴(32)의 일부 표면을 덮으며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 형성된 제 3 절연층(30) 위에는 전자 소자(50)가 부착되는데, 상기 전자 소자(50)는 상기 연결부(55)에 의해 제 4 패턴(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몰딩부(60)는 상기 전자 소자(50)의 연결부(55) 및 사익 전자 소자(50)의 일부 표면을 덮으며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인쇄회로기판은 신호 전송률을 높이면서 회로를 미세화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설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 내에 포함되어 있는 비아들은 미세 피치 구현을 위해 약 50~70㎛의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와 같이 미세 피치 구현을 위하 비아의 사이즈를 제한하기 때문에, 방열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비아가 적용된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기준 절연층; 상기 기준 절연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절연층; 및 상기 기준 절연층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절연층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홀을 각각 매립하는 복수의 제 1 비아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절연층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하나의 관통 홀을 매립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와 공통 연결되는 하나의 제 2 비아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비아는,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가 가지는 각각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진다.
또한, 상기 기준 절연층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홀을 각각 매립하며, 상기 상부 절연층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비아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3 비아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비아는,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와 공통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부 절연층 위에 부착되는 전자 소자; 및 상기 전자 소자에 형성된 칩 연결 단자와, 상기 상부 절연층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비아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절연층은, 상기 기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1 하부 절연층과,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2 하부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1 비아 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하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2 비아 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비아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가하는 피라미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 절연층은, 상기 기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1 하부 절연층과,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2 하부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1 비아 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하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2 비아 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비아는, 상부와 하부의 폭이 동일한 로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수용되는 전자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는,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소자의 상면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비아 파트와,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소자의 하면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비아 파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 파트는, 상기 상부 절연층 내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비아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비아 파트는, 상기 하부 절연층 내에 형성된 하나의 제 2 비아와 공통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기준 절연층과 하부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의 하면과 접촉하고, 하면이 상기 하나의 제 2 비아의 상면과 접촉하는 회로 패턴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준 절연층과 상부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고, 하면이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복수의 회로 패턴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은 기준 절연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기준 절연층의 상부에 복수의 제 1 관통 홀이 형성된 상부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기준 절연층의 하부에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 홀이 각각 가지는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하나의 제 2 관통 홀이 형성된 하부 절연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 홀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복수의 제 1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관통 홀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2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준비하는 단계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면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제 3 관통 홀이 형성된 기준 절연층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제3 관통 홀을 매립하는 복수의 제 3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절연층 내에서 상기 제 2 관통 홀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상부 절연층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 홀의 형성 영역과 중첩된다.
또한, 상기 제 2 비아는,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와 공통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의 하부는, 상기 제 2 비아와 공통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의 상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부 절연층 위에 전자 소자를 부착하고, 상기 전자 소자에 형성된 칩 연결 단자와, 상기 상부 절연층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비아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절연층은, 상기 기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1 하부 절연층과,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2 하부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1 비아 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하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2 비아 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비아 파트 및 제 2 비아 파트를 포함하는 제 2 비아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가하는 피라미드 형상 및 상부와 하부의 폭이 동일한 로드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전자 소자를 매립하는 단계가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는,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소자의 상면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비아 파트와,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소자의 하면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비아 파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 파트는, 상기 상부 절연층 내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비아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비아 파트는, 상기 하부 절연층 내에 형성된 하나의 제 2 비아와 공통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기준 절연층과 하부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의 하면과 접촉하고, 하면이 상기 하나의 제 2 비아의 상면과 접촉하는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준 절연층과 상부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고, 하면이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복수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비아 구조를 적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함으로써, 패턴의 미세 피치를 구현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전자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기존 장비를 이용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비아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투자 비용 없이 제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비아 구조의 구현에 있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11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비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17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비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22는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은, 절연층(110, 120, 130, 140, 150), 비아(115, 116, 117, 124, 125, 126, 144, 145, 146, 132, 152), 회로 패턴(111, 112, 113, 114, 127, 128, 129, 147, 148, 149, 133, 153), 보호층(160), 전자소자(180), 연결부(185), 및 몰딩층(190)을 포함한다.
제 1 절연층(110), 제 2 절연층(120), 제 3 절연층(130), 제 4 절연층(140), 및 제 5 절연층(150)은 절연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고분자 기판, 세라믹 기판, 유-무기 복합 소재 기판, 또는 유리 섬유 함침 기판일 수 있으며,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FR-4, BT(Bismaleimide Triazine), ABF(Ajinomoto Build up Film) 등의 에폭시계 절연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절연층(110), 제 2 절연층(120), 제 3 절연층(130), 제 4 절연층(140), 및 제 5 절연층(150)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지만으로 형성되는 절연시트이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층(110)은 코어 기판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절연층(110)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절연층(120), 제 3 절연층(130), 제 4 절연층(140) 및 제 5 절연층(150)은 수지만으로 형성되는 절연시트일 수 있다.
제 1 절연층(110)은 기준 절연층이다. 상기 기준 절연층은, 상기와 같은 제 1 절연층(110), 제 2 절연층(120), 제 3 절연층(130), 제 4 절연층(140), 및 제 5 절연층(150)의 적층 구조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에서 가장 먼저 형성되는 절연층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절연층(110, 120, 130, 140, 150)의 표면에는 회로 패턴(111, 112, 113, 114, 127, 128, 129, 147, 148, 149, 133, 153)이 형성된다.
상기 회로 패턴(111, 112, 113, 114, 127, 128, 129, 147, 148, 149, 133, 153)은 상기 비아(115, 116, 117, 124, 125, 126, 144, 145, 146, 132, 15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 패턴(111, 112, 113, 114, 127, 128, 129, 147, 148, 149, 133, 153)은 통상적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공정인 어디티브 공법(Additive process), 서브트렉티브 공법(Subtractive Process), MSAP(Modified Semi Additive Process) 및 SAP(Semi Additive Process) 공법 등으로 가능하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회로 패턴(111, 112, 113, 114, 127, 128, 129, 147, 148, 149, 133, 153)의 형성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절연층(110)을 중심으로 위쪽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111, 112, 113, 127, 128, 129, 147, 148, 149)은 제 1 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 1 절연층(110)을 중심으로 아래쪽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114, 133, 153)은 상기 제 1 폭보다 넓은 제 2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위쪽에 형성된 회로 패턴(111, 112, 113, 127, 128, 129, 147, 148, 149)과 상기 아래쪽에 형성된 회로 패턴(114, 133, 153)의 기능이 서로 다르기 때문일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각각의 회로 패턴이 달성해야 하는 효율이 서로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즉, 상기 위쪽에 형성된 회로 패턴(111, 112, 113, 127, 128, 129, 147, 148, 149)은 전기적 신호 전송 속도의 효율을 높이면서 미세 피치 구현을 위하여 제 1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래쪽에 형성된 회로 패턴(114, 133, 153)은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비아(115, 116, 117, 124, 125, 126, 144, 145, 146, 132, 152)는 상기 각각의 절연층(110, 120, 130, 140, 150)을 관통하며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110, 120, 130, 140, 150)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비아(115, 116, 117, 124, 125, 126, 144, 145, 146, 132, 152)는 해당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과 연결된다.
상기 비아(115, 116, 117, 124, 125, 126, 144, 145, 146, 132, 152)는 Cu, Ag, Sn, Au, Ni 및 Pd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에 의하여, 무전해 도금, 전해 도금,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스퍼터링(Sputtering), 증발법(Ecaporation), 잉크젯팅 및 디스펜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된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아(115, 116, 117, 124, 125, 126, 144, 145, 146, 132, 152)는 상기 회로 패턴(111, 112, 113, 114, 127, 128, 129, 147, 148, 149, 133, 153)과 마찬가지로, 형성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절연층(110)을 중심으로 위쪽에 형성되는 비아(124, 125, 126, 144, 145, 146)와, 상기 제 1 절연층(110) 내에 형성되는 비아(115, 116, 117)는 제 3 폭을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제 1 절연층(110)을 중심으로 아래쪽에 형성되는 비아(132, 152)는 상기 제 3폭보다 넓은 제 4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연층(110) 내에는 제 1 비아(115), 제 2 비아(116) 및 제 3 비아(1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절연층(120) 내에는 제 4 비아(124), 제 5 비아(125) 및 제 6 비아(1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4 절연층(140) 내에는 제 7 비아(144), 제 8 비아(145) 및 제 9 비아(14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비아(115)는 상기 제 4 비아(124) 및 제 7 비아(144)와 동일 수직 선상에 높이게 되며, 이에 따라 회로 패턴(111, 127, 147)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비아(116)는 상기 제 5 비아(125) 및 제 8 비아(145)와 동일 수직 선상에 높이게 되며, 이에 따라 회로 패턴(112, 128, 1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비아(117)는 상기 제 6 비아(126) 및 제 9 비아(146)와 동일 수직 선상에 높이게 되며, 이에 따라 회로 패턴(113, 129, 149)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 1 절연층(110) 및 상기 제 1 절연층(110)을 중심으로 위쪽에 형성된 비아(115, 116, 117, 124, 125, 126, 144, 145, 146)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제 3 폭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절연층 내에 형성되는 비아들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절연층(110) 내에 형성된 제 1 비아(115)와, 제 2 비아(116)와 제 3 비아(117)는 각각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절연층(110)을 중심으로 아래쪽에 위치한 비아(132, 152)는 상기 제 3 폭보다 넓은 제 4 폭을 가진다.
이때, 상기 제 5 절연층(152) 내에 형성된 비아(152)는 상기 제 3 절연층(130) 내에 형성된 비아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비아(152, 132)들은 피라미드 형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절연층(130) 내에 형성된 비아(132)는 복수의 상위층에 형성된 복수의 비아들과 공통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3 절연층(130) 내에 형성된 비아(132)는 제 1 절연층(110) 내에 형성된 비아(115, 116, 117)들과 공통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절연층(130) 내에 형성된 비아(132)가 가지는 폭은 적어도 제 1 절연층(110) 내에 형성된 비아(115, 116, 117)들이 가지는 폭의 합보다 크다.
한편, 상기 제 3 절연층(130) 내에 형성된 비아(132)의 상면은 제 1 절연층(110)의 하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114)의 하면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 패턴(114)의 상면은 상기 제 1 비아(115)의 하면, 제 2 비아(116)의 하면 및 제 3 비아(117)의 하면과 공통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절연층(130) 내에 형성된 비아(132)는 상기 회로 패턴(114)을 통해 상기 제 1 절연층(110) 내에 형성된 비아(115, 116, 117)들과 공통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 절연층(110) 및 상기 제 1 절연층(110)을 중심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비아(115, 116, 117, 124, 125, 126, 144, 145, 146)는 상기와 같이 전기적 신호 전송 속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한된 폭을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제 1 절연층(110)을 중심으로 아래쪽에 형성된 비아(132, 152)는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상부에 형성되는 비아보다는 넓은 폭을 가지면서 상위층에 형성된 복수의 비아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비아 구조를 적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함으로써, 패턴의 미세 피치를 구현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전자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기존 장비를 이용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비아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투자 비용 없이 제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비아 구조의 구현에 있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4 절연층(140) 및 제 5 절연층(150)의 표면에는 보호층(160, 17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160, 170)은 상기 제 4 절연층(140) 및 제 5 절연층(150)의 표면이나, 상기 제 4 절연층(140) 및 제 5 절연층(150)의 표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솔더 레지스트, 산화물 및 A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4 절연층(140) 위에는 칩 연결 단자를 구비하는 전자 소자(180)가 부착된다.
상기 전자 소자(180)는 상기 칩 연결 단자가 하부 면에 형성된 능동 소자와, 상기 칩 연결 단자가 상기 전자 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수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60) 내에는 상기 전자 소자(180)의 칩 연결 단자와, 상기 제 4 절연층(140)의 표면 위에 형성된 회로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8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층(160) 위에는 상기 전자 소자(180)의 하면 및 상기 연결부(185)를 보호하기 위한 몰딩층(19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중심 절연층을 중심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비아들과, 하부에 형성되는 비아들의 폭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였다. 즉, 상기 상부에 형성되는 비아들은 신호 전송 속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세 피치를 구현하였으며, 상기 하부에 형성되는 비아들은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대면적을 가지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미세 피치를 구현하여 신호 전송 속도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대면적 비아를 적용하여 방열 효율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11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제조에 기초가 되는 제 1 절연층(110)을 준비한다.
상기 제 1 절연층(110)은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고분자 기판, 세라믹 기판, 유-무기 복합 소재 기판, 또는 유리 섬유 함침 기판일 수 있으며,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에폭시계 절연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절연층(110)의 적어도 일면에는 금속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상기 제 1 절연층(1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111, 112, 113, 114)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금속층은 상기 제 1 절연층(110)에 비전해 도금을 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CCL(Copper Clad Laminate)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금속층을 비전해 도금하여 형성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기판(110)의 표면에 조도를 부여하여 도금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층 형성 시에 상기 제 1 절연층(110)과 금속층 사이에 발포 수지(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절연층(110) 위에 상기 금속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이후 공정에서 상기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절연층(110)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절연층(11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 홀(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관통 홀 내부를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1 비아(115), 제 2 비아(116) 및 제 3 비아(117)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비아(115), 제 2 비아(116) 및 제 3 비아(117)는 상기 제 1 절연층(110) 내에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비아(115), 제 2 비아(116) 및 제 3 비아(117)가 형성되면, 상기 제 1 절연층(110)의 상면에 상기 제 1 비아(115)와 연결되는 회로 패턴(111), 상기 제 2 비아(116)와 연결되는 회로 패턴(112), 제 3 비아(117)와 연결되는 회로 패턴(113)을 각각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층(110)의 하면에 상기 제 1 비아(115), 제 2 비아(116) 및 제 3 비아(117)와 공통 연결되는 회로 패턴(114)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 1 절연층(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111, 112, 113)은 서로 다른 비아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절연층(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114)은 복수의 비아와 공통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절연층(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111, 112, 113)은 제 1 폭을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하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114)은 상기 제 1 폭보다 넓은 제 2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회로 패턴(111, 112, 113, 114)은 통상적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공정인 어디티브 공법(Additive process), 서브트렉티브 공법(Subtractive Process), MSAP(Modified Semi Additive Process) 및 SAP(Semi Additive Process) 공법 등으로 가능하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절연층(110)의 상부에 제 2 절연층(12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연층(110)의 하부에 제 3 절연층(1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절연층(120) 및 제 3 절연층(130)의 표면에는 금속층(A, B)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절연층(120)에 상기 회로 패턴(111, 112, 113)의 표면을 노출하는 관통 홀(121, 122, 123)을 각각 형성한다.
즉, 상기 관통 홀은 제 1 회로 패턴(111)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1 관통 홀(121)과, 제 2 회로 패턴(112)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2 관통 홀(122)과, 제 3 회로 패턴(113)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3 관통 홀(1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 홀(121), 제 2 관통 홀(122) 및 제 3 관통 홀(123)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절연층(12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절연층(130)에 상기 회로 패턴(114)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4 관통 홀(13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4 관통 홀(131)은 상기 제 1 관통 홀(121), 제 2 관통 홀(122) 및 제 3 관통 홀(123)이 가지는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형성된 제 1 관통 홀(121)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4 비아(124)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관통 홀(122)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5 비아(125)를 형성하고, 상기 제 3 관통 홀(123)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6 비아(126)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형성된 제 4 관통 홀(121)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10 비아(13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4 비아(124)는 제 1 비아(115)와 연결되고, 제 5 비아(125)는 제 2 비아(116)와 연결되며, 제 6 비아(126)는 제 3 비아(117)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0 비아(132)는 상위층에 형성된 복수의 비아와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10 비아(132)는 상위층에 형성된 제 1 비아(115), 제 2 비아(116) 및 제 3 비아(117)와 공통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비아(115), 제 2 비아(116) 및 제 3 비아(117)를 통해 각각 전달되는 신호(또는 열)는 하나의 상기 제 10 비아(132)로 모두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비아는 Cu, Ag, Sn, Au, Ni 및 Pd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으며, 무전해 도금, 전해 도금,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스퍼터링(Sputtering), 증발법(Ecaporation), 잉크젯팅 및 디스펜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된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절연층(120) 위에 상기 제 4 비아(124), 제 5 비아(125) 및 제 6 비아(126)와 각각 연결되는 회로 패턴(127, 128, 129)을 형성한다.
상기 회로 패턴(127, 128, 129)들은 상기 제 2 절연층(120)의 상면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절연층(130) 아래에 상기 제 10 비아(132)와 연결되는 회로 패턴(133)을 형성한다. 상기 회로 패턴(133)은 상기 제 10 비아(132)와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제 10 비아(132)가 가지는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로 패턴(127, 128, 129)은 상기 제 4 비아(124), 제 5 비아(125) 및 제 6 비아(126)와 각각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제 4 비아(124), 제 5 비아(125) 및 제 6 비아(126)가 가지는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6 비아의 폭은 50~70㎛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0 비아(132)는 적어도 150~21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0 비아(132)의 폭은 공통 연결되는 비아의 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0 비아(132)가 상위층에 형성된 2개의 비아와 연결된다면, 적어도 100~140㎛의 폭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위층에 형성되는 2개의 비아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제 10 비아의 폭은 더 증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절연층(120) 위에 제 4 절연층(140)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절연층(130) 아래에 제 5 절연층(15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4 절연층(140)에 상기 회로 패턴(127, 128, 129)의 표면을 노출하는 관통 홀(141, 142, 143)을 각각 형성한다.
즉, 상기 관통 홀은 회로 패턴(127)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5 관통 홀(141)과, 회로 패턴(128)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6 관통 홀(142)과, 회로 패턴(129)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7 관통 홀(14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5 관통 홀(141), 제 6 관통 홀(142) 및 제 7 관통 홀(143)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절연층(14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5 절연층(150)에 상기 회로 패턴(133)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8 관통 홀(15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8 관통 홀(151)은 상기 제 5 관통 홀(141), 제 6 관통 홀(142) 및 제 7 관통 홀(143)이 가지는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형성된 제 5 관통 홀(141)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7 비아(144)를 형성하고, 상기 제 6 관통 홀(142)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8 비아(145)를 형성하고, 상기 제 7 관통 홀(143)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9 비아(146)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형성된 제 8 관통 홀(151)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11 비아(15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7 비아(144)는 제 4 비아(124)와 연결되고, 제 8 비아(145)는 제 5 비아(125)와 연결되며, 제 9 비아(146)는 제 6 비아(126)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1 비아(152)는 상위층에 형성되어, 복수의 비아들과 연결되어 있는 제 10 비아(132)와 연결된다.
상기 제 11 비아(152)의 폭은 상기 제 10 비아(132)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0 비아(132)와 제 11 비아(152)는 피라미드 형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아는 Cu, Ag, Sn, Au, Ni 및 Pd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으며, 무전해 도금, 전해 도금,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스퍼터링(Sputtering), 증발법(Ecaporation), 잉크젯팅 및 디스펜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된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절연층(150) 위에 상기 제 7 비아(144), 제 8 비아(145) 및 제 9 비아(146)와 각각 연결되는 회로 패턴(147, 148, 149)을 형성한다.
상기 회로 패턴(147, 148, 149)들은 상기 제 4 절연층(140)의 상면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 5 절연층(150) 아래에 상기 제 11 비아(152)와 연결되는 회로 패턴(153)을 형성한다. 상기 회로 패턴(153)은 상기 제 11 비아(152)와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제 11 비아(152)가 가지는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로 패턴(147, 148, 149)은 상기 제 7 비아(144), 제 8 비아(145) 및 제 9 비아(146)와 각각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제 7 비아(144), 제 8 비아(145) 및 제 9 비아(146)가 가지는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4 절연층(140) 위에 제 1 보호층(160)을 형성하고, 상기 제 5 절연층(150) 아래에 제 2 보호층(17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및 2 보호층(160, 170)은 상기 제 4 절연층(140) 및 제 5 절연층(150)의 표면이나, 상기 제 4 절연층(140) 및 제 5 절연층(150)의 표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솔더 레지스트, 산화물 및 Au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2 보호층(160, 170)은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회로 패턴의 표면을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진다.
상기 제 1 보호층(160) 위에는 제 1 전자 소자(180)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 1 보호층(160) 내에는 복수의 연결부(185)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연결부(185)는 상기 제 4 절연층(140)의 표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회로 패턴과 상기 제 1 전자 소자(180)에 형성된 칩 연결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자 소자(180) 주위에는 몰딩층(185)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비아 구조를 적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함으로써, 패턴의 미세 피치를 구현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전자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기존 장비를 이용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비아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투자 비용 없이 제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비아 구조의 구현에 있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비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비아 구조는, 기준 절연층을 중심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소(小) 비아들과, 하부에 형성되는 대(大) 비아들로 구분된다.
즉, 상기 기준 절연층에는 제 1 내지 3 비아(115, 116, 1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 절연층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상기 제 1 내지 3 비아(115, 116, 117)와 각각 연결되는 제 4 내지 6 비아(124, 125, 126)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4 내지 6 비아(124, 125, 126) 위에는 상기 4 내지 6 비아(124, 125, 126)와 각각 연결되는 또 다른 제 7 내지 9 비아(144, 145, 146)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준 절연층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상기 제 1 내지 3(115, 116, 117)와 공통 연결되는 하나의 제 10 비아(1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0 비아(132)는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3 비아와 공통 연결되기 때문에, 적어도 상기 제 1 내지 3 비아가 각각 가지는 폭의 합보다는 큰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즉, 상기 하나의 비아(132)는 대(大) 비아이다.
그리고, 상기 제 10 비아(132) 아래에는 다른 하나의 제 11 비아(15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제 11 비아(152)는 상기 제 10 비아(132)보다 큰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0 비아(132)와 제 11 비아(152)는 피라미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토대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 중 상기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은, 절연층(210, 220, 230, 240, 250), 비아(215, 216, 217, 224, 225, 226, 244, 245, 246, 232, 252), 회로 패턴(211, 212, 213, 214, 227, 228, 229, 247, 248, 249, 233, 253), 보호층(260, 270), 전자소자(280) 및 연결부(285)를 포함한다.
제 1 절연층(210), 제 2 절연층(220), 제 3 절연층(230), 제 4 절연층(240), 및 제 5 절연층(250)은 절연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고분자 기판, 세라믹 기판, 유-무기 복합 소재 기판, 또는 유리 섬유 함침 기판일 수 있으며,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FR-4, BT(Bismaleimide Triazine), ABF(Ajinomoto Build up Film) 등의 에폭시계 절연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각의 절연층(210, 220, 230, 240, 250)의 표면에는 회로 패턴(211, 212, 213, 214, 227, 228, 229, 247, 248, 249, 233, 253)이 형성된다.
상기 회로 패턴(211, 212, 213, 214, 227, 228, 229, 247, 248, 249, 233, 253)은 상기 비아(215, 216, 217, 224, 225, 226, 244, 245, 246, 232, 25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 패턴(211, 212, 213, 214, 227, 228, 229, 247, 248, 249, 233, 253)의 형성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절연층(210)을 중심으로 위쪽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211, 212, 213, 227, 228, 229, 247, 248, 249)은 제 1 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 1 절연층(210)을 중심으로 아래쪽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214, 233, 253)은 상기 제 1 폭보다 넓은 제 2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위쪽에 형성된 회로 패턴(211, 212, 213, 227, 228, 229, 247, 248, 249)과 상기 아래쪽에 형성된 회로 패턴(214, 233, 253)의 기능이 서로 다르기 때문일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각각의 회로 패턴이 달성해야 하는 효율이 서로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즉, 상기 위쪽에 형성된 회로 패턴(211, 212, 213, 227, 228, 229, 247, 248, 249)은 전기적 신호 전송 속도의 효율을 높이면서 미세 피치 구현을 위하여 제 1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래쪽에 형성된 회로 패턴(214, 233, 253)은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상기 비아(215, 216, 217, 224, 225, 226, 244, 245, 246, 232, 252)는 상기 각각의 절연층(210, 220, 230, 240, 250)을 관통하며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210, 220, 230, 240, 250)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상기 비아(215, 216, 217, 224, 225, 226, 244, 245, 246, 232, 252)는 해당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비아(215, 216, 217, 224, 225, 226, 244, 245, 246, 232, 252) 상기 회로 패턴(211, 212, 213, 214, 227, 228, 229, 247, 248, 249, 233, 253)과 마찬가지로, 형성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절연층(210)을 중심으로 위쪽에 형성되는 비아(224, 225, 226, 244, 245, 246)와, 상기 제 1 절연층(210) 내에 형성되는 비아(215, 216, 217)는 제 3 폭을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제 1 절연층(210)을 중심으로 아래쪽에 형성되는 비아(232, 252)는 상기 제 3폭보다 넓은 제 4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5 절연층(252) 내에 형성된 비아(252)는 상기 제 3 절연층(232) 내에 형성된 비아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비아(252, 232)들은 로드 타입의 기둥 형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절연층(230) 내에 형성된 비아(232)는 복수의 상위층에 형성된 복수의 비아들과 공통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3 절연층(230) 내에 형성된 비아(232)는 제 1 절연층(210) 내에 형성된 비아(215, 216, 217)들과 공통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절연층(230) 내에 형성된 비아(232)가 가지는 폭은 적어도 제 1 절연층(210) 내에 형성된 비아(215, 216, 217)들이 가지는 폭의 합보다 크다.
상기 제 1 절연층(210) 및 상기 제 1 절연층(210)을 중심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비아(215, 216, 217, 224, 225, 226, 244, 245, 246)는 상기와 같이 전기적 신호 전송 속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한된 폭을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제 1 절연층(210)을 중심으로 아래쪽에 형성된 비아(232, 252)는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상부에 형성되는 비아보다는 넓은 폭을 가지면서 상위층에 형성된 복수의 비아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비아 구조를 적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함으로써, 패턴의 미세 피치를 구현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전자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기존 장비를 이용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비아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투자 비용 없이 제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비아 구조의 구현에 있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4 절연층(240) 및 제 5 절연층(250)의 표면에는 보호층(260, 270)이 각각 형성된다.
제 4 절연층(240) 위에는 칩 연결 단자를 구비하는 전자 소자(280)가 부착된다.
상기 보호층(260) 내에는 상기 전자 소자(280)의 칩 연결 단자와, 상기 제 4 절연층(240)의 표면 위에 형성된 회로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85)가 형성된다.
도 14 내지 17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을 공정 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제조에 기초가 되는 제 1 절연층(210)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절연층(21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 홀(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관통 홀 내부를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1 비아(215), 제 2 비아(216) 및 제 3 비아(217)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비아(215), 제 2 비아(216) 및 제 3 비아(217)는 상기 제 1 절연층(210) 내에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비아(215), 제 2 비아(216) 및 제 3 비아(217)가 형성되면, 상기 제 1 절연층(210)의 상면에 상기 제 1 비아(215)와 연결되는 회로 패턴(211), 상기 제 2 비아(216)와 연결되는 회로 패턴(212), 제 3 비아(217)와 연결되는 회로 패턴(213)을 각각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층(210)의 하면에 상기 제 1 비아(215), 제 2 비아(216) 및 제 3 비아(217)와 공통 연결되는 회로 패턴(214)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 1 절연층(2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211, 212, 213)은 서로 다른 비아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절연층(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214)은 복수의 비아와 공통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절연층(2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211, 212, 213)은 제 1 폭을 가지며 형성되고, 상기 하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214)은 상기 제 1 폭보다 넓은 제 2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 1 절연층(210)의 상부에 제 2 절연층(220)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연층(210)의 하부에 제 3 절연층(23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형성된 제 2 절연층(220) 및 제 3 절연층(230)에 각각 제 4 비아(224), 제 5 비아(225), 제 6 비아(226), 및 제 10 비아(23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4 비아(224)는 제 1 비아(215)와 연결되고, 제 5 비아(225)는 제 2 비아(216)와 연결되며, 제 6 비아(226)는 제 3 비아(217)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0 비아(232)는 상위층에 형성된 복수의 비아와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10 비아(232)는 상위층에 형성된 제 1 비아(215), 제 2 비아(216) 및 제 3 비아(217)와 공통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비아(215), 제 2 비아(216) 및 제 3 비아(217)를 통해 각각 전달되는 신호(또는 열)는 하나의 상기 제 10 비아(232)로 모두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절연층(220) 위에 상기 제 4 비아(224), 제 5 비아(225) 및 제 6 비아(226)와 각각 연결되는 회로 패턴(227, 228, 229)을 형성한다.
상기 회로 패턴(227, 228, 229)들은 상기 제 2 절연층(220)의 상면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절연층(230) 아래에 상기 제 10 비아(232)와 연결되는 회로 패턴(233)을 형성한다. 상기 회로 패턴(233)은 상기 제 10 비아(232)와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제 10 비아(232)가 가지는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절연층(220) 위에 제 4 절연층(240)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절연층(230) 아래에 제 5 절연층(25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4 절연층(240)에 상기 회로 패턴(227, 228, 229)의 표면을 노출하는 관통 홀(241, 242, 243)을 각각 형성한다.
즉, 상기 관통 홀은 회로 패턴(227)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5 관통 홀(241)과, 회로 패턴(228)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6 관통 홀(242)과, 회로 패턴(229)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7 관통 홀(24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5 관통 홀(241), 제 6 관통 홀(242) 및 제 7 관통 홀(243)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절연층(24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5 절연층(250)에 상기 회로 패턴(233)의 표면을 노출하는 제 8 관통 홀(25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8 관통 홀(251)은 상기 제 5 관통 홀(241), 제 6 관통 홀(242) 및 제 7 관통 홀(243)이 가지는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8 관통 홀(251)은 바로 위에 형성된 제 2 절연층(230) 형성된 관통 홀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형성된 제 5 관통 홀(241)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7 비아(244)를 형성하고, 상기 제 6 관통 홀(242)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8 비아(245)를 형성하고, 상기 제 7 관통 홀(243)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9 비아(246)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형성된 제 8 관통 홀(251)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11 비아(25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7 비아(244)는 제 4 비아(224)와 연결되고, 제 8 비아(245)는 제 5 비아(225)와 연결되며, 제 9 비아(246)는 제 6 비아(226)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1 비아(252)는 상위층에 형성되어, 복수의 비아들과 연결되어 있는 제 10 비아(232)와 연결된다.
상기 제 11 비아(252)의 폭은 상기 제 10 비아(232)의 폭과 동일하다.따라서, 상기 제 10 비아(232)와 제 11 비아(252)는 로드 형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절연층(250) 위에 상기 제 7 비아(244), 제 8 비아(245) 및 제 9 비아(246)와 각각 연결되는 회로 패턴(247, 248, 249)을 형성한다.
상기 회로 패턴(247, 248, 249)들은 상기 제 4 절연층(240)의 상면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 5 절연층(250) 아래에 상기 제 11 비아(252)와 연결되는 회로 패턴(253)을 형성한다. 상기 회로 패턴(253)은 상기 제 11 비아(252)와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제 11 비아(252)가 가지는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로 패턴(247, 248, 249)은 상기 제 7 비아(244), 제 8 비아(245) 및 제 9 비아(246)와 각각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제 7 비아(244), 제 8 비아(245) 및 제 9 비아(246)가 가지는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 4 절연층(240) 위에 제 1 보호층(260)을 형성하고, 상기 제 5 절연층(250) 아래에 제 2 보호층(270)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및 2 보호층(260, 270)은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회로 패턴의 표면을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진다.
상기 제 1 보호층(260) 위에는 제 1 전자 소자(280)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 1 보호층(260) 내에는 복수의 연결부(28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비아 구조를 적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함으로써, 패턴의 미세 피치를 구현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전자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기존 장비를 이용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비아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투자 비용 없이 제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비아 구조의 구현에 있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비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비아 구조는, 기준 절연층을 중심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소(小) 비아들과, 하부에 형성되는 대(大) 비아들로 구분된다.
즉, 상기 기준 절연층에는 제 1 내지 3 비아(215, 216, 2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 절연층을 중심으로, 상부에는 상기 제 1 내지 3 비아(215, 216, 217)와 각각 연결되는 제 4 내지 6 비아(224, 225, 226)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4 내지 6 비아(224, 225, 226) 위에는 상기 4 내지 6 비아(224, 225, 226)와 각각 연결되는 또 다른 제 7 내지 9 비아(244, 245, 246)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준 절연층을 중심으로 하부에는 상기 제 1 내지 3(215, 216, 217)와 공통 연결되는 하나의 제 10 비아(2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0 비아(232)는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3 비아와 공통 연결되기 때문에, 적어도 상기 제 1 내지 3 비아가 각각 가지는 폭의 합보다는 큰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즉, 상기 하나의 비아(232)는 대(大) 비아이다.
그리고, 상기 제 10 비아(232) 아래에는 다른 하나의 제 11 비아(25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제 11 비아(252)는 상기 제 10 비아(232)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0 비아(232)와 제 11 비아(252)는 로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절연층(310, 320, 330, 340, 350), 비아(315, 316, 317, 324, 325, 326, 344, 345, 346, 332, 352), 회로 패턴(311, 312, 313, 314, 327, 328, 329, 347, 348, 349, 333, 353), 보호층(360, 370), 제 1 전자소자(380), 연결부(385), 몰딩층(390) 및 제 2 전자 소자(39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제 1 절연층(310) 내의 구조만이 상이할 뿐 나머지 다른 부분은 모두 동일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1 절연층 내부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절연층(310) 내에는 캐비티(4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캐비티(400) 내에는 제 2 전자 소자(39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자 소자(395)는 능동 소자 및 수동 소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자 소자(395)를 중심으로, 제 1 절연층(310)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는 각각 제 1 내지 3 비아(315, 316, 3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영역에 형성된 제 1 내지 3 비아(315, 316, 317)는 상위층에 형성된 비아 중 자신과 정렬된 비아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영역에 형성된 제 1 내지 3 비아(315, 316, 317)는 하위층에 형성된 하나의 비아와 공통 연결된다.
도 20 내지 22는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먼저 제 1 절연층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제 1 절연층(310)을 가공하여 캐비티(40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절연층(310)의 하면에는 캐리어(C)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형성된 캐비티(400) 내에 제 2 전자 소자(395)가 포함된 내층 회로를 부착한다.
상기 내층 회로는 제 2 전자 소자(395)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제 2 전자 소자(395)의 칩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제 1 내지 3 비아(315, 316, 3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전자 소자(395)와 제 1 내지 3 비아(315, 316, 317)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층 회로가 부착되면, 상기 캐리어를 제거하고, 그에 따라 이후 공정을 진행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한다.
상기 이후 공정은 상기 제 1 실시 예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이미 상세하게 기재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절연층(510, 520, 530, 540, 550), 비아(515, 516, 517, 524, 525, 526, 544, 545, 546, 532, 552), 회로 패턴(511, 512, 513, 514, 527, 528, 529, 547, 548, 549, 533, 553), 보호층(560, 570), 제 1 전자소자(580), 연결부(585), 몰딩층(590) 및 제 2 전자 소자(59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제 1 절연층(510) 내의 구조만이 상이할 뿐 나머지 다른 부분은 모두 동일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1 절연층 내부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절연층(510) 내에는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캐비티 내에는 제 2 전자 소자(59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자 소자(595)는 능동 소자 및 수동 소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자 소자(595)를 중심으로, 제 1 절연층(510)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는 각각 제 1 내지 3 비아(515, 516, 5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영역에 형성된 제 1 내지 3 비아(515, 516, 517)는 상위층에 형성된 비아 중 자신과 정렬된 비아와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영역에 형성된 제 1 내지 3 비아(515, 516, 517)는 하위층에 형성된 하나의 비아와 공통 연결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기준 절연층;
    상기 기준 절연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절연층; 및
    상기 기준 절연층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절연층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홀을 각각 매립하는 복수의 제 1 비아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절연층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하나의 관통 홀을 매립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와 공통 연결되는 하나의 제 2 비아가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아는,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가 가지는 각각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절연층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홀을 각각 매립하며, 상기 상부 절연층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비아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3 비아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 2 비아는,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와 공통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연층 위에 부착되는 전자 소자; 및
    상기 전자 소자에 형성된 칩 연결 단자와, 상기 상부 절연층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비아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연층은,
    상기 기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1 하부 절연층과,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2 하부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1 비아 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하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2 비아 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비아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가하는 피라미드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연층은,
    상기 기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1 하부 절연층과,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2 하부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1 비아 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하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2 비아 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비아는,
    상부와 하부의 폭이 동일한 로드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수용되는 전자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는,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소자의 상면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비아 파트와,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소자의 하면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비아 파트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 파트는,
    상기 상부 절연층 내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비아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비아 파트는,
    상기 하부 절연층 내에 형성된 하나의 제 2 비아와 공통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절연층과 하부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의 하면과 접촉하고, 하면이 상기 하나의 제 2 비아의 상면과 접촉하는 회로 패턴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절연층과 상부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고, 하면이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복수의 회로 패턴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11. 기준 절연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기준 절연층의 상부에 복수의 제 1 관통 홀이 형성된 상부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기준 절연층의 하부에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 홀이 각각 가지는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하나의 제 2 관통 홀이 형성된 하부 절연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 홀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복수의 제 1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관통 홀을 금속 물질로 매립하여 제 2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하는 단계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면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제 3 관통 홀이 형성된 기준 절연층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제3 관통 홀을 매립하는 복수의 제 3 비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연층 내에서 상기 제 2 관통 홀이 형성된 영역은,
    상기 상부 절연층 내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 홀의 형성 영역과 중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아는,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와 공통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의 하부는,
    상기 제 2 비아와 공통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의 상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와 각각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연층 위에 전자 소자를 부착하고, 상기 전자 소자에 형성된 칩 연결 단자와, 상기 상부 절연층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비아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절연층은,
    상기 기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1 하부 절연층과,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 아래에 형성된 제 2 하부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1 비아 파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부 절연층에는,
    상기 제 2 비아의 하부 구조를 구성하는 제 2 비아 파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비아 파트 및 제 2 비아 파트를 포함하는 제 2 비아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가하는 피라미드 형상 및 상부와 하부의 폭이 동일한 로드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전자 소자를 매립하는 단계가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는,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소자의 상면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비아 파트와,
    상기 기준 절연층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소자의 하면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비아 파트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 파트는,
    상기 상부 절연층 내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비아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비아 파트는,
    상기 하부 절연층 내에 형성된 하나의 제 2 비아와 공통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절연층과 하부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의 하면과 접촉하고, 하면이 상기 하나의 제 2 비아의 상면과 접촉하는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절연층과 상부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면이 상기 복수의 제 1 비아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고, 하면이 상기 복수의 제 3 비아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복수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140020572A 2014-02-21 2014-02-21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5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572A KR102155740B1 (ko) 2014-02-21 2014-02-21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TW104105523A TWI660652B (zh) 2014-02-21 2015-02-17 印刷電路板及其製造方法
CN201510086915.3A CN104869748B (zh) 2014-02-21 2015-02-17 印刷电路板及其制造方法
EP15155834.3A EP2911484B1 (en) 2014-02-21 2015-02-19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4/627,319 US9942985B2 (en) 2014-02-21 2015-02-20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572A KR102155740B1 (ko) 2014-02-21 2014-02-21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071A true KR20150099071A (ko) 2015-08-31
KR102155740B1 KR102155740B1 (ko) 2020-09-14

Family

ID=5247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572A KR102155740B1 (ko) 2014-02-21 2014-02-21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42985B2 (ko)
EP (1) EP2911484B1 (ko)
KR (1) KR102155740B1 (ko)
CN (1) CN104869748B (ko)
TW (1) TWI6606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3534A (zh) * 2015-11-20 2017-05-3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路板钢网印刷方法
US10251270B2 (en) * 2016-09-15 2019-04-02 Innovium, Inc. Dual-drill printed circuit board via
CN107835565B (zh) * 2017-10-24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印刷电路板及移动终端
KR20200070773A (ko) 2018-12-10 2020-06-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85020A1 (ko) 2019-03-12 2020-09-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를 포함하는 기판의 적재 카세트 및 이를 적용한 기판의 적재방법
CN113272951B (zh) 2019-03-12 2024-04-16 爱玻索立克公司 封装基板及包括其的半导体装置
KR102396184B1 (ko) 2019-03-12 2022-05-10 앱솔릭스 인코포레이티드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515304B1 (ko) 2019-03-29 2023-03-29 앱솔릭스 인코포레이티드 반도체용 패키징 유리기판, 반도체용 패키징 기판 및 반도체 장치
EP3745828B1 (en) * 2019-05-28 2022-11-09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of forming high density vias in a multilayer substrate
WO2021040178A1 (ko) 2019-08-23 2021-03-0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패키징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CN112543546B (zh) * 2019-09-20 2022-05-27 宏启胜精密电子(秦皇岛)有限公司 具有散热结构的线路板及其制作方法
EP3836208A1 (en) * 2019-11-19 2021-06-16 Mitsubishi Electric R & D Centre Europe B.V. Method and system for interconnecting a power device embedded in a substrate using conducting paste into cavities
US20220418106A1 (en) * 2019-12-04 2022-12-29 Lg Innotek Co., Ltd. Printed circuit board
US11570894B2 (en) 2020-05-15 2023-01-31 Rockwell Collins, Inc. Through-hole and surface mount printed circuit card connections for improved power component soldering
US20230337352A1 (en) * 2020-09-10 2023-10-19 Sew-Eurodrive Gmbh & Co. Kg Printed circuit board and circuit arran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6858A1 (en) * 2006-05-02 2007-11-08 Ibiden Co., Ltd. Heat resistant substrate incorporated circuit wiring boar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9236A1 (en) * 1999-05-10 2000-11-16 Microsubstrates Corporation A thermally enhanced via/bga microwave circuit ceramic package
US6744135B2 (en) * 2001-05-22 2004-06-01 Hitachi, Ltd. Electronic apparatus
JP2006216713A (ja) * 2005-02-02 2006-08-17 Ibiden Co Ltd 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5105168B2 (ja) * 2005-11-02 2012-12-19 イビデン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
WO2008053833A1 (fr) * 2006-11-03 2008-05-08 Ibiden Co., Ltd. Tableau de câblage imprimé multicouche
CN104284533B (zh) 2008-09-28 2019-03-19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层电路板及其制作方法和通信设备
JP2011082450A (ja) * 2009-10-09 2011-04-21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2186440A (ja) * 2011-02-18 2012-09-27 Ibiden Co Ltd インダクタ部品とその部品を内蔵しているプリント配線板及びインダクタ部品の製造方法
JP2012222161A (ja) * 2011-04-08 2012-11-12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KR101289186B1 (ko) * 2011-04-15 2013-07-26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3197576A (ja) * 2012-03-23 2013-09-3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JP2013211292A (ja) * 2012-03-30 2013-10-1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US9161461B2 (en) * 2012-06-14 2015-10-13 Zhuhai Advanced Chip Carriers & Electronic Substrate Solutions Technologies Co. Ltd. Multilayer electronic structure with stepped holes
JP2014022551A (ja) * 2012-07-18 2014-02-03 Ibiden Co Ltd プリント配線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US20140048313A1 (en) * 2012-08-14 2014-02-20 Bridge Semiconductor Corporation Thermally enhanced wiring board with thermal pad and electrical po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6858A1 (en) * 2006-05-02 2007-11-08 Ibiden Co., Ltd. Heat resistant substrate incorporated circuit wiring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45486A1 (en) 2015-08-27
EP2911484B1 (en) 2018-08-15
EP2911484A3 (en) 2016-01-27
CN104869748A (zh) 2015-08-26
EP2911484A2 (en) 2015-08-26
CN104869748B (zh) 2019-03-26
TW201540147A (zh) 2015-10-16
KR102155740B1 (ko) 2020-09-14
US9942985B2 (en) 2018-04-10
TWI660652B (zh)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740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165554B (zh) 印刷电路板、封装基板及其制造方法
RU2327311C2 (ru) Способ встраивания компонента в основание
KR20160002069A (ko) 인쇄회로기판, 패키지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72945B1 (ko) 인쇄회로기판,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30727A (ko) 전자부품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86148B1 (ko) 임베디드 기판 및 임베디드 기판의 제조 방법
KR20160059125A (ko) 소자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TWI647981B (zh) 印刷電路板、其製造方法及電子元件模組
KR101231286B1 (ko) 부품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353572A1 (en) Printed circuit board,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65029A (ko) 인쇄회로기판, 그 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CN112599515A (zh) 半导体装置以及制造半导体装置的方法
KR102191573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36395B1 (ko) 매립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502866B1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KR101115476B1 (ko) 매립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7765A (ko) 인쇄회로기판
KR101241699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131043A (ko) 매립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26729B1 (ko) 인쇄회로기판
KR101199167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73416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131041A (ko) 매립형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219B1 (ko)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인쇄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