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086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086A
KR20150085086A KR1020157016754A KR20157016754A KR20150085086A KR 20150085086 A KR20150085086 A KR 20150085086A KR 1020157016754 A KR1020157016754 A KR 1020157016754A KR 20157016754 A KR20157016754 A KR 20157016754A KR 20150085086 A KR20150085086 A KR 20150085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idling
idling stop
unit
st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287B1 (ko
Inventor
다다시 모리
진 요기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8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46Control of prime movers, e.g. depending on the hydraulic load of work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4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02N11/0818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 F02N11/0829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related to special engine control, e.g. giving priority to engine warming-up or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엔진과,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와, 판정부와, 카운트부와, 아이들링 시간 조정부를 포함한다. 엔진은, 소정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1 아이들링 상태 및 소정 회전수보다도 높은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2 아이들링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는, 제1 아이들링 상태 또는 제2 아이들링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경우에, 엔진을 정지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동작을 실행한다. 판정부는, 엔진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한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카운트부는,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한다.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는,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조건인 제2 아이들링 상태의 소정 시간을 현재의 시간보다도 길게 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아이들링 스톱 기능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절약이나 환경 보호를 위해, 예컨대 유압 셔블과 같은 작업 차량에 아이들링 스톱 기능을 탑재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아이들링 스톱 기능이란, 작업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엔진을 정지시키는 기능이다. 아이들링 상태란, 엔진이 작동한 채로 작업 차량이 대기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아이들링 스톱 기능은 자동적으로 엔진을 정지시키는 기능이기 때문에, 엔진의 정지 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 점에서, 일본 특허공개 2004-251278호 공보에서는, 엔진에 가해지는 부담을 파악하기 위해서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결과에 기초하여 엔진의 정지 횟수가 임계치가 되는 상한 횟수를 넘은 경우에는 아이들링 스톱 기능을 무효로 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아이들링 스톱 기능에 의해 엔진이 정지하는 횟수를 억제하여, 엔진에 주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251278호 공보
한편, 유압 셔블과 같은 작업 차량에서는, 엔진의 출력이 주행기와 작업기에 분배되어, 다른 일반 차량과는 다른 특수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작업 차량에서는, 비주행 상태에 있더라도 작동기를 구동하여 작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작업 차량에서는, 비주행 상태(정지 상태)라도, 안정된 작업기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엔진의 아이들링 상태에서의 회전수에 관해서, 낮은 회전수의 아이들링 상태뿐만 아니라 높은 회전수의 아이들링 상태에서 대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높은 회전수의 아이들링 상태, 즉 엔진이 높은 회전수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기능이 작동하면, 엔진에 부담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 점에서, 상기 공보에는, 엔진에 주는 부담이 작은 상황 혹은 큰 상황에 상관없이 엔진이 정지하는 모든 상황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고, 엔진에 주는 부담이 작은 상황에서의 엔진의 정지 횟수도 포함되는 방식이었다. 즉, 상기 공보에 기재되는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식에서는, 실제의 엔진에 대한 부담 정도를 파악한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어, 상기 엔진에 대한 부담 정도를 파악한다는 점에서 불충분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엔진에 대한 부담 정도를 정밀도 좋게 파악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밖의 과제와 신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따른 작업 차량은, 엔진과,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와, 판정부와, 카운트부와, 아이들링 시간 조정부를 포함한다. 엔진은, 소정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1 아이들링 상태 및 소정 회전수보다도 높은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2 아이들링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는, 제1 아이들링 상태 또는 제2 아이들링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경우에, 엔진을 정지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동작을 실행한다. 판정부는, 엔진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한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카운트부는,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한다.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는,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조건인 제2 아이들링 상태의 소정 시간을 현재의 시간보다도 길게 한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에 따르면, 엔진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한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에 따라, 엔진에 주는 부담이 작은 상황에서의 엔진의 정지 횟수를 배제하고, 부담이 큰 상황에서의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엔진에 대한 부담 정도를 정밀도 좋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부담 정도에 따라서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조건인 소정 시간을 길게 한다. 이에 따라, 엔진이 정지하는 횟수를 억제하여, 엔진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판정부는,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다이얼의 조작량에 따른 지령치가 소정치를 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해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이 정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에 의하면, 조정 다이얼에 따른 지령치에 기초하여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을 정지시킨다고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센서를 설치하여 회전수를 계측할 필요는 없어, 처리 부하를 경감하는 것과 함께, 간이한 방식으로 판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차량은,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는,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범위에서 소정 시간을 설정한다.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는,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소정 시간을, 설정 범위 중 최장 시간으로 설정한다.
상기에 의하면, 소정 시간이 최장 시간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엔진이 정지하는 횟수를 유효하게 억제하여, 엔진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차량은 통지부를 더 포함한다. 통지부는,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에 기초하여 엔진에 관한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한다.
상기에 의하면, 엔진에 관한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하기 때문에 엔진에 대한 부담 정도를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통지부는,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의 증가에 따라서 가이던스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통지한다.
상기에 의하면, 엔진의 정지 횟수의 증가에 따라서 가이던스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통지함으로써, 조작자에게 엔진의 부담 정도에 따라서 적절한 형식으로 통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차량은, 디셀러레이션 실행부와, 디셀러레이션 설정부를 포함한다. 디셀러레이션 실행부는, 무작업 상태의 계속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를 제2 아이들링 상태보다도 낮은 회전수로 설정하는 디셀러레이션 동작을 실행한다. 디셀러레이션 설정부는,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을 유효 혹은 무효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정부는, 디셀러레이션 설정부에 의해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엔진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해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이 정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에 의하면,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엔진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을 정지시키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이 유효인 경우에는, 엔진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를 이용하여 판정할 필요가 없너, 아이들링 상태의 판정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특히, 디셀러레이션 설정부는, 카운트부에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를 넘은 경우에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을 유효로 설정한다.
상기에 의하면,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을 유효로 설정함으로써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을 정지하는 것을 억제하여, 엔진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작업 차량은, 엔진과, 디셀러레이션 실행부와,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와, 디셀러레이션 설정부와, 판정부와, 카운트부와, 아이들링 시간 조정부를 포함한다. 엔진은, 소정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1 아이들링 상태 및 소정 회전수보다도 높은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2 아이들링 상태로 회전 가능하다. 디셀러레이션 실행부는, 무작업 상태의 계속에 따라 엔진의 회전수를 제1 아이들링 상태의 회전수로 설정하는 디셀러레이션 동작을 실행한다.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는, 제1 아이들링 상태 또는 제2 아이들링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경우에, 엔진을 정지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동작을 실행한다. 디셀러레이션 설정부는,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을 유효 혹은 무효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정부는, 디셀러레이션 설정부에 의해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한 엔진의 정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카운트부는,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한다.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는,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조건인 제2 아이들링 상태의 소정 시간을 현재의 시간보다도 길게 한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에 따르면,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한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한다. 이에 따라 엔진에 주는 부담이 작은 상황에서의 엔진의 정지 횟수를 배제하고, 부담이 큰 상황에서의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엔진에 대한 부담 정도를 정밀도 좋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부담 정도에 따라서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조건인 소정 시간을 길게 한다. 이로써, 엔진이 정지하는 횟수를 억제하여, 엔진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차량은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는,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범위에서 소정 시간을 설정한다. 아이들링 시간 조정부는,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소정 시간을, 설정 범위 중 최장 시간으로 설정한다.
상기에 의하면, 소정 시간이 최장 시간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엔진이 정지하는 횟수를 유효하게 억제하여, 엔진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차량은 통지부를 더 포함한다. 통지부는,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에 기초하여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한다.
상기에 의하면, 엔진에 관한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하기 때문에 엔진에 대한 부담 정도를 조작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특히, 통지부는,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의 증가에 따라서 가이던스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통지한다.
상기에 의하면, 엔진의 정지 횟수의 증가에 따라서 가이던스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통지함으로써, 조작자에게 엔진의 부담 정도에 따라서 적절한 형식으로 통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셀러레이션 설정부는, 카운트부에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를 넘은 경우에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을 유효로 설정한다.
상기에 따르면,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을 유효로 설정함으로써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을 정지하는 것을 억제하여, 엔진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엔진에 대한 부담 정도를 정밀도 좋게 파악하여, 엔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운전실(8)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간략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모니터 장치(21)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동 모드 선택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제어 시스템의 메인 컨트롤러(50)의 아이들링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아이들링 스톱 시간의 설정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의 메인 제어 흐름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정지 판정 처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아이들링 시간 조정 판정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정보에 따라서 모니터 장치(21)에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제어 시스템의 메인 컨트롤러(50A)의 아이들링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의 제어 흐름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의 메인 제어 흐름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정지 판정 처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정보에 따라서 모니터 장치(21)에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에 있어서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제어 시스템의 메인 컨트롤러(50B)의 아이들링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5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기초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B)의 메인제어 흐름에 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기초한 정지 판정 처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전체 구성>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으로서, 본 예에서는 주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작업 차량(101)은, 하부 주행체(1)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4)를 주로 포함한다. 작업 차량 본체는 하부 주행체(1)와 상부 선회체(3)로 구성된다. 하부 주행체(1)는 좌우 한 쌍의 무한궤도를 갖고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1)의 상부에 선회 기구(2)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업기(4)는, 상부 선회체(3)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피봇 지지되어 있으며, 토사를 굴착하거나 하는 작업을 한다. 작업기(4)는, 붐(5)과, 아암(6)과, 버킷(7)을 포함한다. 붐(5)은 기초부가 상부 선회체(3)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암(6)은 붐(5)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버킷(7)은 아암(6)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3)는 운전실(8) 등을 포함한다.
<운전실의 구성>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운전실(8)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운전실(8)은, 운전석(9)과, 주행 조작부(10)와, 어태치먼트용 페달(15)과, 측방창(16)과, 계기반(17)과, 작업기 레버(18, 19)와, 로크 레버(20)와, 모니터 장치(21)와, 전방창(22)과, 세로 프레임(23)을 갖는다.
운전석(9)은 운전실(8)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주행 조작부(10)는 운전석(9)의 전방에 설치된다.
주행 조작부(10)는 주행 레버(11, 12)와 주행 페달(13, 14)을 포함한다. 주행 페달(13, 14)은 각 주행 레버(11, 12)와 일체로 요동한다. 하부 주행체(1)는, 조작자가 주행 레버(11, 12)를 전방으로 누름으로써 전진한다. 또한, 하부 주행체(1)는, 조작자가 주행 레버(11, 12)를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후진한다.
어태치먼트용 페달(15)은 주행 조작부(10) 근방에 설치된다. 또한, 계기반(17)은 도 2의 우측의 측방창(16) 근방에 설치된다.
작업기 레버(18, 19)는 운전석(9)의 좌우 측부에 설치된다. 작업기 레버(18, 19)는, 붐(5)의 상하 이동, 아암(6) 및 버킷(7)의 회동, 그리고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조작 등을 행하는 것이다.
로크 레버(20)는 작업기 레버(18) 근방에 설치된다. 여기서, 로크 레버(20)란, 작업기(4)의 조작,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및 하부 주행체(1)의 주행 등의 기능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로크 레버(20)를 수평 상태로 위치시키는 조작(여기서는, 로크 레버를 끌어올리는 조작)을 함으로서, 작업기(4) 등의 움직임을 로크(규제)할 수 있다. 로크 레버(20)에 의해서 작업기(4) 등의 움직임이 로크된 상태에서는, 조작자가 작업기 레버(18, 19)를 조작하더라도 작업기(4) 등이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마찬가지로 주행 레버(11, 12)와 주행 페달(13, 14)을 조작하더라도 하부 주행체(1)는 동작하지 않는다.
모니터 장치(21)는, 운전실(8)의 전방창(22)과 한쪽의 측방창(16)을 구획하는 세로 프레임(23)의 하부에 설치되어, 작업 차량(101)의 엔진 상태, 가이던스 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한, 모니터 장치(21)는, 작업 차량(101)의 여러 가지 동작에 관한 설정 지시를 접수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엔진 상태란, 예컨대, 엔진 냉각수의 온도, 작동유 온도, 연료 잔량 등이다. 가이던스 정보란, 일례로서 작업 차량의 엔진의 점검·정비를 재촉하는 표시 등이다. 여러 가지 동작이란, 가동 모드의 설정이나 아이들링 스톱 제어에 관한 설정 등이다.
<제어 시스템의 구성>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간략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작업 차량(101)의 제어 시스템은, 일례로서, 작업기 레버(18, 19), 주행 레버(11, 12)와, 로크 레버(20)와, 모니터 장치(21)와, 제1 유압 펌프(31A)와, 제2 유압 펌프(31B)와, 경사판 구동 장치(32)와, 펌프 컨트롤러(33)와, 컨트롤 밸브(34)와, 유압 액츄에이터(35)와, 엔진(36)과, 거버너 모터(37)와, 엔진 컨트롤러(38)와, 연료 다이얼(39)과, 회전 센서(40)와, 작업기 레버 장치(41)와, PPC 로크 스위치(42)와, 밸브(43)와, 포텐셔미터(45)와, 스타터 스위치(46)와, 압력 센서(47)와, 메인 컨트롤러(50)를 포함한다.
제1 유압 펌프(31A)는, 작업기(4) 등을 구동하는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압유(壓油)를 토출한다.
제2 유압 펌프(31B)는, 작업기 레버(18, 19), 주행 레버(11, 12)의 조작에 따른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압유를 토출한다. 제1 유압 펌프(31A)에는 경사판 구동 장치(32)가 접속되어 있다.
경사판 구동 장치(32)는, 펌프 컨트롤러(3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구동하여, 제1 유압 펌프(31A)의 경사판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제1 유압 펌프(31A)에는 컨트롤 밸브(34)를 통해 유압 액츄에이터(35)가 접속된다. 유압 액츄에이터(35)는, 붐용 실린더, 아암용 실린더, 버킷용 실린더, 선회용 유압 모터 및 주행용 유압 모터 등이다.
컨트롤 밸브(34)는 작업기 레버 장치(41)와 접속된다. 작업기 레버 장치(41)는, 작업기 레버(18, 19), 주행 레버(11, 12)의 조작 방향 및/또는 조작량에 따른 파일럿압을 컨트롤 밸브(34)에 출력한다. 컨트롤 밸브(34)는, 상기 파일럿압에 따라서 유압 액츄에이터(35)를 제어한다.
제2 유압 펌프(31B)에는, 작업기 레버(18, 19), 주행 레버(11, 12)와 로크 레버(20)가 접속된다.
작업기 레버 장치(41)에는 압력 센서(47)가 접속된다. 압력 센서(47)는, 작업기 레버(18, 19), 주행 레버(11, 12)의 조작 상태에 따른 레버 조작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50)에 출력한다.
펌프 컨트롤러(33)는, 메인 컨트롤러(5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작업량에 따라서 설정되는 펌프 흡수 토크, 연료 다이얼(39) 등에서 설정되는 엔진 회전수 및 실제의 엔진 회전수 등에 따라서, 제1 유압 펌프(31A)가 엔진(36)의 각 출력점에서의 베스트 매칭의 토크를 흡수하는 제어를 한다.
엔진(36)은, 제1 유압 펌프(31A) 및 제2 유압 펌프(31B)와 접속하는 구동축을 갖는다. 거버너 모터(37)는, 엔진(36) 내의 연료 분사 장치에 의한 연료 분사량을 조절한다.
엔진 컨트롤러(38)는 엔진(36)의 동작을 제어한다. 엔진(36)은 일례로서 디젤 엔진이다. 엔진(36)의 엔진 회전수는 연료 다이얼(39) 등에 의해서 설정되고, 실제의 엔진 회전수는 회전 센서(40)에 의해서 검출된다. 회전 센서(40)는 메인 컨트롤러(50)와 접속된다.
연료 다이얼(39)에는 포텐셔미터(45)가 설치되고, 포텐셔미터(45)에 의해 연료 다이얼(39)의 조작량이 검출되어 엔진 컨트롤러(38)에 대하여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다이얼 지령의 값(다이얼 지령치라고도 함)이 출력된다. 상기 연료 다이얼(39)의 다이얼 지령치에 따라서 엔진(36)의 목표 회전수가 조정된다.
엔진 컨트롤러(38)는, 메인 컨트롤러(5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포텐셔미터(45)로부터의 조작량에 따른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다이얼 지령치에 기초하여 거버너 모터(37)에 지시하여, 연료 분사 장치가 분사하는 연료량 등을 제어하여 엔진(36)의 회전수를 조절한다.
스타터 스위치(46)는 엔진 컨트롤러(38)와 접속된다. 조작자가 스타터 스위치(46)를 조작(스타트로 설정)함으로써, 시동 신호가 엔진 컨트롤러(38)에 출력되고, 엔진(36)이 시동된다.
메인 컨트롤러(50)는 작업 차량(101)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 불휘발성 메모리, 타이머 등에 의해 구성된다. 메인 컨트롤러(50)는, 펌프 컨트롤러(33), 엔진 컨트롤러(38) 및 모니터 장치(21)를 제어한다.
연료 다이얼(39)로부터의 다이얼 지령치, 스타터 스위치(46)로부터의 시동 신호는, 엔진 컨트롤러(38)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50)에도 입력된다. 한편, 본 예에서는, 예컨대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다이얼 지령치는, 엔진 컨트롤러(38)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50)에 입력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특별히 그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연료 다이얼(39)로부터의 다이얼 지령치가 메인 컨트롤러(50)에 직접 입력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크 레버(20)에는 PPC 로크 스위치(42)가 접속되어 있다. PPC 로크 스위치(42)는, 로크 레버(20)가 로크 측으로 조작되었을 때에 그 조작을 검지하여, 밸브(솔레노이드 밸브)(43)에 신호를 보낸다. 또한, PPC 로크 스위치(42)는 메인 컨트롤러(50)에도 같은 신호를 보낸다. 이로써, 작업기(4)의 조작,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및 하부 주행체(1)의 주행 등의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PC 로크 스위치(42)에서 메인 컨트롤러(50)로의 신호, 즉, 로크 레버(20)가 로크 측으로 조작되었음을 검지함으로써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제어가 시작된다.
<모니터 장치>
이어서, 모니터 장치(2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모니터 장치(21)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모니터 장치(21)는, 입력부(211)와, 표시부(212)와, 표시 제어부(213)를 포함한다.
입력부(211)는 각종 정보의 입력을 접수한다. 모니터 장치(21)는 메인 컨트롤러(50)와 접속되고, 입력부(211)에서 접수된 입력은 메인 컨트롤러(50)에 출력된다.
표시부(212)는 액정 화면 등을 이용하여 실현된다.
표시 제어부(213)는 표시부(212)의 표시 내용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213)는, 메인 컨트롤러(5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작업 차량(1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정보에는 엔진 상태의 정보나 가이던스 정보가 포함된다.
입력부(211)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입력부(211)는 복수의 스위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입력부(211)는 기능 스위치(F1~F6)를 갖는다.
기능 스위치(F1~F6)는, 표시부(212)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F1」~「F6」라고 각각 표시되어 있으며, 각 스위치의 위쪽에서 표시부(212)가 표시하는 아이콘(일례로서 가이던스 아이콘(I1~I3))에 대응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한, 입력부(211)는 기능 스위치(F1~F6)의 아래쪽에 설치된, 디셀러레이션 스위치(111)와, 가동 모드 선택 스위치(112)와, 주행 속도단 선택 스위치(113)와, 버저 캔슬 스위치(114)와, 와이퍼 스위치(115)와, 워셔 스위치(116)와, 에어컨 스위치(117)를 갖는다.
디셀러레이션 스위치(111)는, 작업기 레버(18, 19)가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고 나서 소정 시간 후에 엔진(36)의 엔진 회전수를 소정의 회전수까지 저하시키는 디셀러레이션 제어를 실행시키는 스위치이다. 「중립 위치」란, 작업기 레버(18, 19)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무작업 상태)임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작업기 레버(18, 19)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동 모드 선택 스위치(112)는, 작업 차량(101)의 가동 모드를 복수의 가동 모드에서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주행 속도단 선택 스위치(113)는, 작업 차량(101)의 주행 속도단을 복수의 주행 속도단에서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버저 캔슬 스위치(114)는, 작업 차량(101)이 소정의 경고 상태가 되면 발생하는 버저음을 캔슬하는 스위치이다. 와이퍼 스위치(115)는, 작업 차량(101)의 운전실(8)(도 2를 참조)의 앞유리에 설치되는 와이퍼(도시하지 않음)를 동작시키는 스위치이다. 워셔 스위치(116)는, 앞유리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워셔(도시하지 않음)를 작동하는 스위치이다. 에어컨 스위치(117)는, 운전실(8) 내의 에어컨의 각종 기능을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한편, 입력부(211)로서, 저항막 방식 등의 터치 패널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예에서는, 표시부(212)가 표시하고 있는 화면으로서, 작업 차량(101)이 통상 동작 중에 표시하는 표준 화면(301)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가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 표준 화면(301)은, 도시하지 않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화면을 표시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부(213)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다른 화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표준 화면(301)에는, 엔진 수온 게이지 G1, 작동유 온도 게이지 G2 및 연료 레벨 게이지 G3가 나란하게 표시되어 있고, 각각에 대응하는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지의 바늘이 변화된다. 또한, 연료 레벨 게이지 G3의 우측에는 연료 소비 게이지 G4가 표시되어 있다.
표시부(212) 위쪽의 중앙부에는 시계(W)가 표시되어 있다. 시계(W)의 우측에는, 설정되어 있는 가동 모드를 나타내는 가동 모드 아이콘(IU) 및 설정되어 있는 주행 속도단을 나타내는 주행 속도단 아이콘(IS)이 표시되어 있다.
표준 화면(301)에서는, 가동 모드 아이콘(IU)으로서 문자「P」가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가동 모드가 통상의 굴착 작업 등을 할 때에 이용되는 파워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이다.
이에 대하여, 작업 차량(101)이 이코노미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가동 모드 아이콘(IU)으로서 문자「E」가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표준 화면(301)에서는, 주행 속도단 아이콘(IS)으로서 「Hi」라고 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이 아이콘은, 주행 속도단이 고속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표시이다. 주행 속도단 선택 스위치(113)에 의해 선택 입력되는 주행 속도단은 저속, 중속, 고속의 3 종류이다.
이 중, 저속이 선택된 경우에는, 주행 속도단 아이콘(IS)으로서 문자열「Lo」를 포함하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중속이 선택된 경우에는, 주행 속도단 아이콘(IS)으로서 문자열「Mi」를 포함하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표준 화면(301) 아래쪽의 위치이며 기능 스위치(F4~F6)의 위쪽의 위치에는, 기능 스위치(F4~F6)에 각각 대응하는 가이던스 아이콘(I1~I3)이 표시되어 있다.
가이던스 아이콘(I1)은, 표시부(212)가 표시하는 화면을 카메라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는 아이콘이다. 카메라 화면이란, 작업 차량(101)의 외장부에 설치되어, 작업 차량(101)의 외계를 촬영하는 CCD 카메라 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취득된 화상 신호가 출력된 화면이다. 가이던스 아이콘(I2)은, 시계(W)의 표시를 서비스 미터의 표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는 아이콘이다. 가이던스 아이콘(I3)은, 표시부(212)가 표시하는 화면을 사용자 모드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는 아이콘이다. 따라서, 예컨대 가이던스 아이콘(I1)에 대응하는 기능 스위치(F4)가 눌리면, 표시부(212)가 표시하고 있는 화면이 카메라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동 모드 선택 화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가동 모드 선택 화면(302)은, 가동 모드 선택 스위치(112)를 선택함으로써 표준 화면(301)으로부터 천이되어 표시된다.
본 예에서는, 일례로서, P 모드(파워 모드)의 「P」, E 모드(이코노미 모드)의 「E」, L 모드(아암 크레인 모드: 짐 매달기 모드)의 「L」, B 모드(브레이커 모드)의 「B」, ATT 모드(어태치먼트 모드)의 「ATT」의 문자를 각각 포함하는 아이콘이 표시되고, 그 우측에 각각의 모드의 명칭이 표시되어 있다. P 모드 및 E 모드는 통상의 굴착 작업 등을 할 때의 모드이며, E 모드는 P 모드에 비하여 엔진(36)의 최대 출력이 억제되고 있다. L 모드는, 훅에 매달린 짐을 리프팅하는 아암 크레인 조작 등과 같이 엔진 회전수를 억제하여(중속으로 하여) 천천히 움직이는 미세 조작 모드이다. B 모드는, 암석 등을 깨뜨리는 브레이커를 어태치먼트로서 붙여 작업하는 모드이며, 엔진 회전수를 중고속으로 하여 작업을 하는 모드이다. ATT 모드는, 엔진 회전수를 중속에서 고속 사이로 하여 작업을 하는 모드이며, 그래플 등과 같은 특수한 어태치먼트를 부착하는 경우의 예비 모드이다. 한편, 여기서는, 파워 모드를 선택하는 위치에 커서(303)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나타내어져 있다. 예컨대, 입력부(211)의 조작 지시에 따라 L 모드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아암 크레인 모드의 문자가 반전 표시되어, 모드 선택 상태가 된다. 상기 가동 모드의 선택에 따라서 엔진 컨트롤러(38)에 대한 엔진(36) 회전수의 범위가 제어된다.
<아이들링 스톱 기능>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제어 시스템의 메인 컨트롤러(50)의 아이들링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메인 컨트롤러(50)와 다른 주변 기기와의 관계가 나타내어져 있다. 여기서는, 주변 기기로서, 모니터 장치(21)와, PPC 로크 스위치(42)와, 엔진(36)과, 거버너 모터(37)와, 엔진 컨트롤러(38)와, 연료 다이얼(39)과, 포텐셔미터(45)와, 스타터 스위치(46)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컨트롤러(50)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와 조작 상태 검출부(60)를 포함한다.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아이들링 스톱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 상태 검출부(60)는 각종 조작 레버 등의 조작 상태를 검출한다.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52)와, 카운트부(53)와,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와, 정지 판정부(55)와,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와,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와, 통지부(58)와, 통지 조건 기억부(59)를 포함한다.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는, 소정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엔진(36)을 정지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동작을 실행하도록 엔진 컨트롤러(38)에 대하여 엔진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아이들링 스톱 동작」이란, 작업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 즉, 엔진(36)이 작동한 채로 작업 차량이 대기하는 상태의 엔진(36)을 정지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 소정 조건이란, 「아이들링 스톱 동작」을 실행하는 실행 조건이며, 주로 작업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가 계속되는 소정 시간에 관한 조건을 의미한다.
본 예에서는, 상기 「소정 시간」을 아이들링 스톱 시간이라고도 부른다.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52)는, 모니터 장치(21)의 입력부(211)로부터의 지시 등에 따라서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의 실행 조건인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설정한다.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는, 조작 상태 검출부(6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이다. 그리고, 카운트 결과를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에 출력한다.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는,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에서 카운트된 카운트 결과(타이머치)에 기초하여, 아이들링 스톱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엔진 정지 신호를 엔진 컨트롤러(38)에 출력한다. 엔진 컨트롤러(38)는,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로부터의 엔진 정지 신호를 받아, 거버너 모터(37)에 지시하여 엔진(36)을 정지시킨다.
정지 판정부(55)는,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로부터 출력된 엔진 정지 신호에 따라서, 엔진(36)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하이 아이들링 상태」란, 엔진(36)이 소정 회전수보다도 높은 회전수의 아이들링 상태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판정부(55)는, 엔진(36)이 소정 회전수보다도 높은 회전수의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지 판정부(55)는, 예컨대 엔진 컨트롤러(38)로부터 입력되는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로부터 출력된 엔진 정지 신호에 따른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로서 엔진(36)의 목표 회전수를 설정하는 연료 다이얼(39)의 다이얼 지령치를 이용한다. 정지 판정부(55)는, 연료 다이얼(39)의 다이얼 지령치가 소정의 임계치(소정치)를 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치를 넘는 경우에는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36)이 정지한다고 판정한다.
여기서, 소정 회전수로서는, 엔진(36)을 정지시킨 경우에 엔진(36)에 주는 부담이 작은 회전수로 한다. 본 예에서는, 소정 회전수의 일례로서 1000 rpm으로 한다. 한편, 엔진(36)이 소정 회전수로 회전하는 아이들링 상태를 「로우 아이들링 상태」, 엔진(36)이 소정 회전수보다도 높은 회전수로 회전하는 아이들링 상태를「하이 아이들링 상태」라고 한다. 또, 상기 「로우 아이들링 상태」, 「하이 아이들링 상태」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아이들링 상태」, 「제2 아이들링 상태」의 일례이다.
그리고, 엔진(36)의 회전수가 상기 소정 회전수(1000 rpm)가 되는 연료 다이얼(39)의 조작량에 따른 다이얼 지령치를, 엔진(36)이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대상이 되는 소정의 임계치(소정치)로서 설정한다. 한편, 상기 설정에 있어서, 마진을 부가하여 소정치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다이얼 지령치 및 임계치(소정치)는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소정 회전수의 수치는, 엔진(36)에 주는 부담이 작은 엔진 회전수의 일례로서 설명하는 것이며, 특별히 상기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라면 엔진(36)에 주는 부담이 작은 엔진 회전수로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 차량의 특성 및 가동 시간 등, 작업 차량의 가동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회전수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소정 회전수에 관해서는 고정적이 아니라 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작업 차량의 가동 시간 등에 맞춰 변화하도록 하여도 좋다.
정지 판정부(55)는,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로부터 출력된 엔진 정지 신호에 따라서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카운트부(53)에 출력한다.
카운트부(53)는, 정지 판정부(55)로부터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엔진 정지 신호에 기초한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엔진(36)이 정지하는 횟수(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카운터치로서 인크리멘트한다.
카운트부(53)의 카운터치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에 출력된다. 또한, 카운트부(53)의 카운터치는 통지부(58)에 출력된다.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는, 카운트부(53)에 의해 카운트된 카운터치(엔진(36)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조건인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는, 카운트부(53)의 카운터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52)에 지시하여,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현재의 설정되어 있는 시간보다도 긴 시간으로 조정한다. 이 조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통지부(58)는, 카운트부(53)로부터의 카운터치(엔진(36)의 정지 횟수)에 기초하여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한다. 「가이던스 정보」는, 조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정보이며, 예컨대, 조작자가 소정의 행동을 취할 것을 재촉하는 정보이다. 일례로서, 작업 차량의 엔진(36)의 점검·정비를 재촉하는 정보를 들 수 있다.
통지 조건 기억부(59)는, 카운터치와, 이 카운터치에 따라서 통지하는 가이던스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가이던스 정보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통지부(58)는, 통지 조건 기억부(59)를 참조하여 카운터치에 대응하는 가이던스 정보를 독출하여 모니터 장치(21)에 출력한다. 모니터 장치(21)는, 통지부(58)로부터의 가이던스 정보를 받아 표시부(212)에 표시한다. 이 가이던스 정보의 표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엔진(36),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 정지 판정부(55), 카운트부(53),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52), 통지부(58), 연료 다이얼(39)은, 각각 본 발명의 「엔진」,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 「판정부」, 「카운트부」,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 「통지부」 및 「조정 다이얼」의 일례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종축은 엔진 회전수,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 일례로서 시각 T0에 스타트키로 엔진(36)을 시동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그 후, 시각 T1에, 엔진 회전이 고회전으로 설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 차량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이 실행된다(작업중). 시각 T2에, 소정의 작업이 종료된다.
그리고, 시각 T3에, 조작자가 로크 레버(20)를 로크한다. 이에 따라, 조작 상태 검출부(60)는, PPC 로크 스위치(42)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서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에 검지 결과를 출력한다.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는,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서 시간을 카운트한다. 즉,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제어가 시작된다.
그리고, 이어서 시각 T4에,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가 소정 시간(본 예에서는 6분) 이상이 된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는, 엔진 정지 신호를 엔진 컨트롤러(38)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엔진(36)이 정지한다. 즉, 엔진 컨트롤러(38)는 거버너 모터(37)에 지시하여 엔진(36)의 회전수를 0으로 내린다.
상기 동작에 의해 아이들링 스톱 상태가 된다.
그리고, 시각 T5에, 스타트키(46)로 다시 엔진(36)을 시동시킨다. 혹은 로크 레버 해제로 엔진(36)을 시동시킨다.
본 예에서는, 일례로서 아이들링 스톱 시간이 6분으로 설정되어,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가 6분을 계시한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로부터 엔진 컨트롤러(38)에 대하여 엔진 정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아이들링 스톱 기간에 관해서는 조작자가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아이들링 스톱 시간의 설정에 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서는, 사용자 모드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사용자 모드 화면은, 상기에서 설명한 표준 화면(301)에 있어서, 표시부(212)가 표시하는 가이던스 아이콘(I3)에 대응하는 기능 스위치(F4)를 누른 경우에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 모드 화면 중 차체에 관한 설정이 가능한 차체 설정 화면(310)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차체 설정 화면(310)에 있어서, 여기서는, 가동 모드의 이코노미 모드의 상세한 것을 설정하는 「이코노미 모드 설정」(311), 브레이커 모드의 상세한 것을 설정하는 「브레이커 설정」(312), 어태치먼트 모드에 있어서의 상세한 것을 설정하는 「어태치먼트 설정」(313),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조건인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설정하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314)의 항목이 도시되어 있다.
조작자는, 화면의 아래쪽 위치에 설치된 지시 스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커서(315)를 조작하고, 선택하여 상기 커서(315)의 위치에 대응하는 항목에 관한 상세한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예에서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에 관한 항목에 관해서 커서(315)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일례로서 아이들링 스톱 시간의 설정으로서 「OFF」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여기서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 화면(32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차체 설정 화면(310)에 있어서, 표시부(212)가 표시하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314)의 항목에 커서(315)를 맞춰 선택을 지시하는 기능 스위치를 누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 화면(320)이 표시된다.
상기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 화면(320)에서는, 복수의 아이들링 스톱 시간이 설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한 설정 범위로서 일례로 「OFF」, 「1분」~「5분」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커서(325)를 아래쪽으로 더 이동시킴으로써 「5분」보다도 긴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작자는, 커서(325)를 조작하고,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모니터 장치(21)로부터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52)에 상기 설정한 아이들링 스톱 시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52)에서 설정된다.
도 8(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여기서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16 패턴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고, 최장의 아이들링 스톱 시간으로서 「60분」의 설정이 가능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예의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의 인터페이스로서,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복수의 항목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특별히 그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아이들링 스톱 시간의 최대의 길이를 규정하는 타임 바와, 타임 바와 관련된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커서를 표시하여, 그 타임 바에 대한 커서의 위치에 따라서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로 하여도 좋다. 혹은, 아이들링 스톱 시간의 설정에 관해서, 조작자가 수치를 입력함으로써 임의의 시간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하여도 좋다.
<메인 제어 처리>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의 메인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우선,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로크 레버(20)가 로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구체적으로는, 조작 상태 검출부(60)는, 로크 레버(20)가 로크되었음을 검출하여,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에 출력한다. 그리고,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는, 조작 상태 검출부(6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로크 레버(20)가 로크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 S1에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로크 레버(20)가 로크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1에서 YES)에는,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를 스타트(개시)시킨다(단계 S2). 구체적으로는,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는, 검출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는, 카운트한 타이머치를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에 출력한다.
이어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아이들링 스톱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구체적으로는,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52)에서 설정된 아이들링 스톱 시간과,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머치에 기초하여 타이머치가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에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아이들링 스톱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3에서 NO)에는, 로크 레버(20)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구체적으로는, 조작 상태 검출부(60)는, 로크 레버(20)가 해제되었음을 검출하여,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에 출력한다. 그리고,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는, 조작 상태 검출부(60)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로크 레버(20)가 해제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 S5에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로크 레버(20)가 해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5에서 YES)에는,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를 리셋한다(단계 S6). 구체적으로는,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는, 검출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시간의 카운트를 정지하는 것과 함께, 카운터치를 리셋한다.
그리고, 단계 S1로 되돌아가,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다시 로크 레버(20)가 로크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단계 S5에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로크 레버(20)가 해제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5에서 NO)에는, 단계 S3으로 되돌아가, 아이들링 스톱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3에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아이들링 스톱 설정 시간을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3에서 YES)에는, 아이들링 스톱 동작을 실행한다(단계 S4). 구체적으로는,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는,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머치에 따라서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52)에서 설정된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엔진 정지 신호를 엔진 컨트롤러(38)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엔진 컨트롤러(38)는 거버너 모터(37)에 지시하여 엔진(36)을 정지한다.
상기 처리에 의해, 작업 차량(101)의 아이들링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작업 차량의 엔진(36)을 정지시켜, 에너지의 소비 및 소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어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정지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7). 구체적으로는, 정지 판정부(55)는,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로부터의 엔진 정지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정지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정지 판정 처리」는, 엔진(36)의 아이들링 상태의 회전수가 높은 아이들링 상태(「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며, 이 판정 처리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이어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정지 판정 처리의 판정 결과가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
단계 S8에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정지 판정 처리의 판정 결과가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8에서 YES)에는, 카운트치를 인크리멘트한다(단계 S9). 구체적으로는, 정지 판정부(55)는, 카운트부(53)에 대하여 카운트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카운트부(53)는 카운트치를 인크리멘트한다.
이어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의 조정의 판정 처리(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 판정 처리」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의 조정을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조정하는 처리이다. 이 처리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1).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는, 가이던스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가이던스를 출력하는 처리이며, 이 처리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처리를 종료한다(엔드).
한편, 단계 S8에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는, 정지 판정 처리의 판정 결과가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8에서 NO)에는, 처리를 종료한다(엔드).
<정지 판정 처리>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정지 판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주로 정지 판정부(55)에서의 처리이다. 이 정지 판정 처리는, 엔진(36)의 아이들링 상태의 회전수가 높은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본 예에서는, 정지 판정부(55)는,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엔진(36)에의 부담이 가해지는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엔진(36)에의 부담이 작은 로우 아이들링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엔진(36)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1000 rpm)가 되는 연료 다이얼(39)의 조작량에 따른 다이얼 지령치를, 엔진(36)이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대상이 되는 소정치로서 설정하여, 그 소정치를 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로우 아이들링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예에서의 정지 판정부(55)는, 일례로서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로서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다이얼 지령치를 이용한다.
정지 판정부(55)는, 엔진 컨트롤러(38)를 통해 입력되는 다이얼 지령치가 소정치를 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
단계 S20에서, 정지 판정부(55)는, 다이얼 지령치가 소정치를 넘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1에서 YES)에는,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정한다(단계 S22).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한편, 단계 S20에서, 정지 판정부(55)는, 다이얼 지령치가 소정치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0에서 NO)에는,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정한다(단계 S23).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상기 정지 판정 처리에 있어서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카운트부(53)의 카운트치가 인크리멘트된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방식에 의해 엔진(36)이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한다고 판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엔진(36)에 가해지는 부담이 작은 상황에서의 정지 횟수를 제외하고, 엔진(36)에 주는 부담이 큰 상황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엔진(36)에 대한 부담 정도를 정밀도 좋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이얼 지령치에 의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36)을 정지시킨다고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센서를 설치하여 회전수를 계측할 필요는 없어, 처리 부하를 경감하는 것과 함께, 간이한 방식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서는,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로서,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연료 다이얼(39)의 다이얼 지령치에 기초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를 판정하는 방식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회전 센서(40)로부터의 엔진(36)의 회전수의 실측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센서(40)로부터 실측치로서 얻어진 엔진(36)의 회전수와 소정 회전수(일례로서 1000 rpm)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로서,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연료 다이얼(39)의 다이얼 지령치에 기초하여, 엔진(36)의 회전이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다이얼 지령치 이외의 다른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환경 요인(한랭지 등)에 따른 작업 차량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료 다이얼(39)의 다이얼 지령치와 관계없이, 아이들링 상태의 회전수를 소정의 회전수로 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메인 컨트롤러(50)에 상기 기능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엔진 컨트롤러(38)에 대한, 상기 기능에 기초한 엔진(36)의 회전수의 회전 지령치에 따라서, 상기 회전 지령치가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치를 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로서, 엔진(36)의 회전수 범위를 제어하는 가동 모드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모드로서, 엔진(36)의 회전수 범위로서 고회전으로 동작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는 가동 모드의 경우에는, 그 가동 모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아이들링 시간 조정 판정 처리>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아이들링 시간 조정 판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주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의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에서의 처리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는, 카운트부(53)로부터의 카운트치가 소정 횟수 이상(본 예에서는, 일례로서 2000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
단계 S30에서,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는, 카운트치가 소정 횟수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30에서 YES)에는, 이어서,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최장으로 설정한다(단계 S31). 구체적으로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52)에 대하여 아이들링 스톱 시간이 최장이 되도록 지시한다. 도 8에서 설명한 아이들링 스톱 시간의 설정을 예로 들면, 최장 시간인 60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엔진(36)이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해 정지하는 정지 횟수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이미 아이들링 스톱 시간이 최장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최장 시간을 유지한다.
한편, 단계 S30에서,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는, 카운트치가 소정 횟수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30에서 NO)에는, 단계 S41을 스킵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본 예에서는, 일례로서 카운트부(53)의 카운트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즉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 엔진(36)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최장으로 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다. 이 처리에 의해,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횟수(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억제하여, 엔진(36)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3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예에서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최장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특별히 최장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설정되어 있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횟수(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엔진(36)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3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에 소정 기간(+α)만큼 연장한 시간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이미 아이들링 스톱 시간이 최장 시간(6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소정 기간(+α)만큼 더욱 연장한 시간으로 설정하여도 좋다.
한편, 본 예에서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조정하는 임계치가 되는 소정 횟수에 관해서 2000회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특별히 이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엔진(36)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절한 수치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 차량의 특성, 가동 시간 등, 작업 차량의 가동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횟수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임계치가 되는 소정 횟수에 관해서는 고정적이 아니라 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작업 차량의 가동 시간 등에 맞춰 변화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카운트치가 임계치가 되는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최장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아이들링 스톱 시간이 최장이 되도록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임계치를 복수 마련해 두고서, 카운트치가 임계치 이상이 될 때마다 단계적으로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최장에 가깝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엔진(36)의 하이 아이들링 상태에 있어서의 아이들링 스톱 시간, 로우 아이들링 상태에 있어서의 아이들링 스톱 시간에 관해서 함께 동일한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독립된 아이들링 스톱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카운트치가 임계치가 되는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하이 아이들링 상태에 있어서의 아이들링 스톱 시간의 길이를 현재 설정되어 있는 시간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횟수(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엔진(36)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3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주로 통지부(58)에서의 처리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통지부(58)는, 카운트부(53)로부터의 카운트치가 2000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
단계 S40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2000회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0에서 YES)에는, 단계 S44로 진행하여, 카운트치가 100의 배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4).
단계 S44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의 배수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0에서 YES)에는, 가이던스 L3을 통지한다(단계 S45).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단계 S44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의 배수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0에서 NO)에는, 단계 S45를 스킵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단계 S40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2000회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0에서 NO)에는, 단계 S41로 진행하여, 카운트치가 1000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1).
단계 S41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0회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1에서 YES)에는, 단계 S46으로 진행하여, 카운트치가 100의 배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6).
단계 S46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의 배수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6에서 YES)에는, 가이던스 L2를 통지한다(단계 S47).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단계 S46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의 배수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6에서 NO)에는, 단계 S47을 스킵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단계 S41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0회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0에서 NO)에는, 단계 S42로 진행하여, 카운트치가 100의 배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2).
단계 S42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의 배수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2에서 YES)에는, 가이던스 L1을 통지한다(단계 S43).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단계 S42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의 배수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2에서 NO)에는, 단계 S43을 스킵하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상기 처리에서는,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0회 미만인 경우에는 100의 배수마다 가이던스 L1을 통지한다. 따라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0회에 달할 때까지 9회, 가이던스 L1을 통지한다. 마찬가지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0회 이상 2000회 미만인 경우에는 100의 배수마다 가이던스 L2를 통지한다. 따라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2000회에 달할 때까지 10회, 가이던스 L2를 통지한다. 그리고,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2000회에 달한 후에도 100의 배수마다 가이던스 L3을 통지한다.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가이던스 정보는 통지 조건 기억부(59)에 저장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가이던스 L1~L3에 대응하여 각각 통지되는 메시지 내용이 할당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던스 L1은,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 횟수가 X회가 되었습니다. 작업 종료 후, 필요에 따라서 엔진을 점검·정비하여 주십시오.」 가이던스 L2는,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 횟수가 X회가 되었습니다. 작업 종료 후, 엔진을 점검·정비하여 주십시오. 가이던스 L3은,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 횟수가 X회가 되었습니다. 작업을 정지하고 조속히 엔진을 점검·정비하여 주십시오.」. 즉, 단계적으로 엔진(36)의 점검·정비를 재촉하는 정도가 강해지고 있다. 한편, 「X회」는, 카운트부(53)로부터의 카운트치의 숫자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처리에 의해, 엔진(36)에 대한 부담 정도를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운트치인 엔진의 정지 횟수의 증가에 따라서, 즉, 엔진(36)에 대한 부담 정도에 따라서 가이던스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조작자에 대하여 쾌적하면서 또한 필요한 통지가 되도록 100의 배수마다 가이던스를 통지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특별히 이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1회마다 통지함으로써 주의 환기의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계적으로 통지하는 횟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정보에 따라서 모니터 장치(21)에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여기서는, 통상의 아이들링 스톱 동작시에 모니터 장치(2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팝업 화면이 표시되어 「아이들링 스톱 실시중」이라는 문언과 함께, 조작자에 대하여 「배터리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키를 OFF로 하여 주십시오.」라고 표시되어 있다.
도 14(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여기서는, 팝업 화면이 표시되어 「아이들링 스톱 실시중」이라는 문언과 함께, 조작자에 대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 횟수가 X회가 되었습니다. 작업 종료 후, 필요에 따라서, 엔진을 점검·정비하여 주십시오.」라고 표시되어 있다.
상기 표시에 의해, 엔진(36)에 대한 부담 정도에 따라서 조작자에 대하여 적절한 형식으로 엔진(36)의 점검·정비에 관한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예에서는, 일례로서 표시에 의해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특별히 표시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이나 진동 등에 의해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음성 및/또는 진동 등을 엔진(36)에 대한 부담 정도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아이들링 제어는,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여,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최장으로 설정한다. 이 처리에 의해, 엔진(36)에 주는 부담이 작은 상황에서의 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제외하고, 부담이 가해지는 상황인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엔진(36)에 대한 부담 정도를 정밀도 좋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36)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기간을 길게 함으로써,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횟수(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억제하여, 엔진(36)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3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형태)
상기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엔진(36)의 회전수가 높은 하이 아이들링 상태에 있어서의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한 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결과에 기초하여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조정하는 방식에 관해서 설명했다.
한편, 작업 차량에는, 작업이나 주행을 하고 있지 않은 부하 저하시에 엔진(36)의 회전을 회전수가 낮은 아이들링 상태로 하고, 작업이나 주행의 시작시에는 원래의 설정 회전수로 즉시 엔진(36)의 회전을 복귀시키는 디셀러레이션 동작을 실행하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디셀러레이션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쓸데없는 연료 소비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디셀러레이션 기능은, 조작자의 의사에 따라서 유효 혹은 무효로 설정할 수 있게 마련되어 있고,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으면, 디셀러레이션 동작에 의해 현재의 아이들링 상태에서 엔진(36)의 회전수가 낮은 아이들링 상태로 설정된 후에,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해 엔진(36)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엔진(36)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으면, 디셀러레이션 동작에 의해 현재의 아이들링 상태에서 엔진(36)의 회전수가 낮은 아이들링 상태로 설정되는 일없이,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해 엔진(36)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엔진(36)에 부담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해 엔진(36)이 정지하는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여, 엔진(36)에 가해지는 부담을 정밀도 좋게 파악하는 것과 함께, 카운트 결과에 기초하여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조정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아이들링 스톱 기능>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제어 시스템의 메인 컨트롤러(50A)의 아이들링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메인 컨트롤러(50A)는, 상기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메인 컨트롤러(50A)와 비교하여,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를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로 치환한 점과,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를 더 추가한 점이 다르다. 또한, 주변 기기로서 압력 센서(47)가 설치되고, 이 압력 센서(47)가 조작 상태 검출부(60)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와 비교하여, 정지 판정부(55)를 정지 판정부(55A)로 치환한 점과, 통지 조건 기억부(59)를 통지 조건 기억부(59A)로 치환한 점이 다르다. 정지 판정부(55A)는, 정지 판정부(55)와 비교하여,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가 아니라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로부터의 입력을 받는다는 점이 다르다.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메인 컨트롤러(50)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는,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와, 디셀러레이션 실행부(64)와,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를 포함한다.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는, 모니터 장치(21)의 디셀러레이션 스위치(111)(도 4)의 지시에 따라서 디셀러레이션 기능의 유효/무효(온/오프)를 설정한다. 디셀러레이션 기능의 온은 디셀러레이션 기능을 유효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셀러레이션 기능의 오프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을 무효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셀러레이션 실행부(64)는, 소정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디셀러레이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디셀러레이션 지시 신호를 엔진 컨트롤러(38)에 출력한다. 「디셀러레이션 동작」이란, 작업 차량의 엔진을, 회전수가 낮은 아이들링 상태로 대기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 소정 조건이란, 「디셀러레이션 동작」을 실행하는 실행 조건이며, 주로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인 경우에 작업 차량의 작업이 정지하고 나서부터의 시간에 관한 조건, 즉 무작업 상태의 계속에 관한 시간의 조건이다. 본 예에서는, 이 「시간」을 디셀러레이션 시간이라고도 부른다.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는, 조작 상태 검출부(6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시간의 카운트를 시작하는 타이머이다. 그리고,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는, 카운트 결과를 디셀러레이션 실행부(64)에 출력한다. 여기서, 조작 상태 검출부(60)로부터의 지시란, 작업기 레버(18, 19)가 중립 상태임을 가리키는 검지 신호(검지 결과)이다.
엔진 컨트롤러(38)는, 디셀러레이션 지시 신호에 따라서 엔진(36)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가 되도록 거버너 모터(37)에 지시하여, 연료 분사 장치가 분사하는 연료량 등을 제어하여 엔진(36)의 회전수를 조절한다. 이 「소정 회전수」는, 엔진(36)의 회전수가 낮은 「로우 아이들링 상태」가 되도록 미리 설정된 회전수이다. 본 예에서는, 일례로서 회전수가 낮은 로우 아이들링 상태의 회전수를 1000 rpm으로 한다. 이 디셀러레이션 동작에 의해, 쓸데없는 연료 소비 및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의 정지 판정부(55A)는,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로부터 출력된 엔진 정지 신호에 따라서, 엔진(36)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란, 엔진(36)이 소정 회전수보다도 높은 회전수로부터 정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판정부(55A)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무효의 정보에 기초하여, 엔진 정지 신호에 따라서 엔진(36)이 정지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지 판정부(55A)는, 엔진(36)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카운트부(53)에 출력한다.
카운트부(53)는, 정지 판정부(55A)로부터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엔진 정지 신호에 기초한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해 엔진(36)이 정지하는 횟수(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카운터치로서 인크리멘트한다.
카운트부(53)의 카운터치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에 출력된다. 또한, 카운트부(53)의 카운터치는 통지부(58)에 출력된다.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는, 카운트부(53)에 의해 카운트된 카운터치(엔진(36)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조건인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는, 카운트부(53)의 카운터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52)에 지시하여,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긴 시간으로 조정한다.
통지부(58)는, 카운트부(53)로부터의 카운터치(엔진(36)의 정지 횟수)에 기초하여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한다. 「가이던스 정보」는, 조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정보이며, 예컨대, 조작자가 소정의 행동을 취할 것을 재촉하는 정보이다. 일례로서, 작업 차량의 점검·정비를 재촉하는 정보를 들 수 있다.
통지 조건 기억부(59A)는, 카운터치와, 이 카운터치에 따라서 통지하는 가이던스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통지부(58)는, 통지 조건 기억부(59A)를 참조하여 카운터치에 대응하는 가이던스 정보를 독출하여 모니터 장치(21)에 출력한다. 모니터 장치(21)는, 통지부(58)로부터의 가이던스 정보를 받아 표시부(212)에 표시한다.
한편, 디셀러레이션 실행부(64),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는, 각각 본 발명의 「디셀러레이션 실행부」 및 「디셀러레이션 설정부」의 일례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여기서는, 일례로서 종축이 엔진 회전수,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 일례로서 시각 T10에 스타트키로 엔진(36)을 시동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 시각 T11에, 엔진 회전이 고회전으로 설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 차량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이 실행된다(작업중). 시각 T12에, 소정의 작업이 중단되고, 조작 레버가 중립으로 된다. 이에 따라 조작 상태 검출부(60)는, 조작 레버가 중립으로 되었음(무작업 상태)을 검지한다. 그리고,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에 검지 결과가 출력된다.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는, 상기 검지 결과에 따라서 시간을 카운트한다. 즉,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제어가 시작된다.
또한, 시각 T13에 조작자가 로크 레버(20)를 로크한다. 이에 따라, 조작 상태 검출부(60)는, PPC 로크 스위치(42)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따라서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에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는, 상기 검지 신호에 따라서 시간을 카운트한다. 즉,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제어가 시작된다.
또한, 시각 T15에,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가 소정 시간(본 예에서는 30초)을 넘은 경우에, 디셀러레이션 실행부(64)는, 디셀러레이션 지시 신호를 엔진 컨트롤러(38)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엔진 컨트롤러(38)는, 디셀러레이션 지시 신호에 따라서 거버너 모터(37)를 제어하여 엔진(36)의 회전수를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어서 시각 T16에,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56)가 소정 시간(본 예에서는 6분)을 넘은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는, 엔진 정지 신호를 엔진 컨트롤러(38)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엔진(36)을 정지시킨다. 즉, 엔진 컨트롤러(38)는 거버너 모터(37)에 지시하여 엔진(36)의 회전수를 0으로 내린다. 이 동작에 의해 아이들링 스톱 상태가 된다.
그리고, 시각 T17에, 스타트키로 다시 엔진(36)을 시동시킨다. 혹은 로크 레버 해제로 엔진(36)을 시동시킨다.
따라서, 디셀러레이션 동작을 아이들링 스톱 동작 전에 실행함으로써,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36)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7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의 디셀러레이션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0). 구체적으로는, 디셀러레이션 스위치(111)에 따라서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을 유효(ON)로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0에서,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50에서 YES)에는, 조작 레버가 중립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 구체적으로는, 조작 상태 검출부(60)는, 조작 레버가 중립인지 여부를 검출하여,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에 출력한다. 그리고,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는, 조작 상태 검출부(60)로부터 그 검출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조작 레버가 중립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 S51에서,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는, 조작 레버가 중립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51에서 YES)에는,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를 스타트시킨다(단계 S52). 구체적으로는,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는 검출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는, 카운트한 타이머치를 디셀러레이션 실행부(64)에 출력한다.
이어서,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는, 디셀러레이션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3). 구체적으로는, 디셀러레이션 실행부(64)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디셀러레이션 시간(예컨대 일례로서 30초)과,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로부터 입력되는 카운터치에 기초하여 카운터치가 디셀러레이션 시간을 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3에서,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는, 디셀러레이션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53에서 NO)에는, 조작 레버의 조작을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5). 구체적으로는, 조작 상태 검출부(60)는, 조작 레버가 조작되었음을 검출하여,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에 출력한다. 그리고,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는, 조작 상태 검출부(60)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조작 레버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한다.
단계 S55에서,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는, 조작 레버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5에서 YES)에는,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를 리셋한다(단계 S56). 구체적으로는,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는, 검출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시간의 카운트를 정지하는 것과 함께, 카운터치를 리셋한다.
그리고, 단계 S51로 되돌아가,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는 다시 조작 레버가 중립으로 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단계 S55에서,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는, 조작 레버가 조작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55에서 NO)에는, 단계 S53으로 되돌아가, 디셀러레이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S53에서,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는, 디셀러레이션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53에서 YES)에는, 디셀러레이션 동작을 실행한다(단계 S54). 구체적으로는, 디셀러레이션 실행부(64)는, 디셀러레이션 타이머(63)로부터 입력되는 카운터치에 따라서 디셀러레이션 시간을 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디셀러레이션 지시 신호를 엔진 컨트롤러(38)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엔진 컨트롤러(38)는, 거버너 모터(37)에 지시하여 엔진(36)의 회전수를 저하시켜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 설정한다.
이 처리에 의해, 작업 차량이 작업 및/또는 주행을 하고 있지 않은 무조작 상태의 부하 저하시에 엔진(36)의 회전을 회전수가 낮은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 한다. 그리고, 아이들링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또한 작업 차량의 엔진(36)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르면, 엔진(36)의 연료 소비 및 소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예에서는, 일례로서 디셀러레이션 시간으로서 30초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특별히 이 시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엔진(36)의 연료 소비 및 소음을 억제하기 위한 적절한 수치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아이들링 스톱 시간과 마찬가지로 디셀러레이션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설치하여 조작자의 지정에 의해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디셀러레이션 시간과 아이들링 스톱 시간의 관계는, 디셀러레이션 시간 쪽이 아이들링 스톱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디셀러레이션 동작을 아이들링 스톱 동작 전에 실행하여,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36)을 정지시켜 에너지의 소비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8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의 메인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도 9의 메인 제어 처리의 흐름도와 비교하여, 단계 S7A에서의 정지 판정 처리와, 단계 S11A에서의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를 치환한 점이 다르다. 그 밖의 처리의 흐름에 관해서는 도 9에서 설명한 흐름도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단계 S4에서, 아이들링 스톱 동작이 실행된 경우에, 이어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는 정지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7A). 「정지 판정 처리」는, 엔진(36)이 정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며, 이 판정하는 처리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이어서, 정지 판정부(55A)는, 정지 판정 처리의 판정 결과가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
단계 S8에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는, 정지 판정 처리의 판정 결과가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8에서 YES)에는, 카운트치를 인크리멘트한다(단계 S9). 구체적으로는, 정지 판정부(55A)는, 카운트부(53)에 대하여 카운트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카운트부(53)는 카운트치를 인크리멘트한다.
이어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의 판정 처리(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 판정 처리」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조정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조정하는 처리이며, 이 처리에 관해서는, 도 1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어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는,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1A).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는, 가이던스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가이던스를 출력하는 처리이며, 이 처리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는 처리를 종료한다(엔드).
한편, 단계 S8에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는, 정지 판정 처리의 판정 결과가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8에서 NO)에는, 처리를 종료한다(엔드).
<정지 판정 처리>
도 19는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정지 판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주로 정지 판정부(55A)에서의 처리이다. 이 정지 판정 처리는, 엔진(36)의 아이들링 상태의 회전수가 높은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본 예에서는, 정지 판정부(55A)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의 유효/무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를 판정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예에서의 정지 판정부(55A)는, 일례로서 디셀러레이션 기능의 유효/무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한다.
정지 판정부(55A)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3). 구체적으로는, 정지 판정부(55A)는,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디셀러레이션 스위치(111)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라고 판단한다. 한편, 디셀러레이션 스위치(111)가 오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무효라고 판단한다.
단계 S23에서, 정지 판정부(55A)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3에서 YES)에는,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정한다(단계 S25).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이므로, 낮은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36)이 정지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한편, 단계 S23에서, 정지 판정부(55A)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무효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3에서 NO)에는,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정한다(단계 S24).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무효이므로, 높은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36)이 정지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상기 정지 판정 처리에 있어서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카운트부(53)의 카운트치가 인크리멘트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방식에 의해, 엔진(36)이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한다고 판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엔진(36)에 가해지는 부담이 작은 상황에서의 정지 횟수를 제외하고, 부담이 가해지는 상황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엔진(36)에 대한 부담 정도를 정밀도 좋게 파악할 수 있다.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
도 20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주로 통지부(58)에서의 처리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도 12에서 설명한 가이던스 출력 판정 처리와 비교하여, 단계 S43를 단계 S43A로 치환한 점과, 단계 S47를 단계 S47A로 치환한 점이 다르다. 그 밖의 처리에 관해서는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단계 S46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의 배수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6에서 YES)에는, 가이던스 L2, L5를 통지한다(단계 S47A).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단계 S42에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의 배수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42에서 YES)에는, 가이던스 L1, L4를 통지한다(단계 S43A).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이 처리에서는,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0회 미만인 경우에는 100의 배수마다 가이던스 L1, L4를 통지한다. 따라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1000회에 달할 때까지 9회, 가이던스 L1, L4를 통지한다. 마찬가지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2000회 미만인 경우에는 100의 배수마다 가이던스 L2, L5를 통지한다. 따라서,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2000회에 달할 때까지 10회, 가이던스 L2를 통지한다. 그리고, 통지부(58)는, 카운트치가 2000회에 달한 후에도 100의 배수마다 가이던스 L3을 통지한다.
도 21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가이던스 정보는 통지 조건 기억부(59A)에 저장되어 있다.
통지 조건 기억부(59A)에 저장되어 있는 가이던스 정보는, 도 13에서 설명한 가이던스 정보와 비교하여, 가이던스 L4, L5를 더 추가한 점이 다르다.
본 예에서는, 가이던스 L1~L5에 대응하여 각각 통지되는 메시지 내용이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던스 L4는, 「디셀러레이션 스위치를 ON으로 할 것을 권합니다.」이다. 가이던스 L5는, 「디셀러레이션 스위치를 ON으로 하여 주십시오.」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가이던스 L1~L3에 관해서는, 단계적으로 엔진(36)의 점검·정비를 재촉하는 정도가 강해지고 있다. 또한, 가이던스 L4, L5에 관해서는, 디셀러레이션 스위치를 ON으로 할 것을 권하는 것과 함께, 단계적으로 권하는 정도가 강해지고 있다.
이 처리에 의해, 카운트치인 엔진의 정지 횟수의 증가에 따라서, 즉, 엔진(36)에 대한 부담 정도에 따라서 가이던스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에 대하여, 카운트치가 변화됨에 따라서, 디셀러레이션 스위치를 ON으로 하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엔진(36)에 대하여 부담이 쉽게 가해지지 않는 운전 동작을 실행하도록 재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조작자에 대하여 쾌적하면서 또한 필요한 통지가 되도록 100의 배수마다 가이던스를 통지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특별히 이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1회마다 통지함으로써 주의 환기의 횟수를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계적으로 횟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22는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가이던스 정보에 따라서 모니터 장치(21)에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여기서는, 통상의 아이들링 스톱 동작시에 모니터 장치(2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2(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팝업 화면이 표시되어 「아이들링 스톱 실시중」이라고 하는 문언과 함께, 조작자에 대하여 「배터리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키를 OFF로 하여 주십시오.」라고 표시되어 있으며, 도 14(A)와 같다.
도 22(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여기서는, 팝업 화면이 표시되어 「아이들링 스톱 실시중」이라고 하는 문언과 함께, 조작자에 대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가 X회가 되었습니다. 작업 종료 후, 필요에 따라서, 엔진을 점검·정비하여 주십시오.」라는 표시와 함께, 「디셀러레이션 스위치를 ON으로 하여 주십시오.」라고 표시되어 있다.
상기 표시에 의해, 조작자에 대하여 적절한 형식으로 엔진(36)의 점검·정비에 관한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디셀러레이션 스위치를 ON으로 할 것을 권함으로써, 조작자에 대하여, 엔진(36)에 대하여 부담이 쉽게 가해지지 않는 운전 동작을 실행하도록 재촉하는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예에서는, 일례로서 표시에 의해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특별히 표시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이나 진동 등에 의해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아이들링 제어는,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여,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최장으로 설정한다. 이 처리에 의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횟수(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억제하여, 엔진(36)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3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디셀러레이션 기능 유효 설정 처리>
제2 실시형태에서는, 카운트부(53)의 카운트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디셀러레이션 제어부(62)에 있어서의 디셀러레이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는, 카운트부(53)의 카운트치에 기초하여 디셀러레이션 기능을 유효로 설정한다.
도 23은 제2 실시형태에 기초한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의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제어 처리에 있어서의 흐름도이다.
도 2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는, 카운트부(53)로부터의 카운트치가 소정 횟수 이상(일례로서 2000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0).
단계 S60에서,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는, 카운트치가 2000회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60에서 YES)에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을 온으로 설정한다(단계 S61).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단계 S60에서,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는, 카운트치가 2000회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60에서 NO)에는, 단계 S61을 스킵하고 처리를 종료한다(엔드).
본 예에서는, 일례로서 카운트부(53)의 카운트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즉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 엔진(36)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디셀러레이션 기능을 온으로 한다. 이 처리에 의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을 억제하여, 엔진(36)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3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한 제2 실시형태의 정지 판정부(55A)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식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제1 실시형태의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와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4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기초한 작업 차량(101)의 제어 시스템의 메인 컨트롤러(50B)의 아이들링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메인 컨트롤러(50B)는, 상기한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메인 컨트롤러(50A)와 비교하여,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를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B)로 치환한 점이 다르다.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B)는,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A)와 비교하여, 정지 판정부(55A)를 정지 판정부(55B)로 치환한 점이 다르다.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기초한 정지 판정부(55B)는,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57)로부터 출력된 엔진 정지 신호에 따라서, 엔진(36)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란, 엔진(36)이 소정 회전수보다도 높은 회전수로부터 정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판정부(55B)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무효의 정보 및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엔진 정지 신호에 따라서 엔진(36)이 정지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지 판정부(55B)는, 엔진(36)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카운트부(53)에 출력한다.
카운트부(53)는, 정지 판정부(55B)로부터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엔진 정지 신호에 기초한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36)이 정지하는 횟수(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카운터치로서 인크리멘트한다.
카운트부(53)의 카운터치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에 출력된다. 또한, 카운트부(53)의 카운터치는 통지부(58)에 출력된다.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는, 카운트부(53)에 의해 카운트된 카운터치(엔진(36)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조건인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54)는, 카운트부(53)의 카운터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52)에 지시하여,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긴 시간으로 조정한다.
통지부(58)는, 카운트부(53)로부터의 카운터치(엔진(36)의 정지 횟수)에 기초하여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한다. 「가이던스 정보」는, 조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정보이며, 예컨대, 조작자가 소정의 행동을 취할 것을 재촉하는 정보이다. 일례로서, 작업 차량의 점검·정비를 재촉하는 정보를 들 수 있다.
통지 조건 기억부(59A)는, 카운터치와, 이 카운터치에 따라서 통지하는 가이던스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통지부(58)는, 통지 조건 기억부(59A)를 참조하여 카운터치에 대응하는 가이던스 정보를 독출하여 모니터 장치(21)에 출력한다. 모니터 장치(21)는, 통지부(58)로부터의 가이던스 정보를 받아 표시부(212)에 표시한다.
도 25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기초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B)의 메인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도 18의 메인 제어 처리의 흐름도와 비교하여, 단계 S7B에서의 정지 판정 처리를 치환한 점이 다르다. 그 밖의 처리의 흐름에 관해서는 도 18에서 설명한 흐름도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단계 S4에서, 아이들링 스톱 동작이 실행된 경우에, 이어서,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51B)는 정지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7B). 「정지 판정 처리」는, 엔진(36)이 정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며, 이 판정 처리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정지 판정 처리>
도 26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기초한 정지 판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주로 정지 판정부(55B)에서의 처리이다. 이 정지 판정 처리는, 엔진(36)의 아이들링 상태의 회전수가 높은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본 예에서는, 정지 판정부(55B)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의 유효/무효에 관한 정보 및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로우 아이들링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엔진(36)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1000 rpm)로 되는 연료 다이얼(39)의 조작량에 따른 다이얼 지령치를, 엔진(36)이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대상이 되는 소정치로서 설정하고, 이 소정치를 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로우 아이들링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예에서의 정지 판정부(55B)는, 일례로서 디셀러레이션 기능의 유효/무효에 관한 정보 및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로서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다이얼 지령치를 이용한다.
정지 판정부(55B)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9). 구체적으로는, 정지 판정부(55B)는, 디셀러레이션 온/오프 설정부(6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디셀러레이션 스위치(111)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라고 판단한다. 한편, 디셀러레이션 스위치(111)가 오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무효라고 판단한다.
단계 S19에서, 정지 판정부(55B)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9에서 YES)에는,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정한다(단계 S23).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이므로, 낮은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엔진(36)이 정지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한편, 단계 S19에서, 정지 판정부(55B)는,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무효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19에서 NO)에는, 엔진 컨트롤러(38)를 통해 입력되는 다이얼 지령치가 소정치를 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
이어서, 단계 S20에서, 정지 판정부(55B)는, 다이얼 지령치가 소정치를 넘는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20에서 YES)에는,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정한다(단계 S21).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한편, 단계 S20에서, 정지 판정부(55B)는, 다이얼 지령치가 소정치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0에서 NO)에는,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정한다(단계 S22).
그리고, 처리를 종료한다(리턴).
상기 정지 판정 처리에 있어서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카운트부(53)의 카운트치가 인크리멘트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기초한 방식에 의해 엔진(36)이 로우 아이들링 상태에서 정지한다고 판단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정지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즉, 엔진에 주는 부담이 작은 상황에서의 정지 횟수를 제외하고, 부담이 가해지는 상황의 정지 횟수만을 카운트함으로써, 엔진에 대한 부담 정도를 정밀도 좋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기초한 방식은,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할 때에, 우선,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판단하여, 유효이면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라고 판정한다.
따라서,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유효인 경우에는,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로우 아이들링 상태라고 판정하기 때문에, 이 판정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그리고, 디셀러레이션 기능이 무효인 경우에, 엔진(36)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 로우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를 판정하기 때문에, 정밀도 높은 판정 처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아이들링 제어는,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여,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시간을 최장으로 설정한다. 이 처리에 의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횟수(엔진(36)의 정지 횟수)를 억제하여, 엔진(36)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3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카운트부(53)의 카운트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즉 하이 아이들링 상태인 엔진(36)의 정지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디셀러레이션 기능을 온으로 한다. 이 처리에 의해, 하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을 억제하여, 엔진(36)에 주는 부담을 경감하여 엔진(3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예에서는,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불도저나 휠로더 등의 작업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며, 엔진(36)이 설치된 작업용의 기계라면 어떠한 것에나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며,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을 의도한다.
1: 하부 주행체, 2: 선회 기구, 3: 상부 선회체, 4: 작업기, 5: 붐, 6: 아암, 7: 버킷, 8: 운전실, 9: 운전석, 10: 주행 조작부, 11, 12 : 주행 레버, 13, 14: 주행 페달, 15: 어태치먼트용 페달, 16: 측방창, 17: 계기반, 18, 19: 작업기 레버, 20: 로크 레버, 21: 모니터 장치, 22: 전방창, 23: 세로 프레임, 31A: 제1 유압 펌프, 31B: 제2 유압 펌프, 32: 경사판 구동 장치, 33: 펌프 컨트롤러, 34: 컨트롤 밸브, 35: 유압 액츄에이터, 36: 엔진, 37: 거버너 모터, 38: 엔진 컨트롤러, 39: 연료 다이얼, 40: 회전 센서, 41: 작업기 레버 장치, 42: PPC 로크 스위치, 43: 밸브, 45: 포텐셔미터, 46: 스타터 스위치, 47: 압력 센서, 50, 50A, 50B: 메인 컨트롤러, 51, 51A, 51B: 아이들링 스톱 제어부, 52: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 53: 카운트부, 54: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 55, 55A, 55B: 정지 판정부, 56: 아이들링 스톱 타이머, 57: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 58: 통지부, 59, 59A: 통지 조건 기억부, 60: 조작 상태 검출부, 61: 회전 지령 출력부, 62: 디셀러레이션 제어부, 63: 디셀러레이션 타이머, 64: 디셀러레이션 실행부, 65: 오프 설정부, 101: 작업 차량, 111: 디셀러레이션 스위치, 112: 가동 모드 선택 스위치, 113: 주행 속도단 선택 스위치, 114: 버저 캔슬 스위치, 115: 와이퍼 스위치, 116: 워셔 스위치, 117: 에어컨 스위치, 211: 입력부, 212: 표시부, 213: 표시 제어부, 301: 표준 화면, 302: 가동 모드 선택 화면, 310: 차체 설정 화면, 315, 325: 커서, 320: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 화면.

Claims (12)

  1. 미리 정해진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1 아이들링 상태 및 상기 미리 정해진 회전수보다도 높은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2 아이들링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는 엔진과,
    상기 제1 아이들링 상태 또는 상기 제2 아이들링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계속된 경우에, 상기 엔진을 정지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동작을 실행하는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와,
    상기 엔진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한 상기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정지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상기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와,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엔진의 정지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조건인 상기 제2 아이들링 상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을 현재의 시간보다도 길게 하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
    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다이얼의 조작량에 따른 지령치가 미리 정해진 값을 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상기 엔진이 정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인 작업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범위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는,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엔진의 정지 횟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을, 상기 설정 범위 중 최장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인 작업 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에 관한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는 작업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엔진의 정지 횟수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가이던스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통지하는 것인 작업 차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작업 상태의 계속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상기 제2 아이들링 상태보다도 낮은 회전수로 설정하는 디셀러레이션 동작을 실행하는 디셀러레이션 실행부와,
    상기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을 유효 혹은 무효로 설정할 수 있는 디셀러레이션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디셀러레이션 설정부에 의해 상기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엔진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상기 엔진이 정지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인 작업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셀러레이션 설정부는, 상기 카운트부에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횟수를 넘은 경우에 상기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을 유효로 설정하는 작업 차량.
  8. 미리 정해진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1 아이들링 상태 및 상기 미리 정해진 회전수보다도 높은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2 아이들링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는 엔진과,
    무작업 상태의 계속에 따라서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상기 제1 아이들링 상태의 회전수로 설정하는 디셀러레이션 동작을 실행하는 디셀러레이션 실행부와,
    상기 제1 아이들링 상태 또는 상기 제2 아이들링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계속된 경우에, 상기 엔진을 정지시키는 아이들링 스톱 동작을 실행하는 아이들링 스톱 실행부와,
    상기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을 유효 혹은 무효로 설정할 수 있는 디셀러레이션 설정부와,
    상기 디셀러레이션 설정부에 의해 상기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아이들링 스톱 동작에 의한 상기 엔진의 정지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아이들링 상태로부터의 상기 엔진의 정지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와,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엔진의 정지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아이들링 스톱 동작의 실행 조건인 상기 제2 아이들링 상태의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을 현재의 시간보다도 길게 하는 아이들링 스톱 시간 조정부
    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범위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아이들링 스톱 시간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아이들링 시간 조정부는,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엔진의 정지 횟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을, 상기 설정 범위 중 최장 시간으로 설정하는 작업 차량.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엔진의 정지 횟수에 기초하여 가이던스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는 작업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엔진의 정지 횟수의 증가에 따라서 상기 가이던스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통지하는 작업 차량.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셀러레이션 설정부는, 상기 카운트부에 카운트된 엔진의 정지 횟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횟수를 넘은 경우에 상기 디셀러레이션 동작의 기능을 유효로 설정하는 작업 차량.
KR1020157016754A 2013-07-22 2013-07-22 작업 차량 KR101698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9742 WO2015011748A1 (ja) 2013-07-22 2013-07-22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086A true KR20150085086A (ko) 2015-07-22
KR101698287B1 KR101698287B1 (ko) 2017-01-19

Family

ID=5039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754A KR101698287B1 (ko) 2013-07-22 2013-07-22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72124B2 (ko)
JP (1) JP5430805B1 (ko)
KR (1) KR101698287B1 (ko)
CN (1) CN104487681B (ko)
DE (1) DE112013007259B4 (ko)
IN (1) IN2015DN06419A (ko)
WO (1) WO2015011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3485A1 (de) * 2011-09-15 2013-03-21 Bomag Gmbh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Antriebsstranges eines Fahrzeug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9644345B2 (en) * 2013-08-05 2017-05-09 Deere &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rive unit of a work machine during an idle state
US9587380B2 (en) * 2013-11-19 2017-03-07 Komatsu Ltd. Display device of work vehicle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US11279357B2 (en) * 2013-12-25 2022-03-22 Denso Corporation Vehicl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JP6665412B2 (ja) * 2015-03-23 2020-03-13 株式会社タダノ 作業機械の調整装置
KR102250695B1 (ko) * 2015-04-02 2021-05-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 제어 방법
JP2017082734A (ja) * 2015-10-30 2017-05-18 株式会社タダノ 作業車両
DE102016203715A1 (de) * 2016-03-08 2017-09-14 Deere & Company Anordnung zur Kontrolle von Funktionen einer Arbeitsmaschine
CN106907251B (zh) * 2017-05-04 2020-04-24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怠速控制方法和系统
US10907326B2 (en) 2017-08-11 2021-02-02 Deere & Company Vision system for monitoring a work tool of a work vehicle
DE112018004403T5 (de) 2017-10-02 2020-07-23 Walbro Llc Multifunktions-motorsteuer- und eingabesystem
DE102018112569A1 (de) * 2018-05-25 2019-11-28 Wacker Neuson Linz Gmbh Leerlaufabschaltautomatik für Arbeitsfahrzeuge
KR20210032409A (ko) * 2018-07-19 2021-03-24 클라크 이큅먼트 컴파니 천정 도어가 있는 운전실용 디스플레이 위치
CN111120096B (zh) * 2019-12-28 2020-12-22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识别发动机用途的方法及系统
JP7478590B2 (ja) 2020-05-20 2024-05-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CN114251181B (zh) * 2020-09-22 2024-01-19 北京福田康明斯发动机有限公司 一种发动机怠速优化控制方法、装置及车辆
US20240026835A1 (en) * 2022-07-25 2024-01-25 J.C. Bamford Excavators Limited Thermal Managemen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360A (ja) * 2002-10-30 2004-05-2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内燃機関の自動停止制御装置
JP2004251278A (ja) 2003-01-31 2004-09-09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JP2010223164A (ja) * 2009-03-25 2010-10-07 Komatsu Ltd 作業車両用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速度自動制御方法及び作業車両用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速度自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633A (en) 1882-02-14 Combined measure and funnel
US118084A (en) 1871-08-15 Improvement in dust-pans
JPS60113042A (ja) 1983-11-25 1985-06-19 Isuzu Motors Ltd 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制御装置
JP2000018060A (ja) * 1998-06-30 2000-01-18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自動停止装置
JP2002021690A (ja) 2000-07-05 2002-01-23 Isuzu Motors Ltd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装置
JP4017073B2 (ja) 2002-10-29 2007-12-0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エンジン回転数制御装置
JP4063097B2 (ja) 2003-02-10 2008-03-1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4339956A (ja) * 2003-05-13 2004-12-02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4073908B2 (ja) 2004-11-26 2008-04-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及び再始動装置
JP2008026241A (ja) 2006-07-24 2008-02-07 Denso Corp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454241B2 (ja) 2010-03-10 2014-03-26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JP5267607B2 (ja) 2011-03-31 2013-08-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車両
KR101251851B1 (ko) * 2011-11-30 2013-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360A (ja) * 2002-10-30 2004-05-2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内燃機関の自動停止制御装置
JP2004251278A (ja) 2003-01-31 2004-09-09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JP2010223164A (ja) * 2009-03-25 2010-10-07 Komatsu Ltd 作業車両用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速度自動制御方法及び作業車両用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速度自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25753A1 (en) 2015-01-22
KR101698287B1 (ko) 2017-01-19
US8972124B2 (en) 2015-03-03
DE112013007259B4 (de) 2016-10-20
DE112013007259T5 (de) 2016-03-31
CN104487681A (zh) 2015-04-01
IN2015DN06419A (ko) 2015-07-31
JP5430805B1 (ja) 2014-03-05
CN104487681B (zh) 2016-01-27
WO2015011748A1 (ja) 2015-01-29
JPWO2015011748A1 (ja)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287B1 (ko) 작업 차량
US9315969B2 (en) Work vehicle
JP6965160B2 (ja) ショベル
JP4506286B2 (ja) 建設機械
JP4938914B2 (ja) 作業車両のモニタ装置
JP5586568B2 (ja) 建設機械の情報表示装置、建設機械の情報表示方法及び建設機械の情報表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4185117A1 (ja) 作業車両
KR101457286B1 (ko) 가이던스 출력 장치 및 가이던스 출력 방법
WO2018062363A1 (ja) ショベル
WO2005024145A1 (ja) 建設機械の運転システム
US20180338059A1 (en) Work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engine output
US20210010233A1 (en) Construction machine
JP6403332B2 (ja) 作業車両
JP5595031B2 (ja) 建設機械の稼動モード制御装置
CN106988364B (zh) 施工机械
JP5762509B2 (ja) 作業車両
JP6957384B2 (ja) 作業機及び作業機の表示制御方法
JP5073330B2 (ja) 作業機
JP2010138766A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回転数制限装置
JP2008231696A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