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162A - 수압 전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압 전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162A
KR20150062162A KR1020157007264A KR20157007264A KR20150062162A KR 20150062162 A KR20150062162 A KR 20150062162A KR 1020157007264 A KR1020157007264 A KR 1020157007264A KR 20157007264 A KR20157007264 A KR 20157007264A KR 20150062162 A KR20150062162 A KR 20150062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in
transfer film
gloss portion
g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932B1 (ko
Inventor
마사토시 스토
다카시 이즈카
다카미 센다이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2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1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 B44C1/1752Decalcomanias provided with a particular decorative layer, e.g. being specially adapted to allow the formation of a metallic or dyestuff layer on a substrate unsuitable for direct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 B44C1/1758Decalcomanias applied under pressure only, e.g.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it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08G18/6229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5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ydrolyzed polymers of esters of these acids
    • C08G18/6254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of esters of these acid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16Esters of inorganic acids
    • C09D101/18Cellulose ni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5Layered products 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 전사법에 의해 요철감을 갖는 의장을 표현하는 장식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전사 가공성이 우수한 수압 전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압 전사 필름은 수용성 필름 상에 의장층을 갖고, 의장층이 저광택 부분과 고광택 부분을 갖고, 상기 저광택 부분과 고광택 부분이 의장층의 수용성 필름측의 면 내에 적어도 존재하고, 상기 저광택 부분이 바인더 수지와 광택 소거제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고광택 부분이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또는 그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압 전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HYDRAULIC TRANSFER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ED MOLDED ARTICLE USING SAME}
본 발명은 입체면이나 곡면을 갖는 성형체의 표면에 전사층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수압 전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장품, 가전 제품 또는 OA 기기 등에는 표면에 나뭇결 무늬나 금속 느낌(금속 광택) 등이 장식된 성형품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성형품은 복잡한 삼차원 형상을 갖는 것이 많아, 종래 그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에 의장성이 높은 장식을 간편하게 실시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장식 방법으로서, 수압을 이용한 수압 전사법이 알려져 있다. 이 수압 전사법은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의 수용성 필름에 원하는 장식층을 인쇄한 전사 필름을 준비하고, 상기 전사 필름의 장식층에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활성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장식층을 팽윤, 점착화시킨다(이것을 활성화라고 함). 그 전 또는 후에, 상기 전사 필름을 전사용 장식층(인쇄층) 면을 상면으로 해서 수면 상에 부유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전사 필름 상에 피전사체가 되는 물품을 가압하여, 수압에 의해 전사 필름을 피전사체 장식 처리를 해야 할 피전사면에 밀착시킨 후, 수용성 필름을 제거해서 장식층을 전사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이러한 수압 전사법은 클리어 도장감 등의 「깊이」나, 입체면에 대한 적응성 및 고품질의 무늬 표현이 생기는 등의 점에서 우수한 곡면 장식법이지만, 이것에 더욱 입체감도 더하고, 보다 우수한 고급감을 부여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반해 특허문헌 3에는 수압 전사 시트에 융기 인쇄 잉크로 이루어지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입체감을 부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입체감은 얻어지지만, 표면 평활성이나 광택이 희생되어, 섬세한 외관 의장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기존의 장치를 사용해서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소61-6668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0-1653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03655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 하에서, 수압 전사법에 의해 요철감을 갖는 의장을 표현하는 장식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는 수압 전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용성 필름 상에 저광택 부분과 고광택 부분을 포함하는 의장층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이며, 고광택 부분에 특정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식에 기초해서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 수용성 필름 상에 의장층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이며, 의장층이 저광택 부분과 고광택 부분을 갖고, 상기 저광택 부분과 고광택 부분이 의장층의 수용성 필름측의 단부면 내에 적어도 존재하고, 상기 저광택 부분이 바인더 수지와 광택 소거제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고광택 부분이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또는 그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수압 전사 필름, 및
[2] 상기 [1]에 기재된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하고, 또한 다음의 공정 (a) 내지 (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공정 (a): 수압 전사 필름을 수용성 필름측이 수면측을 향하도록 수면에 부유시키는 공정.
공정 (b): 수압 전사 필름의 의장층측에 활성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공정 (c): 상기 공정 (a) 및 (b)를 거친 수압 전사 필름 상에 피전사체를 가압하고, 수압에 의해 의장층을 피전사체의 피전사면에 밀착시키는 공정.
공정 (d): 상기 피전사체의 피전사면 상으로부터 수용성 필름을 제거하는 탈막 공정.
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압 전사법에 의해 요철감을 갖는 의장을 표현하는 장식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는 수압 전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10)은 수용성 필름(1) 상에 의장층(2)을 갖는다. 상기 의장층(2)은 저광택 부분(2a)과 고광택 부분(2b)을 갖고, 상기 저광택 부분(2a)과 고광택 부분(2b)이 의장층(2)의 수용성 필름측의 단부면 내(도 1의 S로 표시된 면)에 적어도 존재하고, 상기 저광택 부분(2a)이 바인더 수지와 광택 소거제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고광택 부분(2b)이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또는 그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의장층의 단부면(S)이 수용성 필름(1)에 접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에 있어서의 저광택 부분(2a) 및 고광택 부분(2b)은 상기 단부면(S) 내에 존재하면 되고 수용성 필름(1)에 접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수용성 필름(1)과 의장층(2) 사이에 다른 층이 있는 경우에는, 저광택 부분(2a) 및 고광택 부분(2b)이 상기 다른 층에 접한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한편, 수용성 필름(1) 상에 저광택층과 고광택층이 단순히 적층되어 있는 형태와는 구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의장층(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 형상으로 형성된 저광택 부분(2a)과, 상기 저광택 부분(2a)을 피복함과 함께 수용성 필름(1) 상의 저광택 부분(2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도 피복하도록 형성된 고광택 부분(2b)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 형상으로 형성된 고광택 부분(2b)과, 상기 고광택 부분(2b)을 피복함과 함께 수용성 필름(1) 상의 고광택 부분(2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도 피복하도록 형성된 저광택 부분(2a)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 형상으로 형성된 저광택 부분(2a)과, 저광택 부분(2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형성된 고광택 부분(2b)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중,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저광택 부분(2a)이 시각적으로 오목부로서 인식되기 쉽기 때문에, 의장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의장층(2) 상에 무늬층(3)을 갖고 있어도 좋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의장층(2) 상에 프라이머층(4) 및 무늬층(3)을 가져도 좋다.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10)을 사용해서 피전사체에 장식을 하면, 수용성 필름(1)이 제거됨으로써, 의장층(2)의 단부면(S)에 존재하는 저광택 부분(2a)과 고광택 부분(2b)이 노출되어 그로스매트(광택 차) 의장이 발현한다. 이에 의해 저광택 부분(2a)이 형성된 영역이 오목부로 보이고, 장식 성형품에 입체감이 있는 의장을 부여할 수 있다.
[수용성 필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용성 필름(1)으로는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을 가지는 것이면 좋고, 종래 수압 전사 필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용성 필름 중에서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필름(1)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덱스트린, 젤라틴, 아교, 카제인, 셸락, 아라비아 고무, 전분, 단백질, 폴리아크릴산 아미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메틸비닐에테르와 무수 말레산의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과 이타콘산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부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등의 각종 수용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수용성 필름(1)에는 만난, 크산탄 검, 구아 검 등의 고무 성분이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수용성 필름(1) 중, 특히 생산 안정성과 물에 대한 용해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PVA 이외에 전분이나 고무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 비누화도 및 전분이나 고무 등의 첨가제의 배합량 등을 바꿈으로써, 수용성 필름에 대하여 전사용 인쇄층을 형성할 때 필요한 기계적 강도, 취급 중의 내습성, 수면에 띄운 후의 흡수에 의한 유연화의 속도, 수중에서의 연전(延展) 또는 확산에 필요로 하는 시간, 전사 공정에서의 변형의 용이함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수용성 필름으로서 적합한 것은, 일본 특허 공개 소54-92406호 공보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이며, 예를 들어 PVA 수지 80질량%, 고분자 수용성 수지 15질량%, 전분 5질량%의 혼합 조성을 포함하고, 평형 수분 3% 정도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수용성이지만, 물에 용해하기 전단계에서는 물에 팽윤해서 연화되면서도 필름으로서 존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으로서 존속하고 있는 상태에 있을 때 수압 전사를 행함으로써, 수압 전사 시의 전사용 각 층의 과도한 유동,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용성 필름(1)의 두께로는 10 내지 100㎛가 바람직하다. 10㎛ 이상이면 막의 균일성이 양호하고, 또한 생산 안정성이 높다. 한편, 100㎛ 이하이면, 물에 대한 용해성이 적당하고, 또한 인쇄적성이 우수하다. 이상의 관점에서 수용성 필름(1)의 두께는 20 내지 6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성 필름(1)은, 예를 들어 종이, 부직포, 천 등의 침투성을 갖는 기재와 적층해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침투성을 갖는 기재와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을 갖는 수용성 필름을 적층했을 때에는, 수압 전사 필름을 수면에 띄우기 전에 상기 침투성을 갖는 기재를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을 갖는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또는 수면에 띄운 후의 물의 작용에 의해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을 갖는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상기 침투성을 갖는 기재가 분리되도록 구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장층]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성 필름(1) 상에 의장층(2)을 갖고, 상기 의장층(2)의 수용성 필름측의 단부면(S) 내에 저광택 부분(2a) 및 고광택 부분(2b)이 존재한다. 이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해서 장식 성형품을 제조한 경우, 저광택 부분(2a)의 직상부 또는 직상부와 그 근방(이하, 간단히 「직상부 및 그 근방」이라고 하기도 함)에 있어서는 저광택 영역이 형성된다. 즉, 저광택 부분(2a)은 장식 성형품의 일부(저광택 부분(2a)의 직상부 및 그 근방)에 저광택을 발현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10)을 사용해서 얻어지는 장식 성형품의 그로스매트 의장은, 저광택 부분(2a)에 있어서의 저광택 영역과 그 주위의 고광택 영역(고광택 부분(2b)의 직상부 또는 직상부와 그 근방) 사이에서 광택도의 차를 발생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저광택 부분(2a)에 있어서의 저광택 영역은 시각적으로 오목부로서 인식되고, 고광택 부분(2b)에 있어서의 고광택 영역은 볼록부로서 인식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이 저광택 영역 및 고광택 영역에 의해 시각적으로 요철 모양으로 인식된다.
<저광택 부분>
저광택 부분(2a)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인더 수지와 광택 소거제를 포함한다.
(바인더 수지)
저광택 부분(2a)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로는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고, 구체예로는 아크릴 수지, 알키드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아세탈(부티랄계 수지), 질화면 등의 니트로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저광택 영역의 발현 정도, 저광택 영역과 고광택 영역의 광택 차의 콘트라스트를 조정하기 위해서 이들 수지를 1종류 이상 혼합해도 좋고,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 후술하는 고광택 부분(2b)에 사용하는 수지와 마찬가지인 것, 즉,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수지의 함유량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광택 부분(2b)과 저광택 부분(2a)에 상이한 수지계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광택 차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바인더 수지에 대하여 고광택 부분(2b)에서 사용하는 수지의 비율이 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이다. 이 정도라면 본 발명의 효과를 크게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는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성형성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그의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등)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저광택 부분(2a)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무늬층(3)에 의해 나무결 모양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나무결의 도관 부분에 동조시킴으로써, 광택 차에 의해 도관 부분이 시각적으로 오목부로 된 모양이 얻어진다.
(광택 소거제)
광택 소거제의 구체예로는 실리카, 클레이, 중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침강성 황산바륨, 규산칼슘, 합성 규산염 및 규산 미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무기 필러나,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요소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 필러를 들 수 있으며, 어느 1종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광택 소거제의 체적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다. 광택 소거제의 체적 평균 입경이 25㎛ 이하이면 계면적이 증대함으로써 가공 시의 응력이 확산되고, 계면에 발생한 보이드 등이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입자 간 거리가 작아짐으로써 입자, 또는 보이드 사이에서 소성 변형이 발생하고, 신장 시의 백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택 소거제의 체적 평균 입경이 0.5㎛ 이상이면 광택 소거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체적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구한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값 50%에서의 입경이다.
저광택 부분(2a) 중의 광택 소거제의 함유량은 그로스매트 효과와 성형 가공성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0.5 내지 50질량%이면 바람직하고, 10 내지 50질량% 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25 내지 50질량%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광택 소거제인 JIS K 5101-13-1: 2004에 준거해서 측정한 흡유량으로는 150 내지 400mL/100g가 바람직하고, 180 내지 350mL/10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30 내지 300mL/100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유량이 150mL/100g 이상인 광택 소거제를 사용하는 것이 광택 소거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또한 흡유량이 400mL/100g 이하인 광택 소거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한 틱소트로픽성을 유지해서 저광택 부분(2a)을 형성할 때의 도포 시공 적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택 소거제를 표면 처리함으로써, 바인더 수지와 광택 소거제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경화했을 때 강인한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성형 가공 시의 크랙이나 백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처리 방법으로는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유기 재료에 의한 표면 처리여도, 무기 재료에 의한 표면 처리여도 좋다. 특히, 실란 커플링 처리 등을 적절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저광택 부분(2a)에는 의장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원한다면 착색제를 첨가할 수 있다. 착색제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수압 전사법에 사용되는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무늬층에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저광택 부분(2a)의 두께는 0.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0㎛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1 내지 10㎛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고광택 부분>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은, 고광택 부분(2b)에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또는 이들의 경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당해 경화물은 완전 경화된 것이어도 좋지만, 전사 가공성 등을 고려하면 반경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과 상기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 혼합된 상태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고광택 부분(2b)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에 더하여, 추가로 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의 경화제이며, 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시킴으로써, 당해 수지 조성물 중 적어도 일부를 경화 상태 또는 반경화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장식 성형품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수압 전사 필름을 수면에 부유시키는 공정에서, 수압 전사 필름이 용해 내지 팽윤함으로써 발생하기 쉬워지는 과도한 전신(展伸)을 억제할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
상기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구해지는, 표준 폴리스티렌으로 환산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 내지 8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00 내지 50,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의 분자량이 1,000 이상이면 내용제성이 개선되고, 무늬층(3)을 형성했을 때 고광택 부분(2b)이 용해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어려워지며, 100,000 이하이면 잉크화했을 때 점도가 저하되거나, 겔화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로는 수산기값이 30 내지 130㎎KOH/g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130㎎KOH/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내지 120㎎KOH/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의 수산기값이 30㎎KOH/g 이상이면 수압 전사 필름 전체의 과도한 전신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130㎎KOH/g 이하이면 고광택 부분(2b)의 유연성이 양호해져,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산기값은 무수 아세트산을 사용한 아세틸화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다가 이소시아네이트이면 되고, 예를 들어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MDI),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내지는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된다.
이것으로부터 고광택 부분(2b)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성 필름(1) 상에 패턴 형상으로 형성된 저광택 부분(2a)과, 상기 저광택 부분(2a)을 피복함과 함께 수용성 필름(1) 상의 저광택 부분(2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도 피복하도록 형성된 고광택 부분(2b)을 포함하는 의장층(2)을 갖는 쪽이 수압 전사 필름 전체의 과도한 전신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적당한 블록제에 의해 보호해서 불활성화하고, 가열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재생하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해도 좋다. 블록제로는, 예를 들어 페놀, 알코올, 말론산 디메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등의 활성 메틸렌, 옥심 등, 공지된 블록제를 사용해도 좋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고광택 부분(2b)에 보다 높은 성형성을 부여할 수 있고,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후에 성형품을 가열 처리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재생, 폴리올과 반응, 경화함으로써, 저광택 부분(2a), 무늬층(3)과 양호한 밀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 고광택 부분(2b)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우레탄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메트)아크릴·우레탄 공중합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부티랄 수지,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염소화 폴리에틸렌 등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광택 부분(2b)을 유연하게 하여, 장식 성형품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전사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에서 「(메트) 아크릴」이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이들 중 특히 우레탄 수지는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과의 상용성이 높아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광택 부분(2b)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착색제를 첨가해도 좋다. 착색제로는 후술하는 무늬층에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 수지)
우레탄 수지로는 비가교형인 것, 즉 3차원 가교해서 그물눈 형상의 입체적 분자 구조를 가진 것이 아니라, 선상의 분자 구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가 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가교형 우레탄 수지로는 폴리올 성분으로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올을 주제로 하고,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비가교형 우레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성형성, 내열성, 내후성, 저광택 부분(2a)과의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와의 조합에 의해 합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통상 폴리올 1분자 중의 수산기 수 및 이소시아네이트 1분자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는 각각 평균 2이다.
또한, 우레탄 수지로는 폴리올 성분, 폴리아민 성분 및 이소시아네이트의 조합에 의해 합성되는 우레탄우레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폴리올 성분이나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상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 수지로는 유리 전이점이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의 유리 전이점이 100℃ 이하이면, 고광택 부분(2b)의 상온에서의 유연성이 우수하고, 20℃ 이상이면 가열에 의해 응집력이 현저하게 저하되거나, 고광택 부분(2b)이 수압 전사 시에 물에 용해되는 일이 없어서 바람직하다.
고광택 부분(2b)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 또는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에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이소시아네이트의 합계량과 우레탄 수지의 비율은 통상 질량비로 99:1 내지 50:50이고, 95:5 내지 50:50인 것이 바람직하며, 90:10 내지 60:40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80:20 내지 68:3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의 비율이 높으면 전사 가공성이 향상되지만, 상기 비율이 너무 높으면 의장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이소시아네이트의 함유량이 높은 경우에는 우레탄 수지의 비율을 높게 하는 것이 전사 가공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고광택 부분(2b)은 상술한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우레탄 수지 및 기타 수지를 용매에 용해한 도공액을 공지된 방법으로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하여, 경화해서 형성할 수 있다. 고광택 부분(2b)의 두께에 대해서는 통상 0.5 내지 2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범위이다.
[무늬층]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한다면 무늬층(3)을 의장층(2)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무늬층(3)은 통상 바인더 수지와 착색제를 함유한다. 무늬층(3)의 바인더 수지로는 저광택 부분(2a)에서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와 마찬가지인 것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는 카본 블랙(먹), 아이언 블랙, 티타늄 화이트, 안티몬 화이트, 크롬 옐로우, 티타늄 옐로우, 레드 옥시드, 카드뮴 레드, 울트라마린 블루, 코발트 블루 등의 무기 안료, 퀴나크리돈 레드, 이소인돌리논 옐로우,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의 유기 안료 또는 염료, 알루미늄, 놋쇠 등의 비늘 조각 형상의 박편을 포함하는 금속 안료, 이산화티타늄 피복 운모, 염기성 탄산연 등의 비늘 조각 형상의 박편을 포함하는 진주 광택(펄) 안료 등이 사용된다.
[프라이머층]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한다면, 의장층(2)과 무늬층(3) 사이에 프라이머층(4)을 형성할 수 있다(도 4 참조).
프라이머층(4)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저광택 부분(2a)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와 마찬가지인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고광택 부분(2b)과 마찬가지로 용매에 용해한 도공액을 공지된 방법으로 도포하는 등 해서 형성할 수 있다.
[수압 전사 필름의 제조 방법]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10)은, 예를 들어 수용성 필름(1) 상에 저광택 부분(2a)을 패턴 형상으로 형성하는 공정 (A)와, 저광택 부분(2a)을 피복함과 함께 수용성 필름(1) 상의 저광택 부분(2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도 피복하도록 고광택 부분(2b)을 형성해서 의장층(2)으로 하는 공정 (B)와, 필요에 따라 의장층(2) 상에 무늬층(3)을 형성하는 공정 (C)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공정 (A)에 있어서, 저광택 부분(2a)은 공지된 인쇄 방법에 의해 패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바인더 수지 및 광택 소거제를 포함하는 잉크 및 기둥 형상 오목부의 셀 형상을 갖는 그라비아 판재를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 바람직하게는 그라비아 오프셋 인쇄를 실시해서 형성할 수 있다.
공정 (B)에 있어서, 고광택 부분(2b)은 공지된 도포 방법 또는 인쇄 방법에 의해 형성하거나, 또는 수지 필름을 저광택 부분(2a) 상에 라미네이트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당해 도포 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등을 들 수 있고, 인쇄 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공정 (C)에 있어서의 무늬층(3)의 형성 방법은, 공정 (B)에 있어서의 도포 방법이나 인쇄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무늬층(3)은 전체면 솔리드 인쇄여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10)은, 예를 들어 저광택 부분(2a)과 고광택 부분(2b)을 교체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10)은, 예를 들어 수용성 필름(1) 상에 저광택 부분(2a)을 패턴 형상으로 형성하는 공정 (A)와, 수용성 필름(1) 상의 저광택 부분(2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고광택 부분(2b)을 형성해서 의장층(2)으로 하는 공정 (B)와, 필요에 따라 의장층(2) 상에 무늬층(3)을 형성하는 공정 (C)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 (B)와 공정 (C) 사이에, 의장층(2) 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형성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10)을 제조할 수도 있다.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하여, 하기의 공정 (a) 내지 (d)에 의해 장식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공정 (a): 수압 전사 필름(10)을 수용성 필름(1)측이 수면측을 향하도록 수면에 부유시키는 공정.
공정 (b): 수압 전사 필름(10)의 의장층(2)측(또는 무늬층(3)측)에 활성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공정 (c): 상기 공정 (a) 및 (b)를 거친 수압 전사 필름(10) 상에 피전사체를 가압하고, 수압에 의해 의장층(2)(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프라이머층(4)이나 무늬층(3))을 피전사체의 피전사면에 밀착시키는 공정.
공정 (d): 상기 피전사체의 피전사면 상으로부터 수용성 필름(1)을 제거하는 탈막 공정.
또한, 상기 공정 (d)에 이어 하기 공정 (e)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공정 (e): 피전사체의 피전사면 상에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
<공정 (a)>
공정 (a)는 공정 (b) 앞 또는 뒤에 행할 수 있다. 수압 전사 필름(10)은 수용성 필름(1)측이 수면측을 향하도록 수면 상에 부유시킨다. 수압 전사 필름(10)을 수면에 부유시키기 위해서는, 낱장의 인쇄물을 1매씩 부유시켜도 좋고, 또한 물을 한 방향으로 흘려서, 그 수면 상에 연속 띠 형상의 수압 전사 필름(10)을 연속적으로 공급해서 부유시켜도 좋다.
<공정 (b)>
공정 (b)는 공정 (a) 앞 또는 뒤에 행할 수 있고, 의장층(2)측(또는 무늬층(3)측)에 활성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 활성제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의장층(2)이나 무늬층(3) 중 적어도 일부가 용해 내지 팽윤해서 연화되어(활성화되어), 피전사체와 밀착하기 쉬워진다.
(활성제 조성물)
활성제 조성물은 의장층(2)이나 무늬층(3)을 활성화하고, 피전사체의 피전사면에 전사시키는 기능을 갖는 조성물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또한 피전사체의 피전사면에 각 층을 전사시킬 때까지 증발하지 않는 성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활성제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류, 아세틸렌 글리콜류, 케톤류, 에테르류, 체질 안료 및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에스테르류로는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아세트산 부틸, 아세트산 이소부틸, 아세트산 sec-부틸, 아세트산 tert-부틸, 옥살산 디부틸, 프탈산 디부틸, 프탈산 디메틸, 프탈산 디옥틸, 프탈산 디이소옥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아세틸렌 글리콜류로는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에톡시부틸아세테이트, 에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프로필카르비톨아세테이트,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케톤류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논, 이소포론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에테르류로는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이소아밀셀로솔브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체질 안료로는 침강성 황산바륨, 실리카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수지로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에폭시 수지, 프탈산 알키드 수지, 프탈산 디알릴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활성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각 조성의 함유량은, 에스테르류에서는 5 내지 40질량%, 아세틸렌 글리콜류에서는 40 내지 80질량%, 에테르류에서는 5 내지 30질량% 및 수지에서는 1 내지 20질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은 고광택 부분에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 또는 그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은 비교적 단단한 성상을 갖고 있으며, 수압 전사 시에 연신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종전의 수압 전사 필름과 마찬가지로 수압 전사를 행하면,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 또는 그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고광택 부분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사하게 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자동차의 핸들과 같이 곡률이 큰 경우 등, 매우 복잡한 형상을 갖는 피전사체에 대한 수압 전사 시에는 상기 피전사체에 대하여 무늬를 충분히 전사할 수 없어, 약간 균일 전착성에 불만이 남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활성제 조성물의 주된 성분으로서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또는 이소포론을 사용함으로써 균일 전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i)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를 70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 (ii) 이소포론을 55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 (iii) 이소포론을 30질량% 이상 포함하고, 또한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를 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로 포함하며, 이들의 합계 함유량이 55질량% 이상인 것, 또는 (iv) 이소포론을 0질량% 초과 30질량% 미만 포함하고 또한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를 45질량% 이상 100질량% 미만 포함하며, 이들의 합계 함유량이 75질량% 이상인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활성제 조성물이,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하여 곡률이 큰 부재 등, 매우 복잡한 형상을 갖는 피전사체에 대한 수압 전사를 행할 때 특히 적합하다.
활성제 조성물의 도포는 그라비아 인쇄나 스프레이 코팅법 등에 의해 행하면 되고, 그의 도포량은 통상 1 내지 50g/㎡이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g/㎡이다.
<공정 (c)>
공정 (c)는 공정 (a) 및 공정 (b)를 거친 수압 전사 필름(10) 상에 피전사체를 가압하고, 수압에 의해 적어도 의장층(2)을 피전사체의 피전사면에 밀착시키는 공정이다. 수압 전사 필름(10)이 추가로 프라이머층(4)이나 무늬층(3)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의장층(2)과 함께 프라이머층(4)이나 무늬층(3)도 동시에 전사된다.
수압 전사 필름(10)을 띄워 수압을 인가하기 위한 물은, 상기 수압 전사 필름(10)의 수용성 필름(1)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수온을 조정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10)과 피전사체의 전사 시간은 20 내지 120초 정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초 정도이다.
(피전사체)
피전사체로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섬유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또는 이들을 혼합한 수지 이외에 철,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 도자기, 유리, 법랑 등의 세라믹스, 목재 등의 재료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전사면의 형상은 평면 형상인 이차원 형상이어도 좋고, 요철 형상이나 곡면 형상 등의 삼차원 형상이어도 좋다. 이들 중에서 통상적으로 수지제 구조체가 다용된다. 이 수지제 구조체는 성형 시에 있어서 이형제가 부착되는 동시에 티끌이나 유분 등도 부착하는 경우가 있어, 수압 전사 필름의 각 층을 밀착성 높게 전사시키기 위해서 미리 탈지액에 의해 피전사면을 청정화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c)에 있어서, 의장층(2)측(또는 무늬층(3)측)에 도포한 활성제 조성물은 피전사체와 접하고, 상기 피전사체의 표면을 용해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10)과 피전사체의 밀착성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탈막 공정 (d)>
탈막 공정 (d)는 공정 (c)의 후에 행해지고, 피전사체의 피전사면 상으로부터 수용성 필름(1)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피전사체의 피전사면 상에 부착되어 있는 수용성 필름(1)의 제거는, 예를 들어 물을 사용해서 샤워 세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샤워 세정의 조건은 수용성 필름(1)을 형성하는 재료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적으로는 수온 15 내지 60℃ 정도, 세정 시간 10초 내지 5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정 (d)의 후에 피전사체를 충분히 건조해서 수분을 증발시키면, 피전사체의 피전사면에 전사된 저광택 부분(2a)과 고광택 부분(2b)의 광택 차에 따라, 그로스매트 의장이 부여된 수지 성형품이 얻어진다.
<공정 (e)>
공정 (e)는 피전사체의 피전사면 상에 필요에 따라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당해 공정 (e)에 있어서는, 상기 공정 (d)에서 피전사체의 피전사면에 전사된 의장층에 대하여 표면 강도의 향상, 표면 보호, 표면의 광택 조정 등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도장을 실시하고, 투명 내지 반투명의 탑코팅층을 형성한다.
이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이 선택되고, 구체적으로는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소계 수지, 규소계 수지 등이 사용된다. 탑코팅층의 형성은 상기 수지를 공지된 유기 용제에 용해해서 얻은 도료를 사용하여 스프레이 도장, 정전 도장, 브러시 도포, 침지 도장 등 공지된 도장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탑코팅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이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예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각 예에서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성능 평가를 행하였다.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에 대해서, 그 무늬층 표면에 하기 조성의 활성제 조성물을 10g/㎡ 도포하고, 수용성 필름측이 수면측을 향하도록 수면에 부유시킨 후, 수압 전사 필름 상에 피전사체(10㎜×20㎜×1㎜의 평판 형상 부재에, 복잡 형상 부위로서 160℃의 굴곡부(직선 형상)를 형성한 것으로, 비교적 가벼운 굴곡부를 갖는 것)를 가압하고, 수압에 의해 저광택 부분 및 고광택 부분을 포함하는 의장층 및 무늬층을 피전사체의 피전사면에 밀착시키는 전사 공정을 거쳐, 상기 피전사체의 피전사면 상으로부터 수용성 필름을 제거하는 탈막 공정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장식 성형품은 최표면에 저광택 부분과 고광택 부분을 포함하는 의장층이 노출된 것이 되었다. 얻어진 장식 성형품의 표면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활성제 조성물 1의 조성)
프탈산계 알키드 수지 6질량부
마이크로실리카(체질 안료) 2질량부
프탈산 디부틸 17질량부
용제(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60질량부
용제(부틸셀로솔브) 15질량부
(평가 기준)
A: 신전성이 좋고, 복잡 형상 부위에 대한 추종성이 매우 양호하였다.
B: 복잡 형상 부위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하였다.
C: 복잡 형상 부위에 대한 추종성은 불충분했지만, 그 이외의 부위에 대한 추종성은 양호하였다.
D: 전사는 가능했지만, 수면 상에 부유시켰을 때 신장이 나빠서, 전사 시에 피전사체 단부에 주름이 생겼다.
(2) 전사 가공성(두 번째)
실시예 8에서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에 대해서, 피사체를 직경 35㎜, 길이 250㎜의 원기둥 형상의 곡률이 큰 부재로 하고, 활성제 조성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활성제 조성물 2 내지 5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과 마찬가지로 하여 장식 성형품(각각 실시예 8-2 내지 8-5의 장식 성형품으로 함)을 제작하고, 육안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활성제 조성물 2의 조성)
용제(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80질량부
용제(부틸셀로솔브) 20질량부
(활성제 조성물 3의 조성)
용제(이소포론) 60질량부
용제(부틸셀로솔브) 40질량부
(활성제 조성물 4의 조성)
용제(이소포론) 40질량부
용제(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20질량부
용제(부틸셀로솔브) 40질량부
(활성제 조성물 5의 조성)
용제(이소포론) 20질량부
용제(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60질량부
용제(부틸셀로솔브) 20질량부
(3) 의장성(그로스매트 효과)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2) 전사 가공성(두 번째)에서 얻어진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그 표면의 의장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A: 도관부가 오목부로서 인식되어, 의장성이 높았다.
B: 의장성이 약간 떨어지지만, 실용상 문제없다.
C: 의장이 평면적이어서, 의장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 1>
수용성 필름으로서 PVA 필름(두께 40㎛)을 사용하고, 그 편면의 일부에 후술하는 나무결 무늬의 도관부와 동조하는 패턴의 두께 1㎛의 저광택 부분을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 형성하였다. 저광택 부분의 형성에는 바인더 수지인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중량 평균 분자량: 30,000, 수산기값: 80㎎KOH/g)과, 광택 소거제인 실리카(체적 평균 입경: 5㎛)를 질량비 1:1로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저광택 부분 상에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중량 평균 분자량: 30,000, 수산기값: 80㎎KOH/g, 표 1 중에서는 주요 수지라고 기재)과 경화제(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NCO당량과 OH당량이 동량이 되도록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잉크를 도포 시공하여, 두께 2㎛의 고광택 부분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저광택 부분의 나무결 무늬의 도관부와 동조되도록, 나무결 모양의 무늬층을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 형성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무늬층은 바인더 수지로서 질화면과 알키드 수지의 혼합 수지(질화면과 알키드의 질량비5:2)를 사용하고, 착색제에 레드 옥시드 및 카본 블랙을 소정의 배합 비율로 사용한 착색 잉크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저광택 부분의 바인더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한 아크릴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0, 수산기값: 0㎎KOH/g, 유리 전이점: 105℃이다.
<실시예 3>
저광택 부분의 바인더 수지로서 질화면과 알키드의 혼합 수지(질화면과 알키드의 질량비 5: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고광택 부분을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중량 평균 분자량: 30,000, 수산기값: 80㎎KOH/g) 및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우레탄우레아 수지(유리 전이점: 40℃, 표 1에서는 다른 수지라고 기재)의 질량비 80:20의 혼합 수지를 사용해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고광택 부분을 형성하는 수지로서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중량 평균 분자량: 30,000, 수산기값: 80㎎KOH/g)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고광택 부분을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중량 평균 분자량: 30,000, 수산기값: 80㎎KOH/g) 및 우레탄우레아 수지(유리 전이점: 40℃)의 질량비 95:5의 혼합 수지를 사용해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과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질량비를 90:1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과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질량비를 80:2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2) 전사 가공성(두 번째)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6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과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질량비를 70:3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6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과 우레탄우레아 수지의 질량비를 65:3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저광택 부분을 형성할 때 광택 소거제를 함유하지 않는 잉크를 사용하고, 또한 고광택 부분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고광택 부분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고광택 부분을 질화면과 알키드의 혼합 수지(질화면과 알키드의 질량비 5:2)를 사용해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고광택 부분을 아크릴 수지(유리 전이점: 80℃)를 사용해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고광택 부분을 우레탄우레아 수지(유리 전이점: 40℃)를 사용해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압 전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상기 (1) 전사 가공성(첫 번째) 및 (3) 의장성에 기재된 평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1: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 중량 평균 분자량 30,000, 수산기값 80㎎KOH/g
*2: 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 아크릴 수지; 수산기값 0㎎KOH/g,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0, 수산기값: 0㎎KOH/g, 유리 전이점: 105℃
*4: 질화면·알키드; 질화면과 알키드의 질량비 5:2의 혼합 수지
*5: 우레탄우레아 수지; 유리 전이점: 40℃
*6: 아크릴 수지; 유리 전이점: 80℃
Figure pct00002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해서 제작된 장식 성형품은 양호한 그로스매트 의장을 나타내는 것이며, 고광택 부분의 주요 수지로서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을 높은 비율로 사용하고, 고광택 부분과 저광택 부분의 수지로서 상이한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 특히 우수한 의장성을 갖는다. 또한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나, 다른 수지로서 우레탄 수지를 첨가한 경우에, 특히 우수한 전사 가공성을 나타낸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8에서 얻어진 수압 전사 필름에 대해서 활성제 조성물 2 내지 5를 사용해서 얻어진, 각각 실시예 8-2 내지 8-5의 장식 성형품에 대해서, 곡률이 큰 원기둥 형상의 부재에 대한 전사 가공의 결과는 모두 매우 양호하고, 또한 우수한 의장성을 갖는 것임이 확인되었다.
한편, 고광택 부분의 주요 수지로서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을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5에서 얻어진 장식 성형품은 의장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수압 전사 필름은 그로스매트 의장이 우수한 장식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얻어진 장식 성형품은 자동차 내장재, 건축재, 가구류, 전기 제품의 하우징 등으로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수용성 필름
2: 의장층
2a: 저광택 부분
2b: 고광택 부분
3: 무늬층
4: 프라이머층
10: 수압 전사 필름
S: 단부면

Claims (8)

  1. 수용성 필름 상에 의장층을 갖는 수압 전사 필름이며, 의장층이 저광택 부분과 고광택 부분을 갖고, 상기 저광택 부분과 고광택 부분이 의장층의 수용성 필름측의 단부면 내에 적어도 존재하고, 상기 저광택 부분이 바인더 수지와 광택 소거제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고광택 부분이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또는 그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수압 전사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광택 부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이소시아네이트를 더 포함하는 수압 전사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광택 부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우레탄 수지를 더 포함하는 수압 전사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의 유리 전이점이 20 내지 100℃인 수압 전사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광택 부분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및 질화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압 전사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광택 부분을 구성하는 광택 소거제의 배합량이 0.5 내지 50질량%인 수압 전사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장층 상에 무늬층을 더 갖는 수압 전사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압 전사 필름을 사용하고, 또한 다음의 공정 (a) 내지 (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공정 (a): 수압 전사 필름을 수용성 필름측이 수면측을 향하도록 수면에 부유시키는 공정.
    공정 (b): 수압 전사 필름의 의장층측에 활성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
    공정 (c): 상기 공정 (a) 및 (b)를 거친 수압 전사 필름 상에 피전사체를 가압하고, 수압에 의해 의장층을 피전사체의 피전사면에 밀착시키는 공정.
    공정 (d): 상기 피전사체의 피전사면 상으로부터 수용성 필름을 제거하는 탈막 공정.
KR1020157007264A 2012-09-28 2013-09-27 수압 전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2017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8768A JP5994541B2 (ja) 2012-04-27 2012-09-28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JP-P-2012-218768 2012-09-28
PCT/JP2013/076415 WO2014051112A1 (ja) 2012-09-28 2013-09-27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162A true KR20150062162A (ko) 2015-06-05
KR102017932B1 KR102017932B1 (ko) 2019-09-03

Family

ID=5038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264A KR102017932B1 (ko) 2012-09-28 2013-09-27 수압 전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44310B2 (ko)
JP (1) JP5994541B2 (ko)
KR (1) KR102017932B1 (ko)
CN (1) CN104661830B (ko)
TW (1) TWI630125B (ko)
WO (1) WO20140511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214B1 (ko) * 2020-02-13 2020-11-03 이상우 유광부와 무광부의 동시 표출이 가능한 전사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9919B2 (en) * 2013-07-30 2018-06-05 Daigin Chemical Co., Ltd. Method for forming a hydraulic transfer film, hydraulic transfer film, and patterned article
JP6221577B2 (ja) * 2013-09-27 2017-11-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圧転写フィルム用活性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6221576B2 (ja) * 2013-09-27 2017-11-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圧転写フィルム用活性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TWI589459B (zh) * 2014-09-26 2017-07-01 Daigin Chemical Co Ltd Water pressure transfer method for producing relief touch
JP6485156B2 (ja) * 2014-09-30 2019-03-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JP6451185B2 (ja) * 2014-09-30 2019-0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MX2017012340A (es) * 2015-03-27 2017-12-18 Procter & Gamble Articulos absorbentes que tienen sustratos de tela no tejida con composiciones de tinta reactiva.
JP2016190331A (ja) * 2015-03-30 2016-11-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I668108B (zh) * 2018-08-14 2019-08-11 億豪納米科技股份有限公司 具環保及免使用活化劑之水轉膜及其轉印方法
JP6718156B2 (ja) * 2018-12-12 2020-07-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JP2020175654A (ja) * 2020-04-07 2020-10-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5300A (ja) 1984-02-07 1985-08-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圧転写方法
JPS6166685A (ja) 1984-09-11 1986-04-05 Dainippon Printing Co Ltd 水圧転写用転写シ−ト
JPH05293925A (ja) * 1992-04-16 1993-1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属装飾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54000A (ja) * 2000-06-16 2001-12-25 Nissha Printing Co Ltd 加飾シートと加飾成形品
KR20030035933A (ko) * 2001-10-30 2003-05-09 다이니혼 잉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압 전사 방법
JP2006051672A (ja) * 2004-08-11 2006-02-23 Dainippon Ink & Chem Inc 水圧転写用フィルムおよび水圧転写体
KR20060026021A (ko) * 2003-06-02 2006-03-22 가부시키가이샤 큐빅 수압 전사방법 및 수압 전사품
JP2007203655A (ja) 2006-02-03 2007-08-16 Nippon Decor Inc 水圧転写用シー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化粧製品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04250A (en) * 1977-11-02 1981-12-02 Reed K J Water-release transfers
US4719132A (en) * 1984-09-21 1988-01-12 Ppg Industries,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ulti-layered coatings and coated articles derived therefrom
AU619584B2 (en) * 1988-09-15 1992-01-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otective overlay film
JPH07106625B2 (ja) * 1989-03-10 1995-11-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US5293925A (en) * 1990-12-26 1994-03-15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ithdrawing strand in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EP0684148B1 (en) * 1994-05-27 2003-03-12 Cubic Co., Ltd. Decorated shaped product
FR2730449B1 (fr) * 1995-02-10 1997-04-04 High Tech Design Procede de revetement d'articles et film transfert pour le revetement d'articles
JP4268261B2 (ja) * 1999-05-12 2009-05-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93843B2 (ja) * 2000-02-24 2003-04-07 株式会社キュービック 液圧転写方法、液圧転写品及び液圧転写用塗料
ITTO20011228A1 (it) * 2001-12-28 2003-06-28 Cane Srl Contenitore per ago monouso.
CN100431834C (zh) * 2002-03-01 2008-11-12 希爱化成(Ci化成)株式会社 装饰片材及其生产方法
US7524892B2 (en) * 2003-04-11 2009-04-28 Seiko Epson Corporation Pigment dispersion and ink composition and ink set both containing the same
JP4016063B2 (ja) 2003-12-12 2007-12-05 有限会社 福岡テクノ研工業 放電制御装置,放電制御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51289B1 (ko) * 2004-02-18 2011-07-22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카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 전사품
JP5168939B2 (ja) * 2006-02-24 2013-03-27 Dic株式会社 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及び水圧転写体
US20110010658A1 (en) * 2007-10-12 2011-01-13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scrolling
JP5454054B2 (ja) * 2008-09-29 2014-03-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BR112012001460A2 (pt) * 2009-07-23 2016-03-15 Taica Corp método de transferência por pressão d'água e artigo para transferência por pressão d'água
CN102753356B (zh) * 2010-02-22 2014-12-10 泰卡株式会社 水压转印膜用消光活化剂、水压转印方法及水压转印品
TW201242795A (en) * 2011-01-20 2012-11-01 Taica Corp A water pressure transfer method, a transfer film for water pressure transfer, an ink for a transfer film and a water pressure transfer article
JP5966572B2 (ja) * 2012-04-27 2016-08-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圧転写フィルム製造用転写箔、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加飾成形品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6102158B2 (ja) * 2012-09-28 2017-03-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5300A (ja) 1984-02-07 1985-08-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圧転写方法
JPS6166685A (ja) 1984-09-11 1986-04-05 Dainippon Printing Co Ltd 水圧転写用転写シ−ト
JPH05293925A (ja) * 1992-04-16 1993-1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属装飾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54000A (ja) * 2000-06-16 2001-12-25 Nissha Printing Co Ltd 加飾シートと加飾成形品
KR20030035933A (ko) * 2001-10-30 2003-05-09 다이니혼 잉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압 전사 방법
KR20060026021A (ko) * 2003-06-02 2006-03-22 가부시키가이샤 큐빅 수압 전사방법 및 수압 전사품
JP2006051672A (ja) * 2004-08-11 2006-02-23 Dainippon Ink & Chem Inc 水圧転写用フィルムおよび水圧転写体
JP2007203655A (ja) 2006-02-03 2007-08-16 Nippon Decor Inc 水圧転写用シー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化粧製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214B1 (ko) * 2020-02-13 2020-11-03 이상우 유광부와 무광부의 동시 표출이 가능한 전사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1112A1 (ja) 2014-04-03
US20150259540A1 (en) 2015-09-17
JP5994541B2 (ja) 2016-09-21
TWI630125B (zh) 2018-07-21
CN104661830A (zh) 2015-05-27
KR102017932B1 (ko) 2019-09-03
US10544310B2 (en) 2020-01-28
CN104661830B (zh) 2018-03-02
JP2013240976A (ja) 2013-12-05
TW201433471A (zh)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2162A (ko) 수압 전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장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6094123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加飾成形品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6102158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2022183320A (ja) 化粧材
JP6350176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JP5736817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JP6451185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JP6048530B2 (ja)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JP6485156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JP6357828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JP6856973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JP6221577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用活性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6094124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5966572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製造用転写箔、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加飾成形品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7067542B2 (ja) 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922619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加飾成形品
JP6221576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用活性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2020175654A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JP4483175B2 (ja) 装飾付き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およ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装飾方法
JP6550853B2 (ja) 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7052277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90331A (ja) 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718156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