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657A -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657A
KR20150037657A KR20140130849A KR20140130849A KR20150037657A KR 20150037657 A KR20150037657 A KR 20150037657A KR 20140130849 A KR20140130849 A KR 20140130849A KR 20140130849 A KR20140130849 A KR 20140130849A KR 20150037657 A KR20150037657 A KR 20150037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mide resin
resin layer
porous polyimide
weight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영
박영석
박순용
장세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TW10313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TWI548528B/zh
Priority to JP2015542986A priority patent/JP6014270B2/ja
Priority to CN201480002537.XA priority patent/CN104704027A/zh
Priority to US14/434,888 priority patent/US9725565B2/en
Priority to PCT/KR2014/009200 priority patent/WO2015047028A1/ko
Publication of KR20150037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1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32B27/2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the fillers creating voids or cavities, e.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5Insulated conductive substrates, e.g. insulated metal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7Polyolefin particles, e.g.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homopolymers or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4Di-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8Heat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08PCBs, i.e. printed circuit boar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4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10T428/249979Specified thickness of void-containing component [absolute or relative] or numerical cel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 Y10T428/24998Composite has more than two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는 0.0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분포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FLEXIBLE METAL LAMINATE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도를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의 소형화와 고속화 및 다양한 기능들이 결합하는 추세에 맞춰서 전자 기기 내부에서의 신호 전달 속도 또는 전자 기기 외부와의 신호 전달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절연체보다 유전율과 유전 손실 계수가 더욱 낮은 절연체를 이용한 인쇄 회로 기판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듯 최근 연성 인쇄 회로기판에서도 종래의 폴리이미드보다 더욱 유전율이 낮으면서 흡습에 의한 영향을 덜 받는 절연체인 액정 폴리머(LCP, Liquid Crystalline Polymer)를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LCP를 적용하더라도 실질적으로 LCP의 유전율(Dk=2.9)이 폴리이미드(Dk=3.2)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적용에 따른 개선 정도가 미미하고, 또한 LCP의 내열성이 남땜 공정에서 문제가 될 정도로 낮으며, LCP가 열가소성을 갖기 때문에 레이저를 이용한 Via hole 가공에 있어서 기존의 폴리이미드를 이용했던 PCB 제조 공정과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기존 연성 회로 기판의 절연체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이미드의 유전율을 낮추는 노력이 실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등록특허 제4816516호에 의하면, 폴리이미드와 불소계 고분자를 혼합하여 몰드 성형품을 만드는 내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저유전율이 필요한 전자기기용 제품에 관한 것이 아니라 몰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실제 열팽창율이 크고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폴리이미드를 사용하였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얇은 박막 형태로 폴리이미드 수지를 가공하여야 하는데, 상기 미국특허에는 얇은 박막 형태로 제조된 동박 적층판에 관한 내용이 나타나 있지 않다.
또한, 미국등록특허 제7026032호에 의하면, 불소계 고분자의 미세 분말을 폴리이미드에 분산시켜 제조되는 제품의 유전율을 낮추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 특허에는 불소계 고분자 미세 분말이 절연체의 내부 코어에 비하여 외부 표면에 보다 많이 분포하는 내용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절연체의 최외각층에 불소계 고분자의 함량이 많기 때문에 외부 표면의 불소계 고분자에 의하여 수분 투과 및 흡수가 낮아져서 전체적인 수분 흡수율을 낮출 수 있으나, 기존의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연성 동박 적층판이 갖지 않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국 특허에 기재된 폴리이미드 수지는 커버레이와의 접착력이나 프리프레그와의 접착력이 약해지고 ACF와의 접착력도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미국 특허에 기재된 폴리이미드 수지의 열팽창계수(CTE)는 연성 동박 적층판에 적용되기에는 너무 클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의 표면에는 불소 수지가 외부에 과량으로 존재하게 때문에, PCB 제조 공정 중의 수납 공정에 적용되는 380 ℃ 내외의 온도에서 불소 수지가 녹을 수 있고 동박 회로가 절연체로부터 박리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저유전율 인쇄 회로 기판을 만들기 위해서는 낮은 유전율을 나타내면서도 낮은 열팽창계수의 특성을 갖고 있고 탄성 계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수분 흡수율이 낮은 재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등록특허 제4816516호 미국등록특허 제7026032호
본 발명은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도를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도를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는, 폴리이미드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는 0.0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분포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는, 폴리아믹산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280 내지 320℃ 온도 범위 전후에서 승온 속도를 달리하여 열경화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적어도 1면 상에 상기 금속 박막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이미드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는 0.0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분포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전에는 연성 금속 적층체에 적용되는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수지의 유전율을 낮추기 위해서 불소계 고분자 수지를 첨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대표적인 불소계 수지인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및 퍼플루오로알콕시(PFA)의 열팽창계수가 각각 135ppm, 150ppm 및 230ppm에 달하여 통상적인 폴리이미드가 갖는 열팽창계수인 10 내지 30ppm에 비하여 상당히 크며, 폴리이미드의 유전율을 충분히 낮추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불소 수지를 10 내지 60wt% 정도 넣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열팽창계수가 커질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상기 일 구현예의 연성 금속 적층체은 소정의 크기의 기공이 다수 분포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포함함으로서, 유전율을 크게 낮추면서도 높은 탄성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열팽창계수를 연성 금속 적층체로서 사용되기에 최적화된 범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제조 과정에서는,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이의 전구체(예를 들어, 폴리아믹산 등)과 불소계 수지를 혼합하고 고온에서 열처리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는데,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이의 전구체와 불소계 수지간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하여 최종 제조되는 결과물이 소정의 크기의 기공이 다수 분포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 또는 다공성 고분자 수지 필름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제조 과정에서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이의 전구체(예를 들어, 폴리아믹산 등)과 불소계 수지 입자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하고, 280 내지 320℃ 온도 범위 전후에서 승온 속도를 달리함으로서 0.05㎛ 내지 20㎛, 또는 0.1 ㎛ 내지 5 ㎛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서,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이의 전구체과 불소계 수지 입자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하고, 도포된 조성물을 300℃이하에서의 온도 범위에서 3 ℃/분 내지 10 ℃/분의 속도로 승온하고 300℃초과의 온도 범위에서는 0.2℃/분 내지 2 ℃/분의 속도로 승온하여, 0.05㎛ 내지 20㎛, 또는 0.1 ㎛ 내지 5 ㎛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는 0.0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분포함에 따라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1.2 g/㎠ 내지 1.9 g/㎠, 또는 1.3 g/㎠ 내지 1.5 g/㎠ 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 중 상기 미세 기공은 0.1 내지 5부피%, 또는 0.2 내지 1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 포함되는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는 0.05 내지 9.5 ㎛, 또는 1.0 내지 5.0 ㎛의 평균 입경(D5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가 상술한 평균 입경을 가짐에 따라서, 상기 열경화 또는 화학적 경화 과정에서 합성되는 폴리이미드 수지와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들 간의 열팽창 정도의 차이 및 경화시 수축 정도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형성되는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미세한 기공이 균일하게 분포하는 다공성 수지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D50)은 레이저 입도분석기(Laser Particle Size Analyzer)에 의해 측정된 D50값일 수 있으며, 상기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의 입도분포가 정규분포를 이루기 때문에 입도분포 상에서 가장 큰 값을 기준으로 50% 누적 크기(정규분포 그래프의 아래 면적의 크기)의 값인 D50을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 입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폴리이미드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한 기재층에 분산된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한 기재층은 0.0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분포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폴리머 수지(E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TFE/CTFE) 및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ECT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 포함되는 폴리이미드 수지의 구체적인 특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성 금속 적층체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이미드 수지를 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는 1,000 내지 500,000, 또는 10,000 내지 3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연성 금속 적층체 등으로 적용시 요구되는 기계적 물성 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너무 크면, 상기 일 구현예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탄성도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는 하기 화학식1의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1에서, Y1은 4가의 방향족 유기 작용기이고, X는2가의 방향족 유기 작용기이고, 상기 n 은 1 내지 300의 정수이다.
상기 Y1은 하기 화학식 21 내지 2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4가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21]
Figure pat00002
[화학식2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22에서, Y1 은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다.
[화학식23]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23에서, Y2 및 Y3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다.
[화학식24]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24에서, Y4, Y5 및 Y6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다.
[화학식25]
Figure pat00006
[화학식26]
Figure pat00007
[화학식27]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21 내지 27에서, '*'은 결합점(bonding point)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보다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도와 함께 최적화된 열팽창계수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화학식1의 Y1이 하기 화학식 28 내지 3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4가 작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Y1은 상기 화학식1의 반복 단위 각각에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28]
Figure pat00009
[화학식 29]
Figure pat00010
[화학식 30]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28 내지 30에서, '*'은 결합점(bonding point)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X는 하기 화학식 31 내지 3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가 작용기일 수 있다.
[화학식31]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31에서, R1은 수소, -CH3, -CH2CH3, -CH2CH2CH2CH3, -CF3, -CF2CF3, -CF2CF2CF3, 또는 -CF2CF2CF2CF3 일 수 있다.
[화학식32]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32에서, L1 은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OCH2-C(CH3)2-CH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1및 R2 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수소, -CH3, -CH2CH3, -CH2CH2CH2CH3, -CF3, -CF2CF3, -CF2CF2CF3, 또는 -CF2CF2CF2CF3 일 수 있다.
[화학식33]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33에서, L2 및 L3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OCH2-C(CH3)2-CH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1 , R2 및 R3 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수소, -CH3, -CH2CH3, -CH2CH2CH2CH3, -CF3, -CF2CF3, -CF2CF2CF3, 또는 -CF2CF2CF2CF3 일 수 있다.
[화학식34]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34에서, L4, L5 및 L6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OCH2-C(CH3)2-CH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1 , R2, R3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수소, -CH3, -CH2CH3, -CH2CH2CH2CH3, -CF3, -CF2CF3, -CF2CF2CF3, 또는 -CF2CF2CF2CF3 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1의 X이 하기 화학식 35의 2가 작용기인 경우,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보다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높은 탄성도와 함께 최적화된 열팽창계수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X는 상기 화학식1의 반복 단위 각각에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35]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35에서, R1 R2 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CH3, -CH2CH3, -CH2CH2CH2CH3, -CF3, -CF2CF3, -CF2CF2CF3, 또는 -CF2CF2CF2CF3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상기 화학식1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수지 30 내지 95 중량% 또는 40 내지 90 중량%; 및 잔량의 불소계 수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최종 제조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충분히 낮은 유전율 또는 수분 흡수율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의 함량의 너무 크면,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쉽게 찢어지거나 부서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에 포함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열팽창계수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0.1㎛ 내지 100㎛, 또는 1㎛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5 GHz에서의 건조 상태에서 2.7이하의 유전율(Dk), 또는 2.2 내지 2.7의 유전율(Dk), 또는 2.3 내지 2.6 의 유전율(Dk)을 나타낼 수 있다. 통상의 폴리이미드 수지는 5 GHz에서의 건조 상태에서 3.0 이상의 유전율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였는데 반하여,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상대적으로 낮은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100 ℃ 내지 200 ℃에서 1ppm 내지 28ppm의 열팽창계수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연성 금속 적층체에 사용되는 금속박인 동박의 열팽창 계수가 약 18 ppm 내외이기 때문에, 상기 일 구현예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열팽창계수를 상술한 범위로 하여야, 금속박과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부터 나타나는 휨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을 이루는 기타 자재와의 신축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연성 금속 적층체는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과 금속 박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박막은 구리, 철, 니켈, 티타늄, 알루미늄, 은, 금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 박막은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는 상기 금속 박막을 1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금속 박막 2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은 상기 서로 대향하는 금속 박막 2개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 표면의 십점 평균조도(Rz)가 0.5㎛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 표면의 십점 평균조도가 너무 작으면 상기 고분자 수지층과의 접착력이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 박막 표면의 십점 평균조도가 너무 크면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여 고주파 영역에서 전송손실이 커질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은 0.1㎛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연성 금속 적층체는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적어도 1면에 형성된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는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양 면에 결합된 제2 및 제3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은 각각 상술한 폴리이미드 수지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은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0.1㎛ 내지 100㎛, 또는 1㎛ 내지 50㎛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아믹산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280 내지 320℃ 온도 범위 전후에서 승온 속도를 달리하여 열경화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적어도 1면 상에 상기 금속 박막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제조 과정에서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이의 전구체(예를 들어, 폴리아믹산 등)과 불소계 수지 입자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 280 내지 320℃ 온도 범위 전후에서 승온 속도를 달리함으로서 0.05㎛ 내지 20㎛, 또는 0.1 ㎛ 내지 5 ㎛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서,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이의 전구체과 불소계 수지 입자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소정의 기재 상에 도포하고, 도포된 조성물을 300℃이하에서의 온도 범위에서 3 ℃/분 내지 10 ℃/분의 속도로 승온하고 300℃초과의 온도 범위에서는 0.2℃/분 내지 2 ℃/분의 속도로 승온하여, 0.05㎛ 내지 20㎛, 또는 0.1 ㎛ 내지 5 ㎛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300℃이하에서의 온도 범위에서 3 ℃/분 내지 10 ℃/분의 속도로 승온하고 300℃초과의 온도 범위에서는 0.2℃/분 내지 2 ℃/분의 속도로 승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열처리 또는 승온은 340℃ 내지 370℃, 또는 350℃ 내지 360℃의 온도에서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산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승온 하는 과정에서, 280 내지 320℃ 온도 이하, 또는 300℃이하에서의 승온 속도가 너무 높으면,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 내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에 포함되는 개별 층간의 박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열팽창계수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산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승온 하는 과정에서, 280 내지 320℃ 온도 초과, 또는 300℃ 초과 온도 범위에서의 승온 속도가 너무 낮으면, 상기 형성되는 폴리이미드 수지층 내부에 기공 형성이 용이하지 않아서 충분한 다공도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형성되는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밀도나 유전율이 충분히 낮아지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믹산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승온 하는 과정에서, 280 내지 320℃ 온도 초과, 또는 300℃ 초과 온도 범위에서의 승온 속도가 너무 높으면,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 내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연성 금속 적층체의 다른 박막 또는 층, 예를 들어 금속 박막 등과 견고하게 결합 또는 접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는 0.0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분포함에 따라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1.2 g/㎠ 내지 1.9 g/㎠, 또는 1.3 g/㎠ 내지 1.5 g/㎠ 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 중 상기 미세 기공은 0.1 내지 5부피%, 또는 0.2 내지 1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 포함되는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는 0.05 내지 9.5 ㎛, 또는 1.0 내지 5.0 ㎛의 평균 입경(D5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믹산 수지 및 불소계 수지 입자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일 구현예의 연성 금속 적층체에 관하여 상술한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아믹산 수지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수지에 관한 내용도 상기 일 구현예의 연성 금속 적층체에 관하여 상술한 내용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믹산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산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상기 분산제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폴리에테르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민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전에는 폴리아믹산 또는 폴리이미드에 불소계 수지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불소계 분산제나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제조되는 고분자 수지층의 유전율은 다소 낮출 수 있으나, 상기 불소계 분산제나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따라서 제조되는 고분자 수지층의 열팽창계수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이 분산제를 포함함에 따라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낮은 유전율을 가지면서도 과도하게 높은 열팽창계수를 갖지 않을 수 있으며, 금속 적층체 또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과정에서도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에 포함되는 불소계 수지가 녹아버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 전체 100중량부 대비 상기 분산제 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 또는 0.5 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경화 이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0.1㎛ 내지 200㎛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적어도 1면 상에 상기 금속 박막을 적층하는 단계는, 250℃ 내지 450℃의 온도에서 500 Kgf 내지 3000 Kgf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적어도 1면 상에 구리, 철, 니켈, 티타늄, 알루미늄, 은, 금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박막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도와 함께 최적화된 열팽창계수를 확보할 수 있는 연성 금속 적층체와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최근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등의 기기가 데이터 전송 속도가 증가하면서 초래되는 데이터의 손실율 증가나 인쇄 회로 기판의 후막화, 인쇄 회로 기판에서의 회로의 협폭화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저유전율을 가지면서도 기존의 폴리이미드 절연체가 가지고 있는 고내열성 내화학성, 치수 안정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저유전율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유전율 폴리이미드를 사용하여 저유전율 동박 적층판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임피던스를 매칭하면서도 인쇄 회로 기판을 더욱 얇게 만들 수 있게 됨에 따라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더욱 얇게 만들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의 선폭을 넓게 할 수 있으므로 PCB제조 회사의 불량율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 제조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 1 에서 폴리이미드 수지의 단면SEM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폴리아믹산 용액의 제조]
제조예1 : 불소계 수지를 포함한 폴리아믹산 용액의 제조( P1 )
1L의 폴리에틸렌 용기(PE bottle)에 질소를 충진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DMAc) 765g,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마이크로 분말(PTFE micro powder, 입자 크기: 약 1.0 내지 5.0 ㎛) 219g 및 지름 2mm의 비드(bead) 765g을 넣고, 고속 볼 밀링(ball milling) 기기에서 교반하였다.
500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상기 PTFE 마이크로 분말이 분산된 용액 16g,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7g,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리드(Pyromellitic Dianhydride)13g,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20g을 넣고, 50℃에서 10시간 동안 질소를 흘려주면서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점도 25,000cps정도의 폴리아믹산 용액(P1)을 얻었다.
제조예2 : 불소계 수지를 포함한 폴리아믹산 용액의 제조( P2 )
1L의 폴리에틸렌 용기(PE bottle)에 질소를 충진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DMAc) 765g,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마이크로 분말(PTFE micro powder, 입자 크기: 약 1.0 내지 5.0 ㎛) 219g 및 지름 2mm의 비드(bead) 765g을 넣고, 고속 볼 밀링(ball milling) 기기에서 교반하였다.
500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상기 PTFE 마이크로 분말이 분산된 용액 73 g,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15g,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리드 11.609g,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17.391g을 넣고, 50℃에서 10시간 동안 질소를 흘려주면서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점도 100,000cps정도의 폴리아믹산 용액(P2)을 얻었다.
제조예3 : 불소계 수지를 포함한 폴리아믹산 용액의 제조( P3 )
500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7g,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리드(Pyromellitic Dianhydride)13g,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20g을 넣고, 50℃에서 10시간 동안 질소를 흘려주면서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점도 25,000cps정도의 폴리아믹산 용액(P3)을 얻었다.
[ 실시예 1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 연성 금속 적층체용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및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실시예1 내지 2
(1)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1 내지 2에서 각각 제조한 폴리아믹산 용액을 최종 두께가 25um가 되도록 동박(두께: 12㎛)의 Matte면에 코팅한 후 80℃에서 10분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 제품을 질소 오븐에서 상온에서부터 승온을 시작하여 300℃이하에서의 온도 범위에서 5 ℃/분의 속도로 승온하고 300℃초과 내지 350℃ 온도 범위에서는 1 ℃/분의 속도로 경화를 진행하였다. 상기 경화가 완료된 후, 상기 동박을 에칭하여 25um의 두께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2)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380℃의 온도에서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 각각 얻어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과 12㎛ 두께의 동박에 1700 Kgf의 압력을 가해 라미네이션함으로서 금속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1
(1)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1에서 제조된 폴리아믹산 용액 대신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어진 폴리아믹산 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5um의 두께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2)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380℃의 온도에서 상기 얻어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과 12㎛ 두께의 동박에 1700 Kgf의 압력을 가해 라미네이션함으로서 금속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2
(1)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2의 폴리아믹산 용액을 최종 두께가 25um가 되도록 동박(두께: 12㎛)의 Matte면에 코팅한 후 80℃에서 10분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 제품을 질소 오븐에서 상온에서부터 승온을 시작하여 350℃에서 30분간 경화를 진행하였다.
상기 경화가 완료된 후, 상기 동박을 에칭하여 25um의 두께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2)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380℃의 온도에서 상기 얻어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과 12㎛ 두께의 동박에 1700 Kgf의 압력을 가해 라미네이션함으로서 금속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1. 실험예1 : 연성 금속 적층체의 단면 관찰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동박 적층판의 단면을 SEM사진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하기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1에서 얻어진 폴리이미드 수지층에는 0.0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분포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2. 실험예2 : 연성 금속 적층체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동박 적층판에 대하여 유전 상수, CTE 및 흡수율을 다음과 같은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1) 유전 상수 측정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을 150℃에서 30분간 건조하고, 각각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유전율을 SPDR(split post dielectric resonance) 방법으로, 25℃ 및 50%RH 의 조건에서, Agiletn E5071B ENA장치를 이용하여, Resonato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선열팽창계수(CTE) 측정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선열팽창계수를 IPC TM-650 2.4.24.3의 기준을 바탕으로 100℃ 내지 200℃ 측정 조건에서 Mettler사의 TMA/SDTA 840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흡수율 측정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흡수율을 IPC TM-650 2.6.2C의 기준을 바탕으로 23℃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침적시켜서, 상기 침적 전후의 측정 대상물의 질량을 측정하여 흡수율을 산정하였다.
실험예2의 측정 결과
구 분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 실험예2의 측정 결과
미세 기공의
직경(㎛)
밀도
(g/㎠)
유전상수
(Dk) @ 5GHz
CTE
(ppm)
흡수율
(%)
실시예 1 약 0.5 내지 2 1.30 2.6 12 1.5
실시예 2 약 0.5 내지 2 1.40 2.4 22 1.1
비교예1 - 1.27 2.9 9 1.7
비교예2 - 1.5 2.6 23 1.1
상기 표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서 얻어진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는 0.5 내지 2㎛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분포하고 있으며,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밀도 또한 1.30 내지 1.40 g/㎠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2.6이하의 낮은 유전 상수 및 1.5%이하의 낮은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12 내지 22 ppm의 선팽창계수를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1 및 2의 폴리이미드 수지층에는 미세 기공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비교예1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 상수(2.9), 낮은 선팽창계수 및 높은 습수율을 나타내었고, 비교예2의 경우 상대적으론 높은 밀도를 가지며 동일한 PTFE 함량을 갖는 실시예2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 상수를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Claims (18)

  1. 폴리이미드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는 0.05㎛ 내지 20㎛의 직경을 갖는 미세 기공이 분포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1.2 g/㎠ 내지 1.9 g/㎠의 밀도를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상기 미세 기공 0.1 내지 5부피%를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는 0.05 내지 9.5 ㎛의 평균 입경(D50)을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는 1,000 내지 5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0.1㎛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폴리머 수지(E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TFE/CTFE) 및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ECT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5 GHz에서 2.7이하의 유전율을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1이상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10. 제1항에 있어서,
    0.1㎛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1이상 더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11. 제1항에 있어서,
    구리, 철, 니켈, 티타늄, 알루미늄, 은, 금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박막을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0.1㎛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적어도 1면 상에 상기 금속 박막이 적층되는, 연성 금속 적층체.
  14. 폴리아믹산 수지 30 내지 95중량%; 및 불소계 수지 입자 5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수지 조성물을 280 내지 320℃ 온도 범위 전후에서 승온 속도를 달리하여 열경화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적어도 1면 상에 상기 금속 박막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300℃이하에서의 온도 범위에서 3 ℃/분 내지 10 ℃/분의 속도로 승온하고 300℃초과의 온도 범위에서는 0.2℃/분 내지 2 ℃/분의 속도로 승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승온은 340℃ 내지 370℃에서 완료되는,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경화 이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0.1㎛ 내지 200㎛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적어도 1면 상에 상기 금속 박막을 적층하는 단계는
    250℃ 내지 450℃의 온도에서 500 Kgf 내지 3000 Kgf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적어도 1면 상에 구리, 철, 니켈, 티타늄, 알루미늄, 은, 금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박막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20140130849A 2013-09-30 2014-09-30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37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3134116A TWI548528B (zh) 2013-09-30 2014-09-30 可撓性金屬層疊體及其製備方法
JP2015542986A JP6014270B2 (ja) 2013-09-30 2014-09-30 軟性金属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480002537.XA CN104704027A (zh) 2013-09-30 2014-09-30 挠性金属层压板及其制备方法
US14/434,888 US9725565B2 (en) 2013-09-30 2014-09-30 Flexible metal laminate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PCT/KR2014/009200 WO2015047028A1 (ko) 2013-09-30 2014-09-30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766 2013-09-30
KR20130116766 2013-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657A true KR20150037657A (ko) 2015-04-08

Family

ID=5303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0849A KR20150037657A (ko) 2013-09-30 2014-09-30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25565B2 (ko)
EP (1) EP2886589A4 (ko)
JP (1) JP6014270B2 (ko)
KR (1) KR20150037657A (ko)
CN (1) CN104704027A (ko)
TW (1) TWI548528B (ko)
WO (1) WO2015047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722B1 (ko) * 2014-09-30 2017-11-15 셍기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6701834B2 (ja) * 2015-03-26 2020-05-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樹脂粒子分散ポリイミド前駆体溶液の製造方法、樹脂粒子分散ポリイミド前駆体溶液、樹脂粒子含有ポリイミドフィルム、多孔質ポリイミ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ポリイミドフィルム
JP2017031256A (ja) * 2015-07-29 2017-02-09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ッ素樹脂多孔質体、それを用いた金属層付多孔質体及び配線基板
CN106555214B (zh) * 2015-09-25 2019-05-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金属表面微孔化处理方法以及金属树脂复合体的制备方法
KR102353699B1 (ko) * 2017-06-23 2022-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JP7234944B2 (ja) * 2018-01-18 2023-03-08 Agc株式会社 長尺積層体、その製造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
CN110066557B (zh) * 2019-05-05 2021-07-30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涂树脂铜箔及其制备方法、包含其的覆铜板和印制电路板
JP7491689B2 (ja) * 2019-12-27 2024-05-28 日鉄ケミカル&マテリアル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金属張積層板の製造方法
CN112080291A (zh) * 2020-08-24 2020-12-15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用于5g通信柔性覆铜板的液晶聚合物薄膜及其制备方法
CN113088910B (zh) * 2021-03-31 2023-07-14 西安石油大学 一种表面具有多孔结构的碲化铋柔性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
EP4079509A1 (en) * 2021-04-19 2022-10-26 Nitto Denko Corporation Porous polyimide fil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41B2 (ja) 1986-06-30 1996-01-17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
JPH11106506A (ja) * 1997-10-03 1999-04-20 Ulvac Corp 低比誘電性高分子膜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層間絶縁膜
JP2007131005A (ja) * 1999-03-12 2007-05-31 Kaneka Corp ポリイミド/金属積層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気・電子機器用基盤、磁気記録用基盤、太陽電池用基盤、宇宙空間航行用機材の被覆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状抵抗体
US20030129379A1 (en) * 1999-04-23 2003-07-10 Shigeru Yao Porous insulating film and its laminates
JP2002060490A (ja) * 1999-12-10 2002-02-26 Nitto Denko Corp ポリアミド酸とそれより得られるポリイミド樹脂とそれらの回路基板への利用
JP4557409B2 (ja) 2000-11-13 2010-10-06 日東電工株式会社 多孔質ポリイミド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ポリイミド
US7026032B2 (en) 2003-11-05 2006-04-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imide based compositions useful as electronic substrates, derived in part from (micro-powder) fluoropolymer,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hereto
JP2005146243A (ja) * 2003-11-17 2005-06-09 Iwao Jiki Kogyo Kk 樹脂複合多孔質材料
JP4878316B2 (ja) 2007-03-20 2012-02-15 株式会社日本触媒 ポリイミド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基板
JP2011011456A (ja) 2009-07-02 2011-01-20 Toyobo Co Ltd 多層フッ素樹脂フィルムおよび多層フッ素樹脂基板
JP5216032B2 (ja) 2010-02-02 2013-06-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スルホニウム塩、高分子化合物、高分子化合物の製造方法、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WO2013032211A2 (ko) * 2011-08-30 2013-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 적층체 및 회로 기판
KR101478301B1 (ko) * 2011-08-30 2014-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 적층체 및 회로 기판
KR101299652B1 (ko) 2011-09-07 2013-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소수지 함유 연성 금속 적층판
US9462688B2 (en) * 2011-09-07 2016-10-04 Lg Chem, Ltd. Flexible metal laminate containing fluoropolymer
CN104011163A (zh) * 2011-12-12 2014-08-27 株式会社Lg化学 用于制造电路板的氰酸酯树脂组合物以及含有其的柔性覆金属层压制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7028A1 (ko) 2015-04-02
TWI548528B (zh) 2016-09-11
JP6014270B2 (ja) 2016-10-25
EP2886589A1 (en) 2015-06-24
EP2886589A4 (en) 2016-06-08
US20150274903A1 (en) 2015-10-01
JP2015534920A (ja) 2015-12-07
US9725565B2 (en) 2017-08-08
TW201518109A (zh) 2015-05-16
CN104704027A (zh)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722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44006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20150037657A (ko)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99652B1 (ko) 불소수지 함유 연성 금속 적층판
KR101769101B1 (ko) 저유전율 및 열가소성을 갖는 폴리이미드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연성 금속 적층판
KR101962986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101614847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101641211B1 (ko)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1797724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102080374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101598610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WO2014010968A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101797721B1 (ko) 연성 금속 적층체용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1763873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WO2016052873A1 (ko) 연성 금속 적충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002495A (ja) 誘電体材料、及びこれを備えた可撓性銅張積層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63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05

Effective date: 2018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