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724B1 - 연성 금속 적층체 - Google Patents

연성 금속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724B1
KR101797724B1 KR1020140131861A KR20140131861A KR101797724B1 KR 101797724 B1 KR101797724 B1 KR 101797724B1 KR 1020140131861 A KR1020140131861 A KR 1020140131861A KR 20140131861 A KR20140131861 A KR 20140131861A KR 101797724 B1 KR101797724 B1 KR 101797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mide resin
resin layer
porous polyimide
average particl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588A (ko
Inventor
박시영
박순용
서주연
장세명
박영석
Original Assignee
셍기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셍기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셍기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4013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7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이미드 수지 및 상이한 입경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를 포함한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성 금속 적층체{FLEXIBLE METAL LAMINATE}
본 발명은 연성 금속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 및 경도를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의 소형화와 고속화 및 다양한 기능들이 결합하는 추세에 맞춰서 전자 기기 내부에서의 신호 전달 속도 또는 전자 기기 외부와의 신호 전달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절연체보다 유전율과 유전 손실 계수가 더욱 낮은 절연체를 이용한 인쇄 회로 기판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듯 최근 연성 인쇄 회로기판에서도 종래의 폴리이미드보다 더욱 유전율이 낮으면서 흡습에 의한 영향을 덜 받는 절연체인 액정 폴리머(LCP, Liquid Crystalline Polymer)를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LCP를 적용하더라도 실질적으로 LCP의 유전율(Dk=2.9)이 폴리이미드(Dk=3.2)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적용에 따른 개선 정도가 미미하고, 또한 LCP의 내열성이 남땜 공정에서 문제가 될 정도로 낮으며, LCP가 열가소성을 갖기 때문에 레이저를 이용한 Via hole 가공에 있어서 기존의 폴리이미드를 이용했던 PCB 제조 공정과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기존 연성 회로 기판의 절연체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이미드의 유전율을 낮추는 노력이 실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등록특허 제4816516호에 의하면, 폴리이미드와 불소계 고분자를 혼합하여 몰드 성형품을 만드는 내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저유전율이 필요한 전자기기용 제품에 관한 것이 아니라 몰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실제 열팽창율이 크고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폴리이미드를 사용하였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얇은 박막 형태로 폴리이미드 수지를 가공하여야 하는데, 상기 미국특허에는 얇은 박막 형태로 제조된 동박 적층판에 관한 내용이 나타나 있지 않다.
또한, 미국등록특허 제7026032호에 의하면, 불소계 고분자의 미세 분말을 폴리이미드에 분산시켜 제조되는 제품의 유전율을 낮추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 특허에는 불소계 고분자 미세 분말이 절연체의 내부 코어에 비하여 외부 표면에 보다 많이 분포하는 내용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절연체의 최외각층에 불소계 고분자의 함량이 많기 때문에 외부 표면의 불소계 고분자에 의하여 수분 투과 및 흡수가 낮아져서 전체적인 수분 흡수율을 낮출 수 있으나, 기존의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연성 동박 적층판이 갖지 않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국 특허에 기재된 폴리이미드 수지는 커버레이와의 접착력이나 프리프레그와의 접착력이 약해지고 ACF와의 접착력도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미국 특허에 기재된 폴리이미드 수지의 열팽창계수(CTE)는 연성 동박 적층판에 적용되기에는 너무 클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의 표면에는 불소 수지가 외부에 과량으로 존재하게 때문에, PCB 제조 공정 중의 수납 공정에 적용되는 380 ℃ 내외의 온도에서 불소 수지가 녹을 수 있고 동박 회로가 절연체로부터 박리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저유전율 인쇄 회로 기판을 만들기 위해서는 낮은 유전율을 나타내면서도 낮은 열팽창계수의 특성을 갖고 있고 탄성 계수가 높을 뿐만 아니라 수분 흡수율이 낮은 재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문헌 001) 미국등록특허 제4816516호 (선행문헌 002) 미국등록특허 제7026032호
본 발명은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 및 경도를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평균 입경(D50)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들과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 중 적어도 2종류 간의 평균 입경(D50)간의 비율이 1.5이상인, 연성 금속 적층체를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연성 금속 적층체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평균 입경(D50)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들과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 중 적어도 2종류 간의 평균 입경(D50)간의 비율이 1.5이상인, 연성 금속 적층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이미드 수지 및 상이한 입경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수지층을 사용하면, 보다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도와 함께 연성 금속 적층체에 적용에 최적화된 열팽창계수를 확보한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이 제공된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전에는 연성 금속 적층체에 적용되는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수지의 유전율을 낮추기 위해서 불소계 고분자 수지를 첨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대표적인 불소계 수지인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및 퍼플루오로알콕시(PFA)의 열팽창계수가 각각 135ppm, 150ppm 및 230ppm에 달하여 통상적인 폴리이미드가 갖는 열팽창계수인 10 내지 30ppm에 비하여 상당히 크며, 폴리이미드의 유전율을 충분히 낮추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불소 수지를 10 내지 60wt% 정도 넣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열팽창계수가 커질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서로 상이한 평균 입경(D50)을 갖는 2종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고, 이러한 불소계 수지 입자 중 적어도 2종류 간의 평균 입경(D50)간의 비율이 1.5이상이 됨에 따라서, 상기 일 구현예의 연성 금속 적층체는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 및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는 불소계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D50)에 따라서 각각의 종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D50)이 상이한 범위에 분포하여 서로 다른 종류로 구분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D50)이 정규 분포 곡선에서 구분될 수 있는 2이상의 peak를 보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D50)은 레이저 입도분석기(Laser Particle Size Analyzer)에 의해 측정된 D50값일 수 있으며, 상기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의 입도분포가 정규분포를 이루기 때문에 입도분포 상에서 가장 큰 값을 기준으로 50% 누적 크기(정규분포 그래프의 아래 면적의 크기)의 값인 D50을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 입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평균 입경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들은 상기 평균 입경(D50)이 서로 겹쳐지지 않고 구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들 중 적어도 2종류 간의 평균 입경(D50)간의 비율이 1.5이상, 또는 1.5 내지 30, 또는 5 내지 25 일 수 있다.
상기 2종류의 불소계 수지 입자들간의 평균 입경(D50)간의 비율은 평균 입경이 작은 1종의 불소계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D50)에 대한 평균 입경이 큰 다른 1종의 불소계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D50)의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서로 상이한 평균 입경(D50)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를 포함함에 따라서, 상기 일 구현예의 연성 금속 적층체는 하나의 평균 입경 범위를 갖는 불소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비하여 보다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 및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평균 입경 범위를 갖는 불소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포함하는 연성 금속적층판의 경우 유전율 및 수분 흡수율을 어느 정도 낮출 수 있었으나, 탄성이나 경도를 향상시키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상이한 평균 입경(D50)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 중 적어도 2종류 간의 평균 입경(D50)간의 비율이 1.5이상인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포함하는 상기 일 구현예의 연성 금속 적층체는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들이 보다 높은 상용성과 최적의 충진성 및 균일한 분산 정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상이한 평균 입경(D50)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들을 각각 사용한 경우에 예상되는 효과의 합에 비하여 더 큰 복합 작용, 예를 들어 유전율 및 수분 흡수율이 크게 낮아지며 동시에 탄성 및경도는 향상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는 불소계 수지 입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어도 열팽창계수가 그리 커지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 20중량% 내지 60중량%, 25 중량% 내지 50중량%, 또는 3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함량의 불소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여도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는 100 ℃ 내지 200 ℃에서 1ppm 내지 30ppm 의 열팽창계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의 전구체와 서로 상이한 평균 입경(D50)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를 사용하여 열경화 또는 화학적 경화를 진행함에 따라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 또는 화학적 경화 과정에서 합성되는 폴리이미드 수지와 상기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들 간의 열팽창 정도의 차이 및 경화시 수축 정도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형성되는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미세한 기공이 균일하게 분포하는 다공성 수지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제조 과정에서 상이한 평균 입경(D50)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들을 사용하고,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 중 적어도 2종류 간의 평균 입경(D50)간의 비율이 1.5이상, 또는 1.5 내지 30, 또는 5 내지 25 으로 특정됨에 따라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 내부에는 보다 균일한 크기를 갖는 기공이 전체 영역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상기 서로 상이한 평균 입경(D50)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들 중 적어도 2종류 간의 평균 입경(D50)간의 비율이 1.5이상, 또는 1.5 내지 30, 또는 5 내지 25 인 범위에서는, 상기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들의 평균 입경(D50)이 크게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 중 적어도 1군이 0.1 ㎛ 내지 1.0 ㎛, 또는 0.1 ㎛ 내지 0.5 ㎛ 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1군의 불소계 수지 입자와 다른 1군의 불소계 수지 입자가 0.8 ㎛ 내지 10 ㎛, 또는 1.0 ㎛ 내지 7.0㎛ 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의 형태는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구형, 원뿔대, 다각뿔대 또는 복수의 내각을 갖는 입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폴리머 수지(E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TFE/CTFE) 및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ECT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연성 금속 적층체는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 분산되어 있는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폴리에테르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민 축합 중합체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함에 따라서 상기 일 구현예의 연성 금속 적층체가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도와 함께 연성 금속 적층체에 최적화된 열팽창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전에는 폴리아믹산 또는 폴리이미드에 불소계 수지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불소계 분산제나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제조되는 고분자 수지층의 유전율은 다소 낮출 수 있으나, 상기 불소계 분산제나 불소계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따라서 제조되는 고분자 수지층의 열팽창계수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20 ℃에서 0.92g/ml 내지 1.2g/ml, 또는 0.95g/ml 내지 1.15g/ml 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20 내지 30 mg KOH/g 의 산가(Acid value)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는 1000 내지 1700의 염기가 (Base equivalent)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 전체 중량 100중량부 대비 상기 분산제 0.1중량부 내지 25중량부, 또는 0.5 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가 서로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외관 특성이나 균일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제조를 위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용액의 균일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의 함량의 너무 크면, 상기 일 구현예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탄성도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의 구체적인 특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성 금속 적층체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이미드 수지를 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는 1,000 내지 300,000, 또는 10,000 내지 3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연성 금속 적층체 등으로 적용시 요구되는 기계적 물성 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너무 크면, 상기 일 구현예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탄성도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는 하기 화학식1의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112014093690141-pat00001
상기 화학식1에서, Y1은 4가의 방향족 유기 작용기이고, X는2가의 방향족 유기 작용기이고, 상기 n 은 1 내지 300의 정수이다.
상기 Y1은 하기 화학식 21 내지 2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4가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21]
Figure 112014093690141-pat00002
[화학식22]
Figure 112014093690141-pat00003
상기 화학식22에서, Y1 은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다.
[화학식23]
Figure 112014093690141-pat00004
상기 화학식23에서, Y2 및 Y3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다.
[화학식24]
Figure 112014093690141-pat00005

상기 화학식24에서, Y4, Y5 및 Y6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다.
[화학식25]
Figure 112014093690141-pat00006
[화학식26]
Figure 112014093690141-pat00007
[화학식27]
Figure 112014093690141-pat00008
상기 화학식 21 내지 27에서, '*'은 결합점(bonding point)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보다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도와 함께 최적화된 열팽창계수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화학식1의 Y1이 하기 화학식 28 내지 3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4가 작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Y1은 상기 화학식1의 반복 단위 각각에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28]
Figure 112014093690141-pat00009
[화학식 29]
Figure 112014093690141-pat00010
[화학식 30]
Figure 112014093690141-pat00011
상기 화학식 28 내지 30에서, '*'은 결합점(bonding point)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화학식1에서, 상기 X는 하기 화학식 31 내지 3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가 작용기일 수 있다.
[화학식31]
Figure 112014093690141-pat00012
상기 화학식31에서, R1은 수소, -CH3, -CH2CH3, -CH2CH2CH2CH3, -CF3, -CF2CF3, -CF2CF2CF3, 또는 -CF2CF2CF2CF3 일 수 있다.
[화학식32]
Figure 112014093690141-pat00013
상기 화학식32에서, L1 은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OCH2-C(CH3)2-CH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1및 R2 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수소, -CH3, -CH2CH3, -CH2CH2CH2CH3, -CF3, -CF2CF3, -CF2CF2CF3, 또는 -CF2CF2CF2CF3 일 수 있다.
[화학식33]
Figure 112014093690141-pat00014
상기 화학식33에서, L2 및 L3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OCH2-C(CH3)2-CH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1 , R2 및 R3 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수소, -CH3, -CH2CH3, -CH2CH2CH2CH3, -CF3, -CF2CF3, -CF2CF2CF3, 또는 -CF2CF2CF2CF3 일 수 있다.
[화학식34]
Figure 112014093690141-pat00015
상기 화학식34에서, L4, L5 및 L6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단일결합, -O-, -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OCH2-C(CH3)2-CH2O- 또는 -OCO(CH2)n3OCO-이고,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1 , R2, R3 및 R4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수소, -CH3, -CH2CH3, -CH2CH2CH2CH3, -CF3, -CF2CF3, -CF2CF2CF3, 또는 -CF2CF2CF2CF3 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1의 X이 하기 화학식 35의 2가 작용기인 경우,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보다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높은 탄성도와 함께 최적화된 열팽창계수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X는 상기 화학식1의 반복 단위 각각에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35]
Figure 112014093690141-pat00016
상기 화학식35에서, R1 R2 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CH3, -CH2CH3, -CH2CH2CH2CH3, -CF3, -CF2CF3, -CF2CF2CF3, 또는 -CF2CF2CF2CF3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0.1㎛ 내지 200㎛, 또는 1㎛ 내지 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5 GHz에서 2.9이하의 유전율, 또는 2.2 내지 2.8의 유전율(Dk), 또는 2.3 내지 2.7 의 유전율(Dk)을 나타낼 수 있다. 통상의 폴리이미드 수지는 5 GHz에서의 건조 상태에서 3.0 이상의 유전율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였는데 반하여,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상대적으로 낮은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100 ℃ 내지 200 ℃에서 1ppm 내지 30ppm의 열팽창계수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연성 금속 적층체에 사용되는 금속박인 동박의 열팽창 계수가 약 18 ppm 내외이기 때문에,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상술한 범위의 열팽창계수를 가짐에 따라서 금속박과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부터 나타나는 휨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을 이루는 기타 자재와의 신축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연성 금속 적층체는 상술한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1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연성 금속 적층체는 상술한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과 금속 박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박막은 구리, 철, 니켈, 티타늄, 알루미늄, 은, 금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 박막은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적어도 일면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는 상기 금속 박막을 1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금속 박막 2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상기 서로 대향하는 금속 박막 2개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 표면의 십점 평균조도(Rz)가 0.5㎛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 표면의 십점 평균조도가 너무 작으면 상기 고분자 수지층과의 접착력이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 박막 표면의 십점 평균조도가 너무 크면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여 고주파 영역에서 전송손실이 커질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은 0.1㎛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는 0.1㎛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1이상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적어도 1면에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양 면에 결합된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폴리이미드 수지의 합성 방법과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유전율 및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가지면서도 높은 탄성 및 경도를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금속 적층체는 전기/전자 소자 또는 인쇄 회로 기판에서 요구되는 고내열성, 우수한 내화학성 및 치수 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전기/전자 소자 또는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하면서도 보다 넓은 선폭을 구현할 수 있고, 전기/전자 소자 또는 인쇄 회로 기판 제조시의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1은 제조예2의 폴리아믹산 용액에 분산된 불소계 수지 입자의 입경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폴리아믹산 용액의 제조]
제조예1 : 불소계 수지를 포함한 폴리아믹산 용액의 제조( P1 )
1L의 폴리에틸렌 용기(PE bottle)에 질소를 충진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DMAc) 765g,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마이크로 분말(PTFE micro powder, 입자 크기: 약 1.0 내지 2.0 ㎛) 219g 및 지름 2mm의 비드(bead) 765g을 넣고, 고속 볼 밀링(ball milling) 기기에서 교반하였다.
500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상기 PTFE 마이크로 분말이 분산된 용액 16g,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7g,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리드(Pyromellitic Dianhydride)13g,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20g을 넣고, 50 ℃에서 10시간 동안 질소를 흘려주면서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점도 25,000cps정도의 폴리아믹산 용액(P1)을 얻었다.
제조예2 : 불소계 수지를 포함한 폴리아믹산 용액의 제조( P2 )
1L의 폴리에틸렌 용기(PE bottle)에 질소를 충진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DMAc) 765g,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마이크로 분말(PTFE micro powder, 입자 크기: 약 0.1 내지 1.0 ㎛, 평균 입경(D50): 0.2㎛) 100g 및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마이크로 분말(PTFE micro powder, 입자 크기: 약 1.0 내지 15 ㎛, 평균 입경(D50): 4.0 ㎛) 119g 및 지름 2mm의 비드(bead) 765g을 넣고, 고속 볼 밀링(ball milling) 기기에서 교반하였다.
500mL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상기 PTFE 마이크로 분말이 분산된 용액 16g,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7g, 피로멜리틱 디언하이드리드(Pyromellitic Dianhydride)13g,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20g을 넣고, 50 ℃에서 10시간 동안 질소를 흘려주면서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점도 25,000cps정도의 폴리아믹산 용액(P2)을 얻었다.
[ 실시예 1 및 비교예 : 연성 금속 적층체용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및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실시예
(1)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2에서 제조한 폴리아믹산 용액을 최종 두께가 25um가 되도록 동박(두께: 12㎛)의 Matte면에 코팅한 후 80 ℃에서 10분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 제품을 질소 오븐에서 상온에서부터 승온을 시작하여 300℃이하에서의 온도 범위에서 5 ℃/분의 속도로 승온하고 300℃초과 내지 350 ℃ 온도 범위에서는 1 ℃/분의 속도로 경화를 진행하였다. 상기 경화가 완료된 후, 상기 동박을 에칭하여 25um의 두께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2)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380℃의 온도에서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 각각 얻어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과 12㎛ 두께의 동박에 1700 Kgf의 압력을 가해 라미네이션함으로서 금속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1
(1)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예2에서 제조된 폴리아믹산 용액 대신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폴리아믹산 용액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5um의 두께의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2)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380℃의 온도에서 상기 얻어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과 12㎛ 두께의 동박에 1700 Kgf의 압력을 가해 라미네이션함으로서 금속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1. 실험예1 : 폴리아믹산 용액에 분산된 불소계 수지 입자의 입도 분석
상기 제조예2에서 제조된 폴리아믹산 용액에 분산된 불소계 수지 입자의 입도 분포를 Mater Size 2000 분석 기기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측정된 입도 분포는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상기 제조예2에서 제조된 폴리아믹산 용액에 구분되는 입도 분포를 갖는 2종의 불소계 수지 입자가 존재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2. 실험예2 : 연성 금속 적층체의 물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얻어진 연성 동박 적층판에서 동박을 에칭하여 제거한 폴리이미드 필름 적층체를 150 ℃에서 30분간 건조한 후에, Zwick사의 UTM 장치를 이용하여 모듈러스(Modulus), 인장 강도(tensile) 및 연신율(elongation)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실험예2의 측정 결과
구 분 실험예2의 측정 결과
모듈러스(Modulus)
[Mpa]
인장 강도(tensile)
[Mpa]
연신율(elongation)
[%]
실시예 4630 120 6.4
비교예 4000 94 3.7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1에서 제조된 연성 동박 적층체에 포함된 폴리이미드 필름이 보다 높은 높은 탄성 및 경도를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연성 동박 적층체는 기계적 물성의 향상으로 인하여 롤-투-롤(roll-to-roll) 가공 과정 중 공정성이 개선 및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고분자 필름의 내굴곡성과 내절성도 향상되어 인쇄 회로 기판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되어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서로 상이한 평균 입경(D50)을 갖는 2종류 이상의 불소계 수지 입자들과 폴리이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과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의 적어도 1면 상에 적층되는 금속 박막을 포함하고,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 중 적어도 2종류 간의 평균 입경(D50)간의 비율이 1.5 내지 30 이고,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 중 적어도 1군이 0.1 ㎛ 내지 1.0 ㎛의 평균 입경을 가지며,
    상기 1군의 불소계 수지 입자와 다른 1군의 불소계 수지 입자가 0.8 ㎛ 내지 10 ㎛의 평균 입경을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 20중량%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에 분산되어 있는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수지는 1,000 내지 5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은 0.1㎛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수지 입자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폴리머 수지(E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TFE/CTFE) 및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ECT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이 5 GHz에서 2.9이하의 유전율을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1이상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12. 제1항에 있어서,
    0.1㎛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층을 1이상 더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구리, 철, 니켈, 티타늄, 알루미늄, 은, 금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연성 금속 적층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0.1㎛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연성 금속 적층체.
  15. 삭제
KR1020140131861A 2014-09-30 2014-09-30 연성 금속 적층체 KR101797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861A KR101797724B1 (ko) 2014-09-30 2014-09-30 연성 금속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861A KR101797724B1 (ko) 2014-09-30 2014-09-30 연성 금속 적층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588A KR20160038588A (ko) 2016-04-07
KR101797724B1 true KR101797724B1 (ko) 2017-11-15

Family

ID=5578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861A KR101797724B1 (ko) 2014-09-30 2014-09-30 연성 금속 적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124B1 (ko) * 2019-11-22 2021-12-03 피아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저유전 폴리이미드 복합 분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006B1 (ko) * 2012-07-11 2013-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성 금속 적층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006B1 (ko) * 2012-07-11 2013-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성 금속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588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722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44006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JP5989778B2 (ja) フッ素樹脂含有軟性金属積層板
KR101769101B1 (ko) 저유전율 및 열가소성을 갖는 폴리이미드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연성 금속 적층판
KR20150037657A (ko)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62986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101614847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101797724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102080374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101598610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101641211B1 (ko)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1763873B1 (ko) 연성 금속 적층체
KR101797721B1 (ko) 연성 금속 적층체용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 연성 금속 적층체, 및 연성 금속 적층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