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3873A -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3873A
KR20150013873A KR1020147035898A KR20147035898A KR20150013873A KR 20150013873 A KR20150013873 A KR 20150013873A KR 1020147035898 A KR1020147035898 A KR 1020147035898A KR 20147035898 A KR20147035898 A KR 20147035898A KR 20150013873 A KR20150013873 A KR 20150013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elevator car
main rope
suspending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194B1 (ko
Inventor
시게노부 가와카미
다카오 니시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18Repairing

Abstract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구동 쉬브(14),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에 감아 걸린 메인 로프(15)에 의해 매달려 있다. 구동 쉬브(1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를 향하는 메인 로프(15)는, 수평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8) 보다도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에 감아 걸려 있다. 구동 쉬브(14) 및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 사이의 제1 메인 로프부(15a)와,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9) 및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사이의 제2 메인 로프부(15)는,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에 통과되고, 또한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서로 교차하고 있다. 또, 균형추(7)측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ELEVATOR AND METHOD FOR MODIFYING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와, 균형추에 마련된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걸린 메인 로프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改修)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권상기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메인 로프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이 1:1로 된 엘리베이터를,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메인 로프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이 4:1로 된 엘리베이터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개수 후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가 마련되고, 균형추에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가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승강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계실 내에 권상기 및 2개의 방향 전환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개수 후의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는, 권상기의 구동 쉬브, 2개의 방향 전환 풀리,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걸린 메인 로프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있다. 개수 후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 쉬브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로의 메인 로프와,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로부터 일방의 방향 전환 풀리로의 메인 로프가, 기계실의 바닥에 마련된 공통의 관통공에 통과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표 2007-51462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표 2007-514623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개수 후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 쉬브로부터의 메인 로프가, 수평 방향에 대해서 구동 쉬브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걸려 있으므로, 구동 쉬브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로의 메인 로프와,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로부터 일방의 방향 전환 풀리로의 메인 로프를 공통의 관통공에 통과시키려고 하면, 기계실에서 방향 전환 풀리의 위치가 권상기의 위치에 가까워지게 되어 버려, 방향 전환 풀리가 권상기에 간섭해 버린다. 반대로, 권상기와 방향 전환 풀리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방향 전환 풀리의 위치를 권상기의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멀어지게 하면, 공통의 관통공에 통과된 메인 로프 사이의 거리가 확대해 버려, 기계실에 마련된 관통공을 확대하는 공사를 할 필요가 생겨 버린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개수 공사에 시간이 들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균형추, 균형추의 상부에 마련된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구동 쉬브를 가지며, 승강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계실 내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 및 기계실 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의 각각에 접속되며, 구동 쉬브,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걸리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를 구비하며, 구동 쉬브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를 향하는 메인 로프는, 수평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보다도 구동 쉬브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걸리고, 구동 쉬브로부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를 향하는 메인 로프는, 수평 방향에 대해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보다도 구동 쉬브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걸려 있고, 메인 로프는, 구동 쉬브와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메인 로프부와,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와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메인 로프부와, 구동 쉬브와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메인 로프부와,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와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4 메인 로프부를 가지며, 제1 메인 로프부와 제2 메인 로프부는, 승강로와 기계실을 구획하는 기계실 바닥에 마련된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에 통과되고, 또한 구동 쉬브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서로 교차하고, 제3 메인 로프부와 제4 메인 로프부는, 기계실 바닥에 마련된 공통의 균형추측 관통공에 통과되고, 또한 구동 쉬브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서로 교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개수(改修) 방법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메인 로프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을 1:1에서 2:1로 변경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으로서,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를 장착하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착 공정, 균형추의 상부에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를 장착하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장착 공정, 및 승강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계실 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에 메인 로프를 접속하고, 기계실 내에 설치된 구동 장치의 구동 쉬브,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메인 로프를 감아 거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다는 서스펜딩 공정을 구비하며, 서스펜딩 공정에서는, 구동 쉬브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를 향하는 메인 로프를, 수평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보다도 구동 쉬브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거는 것과 아울러, 구동 쉬브로부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를 향하는 메인 로프를, 수평 방향에 대해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보다도 구동 쉬브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걸고, 서스펜딩 공정에서 마련된 메인 로프는, 구동 쉬브와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메인 로프부와,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와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메인 로프부와, 구동 쉬브와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메인 로프부와,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와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4 메인 로프부를 가지며, 제1 메인 로프부와 제2 메인 로프부는, 승강로와 기계실을 구획하는 기계실 바닥에 마련된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에 통과되고, 또한 구동 쉬브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서로 교차하고, 제3 메인 로프부와 제4 메인 로프부는, 기계실 바닥에 마련된 공통의 균형추측 관통공에 통과되고, 또한 구동 쉬브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서로 교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의 각각의 구동 장치에 대한 간섭을 피하면서, 제1 메인 로프부와 제2 메인 로프부와의 사이의 거리를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의 위치에서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3 메인 로프부와 제4 메인 로프부와의 사이의 거리를 균형추측 관통공의 위치에서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메인 로프부와 제2 메인 로프부가 교차하고 있는 부분에서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비교예 2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와 기계실(2)은, 수평하게 배치된 기계실 바닥(칸막이벽)(3)에 의해서 나누어져 있다. 기계실 바닥(3)에는, 기계실 바닥(3)을 각각 관통하는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 및 균형추측 관통공(5)이 서로 떨어져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 및 균형추측 관통공(5)이 승강로(1)의 안쪽 방향에 대해 서로 떨어져서 마련되며,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 및 균형추측 관통공(5)의 각각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6)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균형추(7)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되고, 균형추(7)는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승강로(1)를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1)의 안쪽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상태로 승강로(1) 내에 늘어서 있다.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는, 수평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7)의 상부에는, 수평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의 각각의 축선이 승강로(1)의 폭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의 외경이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의 폭 치수 보다도 크게 되고,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의 외경이 균형추측 관통공(5)의 폭 치수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기계실(2) 내에는, 권상기(10) 및 디플렉팅 쉬브(deflecting sheave, 11)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10) 및 디플렉팅 쉬브(11)는, 기계실 바닥(3) 상에 고정된 기계대(12)에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10)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이다. 또, 권상기(10)는, 모터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구동 장치 본체)(13)와, 권상기 본체(13)에 마련되며, 권상기 본체(1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4)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14)는, 권상기 본체(13)에 수평하게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 예에서는, 구동 쉬브(14)의 축선이 승강로(1)의 폭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의 각각의 축선이 구동 쉬브(14)의 축선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디플렉팅 쉬브(11)는, 구동 쉬브(14)보다도 낮은 위치이고 또한 구동 쉬브(14)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디플렉팅 쉬브(11)의 축선은, 구동 쉬브(14)의 축선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15)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메인 로프(15)로서는, 예를 들면 로프나 벨트 등이 이용되어 있다. 기계실(2) 내에는, 메인 로프(15)의 일단부가 접속된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히치(hitch))(16)와, 메인 로프(15)의 타단부가 접속된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균형추측 로프 히치)(17)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는, 기계대(12)에 지지되어 있다.
메인 로프(15)는,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에 접속된 일단부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 구동 쉬브(14), 디플렉팅 쉬브(11)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의 순서로 감아 걸리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에 접속된 타단부에 이르고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메인 로프(15)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이 2:1 로핑 방식으로 되어 있다. 구동 쉬브(14), 디플렉팅 쉬브(1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의 각각의 외주부에는, 각 메인 로프(15)가 개별로 끼워지는 복수의 홈이 마련되어 있다.
구동 쉬브(14) 및 디플렉팅 쉬브(11)는,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의 축선을 통과하는 연직선(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A)과,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의 축선을 통과하는 연직선(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B)과의 사이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구동 쉬브(14)의 수평 방향 일단부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의 구동 쉬브(14)측의 가장자리부를 통과하는 연직선(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 연직선)(P)과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A)과의 사이의 범위(R)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디플렉팅 쉬브(11)의 수평 방향 일단부가, 균형추측 관통공(5)의 구동 쉬브(14)측의 가장자리부를 통과하는 연직선(균형추측 관통공 연직선)(Q)과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B)과의 사이의 범위(S)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각각의 중심선이,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A)과 일치하고, 균형추측 관통공(5)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의 각각의 중심선이,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B)과 일치하고 있다.
구동 쉬브(1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를 향하는 메인 로프(15)는,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14)의 축선을 통과하는 연직선(구동 쉬브 연직선)(C)을 기준으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보다도 떨어진 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보다도 가까운 측을 향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에 감아 걸려 있다. 즉, 구동 쉬브(1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를 향하는 메인 로프(15)는, 수평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보다도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보다도 구동 쉬브(14)에 가까운 측을 향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에 감아 걸려 있다.
구동 쉬브(14)로부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를 향하는 메인 로프(15)는,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구동 쉬브 연직선(C)을 기준으로 하여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보다도 떨어진 측으로부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보다도 가까운 측을 향해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에 감아 걸려 있다. 즉, 구동 쉬브(14)로부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를 향하는 메인 로프(15)는, 수평 방향에 대해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보다도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보다도 구동 쉬브(14)에 가까운 측을 향해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에 감아 걸려 있다.
메인 로프(1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14)와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메인 로프부(15a)와,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와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메인 로프부(15b)와, 구동 쉬브(14)와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메인 로프부(15c)와,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와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4 메인 로프부(15d)를 가지고 있다. 디플렉팅 쉬브(11)에는, 제3 메인 로프부(15c)를 감아 걸려 있다.
제1 메인 로프부(15a)와 제2 메인 로프부(15b)는,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에 통과되어 있다. 또, 제1 메인 로프부(15a)와 제2 메인 로프부(15b)는,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고 있다.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는, 수평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A) 보다도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메인 로프부(15c)와 제4 메인 로프부(15d)는, 공통의 균형추측 관통공(5)에 통과되어 있다. 또, 제3 메인 로프부(15c)와 제4 메인 로프부(15d)는,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고 있다.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는, 수평 방향에 대해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B) 보다도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는,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A)과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B)과의 사이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제1 메인 로프부(15a)와 제2 메인 로프부(15b)가 서로 교차하고 있는 부분에서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4개의 제1 메인 로프부(15a)와 4개의 제2 메인 로프부(15b)가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에 통과되어 있다. 각 제1 메인 로프부(15a)는, 구동 쉬브(14)의 두께 방향(즉,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으로 구동 쉬브(14)의 홈의 피치에 맞추어 늘어서 있다. 또, 각 제1 메인 로프부(15a)는, 구동 쉬브(14)의 두께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각 제2 메인 로프부(15b)는, 제1 메인 로프부(15b)와의 접촉을 피하여, 구동 쉬브(14)의 두께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제1 메인 로프부(15a)가 늘어서는 방향(구동 쉬브(14)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각 제1 메인 로프부(15a)가 배치된 범위의 양측에 제2 메인 로프부(15b)가 2개씩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각 제2 메인 로프부(15b)는, 구동 쉬브(14)의 두께 방향으로 제1 메인 로프부(15a) 보다도 크게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메인 로프부(15a)와의 접촉을 피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4개의 제3 메인 로프부(15c)와 4개의 제4 메인 로프부(15d)가 공통의 균형추측 관통공(5)에 통과되어 있다. 제3 메인 로프부(15c)와 제4 메인 로프부(15d)와의 위치 관계는,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제1 메인 로프부(15a)와 제2 메인 로프부(15b)와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각 제3 메인 로프부(15c)는, 구동 쉬브(14)의 두께 방향으로 구동 쉬브(14)의 홈의 피치에 맞추어 늘어서 있다. 또, 각 제3 메인 로프부(15c)는, 구동 쉬브(14)의 두께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각 제4 메인 로프부(15d)는, 구동 쉬브(14)의 두께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제3 메인 로프부(15c)가 늘어서는 방향(구동 쉬브(14)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각 제3 메인 로프부(15c)가 배치된 범위의 양측에 제4 메인 로프부(15d)가 2개씩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각 제4 메인 로프부(15d)는, 구동 쉬브(14)의 두께 방향으로 제3 메인 로프부(15c) 보다도 크게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제3 메인 로프부(15c)와의 접촉을 피하고 있다.
즉, 구동 쉬브(14)로부터 연장하는 제1 메인 로프부(15a) 및 제3 메인 로프부(15c)가 구동 쉬브(14)의 두께의 범위 내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에 개별로 접속된 제2 메인 로프부(15b) 및 제4 메인 로프부(15d)가 구동 쉬브(14)의 두께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10)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 쉬브(14)가 회전될 때에는, 제1 메인 로프부(15a) 및 제3 메인 로프부(15c)가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가 승강된다. 이 때, 제2 메인 로프부(15b) 및 제4 메인 로프부(15d)는,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에 개별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메인 로프(15)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칸(6)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균형추(7)에 접속된 메인 로프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가 매달린 개수 전의 엘리베이터(즉,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메인 로프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이 1:1 로핑 방식으로 된 엘리베이터)로부터, 엘리베이터 칸(6)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와, 균형추(7)에 마련된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에 감아 걸린 메인 로프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가 매달린 개수 후의 엘리베이터(즉,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메인 로프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이 2:1 로핑 방식으로 된 엘리베이터)로 변경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메인 로프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을 1:1에서 2:1로 변경하는 개수 공사를 행할 때에는, 먼저,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가 낙하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지지구(支持具)에 의해서 지지한다. 이 후, 개수 전의 기설(旣設)의 권상기나 디플렉팅 쉬브, 메인 로프 등을 떼낸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6)의 상부에 신규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를 장착함과 아울러(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착 공정), 균형추(7)의 상부에 신규의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를 장착한다(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장착 공정). 또, 기계실(2) 내의 기계대(12)에는, 각각 신규의 권상기(10) 및 디플렉팅 쉬브(11)를 설치한다(기기 설치 공정).
이 후, 기계실 바닥(3)에 마련된 기설의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 및 기설의 균형추측 관통공(5)에 메인 로프(15)를 통과시키면서, 권상기(10)의 구동 쉬브(14), 디플렉팅 쉬브(1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에 메인 로프(15)를 감는 것과 아울러, 기계실(2) 내의 기계대(12)에 설치한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에 메인 로프(15)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개별로 접속한다.
이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1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를 향하는 메인 로프(15)를, 수평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보다도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에 감아 걸고, 구동 쉬브(14)로부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를 향하는 메인 로프(15)를, 수평 방향에 대해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보다도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에 감아 건다. 또, 메인 로프(15)의 제1 메인 로프부(15a)와 제2 메인 로프부(15b)를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에 통과시킴과 아울러, 메인 로프(15)의 제3 메인 로프부(15c)와 제4 메인 로프부(15d)를 공통의 균형추측 관통공(5)에 통과시킨다. 게다가,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메인 로프(15)를 보았을 때에, 메인 로프(15)의 제1 메인 로프부(15a)와 제2 메인 로프부(15b)를 교차시킴과 아울러, 메인 로프(15)의 제3 메인 로프부(15c)와 제4 메인 로프부(15d)를 교차시킨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지지하는 지지구를 떼내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를 메인 로프(15)에 의해 매단다(서스펜딩 공정). 이와 같이 하여,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메인 로프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을 1:1에서 2:1로 변경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 쉬브(1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를 향하는 메인 로프(15)가, 수평 방향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보다도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에 감아 걸리는 것과 아울러, 구동 쉬브(14)로부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를 향하는 메인 로프(15)가, 수평 방향에 대해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보다도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에 감아 걸리고,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메인 로프(15)의 제1 메인 로프부(15a)와 제2 메인 로프부(15b)가 서로 교차함과 아울러, 제3 메인 로프부(15c)와 제4 메인 로프부(15d)가 서로 교차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의 각각의 권상기(10)에 대한 간섭을 피하면서, 제1 메인 로프부(15a)와 제2 메인 로프부(15b)와의 사이의 거리를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의 위치에서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3 메인 로프부(15c)와 제4 메인 로프부(15d)와의 사이의 거리를 균형추측 관통공(5)의 위치에서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에 제1 및 제2 메인 로프부(15a, 15b)를 통과시키는 작업과, 공통의 균형추측 관통공(5)에 제3 및 제4 메인 로프부(15c, 15d)를 통과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메인 로프(15)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을 1:1에서 2:1로 변경하는 개수 공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 및 균형추측 관통공(5)을 확대하는 공사나, 기계실 바닥(3)에 다른 관통공을 추가하는 공사를 행할 필요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메인 로프(15)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이 2:1 로핑 방식이 되므로, 권상기(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권상기(10) 등의 양중(揚重)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기계실(2) 내에서의 작업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기계실(2) 내에서의 작업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을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제1 메인 로프부(15a)가 구동 쉬브(14)의 두께의 범위 내에 배치되고, 제2 메인 로프부(15b)가 구동 쉬브(14)의 두께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으며, 균형추측 관통공(5)을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제3 메인 로프부(15c)가 구동 쉬브(14)의 두께의 범위 내에 배치되고, 제4 메인 로프부(15d)가 구동 쉬브(14)의 두께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승강시에 이동하는 제1 및 제3 메인 로프부(15a, 15c)가 구동 쉬브(14)의 두께 방향으로 크게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 및 제2 메인 로프부(15a, 15b)를 서로 교차시키고, 제3 및 제4 메인 로프부(15c, 15d)를 서로 교차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14),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에 대해서 메인 로프(15)를 보다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이동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14)는,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A)과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B)과의 사이의 범위 내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는,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A)과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B)과의 사이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 로프 고정부(17)의 각각과 권상기(10)와의 간섭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구동 쉬브(14)의 수평 방향 일단부가,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 연직선(P)과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A)과의 사이의 범위(R) 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6)의 하강에 의해서 제1 메인 로프부(15a)의 방향이 연직 방향에 가깝게 되거나, 엘리베이터 칸(6)의 상승에 의해서 제1 메인 로프부(15a)의 경사 각도가 크게 되거나 해도, 메인 로프(15)가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디플렉팅 쉬브(11)의 수평 방향 일단부가, 균형추측 관통공 연직선(Q)과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B)과의 사이의 범위(S) 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균형추(7)의 하강에 의해서 제3 메인 로프부(15c)의 방향이 연직 방향에 가깝게 되거나, 균형추(7)의 상승에 의해서 제3 메인 로프부(15c)의 경사 각도가 크게 되거나 해도, 메인 로프(15)가 균형추측 관통공(5)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메인 로프(15)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을 1:1에서 2:1로 변경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공사에서, 구동 쉬브(1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를 향하는 메인 로프(15)를,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보다도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에 감아 거는 것과 아울러, 구동 쉬브(14)로부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를 향하는 메인 로프(15)를,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보다도 구동 쉬브(14)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에 감아 걸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의 각각의 권상기(10)에 대한 간섭을 피하면서, 제1 메인 로프부(15a)와 제2 메인 로프부(15b)와의 사이의 거리를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의 위치에서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3 메인 로프부(15c)와 제4 메인 로프부(15d)와의 사이의 거리를 균형추측 관통공(5)의 위치에서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 및 균형추측 관통공(5)을 확대하는 공사나, 기계실 바닥(3)에 다른 관통공을 추가하는 공사를 행할 필요성을 낮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개수 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비교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5는, 비교예 2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는, 구동 쉬브(1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를 향하는 메인 로프(15)가,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구동 쉬브 연직선(C)을 기준으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보다도 가까운 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에 감아 걸려 있다. 또,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는, 구동 쉬브(14)로부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를 향하는 메인 로프(15)가,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구동 쉬브 연직선(C)을 기준으로 하여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보다도 가까운 측으로부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에 감아 걸려 있다. 게다가, 비교예 1및 비교예 2에서는, 구동 쉬브(14)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메인 로프(15)를 보았을 때에, 메인 로프(15)가 서로 교차하고 있는 개소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비교예 1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의 각각이 권상기(10)에 대한 간섭을 피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비교예 2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로프(15)가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 및 균형추측 관통공(5)의 각각에 대한 간섭을 피해서 마련되어 있다.
비교예 1에서는, 권상기(10)과의 간섭을 피해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의 각각을 설치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로프(15)가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 및 균형추측 관통공(5)에 간섭해 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2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 및 균형추측 관통공(5)의 각각과의 간섭을 피해 메인 로프(15)를 마련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6)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7)의 각각이 권상기(10)에 간섭해 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의 각각의 축선이 구동 쉬브(14)의 축선과 평행하게 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를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의 각각의 축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 쉬브(14)에 축선에 대해서 경사시켜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계실(2) 내에 디플렉팅 쉬브(11)가 마련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 및 균형추측 관통공(5)의 각각에 메인 로프(15)가 간섭하지 않는 것이면, 디플렉팅 쉬브(11)는 없어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의 외경이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의 폭 치수 보다도 크게 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8)의 외경을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4)의 폭 치수 이하의 치수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의 외경이 균형추측 관통공(5)의 폭 치수 보다도 크게 되어 있지만,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의 외경을 균형추측 관통공(5)의 폭 치수 이하의 치수로 해도 괜찮다.

Claims (4)

  1.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균형추,
    상기 균형추의 상부에 마련된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구동 쉬브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계실 내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 및
    상기 기계실 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의 각각에 접속되며, 상기 구동 쉬브,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및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를 향하는 상기 메인 로프는,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보다도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걸리고,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를 향하는 상기 메인 로프는,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보다도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걸려 있고,
    상기 메인 로프는, 상기 구동 쉬브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메인 로프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메인 로프부와, 상기 구동 쉬브와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메인 로프부와,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와 상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4 메인 로프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메인 로프부와 상기 제2 메인 로프부는, 상기 승강로와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는 기계실 바닥에 마련된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에 통과되고, 또한 상기 구동 쉬브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서로 교차하고,
    상기 제3 메인 로프부와 상기 제4 메인 로프부는, 상기 기계실 바닥에 마련된 공통의 균형추측 관통공에 통과되고, 또한 상기 구동 쉬브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서로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을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는, 상기 제1 메인 로프부가 상기 구동 쉬브의 두께의 범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메인 로프부가 상기 구동 쉬브의 두께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균형추측 관통공을 상하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는, 상기 제3 메인 로프부가 상기 구동 쉬브의 두께의 범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4 메인 로프부가 상기 구동 쉬브의 두께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 쉬브는, 상기 구동 쉬브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의 축선을 통과하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과,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의 축선을 통과하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과의 사이의 범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 및 상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는, 상기 구동 쉬브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과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연직선과의 사이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의 메인 로프에 의한 서스펜딩 방식을 1:1에서 2:1로 변경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改修) 방법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를 장착하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장착 공정,
    상기 균형추의 상부에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를 장착하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장착 공정, 및
    승강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계실 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에 상기 메인 로프를 접속하고,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된 구동 장치의 구동 쉬브,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및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상기 메인 로프를 감아 거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메인 로프에 의해 매다는 서스펜딩 공정을 구비하며,
    상기 서스펜딩 공정에서는,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를 향하는 메인 로프를,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보다도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거는 것과 아울러,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상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를 향하는 상기 메인 로프를,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보다도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 떨어진 측으로부터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감아 걸고,
    상기 서스펜딩 공정에서 마련된 상기 메인 로프는, 상기 구동 쉬브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메인 로프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메인 로프부와, 상기 구동 쉬브와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메인 로프부와, 상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와 상기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4 메인 로프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메인 로프부와 상기 제2 메인 로프부는, 상기 승강로와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는 기계실 바닥에 마련된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측 관통공에 통과되고, 또한 상기 구동 쉬브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서로 교차하고,
    상기 제3 메인 로프부와 상기 제4 메인 로프부는, 상기 기계실 바닥에 마련된 공통의 균형추측 관통공에 통과되고, 또한 상기 구동 쉬브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서로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KR1020147035898A 2012-06-18 2012-06-18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KR101636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5495 WO2013190615A1 (ja) 2012-06-18 2012-06-18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873A true KR20150013873A (ko) 2015-02-05
KR101636194B1 KR101636194B1 (ko) 2016-07-04

Family

ID=4976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898A KR101636194B1 (ko) 2012-06-18 2012-06-18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75675B2 (ko)
JP (1) JP5746435B2 (ko)
KR (1) KR101636194B1 (ko)
CN (1) CN104364180B (ko)
DE (1) DE112012006547B4 (ko)
HK (1) HK1204469A1 (ko)
WO (1) WO2013190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5336B (fi) * 2012-10-31 2015-08-31 Kone Corp Hissijärjestely
EP3313765A1 (en) * 2015-06-23 2018-05-02 Otis Elevator Company Increased traction of elevator system belt
DE102016123376A1 (de) * 2016-12-02 2018-06-07 Siemag Tecberg Gmbh Förderanlage für Endlager
WO2018198240A1 (ja) 2017-04-26 2018-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その懸架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7161819B2 (ja) * 2019-12-18 2022-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13581972A (zh) * 2021-07-30 2021-11-02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1∶1电梯改造为2∶1电梯用的反绳轮安装结构及改造方法
JP7448066B1 (ja) 2023-04-11 2024-03-12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巻上装置のロープ溝加工方法、エレベータ用巻上装置の製造方法、エレベータ用巻上装置、ロープ溝加工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主ロープ取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6212A1 (ja) * 2003-05-30 2004-12-0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7514622A (ja) 2003-06-30 2007-06-07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レベータの巻上機能の最新化方法よび最新化装置
JP2007514623A (ja) 2003-06-30 2007-06-07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レベータの巻上機能の最新化方法および最新化装置
EP2082983A1 (de) * 2008-01-28 2009-07-29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ufzugsanlag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751562A (ko) * 1975-05-28 1976-11-29 Kone Oy
KR890002051B1 (ko) * 1984-03-16 1989-06-15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권상장치
FI77207C (fi) * 1986-05-29 1989-02-10 Kone Oy Drivskivehiss.
FI84051C (fi) * 1988-03-09 1991-10-10 Kone Oy Linupphaengning foer en hiss.
FI96302C (fi) * 1992-04-14 1996-06-10 Kone Oy Vetopyörähissi
FI92182C (fi) * 1992-07-07 1994-10-10 Kone Oy Vetopyörähissi
FI100793B (fi) * 1995-06-22 1998-02-27 Kone Oy Vetopyörähissi
FI100791B (fi) * 1995-06-22 1998-02-27 Kone Oy Vetopyörähissi
US5931265A (en) * 1997-03-27 1999-08-03 Otis Elevator Company Rope climbing elevator
JP2002080178A (ja) * 2000-09-04 2002-03-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ES2220798T5 (es) * 2000-09-27 2010-05-12 Inventio Ag Ascensor con unidad motriz dispuesta lateralmente en la parte superior de la caja de ascensor.
US20030188930A1 (en) * 2002-04-04 2003-10-09 Richard Lauch Roping configuration for traction machineroomless elevator
CN1298605C (zh) * 2002-07-11 2007-02-0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MY137170A (en) * 2003-02-04 2009-01-30 Toshiba Elevator Kk Elevator
JP4895500B2 (ja) * 2004-01-07 2012-03-14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設備用駆動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用駆動装置の交換方法
TW200829502A (en) * 2006-08-11 2008-07-16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with a belt, belt for such a lift installation, method of producing such a belt, composite of such belts and method for assembly of such a composite in a lift installation
US8205720B2 (en) * 2008-12-30 2012-06-26 Kone Corporation Method for installing the hoisting roping of an elevator
JP5468679B2 (ja) 2009-03-16 2014-04-09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の巻上装置
FI20090389A (fi) * 2009-10-23 2011-04-24 Kone Corp Menetelmä hissin valmistamisessa
CN201817175U (zh) * 2010-09-29 2011-05-04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钢丝绳曳引系统
WO2014068186A1 (en) * 2012-10-31 2014-05-08 Kone Corporation Elevator and method for modernizing an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6212A1 (ja) * 2003-05-30 2004-12-0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7514622A (ja) 2003-06-30 2007-06-07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レベータの巻上機能の最新化方法よび最新化装置
JP2007514623A (ja) 2003-06-30 2007-06-07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レベータの巻上機能の最新化方法および最新化装置
EP2082983A1 (de) * 2008-01-28 2009-07-29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ufzugs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7940A1 (en) 2015-04-23
KR101636194B1 (ko) 2016-07-04
DE112012006547B4 (de) 2019-08-14
US9475675B2 (en) 2016-10-25
CN104364180A (zh) 2015-02-18
HK1204469A1 (zh) 2015-11-20
JP5746435B2 (ja) 2015-07-08
JPWO2013190615A1 (ja) 2016-02-08
WO2013190615A1 (ja) 2013-12-27
DE112012006547T5 (de) 2015-03-05
CN104364180B (zh)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194B1 (ko)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US11591188B2 (en) Elevator system roping arrangement
TW201305039A (zh) 電梯設備
JP2002080178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106837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 방법
JP7268243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523557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738964B2 (ja) エレベーター
KR20080097389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4329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3056432B (zh) 施工用电梯装置
JP47501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7210708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揚重装置及び揚重方法。
KR10072841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437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5013713A (ja) コンペンチェー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1012315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816898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8043819A (ja) 複数の釣合い錘を備えるエレベータ
KR10208890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9102589A1 (ja) エレベーター補償ロープの取付装置
JP200615162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522562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26062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