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908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908B1
KR102088908B1 KR1020187028545A KR20187028545A KR102088908B1 KR 102088908 B1 KR102088908 B1 KR 102088908B1 KR 1020187028545 A KR1020187028545 A KR 1020187028545A KR 20187028545 A KR20187028545 A KR 20187028545A KR 102088908 B1 KR102088908 B1 KR 102088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guide rail
counterweight
hoistway
vi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760A (ko
Inventor
게이타 시마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1Guideways; Guides with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측면은, 승강로의 폭방향에 대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승강로 벽면과 대향하고 있다. 균형추 및 권상기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이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 및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은, 엘리베이터 칸측으로부터 균형추측을 보았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권상기를 지지하는 권상기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최상부 레일 브라켓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최상부 레일 브라켓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권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브레이크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권상기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강로 내에 권상기를 배치함으로써 기계실을 없앤 기계실이 없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중,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배면(背面)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에 권상기의 모터의 일부를 배치하고, 승강장측으로부터 보아, 권상기의 쉬브를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겹치도록 배치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종래,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방향으로 투영한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 내에 권상기의 일부를 배치한 기계실이 없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국제공개 WO2013/084310호 특허 문헌 2 : 국제공개 WO2001/062654호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의 모터의 일부와 엘리베이터 칸의 사이에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즈가 커지면,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져 버려, 승강로의 수평 방향의 사이즈가 커져 버린다.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 권상기의 일부가 엘리베이터 칸의 영역과 겹쳐지므로,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범위보다도 상부에 권상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승강로의 꼭대기부의 높이 치수, 즉 오바헤드 치수가 확대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가 마련되고,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칸, 승강로 내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가 마련되고,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균형추, 승강로 내에 마련되고, 균형추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 권상기 본체와, 권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구동 쉬브와,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가지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상기, 권상기를 지지하고 있는 권상기대(台), 및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구동 쉬브,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에 순차적으로 감아 걸려지고,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현가체를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의 측면은, 승강로의 폭방향에 대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승강로 벽면과 대향하고 있고, 균형추 및 권상기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권상기 및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은, 엘리베이터 칸측으로부터 균형추측을 보았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구동 쉬브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으며, 브레이크는, 권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있고,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권상기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최상부 레일 브라켓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며, 최상부 레일 브라켓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브레이크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 및 구동 쉬브가 배치되는 범위를 승강로의 폭방향에 대해 축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간섭하지 않고 권상기를 엘리베이터 칸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에는,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대향하는 한 쌍의 승강로 벽면(1a, 1b)이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저면, 상면, 정면, 배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은,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일방의 승강로 벽면(1a)에 대향하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2)의 타방의 측면은,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공간을 사이에 두고 타방의 승강로 벽면(1b)에 대향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정면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각 층의 승강장(4)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3)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균형추 가로 낙하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의 각각은,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플랜지부와, 플랜지부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고 플랜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안내부를 가지고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의 각각의 단면 형상은, 플랜지부 및 안내부에 의해서 T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은,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각 안내부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이, 승강로(1)의 폭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은,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은, 타방의 승강로 벽면(1b)과 엘리베이터 칸의 타방의 측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과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은,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은, 승강로(1)의 깊이 방향, 즉 승강로(1)의 폭방향 및 상하 방향 모두에도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각 안내부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B)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과 직교하고 있다.
균형추(3)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의 일방의 측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3),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에 대해서, 승강장(4)으로부터 보아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은,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다. 균형추(3)는,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의 각각의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인 권상기(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지름 방향 치수가 축선 방향 치수보다도 큰 박형(薄型) 권상기가 권상기(9)로서 이용되고 있다. 권상기(9)는, 균형추(3)의 승강 범위보다도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상기(9)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일방의 승강로 벽면(1a)과 엘리베이터 칸(2)의 측면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권상기(9)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에 대해서, 균형추(3)와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9)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균형추(3)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지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2)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9)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91)와, 권상기 본체(9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권상기 본체(9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쉬브(92)와, 권상기 본체(91)에 마련되어 구동 쉬브(92)의 회전을 제동하는 복수의 브레이크(93)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9)는, 구동 쉬브(92)의 회전축을 수평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과 구동 쉬브(92)의 축선이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구동 쉬브(92)를 엘리베이터 칸(2)측을 향하게 하고, 권상기 본체(91)를 엘리베이터 칸(2)과는 반대측, 즉 승강로 벽면(1a)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권상기(9)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고, 권상기 본체(91)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나머지의 부분과 겹쳐져 있다. 또, 구동 쉬브(92)는,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각 브레이크(93)는, 권상기 본체(91)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 각 브레이크(93)는, 권상기 본체(91)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2개의 브레이크(93)가 공통의 권상기 본체(91)에 마련되어 있다. 브레이크(93)의 수는,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 이 예에서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각 브레이크(93)가 권상기 본체(91)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9) 및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은, 엘리베이터 칸(2)측으로부터 균형추(3)측으로 승강로(1)의 폭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 어느 것에도 겹치지 않고,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높이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의 각각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권상기대(10)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상단면에 놓여져 있다. 또, 권상기대(10)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에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9)는, 권상기대(10)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로 권상기대(10)에 지지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을 유지하는 복수의 레일 브라켓(11)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6)을 유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레일 브라켓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게다가, 승강로(1) 내에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을 유지하는 복수의 레일 브라켓(12)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게다가 또, 승강로(1) 내에는,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을 유지하는 복수의 레일 브라켓(13)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을 유지하는 복수의 레일 브라켓(11)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레일 브라켓(11)인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대(10)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을 유지하는 복수의 레일 브라켓(13)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레일 브라켓(13)인 최상부 레일 브라켓(13a)도, 권상기대(10)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 13a)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각 브레이크(93)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 13a)이 권상기(9) 전체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가 마련되어 있다.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일방의 측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방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는 엘리베이터 칸 본체의 타방의 측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B)에 대해서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의 축선이 경사져 있다.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 및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의 각각의 안내부를 잇는 직선(A)에 대해서, 균형추(3)와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추측 메인 로프단(rope端) 장치 및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현가체인 복수개의 메인 로프(18)에 의해 매달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다는 현가체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벨트를 이용해도 괜찮다. 각 메인 로프(18)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부(18a) 및 제2 단부(18b)를 가지고 있다. 각 메인 로프(18)의 제1 단부(18a)는 엘리베이터 칸측 메인 로프단 장치에 접속되고, 각 메인 로프(18)의 제2 단부(18b)는 추측 메인 로프단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18)는, 제1 단부(18a)로부터,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 구동 쉬브(9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에 순차적으로 감아 걸려져, 제2 단부(18b)에 이르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메인 로프(18)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 구동 쉬브(92),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에 감아 걸려져 있는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를 매달고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2: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져 있다.
구동 쉬브(92)로부터 일방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를 향하는 각 메인 로프(18)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과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과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고, 구동 쉬브(92)로부터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17)를 향하는 각 메인 로프(18)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권상기 본체(91)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 쉬브(92)가 회전하면, 구동 쉬브(92)의 회전에 따라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다음으로, 권상기(9)에 대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의 작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보수원이 최상층의 승강장(4)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 상에 오른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엘리베이터 칸(2) 상에 마련되어 있는 보수용 조작부를 조작하여, 최상층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까지 엘리베이터 칸(2)을 상부로 저속으로 이동시킨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권상기(9)에 대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한다. 예를 들면, 각 브레이크(93)에 대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에는, 각 브레이크(93)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권상기(9)의 상부로부터 각 브레이크(93)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의 보수원은, 보수용 조작부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하부로 저속으로 이동시킨 후,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최상층의 승강장(4)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측으로부터 균형추(3)측을 보았을 때, 권상기(9) 및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이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으므로,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구동 쉬브(92)가 배치되는 범위를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축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과 간섭하지 않고 권상기(9)를 엘리베이터 칸(2)에 가깝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권상기대(10)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을 유지하는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이 각 브레이크(93)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지진 또는 강풍에 의해서 건물이 흔들린 경우에도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의 상단부가 크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이 방해가 되지 않고 각 브레이크(93)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가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져 있으므로,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구동 쉬브(92) 및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이 배치되는 범위를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축소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92)의 축선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을 잇는 직선(A)과 평행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구동 쉬브(92) 및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이 배치되는 스페이스를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더 축소할 수 있다.
또, 권상기(9)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권상기 본체(91)를 엘리베이터 칸(2) 측을 향하게 하고, 구동 쉬브(92)를 엘리베이터 칸(2)과는 반대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동 쉬브(92)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16)에 이르는 메인 로프(18)의 경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92)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권상기대(10)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8)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권상기대(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권상기(9)의 방향이 실시 형태 1과 다르다. 즉, 권상기(9)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를 엘리베이터 칸(2)과는 반대측을 향하게 하고, 권상기 본체(91)를 엘리베이터 칸(2) 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지고, 권상기 본체(91)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나머지의 부분과 겹쳐져 있다. 게다가, 권상기 본체(91)는,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동 쉬브(92)를 엘리베이터 칸(2)과는 반대측을 향하게 하고, 권상기 본체(91)를 엘리베이터 칸(2)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권상기(9)를 배치한 경우라도, 위로부터 보았을 때의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는 것에 의해, 권상기(9) 및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이 배치되는 범위를 승강로(1)의 폭방향에 대해 축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부 측면도이다. 권상기 본체(91)의 폭치수는, 권상기 본체(91)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9)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권상기 본체(91)의 하부가 각 브레이크(93)의 영역보다도 권상기(9)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을 유지하는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각 브레이크(93)의 영역 밖에 배치되고, 또한 권상기 본체(91)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이 권상기 본체(91)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으므로, 승강로(1)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일부에만 겹쳐져 있지만,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구동 쉬브(92)가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7)의 영역의 전부와 겹쳐져 있어도 괜찮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균형추(3),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 권상기(9)의 각각이,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5, 6)을 잇는 직선(A)에 대해서,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아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승강로(1)를 위로부터 보았을 때, 균형추(3),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7, 8), 권상기(9)의 각각을, 직선(A)에 대해서, 승강장(4)측으로부터 보아 바로 전측(前側)에 배치해도 괜찮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브레이크(93)가 권상기 본체(91)의 상부에만 마련되어 있지만, 권상기 본체(91)의 하부에만 복수의 브레이크(93)를 마련해도 좋고, 권상기 본체(91)의 상부 및 하부의 각각에 브레이크(93)를 마련해도 괜찮다. 권상기 본체(91)의 하부에 브레이크(93)가 마련되어 있어도, 최상부 레일 브라켓(11a)이 방해가 되지 않고 브레이크(93)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권상기 본체(91)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브레이크(93)가 마련되어 있으면, 브레이크(93)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suspension sheave)가 마련되고,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승강로 내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균형추,
    상기 승강로 내에 마련되고, 상기 균형추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
    권상기 본체와, 상기 권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구동 쉬브와,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상기,
    상기 권상기를 지지하고 있는 권상기대(台),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 상기 구동 쉬브, 상기 균형추 서스펜션 쉬브에 순차적으로 감아 걸려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다는 현가체를 구비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측면은, 상기 승강로의 폭방향에 대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승강로 벽면과 대향하고 있고,
    상기 균형추 및 상기 권상기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 및 상기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으로부터 상기 균형추측을 보았을 때,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쉬브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유지하는 레일 브라켓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고,
    상기 권상기대는,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권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상기 권상기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최상부 레일 브라켓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최상부 레일 브라켓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브레이크의 영역 밖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상부 레일 브라켓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권상기 본체의 영역의 일부와 겹쳐져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 쉬브는, 승강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 쉬브의 축선은,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잇는 직선과 평행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구동 쉬브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 측을 향하게 하고, 상기 권상기 본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는 반대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는, 위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권상기 본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 측을 향하게 하고, 상기 구동 쉬브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는 반대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87028545A 2016-04-12 2016-04-12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88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1781 WO2017179119A1 (ja) 2016-04-12 2016-04-12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760A KR20180118760A (ko) 2018-10-31
KR102088908B1 true KR102088908B1 (ko) 2020-03-13

Family

ID=6004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545A KR102088908B1 (ko) 2016-04-12 2016-04-12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95975B2 (ko)
KR (1) KR102088908B1 (ko)
CN (1) CN108883897B (ko)
DE (1) DE112016006730T5 (ko)
WO (1) WO201717911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4254A (ja) * 2007-07-09 2007-11-01 Hitachi Ltd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ー
JP5805212B2 (ja) * 2011-12-07 2015-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7631B2 (ja) * 1998-11-19 2008-10-01 日本エレベーター製造株式会社 エレベ−タ装置
WO2001062654A1 (fr) 2000-02-22 2001-08-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elevateur
JP4549616B2 (ja) * 2002-08-28 2010-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05056457A1 (ja) * 2003-12-11 2005-06-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35338B1 (ko) * 2005-10-10 2007-07-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2851210Y (zh) * 2005-11-16 2006-12-27 北京航天金羊电梯有限公司 上置式无机房电梯
KR101690856B1 (ko) * 2012-07-04 2016-12-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US10384912B2 (en) * 2014-08-13 2019-08-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chine base attachment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4254A (ja) * 2007-07-09 2007-11-01 Hitachi Ltd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ー
JP5805212B2 (ja) * 2011-12-07 2015-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760A (ko) 2018-10-31
DE112016006730T5 (de) 2018-12-20
WO2017179119A1 (ja) 2017-10-19
CN108883897B (zh) 2020-10-16
CN108883897A (zh) 2018-11-23
JPWO2017179119A1 (ja) 2018-06-28
JP6395975B2 (ja) 201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837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 방법
WO201502539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2080178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335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0184791A (ja) エレベータ
JP4919359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6738964B2 (ja) エレベーター
CN107555289B (zh) 无机房电梯的改装方法及无机房电梯
JP2015151230A (ja) エレベータ用主ロープ振れ止め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56714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4329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08890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2911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818909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5930842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及び据付用治具
JP609502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5013713A (ja) コンペンチェー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7048075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073533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473961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200615162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6308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6665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30054374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