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374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374A
KR20130054374A KR1020137006947A KR20137006947A KR20130054374A KR 20130054374 A KR20130054374 A KR 20130054374A KR 1020137006947 A KR1020137006947 A KR 1020137006947A KR 20137006947 A KR20137006947 A KR 20137006947A KR 20130054374 A KR20130054374 A KR 20130054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car
hoistway
elevator
suspens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800B1 (ko
Inventor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 및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를 지지하는 기계대가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사이드빔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사이드빔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기계대 또는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부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에 작용하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장력은 제1 및 제2 사이드빔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균형추가 엘리베이터칸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트랙션(traction)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기계실 없는 타입에 유효한 하중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2 : 1 로핑 방식의 트랙션 엘리베이터로서, 균형추가 엘리베이터칸의 후방에 배치되고, 또한 권상기가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제1 승강로 측벽에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제1 승강로 측벽에 대향하는 제2 승강로 측벽에 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를 바로 위로부터 보아, 균형추가 제2 승강로 측벽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고, 균형추가 배치된 승강로 모서리부의 상부에 권상기가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기계대(機械臺)상에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는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레일과, 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제1 균형추 가이드레일은 승강로의 폭방향의 중간부에서 승강로 후벽(後壁)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균형추 가이드레일은 제2 승강로 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는 메인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다. 메인로프의 제1 단부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고정된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로프의 제2 단부는 승강로 내의 상부에 고정된 균형추 측 로프고정빔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은 제1 승강로 측벽의 근방에서 건물에 고정되어 있다. 균형추 측 로프고정빔은 제1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는 승강로를 바로 위로부터 보아, 메인로프가 엘리베이터칸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로프는 제1 단부로부터 차례로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권상기의 쉬브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 감겨져, 제2 단부에 이른다. 즉,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으로부터 대략 바로 아래로 연장한 메인로프는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향(轉向)되며, 엘리베이터칸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횡단하고,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에서 대략 바로 위로 전향된다.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로부터 대략 바로 위로 연장한 메인로프는 권상기의 쉬브에서 대략 바로 아래로 전향되고,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에서 다시 대략 바로 위로 전향되며, 균형추 측 로프고정빔에 이른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WO2004/000711 A1(제8페이지, 도 1)
승강로 내의 꼭대기부에 소형의 권상기가 설치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구성하는 경우, 권상기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과 균형추와의 경계선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최상부에 놓여지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의 승차감을 양호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 가이드슈로부터 가이드레일으로의 작용하중을 작게 억제하여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의 대형화를 피하기 위해서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의 하부를 횡단하는 메인로프가 엘리베이터칸의 무게중심을 통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균형추가 승강로의 편측에 가깝게 되고, 그 균형추의 위쪽에 권상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메인로프가 엘리베이터칸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횡단하도록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메인로프의 제1 단부와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와의 사이의 부분은 승강장에 가능한 한 가까이 배치되어 있고,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로부터 크게 이격(離隔)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메인로프의 제1 단부는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을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장착하는 것은 설계상 어려워,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은 건물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빔을 건물에 고정하는 것은 건축 측으로의 비용 부담을 증가시키고, 또, 엘리베이터를 건물에 설치하기 위한 설계의 수고가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균형추가 승강로의 편측에 가깝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 모서리부에 건물의 기둥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돌출치수만큼 승강로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승강로를 크게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재량이 적은 엘리베이터밖에 설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를 건물에 장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장치를 건물에 설치하기 위한 설계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으며, 또, 승강로 모서리부에 건물의 기둥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승강로를 크게 할 필요가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과,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칸의 양측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 엘리베이터칸의 후방에 배치되고,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승강로 내의 균형추의 양측에 설치되고,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되고, 또한 구동쉬브를 가지며,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상기, 구동쉬브에 감겨지고,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마련되고, 제1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마련되고, 제2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균형추에 마련되고, 제1 및 제2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1 현가수단의 제1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2 현가수단의 제1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 및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제2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의 좌우 측면의 전단부(前端部) 근방으로부터 배면 중앙부에 엘리베이터칸을 비스듬하게 횡단하고 있고, 권상기 및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를 지지하는 기계대가 승강로 내의 상부에서 균형추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 있으며,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사이드빔이 배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 사이드빔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기계대 또는 균형추 가이드레일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 있고,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에 작용하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장력이 제1 및 제2 사이드빔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에 작용하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장력을 제1 및 제2 사이드빔으로 나누어 부담하고, 또, 제1 및 제2 사이드빔을 기계대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고정하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를 건물에 장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장치를 건물에 설치하기 위한 설계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 균형추를 승강로의 폭방향의 중심에 배치할 수 있고, 승강로 모서리부에 건물의 기둥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승강로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3)과,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은 승강로(1)의 깊이방향(도 2의 상하방향)의 중간부 근처에서 제1 승강로 측벽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3)은 승강로(1)의 깊이방향에 대하여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과 동일한 위치에서 제2 승강로 측벽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3)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은 승강로(1) 내의 후벽 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은 승강로(1)의 깊이방향의 동일한 위치에서 승강로 후벽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6)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3)을 따라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7)는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을 따라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균형추(7)는 엘리베이터칸(6)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엘리베이터칸(6)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칸(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6) 및 균형추(7)는 승강로(1)를 바로 위로부터 보아 폭방향의 중심선이 일직선상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승강로(1)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엘리베이터칸(6) 및 균형추(7)의 폭방향의 중심선과 겹쳐져 있다.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의 상단부에는 기계대(8)가 고정되어 있다. 기계대(8)는 승강로(1) 내의 꼭대기부에서 승강로 후벽의 근처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기계대(8)는 제1 균형추 가이드레일(4)에 고정된 제1 지지부재(9)와, 제2 균형추 가이드레일(5)에 고정된 제2 지지부재(10)와, 제1 및 제2 지지부재(9, 10)상에 고정된 제1 및 제2 기계대 빔(11, 12)을 가지고 있다.
지지부재(9, 10)는 승강로(1)의 깊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또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계대 빔(11, 12)은 승강로(1)의 폭방향(도 3의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또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계대 빔(11, 12)상에는 엘리베이터칸(6) 및 균형추(7)를 승강시키는 권상기(13)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3)의 대부분은 균형추(7)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상기(13)는 권상기 본체와 구동쉬브(트랙션 쉬브)(14)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는 구동쉬브(14)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쉬브(14)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또한, 권상기(13)로서는 축방향 치수가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은 박형(薄型) 권상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권상기(13)는 권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권상기(13)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권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승강로(1) 내의 꼭대기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1)를 바로 위로부터 보아, 구동쉬브(14)의 축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일단부는 엘리베이터칸(6)과 균형추(7)와의 경계선 부근에 위치하고, 또한,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의 연장선상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권상기(13)의 중심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균형추(7)의 폭방향의 중심선의 연장선보다도 제1 균형추 가이드레일(4)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권상기(13)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영역 외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꼭대기부의 제1 승강로 측벽의 근처에는 제1 사이드빔(15)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사이드빔(15)의 중간부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서 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1 사이드빔(15)의 후단부(승강장의 반대 측 단부)는 기계대(8)의 제1 승강로 측벽 측의 단부상에 고정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꼭대기부의 제2 승강로 측벽의 근처에는 제2 사이드빔(16)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사이드빔(16)의 중간부는 승강로(1) 내의 상부에서 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3)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2 사이드빔(16)의 후단부는 기계대(8)의 제2 승강로 측벽 측의 단부상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사이드빔(15, 16)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사이드빔(15, 16)은 상하방향의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제1 및 제2 사이드빔(15, 16)은 엘리베이터칸(6)의 전후방향(승강로(1)의 깊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계대(8) 및 사이드빔(15, 16)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사이드빔(15, 16)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사이드빔(15)의 전단부(前端部)(승강장 측 단부)에는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제1 엘리베이터칸 힛치(hitch))(17)가 고정되어 있다. 제2 사이드빔(16)의 전단부에는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제2 엘리베이터칸 힛치)(18)가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계대(8)에는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균형추 힛치)(19)가 고정되어 있다.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는 균형추(7)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균형추(7)의 폭방향의 중심선보다도 제2 균형추 가이드레일(5)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6) 및 균형추(7)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20, 21)(도 1, 2에서는 생략)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제1 현가수단(20)은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벨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현가수단(21)도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벨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현가수단(21)의 개수 및 구성은 제1 현가수단(20)의 개수 및 구성과 동일하다.
제1 및 제2 현가수단(20, 21)의 중간부는 구동쉬브(14)에 감겨져 있다. 제1 현가수단(20)의 제1 단부는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현가수단(20)의 제2 단부는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현가수단(21)의 제1 단부는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8)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현가수단(21)의 제2 단부는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6)의 하부에는 제1 현가수단(20)이 감겨진 복수(여기에서는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3)와, 제2 현가수단(21)이 감겨진 복수(여기에서는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 2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3)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수평이다.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 25)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수평이다.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3)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제1 현가수단(20)이 엘리베이터칸(6)의 제1 측면(제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에 대향하는 측면)의 전단부 근처(엘리베이터칸(6)의 전면(前面) 측의 한쪽의 모서리부 근처)로부터 배면 중앙부에 엘리베이터칸(6)을 비스듬하게 횡단하도록,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 25)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제2 현가수단(21)이 엘리베이터칸(6)의 제2 측면(제2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3)에 대향하는 측면)의 전단부 근처(엘리베이터칸(6)의 전면 측의 다른 쪽의 모서리부 근처)로부터 배면 중앙부에 엘리베이터칸(6)을 비스듬하게 횡단하도록,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 25)는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3)와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3)와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 25)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7)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20, 21)이 감겨진 복수(여기에서는 한 쌍)의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는 균형추(7)의 폭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균형추(7)의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수평이다. 또,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의 회전축은 균형추(7)의 폭방향에 직각인 방향(도 3의 상하방향)으로 평행하다.
제1 현가수단(20)은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로부터 바로 아래로 연장하고,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에서 수평하게 전향(轉向)되며, 엘리베이터칸(6)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횡단하고,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3)에서 상향(上向)으로 전향되며, 구동쉬브(14)에서 하향(下向)으로 전향되고,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에서 수평하게 전향되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7)에서 상향으로 전향되고,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현가수단(21)은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8)로부터 바로 아래로 연장하고,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4)에서 수평하게 전향되며, 엘리베이터칸(6)의 하부를 비스듬하게 횡단하고,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5)에서 상향으로 전향되며, 구동쉬브(14)에서 하향으로 전향되고,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에서 수평하게 전향되며,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7)에서 상향으로 전향되고,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19)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칸(6) 및 균형추(7)는 2 : 1 로핑방식으로 매달려 있으며, 구동쉬브(14)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된다.
사이드빔(15, 16)의 전단부 사이에는 이음부재(28)가 고정되어 있다. 이음부재(28)는 수평부(28a)와, 수평부(28a)의 양단에 마련되고, 하단부가 사이드빔(15, 16)의 전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다리부(28b)를 가지고 있다. 수평부(28a)는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으로 평행하며 또한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28b)는 연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평부(28a)는 다리부(28b)의 상단부의 승강장 측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음부재(28)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승강로(1)의 깊이방향에 대해서, 승강장 측의 승강로벽과 승강장 도어장치(29)와의 사이의 틈새와, 승강장 도어장치(29)와, 승강장 도어장치(29)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와의 사이의 틈새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로 이루어지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부(28a)는 최상층의 승강장 도어장치(29)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음부재(28)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 및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는 사이드빔(15, 16)의 이음부재(28)와의 접속부 근처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의 이점쇄선(二点鎖線)은 균형추(7)가 승강로(1)의 저부의 완충기(도시생략)에 충돌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6)이 최상층을 지나쳐 도달할 수 있는 최고 도달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엘리베이터칸(6)상의 기기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이고, 엘리베이터칸(6)이 이점쇄선의 위치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는 승강로(1)의 천장에 충돌하지 않는 만큼의 작은 틈새를 천장과의 사이에 남긴 높이까지 도달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이음부재(28)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 및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와 충돌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에 작용하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20, 21)의 장력을 제1 및 제2 사이드빔(15, 16)에 나누어 부담시키고, 또, 제1 및 제2 사이드빔(15, 16)을 기계대(8)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3)에 고정하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를 건물에 장착하지 않아, 설치설계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사이드빔(15, 16)은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에 작용하는 현가수단(20, 21)의 장력에 의한 굽힘에 견디도록 하는 단면으로 하고 있지만, 도 3에서,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상의 현가수단(20, 21)의 하중 중심은 사이드빔(15, 16)의 단면상에는 없다. 또, 사이드빔(15, 16)은 생산성을 고려하면 형강(形鋼)이나 강판(鋼板)을 굽혀 형성된 빔으로 이루어지지만,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상의 하중의 중심과 사이드빔(15, 16)의 비틀림의 중심을 완전하게 일치시키는 것은 실장(實裝)상의 제약때문에 어렵다.
따라서, 이음부재(28)를 가지지 않는 구성인 경우, 사이드빔(15, 16)은 비틀림에 의한 과대한 전단응력에 대응하기 위해, 단면이 매우 크게 되어, 실장이 어려워지지고, 비용도 증가한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이음부재(28)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빔(15, 16)에 작용하는 비틀림 토크가 상쇄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빔(15, 16)의 단면형상은 굽힘에 견디는 만큼의 크기로 충분하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실장의 제약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 설치공사시, 부품을 승강로(1)의 천장 직전까지 올려 고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용의 툴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도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 직전의 위치에 설치하고 있는 부품은 없고, 거의 모든 부품이 최상층의 승강장 도어장치(29)의 장착높이와 동일한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가장 높은 장착위치에 장착되는 부품은 이음부재(28)이지만, 이음부재(28)는 최상층의 승강장 도어장치(29)의 바로 위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균형추(7)가 승강로(1)의 폭방향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1)의 피트의 모서리부에 건물의 기둥의 기초가 돌출하고 있는 경우에도, 승강로를 확대할 필요가 없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 6에서, 실시형태 1과 다른 것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이음부재(28)가 엘리베이터칸(6)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과, 엘리베이터칸(6)이 이점쇄선의 위치에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6)의 천장과 충돌하지 않는 만큼의 틈새를 갖게 한 위치에 수평부(28a)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의 폭방향 양측에 다리부(28b)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전개(全開)시에 엘리베이터칸 도어 패널이 다리부(28b)에 간섭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폭치수가 제약을 받는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형태 2에서는, 이음부재(28)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를 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도어의 폭치수가 제약을 받지 않으며, 큰 치수의 엘리베이터칸 도어도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엘리베이터칸(6)을 무게중심에서 매달 수 있도록,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 25)의 장착각도가 변경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6)의 전단부의 좌우의 모서리부에는 직사각형 단면의 통 모양의 한 쌍의 덕트부재(31)가 마련되어 있다. 덕트부재(31)는 엘리베이터칸(6)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공간에는 현가수단(20, 21)이 통과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22, 24)는, 엘리베이터칸(6)의 전단부의 모서리부의 바로 아래, 즉 덕트부재(31)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는, 엘리베이터칸(6)의 전단부의 모서리부의 바로 위, 즉 덕트부재(31)의 바로 위에서 수평부(28a)에 장착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엘리베이터칸(6)의 출입구를 사이에 두고 엘리베이터칸(6)의 폭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음부재(28)는 덕트부재(31)의 바로 위를 지나도록 사이드빔(15, 16)에 장착되어 있다. 수평부(28a)는 엘리베이터칸(6)이 이점쇄선의 위치에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6)(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를 포함)과 충돌하지 않는 만큼의 틈새를 갖게 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비교하여, 보다 무게중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칸(6)을 매달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6)의 승강 중의 승차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17, 18)가 수평부(28a)의 양단부 근방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음부재(28)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가 작게 되어, 수평부(28a)의 단면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수평부(28a)를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의 위쪽의 공간에 배치하면서도, 수평부(28a)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하고, 승강로(1)의 높이 치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4에서는, 덕트부재(31)를 이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30)와 승강장 도어장치(29)와의 사이의 틈새에 현가수단(20, 21)이 통과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3과 동일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실시형태 3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 ~ 4에서는 2개의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26, 27)를 나타냈지만,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는 1개라도 된다.
또, 실시형태 1 ~ 4에서는 사이드빔(15, 16)을 기계대(8)에 고정했지만, 예를 들어 사이드빔(15, 16)의 균형추(7) 측의 단부를 균형추(7) 측으로 절곡한 형상으로 하고, 이들 단부를 균형추 가이드레일(4, 5)에 고정해도 된다.

Claims (6)

  1.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후방(後方)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균형추,
    상기 승강로 내의 상기 균형추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되고, 또한 구동쉬브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칸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상기,
    상기 구동쉬브에 감겨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및 상기 균형추를 매다는 제1 및 제2 현가수단,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제1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제2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
    상기 균형추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이 감겨져 있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현가수단의 제1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1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현가수단의 제1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 및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제2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좌우의 측면의 전단부 근방으로부터 배면 중앙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비스듬하게 횡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권상기 및 상기 균형추 측 로프고정부재를 지지하는 기계대(機械臺)가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서 상기 균형추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 내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사이드빔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사이드빔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계대 또는 상기 균형추 가이드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의 장력이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빔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대 및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빔은,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빔의 승강장 측단부 사이에는 이음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부재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빔의 승강장 측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다리부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빔의 상기 이음부재와의 접속부 근방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최상층의 승강장 도어장치보다도 위쪽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음부재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승강로의 깊이방향에 대해서, 승강장 측의 승강로벽과 상기 승강장 도어장치와의 사이의 틈새와, 상기 승강장 도어장치와, 상기 승강장 도어장치와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와의 사이의 틈새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로 이루어지는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도달할 수 있는 최상의 위치보다도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측 로프고정부재는, 바로 위로부터 보아,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출입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폭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수평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현가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전단부(前端部)의 좌우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간 또는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와 승강장 도어장치와의 사이의 틈새에 통과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37006947A 2010-08-20 2010-08-20 엘리베이터 장치 KR101437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4060 WO2012023204A1 (ja) 2010-08-20 2010-08-20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374A true KR20130054374A (ko) 2013-05-24
KR101437800B1 KR101437800B1 (ko) 2014-09-03

Family

ID=4560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947A KR101437800B1 (ko) 2010-08-20 2010-08-20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07283B1 (ko)
JP (1) JP5570602B2 (ko)
KR (1) KR101437800B1 (ko)
CN (1) CN103068712B (ko)
WO (1) WO2012023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0862B2 (ja) * 2015-11-12 2018-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7137A (ja)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KR100697487B1 (ko) 2002-06-21 2007-03-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100372752C (zh) * 2002-09-11 2008-03-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装置
US7156209B2 (en) * 2004-05-28 2007-01-02 Inventio Ag Elevator roping arrangement
JP4861996B2 (ja) * 2005-02-25 2012-01-2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角度を形成するアンダースラング式ローピング配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かご
CN101291867B (zh) * 2005-12-14 2011-01-1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2007284977A (ja) * 2006-04-14 2007-11-01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駐車装置と昇降装置
JPWO2007138706A1 (ja) * 2006-06-01 2009-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S2294943B1 (es) * 2006-09-25 2009-02-16 Orona S. Coop Aparato elevador sin sala de maquin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023204A1 (ja) 2013-10-28
JP5570602B2 (ja) 2014-08-13
CN103068712B (zh) 2015-07-08
KR101437800B1 (ko) 2014-09-03
WO2012023204A1 (ja) 2012-02-23
EP2607283A4 (en) 2017-11-15
EP2607283B1 (en) 2018-10-17
EP2607283A1 (en) 2013-06-26
CN103068712A (zh)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0305B (en) Machineroomless elevator system
JP582718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636194B1 (ko)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개수 방법
WO201502539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184791A (ja) エレベータ
JP47744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69085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47725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6738964B2 (ja) エレベーター
JP2010208822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437658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KR101437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9541181A (ja) 昇降路の寸法を減少させたエレベータの設置
JP477024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18158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WO200507780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6008131A (ja) エレベーター及び既設エレベーターの改造方法
JP45454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5013713A (ja) コンペンチェー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6095026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500620A1 (en) Elevator
JP200816898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498759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