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856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856B1
KR101690856B1 KR1020147036685A KR20147036685A KR101690856B1 KR 101690856 B1 KR101690856 B1 KR 101690856B1 KR 1020147036685 A KR1020147036685 A KR 1020147036685A KR 20147036685 A KR20147036685 A KR 20147036685A KR 101690856 B1 KR101690856 B1 KR 101690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balance
return pulley
rail
hois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917A (ko
Inventor
나오유키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2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하부 리턴 풀리는, 승강로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균형추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균형추는, 하부 리턴 풀리에 간섭되지 않게 상승할 수 있으며, 최상부 위치일 때에, 수평 방향을 따라 보아 하부 리턴 풀리(1)와 부분적으로 겹쳐, 승강로의 연직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승강로의 배면벽측에, 권상기 및 균형추를 마련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균형추는 승강로의 배면벽과 엘리베이터 칸의 사이의 배면 공간에 배치되고, 또한 승강로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권상기는 균형추에 겹치도록 배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쉬브(sheave)로부터 균형추측으로 연장한 로프는, 균형추 상부의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를 경유하여 권상기의 하측의 로프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쉬브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측으로 연장한 로프는, 한 쌍의 균형추측 레일의 사이에 배치된 하부 리턴 풀리에 의해 위로 올려지고, 이어서 엘리베이터 칸 측면과 승강로 측벽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상부 리턴 풀리, 엘리베이터 칸의 저면의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를 경유하여 권상기와 거의 동일 높이의 로프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제3744764호 공보(도 1, 도 2)
상기 특허 문헌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하부 리턴 풀리는, 한 쌍의 균형추측 레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의 꼭대기부 치수가 크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쉬브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측으로 연장한 로프는, 하부 리턴 풀리에 의해 위로 올려지고, 이어서 엘리베이터 칸 측면과 승강로 측벽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상부 리턴 풀리에 의해 안내되지만, 하부 리턴 풀리와 상부 리턴 풀리와의 사이에서, 로프에는 승강로의 상측으로부터 보아 약 90도의 꼬임이 생긴다.
이 때문에, 꼬임에 의한 로프의 단명화(短命化)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부 리턴 풀리 및 상부 리턴 풀리는, 로프를 적절한 각도로 안내할 수 있도록 로프 홈을 형성하고, 상부 리턴 풀리와 하부 리턴 풀리와의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떼어 놓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부 리턴 풀리의 위치를 가능한 한 상부에 배치하려고 하면 승강로꼭대기부 치수가 증대하고, 또는 하부 리턴 풀리가 균형추의 승강 공간과 간섭하지 않도록 피트 치수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균형추의 승강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어느 것이든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어 승강로 연직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로프의 수명을 단명화하지 않고 승강로 연직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상기 승강로 내를 보아 상기 승강로의 안쪽의 배면벽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의 배면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에 연동하여 상기 승강로 내의 배면 공간을 승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배면벽측으로서 상기 균형추의 상측에 배치된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상기 승강로의 벽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하부 리턴 풀리(pulley) 및 상부 리턴 풀리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와,
상기 균형추의 상부에 마련된 추(錘) 서스펜딩 쉬브와,
일단측에서는 상기 권상기로부터 상기 하부 리턴 풀리, 상기 상부 리턴 풀리,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를 경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달고, 타단측에서는 상기 권상기로부터 상기 추 서스펜딩 쉬브를 경유하여 상기 균형추를 매단 로프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하부 리턴 풀리는, 상기 승강로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상기 균형추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균형추가 최상부 위치일 때에, 수평 방향을 따라 보아 상기 균형추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하부 리턴 풀리는, 승강로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균형추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균형추가 최상부 위치일 때에, 수평 방향을 따라서 보아 상기 균형추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되어 있으므로, 균형추는, 하부 리턴 풀리에 간섭되지 않게 상승할 수 있고, 승강로의 연직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승강로의 벽과 엘리베이터 칸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하부 리턴 풀리는, 상부 리턴 풀리로부터 충분히 거리를 취할 수 있으므로, 로프의 꼬임에 의한 단명화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화살표 A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을 화살표 B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 부재,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을 화살표 A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 도 3은 도 1을 화살표 B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또, 도 1에서는, 권상기 장착빔(beamn, 12), 하부 리턴 풀리(pulley) 장착대(13) 및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은 생략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2)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의 양측벽(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승강로(1) 내를 보아 좌우의 양측)에는, 각각 제1 레일 브라켓(4A)을 매개로 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A)이, 또 제2 레일 브라켓(4B)을 매개로 하여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B)이 서로 대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제1 레일 브라켓(4A) 및 제2 레일 브라켓(4B)은,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복수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A),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B)에 의해서 안내되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과 승강로(1)의 배면벽(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승강로(1) 내를 보아 안쪽의 벽)과의 사이의 배면 공간을 승강하는 균형추(5)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의 배면벽에는, 제3 레일 브라켓(4C)을 매개로 하여 제1 균형추측 레일(6A), 제4 레일 브라켓(4D)을 매개로 하여 제2 균형추측 레일(6B)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1 균형추측 레일(6A) 및 제2 균형추측 레일(6B)은, 균형추(5)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3 레일 브라켓(4C) 및 제4 레일 브라켓(4D)은,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복수 배치되어 있다.
상부에 추(錘) 서스펜딩 쉬브(9)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된 균형추(5)는, 제1 균형추측 레일(6A), 제2 균형추측 레일(6B)에 의해서 안내되어 승강로(1)의 배면 공간 내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균형추(5)의 상측으로서, 배면 공간에는, 권상기(7)가 배치되어 있다. 이 권상기(7)는, 권상기 장착빔(12)에 고정되어 있다.
이 권상기 장착빔(12)은, 중간부에서 제1 균형추측 레일(6A)의 꼭대기부에 고정되고, 선단부에서 제2 균형추측 레일(6B)에 고정되어 있다.
권상기 장착빔(12)의 기단부에는, 선단부가 하측으로 연장된 하부 리턴 풀리 장착대(13)가 장착되어 있다. 이 하부 리턴 풀리 장착대(13)의 하단부에는, 하부 리턴 풀리(11)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권상기 장착빔(12)의 상면으로서 기단부에는, 선단부가 엘리베이터 칸(2)과 승강로(1)의 측벽과의 사이로 연장한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이 장착되어 있다. 이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은, 선단부가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A)에 브라켓(20)을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있다.
권상기 장착빔(12)과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은, 승강로(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L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에는, 제1 상부 리턴 풀리(14A) 및 제2 상부 리턴 풀리(14B)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의 안쪽 방향 치수가 작은 경우에는, 하나의 상부 리턴 풀리라도 괜찮다.
권상기(7)는, 쉬브(7A), 모터(7B) 및 브레이크(7C)를 가지고 있다.
지름이 작은 쉬브(7A)에는, 예를 들면 고강도·고굴절률의 수지 피복 로프로서 지름이 가늘한 로프(8)가 감아 걸려 있다. 이 로프(8)는, 일단측에서는 쉬브(7A)로부터 하부 리턴 풀리(11)측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타단측에서는 쉬브(7A)로부터 추 서스펜딩 쉬브(9)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권상기(7)는, 쉬브(7A)의 축선이 제1 균형추측 레일(6A)과 제2 균형추측 레일(6B)의 중심점을 연결한 직선에 대해서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추 서스펜딩 쉬브(9)에는, 상기 직선에 대해서 경사져 균형추(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쉬브(7A)로부터 균형추(5)측으로 연장한 로프(8)의 타단측은, 추 서스펜딩 쉬브(9)에 감아 걸려 있음과 아울러, 선단부가 권상기 장착빔(12)에 마련된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이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0) 및 권상기(7)는, 승강로(1)의 일방의 측벽으로부터 대향한 측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본 경우에 겹쳐져 있다.
또, 권상기(7)는, 쉬브(7A)의 중심점이 제1 균형추측 레일(6A), 제2 균형추측 레일(6B) 중, 승강로(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하부 리턴 풀리(11)에 가까운 제1 균형추측 레일(6A)의 중심 위치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균형추측 레일(6A)은, 선단부가 승강로(1)의 꼭대기부 근방까지 연장한 제2 균형추측 레일(6B) 보다도 짧게 되어 있지만, 이 단축량은 최대한 줄이는 편이 좋다.
즉, 윈치(winch)를 이용하여 권상기(7)를 들어 올리기 위한 양중(揚重) 부분을 확보하면서, 가능한 한 권상기(7)를 상부에 배치하여, 제1 균형추측 레일(6A)의 단축량을 최대한 작게 하고, 균형추(5)의 승강 공간을 가능한 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제1 균형추측 레일(6A)의 배면측(제2 균형추측 레일(6B)의 반대측)에 배치된 하부 리턴 풀리(11)는, 제1 균형추측 레일(6A)을 장착하고 있는 제3 레일 브라켓(4C) 보다도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또 균형추(5)가 최상부 위치일 때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보아 균형추(5)와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의 양 모퉁이부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6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6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B)에는,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0)와 거의 동일 높이로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17)가 장착되어 있다.
또, 승강로(1)의 배면 공간 중, 제2 균형추측 레일(6B)의 배면(제1 균형추측 레일(6A)의 반대측)측의 공간에는 제어반(1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쉬브(7A)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측으로 연장한 로프(8)의 일단측은, 먼저 제1 균형추측 레일(6A)의 배면을 따라서 하측으로 연장하고, 이어서 하부 리턴 풀리 장착대(13)에 장착된 하부 리턴 풀리(11)에 의해서 위로 올려진다.
그 후, 로프(8)는, 주행 방향이 90° 전환되어 제1 상부 리턴 풀리(14A), 제2 상부 리턴 풀리(14B)에 의해서 승강로(1)의 측벽을 따라서 안내된다.
로프(8)는, 이어서 제2 상부 리턴 풀리(14B)에서 직하(直下)하며,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 마련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6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6B)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매달고, 제2 서스펜딩 쉬브(16B)에 의해 위로 올려진 로프(8)는, 엘리베이터 칸(2)측 로프 고정부(17)에 의해서 고정된다.
한편, 쉬브(7A)로부터 추 서스펜딩 쉬브(9)측으로 하측을 향해서 연장한 로프(8)의 타단측은, 추 서스펜딩 쉬브(9)에 의해 위로 올려지고,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0)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0)는, 하부 리턴 풀리(11)는, 승강로(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균형추(5)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균형추(5)는, 하부 리턴 풀리(11)에 간섭되지 않게 상승할 수 있고, 최상부 위치일 때에, 수평 방향을 따라 보아 하부 리턴 풀리(11)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1)의 꼭대기부 치수, 피트 치수를 짧게 할 수 있고, 승강로(1)의 연직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하부 리턴 풀리(11)와 제1 상부 리턴 풀리(14A)와의 사이에서 로프(8)는, 주행 방향이 90° 전환되므로, 하부 리턴 풀리(11) 및 제1 상부 리턴 풀리(14A)는, 로프(8)의 급격한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홈부를 적절한 각도 이내로 하여 로프(8)를 안내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하부 리턴 풀리(11)는, 승강로(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균형추(5)의 외측으로서, 승강로(1)의 배면벽과 엘리베이터 칸(2)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부 리턴 풀리(11)는, 제1 상부 리턴 풀리(14A)로부터 충분히 떼어 놓아 배치할 수 있고, 로프(8)의 단명화를 막을 수 있다.
또, 권상기(7)가 설치된 권상기 장착빔(12)에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0)가 마련되어 있으며, 권상기 장착빔과는 별도로, 새롭게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용 빔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권상기 장착빔(12)과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은 승강로(1)의 상측으로부터 보아 거의 L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권상기 장착빔(12)은, 단부가 제2 균형추측 레일(6B)에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제2 균형추측 레일(6B)은, 권상기 장착빔(12)을 사이에 두고 상하 한 쌍의 제4 레일 브라켓(4D)을 매개로 하여 승강로(1)의 배면벽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은, 단부가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A)에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은 상하 한 쌍의 제1 레일 브라켓(4A)을 매개로 하여 승강로(1)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권상기 장착빔(12) 및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은, 제2 균형추측 레일(6B),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A)을 매개로 하여 승강로(1)의 직교한 두 면의 벽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수평 방향의 가진(加振) 성분이 승강로(1)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 작용한 경우에, 지진시 등의 수평 하중에 대한 내강도성이 높다.
또, 제1 균형추측 레일(6A)을 제외하고,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A),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B) 및 제2 균형추측 레일(6B)은, 승강로(1)의 꼭대리부 부근까지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빔이 승강로(1)의 꼭대기부에 있는 유구조(柔構造)의 건축물이라도, 상부 리턴 풀리 빔(15)이 고정된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A), 권상기 장착빔(12)이 고정된 제2 균형추측 레일(6B)을 승강로(1)의 꼭대기부의 빔에 고정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고, 권상기 장착빔(12) 및 상부 리턴 풀리 빔(15)의 고정용으로, 별도로 새로운 부재를 구비할 필요성은 없다.
또, 이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쉬브(7A)를 소경화하여 박형 또한 외형 치수가 작은 박형의 권상기(7)를 적용하는 것이 최적이다.
권상기가 박형이고 외형 치수가 크면, 권상기가 승강로(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양쪽 모두의 균형추측 레일(6A, 6B)과 겹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균형추측 레일(6A, 6B)을 승강로(1)의 정상부 부근까지 연장하여 승강로(1)의 꼭대기부의 빔에 고정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한편,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균형추측 레일(6A, 6B)의 간격을 넓힌 경우에는, 제어반(18)을 승강로(1)의 배면 공간에 설치할 수 없게 되며, 승강로(1)의 측벽과 엘리베이터 칸(2)과의 사이의 좁은 공간에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또, 권상기(7)의 외형 치수가 크게 되면, 엘리베이터 칸(2) 상에서 권상기(7)를 보수할 때, 승강로(1)의 측벽에 가까운 측은, 엘리베이터 칸(2) 상으로부터 상체를 내밀고 점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7C)를 좌우에 가지는 권상기(7)에서는, 일방의 브레이크를 안전하게 보수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로서, 도 1과 마찬가지로, 권상기 장착빔(12), 하부 리턴 풀리 장착대(13) 및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은 생략되어 있다.
도 4에서, 제1 균형추측 레일(6A)의 중심점과 제2 균형추측 레일(6B)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직선(가)를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권상기(7)는, 쉬브(7A)의 축심(軸心)이 직선(가)에 대해서 수직이며,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쉬브(7A)에 작용하는 매달음 하중의 중심 위치는, 균형추측 레일(6A)의 중심 보다도 엘리베이터 칸(2)측인 것에 대하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균형추측 레일(6A)의 중심과 거의 동일하다.
또,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0)는, 복수개의 로프 고정자로 구성되어 있지만, 각각의 로프 고정자의 중심을 연결한 다각형의 중심 위치가 직선(가)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균형추(5)에 배치된 추 서스펜딩 쉬브(9)의 축은, 권상기(7)의 쉬브(7A)의 축심과 평행이며, 서스펜딩 쉬브(9)의 중심점도 직선(가) 상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엘리베이터 칸(2)측으로 연장하는 로프(8)가 감아 걸려진 하부 리턴 풀리(11)는, 그 중심점도 직선(가)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하부 리턴 풀리(11), 쉬브(7A), 서스펜딩 쉬브(9)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0)의 각각은, 각 중심점이 제1 균형추측 레일(6A) 및 제2 균형측 추측 레일(6B)을 연결하는 직선(가)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부 리턴 풀리(11), 쉬브(7A), 서스펜딩 쉬브(9) 및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10)는, 각각의 중심점이 직선(가)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권상기 장착빔(12)에는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권상기 장착빔(12)에는, 여분의 보강 부재를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조를 더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로서, 도 1과 마찬가지로, 권상기 장착빔(12), 하부 리턴 풀리 장착대(13) 및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은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권상기(7)는, 실시 형태 1과 비교하여 승강로(1)의 측벽측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하부 리턴 풀리(11)는, 상부 리턴 풀리(14)와 마찬가지로 승강로(1)의 측벽과 동일 거리로 대향하고 있다.
권상기(7)는, 승강로(1)의 측벽측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도 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와 비교하여, 제1 균형추측 레일(6A)은, 그 만큼 제2 균형추측 레일(6B)로부터 이간하고 있으며, 균형추(5)의 폭 치수도 크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장치와 동일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쉬브(7A)에 감아 걸려진 로프(8)의 엘리베이터 칸(2) 측으로 연장한 로프(8)의 일단측은, 쉬브(7A)로부터 제1 균형추측 레일(6A)의 배면측에서 하부로 연장하고 있으며, 승강로(1)의 상측으로부터 보아 쉬브(7A)에 대해서 직교한 하부 리턴 풀리(11)로 안내된다.
이어서, 로프(8)는, 이 하부 리턴 풀리(11)를 경유한 후 상부로 올려지고, 상부 리턴 풀리(14)에 의해 안내되며, 다시 하부로 연장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하측까지 연장하고,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6A),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16B)를 경유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매달며, 제2 서스펜딩 쉬브(16B)에서 위로 올려진 로프(8)는, 엘리베이터 칸(2)측 로프 고정부(17)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권상기(7)는, 승강로(1)의 측벽측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균형추측 레일(6A)은, 실시 형태 1의 것과 비교하여 제2 균형추측 레일(6B)로부터 이간하고 있으며, 균형추(5)의 폭 치수도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균형추(5)의 폭 치수가 크게 되어 있고, 그만큼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균형추(5)의 상부 공간에 여유가 생겨, 균형추(5), 추 서스펜딩 쉬브(9)에 관련하는 부재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권상기(7)는, 승강로(1)의 배면 공간에 배치했지만, 권상기(7)가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공간 보다도 상측이고, 또한 승강로(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권상기(7)의 모터(7B)가 엘리베이터 칸(2)과 겹치도록 배치해도 괜찮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권상기 장착빔(12)은, 단부가 제2 균형추측 레일(6B)에 고정되어 있고, 또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은, 단부가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3A)에 고정되어 있지만, 권상기 장착빔(12),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15)을, 예를 들면 지지 부재를 매개로 하여 승강로의 벽에 고정해도 괜찮다.
1 : 승강로 2 : 엘리베이터 칸
3A :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
3B :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
4A : 제1 레일 브라켓 4B : 제2 레일 브라켓
4C : 제3 레일 브라켓 4D : 제4 레일 브라켓
5 : 균형추 6A : 제1 균형추측 레일
6B : 제2 균형추측 레일 7 : 권상기
7A : 쉬브 7B : 모터
7C : 브레이크 8 : 로프
9 : 추 서스펜딩 쉬브 10 : 균형추측 로프 고정부
11 : 하부 리턴 풀리 12 : 권상기 장착빔
13 : 하부 리턴 풀리 장착대 14A : 제1 상부 리턴 풀리
14B : 제2 상부 리턴 풀리 15 :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
16A :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16B :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
17 : 엘리베이터 칸측 로프 고정부 20 : 브라켓

Claims (11)

  1.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상기 승강로 내를 보아 상기 승강로의 안쪽의 배면벽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의 배면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에 연동하여 상기 승강로 내의 배면 공간을 승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배면벽측으로서 상기 균형추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균형추를 안내하는 한 쌍의 상기 균형추측 레일에 고정된 권상기 장착 빔(beam)에 장착된 권상기와,
    상기 승강로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상기 승강로의 벽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하부 리턴 풀리(pulley) 및 상부 리턴 풀리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와,
    상기 균형추의 상부에 마련된 추(錘) 서스펜딩 쉬브와,
    일단측에서는 상기 권상기로부터 상기 하부 리턴 풀리, 상기 상부 리턴 풀리, 상기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쉬브를 경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달고, 타단측에서는 상기 권상기로부터 상기 추 서스펜딩 쉬브를 경유하여 상기 균형추를 매단 로프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하부 리턴 풀리와 상기 상부 리턴 풀리는, 상기 승강로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직교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 리턴 풀리는, 상기 균형추측 레일의 배면측의 상기 균형추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균형추가 최상부 위치일 때에, 수평 방향을 따라 보아 상기 균형추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는, 상기 균형추를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측 레일에 고정된 권상기 장착빔(beam)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프의 상기 타단측의 단부는, 상기 권상기 장착빔에 마련된 추(錘)측 로프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턴 풀리는, 상기 승강로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상기 권상기 장착빔에 L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에 고정된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권상기 장착빔 및 상기 상부 리턴 풀리 장착빔은, 상기 균형추측 레일,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레일을 매개로 하여 상기 승강로의 직교한 두 면의 벽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는, 상기 승강로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일방의 상기 균형추측 레일과 겹쳐서 배치되며,
    타방의 상기 균형추측 레일은, 일방의 상기 균형추측 레일보다 길게 연장하고,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배면벽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는, 그 쉬브의 중심점이 한 쌍의 상기 균형추측 레일의 중심점을 연결한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턴 풀리는, 그 중심점이 상기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는, 그 쉬브의 중심점이 한 쌍의 상기 균형추측 레일의 중심점을 연결한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추측 로프 고정부는, 그 중심점이 상기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는, 상기 쉬브의 중심점이 상기 승강로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보아 일방의 상기 균형추측 레일의 상기 중심점과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리턴 풀리 및 상기 상부 리턴 풀리는, 상기 승강로의 측벽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삭제
KR1020147036685A 2012-07-04 2012-07-04 엘리베이터 장치 KR101690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7104 WO2014006703A1 (ja) 2012-07-04 2012-07-04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917A KR20150022917A (ko) 2015-03-04
KR101690856B1 true KR101690856B1 (ko) 2016-12-28

Family

ID=4988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685A KR101690856B1 (ko) 2012-07-04 2012-07-04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40778B2 (ko)
KR (1) KR101690856B1 (ko)
CN (1) CN104428235A (ko)
WO (1) WO2014006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908B1 (ko) * 2016-04-12 2020-03-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WO2017203633A1 (ja) * 2016-05-25 2017-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巻上機据付方法
CN110546100B (zh) * 2017-04-26 2021-12-1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6682054B2 (ja) * 2018-04-12 2020-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巻上機用機械台固定装置
JP6567143B2 (ja) * 2018-07-02 2019-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3124A (ja) 2000-06-23 2002-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据付け装置及びその据付け工法
JP2004189346A (ja) 2002-12-06 2004-07-08 Toshiba Elevator Co Ltd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JP2010070344A (ja) 2008-09-19 2010-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4764B2 (ja) 2000-02-29 2006-02-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WO2005075335A1 (ja) * 2004-02-10 2005-08-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264862A (ja) * 2005-03-23 2006-10-05 Toshiba Elevator Co Ltd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CN1974363A (zh) * 2006-12-06 2007-06-06 广州日立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悬挂装置
JP2010184791A (ja) * 2009-02-13 2010-08-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CN201433032Y (zh) * 2009-06-30 2010-03-31 苏州德奥电梯有限公司 无机房电梯反绳轮安装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3124A (ja) 2000-06-23 2002-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据付け装置及びその据付け工法
JP2004189346A (ja) 2002-12-06 2004-07-08 Toshiba Elevator Co Ltd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JP2010070344A (ja) 2008-09-19 2010-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40778B2 (ja) 2016-01-06
WO2014006703A1 (ja) 2014-01-09
CN104428235A (zh) 2015-03-18
KR20150022917A (ko) 2015-03-04
JPWO2014006703A1 (ja)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39955B (zh) 用于钢丝绳提升机的低结构台车
KR10169085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208017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77442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2162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09502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4329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0049714A1 (ja) かご吊り車組立体
JP427001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17245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6016184A (ja) Cwt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6684473B2 (ja) 複数の釣合い錘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560896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082767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165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437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803008B2 (ja) エレベータ
JP4601771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装置
JP2015013713A (ja) コンペンチェー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EP1500620A1 (en) Elevator
JP2017210829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45454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36431B1 (en) Elevator apparatus
JP2008168986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3596869B (zh) 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