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877A -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877A
KR20150002877A KR1020147032946A KR20147032946A KR20150002877A KR 20150002877 A KR20150002877 A KR 20150002877A KR 1020147032946 A KR1020147032946 A KR 1020147032946A KR 20147032946 A KR20147032946 A KR 20147032946A KR 20150002877 A KR20150002877 A KR 2015000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transparent
touch sensor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203B1 (ko
Inventor
토모타케 나시키
카즈히로 나카지마
히데오 스가와라
츠요시 치바
히로아키 기시오카
토모히데 반바
마사히로 오오우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Abstract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에 있어서, 전극의 패턴 외관을 억제할 수 있고, 온도 및 습도 조건의 변화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에 사용되는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가, 투명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평탄한 면을 양측으로 가지는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와, 이 평탄한 면의 각각 위에 형성된 적어도 1층의 투명 재료의 코트층과, 이 코트층 위에 인접해 형성된 투명 도전성층을 갖춘다. 적어도 1층의 코트층은, 투명 도전성층에 의해 형성되는 전극의 패턴 외관을 억제하는 굴절률 조정층을 적어도 1층 포함하는 것이며, 평탄한 면의 각각에 형성된 코트층의 두께는,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의 양측의 층이, 이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를 사이에 두어 서로 대칭이 되도록 정해진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Capacitive touch sensor laminate for display panel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센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의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패널을 갖춘 표시 패널 장치는, 많은 문헌에 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개 2002-40243호 공보(특허 문헌 1), 특개 2002-55780호 공보(특허 문헌 2), 특개 2002-156920호 공보(특허 문헌 3)에는, 표시 패널판의 윗쪽에 터치 입력용의 터치 패널이 배치된 표시 패널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특허 문헌에 기재된 터치 패널은, 모두 저항막방식의 것이며, 2개의 투명 전극이 간격을 가지고 대향 배치되어, 표시 패널 장치의 시인측에 배치된 한쪽의 투명 전극을 눌러 다른 한쪽의 투명 전극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이러한 특허 문헌에 있어서는, 2개의 전극 간에 공기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극면에 있어서의 반사광이 표시 패널 장치의 시인 측까지 투과해 표시 품질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특허 문헌에서는, 이 내부 반사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터치 패널보다 시인 측에 원편광 소자를 배치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상세하게 말하면, 이러한 특허 문헌에서는, 표시 패널의 시인측부터 차례로, 직선 편광층과, 1/4λ위상차층을 배치해, 그 아래에 터치 패널을 배치하는 것을 제창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은,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에 터치 패널을 조합한 구성을 나타내고, 특허 문헌 2는,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 EL표시장치의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특허 문헌 3은, 유기 EL표시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특개 2010-198103호 공보(특허 문헌 4)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를 개시한다. 이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터치 센서는, 단일체로 되는 필름으로서 구성되는 기재 필름의 양측으로 패턴화된 도전체층으로 되는 전극부를 가진다. 특허 문헌 4에 있어서는, 이 단일체 필름은, 필름 본체의 한쪽 또는 양쪽의 면상에 스패터링 등에 의해 분리 불가능하게 성막된 기능막을 포함한 구성도 포함한다, 라고 하고 있다. 여기서, 기능막의 예로서는, 인덱스 매칭막이 진술되고 있으며, 도 4(a)에는, 필름 본체의 면상에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고굴절률막과 저굴절률막으로 되는 필름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4에는, 도 4(c)에, 기재 필름의 면상에 형성된 한 층의 저굴절률막으로 되는 필름 구조도 나타나고 있다.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이러한 인덱스 매칭막 및 저굴절률막은, 전극부가 있는 영역과 전극부가 없는 영역으로 반사율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라고 설명되고 있다. 이 단일체 필름과 양측의 전극부로 되는 터치 패널 센서는, 한쪽의 면에 입력면으로서 기능하는 보호 커버가 접착제층에 의해 접착되고, 다른 한쪽의 면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구성된 표시장치에 접착제층에 의해 접착된다.
유전체 필름층의 양측으로 전극이 형성된 구성의 터치 센서는, 특개 2009-76432호 공보(특허 문헌 5)의 도 5에도 기재되어 있다. 게다가, 특허 문헌 5는, 필름기재의 한쪽의 면에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고, 필름기재의 다른 한쪽의 면을 제 2의 필름기재에 접착제층을 개입시켜 접합하고, 또한, 이 제 2의 필름기재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개입시켜 제 2의 투명 전극층을 형성한 양면 전극형 터치 센서를 도 7에 기재하고 있다. 이 특허 문헌 5에서는, 언더코트층은, 그 굴절률과 투명 전극층의 굴절률의 차이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고 진술되고 있다. 특허 문헌 5에는, 언더코트층을 2층 이상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 언급되고 있지만, 그 두께의 관계는 특히 기재가 없고, 2층 형성되는 경우의 언더코트층간의 굴절률의 관계도, 특별히 기재되지 않았다. 또, 특개 2008-140130호 공보(특허 문헌 6)는, 예를 들면 PET와 같은 투명한 기재의 양면에, 패턴화된 도전막으로 되는 전극부가 형성되어, 이 양전극부의 외측에 있어서, 한쪽 측에는 보호층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측에는 감도 조정층이 형성된 터치 센서가 기재되어 있다. 이 구조에 있어서, 감도 조정층은, 그 막 두께를 소정의 두께로 하는 것에 의해, 터치 센서의 그라운드용 도통 패턴의 전위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터치 센서에 사용되는 투명 전극의 패턴 형성은, 특허 문헌 4의 도 3에 도시되고 있으며, 국제 공개 WO2006/126604호 공보(특허 문헌 7)에는, 몇 개의 예가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게다가, 수지 재료를 액정 표시 패널용 전극 기판에 사용하는 경우에, 광학적으로 등방성으로 착색 간섭 무늬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적절한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특개평 3-9323호 공보(특허 문헌 8)에 교시되고 있다. 특허 제 3542838호 공보(특허 문헌 9) 및 특허 제 3569557호 공보(특허 문헌 10)에는, 터치 패널용의 도전성 투명 시트에 광등방성의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들 특허 문헌 8, 9에 있어서는, 추천되는 광등방성의 수지 재료로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텔술폰계 수지, 폴리슬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특개 2002-40243호 공보 특개 2002-55780호 공보 특개 2002-156920호 공보 특개 2010-198103호 공보 특개 2009-76432호 공보 특개 2008-140130호 공보 WO2006/126604호 공보 특개평 3-9323호 공보 특허 제 3542838호 공보 특허 제 3569557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4 및 5는, 모두, 기재와 전극부와의 사이의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 전극부의 패턴이 시인측에서 보이게 되는 것을 경감하기 위해서, 기재층과 전극부와의 사이에 굴절률 조정을 위한 층을 설치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4와 특허 문헌 5는, 추천하는 수법이 다르며, 게다가, 어느 문헌에 있어서도, 교시하는 수법에 의해 충분히 목적이 달성된 것은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 특허 문헌 6에서는, 투명 전극은 기재층 위에 직접 형성되고 있어, 전극 패턴이 시인측에서 보이는 것에 대한 대책은 아무것도 적시하지 않았다.
게다가, 상기 특허 문헌에 기재된 것 같은 적층 구성의 터치 센서에서는, 온도 및 습도 조건의 변화에 수반하는 각 층의 신축의 정도가 층간에 다른 것에 의해, 적층체에 휨 변형을 일으킨다, 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특허 문헌의 어느 것에도 기재되고 있지 않지만, 이런 종류의 터치 센서에 사용되는 기재에는, 기재 표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기재 표면에 하드 코트층이 설치되는 것이 많다. 이 하드 코트층은, 상술한 굴절률 조정용의 층에 비해 두께가 크고, 휨 변형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상술한 특허 문헌의 어느 것에도, 이러한 휨 변형의 문제를 논한 것은 없고, 적절한 대책을 교시하는 것은 없다.
본 발명은, 터치 입력 기능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센서 적층체에 있어서, 빛의 내부 반사에 의해 표시 품질이 저하하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 있고, 한편, 온도 및 습도 조건의 변화 아래에서도, 휨 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얻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 한 형태에 있어서,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에 사용되는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를 제공한다. 이 터치 센서 적층체는, 투명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평탄한 면을 양측으로 가지는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와, 이 평탄한 면의 각각의 위에 형성된 적어도 1층의 투명 재료의 코트층과, 이 코트층 위에 인접해 형성된 투명 도전성층으로 된다. 그리고, 이 적어도 1층의 코트층은, 투명 도전성층에 의해 형성되는 전극의 패턴 외관을 억제하는 굴절률 조정층을 적어도 1층 포함하는 것이며, 이 평탄한 면의 각각에 형성된 코트층의 두께는,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의 양측의 층이, 이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를 사이에 두어 서로 대칭이 되도록 정해진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굴절률 조정층은,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제 1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과, 이 제 1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 위에 형성된 제 2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을 포함하며, 이 제 1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은, 제 2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보다도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한 적어도 1층의 코트층은,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하드 코트층과, 이 하드 코트층 위에 형성된 적어도 1층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의 적어도 1층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은, 하드 코트층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제 1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과, 이 제 1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 위에 형성된 제 2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을 포함하며, 제 1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은, 제 2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보다도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제 1의 언더코트층은, 두께가 35nm이하이며, 제 2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는 제 1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 2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는 상기 제 1의 언더코트층의 두께의 1/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에 있어서는,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는, 같은 두께를 가지는 같은 재료로 되는 제 1 및 제 2의 투명기재층이 투명 접착 재료층을 개입시켜 서로 접합된 것으로 할 수 있어, 이 구성에서는, 제 1 및 제 2의 투명기재층의 각각은, 제 2의 하드 코트층을 개입시켜 상기 투명 접착제층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에 있어서는,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는, 단일의 투명 수지 재료층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단일의 투명 수지 재료층은, 광학적 등방성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혹은, 1/4 파장 위상차층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센서 적층체에 있어서, 투명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폴리에스텔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1~18인 (메타)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메타) 아크릴산 C1-18 알킬 에스테르]를 주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주성분 또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고 있는 아크릴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메타) 아크릴산 C1-18 알킬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 아크릴산 메틸, (메타) 아크릴산 에틸, (메타) 아크릴산 프로필, (메타)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 아크릴산 부틸, (메타) 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 아크릴산 s-부틸, (메타) 아크릴산 t-부틸, (메타) 아크릴산 펜틸, (메타) 아크릴산 헥실, (메타) 아크릴산 헵틸, (메타) 아크릴산 옥틸, (메타) 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 아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 아크릴산 노닐, (메타) 아크리르산이소노닐, (메타) 아크릴산 디실, (메타) 아크릴산 도데실 등의 (메타) 아크릴산 C1-18 알킬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메타) 아크릴산 C1-18 알킬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 사용할 수 있다.
또,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 (메타) 아크릴산 C1-18 알킬 에스테르에 대해 공중합성을 가지고 있는 단량체 성분(공중합성 모노머)이 이용되고 있어도 괜찮다. 특히, 아크릴계 폴리머를 가교 시킬 때,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의 개질용 모노머가 이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질용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의 개질용 모노머로서 알려진 각종 모노머의 어느 것도 사용 가능하다. 공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초산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메타)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메타) 아크릴 아미드, N, N-디메틸(메타) 아크릴 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2-히드록시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 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 헥실(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그리시질(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N, N-디메틸 아미노 에틸(메타)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등의 아미노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메타) 아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마레인산, 무수 말레산, 프말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 등의 각종의 관능기(특히 극성기)를 가지고 있는 공중합성 모노머(관능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 외, 스틸렌 등의 스틸렌계 모노머;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개질용 모노머로서는, 상기 관능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를 이용할 수 있어, 이러한 것 중에서도 히드록실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성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산이 매우 적합하다. 덧붙여 개질용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관능기(특히 극성기)를 이용해 아크릴계 폴리머를 가교 할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를 얻기 위한 중합 방법으로서는, 아조계 화합물이나 과산화물 등의 중합 개시제를 이용해 실시하는 용액 중합 방법, 에멀젼 중합 방법이나 괴상중합 방법, 광개시제를 이용해 빛이나 방사선을 조사해 행하는 중합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특히, 다관능성 멜라민 화합물, 다관능성 엑폭시 화합물,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화 트리 메틸올 멜라민, 부틸화 헥사 메틸올 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관능성 엑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그리시지르아닐린, 그리세린디그리시지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멜라민 화합물 및/또는 다관능성 엑폭시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001~10 중량부, 매우 적합하게는 0.01~5 중량부의 범위이다. 또,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중체, 트리메티롤프로판과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 트리메티롤프로판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 폴리 에테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01~20 중량부, 매우 적합하게는 0.05~15 중량부의 범위이다.
접착제층은,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JIS K 7136에 준한다)이 85%이상(바람직하게는 87%이상,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90%이상)인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양면 점착 시트 1의 헤이즈(JIS K 7136에 준한다)로서는, 예를 들면, 2.0%이하(바람직하게는 1.0%이하,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0.5%이하)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의 기재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광등방성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언더코트층은, 내부 반사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 및 반사 방지의 기능은, 특허 문헌 5에 상술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재료를 언더코트층에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터치 입력 기능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센서 적층체에 있어서, 온도 및 습도 조건의 변화의 영향으로 적층체에 생기는 휨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빛의 내부 반사에 의해 터치 센서 적층체의 투명 도전성층의 패턴이 시인측에서 보이게 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한다, 라고 하는 문제를 큰폭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층 구성이 박형으로 취급이 편리한 정밀 표시 패널 장치용의 터치 센서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센서 적층체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센서 적층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터치 센서 적층체를 사용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터치 센서 적층체를 사용한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터치 센서 적층체를 사용한, 게다가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표시 패널로서 유기 EL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표시장치에 본 발명의 터치 센서 적층체를 사용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포함한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공정을 위한 도공 및 첩합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장치 전체의 개략도, (b)는 첩합 후의 접착제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편광자 적층체 제조를 위한 공정을 나타내는 것이며, (a)는 장치 전체의 개략도, (b)는 얻을 수 있는 편광자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편광 기능 적층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공정 전체의 블럭도, (b)는 얻을 수 있는 적층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터치 센서 적층체의 구성 재료가 되는 기재에 언더코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그 공정의 개략 블럭도, (b)는 언더코트층이 도공된 기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언더코트층을 가지는 기재에 도전성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것이며, (a)는 공정의 블럭도, (b)는 얻을 수 있는 도전성 적층체의 단면도, (c)는 도전성 적층체에 접착제층을 적층해 얻을 수 있는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13(a)은 도전성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개략도, (b)는 도전성 적층체에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 적층체를 적층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c)는 얻을 수 있는 터치 센서 적층체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기재층의 양면에 투명 도전성층을 형성하기 위한 연속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장치에 의해 제조된 적층체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터치 센서 적층체(3)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의 도전성층(31)과,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2의 도전성층(32)을 갖춘다. 제 1의 도전성층(31)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언더코트층(33) 및 하드 코트층(34)을 개입시키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기재층(35) 위에 배치되어 있다. 언더코트층(33)은, 도전체 측에 배치되어 있고, 하드 코트층(34)은, 기재층 측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 2의 도전성층(32)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언더코트층(36) 및 하드 코트층(37)을 개입시키고, 기재층(35)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31, 32)은, 각각 도전체 측의 언더코트층(33, 36) 위에, 예를 들면 스패터링에 의해 부착 형성된다. 이 터치 센서 적층체(3)는, 정전 용량형 터치 입력 센서 유니트를 구성한다. 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의 도전성층(31, 32)은, 소망의 패턴으로 패턴화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층(35)은, 예를 들면 광등방성 수지 재료의 단일층으로서 형성되어, 그 양측의 면에는, 하드 코트층(34, 37)이, 동일한 재료에 의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다른 태양으로서 기재층(35)은, 1/4 파장 위상차층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편광 선글라스의 착용자가, 이 실시 형태에 의한 터치 센서를 갖추는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내부 반사광이 시인 측에 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각 하드 코트층(34, 37)의 외측의 면에는, 동일한 재료에 의해, 언더코트층(33, 36)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언더코트층(33, 36)의 각각은, 전극 패턴이 시인측에서 보이게 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굴절률 조정층으로서 기능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재층(35)의 양측의 하드 코트층(34, 37)의 각각은, 동일한 재료에 의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있고, 언더코트층(33, 36)의 각각도, 동일한 재료에 의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그 외측에 투명 도전성층(31, 32)이 형성된다. 즉, 터치 센서 적층체(3)는, 기재층(35)의 두께 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이 기재층(35)의 중심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대칭의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대칭 구성하는 것에 의해, 온도 및 습도 조건의 변화에 수반해 생기는 일이 있는 휨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센서 적층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재층(35)은, PET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그 양측의 면에 하드 코트층(34, 37)이 각각 형성된다. 하드 코트층(34, 37)의 외측에 형성되는 언더코트층(33, 36)은, 하드 코트층(34, 37) 측의 제 1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33a, 36a)과, 그 외측에 형성되는 제 2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33b, 36b)으로 된다. 제 2의 언더코트층(33b, 36b)의 외측에는, 도전성층(31, 32)이, 각각 형성된다. 제 1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33a, 36a)은, 제 2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33b, 36b)보다도 높은 굴절률을 가진다. 또, 제 1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33a, 36a)은, 두께가 35 nm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33b, 36b)은, 제 1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33a, 36a)보다 두께가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 2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33b, 36b)의 두께는, 제 1의 굴절률 조정용 언더코트층(33a, 36a)의 두께의 1/2 이하로 한다. 이 구성은, 전극 패턴의 패턴 외관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도전체 측 언더코트층(33, 36)의 각각은, 대응하는 도전성층(31, 32)과 같게 패턴화 된다. 도전체 측 언더코트층(33, 36)은, 각각이 대응하는 기재 측 하드 코트층(34, 37)보다도 굴절률이 작은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또, 도전체 측 언더코트층(33, 36)은, 각각이 대응하는 기재 측 하드 코트(34, 37)보다도 두께가 얇은 구성이다. 도전체 측 언더코트층(33)과, 기재 측 하드 코트층(34)과의 사이의 굴절률 및 두께의 상술한 관계에 의해, 시인 측에 배치된 제 1의 도전성층(31)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이 제 1의 도전성층의 패턴이 윈도우를 통해 보인다, 라고 하는 패턴 외관의 문제가 큰폭으로 경감된다.
도 3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터치 센서 적층체를 사용한 표시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가, 제 1의 투명기재층(35)과 제 2의 투명기재층(38)을 포함한다. 제 1의 투명기재층(35)의 면에는, 하드 코트층(35a)가 형성되어, 이 하드 코트층(35a) 위에 언더코트층(33)이 형성된다. 언더코트층(33) 위에 제 1의 투명 도전성층(31)이 형성된다.
제 2의 투명기재층(38)의 면에는, 하드 코트층(38a)이 형성되고, 이 하드 코트층(38a) 위에 언더코트층(36)이 형성된다. 언더코트층(36) 위에 제 2의 투명 도전성층(32)이 형성된다. 제 1의 투명 도전성층(31)과 제 2의 투명 도전성층(38)은, 제 1의 투명 도전성층(31) 내측의 면에 형성된 하드 코트층(35b) 및 제 2의 투명 도전성층(38) 내측의 면에 형성된 하드 코트층(38b)을 개입시키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39)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터치 센서 적층체(3)가 구성된다.
터치 센서 적층체(3)에는, 제 1의 투명 도전성층(31) 측에 있어서, 편광자 필름(51)이, 접착제층(21)을 개입시켜 접착된다. 편광자 필름(51)과 윈도우(7) 사이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9)에 의해 충전된다. 즉, 윈도우(7)는, 그 전면에 걸쳐, 접착제층(9)에 의해 터치 센서 적층체(3)에 접합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윈도우(7)에는, 그 내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가선 두름 인쇄(13)가 실시되어 있고, 이 가선 두름 인쇄(13)는,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단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도 3의 구성에 의하면, 윈도우(7)는 접착제층(9)을 개입시켜 전면이 터치 센서 적층체(3)에 접합되므로, 가선 두름 인쇄(13)에 의한 단부는 접착제층(9)의 접착제에 의해 묻히게 된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윈도우(7)와 터치 센서 적층체(3) 사이에 공기 간극을 일으키는 것이 없고, 공기 간극에 기인하는 내부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윈도우(7)와 터치 센서 적층체(3) 사이에 공기 간극이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제 1의 투명 도전성층(31)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한 패턴 외관의 문제가, 더욱더 경감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패널(5)은, 액정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되고, 액정 표시 패널판에, 편광 필름층(52)이 접합된다. 표시 패널(5)은, 접착제층(11)을 개입시키고, 제 2의 기재층(38)에 접합된다.
도 6은, 표시 패널(5)로서 유기 EL표시 패널이 사용되고, 터치 센서 적층체(3)의 투명기재층(35, 38)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가 사용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터치 센서 적층체(3)는, PET로 되는 제 1의 투명기재층(35) 위에, 언더코트층(34)을 개입시켜서 배치된 제 1의 투명 도전성층(31)과, PET로 되는 제 2의 투명기재층(38) 위에, 언더코트층(37)을 개입시켜서 배치된 제 2의 투명 도전성층(32)을 가지며, 제 1의 투명기재층(35) 위에는, 투명 도전성층(31)과는 반대측의 면에, 올리고머 방지층(35c)이 배치되고, 제 2의 투명기재층(38) 위에는, 투명 도전성층(32)과는 반대측의 면에, 올리고머 방지층(38c)이 배치된다. 또, 터치 센서 적층체(3)와 표시 패널(5) 사이에는, 원편광 기능 적층체(115)가 배치된다. 이 원편광 기능 적층체(115)는, 편광 필름층(115a)과, 이 편광 필름층(115a)에 접착된 λ/4 위상차 필름층(115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광 필름층(115a)이 접착제층(11)에 의해 터치 센서 적층체(3)에, λ/4 위상차 필름층(115c)이 접착제층(53)을 개입시켜 표시 패널(5)에, 각각 접합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언더코트층(34, 37)과 도전성층(31, 32) 사이에, 도 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와 같게, 언더코트층을 설치하고, 이러한 언더코트층을 도전성층(31, 32)과 같게 패턴화하여, 패턴 외관의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표시 패널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층에 있어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의 형성)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먼저 접착제의 기본 구성 재료가 되는 모노머와 중합 개시제를, 용제와 함께 혼합 교반했다.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아크릴산 2-메톡시 에틸 70 중량부와 아크릴산 2-에틸 헥실 29 중량부, 아크릴산 4-히드록시 부틸 1 중량부로 되는 혼합물을 이용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2, 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를 이용하고, 중합 용매로서 초산에틸 100 중량부를 이용했다. 이러한 재료를 세파라블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했다(S5-1).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63℃로 온도상승 하고, 10시간 반응시키고(S5-2), 톨루엔을 더해, 고형분 농도 25 중량%의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S5-3). 이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은,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A」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 또, 이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A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아크릴계 폴리머A로 불리는 일이 있으며, 그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150만이었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프(gel permeation chromatography)(GPC)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GPC 측정 장치로서, 도소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HLC-8120 GPC」를 사용해, 폴리스티렌 환산치에 의해, 다음의 GPC 측정 조건으로 측정해 중량 평균 분자량 Mw를 구할 수 있다.
GPC 측정 조건
샘플 농도:0.2 중량%(테트라 히드로 푸란 용액)
샘플 주입량:10μl
용리액:테트라 히드로 푸란(THF)
유량(유속):0.6ml/분
컬럼 온도(측정 온도):40℃
컬럼:상품명 「TSKgelSuperHM-H/H4000/H3000/H2000(도소 주식회사)
검출기:시차굴절계(RI)
중합 후의 아크릴계 폴리머에, 가교제와 첨가제를 배합해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S5-4). 가교제로서,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일본 폴리우레탄 공업 주식회사제의 상품명 「콜로네이트 L」)을,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A 100 중량부(아크릴계 폴리머A 100 중량부)에 대해서 0.3 중량부 더해 용액상의 접착제 조성물을 조정했다. 이와 같이 해 얻을 수 있던 접착제 조성물을, 박리 라이너에 도공했다(S5-5). 도 8(a)는, 이 도공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박리 라이너(60)는, 롤 형태(60a)로 준비되어, 안내 롤(61)을 거쳐 건조기(62)에 보내진다. 롤(60a)로부터 조출된 박리 라이너(60)에는, 안내 롤(61)에 이르는 도중에 도공 장치(63)에 의해, 상술의 공정으로 조정된 접착제 용액이 층상으로 도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박리 라이너(60)로서, 표면을 리형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두께 38μm의 필름을 사용했다. 접착제 용액은, 박리 라이너(60)의 리형처리 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μm가 되도록 도포했다. 접착제 용액이 도포된 박리 라이너(60)는 건조기(62)에 통과되어, 접착제 용액의 용제가 증발되게 된다. 건조기(62)를 나온 박리 라이너(60)는, 한 쌍의 니프 롤(64a, 64b)에 통과된다. 게다가 이 니프 롤(64a, 64b)에는, 제 2의 롤(66)로부터 조출된 제 2의 박리 라이너(65)가, 제 1의 박리 라이너(60)에 형성된 층상의 접착제에 겹쳐지도록 보내지고, 니프 롤(64a, 64b)에 의해 접착제층에 압부(押付)되어 접합된다. 제 2의 박리 라이너(65)는, 제 1의 박리 라이너(60)와 같은 필름에 의해 구성되지만, 접착제층에 대한 박리력이, 제 1의 박리 라이너(60)에 있어서의 것보다도 가벼워지도록, 접착제층에 접착되는 면에, 리형처리를 실시한다.
제 1의 니프 롤(64a, 64b)을 나온 적층체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층(67)의 양측으로 제 1 및 제 2의 박리 라이너(60, 63)가 첩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롤(68)로서 권취된다. 도 7에는, 건조 공정이 스텝 S5-6으로 나타나고 있고, 제 2의 박리 라이너(65)의 첩합 공정이 스텝 S5-7로 나타나고 있다. 제조된 접착제 적층체(69)는, 제품 검사(S5-8)를 거쳐서 출하된다(S5-9).
(편광자 필름의 형성)
도 9에 편광자 필름의 제조 공정을 개략도로 나타낸다. 원재료가 되는 필름(71)은, 폴리비닐 알코올(PVA)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 재료로 되며, 롤(72)의 형태로 준비된다. 롤(72)로부터 조출된 PVA 필름(71)은, 수조(73)에서 물에 침지되어, 물에 의해 팽윤 된다. 그 다음에, 물에 의해 팽윤 한 PVA 필름(71)은, 요오드를 포함한 염색액을 가지는 염색조(74)에 통과되고, 이 염색조(74)에서 요오드가 함침된다. 요오드가 함침된 PVA 필름(71)은, 다음에, 제 1 및 제 2의 가교조(75, 76)에 통과된다. 가교조(75, 76)에는 요오드 칼륨 및 붕산을 포함한 가교 욕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가교 처리가 진행한다. 이 가교 처리의 과정에서, PVA 필름(71)에는 연신이 실시된다. 이 연신은, 가교조(75, 76)를 통해 PVA 필름(71)을 보내는 롤의 구동 속도를, 입구 측보다 출구 측이 높게 되도록 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연신 공정을 거친 PVA 필름(71)은, 세면조(77)에서 세면되고, 양면에 보호 필름(78a, 78b)이 첩합되어, 도 9b에 나타내는 적층체(79)가 된다.
(위상차 필름의 형성)
위상차 필름은, 수지 필름의 연신 배율과 연신 온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소망의 위상차이, 위상차 필름의 광학 보상에 필요한 필름의 두께,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 사용되는 필름의 두께, 연신 온도 등에 따라 적당히 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차 필름의 제조는, 주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1/4λ위상차 필름은, 이 주지의 방법을 이용하고, 1/4λ위상 분의 위상차이가 생기도록 조정된다.
(편광 기능 적층체의 형성)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 형성되는 1/4λ위상차 필름을, 도 9(b)에 나타내는 편광자 적층체(79)에 첩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편광 기능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0(a)는, 편광자 적층체(79)와 1/4λ위상차 필름의 첩합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먼저, 편광자 필름의 기재가 되는 PVA 필름이, 요오드에 의한 염색을 행하는 염색공정(S8-1), 연신 공정(S8-2)을 거쳐 도 9에 나타내는 편광자 필름(71)이 되고, 보호 필름(78a, 78b)과 첩합하기 위한 첩합 공정(S8-3)에 보내진다. 첩합 공정(S8-3)에서는, 편광자 필름(71) 양면에 보호 필름(78a, 78b)이 첩합된다. 그 다음에, 편광자 필름(71) 한쪽의 면에 접착제가 도공된다(S8-4). 접착제가 도공된 편광자 필름(71)은, 필요에 따라서, 이 편광자 필름이 사용되는 표시 패널 장치의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로, 예를 들면 펀칭에 의해 재단된다(S8-5). 표시 패널 장치가 길이가 긴 롤 모양의 형태로, 표시 패널판과의 연속적 첩합 공정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 재단 공정은 생략된다.
1/4λ위상차 필름은, 접착제 도공(S8-6)을 실시한 후, 표시 패널 장치의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로 재단된다(S8-7). 편광자 필름 적층체(79)의 경우와 같게, 표시 패널 장치가 길이가 긴 롤 모양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 재단 공정은 생략된다. 필요에 따라서 재단된 위상차 필름은, 접착제 도공 되어 있지 않은 면이, 편광자 필름 적층체(79) 위의 접착제층에 의해 이 적층체(79)에 접합된다(S8-8). 얻을 수 있던 제품은, 테두리의 성형 등, 필요한 마무리 처리를 실시하고(S8-9), 제품 검사를 거치고(S8-10), 다음 공정에 보내진다. 도 16(b)는, 얻을 수 있던 편광 기능 적층체(81)를 나타내는 것으로, 편광자 필름 적층체(79)는 접착제층(79a)을 개입시켜 1/4λ위상차 필름(80)에 접합된다. 1/4λ위상차 필름(80) 외측면에는 접착제층(80a)이 존재한다. 필요에 따라서, 이 1/4λ위상차 필름(80) 외측면의 접착제층(80a)에는, 박리 라이너(도시하지 않음)가 첩합된다. 이 편광 기능 적층체(81)은, 편광자 필름 적층체(79)와 1/4λ위상차 필름(80)이 시인측에서 봐 이 순서로 조합되는 것에 의해, 원편광 기능을 가지는 것이 된다.
(터치 센서 적층체의 형성)
터치 센서 적층체(3)의 기본적 구성층은, 투명기재층과 언더코트층, 접착제층, 및 투명 도전성층이다. 기재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투명성을 가지는 각종의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재층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텔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텔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오레핀계 수지, (메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 염화 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 특히 바람직한 재료는, 폴리에스텔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오레핀계 수지이다. 기재층 재료에 있어서는, 특허 문헌 5에 상세한 기재가 있고, 여기에 기재된 재료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시판의 PET 필름으로서는, 미츠비시 폴리에스텔 주식회사제의 필름이 있고, 1085mm 폭으로, 두께 23μm의 것과 50μm의 것을 입수할 수 있다. 적층 공정 중에 받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올리고머를 방지하기 위한 올리고머 방지층을 부여한 PET 필름을 입수 가능하다. 시인측에서 봐 편광 기능 적층체보다 내측에 터치 센서 적층체가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기재층은, PET가 아니고, 광등방성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더코트층은,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방법의 어떠한 것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도 11(a)에 언더코트층의 도공 공정을 나타낸다. 언더코트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 수지와 알키드 수지 및 유기 시란 축합물을, 중량비 2:2:1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 혼합물은, 고형분의 중량비가 30%이며, 모멘티브·퍼포먼스·머테리알즈사로부터, 상품명 SHC900로서 입수할 수 있다. 이 언더코트 원재료 혼합물에, 희석용 액상 혼합 용제를 더하고, 희석 교반한다(S9-1). 이 용제는, 예를 들면, 시크로펜타논과 톨루엔과 메틸 에틸 케톤을 중량비 4:3:3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용제의 혼합 비율은, 언더코트 원재료 혼합물의 고형분이 1.5중량%가 되도록 정한다. 희석된 언더코트 원재료 혼합물은, 한 면에 올리고머 방지층이 미리 형성된 PET 필름의 올리고머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도포된다(S9-2). 이 공정에 의해,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PET 필름(91)의 한쪽의 면에 올리고머 방지층(92)이, 다른 한쪽의 면에 언더코트층(93)이 형성된 언더코트 적층체(90)가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언더코트층(93) 위에 제 2의 언더코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1(b)에는, 2층으로 구성되는 언더코트층을 나타내기 위해서, 부호 93a, 93b를 괄호 내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해 형성된 언더코트 적층체(90)에 대해서, 도전성층을 형성하기 위한 스패터링 공정이 행해진다. 도 12(a)는, 이 스패터링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a)의 공정에 의해 형성된 언더코트 적층체(90) 외측의 언더코트층(93b)의 면에 대해서, 진공 분위기 하에서, 산화 인듐 90 중량%, 산화 주석 10 중량%로 되는 스패터링의 타겟 재료가, 아르곤 98 체적% 및 산소 2 체적%로 되는 도입 가스에 의해서 플라스마화 된 상태로 스패터링 된다(S10-1). 이와 같이 하여, 도 12(b)에 나타내는 도전성층(101)이 외측의 언더코트층(93b) 위에 형성된 도전성 적층체(100)를 얻을 수 있다. 이 도전성 적층체(100)에 대해서, 접착제층에 의해 박리 라이너가 첩합된다(S10-2). 도 12(c)에, 이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던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층 적층체(104)를 나타낸다.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층 적층체(104)는, 기재층(91)의 한쪽의 면에, 제 1의 언더코트층(93a)과 제 2의 언더코트층(93b)이 이 순서로 형성되고, 게다가 제 2의 언더코트층(93b) 위에 도전성층(101)이 형성되어, 기재층(91)의 언더코트층(93a)과는 반대 측의 면에 접착제층(102)을 개입시켜 박리 라이너(103)가 접합된 적층 구조이다.
도 13(a)는, 도 12에 있어서의 접착제층(102)의 첩합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에 있어서, 도전성 적층체(100)와 도 8에 나타내는 공정으로 형성된 접착제 적층체(69)가, 각각의 롤로부터 조출되고, 한 쌍의 니프 롤(110a, 110b)의 사이로 통과된다. 도전성 적층체(100)는, 그 위에 형성된 올리고머 방지층(92)이 접착제 적층체(69)에 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롤로부터 공급된다. 접착제 적층체(69)도 마찬가지로 롤 형태로 준비되어, 한쪽의 측에 설치된 박리 라이너(60)를 박리 롤(111)에 의해 벗기면서, 노출된 접착제층이 도전성 적층체(100)에 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니프 롤(110a, 110b) 사이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2(c)에 나타내는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층 적층체(104)를 얻을 수 있다. 이 접착제층 부착 도전성 적층체(104)는,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 모양으로 감겨진다. 이 접착제 부착 적층체(104)에 대해서, 도 12(b)에 나타내는 도전성 적층체(100)를 첩합하고, 터치 센서 적층체(3)를 형성한다. 도 13(b)는, 그 첩합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b)에 있어서, 도전성 적층체(100)는 롤 형태로 준비된다. 도전성 적층체(100)는, 롤로부터 조출되고, 기재층(91) 위의 올리고머 방지층(92)이 하측으로 되는 상태로, 한 쌍의 니프 롤(112a, 112b) 사이에 보내진다. 접착제 부착 도전성 적층체(104)는, 박리 라이너(103)가 상측이 되는 상태로, 롤로부터 조출되어, 박리 롤(113)에 의해 박리 라이너(103)가 벗겨지고, 노출된 접착제층(102)이 도전성 적층체(100)에 접하는 상태로, 니프 롤(112a, 112b)의 사이에 보내진다. 적층체(100, 104)는 니프 롤(112a, 112b)에 의해 서로 압부되어 접합되어, 터치 센서 적층체가 된다. 터치 센서 적층체의 양면의 도전성층(101)은, 건조 오븐에 통하는 것 등의 방법에 의해 가열되어 결정화된 후, 주지의 에칭 공정에 의해 소망의 패턴으로 패턴 형성된다. 패턴 형성의 공정은 주지이며, 예를 들면, 특허 문헌 6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전성층에 패턴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 3~도 6에 나타내는 표시 패널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센서 적층체(3)를 얻을 수 있다. 이 터치 센서 적층체의 단면을 도 13(c)에 나타낸다.
도 14에, 단일 필름으로 되는 기재층(35)의 양면에 투명 도전성층을 형성할 수 있는 성막 장치(200)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성막 장치(200)에는, 롤 모양으로 감겨진 길이가 긴 기체 재료 필름(210)을 수용할 수 있는 제 1 롤실(W1), 제 2 롤실(W2), 및 제 3 롤실(W3)과 제 1 롤실(W1)과 제 3 롤실(W3)의 사이에 설치한 제 1 성막실(241), 제 3 롤실(W3)과 제 2 롤실(W2)의 사이에 설치한 제 2 성막실(242), 제 1 롤실(W1)과 제 1 성막실(241)의 사이에 설치한 가열실(231), 가열실(231)과 제 1 성막실(241)의 사이에 설치한 플라스마 처리 장치(240, 240'), 및, 기체(210)의 경로 변경을 행하기 위한 전환 롤(283, 283')이 포함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롤실(W1)로부터 제 2 롤실(W2)에 향하는 제 1의 방향(A)에 기체 재료 필름(210)이 반송되는 동안에, 기체 재료 필름(210)은, 전환 롤(283)에 도달할 때까지 같은 경로를 따라서 이동한다. 전환 롤(283)에 도달된 후는, 기체 재료 필름(210)은, 제 1의 반송 경로를 지나는 경우에는, 파선으로 가리킨 바와 같이, 전환 롤(283')로 반전되는 것에 의해서, 제 2 성막실(242)을 제 2 롤실(W2)로부터 제 1 롤실(W1)에 향하는 제 2의 방향(B)에 따라서 통과하고, 한편, 제 2의 반송 경로를 지날 때는, 실선으로 가리키는 바와 같이, 제 2 성막실(242)을 제 1의 방향(A)에 따라서 통과한다.
도 14의 장치(200)는, 진공 증착법, 스패터링법, 화학 기상 성장법(CVD) 등, 어느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스패터링법에 의하면, 큰 면적의 균일 스패터링이 가능하고, 또, 연속 생산성이 높고, 안정성이 양호하고, 치밀한 박막 형성이 가능하다. 또, 스패터링법 중에서도, 특히, DC마그네트론 스팩터법에 의하면, 타겟 표면에 자장을 형성해, 전자를 가두는 것으로, 기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각 실을 진공으로 한 상태로 행한다.
진공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장치(1)의 각 실의 사이에는 칸막이(214)가 설치된다. 또, 이러한 각 칸막이(214)에는, 기체 재료 필름(210)을 통과시키는 극간(213)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작업 공간 이외의 실의 진공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소정의 위치에 로드 락 기구(213, 213')를 설치할 수 있다. 로드 락 기구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방법으로 사용되는 기체 재료 필름(210)은, 예를 들면, PET 필름 등의 각종의 수지 필름이면 좋다. 단, 기체 재료 필름(210)은,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 모양이며, 가요(可撓)성을 가져, 롤 모양으로 권회 가능한 것이다. 성막 때, 기체 재료 필름(210)은, 복수 배열된 안내 롤(229) 등을 이용하고, 롤실(W1)로부터 롤실(W3)까지의 사이를, 제 1 롤실(W1)로부터 제 2 롤실(W2)에 향하는 제 1의 방향(A), 또는 제 2 롤실(W2)로부터 제 1 롤실(W1)에 향하는 제 2의 방향(B)에, 반송할 수 있다.
롤 모양의 기체 재료 필름(210)을 지지하기 위해, 제 1 롤실(W1)에는 제 1의 조출·권취 롤(221)이, 제 2 롤실(W2)에는 제 2의 조출·권취 롤(222)이, 각각 설치되고 있다. 기체 재료 필름(210)을 제 1의 방향(A)에 반송시키는 경우에는, 제 1 조출·권취 롤(221)은 조출을, 제 2 조출·권취 롤(222)은 권취를 행한다. 한편, 기체 재료 필름(210)을 제 2의 방향(B)에 반송시키는 경우에는, 제 2 조출·권취 롤(222)은 조출을, 제 1 조출·권취 롤(221)은 권취를 행한다.
가열실(231)에서는, 기체 재료 필름(210)이 가열되고, 이 기체 재료 필름(210)에 탈가스 처리나 아닐 처리가 실시된다. 예를 들면, 제 1 롤실(W1)과 제 1 성막실(241)의 사이에 설치한 가열실(231)에 있어서는, 제 1 성막실(241)에 있어서의 성막 전에 기체 재료 필름(210)을 가열하고, 이 기체 재료 필름(210)을 탈가스 할 수 있다. 진공 처리 시 등에는, 기체 재료 필름(210)으로부터 수분이 발생하는 일이 있지만, 이 수분은 성막되는 막의 조성에 큰 영향을 준다. 상기의 위치에 가열실(231)을 마련하면, 수분을 제거하고, 영향을 저감 시킬 수 있다.
또, 제 2 성막실(242)과 제 2 롤실(W2)의 사이에 가열실(도시되어 있지 않다)을 설치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 2 성막실(242)에 있어서 성막을 한 기체 재료 필름(210)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것에 의해서, 기체 재료 필름(210)에 성막한 투명 도전성막재료에 아닐 처리를 실시 해, 막의 원자 배열을 규칙적으로 늘어선 결정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 성막실(241)과 제 2 성막실(242)의 사이 등에 가열실을 설치해도 좋다. 단, 후술하는 성막실의 회전 드럼에 의한 가열 기능 등을 이용하여, 가열실을 설치하는 일 없이 같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플라스마 처리 장치(240, 240')가, 기체 재료 필름(210)을 플라스마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플라스마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기체 재료 필름(210)의 표면을 활성화 해, 클리닝 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 그 후의 성막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가열실 같이, 플라스마 처리 장치를 설치하는 위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열실(231)과 제 1 성막실(241)의 사이에 설치된 플라스마 처리 장치(240, 240')를 이용하면, 제 1 성막실(241)에 있어서의 성막 전에 기체 재료 필름(210)에 플라스마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 성막실(241)과 제 2 성막실(242)의 사이에 플라스마 처리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성막실은 적어도 2개 있으면 충분하다. 단, 추가의 성막실을 설치해도 좋다. 추가의 성막실을 설치하는 위치는, 제 1 롤실(W1)과 제 2 롤실(W2)의 사이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열실(231)과 제 1 성막실(241)의 사이에 있어도 괜찮다. 이러한 성막실에서 성막되는 막재료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투명 도전성층이다.
제 1 성막실(241)은, 제 1회전드럼(251)과 제 1 음극 전극(261)을 갖춘다. 제 1회전드럼(251)은, 기체 재료 필름(210)을 제 1의 방향(A) 혹은 제 2의 방향(B)에 반송하도록 회전할 수 있어, 기체 재료 필름(210)은, 그러한 주위를 거쳐, 제 1의 방향(A) 또는 제 2의 방향(B)에 반송된다. 또한, 제 1회전드럼(251)은, 기체 재료 필름(210)을 가열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어도 괜찮다. 제 1회전드럼(210)의 가열 기능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가열실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따라서, 제 1회전드럼(251)에 의해서 가열실의 가열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고, 반대로, 가열실의 가열 기능에 의해서 제 1회전드럼(251)에 있어서의 가열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다.
제 1 음극 전극(261)은, 제 1회전드럼(251)에 대해서 복수 설치된다. 이것들 복수의 제 1 음극 전극(261)은 각각, 소정의 막재료 예를 들면 ITO를 성막하기 위한 타겟을 지지한 상태로, 제 1회전드럼(251)에 대향해 가동 상태로 배치된다.
(언더코트층에 의한 패턴 외관 억제 효과의 확인)
[검사 방법]
<굴절률>
각층의 굴절률은, 아타고사 제의 아빼 굴절률계를 이용해, 각종 측정면에 대해서 측정광(나트륨 D선)을 입사시키도록 하고, 이 굴절률에 나타나는 규정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을 행했다.
<각층의 두께>
필름기재, 투명 기체, 하드 코트층, 접착제층 등의, 1μm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에 관해서는, 미튜토요사 제 마이크로 게이지식 두께계에서 측정을 행했다. 하드 코트층, 접착제층 등의 직접 두께를 계측하는 것이 곤란한 층에 대해서는, 각층을 설치한 기재의 총 두께를 측정하고, 기재의 두께를 공제하는 것으로 막 두께를 계산했다.
유전체층 및 ITO막 등의 두께는, 오오츠카 전자사 제의 순간 멀티 측광 시스템 「MCPD2000」(상품명)을 이용해, 간섭 스펙트럼의 파형을 기초로 산출했다.
<반사 특성>
히타치 하이테크사 제의 분광 광도계 「U-4100」(상품명)의 적분구 측정 모드를 이용하고, ITO막에의 입사각을 2도로 하고, 파장 380 nm~780 nm의 영역에 있어서의 패턴부와 패턴 개구부의 직하의 반사율을 5 nm간격으로 측정했다. 그 다음에, 패턴부와 패턴 개구부의 직하의 평균 반사율을 산출해, 이러한 평균 반사율의 값으로부터 패턴부와 패턴 개구부의 직하와의 사이의 반사율 차 ΔR를 산출했다. 또한, 상기 측정은, 터치 센서 적층체(샘플)의 이면측(PET 필름측)에 흑색 스프레이를 이용해 차광층을 형성해, 샘플의 이면으로부터의 반사나 이면 측에서의 빛의 입사가 대부분 없는 상태로 측정을 행했다. 또, D65 광원을 이용하고, 패턴부 및 패턴 개구부의 직하의 각각의 반사광의 L*, a*, b*를 산출해, 이하의 식을 이용해 패턴부의 반사광과 패턴 개구부의 직하의 반사광의 색 차 ΔE를 산출했다.
ΔE={(ΔL*)2+(Δa*)2+(Δb*)20.5
[실시예]
[실시예 1]
(언더코트층의 형성)
두께 25μ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PET 필름이라고 한다)으로 되는 투명 필름기재(굴절률 n1=1.65)의 한쪽의 면에, 멜라민 수지:알키드 수지:유기 시란 축합물의 중량비 2:2:1이 열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도포해, 그 후, 건조, 경화시키고, 막 두께 20 nm의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1의 언더코트층을 형성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의 언더코트층의 굴절률 n21는 1.54였다.
그 다음에, 실리카 콜로이드 용액(콜코트사 제, 콜코트 P)을, 고형분 농도가 2 중량%가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해, 제 1의 언더코트층 위에, 실리카코트법에 의해 도포해, 그 후에 건조, 경화시키고, 막 두께 10 nm의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2의 언더코트층을 형성했다.제 2의 언더코트층의 굴절률 n22는 1.46이었다.
(ITO막의 형성)
다음에, 제 2의 언더코트층 위에, 아르곤 가스 98%와 산소 가스 2%로 되는 0.4 Pa의 분위기 중에서, 산화 인듐 97 중량%, 산화 주석 3 중량%의 소결체 재료를 이용한 반응성 스패터링법에 의해, 두께 23 nm의 ITO막(굴절률 n3=2.00)을 형성하고, 터치 센서 적층체를 얻었다.
(ITO막의 패턴화)
투명 도전성 필름의 투명 도전층에,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패턴화되고 있는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해, 건조, 경화한 후, 25℃, 5 중량%의 염산(염화수소 수용액)에, 1분간 침지하고, ITO막의 에칭을 행했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했다.
(ITO막의 결정화)
ITO막의 에칭을 행한 후, 140℃로 90분간의 가열 처리를 행해서, ITO막을 결정화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PET 필름의 한쪽의 면에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1의 언더코트층,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2의 언더코트층 및 ITO막을 형성하고, 터치 센서 적층체를 얻었다.
(ITO막의 패턴화)
터치 센서 적층체의 투명 도전막에,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패턴화되고 있는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해, 건조, 경화한 후, 25℃, 5 중량%의 염산에, 1분간 침지하고, ITO막의 에칭을 행했다.
(제 2의 언더코트층의 패턴화)
ITO막의 에칭을 행한 후, 잇따라 포토레지스트를 적층한 채로, 45℃, 2 중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에, 3분간 침지하고,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2의 언더코트층의 에칭을 행해, 그 후,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했다.
(ITO막의 결정화)
ITO막 및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2의 언더코트층을 패턴화한 후, 140℃로 90분간의 가열 처리를 행해서, ITO막을 결정화했다.
[실시예 3, 4]
실시예 3 및 4에 있어서는, 각각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패턴부와 패턴 개구부를 가지는 터치 센서 적층체를 제작했다. 다만, 실시예#3 및 #4에 있어서는,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1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를 35 nm,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2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를 5 nm로 한 점에 있어서는, 실시예#1 및#2와는 달랐다.
[실시예 5, 6]
실시예 5 및 6에 있어서는, 각각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패턴 개구부와 패턴 개구부를 가지는 터치 센서 적층체를 제작했다. 다만, 실시예 5 및 6에 있어서는,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1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를 30 nm,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2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를 15 nm로 한 점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2와는 달랐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패턴부와 패턴 개구부를 가지는 터치 센서 적층체를 제작했다. 다만, 비교예 1에 있어서는,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1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를 45 nm,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2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를 10 nm로 한 점에 있어서, 실시예 1과는 달랐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패턴부와 패턴 개구부를 가지는 터치 센서 적층체를 제작했다. 다만, 비교예 2에 있어서는,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1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를 30 nm,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2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를 30 nm로 한 점에 있어서, 실시예 1과는 달랐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패턴부와 패턴 개구부를 가지는 터치 센서 적층체를 제작했다. 다만, 비교예 3에 있어서는,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1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를 40 nm,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2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를 30 nm로 한 점에 있어서, 실시예 1과는 달랐다.
[비교예 4]
비교예 4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패턴부와 패턴 개구부를 가지는 터치 센서 적층체를 제작했다. 다만, 비교예 4에 있어서는,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1의 언더코트층이 아래와 같이 형성된 점, 및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2의 언더코트층의 두께를 35 nm로 한 점에 있어서, 실시예 1과는 달랐다.
(제 1의 언더코트층의 형성)
두께를 25μm의 PET 필름기재(굴절률 n1=1.65)의 한쪽의 면에,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1의 언더코트층으로서, 막 두께 20 nm의 실리콘주석 산화물을 스패터링법에 의해 형성했다. 이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1의 언더코트층의 굴절률은 1.70이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터치 센서 적층체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1언더코트층 제 2 언더코트층










반사 특성
n21 d21(nm) n22 d22(nm) 패턴화 ΔE ΔR(%)
실시예1 1.54 20 1.46 10 3.2 0.26
실시예2 1.54 20 1.46 10 2.4 0.19
실시예3 1.54 35 1.46 5 5.4 0.65
실시예4 1.54 35 1.46 5 5.2 0.46
실시예5 1.54 30 1.46 15 6.5 0.56
실시예6 1.54 30 1.46 15 5.4 0.47
비교예1 1.54 45 1.46 10 8.9 1.23
비교예2 1.54 30 1.46 30 11.3 1.19
비교예3 1.54 40 1.46 30 12.7 1.94
비교예4 1.70 20 1.46 35 6.8 1.08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터치 센서 적층체는, 투명 도전층이 패턴화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패턴부와 패턴 개구부와의 사이의 반사율 차 및 색 차가 작기 때문에, 패턴이 시인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 4,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의 언더코트층이 투명 도전층과 같게 패턴화되었을 경우는, 패턴이 보다 시인되기 어렵고 외관이 양호하다라고 말할 수 있다.
[실시예 7]
(하드 코트층의 형성)
기재로서 두께 25μ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PET 필름이라고 한다)으로 되는 투명 필름기재(굴절률 n1=1.65)를 사용했다. 또,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로서, 이소시아눌산계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아크릴레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우레탄으로 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DIC 사제의 「유니디크 17-806」)에, 수지 고형분 100부 당, 광중합 개시제(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사제의 「이르가큐아 907」) 5부를 더한 것을, 초산 부틸/초산에틸이 2/3의 혼합 용매에 의해, 고형분 농도가 50%가 되도록 희석해 조제한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를 사용했다.
상기의 PET 필름기재의 양면에, 상기의 하드 코트층 형성 재료를, 다이코터에서 도공해, 100℃로 3분 가열해 건조했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에 의해 적산 광량 200 mJ/cm2 의 자외선을 조사해 경화 처리해, 두께가 2μm의 하드 코트층(굴절률 n2=1.52)을 형성했다.
(언더코트층의 형성)
그 다음에 양면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기재의 양쪽 모두의 면에, 멜라민 수지:알키드 수지:유기 시란 축합물의 중량비 2:2:1로 한 열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도포해, 그 후, 건조, 경화시키고, 막 두께 20 nm의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1의 언더코트층을 형성했다. 이 예에 있어서, 제 1의 언더코트층의 굴절률 n31는 1.54였다.
그 다음에, 양면에 제 1 유전체층이 도공된 투명 필름기재의 양쪽 모두의 면에, 실리카 콜로이드 용액(콜코트사 제, 콜코트 P)을, 고형분 농도가 2 중량%가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해, 제 1의 언더코트층 위에, 시리카코트법에 의해 도포해, 그 후에 건조, 경화시키고, 막 두께 10 nm의 유전체층으로 구성되는 제 2의 언더코트를 형성했다. 제 2의 언더코트층의 굴절률 n32는 1.46이었다.
(ITO막의 형성)
다음에, 제 2의 언더코트층 위에, 아르곤 가스 98%와 산소 가스 2%로 되는 0.4 Pa의 분위기 중에서, 산화 인듐 97 중량%, 산화 주석 3 중량%의 소결체 재료를 이용한 반응성 스패터링법에 의해, 두께 23 nm의 ITO막(굴절률 n4=2.00)을 형성하여, 터치 센서 적층체를 얻었다.
그 다음에, 반대측의 면에도 같은 조작을 반복해 ITO막을 성막해, 양측으로 ITO막을 성막한 터치 센서 적층체를 얻었다.
(ITO막의 패턴화)
터치 센서 적층체의 한쪽의 투명 도전층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한 보호층을 붙여, 다른 한쪽의 투명 도전층에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패턴화되고 있는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해, 건조, 경화한 후, 25℃, 5 중량%의 염산(염화수소 수용액)에, 1분간 침지하고, ITO막의 에칭을 실시했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해, 제 1 투명 전극 패턴을 형성했다. 그 다음에, 제 1 투명 전극 패턴을 보호층에 의해 보호해, 상기와 같은 조작을 행해, 제 2 투명 전극 패턴을 형성했다.
(ITO막의 결정화)
상기 ITO막의 에칭을 행한 후, 140℃로 90분간의 가열 처리를 행해서, ITO막을 결정화했다.
[비교예 5]
실시예 7에 있어서, 한쪽 편의 하드 코트층을 도공하지 않고, 또 언더코트층을 도공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같은 조작을 행해 터치 센서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6]
실시예 7에 있어서, 한쪽 편의 언더코트층을 도공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같은 조작을 행해 터치 센서 적층체를 얻었다.
(필름의 휨 평가)
필름을 10 cm×10 cm로 자르고, 필름의 휨을 평가했다.
○:휨 변형이 작다(4구석의 평균 휨 변형의 높이가 5 mm미만)
×:휨 변형이 크다(4구석의 평균 휨 변형의 높이가 5 mm이상)
(외관 평가)
제 1 투명 전극 패턴을 시인 측에 하고, 목시로 평가를 행했다.
○:양면의 패턴 외관이 균일(ΔR가1% 미만)
×:양면의 패턴 외관이 불균일(ΔR가1%이상)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7 비교예5 비교예6
투명 도전층 제 1 투명 전극 패턴
언더코트층 있음 있음 있음
하드 코트 있음 있음 있음
기재 PET
하드 코트 있음 없음 있음
언더코트층 있음 없음 없음
투명 도전층 제 2 투명 전극 패턴
실시예7 비교예5 비교예6
필름의 휨 x
ITO의 패턴 외관 x x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휨 방지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시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도시한 실시 형태의 세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다.
1:표시 패널 장치
3:터치 센서 적층체
5:표시 패널
7:윈도우
11:접착제층
13:가선 두름 인쇄
115:원편광 기능 적층체
115a:편광 필름층
115b:λ/4 위상차 필름
31:제 1의 투명 도전성층
32:제 2의 투명 도전성층
33, 36:도전체 측 언더코트층
34, 37:기재 측 언더코트층
35:제 1의 투명기재층
38:제 2의 투명기재층
39:접착제층
51, 52:편광자 필름

Claims (4)

  1.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에 사용되는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에 있어서,
    투명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평탄한 면을 양측으로 가지는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와,
    상기 평탄한 면의 각각 위에 형성된 적어도 1층의 투명 재료의 코트층과,
    상기 코트층 위에 인접해 형성된 투명 도전성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1층의 코트층은, 상기 투명 도전성층에 의해 형성되는 전극의 패턴 외관을 억제하는 굴절률 조정층을 적어도 1층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평탄한 면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코트층의 두께는, 상기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의 양측의 층이, 이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를 사이에 두어 서로 대칭이 되도록 정해져 있고,
    상기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는, 같은 두께를 가지는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의 투명기재층이 투명 접착 재료층을 개입시켜 서로 접합된 것이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투명기재층의 각각은, 제 2의 하드 코트층을 개입시켜 상기 투명 접착제층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중앙 기체 구조는, 단일의 투명 수지 재료층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투명 수지 재료층은, 광학적 등방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투명 수지 재료층은, 1/4 파장 위상차층으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KR1020147032946A 2010-11-30 2011-11-30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KR101583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67379 2010-11-30
JPJP-P-2010-267379 2010-11-30
PCT/JP2011/077615 WO2012073990A1 (ja) 2010-11-30 2011-11-30 表示パネル装置のための静電容量型タッチセンサ積層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14876A Division KR20130096296A (ko) 2010-11-30 2011-11-30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77A true KR20150002877A (ko) 2015-01-07
KR101583203B1 KR101583203B1 (ko) 2016-01-06

Family

ID=4617189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818A KR101684488B1 (ko) 2010-11-30 2011-11-29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
KR1020137016611A KR101525953B1 (ko) 2010-11-30 2011-11-29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
KR20137014876A KR20130096296A (ko) 2010-11-30 2011-11-30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KR1020147032938A KR101582282B1 (ko) 2010-11-30 2011-11-30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KR1020147032946A KR101583203B1 (ko) 2010-11-30 2011-11-30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818A KR101684488B1 (ko) 2010-11-30 2011-11-29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
KR1020137016611A KR101525953B1 (ko) 2010-11-30 2011-11-29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
KR20137014876A KR20130096296A (ko) 2010-11-30 2011-11-30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KR1020147032938A KR101582282B1 (ko) 2010-11-30 2011-11-30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116380B2 (ko)
EP (2) EP2648079A4 (ko)
JP (2) JP5900890B2 (ko)
KR (5) KR101684488B1 (ko)
CN (2) CN103238127A (ko)
TW (2) TWI605951B (ko)
WO (2) WO2012073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806B1 (ko) * 2012-01-30 2014-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471185B2 (en) * 2012-02-21 2016-10-18 Atmel Corporation Flexible touch sensor input device
JP2014002434A (ja) * 2012-06-15 2014-01-09 Touch Panel Kenkyusho:Kk 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CN104428844B (zh) * 2012-08-06 2016-04-27 积水纳米涂层科技有限公司 透光性导电膜及含有透光性导电膜的触摸板
TW201409092A (zh) * 2012-08-17 2014-03-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偏光板及其觸控液晶面板和觸控顯示器
JP5922008B2 (ja) 2012-11-30 2016-05-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および透明積層体、それらの製造方法、静電容量型入力装置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US20140186587A1 (en) * 2012-12-27 2014-07-03 Cheil Industries Inc. Transparent conductor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192293B2 (ja) * 2012-12-28 2017-09-0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カバーガラス一体型タッチ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積層用シート
US20160070382A1 (en) * 2013-04-10 2016-03-10 Ze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capacitive touch panel
WO2014167816A1 (ja) * 2013-04-10 2014-10-1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WO2014167815A1 (ja) 2013-04-10 2014-10-1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CN104111746B (zh) * 2013-04-20 2017-07-28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KR102257958B1 (ko) * 2013-05-16 2021-05-2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JP5860837B2 (ja) * 2013-05-16 2016-02-1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US9857633B2 (en) 2013-05-16 2018-01-02 Ze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a capacitive touch panel
JP5964273B2 (ja) 2013-05-27 2016-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
JP6014551B2 (ja) * 2013-05-27 2016-10-25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
JP6204725B2 (ja) * 2013-07-08 2017-09-27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50015314A (ko) * 2013-07-31 2015-02-10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203406B1 (ko) * 2013-08-05 2021-01-1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적층체, 필름 센서 및 필름 센서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 장치
JP6372745B2 (ja) * 2013-08-05 2018-08-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部品を作製するために用いられる積層体、フィルムセンサおよびフィルムセンサを備えるタッチパネル装置
KR101401050B1 (ko) * 2013-08-09 2014-06-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US9790126B2 (en) * 2013-09-05 2017-10-17 Apple Inc. Opaque color stack for electronic device
JP2015069351A (ja) * 2013-09-27 2015-04-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円偏光板付きタッチパネルセンサ及び光学変換層付きタッチパネルセンサ
JP6330288B2 (ja) * 2013-10-29 2018-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6258012B2 (ja) * 2013-11-15 2018-01-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静電容量タッチパネル
JP6528685B2 (ja) * 2013-11-15 2019-06-12 Agc株式会社 粘着層付き透明面材および表示装置
KR20150058028A (ko) * 2013-11-20 2015-05-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444132B1 (ko) * 2013-11-20 2014-11-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US9674947B2 (en) * 2013-12-04 2017-06-06 Samsung Sdi Co., Ltd. Transparent conducto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6274559B2 (ja) * 2013-12-26 2018-02-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ィルムセンサ、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フィルムセンサを作製するための積層体
KR102152830B1 (ko) 2014-02-05 2020-09-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WO2015125853A1 (ja) * 2014-02-19 2015-08-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透明積層体、透明積層体の製造方法、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6030479B (zh) 2014-02-21 2019-04-19 株式会社Lg化学 电子板
CN106164832B (zh) 2014-02-24 2019-05-31 Lg伊诺特有限公司 触控窗口和具有该触控窗口的显示器
CN104978058B (zh) * 2014-04-04 2019-05-07 宝宸(厦门)光学科技有限公司 电路元件及其制造方法
US20170139325A1 (en) * 2014-07-02 2017-05-18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Photosensitive refractive index-adjusting transfer film
KR102351666B1 (ko) 2014-07-14 2022-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구비한 플랙서블 표시 장치
WO2016009980A1 (ja) * 2014-07-15 2016-01-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材料の製造方法、積層材料、透明積層体の製造方法、透明積層体、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9128663B1 (en) * 2014-08-04 2015-09-08 T-Kingdom Co., Ltd. Touch sensing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6051255A (ja) * 2014-08-29 2016-04-11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式情報入力画像表示装置
CN106575178B (zh) * 2014-08-29 2019-09-13 富士胶片株式会社 触摸传感器膜的制造方法、触摸传感器膜及触摸屏
FR3026867A1 (fr) * 2014-10-02 2016-04-08 Dav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26866B1 (fr) * 2014-10-02 2019-09-06 Dav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pour vehicule automobile
JP6361026B2 (ja) * 2014-10-15 2018-07-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KR102264760B1 (ko) 2014-11-26 2021-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8674B1 (ko) * 2014-11-27 2020-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085182A1 (en) * 2014-11-27 2016-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JP2016103071A (ja) * 2014-11-27 2016-06-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位置座標検出基材及び表示装置
JP5819506B2 (ja) * 2014-11-28 2015-11-24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299111B1 (ko) * 2015-01-09 2021-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117433A (ko) * 2015-02-20 2017-10-23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전사형 감광성 굴절률 조정 필름, 굴절률 조정 패턴의 형성 방법 및 전자 부품
KR102356723B1 (ko) * 2015-03-25 2022-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052330B2 (ja) 2015-04-24 2016-12-27 Tdk株式会社 透明導電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タッチパネル
US10423257B2 (en) 2015-05-08 2019-09-24 Dongwoo Fine-Chem Co., Ltd. Touch sensor integrated with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O2016182231A1 (ko) * 2015-05-08 2016-11-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일체형 터치 센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6325577B (zh) * 2015-06-28 2023-07-2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装置及其制造方法
US10431624B2 (en) * 2015-07-08 2019-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image sensor including nanostructure color filter
CN106339116B (zh) * 2015-07-11 2023-07-14 宸新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WO2017020274A1 (zh) * 2015-08-05 2017-02-09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触摸膜、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触摸膜的制备方法
KR102069286B1 (ko) * 2015-11-20 2020-01-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70073774A (ko) * 2015-12-18 2017-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6813B1 (ko) * 2016-10-07 2023-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37614B1 (ko) * 2016-10-12 2021-12-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윈도우 기판의 제조 방법
CN106527790B (zh) * 2016-10-31 2020-06-3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造方法
KR102643635B1 (ko) * 2016-12-06 2024-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221189A1 (ja) * 2017-05-31 2018-12-0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タッチセンサ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KR102430032B1 (ko) * 2017-08-16 2022-08-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투명 전극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TWI763925B (zh) * 2017-09-27 2022-05-11 日商日本瑞翁股份有限公司 光學堆疊薄膜及觸控面板
KR102098503B1 (ko) * 2017-11-22 2020-04-07 김영수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탈부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1831B1 (ko) * 2018-03-30 2022-03-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7387589B2 (ja) * 2018-04-27 2023-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調光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10911440B (zh) 2018-09-14 2020-10-16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屏和显示终端
CN109609020B (zh) * 2018-12-03 2021-03-16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翘曲的光学增亮膜及其制备方法
WO2020153621A1 (ko) * 2019-01-22 2020-07-30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225528B1 (ko) * 2019-01-22 2021-03-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7469852B2 (ja) * 2019-04-22 2024-04-17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パネル及び光学積層体
EP4049120A1 (en) * 2019-10-23 2022-08-31 IDD Aerospace Corporation Cursor control device with printed touch sensor
KR102153132B1 (ko) * 2019-12-10 2020-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1725269B (zh) * 2020-06-02 2022-09-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其制备方法
KR20220158901A (ko) * 2021-05-24 2022-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23003762A (ja) * 2021-06-24 2023-01-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転写フィルム、積層体、音響スピーカー、積層体の製造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243A (ja) 2000-07-19 2002-02-06 Fuji Photo Film Co Ltd 円偏光板、タッチパネル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2055780A (ja) 2000-08-11 2002-02-20 Teijin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JP2002156920A (ja) 2000-09-05 2002-05-31 Nitto Denko Corp タッチパネル付el表示装置
JP3542838B2 (ja) 1994-12-01 2004-07-14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シート
JP3569557B2 (ja) 1994-12-09 2004-09-22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シート
WO2006126604A1 (ja) 2005-05-26 2006-11-30 Gunze Limited 透明面状体及び透明タッチスイッチ
KR20070054661A (ko) * 2004-09-10 2007-05-29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용 필름재료의 제조방법
JP2008140130A (ja) 2006-12-01 2008-06-19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76432A (ja) 2007-01-18 2009-04-09 Nitto Denko Corp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JP2010198103A (ja) 2009-02-23 2010-09-0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センサを作製するための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323A (ja) 1989-06-07 1991-01-17 Teijin Ltd 液晶表示パネル用電極基板
EP1081633A2 (en) 1999-08-31 2001-03-0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1343529A (ja) * 2000-03-30 2001-12-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02238896A1 (en) 2001-03-14 2002-09-24 Fuji Photo Film Co., Ltd. Phase difference plate comprising polymer film containing compound having rod-shaped molecular structure
TWI290328B (en) * 2002-05-23 2007-11-21 Nof Corp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d film and touch panel
DE102006023993A1 (de) * 2005-05-23 2007-03-08 Wang, Ran-Hong, Tustin Polarisationssteuerung für Flüssigkristallanzeigen
JP4314623B2 (ja) * 2006-12-07 2009-08-19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CN101998982A (zh) * 2008-04-11 2011-03-30 3M创新有限公司 透明粘合剂片材及包括所述透明粘合剂片材的图像显示装置
JP5154316B2 (ja) 2008-06-30 2013-0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タッチパネル
JP5160325B2 (ja) * 2008-07-16 2013-03-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JP5362397B2 (ja) * 2009-03-11 2013-12-11 グンゼ株式会社 透明面状体及び透明タッチ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2838B2 (ja) 1994-12-01 2004-07-14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シート
JP3569557B2 (ja) 1994-12-09 2004-09-22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シート
JP2002040243A (ja) 2000-07-19 2002-02-06 Fuji Photo Film Co Ltd 円偏光板、タッチパネル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2055780A (ja) 2000-08-11 2002-02-20 Teijin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JP2002156920A (ja) 2000-09-05 2002-05-31 Nitto Denko Corp タッチパネル付el表示装置
KR20070054661A (ko) * 2004-09-10 2007-05-29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용 필름재료의 제조방법
WO2006126604A1 (ja) 2005-05-26 2006-11-30 Gunze Limited 透明面状体及び透明タッチスイッチ
JP2008140130A (ja) 2006-12-01 2008-06-19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76432A (ja) 2007-01-18 2009-04-09 Nitto Denko Corp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JP2010198103A (ja) 2009-02-23 2010-09-0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センサを作製するための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개평 3-9323호 공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50120A (zh) 2013-08-14
EP2648079A1 (en) 2013-10-09
KR20130100355A (ko) 2013-09-10
EP2648079A4 (en) 2016-05-04
US9116380B2 (en) 2015-08-25
US20140036170A1 (en) 2014-02-06
TW201238763A (en) 2012-10-01
JP5900890B2 (ja) 2016-04-06
JPWO2012073964A1 (ja) 2014-05-19
US9207482B2 (en) 2015-12-08
KR101684488B1 (ko) 2016-12-08
JPWO2012073990A1 (ja) 2014-05-19
KR20150005653A (ko) 2015-01-14
US20130258570A1 (en) 2013-10-03
TW201241719A (en) 2012-10-16
KR101525953B1 (ko) 2015-06-09
KR101583203B1 (ko) 2016-01-06
EP2648080B1 (en) 2016-08-03
WO2012073990A1 (ja) 2012-06-07
KR101582282B1 (ko) 2016-01-06
TWI541701B (zh) 2016-07-11
KR20140139126A (ko) 2014-12-04
CN103238127A (zh) 2013-08-07
EP2648080A1 (en) 2013-10-09
TWI605951B (zh) 2017-11-21
WO2012073964A1 (ja) 2012-06-07
EP2648080A4 (en) 2015-03-11
KR20130096296A (ko)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203B1 (ko) 표시 패널 장치를 위한 정전 용량형 터치 센서 적층체
KR20180114028A (ko) 광학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전면판,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JP6486308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応用
US20120181063A1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CN107533402B (zh) 透明导电体及其制造方法以及触摸面板
KR20170086612A (ko) 투명 도전성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및 터치 패널
TW201346675A (zh) 透明導電性薄膜、觸控面板及顯示裝置
CN111103637B (zh) 防反射薄膜
WO2014141921A1 (ja) 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の製造方法
KR102121518B1 (ko) 광학 적층체, 플렉시블 표시 장치 및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WO2017115641A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応用
CN110619972B (zh) 带有基底层的薄膜、透明导电性薄膜、透明导电性薄膜层叠体及图像显示装置
KR20140074838A (ko)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0636943B (zh) 透明导电性薄膜及图像显示装置
KR102665020B1 (ko) 하드 코트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TW202039240A (zh) 透明導電性膜及結晶性透明導電性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