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028A -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028A
KR20150058028A KR1020140159979A KR20140159979A KR20150058028A KR 20150058028 A KR20150058028 A KR 20150058028A KR 1020140159979 A KR1020140159979 A KR 1020140159979A KR 20140159979 A KR20140159979 A KR 20140159979A KR 20150058028 A KR20150058028 A KR 20150058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electrode
touch sensing
layer
pattern
reta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필
양민수
이재현
이철훈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110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76541A1/ko
Priority to US15/038,085 priority patent/US20160299630A1/en
Priority to TW103139891A priority patent/TWI636386B/zh
Publication of KR2015005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ata-processing equipment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 G06F2211/902Spectral purity improvement for digital function generators by adding a dither signal, e.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광학 기능층에 부착된 제1 감지 패턴 및 제2 광학 기능층에 부착된 제2 감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은 각각 유전율/두께 값이 0.01 내지 0.09 [1/㎛]이며, 상기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의 합이 6 내지 11임에 따라 감도가 향상되고 노이즈가 적으며, 박막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HIBRIDE TOUCH SENSING ELECTRODE AND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손으로 접촉(touch)하면 그 위치를 입력 받도록 하는 특수한 입력장치를 장착한 스크린 패널이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것으로 다층으로 적층 되어 구성된다.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터치된 부분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투명 감지 전극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통상적으로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투명 감지 전극이 사용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에 사용되는 투명 감지 전극 구조에는 여러가지가 소개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GFF(Glass-ITO film-ITO film), G1F(Glass-ITO film), G2(Glass only)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 투명 감지 전극 구조로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들 수 있다.
투명 감지 전극은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터치되는 지점의 X 좌표 및 Y 좌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투명 기판에 접촉되면, 제1 감지 패턴(10), 제2 감지 패턴(20) 및 위치 검출라인을 경유하여 구동회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리고, X 및 Y 입력처리회로(미도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감지 패턴(10) 및 제2 감지 패턴(20)은 동일한 기판 상에 형성되며, 터치되는 지점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각 패턴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그런데, 제2 감지 패턴(20)은 서로 연결된 형태이지만 제1 감지 패턴(10)은 섬(island) 형태로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1 감지 패턴(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 전극(브릿지)(50)이 필요하다.
하지만, 상기 연결 전극(50)은 제2 감지 패턴(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는 안 되므로, 제2 감지 패턴(20)과는 다른 층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1의 A-A' 단면 중 연결 전극(50)이 형성된 부분의 확대도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은 그 위에 형성된 절연막(30)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패턴(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으므로, 연결 전극(50)을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섬 형태로 분리된 제1 감지 패턴(10)을 제2 감지 패턴(20)과는 전기적으로 차단되면서도 연결 전극(50)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절연막(30) 상에 콘택홀(40)을 형성한 후에, 별도의 연결 전극(50)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연결 전극(50)을 별도로 구비하는 투명 감지 전극은, 콘택홀(40) 및 연결 전극(50)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고, 제조 공정 중에 제1 감지 패턴(10) 및 제2 감지 패턴(20)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연결 전극과 감지 패턴 간의 콘택 저항으로 인해 전기 전도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2010-0084263호는 또는 기판상에 연결 전극을 먼저 형성한 후에 절연막 및 콘택홀을 형성하고 제1 감지 패턴 및 제2 감지 패턴을 형성하는 구조를 제안하여, 마스크 수 및 공정의 복잡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2010-0084263호 역시 별도의 연결 전극을 구비해야 하므로, 전술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한다.
한편, 최근에는 유리 기판 대신에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여 종래의 패널보다 더욱 얇고 가벼우며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 LCD, 유기 EL, wearable 디스플레이, 전자책, 전자 종이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응용범위 또한 매우 광범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용 디스플레이, 휴대 정보통신기기용 디스플레이와 같이 얇고 가벼운 조건 이외에도 외부 충격에 강하고, 특히 휘어지거나 다양한 형상의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런데, 플렉서블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그 두께를 보다 얇게 하는 것이 중요한 관심사인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판 소재만 기존의 유리 기판에서 고분자 필름 기판으로 대체했을 뿐, 편광판, 백라이트 등 디스플레이 구현에 필요한 주변 소재 및 부품들은 아직까지도 유리 기판에서 적용되었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는 편광판의 두께가 200 내지 400㎛이고, 편광자의 보호를 위해 사용된 보호층의 단일 두께가 25 내지 100 ㎛으로 이를 경박단소화함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하는 단점이 있어, 얇은 카드와 같은 구조물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2008-0073252는 액정셀에 접합되는 편광판 중 액정셀에 접하게 되는 보호필름을 제거하여 박형 구조를 달성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0-0084263호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2008-0073252호
본 발명은 감도가 향상되고 노이즈가 적은 터치 감지 전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다른 광학 기능층과 일체화된 터치 감지 전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브릿지 전극이 필요하지 않은 감지 전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막 구조이며 시인성이 우수한 터치 감지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1. 제1 광학 기능층에 부착된 제1 감지 패턴 및 제2 광학 기능층에 부착된 제2 감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은 각각 유전율/두께 값이 0.01 내지 0.09 [1/㎛]이며, 상기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의 합은 6 내지 11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은 3.2 내지 6.0 이고, 제2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은 2.8 내지 5.0 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의 두께는 35 내지 320 [㎛]이고, 제2 광학 기능층의 두께는 30 내지 280 [㎛]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및 제2 광학 기능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에 포함되는 광학 기능층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 사이의 유전율/거리는 0.01 내지 0.25 [1/㎛]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 사이의 거리는 12 내지 300 [㎛]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7.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 사이의 유전율은 2.8 내지 5.0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8.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및 상기 제2 광학 기능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커버 윈도우, 편광판 및 리타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서로 동일한 것은 아닌,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9. 위 8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 단일층 또는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된 적층체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0. 위 9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편광판은 편광자 및 보호필름이 각각 개별적인 광학 기능층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1. 위 8에 있어서, 상기 리타더는 단일층 또는 기재의 일면에 경화 액정막이 접합된 적층체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2. 위 1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리타더는 기재 및 경화 액정막이 각각 개별적인 광학 기능층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3.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4.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은 별도의 절연층을 구비하지 않는,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5. 위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과 상기 제1 감지 패턴의 굴절률의 차이 및 상기 제2 광학 기능층과 상기 제2 감지 패턴의 굴절률의 차이는 모두 0.8 이하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6. 위 1에 있어서, 상기 감지 패턴들의 굴절률은 1.3 내지 2.5인, 리타더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17. 위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8. 위 17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또는 제2 광학 기능층 중 어느 하나는 리타더이고, 상기 리타더 상부에 광학 기능성 필름이 점접착체로 접합되는 경우, 상기 리타더를 기준으로 상부측에 형성되는 감지 패턴의 굴절률과 상기 상부의 점접착제층의 차이는 0.3 이하인, 터치 스크린 패널.
19. 위 17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또는 제2 광학 기능층 중 어느 하나는 리타더이고, 상기 리타더 상부에 광학 기능성 필름이 점접착체로 접합되는 경우, 상기 리타더를 기준으로 하부측에 형성되는 감지 패턴의 굴절률과 상기 상부의 점접착제층의 차이는 0.8 이하인, 터치 스크린 패널.
20. 위 17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접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전극은 각 광학기능층의 유전율/두께 및 유전율의 합이 특정 범위를 가짐에 따라 감도를 향상시키며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감지 패턴을 터치 스크린 패널을 형성하는 광학 기능층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터치 감지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기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박막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이 서로 다른 광학 기능층에 각각 형성되므로, 광학 기능층이 감지 패턴들의 절연층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절연층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브릿지 전극도 필요 없으므로 박막 구조를 달성할 수 있고 제조 공정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광학 기능층과 감지 패턴 간의 굴절률이 특정 범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시인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점접착제층과 터치 감지 전극의 감지 패턴 간의 굴절률이 특정 범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시인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박막 구조를 가짐으로써 일반 디스플레이 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터치 감지 전극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터치 감지 전극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의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분해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의 개략적인 분해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제1 광학 기능층에 부착된 제1 감지 패턴 및 제2 광학 기능층에 부착된 제2 감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은 각각 유전율/두께 값이 0.01 내지 0.09 [1/㎛]이며, 상기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의 합이 6 내지 11임에 따라 감도가 향상되고 노이즈가 적으며, 박막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의 실시예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터치 감지 전극을 형성하는 제1 감지 패턴(10) 및 제2 감지 패턴(20)이 각각 터치 스크린 패널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광학 기능층에 형성된다.
이 때,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이 서로 다른 광학 기능층에 형성되므로, 광학 기능층의 종류에 따라 터치의 민감도에 현저한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두께 파라미터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구조에 있어서 터치 민감도와 관련이 있음을 파악하고, 우수한 터치 민감도를 나타내는 특정한 유전율/두께 범위 및 이에 대응하는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 범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 각각의 유전율/두께 값은 0.01 내지 0.09 [1/㎛]이며, 상기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의 합은 6 내지 11이다.
상기 유전율/두께 값이 0.01[1/㎛] 미만일 경우, 터치 응답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지거나 감도가 낮아지며, 0.09[1/㎛]를 초과하는 경우, 노이즈가 많아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의 합이 6 미만인 경우에는 터치 감지 전극이 잘 작동되지 않으며, 1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노이즈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전율/두께 값은 유전율과 두께 값을 각각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는데, 유전율 값은 광학 기능층의 재료를 달리하거나 고유전율 또는 저유전율 재료를 첨가 또는 코팅함으로써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3.2 내지 6.0이고, 제2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은 2.8 내지 5.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전율 값과 관련하여 각 광학 기능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 유전율 값은 다층 구조 전체의 평균 유전율 값을 의미한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호 정전용량(Mutual-Capacitance, Cm)의 변화량을 증가시켜 터치 센서의 감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광학 기능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35 내지 320 [㎛]이고, 제2 광학 기능층의 두께는 30 내지 28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호 정전용량(Mutual-Capacitance, Cm)의 변화량을 증가시켜 터치 센서의 감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에 있어서, 제1 및 제2 감지 패턴 사이의 유전율/거리 값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0.01 내지 0.25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터치 민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상에 형성된 제1 감지 패턴(층)과 제2 광학 기능층 상에 형성된 제2 감지 패턴(층) 사이의 거리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12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호 정전용량(Mutual-Capacitance, Cm)의 변화량을 증가시켜 터치 센서의 감도를 향상 시킬 수 있고,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 사이의 유전율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2.8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호 정전용량(Mutual-Capacitance, Cm)의 변화량을 증가시켜 터치 센서의 감도를 향상 시킬 수 있고,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 광학 기능층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포함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커버 윈도우(100), 편광판(200), 리타더(300)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광학 기능층 중 서로 다른 광학 기능층에 감지 패턴(10, 20)이 각각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여 예를 들면,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은(20)은 각각 커버 윈도우(100)의 일면과 편광판(200)의 일면에(도 3(a)), 또는 커버 윈도우(100)의 일면과 리타더(300)의 일면에(도 3(b), 또는 편광판(200)의 일면과 리타더(300)의 일면에(도 3(c))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감지 전극을 형성하는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은(20)이 서로 다른 광학 기능층에 형성되면 광학 기능층들이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 간의 전기적 절연을 달성하게 되어 별도의 절연층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박막 구조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이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되는 종래기술(도 2)에서는 브릿지 전극(50)이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감지 패턴이 서로 광학 기능층에 위치하게 되므로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어, 각 패턴은 브릿지 전극(50) 필요 없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박막 구조의 구현뿐만 아니라 터치 감지 전극의 제조 공정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감지 패턴(10, 20)중 적어도 하나가 커버 윈도우(100)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당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윈도우필름, PMMA(Poly(methyl methacrylate))윈도우필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감지 패턴(10, 20)중 적어도 하나가 편광판(20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편광판의 구조에 따라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 중 어느 하나만 편광판(200)에 형성되거나 둘 모두 편광판(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자 단일층일 수도 있으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자(210)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 필름(220)이 접합된 적층체일 수 있다.
편광판(200)이 편광자(210) 및 상기 편광자(210)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 필름(220)이 접합된 적층체인 경우에는 편광자(210)와 보호 필름(220)이 각각 별개의 광학 기능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감지 패턴(10) 및 제2 감지 패턴(20)은 편광자(210)와 보호 필름(2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커버 윈도우(100)와 편광판(200)의 편광자(210)에 각각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이 형성된 구조이며, 도 6은 편광판(200)의 편광자(210)와 보호 필름(220)에 각각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이 형성된 구조이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편광자(210)와 보호 필름(220)의 적층 순서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뀌어도 무방하며, 편광자(210)의 양면에 보호 필름(220)이 모두 접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면의 보호 필름(220)은 각각 서로 다른 광학 기능층이 되므로,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은 서로 다른 보호 필름(220)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이 형성되는 면도 동일한 평면이 아니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편광자로는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편광자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편광자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된 필름에 이색성 염료가 흡착 배향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과,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및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두께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는 고분자 수지 및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용액을 다른 광학 기능층 또는 보호 필름 상에 직접 코팅하여 코팅층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 편광자는 편광판을 편광자 단일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편광자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분자 수지로는 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여 얻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일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불포화 술폰산계, 올레핀계, 비닐에테르계,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일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이색성 물질을 혼합하고 막을 형성함으로써 편광자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보호 필름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에서 우수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5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8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7중량%인 것이 좋다. 그 함량이 5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고투명성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은 적절한 1종 이상의 첨가제가 함유된 것일 수도 있다. 첨가제로는, 예컨대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보호 필름은 표면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로는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의 건식 처리, 검화 처리를 포함하는 알칼리 처리 등의 화학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감지 패턴(10, 20)중 적어도 하나가 리타더(300)에 형성될 수 있다. 리타더(300)는 투과하는 광의 위상을 변경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시야각 확대를 위한 광학 보상층 또는 반사 방지를 위한 4분파장판(1/4λ plat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4분파장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 패턴(10, 20)중 적어도 하나가 리타더(30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편광판(2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리타더의 구조에 따라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 중 어느 하나만 리타더(300)에 형성되거나 둘 모두 리타더(3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리타더(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층일 수도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320)의 일면에 경화 액정막(310)이 접합된 접합된 적층체일 수 있다. 이 때 기재(320)는 통상적인 보호 필름일 수도 있고, 액정성 화합물의 배향을 유도하는 배향막일 수도 있으며, 둘 다의 적층막일 수도 있다.
리타더(300)가 기재(320)의 일면에 경화 액정막(310)이 접합된 적층체인 경우에는 경화 액정막(310)과 기재(320)가 각각 별개의 광학 기능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감지 패턴(10) 및 제2 감지 패턴(20)은 경화 액정막(310)과 기재(3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커버 윈도우(100)와 리타더(300)의 경화 액정막(310)에 각각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이 형성된 구조이며, 도 8은 리타더(300)의 경화 액정막(310)와 기재(320)에 각각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이 형성된 구조이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경화 액정막(310)과 보호 필름(220)의 적층 순서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뀌어도 무방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기재(320)는 배향막과 보호 필름의 적층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배향막과 보호 필름이 각각 서로 다른 광학 기능층이 되므로,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은 배향막과 보호 필름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이 형성되는 면도 동일한 평면이 아니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단일층 리타더로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단일층 리타더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연신된 고분자 필름이거나 또는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함유하는 고분자 용액을 소정 기판 또는 다른 광학 기능층 상에 직접 코팅하여 얻어진 코팅층일 수 있다.
고분자 필름에 사용되는 고분자의 종류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는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하이브리드 필름. 싸이클릭 올레핀 폴리머 필름(Cyclic Olefin Polymer, COP) 필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적층체 리타더는 통상적으로 기재 상에 액정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용액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얻을 수 있다. 이 때 기재는 통상적인 투명 보호 필름일 수도 있고, 액정성 화합물의 배향을 유도하는 배향막일 수도 있다.
보호 필름은 전술한 보호 필름이 동일한 범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배향막으로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유기 배향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배향막은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이미드계 또는 폴리아믹산이 함유된 배향막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폴리아믹산은 디아민(di-amine)과 이무수물(dianhydride)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머이고 폴리이미드는 폴리아믹산을 이미드화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이들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에 형성된 배향막에 배향성을 부여한다. 배향성 부여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러빙공정, 노광에 의한 광경화 공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 상에 형성되는 경화 액정막은 경화 액정막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여 형성한다. 경화 액정막용 조성물은 광학 이방성을 가지고, 광에 의한 가교성을 갖는 액정성 화합물이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성 액정 단량체(R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이 편광판(200)과 리타더(300)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도 3(c))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판(200)과 리타더(300)가 각각 적층체인 경우에 제1 감지 패턴(10)과 제2 감지 패턴(20)은 각 적층체를 구성하는 개별적인 광학 기능층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학 기능층에 형성되는 터치 감지 전극의 제1 감지 패턴(10) 및 제2 감지 패턴(20)은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재료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투명 소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미세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아연산화물(ZnO), 인듐아연주석산화물(IZTO), 카드뮴주석산화물(CTO),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탄소나노튜브(CNT), 금속와이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금속와이어에 사용되는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은, 금, 알루미늄, 구리, 철, 니켈, 티타늄, 텔레늄, 크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학 기능층 상에 감지 패턴(10, 2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광학 기능층 소재를 내열성이 우수한 것으로 사용하거나, 감지 패턴(10, 20)을 인쇄 방식, 코팅 방식, 저온(상온) 스퍼터링 등의 저온 공정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굴절률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광학 기능층과 감지 전극의 굴절률 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시인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광학 기능층과 제1 감지 패턴의 굴절률의 차이 및 제2 광학 기능층과 제2 감지 패턴의 굴절률의 차이는 모두 0.8 이하일 수 있다. 감지 패턴은 반사율이 높아 주변과 반사율 차이가 크게 되면 육안으로 식별되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광학 기능층과 광학 기능층에 구비되는 감지 패턴의 굴절률 차이를 0.8 이하로 하여 감지 패턴과 광학 기능층의 반사율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시인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광학 기능층과 감지 패턴의 구체적인 굴절률 값은 각 층의 두께, 구체적인 소재의 종류 등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감지 패턴의 굴절률은 1.3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 패턴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인 경우 광학 기능층과의 굴절률 차이가 본 발명 범위에 포함되기가 용이하고 시인성 개선 효과가 보다 뛰어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추후 운송 및 타 부품과의 접합에 용이하도록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 및 이형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당분야에 공지된 추가 공정을 통해 터치 스크린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그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광학 기능성 필름이 점접착체로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접착제란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어떠한 광학 기능층의 상부란 그 광학 기능층을 기준으로 시인측을 의미하며, 어떠한 광학 기능층의 하부란 그 광학 기능층을 기준으로 시인측의 반대편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 있어서, 감지 패턴의 시인성 개선을 위한 판단 기준은 리타더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이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리타더 상부에 광학 기능성 필름이 점접착체로 접합되는 경우, 상기 리타더를 기준으로 상부측에 형성되는 감지 패턴의 굴절률과 상기 상부의 점접착제층의 차이는 0.3 이하인 것이 감지 패턴의 시인성 개선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어느 한 광학 기능층이 리타더인 경우에는 입사된 광이 리타더인 광학 기능층을 통과하기 전에 점접착제층과 감지 패턴에 입사되므로 점접착제층과 감지 패턴의 굴절률이 0.3 이하이어야 감지 패턴의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타더의 상부측에 형성된 감지 패턴이란, 리타더의 상면에 형성된 감지패턴 및 상기 리타더의 상부에 다른 광학 기능층(들)이 배치되고 그 광학 기능층(들)에 형성된 감지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광학 기능층 또는 제2 광학 기능층 중 어느 하나는 리타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리타더 상부에 광학 기능성 필름이 점접착체로 접합되는 경우 보다 상기 리타더를 기준으로 하부측에 형성되는 감지 패턴의 굴절률과 상기 상부의 점접착제층의 차이는 0.8 이하인 것이 감지 패턴의 시인성 개선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어느 한 광학 기능층이 리타더인 경우에는 입사된 광이 리타더인 광학 기능층을 통과한 후에 만나게 되는 하부측의 감지 패턴은 상부의 점접착제층과 굴절률 차이가 0.8을 초과하게 되면 하면 감지 패턴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타더의 하부측에 형성된 감지 패턴이란, 리타더의 하면에 형성된 감지패턴 및 상기 리타더의 하부에 다른 광학 기능층(들)이 배치되고 그 광학 기능층(들)에 형성된 감지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광학 기능층 또는 제2 광학 기능층 중 어느 하나는 리타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에 접합될 수 있는 광학 기능성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윈도우 커버 필름, 편광판, 리타더, 반사방지필름, 방오필름, 하드코팅필름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
먼저 윈도우 필름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ITO층을 터치 패턴으로 제조하였다. 이후,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1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리타더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한 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터치 패턴으로 제조하였다. 이후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2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윈도우 필름과 상기 제2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리타더 사이에 편광판을 개재하고 접합하여, 전체 두께가 300㎛인 터치 모듈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먼저 윈도우 필름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ITO층을 터치 패턴으로 제조한 후,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1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편광판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한 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터치 패턴으로 제조하였다. 이후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2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윈도우 필름과 상기 제2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편광판을 접합하고, 상기 편광판의 반대편에는 리타더를 접합하여 전체 두께가 273㎛인 터치 모듈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먼저 편광판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ITO층을 터치 패턴으로 제조한 후,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1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리타더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한 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터치 패턴으로 제조하였다. 이후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2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편광판과 상기 제2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리타더를 접합(편광판과 리타더 사이에 제1 터치 감지 전극이 위치하도록)하고, 상기 편광판의 반대편에는 윈도우 필름을 접합하여 전체 두께가 280 ㎛인 터치 모듈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먼저 편광판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ITO층을 터치 패턴으로 제조한 후,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1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리타더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한 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터치 패턴으로 제조하였다. 이후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2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편광판과 상기 제2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리타더를 접합(제1 터치 감지 전극과 제2 터치 감지 전극 사이에 편광판과 리타더가 위치하도록)하고, 상기 편광판의 반대편에는 윈도우 필름을 접합하여 전체 두께가 280 ㎛인 터치 모듈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윈도우 시트(window sheet)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한 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터치 패턴으로 제조하고,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1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리타더의 어느 일면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한 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터치 패턴으로 제조하고,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2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2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리타더와 편광판을 접합하고, 상기 편광판 윗면에 제1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윈도우 시트를 접합하여 전체 두께가 914㎛인 터치 모듈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윈도우 시트(window sheet)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한 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터치 패턴으로 제조하고,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1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또한, 편광판의 어느 일면에 ITO를 상온 증착 및 열처리하여 ITO층을 형성한 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터치 패턴으로 제조하고, 금속물질을 증착 및 에칭하여 배선 전극을 형성하여 제2 터치 감지 전극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1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윈도우 시트와 제2 터치 감지 전극이 형성된 편광판을 접합하고, 상기 편광판의 아랫면에 리타더를 접합하여 전체 두께가 2983㎛인 터치 모듈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
편광판으로 p-3, 리타더로 r-2를 사용하여 터치 모듈의 전체 두께가 52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
윈도우 필름으로 w-3, 리타더로 r-3를 사용하여 터치 모듈의 전체 두께가 43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5
윈도우 필름으로 w-2, 리타더로 r-4를 사용하여 터치 모듈의 전체 두께가 32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6
편광판으로 p-4, 리타더로 r-3'를 사용하여 터치 모듈의 전체 두께가 32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7
편광판으로 p-4, 리타더로 r-3''를 사용하여 터치 모듈의 전체 두께가 300㎛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터치 모듈에 대해, 하기 표 1에 각 층의 유전율을 기재하였으며, 각 광학 기능층이 다층 구조일 경우 평균 유전율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감도 측정 ( Cm 변화량 측정을 통한 감도평가)
상기 기재된 제조 방법에 따라 하기 표 1의 적층 순서로 만들어진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감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상호 정전용량(Mutual-Capacitance, Cm)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비교예 2의 값을 100으로 가정하여 기준으로 삼고, 이에 대한 상대적인 비(%)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노이즈 측정 (구동 IC Voltage 의 변화량)
상기 기재된 제조 방법에 따라 하기 표 1의 적층 순서로 만들어진 터치 스크린 패널의 노이즈를 평가하기 위해서, Touch Module을 제작 후, 구동 IC를 연결하여, 측정되는 Volate의 변화량을 측정하며, 비교예 2의 값을 100으로 가정하여 기준으로 삼고, 이에 대한 상대적인 비 (%)로 나타내었다.
구분 제1 광학 기능층 제2 광학 기능층 ε1+ε2 제1 감지 패턴
제2 감지패턴 사이
터치 감도
(Cm변화량)
[%]
노이즈
(구동 IC의 Voltage의 변화량)
[%]
종류 ε1/두께
[1/㎛]
종류 ε2/ 두께
[1/㎛]
유전율 거리
[㎛]
유전율/거리
[1/㎛]
실시예1 w-1 0.035 r-1 0.068 6.7 3 119 0.025 115% 80%
실시예2 w-2 0.07 p-1 0.05 7.4 3 60 0.05 134% 85%
실시예3 p-2 0.02 r-1 0.068 7 3.5 51 0.069 137% 95%
실시예4 p-2 0.02 r-1 0.068 7 3 333 0.009 105% 88%
비교예1 w-s1 0.004 r-1 0.068 6.6 3 119 0.025 83% 82%
비교예2 w-s2 0.001 p-3 0.009 5.8 3 333 0.009 100% 100%
비교예3 p-3 0.009 r-2 0.009 7 3.5 51 0.069 98% 97%
비교예4 w-3 0.95 r-3 0.15 6.7 3 105 0.029 90% 115%
비교예5 w-2 0.07 r-4 0.98 7.4 6 145 0.04 118% 120%
비교예6 p-4 0.02 r-3' 0.068 4 3.5 51 0.069 90% 95%
비교예7 p-4 0.02 r-3" 0.068 13 3.5 25 0.069 137% 160%
w-1: Polyimide 윈도우필름
w-2: PMMA(Poly(methyl methacrylate))윈도우필름
w-3: Polyimide Hybrid 윈도우 필름
w-s1: Poly Carbonate(PC) 윈도우시트
w-s2: Polyethylene Naphthalate(PEN) 윈도우시트
p-1: COP(Cyclic Olefin Polymer)/PVA(Polyvinyl Alcohol)/COP(Cyclic Olefin Polymer) 필름형 편광판
p-2: 코팅층형 편광판
p-3: TAC(triacetyl cellulose)/PVA(polyvinyl alcohol)/TAC(triacetyl cellulose)인 편광판
p-4: 코팅층형 Hybrid 편광판
r-1: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리타더
r-2: COP(Cyclic Olefin Polymer) 필름 리타더
r-3: Poly Carbonate(PC) Hybrid 필름 리타더 I
r-3': Poly Carbonate(PC) Hybrid 필름 리타더 II
r-3": Poly Carbonate(PC) Hybrid 필름 리타더 III
r-4: 코팅형층 리타더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실시예들이 비교예들에 비해 대체적으로 상호정전용량이 큰 바 터치 감도가 우수하고, 구동 IC의 Voltage의 변화량을 통해 노이즈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로, 상기 r-3, r-3' 및 r-3" 리타더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혼합하는 유전 물질의 종류 및 리타더의 두께를 각각 조절한 것이다.
실시예 5 내지 14
하기 표 3에 기재된 적층 순서 및 굴절률로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한 후, 패턴부와 비패턴부의 위치별 평균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패턴부는 감지 패턴이 형성된 부분이고, 비패턴부는 감지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즉, 광학 기능층이 노출된 부분)이다.
상기 평균반사율은 400nm 내지 700nm에서의 반사율의 평균을 의미한다.
실시예 5 내지 14와 관련하여 각 광학기능층의 유전율/두께, 유전율의 합은 하기 표 2와 같다.
광학기능층의
ε/두께 [1/㎛]
광학기능층의
ε/두께 [1/㎛]
유전율의
r-1 0.068 p-1 0.05 7.1
r-1 0.068 p-2 0.02 7.0
r-2 0.070 p-1 0.05 7.0
r-2 0.070 p-2 0.02 6.9
구분 제1 광학 기능층[리타더] 제1 감지패턴 제2 광학 기능층[편광판] 제2 감지패턴 접착제층 △반사율(%)
(전극/접착제)
종류 굴절률 위치 굴절률 종류 굴절률 위치 굴절률 굴절률 1차전극 2차전극
실시예5 r-1 1.53 리타더상면 1.56 p-1 1.53 편광판상면 1.56 1.54 0.004 0.004
실시예6 r-2 1.58 리타더상면 1.61 p-1 1.53 편광판상면 1.61 1.56 0.025 0.025
실시예7 r-1 1.53 리타더상면 1.61 p-2 1.55 편광판하면 1.53 1.58 0.088 0.026
실시예8 r-1 1.53 리타더하면 1.56 p-1 1.53 편광판상면 1.55 1.58 0.041 0.092
실시예9 r-2 1.58 리타더하면 1.62 p-1 1.53 리타더상면 1.60 1.58 0.015 0.004
실시예10 r-2 1.58 리타더하면 1.64 p-2 1.55 편광판하면 1.61 1.62 0.004 0.001
실시예11 r-1 1.53 리타더상면 2.4 p-1 1.53 리타더상면 2.4 1.52 5.0 5.0
실시예12 r-2 1.58 리타더상면 1.68 p-1 1.53 리타더하면 2.2 1.54 0.19 3.1
실시예13 r-1 1.53 리타더하면 2.4 p-2 1.55 리타더상면 1.96 1.55 4.6 1.3
실시예14 r-1 1.53 리타더하면 1.66 p-1 1.53 리타더하면 2.1 1.62 0.014 1.7
r-1: 표 1의 r-1 리타더
r-2: 코팅층형 리타더
p-1: 표 1의 p-1 편광판
p-2: 표 1의 p-2 편광판
제1 감지 패턴: ITO
제2 감지 패턴: ITO

상기 굴절률과 소멸계수는 550nm 파장의 광을 기준으로 함.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광학 기능층과 그 광학 기능층에 형성된 감지 패턴의 굴절률 차이가 0.8 이하이면 시인성이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기능층이 리타더이고, 상기 리타더의 상부에 있는 감지 패턴과 상면 접착제층과의 굴절률 차이가 0.3 이하인 경우가 시인성이 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리타더 하부에 있는 감지 패턴과 접착제층과의 굴절률 차이가 0.8 이하인 경우 역시 시인성이 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기판
10: 제1 감지 패턴 20: 제2 감지 패턴
100: 커버 윈도우
200: 편광판 또는 단일층 편광자
210: 편광자 220: 보호 필름
300: 리타더
310: 경화 액정층 320: 기재

Claims (20)

  1. 제1 광학 기능층에 부착된 제1 감지 패턴 및 제2 광학 기능층에 부착된 제2 감지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은 각각 유전율/두께 값이 0.01 내지 0.09 [1/㎛]이며, 상기 제1 및 제2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의 합은 6 내지 11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은 3.2 내지 6.0 이고, 제2 광학 기능층의 유전율은 2.8 내지 5.0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의 두께는 35 내지 320[㎛]이고, 제2 광학 기능층의 두께는 30 내지 280 [㎛]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및 제2 광학 기능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에 포함되는 광학 기능층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 사이의 유전율/거리는 0.01 내지 0.25 [1/㎛]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 사이의 거리는 12 내지 300 [㎛]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 사이의 유전율은 2.8 내지 5.0 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및 상기 제2 광학 기능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커버 윈도우, 편광판 및 리타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서로 동일한 것은 아닌,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 단일층 또는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된 적층체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편광판은 편광자 및 보호필름이 각각 개별적인 광학 기능층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타더는 단일층 또는 기재의 일면에 경화 액정막이 접합된 적층체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리타더는 기재 및 경화 액정막이 각각 개별적인 광학 기능층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패턴과 제2 감지 패턴은 별도의 절연층을 구비하지 않는,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기능층과 상기 제1 감지 패턴의 굴절률의 차이 및 상기 제2 광학 기능층과 상기 제2 감지 패턴의 굴절률의 차이는 모두 0.8 이하인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 패턴들의 굴절률은 1.3 내지 2.5인, 리타더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17.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의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또는 제2 광학 기능층 중 어느 하나는 리타더이고, 상기 리타더 상부에 광학 기능성 필름이 점접착체로 접합되는 경우, 상기 리타더를 기준으로 상부측에 형성되는 감지 패턴의 굴절률과 상기 상부의 점접착제층의 차이는 0.3 이하인, 터치 스크린 패널.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은 상기 제1 광학 기능층 또는 제2 광학 기능층 중 어느 하나는 리타더이고, 상기 리타더 상부에 광학 기능성 필름이 점접착체로 접합되는 경우, 상기 리타더를 기준으로 하부측에 형성되는 감지 패턴의 굴절률과 상기 상부의 점접착제층의 차이는 0.8 이하인, 터치 스크린 패널.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접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40159979A 2013-11-20 2014-11-17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50058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036 WO2015076541A1 (ko) 2013-11-20 2014-11-17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US15/038,085 US20160299630A1 (en) 2013-11-20 2014-11-17 Hybrid touch sensing electrode and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same
TW103139891A TWI636386B (zh) 2013-11-20 2014-11-18 混合觸控感測電極及觸控螢幕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671 2013-11-20
KR20130141671 2013-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028A true KR20150058028A (ko) 2015-05-28

Family

ID=5339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979A KR20150058028A (ko) 2013-11-20 2014-11-17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299630A1 (ko)
KR (1) KR20150058028A (ko)
CN (1) CN105765510B (ko)
TW (1) TWI6363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861B1 (ko) 2014-11-26 2021-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6033275B (zh) * 2015-03-18 2019-10-18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KR101779906B1 (ko) * 2016-07-21 2017-09-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KR102158204B1 (ko) * 2017-08-24 2020-09-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3234B1 (ko) * 2018-09-18 2022-10-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10070457A (ko) * 2019-12-04 2021-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TWI765531B (zh) * 2021-01-14 2022-05-21 大陸商宸美(廈門)光電有限公司 觸控模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4189B2 (ja) * 2004-04-14 2010-06-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に液晶素子における液晶分子配列をシミュレーションさせる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70085837A1 (en) * 2005-10-17 2007-04-19 Eastman Kodak Company Touch input device with display front
US8264466B2 (en) * 2006-03-31 2012-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creen having reduced visibility transparent conductor pattern
JP4814776B2 (ja) * 2006-12-14 2011-11-1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KR20080073252A (ko) * 2007-02-05 2008-08-08 (주)유비카드 플렉서블 액정 디스플레이
US8767297B2 (en) * 2007-08-14 2014-07-01 Lg Chem, Ltd. Optical film and method of adjusting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the same
KR100921709B1 (ko) * 2009-02-23 2009-10-15 (주)이엔에이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JP5484891B2 (ja) * 2009-03-04 2014-05-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5366051B2 (ja) * 2009-04-20 2013-12-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情報入力装置、表示装置
CN103238127A (zh) * 2010-11-30 2013-08-07 日东电工株式会社 具有触摸输入功能的显示面板装置
TW201232373A (en) * 2011-01-19 2012-08-01 Wintek Corp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TWI457808B (zh) * 2011-06-09 2014-10-21 Shih Hua Technology Ltd 觸摸屏
JP2013094984A (ja) * 2011-10-28 2013-05-20 Nitto Denko Corp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5264979B2 (ja) * 2011-11-25 2013-08-14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
KR101472806B1 (ko) * 2012-01-30 2014-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45439B1 (ko) * 2012-04-24 2019-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30142405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9116584B2 (en) * 2012-07-24 2015-08-25 Atmel Corporation Dielectric layer for touch sensor stack
JP5854947B2 (ja) * 2012-08-01 2016-02-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装置付き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65510A (zh) 2016-07-13
CN105765510B (zh) 2019-04-23
TWI636386B (zh) 2018-09-21
US20160299630A1 (en) 2016-10-13
TW201528087A (zh)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132B1 (ko)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50058028A (ko) 하이브리드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443689B1 (ko)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US10481743B2 (en) High-performance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603611B2 (en) Transparent planar body and transparent touch switch
US10310643B2 (en) Touch panel and junction structure of touch panel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2142144B1 (ko) 편광판과 터치 감지 전극 일체형 윈도우 필름
US11550413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47504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85877B1 (ko)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TW201820100A (zh) 透明電極、包括其的觸控感測器及影像顯示裝置
US10331254B2 (en) Touch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touch device
KR102146739B1 (ko)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KR101401050B1 (ko)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90114842A (ko) 고성능 필름형 터치센서
KR20170112029A (ko) 터치 패널과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접합 구조체
KR20180018249A (ko) 투명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KR20170112482A (ko) 필름 터치 센서
KR101834870B1 (ko) 투명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KR20190084630A (ko) 압력 센서용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71134A (ko) 터치 감지 패턴 일체형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