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470A -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접착제 및 물품 - Google Patents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접착제 및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470A
KR20140107470A KR1020147019759A KR20147019759A KR20140107470A KR 20140107470 A KR20140107470 A KR 20140107470A KR 1020147019759 A KR1020147019759 A KR 1020147019759A KR 20147019759 A KR20147019759 A KR 20147019759A KR 20140107470 A KR20140107470 A KR 20140107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parts
mass
polyurethane hot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870B1 (ko
Inventor
요시노리 가나와가
도요쿠니 후지와라
료우 노나카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7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20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 C08G18/2081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heter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20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63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62 with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2Two or more polyest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08G18/421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from mixtures or combinations of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08G18/4808Mixtures of two or more polyetherdi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54Polyethers containing oxyalkylene groups having four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5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ydrolyzed polymers of esters of these acids
    • C08G18/6254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of esters of these acid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수성, 속경화성, 유연성 등이 뛰어난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폴리올(A-1),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 및 아크릴폴리올(A-4)을 함유하는 폴리올(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i) 및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경화 촉매(ⅱ)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하여 얻어진 접착제 및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접착제는, 섬유 본딩·건재 라미네이션 용도뿐만 아니라, 광학용 부재의 첩합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접착제 및 물품{MOISTURE-CURABLE POLYURETHANE HOT MELT RESIN COMPOSITION, ADHESIVE AND ARTICLE}
본 발명은, 방수성이나 속(速)경화성, 유연성 등이 뛰어난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접착제 및 물품에 관한 것이다.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는, 무용제이므로 환경 대응형 접착제로서, 섬유 본딩·건재 라미네이션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가 오늘날까지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업계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있어서는, 광학 부품의 첩합에 있어서, 광학 부품의 경량화나 박막화의 니즈(needs)가 높아지는 것에 따라, 지금까지 주류였던 아크릴계 점착제로부터, 핫멜트 접착제를 대용하는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a) 유동 개시 온도가 55℃ 이상 110℃ 이하의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b) Tg가 0℃ 이상 110℃ 이하, 분자량 10000∼25000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5∼150중량부, (c) 연화점이 60℃ 이상 140℃ 이하, 분자량 700∼3000의 에폭시 수지 10∼150중량부 및 (d)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한 무기 충전제 10∼200중량부를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습열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상기 접착제는 실용상 사용 가능 레벨의 내습열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당해 접착제를 사용하여 첩합한 적층체가 물에 침지해 버렸을 때에는, 비교적 단시간에 물이 적층체 내부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어, 방수 성능이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내습열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은, 저온 시에 있어서도 접착할 수 있다는 메리트를 갖지만, 속경화를 요구하는 장면에서는 실용상 사용할 수 없는 것이며, 또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제 자체의 유연성도 불충분하며, 사용할 수 있는 용도가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국 특개2003-2703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수성, 속경화성, 유연성 등이 뛰어난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는 중에,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사용하는 폴리올이나 경화 촉매 등에 착목하고, 예의 연구를 진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폴리올(A-1),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 비정성(非晶性)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 및 아크릴폴리올(A-4)을 함유하는 폴리올(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i) 및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경화 촉매(ⅱ)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하여 얻어진 접착제 및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1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각각 독립으로 1∼6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접착제는, 방수성, 속경화성, 유연성, 각종 기재에의 접착성, 도포 작업성, 도포 후의 보형성, 오픈 타임이 뛰어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접착제는, 섬유 본딩·건재 라미네이션 용도뿐만 아니라, 광학용 부재의 첩합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에 추가로 아크릴 수지(ⅲ)를 함유시켰을 경우에는, 그것을 사용하여 얻어진 물품 등에 대하여, 뛰어난 내낙하충격성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테르폴리올(A-1),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 및 아크릴폴리올(A-4)을 함유하는 폴리올(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i) 및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경화 촉매(ⅱ)를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A-1)은, 도포 후의 적당한 용융 점도나 오픈 타임(첩합 가능 시간)을 조정하여 뛰어난 작업성이나 접착성, 방수성 및 유연성 등을 부여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A-1)의 수평균 분자량으로서는, 접착성(특히, 초기 접착 강도, 최종 접착 강도)이나 도포 후의 적당한 오픈 타임의 관점으로부터, 500∼5,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700∼5,0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하기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측정 장치 : 고속 GPC 장치(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HLC-8220GPC」)
칼럼 :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의 하기의 칼럼을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했다.
「TSKgel G5000」 (7.8㎜I.D.×30㎝)×1개
「TSKgel G4000」 (7.8㎜I.D.×30㎝)×1개
「TSKgel G3000」 (7.8㎜I.D.×30㎝)×1개
「TSKgel G2000」 (7.8㎜I.D.×30㎝)×1개
검출기 : RI(시차 굴절계)
칼럼 온도 : 40℃
용리액 :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유속 : 1.0mL/분
주입량 : 100μL(시료 농도 0.4질량%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
표준 시료 : 하기의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했다.
(표준 폴리스티렌)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500」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1000」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2500」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5000」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1」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2」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4」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10」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20」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40」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80」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128」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288」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550」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은, 방수성이나 접착성(특히, 초기 접착 강도), 적당한 오픈 타임 등을 부여하기에 필수 성분이며, 예를 들면,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과 다염기산과의 반응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결정성」이란, JIS K 7121에 준거한 DSC(시차 주사 열량계) 측정에 있어서, 결정화열 혹은 융해열의 피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비정성」이란, 상기 피크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노난디올, 데칸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글리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결정성을 높이고, 방수성이나 접착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부탄디올, 헥산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염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1,12-도데칸디카르복시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의 수평균 분자량으로서는, 방수성이나 접착성의 관점으로부터, 500∼5,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00∼4,0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의 수평균 분자량은,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A-1)의 수평균 분자량과 같이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의 유리 전이 온도(Tg)로서는, 40∼1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의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 7121-1987에 준거하고, DSC에 의해 측정한 값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시차 주사형 열량계 장치 내에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을 넣고, (Tg+50℃)까지 승온 속도 10℃/분으로 승온한 후, 3분간 유지하고, 그 후 급냉하여, 얻어진 시차열곡선으로부터 판독한 중간점 유리 전이 온도(Tmg)를 나타낸다.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의 사용량으로서는, 유연성이나 접착성, 오픈 타임 등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에테르폴리올(A-1) 100질량부에 대하여, 20∼150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0∼100질량부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로서는,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과 ε-카프로락톤을 반응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2)로서,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00∼20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은, 도포 후의 적당한 용융 점도나 오픈 타임(첩합 가능 시간)을 조정하여 뛰어난 작업성이나 접착성, 방수성 및 유연성 등을 부여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하기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과 다염기산과의 반응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펜탄디올, 2,4-디에틸-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비스페놀A나 비스페놀F, 및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수성이나 접착성, 유연성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비스페놀A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로서는, 2∼10몰이 바람직하고, 4∼8몰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다염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피멜산, 수베르산, 다이머산, 세바스산, 운데칸디카르복시산, 헥사히드로테레프탈산, 프탈산,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의 수평균 분자량으로서는, 방수성이나 접착성, 유연성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500∼5,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00∼4,0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0∼3,000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의 수평균 분자량은,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A-1)의 수평균 분자량과 같이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나타낸다.
상기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의 유리 전이 온도로서는, 방수성이나 접착성, 유연성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70∼-1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의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의 유리 전이 온도(Tg)의 측정 방법과 같다.
상기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의 사용량으로서는, 방수성이나 유연성, 특히 접착성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에테르폴리올(A-1) 100질량부에 대하여, 20∼150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5∼130질량부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55∼100질량부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폴리올(A-4)은, 도포 후의 적당히 오픈 타임(첩합 가능 시간)을 조정하여 뛰어난 작업성, 방수성이나 접착성 등을 부여하는 것이며,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 화합물을 필수로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 화합물」이란, 메타크릴 화합물과 아크릴 화합물의 한쪽 또는 양쪽을 나타낸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의 (메타)아크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세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1H,1H,5H-옥타플루오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옥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소 원자를 갖는 (메타)아크릴 화합물;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테르기를 갖는 (메타)아크릴 화합물;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메틸-[1,3]-디옥솔란-4-일-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메타)아크릴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방수성이나 접착성, 오픈 타임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폴리올(A-4)의 수평균 분자량은, 방수성이나 접착성, 오픈 타임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5,000∼50,000이 바람직하고, 10,000∼30,000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아크릴폴리올(A-4)의 수평균 분자량은,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A-1)의 수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과 같다.
상기 아크릴폴리올(A-4)의 유리 전이 온도로서는, 방수성이나 접착성(특히, 응집력 향상에 의한 초기 접착 강도), 오픈 타임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30∼1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50∼80℃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아크릴폴리올(A-4)의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의 유리 전이 온도(Tg)의 측정 방법과 같다.
상기 아크릴폴리올(A-4)의 사용량으로서는, 방수성이나 오픈 타임, 특히 접착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에테르폴리올(A-1) 100질량부에 대하여, 20∼400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5∼200질량부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35∼150질량부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A)은, 상기 (A-1)∼(A-4)를 함유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이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폴리부타디엔폴리올, 다이머디올 등의 다른 폴리올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로서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메틸렌폴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성이나 접착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의 사용량으로서는, 점도 등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10∼50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30질량부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i)는, 상기 폴리올(A)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이며, 공기 중이나 우레탄 프리폴리머가 도포되는 케이싱이나 피착체 내에 존재하는 수분과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폴리머 말단이나 분자 내에 갖는 것이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i)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가 들어간 반응 용기에, 상기 폴리올(A)의 혼합물을 적하한 후에 가열하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상기 폴리올(A)이 갖는 수산기에 대하여 과잉이 되는 조건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i)를 제조할 때에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폴리올(A)이 갖는 수산기의 당량비([이소시아네이트기/수산기])가, 방수성이나 접착성, 유연성의 관점으로부터, 1.1∼5.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3.0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i)는, 통상, 무용제하에서 제조할 수 있지만, 상기 폴리올(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를 유기 용제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된다. 유기 용제 중에서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등의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반응의 도중 또는 반응 종료 후에 감압 가열 등의 방법에 의해 유기 용제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i)를 제조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우레탄화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화 촉매는, 상기 반응의 임의의 단계에서, 적의 가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화 촉매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및 N-메틸모르폴린 등의 함질소 화합물; 아세트산칼륨, 스테아르산아연 및 옥틸산주석 등의 금속염;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i)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이하, NCO%)로서는, 방수성이나 접착성, 유연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1.5∼8.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7∼5.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1.8∼3.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i)의 NCO%는, JIS K1603-1에 준거하여, 전위차 적정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i)의 점도로서는, 125℃에 있어서의 용융 점도가 1,000∼50,000mPa·s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10,000mPa·s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125℃에 있어서의 용융 점도는, 콘플레이트 점도계(ICI제)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i)의 연화점은, 방수성이나 접착성, 작업성의 관점으로부터, 30∼12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화점이란,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켰을 경우에, 열유동하기 시작하여 응집력을 잃어버리는 온도를 말한다. 또한,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i)의 연화점은, JIS K 5902에 준거한 환구법(環球法)에 의해 구해진 값을 나타낸다.
상기 경화 촉매(ⅱ)는, 방수성이나 유연성, 접착성 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속경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이다.
Figure pct00002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각각 독립으로 1∼6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경화 촉매(ⅱ)로서는, 속경화성이나 열안정성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하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디모르폴리노디에틸에테르, 하기 구조식(3)으로 표시되는 비스(2,6-디메틸모르폴리노에틸)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상기 경화 촉매(ⅱ)의 사용량으로서는, 속경화성이나 제조 안정성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ⅱ)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5.0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5∼2.0질량부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에, 뛰어난 내낙하충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아크릴 수지(ⅲ)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ⅲ)는, 특히 내낙하충격성을 부여하기 위해 필수 성분이며, (메타)아크릴 화합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메타)아크릴 화합물은, 상기 아크릴폴리올(A-4)에서 사용하는 (메타)아크릴 화합물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ⅲ)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 (메타)아크릴 화합물로서는,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또는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자의 질량비([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가, 99.1/0.9∼99.9/0.1의 범위인 것이 내낙하충격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ⅲ)의 수평균 분자량은, 내낙하충격성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1,000∼200,000이 바람직하고, 1,000∼100,000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기 (메타)아크릴 수지(ⅲ)의 수평균 분자량은,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A-1)의 수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과 같다.
상기 아크릴 수지(ⅲ)의 유리 전이 온도로서는, 내낙하충격성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8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10∼-50℃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메타)아크릴 수지(ⅲ)의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의 유리 전이 온도(Tg)의 측정 방법과 같다.
상기 아크릴 수지(ⅲ)의 사용량으로서는, 내낙하충격성 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폴리올(A) 100질량부에 대하여, 0.5∼50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30질량부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2∼20질량부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수지(ⅲ)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프리폴리머(i)를 제조한 후에 첨가, 혼합할 수도 있고, 상기 프리폴리머(i)를 제조할 때에 상기 폴리올(A)과 혼합하고 나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B)를 공급하여 반응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i) 및 상기 경화 촉매(ⅱ)의 2성분만, 또는 내낙하충격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ⅲ)를 가한 3성분만으로 구성되어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그 외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 안정제, 충전재, 염료, 안료, 형광 증백제, 실란커플링제, 왁스, 열가소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접착제는, 방수성, 속경화성, 유연성, 각종 기재에의 접착성, 도포 작업성, 도포 후의 보형성, 오픈 타임이 뛰어난 것이며, 섬유 본딩·건재 라미네이션 용도뿐만 아니라, 광학용 부재의 첩합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의 첩합에 사용되는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컴퓨터, 게임기, 텔레비전, 카 네비게이션, 카메라 스피커 등의 씰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첩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50∼13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 용융하고, 당해 조성물을 한쪽의 부재 상에 도포하고, 이어서 당해 조성물 상에 다른 한쪽의 부재를 첩합하여 물품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설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노르보르넨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지환식 폴리이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변성 PPE(폴리페닐렌에테르),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젖산 폴리머, ABS 수지, AS 수지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재는, 필요에 따라, 코로나 처리나 플라스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상기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롤 코터, 스프레이 코터, T-다이 코터, 나이프 코터, 콤마 코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은, 저점도성이나 도포 후의 보형성 등을 가지므로, 디스펜서, 잉크젯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방식에 따라 도포도 행할 수 있다. 이들의 도포 방식에 따르면, 상기 부재 상의 도포하고자 하는 개소에 상기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으므로, 펀칭 가공 등의 로스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도포 방식에 따르면, 상기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점상, 선상, 삼각상, 사각상, 환상(丸狀), 곡선 등의 다양한 형상을 상기 부재 상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접착제층의 두께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0㎛∼5㎜의 범위에서 바람직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첩합 후의 숙성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온도 20∼80℃, 상대 습도 50∼90% RH, 0.5∼5일간의 사이에서 적의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합성예1]
<아크릴폴리올-1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및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메틸에틸케톤 300질량부를 넣고, 용기 내 온도를 80℃로 한 후, 메타크릴산 340질량부, 메타크릴산부틸 340질량부,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 10질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8.5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60질량부에 용해한 것을 첨가, 혼합하여, 16시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아크릴폴리올-1(불휘발분 : 52질량%, 점도; 20,000mPa·s(23℃))을 얻었다.
[실시예1]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폴리프로필렌글리콜(수평균 분자량; 1,000, 이하 「PPG1000」이라고 약기함) 15질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수평균 분자량; 2,000, 이하 「PPG2000」이라고 약기함) 15질량부, 결정성 PEs-2(1,6-헥산디올과 1,12-도데칸디카르복시산을 반응시킨 것, 수평균 분자량; 3,500) 20질량부, 비정성 PEs-1(비스페놀A의 프로필렌옥사이드 6몰 부가물과, 세바스산, 이소프탈산을 반응시킨 것, 수평균 분자량; 2,000) 7.5질량부, 비정성 PEs-2(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6-헥산디올 및 아디프산을 반응시킨 것, 수평균 분자량; 2,000) 7.5질량부, 아크릴폴리올-1을 20질량부 투입하고, 감압하 100℃에서 폴리올 혼합물 중의 수분 함유율이 0.05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탈수했다.
이어서, 용기 내 온도 70℃로 냉각 후,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15.5질량부를 가하고, 100℃까지 승온하여, NCO기 함유율이 일정해질 때까지 약 3시간 반응시켜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이어서, 당해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비스(2,6-디메틸모르폴리노에틸)에테르를 0.1질량부 가하여,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2∼7, 비교예1∼6]
폴리올의 종류 및/또는 양,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양, 경화 촉매의 종류 및/또는 양을 표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도포 작업성, 도포 후의 보형성, 오픈 타임의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120℃로 용융하고, 120℃로 미리 가열된 0.6㎜ 내경의 디스펜서 니들(「VALVE MASTER ME-5000VT」, 무사시 엔지니어링제)을 사용하여 토출 압력 : 0.3㎫, 속도 : 50㎜/초로 10초 토출했을 때의 도포량(g)에 의해, 도포 작업성을 이하와 같이 판단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케이싱(아크릴판)에 도포한 직후의 접착제층의 높이(㎜)에 의해, 도포 후의 보형성을 이하와 같이 판단했다. 또한, 당해 보형성의 시험에 있어서, 도포 후를 기점으로 하고, 1분마다 지촉으로 택(tack)의 유무를 확인하고, 표면의 택감이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분)을 측정하고, 이하와 같이 판단했다. 또, 경화 촉매를 넣은 직후에 수지 조성물이 겔화한 것은, 이후의 평가는 행하지 않고, 표 중에서는 「-」이라고 했다.
<도포 작업성>
「A」; 0.25g 이상 0.5g 미만
「B」; 0.1g 이상 0.25g 미만
「C」; 0.1g 미만
<도포 후의 보형성>
「A」; 0.36㎜ 이상
「B」; 0.24㎜ 이상 0.36㎜ 미만
「C」; 0.24㎜ 미만
<오픈 타임>
「Y」; 4분 이상 10분 미만
「N」; 4분 미만 및 10분 이상
[유연성의 평가 방법]
상기 [도포 후의 보형성, 오픈 타임의 평가 방법]에서 얻어진 접착제층의 기계적 특성(100% 모듈러스(㎫), 파단점 응력(㎫), 파단점 신도(%))을 JIS K-7311에 준거하여 측정하고, 100% 모듈러스를 기준에 이하와 같이 판단했다.
「A」; 6.0㎫ 미만
「B」; 6.0㎫ 이상 10.0㎫ 미만
「C」; 10.0㎫ 이상
[기재에의 접착 강도의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120℃로 용융시켜서, 롤 코터로 200㎛ 두께의 코로나 처리 PET 상에 100㎛로 도포하고, 각종 기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ABS)판, 폴리카보네이트(PC)판, 아크릴판)와 첩합하여, 각각 23℃, 65% RH의 항온조에 3일간 방치하고, 그 후 180℃ 박리 강도(N/inch)를 JIS K-7311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속경화성의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120℃로 용융시켜서, 롤 코터로 200㎛ 두께의 코로나 처리 PET 상에 100㎛로 도포하고, 이어서 상기와 같은 PET를 첩합했다. 당해 첩합으로부터 3분 후에, 30℃ 분위기하에서 당해 PET에 1㎏의 하중을 90° 방향으로 부여하고, 1시간마다 경시(經時)의 박리의 유무를 확인했다. 또, 박리를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Y」,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N」이라고 평가했다.
[방수성의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120℃로 용융하고, 120℃로 미리 가열된 내경 0.6㎜의 디스펜서 니들(「VALVE MASTER ME-5000VT」, 무사시 엔지니어링제)을 사용하여 토출 압력 : 0.3㎫, 속도 : 50㎜/초로, PC판(5㎝×5㎝)의 형틀에 정방 형상으로 도포하고, 이어서, ABS판을 첩합하여, 물품을 얻었다. 당해 물품을 수침지(23℃, 0.5시간)시킨 후, 물품 내부에의 물의 침입의 유무를, JIS IPX-7에 준거하여 행하여, 이하와 같이 판단했다.
「Y」; 물의 침입이 없음
「N」; 물의 침입이 있음
[표 1]
Figure pct00005
[표 2]
Figure pct00006
표 1∼2 중의 약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정성 PEs-1」; 1,6-헥산디올과 아디프산을 반응시킨 것, 수평균 분자량; 2,000
「비정성 PEs-2」;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6-헥산디올 및 아디프산을 반응시킨 것, 수평균 분자량; 2,000)
[실시예8]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PPG1000을 15질량부, PPG2000을 15질량부, 결정성 PEs-1을 10질량부, 결정성 PEs-2을 10질량부, 비정성 PEs-1을 15질량부, 아크릴폴리올-1을 20질량부, (메타)아크릴 수지-1([아크릴산부틸/메타크릴산부틸/아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69.65/25/5/0.35(질량비)로 반응시킨 것, 수평균 분자량 13,000, 유리 전이 온도; -30.3℃) 2.5질량부를 투입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수분 함유율이 0.05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탈수했다.
이어서, 용기 내 온도 70℃로 냉각 후,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16.5질량부를 가하고, 100℃까지 승온하여, NCO기 함유율이 일정해질 때까지 약 3시간 반응시켜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이어서, 당해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비스(2,6-디메틸모르폴리노에틸)에테르를 0.1질량부 가하여,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9∼19, 비교예7∼12]
폴리올의 종류 및/또는 양,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양, 경화 촉매의 종류 및/또는 양을 표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실시예8과 같이 하여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내낙하충격성의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120℃로 용융하고, 120℃로 미리 가열된 내경 0.6㎜의 디스펜서 니들(「VALVE MASTER ME-5000VT」, 무사시 엔지니어링제)을 사용하여 토출 압력 : 0.3㎫, 속도 : 50㎜/초로, PC판(5㎝×5㎝) 상에, 4㎝×4㎝의 정방형을 그리도록 도포하고, 이어서, ABS판을 첩합하여, 23℃, 65% RH의 조건하에서 3일간 방치했다.
이어서, 듀폰식 낙하 충격 시험기로 ABS판으로부터 격심(擊芯)을 통하여, 하중 : 300g, 높이 : 30㎝에서 충격을 5회 주는 조건에서, PC판의 박리의 발생의 유무를 목시 관찰하고, 이하와 같이 판단했다.
「Y」 : 박리가 발생하지 않음
「N」 : 박리가 발생하고 있음
[표 3]
Figure pct00007
[표 4]
Figure pct00008
[표 5]
Figure pct00009
표 3∼5 중의 약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PTMG1000」;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수평균 분자량; 1,000
「PTMG2000」;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수평균 분자량; 2,000
「(메타)아크릴 수지-2」; [아크릴산부틸/메타크릴산부틸/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74.65/25/0.35(질량비)로 반응시킨 것, 유리 전이 온도; -31℃]
「(메타)아크릴 수지-3」; [아크릴산부틸/메타크릴산부틸]=75/25로 반응시킨 것, 유리 전이 온도; -31.6℃
본 발명의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인 실시예1∼7의 것은, 방수성, 속경화성, 유연성, 각종 기재에의 접착성, 도포 작업성, 도포 후의 보형성, 오픈 타임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에 추가로 아크릴 수지(ⅲ)를 함유시킨 실시예8∼12의 것은, 또한 내낙하충격성도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1 및 7은, 폴리에테르폴리올(A-1)을 함유하지 않는 태양이지만, 방수성, 접착성 등이 불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2 및 8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을 함유하지 않는 태양이지만, 방수성, 오픈 타임, 접착성 등이 불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3 및 9는,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을 함유하지 않는 태양이지만, 방수성이나 유연성, 접착성 등이 불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4 및 10은, 아크릴폴리올(A-4)을 함유하지 않는 태양이지만, 방수성이나 접착성, 오픈 타임 등이 불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5 및 11은, 경화 촉매로서, 금속 촉매인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를 사용한 태양이지만, 겔화해 버렸다.
또한, 비교예6 및 12는, 경화 촉매로서, 3급 아민 촉매인 트리옥틸아민을 사용한 태양이지만, 발포하여 겔화해 버렸다.

Claims (12)

  1. 폴리에테르폴리올(a-1),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2),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 및 아크릴폴리올(A-4)을 함유하는 폴리올(A)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B)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i) 및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경화 촉매(ⅱ)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Figure pct00010

    (식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각각 독립으로 1∼6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폴리올(A-4)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50,000의 범위인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폴리올(A-4)의 유리 전이 온도가, 5∼150℃의 범위인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폴리올(A-4)의 사용량이,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A-1) 100질량부에 대하여, 20∼400질량부의 범위인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A-3)이, 비스페놀A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과, 다염기산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인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매(ⅱ)가, 디모르폴리노디에틸에테르 및 비스(2,6-디메틸모르폴리노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인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매(ⅱ)의 사용량이,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i)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5.0질량부의 범위인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ⅲ)를 더 함유하는 것인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ⅲ)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하인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ⅲ)의 사용량이, 상기 폴리올(A) 100질량부에 대하여, 0.5∼50질량부의 범위인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12. 적어도 2개의 부재를 제8항에 기재된 접착제로 첩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1020147019759A 2012-04-12 2013-03-14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접착제 및 물품 KR101691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90963 2012-04-12
JPJP-P-2012-090963 2012-04-12
JPJP-P-2012-101082 2012-04-26
JP2012101082 2012-04-26
PCT/JP2013/057235 WO2013153907A1 (ja) 2012-04-12 2013-03-14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接着剤及び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470A true KR20140107470A (ko) 2014-09-04
KR101691870B1 KR101691870B1 (ko) 2017-01-03

Family

ID=4932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759A KR101691870B1 (ko) 2012-04-12 2013-03-14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접착제 및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64155B2 (ko)
JP (1) JP5360516B1 (ko)
KR (1) KR101691870B1 (ko)
CN (1) CN104245769B (ko)
MY (1) MY167922A (ko)
TW (1) TWI570145B (ko)
WO (1) WO20131539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451A (ko) * 2015-03-30 2017-11-29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KR20200085351A (ko) * 2017-12-20 2020-07-14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4165B (zh) * 2011-10-24 2016-05-21 迪愛生股份有限公司 濕氣硬化型聚胺基甲酸酯熱熔樹脂組成物、接著劑及物品
JP6196852B2 (ja) * 2013-09-09 2017-09-13 積水フーラー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6613017B2 (ja) * 2013-12-25 2019-11-27 Dic株式会社 積層体、木質板、化粧板、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6330499B2 (ja) * 2014-06-12 2018-05-30 Dic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
WO2015190276A1 (ja) * 2014-06-13 2015-12-17 横浜ゴム株式会社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る自動車灯具
JP6557957B2 (ja) * 2014-10-07 2019-08-14 Dic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化粧造作部材
JP6660545B2 (ja) * 2014-12-16 2020-03-11 Dic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ウレタン組成物及び接着剤
CN104479618B (zh) * 2014-12-23 2016-08-24 上海汇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布料复合用反应性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US20180237671A1 (en) * 2015-02-27 2018-08-23 H.B. Fuller Company Oily chemical resistant moisture curabl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JP6613049B2 (ja) * 2015-04-24 2019-11-27 積水フーラー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6725866B2 (ja) * 2015-12-21 2020-07-22 Dic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
WO2017187968A1 (ja) * 2016-04-26 2017-11-02 日立化成株式会社 湿気硬化型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778379B2 (ja) * 2016-06-15 2020-11-04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耐衝撃性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CN109195475B (zh) * 2016-07-01 2021-08-03 Ykk株式会社 拉链带、具备该拉链带的拉链以及拉链带的制造方法
JP7000669B2 (ja) * 2016-07-27 2022-02-10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6777282B2 (ja) * 2016-09-28 2020-10-28 花王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WO2018079829A1 (ja) * 2016-10-31 2018-05-03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光学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25370B1 (ko) * 2016-11-10 2024-01-15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반응성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6409220B1 (ja) * 2016-12-22 2018-10-24 Dic株式会社 湿気硬化型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積層体、及び、靴
JP6481801B2 (ja) * 2017-03-24 2019-03-13 Dic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TWI789428B (zh) * 2017-09-22 2023-01-11 德商漢高股份有限及兩合公司 高強度長晾置時間之聚胺基甲酸酯反應性熱熔物
US11634530B2 (en) * 2017-09-25 2023-04-25 Dic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leather
US11440286B2 (en) 2017-12-25 2022-09-13 Inoac Corporation Laminate and skin material for vehicle interior member
JP7174478B2 (ja) * 2017-12-25 2022-11-17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低アウトガス性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JP7112298B2 (ja) * 2018-09-19 2022-08-03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積層体と車両用内装材の表皮材
CN111741992B (zh) * 2018-02-21 2022-10-28 Dic株式会社 湿气固化型聚氨酯热熔树脂组合物
US11136430B2 (en) * 2018-05-14 2021-10-05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Polyurethane prepolymer, adhesive and synthetic imitation leather
EP3569625A1 (en) * 2018-05-18 2019-11-20 Henkel AG & Co. KGaA Polyurethane hotmelt adhesive which do not cause polarizer discoloration at hthh conditon
CN108707214A (zh) * 2018-06-05 2018-10-26 苏州新益特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聚氨酯发泡塑料
KR102623240B1 (ko) * 2018-08-23 2024-01-11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CN109651994A (zh) * 2018-12-04 2019-04-19 顺德职业技术学院 耐老化性能优异阻燃湿气固化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51991A (zh) * 2018-12-04 2019-04-19 顺德职业技术学院 湿固化型有机硅改性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536116A (zh) * 2018-12-04 2019-03-29 顺德职业技术学院 耐化学品腐蚀湿气固化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79564A (zh) * 2018-12-04 2019-04-26 顺德职业技术学院 氟硅改性阻燃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79561A (zh) * 2018-12-04 2019-04-26 顺德职业技术学院 氧化石墨烯改性阻燃氟硅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439264A (zh) * 2018-12-04 2019-03-08 顺德职业技术学院 反应型氟改性阻燃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51993A (zh) * 2018-12-04 2019-04-19 顺德职业技术学院 耐候性能优异的湿气固化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852324A (zh) * 2018-12-04 2019-06-07 顺德职业技术学院 氟硅改性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79563A (zh) * 2018-12-04 2019-04-26 顺德职业技术学院 氧化石墨烯改性阻燃湿气固化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79559A (zh) * 2018-12-04 2019-04-26 顺德职业技术学院 耐油性能优异的湿气固化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51992A (zh) * 2018-12-04 2019-04-19 顺德职业技术学院 耐候性能优异的湿气固化阻燃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79560A (zh) * 2018-12-04 2019-04-26 顺德职业技术学院 导热湿气固化有机硅改性阻燃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09078A (zh) * 2018-12-04 2019-04-12 顺德职业技术学院 湿固化型有机硅改性阻燃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51996A (zh) * 2018-12-04 2019-04-19 顺德职业技术学院 高导热阻燃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66437A (zh) * 2018-12-04 2019-04-23 顺德职业技术学院 耐油性能优异阻燃湿气固化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486463A (zh) * 2018-12-04 2019-03-19 顺德职业技术学院 阻燃导热湿气固化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852320A (zh) * 2018-12-04 2019-06-07 顺德职业技术学院 氧化石墨烯改性含氟阻燃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9609076A (zh) * 2018-12-04 2019-04-12 顺德职业技术学院 防水性能优异阻燃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JP7176389B2 (ja) * 2018-12-11 2022-11-22 Dic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接着剤、及び、物品
CN113242869A (zh) * 2018-12-18 2021-08-10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光湿固化性氨基甲酸酯系化合物、光湿固化性氨基甲酸酯预聚物及光湿固化性树脂组合物
WO2020156802A1 (en) * 2019-02-01 2020-08-06 Basf Se Polyurethane and uv-moisture dual cure pu reactive hotmelt comprising the same
WO2021054129A1 (ja) * 2019-09-20 2021-03-25 Dic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接着剤、及び、積層体
CA3183236A1 (en) * 2020-06-17 2021-12-23 Grst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for composite delamination
CN114762145A (zh) * 2020-06-17 2022-07-15 广东省皓智科技有限公司 用于二次电池中柔韧电极的浆料组合物
CN113462346B (zh) * 2021-07-27 2022-07-22 重庆中科力泰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初粘、耐跌落性能优异的uv/湿气双固化聚氨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23181287A1 (ja) * 2022-03-24 2023-09-28 株式会社イノアック技術研究所 湿気硬化性1液型接着剤組成物
WO2024084730A1 (ja) * 2022-10-18 2024-04-25 Dic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硬化物、積層体、及び、表皮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758A (ja) * 1997-03-25 1998-10-06 Nippon Nsc Kk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JP2003027030A (ja) 2001-07-19 2003-01-29 Nitto Shinko Kk 耐湿熱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JP2008248152A (ja) * 2007-03-30 2008-10-16 Dic Corp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造作材
KR20100041692A (ko) * 2007-07-19 2010-04-22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투습 필름
US20100152394A1 (en) * 2008-12-12 2010-06-17 Andrew Slark Reactive hot melt adhesiv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1212B1 (en) * 1990-10-11 2001-02-20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Moisture-curing hotmelt adhesives
BR9508745A (pt) * 1994-08-22 1997-09-30 Henkel Kgaa Composicões de poliuretano com um baixo teor de diisocianatos monoméricos
US6465104B1 (en) 1997-12-01 2002-10-15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Modified polyurethane hotmelt adhesive
JP2001200029A (ja) * 2000-01-21 2001-07-24 Nicca Chemical Co Ltd ロジン含有水性アクリル−ウレタン共重合物、塗工剤及び接着剤
JP2004123833A (ja) * 2002-09-30 2004-04-22 Sekisui Chem Co Ltd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08248018A (ja) * 2007-03-29 2008-10-16 Oshika:Kk 反応型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EP2248845B1 (en) * 2008-02-27 2012-11-28 DIC Corporation Moisture-permeable film, production method of same and laminate using same
JP5292891B2 (ja) * 2008-03-31 2013-09-18 Dic株式会社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造作部材
JP2009286883A (ja) * 2008-05-29 2009-12-10 Sanyo Chem Ind Ltd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CN102906210B (zh) 2010-03-16 2014-10-15 汉高公司 硅烷湿固化性热熔黏合剂
TWI534165B (zh) * 2011-10-24 2016-05-21 迪愛生股份有限公司 濕氣硬化型聚胺基甲酸酯熱熔樹脂組成物、接著劑及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758A (ja) * 1997-03-25 1998-10-06 Nippon Nsc Kk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JP2003027030A (ja) 2001-07-19 2003-01-29 Nitto Shinko Kk 耐湿熱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JP2008248152A (ja) * 2007-03-30 2008-10-16 Dic Corp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造作材
KR20100041692A (ko) * 2007-07-19 2010-04-22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투습 필름
US20100152394A1 (en) * 2008-12-12 2010-06-17 Andrew Slark Reactive hot melt adhesi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451A (ko) * 2015-03-30 2017-11-29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KR20200085351A (ko) * 2017-12-20 2020-07-14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45939A (zh) 2013-11-16
US9464155B2 (en) 2016-10-11
MY167922A (en) 2018-09-28
KR101691870B1 (ko) 2017-01-03
JPWO2013153907A1 (ja) 2015-12-17
CN104245769A (zh) 2014-12-24
US20150099125A1 (en) 2015-04-09
CN104245769B (zh) 2016-08-17
JP5360516B1 (ja) 2013-12-04
WO2013153907A1 (ja) 2013-10-17
TWI570145B (zh) 2017-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870B1 (ko)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접착제 및 물품
KR101596475B1 (ko)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수지 조성물, 접착제 및 물품
JP6660545B2 (ja)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ウレタン組成物及び接着剤
JP6256743B2 (ja)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接着剤及び積層体
KR20100017228A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및 핫멜트 접착제
JPWO2015016029A1 (ja) 湿気硬化型ホットメルトウレタン組成物及び接着剤
JP7409068B2 (ja)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6365000B2 (ja)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接着剤及び積層体
CN111491970B (zh) 湿气固化型聚氨酯热熔树脂组合物和使用了该组合物的物品
JP6725866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5000911A (ja) 反応性ホットメルト樹脂用剥離剤、剥離方法及び基材
JP7409067B2 (ja)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7447475B2 (ja) 基材の回収方法
JP2022015485A (ja)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組成物、硬化物及び積層体
TW202037627A (zh) 濕氣硬化型聚胺基甲酸酯熱熔樹脂組成物、及使用其之物品
JP2023073658A (ja)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JP2023073657A (ja)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