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617A -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617A
KR20140090617A KR1020147012250A KR20147012250A KR20140090617A KR 20140090617 A KR20140090617 A KR 20140090617A KR 1020147012250 A KR1020147012250 A KR 1020147012250A KR 20147012250 A KR20147012250 A KR 20147012250A KR 20140090617 A KR20140090617 A KR 20140090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foam
adhesive tap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984B1 (ko
Inventor
유키 고마츠자키
다케시 이와사키
히데아키 다케이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8Voids specified as micr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발포체 기재 중의 흐름 방향(MD) 및 폭 방향(CD)의 평균 기포경(氣泡徑)이 150㎛ 이하이며,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VD)의 평균 기포경의 비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가 6 이하이며, 층간 강도가 20N/㎝ 이상의 특정의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에 의해, 피착체에의 양호한 추종성과 뛰어난 내충격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대화면화가 진행되고, 디자인성의 요청이 높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컴퓨터나 노트형 컴퓨터, 게임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전자수첩, 휴대전화, PHS, 디지털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텔레비전, 노트형 컴퓨터, 게임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유기 EL 디스플레이(OELD) 등 정보 표시부의 보호를 보호하는 패널과 하우징의 첩합을 비롯하여, 각종 부재나 모듈의 고정에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휴대 전자 기기에는 방수성의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것도 많고, 이들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부재 고정용의 점착 테이프에 의해 방수성이 실현되고 있다.
방수 성능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는, 예를 들면, 유연한 발포체를 기재로서 사용한 점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으며(특허문헌 1∼2 참조), 이들 점착 테이프는, 박형이며 양호한 추종성을 가지므로, 휴대 전자 기기의 방수성 부여에 호적(好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의 휴대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컴퓨터나 노트형 컴퓨터, 게임기를 비롯하여, 휴대 전자 기기의 정보 표시부의 대화면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정보 표시부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세폭(細幅)으로 정보 표시부의 보호 패널이나 정보 표시 장치 모듈을 고정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의 요청도 높다. 이러한, 대화면화된 정보 표시부나 그것을 보호하는 패널 등의 고정이나, 세폭으로의 보호 패널이나 정보 표시 장치 모듈 고정에 있어서는, 상기의 점착 테이프로는, 낙하 등에 의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점착 테이프가 벗겨지기 쉬우므로, 내충격성의 향상이 요구되어 있었다.
일본국 특개2010-155969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0-26088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착체에의 양호한 추종성과, 뛰어난 내충격성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포체 기재 중의 흐름 방향(MD) 및 폭 방향(CD)의 평균 기포경(氣泡徑)이 150㎛ 이하이며,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VD)의 평균 기포경의 비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가 6 이하이며, 층간 강도가 20N/㎝ 이상의 특정의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에 의해, 피착체에의 양호한 추종성과 뛰어난 내충격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상기 과제를 해결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특정의 발포체 기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피착체에의 양호한 추종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밀착 간극으로부터의 물이나 먼지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뛰어난 방수성 및 방적성(防滴性), 방진성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박형화가 진행되며, 하우징 내에서의 용적 제한이 엄격하여 별도의 봉지(封止)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곤란한 휴대 전자 기기 등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방수성 및 방적성, 방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특정의 층간 강도를 갖는 발포체 기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낙하 시의 내충격성이 뛰어나다. 이 때문에, 대화면화된 정보 표시부나 그것을 보호하는 대형의 보호 패널의 고정, 세폭으로의 패널 고정이나 정보 표시 장치 그 자체의 고정에 있어서도 낙하 시의 점착 테이프의 탈리나 발포체 기재의 깨짐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대화면화가 진행되고, 디자인성의 요청이 높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컴퓨터나 노트형 컴퓨터, 게임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면접착 강도용의 시험편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아크릴판이 ABS판의 구멍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아크릴판을 양면 점착 테이프(1)에 의해 첩부한 면접착 강도용의 시험편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면접착 강도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낙하 충격 시험용의 시험편을 상면으로부터 본 개념도.
도 5는 낙하 충격 시험용의 시험편을 단면 방향으로부터 본 개념도.
도 6은 낙하 충격 시험용의 시험편을 낙하 시험용 지그에 장착된 상태를, 단면 방향으로부터 본 개념도.
도 7은 추종성·방수성 시험용의 양면 점착 테이프 부착 아크릴판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추종성·방수성 시험용의 단차 부착 아크릴판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추종성·방수성 시험용의 양면 점착 테이프 부착 아크릴판과 단차 부착 아크릴판을 첩합한 상태를, 단면 방향으로부터 본 개념도.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흐름 방향(MD=Machine Direction, 시트의 압출 방향 또는 발포체 기재의 권출 방향), 및 폭 방향(CD=Cross Machine Direction, MD에 직교하며 발포체 기재의 표면에 따른 방향)의 평균 기포경이 150㎛ 이하이며,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VD=vertical(thickness)direction, 발포체 기재의 표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비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가 6 이하이며, 층간 강도가 20N/㎝ 이상의 발포체 기재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이다.
[발포체 기재]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는, 층간 강도가 20N/㎝ 이상, 바람직하게는 20∼150N/㎝, 보다 바람직하게는 25∼100N/㎝, 보다 바람직하게는 25∼60N/㎝의 발포체 기재이다. 층간 강도가 당해 범위의 발포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피착체에의 양호한 추종성과 뛰어난 내충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의 제조 시의 수율 향상을 위해, 재공품(work in process)으로부터 점착 테이프나 부품 등을 벗기는(리워크) 경우나, 완성품을 수리 또는 재생이나 재이용하기 위해서 하우징이나 부품을 분리, 분해, 해체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재의 층간 깨짐이 발생한 경우에도, 점착 테이프의 박리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층간 강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층간 강도를 평가하는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두께 50㎛의 강점착성(하기 고속 박리 시험 시에 피착체 및 발포체 기재로부터 박리하지 않은 것)의 점착제층을 1매씩 첩합한 후, 40℃에서 48시간 숙성하여, 층간 강도 측정용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작성한다. 다음으로, 편측의 점착면을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안을 댄 폭 1㎝, 길이 15㎝(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양면 점착 테이프 시료를, 23℃ 50% RH하에서 두께 50㎛, 폭 3㎝, 길이 2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2㎏ 롤러 1왕복으로 가압 첩부하여 60℃에서 48시간 정치한다. 23℃에서 24시간 정치 후, 23℃ 50% RH하에서 두께 50μm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첩합한 측을 고속 박리 시험기의 장착 지그에 고정하고,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인장 속도 15m/분으로 90도 방향으로 인장하여 발포체를 인열(引裂)했을 때의 최대 강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는,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각 50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1500N/㎠이다. 또한 흐름 방향 및 폭 방향 중 인장 탄성률이 낮은 방향의 인장 탄성률이 500∼800N/㎠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700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의 높은 방향의 인장 탄성률이 700∼1500N/㎠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1100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절단 시의 인장 신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흐름 방향의 인장 신도가 200∼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1000%, 더 바람직하게는 620∼950%, 특히 바람직하게는, 650∼700%이다. 인장 탄성률이나 인장 신도가 당해 범위의 발포체 기재에 의해, 발포한 유연한 기재여도 점착 테이프의 가공성의 악화나 첩부 작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를 벗길 때에 발포체의 층간 파괴나 찢김이 발생하기 어렵고, 층간 깨짐이 발생한 경우에도 점착 테이프의 박리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상술의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은, JIS K6767에 준하여 측정했다. 표선 길이 2㎝, 폭 1㎝의 샘플을, 텐실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23℃·50% RH의 환경하에 있어서, 인장 속도 300㎜/min의 측정 조건에서 측정한 최대 강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기포 구조는 독립 기포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에서의 침수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독립 기포 구조를 형성하는 기포의 형상은, 발포체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보다, 흐름 방향이나 폭 방향, 혹은 그 양쪽의 평균 기포경이 긴 형상의 독립 기포로 하는 것에 의해, 적당한 추종성과 쿠션성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은 15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0∼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50㎛, 더 바람직하게는 50∼150㎛이다.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 테이프의 폭을 좁게 했을 경우에도 단위폭 당에 존재하는 독립 기포가 늘어나기 때문에, 발포체 기재 단면으로부터의 침수 경로를 호적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은, 발포체의 두께에 따르지만 1∼150㎛, 바람직하게는 5∼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60㎛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에 대한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의 비(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 및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에 대한,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의 비(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경)가 함께 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5, 또한 1.2∼4이다. 당해 비율이 1.2 이상이면 두께 방향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쉽기 때문에 추종성이 향상한다. 또한, 당해 비율이 6배 이하이면, 낙하 충격 시의 발포체 층간 파괴에 대한 내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유연성이나 인장 강도의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다. 당해 평균 기포경의 비율을 갖는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는, 두께 방향에 호적한 추종성과 쿠션성을 갖기 때문에, 첩부 시의 압력이 접합부에 집중하여 접착 계면에 존재하는 공기를 압출하기 쉽기 때문에, 강체끼리의 접합에 있어서도, 물이 들어가는 간극을 생기지 않게 하는 뛰어난 밀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율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흐름 방향을 1로 했을 경우 0.25∼4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3∼3배, 더 바람직하게는 0.6∼1.5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0.7∼1.3배이다. 상기 비율 범위이면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유연성이나 인장 강도의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다.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과 흐름 방향,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은,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한다. 우선, 발포체 기재를 폭 방향, 흐름 방향 모두 1㎝로 절단한다. 다음으로, 절단한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 중앙 부분을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상품명 「KH-7700」, HiROX사제)에 의해, 발포체 기포 부분을 200배로 확대한 후,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 또는 흐름 방향의 단면을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이 그 기재 두께 방향의 전장(全長)을 관찰한다. 얻어진 확대 화상에 있어서, 흐름 방향 또는 폭 방향의 확대 전의 실제의 길이가 2㎜분의 절단면에 존재하는 기포의 기포경을 모두 측정하고, 그 평균치로부터 평균 기포경을 산출한다. 임의의 10개소에서 측정한 결과로 평균 기포경을 구한다.
발포체 기재의 겉보기 밀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층간 강도나 압축 강도, 평균 기포경 등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고, 내충격성이나 피착체와의 뛰어난 밀착성의 양립을 실현하기 쉬우므로, 0.08∼0.7g/㎤, 바람직하게는 0.1∼0.6g/㎤,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5g/㎤, 특히 바람직하게는 0.3∼0.5g/㎤이다. 또, 겉보기 밀도는, JIS K6767에 준하여 측정했다. 4㎝×5㎝의 장방형으로 절단한 발포체 기재를 약 15㎤분 준비하고, 그 질량을 측정하여 겉보기 밀도를 구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25% 압축 강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80∼7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170∼600㎪의 발포체 기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500㎪의 발포 기재이다. 25% 압축 강도가 당해 범위의 발포체 기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피착체와의 뛰어난 밀착성을 갖고, 특히 요철 형상이나 조면(粗面)을 갖는 피착체에 대해서도 호적하게 추종하여 뛰어난 밀착성을 갖는다.
또, 25% 압축 강도는, JIS K6767에 준하여 측정했다. 25각(角)으로 절단한 시료를 두께 약 10㎜가 될 때까지 겹친다. 시료보다 큰 면적의 스테인리스판으로 시료를 끼워, 23℃하에서 10㎜/분의 속도로 시료를 약 2.5㎜(원래 두께의 25%분) 압축했을 때의 강도를 측정한다.
발포체 기재의 두께는 사용하는 태양에 따라 적의(適宜) 조정하면 되지만, 50∼1200㎛이다. 전자 기기의 부품 고정용, 특히 소형, 박형의 휴대 전자 기기의 경우에는, 얇은 테이프 두께가 요구되기 때문에, 기재 두께는 50∼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의 층간 강도나 압축 강도, 및 인장 탄성률 등은, 사용하는 기재의 소재나 발포 구조에 따라 적의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종류는, 상기 층간 강도나 25% 압축 강도, 인장 탄성률 등을 갖는 것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폴리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나 폴리우레탄계 발포체, 아크릴계 고무나 그 외의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무계 발포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피착체 표면의 요철에의 추종성이나 완충 흡수성 등이 뛰어난 얇은 독립 기포 구조의 발포체 기재를 제작하기 쉽기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두께로 제조하기 쉽고, 또한 호적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4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중합 촉매로서 4가의 천이 금속을 함유하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분자량 분포가 좁고, 공중합체의 경우, 어느 분자량 성분에도 공중합체 성분이 거의 같은 비율로 도입되므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를 균일하게 가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발포 시트를 균일하게 가교시키고 있으므로 발포 시트를 필요에 따라 균일하게 연신시키기 쉽고,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균일한 것으로 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는, 중합 촉매로서 4가의 천이 금속을 함유하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상기 이외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가교되어 있어도 되지만,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열분해형 발포제로 발포시키는 경우에는, 가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도는, 작으면, 발포체 기재를 연신하는 경우에 발포 시트의 표면 근방부의 기포가 파포하여 표면 거침이 생겨, 아크릴계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고, 크면, 후술하는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가 너무 커져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가열 발포할 때에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발포에 추종하기 어려워져서 원하는 발포 배율을 갖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시트가 얻어지지 않고, 그 결과, 충격 흡수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5∼60질량%가 바람직하고, 20∼5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중합 촉매로서 4가의 천이 금속을 함유하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40중량% 이상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열분해형 발포제와 발포 조제, 발포체를 흑색이나 백색 등으로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를 함유하는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하고, 압출기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는 것에 의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과, 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가교시키는 공정과,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시키는 공정과, 얻어진 발포 시트를 용융 또는 연화시켜, 흐름 방향 혹은 폭 방향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방향을 향하여 연신시켜서 발포 시트를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발포 시트를 연신하는 공정은 필요에 따라 행해지면 되며, 복수회 행해져도 된다.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를 가교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에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미리 유기 과산화물을 배합해 두고, 얻어진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가열하여 유기 과산화물을 분해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방법은 병용되어도 된다.
전리성 방사선으로서는, 전자선, α선, β선, γ선 등을 들 수 있다. 전리성 방사선의 선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겔분율이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적의 조정되지만, 5∼200kGy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전리성 방사선의 조사는, 균일한 발포 상태를 얻기 쉬우므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양면에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면에 조사하는 선량을 같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1,1-비스(t-부틸퍼옥시) 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2,2-비스(t-부틸퍼옥시)옥탄,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쿠밀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α,α'-비스(t-부틸퍼옥시-m-이소프로필)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 벤조일퍼옥사이드, 쿠밀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알릴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유기 과산화물의 첨가량은, 적으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가교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많으면, 얻어지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시트 중에 유기 과산화물의 분해 잔사가 잔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3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열분해형 발포제의 첨가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발포 배율에 따라 적의 결정해도 되지만, 적으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발포성이 저하하고, 원하는 발포 배율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많으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인장 강도 및 압축 회복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4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3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열풍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 적외선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 염욕(鹽浴)에 의한 방법, 오일 배쓰에 의한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열풍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이나 적외선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 표면의 외관에, 표리에서의 차이가 적으므로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의 발포 배율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층간 강도나 압축 강도, 겉보기 밀도, 평균 기포경 등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고, 내충격성이나 피착체와의 뛰어난 밀착성의 양립을 실현하기 쉬우므로, 2∼12배, 바람직하게는 2∼8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배이다.
그리고, 발포체 기재의 연신은,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시켜서 발포체 기재를 얻은 후에 행해도 되며, 혹은,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시키면서 행해도 된다. 또,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시켜서 발포체 기재를 얻은 후, 발포체 기재를 연신하는 경우에는, 발포체 기재를 냉각하지 않고 발포 시의 용융 상태를 유지한 채 이어서 발포체 기재를 연신해도, 혹은, 발포체 기재를 냉각한 후, 다시, 발포 시트를 가열하여 용융 또는 연화 상태로 한 후 발포체 기재를 연신해도 된다.
여기에서, 발포체 기재의 용융 상태란, 발포체 기재를 그 양면 온도가,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한 상태를 말한다. 또한, 발포체 기재의 연화란, 발포체 기재를 그 양면 온도가, 20℃ 이상,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 온도 미만까지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를 말한다. 상기 발포체 기재를 연신하는 것에 의해, 발포체 기재의 기포를 소정 방향으로 연신하여 변형시켜서, 기포의 어스펙트비가 소정 범위 내로 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발포체 기재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는, 장척상의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흐름 방향 혹은 폭 방향을 향하여, 또는,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을 향하여 연신시킨다. 또,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을 향하여 연신시키는 경우,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을 향하여 동시에 연신해도 되며, 한 방향씩 따로 연신해도 된다.
상기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장척상의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 공정에 공급하는 속도(공급 속도)보다도, 발포 후에 장척상의 발포 시트를 냉각하면서 권취하는 속도(권취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에 의해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 얻어진 발포체 기재를 연신 공정에 공급하는 속도(공급 속도)보다도, 발포체 기재를 권취하는 속도(권취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에 의해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전자의 방법에 있어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는, 그 자신의 발포에 의해 흐름 방향으로 팽창하므로,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우에는,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발포에 의한 흐름 방향에의 팽창분을 고려한 후, 그 팽창분 이상으로 발포체 기재가 흐름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발포체 기재의 공급 속도와 권취 속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발포체 기재를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으로서는,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한 쌍의 파지 부재에 의해 파지(把持)하고, 이 한 쌍의 파지 부재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발포체 기재를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는, 그 자신의 발포에 의해 폭 방향으로 팽창하므로, 발포체 기재를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우에는,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발포에 의한 폭 방향에의 팽창분을 고려한 후, 그 팽창분 이상으로 발포체 기재가 폭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작으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유연성 및 인장 강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고, 크면, 발포체 기재가 연신 중에 절단하거나 혹은 발포 중의 발포체 기재로부터 발포 가스가 빠져버려서,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발포 배율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유연성 및 인장 강도가 저하하거나 품질이 불균일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1.1∼2.0배가 바람직하고, 1.2∼1.5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작으면,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기재의 유연성 및 인장 강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고, 크면, 발포체 기재가 연신 중에 절단하거나 혹은 발포 중의 발포체 기재로부터 발포 가스가 빠져버려서,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기재의 발포 배율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기재의 유연성 및 인장 강도가 저하하거나 품질이 불균일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1.2∼4.5배가 바람직하고, 1.5∼3.5배가 보다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의장성, 차광성이나 은폐성, 광반사성, 내광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착색제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점착 테이프에 차광성이나 은폐성, 내광성을 부여하는 경우, 발포체 기재는 흑색으로 착색된다. 흑색 착색제로서는, 카본블랙, 그라파이트, 산화구리, 이산화망간, 아닐린블랙, 페릴렌블랙, 티타늄블랙, 시아닌블랙, 활성탄, 페라이트, 마그네타이트, 산화크롬, 산화철, 이황화몰리브덴, 크롬 착체, 복합 산화물계 흑색 색소, 안트라퀴논계 유기 흑색 색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용, 입수성, 절연성,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공정이나 가열 발포 공정의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카본블랙이 바람직하다.
점착 테이프에 의장성이나 광반사성 등을 부여하는 경우, 발포체 기재는 백색으로 착색된다. 백색 착색제로서는,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산화칼슘, 산화주석, 산화바륨, 산화세슘, 산화이트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바륨, 탄산아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스테아르산바륨, 아연화,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클레이, 카올린, 인산티타늄, 마이카, 석고, 화이트 카본, 규조토, 벤토나이트, 리토폰, 제올라이트, 세리사이트 등의 무기계 백색 착색제나 실리콘계 수지 입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우레탄계 수지 입자, 멜라민계 수지 입자 등의 유기계 백색 착색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용, 입수성, 색조,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공정이나 가열 발포 공정의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산화알루미늄이나 산화아연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물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가소제, 산화 방지제, 산화아연 등의 발포 조제, 기포핵 조정재, 열안정제, 수산화알루미늄이나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제, 대전 방지제, 유리제나 플라스틱제의 중공 벌룬·비드, 금속 분말, 금속 화합물 등의 충전재, 도전성 필러, 열전도성 필러 등의 공지의 것이 수지에 임의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로서는, 적당한 추종성과 쿠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0.1∼10질량%가 바람직하고, 1∼7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착색제나 열분해성 발포제나 발포 조제 등을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는 경우, 색 불균일이나 이상 발포나 발포 불량 방지의 관점에서, 압출기에 공급하기 전에 미리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나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과 상용성(相溶性)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로 마스터 배치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는, 점착제층이나 다른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스마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이접착(易接着) 처리제의 도포 등의 표면 처리가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표면 처리는, 젖음 시약에 의한 젖음 지수가 36mN/m 이상, 바람직하게는 40mN/m, 더 바람직하게는 48mN/m으로 함으로써, 점착제와의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진다. 밀착성을 향상시킨 발포체 기재는, 연속 공정에서 점착제층과 첩합해도 되며, 일단 권취 가공을 해도 된다. 발포체 기재를 일단 권취하는 경우에는, 밀착성이 상승한 발포체 기재끼리의 블록킹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포체 기재를 종이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필름 등의 간지와 함께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 25㎛ 이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통상의 점착 테이프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합성 고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독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고, 이것에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 수지나 가교제 등의 첨가제가 배합된 (메타)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탄소수 1∼12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머를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4∼12의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4∼8의 직쇄 또는 분기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더 바람직하다. 특히 n-부틸아크릴레이트는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쉽고, 응집력이나 피지류(皮脂類)에의 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탄소수 1∼12의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의 80∼98.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90∼98.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극성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해도 되며, 고극성 비닐 모노머로서는, 수산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카르복시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아미드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메타)아크릴산 2량체, 크로톤산,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숙신산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미드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N-비닐피롤리든, N-비닐카프로락탐, 아크릴로일모르폴린,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고극성 비닐 모노머로서, 아세트산비닐,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숙신산아크릴레이트,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등의 설폰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고극성 비닐 모노머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의 1.5∼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8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당해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에 의해, 점착제의 응집력이나 유지력, 접착성을 호적한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
또,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로서는 수산기 함유 비닐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반응하는 수산기 함유 비닐 모노머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0.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0.3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의 공지의 중합 방법으로 공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지만, 점착제의 내수성으로부터 용액 중합법이나 괴상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의 개시 방법도, 과산화벤조일이나 과산화라우로일 등의 과산화물계, 아조비스이소부틸니트릴 등의 아조계의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열에 의한 개시 방법이나, 아세토페논계, 벤조인에테르계, 벤질케탈계,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벤조인계, 벤조페논계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자외선 조사에 의한 개시 방법이나, 전자선 조사에 의한 방법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프(GPC)로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300만, 바람직하게는 80∼250만이다.
여기에서, GPC법에 의한 분자량의 측정은,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GPC 장치(HLC-8329GPC)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스탠다드 폴리스티렌 환산치이며,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샘플 농도 : 0.5질량%(THF 용액)
샘플 주입량 : 100㎕
용리액 : THF
유속 : 1.0㎖/분
측정 온도 : 40℃
본 칼럼 : TSKgel GMHHR-H (20) 2개
가드 칼럼 : TSKgel HXL-H
검출기 : 시차 굴절계
스탠다드 폴리스티렌 분자량 : 1만∼2000만(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는, 피착체와의 밀착성이나 면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로진계, 중합 로진계, 중합 로진 에스테르계, 로진 페놀계, 안정화 로진 에스테르계, 불균화 로진 에스테르계, 수첨 로진 에스테르계, 테르펜계, 테르펜페놀계, 석유 수지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에멀젼형의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멀젼형의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불균화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 중합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 로진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 수첨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는 1종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30∼180℃, 바람직하게는 70℃∼140℃이다. 연화점이 높은 점착 부여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높은 접착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점착 부여 수지의 경우에는, 유리 전이 온도가 30∼200℃, 바람직하게는 50℃∼160℃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할 때의 배합비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5∼6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8∼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자의 비율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올리기 위해서 점착제를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 종료 후에 첨가하고,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는 타입의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반응성이 풍부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발포체 기재와의 밀착성이 향상하므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3관능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다. 3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체, 트리페닐메탄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가교 정도의 지표로서, 점착제층을 톨루엔에 24시간 침지한 후의 불용분을 측정하는 겔분율의 값이 사용된다. 겔분율은, 바람직하게는 25∼70질량%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30∼55질량%의 범위이면, 응집성과 접착성이 함께 양호하다.
또, 겔분율의 측정은 하기에 따른다. 박리 시트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가 되도록 점착제 조성물을 도공하여, 100℃에서 3분간 건조하고, 40℃ 2일 에이징한 것을 50㎜각으로 잘라내어, 이것을 시료로 한다. 다음으로, 미리 상기 시료의 톨루엔 침지 전의 중량(G1)을 측정해 두고, 톨루엔 용액 중에 23℃에서 24시간 침지한 후의 시료의 톨루엔 불용해분을 300메쉬 금망(金網)으로 여과함에 의해 분리하고, 110℃에서 1시간 건조한 후의 잔사의 중량(G2)을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따라 겔분율이 구해진다.
겔분율(질량%)=(G2/G1)×100
점착제의 첨가제로서, 필요에 따라, 가소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유리나 플라스틱제의 섬유·벌룬·비드, 금속 분말,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등의 충전제, 안료·염료 등의 착색제, 레벨링제, 증점제, 발수제, 소포제 등의 공지의 것을 점착제 조성물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사용하는 점착제층은, 주파수 1㎐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치를 나타내는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온도가 -4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의 피크치를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상온하에서의 피착체와의 양호한 밀착성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특히 저온 환경하에서의 내(耐)낙하충격성의 향상에 있어서는, -35℃∼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6℃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주파수 1㎐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은, 온도 분산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얻어진 저장 탄성률(G'), 손실 탄성률(G")부터, tanδ=G"/G'의 식으로 구해진다. 동적 점탄성의 측정에 있어서는, 점탄성 시험기(티·에이·인스트루먼트·재팬사제, 상품명 : ARES G2)를 사용하여, 두께 약 2㎜로 형성한 점착제층을 동(同)시험기의 측정부인 직경 8㎜의 평행 원반 사이에 시험편을 끼우고, 주파수 1㎐로 -50℃로부터 150℃까지의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박형의 점착 테이프로 했을 경우에도 피착체와의 밀착성 그리고 리워크 적성이나 재박리성이 확보하기 쉬우므로, 10∼100㎛가 바람직하고, 20∼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상기 발포체 기재의 적어도 일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것에 의해, 낙하 충격 시에 발포체에 의한 충격 흡수가 가능하며, 층간 파괴에 대한 강도의 비약적인 향상에 의해, 뛰어난 내충격성을 가지므로, 대화면의 패널 고정이나, 세폭으로의 패널 고정에 있어서도 낙하 시의 점착 테이프의 탈리나 깨짐이 생기기 어려워, 대화면화가 진행되며, 디자인성의 요청이 높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컴퓨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박형화가 진행되며, 하우징 내에서의 용적 제한이 엄격하여, 별도의 봉지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곤란한 휴대 전자 기기 등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방수 및 방적, 방진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체 기재와 점착제층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피착체와의 호적한 밀착성을 나타내고, 밀착 간극으로부터의 물이나 먼지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뛰어난 방수 및 방적, 방진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실시형태로서는, 발포체 기재를 중심(中芯)으로 하고, 당해 기재의 적어도 일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점착제층이 마련된 구성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는 직접 적층되어 있어도,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들 태양은 사용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하면 되며, 테이프에 치수 안정성이나 인장 강도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라미네이트층을, 테이프에 차광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차광층을, 광반사성을 확보할 때에는 광반사층을 더 마련해도 된다. 이들 다른 층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당해 다른 층으로서 방수성의 층을 사용한다.
라미네이트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비롯한 각종 수지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두께로서는, 발포체 기재의 추종성의 면으로부터 1∼16㎛가 바람직하고, 2∼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차광층으로서는, 안료 등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잉크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간편하게 사용되며, 흑잉크로 이루어지는 층이, 차광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반사층으로서는, 백색 잉크로부터 형성되는 층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층의 두께로서는 2∼20㎛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4∼6㎛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를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잉크의 경화 수축에 의한 기재의 컬이 발생하기 어렵고, 테이프의 가공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공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포체 기재에 직접, 혹은, 발포체 기재 상에 적층된 다른 층의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직사법(直寫法)이나, 박리 시트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발포체 기재나 다른 층 표면에 첩합하는 전사법을 들 수 있다. 또,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과 가교제를 배합한 것을 건조시켜서 작성하는 경우에는, 점착 테이프 작성 후에 20℃∼50℃, 바람직하게는 23℃∼45℃의 환경하에서 2∼7일간의 숙성 구성을 행하면, 발포체 기재와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이나 점착 물성이 안정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두께는 사용하는 태양에 따라 적의 조정하면 되지만, 70∼1400㎛이다. 전자 기기의 부품 고정용, 특히 소형, 박형의 휴대 전자 기기의 경우에는, 얇은 테이프 두께가 요구되기 때문에, 100∼7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6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테이프 두께를 당해 두께로 함으로써, 박형·소형의 휴대 전자 기기에 대해서도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방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하기 측정 조건에 의해 측정되는 면접착 강도가, 100N/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N/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면접착 강도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1) 23℃에서, 두께 2㎜이며 5㎝각의 아크릴판에, 폭 5㎜ 길이 4㎝의 2매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평행하게 첩부한다.
2) 다음으로, 중심부에 직경 1㎝의 구멍을 마련한 두께 2㎜, 10×15㎝의 장방형의 평활한 ABS판에, 1)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테이프 부착 아크릴판을, 아크릴판의 중심과 ABS판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첩부하여, 2㎏ 롤러로 1왕복 가압한 후, 23℃에서 1시간 정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3) 시험편의 ABS 측으로부터 ABS판의 구멍을 통하여, 직경 8㎜의 스테인리스제 프로브가 장착된 인장 시험기로 아크릴판을 10㎜/분으로 눌러, 아크릴판이 벗겨지는 강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박리 시트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합성 수지 필름, 종이, 부직포, 천, 발포 시트나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로부터의 박리성을 높이기 위한 실리콘계 처리, 장쇄 알킬계 처리, 불소계 처리 등의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두께 10∼40㎛의 폴리에틸렌을 양측에 라미네이트한 상질지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박리 시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에의 양호한 추종성을 가지므로, 밀착 간극으로부터의 물이나 먼지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뛰어난 방수성 및 방적성, 방진성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박형화가 진행되며, 하우징 내에서의 용적 제한이 엄격하여, 별도의 봉지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곤란한 휴대 전자 기기 등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방수성 및 방적성, 방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대화면화된 정보 표시부나 그것을 보호하는 패널 등의 고정이나, 세폭으로의 보호 패널이나 정보 표시 장치 모듈 고정에 있어서, 피착체와의 양호한 접착성과 추종성 및 뛰어난 내충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이러한 뛰어난 특성을 가지므로, 전자수첩, 휴대전화, PHS, 디지털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텔레비전, 노트형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형 컴퓨터, 게임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LED나 OELD 디스플레이 등 정보 표시 장치를 보호하는 패널과 하우징의 첩합, 하우징끼리의 첩합, 하우징과 터치 패널이나 시트상 텐키(ten-key) 등의 정보 입력 장치의 첩합, 대각(對角) 3.5∼16인치의 LED나 OELD 등 정보 표시 장치와 하우징의 첩합 외에, 내장형 배터리, 스피커, 리시버, 압전 소자, 프린트 기판,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FPC), 디지털 카메라 모듈, 센서류, 그 외의 모듈이나,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올레핀계 등의 쿠션재 고무제 부재, 가식용 부품이나 각종 부재의 고정 등에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정보 표시부의 대화면화가 진행되며, 낙하 시의 충격이 큰 대각 3.5∼16인치, 바람직하게는 3.5∼12.1인치의 휴대 전자 단말에 있어서도, 책상 위에서의 낙하나 보행 중의 조작 시의 낙하 등의 시에도 뛰어난 내충격성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이들 대화면화된 휴대 전자 단말의 부품 고정 용도에, 특히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점착제 조성물(A)의 조정)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93.4질량부, 아크릴산 3.5질량부, 아세트산비닐 3질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1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160만(폴리스티렌 환산)의 아크릴계 공중합체(1)를 얻었다. 다음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1) 100질량부에 대하여, 아라카와가가쿠사제 「수퍼에스테르 A100」(불균화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9.4질량부와, 하리마가세이사제 「하리탁PCJ」(중합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9.4질량부를 첨가, 아세트산에틸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불휘발분 38%의 점착제 조성물(A)을 얻었다.
(점착제 조성물(B)의 조정)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97.97질량부, 아크릴산 2.0질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03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만(폴리스티렌 환산)의 아크릴계 공중합체(2)를 얻었다. 다음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2) 100질량부에 대하여, 아라카와가가쿠사제 「수퍼에스테르 A100」(불균화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25질량부와, 아라카와가가쿠사제 「펜셀 D135」(중합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5질량부, 미츠이가가쿠제 FTR6100(스티렌계 석유 수지) 20질량부를 첨가, 아세트산에틸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불휘발분 40%의 점착제 조성물(B)을 얻었다.
(점착제 조성물(C)의 조정)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44.94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50질량부, 아세트산비닐 3질량부, 아크릴산 2질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06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120만(폴리스티렌 환산)의 아크릴계 공중합체(3)를 얻었다. 다음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4) 100질량부에 대하여, 아라카와가가쿠사제 「펜셀 D135」(중합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10질량부를 첨가, 아세트산에틸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불휘발분 45%의 점착제 조성물(C)을 얻었다.
[실시예1]
(양면 점착 테이프의 조정)
상기 점착제 조성물(A) 100질량부에 대하여, 니혼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1질량부 첨가하여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가 되도록 도공하여,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48질량%, 주파수 1㎐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치를 나타내는 온도는 -16℃였다.
다음으로,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두께 : 200㎛, 겉보기 밀도 0.39g/㎤, 25% 압축 강도 : 450㎪,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964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666N/㎠, 층간 강도 : 42.4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양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1매씩 첩합한 후, 23℃하 선압 5㎏/㎝의 롤로 라미네이트했다. 그 후, 40℃에서 48시간 숙성하여, 두께 3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2]
점착제 조성물(A)의 건조 후의 두께를 2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25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3]
점착제 조성물(A)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B)을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B 100질량부에 대하여, 니혼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33질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3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37질량%, 주파수 1㎐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치를 나타내는 온도는 2℃였다.
[실시예4]
점착제 조성물(A)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C) 100질량부에 대하여, 니혼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0.93질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3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42질량%, 주파수 1㎐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치를 나타내는 온도는 -28℃였다.
[실시예5]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2)(두께 : 200㎛, 겉보기 밀도 0.36g/㎤, 25% 압축 강도 : 388㎪,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883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624N/㎠, 층간 강도 : 28.4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3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6]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3)(두께 : 200㎛, 겉보기 밀도 0.45g/㎤, 25% 압축 강도 : 332㎪,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1072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675N/㎠, 층간 강도 : 27.4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3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7]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4)(두께 : 150㎛, 겉보기 밀도 0.40g/㎤, 25% 압축 강도 : 207㎪,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1022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734N/㎠, 층간 강도 : 27.0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3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25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8]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5)(두께 : 230㎛, 겉보기 밀도 0.35g/㎤, 25% 압축 강도 : 301㎪,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933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593N/㎠, 층간 강도 : 29.4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3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33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9]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6)(두께 : 500㎛, 겉보기 밀도 0.14g/㎤, 25% 압축 강도 : 98㎪,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411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245N/㎠, 층간 강도 : 30.0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6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1]
점착제 조성물(A) 100질량부에 대하여, 니혼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1질량부 첨가하여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80㎛가 되도록 도공하여,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7)(두께 : 140㎛, 겉보기 밀도 0.40g/㎤, 25% 압축 강도 : 130㎪,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994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713N/㎠, 층간 강도 : 19.1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의 양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1매씩 첩합한 후, 23℃하 선압 5㎏/㎝의 롤로 라미네이트했다. 그 후, 40℃에서 48시간 숙성하여, 두께 3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2]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8)(두께 : 200㎛, 겉보기 밀도 0.20g/㎤, 25% 압축 강도 : 52㎪,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495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412N/㎠, 층간 강도 : 12.9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3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3]
점착제 조성물(A) 100질량부에 대하여, 니혼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1질량부 첨가하여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공하여,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9)(두께 : 80㎛, 겉보기 밀도 0.39g/㎤, 25% 압축 강도 : 92㎪,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1062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962N/㎠, 층간 강도 : 19.1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의 양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1매씩 첩합한 후, 23℃하 선압 5㎏/㎝의 롤로 라미네이트했다. 그 후, 40℃에서 48시간 숙성하여, 두께 11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4]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0)(두께 : 100㎛, 겉보기 밀도 0.33g/㎤, 25% 압축 강도 : 70㎪,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799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627N/㎠, 층간 강도 : 8.9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2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5]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1)(두께 : 100㎛, 겉보기 밀도 0.36g/㎤, 25% 압축 강도 : 103㎪,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1084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790N/㎠, 층간 강도 : 12.6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2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6]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2)(두께 : 100㎛, 겉보기 밀도 0.41g/㎤, 25% 압축 강도 : 190㎪,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964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861N/㎠, 층간 강도 : 16.2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2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7]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3)(두께 : 100㎛, 겉보기 밀도 0.46g/㎤, 25% 압축 강도 : 270㎪,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 1456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 956N/㎠, 층간 강도 : 13.6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2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8]
점착제 조성물(A)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B)을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B) 100질량부에 대하여, 니혼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33질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1과 동일 방법으로 두께 3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9]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부직포(평량 : 17g/m2, 인장 강도 : 16.0N/㎝)를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C)의 건조 후의 두께가 80㎛인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4와 같은 방법으로 두께 2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10]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1)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 필름(두께 : 25㎛,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을 사용하여, 점착제의 건조 후의 두께가 88㎛인 것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두께 2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발포체 기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발포체 기재와 점착 테이프 두께]
오자키세이사쿠쇼제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G형으로 측정했다. 점착 테이프의 경우에는, 박리 필름을 벗긴 후 측정했다.
[발포체 기재의 층간 강도]
점착제 조성물(B) 100질량부에 대하여, 니혼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33질량부 첨가하여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가 되도록 도공하여, 80℃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층간 강도를 평가하는 발포체의 양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1매씩 첩합한 후, 23℃하 선압 5kgf/㎝의 롤로 라미네이트했다. 그 후, 40℃에서 48시간 숙성하여, 층간 강도 측정용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했다.
다음으로, 편측의 점착면을 두께 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점착면과 첩합하는 측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으로 안을 댄 폭 1㎝, 길이 10㎝(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의 양면 점착 테이프 시료를, 23℃ 50% RH하에서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점착면과 첩합하는 측을 코로나 처리로 젖음 지수 52mN/m으로 함)에 2㎏ 롤러 1왕복으로 가압 첩부하여 60℃에서 48시간 정치한다. 23℃에서 24시간 정치 후, 고속 박리 시험기(테스터산교(주)제 TE-703)의 시험편 장착대에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측을 고정용의 양면 점착 테이프로 고정한 후, 23℃하,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측을 인장 속도 15m/분으로 90도 방향으로 인장하여 발포체를 인열했을(기재 파괴했을) 때의 최대 강도를 측정했다. 단위 : N/㎝.
[인장 탄성률]
표선 간격 2㎝(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 폭 방향), 폭 1㎝의 시험편으로 가공한 발포체 기재 혹은 양면 점착 테이프(박리 필름은 벗긴다)를, 인장 속도 300㎜/분으로 인장하여, 절단했을 때의 강도를 측정했다.
[인장 신도]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으로 표선 간격 2㎝, 폭 1㎝의 시험편으로 가공한 발포체 기재 혹은 양면 점착 테이프(박리 필름은 벗긴다)를, 인장 속도 300㎜/분으로 인장하여, 절단했을 때의 신도를 인장 신도로 했다.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 폭 방향 모두 약 1㎝로 절단하고, 절단한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 중앙 부분을 마이크로스코프(상품명 「KH-7700」, HIROX사제)로 200배로 확대한 후,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이 그 기재 두께 방향의 전장(全長)에 걸쳐서 사진에 들어가도록,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 또는 흐름 방향의 단면을 사진 촬영했다. 얻어진 사진에 있어서, 흐름 방향 또는 폭 방향의 확대 전의 실제의 길이가 2㎜분의 절단면에 존재하는 기포경을 모두 측정하고, 그 평균치로부터 평균 기포경을 산출했다. 이것을, 임의의 10개소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흐름 방향(MD) 및 폭 방향(CD)의 평균 기포경으로 했다.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은,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경 측정과 같은 조건에서 마이크로스코프에 의한 관찰을 행하고, 얻어진 사진에 있어서 흐름 방향 또는 폭 방향의 기포경을 측정한 기포에 대해서 두께 방향의 기포경을 모두 측정하고, 그 평균치로부터 평균 기포경을 산출했다. 이것을, 임의의 10개소에서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두께 방향(CD)의 평균 기포경으로 했다. 또한, 얻어진 두께 방향(CD)의 평균 기포경, 및, 상기에서 얻어진 흐름 방향(MD), 폭 방향(CD)의 평균 기포경에 의거하여, 평균 기포경의 비를 구했다.
[면접착 강도]
1) 23℃에서, 두께 2㎜이며, 50㎜각의 아크릴판(미쓰비시레이온(주) 아크릴라이트 MR200「상표명」, 색상 : 투명)에, 상기에서 얻은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폭 5㎜, 길이 40㎜로 한 양면 점착 테이프 2매를 40㎜ 간격으로 평행하게 첩부한다(도 1).
2) 다음으로, 중심부에 직경 10㎜의 구멍이 있는, 두께 2㎜, 100×150㎜의 장방형의 ABS판(스미토모베이크라이트(주)제 터프에이스R EAR003, 색상 : 내츄럴, 주름 없음)에, 1)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테이프 부착 아크릴판을, 아크릴판의 중심과 ABS판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첩부하여, 2㎏ 롤러로 1왕복 가압한 후, 23℃에서 1시간 정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도 2).
3) 시험편의 ABS 측으로부터 ABS판의 구멍을 통하여, 직경 8㎜의 스테인리스제 프로브가 장착된 인장 시험기로 아크릴판을 10㎜/분으로 눌러, 아크릴판이 벗겨지는 강도를 측정했다(도 3).
[낙하 충격 시험]
1) 상기에서 얻은 양면 점착 테이프를, 폭 2㎜, 길이 20㎜로 절단한 양면 점착 테이프 2매를, 두께 2㎜, 폭 25㎜, 길이 50㎜의 아크릴판에, 폭 방향으로 45㎜ 간격으로 평행하게 첩부한 후(도 4), 다른 1매의 두께 2㎜, 폭 25㎜, 길이 50㎜의 아크릴판에 첩부하여, 2㎏ 롤러로 1왕복 가압한 후, 23℃에서 24시간 정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도 5).
2) 금속제의 추를 단 스테인리스제 낙하 측정 지그(합계의 질량 300g)에 상기 시험편을 폭 25㎜, 길이 50㎜의 고정용 양면 점착 테이프로 고정하여(도 6), 높이 10㎝부터 10㎝ 간격으로 콘크리트면에 연속 낙하(1단계당 5회)시켜, 시험편에 테이프의 벗겨짐이나 파괴가 인정되었을 때의 높이를 측정한다.
◎ : 높이 90㎝ 시험 후에도 테이프 벗겨짐 및 파괴 없음
○ : 높이 70㎝ 시험 후에도 테이프 벗겨짐 및 파괴 없음
× : 높이 60∼70㎝에서 테이프 벗겨짐 및 파괴가 생김
×× : 높이 50㎝ 이하에서 테이프 벗겨짐 및 파괴가 생김
[추종성 시험]
1) 상기에서 얻은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외형 64㎜×43㎜, 폭 2㎜의 액연상(額緣狀) 샘플을 작성하고, 두께 2㎜, 외형 65㎜×45㎜의 아크릴판에 첩부했다(도 7).
2) 다음으로, 다른 1매의 두께 2㎜, 외형 65㎜×45㎜의 아크릴판의 중앙부에, 두께 30㎛, 폭 5㎜, 길이 4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의 편면 점착 테이프(단차 형성용) 2매를, 세로 방향으로 1㎝ 간격으로 평행하게 첩부하여, 단차 부착의 아크릴판을 제작한다(도 8).
3) 23℃하에서 단차 부착 아크릴판의 점착 테이프 부분에 양면 점착 테이프 부착 아크릴판을 올린 후, 단부로부터 2㎏ 롤러로 1왕복 가압한다(도 9).
4) 단차 부착 아크릴판 측에서, 단차 부근에서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추종 상태를 목시로 평가한다.
○ : 양면 점착 테이프가, 단차 부착 아크릴판에 밀착하고 있음
× : 양면 점착 테이프가, 단차 부착 아크릴판에 밀착하지 않음
[방수성 시험]
1) 상기에서 얻은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외형 64㎜×43㎜, 폭 2㎜의 액연상 샘플을 작성하고, 두께 2㎜, 외형 65㎜×45㎜의 아크릴판에 첩부했다(도 7).
2) 다음으로, 다른 1매의 두께 2㎜, 외형 65㎜×45㎜의 아크릴판의 중앙부에, 두께 30㎛, 폭 5㎜ 길이 4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의 편면 점착 테이프(단차 형성용) 2매를, 세로 방향으로 1㎝ 간격으로 평행하게 첩부하여, 단차 부착의 아크릴판을 제작한다(도 8).
3) 23℃하에서 단차 부착 아크릴판의 점착 테이프 부분에 양면 점착 테이프 부착 아크릴판의 양면 점착 테이프 측을 올린 후, 단부로부터 2㎏ 롤러로 1왕복 가압, 23℃에서 24시간 정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도 9).
4) 시험편을 수심 1m에 30분 정치(JISC0920의 IPX7 준거)한 후에, 액연상 양면 점착 테이프의 액자 내에의 침수의 유무를 평가했다.
○ : 침수 없음
× : 침수 있음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상기 실시예1∼7과 같이,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와의 뛰어난 낙하 충격 내성과 추종성을 양립하는 것이 명백했다. 한편, 비교예1∼8의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 기재의 평균 기포경이 크고 층간 강도가 낮기 때문에, 실용 시에는 낙하 충격에 대하여 충분한 내성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비교예9, 10의 양면 점착 테이프는, 추종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방수성 시험에 있어서 침수가 확인되어, 방수성을 실현할 수 없었다.
1…양면 점착 테이프
2…아크릴판
3…ABS판
4…구멍
5…프로브
11…양면 점착 테이프
12, 13…아크릴판
14…추
15…지그
16…고정용 양면 테이프
21…양면 점착 테이프
22, 23…아크릴판
24…단차 형성용 편면 테이프
25…추종성 평가 개소

Claims (7)

  1. 발포체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이며, 상기 발포체 기재 중의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氣泡徑)이 150㎛ 이하이며,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경/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경의 비가 6 이하이며, 상기 발포체 기재의 층간 강도가 20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25% 압축 강도가, 80㎪ 이상인 점착 테이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겉보기 밀도가 0.3∼0.5g/㎤인 점착 테이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인장 신도가 500% 이상인 점착 테이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가,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기재인 점착 테이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휴대형 전자 기기의 부품 고정에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의 부품이 대각(對角) 3.5∼16인치의 정보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또는 정보 표시부를 보호하는 패널인 점착 테이프.
KR1020147012250A 2011-12-26 2012-12-20 점착 테이프 KR101653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3305 2011-12-26
JPJP-P-2011-283305 2011-12-26
PCT/JP2012/083072 WO2013099755A1 (ja) 2011-12-26 2012-12-20 粘着テ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617A true KR20140090617A (ko) 2014-07-17
KR101653984B1 KR101653984B1 (ko) 2016-09-05

Family

ID=4869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250A KR101653984B1 (ko) 2011-12-26 2012-12-20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57061B2 (ko)
EP (1) EP2799505B1 (ko)
JP (1) JP5299596B1 (ko)
KR (1) KR101653984B1 (ko)
CN (1) CN104053734B (ko)
TW (1) TWI537361B (ko)
WO (1) WO2013099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9596B1 (ja) 2011-12-26 2013-09-25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CN104039912B (zh) * 2012-03-22 2016-08-24 Dic株式会社 粘合带
WO2013154137A1 (ja) * 2012-04-13 2013-10-17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5700178B2 (ja) * 2013-03-25 2015-04-15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電子機器
JP5676798B1 (ja) * 2013-08-26 2015-02-25 日東電工株式会社 発泡シート
JP6386832B2 (ja) * 2013-08-26 2018-09-05 日東電工株式会社 発泡シート
JP5812223B2 (ja) * 2013-08-30 2015-11-11 Dic株式会社 粘着シート、物品及び電子機器
WO2015041052A1 (ja) * 2013-09-20 2015-03-26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電子機器
JP6557470B2 (ja) * 2013-09-20 2019-08-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用両面粘着テープ
US20160194471A1 (en) 2013-09-30 2016-07-07 Sekisui Chemical Co., Ltd. Crosslinked polyolefin resin foam sheet
JP6302289B2 (ja) * 2013-09-30 2018-03-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多孔質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00467B1 (ko) * 2013-10-29 2015-03-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JP2015098554A (ja) * 2013-11-20 2015-05-28 Dic株式会社 防水テープ
JP6367598B2 (ja) * 2013-11-22 2018-08-0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WO2015137437A1 (ja) * 2014-03-13 2015-09-17 Dic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電子機器
JP6572566B2 (ja) * 2014-03-13 2019-09-11 Dic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電子機器
JP6554834B2 (ja) * 2014-03-13 2019-08-07 Dic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電子機器
WO2016047272A1 (ja) * 2014-09-25 2016-03-3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複合シート
JP5836463B1 (ja) * 2014-09-29 2015-12-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CN111518307B (zh) * 2014-09-30 2023-08-22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聚烯烃系树脂发泡片及粘合胶带
JP6449857B2 (ja) * 2014-09-30 2019-01-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粘着テープ
JP6557501B2 (ja) * 2014-10-31 2019-08-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6172127B2 (ja) * 2014-11-28 2017-08-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
WO2016088438A1 (ja) * 2014-12-04 2016-06-0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粘着シート
JP6523725B2 (ja) * 2015-03-19 2019-06-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16183274A (ja) * 2015-03-26 2016-10-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耐衝撃用両面粘着テープ
KR102392671B1 (ko) * 2015-05-11 2022-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JP2017014333A (ja) * 2015-06-29 2017-01-19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その製造方法、物品及び電子機器
WO2017022749A1 (ja) * 2015-08-06 2017-02-09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放熱シート、電子機器及び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WO2017033274A1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粘着テープ
JP6690163B2 (ja) * 2015-09-17 2020-04-28 Dic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EP3357958B1 (en) 2015-09-29 2020-11-18 Sekisui Chemical Co., Ltd. Polyolefin resin foamed sheet and adhesive tape
WO2017094723A1 (ja) 2015-11-30 2017-06-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粘着テープ
CN108431105B (zh) * 2016-03-30 2021-06-29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聚烯烃系树脂发泡片和胶带
JP6572307B2 (ja) * 2016-03-31 2019-09-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ポリオレフィン樹脂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102037A1 (en) * 2017-03-31 2021-04-08 Sekisui Chemical Co., Ltd. Foam and molded article
JP6687160B2 (ja) * 2017-06-14 2020-04-22 Dic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電子機器
CN110892032B (zh) * 2017-07-18 2022-03-22 王子控股株式会社 双面粘贴胶带或片材及其制造方法
WO2019043810A1 (ja) 2017-08-30 2019-03-07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粘着テープ
JP7193229B2 (ja) * 2017-09-29 2022-12-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19167483A (ja) * 2018-03-26 2019-10-03 日東電工株式会社 発泡シート
JP7128004B2 (ja) * 2018-03-26 2022-08-30 日東電工株式会社 発泡シート
JP2019167484A (ja) * 2018-03-26 2019-10-03 日東電工株式会社 発泡シート
CN110484152B (zh) * 2018-05-15 2023-04-07 德莎欧洲股份公司 用于电子设备的抗皮脂的泡棉胶带
TWI820178B (zh) * 2018-08-08 2023-11-0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端子保護用膠帶以及附電磁波屏蔽膜之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DE102018215651A1 (de) * 2018-09-14 2020-03-19 Tesa Se Elastischer flammgeschützter Polyurethanschaum, Klebeband mit einem Träger daraus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2020063431A (ja) * 2018-10-10 2020-04-2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CN111766979B (zh) * 2020-06-12 2021-07-06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触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JP2023009806A (ja) * 2021-07-08 2023-01-20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電子機器
JP2023009805A (ja) * 2021-07-08 2023-01-20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電子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5969A (ja) 2008-12-04 2010-07-15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KR20100084505A (ko) * 2007-10-02 2010-07-2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연신 발포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112528A (ko) * 2009-04-09 2010-10-19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JP2010260880A (ja) 2009-04-09 2010-11-18 Dic Corp 両面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7559A (en) 1967-02-18 1973-02-20 Toray Industri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propylene resin foams
US4272468A (en) 1978-01-03 1981-06-09 Conwed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the aging period of polyethylene foams
EP0234622B1 (en) 1986-02-19 1990-06-27 Duphar International Research B.V New thio compounds having fungicidal activity
JPH01174542A (ja) * 1987-12-28 1989-07-11 Nitto Denko Corp シート又はテープ状物
JPH05102374A (ja) 1991-10-11 1993-04-23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装置
JPH06350000A (ja) 1993-06-04 1994-12-22 Hitachi Ltd リードフレームの表面処理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US5784054A (en) 1996-03-22 1998-07-21 Elo Toughsystems, Inc. Surface acoustic wave touchscreen with housing seal
CA2203595A1 (en) 1996-04-26 1997-10-26 Robert F. Hurley Cross-linked polyolefin tape
DE19757302A1 (de) 1997-12-22 1999-07-01 Siemens Ag Beschichtung von Metalloberflächen insbesondere für die Mikroelektronik
NL1016549C2 (nl) 2000-10-06 2002-04-10 Stork Screens B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tegen stoorstraling beschermde kaart met een gedrukte schakeling.
JP4125875B2 (ja) 2001-04-13 2008-07-30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気・電子機器用シール材
JP4574064B2 (ja) 2001-05-29 2010-11-04 富士通株式会社 多層配線層を有する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7281242B2 (en) * 2002-01-18 2007-10-09 Bea Systems, Inc. Flexible and extensible Java bytecode instrumentation system
JP4156284B2 (ja) * 2002-07-01 2008-09-24 富士通株式会社 ヘッド位置制御方法及びデイスク装置
JP3967216B2 (ja) * 2002-07-08 2007-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DK175024B1 (da) * 2002-09-25 2004-05-03 Bk Medical As Kateter til indføring i det menneskelige legeme
JP2004323842A (ja) * 2003-04-11 2004-11-18 Sekisui Chem Co Ltd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粘着テープ
WO2005007731A1 (ja) * 2003-07-16 2005-01-27 Sekisui Chemical Co.,Ltd.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粘着テープ
JP3765497B2 (ja) * 2004-03-17 2006-04-12 日東電工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テープ
JP2006080473A (ja) 2004-08-10 2006-03-23 Fujitsu Ltd 回路基板及びこれに用いる密着層用処理液
WO2006043570A1 (ja) 2004-10-18 2006-04-27 Sekisui Chemical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シート
EP1939263B1 (en) 2005-09-05 2012-08-01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ve film
JP2007194401A (ja) 2006-01-19 2007-08-02 Showa Denko Kk 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を用いたledパッケージ
JP2007266562A (ja) 2006-03-03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配線部材、樹脂付金属部品及び樹脂封止半導体装置、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5084211B2 (ja) 2006-09-28 2012-11-28 株式会社カネカ 住宅機材用材料
CN201013648Y (zh) 2007-02-02 2008-01-30 宁波东联密封件有限公司 整体式水泵机械密封件
CN101784633A (zh) * 2007-08-24 2010-07-2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密封材料
JP4623198B2 (ja) * 2007-10-12 2011-02-02 Dic株式会社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JP5227059B2 (ja) * 2008-03-31 2013-07-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発泡シート
JP2010001364A (ja) 2008-06-19 2010-01-07 Unitika Ltd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DE102008031356A1 (de) 2008-07-04 2010-01-07 Tesa Se Doppelseitige Schaumstoffklebebänder zur Verklebung von elektronischen Bauteilen
JP5539630B2 (ja) 2008-08-04 2014-07-02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発泡体の固定方法および積層体
TWI391463B (zh) * 2008-10-14 2013-04-01 Dainippon Ink & Chemicals 防水用雙面膠帶
JP2010215906A (ja) 2009-02-20 2010-09-30 Sekisui Chem Co Ltd 電子機器用粘着シート
JP5582562B2 (ja) 2009-10-27 2014-09-03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JP5534854B2 (ja) 2010-02-19 2014-07-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用粘着シート
JP2011252095A (ja) 2010-06-02 2011-12-15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JP5622242B2 (ja) 2010-08-31 2014-11-1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粘着シート
JP2012072347A (ja) 2010-09-03 2012-04-12 Nitomuzu:Kk 表面保護シート
JP5731835B2 (ja) 2011-01-24 2015-06-10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気又は電子機器用の発泡積層体
JP5899027B2 (ja) * 2011-03-31 2016-04-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粘着テープ及びシール材
JP5662866B2 (ja) * 2011-03-31 2015-02-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5721504B2 (ja) 2011-03-31 2015-05-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
JP2013053179A (ja) 2011-08-31 2013-03-21 Sekisui Chem Co Ltd 架橋ポリオレフィン樹脂発泡シート、粘着テープ及びシール材
JP5299596B1 (ja) 2011-12-26 2013-09-25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TWI468485B (zh) 2012-05-21 2015-01-11 Dainippon Ink & Chemicals 黏膠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505A (ko) * 2007-10-02 2010-07-2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연신 발포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0155969A (ja) 2008-12-04 2010-07-15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KR20100112528A (ko) * 2009-04-09 2010-10-19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JP2010260880A (ja) 2009-04-09 2010-11-18 Dic Corp 両面粘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53734B (zh) 2016-10-05
JPWO2013099755A1 (ja) 2015-05-07
TWI537361B (zh) 2016-06-11
TW201333151A (zh) 2013-08-16
WO2013099755A1 (ja) 2013-07-04
JP5299596B1 (ja) 2013-09-25
US10557061B2 (en) 2020-02-11
EP2799505B1 (en) 2020-11-18
KR101653984B1 (ko) 2016-09-05
US20140356615A1 (en) 2014-12-04
EP2799505A4 (en) 2015-08-05
EP2799505A1 (en) 2014-11-05
CN104053734A (zh)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984B1 (ko) 점착 테이프
KR101653985B1 (ko) 점착 테이프
KR101653986B1 (ko) 점착 테이프
KR101632136B1 (ko) 점착 테이프
KR102148789B1 (ko) 점착테이프 및 전자 기기
JP6058016B2 (ja) 両面粘着テープ
JP5510763B1 (ja) 粘着テープ
KR20160011614A (ko) 양면 점착 테이프
WO2015029834A1 (ja) 粘着シート、物品及び電子機器
JP2015098554A (ja) 防水テープ
CN107075319B (zh) 粘合片和电子设备
KR20200019125A (ko) 점착 시트 및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