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136B1 -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136B1
KR101632136B1 KR1020147027320A KR20147027320A KR101632136B1 KR 101632136 B1 KR101632136 B1 KR 101632136B1 KR 1020147027320 A KR1020147027320 A KR 1020147027320A KR 20147027320 A KR20147027320 A KR 20147027320A KR 101632136 B1 KR101632136 B1 KR 10163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tape
adhesive laye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893A (ko
Inventor
다케시 이와사키
유키 고마츠자키
히데아키 다케이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발포체 기재 중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가 두께 300㎛ 이하 및 층간 강도 6 내지 50N/cm의 발포체 기재이고, 점착제층이 두께 50㎛ 이하이며, 두께 25㎛의 PET 기재에 25㎛ 두께로 점착제층을 배치하여 형성한 점착 테이프로 했을 때의 박리 속도 300mm/분에 있어서의 180° 박리 접착력이 0.5 내지 4N/20mm인 점착제층인 점착 테이프에 의해, 박형이어도 적합한 내충격성 및 리워크 적성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
본 발명은 발포체 기재를 사용한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전자 수첩, 휴대 전화, PHS, 디지털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텔레비전,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게임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에 있어서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유기EL 디스플레이(OELD) 등 정보 표시부를 보호하는 패널과 하우징과의 접합을 비롯해, 각종 부재나 모듈의 고정에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착 테이프로서는, 예를 들어 유연한 발포체를 기재로서 사용한 점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고(특허문헌 1 내지 2 참조), 이들 점착 테이프는, 박형으로 양호한 추종성을 갖는 점에서, 휴대 전자 기기의 부품 고정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게임기, 텔레비전을 비롯하여, 휴대 전자 기기의 고기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들 휴대 전자 기기는, 고기능화에 따라 용적이 증대하기 쉬운 점에서, 휴대 전자 기기에 사용하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는 한층 더 박형화의 요청이 높고, 또한 휴대 전자 기기는 낙하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기 쉬운 점에서 적합한 내충격성이 요구된다.
또한, 이들 특성 외에, 고기능화가 진행하는 휴대 전자 기기의 부품은, 고가인 부품도 많고, 부품 고정 시나 제조 후의 휴대 전자 기기에 문제가 발생할 때에, 고정한 부품을 적절하게 분리할 수 있는 리워크 적성의 요청도 높다. 특히, 정보 표시부의 보호 패널이나 화상 표시 모듈 등의 박형의 판상 강체는 고가인 것이 많지만, 이들 판상 강체 부품은, 리워크 시에 파열이나 왜곡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의 휴대 전자 기기의 정보 표시부의 대형 화면화에 의해 당해 문제가 보다 현저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5596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6088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박형이어도 양호한 내충격성을 가지며, 리워크 적성이 우수한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포체 기재 중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가 두께 300㎛ 이하 및 층간 강도 6 내지 50N/cm의 발포체 기재이고, 상기 점착제층이 두께 50㎛ 이하이며, 두께 25㎛의 PET 기재에 25㎛ 두께로 점착제층을 배치하여 형성한 점착 테이프를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서 SUS판에 대하여 2kg 롤러를 사용하여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 1시간 정치한 후의 박리 속도 300mm/분에 있어서의 180° 박리 접착력이 0.5 내지 4N/20mm인 점착제층인 점착 테이프의 점착 테이프에 의해, 박형이면서, 우수한 내충격성과 함께, 적합한 리워크 적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박형이어도 낙하 시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점에서, 높은 용적 제한이 있고, 낙하 충격이 발생하기 쉬운 휴대 전자 기기의 부품 고정에 사용한 경우에도, 낙하 시에 부품의 탈락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판상의 강체 부품을 고정했을 경우에도 리워크 적성이 우수한 점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휴대 전자 기기의 부품을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대형 화면화가 진행하고, 디자인성의 요청이 높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게임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나 벽걸이 타입의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의 정보 표시부를 보호하는 보호 패널의 고정이나, 정보 표시 모듈의 고정 등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내충격 시험용의 시험에 사용한 시험편을 상면으로부터 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내충격 시험용의 시험에 사용한 시험편을 상면으로부터 본 개념도이다.
도 3은 내충격 시험의 시험 방법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발포체 기재 중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발포체 기재의 두께가 300㎛ 이하이며, 그의 층간 강도가 6 내지 50N/cm이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가 50㎛ 이하이고, 당해 점착제층의 접착력이, 두께 25㎛의 PET 기재에 25㎛ 두께로 점착제층을 배치하여 형성한 점착 테이프를 온도 23℃, 상대 습도 65%RH의 환경 하에서 SUS판에 대하여 2kg 롤러를 사용하여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 1시간 정치한 후의 박리 속도 300mm/분에 있어서의 180° 박리 접착력이 0.5 내지 4N/20mm이다.
[발포체 기재]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는, 그 두께가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00㎛이다. 당해 두께로 함으로써, 박형이어도, 피착체와의 접착성을 유지하면서 발포체 기재의 신장을 억제할 수 있고, 강체의 박리에 있어서도 양호한 리워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는, 그의 층간 강도가 6 내지 50N/cm 이상,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N/c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N/cm인 발포체 기재이다. 층간 강도를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피착체로의 양호한 밀착성과 우수한 내충격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휴대 전자 기기의 제조 시의 수율 향상을 위해 접착한 강체 부재를 박리할 경우나, 완성품을 수리 또는 재생이나 재이용하기 위하여 접착한 강체 부재를 분리, 분해, 해체할 경우에 있어서, 양호한 리워크 적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층간 강도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층간 강도를 평가하는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두께 50㎛의 강점착성(하기 고속 박리 시험 시에 피착체 및 발포체 기재로부터 박리하지 않는 것)의 점착제층을 1장씩 접합한 뒤, 40℃에서 48시간 숙성하여, 층간 강도 측정용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한다. 이어서, 편측의 점착면을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배접한 폭 1cm, 길이 15cm(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양면 점착 테이프 시료를, 23℃ 50%RH 하에서 두께 50㎛, 폭 3cm, 길이 20c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2kg 롤러 1왕복으로 가압 부착해 60℃에서 48시간 정치한다. 23℃에서 24시간 정치 후, 23℃ 50%RH 하에서 두께 50㎛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접합한 측을 고속 박리 시험기의 설치 지그에 고정하여,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인장 속도 15m/분에서 90도 방향으로 인장하여 발포체가 찢어졌을 때의 최대 강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25% 압축 강도는 30 내지 500kPa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450k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140kPa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5% 압축 강도가 당해 범위의 발포체 기재이면, 보다 적합한 강체 부재의 리워크성을 얻기 쉬워진다.
또한, 25% 압축 강도는 JISK6767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한 변이 25인 정사각형으로 절단한 시료를 두께 약 10mm가 될 때까지 중첩한다. 시료보다 큰 면적의 스테인리스판으로 시료를 끼워, 23℃ 하에서 10mm/분의 속도로 시료를 약 2.5mm(원래 두께의 25%분)로 압축했을 때의 강도를 측정한다.
발포체 기재의 밀도는 0.1 내지 0.7g/㎤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0.5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 내지 0.45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밀도이면, 상기 박형의 두께이어도, 적합한 추종성이나 밀착성과 함께, 우수한 리워크 적성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또한, 당해 밀도는, JISK6767에 준하여 측정되는 겉보기 밀도를 말하고, 4cm×5cm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한 발포체 기재를 약 15㎤만큼 준비하고, 그 질량을 측정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내지 700㎛의 범위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쉬워져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단위 폭당에 존재하는 독립 기포를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흐름 방향을 1로 했을 경우 0.25 내지 4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3 내지 3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5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3배이다. 상기 비율 범위이면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유연성이나 인장 강도의 변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은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범위와 같은 박형의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적합한 추종성과 쿠션성을 실현할 수 있고, 강체끼리의 접합에 있어서도 우수한 밀착성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또한, 당해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은, 발포체 기재 두께의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이하로 함으로써, 발포체 기재의 밀도나 강도를 확보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 직경에 대한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 직경의 비(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 직경/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 직경) 및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 직경에 대한,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 직경의 비(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 직경/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기포 직경)가 모두 1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이다. 당해 비율로 함으로써, 낙하 충격 시의 발포체 층간 파괴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쉽고, 또한 두께 방향에 적합한 추종성과 쿠션성을 확보하기 쉬워져, 강체끼리의 접합에 있어서도 물이 인입하는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는 양호한 밀착성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발포체 기재 중의 기포의 크기로서, 이들 평균 기포 직경으로부터 산출되는 평균 기포 용적에 기초하여 당해 기포를 진구 환산했을 경우의 평균 반경이 5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내지 1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과 흐름 방향,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은 다음의 요령으로 측정한다. 먼저, 발포체 기재를 폭 방향, 흐름 방향으로 모두 1cm로 절단한다. 이어서, 절단한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 중앙 부분을 디지털 현미경(상품명 「KH-7700」, HiROX사제)에 의해 발포체 기포 부분을 200배로 확대한 뒤,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 또는 흐름 방향의 단면을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의 그 기재 두께 방향의 전체 길이를 관찰한다. 얻어진 확대 화상에 있어서, 흐름 방향 또는 폭 방향의 확대 전의 실제의 길이가 2mm분의 절단면에 존재하는 기포의 기포 직경을 모두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부터 평균 기포 직경을 산출한다. 임의의 10군데에서 측정한 결과로 평균 기포 직경을 구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기포 구조는 독립 기포 구조로 함으로써,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에서의 침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독립 기포 구조를 형성하는 기포의 형상은, 발포체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보다, 흐름 방향이나 폭 방향, 또는 그 양쪽의 평균 기포 직경이 긴 형상의 독립 기포로 함으로써, 적당한 추종성과 쿠션성을 갖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는,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인장 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각 30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1200N/㎠이다. 또한,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절단 시의 인장 신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흐름 방향의 인장 신도가 100 내지 1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600%이다. 인장 강도나 인장 신도가 당해 범위의 발포체 기재에 의해, 발포한 유연한 기재이어도 점착 테이프의 가공성 악화나 부착 작업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를 박리할 때에 발포체의 층간 파괴나 조각남이 발생하기 어렵고, 층간 파열이 발생한 경우에도 점착 테이프의 박리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과 폭 방향의 인장 강도는 JISK6767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표선 길이 2cm, 폭 1cm의 샘플을, 텐실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23℃·50%RH의 환경 하에서, 인장 속도 300mm/분의 측정 조건에서 측정한 최대 강도이다.
발포체 기재의 압축 강도, 밀도, 층간 강도 및 인장 강도 등은, 사용하는 기재의 소재나 발포 구조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발포체 기재의 종류는, 상기 층간 강도 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나 폴리우레탄계 발포체, 아크릴계 고무나 기타의 엘라스토머 등을 포함하는 고무계 발포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피착체 표면의 요철에의 추종성이나 완충 흡수성 등이 우수한 얇은 독립 기포 구조의 발포체 기재를 제작하기 쉽기 때문에,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두께로 제조하기 쉽고, 또한 적합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이 4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중합 촉매로서 4가의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분자량 분포가 좁고, 공중합체의 경우, 어느 분자량 성분에도 공중합체 성분이 거의 동등한 비율로 도입되는 점에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를 균일하게 가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발포 시트를 균일하게 가교시키고 있는 점에서 발포 시트를 필요에 따라서 균일하게 연신시키기 쉽고,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균일한 것으로 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는, 중합 촉매로서 4가의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상기 이외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가교되어 있어도 되지만,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열분해형 발포제로 발포시키는 경우에는, 가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도는, 작으면, 발포체 기재를 연신할 경우에 발포 시트의 표면 근방부의 기포가 파포하여 표면 거칠함을 발생하고, 아크릴계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고, 크면, 후술하는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가 너무 커져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가열 발포할 때에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발포에 추종하기 어려워져서 원하는 발포 배율을 갖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시트가 얻어지지 않고, 그 결과 충격 흡수성이 떨어져버리기 때문에, 5 내지 60질량%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5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중합 촉매로서 4가의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40중량% 이상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열분해형 발포제와 발포 보조제, 발포체를 흑색이나 백색 등으로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를 함유하는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혼련하고, 압출기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압출함으로써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과, 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가교시키는 공정과,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시키는 공정과, 얻어진 발포 시트를 용융 또는 연화시키고, 흐름 방향 또는 폭 방향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방향을 향하여 연신시켜서 발포 시트를 연신하는 공정을 함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발포 시트를 연신하는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행하여지면 되고, 복수회 행하여져도 된다.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를 가교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에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미리 유기 과산화물을 배합해 두고, 얻어진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가열하여 유기 과산화물을 분해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방법은 병용되어도 된다.
전리성 방사선으로서는, 전자선, α선, β선, γ선 등을 들 수 있다. 전리성 방사선의 선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겔 분율이 상기한 바람직한 범위가 되도록 적절히 조정되지만, 5 내지 200kGy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전리성 방사선의 조사는, 균일한 발포 상태를 얻기 쉬운 점에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양면에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면에 조사하는 선량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2,2-비스(t-부틸퍼옥시)옥탄,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디-t-부틸퍼옥시드, t-부틸쿠밀퍼옥시드, 디쿠밀퍼옥시드, α,α'-비스(t-부틸퍼옥시-m-이소프로필)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 벤조일퍼옥시드, 쿠밀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알릴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유기 과산화물의 첨가량은, 적으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가교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많으면, 얻어지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시트 중에 유기 과산화물의 분해 잔사가 잔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3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열분해형 발포제의 첨가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발포 배율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해도 되지만, 적으면,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발포성이 저하되고, 원하는 발포 배율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많으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인장 강도 및 압축 회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 내지 3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열풍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 적외선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 염욕에 의한 방법, 오일 배스에 의한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열풍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이나 적외선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 표면의 외관에, 표리에서의 차이가 적으므로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의 발포 배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박형의 두께에 있어서의 25% 압축 강도나 밀도, 층간 강도 등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고, 내충격성이나 피착체와의 우수한 밀착성, 리워크 적성을 실현하기 쉬운 점에서, 1.5 내지 6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내지 5.5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배이다.
그리고, 발포체 기재의 연신은,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시켜서 발포체 기재를 얻은 후에 행해도 되고, 또는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시키면서 행해도 된다. 또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시켜서 발포체 기재를 얻은 후 발포체 기재를 연신할 경우에는, 발포체 기재를 냉각하지 않고 발포 시의 용융 상태를 유지한 채 계속하여 발포체 기재를 연신해도, 또는 발포체 기재를 냉각한 후, 다시 발포 시트를 가열하여 용융 또는 연화 상태로 한 뒤에 발포체 기재를 연신해도 된다.
여기서, 발포체 기재의 용융 상태란, 발포체 기재를 그의 양면 온도가,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한 상태를 말한다. 또한, 발포체 기제의 연화란, 발포체 기제를 그의 양면 온도가, 20℃ 이상, 발포체 기재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융점 온도 미만까지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를 말한다. 상기 발포체 기재를 연신함으로써, 발포체 기재의 기포를 소정 방향으로 연신하여 변형시키고, 기포의 종횡비가 소정 범위 내가 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발포체 기재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는, 장척상의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흐름 방향 또는 폭 방향을 향하여, 또는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을 향하여 연신시킨다. 또한,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을 향하여 연신시킬 경우,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을 향하여 동시에 연신해도 되고, 일방향씩 따로따로 연신해도 된다.
상기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장척상의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발포 공정에 공급하는 속도(공급 속도)보다, 발포 후에 장척상의 발포 시트를 냉각하면서 권취하는 속도(권취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 얻어진 발포체 기재를 연신 공정에 공급하는 속도(공급 속도)보다, 발포체 기재를 권취하는 속도(권취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자의 방법에 있어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는, 그 자체의 발포에 의해 흐름 방향으로 팽창하므로,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으로 연신할 경우에는,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발포에 의한 흐름 방향으로의 팽창 분을 고려한 뒤에, 그 팽창 분 이상으로 발포체 기재가 흐름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발포체 기재의 공급 속도와 권취 속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발포체 기재를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으로서는,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한 쌍의 파지 부재에 의해 파지하고, 이 한 쌍의 파지 부재를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시킴으로써 발포체 기재를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는, 그 자체의 발포에 의해 폭 방향으로 팽창하므로, 발포체 기재를 폭 방향으로 연신할 경우에는,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의 발포에 의한 폭 방향으로의 팽창 분을 고려한 뒤에, 그 팽창 분 이상으로 발포체 기재가 폭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연신 배율은, 흐름 방향 다음으로 폭 방향으로 연신할 경우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너무 작으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유연성 및 인장 강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고, 너무 크면, 발포체 기재가 연신 중에 절단하거나 또는 발포 중의 발포체 기재로부터 발포 가스가 빠져버려서,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발포 배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유연성 및 인장 강도가 저하되거나 품질이 불균일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1.1 내지 2.0배가 바람직하고, 1.2 내지 1.5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너무 작으면,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기재의 유연성 및 인장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너무 크면, 발포체 기재가 연신 중에 절단되거나 또는 발포 중의 발포체 기재로부터 발포 가스가 빠져버려서,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기재의 발포 배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기재의 유연성 및 인장 강도가 저하되거나 품질이 불균일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1.2 내지 4.5배가 바람직하고, 1.5 내지 3.5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 다음으로 흐름 방향으로 연신할 경우에는,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을 상기 흐름 방향의 연신 배율과 마찬가지로 하고, 흐름 방향의 연신 배율을 상기 폭 방향의 연신 배율과 마찬가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의장성, 차광성이나 은폐성, 광반사성, 내광성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착색제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 테이프에 차광성이나 은폐성, 내광성을 부여할 경우, 발포체 기재는 흑색으로 착색된다. 흑색 착색제로서는,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산화구리, 이산화망간, 아닐린 블랙, 페릴렌 블랙, 티타늄 블랙, 시아닌 블랙, 활성탄, 페라이트, 마그네타이트, 산화크롬, 산화철, 이황화몰리브덴, 크롬 착체, 복합 산화물계 흑색소, 안트라퀴논계 유기 흑색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용, 입수성, 절연성,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공정이나 가열 발포 공정의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점착 테이프에 의장성이나 광반사성 등을 부여할 경우, 발포체 기제는 백색으로 착색된다. 백색 착색제로서는,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산화칼슘, 산화주석, 산화바륨, 산화세슘, 산화이트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바륨, 탄산아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아연,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스테아르산바륨, 산화아연,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클레이, 카올린, 인산티타늄, 마이카, 석고, 화이트 카본, 규조토, 벤토나이트, 리토폰, 제올라이트, 세리사이트 등의 무기계 백색 착색제나 실리콘계 수지 입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우레탄계 수지 입자, 멜라민계 수지 입자 등의 유기계 백색 착색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용, 입수성, 색조,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는 공정이나 가열 발포 공정의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산화 알루미늄이나 산화아연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의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가소제, 산화 방지제, 산화아연 등의 발포 보조제, 기포핵 조정재, 열안정제, 수산화알루미늄이나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제, 대전 방지제, 유리제나 플라스틱제의 중공 벌룬·비즈, 금속 분말, 금속 화합물 등의 충전재, 도전성 필러, 열전도성 필러 등의 공지된 것이 수지에 임의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기재로서는, 적당한 추종성과 쿠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0.1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1 내지 7 질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색제나 열분해성 발포제나 발포 보조제 등을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배합할 경우, 색 불균일이나 이상 발포나 발포 불량 방지의 관점에서, 압출기에 공급하기 전에 미리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나 발포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과 상용성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로 마스터 뱃치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 기재는, 점착제층이나 다른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접착 용이화 처리제의 도포 등의 표면 처리가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표면 처리는, 습윤 시약에 의한 습윤 지수가 36mN/m 이상, 바람직하게는 40mN/m, 더욱 바람직하게는 48mN/m으로 함으로써, 점착제와의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진다. 밀착성을 향상시킨 발포체 기재는, 연속 공정으로 점착제층과 접합해도 되고, 일단 권취 가공을 해도 된다. 발포체 기재를 일단 권취하는 경우에는, 밀착성이 오른 발포체 기재끼리의 블로킹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포체 기재를 종이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필름 등의 간지와 함께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 25㎛ 이하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사용하는 점착제층은, 그 두께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이다. 점착제층의 두께를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강체 부재의 리워크 시에, 강체 부재에 국소적인 응력이 가해지기 어려워져, 강체 부재의 파열이나 파손, 왜곡이 발생하기 어렵고, 적합한 리워크 적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접착력은, 두께 25㎛의 PET 기재에 25㎛ 두께로 점착제층을 배치하여 형성한 점착 테이프를,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서 SUS판에 대하여 2kg 롤러를 사용하여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 1시간 정치한 후의 박리 속도 300mm/분에 있어서의 180° 박리 접착력이 0.3 내지 4N/20mm이며,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3N/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N/2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N/20mm이다. 접착력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리워크 시의 강체 부재의 파열이나 파손, 왜곡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적합한 내충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사용하는 점착제층은,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온도가 -50℃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의 피크값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상온 하에서의 피착체와의 양호한 밀착성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특히 저온 환경 하에서의 내낙하 충격성의 향상 시에는, -45℃ 내지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내지 6℃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은 온도 분산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얻어진 저장 탄성률(G'), 손실 탄성률(G")로부터, tanδ=G"/G'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동적 점탄성의 측정에 있어서는, 점탄성 시험기(티·에이·인스트루먼트·재팬사제, 상품명: ARES G2)를 사용하여, 두께 약 2mm로 형성한 점착제층을 동 시험기의 측정부인 직경 8mm의 평행 원반 사이에 시험편을 끼워 넣고, 주파수 1Hz로 -60℃에서 150℃까지의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을 측정한다.
점착제층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절단 시의 인장 신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흐름 방향의 인장 신도가 200 내지 6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550%이다. 점착제층의 인장 신도가 당해 범위라면 적합한 리워크성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또한, 점착제층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절단 시의 인장 신도는, 표선 길이 2cm, 폭 1cm의 샘플을, 텐실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23℃·50%RH의 환경 하에서, 인장 속도 300mm/분의 측정 조건에서 인장하고, 절단했을 때의 신도이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통상의 점착 테이프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합성 고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고, 이것에 필요에 따라서 점착 부여 수지나 가교제 등의 첨가제가 배합된 (메트)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된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탄소수 1 내지 12의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단량체를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4 내지 9인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가 4 내지 9인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탄소수 1 내지 12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중에 80 내지 98.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내지 98.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극성 비닐 단량체를 공중합해도 되고, 고극성 비닐 단량체로서는 수산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 아미드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메트)아크릴산 이량체, 크로톤산, 에틸렌옥시드 변성 숙신산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아크릴로일모르폴린,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기타의 고극성 비닐 단량체로서, 아세트산비닐, 에틸렌옥시드 변성 숙신산아크릴레이트,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말단 알콕시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고극성 비닐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중에 0.2 내지 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내지 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6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다. 당해 범위로 함유함으로써, 점착제의 응집력이나 보유 지지력, 접착성을 적합한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
또한,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것과 반응하는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로서는 수산기 함유 비닐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반응하는 수산기 함유 비닐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에 0.1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2.5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의 공지된 중합 방법으로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점착제의 내수성으로부터 용액 중합법이나 괴상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의 개시 방법도, 과산화벤조일이나 과산화라우로일 등의 과산화물계, 아조비스이소부틸니트릴 등의 아조계의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열에 의한 개시 방법이나, 아세토페논계, 벤조인에테르계, 벤질케탈계, 아실포스핀옥시드계, 벤조인계, 벤조페논계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자외선 조사에 의한 개시 방법이나, 전자선 조사에 의한 방법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트그래피(GPC)로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 내지 300만,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50만이다.
여기서, GPC법에 의한 분자량의 측정은, 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GPC 장치(HLC-8329GPC)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스탠다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며,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샘플 농도: 0.5질량%(THF 용액)
샘플 주입량: 100μl
용리액: THF
유속: 1.0ml/분
측정 온도: 40℃
본 칼럼: TSK 겔(gel) GMHHR-H(20) 2개
가드 칼럼: TSK 겔(gel) HXL-H
검출기: 시차 굴절계
스탠다드 폴리스티렌 분자량: 1만 내지 2000만(도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는, 피착체와의 밀착성이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로진계, 중합 로진계, 중합 로진 에스테르계, 로진 페놀계, 안정화 로진 에스테르계, 불균화 로진 에스테르계,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계, 테르펜계, 테르펜페놀계, 석유 수지계,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에멀전형의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멀전형의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올리기 위하여 점착제를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 종료 후에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는 타입의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반응성이 풍부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발포체 기재와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3관능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다. 3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체, 트리페닐메탄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가교 정도의 지표로서, 점착제층을 톨루엔에 24시간 침지한 후의 불용분을 측정하는 겔 분율의 값이 70 내지 9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3질량%의 범위라면, 응집성과 접착성이 모두 양호하다.
또한, 겔 분율의 측정은 하기에 의한다. 박리 시트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를 포함하도록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시공하고, 100℃에서 3분간 건조하고, 40℃에서 2일 에이징한 것을 한 변이 50mm인 정사각형으로 잘라내어, 이것을 시료로 한다. 이어서, 미리 상기 시료의 톨루엔 침지 전의 중량(G1)을 측정해 두고, 톨루엔 용액 중에 23℃에서 24시간 침지한 후의 시료의 톨루엔 불용해 분을 300 메쉬 금망으로 여과함으로써 분리하고, 110℃에서 1시간 건조한 후의 잔사의 중량(G2)을 측정하여, 이하의 식에 따라 겔 분율을 구한다.
겔 분율(질량%)=(G2/G1)×100
점착제의 첨가제로서, 필요에 따라, 가소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유리나 플라스틱제의 섬유·벌룬·비즈, 금속 분말,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등의 충전제, 안료·염료 등의 착색제, 레벨링제, 증점제, 발수제, 소포제 등의 공지된 것을 점착제 조성물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는, 적어도 한 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인데,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후술하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하고, 한쪽의 점착제층을 상기 약접착력의 점착제층으로 하고, 다른 면을 당해 약접착력의 점착제층보다 접착력이 강한 강접착력의 점착제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당해 강접착력의 점착제층으로서, 이하 점착제층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강접착력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적합한 리워크성을 확보하기 쉬운 점에서, 약접착력의 점착제층과 동등한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강접착력의 점착제층의 접착력은, 두께 25㎛의 PET 기재에 25㎛ 두께로 점착제층을 배치하여 형성한 점착 테이프를,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서 SUS판에 대하여 2kg 롤러를 사용하여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 1시간 정치한 후의 박리 속도 300mm/분에 있어서의 180° 박리 접착력이 1 내지 25N/20mm인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20N/2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강접착력의 점착제층의 180° 박리 접착력이, 약접착력의 점착제층의 180° 박리 접착력보다 1N/2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N/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N/20mm 큰 접착력으로 함으로써, 보다 선택적인 박리가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강접착력의 점착제층은,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손실 정접의 피크값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상온 하에서의 피착체와의 양호한 밀착성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특히 저온 환경 하에서의 내낙하 충격성의 향상 시에는, -35℃ 내지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6℃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강접착력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접착력의 범위라면 통상의 점착 테이프에 사용되는 상기 약접착력의 점착제층과 마찬가지인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된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탄소수 1 내지 12의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상기 약접착력의 점착제층과 마찬가지인 단량체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2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4 내지 8인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n-부틸아크릴레이트는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쉽고, 응집력이나 피지류에의 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탄소수 1 내지 12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중의 80 내지 98.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내지 98.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강접착력의 점착제층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극성 비닐 단량체를 공중합해도 되고, 고극성 비닐 단량체로서는 수산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 아미드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들 고극성 비닐 단량체로서는, 상기 약접착력의 점착제층과 마찬가지인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고,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 특히 아크릴산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극성 비닐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 중의 1.5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내지 8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범위로 함유함으로써, 점착제의 응집력이나 보유 지지력, 접착성을 적합한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
또한,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것과 반응하는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로서는 수산기 함유 비닐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반응하는 수산기 함유 비닐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0.0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 내지 0.3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 내지 300만,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50만이다. GPC법에 의한 분자량의 측정은, 상기 약접착력의 점착제층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된다.
강접착력의 점착제층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는, 피착체와의 밀착성이나 면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로진계, 중합 로진계, 중합 로진 에스테르계, 로진 페놀계, 안정화 로진 에스테르계, 불균화 로진 에스테르계,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계, 테르펜계, 테르펜페놀계, 석유 수지계,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에멀전형의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멀전형의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불균화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 중합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 로진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는 1종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3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40℃이다. 연화점이 높은 점착 부여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높은 접착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의 점착 부여 수지의 경우에는, 유리 전이 온도가 3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60℃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할 때의 배합비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이 5 내지 6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8 내지 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자의 비율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을 올리기 위하여 점착제를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제로서는, 상기 약접착력의 점착제층과 마찬가지인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중합 종료 후에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는 타입의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반응성이 풍부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발포체 기재와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상기 약접착력의 점착제층과 마찬가지인 가교제를 예시할 수 있다.
가교 정도의 지표로서, 점착제층을 톨루엔에 24시간 침지한 후의 불용분을 측정하는 겔 분율의 값이 사용된다. 겔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0질량%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질량%의 범위라면, 응집성과 접착성이 모두 양호하다.
또한, 약접착력의 점착제층과 마찬가지로 첨가제로서, 필요에 따라 가소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유리나 플라스틱제의 섬유·벌룬·비즈, 금속 분말,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등의 충전제, 안료·염료 등의 착색제, 레벨링제, 증점제, 발수제, 소포제 등의 공지된 것을 점착제 조성물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상기 발포체 기재 중 적어도 일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가짐으로써, 적합한 내충격성과, 강체 부재의 양호한 리워크 적성을 갖는 점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 전자 기기의 화상 표시부의 보호 패널이나, 표층부에 유리가 설치된 액정 표시 모듈, 유기 EL 모듈 등의 화상 표시 모듈의 고정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강체 부재끼리의 접착성도 우수한 점에서, 보호 패널과 화상 표시 모듈의 접합이나, 부착 부분이 평판상의 하우징이나 지지체에의 화상 표시 모듈의 고정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실시 형태로서는, 발포체 기재를 중심으로 하여, 당해 기재 중 적어도 일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점착제층이 설치된 구성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기재와 점착제층과의 사이는 직접 적층되어 있어도,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들 형태는 사용 용도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테이프에 치수 안정성이나 인장 강도를 더 부여할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라미네이트층을, 테이프에 차광성을 부여할 경우에는 차광층을, 광반사성을 확보하는 경우에는 광반사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들 외의 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당해 다른 층으로서 방수성의 층을 사용한다.
2이상의 부재를 고정할 때에는, 편면 점착 테이프 형태의 경우에는, 고정하는 한쪽의 부재에 다른 점착 테이프나 접착제를 개재하여 다른 부재와 부착해도 되지만, 양면 점착 테이프의 형태이면 부재 간의 고정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할 경우에는, 양면의 점착제층을, 상기 180° 박리 접착력이 0.3 내지 4N/20mm인 약접착력의 점착제층일 수도 있지만, 일면을 당해 약접착력의 점착제층으로 하고, 다른 면을 당해 약접착력의 점착제층보다 접착력이 강한 강접착력의 점착제층으로 함으로써, 박리할 때에 원하는 부재 측으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트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비롯한 각종 수지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두께로서는, 발포체 기재의 추종성 면에서 1 내지 16㎛가 바람직하고, 2 내지 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차광층으로서는, 안료 등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잉크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간편하게 사용되고, 흑색 잉크를 포함하는 층이 차광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반사층으로서는, 백색 잉크로부터 형성되는 층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층의 두께로서는 2 내지 20㎛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4 내지 6㎛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를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잉크의 경화 수축에 의한 기재의 컬이 발생하기 어렵고, 테이프의 가공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공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포체 기재에 직접, 또는 발포체 기재 상에 적층된 다른 층의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직사법이나, 박리 시트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발포체 기재나 다른 층 표면에 접합하는 전사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과 가교제를 배합한 것을 건조시켜서 작성하는 경우에는, 점착 테이프 제작 후에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45℃의 환경 하에서 2 내지 7일간의 숙성 구성을 행하면, 발포체 기재와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이나 점착 물성이 안정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두께는 사용하는 형태에 의해 적절히 조정하면 되지만, 소형, 박형의 휴대 전자 기기의 부품 고정용으로서는,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4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내지 3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30 내지 25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테이프 두께를 당해 두께로 함으로써, 박형·소형의 휴대 전자 기기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추종성이나 내충격성과 함께 적합한 리워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서 유리판에 대하여 2kg 롤러를 사용하여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 1시간 정치한 후의 박리 속도 300mm/분에 있어서의 180° 박리 접착력이 0.2 내지 6N/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5N/2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테이프를 약접착력의 점착제층과 강접착력의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로 할 경우에는, 약접착력의 점착제층을 유리판에 접착했을 때의 접착력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박리 시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합성 수지 필름, 종이, 부직포, 천, 발포 시트나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로부터의 박리성을 높이기 위한 실리콘계 처리, 장쇄 알킬계 처리, 불소계 처리 등의 박리 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두께 10 내지 40㎛의 폴리에틸렌을 양측에 라미네이트한 상질지나,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실리콘계 박리 처리를 실시하고 있는 박리 시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박형이어도, 판상의 강체 부재의 고정에 있어서 우수한 내충격성과 함께 우수한 리워크성을 갖는다. 또한, 판상 강체끼리를 양호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열이나 왜곡이 발생하기 쉬운 박형의 판상 강체, 예를 들어 두께가 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의 유리, 플라스틱, 금속 등의 판상 강체를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리워크 시에도 판상 강체의 파열이나 왜곡이 발생하기 어려운 적합한 리워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이러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점에서, 전자 수첩, 휴대 전화, PHS, 디지털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텔레비전,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 게임기 등의 휴대 전자 기기나 벽걸이 타입의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파열이나 왜곡이 발생하기 쉬운 LCD나 유기EL 디스플레이 등의 정보 표시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패널이나, 표층에 유리가 설치된 LCD 모듈이나 유기 EL 모듈 등의 박형의 판상 강체의 고정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부재끼리의 고정이나, 이들 부재와 부착부가 판상인 하우징이나 지지체와의 고정에 적합하다.
실시예
(점착제 용액 (A)의 조정)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8질량부,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8질량부, 아크릴산 1질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3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50 질량부를 포함하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2만(폴리스티렌 환산)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1)을 얻었다. 이어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불휘발분 30%의 점착제 용액 (A)를 얻었다.
(점착제 용액 (B)의 조정)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8.6질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아크릴산 1질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4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50 질량부를 포함하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197만(폴리스티렌 환산)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2)를 얻었다. 이어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불휘발분 30%의 점착제 용액 (B)를 얻었다.
(점착제 용액 (C)의 조정)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3.6질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15질량부, 아크릴산 1질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4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50 질량부를 포함하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170만(폴리스티렌 환산)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3)을 얻었다. 이어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불휘발분 30%의 점착제 용액 (C)를 얻었다.
(점착제 용액 (D)의 조정)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3질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25질량부, 아크릴산 1질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50 질량부를 포함하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8만(폴리스티렌 환산)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3)을 얻었다. 이어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불휘발분 30%의 점착제 용액 (D)를 얻었다.
(점착제 용액 (E)의 조정)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93.4질량부, 아크릴산 3.5질량부, 아세트산비닐 3질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1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00 질량부를 포함하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160만(폴리스티렌 환산)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1)을 얻었다. 이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1) 100질량부에 대하여 아라까와 가가꾸사제 「슈퍼 에스테르A100」(불균화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9.4질량부와, 하리마 카세이사제 「해리태크PCJ」(중합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9.4질량부를 첨가,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불휘발분 38%의 점착제 용액 (E)를 얻었다.
(점착제 용액 (F)의 조정)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74.9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0질량부, 아크릴산 2.0질량부, 아세트산비닐 3질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1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00 질량부를 포함하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120만(폴리스티렌 환산)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2)를 얻었다. 이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2) 100질량부에 대하여 아라까와 가가꾸사제 「펜셀D135」(중합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20질량부를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을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불휘발분 50%의 점착제 용액 (F)를 얻었다.
(점착제 용액 (G)의 조정)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질소 가스 도입구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97.97질량부, 아크릴산 2.0질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03질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00 질량부를 포함하는 용제에 용해하고, 70℃에서 12시간 중합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160만(폴리스티렌 환산)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2)를 얻었다. 이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2) 100질량부에 대하여 아라까와 가가꾸사제 「슈퍼 에스테르A100」(불균화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25질량부와, 아라까와 가가꾸사제 「펜셀D135」(중합 로진의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5질량부, 미쯔이 가가꾸제 FTR6100(스티렌계 석유 수지)을 20질량부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을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불휘발분 40%의 점착제 용액 (G)를 얻었다.
[실시예 1]
(양면 점착 테이프의 조정)
상기 점착제 조성물 (A)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0.89질량부 첨가하여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약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약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87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38℃이었다.
이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 (E)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1질량부 첨가하여 15분 교반한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강점착제층 (e)를 형성하였다. 점착제층 (e)의 겔 분율은 48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16℃이었다.
이어서,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두께: 100㎛, 층간 강도: 12.6N/cm, 겉보기 밀도 0.40g/㎤, 25% 압축 강도: 103kPa, 흐름 방향의 인장 강도: 1084N/㎠, 폭 방향의 인장 강도: 790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한,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포함하는 기재의 편면에 상기 약점착제층을, 반대면에 강점착제층을 1장씩 접합한 뒤, 23℃ 하 선압 5kg/cm의 롤로 라미네이트하였다. 그 후, 40℃에서 48시간 숙성하여,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2]
점착제 조성물 (A) 대신 점착제 조성물 (B)를 사용하고, 점착제 조성물 (B)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0.67질량부 첨가한 것을 약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약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86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36℃이었다.
[실시예 3]
점착제 조성물 (A) 대신 점착제 조성물 (C)를 사용하고, 점착제 조성물 (C)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0.89질량부 첨가한 것을 약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90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31℃이었다.
[실시예 4]
점착제 조성물 (A) 대신 점착제 조성물 (B)를 사용하고, 점착제 조성물 (B)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0.34질량부 첨가한 것을 약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81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37℃이었다.
[실시예 5]
점착제 조성물 (A) 대신 점착제 조성물 (D)를 사용하고, 점착제 조성물 (D)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33질량부 첨가한 것을 약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87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25℃이었다.
[실시예 6]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 대신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2)(두께: 100㎛, 층간 강도: 8.9N/cm, 겉보기 밀도 0.33g/㎤, 25% 압축 강도: 70kPa, 흐름 방향의 인장 강도: 799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627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한,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7]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 대신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3)(두께: 140㎛, 층간 강도: 19.1N/cm, 겉보기 밀도 0.40g/㎤, 25% 압축 강도: 130kPa, 흐름 방향의 인장 강도: 994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713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한,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8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8]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 대신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4)(두께: 200㎛, 층간 강도: 12.9N/cm, 겉보기 밀도 0.20g/㎤, 25% 압축 강도: 52kPa, 흐름 방향의 인장 강도: 495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412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한,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2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9]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 대신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5)(두께: 200㎛, 층간 강도: 27.4N/cm, 겉보기 밀도 0.40g/㎤, 25% 압축 강도: 332kPa, 흐름 방향의 인장 강도: 1072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675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한,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2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10]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 대신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6)(두께: 200㎛, 층간 강도: 44.2N/cm, 겉보기 밀도 0.45g/㎤, 25% 압축 강도: 450kPa, 흐름 방향의 인장 강도: 964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666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한,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2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11]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 대신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7)(두께: 300㎛, 층간 강도: 22N/cm, 겉보기 밀도 0.20g/㎤, 25% 압축 강도: 90kPa, 흐름 방향의 인장 강도: 530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340N/㎠,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한,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12]
약점착제층의 건조 후 두께 20㎛를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3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13]
약점착제층의 건조 후 두께 20㎛를 4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6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14]
약점착제층의 건조 후 두께 20㎛를 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7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15]
약점착제층의 건조 후 두께 20㎛를 50㎛로 하고, 강점착제층의 건조 후 두께 25㎛를 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16]
약점착제층의 건조 후 두께 20㎛를 50㎛로 하고, 강점착제층의 건조 후 두께 25㎛를 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30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실시예 17]
점착제 조성물 (E) 대신 점착제 조성물 (F)를 사용하고, 점착제 조성물 (F)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77질량부 첨가한 것을 강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46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7℃이었다.
[실시예 18]
점착제 조성물 (E)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G)를 사용하고, 점착제 조성물 (G)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을 1.33질량부 첨가한 것을 강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37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2℃이었다.
[비교예 1]
상기 점착제 조성물 (A)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78질량부 첨가하여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겔 분율은 90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35℃)을 약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2]
상기 점착제 조성물 (B)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33질량부 첨가하여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겔 분율은 90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35℃)을 약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3]
상기 점착제 조성물 (D)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0.34질량부 첨가하여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겔 분율은 78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26℃)을 약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4]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 대신 백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두께: 100㎛, 겉보기 밀도 0.27g/㎤, 25% 압축 강도: 17kPa,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185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394N/㎠, 층간 강도: 5N/cm,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한,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아크 코포레이숀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5]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 대신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8)(두께: 500㎛, 겉보기 밀도 0.14g/㎤, 25% 압축 강도: 98kPa, 흐름 방향의 인장 탄성률: 411N/㎠, 폭 방향의 인장 탄성률: 245N/㎠, 층간 강도: 30.0N/cm,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한,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6]
상기 점착제 조성물 (A)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0.89질량부 첨가하여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의 박리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60㎛가 되도록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을 약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8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7]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 대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 필름(두께: 25㎛,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함)을 약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두께 70㎛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8]
흑색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1 대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 필름(두께: 50㎛, 표면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함)을 약점착층에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두께 9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비교예 9]
점착제 조성물 (A) 대신 점착제 조성물 (E)를 사용하고, 점착제 조성물 (E)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1질량부 첨가한 것을 약점착층 대신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45㎛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당해 점착제층의 겔 분율은 48질량%, 주파수 1Hz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피크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16℃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발포체 기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발포체 기재와 점착 테이프의 두께]
오자키 세이사쿠쇼제 다이알 시크네스 게이지 G형으로 측정하였다. 점착 테이프의 경우에는, 박리 필름을 박리한 뒤 측정하였다.
[발포체 기재의 층간 강도]
점착제 조성물 (F) 100질량부에 대하여 닛본 폴리우레탄사제 「코로네이트 L-45」(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고형분 45%)를 1.33질량부 첨가하여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가 되도록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층간 강도를 평가하는 발포체의 양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1장씩 접합한 뒤, 23℃ 하 선압 5kgf/cm의 롤로 라미네이트하였다. 그 후, 40℃에서 48시간 숙성하여, 층간 강도 측정용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이어서, 편측의 점착면을 두께 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점착면과 접합하는 측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함)으로 배접한 폭 1cm, 길이 10cm(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의 양면 점착 테이프 시료를, 23℃ 50%RH 하에서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점착면과 접합하는 측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함)에 2kg 롤러 1왕복으로 가압 부착하여 60℃에서 48시간 정치하였다. 23℃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고속 박리 시험기(테스터 산교(주)제 TE-703)의 시험편 설치대에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측을 고정용의 양면 점착 테이프로 고정한 뒤, 23℃ 하,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측을 인장 속도 15m/분에서 90도 방향으로 인장하여 발포체를 찢을(기재 파괴할) 때의 최대 강도를 측정하였다. (단위: N/cm)
[인장 강도]
표선 간격 2cm(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 폭 방향), 폭 1cm의 시험편으로 가공한 발포체 기재 또는 양면 점착 테이프(박리 필름은 박리함)를 인장 속도 300mm/분으로 인장하여, 절단했을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측정값을 발포체 기재의 두께로 제산하여 인장 강도를 산출하였다. (단위: N/㎠)
[인장 신도]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으로 표선 간격 2cm, 폭 1cm의 시험편으로 가공한 발포체 기재 또는 양면 점착 테이프(박리 필름은 박리함)를 인장 속도 300mm/분으로 인장하여, 절단했을 때의 신도를 인장 신도로 하였다.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 및 폭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
발포체 기재를 흐름 방향, 폭 방향으로 약 1cm로 절단하고, 절단한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 중앙 부분을 현미경(상품명 「KH-7700」, HIROX사제)으로 200배로 확대한 뒤, 발포체 기재의 절단면이 그 기재 두께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사진에 수용되도록, 발포체 기재의 폭 방향 또는 흐름 방향의 단면을 사진 촬영하였다. 얻어진 사진에 있어서, 흐름 방향 또는 폭 방향의 확대 전의 실제의 길이가 2mm분의 절단면에 존재하는 기포 직경을 모두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부터 평균 기포 직경을 산출하였다. 이것을, 임의의 10군데에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흐름 방향(MD) 및 폭 방향(CD)의 평균 기포 직경으로 하였다.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
발포체 기재의 두께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은, 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의 평균 기포 직경 측정과 동일 조건에서 현미경에 의한 관찰을 행하고, 얻어진 사진에 있어서 흐름 방향 또는 폭 방향의 기포 직경을 측정한 기포에 대하여 두께 방향의 기포 직경을 모두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부터 평균 기포 직경을 산출하였다. 이것을, 임의의 10군데에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두께 방향(CD)의 평균 기포 직경으로 하였다. 또한, 얻어진 두께 방향(CD)의 평균 기포 직경으로 하였다.
[180° 박리 접착력(점착제층)]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점착제층의 180° 박리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1)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된 각 점착제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준하여 가교제를 첨가하고, 15분 교반 후, 박리 처리한 두께 75㎛의 PET 필름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 시공하고, 80℃ 3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두께 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점착면과 접합하는 측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함)에 상기 점착제층을 접합한 뒤, 23℃하 선압 5kgf/cm의 롤로 라미네이트하였다. 그 후, 40℃에서 48시간 숙성하여, 접착력 측정용의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2) 점착 테이프를,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서 스테인리스판(SUS304, #360의 내수 페이퍼로 헤어라인 가공함)에 대하여 2kg 롤러를 사용하여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압착한다.
3) 23℃ 50%RH 하에서 1시간 정치 후, 23℃ 50%RH 하에서 인장 속도 300mm/분으로 180° 방향으로 박리했을 때의 강도를 측정했다(단위: N/20mm).
[180° 박리 접착력(점착 테이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 테이프 180° 박리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1) 강점착면 측을 두께 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점착면과 접합하는 측을 코로나 처리로 습윤 지수 52mN/m으로 함)으로 배접한 폭 2cm, 길이 10cm(발포체 기재의 흐름 방향)의 양면 점착 테이프 시료를, 23℃ 50%RH 하에서 두께 1.5mm의 스테인리스판(SUS304, 표면 BA처리, 이하 동일함) 또는 두께 0.5mm의 무알칼리 유리(코닝사제 「EAGLE-XG」)에 2kg 롤러 1왕복으로 가압 부착하였다.
2) 23℃ 50%RH 하에서 1시간 정치 후, 23℃ 50%RH 하에서 인장 속도 300mm/분으로 180° 방향으로 박리했을 때의 강도를 측정했다(단위: N/20mm).
[내충격성 시험]
1) 두께 2mm, 외형 50mm×50mm의 아크릴판(미쯔비시 레이온(주) 아크릴라이트L 「상표명」, 색상: 투명)에, 길이 40mm, 폭 5mm의 2매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약점착면을 40mm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부착(도 1)한 뒤, 두께 2mm, 외형 150mm×100mm의 ABS판(스미토모 베이크라이트사제, 터프 에이스R「상표명」색상: 내츄럴, 잔주름 없음, 이하 동일함)의 중앙부에 부착한다(도 2). 2kg 롤러로 1왕복 가압한 뒤, 23℃에서 1시간 정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2) 듀퐁식 충격 시험기(테스터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받침대 위에 길이 150mm, 폭 100mm, 높이 45mm의 역ㄷ자형 측정대(두께 5mm의 알루미늄제)를 설치하고, 그 위에 시험편을, 아크릴판을 하향으로 하여 실었다(도 3). ABS판 측에서 직경 25mm, 질량 300g의 스테인리스제의 타격 코어를, 높이를 10cm씩 변화시키고, ABS판의 중심 부분에 각 높이마다 10초 간격으로 5회 낙하시켜서, 시험편에 테이프의 박리나 파괴가 인정되었을 때의 높이를 측정한다.
◎: 높이 70cm 시험 후에도 테이프의 박리 및 파괴 없음
○: 높이 60 내지 70cm 시험 후에 테이프의 박리 또는 파괴가 발생함
×: 높이 40 내지 50cm의 시험 후에 테이프의 박리 또는 파괴가 발생함
××: 높이 30cm 이하의 시험 후에 테이프의 박리 또는 파괴가 발생함
[리워크 적성]
1) 외형 30mm×30mm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약점착면을, 두께 0.5mm, 외형 30mm×30mm의 무알칼리 유리판에 부착한다. 이어서, 두께 0.5mm, 외형 30mm×100mm의 SUS판에 부착하고, 2kg 롤러로 1왕복 가압한 뒤, 23℃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2) 23℃ 중, 무알칼리 유리판을 수직 방향으로 손으로 뗐을 때의 박리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 상온(23℃) 하에서, 무알칼리 유리의 파괴 없이 용이하게 벗길 수 있었음
○: 시험편을 50℃ 1분 정치에 의해, 무알칼리 유리의 파괴 없이 용이하게 벗길 수 있었음
×: 50℃ 1분 정치 후에도 박리할 수 없고, 무알칼리 유리가 파괴되었음
Figure 112014092376679-pct00001
Figure 112014092376679-pct00002
Figure 112014092376679-pct00003
상기 실시예 1 내지 1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와의 우수한 내충격 내성과 추종성을 가지며, 적합한 리워크성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9의 점착 테이프는 적합한 내충격 내성, 추종성 및 리워크성을 겸비하는 것이 아니었다.
1 점착 테이프
2 아크릴판
3 ABS판
4 역ㄷ자형 측정대
5 타격 코어

Claims (10)

  1. 발포체 기재 중 적어도 일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발포체 기재가 두께 300㎛ 이하 및 층간 강도 6 내지 50N/cm의 발포체 기재이고,
    상기 점착제층이 두께 50㎛ 이하이며, 두께 25㎛의 PET 기재에 25㎛ 두께로 점착제층을 배치하여 형성한 점착 테이프를 온도 23℃, 상대 습도 65%RH의 환경 하에서 SUS판에 대하여 2kg 롤러를 사용하여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 1시간 정치한 후의 박리 속도 300mm/분에 있어서의 180° 박리 접착력이 0.5 내지 4N/20mm인 점착제층이고,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메트)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8만 내지 250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25% 압축 강도가 30kPa 이상인 점착 테이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겉보기 밀도가 0.1 내지 0.7g/㎤인 점착 테이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가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기재인 점착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절단 시의 인장 신도가 200% 내지 600%인 점착 테이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재의 일면 점착제층이, 두께 25㎛의 PET 기재에 25㎛ 두께로 점착제층을 배치하여 형성한 점착 테이프를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서 SUS판에 대하여 2kg 롤러를 사용하여 압착 횟수 1왕복으로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RH의 환경 하에 1시간 정치한 후의 박리 속도 300mm/분에 있어서의 180° 박리 접착력이 1 내지 25N/20mm이며, 다른 면의 점착제층보다 접착력이 강한 점착제층인 점착 테이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판상 강체의 고정에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강체가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판상 강체인 점착 테이프.
  10. 제8항에 있어서, 화상 표시부의 보호 패널 또는 화상 표시 모듈인 판상 강체의 고정에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
KR1020147027320A 2012-05-21 2013-05-16 점착 테이프 KR101632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5584 2012-05-21
JP2012115584 2012-05-21
PCT/JP2013/063655 WO2013176031A1 (ja) 2012-05-21 2013-05-16 粘着テ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893A KR20140133893A (ko) 2014-11-20
KR101632136B1 true KR101632136B1 (ko) 2016-06-20

Family

ID=4962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320A KR101632136B1 (ko) 2012-05-21 2013-05-16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32558A1 (ko)
JP (1) JP5517015B1 (ko)
KR (1) KR101632136B1 (ko)
CN (1) CN104321398B (ko)
TW (1) TWI468485B (ko)
WO (1) WO2013176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7061B2 (en) 2011-12-26 2020-02-11 Dic Corporation Adhesive tape
US10316221B2 (en) 2012-03-22 2019-06-11 Dic Corporation Adhesive tape
WO2014156642A1 (ja) * 2013-03-25 2014-10-02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電子機器
JP6367599B2 (ja) * 2013-11-22 2018-08-0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6269034B2 (ja) * 2013-12-20 2018-01-31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2015155528A (ja) * 2014-01-15 2015-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6314341B2 (ja) * 2014-06-26 2018-04-25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JP6326589B2 (ja) * 2014-06-26 2018-05-23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JP6451976B2 (ja) * 2014-07-22 2019-01-16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滑り防止材、液晶表示モジュー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6370488B2 (ja) * 2014-10-28 2018-08-08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滑り止め表面を備えた歩行可能な安全合わせ板ガラス
KR101994568B1 (ko) * 2015-04-21 2019-06-28 가부시키가이샤 데라오카 세이사쿠쇼 점착 시트
JP2017014333A (ja) * 2015-06-29 2017-01-19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その製造方法、物品及び電子機器
KR101993799B1 (ko) * 2015-07-23 2019-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용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제조방법
WO2017033274A1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粘着テープ
WO2017057628A1 (ja) * 2015-09-29 2017-04-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粘着テープ
JPWO2017131082A1 (ja) * 2016-01-26 2018-11-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CN110746678B (zh) * 2016-03-30 2020-12-0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聚烯烃系树脂发泡片和胶带
JP2017190432A (ja) * 2016-04-15 2017-10-19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WO2018110285A1 (ja) * 2016-12-12 2018-06-21 Dic株式会社 導電性粘着テープ
JP7197983B2 (ja) * 2017-07-31 2022-12-2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WO2019043810A1 (ja) 2017-08-30 2020-09-24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粘着テープ
JP7193229B2 (ja) * 2017-09-29 2022-12-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TWI801499B (zh) * 2018-02-28 2023-05-11 日商綜研化學股份有限公司 雙面膠黏片及其用途
JP7265374B2 (ja) * 2019-02-28 2023-04-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複合シート及び粘着テー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880A (ja) * 2009-04-09 2010-11-18 Dic Corp 両面粘着テープ
JP2011093619A (ja) * 2009-10-27 2011-05-12 Denki Kagaku Kogyo Kk 粘着フィルム
JP2012072347A (ja) * 2010-09-03 2012-04-12 Nitomuzu:Kk 表面保護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6549C2 (nl) * 2000-10-06 2002-04-10 Stork Screens B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tegen stoorstraling beschermde kaart met een gedrukte schakeling.
US20060177642A1 (en) * 2003-07-16 2006-08-10 Eiji Tateo Foam sheet of crosslinked polyolefin resin,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TWI384049B (zh) * 2005-09-05 2013-02-01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ve film
JP4842358B2 (ja) 2008-12-04 2011-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KR101181335B1 (ko) * 2009-04-09 2012-09-11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양면 점착 테이프
JP2011252095A (ja) * 2010-06-02 2011-12-15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JP5622242B2 (ja) * 2010-08-31 2014-11-1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粘着シート
JP5731835B2 (ja) * 2011-01-24 2015-06-10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気又は電子機器用の発泡積層体
JP5662866B2 (ja) * 2011-03-31 2015-02-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880A (ja) * 2009-04-09 2010-11-18 Dic Corp 両面粘着テープ
JP2011093619A (ja) * 2009-10-27 2011-05-12 Denki Kagaku Kogyo Kk 粘着フィルム
JP2012072347A (ja) * 2010-09-03 2012-04-12 Nitomuzu:Kk 表面保護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17015B1 (ja) 2014-06-11
TWI468485B (zh) 2015-01-11
JPWO2013176031A1 (ja) 2016-01-12
TW201404854A (zh) 2014-02-01
CN104321398A (zh) 2015-01-28
KR20140133893A (ko) 2014-11-20
CN104321398B (zh) 2016-07-06
WO2013176031A1 (ja) 2013-11-28
US20150132558A1 (en)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136B1 (ko) 점착 테이프
KR101653986B1 (ko) 점착 테이프
KR101653985B1 (ko) 점착 테이프
KR101653984B1 (ko) 점착 테이프
JP5510763B1 (ja) 粘着テープ
JP6058016B2 (ja) 両面粘着テープ
KR20160011614A (ko) 양면 점착 테이프
JP6326589B2 (ja)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JP2015098554A (ja) 防水テープ
JP2016008290A (ja) 両面粘着テープ及び物品
JP6245381B2 (ja) 粘着シート及び電子機器
JP7107026B2 (ja) 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