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421A -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421A
KR20140089421A KR1020147015167A KR20147015167A KR20140089421A KR 20140089421 A KR20140089421 A KR 20140089421A KR 1020147015167 A KR1020147015167 A KR 1020147015167A KR 20147015167 A KR20147015167 A KR 20147015167A KR 20140089421 A KR20140089421 A KR 20140089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derfloor
cooling
cooling device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8989B1 (ko
Inventor
히로유키 히가시노
유키오 나카시마
시게토시 이포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9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00Air cooling
    • F01P1/06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2Fillings or 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selected or arranged to facilitate heating or cooling
    • H01L23/427Cooling by change of state, e.g. use of heat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H01L23/467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by flowing gases, e.g. 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05K7/20918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isolated from air flow, e.g. hollow heat sinks, wind tunnels or fun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36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이면측에 언더 플로어 장치가 장착된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정면측에 장착되며 언더 플로어 장치로부터 베이스판을 거쳐서 전도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와, 주행풍을 유입 가능하고 또한 유입한 주행풍을 유출 가능한 측면 개구부를 차량의 주행 방향과 면하는 양 측면에 갖고 방열부를 둘러싸는 커버와, 주행풍이 유입하는 측에 있어서의 커버의 측면과 방열부 사이의 측부 간극 영역에, 커버에 있어서 양 측면을 접속하는 면과 방열부와의 간극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막아서 측면 개구부로부터 유입하는 주행풍을 방열부로 인도하는 유도판을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COOLING DEVICE FOR UNDER-FLOO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설치된 장치를 냉각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의 차량 언더 플로어에 설치된 차량 언더 플로어 장치는 차량 정지 시에는 자연 공랭, 차량 주행 시에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냉각된다. 따라서, 차량 언더 플로어 장치의 고효율 냉각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자연 공랭의 기류를 방해하지 않으며, 또한 주행풍을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바람을 효율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가이드를 이용한 리액터의 냉각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U자형 냉각관을 이용한 냉각기에 있어서, U자형 냉각관의 주위에 도풍판을 마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1980-4774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189153 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서는 냉각 대상이 되는 원통 권선의 외주가 덮여 있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커져, 오히려 통풍량이 감소하고 냉각 성능이 저감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냉각 방법에서는, 냉각 대상이 되는 원통 권선의 외주가 덮여 있기 때문에, 차량 정지 시에 있어서의 냉각 효율이 매우 나쁘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대부분의 주행풍이 U자형 냉각관의 관통부로 흘러버려서, 냉각관에는 주행풍이 흐르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관통부에 도풍체를 설치하면 압력 손실이 커져, 더욱 냉각관에 주행풍이 흐르지 않게 된다. 또한, 이 도풍체의 장착 상태에서는, 차량 정지 시의 U자 냉각관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흐르는 자연 대류에 의한 흐름을 저해하기 때문에, 차량 정지 시의 냉각 능력은 저하된다. 부가하여,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언더 플로어에 배치하는 냉각기에는 튀어오르는 돌 등으로부터 냉각기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마련하지만, 본 공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만일 특허문헌 2의 냉각기에도 커버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커버와 냉각기의 사이에는 부품 가공 정밀도 등에 따른 공차에 의해서 간극이 생겨서, 커버 내측으로 들어간 주행풍의 일부는 이 간극으로 흘러가 냉각 성능이 저감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설치된 냉각 장치에 효율적으로 주행풍을 도입할 수 있으며, 냉각 능력이 뛰어난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는,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배치되며, 상기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주행풍을 냉각풍으로서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배치된 언더 플로어 장치를 냉각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로서, 이면측에 상기 언더 플로어 장치가 장착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정면측에 장착되며 상기 언더 플로어 장치로부터 상기 베이스판을 거쳐서 전도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와, 상기 주행풍을 유입 가능하고 또한 유입한 주행풍을 유출 가능한 측면 개구부를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과 면하는 양 측면에 갖고 상기 방열부를 둘러싸는 커버와, 상기 주행풍이 유입하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커버의 측면과 상기 방열부 사이의 측부 간극 영역에, 상기 커버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을 접속하는 면과 상기 방열부와의 간극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막아서 상기 측면 개구부로부터 유입하는 주행풍을 상기 방열부로 인도하는 유도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설치된 냉각 장치에 효율적으로 주행풍을 도입할 수 있어서, 전자 기기 등의 피 냉각 부재의 고효율 냉각이 가능하여 냉각 능력이 뛰어난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가 얻어진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에 있어서의 선분 A-A에 따른 종단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에 있어서의 선분 B-B에 따른 종단면도,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에 있어서의 선분 C-C에 따른 횡단면도,
도 2a는 종래의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b는 종래의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에 있어서의 선분 D-D에 따른 종단면도,
도 2c는 종래의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에 있어서의 선분 E-E에 따른 종단면도,
도 2d는 종래의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에 있어서의 선분 F-F에 따른 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d에 대응하는 횡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d에 대응하는 횡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b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d에 대응하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b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b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도면에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 각 부재의 축척이 실제와는 다른 경우가 있다. 각 도면 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 1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있어서의 선분 A-A에 따른 종단면도, 도 1c는 도 1a에 있어서의 선분 B-B에 따른 종단면도, 도 1d는 도 1a에 있어서의 선분 C-C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는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배치되며,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주행풍을 냉각풍으로서 이용하여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배치된 언더 플로어 장치를 냉각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이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서는, 도열판인 베이스판(3)의 이면측에 피 냉각 부재인 언더 플로어 장치로서 전자 부품(4)이 장착되며, 해당 베이스판(3)의 정면[전자 부품(4)이 장착된 측과 반대측의 면]측에 방열부인 냉각기(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3)의 정면측에서, 냉각기(2)를 덮는 커버(5)가 장착되어 있다.
냉각기(2)는 베이스판(3)의 정면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된 복수의 열전도용 바(2b)와, 열전도용 바(2b)에 고정된 대략 장방형 형상의 평판 형상의 복수의 핀(fin)(2a)을 갖는다. 열전도용 바(2b)는, 베이스판(3)의 타면측에 있어서, 베이스판(3)의 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고 돌출한 상태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핀(2a)은 베이스판(3)의 배열에 대응하여 마련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해당 관통 구멍에 열전도용 바(2b)가 삽입되고, 주면이 베이스판(3)의 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진 상태이며, 또한 열전도용 바(2b)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핀(2a) 및 열전도용 바(2b)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커버(5)에 있어서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측면에는 대략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측면 개구부(5a)가 마련되어 있다. 측면 개구부(5a)는 리브(6)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커버(5)에 있어서의 정면에는, 대략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정면 개구부(5b)가 마련되어 있다. 정면 개구부(5b)는 리브(6)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커버(5)에 있어서의 정면에는 부분적으로 큰 대개구부(5c)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커버(5)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방향[주행 방향(8a) 또는 주행 방향(8b)]과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는 면을 측면이라 부르고, 차량의 주행 방향[주행 방향(8a) 또는 주행 방향(8b)]과 대략 평행이며 베이스판(3)과 반대측의 면을 정면이라 부른다.
또한, 커버(5)에 있어서의 상면에는 대략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상면 개구부(5d)가 마련되어 있다. 상면 개구부(5d)는 리브(6)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커버(5)에 있어서의 정면의 하부는 하방으로 내려감에 따라서 베이스판(3)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되며, 해당 경사면에는 대략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사면 개구부(5e)가 마련되어 있다. 사면 개구부(5e)는 리브(6)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커버(5)에 있어서의 하면에는 대략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하면 개구부(5f)가 마련되어 있다. 하면 개구부(5f)는 도시하지 않는 리브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는 도시하지 않는 장착 부재를 거쳐서 철도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고정된다.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주행풍의 일부를 냉각풍으로서 이용하여 전자 부품(4)을 냉각한다. 이를 위해, 차량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면에 상술한 측면 개구부(5a)를 갖는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 방향[주행 방향(8a) 또는 주행 방향(8b)]에 있어서 그 전방측의 측면 개구부(5a)가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 냉각풍을 도입하는 흡기구, 그 후방측의 측면 개구부(5a)가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 도입된 냉각풍을 배출하는 배기구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 있어서의 냉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 부품(4)에서 발생한 열은 베이스판을 거쳐서 전도되어 냉각기(2)에 수송된다. 즉, 전자 부품(4)에서 발생한 열은 베이스판(3), 열전도용 바(2b)를 거쳐서 핀(2a)까지 수송된다. 이 때문에, 냉각기(2)의 온도는 통상 외기 온도보다 높아져 있다. 냉각기(2)의 내부에는 복수의 핀(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기(2)의 내부를 공기(냉각풍)가 빠져나감으로써 핀(2a)과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실행된다. 또한, 핀(2a)의 형태는 특히 평판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핀(2a)의 재료로서는 알루미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주행 시는, 흡기구가 되는 측면 개구부(5a)로부터 도입한 냉각풍이 냉각기(2)에 인도되어 베이스판(3)에 장착된 핀(2a)과 열전도용 바(2b)를 냉각한 후, 배기구가 되는 측면 개구부(5a)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 방향이 바뀌면 냉각풍의 흐름도 역방향이 되며, 흡기구와 배기구의 정의도 역이 된다.
한편, 차량의 정지 시에는 주행풍이 없어지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커버(5)의 하면의 하면 개구부(5f)로부터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 내의 냉각기(2)를 통과하여 커버(5)의 상면의 상면 개구부(5d)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흐르는 자연풍(12)에 따른 자연 공랭에 의해 핀(2a)과 열전도용 바(2b)가 냉각된다.
일반적으로, 커버와 냉각기 사이에는 부품 가공 정밀도 등에 따른 공차에 의해 간극이 생겨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주행 시에 흡기구가 되는 측면 개구부(5a)로부터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 내에 도입된 주행풍(9)[주행풍(9a) 또는 주행풍(9b)] 중 일부는 냉각기(2)로 향하는 냉각풍인 주류(10)[주류(10a) 또는 주류(10b)]가 되지만, 그 이외는 커버(5)에 있어서 양 측면을 접속하는 면과 냉각기(2)의 간극 영역으로 바이패스하여 흘러가는 바이패스류가 된다.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은 각 바람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차량의 주행 방향이 주행 방향(8a)인 경우는, 주행풍은 차량의 주행 방향(8a)과는 역방향인 주행풍(9a), 냉각기(2)로 향하는 냉각풍은 차량의 주행 방향(8a)과는 역방향인 주류(10a), 바이패스류는 차량의 주행 방향(8a)과는 역방향으로 흘러가는 바이패스류가 된다. 차량의 주행 방향이 주행 방향(8b)인 경우는, 주행풍은 차량의 주행 방향(8b)과는 역방향인 주행풍(9b), 냉각기(2)로 향하는 냉각풍은 차량의 주행 방향(8b)과는 역방향인 주류(10b), 바이패스류는 차량의 주행 방향(8b)과는 역방향으로 흘러가는 바이패스류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바이패스류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냉각풍의 풍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핀(2a)과 열전도용 바(2b)를 냉각하는 냉각 성능이 줄어든다.
그래서,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서는, 흡기구가 되는 커버(5)의 측면 근방에 있어서의 측면과 냉각기(2) 사이의 측부 간극 영역에 유도판(7)이 장착되어 있다. 유도판(7)은, 커버(5)의 양 측면 근방에서, 커버(5)에 있어서 양 측면을 접속하는 면과 냉각기(2)와의 간극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막아서 측면 개구부(5a)로부터 유입하는 주행풍을 냉각기(2)로 인도한다.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서는, 유도판(7)은 커버(5)에 있어서 양 측면을 접속하는 면[커버(5)의 상면, 정면측의 면, 하면]과 냉각기(2)와의 간극 영역 중 차량의 주행 방향[주행 방향(8a) 또는 주행 방향(8b)]과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이면측[베이스판(3)측]을 제외한 영역을 막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즉, 유도판(7)은 측부 간극 영역 중 상방측, 정면측, 하방측에 배치된 대략 ㄷ자형의 형상을 갖는다. 유도판(7)의 냉각기(2)측의 일단은 냉각기(2)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측면 개구부(5a)측의 코너부 근방에 접속되어 있다. 유도판(7)의 측면측의 타단은 주행풍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측면에 있어서의 측면 개구부(5a)의 최외주 중 이면측을 제외한 방향을 따라서 커버(5)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도판(7)은 커버(5)의 측면과 냉각기(2) 사이를 직선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차량의 주행 방향[주행 방향(8a) 또는 주행 방향(8b)]에 있어서는 냉각기(2)를 완전히 덮지 않는 형상이 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유도판(7)과 베이스판(3) 사이에 간극은 없는 편이 바람직하지만, 핀 피치 정도의 간극이 있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유도판(7)을 구비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서는, 커버(5)의 측면과 냉각기(2) 사이의 측부 간극 영역 근방의 주행풍이 유도판(7)으로 인도되며, 커버(5)의 상면, 정면측의 면 또는 하면과 냉각기(2)와의 간극 영역으로 바이패스하는 일 없이 냉각기(2)로 흐른다. 이 때문에, 차량의 주행 시에 측면 개구부(5a)로부터 도입한 주행풍의 대부분은 커버(5)의 상면, 정면측의 면 또는 하면과 냉각기(2) 사이의 간극 영역으로 바이패스하는 일 없이 냉각기(2)로 흐르기 때문에, 냉각풍의 풍량이 증가한다. 이것에 의해, 핀(2a)과 열전도용 바(2b)를 효율적으로 냉각하여 전자부품(4)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유도판(7)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차량의 주행 방향[주행 방향(8a) 또는 주행 방향(8b)]에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 커버(5)의 상면, 정면측의 면 또는 하면과 냉각기(2)와의 간극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유도판(7)으로 막음으로써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충분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유도판(7)을 극히 넓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도판(7)은 냉각기(2)를 완전히 덮고 있지 않으며, 냉각기(2)의 상하면은 유도판(7)에 의해 덮여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유도판(7)이 커버(5)의 하면으로부터 커버(5)의 상면으로 흐르는 기류를 방해하는 일은 없으며, 차량의 정지 시에 있어서의 자연풍(12)에 의한 냉각기(2)의 자연 공랭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유도판(7)은 차량 정지 시의 냉각 능력을 저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도판(7)은,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의 제작에 있어서, 미리 커버(5)에 장착하고 나서 냉각기(2)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커버(5)에 미리 유도판(7)을 고정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커버(5)와 유도판(7) 사이에는 일절 간극을 만들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어서, 효율적으로 주행풍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를 위해 종래의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사시도(도 1a에 대응), 도 2b는 도 2a에 있어서의 선분 D-D에 따른 종단면도(도 1b에 대응), 도 2c는 도 2a에 있어서의 선분 E-E에 따른 종단면도(도 1c에 대응), 도 2d는 도 2a에 있어서의 선분 F-F에 따른 횡단면도(도 1d에 대응)이다.
종래의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구조는, 유도판(7)을 구비하지 않는 것 이외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와 동일하다. 즉, 도면에 있어서 냉각 장치(101), 핀(102a), 열전도용 바(102b), 냉각기(102), 베이스판(103), 전자 부품(104), 커버(105)는 각각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1), 핀(2a), 열전도용 바(2b), 냉각기(2), 베이스판(3), 전자 부품(4), 커버(5)에 대응한다. 측면 개구부(105a), 정면 개구부(105b), 대개구부(105c), 상면 개구부(105d), 사면 개구부(105e), 하면 개구부(105f), 리브(106)는 각각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 있어서의 측면 개구부(5a), 정면 개구부(5b), 대개구부(5c), 상면 개구부(5d), 사면 개구부(5e), 하면 개구부(5f), 리브(6)에 대응한다. 주행 방향(108a), 주행 방향(108b), 주행풍(109a), 주행풍(109b), 주류(110a), 주류(110b)는 각각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 있어서의 주행 방향(8a), 주행 방향(8b), 주행풍(9a), 주행풍(9b), 주류(10a), 주류(10b)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01)에 있어서의 냉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 부품(104)에서 발생한 열은 냉각기(102)에 수송된다. 즉, 전자 부품(104)에서 발생한 열은 베이스판(103), 열전도용 바(102b)를 거쳐서 핀(102a)까지 수송된다. 이 때문에, 냉각기(102)의 온도는 통상 외기 온도보다 높아져 있다. 냉각기(102)의 내부에는 복수의 핀(10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기(102)의 내부를 공기(냉각풍)가 빠져나감으로써 핀(102a)과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실행된다.
차량의 주행 시는, 흡기구가 되는 측면 개구부(105a)로부터 도입한 냉각풍이 냉각기(102)에 인도되어 베이스판(103)에 장착된 핀(102a)과 열전도용 바(102b)를 냉각한 후, 배기구가 되는 측면 개구부(105a)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 방향이 바뀌면 냉각풍의 흐름도 역방향이 되어, 흡기구와 배기구의 정의도 역이 된다.
한편, 차량의 정지 시에는 주행풍이 없어지지만, 이 경우에는 커버(105)의 하면의 하면 개구부(105f)로부터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01) 내의 냉각기(102)를 통과하여 커버(105)의 상면의 상면 개구부(105d)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흐르는 자연풍(112)에 의한 자연 공랭에 의해 핀(102a)과 열전도용 바(102b)가 냉각된다.
일반적으로, 커버와 냉각기 사이에는 부품 가공 정밀도 등에 따른 공차에 의해 간극이 생겨있다. 이 경우, 차량의 주행 시에 흡기구가 되는 측면 개구부(105a)로부터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01) 내에 도입된 주행풍(109)[주행풍(109a) 또는 주행풍(109b)] 중 일부는 냉각기(102)로 향하는 냉각풍인 주류(110)[주류(110a) 또는 주류(110b)]가 되지만, 그 이외는 커버(105)에 있어서 양 측면을 접속하는 면과 냉각기(102)와의 간극 영역으로 바이패스하여 흘러가는 바이패스류(111)[바이패스류(111a) 또는 바이패스류(111b)]가 된다.
즉, 차량의 주행 방향이 주행 방향(108a)인 경우는, 주행풍은 차량의 주행 방향(108a)과는 역방향인 주행풍(109a), 냉각기(102)로 향하는 냉각풍은 차량의 주행 방향(108a)과는 역방향인 주류(110a), 바이패스류는 차량의 주행 방향(108a)과는 역방향으로 커버(105)에 있어서 양 측면을 접속하는 면과 냉각기(102)와의 간극 영역으로 바이패스하여 흘러가는 바이패스류(111a)가 된다. 차량의 주행 방향이 주행 방향(108b)인 경우는, 주행풍은 차량의 주행 방향(108b)과는 역방향인 주행풍(109b), 냉각기(102)로 향하는 냉각풍은 차량의 주행 방향(108b)과는 역방향인 주류(110b), 바이패스류는 차량의 주행 방향(108b)과는 역방향으로 커버(105)에 있어서 양 측면을 접속하는 면과 냉각기(102)와의 간극 영역으로 바이패스하여 흘러가는 바이패스류(111b)가 된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은 각 바람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바이패스류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냉각풍의 풍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핀(102a)과 열전도용 바(102b)를 냉각하는 냉각 성능이 저감된다.
그렇지만,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서는, 상술한 유도판(7)을 구비함으로써, 커버(5)에 있어서 양 측면을 접속하는 면과 냉각기(2)와의 간극 영역으로 바이패스하여 흘러가는 바이패스류의 발생이 억제, 방지되며, 차량의 주행 시에 측면 개구부(5a)로부터 도입한 주행풍의 대부분은, 커버(5)에 있어서 양 측면을 접속하는 면과 냉각기(2)와의 간극 영역으로 바이패스 하는 일 없이 냉각기(2)로 흐르기 때문에, 냉각풍의 풍량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핀(2a)과 열전도용 바(2b)를 효율적으로 냉각하여 전자 부품(4)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 의하면,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설치된 냉각기(2)에 효율적으로 주행풍을 도입할 수 있어서, 차량의 주행 시 및 정차 시 모두 전자 부품(4)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에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는 유도판(7)의 형상만이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와 다르기 때문에, 유도판(7)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그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3b는 도 1d에 대응하는 횡단면도이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서는, 유도판(7)은, 커버(5)와 냉각기(2)와의 간극 영역 및 베이스판(3)과 냉각기(2)와의 간극 영역 중 차량의 주행 방향[주행 방향(8a) 또는 주행 방향(8b)]에 수직인 면(도 3a 참조)에 있어서 베이스판(3)측을 포함한 전방향을 막도록 대략 ㅁ자 형상의 유도판(7)이 장착되어 있다. 즉, 유도판(7)은 측부 간극 영역 중 상방측, 정면측, 하방측, 이면측에 배치된 대략 ㅁ자형의 형상을 갖는다. 유도판(7)의 냉각기(2)측의 일단은 냉각기(2)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측면 개구부(5a)측의 코너부 근방에 접속되어 있다. 유도판(7)의 측면측의 타단은 주행풍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측면에 있어서의 측면 개구부(5a)의 최외주를 따라서 측면 개구부(5a)를 둘러싸며 커버(5)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도판(7)은 커버(5)의 측면과 냉각기(2)와의 사이를 직선적으로 연결하며, 또한, 차량의 주행 방향[주행 방향(8a) 또는 주행 방향(8b)]에 있어서는 냉각기(2)를 완전히 덮지 않는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도판(7)은,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제작에 있어서, 미리 핀(2a)에 장착하고, 그 후, 냉각기(2)를 덮도록 커버(5)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핀(2a)에 미리 유도판(7)을 고정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냉각기(2)와 유도판(7) 사이에는 일절 간극을 만들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어서, 효율적으로 주행풍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도판(7)을 구비하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서는, 커버(5)의 측면과 냉각기(2) 사이의 간극 영역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방향에 수직인 면에 있어서의 베이스판(3)측을 포함한 전방향(전체 둘레)을 막음으로써, 차량의 주행 시에 측면 개구부(5a)로부터 도입한 주행풍은 냉각기(2)와 커버(5) 사이의 간극 영역 및 베이스판(3)과 냉각기(2)와의 간극 영역으로 바이패스하는 일 없이 전부 냉각기(2)로 흐르기 때문에,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 비해 냉각풍의 풍량이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2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 의하면, 전자 부품(4)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3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는 유도판(7)의 형상만이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와 다르기 때문에, 유도판(7)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그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4b는 도 1d에 대응하는 횡단면도이다.
실시형태 3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서는, 커버(5)의 측면과 냉각기(2) 사이의 측면 간극 영역에,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대략 ㄷ자 형상의 유도판(7)이 마련되며, 추가로 보조 유도판(7a)이 장착되어 있다. 보조 유도판(7a)은 베이스판(3)과 냉각기(2)와의 간극 영역을 막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유도판(7) 및 보조 유도판(7a)은 커버(5)의 측면과 냉각기(2) 사이를 직선적으로 연결하며, 또한, 차량의 주행 방향[주행 방향(8a) 또는 주행 방향(8b)]에 있어서는, 냉각기(2)를 완전히 덮지 않는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제작에 있어서, 유도판(7)을 미리 커버(5)에 장착하고, 보조 유도판(7a)을 미리 베이스판(3) 또는 냉각기(2)에 장착하고, 그 후, 냉각기(2)를 덮도록 커버(5)를 고정함으로써 형성 가능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유도판(7) 및 보조 유도판(7a)을 구비하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서는, 커버(5)의 측면과 냉각기(2) 사이의 측부 간극 영역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방향에 수직인 면에 있어서의 베이스판(3)측을 포함한 전방향(전체 둘레)을 막음으로써, 차량의 주행 시에 측면 개구부(5a)로부터 도입한 주행풍은 냉각기(2)와 커버(5) 사이의 간극 영역 및 베이스판(3)과 냉각기(2)와의 간극 영역으로 바이패스하는 일 없이 모두 냉각기(2)로 흐르기 때문에 실시형태 1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1)에 비해 냉각풍의 풍량이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3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 의하면, 전자 부품(4)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대략 ㄷ자 형상의 유도판(7)과 보조 유도판(7a) 사이는 부품 가공 정밀도 등에 따른 공차에 의해 간극이 발생하지만, 간극은 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없애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3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4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는 유도판(7)의 형상만이 실시형태 1 내지 3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와 다르기 때문에, 유도판(7)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도 1b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5b는 도 1d에 대응하는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서는 실시형태 2에 대한 변형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실시형태 4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서는, 유도판(7)은 커버(5)의 측면과 냉각기(2) 사이를 완만한 곡선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차량의 주행 방향[주행 방향(8a) 또는 주행 방향(8b)]에 있어서는 냉각기(2)를 완전히 덮지 않는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측면 개구부(5a)와 냉각기(2) 사이의 주행풍(냉각풍)의 흐름을 완만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서, 유도판(7)의 박리의 억제나 압력 손실의 억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4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 의하면, 전자 부품(4)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동시에, 유도판(7)이나 보조 유도판(7a)의 박리의 억제나 압력 손실의 억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서는, 실시형태 2에 대한 변형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3의 유도판(7)과 보조 유도판(7a)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즉, 커버(5)의 측면과 냉각기(2) 사이를 완만한 곡선적으로 연결하는 형상은, 실시형태 1과 같이 대략 ㄷ자 형상의 유도판(7), 실시형태 2와 같이 대략 ㅁ자 형상의 유도판(7), 실시형태 3과 같이 대략 ㄷ자 형상의 유도판(7) 및 보조 유도판(7a) 중 어느 쪽에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5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3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5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는 유도판(7)의 형상만이 실시형태 1 내지 3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와 다르기 때문에, 유도판(7)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그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b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6에서는 실시형태 2에 대한 변형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실시형태 5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서는, 유도판(7)은 커버(5)의 측면과 냉각기(2) 사이의 측부 간극 영역으로부터 냉각기(2)의 핀(2a)에 있어서의 차량의 주행 방향에 따른 외주면을 대략 덮어서 연장된 연장부(7b)를 가지며, 핀(2a)의 외주면의 일부를 덮는 형상이 된다. 유도판(7)이 핀(2a)의 외주면을 덮는 길이(열차의 주행 방향)에 따라서는, 연장부(7b)에 있어서, 냉각기(2)의 정면측 이외의 3면을 따르는 부분에는, 개구부로서 구멍(13)이나 슬릿을 마련한다.
통상, 차량의 주행 시의 냉각풍은 일부가 냉각기(2)의 상측이나 하측으로부터 빠져나간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이와 같이 냉각기(2)의 상측이나 하측, 정면측으로부터 빠져나가는 냉각풍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전자 부품(4)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유도판(7)에 있어서의, 냉각기(2)의 정면측 이외의 3면을 따르는 부분에 구멍(13)이나 슬릿을 마련함으로써, 유도판(7)이 냉각기(2)의 하면으로부터 냉각기(2)의 상면으로 흐르는 기류를 방해하는 일은 없으며, 차량의 정지 시에 있어서의 자연풍(12)에 의한 냉각기(2)의 자연 공랭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유도판(7)은 차량 정지 시의 냉각 능력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자연풍(12)에 의한 냉각기(2)의 자연 공랭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연장부(7b)가 덮는 경우나, 자연 공랭을 저해해도 냉각 능력이 충분히 있는 경우는 구멍(13) 등을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실시형태 5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 의하면, 전자 부품(4)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실시형태 2에 대한 변형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3의 형태에 연장부(7b)를 적용해도 좋다. 다만, 냉각기(2)의 베이스판(3)측으로부터 냉각풍이 빠져나가는 일은 없기 때문에, 베이스판(3)측의 유도판(7)이나 보조 유도판(7a)에는 연장부(7b)는 불필요하다.
실시형태 6
실시형태 6에서는 실시형태 5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6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는 유도판(7)의 형상만이 실시형태 5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와 다르기 때문에, 유도판(7)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그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b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실시형태 6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서는, 유도판(7)은 커버(5)의 측면과 냉각기(2) 사이를 완만한 곡선적으로 연결하는 형상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측면 개구부(5a)와 냉각기(2) 사이의 주행풍(냉각풍)의 흐름을 완만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서, 유도판(7)의 박리의 억제나 압력 손실의 억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6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 의하면, 전자 부품(4)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동시에, 유도판(7)이나 보조 유도판(7a)의 박리의 억제나 압력 손실의 억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도판(7)은, 실시형태 1과 같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해도 좋고, 실시형태 2와 같이 대략 ㅁ자 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실시형태 3과 같이 대략 ㄷ자 형상의 유도판(7)과 보조 유도판(7a)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의 실시형태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5)의 형상에 대해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커버(5)의 형상은 일 예이다. 커버(5)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쉬 형상의 개구부가 불규칙하게 나열된 형태, 개구부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아니고 원형인 개구부인 형태, 유도판(7)에 마련하는 구멍의 수를 도시한 것 보다 더욱 증가시킨 형태 등을 취할 수 있다.
냉각기(2)로 냉각하는 대상인 피 냉각 부재에 대하여, 상기의 전자 부품(4)은 일 예이다. 피 냉각 부재는 전자 부품 이외의 발열 부품이나 비발열의 피 냉각 부품여도 좋으며, 피 냉각 부재의 형상의 제한은 없다.
유도판(7)은 핀(2a), 베이스판(3) 등 고정할 수 있으면 어디에 장착해도 좋다. 유도판(7)은 나사, 볼트, 리벳 등의 체결 부품으로 고정해도 좋고, 접착제를 이용해 고정해도 좋으며, 또한 용접에 의해서 고정해도 좋다.
냉각기(2)의 핀(2a)의 개수는 충분한 냉각 능력이 얻어지면 몇 개라도 좋다. 또한, 핀(2a)의 높이는 모두 동일해도 좋으며, 배치 방향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바뀌어도 좋다.
열전도용 바(2b) 대신에 히트 파이프를 이용해도 좋고, 이들은 어느 한쪽만을 이용해도 좋으며,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들의 배열은 규칙적이어도 좋고, 불규칙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 1 내지 6에서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수직인 면 방향에 있어서의 유도판(7)의 형상을 냉각기(2)의 외형 형상을 대략 따르는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2a)을 덮으면서 커버(5)의 외형 형상을 대략 따르는 형상으로, 더욱 간략화한 형상으로 설치해도 좋고,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더욱 냉각기(2)의 외형 형상을 대략 따르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도 8a 및 도 8b는 유도판(7)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보조 유도판(7a)이 없는 경우를 도시하고, 도 8b는 보조 유도판(7a)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유도판(7)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a는 보조 유도판(7a)이 없는 경우를 도시하고, 도 9b는 보조 유도판(7a)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어느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유도판(7)과, 핀(2a) 또는 열전도용 바(2b) 또는 커버(5)와의 사이는, 간극이 없는 편이 바람직하지만, 핀 피치 정도까지의 간극이라면 있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는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설치된 피 냉각 부재의 고효율 냉각의 실현에 유용하다.
1 : 냉각 장치 2 : 냉각기
2a : 핀 2b : 열전도용 바
3 : 베이스판 4 : 전자 부품
5 : 커버 5a : 측면 개구부
5b : 정면 개구부 5c : 대개구부
5d : 상면 개구부 5e : 사면 개구부
5f : 하면 개구부 6 : 리브
7 : 유도판 7a : 보조 유도판
7b : 연장부 8a, 8b : 주행 방향
9, 9a, 9b : 주행풍 10, 10a, 10b : 주류
12 : 자연풍 13 : 구멍
101 : 냉각 장치 102a : 핀
102b : 열전도용 바 102 ; 냉각기
103 : 베이스판 104 : 전자 부품
105 : 커버 105a : 측면 개구부
105b : 정면 개구부 105c : 대개구부
105d : 상면 개구부 105e : 사면 개구부
105f : 하면 개구부 106 : 리브
108a, 108b : 주행 방향 109, 109a, 109b : 주행풍
110, 110a, 110b : 주류 111, 111a, 111b : 바이패스류
112 : 자연풍

Claims (10)

  1.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배치되며, 상기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주행풍을 냉각풍으로서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언더 플로어에 배치된 언더 플로어 장치를 냉각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
    이면측에 상기 언더 플로어 장치가 장착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정면측에 장착되며 상기 언더 플로어 장치로부터 상기 베이스판을 거쳐서 전도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와,
    상기 주행풍을 유입 가능하고 또한 유입한 주행풍을 유출 가능한 측면 개구부를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과 면하는 양 측면에 갖고 상기 방열부를 둘러싸는 커버와,
    상기 주행풍이 유입하는 측에 있어서의 상기 커버의 측면과 상기 방열부 사이의 측부 간극 영역에, 상기 커버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을 접속하는 면과 상기 방열부와의 간극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막아서 상기 측면 개구부로부터 유입하는 주행풍을 상기 방열부로 인도하는 유도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은 상기 간극 영역 중 상기 주행 방향과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이면측을 제외한 영역을 막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은 상기 측부 간극 영역 중 정면측 및 정면측과 교차하는 2 방향측에 배치된 대략 ㄷ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의 상기 측면측의 단부는 상기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 개구부의 최외주 중 이면측을 제외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측면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은 상기 간극 영역 중 상기 주행 방향과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전체 영역을 막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은 상기 측부 간극 영역 중 정면측, 이면측 및 정면측과 교차하는 2 방향측에 배치된 대략 ㅁ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의 상기 측면측의 단부는 상기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 개구부의 최외주를 따라서 상기 측면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은 상기 방열부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방향에 따른 면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된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일부에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은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KR1020147015167A 2011-12-09 2012-11-22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KR101588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70023 2011-12-09
JP2011270023 2011-12-09
PCT/JP2012/080368 WO2013084729A1 (ja) 2011-12-09 2012-11-22 車両用床下装置の冷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421A true KR20140089421A (ko) 2014-07-14
KR101588989B1 KR101588989B1 (ko) 2016-01-26

Family

ID=4857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167A KR101588989B1 (ko) 2011-12-09 2012-11-22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63302B2 (ko)
EP (1) EP2789518B9 (ko)
JP (1) JP5474265B2 (ko)
KR (1) KR101588989B1 (ko)
CN (1) CN103987607B (ko)
BR (1) BR112014012776B1 (ko)
ES (1) ES2748450T3 (ko)
IN (1) IN2014CN04113A (ko)
WO (1) WO2013084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7599B2 (ja) * 2012-06-29 2015-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用電力変換装置
US9401864B2 (en) 2013-10-31 2016-07-2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Express header for packets with hierarchically structured variable-length identifiers
JP6177465B2 (ja) * 2015-01-08 2017-08-09 三菱電機株式会社 鉄道車両用の冷却装置
JP6494408B2 (ja) * 2015-05-07 2019-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機器の冷却装置
JP6753686B2 (ja) * 2015-08-21 2020-09-09 株式会社東芝 電力変換装置及び鉄道車両
JP6414187B2 (ja) * 2016-02-15 2018-10-31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WO2017163392A1 (ja) 2016-03-25 2017-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JP6914776B2 (ja) * 2017-08-04 2021-08-04 株式会社東芝 電力変換装置及び鉄道車両
WO2019049405A1 (ja) * 2017-09-08 2019-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の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を搭載した鉄道車両
WO2023144914A1 (ja) * 2022-01-26 2023-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5909A (en) * 1977-11-05 1979-05-28 Hitachi Ltd Apparatus for cooling vehicle control device
JPS5547749A (en) 1978-08-16 1980-04-04 Ward Goldstone Ltd Multiple information processor
JPH11189153A (ja) 1997-12-25 1999-07-13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用冷却器
KR20050037374A (ko) * 2003-10-17 2005-04-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냉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4742A (en) * 1923-10-22 1925-12-08 Cleveland Worm And Gear Compan Worm-gear reduction unit
US2162512A (en) * 1935-11-25 1939-06-13 Houde Eng Corp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biles
US3045430A (en) * 1960-09-20 1962-07-24 John E Becker Fluid couplings
US3353591A (en) * 1965-02-15 1967-11-21 Tsnii Teknologii I Mash Apparatus for cooling gear reduction units
JPS5447217A (en) 1977-09-21 1979-04-13 Hitachi Ltd Self-cooling ventilation system for vehicle radiator
JPS54140405U (ko) 1978-03-22 1979-09-29
JPS5547749U (ko) 1978-09-25 1980-03-28
JPS5820541U (ja) 1981-07-30 1983-02-08 株式会社東芝 車両用半導体装置
JPH0435254Y2 (ko) 1985-07-17 1992-08-20
US4872502A (en) * 1987-09-25 1989-10-10 The Falk Company Air cooling of enclosed gear drives
US5158136A (en) * 1991-11-12 1992-10-27 At&T Laboratories Pin fin heat sink including flow enhancement
JPH0692226A (ja) * 1992-09-16 1994-04-05 Toshiba Corp 車両用制御装置
JP3020790B2 (ja) 1993-12-28 2000-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ヒートパイプ式冷却装置とこれを用いた車両制御装置
JP3271495B2 (ja) * 1995-10-24 2002-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蓄電池
US5789833A (en) * 1995-11-24 1998-08-04 Kabushiki Kaisha Toshiba Totally-enclosed traction motor for electric railcar
JP3498526B2 (ja) 1997-03-19 2004-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機器用採風装置
US5927384A (en) * 1997-04-28 1999-07-27 Waldner, Jr.; Craig 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lubricants
US5931217A (en) * 1998-05-20 1999-08-03 R.W. Fernstrum & Company Marine heat exchanger
JP3469475B2 (ja) 1998-09-10 2003-11-25 株式会社東芝 鉄道車両用半導体冷却装置
DE19855321A1 (de) * 1998-12-01 2000-06-08 Zf Batavia Llc Kühlung eines Steuergerätes eines Kraftfahrzeuggetriebes
JP2001118976A (ja) 1999-10-20 2001-04-27 Hitachi Ltd 電子部品の冷却装置
US6544085B1 (en) * 1999-10-21 2003-04-08 Bombardier Inc. Watercraft having a closed coolant circulating system with a heat exchanger that constitutes an exterior surface of the hull
US7044194B2 (en) * 1999-10-26 2006-05-16 Duramax Marine, Llc Heat exchanger with beveled header
US6575227B1 (en) * 1999-10-26 2003-06-10 Duramax Marine, Llc Heat exchanger
US6774514B2 (en) * 2000-02-25 2004-08-10 Kabushiki Kaisha Toshiba Totally enclosed type driving electric motor
JP4196521B2 (ja) * 2000-05-19 2008-12-1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4011272B2 (ja) * 2000-08-21 2007-11-21 東芝トランスポー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半導体冷却装置
US6997238B1 (en) * 2001-02-27 2006-02-14 W.S. Darley & Co. Cooler plate and gearbox assembly
JP3565271B2 (ja) * 2001-11-19 2004-09-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7055576B2 (en) * 2001-11-27 2006-06-06 R.W. Fernstrum & Co.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a keel cooler
JP4243334B2 (ja) * 2002-06-11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
US8376029B2 (en) * 2002-10-29 2013-02-19 Duramax Marine, Llc Keel cooler with fluid flow diverter
US6896037B2 (en) * 2002-10-29 2005-05-24 Duramax Marine, Llc Keel cooler with fluid flow diverter
KR100528586B1 (ko) * 2002-11-25 2005-11-1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폐 외선 냉각형 전동기
JP2005053330A (ja) * 2003-08-04 2005-03-03 Toshiba Corp 鉄道車両用電力変換装置
JP4485187B2 (ja) * 2003-12-24 2010-06-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ケース
JP4543710B2 (ja) * 2004-03-11 2010-09-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4062273B2 (ja) * 2004-03-31 2008-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2006050683A (ja) * 2004-07-30 2006-02-16 Toshiba Corp 車両用全閉形電動機
WO2006038515A1 (ja) * 2004-10-01 2006-04-13 Kabushiki Kaisha Toshiba 車両駆動用全閉型主電動機
JP4202999B2 (ja) * 2004-10-22 2008-12-24 株式会社東芝 車両用の電源装置
US7323272B2 (en) * 2004-12-29 2008-01-29 Odyne Corporation Battery enclosure for electric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optimized for air-cooling
JP2006216303A (ja) * 2005-02-02 2006-08-17 Denso Corp 発熱機器の冷却構造
JP5023509B2 (ja) * 2006-02-24 2012-09-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
JP2007244130A (ja) * 2006-03-09 2007-09-20 Toshiba Corp 電力変換装置
JP2009529621A (ja) * 2006-03-16 2009-08-20 ベー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自動車用熱交換器
JP4012230B2 (ja) 2006-03-22 2007-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用冷却器
JP4839955B2 (ja) * 2006-05-11 2011-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車両
JP2007306741A (ja) * 2006-05-12 2007-11-22 Toshiba Corp 制御装置一体型電動機
CN102050009B (zh) * 2006-09-07 2013-03-1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电气设备的冷却结构
US8424589B2 (en) * 2007-07-16 2013-04-23 George Erik McMillan Motorcycle oil cooler
JP5010682B2 (ja) * 2007-07-19 2012-08-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電動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および軌道系電動車両
JP5022866B2 (ja) * 2007-11-12 2012-09-12 株式会社東芝 鉄道車両用電力変換装置
US20090145592A1 (en) * 2007-12-10 2009-06-11 Frank Joseph Leitch Windshield washer fluid heating system
US8715127B2 (en) * 2008-01-04 2014-05-06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Axle assembly with axle housing assembly having air scoops for cooling
JP4787279B2 (ja) * 2008-01-31 2011-10-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ケース及び電池モジュールケースの使用方法
JP2010004649A (ja) * 2008-06-19 2010-01-07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車両の換気装置
TW201024526A (en) * 2008-12-23 2010-07-01 Cheng-Chin Kung Cooling and circulating system for engine oil
US8136618B2 (en) * 2009-01-21 2012-03-20 The Raymond Corporation Cyclonic motor cooling for material handling vehicles
EP2412597B1 (en) * 2009-03-24 2016-01-06 Sumitomo Precision Products Co., Ltd. Heat sink
DE102009014316B4 (de) * 2009-03-25 2019-03-14 Sew-Eurodrive Gmbh & Co Kg Getriebe
DE102009061042A1 (de) * 2009-03-25 2011-01-05 Sew-Eurodrive Gmbh & Co. Kg Zumindest teilweise mit Öl befülltes Getriebe
DE102009014315B4 (de) * 2009-03-25 2018-01-25 Sew-Eurodrive Gmbh & Co Kg Getriebe
JP2010284033A (ja) * 2009-06-05 2010-12-16 Toshiba Corp 鉄道車両の電源装置
JP2010284984A (ja) * 2009-06-09 2010-12-24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バッテリ搭載構造
DE102009031779A1 (de) * 2009-07-06 2011-0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Bod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FR2959209B1 (fr) * 2010-04-27 2013-03-29 Airbus Operations Sas Mat de support de turbomachine pour aeronef
US8881797B2 (en) * 2010-05-05 2014-11-11 Ametek, Inc. Compact plate-fin heat exchanger utilizing an integral heat transfer layer
DE102011102019B4 (de) * 2010-06-02 2014-05-28 Mazda Motor Corporation Batteriemontagestruktur für ein Elektromotorfahrzeug
JP5560182B2 (ja) * 2010-12-27 2014-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却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力変換装置
JP5769980B2 (ja) 2011-02-15 2015-08-26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鉄道車両の遮熱カバー
JP5481451B2 (ja) 2011-09-16 2014-04-23 株式会社東芝 電気車制御装置
JP5730746B2 (ja) * 2011-11-10 2015-06-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用制御装置の冷却器
JP2013247148A (ja) * 2012-05-23 2013-12-09 Toshiba Corp 自然循環型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5909A (en) * 1977-11-05 1979-05-28 Hitachi Ltd Apparatus for cooling vehicle control device
JPS5547749A (en) 1978-08-16 1980-04-04 Ward Goldstone Ltd Multiple information processor
JPH11189153A (ja) 1997-12-25 1999-07-13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用冷却器
KR20050037374A (ko) * 2003-10-17 2005-04-2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냉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74265B2 (ja) 2014-04-16
ES2748450T3 (es) 2020-03-16
EP2789518B1 (en) 2019-08-28
ES2748450T9 (es) 2020-08-18
IN2014CN04113A (ko) 2015-07-10
US20140318736A1 (en) 2014-10-30
CN103987607B (zh) 2016-08-24
BR112014012776B1 (pt) 2021-02-02
EP2789518A1 (en) 2014-10-15
WO2013084729A1 (ja) 2013-06-13
EP2789518A4 (en) 2015-09-02
EP2789518B9 (en) 2019-12-25
US9863302B2 (en) 2018-01-09
KR101588989B1 (ko) 2016-01-26
JPWO2013084729A1 (ja) 2015-04-27
BR112014012776A2 (pt) 2017-08-22
CN103987607A (zh)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989B1 (ko) 차량용 언더 플로어 장치의 냉각 장치
JP6215857B2 (ja) 放熱フィンを有するl字状熱伝導部材を備えた空冷式レーザ装置
US20090180251A1 (en) Multi-position housing made of metal extruded section member for manufacturing a waterproof power electronic device
JP5899473B2 (ja) 電子機器の冷却構造
JP6482954B2 (ja) 液冷式冷却装置
JP6482955B2 (ja) 液冷式冷却装置
JP6534873B2 (ja) 液冷式冷却装置
US20150090435A1 (en) Support plateheat dissipation apparatus
WO2019015200A1 (zh) 一种cpu挡风罩
KR101419636B1 (ko) 히트 싱크 및 그 제조 방법
JP2003338595A (ja) 電子部品の冷却装置
CN114396662A (zh) 电控盒和具有其的空调室外机
JP5705570B2 (ja) 電子部品冷却装置
JP2010093034A (ja) 電子部品の冷却装置
EP2941109B1 (en) Heat dissipation apparatus
JP2019110220A (ja) モータ制御装置
EP3206470A1 (en) Frame for holding an electronic board, housing, and rack including frame and housing
JP2011135649A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16078654A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鉄道車両
JP6152708B2 (ja) 鉄道車両
JP4549086B2 (ja) 鉄道車両用走行風冷却装置
CN211240658U (zh) 磁浮控制器及其散热结构
JPWO2018061193A1 (ja) ヒートシンク及び電力変換装置
JP2013051273A (ja) 車両用半導体冷却装置
JP2023089910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