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727A - 커먼 모드 필터 - Google Patents

커먼 모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727A
KR20140079727A KR1020130156744A KR20130156744A KR20140079727A KR 20140079727 A KR20140079727 A KR 20140079727A KR 1020130156744 A KR1020130156744 A KR 1020130156744A KR 20130156744 A KR20130156744 A KR 20130156744A KR 20140079727 A KR20140079727 A KR 20140079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wire
turn
layer
tu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8821B1 (ko
Inventor
토시오 토모나리
츠토무 고바야시
카즈노리 아리미즈
유마 고마야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77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252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06385A external-priority patent/JP5765400B2/ja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9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2017/0093Common mode choke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커먼 모드 필터 1은 권심부 11a에 동일한 턴 수로 각각 감겨진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를 구비하고 있다. 와이어 W1, W2는 각각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턴 수 m1 으로 감겨지고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턴 수 m2로 감겨진다. 와인딩 영역 AR1 내의 와이어 W2의 제 n1 턴 (1 ≤ n1 ≤ m1 - 1)과 와이어 W1의 제 n1 +1 턴 사이의 선간거리 D1은 와이어 W1의 제 n1 턴과 와이어 W2의 제 n1 +1 턴 사이의 선간거리 D2보다 짧다. 또한 와인딩 영역 AR2 내의 와이어 W1의 제 n2 턴 (m1 +1 ≤ n2 ≤ m1 + m2 - 1) 과 와이어 W2의 제 n2 +1 턴 사이의 선간거리 D3는 와이어 W2의 제 n2 턴과 와이어 W1의 제 n2 +1 턴 사이의 선간거리 D4보다 짧다.

Description

커먼 모드 필터{Common mode filter}
본 발명은 커먼 모드 필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커먼 모드 필터의 권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동 전송 방식의 전송로를 구성하는 2개의 신호선 각각에 설치되고, 서로 자기 결합하는 두개의 인덕턴스에 의해 구성된 커먼모드 필터가 알려져 있다. 커먼 모드 필터를 차동 전송방식의 전송로에 삽입하여 커먼 모드 노이즈 전류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커먼 모드 필터(common mode filter)의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트로이달 코어(troidal core)를 사용하는 것과, 드럼 코어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트로이달 코어를 사용하는 경우, 코어 내부에 간격이 없고, 높은 실효 투자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노이즈 제거성능을 얻을 수 있는 반면, 자동권선이 어렵고 수동권선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특성의 편차가 커진다. 반면 드럼 코어를 사용하는 경우, 트로이달 코어 정도의 높은 노이즈 제거성능을 얻는 것이 곤란한 한편, 자동 권선 공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성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자동권선 공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드럼 코어 타입의 커먼 모드 필터는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일본특허 제4789076호 공보 및 일본특허 제3973028호 공보에는 드럼 코어를 사용하여 구성한 커먼 모드 필터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4789076호 공보의 예에서는 각각 인덕턴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와이어가 2층 구조로 감겨있다. 한편, 일본특허 제3973028호 공보의 예에서는 각각 인덕턴스를 구성하는 두 개의 와이어가 꼬인 쌍선(twisted pair line)으로 동시에 감겨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의 감는 방법은 레이어 와인딩(layer winding)이라고 불리며, 후자의 감는 방법은 바이파일러 와인딩(bifilar winding)으로 불린다. 또한 일본특허 제4737268호 공보에는 드럼 코어의 와이어 와인딩을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동 권선기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자동차용 LAN에서 이더넷(ethernet)의 채용이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용 이더넷에 사용되는 커먼 모드 필터에는 종래보다도 안정된 특성과 높은 노이즈 저감 성능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드럼 코어 타입의 커먼 모드 필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성의 편차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드럼 코어 타입의 커먼 모드 필터의 노이즈 저감성능을 개선 할 수 있다면, 자동차 이더넷용으로 가장 적합한 커먼 모드 필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높은 노이즈 감소성능으로서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커먼 모드 필터에 입력된 디퍼런셜 신호(differential signal) 성분 중 커먼 모드 노이즈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모드 변환 특성 (Scd)의 감소이다. 그래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가 연구를 진행한 결과, 커먼 모드 필터에서의 모드 변환 특성의 감소에는 한 쌍의 와이어가 서로 다른 턴(turn)사이에 발생하는 용량 (이하, "상이한 턴간 용량"이라 함)의 균형이 크게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높은 인덕턴스 값도 요구되고, 그를 위해서는 코일의 턴 수를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한 쌍의 코일의 각각에 발생하는 상이한 턴간 용량의 균형을 취함으로써 모드 변환 특성의 감소를 실현하면서 높은 인덕턴스도 실현할 수 있는 드럼 코어 타입의 커먼 모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는 길이방향의 일 단측 및 타단측에 제1 및 제2의 와인딩 영역을 각각 갖는 권심부와, 상기 권심부에 감겨진 제1 와이어로 이루어진 제1 코일과, 상기 권심부에 상기 제1 와이어와 동일한 턴 수로 감겨진 제2 와이어로 이루어진 제2 코일을 갖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제1 턴수 m1 (m1은 정수)로 감겨진 제1 권선 패턴과,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제2 턴수 m2 (m2는 정수)로 감겨진 제2 권선 패턴을 갖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상기 제1 턴 수 m1으로 감겨진 제3 권선 패턴과,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상기 제2 턴 수 m2로 감겨진 제4 권선 패턴을 갖고,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n1 턴 (n1은 1 이상 m1 - 1 이하의 임의의 수)과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n1 +1 턴 사이에 제1 선간거리 D1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n1 턴과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n1 +1 턴 사이에 제2 선간거리 D2보다 짧고,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n2 턴 (n2는 m1 +1 이상 m1 + m2 - 1 이하의 임의의 수)과 상기 제2 와이어의 제n2 +1 턴 사이에 제3 선간거리 D3는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n2 턴과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n2 +1 턴 사이에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와인딩 영역에서는 제2 와이어의 제 n1 턴과 제1 와이어의 제 n1 +1 턴 사이에 걸쳐 발생하는 분포용량이 커지지만, 제2의 와인딩 영역에서는 제1 와이어의 제n2 턴과 제2 와이어의 제 n2 +1 턴 사이에 걸쳐 발생하는 분포용량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상이한 턴간 용량을 제1 및 제2 와이어 둘 다에 대하여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와이어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변환 특성 Scd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에 바이파일러 와인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의 동일한 턴 끼리는 상기 권심부의 상기 일단측(一端側) 및 상기 타단측(他端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의 동일한 턴 끼리는 상기 권심부의 상기 타 단측 및 상기 일단측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바이파일러 와인딩을 채용한 커먼 모드 필터에 있어서 모드 변환 특성 Scd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층째의 권선층과, 상기 1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 제 m1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1 ~ 제 m1 -1 턴은 상기 1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으며,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 1 ~ 제 m1 + m2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 2 ~ 제 m1 + m2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1 ~ 제 m1 - 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다음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지고 있으며, 상기 제 2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앞의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2층의 레이어 와인딩을 채용한 커먼 모드 필터에 있어서, 모드 변환 특성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 와인딩 영역 모두에서 1 층째의 권선층을 주로 제1 와이어로 구성하고, 2 층째의 권선층을 주로 제2 와이어로 구성하기 때문에, 권선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며, 제1 및 제2 와이어를 쉽게 감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과,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 제 m1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 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으며, 상기 제2 와어어의 제2 ~ 제m1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인딩 영역 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 1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 m2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 m2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 ~ 제 m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앞의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지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 1 ~ 제 m1 + m2 - 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다음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2층의 레이어 와인딩을 채용한 커먼 모드 필터에 있어서, 모드 변환 특성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 와인딩 영역 양쪽에 있어서 1 층째의 권선층을 주로 제1 와이어로 구성하고, 2 층째의 권선층을 주로 제2 와이어로 구성하기 때문에, 권선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며, 제1 및 제2 와이어를 쉽게 감을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과,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 제 m1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1 ~ 제 m1 - 1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 2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 1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 m2 턴은 상기 제 2 와이어의 제 m1 + m2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1 ~ 제 m1 - 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다음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져 있고,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 1 턴은 상기 제2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다음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2층의 레이어 와인딩을 채용한 커먼 모드 필터에 있어서 모드 변환 특성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과,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 제 m1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서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 ~ 제 m1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1 턴은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2 ~ 제 m1 + m2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져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 ~ 제 m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앞의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 2 ~ 제 m1 + m2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앞의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2 층의 레이어 와인딩을 채용한 커먼 모드 필터에 있어서 모드 변환 특성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권심부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과 상기 제 2 와인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와인딩 영역과 제2 와인딩 영역 사이에 공간영역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 공간영역 내에서 제 1 및 제 2 와이어를 크로스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와이어의 위치관계가 서로 역전된 2개의 권선블록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상이한 턴간 용량의 영향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턴 수 m1과 상기 턴 수 m2의 차이가 제1 와이어 W1 또는 제2 와이어 W2의 모든 턴 수의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턴 수 m1과 상기 제2 턴 수 m2의 차이가 2 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턴 수 m1과 상기 제2 턴 수 m2의 차이가 1 턴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제1 턴 수 m1과 상기 제2 턴 수 m2가 동일한 (m1 = m2)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권선패턴은 제1 권선 블록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4 권선 패턴은 제2 권선 블록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권선 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위 권선구조가 상기 권심부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와이어의 턴 수가 매우 많은 경우에 그들을 가늘게 분할한 경우에는 굵게 분할하는 경우보다 상이한 턴간 용량의 균형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모드 변환 특성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권선 패턴은 제1 권선 블록과 상기 제1 권선 블록보다 상기 권심부의 축방향의 중앙 가까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권선 블록과 다른 권선구조를 갖는 제3 권선블록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4 권선패턴은 제2 권선 블록과 상기 제2 권선 블록보다 상기 권심부의 축방향의 중앙 가까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권선 블록과 다른 권선구조를 갖는 제4 권선 블록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권선 블록은 2층 레이어 와인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3 및 제4 권선 블록은 단층 바이파일러 와인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권선블록과 상기 제3 권선 블록은 제1 서브 공간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권선 블록과 상기 제4 권선 블록은 제2 서브 공간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권선 블록과 제2 권선 블록 사이에 복수개의 공간를 조금씩 나누어 설치할 수 있으며, 제1 와인딩 영역과 제2 와인딩 영역의 경계에서 제 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를 크로스시킬 때, 크로스 이전의 턴으로부터 크로스 이후의 턴까지의 이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제1 와인딩 영역과 제2 와인딩 영역 사이에 공간 폭을 좁게 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와인딩 작업에 있어서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를 크로스시킨 직후의 턴의 와인딩 시작 위치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권선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턴은 제3 서브 공간에 의해 분할되며, 상기 제4 권선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턴은 제4 서브 공간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권선블록과 제2 권선블록 사이에 추가로 다수개의 공간를 조금씩 나누어 설치할 수 있으며, 제1 와인딩 영역과 제2 와인딩 영역의 경계에서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를 크로스시킬 때, 크로스 이전의 턴으로부터 크로스 이후의 턴까지의 이동거리를 더욱 단축할 수 있다. 즉, 제1 와인딩 영역과 제2 와인딩 영역 사이의 공간 폭을 더욱 좁게 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와인딩 작업에 있어서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를 크로스시킨 직후 턴의 감기 시작 위치의 편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는 길이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제1 및 제2 와인딩 영역을 각각 갖는 권심부와, 상기 권심부에 감겨진 제1 와이어로 이루어진 제1 코일과, 상기 권심부에 상기 제1 와이어와 동일한 턴 수로 감겨진 제2 와이어로 이루어진 제2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1 권선 패턴과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2 권선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3 권선 패턴과,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4 권선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3 권선 패턴에 의해 구성되는 제1 권선 블록의 권선 구조와 상기 제2 및 제4 권선 패턴에 의해 구성되는 제2 권선 블록의 권선 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영역의 경계에 대하여 서로 대칭형이며,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제1 및 제3 권선 패턴의 동일한 턴의 위치는 서로 다르며,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제2 및 제 4 권선 패턴의 동일한 턴의 위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및 제2 와이어에서의 권선구조가 와이어의 위치관계를 포함하여 좌우대칭이 되는 경우에는 상이한 턴간 용량이 제1 및 제2 와이어 양쪽에 대하여 균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와이어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변환 특성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권심부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과 상기 제2 와인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와인딩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공간 영역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와인딩 영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좌우대칭인 권선 구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상이한 턴간 용량의 영향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Scd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 상의 제1층으로 감기며,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층상의 제2층에 감겨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위 레이어 와인딩의 권선구조에 있어서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는 상기 제1 내지 제4의 권선 패턴의 턴 수를 n 턴 (n은 정수)로 할 때,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는 상기 제1 층에 n 턴의 상기 제 1 권선 패턴이 감겨짐과 동시에 1 턴의 상기 제3 권선 패턴이 감겨지고, 상기 제2 층에 n - 1 턴의 상기 제3 권선 패턴이 감겨지고,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는 상기 제1 층에 n 턴의 상기 제2 권선 패턴이 감겨짐과 동시에 1 턴의 상기 제4 권선패턴이 감기고, 상기 제2 층에 n - 1 턴의 상기 제4의 권선 패턴이 감겨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층의 감김 붕괴를 미리 고려한 현실적인 권선구조에 있어서 좌우대칭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Scd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3 권선 패턴의 상기 1 턴은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1 권선패턴 중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일단에 가장 가까운 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 1층에 감겨진 상기 제4 권선 패턴의 상기 1 턴은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2 권선 패턴 중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타단에 가장 가까운 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제2 와이어의 2층째에서 1 층째로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설치할 수 있다 . 따라서 Scd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3 권선 패턴의 상기 1 턴은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 1 권선패턴 중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타단에 가장 가까운 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4 권선 패턴의 상기 1 턴은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2 권선 패턴 중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일 단에 가장 가까운 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제2 와이어의 2층째에서 1 층째로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Scd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 상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감겨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위 바이파일러 와인딩의 권선 구조에 있어서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권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인딩 영역과 다른 제3의 와인딩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3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5 권선 패턴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3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6 권선 패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5 권선 패턴의 턴수는 상기 제1 권선 패턴의 턴 수의 절반 이하이며, 상기 제6 권선 패턴의 턴수는 상기 제3 권선 패턴의 턴 수의 절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5 및 제6 권선 패턴의 턴 수는 각각 2 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드 변환 특성의 저감을 실현하면서 높은 인덕턴스를 얻는 것이 가능한 커먼 모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 실장형의 커먼 모드 필터 1의 외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먼 모드 필터 1의 기본적인 전기 회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커먼 모드 필터 1의 더욱 상세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한 쌍의 와이어 사이의 분포용량에 대하여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커먼 모드 필터의 분포용량의 발생모델을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도 6은 커먼 모드 필터 1의 권선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의 권선구조를 모식 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커먼 모드 필터 2의 권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특히 도 8A 내지 도 8C는 한 쌍의 와이어의 인접 턴 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D는 상이한 턴간 용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3의 권선구조를 모식 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커먼 모드 필터 3의 권선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특히 도 8A 내지 도 8C는 한 쌍의 와이어의 인접 턴 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D는 상이한 턴간 용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4의 권선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커먼 모드 필터 4의 권선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특히 도 12A 내지 도 12C는 한 쌍의 와이어의 인접 턴 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D는 상이한 턴간 용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5의 권선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커먼 모드 필터 5의 권선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특히 도 14A 내지 도 14C는 한 쌍의 와이어의 인접 턴 사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D는 상이한 턴간 용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6의 권선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특히 도 15A는 권선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B는 상이한 턴간 용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7의 권선구조를 모식 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8의 권선구조를 모식 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9의 권선구조를 모식 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1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9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필터 21의 개략 단면도이고, 특히 도 20A는 A1-A1'선에 따른 단면도, 도 20B는 A2-A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2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3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4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도 23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필터 24의 개략 단면도이고, 특히 도 24A는 A1-A1'선에 따른 단면도, 도 24B는 A2-A2'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5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6A 및 도 24B는 도 25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필터 25의 개략 단면도이고, 특히 도 26A는 A1-A1'선에 따른 단면도, 도 26B는 A2-A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 실장형의 커먼 모드 필터 1의 외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한 쌍의 플랜지(flanage) 부분 11b, 11c의 대향 방향을 y 방향, 후술하는 상면 11bs, 11cs의 면내에서 y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x 방향, x 방향과 y 방향 둘 다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이라 칭한다 .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1은 드럼 코어 11과, 드럼 코어 11 에 장착된 판상 코어 12와, 드럼 코어 11에 감겨진 와이어 W1, W2 (제1 및 제2 와이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드럼 코어 11은 단면이 직사각형인 막대모양의 권심부 11a와, 권심부 11a의 양단에 설치된 플랜지 부분 11b, 11c를 구비하고, 이들이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판상코어 12는 플랜지 부분 11b, 11c의 하면(상면 11bs, 11cs의 반대쪽면)과 고착하고 있다. 커먼 모드 필터 1은 드럼코어 11의 플랜지 부분 11b, 11c의 상면 11bs, 11cs를 회로기판에 대향시킨 상태로 표면 실장된다.
드럼 코어 11 및 판상 코어 12는 비교적 투자율이 높은 자성재료, 예를 들면 Ni - Zn계 페라이트 또는 Mn - Zn계 페라이트의 소결체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Mn - Zn계 페라이트 등 투자율이 높은 자성재료는 고유저항이 낮고 전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플랜지 부분 11b의 상면 11bs에는 2개의 단자 전극 E1, E2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 부분 11c의 상면 11cs에는 2개의 단자전극 E3, E4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전극 E1, E2는 x 방향의 일 단측에서 이 순서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단자 전극 E3, E4도 x 방향의 일 단측에서 이 순서로 배치된다. 단자 전극 E1 ~ E4 에는 와이어 W1, W2의 각 단부가 열 압착에 의해 계선(繼線)된다.
와이어 W1, W2는 피복도선이며, 권심부 11a에 서로 동일한 와인딩 방향으로 감겨 코일도체를 구성한다. 와이어 W1, W2의 턴수도 서로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와이어 W1, W2는 단층의 바이파일러(bifilar) 와인딩에 의해 감겨진다. 또한 권심부 11a의 중간 정도에 위치하는 인접 턴 사이에 공간이 설치되고, 이에 따라 공간 영역 S1이 구성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간 영역 S1 이외의 부분은 인접 턴 끼리 밀착하여 감겨있다. 와이어 W1의 일단 (플랜지 부분 11b측의 단부) W1a, 다른 단 (플랜지 부분 11c측의 단부) W1b는 각각 단자 전극 E1, E3에 연결된다. 또한 와이어 W2의 일단 (플랜지 부분 11b 측의 단부) W2a, 다른 단 (플랜지 부분 11c 측의 단부 ) W2b 은 각각 단자 전극 E2, E4에 계선된다.
도 2는 커먼 모드 필터 1의 기본적인 전기 회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1은 단자 전극 E1과 E3 사이에 접속되는 인덕터 10a와, 단자 전극 E2와 E4 사이에 접속되는 인덕터 10b가, 서로 자기 결합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인덕터 10a, 10b는 각각 와이어 W1, W2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단자 전극 E1, E2를 입력단, 단자 전극 E3, E4를 출력단으로 한 경우, 입력단에서 입력된 디퍼런셜 신호는 커먼 모드 필터 1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출력단에서 출력된다. 한편, 입력단에서 입력된 커먼 모드 노이즈는 커먼 모드 필터 1에 의해 크게 감쇄하고 출력단에 거의 출력되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커먼 모드 필터는 일반적으로 커먼 모드 필터의 입력단에 입력된 디퍼런셜 신호의 일부를 커먼 모드 노이즈로 변환하여 출력단에서 출력해 버린다고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 성질은 물론 바람직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커먼 모드 노이즈로 변환되는 디퍼런셜 신호의 비율 (상술한 모드 변환특성 Scd)를 어느 정도 이하의 값으로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커먼 모드 필터에는 가능한 한 와인딩 수를 많이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작은 크기로 필요한 인덕턴스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1에서는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를 그의 와인딩 방향의 대략 중간지점에서 반전시켜 상이한 턴간 용량의 편향을 해소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커먼 모드 필터 1의 더욱 상세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1은 본래의 인덕턴스 L 외에도, 인덕턴스 L과 병렬저항 Ro 및 캐패시턴스 Co를 가지고 있다. 또한 와이어 W1, W2에 의한 한 쌍의 인덕턴스 L, L 사이에 걸쳐 발생하는 분포용량 C1을 가지고 있다.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커먼 모드 필터 1을 설명의 편의상 2개의 블록으로 분할한 것이며, 분할된 인덕턴스는 각각 L/2이 된다. 또한 병렬저항은 Ro/2이 되고, 병렬 캐패시턴스는 2Co로 된다.
도 4는 한 쌍의 와이어 사이의 분포용량에 대하여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바이파일러 와인딩 되는 한쌍의 와이어의 동일한 턴 사이에는 분포용량 C1이 발생하고 있으며, 인접 턴 사이의 간격 d가 넓은 경우에는 그들 사이의 분포용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 턴 사이의 간격 d가 좁은 경우에는 인접 턴 사이에 걸쳐 분포하는 분포용량(상이한 턴간 용량) C2가 발생한다. 즉 한 쌍의 와이어 사이에 분포용량 C1, C2가 둘 다 발생한다.
도 5는 커먼 모드 필터의 분포용량의 발생 모델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바이파일러 와인딩이 실시된 한 쌍의 와이어 W1, W2로 이루어진 커먼 모드 필터에 있어서 한 쌍의 코일 (인덕턴스 L)을 그 중간 위치에서 2 분할한 경우, 각 코일은 두 개의 인덕턴스 L/2의 직렬접속으로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코일에는 동일한 턴 사이의 분포용량 C1과 인접 턴간 분포용량 C2가 발생한다 (도 4 참조). 여기에서 분포용량 C2는 코일의 분할에 맞추어서 한 쪽 블록의 분포용량 C21과 다른 쪽 블록의 분포용량 C22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의 분포용량 C21, C22는 모두 와이어 W2 측의 코일과 병렬로 발생하고, 이로 인해 와이어 W2에 의한 LC 회로의 공진점만 변화하고, 모드 변환특성 Scd도 크게 된다.
한편,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파일러 와인딩이 실시된 한 쌍의 와이어 W1, W2의 감는 순서를 중간위치에서 역전시킨 경우, 한쪽 블록의 분포용량 C21은 와이어 W1측의 코일과 병렬로 발생하고, 다른 블록의 분포용량 C22는 와이어 W2측의 코일과 병렬로 발생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 W1에 의한 LC 회로 의 공진점과 와이어 W2에 의한 LC 회로의 공진점이 둘 다 변화하지만, 두 공진점의 균형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Scd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인접 턴 사이의 간격 d를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턴 수를 늘려 인덕턴스를 높게 할 수도 있다. 인접 턴 사이의 간격 d를 좁게하여 인접 턴간 분포용량 C2가 발생하여도, 상기한 바와 같이 Scd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2개의 와이어가 바이파일러 와인딩인 경우의 설명이지만, 레이어 와인딩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커먼 모드 필터 1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커먼 모드 필터 1의 권선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이 도면은 모식도이며, 그의 형상, 구조, 각 턴의 위치 등은 실제의 것과는 미묘하게 다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1은 드럼 코어 11의 권심부 11a에 바이파일러 와인딩에 의해 감겨진 한 쌍의 와이어 W1, W2를 갖고 있다. 바이파일러 와인딩이라 함은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를 1 개씩 교대로 배치하는 감는 방법을 뜻하며, 1차·2차의 밀접한 결합이 필요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
제1 와이어 W1은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차례로 감겨 제1 코일을 구성하고 있으며, 제2 와이어 W2는 제1 와이어 W1와 평행한 상태대로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차례로 감겨 제1 코일과 자기 결합하는 제2 코일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및 제2 코일의 와인딩 방향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방향과, 제2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방향이 동일하게 되고, 전체의 자속은 강해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제1 및 제2 코일은 커먼 모드 필터를 구성하고 있다.
제1 와이어 W1과 제2 와이어 W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턴 수이며, 양쪽 다 짝수 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 W1, W2는 모두 6 턴이다. 또한 인덕턴스를 높이기 위해서는 턴 수는 가능한 한 많은 것이 좋다.
한 쌍의 와이어 W1, W2는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일 단측에 위치하는 제1 와인딩 영역 AR1 내에 설치된 제1 권선블록 BK1과,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제2 와인딩 영역 AR2 내에 설치된 제2 권선블록 BK2를 구성하고 있다. 제1 와인딩 영역 AR1과 제2 와인딩 영역 AR2 사이에는 공간영역 S1이 설치되어 있고, 제1 권선블록 BK1과 제2 권선블록 BK2는 공간영역 S1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제1 권선블록 BK1은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제1 턴 수 m1 = 3으로 감겨진 제1 와이어 W1으로 이루어진 제1 권선 패턴 WP1과,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동일하게 제1 턴 수 m1 = 3으로 감겨진 제2 와이어 W2로 이루어진 제3 권선 패턴 WP3와 조합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권선 블록 BK2는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제2 턴수 m2 = 3으로 감겨진 제1 와이어 W1으로 이루어진 제2 권선패턴 WP2와,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동일하게 제2 턴 수 m2 = 3으로 감겨진 제2 와이어 W2로 이루어진 제4 권선 패턴 WP4와 조합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1 ~ 제3 턴은 제1 권선 블록 BK1를 구성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4 ~ 제6 턴은 제2 권선 블록 BK2를 구성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선 블록 BK1 내의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은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위치하고, 이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겨져 있지만, 제2 권선 블록 BK2에 있어서는 위치관계가 역전하고,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 끼리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위치하고, 이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겨있다.
즉, 제1 권선 블록 BK1을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1, 제2 및 제3 턴의 권심 축방향의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1, 제2 및 제3 턴의 왼쪽 (권심부 11a의 일단에 가까움)인 반면, 제2 권선 블록 BK2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4, 제5 및 제6 턴의 권심 축방향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4, 제5 및 제6 턴의 오른쪽 (권심부 11a의 타단에 가까움)이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를 역전시키기 위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AR1에서 제2 와인딩 영역 AR2로 이동하는 도중에 두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의 공간 영역 S1은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키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를 서로 크로스시킨 경우, 와이어 W1, W2의 종단부의 위치관계가 시단부에 비해 반전해 버려, 그대로는 대응하는 단자 전극 E3, E4 (도 1 참조)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 와이어 W1, W2의 종단부(終端部)를 다시 크로스시켜, 단자 전극 E1, E2에 각각 접속되는 와이어 W1, W2의 시단부(始端部)의 위치관계와 동일(평행)하게 하면 된다. 이 점은 다음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 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내 AR1의 제2 와이어 W2의 제 n1 턴 (n1 은 1 이상 m1 - 1 이하의 임의의 수)와 제1 와이어 W1의 제 n1 +1 턴 사이의 제1 선간거리 D1은 제1 와이어 W1의 제 n1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 n1 +1 턴 사이의 제2 선간거리 D2 보다 짧다. 또한 제2 와인딩 영역 AR2 내의 제1 와이어 W1의 제 n2 턴 (n2는 m1 +1 이상 m1 + m2 - 1 이하의 임의의 수)와 제2 와이어 W2의 제 n2 +1 턴 사이의 제3 선간거리 D3는 제2 와이어 W2의 제 n2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 n2 +1 턴 사이의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다. 또한 "선간거리"는 평행한 두 개의 와이어의 중심간 거리 (피치)를 말한다. 선간거리 D1과 D3는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의 선간거리와 같다.
예를 들어,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있어서,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에 접하고 있지만,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에 접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 사이의 제1 선간거리 D1은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 2 턴 사이의 제2 선간거리 D2 보다 짧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계는 와이어 W1, W2의 제2 - 제3 턴 사이에서도 성립한다.
한편,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있어서, 제1 와이어 W1의 제4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에 접하고 있지만, 제2 와이어 W2의 제4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에 접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와이어 W1의 제4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 사이의 제3 선간거리 D3는 제2 와이어 W2의 제4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 사이의 제4 선간거리 D4보다도 짧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계는 와이어 W1, W2의 제5 - 제6 턴 사이에서도 성립한다.
이와 같이, 제1 와인딩 영역 AR1에서는 제2 와이어 W2의 제n1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n1 +1 턴과 용량결합이 강해져, 분포용량 C21이 커진다. 한편 제2 와인딩 영역 AR2에서는 제1 와이어 W1의 제n2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n2 +1 턴의 용량결합 이 강해져서, 분포용량 C22이 커진다. 즉, 다른 턴 사이에 걸쳐 발생하는 분포용량 (상이한 턴간 용량)이 와이어 W1, W2 양쪽에 대하여 균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와이어 W1, W2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변환 특성 Scd 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커먼 모드 필터 2의 권선구조를 모식 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커먼 모드 필터 2의 권선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2는 드럼 코어 11의 권심부 11a에 2 층 레이어 와인딩에 의해 감겨진 한 쌍의 와이어 W1, W2 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와이어 W1은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차례로 감겨져서 제1 코일 을 구성하고 있으며, 제2 와이어 W2도 또한 권심부 11a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차례로 감겨져서 제1 코일과 자기 결합하는 제2 코일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및 제 2 코일의 와인딩 방향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방향과, 제2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방향이 동일해지며, 전체의 자속은 강해진다. 이상의 구성은 제1 및 제2 코일은 커먼 모드 필터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턴 수이며, 모두 짝수 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 W1, W2는 모두 8 턴이다. 또한 인덕턴스 를 높이기 위해서는 턴 수는 가능하면 많은 것이 좋다.
한 쌍의 와이어 W1, W2는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제1 와인딩 영역 AR1 내에 설치된 제1 권선블록 BK1과,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다른 단측에 위치하는 제2 와인딩 영역 AR2 내에 설치된 제2 권선블록 BK2를 구성하고 있다. 제1 와인딩 영역 AR1과 제2 와인딩 영역 AR2 사이에는 공간영역 S1이 설치되어 있고, 제1 권선블록 BK1과 제2 권선블록 BK2는 공간영역 S1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제1 권선블록 BK1은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제1 턴 수 m1 = 4로 감겨진 제1 와이어 W1로 이루어진 제1 권선패턴 WP1과,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동일하게 제1 턴수 m1 = 4로 감겨진 제2 와이어 W2로 이루어진 제3 권선패턴 WP3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권선블록 BK2는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제2 턴 수 m2 = 4로 감겨진 제1 와이어 W1으로 이루어진 제2 권선 패턴 WP2와,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동일하게 제2 턴 수 m2 = 4로 감겨진 제2 와이어 W2로 이루어진 제4 권선 패턴 WP4 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1 ~ 제4 턴은 제1 권선 블록 BK1을 구성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5 ~ 제8 턴은 제2 권선 블록 BK2를 구성하고 있다.
제1 권선 블록 BK1에 있어서, 제1 와이어 W1의 제1 ~ 제4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1 ~ 제3 턴은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1 와이어 W1 선간의 골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져 있다. 예를 들면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과 2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2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과 3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3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3 턴과 제4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2 와이어 W2의 각 턴의 축방향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위치는 제1 와이어 W1의 동일한 턴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
제2 와이어 W2의 제4 턴 및 제5 턴은 2 층째에 다 감기지 않은 잉여 턴이며,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져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4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4 턴의 옆에 접하여 감겨져 있으며, 제1 권선 블록 BK1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의 옆에 접하여 감겨 있으며, 제2 권선블록 BK2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4 턴과 제5 턴은 본래 2 층째에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2층째의 각 턴을 1 층째의 인접 턴 사이의 골에 배치시키는 경우, 제2 와이어 W2의 잉여 턴을 지지하는 제1 와이어 W1의 2 턴 부분 중 한쪽이 결여되기 때문에, 2 층째의 포지션을 유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현실적인 구조로서, 제4 및 제5 턴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감김이 무너진 상태를 채용하고 있다.
제2 권선블록 BK2에 있어서, 제1 와이어 W1의 제5 ~ 제8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6 ~ 제8 턴은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긴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1 와이어 W1 선간의 골에 끼워 넣으면서 감겨져 있다. 예를 들면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과 6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7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6 턴과 제7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8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7 턴과 제8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한다. 즉, 제2 와이어 W2의 각 턴의 축방향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위치는 제1 와이어 W1의 동일한 턴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선블록 BK1 내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은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위치하고, 이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제2 권선블록 BK2에 있어서는 위치관계가 역전하고,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끼리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위치하고, 이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
즉, 제 1 권선블록 BK1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1, 제2, 제3 및 제4 턴의 권심 축방향의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1, 제2, 제3 및 제4 턴의 왼쪽 (권심부 11a의 일단에 가까움)인 반면, 제2 권선블록 BK2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5, 제6, 제7 및 제8 턴의 권심 축방향의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5, 제6, 제7 및 제8 턴의 오른쪽 (권심부 11a의 타단에 가까움)이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를 역전시키기 위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AR1에서 제2의 와인딩 영역 AR2로 이동하는 도중에 두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의 공간영역 S1은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키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내 AR1의 제2 와이어 W2의 제 n1 턴 (n1은 1 이상 m1 - 1 이하의 임의의 수)와 제1 와이어 W1의 제 n1 +1 턴 사이의 제1 선간거리 D1은 제1 와이어 W1의 제 n1 턴과 제2 와이어 W2 내의 제 n1 +1 턴 사이의 제 2 선간거리 D2보다 짧다. 또한 제2 와인딩 영역 AR2 내의 제1 와이어 W1의 제 n2 턴 (n2는 m1 +1 이상 m1 + m2 - 1 이하의 임의의 수)와 제2 와이어 W2의 제 n2 +1 턴 사이의 제 3 선간거리 D3는 제2 와이어 W2의 제 n2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 n2 +1 턴 사이의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있어서,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에 접하고 있지만,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에 접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2 와이어 W2의 제 1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 사이의 제1 선간거리 D1은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 과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 사이의 제2 선간거리 D2보다 짧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도의 8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W1, W2의 제2 - 제3 턴 사이 또는 제3 - 제4 턴 사이에서도 성립한다.
한편,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있어서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에 접하고 있지만,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6 턴에 접하여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 과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 사이의 제3 선간거리 D3는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6 턴 사이의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계는 도의 8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W1, W2의 제6 - 제7 턴 사이 또는 제7 - 제8 턴 사이에서도 성립한다.
그 결과, 도 8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와인딩 영역 AR1에서는 제2 와이어 W2의 제n1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 n1 +1 턴의 용량결합이 강해져서, 분포용량 C21이 커진다. 한편, 제2 와인딩 영역 AR2에서는 제1 와이어 W1의 제n2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 n2 +1 턴의 용량결합이 강해져서, 분포용량 C22가 커진다. 즉, 다른 턴 사이에 걸쳐 발생하는 분포용량(상이한 턴간 용량)이 와이어 W1, W2 둘다에 균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와이어 W1, W2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을 억제 할 수있다. 따라서 모드 변환 특성 Scd를 줄일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 층째의 권선층 위에 겹쳐 감겨야 하는 제2 와이어의 잉여 턴이 제1 및 제2 권선 블록 사이의 공간영역 S1 측 (내측)에 움푹 들어가 있지만, 권심부의 양단 측 (외측)에 움푹 들어가 있어도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커먼 모드 필터 3의 권선구조를 모식 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커먼 모드 필터 3의 권선구조를 설명하기위한 모식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3의 특징은 제2 와이어 W2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제1 와이어 W1이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져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지만, 1 층째의 권선 층에 겹쳐 다 감기지 않은 제1 와이어 W1의 잉여 턴은 권심부 11a의 양단측에 움푹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m1 = m2 = 4이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비하여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상하위치를 역전시킨 것은 최종 선간거리 D1 ~ D4의 관계를 제2 실시형태와 일치시키기 위함이며, 발명의 설명 편의를 위해서이다.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의 관계는 상대적인 것이며,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와이어의 상하위치를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선간거리 D1 ~ D4의 관계가 반대가 되지만, 본 발명이 본질적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제1 권선 블록 BK1에 있어서 제2 와이어 W2의 제1 ~ 제4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2 ~ 제4 턴은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2 와이어 W2의 선간 골에 끼워 넣으면서 감겨져 있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과 제2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3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과 제3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 4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3 턴과 제4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한다. 즉, 제1 와이어 W1의 각 턴의 축방향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위치는 제2 와이어 W2와 동일한 턴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 및 제8 턴은 2 층째에 다 감기지 않은 잉여 턴이며,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의 옆에 접하여 감겨져 있으며, 제1 권선블록 BK1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8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8 턴의 옆에 접하여 감겨져서 제2 권선블록 BK2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과 제8 턴은 본래 2 층째에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2층째의 각 턴을 1 층째의 인접 턴 사이의 골에 배치하는 경우, 제 1 와이어 W1의 잉여 턴을 지지하는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 부분 중 한쪽이 결여되기 때문에, 2층째의 포지션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실적인 구조로서, 제1 및 제8 턴은 처음부터 감김이 무너진 상태를 채용하고 있다.
제2 권선블록 BK2에 있어서, 제2 와이어 W2의 제5 ~ 제8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5 ~ 제7 턴은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2 와이어 W2의 선간 골짜기에 끼워 넣으면서 감겨져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과 제6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6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과 제7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7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7 턴과 제8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1 와이어 W1의 각 턴의 축방향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위치는 제2 와이어 W2의 동일한 턴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선 블록 BK1 내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은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위치하고, 이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겨져 있지만, 이 제2 권선블록 BK2에 있어서는 위치관계가 역전하고,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 끼리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위치하고, 이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즉, 제1 권선블록 BK1을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1, 제2, 제3 및 제4 턴의 권심축 방향의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1, 제2, 제3 및 제4 턴의 왼쪽 (권심부 11a의 일단에 가까움)인 반면, 제2 권선블록 BK2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5, 제6, 제7 및 제8 턴의 권심축 방향의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5, 제6, 제7 및 제8 턴의 오른쪽 (권심부 11a의 타단에 가까움)이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를 역전시키기 위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AR1에서 제2 와인딩 영역 AR2로 이동하는 도중에 두 개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의 공간영역 S1은 와이어 W1, W2를 크로스하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내 AR1의 제2 와이어 W2의 제n1 턴 (n1은 1 이상 m1 - 1 이하의 임의의 수)와 제1 와이어 W1의 제 n1 +1 턴 사이의 제1 선간거리 D1은 제1 와이어 W1의 제n1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 n1 +1 턴 사이의 제2 선간거리 D2보다 짧다. 또한 제2 와인딩 영역 AR2 내의 제1 와이어 W1의 제n2 턴 (n2는 m1 +1 이상 m1 + m2 - 1 이하의 임의의 수)와 제2 와이어 W2의 제n2 +1 턴 사이의 제3 선간거리 D3는 제2 와이어 W2의 제n2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 n2 +1 턴 사이의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있어서,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에 접하고 있지만,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에 접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 사이의 제1 선간거리 D1은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 사이의 제2 선간거리 D2보다 짧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계는 도 10의 A,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W1, W2의 제2 - 제3 턴 사이 또는 제3 - 제4 턴 사이에서도 성립한다.
한편,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있어서,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에 접하고 있지만,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에 접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 사이의 제3 선간거리 D3는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6 턴 사이의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계는 도 10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W1, W2의 제 6 - 제7 턴 사이 또는 제7 - 제8 턴 사이에서도 성립한다.
그 결과, 도 10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와인딩 영역 AR1에서는 제2 와이어 W2의 제n1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n1 +1 턴의 용량결합이 강해져서, 분포용량 C21이 커진다. 한편 제2 와인딩 영역 AR2에서는 제1 와이어 W1의 제n2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n2 +1 턴의 용량결합이 강해져서, 분포용량 C22가 커진다. 즉, 다른 턴 사이에 걸쳐 발생하는 분포용량(상이한 턴간 용량)이 와이어 W1, W2 둘다에 대하여 균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와이어 W1, W2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 따라서 모드 변환 특성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1 ~ 3은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를 포함한 제1 권선블록 BK1의 권선구조와 제2 권선블록 BK2의 권선구조가 경계선 B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좌우대칭이지만,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를 포함한 권선구조의 대칭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4의 권선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커먼 모드 필터 4의 권선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4의 특징은 제1 권선블록 BK1의 1 층째 및 2 층째에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를 각각 이용하고, 제2 권선블록 BK2의 1 층째 및 2 층째에 제2 및 제1 와이어 W2, W1을 각각 이용하고, 제2 권선블록 BK2 에서는 제1 권선블록 BK1의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를 상하 역전시킨다는 점에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권선블록 BK1, BK2가 모두 2 층째의 와이어의 최종 턴을 잉여 턴으로서 권심부 11a의 표면에 움푹 들어가게 하고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의 제1 권선블록 BK1과,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3의 제2 권선블록 BK2를 조합시킨 권선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m1 = m2 = 4이다.
제1 와인딩 영역 AR1과 제2 와인딩 영역 AR2 사이에는 공간영역 S1이 설치되어 있고, 제1 권선블록 BK1과 제2 권선블록 BK2는 공간영역 S1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제1 권선블록 BK1에 있어서, 제1 와이어 W1의 제1 ~ 제4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고,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1 ~ 제3 턴은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1 와이어 W1의 선간 골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져 있다. 예를 들면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과 제2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2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과 제3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3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3 턴과 제4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2 와이어 W2의 각 턴의 축방향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위치는 제1 와이어 W1의 동일한 턴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
제2 와이어 W2의 제4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져 1 층째의 권선 층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4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4 턴의 옆에 접하여 감겨있어 제1 권선블록 BK1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8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서 1 층째의 권선 층을 구성하고 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8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8 턴의 옆에 접하여 감겨있어 제2 권선블록 BK2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4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8 턴은 본래 2 층째에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2 층째의 각 턴을 1 층째의 인접 턴 사이의 골에 배치시키는 경우, 2 층째의 1 턴 부분이 잉여 턴이 되고, 잉여 턴에 대하여는 이것을 지지하는 1 층째의 2 턴분 중 한쪽이 부족하게 되기 때문에, 2 층째의 포지션을 유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현실적인 구조로서, 제4 및 제5 턴에 대하여는 처음부터 감김이 무너진 상태를 채용하고 있다.
제2 권선블록 BK2에 있어서, 제2 와이어 W2의 제5 ~ 제8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5 ~ 제7 턴은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2 와이어 W2의 선간 골에 끼워 넣으면서 감겨져 있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과 제6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6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과 제7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7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7 턴과 제8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1 와이어 W1의 각 턴의 축방향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위치는 제 2 와이어 W2의 동일한 턴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선블록 BK1 내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은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위치하고, 이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이 제2 권선블록 BK2에 있어서는 위치관계가 역전하고,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끼리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위치하고, 이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기고 있다 .
즉, 제1 권선블록 BK1을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1, 제2, 제3 및 제4 턴의 권심 축방향의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1, 제2, 제3 및 제4 턴의 왼쪽 (권심부 11a의 일단에 가까움)인 반면, 제2 권선블록 BK2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5, 제6, 제7 및 제8 턴의 권심 축방향의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 5, 제6, 제7 및 제8 턴의 오른쪽 (권심부 11a의 타단에 가까움)이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를 역전시키기 위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AR1에서 제2 와인딩 영역 AR2로 이동하는 도중에 두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공간영역 S1은 와이어 W1, W2를 크로스하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내 AR1의 제2 와이어 W2의 제n1 턴 (n1은 1 이상 m1 - 1 이하의 임의 수)와 제1 와이어 W1의 제n1 +1 턴 사이에 제1 선간거리 D1은 제1 와이어 W1의 제n1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 n1 +1 턴 사이의 제2 선간거리 D2보다 짧다. 또한 제2 와인딩 영역 AR2 내의 제1 와이어 W1의 제n2 턴 (n2 는 m1 +1 이상 m1 + m2 - 1 이하의 임의 수)와 제2 와이어 W2의 제n2 +1 턴 사이의 제3 선간거리 D3는 제2 와이어 W2의 제 n2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n2 +1 턴 사이의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있어서,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에 접하고 있지만,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에 접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 사이의 제1 선간거리 D1은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 사이의 제2 선간거리 D2보다 짧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계는 도 12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W1, W2의 제2 - 제3 턴 사이 또는 제3 - 4 턴사이에서도 성립한다.
한편,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있어서,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에 접하고 있지만,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6 턴에 접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 사이의 제3 선간거리 D3는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6 턴 사이의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계는 도 12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W1, W2의 제 6 - 제7 턴 사이 또는 제7 - 제8 턴 사이에서도 성립한다.
그 결과, 도 1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와인딩 영역 AR1에서는 제2 와이어 W2의 제n1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n1 +1 턴의 용량결합이 강해져서, 분포용량 C21 이 커진다. 한편 제2 와인딩 영역 AR2에서는 제1 와이어 W1의 제 n2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n2 +1 턴의 용량결합이 강해져서, 분포용량 C22가 커진다. 즉, 다른 턴 사이에 걸쳐 발생하는 분포용량(상이한 턴간 용량)이 와이어 W1, W2 둘 다에 대하여 균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와이어 W1, W2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을 억제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변환 특성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5의 권선구조를 모식 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커먼 모드 필터 5의 권선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5의 특징은 제1 권선블록 BK1의 1 층째 및 2 층째에 제2 및 제1 와이어 W2, W1을 각각 이용하고, 제2 권선블록 BK2의 1 층째 및 2 층째에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를 각각 이용하고, 제2 권선블록 BK2 에서는 제1 권선블록 BK1의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를 상하 반전시키는 점에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권선블록 BK1, BK2가 모두 2 층째의 와이어의 시작 턴을 잉여 턴으로 권심부 11a의 표면에 움푹 들어가게 하고 있다. 즉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3의 제1 권선블록 BK1과,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의 제2 권선블록 BK2를 조합시킨 권선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m1 = m2 = 4이다.
제1 와인딩 영역 AR1과 제2 와인딩 영역 AR2 사이에는 공간영역 S1이 설치되어 있고, 제1 권선블록 BK1과 제2 권선블록 BK2는 공간영역 S1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제1 권선블록 BK1에 있어서, 제2 와이어 W2의 제1 ~ 제4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고,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2 ~ 제4 턴은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1 와이어 W1의 선간 골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져 있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과 제2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3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과 3 턴 사이의 골에 제4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3 턴과 제4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2 와이어 W2의 각 턴의 축방향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위치는 제1 와이어 W1의 동일한 턴의 위치와 일치 하지 않는다.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서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은 제1 권선블록 BK1를 구성하는 제 2 와이어 W2의 제1 턴의 옆에 접하여 감겨 있고, 제1 권선블록 BK1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서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은 제2 권선블록 BK2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의 옆에 접하여 감겨 있고, 제2 권선블록 BK2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은 본래 2 층째에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2 층째의 각 턴을 1 층째의 인접 턴 사이의 골에 배치시키는 경우, 2 층째의 1 턴분이 잉여 턴으로 되고, 잉여 턴에 대해서는 이것을 지지하는 1 층째의 2 턴 분중 한쪽이 부족하게 되기 때문에, 2 층째의 포지션을 유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현실적인 구조로서, 제4 및 제5 턴에 대하여는 처음부터 감김이 무너진 상태를 채용하고 있다.
제2 권선블록 BK2에 있어서, 제1 와이어 W1의 제5 ~ 제8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고,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6 ~ 제8 턴은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1 와이어 W1의 선 사이의 골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져 있다. 예를 들면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 과 제6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7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6 턴과 제7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8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7 턴과 제8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와이어 W1의 각 턴의 축방향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위치는 제2 와이어 W2의 동일한 턴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선블록 BK1 내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은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위치하고, 이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이 제2 권선블록 BK2에 있어서는 위치관계가 역전하고,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 끼리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위치하고,이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겨있다.
즉, 제1 권선 블록 BK1을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1, 제2, 제3 및 제4 턴의 권심 축방향의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1, 제2, 제3 및 제4 턴의 왼쪽 (권심부 11a의 일단에 가까움)인 반면, 제2 권선블록 BK2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5, 제6, 제7 및 제8 턴의 권심 축방향의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5, 제6, 제7 및 제8 턴의 오른쪽 (권심부 11a의 타단에 가까움)이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를 역전시키기 위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AR1에서 제2 와인딩 영역 AR2로 이동하는 도중에 두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공간영역 S1은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키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내 AR1의 제2 와이어 W2의 제n1 턴 (n1은 1 이상 m1 - 1 이하의 임의의 수)와 제1 와이어 W1의 제 n1 +1 턴 사이에 제1 선간거리 D1은 제1 와이어 W1의 제 n1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 n1 +1 턴 사이의 제2 선간거리 D2보다 짧다. 또한 제2 와인딩 영역 AR2 내의 제1 와이어 W1의 제 n2 턴 (n2는 m1 +1 이상 m1 + m2 - 1 이하의 임의의 수)와 제2 와이어 W2의 제 n2 +1 턴 사이의 제3 선간거리 D3는 제2 와이어 W2의 제 n2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 n2 +1 턴 사이의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있어서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에 접하고 있지만,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에 접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2 턴 사이의 제1 선간거리 D1은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 과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 사이의 제2 선간거리 D2보다 짧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계는 도 14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W1, W2의 제2 - 제3 턴 사이 또는 제3 - 제4 턴 사이에서도 성립한다.
한편,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있어서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은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에 접하고 있지만,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6 턴에 접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1 와이어 W1의 제5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 사이의 제3 선간거리 D3는 제2 와이어 W2의 제5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6 턴 사이의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관계는 도 14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W1, W2의 제6 - 제7 턴 사이 또는 제7 - 제8 턴 사이에서도 성립한다.
그 결과, 도 14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와인딩 영역 AR1에서는 제2 와이어 W2의 제 n1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 n1 +1 턴의 용량결합이 강해져서, 분포 용량 C21이 커진다. 한편 제2 와인딩 영역 AR2는 제1 와이어 W1의 제 n2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n2 +1 턴의 용량결합이 강해져서, 분포용량 C22가 커진다. 즉, 다른 턴사이에 걸쳐 발생하는 분포용량(상이한 턴간 용량)이 와이어 W1, W2 둘 다에 균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와이어 W1, W2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변환특성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6의 권선구조를 모식 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필터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 의 변형예이며,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수가 홀수 턴 (여기에서는 9 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권선블록 BK1은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제1 턴수 m1 = 4로 감겨진 제1 와이어 W1로 이루어진 제1 권선 패턴과,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동일하게 제1 턴수 m1 = 4로 감겨진 제2 와이어 W2로 이루어진 제3 권선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권선 블록 BK2는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제2 턴수 m2 = 5로 감겨진 제1 와이어 W1으로 이루어진 제2 권선 패턴과,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동일하게 제2 턴수 m2 = 5로 감겨진 제2 와이어 W2로 이루어진 제4 권선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권선블록 BK2의 쪽이 1 턴 많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에 비하여 상이한 턴간 용량의 균형은 조금 나쁘다. 그러나 종래의 전혀 균형을 취하지 않은 권선구조에 비하면, 상이한 턴간 용량의 균형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효과는 현저하다. 특히 와이어 W1, W2의 턴 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상이한 턴간 용량의 균형효과가 커지기 때문에, 1 턴 차이의 영향은 희석되어 거의 무시할 수 있다.
제1 권선블록 BK1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 수 m1과 제2 권선블록 BK2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수 m2의 차이 | m1 - m2 |는 제1 와이어 W1 (또는 제2 와이어 W2)의 전체 턴수의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전체 턴수 ( m1 + m2)가 모두 10 턴일 때, 상기 턴수의 차이 (| m1 - m2 |)는 2.5 턴 이하 (엄밀하게는 2 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턴수의 차이가 와이어의 전체 턴수의 1/4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되어, 노이즈 저감 효과가 불충분하지만, 1/4 이하인 경우에는 양쪽 권선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이 비교적 작고, 실용상 문제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턴수의 차이 (|m1 - m2|)는 제1 와이어 W1 (또는 제2 와이어 W2)의 전체 턴수에 관계없이 2 턴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턴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의도적으로 턴수의 차이를 두고자 하지 않으면 대부분의 경우 턴수의 차이를 많아도 2 턴 이내, 일반적으로 1 턴 이내로 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 범위 내이면 임피던스의 불균형의 영향이 매우 작고, 턴 수의 차이가 없는 경우와 거의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
또한, 본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수를 홀수 턴으로 한 경우의 변형예이지만, 제3 ~ 제5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3 ~ 5에 있어서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수를 홀수 턴으로서도 상관없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7의 권선구조를 모식 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7의 특징은 제1 권선블록 BK1보다도 권심부의 길이방향의 중앙 가까이에 배치된 제3 권선블록 BK3와, 제2 권선블록 BK2보다 권심부의 길이방향의 중앙 가까이에 배치된 제4 권선 블록 BK4를 추가로 구비하고, 제3 및 제4 권선 블록 BK3, BK4이 단층 바이파일러 와인딩 구조를 가지고, 제 1 권선 블록 BK1과 제3 권선 블록 BK3는 제1 서브 공간(SS1)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며, 제2 권선 블록 BK2와 제4 권선 블록 BK4는 제2 서브 공간(SS2)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7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드럼코어 11의 권심부 11a에 감겨진 한 쌍의 와이어 W1, W2를 갖추고 있다. 제1 와이어 W1은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차례로 감겨진 제1 코일을 구성하고 있고, 제2 와이어 W2도 또한 권심부 11a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차례로 감겨 제1 코일과 자기 결합하는 제2 코일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및 제2 코일의 와인딩 방향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 방향과 제2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방향이 동일하게 되어, 전체 자속은 강해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1 및 제2 코일은 커먼 모드 필터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턴수이며, 모두 짝수 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와이어 W1, W2는 모두 12 턴이다. 또한, 인덕턴스 를 높이기 위해서는 턴 수는 가능한 한 많은 편이 좋다.
한 쌍의 와이어 W1, W2는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제1 와인딩 영역 AR1 내에 설치된 제1 권선 블록 BK1과, 동일하게 제1 권선 영역 AR1 내에 설치된 제3의 권선 블록 BK3과,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제2 와인딩 영역 AR2 내에 설치된 제2 권선 블록 BK2, 동일하게 제2 권선 영역 AR2 내에 설치된 제4 권선 블록 BK4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권선 블록 BK1, BK2을 각각 구성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수는 모두 4 턴이며, 제3 및 제4 권선 블록 BK3, BK4를 각각 구성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 턴수는 모두 2 턴이다.
제 1 권선 블록 BK1은 제3 권선블록 BK3보다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일 단측에 위치하며, 제3 권선블록 BK3는 제1 권선 블록 BK1보다 권심부 11a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권선 블록 BK2는 제4 권선 블록 BK4보다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4 권선 블록 BK4는 제2 권선 블록 BK2보다 권심부 11a의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권선블록 BK1, 제3 권선 블록 BK3, 제4 권선 블록 BK4, 및 제2 권선 블록 BK2는 권심부 11a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제1 와인딩 영역 AR1과 제2 와인딩 영역 AR2 사이에는 공간영역 S1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와인딩 영역 AR1, AR2 사이에 서로 인접하는 제3 및 제4 권선블록 BK3, BK4는 공간영역 S1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또한 제1 와인딩 영역 AR1 내에서 제1 권선블록 BK1과 제3 권선 블록 BK3 사이에는 제1 서브 공간 SS1가 설치되어 있고, 양자는 제1 서브 공간 SS1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와인딩 영역 AR2 내에서 제2 권선 블록 BK2와 제4 권선 블록 BK4 사이에는 제2 서브 공간 SS2가 설치되어 있고, 양자는 제2 서브 공간 SS2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제1 권선블록 BK1은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턴수 m111 = 4로 감겨진 제1 와이어 W1으로 이루어진 와인딩 패턴과,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동일하게 턴수 m11 = 4로 감겨진 제2 와이어 W2로 이루어진 와인딩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권선블록 BK1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1 ~ 제4 턴은 권심부 11a 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고,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1 ~ 제3 턴은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1 와이어 W1의 선 사이의 골에 끼워 넣으면서 감겨져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4 턴은 2 층째에 다 감겨있지 않은 잉여 턴이며,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고,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4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4 턴의 옆에 접하여 감겨져 있고, 제1 권선블록 BK1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2 권선블록 BK2는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턴수 m21 = 4로 감겨진 제1 와이어 W1으로 이루어진 와인딩 패턴과,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동일하게 턴수 m21 = 4로 감겨진 제2 와이어 W2로 이루어진 와인딩 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권선블록 BK2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9 ~ 제12 턴은 권심부 11a 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고,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10 ~ 제12 턴은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제1 와이어 W1의 선 사이의 골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져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9 턴은 2 층째에 감기지 않은 잉여 턴이며,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져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다. 제 2 와이어 W2의 제9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9 턴의 옆에 접하여 감겨 있고, 제2 권선블록 BK2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 2 와이어 W2의 제4 턴과 제9 턴은 본래 2 층째에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 이다. 그러나 2 층째의 각 턴을 1 층째의 인접한 턴의 골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 제 2 와이어 W2의 잉여 턴을 지지하는 제1 와이어 W1의 2 턴 부분중 한쪽이 부족하게 되기 때문에, 2 층째의 포지션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현실적인 구조로서, 제4 및 제9 턴에 대하여 처음부터 감김이 무너진 상태를 채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및 제2 권선블록 BK1, BK2의 권선구조는 도 7에 나타낸 2층 레이어 와인딩 구조이지만, 도 9, 도 11 또는 도 13에 나타낸 다른 2층 레이어 와인딩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3 및 제4 권선블록 BK3, BK4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권선블록 BK1, BK2가 2층 레이어 와인딩으로 이루어진 반면, 제3 및 제4 권선블록 BK3, BK4는 단층의 바이파일러 와인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권선블록 BK1과 제3 권선블록 BK3는 제1 서브 공간 SS1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며, 제2 권선블록과 제4 권선블록 BK4도 제2 서브 공간 SS2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제3 권선블록 BK3는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있어서 턴수 m12 = 2로 감겨진 제1 와이어 W1으로 이루어진 권선패턴과,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동일하게 턴수 m12 = 2로 감겨진 제2 와이어 W2로 이루어진 권선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제3 권선 블록 BK3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5 및 제6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단층의 바이파일러 와인딩을 구성하여 있고,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있다.
제4 권선블록 BK4는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있어서 턴수 m22 = 2로 감겨진 제1 와이어 W1과,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동일하게 턴수 m22 = 2로 감겨진 제2 와이어 W2를 조합시켜 구성된다. 제4 권선블록 BK4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7 및 제8 턴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단층의 바이파일러 와인딩을 구성하고 있으며,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있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 W1은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있어서 제1 턴 수 m1 (m1 = m11 + m12)로 이루어진 제1 권선패턴 WP1를 구성함과 동시에,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있어서 제2의 턴수 m2 (m2 = m21 + m22)로 이루어진 제2 와인딩 패턴 WP2를 구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와이어 W2는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있어서 제1 턴수 m1으로 이루어진 제3 권선패턴 WP3를 구성함과 동시에,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있어서 제2 턴 수 m2로 이루어진 제4 와인딩 패턴 WP4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및 제3 권선블록 BK1, BK3 내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은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위치하고, 이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겨있다. 제4 및 제2 권선블록 BK4, BK2에 있어서는 이 위치관계가 역전하고,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동일한 턴 끼리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위치하고, 이 관계를 유지하면서 조밀하게 감겨있다.
즉, 제1 권선블록 BK1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1, 제2, 제3 및 제4 턴의 권심 축방향의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1, 제2, 제3 및 제4 턴의 왼쪽 (권심부 11a의 일단에 가까움)이다. 제1 와이어 W1의 제5, 제6 턴의 권심 축방향의 위치도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5, 제6 턴의 왼쪽이다.
이에 대하여, 제2 권선블록 BK2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 W1의 제9, 제10, 제11 및 제12 턴의 권심 축방향의 위치는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9, 제10, 제11 및 제 12 턴의 오른쪽 (권심부 11a의 타단에 가까움)이다. 제1 와이어 W1의 제7, 제8 턴의 권심 축방향의 위치도 각각 제2 와이어 W2의 제7, 제8 턴의 오른쪽이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를 역전시키기 위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AR1에서 제2 와인딩 영역 AR2로 이동하는 도중에 두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의 공간영역 S1은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키는 영역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와인딩 영역 AR1 내의 제2 와이어 W2의 제 n1 턴 (n1은 1 이상 m1 - 1 이하의 임의의 수)와 제1 와이어 W1의 제n1 +1 턴 사이의 제1 선간거리 D1은 제1 와이어 W1의 제n1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n1 +1 턴 사이의 제2 선간거리 D2보다 짧다. 이 관계는 제1 권선블록 BK1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제3 권선 블록 BK3 또는 두 블록의 경계에서도 성립한다. 또한 제2 와인딩 영역 AR2 내의 제1 와이어 W1의 제 n2 턴 (n2는 m1 +1 이상 m1 + m2 - 1 이하의 임의의 수)와 제2 와이어 W2의 제n2 +1 턴 사이의 제3 선간거리 D3는 제2 와이어 W2의 제 n2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 n2 +1 턴 사이의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다. 이 관계는 제2 권선블록 BK2에서 뿐만 아니라 제4 권선블록 BK4와 두 블록의 경계에서도 성립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와인딩 영역 AR1은 제2 와이어 W2의 제n1 턴과 제1 와이어 W1의 제 n1 +1 턴의 용량결합이 강해져서, 분포용량 C21이 커지는 반면, 제2 와인딩 영역 AR2는 제1 와이어 W1의 제n2 턴과 제2 와이어 W2의 제n2 +1 턴의 용량결합이 강해져서, 분포용량 C22가 커진다. 즉 상이한 턴 사이에 걸쳐 발생하는 분포용량 (상이한 턴간 용량)이 와이어 W1, W2의 둘 다에 대하여 균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와이어 W1, W2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변환특성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권선블록 BK1에서 제2 권선블록 BK2 로 전환하기 위해서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킬 때, 2층 레이어 와인딩을 단층 와인딩에 한 번 변환하고, 2층 레이어 와인딩과 단층 와인딩 사이에 서브 공간을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제1 권선블록 BK1과 제2 권선블록 BK2 사이에 복수의 공간을 조금씩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와인딩 영역 AR1, AR2의 경계에서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킬 경우, 크로스 이전의 턴에서 크로스 이후의 턴까지의 이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즉 제1 와인딩 영역 AR1과 제2 와인딩 영역 AR2 사이의 공간영역 S1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와인딩 작업시에 와이어W1, W2를 크로스시킨 직후 턴의 감기 시작 위치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의 와인딩 작업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커먼 모드 필터의 특성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8의 권선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8의 특징은 도 17의 커먼 모드 필터 7의 제3 권선블록 BK3의 인접 턴 사이에 제3 서브 공간 SS3을 설치하고, 제4 권선블록 BK4의 인접 턴 사이에 제4 서브 공간 SS4을 설치한 점에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권선 블록 BK3, BK4 내에서의 인접한 턴의 경계 위치는 각각 1 곳 밖에 없기 때문에 제3 및 제4 서브 공간 SS3, SS4도 하나씩 밖에 없지만, 제 3 및 제4 권선블록 BK3, BK4의 턴수가 많은 경우에는 복수개의 인접 턴의 경계위치의 각각에 제3 및 제4 서브 공간 SS3, SS4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층 와인딩의 인접 턴 사이에 서브 공간을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제1 권선블록 BK1과 제2 권선블록 BK2 사이에 추가로 다수의 공간을 조금씩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와인딩 영역 AR1, AR2의 경계에서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킬 경우, 크로스 이전의 턴에서 크로스 이후 턴까지 이동거리를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즉 제1 와인딩 영역 AR1과 제 2 와인딩 영역 AR2 사이의 공간영역 S1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와인딩 작업시에 와이어 W1, W2를 크로스시킨 직후 턴의 감기 시작 위치의 편차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의 와인딩 작업이 용이하게 될뿐만 아니라 커먼 모드 필터의 특성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9의 권선구조를 모식 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9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커먼 모드 필터 2의 응용예이며, 도면에 나타낸 제1 및 제2 권선블록 BK1, BK2의 조합을 단위 권선구조 U로 하고, 이 단위 권선구조 U를 권심부 11a 상에 복수 (여기에서는 두 개) 설치한 점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단위 권선구조 U1, U2를 가지고 있으며,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에 의한 권선구조는 4개의 권선블록으로 분할 되어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수가 매우 많은 경우 (예를 들어 80 턴) 에 있어서 그들을 가늘게 분할한 경우 (예를 들어 20 턴 × 4)에는 굵게 분할하는 경우 (예를 들어 40 턴 × 2)보다 상이한 턴간 용량의 균형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모드 변환 특성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의 응용예이지만, 제1, 제3 ~ 제8 실시형태에 의한 커먼 모드 필터 1,3 ~ 8의 응용예이어도 좋고, 또한 이들을 적절히 조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도 19는 커먼 모드 필터 21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커먼 모드 필터 2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A는 A1 - A1' 선에 따른 단면도, B는 A2 - A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21은 드럼코어 11의 권심부 11a에 소위 레이어 와인딩에 의해 감겨진 한 쌍의 와이어 W1, W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와이어 W1는 권심부 11a의 표면에 직접 감겨서 1 층째의 권선층 (제1층)을 구성하고 있고, 제2 와이어 W2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제1층의 외부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 (제2층)을 구성하고 있다. 제1 와이어 W1과 제2 와이어 W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턴수 (여기에서는 12 턴)이다.
한 쌍의 와이어 W1, W2에 의한 권선구조는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일단측 에 위치하는 제1 와인딩 영역 AR1에 설치된 제1 권선블록 BK1과,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제2 와인딩 영역 AR2에 설치된 제2 권선블록 BK2 를 구성하고 있다. 제1 와이어 W1의 제1 ~ 제6 턴 (제1 권선 패턴) 및 제2 와이어 W2의 제1 ~ 제6 턴 (제3 권선 패턴)은 제1 권선 블록 BK1를 구성하고 있고, 제1 와이어 W1의 제7 ~ 제12 턴 (제2 권선 패턴) 및 제2 와이어 W2의 제7 ~ 제12 턴 (제4 권선 패턴)은 제2 권선 블록 BK2를 구성하고 있다.
제1 와이어 W1은 권심부 11a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차례로 감겨져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와인딩 영역 AR1, AR2 내에서 제1 와이어 W1은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있다. 한편 제1 와인딩 영역 AR1과 제2 와인딩 영역 AR2 사이 에 위치하는 공간영역 S1에서 제1 권선블록 BK1과 제2 권선블록 BK1 사이에는 공간가 설치되어 있다. 즉 와이어 W1의 제1 ~ 제6 턴은 조밀하게 감겨지고, 제6 턴 과 제7 턴 사이에는 공간이 설치되고, 제7 ~ 제12 턴은 다시 조밀하게 감겨진다.
제2 와이어 W2도 또한 권심부 11a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차례로 감겨져 있지만, 제1 와이어 W1의 선 사이에 형성되는 골 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진다. 즉, 제 2 와이어 W2는 이와 동일한 턴의 제1 와이어 W1의 바로 위에 배치되지 않고,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위치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과 제2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5 턴까지는 제1 와이어 W1에 의한 권선층 위에 겹쳐 감겨진다.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은 제1 권선블록 BK1과 제2 권선블록 BK2 사이의 공간에 움푹 들어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접하고 있으며, 2 층째가 아니라, 1 층째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7 턴도 제6 턴과 동일하다.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 과 제7 턴은 본래 2 층째에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제1 와이어 W1의 제6 턴 과 제7 턴 사이에 공간을 설치한 경우, 제2 와이어 W2를 지지하는 제1 와이어 W1의 2 턴 부분 중 한쪽이 부족하게 되기 때문에, 2 층째의 포지션을 유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현실적인 구조로서, 제6 및 제7 턴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감김이 무너진 상태를 채용하고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8 ~ 제12 턴은 다시 제1 와이어 W1의 선 사이에 형성되는 골 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진다. 제2 와이어 W2의 제8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7 턴 과 제8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12 턴까지 제1 와이어 W1에 의한 권선층 위에 겹쳐 감겨진다.
이상은 12 턴의 경우이지만, 이것을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제1 및 제2 와인딩 영역 AR1, AR2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수를 어는 것이든 n (n은 양의 정수)로 할 때, 제1 와인딩 영역 AR1의 제1층에는 n 턴의 제1 와이어 W1 (제 1 권선 패턴)과 1턴의 제2 와이어 W2 (제3 권선 패턴 )가 각각 감겨지며, 또한 제 1 와인딩 영역 AR1의 제2 층에는 n - 1 턴의 제2 와이어 (제3 권선 패턴)가 감겨진다. 마찬가지로, 제2 와인딩 영역 AR2의 제1층은 n 턴의 제1 와이어 W1 (제2 권선 패턴)과 1 턴의 제2 와이어 W2 (제4 권선 패턴)가 각각 감겨지며 또한 제2 와인딩 영역 AR2의 제2층에는 n - 1 턴의 제2 와이어 W2 (제4 권선 패턴)가 감겨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선 블록 BK1의 권선구조와 제2 권선 블록 BK2의 권선 구조는 경계선 B에 대하여 서로 대칭 (좌우 대칭)이다. 특히 제1 권선 블록 BK1 내의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 및 제2 권선 블록 BK2 내의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는 좌우대칭이다. 다만 제1 권선 블록 BK1 내 및 제2 권선 블록 BK2 내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는 좌우대칭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권선블록 BK1의 제1 와이어 W1의 제1 ~ 제6 턴과 대칭관계에있는 것은 제2 권선블록 BK2의 제1 와이어 W1의 제12 ~ 제7 턴이고, 모두 제1 와이어 W1이다. 또한 제1 권선블록 BK1의 제2 와이어 W2의 제1 ~ 제5 턴과 대칭관계에있는 것은 제2 권선블록 BK2의 제2 와이어 W2의 제12 ~ 제8 턴이고, 모두 제2 와이어 W2이다. 또한 제1 권선블록 BK1의 제1 와이어 W1의 제6 턴과 대칭관계에 있는 것은 제2 권선블록 BK2의 제1 와이어 W1의 제7 턴이며, 모두 제1 와이어 W1이다. 또한 감기 시작 또는 감기 종료 위치에서는 대칭성이 어떻게 하여도 무너지지만, 이와 같은 경미한 대칭의 차이는 허용범위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에 의한 권선구조가 와이어의 위치관계를 포함하여 좌우대칭이 되는 경우에는, 다른 턴 사이에 걸쳐 발생하는 분포용량 (상이한 턴간 용량)이 와이어 W1, W2 양쪽에 균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와이어 W1, W2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Scd (디퍼런셜 신호성분이 커먼 모드로 변환되어 버리는 것에 의한 노이즈)을 저감할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1 블록과 제2 블록 사이에 공간을 설치한 경우에는 좌우대칭인 권선구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상이한 턴간 용량의 영향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Scd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우대칭이 완전한 경우를 열거하였지만, 반드시 완전히 대칭일 필요는 없고, 일부에 비대칭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의한 커먼 모드 필터 22의 구성을 나타내는 대략 단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22의 특징은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수가 13 턴 (홀수 턴)이며, 권선구조의 대칭성이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 의 한쪽 단부에서 무너지고 있다는 점에 있다. 제1 ~ 제12 턴까지는 제10 실시형태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2 턴에 이어서 제13 턴이 설치되어 있고, 와이어 W1의 제13 턴 (제5 권선 패턴) 및 제2 와이어 W2의 제 13 턴 (제6 권선 패턴)은 제3 와인딩 영역 AR3에 설치된 제3 권선 블록 BK3를 구성하고 있다.
제2 및 제3 권선블록 BK2, BK3를 하나의 권선블록 BK4로서 본 경우, 제1 권선 블록 BK1과 제4 권선 블록 BK4 사이에 엄밀한 대칭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를 13 턴으로 하는 경우에는 균등하게 나눌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왼쪽 6 턴과 오른쪽 7 턴으로 나누고, 오른쪽 7 턴 중 6 턴과 왼쪽 6 턴이 좌우대칭 관계를 가지고 있다. 제1 권선 블록 BK1 내의 제1 ~ 제6 턴과 제 2 권선 블록 BK2의 제7 ~ 제12 턴 사이의 대칭성이 확보되어 있으며, 비대칭 부분 인 제3 권선 블록 BK3의 턴 수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비대칭 부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제10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에 의한 권선구조가 제1 및 제2 권선 블록에 대하여 비대칭인 제3 권선블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제3 권선 블록 BK3 내에서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 (제5, 제6 권선패턴)의 턴수는 각각 제1 및 제2 권선블록 BK1, BK2의 각각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수의 절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권선블록 BK1, BK2의 와이어 W1, W2의 턴수가 모두 6 턴인 경우, 제3 권선 블록 BK3에서의 와이어 W1, W2 턴수는 각각 3 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대칭 부분의 턴수가 대칭부분의 턴수의 절반을 넘는 경우에는 그 영향을 무시할 수 없으며, 노이즈 저감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지만, 절반 이하인 경우에는 양쪽 권선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이 비교적 작고, 실용상 문제 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3 권선 블록 BK3에서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수는 모두 제1 및 제2 권선블록 BK1, BK2 내의 와이어의 턴수에 관계없이 2 턴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의도적으로 비대칭으로 하려고 하지 않으면 대부분의 경우, 비대칭 부분의 턴수를 2 턴 이내로 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 범위 내이면 임피던스의 불균형의 영향이 매우 작고, 비대칭 부분이 없는 경우와 거의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3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23의 특징은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턴수가 13 턴 (홀수 턴)이며, 권선구조의 대칭성이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무너지고 있다는 점에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1 ~ 제6 턴은 제10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2 와이어 W2의 제6 턴의 옆에는 제1 와이어 W1의 제7 턴 (제5 권선 패턴)이 감겨져 있고, 제1 와이어 W1의 제7 턴의 옆에는 제2 와이어 W2의 제7 턴 (제6 권선 패턴)이 감겨져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7 턴은 모두 1 층째에 설치되어 있고, 제3 와인딩 영역 AR3에 설치된 제3 권선 블록 BK3를 구성하고 있다. 그 후,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8 ~ 제13 턴은 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7 ~ 제12 턴과 마찬가지로 감겨진다.
제1 권선블록 BK1과 제3 권선블록 BK3의 제1 와이어 W1의 제7 턴을 하나의 권선 블록 BK4로 하며, 제2 권선 블록 BK2와 제3 권선 블록 BK3의 제2 와이어 W2의 제7 턴을 또 하나의 권선블록 BK5로서 본 경우, 제4 권선블록 BK4과 제5 권선 블록 BK5 사이에 엄밀한 대칭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1 권선 블록 BK1 내의 제 1 ~ 제6 턴과 제2 권선 블록 BK2의 제7 ~ 제12 턴 사이의 대칭성이 확보되어 있으며, 비대칭 부분인 제3 권선 블록 BK3의 턴수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제1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비대칭 부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제10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권선블록 BK1과 제2 권선블록 BK2 사이에 공간을 설치하고 있지 않지만, 제10 실시형태와 같이 공간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권선 블록 BK1과 제2 권선 블록 BK2 사이에 공간을 설치하는 경우 에는 좌우대칭 권선구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상이한 턴간 용량의 영향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Scd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4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또한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필터 24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a)는 A1 - A1'선에 따른 단면도, (b)는 A2 - A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과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24의 특징은 제2 와이어 W2의 2 층째로부터 1 층째로의 움푹 들어간 부분이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아닌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제1 와이어 W1은 권심부 11a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차례로 감겨있다. 특히 제1 와이어 W1의 제1 내지 제12 턴은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져 있고, 제6 턴과 제7 턴 사이의 공간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제1 권선 블록 BK1과 제2 권선 블록 BK2 사이에서 선간 공간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제2 와이어 W2도 또한 권심부 11a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차례로 감겨져 있지만, 제1 와이어 W1의 선 사이에 형성되는 골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진다.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과 제 12 턴은 1 층째에 움푹 들어가 권심부 11a의 표면에 접하고 있고, 2 층째가 아닌 1 층째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제2 와이어 W2의 제2 턴은 제1 와이어 W1의 제1 턴과 제2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제6 턴까지 제1 와이어 W1에 의한 권선층 위에 겹쳐 조밀하게 감겨진다. 제6 턴은 제1 와이어의 제 5 턴과 제6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한다.
제7 턴은 다음의 와인딩 위치 (골)를 하나 뛰어 배치된 제1 와이어 W1의 제7 턴과 제8 턴 사이의 골에 위치하고, 제11 턴까지는 제1 와이어 W1의 선 사이에 형성되는 골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진다. 최종 턴인 제12 턴은 제1 턴과 마찬가지로, 1 층째에 움푹 들어간 권심부 11a의 표면에 접하고 있고, 2 층째가 아닌 1 층째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선블록 BK1의 권선구조와 제2 권선블록 BK2의 권선 구조는 경계선 B에 대하여 서로 대칭 (좌우대칭)이다. 특히 제1 권선 블록 BK1 내의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 및 제2 권선 블록 BK2 내의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는 좌우대칭이다. 다만 제1 권선블록 BK1 내 및 제2 권선 블록 BK2 내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는 좌우대칭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권선 블록 BK1의 제2 와이어 W2의 제1 턴과 대칭관계에 있는 것은 제2 권선 블록 BK2의 제2 와이어 W2의 제12 턴이며, 모두 제2 와이어 W2이다. 또한 제1 권선 블록 BK1의 제1 와이어 W1의 제1 ~ 제6 턴과 대칭관계에 있는 것은 제2 권선블록 BK2의 제1 와이어 W1의 제12 ~ 제7 턴이고, 모두 제1 와이어 W1이다. 또한 제1 권선 블록 BK1의 제2 와이어 W2의 제2 ~ 6 턴과 대칭관계에 있는 것은 제2 권선 블록 BK2의 제2 와이어 W2의 제11 ~ 7 턴이며, 모두 제2 와이어 W2이다. 또한 감기 시작과 감기 종료의 위치에서는 대칭성이 어떻게 하여도 무너지지만 이와 같은 경미한 대칭의 차이는 허용범위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에 의한 권선구조가 와이어의 위치관계를 포함하여 좌우대칭이 되는 경우에는 상이한 턴간 용량이 와이어 W1, W2 양쪽에 균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와이어 W1, W2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을 억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0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5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형태에 따른 커먼 모드 필터 25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또한 도 26은 도 25에 나타내는 커먼 모드 필터 25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a)는 A1 - A1'선에 따른 단면도, (b)는 A2 - A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 모드 필터 25의 특징은 한 쌍의 권선이 소위 바이파일러 와인딩에 의해 감겨져 있다는 점에 있다. 바이파일러 와인딩이라 함은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를 1 개씩 교대로 배치하는 와인딩 방법을 말하며, 1차·2차의 조밀한 결합이 필요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제1 와이어 W1과 제2 와이어 W2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으로 감겨져 1 층째의 권선 층을 구성하고 있다. 제1 와이어 W1과 제2 와이어 W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턴 수( 여기에서는 6 턴)이다.
한 쌍의 와이어 W1, W2에 의한 권선구조는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일 단측 에 설치된 제1 권선 블록 BK1과, 권심부 11a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에 설치된 제2 권선 블록 BK2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1 내지 제3 턴은 제1 권선 블록 BK1을 구성하고 있고,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4 ~ 제6 턴은 2 권선 블록 BK2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블록 (제1 ~ 제3 턴)에 있어서는 제1 와이어 W1이 왼쪽, 제2 와이어 W2 가 오른쪽에 위치하고, 이 순서로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져 있지만, 제2 블록 (제4 ~ 제6 턴)에서는 위치관계가 역전하고, 제2의 와이어 W2가 왼쪽, 첫 번째 와이어 W1이 오른쪽에 위치하고, 이 순서로 선 사이에 빈틈없이 조밀하게 감겨져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선 블록 BK1의 권선구조와 제2 권선 블록 BK2의 권선구조는 경계선 B에 대하여 서로 대칭형 (좌우대칭)이다. 특히 제1 권선 블록 BK1 내의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 및 제2 권선 블록 BK2 내의 와이어 W1, W2의 위치 관계는 좌우대칭이다. 다만 제1 권선 블록 BK1 내 및 제2 권선 블록 BK2 내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위치관계는 좌우대칭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권선 블록 BK1의 제1 와이어 W1의 제1, 제2 및 제3 턴과 대칭관계에 있는 것은 제2 권선 블록 BK2의 제1 와이어 W1의 제6, 제5 및 제4 턴이며, 모두 제1 와이어 W1이다. 또한 제1 권선 블록 BK1의 제2 와이어 W2의 제1, 제2 및 제 3 턴과 대칭관계에 있는 제 2 권선 블록 BK2 내의 제 2 와이어 W2의 제 6, 제 5 및 제4 턴이며, 모두 제2 와이어 W2이다. 또한 감기 시작과 감기 종료의 위치에서는 대칭성이 어떻게 하여도 깨지지만, 이와 같은 경미한 대칭성 차이는 허용범위 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에 의한 권선구조가 와이어의 위치관계를 포함하여 좌우대칭이 되는 경우에는 상이한 턴간 용량이 와이어 W1, W2 양쪽에 대하여 균일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와이어 W1, W2의 임피던스의 불균형을 억제 할 수 있다. 따라서 Scd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커먼 모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1 블록과 제2 블록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우대칭 구조에 의한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고, Scd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들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와이어가 감겨 있는 코어로서 드럼 코어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의 코어는 드럼 코어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와이어에 대한 권심부를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의 코어라도 상관없다. 권심부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도 직사각형인 것은 필수가 아니고, 육각형, 팔각형, 원형, 타원형 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각각의 와이어 턴수는 상기 실시형태보다 많아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레이어 와인딩 30 ~ 50 턴으로 하고, 인덕턴스가 200 ~ 400μH 정도가 되도록 해도 되고, 바이파일러 와인딩 15 ~ 25 턴으로 하고, 인덕턴스가 100 ~ 200μH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를 공간영역 S1 내에서 크로스시키고 있지만, 와이어 W1, W2가 크로스하는 지점은 공간 영역 S1 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간 영역 S1에서 제2 와인딩 영역 AR2로 옮겨진 와이어 W1, W2를 권심부 11a에 감기 직전에 크로스시켜도 좋다. 또한 와이어 W1, W2의 크로스가 가능하면 공간 영역 S1를 생략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와인딩 영역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1 턴수 m1을 양의 정수 (4 턴, 6 턴 등)로 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의 제1 및 제2 와이어 W1, W2의 제2 턴 수 m2를 양의 정수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양의 정수일 필요는 없고, 정수이면 몇 턴이라도 좋다. 따라서, 예를 들면 4.5 턴과 같이 정수가 아닌 턴수이어도 상관없다.

Claims (29)

  1. 길이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제1 및 제2의 와인딩 영역을 각각 갖는 권심부와,
    상기 권심부에 감겨진 제1 와이어로 이루어진 제1 코일과,
    상기 권심부에 상기 제1 와이어와 동일한 턴 수로 감겨진 제2 와이어로 이루어진 제2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제1 턴수 m1으로 감겨진 제1 권선 패턴과,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제2 턴수 m2로 감겨진 제2 권선 패턴을 갖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상기 제1 턴 수 m1으로 감겨진 제3 권선패턴과,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상기 제2 턴 수 m2로 감겨진 제4 권선 패턴을 갖고,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n1 턴 (n1은 1 이상 m1 - 1 이하의 임의의 수)과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n1 +1 턴 사이에 제1 선간거리 D1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n1 턴과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n1 +1 턴 사이에 제2 선간거리 D2보다 짧고,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n2 턴 (n2는 m1 +1 이상 m1 + m2 - 1 이하의 임의의 수)과 상기 제2 와이어의 제n2 +1 턴 사이에 제3 선간거리 D3는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n2 턴과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n2 +1 턴 사이에 제4 선간거리 D4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모드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에 바이파일러 와인딩되어 있는 커먼 모드 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의 동일한 턴끼리 상기 권심부의 상기 일 단측 및 상기 타단측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의 동일한 턴끼리는 상기 권심부의 상기 타단측 및 상기 일단측에 각각 위치하는 커먼 모드 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층째의 권선층과, 상기 1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 제 m1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1 ~ 제 m1 -1 턴은 상기 1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으며,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2 ~ 제 m1 + m2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의 제1 내지 제 m1 - 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다음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2 ~ 제 m1 + m2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앞의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 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과,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내지 제 m1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 ~ 제m1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 1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 m2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 m2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 ~ 제 m1 턴은 상기 제 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앞의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 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 1 ~ 제 m1 + m2 - 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다음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과,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 제 m1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1 ~ 제 m1 - 1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으며,
    상기 제 2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 1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 m2 턴은 상기 제 2 와이어의 제 m1 + m2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9. 제 8항에 있어서,
    제1 와이어의 제1 ~ 제 m1 - 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다음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있고,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1 ~ 제 m1 + m2 - 1 턴은 상기 제2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다음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진 1 층째의 권선층과,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진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 제 m1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서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1 턴은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 ~ 제 m1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 1 ~ 제 m1 + m2 턴은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제 m1 +1 턴은 상기 제 2 와이어의 제 m1 +1 턴에 인접하면서 상기 권심부의 표면에 직접 감겨 있으며,
    상기 제 1 와이어의 제 m1 + 2 ~ 제 m1 + m2 턴은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에 겹쳐 감겨져 상기 2 층째의 권선층을 구성하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2 ~ 제 m1 턴은 상기 제 1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앞의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 넣으면서 감겨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제 m1 + 2 ~ 제 m1 + m2 턴은 상기 제 2 와이어의 동일한 턴과 앞의 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층째의 권선층의 골사이에 끼워넣으면서 감겨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부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과 상기 제2 와인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턴 수 m1과 상기 턴 수 m2의 차이가 제1 와이어 W1 또는 제2 와이어 W2의 전체 턴 수의 1/4 이하인 것인 커먼 모드 필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턴 수 m1과 상기 제2 턴 수 m2의 차이가 2 턴 이하인 것인 커먼 모드 필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턴 수 m1과 상기 제 2 턴 수 m2의 차이가 1 턴 이하인 것인 커먼 모드 필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턴 수 m1과 상기 제 2 턴 수 m2가 동일한 (m1 = m2)인 것인 커먼 모드 필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권선 패턴은 제1 권선블록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4 권선 패턴은 제2 권선 블록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 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위 권선구조가 상기 권심부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권선 패턴은 제 1 권선 블록과 상기 제1 권선 블록보다 상기 권심부의 축방향의 중앙 가까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권선 블록과 다른 권선구조를 갖는 제3 권선 블록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4 권선 패턴은 제2 권선 블록과 상기 제2 권선 블록보다 상기 권심부의 축방향의 중앙 가까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권선 블록과 다른 권선구조를 갖는 제4 권선 블록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권선 블록은 2층 레이어 와인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3 및 제4 권선 블록은 단층 바이파일러 와인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권선 블록과 상기 제3 권선 블록은 제1 서브 공간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권선블록과 상기 제4 권선 블록은 제2 서브 공간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권선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턴은 제3 서브 공간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제4 권선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턴은 제4 서브 공간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20. 길이방향의 일 단측 및 다른 단측에 제1 및 제2 와인딩 영역을 각각 갖는 권심부와,
    상기 권심부에 감겨진 제1 와이어로 이루어진 제1 코일과,
    상기 권심부에 상기 제1 와이어와 동일한 턴 수로 감겨진 제2 와이어로 이루어진 제2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1 권선 패턴과,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2 권선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3 권선 패턴과,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4 의 권선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3 권선패턴에 의해 구성되는 제1 권선블록의 권선구조와 상기 제2 및 제4 권선 패턴에 의해 구성되는 제2 권선블록의 권선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권선영역의 경계에 대하여 서로 대칭형이며,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제1 및 제3 권선패턴의 동일한 턴의 위치는 서로 다르며,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제2 및 제4 권선패턴의 동일한 턴의 위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모드 필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부는 상기 제1 와인딩 영역과 상기 제2 와인딩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상의 제1층에 감겨지며,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1층상의 제2층에 감겨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의 권선패턴의 턴 수를 n 턴으로 할 때,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은 상기 제1 층에 n 턴의 상기 제1 권선 패턴이 감겨짐과 동시에 1 턴의 상기 제3 권선 패턴이 감겨지고, 상기 제2 층에 n - 1 턴의 상기 제3 권선 패턴이 감겨지고,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은 상기 제 1 층에 n 턴의 상기 제2 권선 패턴이 감겨짐과 동시에 1 턴의 상기 제4 권선 패턴이 감기고, 상기 제2 층에 n - 1 턴의 상기 제4 권선 패턴이 감겨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3 권선 패턴의 상기 1 턴은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1 권선 패턴 중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일 단에 가장 가까운 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 1층에 감겨진 상기 제4 권선 패턴의 상기 1 턴은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2 권선 패턴 중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타단에 가장 가까운 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3 권선 패턴의 상기 1 턴은 상기 제1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 1 권선패턴 중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다른 단에 가장 가까운 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4 권선 패턴의 상기 1 턴은 상기 제2 와인딩 영역의 상기 제1층에 감겨진 상기 제2 권선 패턴 중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일 단에 가장 가까운 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26. 제 2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와이어는 상기 권심부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교대로 감겨 있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27.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권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인딩 영역과는 다른 제 3의 와인딩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3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5 권선 패턴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3 와인딩 영역에 감겨진 제6 권선 패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커먼 모드 필터.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권선패턴의 턴수는 상기 제1 권선 패턴의 턴 수의 절반 이하이며,
    상기 제6 권선 패턴의 턴수는 상기 제3 권선 패턴의 턴 수의 절반 이하인 것인 커먼 모드 필터.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및 제 6 권선 패턴의 턴 수는 각각 2 턴 이하인 것인 커먼 모드 필터.
KR1020130156744A 2012-12-19 2013-12-16 커먼 모드 필터 KR101468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77199 2012-12-19
JP2012277199A JP5825249B2 (ja) 2012-12-19 2012-12-19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JP-P-2013-053642 2013-03-15
JP2013053642 2013-03-15
JP2013206385A JP5765400B2 (ja) 2013-03-15 2013-10-01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JP-P-2013-206385 2013-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727A true KR20140079727A (ko) 2014-06-27
KR101468821B1 KR101468821B1 (ko) 2014-12-03

Family

ID=5087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744A KR101468821B1 (ko) 2012-12-19 2013-12-16 커먼 모드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9659701B2 (ko)
KR (1) KR101468821B1 (ko)
CN (4) CN103887040B (ko)
DE (1) DE102013114352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86U (ko) * 2021-07-14 2023-01-25 타이-텍 어드밴스드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인덕턴스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5400B2 (ja) * 2013-03-15 2015-08-19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5971231B2 (ja) * 2013-12-10 2016-08-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206646A1 (en) * 2013-12-13 2015-07-23 Pulse Electronic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winding balance on inductive devices
JP6226066B2 (ja) * 2014-05-19 2017-11-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337610B2 (ja) 2014-05-22 2018-06-06 株式会社Ihi コイル装置
JP6417713B2 (ja) * 2014-05-22 2018-11-07 株式会社Ihi コイル装置
JP6578630B2 (ja) * 2014-06-19 2019-09-25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287755B2 (ja) * 2014-10-23 2018-03-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
CN105590719A (zh) * 2014-10-24 2016-05-18 千如电机工业股份有限公司 共模滤波器及其铁芯
US9767953B2 (en) * 2014-12-16 2017-09-19 Abc Taiwan Electronics Corp. Common mode filter and core thereof
CN105825997B (zh) * 2015-01-22 2019-03-2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线圈部件
CN104917477A (zh) * 2015-06-02 2015-09-16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滤波器
US10645811B2 (en) 2015-07-02 2020-05-05 Pulse Electronics, Inc. Inductive devices with spli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6597049B2 (ja) * 2015-08-21 2019-10-30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イル部品を備える回路基板
JP6358194B2 (ja) * 2015-08-28 2018-07-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CN109935439B (zh) * 2015-10-05 2021-02-0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线圈部件
US10210992B2 (en) * 2015-10-06 2019-02-19 Cyntec Co., Ltd. Apparatus of coupled inductors with balanced electromotive forces
SE539353C2 (en) * 2015-11-18 2017-07-25 Optistring Tech Ab Combined common mode inductor and differential signal 12
JP6443317B2 (ja) * 2015-12-15 2018-12-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6620613B2 (ja) * 2016-03-10 2019-12-18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6680037B2 (ja) * 2016-03-30 2020-04-15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6746354B2 (ja) 2016-04-06 2020-08-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JP6634943B2 (ja) * 2016-04-19 2020-01-22 Tdk株式会社 ディファレンシャルモードフィルタ
JP6544289B2 (ja) * 2016-04-26 2019-07-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機器
JP6627648B2 (ja) * 2016-05-30 2020-01-08 Tdk株式会社 回路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回路モジュール
JP6333321B2 (ja) * 2016-08-23 2018-05-30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6631481B2 (ja) * 2016-11-18 2020-01-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部品
JP6601383B2 (ja) * 2016-12-26 2019-11-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部品
JP6794844B2 (ja) * 2017-01-23 2020-12-02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6819314B2 (ja) * 2017-01-23 2021-01-27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865605B2 (ja) * 2017-03-07 2021-04-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6966868B2 (ja) 2017-05-02 2021-11-17 太陽誘電株式会社 磁気結合型コイル部品
JP6885834B2 (ja) * 2017-09-19 2021-06-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ワイヤレス充電用回路用の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およびワイヤレス充電用回路
JP7040021B2 (ja) * 2018-01-05 2022-03-23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US11563415B2 (en) * 2018-01-05 2023-01-24 Tdk Corporation Common mode filter
JP7040020B2 (ja) * 2018-01-05 2022-03-23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US10559415B2 (en) * 2018-01-29 2020-02-11 Cyntec Co., Ltd. Common mode filter capable of balancing induced inductance and distributed capacitance
JP6784266B2 (ja) * 2018-01-30 2020-11-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7040372B2 (ja) * 2018-09-11 2022-03-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65862B2 (ja) * 2018-09-28 2021-11-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CN109411212B (zh) * 2018-11-13 2019-12-20 深圳顺络电子股份有限公司 共模线圈部件及其制作方法
JP2020107861A (ja) * 2018-12-28 2020-07-09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CN109903972B (zh) * 2019-01-23 2021-04-13 深圳顺络汽车电子有限公司 绕线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JP7218588B2 (ja) * 2019-01-28 2023-02-07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7081561B2 (ja) * 2019-04-19 2022-06-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JP7180559B2 (ja) * 2019-07-10 2022-11-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CN110233044A (zh) * 2019-07-12 2019-09-13 蚌埠市双环电感股份有限公司 一种环形电感绕线方法及其电感
DE102019134671B4 (de) * 2019-12-17 2023-02-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ilte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CN113257540A (zh) * 2020-02-07 2021-08-13 Tdk株式会社 复合线圈装置
JP7363677B2 (ja) * 2020-06-16 2023-10-18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7424219B2 (ja) * 2020-06-16 2024-01-30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CN111968823B (zh) * 2020-08-14 2021-12-07 美磊科技股份有限公司 电感装置
CN111968839A (zh) * 2020-08-14 2020-11-20 美磊科技股份有限公司 变压器以及电感装置
US20210142940A1 (en) * 2021-01-19 2021-05-13 Tsz Kin HO Induction coil
JP7367716B2 (ja) * 2021-03-03 2023-10-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KR20230089665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정안시스템 전기자동차용 커먼모드 노이즈필터
CN116741490A (zh) * 2023-06-29 2023-09-12 东莞顺为半导体有限公司 具有双绕线结构的线圈组件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7268Y1 (ko) 1968-03-28 1972-11-10
JPS4833347A (ko) 1971-09-02 1973-05-09
NL7713118A (nl) * 1977-11-29 1979-05-31 Philips Nv Hoogspanningstransformator.
US4456531A (en) * 1980-08-11 1984-06-26 Totoku Electric Co., Ltd. Filt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4454492A (en) * 1982-04-14 1984-06-12 Laser Drive, Inc. Low intra-winding capacitance multiple layer transformer winding
US4554730A (en) * 1984-01-09 1985-11-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making a void-free non-cellulose electrical winding
US4857878A (en) * 1988-01-19 1989-08-15 Eng Jr Benjamin Modular high frequency power transformer
JPH07283038A (ja) * 1994-04-05 1995-10-27 Sony Corp トランス
JPH08124762A (ja) * 1994-10-20 1996-05-17 Toyo Commun Equip Co Ltd コイルボビン
US5847518A (en) * 1996-07-08 1998-12-08 Hitachi Ferrite Electronics, Ltd. High voltage transformer with secondary coil windings on opposing bobbins
JP3159195B2 (ja) * 1999-01-18 2001-04-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2246244A (ja) 2001-02-15 2002-08-30 Murata Mfg Co Ltd チョークコイル
JP4312409B2 (ja) * 2002-02-12 2009-08-12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3666748B2 (ja) * 2002-05-10 2005-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巻線装置および巻線方法
JP3973028B2 (ja) * 2002-10-25 2007-09-05 Tdk株式会社 表面実装型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US7398589B2 (en) * 2003-06-27 2008-07-15 Abb Technology Ag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former winding
JP4451242B2 (ja) 2004-07-30 2010-04-14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US7256673B2 (en) * 2005-01-31 2007-08-14 Tdk Corporation Coil assembly including common-mode choke coil
JP2006261572A (ja) * 2005-03-18 2006-09-28 Tdk Corp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US20070045458A1 (en) * 2005-08-24 2007-03-01 Lopez Jorge L Coil spool with protrusion to prevent wire migration
TWI279817B (en) * 2005-09-06 2007-04-21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structure
JP4311575B2 (ja) * 2005-10-03 2009-08-12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巻線チップ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4396630B2 (ja) * 2005-12-26 2010-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巻線方法及びコイル
JP4396629B2 (ja) * 2005-12-26 2010-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巻線方法及びコイル
JP2007324380A (ja) 2006-06-01 2007-12-13 Nec Tokin Corp 高周波用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4791270B2 (ja) * 2006-06-28 2011-10-12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磁性素子
JP2008034777A (ja) 2006-07-31 2008-02-14 Taiyo Yuden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8091359A (ja) 2006-09-29 2008-04-17 Toko Inc 巻線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TWI321797B (en) * 2006-10-05 2010-03-11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with adaptable leakage inductance
WO2008065824A1 (en) * 2006-12-01 2008-06-0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mmon mode choke coil
JP2008148470A (ja) * 2006-12-12 2008-06-26 Hitachi Ltd 集中巻コイルおよび集中巻きコイルの製造方法
CN101449346B (zh) * 2007-02-05 2012-07-1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绕线型线圈及其绕线方法
JP4535083B2 (ja) * 2007-04-10 2010-09-01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4860546B2 (ja) * 2007-05-23 2012-01-25 ミネベア株式会社 コイルボビ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00519B2 (ja) 2007-06-14 2010-12-15 Tdk株式会社 トランス部品
US20080309445A1 (en) 2007-06-14 2008-12-18 Tdk Corporation Transformer
JP2009043886A (ja) * 2007-08-08 2009-02-26 Murata Mfg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4796560B2 (ja) 2007-10-11 2011-10-19 太陽誘電株式会社 巻線型コイル部品
US20090108976A1 (en) * 2007-10-31 2009-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former bobbin with isolation wind
JP4789076B2 (ja) * 2007-12-14 2011-10-05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CN101540227B (zh) * 2008-03-21 2011-12-07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中心抽头式变压器
JP2009302321A (ja) * 2008-06-13 2009-12-24 Tdk Corp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8018314B2 (en) * 2008-09-18 2011-09-13 Silitek Electronic (Guangzhou) Co., Ltd. Center-tapped transformer
JP4737268B2 (ja) * 2008-10-31 2011-07-27 Tdk株式会社 表面実装型パルストランス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0153684A (ja) * 2008-12-26 2010-07-08 Moda Technology:Kk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10272809A (ja) * 2009-05-25 2010-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れを用いた信号伝送用回路
TWI436381B (zh) * 2009-06-08 2014-05-01 Cyntec Co Ltd 扼流器
JP5120373B2 (ja) 2009-12-28 2013-01-16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US8416039B2 (en) * 2010-04-26 2013-04-09 Remy Technologies Llc Solenoid with reverse turn spool hub projection
JP5585934B2 (ja) 2010-06-01 2014-09-10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CN201754362U (zh) * 2010-07-29 2011-03-02 无锡市聚科电气有限公司 一种电源变压器原边线圈的绕制结构
US8362862B2 (en) * 2010-09-21 2013-01-29 Remy Technologies, Llc Starter motor assembly with soft start solenoid
US8975993B2 (en) * 2010-11-26 2015-03-10 Tdk Corporation Transformer
US8614615B2 (en) * 2010-12-01 2013-12-24 Power Integrations, Inc. Energy transfer assembly with tuned leakage inductance and common mode noise compensation
KR101504798B1 (ko) * 2011-09-05 2015-03-23 삼성전기주식회사 자성체 기판, 커먼모드필터, 자성체 기판 제조방법 및 커먼모드필터 제조방법
JP5821821B2 (ja) * 2012-10-05 2015-11-24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5765400B2 (ja) * 2013-03-15 2015-08-19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6578630B2 (ja) * 2014-06-19 2019-09-25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PL3018665T3 (pl) * 2014-11-10 2017-08-31 Sma Solar Technology Ag Postać cewki o niskiej pojemności międzyzwojowej
US10559415B2 (en) * 2018-01-29 2020-02-11 Cyntec Co., Ltd. Common mode filter capable of balancing induced inductance and distributed capacit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86U (ko) * 2021-07-14 2023-01-25 타이-텍 어드밴스드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인덕턴스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20627B (zh) 2019-12-17
US20140167903A1 (en) 2014-06-19
US9659701B2 (en) 2017-05-23
KR101468821B1 (ko) 2014-12-03
US11636973B2 (en) 2023-04-25
CN106920627A (zh) 2017-07-04
US20200185145A1 (en) 2020-06-11
CN106960715A (zh) 2017-07-18
DE102013114352B4 (de) 2016-12-22
CN103887040A (zh) 2014-06-25
US10600555B2 (en) 2020-03-24
CN106960715B (zh) 2018-10-30
US20170221626A1 (en) 2017-08-03
CN203746604U (zh) 2014-07-30
DE102013114352A1 (de) 2014-06-26
CN103887040B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821B1 (ko) 커먼 모드 필터
JP6563089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5825249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7487285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7204468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CN108962563B (zh) 电感装置
CN110010328B (zh) 共模滤波器
JP6333321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TWI715510B (zh) 電感裝置
JP6583472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5996008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US20230223180A1 (en) Common mode filter
JP7180559B2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CN113808830A (zh) 共模滤波器
JP7445900B2 (ja) チョークコイル
JP7435288B2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KR200496921Y1 (ko) 인덕턴스 구조
JP2000260620A (ja) 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