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741A - 스핀-니트 머신을 위한 폴딩-드로잉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핀-니트 머신을 위한 폴딩-드로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741A
KR20140075741A KR1020147010075A KR20147010075A KR20140075741A KR 20140075741 A KR20140075741 A KR 20140075741A KR 1020147010075 A KR1020147010075 A KR 1020147010075A KR 20147010075 A KR20147010075 A KR 20147010075A KR 20140075741 A KR20140075741 A KR 20140075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s
folding
pair
drawing uni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898B1 (ko
Inventor
레인하르드 쾨니그
Original Assignee
레인하르드 쾨니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하르드 쾨니그 filed Critical 레인하르드 쾨니그
Publication of KR20140075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4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loose fibres, e.g. in high-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46Loading arrangements
    • D01H5/50Loading arrangements using spring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46Loading arrangements
    • D01H5/50Loading arrangements using springs
    • D01H5/505Loading arrangements using springs for top roller ar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70Constructional features of drafting elements
    • D01H5/74Rollers or roller bear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25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incorporating loose fibres, e.g. high-pile fabrics or artificial fu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22Devices for preparatory treatment of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작업 위치를 갖는 스피닝-니팅 장치를 위한 폴딩-드로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2개의 가압 아암(10)으로서, 예비 드래프트 영역에서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이 각각 제공되고,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은 2개의 롤러(W1, W2)를 지지하는 2개의 가압 아암(10)을 포함하고, 제3 롤러 쌍(WⅢ/W3)의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W3) 및 역전 레일(4, 4.1) 쌍의 하부 역전 레일(4.1)을 긴 가압 아암(12)을 더 포함하고, 방출 롤러 쌍(WⅣ, W4)의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W4)를 갖는 짧은 가압 아암(15)을 포함하는 폴딩-드로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핀-니트 머신을 위한 폴딩-드로잉 시스템 {FOLDING DRAWING SYSTEM FOR A SPIN-KNIT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스피닝-니팅 장치를 위한 폴딩-드로잉 유닛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니팅 머신에서, 니트는 전형적인 스피닝 기술에 의해 분배되면서 슬라이버 또는 플라이어(flyer) 공급물로부터 직접 생산된다. 이용되는 드로잉 유닛은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롤러 세트를 갖는 공지된 형태의 드로잉 유닛을 변형한 것이다. 롤러들이 서로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롤러 폴딩-드로잉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특정한 이득이 획득되었다. 이러한 드로잉 유닛은 높은 운전 속도와 정교한 번수(yarn count)로 한 번의 패스에 의해 드로잉 슬라이버를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드로잉 유닛은 200 이상의 범위의 매우 높은 드래프트의 드로잉 슬라이버를 처리함으로써 작동된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 공정에 교란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드래프트에서 발생한다. 이 결점은 폴딩-드로잉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으나, 폴딩-드로잉 유닛의 이용은 상당히 복잡한 설비를 요구한다. 게다가, 조작이 힘들고 익숙해지는데 다소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한 조작과 함께 높은 구조적 밀도가 달성되는, 스피닝-니팅 장치를 위한 폴딩-드로잉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새로운 패터닝 가능성과, 가능한 한 낮게 유지되는 에너지 이용을 또한 의도한다.
게다가, 폴딩-드로잉 유닛의 내부 구조는 모든 하위 부품들이 쉽게 작동될 수 있고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계되도록 의도된다. 작업 시스템 내의 더 높은 구조적 복잡성은 패터닝 가능성을 증가시킬 때만 용인된다.
이러한 목적은 2개의 작업 위치를 갖는 스피닝-니팅 장치를 위한 폴딩-드로잉 유닛으로서, 이하를 차례로 포함하는 폴딩-드로잉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 2개의 가압 아암으로서,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을 각각 갖고,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은 2개의 롤러를 지지하는 가압 아암,
- 제3 롤러 쌍의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 및 한 쌍의 역전 레일의 하부 역전 레일을 갖는 긴 가압 아암 및,
- 한 쌍의 이송 롤러의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갖는 짧은 가압 아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폴딩-드로잉 유닛은 니팅 머신 주위에 배열된다. 이 경우에 니팅 머신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된다. 폴딩-드로잉 유닛들은 대체로 그룹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고, 본원에서는 이 그룹을 드로잉 유닛 그룹으로 지칭한다. 드로잉 유닛 그룹들은 드로잉 유닛 그룹 내의 각각의 드로잉 유닛 그룹을 위해 또는 모든 드로잉 유닛 그룹 상에 작용하는 드라이브들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드로잉 유닛 그룹은 플레이트를 갖고, 이것은 하나의 섹션의 부분이 되고 구동 요소들이 그 위에 배치된다. 플레이트 아래에는 섬유 안내 구성요소들이 돌출된다. 한 섹션의 모든 플레이트들은 분리 표면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 다수의 폴딩-드로잉 유닛들은 섹션 내에 병렬로 결합된다. 하나의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8개의 작업 위치가 결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딩-드로잉 유닛은 4개의 롤러 쌍을 포함한다. 이들 중 2개는 수직으로 놓이고 2개는 수평으로 놓인다. 롤러 쌍의 구성은 3개의 드래프트 영역-예비 드래프트 영역, 폴딩 영역 및 주 드래프트 영역-을 생성한다.
폴딩-드로잉 유닛은 3가지 형태의 가압 아암-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가압 아암, 긴 가압 아암 및 짧은 가압 아암-을 또한 포함한다.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가압 아암에서, 2개의 공동-진행 롤러는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의 양편상에 장착되고,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은 구동 롤러에 대해 가압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드로잉 유닛은 이중 폴딩-드로잉 유닛으로 또한 지칭되며, 이는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2개의 수직 가압 아암이 입력측 상에 평행하게 구성되고 쌍으로 작업하는 하류 가압 아암에 재료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가장 작은 유닛에 4개의 가압 아암이 존재한다.
긴 가압 아암은 플레이트와 예비 드래프트 영역 아래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긴 가압 아암은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긴 가압 아암은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지지하고, 선택적으로 한 쌍의 안내 롤러 그리고 대응부와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압 롤러를 지지하고, 하부 역전 레일을 지지한다.
재료 진행 방향에서 볼 때, 짧은 가압 아암은 주 드래프트 영역 외부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장 또는 안내 롤러 및/또는 한 쌍의 가압 롤러들은 제3 롤러 쌍과 긴 가압 아암 상의 역전 레일 쌍 사이에 배치된다. 인장 및 안내 요소들에 의해, 니팅 머신에 공급되는 드로잉될 테이프가 안내된다. 가압 롤러 쌍은 테이프들 사이에 섬유 재료를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가압 아암에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내에 지지되는 롤러들을 구동시키기 위해,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은 한 쌍의 구동 롤러들에 대해 가압된다.
구동 롤러들은 바람직하게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내에 지지되는 롤러들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롤러에 대한 구동 롤러의 직경 비율은 예를 들어 5:3이다. 드로잉 슬라이버의 진행 방향에서,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내에 지지되는 제1 롤러는 관련된 구동 롤러에 대해 래그(lag)를 갖고,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내에 지지되는 제2 롤러는 관련된 구동 롤러에 대해 리드(lead)를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원하는 베어링이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내에 지지되는 롤러 및 관련된 구동 롤러를 위한 베어링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내에 지지되는 롤러 및 관련된 구동 롤러의 회전 속도 때문에, 이러한 롤러들을 장착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활주 베어링을 이용하면 충분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롤러의 샤프트는 플라스틱 활주 베어링의 슬리브 내에 장착된다. 치형 벨트 기어휠이 바람직하게 샤프트의 단부에 제공되고, 그것에 의해 샤프트가 구동된다. 치형 벨트 기어휠의 반대편의 샤프트 단부에는 트리밍된 커버링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슬리브 자체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구성요소 내에 위치하거나 플레이트 바로 뒤에 위치된다.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내에 지지되는 롤러들과 각각 롤러 쌍을 형성하는 구동 롤러들은 바람직하게 치형 벨트 또는 평 기어 세트(sets of spur gears)에 의해 구동되고, 특히 모든 구동 롤러들이 치형 벨트 또는 평 기어 세트에 의해 서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머신 내에서 진행되는 치형 벨트는 1:1의 변속 비율로 그 토크를 3방향 기어 메커니즘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 토크는 구동 롤러 상으로 전달된다. 필요한 인장 드래프트는 예를 들어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이 가압하는 구동 롤러들과 제3 롤러 쌍의 구동 롤러의 상이한 직경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내에 지지되는 롤러를 구동 롤러에 대해 가압하기 위해, 제1 필러 부재가 드로잉 유닛 그룹 내, 예를 들어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내에 수용되고, 제2 필러 부재가 구동 롤러들 사이에 수용되며,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또는 이웃하는 폴딩-드로잉 유닛의 제1 필러 부재를 가압하는 플런저가 제2 필러 부재 내에 내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긴 가압 아암은 제3 롤러 쌍을 위해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를 갖고, 그 롤러들은 동일한 원주 속도로 반대 방향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3 롤러 쌍은 바람직하게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갖는다. 제3 롤러 쌍의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의 중심간 거리는 롤러들의 직경과 롤러에 걸쳐 진행되는 테이프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롤러들의 동일한 원주 속도를 실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기어휠은 바람직하게 샤프트 상에 각각 구성되고, 롤러 쌍의 기어휠들은 각각 동일한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놓인다. 롤러 쌍의 롤러들의 동일한 롤러 직경에 의해, 기어휠은 1:1의 변속 비율를 갖는다. 기어휠은 인벌류트 치형(involute toothing)을 갖는 것이 또한 특히 바람직하다.
롤러 쌍의 롤러들의 서로에 대한 필수 압력은 특히 롤러들에 걸쳐 진행되하는 테이프를 포함한 롤러들의 직경을 기어 스테이지의 관련된 롤링 써클 보다 더 크게 하여 또한 달성된다.
롤러 쌍의 롤러들은 서로를 가압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예를 들어 스프링 또는 공압식에 의한 압축 압력을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장 및 안내 요소들은 플랜지가 달린 휠을 갖는 롤러로서 형성되고, 테이프는 플랜지가 달린 휠 상에 안내된다. 이는 테이프가 롤러 상에서 임의로 미끄러져 그들의 의도된 위치를 벗어나고, 이것이 니팅 머신 작동의 교란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가압 롤러 쌍은 설정될 수 있는 역전 레일 쌍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 위치한다. 게다가, 역전 레일 쌍은 바람직하게 또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역전 레일 쌍은 피벗되거나 변위될 수 있다. 하부 역전 레일을 피벗 및/또는 변위시키기 위해, 피벗가능하고 변위가능한 실린더가 바람직하게 긴 가압 아암 내에 수용된다. 실린더를 변위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나사를 이용할 수 있고 나사를 돌림으로써 실린더를 변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정확한 설정이 가능하다. 게다가, 나사 사용은 실린더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실린더를 피벗할 때 피벗 각도 고정은 예를 들어 클램핑 연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긴 가압 아암의 설정은 긴 가압 아암을 피벗 지점과 바람직하게 예비 드래프트 영역 내에 놓이는 고정 지점에 장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긴 가압 아암이 섹션의 일부이며 그 위에는 구동 요소들이 구성되고 그 아래에는 섬유-안내 구성요소들이 돌출되는 플레이트로 받쳐지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가 받침대(bracing)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짧은 가압 아암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짧은 가압 아암의 이동가능한 장착은 예를 들어 변경 장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송 롤러 쌍에는 바람직하게 흡입 장치가 할당되고 추가적으로 송풍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송풍 장치를 떠나는 가스 스트림이 섬유들을 흡입 장치의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흡입 장치는 섬유 보풀(fluff)을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 롤러들을 하류 스피닝 튜브를 갖는 스피닝 노즐이 뒤따르고, 이것은 니팅 장치에서 개방된다.
섬유-안내 구성요소들, 특히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가압 아암, 즉 긴 가압 아암 및 짧은 가압 아암을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섹션의 일부이며 그 위에 구동 요소들이 구성되고 그 아래에 섬유-안내 구성요소들이 돌출되는 플레이트 상에 측벽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측벽에는 긴 가압 아암의 피벗 지점과, 제3 롤러 쌍 및 이송 롤러 쌍의 구동 롤러들을 위한 베어링 위치들이 형성된다. 베어링 위치들은 단순 조립체를 위해, 특히 분할 베어링으로서 구성된다.
이송 롤러 쌍의 구동 롤러는 측벽 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섹션으로 결합되는 이중 폴딩-드로잉 유닛은 공통 구동 요소들을 갖는다. 이 경우에,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롤러 쌍, 제3 롤러 쌍 및 이송 롤러 쌍들의 구동 롤러들은 하나의 구동 요소에 의해 공동으로 구동된다. 적절한 기어 메커니즘을 갖는 전기 모터가 예를 들어 구동 요소 역할을 한다. 이중 폴딩-드로잉 유닛의 구동 롤러들을 위한 공통 구동부 외에도, 다수의 이중 폴딩-드로잉 유닛, 특히 하나의 섹션의 모든 이중 폴딩-드로잉 유닛의 구동 롤러들을 공통 구동부 요소로 구동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평행하는 이중 폴딩-드로잉 유닛들의 대응 구동 롤러들은 각각 공통 구동 요소들에 의해 또한 구동될 수 있다.
순환하는 치형 벨트를 갖는 구조에서, 토크가 앵글 기어 메커니즘에 의해 이송 롤러 쌍의 구동 롤러들로 전달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토크는 바람직하게 계단식 상승 변속기(stepped-up transmission)를 갖는 앵글 기어 메커니즘에 의해 도입된다. 앵글 기어 메커니즘을 계단식 상승 변속기와 유사하게 치형 벨트 스테이지가 뒤따르며, 이것에 의해 이송 롤러 쌍의 구동 롤러가 구동된다.
바람직하게 구성된 폴딩-드로잉 유닛의 상류는 투관침(trocar)로 알려진 유도 요소이고, 이는 슬라이버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원형 구조인 투관침의 단부는 내로우잉(narrowing)을 갖고, 섬유의 길들임 운전(running in)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납작한 세장형 단면은 폴딩 작동을 안정화시킨다.
폴딩-드로잉 유닛 내에서 생성된 실(thread)을 예를 들어 하류 니팅 장치, 예를 들어 환편기로 공급하기 위해, 폴딩-드로잉 유닛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정가능한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고, 노즐 조립체 내에 스피닝 노즐이 변위가능하게 수용되며 스피닝 노즐은 이송 롤러 쌍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interstice)과 정렬된다. 스피닝 노즐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가스 스트림, 특히 공기 스트림은 예를 들어 개별 스피닝 노즐 내에 놓이는 압축-공기 채널에 의해 제공된다.
노즐 조립체 내에는 그 안에서 짧은 가압 아암이 이동할 수 있는 간격(clearance)이 또한 바람직하게 수용된다. 이는 이송 롤러 쌍에 대해 스피닝 노즐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스피닝 노즐 및 스피닝 노즐을 따르는 스피닝 튜브는 니팅 헤드(8.1)쪽으로 25°내지 45°의 각도, 예를 들어 30°의 각도로 테이퍼지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역전 레일 쌍의 상부 역전 레일은 바람직하게 바 및 제2 바 내에 피벗가능한 스핀들과 함께 역전 레일 캐리어에 의해 장착된다. 제2 바는 바람직하게 스피닝-니팅 장치의 하우징에 맞춰 높이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다. 높이 조정을 위해, 안내 칼럼이 예를 들어 이용될 수 있다. 높이를 설정하기 위해, 스프링/나사 시스템이 예를 들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이하의 설명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폴딩-드로잉 유닛을 도시한다.
도 1a는 긴 가압 아암을 도시한다.
도 2는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롤러 쌍들의 구동 롤러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가압 아암에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4는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롤러 쌍들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서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롤러 쌍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예비 드래프트 그룹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제3 롤러 쌍을 도시한다.
도 8은 긴 가압 아암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도 8a는 긴 가압 아암 상의 하부 역전 레일의 장착을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9는 역전 레일 쌍의 역전 레일들의 서로에 대한 가능한 위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실을 수용하기 위한 흡입 및 송풍 장치를 도시한다.
도 11은 폴딩-드로잉 유닛의 측벽 구성을 도시한다.
도 12는 제3 롤러 쌍의 구동 샤프트의 피벗 장착부를 도시한다.
도 13은 8개의 작업 위치를 갖는 하나의 섹션을 저면도로 도시한다.
도 14는 하나의 섹션을 위한 지지 구조체를 도시한다.
도 15는 노즐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16은 상부 역전 레일을 위한 조정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폴딩-드로잉 유닛이 도시된다.
폴딩-드로잉 유닛에서, 플레이트(1) 상에 2개의 측벽(1.1)이 제공되고, 그 안에 개별 구성요소들이 장착된다. 플레이트(1) 위로는 구동 요소들을 위한 설치 공간이 있고, 그 아래로는 섬유-안내 구성요소들을 위한 설치 공간이 있다.
재료의 진행 방향으로, 이하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다.
투관침(2)이 플레이트(1) 및 측벽(1.1)들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워크 내에 삽입 가능하게 배치된다. 투관침(2)은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제1 롤러 쌍(WI/W1)까지 드로잉 슬라이버를 안내한다. 투관침(2)의 일 단부는 제1 롤러 쌍(WI/W1)의 축방향으로 세장형 단면을 갖는다. 그 결과, 드로잉 슬라이버는 제1 롤러 쌍의 롤러(WI, W1)들의 전체 너비에 걸쳐 분산되어 폴딩 영역에서 재료 폴딩이 향상된다.
제1 롤러 쌍(WI/W1) 외에도, 예비 드래프트 영역은 추가적으로 제2 롤러 쌍(WⅡ/W2)을 포함한다. 제1 롤러 쌍(WI/W1)과 제2 롤러 쌍(WⅡ/W2) 양자는 각각 구동 롤러(WI, WⅡ)를 포함한다.
제2 롤러 쌍(WⅡ/W2)의 90°방향으로 제3 롤러 쌍(WⅢ/W3)이 이어진다. 제2 롤러 쌍(WⅡ/W2)과 제3 롤러 쌍(WⅢ/W3) 사이에는 폴딩 영역이 제공된다. 제3 롤러 쌍의 롤러(WⅢ/W3)들은 한 쌍의 역전 레일을 형성하는 역전 레일(4, 4.1)에 걸쳐 공지된 방식으로 진행되는 테이프(3, 3.1)들을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장 또는 안내 롤러(5, 5.1)들은 제3 롤러 쌍의 롤러(WⅢ/W3)들과 역전 레일들(4, 4.1)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인장 또는 안내 롤러(5, 5.1)들은 바람직하게 탄력적으로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장 및 안내 롤러(5, 5.1)들 사이에는, 테이프(3, 3.1)들 사이에서 섬유 재료를 클램핑하는 역할을 하는 가압 롤러 쌍(6, 6.1)이 또한 배치된다.
이송 롤러 쌍(WⅣ/W4)이 제3 롤러 쌍(WⅢ/W3)을 뒤따른다. 섬유 진행 방향으로, 이송 롤러(WⅣ/W4) 쌍의 하류에는 스피닝 노즐(7)이 스피닝 튜브(8)와 함께 배치된다. 스피닝 튜브(8)는 니팅 장치, 예를 들어 환편기의 니팅 헤드에서 개방된다.
제3 롤러 쌍(WⅢ/W3)의 종동 롤러(W3)는 긴 가압 아암(12) 상에 진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긴 가압 아암(12)은 본원에서 작업 위치로 도시되었으며, (점선으로) 선회된 위치(the pivoted-out position)에 또한 도시되었다.
폴딩-드로잉 유닛은 짧은 가압 아암(15)을 또한 포함한다. 짧은 가압 아암(15)은 스핀들(15.1) 상에 장착되고 이중 레버로서 구성된다. 가압 실린더(15.2)가 짧은 가압 아암(15) 상에 작용한다. 가압 아암(15)에는 변경 장치(미도시)가 할당되고, 이것이 스핀들(15.1)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 결과, 이송 롤러(W4, WⅣ)의 "길들임 운전(running in)"이 방지된다.
캐리어(17)가 플레이트(1)에 연결된다. 캐리어(17)는 인장 및 안내 롤러(5)와 가압 롤러(6)를 지지한다. 가압 롤러(6)는 긴 가압 아암(12)의 가압 롤러(6.1)에 대해 인장된다. 공압식 장치(17.1)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이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긴 가압 아암(12)의 가압 롤러(6.1)에 대해 가압 롤러(6)를 인장하기 위해 스프링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1a는 긴 가압 아암을 도시한다. 제3 롤러 쌍(WⅢ/W3)의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W3)는 긴 가압 아암(12) 내에 수용된다. 본원에 도시된 실시예는 공압 실린더(11.1)와 레버(11.2)를 포함하는 가압 메커니즘(11)을 또한 포함한다. 가압 메커니즘(11)에 의해, 종동 롤러(W3)는 구동 롤러(WⅢ)를 가압한다.
긴 가압 아암(12)에는 인장 및 안내 롤러(5, 5.1) 형태의 테이프 인장 수단이 제공된다. 인장 및 안내 롤러(5, 5.1)들은 플랜지가 달린 휠을 갖는 볼-장착 롤러로서 구성되고 종동 롤러(W3) 바로 옆에 놓인다. 이들의 대응부는 구동 롤러(WⅢ) 옆에 대응하게 놓인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테이프(3, 3.1)의 완전한 진행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구성이 그러한 것처럼 테이프(3, 3.1)가 부풀어 오르지(billow out)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분명하다.
긴 가압 아암(12) 내에는 가압 롤러 쌍(6, 6.1)이 또한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가압 롤러 쌍(6, 6.1)은 이송 롤러(WⅣ, W4)들에 대해 소정 거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거리는 섬유의 스테이플 길이에 대응하도록 선택된다. 가압 롤러(6, 6.1) 중 하나는 고정 장착되고 대응부는 진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압 롤러(6)는 바람직하게 고정 장착되고, 긴 가압 아암(12) 내에 수용되는 가압 롤러(6.1)는 진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는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롤러 쌍의 구동 롤러들의 단면을 도시한다.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롤러 쌍의 구동 롤러(WI, WⅡ)들의 샤프트(9) 상의 일단에는 치형 벨트 기어휠(9.1)이 제공되고 타단에는 트리밍된 커버링(9.2)이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리밍된 커버링(9.2)은 나사를 갖는 와셔에 의해 샤프트(9) 내에 고정된다. 도시된 고정부 외에도, 트리밍된 커버링(9.2)은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원하는 다른 방법으로 또한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9)는 플라스틱 활주 베어링(9.4)에 의해 슬리브(9.3) 내에 장착된다. 특히 환편기에서 사용되기 위한 스피닝 장치는 보통 많은 개수의 작업 위치를 포함한다. 샤프트가 양쪽 상에 각각 장착되기 때문에, 베어링 위치의 개수는 작업 위치의 개수의 두 배이다. 통상적인 환편기의 경우에, 수 백개의 베어링 위치가 있을 수 있다. 제1 롤러 쌍 및 제2 롤러 쌍의 구동 롤러(WI, WⅡ)들은 비교적 천천히 회전하기 때문에, 다른 베어링에 비해 훨씬 저렴한 플라스틱 활주 베어링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가압 아암(10)에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이 도시된다.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에는 제1 롤러 쌍 및 제2 롤러 쌍의 종동 롤러(W1, W2)들이 제공된다. 롤러(W1, W2)들은 금속적으로 매끄럽고, 제1 롤러 쌍 및 제2 롤러 쌍의 종동 롤러(WI, WⅡ)들처럼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본원에 도시되지 않은 플라스틱 활주 베어링 내에서 진행된다.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롤러 쌍의 배치가 도 4에 도시된다. 예비 드래프트 영역은 제1 롤러 쌍(WI/W1) 및 제2 롤러 쌍(WⅡ/W2)을 포함한다. 구동 롤러(WI, WⅡ)들은 바람직하게 종동 롤러(W1, W2)들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이 경우에 제1 롤러 쌍 및 제2 롤러 쌍의 종동 롤러(W1, W2)들 및 구동 롤러(WI, WⅡ)들은 바람직하게 동일한 크기를 각각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종동 롤러(W1, W2) 직경에 대한 구동 롤러(WI, WⅡ) 직경의 비율은 약 5:3이다. 종동 롤러(W1, W2)들은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 내에 장착된다.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은 바람직하게 중간부에 힘(F)이 실려서, 종동 롤러(W1, W2)들이 구동 롤러(WI, WⅡ)를 가압한다.
종동 롤러(W1, W2)들은 바람직하게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폴딩-드로잉 유닛의 종동 롤러들 보다 더 작게 유지된다. 공지된 드로잉 유닛에서는, 더 작은 롤러들이 랩 형성(lap formation)을 허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처럼 더 작은 직경은 회피된다.
구동 롤러(WI, WⅡ)들의 중심간 거리는 바람직하게 종동 롤러(W1, W2)들의 중심간 거리보다 크거나 또는 작도록 선택된다. 특히 종동 롤러(W1, W2)의 중심간 거리는 구동 롤러(WI, WⅡ)의 중심간 거리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자체 세정 효과가 있고, 제3 롤러 쌍(WⅢ/W3)의 방향에서 볼 때 재료의 분명한 출현(clear emergence)이 가능하다(즉, 재료가 흔들리지(waver) 않아서 폴딩이 방해받지 않음).
롤러(WI, WⅡ 및 W1, W2)들이 모든 면상에서 외접 직사각형(11)과 접하도록 롤러(W1, W2)들의 중심간 거리와 롤러(WI, WⅡ)들의 중심간 거리가 선택되면 특히 바람직하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롤러 쌍의 단면을 도시한다.
제1 롤러 쌍 및 제2 롤러 쌍의 롤러(W1, W2)들이 지지되는,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은 제1 필러 부재(10.2)를 둘러싼다. 제2 필러 부재(10.3)가 구동 롤러(WI, WⅡ)들 사이에 수용된다. 폐쇄 채널이 제1 필러 부재(10.2)와 제2 필러 부재(10.3) 사이에 형성되고, 이 안에서 섬유 재료가 진행된다. 중심간 거리가 더 크게 선택될 때, 제1 필러 부재(10.2) 또는 제2 필러 부재(10.3)는 노우즈(10.4)를 가질 수 있고, 이는 드래프팅 작업을 안정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웃하는 폴딩-드로잉 유닛의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 상에 힘(F)을 가하는 플런저(10.5)는 제2 필러 부재(10.3) 내에 수용된다.
도 6에서, 예비 드래프트 그룹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예비 드래프트 그룹에서, 다수의 폴딩-드로잉 유닛들이 하나의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다. 각각의 폴딩-드로잉 유닛의 예비 드래프트 영역은 투관침(2), 제1 롤러 쌍(WI/W1), 제2 롤러 쌍(WⅡ/W2), 그 위에 노우즈(10.4)가 형성된 제1 필러 부재(10.2), 이 도면에서만 나타나는 제2 필러 부재(10.3), 플런저(10.5) 및 제1 롤러 쌍(WI/W1) 및 제2 롤러 쌍(WⅡ/W2)의 롤러들에 대해 90°회전된, 이웃하는 폴딩 영역의 제3 롤러 쌍(WⅢ/W3)의 구동 롤러(WⅢ)를 포함한다.
도 7에서, 제3 롤러 쌍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어 스테이지(13)가 제3 롤러 쌍의 구동 롤러(WⅢ)와 종동 롤러(W3) 사이에 배치된다. 기어 스테이지(13)에 의해, 롤러(WⅢ, W3)들에 걸쳐 진행되는 테이프(3, 3.1)들 사이의 동기식 진행이 향상된다. 기어 스테이지(13)는 1:1의 변속 비율을 갖는다. 중심간 거리의 변화에 둔감한 인벌류트 치형(involute toothing)이 기어 스테이지(13)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롤러(WⅢ, W3) 상에서 진행되는 테이프(3, 3.1)들은 압력을 받아 서로 접촉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롤러(WⅢ, W3)들의 이론상으로 정확한 중심간 거리가 약간 초과되어 롤러 원(13.2)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테이프(3, 3.1)의 접촉을 확실히 하기 위해, 중심간 거리는 롤러 원(13.2)의 직경과 테이프(3, 3.1)의 두께의 합보다 작다. 테이프들의 동기식 진행은 압력을 받아 테이프와 접촉함으로써 보장된다.
도 8은 긴 가압 아암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하고, 도 8a는 긴 가압 아암 상의 하부 역전 레일의 장착을 단면도로 도시한다.
긴 가압 아암(12)의 측벽(12.1) 내, 실린더(12.2)가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고정 가능하게 장착된다. 실린더(12.2) 내에서 안내되는 포크-형상의 가압 아암 캐리어(12.3)가 제공된다. 그 안에 부분적으로 실린더(12.2) 내에서 안내되고 나사로 조일 수 있는 슬리브(12.5)에 의해 고정되는 실린더 나사(12.4)가 맞물린다. 실린더 나사(12.4)의 회전은 가압 아암 캐리어(12.3)가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게 한다. 실린더(12.2)의 회전은 가압 아암 캐리어(12.3)가 피벗되게 한다. 그 결과, 이송 롤러 쌍(WⅣ/W4)에 대한 하부 역전 레일(4.1)의 정확한 설치가 가능해진다.
도 9에서, 역전 레일 쌍의 역전 레일(4, 4.1)의 서로에 대한 가능한 위치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역전 레일(4, 4.1)을 음성 입구 너비(negative mouth width)(4.3)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져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역전 레일들은 서로 예를 들어 클립으로 공지된 스페이서를 삽입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고,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 크게 선택되는 거리(입구 너비)에 위치한다.
도 1에서, 하나의 섹션의 플레이트(1)에 대한 긴 가압 아암(12)의 체결이 도시된다. 긴 가압 아암(12)은 피벗 지점(14)과 고정 지점(14.1) 내에 놓인다. 긴 가압 아암(12)은 예를 들어 해제가능한 체결 수단(14.2)에 의해 이 위치에 보유된다. 해제가능한 체결 수단(14.2)로서 적절한 예는 나사이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신속하게 개방되고 잠금될 수 있는 로킹 메커니즘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이 구조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구조에서와 같이 역전 레일 쌍(4, 4.1)이 어느 경우에도 이송 롤러 쌍(WⅣ/W4)을 가압하지 않게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도 10에서, 이송 롤러 쌍(WⅣ/W4)을 위한 흡입 및 송풍 장치가 도시된다. 보통, 원하지 않는 롤러 랩을 피하기 위해, 드로잉 유닛 내에는 경질의 이송 롤러(hard delivery roller)에 흡입 장치가 제공된다. 폴딩-드로잉 유닛은 매우 빠르게 구동되기 때문에, 추가 수단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이송 롤러(WⅣ/W4)에는 흡입 장치(16.1) 및 송풍 장치(16.2)가 할당된다. 흡입 장치(16.1)들은 보통의 형태의 것이고, 송풍 노즐(16.2)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각각의 흡입 장치(16.1)에는 2개의 송풍 노즐(16.2)이 할당되고, 펼쳐진 섬유(splayed fibres)가 흡입 장치쪽으로 안내되도록 공기 스트림이 유도된다.
이송 롤러(WⅣ/W4)들의 흡입 장치(16.1) 및 송풍 장치(16.2)는 짧은 가압 아암(15)에 연결되고 그것을 따라 피벗된다.
도 11은 하나의 섹션의 측벽(1.1) 구조를 도시한다. 플레이트(1) 상에 2개의 측벽(1.1)이 제공된다. 스핀들에 의해 형성되는 긴 가압 아암(12)의 피벗 지점(14)은 측벽(1.1)과 전면 벽(1.1.1)에 의해 형성되는 분할 베어링 내에 위치한다.
유사하게 롤러(WⅢ)는 분할 방식으로 장착되고, 분할 베어링은 부분 벽 부재(1.1.2)를 이용하여 측벽(1.1)에서 구현될 수 있다. 테이프(3)가 변경되어야 하면, 롤러(WⅢ)는 간편한 방식으로 장착 해제될 수 있어 테이프(3)에 접근 가능하다. 해제는 부분 분해와 동등하지만 허용가능하다.
이송 롤러(WⅣ)의 장착부는 부분 벽 부재(1.1.3)를 갖는 분할 베어링으로써 구현되고, 짧은 가압 아암(15)의 스핀들(15.1)의 장착부는 측벽(1.1) 내 부분 벽 부재(1.1.4)를 갖는 분할 베어링으로써 구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롤러(WⅢ)는 일 측면 상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방식으로, 테이프(3)는 부분 벽 부재(1.1.3)만을 제거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제3 롤러 쌍(WⅢ/W3)의 구동 샤프트의 피벗 장착부는 도 12에서 도시된다.
도 13은 8개의 작업 위치를 갖는 하나의 섹션을 저면도로 도시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나란히 배치된 8개의 작업 위치들이 존재한다.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구동 롤러(WI, WⅡ)들과 구동 롤러(WⅢ, WⅣ)들이 도시되었다.
구동 롤러(WI)들은 공통 드라이브를 갖고, 이는 예를 들어 치형 벨트 또는 평기어 세트에 의해 구현된다. 구동 롤러(WⅡ)의 드라이브는 동일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롤러(WⅡ)들과 롤러(WⅢ)들 사이에는 인장 드래프트 비율이 존재한다. 드라이브의 바람직한 구조에서, 3방향 기어 메커니즘이 이용되고, 이는 공간적으로 직각이며 그 제1 수직 출력(vertical output)은 롤러(WⅡ)에 연결되고 수평 출력은 롤러(WⅢ)를 구동시킨다. 변속 비율은 1:1이고, 인장 드래프트는 상이한 직경을 갖는 롤러(WⅡ, WⅢ)들에 의해 구현된다. 예를 들어, 롤러(WⅢ)의 직경은 롤러(WⅡ)의 1.2배이다. 이 경우에 직경의 차이는 롤러(WⅡ, WⅢ)의 원하는 원주 속도 차이가 구현되도록 선택된다.
이송 롤러(WⅣ)는 개별적으로 구동되며, 즉 롤러(WI, WⅡ 및 WⅢ)들을 위한 드라이브들과 독립적이다.
롤러들의 드라이브는 예를 들어 서보모터에 의한 것으로, 이는 중앙 드라이브로 또는 개별 드라이브들로서 설계된다. 개별 드라이브들의 경우에, 다양한 패터닝 가능성이 획득된다.
중앙 드라이브가 이송 롤러(WⅣ)를 위해 선택되면, 순환하는 치형 벨트 드라이브가 제공되며, 이는 공간에 수평으로 놓인다. 순환 치형 벨트 드라이브는 각도 드라이브를 구동시키고, 이는 바람직하게 90°의 각도를 갖는다. 각도 드라이브는 계단식 상승 변속(stepped-up transmission)을 갖는다. 작업 사이드에서 치형 벨트와 기어휠은 변속 결합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순환하는 치형 벨트의 원주 속도를 처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하나의 섹션에서 8개의 작업 위치를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는 예를 들어 니팅 장치의 실린더 직경이 30인치 일 때 48개 또는 72개의 시스템이 실현되게 한다. 더 많은 시스템이 요구되는 경우, 실린더 직경은 더 크게 선택된다.
단일 니트는 꼬이기 쉽고, 이는 실의 꼬임(the twists of the yarn)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대부분은 그와 무관하다. 오히려, 이 부정적인 효과는 실린더 직경과 작업 위치의 수에 의존한다. 이런 의미에서, 최고의 니트는 오직 하나의 니팅 시스템만이 존재할 때 획득된다. 따라서 본원에서 72개 이상의 시스템이 존재할 때는 더 큰 실린더 직경에 의존할 것을 권장한다.
도 1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체(20)가 도시된다. 이는 다수의 칼럼(20.1)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캐리어(20.2)에 연결된다. 캐리어(20.2)들은 각각의 링(20.3)에 의해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이 링은 다수의 요소들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개별 섹션들은 캐리어(20.2)들 사이에서 가압되고 나사로 조여진다. 전체 조립체는 니팅 머신의 구조에 최소한의 영향만을 미치는 매우 강성의 공간적 지지 구조를 갖는다. 링 구조 위에, 지지 구조체(20)가 패널링(20.4)으로 덮인다.
도 15에서, 스피닝 노즐(7)을 지지하는 조정 노즐 조립체(18)가 도시된다. 노즐 조립체(18)는 플레이트(1)와 평행한 방향과 플레이트(1)에 대해 직각인 방향 모두로 설치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1)에 연결된다. 노즐 조립체(18) 내에는 압축된 공기를 위한 공급 라인이 위치한다. 간격(18.3)이 제공되고, 짧은 가압 아암(15)이 그 사이에서 진행된다. 스피닝 튜브(8)는 스피닝 노즐(7) 내에 끼워맞춤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짧은 가압 아암(15)이 피벗(pivoted out)될 때 스피닝 노즐(7) 및 스피닝 튜브(8)와 함께 노즐 조립체(18)가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6에서, 역전 레일(4, 4.1)의 장착부(19)가 도시된다. 플레이트(1) 내에 안내 칼럼(19.1)이 놓인다. 바(19.2)가 안내 칼럼(19.1) 내에서 진행되고, 바(19.3)는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핀들(19.7)에 의해 연결된다. 다수의 역전 레일 캐리어(19.4)가 바(19.3)에 장착된다. 각각은 이중 폴딩-드로잉 유닛에 속하는 역전 레일 쌍(4, 4.1)을 지지한다. 이 구조는 테이프(3)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한다.
높이는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19.8)에 대해 진행되는 나사(19.6)에 의해 조정된다. 각도는 바(19.3)에 견고하게 연결된 스핀들(19.7)을 중심으로 피벗하여 조정된다. 피벗은 교정가능한 메커니즘(calibratable mechanism)(19.9)에 의해 측벽(1.1) 바깥에서 시작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모든 역전 레일(4, 4.1)을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가져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기능적 요소들의 구성은 보통의 니팅 머신으로는 생산될 수 없는 특수 니트웨어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개별 이중 폴딩-드로잉 유닛들은 패터닝 관련 정보를 갖고 머신이 작동되는 동안 활성화되며, 이는 생산된 실 또는 생산된 실들의 미세도(fineness)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많은 설계 가능성에 열려 있다.
1 : 플레이트
1.1 : 측벽
1.1.1 : 전면 벽
1.1.2 : 부분 벽 부재
1.1.3 : 부분 벽 부재
1.1.4 : 부분 벽 부재
2 : 투관침
3, 3.1 : 테이프
4 : 상부 역전 레일
4.1 : 하부 역전 레일
4.3 : 입구 너비
5, 5.1 : 인장 및 안내 롤러
6, 6.1 : 가압 롤러 쌍
7 : 스피닝 노즐
8 : 스피닝 튜브
8.1 : 니팅 헤드
9 : 샤프트
9.1 : 치형 벨트 기어휠
9.2 : 트리밍된 커버링
9.3 : 슬리브
9.4 : 플라스틱 활주 베어링
10 :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가압 아암
10.1 :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
10.2 : 제1 필러 부재
10.3 : 제2 필러 부재
10.4 : 노우즈
10.5 : 플런저
11 : 가압 메커니즘
11.1 : 공압식 실린더
11.2 : 레버
12 : 긴 가압 아암
12.1 : 측벽
12.2 : 실린더
12.3 : 가압 아암 캐리어
12.4 : 실린더 나사
12.5 : 슬리브
13 : 기어 스테이지
13.2 : 롤링 써클
14 : 피벗 지점
14.1 : 고정 지점
14.2 : 해제가능한 체결 수단
15 : 짧은 가압 아암
15.1 : 짧은 가압 아암의 스핀들
15.2 : 가압 실린더
16.1 : 흡입 장치
16.2 : 송풍 노즐
17 : 캐리어
17.1 : 공압식 인장 장치
18 : 노즐 조립체
18.3 : 간격
19 : 장착부
19.1 : 안내 칼럼
19.2 : 바
19.3 : 바
19.4 : 역전 레일 캐리어
19.6 : 나사
19.7 : 스핀들
19.8 : 압축 스프링
19.9 : 교정가능한 메커니즘
20 : 지지 구조체
20.1 : 칼럼
20.2 : 캐리어
20.3 : 링
20.4 : 패널링
WI : 제1 롤러 쌍의 구동 롤러
WⅡ : 제2 롤러 쌍의 구동 롤러
WⅢ : 제3 롤러 쌍의 구동 롤러
WⅣ : 이송 롤러 쌍의 구동 롤러
W1 : 제1 롤러 쌍의 종동 롤러
W2 : 제2 롤러 쌍의 종동 롤러
W3 : 제3 롤러 쌍의 종동 롤러
W4 : 이송 롤러 쌍의 종동 롤러

Claims (21)

  1. 2개의 작업 위치를 갖는 스피닝-니팅 장치를 위한 폴딩-드로잉 유닛이며,
    -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을 각각 갖는 2개의 가압 아암(10)으로서,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은 2개의 롤러(W1, W2)를 지지하는, 가압 아암(10),
    - 제3 롤러 쌍(WⅢ/W3)의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W3) 및 한 쌍의 역전 레일(4, 4.1)의 하부 역전 레일(4.1)을 갖는 긴 가압 아암(12) 및,
    - 한 쌍의 이송 롤러(WⅣ, W4)의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W4)를 갖는 짧은 가압 아암(15)을 차례로 포함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인장 및 안내 요소(5.1) 및/또는 한 쌍의 가압 롤러(6/6.1)는 제3 롤러 쌍(WⅢ/W3)과 역전 레일 쌍(4, 4.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은 한 쌍의 구동 롤러(WI, WⅡ)에 더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제1 필러 부재(10.2)가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에 수용되고, 제2 필러 부재(10.3)가 구동 롤러(WI, WⅡ)들 사이에 수용되고,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1) 또는 이웃하는 폴딩-드로잉 유닛의 제1 필러 부재(10.2)를 가압하는 플런저(10.5)가 제2 필러 부재(10.3)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긴 가압 아암(12)은 제3 롤러 쌍(WⅢ/W3)의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W3)를 갖고, 롤러(W3, WⅢ)들은 동일한 원주 속도로 반대 방향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제3 롤러 쌍의 롤러(WⅢ/W3)들의 중심간 거리는 제3 롤러 쌍의 롤러(WⅢ/W3)들의 직경과 제3 롤러 쌍의 롤러(WⅢ/W3) 위로 진행되는 테이프(3, 3.1)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3 롤러 쌍의 롤러(W3/WⅢ)들은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인장 및 안내 요소(5.1)는 플랜지가 달린 휠을 갖는 롤러로서 형성되고, 테이프(3.1)는 플랜지가 달린 휠 상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9. 제2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가압 롤러 쌍(6.1)은 설정될 수 있는 역전 레일 쌍(4.1)으로부터의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역전 레일 쌍(4, 4.1)의 하부 역전 레일(4.1)을 피벗시키고 변위시키기 위해, 피벗 가능하고 변위가능한 실린더(12.2)가 긴 가압 아암(12)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긴 가압 아암(12)이 피벗 지점(14)과 고정 지점(14.1)에 장착되고, 고정 지점(14.1)은 예비 드래프트 영역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짧은 가압 아암(15)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롤러 쌍(WⅣ/W4)에는 흡입 장치(16.1)가 할당되고, 이송 롤러 쌍(WⅣ/W4)은 추가적으로 송풍 장치(16.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송풍 장치(16.2)는 섬유가 흡입 장치(16.1)의 방향으로 흡입되도록 송풍 장치(16.2)를 떠나는 가스 스트림을 유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14. 제5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이 가압하는 구동 롤러(WⅡ)와 제3 롤러 쌍의 구동 롤러(WⅢ)의 상이한 직경에 의해 필요 인장 드래프트가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버 유도 요소를 포함하고, 이것은 꼬임으로부터 안전하고 예비 드래프트 영역의 제1 롤러 쌍(W1/WI) 쪽으로 편편한 단면을 구비하는 단부를 갖는 투관침(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스피닝 노즐(7)이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는 조정가능한 노즐 조립체(18)를 포함하고, 스피닝 노즐(7)은 이송 롤러 쌍(WⅣ/W4)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interstice)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짧은 가압 아암(15)이 안내되는 간격(clearance)은 노즐 조립체(18)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스피닝 노즐(7) 및 스피닝 노즐(7)을 따르는 스피닝 튜브(8)는 니팅 헤드쪽으로 25°내지 45°의 각도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역전 레일 쌍(4/4.1)의 상부 역전 레일(4)은 바(19.3) 및 제2 바(19.2) 내의 피벗가능한 스핀들(19.8)과 함께 역전 레일 캐리어(19.4)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20. 제19항에 있어서,
    제2 바(19.2)는 스피닝-니팅 장치의 하우징에 맞춰 높이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드로잉 유닛.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한 항에 따른 적어도 2개의 폴딩-드로잉 유닛을 갖는 스피닝-니팅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이중 폴딩-드로잉 유닛이 하나의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니팅 장치.
KR1020147010075A 2011-09-21 2012-09-20 스핀-니트 머신을 위한 폴딩-드로잉 시스템 KR101982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001770 2011-09-21
DEPCT/DE2011/001770 2011-09-21
PCT/EP2012/003918 WO2013041220A1 (de) 2011-09-21 2012-09-20 Faltungsstreckwerk für eine spinnstrick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741A true KR20140075741A (ko) 2014-06-19
KR101982898B1 KR101982898B1 (ko) 2019-05-27

Family

ID=4791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075A KR101982898B1 (ko) 2011-09-21 2012-09-20 스핀-니트 머신을 위한 폴딩-드로잉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28438B2 (ko)
EP (1) EP2758576B1 (ko)
JP (1) JP6151698B2 (ko)
KR (1) KR101982898B1 (ko)
CN (1) CN103917707B (ko)
BR (1) BR112014006742B1 (ko)
IN (1) IN2014CN02121A (ko)
MX (1) MX341708B (ko)
TW (1) TWI510686B (ko)
WO (1) WO2013041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1671B2 (en) 2012-09-24 2017-09-26 Reinhard König Double-folding drafting unit
EP3031967B1 (de) * 2014-12-11 2019-02-27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aschenware
CN114670533B (zh) * 2022-04-06 2023-07-14 合肥德旺科技有限公司 一种高密度聚乙烯(hdpe)防排水过滤片自动化生产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4423A (ja) * 2002-12-20 2004-07-22 Mas Fab Rieter Ag ドラフト装置構造
US20090064719A1 (en) * 2006-02-13 2009-03-12 Reinhard Koenig Machine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from fibre material, in particula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20090090363A (ko) * 2006-12-03 2009-08-25 레인하르드 쾨니그 무연 섬유 재료를 이용한 편직물 생산용 환편기
KR20100019457A (ko) * 2007-06-14 2010-02-18 레인하르드 쾨니그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 재료를 이용하여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환편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9672A (en) * 1963-12-20 1967-01-24 Arnold W Schmid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knit pile fabric
US3226952A (en) * 1964-08-27 1966-01-04 Wildman Jacquard Co Method of knitting pile fabric
GB1452501A (en) * 1973-11-02 1976-10-13 York H Young B Knitting machines
US4006609A (en) * 1974-04-29 1977-02-08 Bunker Ramo Corporation Manufacturing of patterned deep pile circular knitted fabric
DE3269277D1 (en) * 1981-04-06 1986-04-03 Rieter Ag Maschf Device for drafting a roving in spinning machines
EP0159395A1 (de) * 1981-04-06 1985-10-30 Maschinenfabrik Rieter Ag Verfahren für Spinnmaschinen zur Bearbeitung eines Faserbandes
DE3247957A1 (de) * 1982-12-24 1984-06-28 Sulzer Morat Gmbh, 7024 Filderstadt Rund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strickwaren mit eingekaemmten fasern
DE3832060A1 (de) * 1988-09-21 1990-03-22 Zinser Textilmaschinen Gmbh Streckwerk fuer spinnereimaschinen
JPH0634374Y2 (ja) * 1990-07-03 1994-09-07 浪速機械工業株式会社 紡績機械のスピンドル駆動テープのバネ式テンション装置
US5134863A (en) * 1991-05-10 1992-08-04 Mayer Industries, Inc. Circular sliver knitting machine having increased carding capacity
US5685176A (en) * 1995-10-06 1997-11-11 Mayer Industries, Inc. Circular sliver knitting machine
DE19548840B4 (de) * 1995-12-27 2008-04-03 Rieter Ingolstadt Spinnereimaschinenbau Ag Strecke zum Doublieren und Verstrecken von Faserbändern
JPH09256228A (ja) * 1996-03-20 1997-09-3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紡機のドラフト方法及びドラフト装置
DE19851403B4 (de) * 1998-11-07 2009-11-12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Rund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Strickwaren mit eingekämmten Fasern
DE10005387A1 (de) * 2000-02-07 2001-08-09 Stahlecker Fritz Vorrichtung an einer Spinnmaschine zum Verdichten eines Faserverbandes
DE102008057668A1 (de) * 2008-04-24 2009-10-29 Wilhelm Stahlecker Gmbh Verdichtereinheit für ein Streckwerk einer Textilmaschine
CN201593085U (zh) * 2009-12-27 2010-09-29 桐乡市易德纺织有限公司 并条机罗拉加压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4423A (ja) * 2002-12-20 2004-07-22 Mas Fab Rieter Ag ドラフト装置構造
US20090064719A1 (en) * 2006-02-13 2009-03-12 Reinhard Koenig Machine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from fibre material, in particula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20090090363A (ko) * 2006-12-03 2009-08-25 레인하르드 쾨니그 무연 섬유 재료를 이용한 편직물 생산용 환편기
KR20100019457A (ko) * 2007-06-14 2010-02-18 레인하르드 쾨니그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 재료를 이용하여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환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17707A (zh) 2014-07-09
CN103917707B (zh) 2016-02-17
EP2758576A1 (de) 2014-07-30
MX2014003392A (es) 2014-09-25
JP6151698B2 (ja) 2017-06-21
KR101982898B1 (ko) 2019-05-27
MX341708B (es) 2016-08-31
BR112014006742B1 (pt) 2021-02-09
US20140223968A1 (en) 2014-08-14
IN2014CN02121A (ko) 2015-05-29
US9328438B2 (en) 2016-05-03
JP2014530965A (ja) 2014-11-20
TWI510686B (zh) 2015-12-01
WO2013041220A1 (de) 2013-03-28
BR112014006742A2 (pt) 2017-04-11
EP2758576B1 (de) 2016-06-22
TW201337056A (zh)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3710B (zh) 用于对包含纺织纤维的纤维束进行纤维分选或精选的设备
US7926306B2 (en) Machine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from fibre material, in particula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1497727B1 (ko)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 재료를 이용하여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환편기
KR101982898B1 (ko) 스핀-니트 머신을 위한 폴딩-드로잉 시스템
CN108914273B (zh) 一种纱线牵伸混合装置
CN103687985B (zh) 具有压实装置的纺纱机
CN107034557B (zh) 一种细纱机的双列皮圈引纱装置及其环锭细纱机与纺纱方法
JP2014114535A (ja) 空気紡績装置
EP3186419B1 (en) Device for producing cladded yarn
JP2016188444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ドラフト装置及び紡績機
US20190194834A1 (en) Drawing Frame for Drawing a Strand-Like Fiber Assembly and Textile Machine Equipped Therewith
JP2021066993A (ja) 紡績機のドラフト装置用の集束装置、ならびに集束装置用のドラフト装置
EP3153613A1 (en) Drafting device, spinning machine, and method of spinning technical field
CN1160780A (zh) 用于高支精纺机的牵伸装置
CN108893809B (zh) 一种单纱牵伸加工装置
CN108977945B (zh) 辊单元、牵伸装置以及纺纱机械
US20170088978A1 (en) Sliver Guide for a Drawing Frame, and Drawing Frame
JPH04300329A (ja) 繊維束を紡糸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精紡機
CN217378180U (zh) 一种圆机用分纱装置
WO2016006240A1 (ja) 空気紡績装置及び紡績機
CN219059237U (zh) 一种纱线用梳棉机
CN103132183A (zh) 纺纱机
JP2006009237A (ja) ドラフト機構ドラフト間隔のための調節装置
CN101466881B (zh) 纺纱机上工作站的分布
WO2013072847A1 (en) Spinn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