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849A -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담지 박막 및 박막화장료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담지 박막 및 박막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849A
KR20140068849A KR1020147000795A KR20147000795A KR20140068849A KR 20140068849 A KR20140068849 A KR 20140068849A KR 1020147000795 A KR1020147000795 A KR 1020147000795A KR 20147000795 A KR20147000795 A KR 20147000795A KR 20140068849 A KR20140068849 A KR 20140068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hin film
derivative
hyaluronic acid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아베
사토시 야마키
에리코 다케오카
도모코 기무라
나오미 구니사와
신지 다케오카
도시노리 후지에
고키 가바타
아키히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나노시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나노시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4006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급성, 보습효과, 요철보정효과가 우수한 박막 및 박막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박막은 (a)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기재막과, (b)지지체가 적층되어 있고, (a)막의 두께가 10 ~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담지 박막 및 박막화장료{THIN FILM SUPPORTING HYALURONIC ACID OR DERIVATIVE THEREOF AND THIN FILM COSMETIC}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담지(supporting) 박막 및 박막화장료로서, 특히 취급성, 보습효과, 요철보정효과가 우수한 박막, 박막화장료, 및 이를 사용한 미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팩 화장료는 피부를 일정 시간, 피막으로 피복함으로써, 피막에 배합한 약제 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팩 화장료로서는, 도포 후에 떼어내는 필오프 타입, 도포 후에 세정하는 씻어내는 타입, 시트를 점착한 후에 떼어내는 시트형 타입 등의 종류가 있다.
또한, 팩 화장료의 사용방법에 대한 규정은 없지만, 밤에 화장을 지운 후 10분 정도 실시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 중, 시트를 점착한 후 떼어내는 타입의 팩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어 덱스트린과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하여, 점착층을 갖는 시트상 팩 화장료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종래의 시트상 팩 화장료의 시트로서는, 부직포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팩 화장료는 부직포의 두께가 두껍고, 점착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기 곤란했다.
한편, 박막상 고분자 구조체로서는, 막의 표면과 이면에 기능성 물질을 갖는 구조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이 구조체는 스핀 코팅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
또한, 매체에 불용성인 고분자 초박막과 매체에 가용성인 고분자막으로 형성되는 나노시트 및 이를 사용한 고분자 초박막 분산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그러나,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02639호 국제공개 제2008/050913호 국제공개 제2011/04622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해야 할 과제는 얼굴에 붙여도 위화감(incompatibility)이 없을 정도로 얇고, 주야 불문하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박막, 박막화장료 및 이를 이용한 미용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이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a)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기재막과, (b)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고, (a)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기재막의 두께가 10 ~ 500㎚인 박막은 취급성, 보습효과, 요철보정효과가 우수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박막은 (a)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기재막과, (b)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고, (a)막의 두께가 10 ~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막에서, (b)지지체가 수용성 고분자막 또는 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에서, (a)막의 두께가 30 ~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에서, 기재막이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또는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에서, 스핀코팅법, 그라비어법, 마이크로그라비어법, 스프레이 코팅법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에서, 수용성 고분자막이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 폴리에테르 또는 그 유도체,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류, 고분자 전해질 또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에서, 천이 부직포 또는 메시(mesh)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박막화장료는, 상기 박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불균일성 개선용 박막화장료는, 상기 박막화장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눈가 및 입가용 박막화장료는, 상기 박막화장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상기 박막화장료의 사용방법은, 점착 직전에 수용성 고분자막을 용해 제거하고, 얻어진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기재막을,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가 피부에 접촉되도록 피부에 점착하여, 장시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상기 박막화장료의 사용방법은, 피부를 적시고 박막화장료를 점착하고 천(布)만을 박리하여 얻어진,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기재막을,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가 피부에 접촉되도록 피부에 점착하여, 장시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미용방법은, 상기 박막화장료를 피부에 점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미용방법은, 화장수, 유액, 미용액, 크림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종 이상의 화장료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화장료를 점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화장용 키트는, 상기 박막화장료와, 화장수, 유액, 미용액, 크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장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박막의 제작방법은, 기재막 상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막을 성막하고, 또한 그 위에 지지체를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막의 제작방법에서, 기재막 상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막의 두께가 10 ~ 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의 제작방법에서, 지지체가 수용성 고분자막 또는 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의 제작방법에서, 우선 기재막 재료로 기재막을 작성하고, 상기 기재막상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 함유 용액을 사용하여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하며, 이어서 수용성 고분자 용액을 적하하여, 수용성막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의 제작방법에서, 기재막 재료로 기재막을 작성하고 상기 기재막상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하며, 얻어진 막상에 수용성 고분자막을 적층시킨 후 수용성 고분자막을 용해 제거하여, 메시 또는 부직포에 옮길(寫し取る)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박막은 (a)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기재막과, (b)지지체가 적층되어 있고, (a)막의 두께가 10 ~ 500㎚인 박막으로, 취급성, 보습효과, 요철보정효과가 우수한 박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박막을 박막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피부 표면을 평활화함으로써 잔주금, 주름을 감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박막화장료의 친수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보습제 도포후에 본 발명에 관한 HA담지 기재막을 점착한 피부상에서의 수분량(초기로부터의 상승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HA담지 기재막(제작예 1)의 불균일성 개선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HA담지 기재막(제작예 1)의 잔주름의 은폐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여러가지 막두께의 AHA담지기재막의 수분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HA담지 기재막(제작예 2)의 각질층(角層) 수분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피부에 대한 글리세린 도포와 HA담지 기재막(제작예 2) 점착시의 상승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박막은, (a)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기재막과, (b)지지체가 적층되어 있고, (a)막의 두께가 10 ~ 500㎚이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서 상술한다.
((a)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기재막)
히알루론산은 눈의 유리체 성분으로서 발견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의 일종으로, D-N-아세틸글루코사민과 D-글루쿠론산이 번갈아 결합되어 생긴 직쇄상의 고분자 다당이며, 다량의 물과 결합하여 겔을 만드는 성질을 갖고 있다. 히알루론산은 닭의 볏으로부터 추출하거나 발효법 등에 의해, 통상의 방법에 의해 얻는 것이 가능하다.
히알루론산으로서 히알루론산의 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히알루론산의 염으로서는,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히알루론산은 화장료 원료로서도 시판되고 있고, 본 발명에서는 통상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조작성의 측면에서, 점도 평균 분자량 50만 ~ 200만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시판품으로서는, 점도 평균 분자량 120만의 바이오히아로 12(시세이도제) 등을 들 수 있다.
히알루론산 유도체로서는, 아세틸화 히알루론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품 원료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지만, 제조시의 조작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점도 평균 분자량 1만 ~ 15만 정도의 아세틸화 히알루론산이 바람직하다.
아세틸화 히알루론산의 시판품으로서는, 점도 평균 분자량 10만의 아세틸화 히알루론산(시세이도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재막에 담지시키는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 아세틸화 히알루론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막에 아세틸화 히알루론산을 담지시킴으로써, 보습효과가 더욱 우수한 박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기재막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이들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기재가 바람직하다.
폴리락트산은 생분해성 수지라 불리고, 퇴비 중에서 1주 만에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환경 배려의 측면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또한, 폴리락트산은 옥수수나 고구마 등의 식물 유래 원료로부터 대량 생산 가능하고, 비용이 저렴하므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a)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담지 기재막(이하, (a)막)은, 두께 10 ~ 500㎚로 제작할 필요가 있다. 또한, (a)막의 두께는 30 ~ 200㎚가 바람직하고, 100 ~ 180㎚가 특히 바람직하다.
(a)막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점착하는 부분에 위화감이 생기거나, 잔주름의 은폐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a)막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보습효과 및 조작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a)막의 제작방법은, 본 발명의 두께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스핀코팅법, (마이크로)그라비어법, 또는 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핀코팅의 경우에는, 스핀 코터(coater)는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회전수 2000 ~ 5000rpm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막의 제작방법은 임의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막을 스핀코팅법, (마이크로)그라비어법, 또는 스프레이 코팅법 등에 의해 제작한 후,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 함유 용액을 적하·건조시키는 방법이나,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기재막 재료에 분산시킨 분산액을 얻은 후, 스핀코팅법, (마이크로)그라비어법, 또는 스프레이 코팅법 등에 사용되는 기판상에, 상기 분산액을 적하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막은 통상 화장료 등에 사용되는 색소, 안료 등을 사용하여, 식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착색을 실시해도 좋다.
((b) 지지체)
본 발명에 관한 박막은, 상기 (a)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폴리락트산 등의) 기재막에, 또한 (b)지지체를 적층한 것이다. (a)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담지 기재막만으로는, 너무 얇아 제작 후의 박리 등이 어렵고 취급성도 나쁘지만, (b)지지체를 적층함으로써 취급성이 우수한 박막을 얻을 수 있다.
(b)지지체로서는, 수용성 고분자막 또는 천(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 500㎛가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 폴리에테르 또는 그 유도체, 폴리사카라이드류, 고분자 전해질 또는 그 염,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콜은 폴리아세트산비닐을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비닐알콜의 직쇄중합물이다. 폴리비닐알콜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00~ 5,000이 바람직하다.
또한,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히알루론산나트륨을 담지시킬 때에는, (b)지지체로서 수용성 고분자막 등 이외에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적층해도 좋다.
천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시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메시라는 것은, 그물형상의 수지시트이고, 소재로서는 PET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일론 등을 들 수 있고, 박리성의 측면에서 PET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b) 지지체로서 천을 사용함으로써, 핸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박막은, 박막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화장료는 피부에 점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지지체로서 수용성 고분자막을 사용하는 경우의 박막화장료의 사용방법으로서는, 점착 직전에 수용성 고분자막을 용해 제거하고, 얻어진 기재막을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면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도록 피부에 점착하며, 장시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막은 예를 들어 물에 침지시킴으로써,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장시간이라는 것은, 5시간 이상인 것을 말한다.
수용성 고분자막을 용해시킴으로써,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매우 얇은 기재막만을, 피부에 점착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고분자막으로서,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박막 형성시키고, 일부를 용해시켜, 메시 또는 천에 옮김(떠냄)으로써, 피부에 점착할 수도 있다.
또한, (b) 지지체로서 천을 사용하는 경우의 박막화장료의 사용방법으로서는, 피부를 적시고, 박막화장료의 (a)막측을 피부에 점착하고, 천(布)만을 박리하여 얻어진 (a)막을 피부에 점착하고, 장시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박막화장료는 점착 후에 위화감이 없으므로, 밤 내지 취침전에 맨 피부에 단시간 사용되는 종래의 팩 화장료로서가 아니라, 낮시간용 박막화장료로서, 건조 등이 염려되는 부분에 점착한 후, 임의의 화장료에 의해 화장을 하고 외출할 수 있다.
또한, 낮시간용 박막화장료로서 사용한 경우, 임의의 메이크업 클렌징이나 세안료에 의해, 통상의 화장료를 제거할 때와 동시에, 박막화장료를 떼어낼 수 있다.
박막화장료의 형상은, 얼굴, 뺨, 눈가 등의 피부에 점착되기 쉬운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형, 타원형, 곡옥형(comma-shap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화장료의 면적은, 10㎟ ~ 100㎠가 바람직하고, 4㎠ ~ 25㎠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막은, 화장을 목적으로 한 잡화류, 미용잡화류로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처음에, 본 발명에 관한 박막의 제작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박막의 제작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제작예 1 내지 제작예 3을 들 수 있다. 또한, 어떤 평가 시험예에서도, (a)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담지 기재막의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가 피부 상에 접촉되도록 피부에 점착했다.
제작예 1) 히알루론산의 담지박막(스핀코팅법)
모든 조작은 클린룸(클래스 10,000) 내에 스핀코터(Opticoat MS-A 150, MIKASA사제)를 설치하여 실시했다.
실리콘기판(KST World사제)를 4㎝×4㎝로 잘라내고, SPM(H2SO4/H2O 2.3:1(v/v))에 120℃에서 10분간 침지한 후, 이온교환수(저항률 18㏁㎝)로 세정했다. 이 기판을 스핀 코터에 설치하고, 폴리 L락트산(이하, PLA) 디클로로메탄 용액(Mw: 100,000, 폴리사이엔스사제, 10㎎/㎖)을 500㎕ 적하하고, 스핀코팅(4000rpm, 20초)을 실시하여, 기재막을 얻었다.
다음에, 히알루론산 나트륨(바이오히아로 12(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제): 이하, HA)을, 50%,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5㎎/㎖, 10㎎/㎖, 또는 20㎎/㎖로 조제해 두고, 이를 기재막 상에 약 1.5㎖ 적하하여 건조(80℃, 30분)시키며, 이온 교환수로 기판표면을 세정(실온, 1분), 질소가스로 표면을 건조시켜서, (a)HA담지 기재막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 (a)HA담지 기재막의 두께는, 원자간력 현미경(키엔스사제)으로 측정한 결과 70㎚이었다.
또한, 얻어진 HA담지 기재막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10㎎/㎖ HA의 5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제한 HA담지 기재막(도 1(A))은 25±8˚, 20㎎/㎖ HA의 5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제한 HA담지 기재막(도 1(B))는 25±2°, 0.5㎎/㎖ HA의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제한 HA담지 기재막(도 1(C))은 20±1°, 10㎎/㎖ HA의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제한 HA담지 기재막은 22±4°였다. 기재막 자체의 접촉각은 72±1°인 점에서, HA의 피복에 의해 친수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제한 HA담지 기재막의 표면에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이하, PVA, Mw:22,000, 간토가가쿠사제, 100㎎/㎖)을 0.5㎖ 적하하고 건조시켜, PVA 필름을 HA 담지 기재막 상에 형성시켰다(80℃, 30분). 실리콘 기판으로부터 HA담지 기재막을 PVA 필름 채로 떼어내어, 박막을 얻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는, 박막을 물에 침지하여 PVA 필름을 용해하여 얻어진 HA담지 기재막을 피부에 점착함으로써 평가받았다.
제작예 2) 히알루론산의 담지 박막(마이크로그라비어법)
올레핀/PET 필름에 PVA 수용액이 전개되고, 그 위에 폴리 DL락트산(이하, PDLLA) 아세트산에틸 용액(Mw: 450,000, 폴리사이엔스사제)가 성막되고, 마지막으로 히알루론산 나트륨이 전개되어, 박막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HA담지 기재막의 두께는, 원자간력 현미경(키엔스사제)로 측정한 결과 120㎚이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결과는, 박막으로부터 올레핀/PET필름을 떼어낸 후, 물에 침지하여 PVA 필름을 용해하여 얻어진 HA담지 기재막을, 피부에 점착함으로써 평가받았다.
제작예 3) 아세틸화 히알루론산의 담지 박막(스핀코팅법)
실리콘 웨이퍼 상에 1wt% 아세틸화히알루론산(점도 평균 분자량 10만의 아세틸화 히알루론산: 이하, AHA) 70% 에탄올 용액을 캐스트하고, 60℃에서 15분 건조한다. 그 위에, 1wt%의 PDLLA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4000rpm, 20초로 스핀코팅하고, 60℃에서 15분 건조했다.
그 후, 수중에서 실리콘 웨이퍼로부터 AHA 담지 기재막을 박리했다. 수중에 메시를 띄우고, 기재막(PDLLA) 측에 메시가 오도록 하여 떠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는 피부를 적시고, AHA측을 피부에 점착하고, 메시만을 박리하여, AHA담지 기재막을 피부에 점착함으로써 평가받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작예 1에서 얻어진 박막((a)막의 두께: 70㎚)의 보습효과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시험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 1을 사용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보습효과 시험방법 1
제작예 1에서 얻어진 박막을 물에 침지하고, PVA필름을 용해시켜, HA담지 기재막으로 했다. 또한, HA를 담지시키지 않은 박막을 물에 침지하고, PVA필름을 용해시켜, 기재막(무HA 기재막)으로 했다. 이어서, 각종 기재막을 전완부(前腕部)에 점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보습효과의 측정을 실시했다.
(시험예 1) 5% 글리세린 수용액만을 도포한 경우,
(시험예 2) 5% 글리세린 수용액을 도포한 후, HA담지 지개막(제작예 1)을 피부에 점착한 경우,
(시험예 3) 5% 글리세린 수용액을 도포한 후, 기재막(무HA 기재막)을 피부에 점착한 경우, 및
(시험예 4) 아무것도 도포, 점착하지 않은 경우의 수분량에 대해서, SKICON-200(아이·비·에스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의해 측정을 실시했다.
측정은 도포시, 도포 1 시간후, 도포 8 시간후, 도포 8 시간 후에 세정한 후에, 실시되었다. 그리고, 측정값을 초기(도포시)로부터의 상승률로서 산출했다.
도 2에 따르면, 5% 글리세린과 본 발명의 HA담지 기재막을 병용함으로써, 수분량이 비약적으로 상승하고, 시간경과에 따른 건조억제효과를 갖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5% 글리세린과 기재막(무HA 기재막)을 병용한 경우, 본 발명의 HA담지 기재막의 경우와 비교하면, 수분량의 상승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HA담지 기재막은 현저한 보습효과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작예 2에서 얻어진 박막((a)막의 두께: 120㎚)의 요철 보정 효과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제작예 2의 HA담지 기재막을 피험자의 눈가에 점착했다. 디지털 현미경에 의해 관찰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또한, 사진 촬영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A)는 맨살을 촬영한 사진이고, (B)는 맨살에 HA담지 기재막을 점착한 사진이다. 또한, 도 4의 점선 부분은, HA담지 기재막의 양단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HA담지 기재막을 점착함으로써, 피부 상의 요철이 두드러지지 않게 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 4에서 HA담지 기재막을 점착한 부분의 잔주름이 두드러지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이 잔주름의 은폐 효과는, 점착 4시간 후에도 유지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제작예 1에서 제작한 박막((a)막의 두께: 70㎚) 또는 제작예 3에서 제작한 박막((a)막의 두께: 40 ~ 370㎚)을 사용한 보습효과시험을 실시했다. 시험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 2를 사용했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보습효과 시험방법 2
피부에 5% 글리세린을 규정량(3.75㎕/㎠) 도포한 후, HA담지 기재막(제작예 1) 또는 AHA담지 기재막(제작예 3)을 점착했다. 점착 6시간 후에 테입 스트립핑(tape stripping)에 의해 막을 제거하고, 피부의 수분량을 SKICON-200(아이 비 에스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의해 측정했다. 측정은 3명의 패널의 전완 내측부에서 5군데씩 실시되었다.
도 5에서, AHA담지 기재막은 HA담지 기재막보다도 보습효과가 높은 것이 명백해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박막은, (a)막으로서 아세틸화 히알루론산을 담지시킨 기재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제작예 2에서 제작한 박막을 사용한 보습효과시험을 실시했다. 시험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 3 및 방법 4를 사용했다. 결과를 각각 도 6 및 도 7에 나타낸다.
·보습효과 시험방법 3
물(3.75㎎/㎠)을 미리 피부 상에 도포하고, 그 위에 HA담지 기재막(제작예 2) 또는 기재막(무HA 기재막)을 점착했다. 점착 3시간 후, 점착 6시간 후, 점착 6시간 후에 물 세정에 의한 막제거 후, SKICON-200(아이 비 에스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의해, 각질층(角層) 수분량을 측정했다. 측정은 3명의 패널의 전완 내측부에서, 총 7회 실시되었다.
·보습효과 시험방법 4
5% 글리세린 수용액(3.75㎎/㎠)을 미리 피부 상에 도포하고, 그 위에 HA담지 기재막(제작예 2)을 점착했다. 6시간 후, 테입 스트리핑에 의해 HA담지 기재막을 제거했다.
맨피부, 5% 글리세린 수용액을 도포한 피부, 5% 글리세린 수용액을 도포하고 HA담지 기재막을 점착한 피부의 각질층 수분량을, SKICON-200(아이 비 에스 가부시키가이샤제)에 의해 측정했다. 측정은 6명의 패널의 전완 내측부에서 총 5회 실시되었다.
도 6에 따르면, 기재막 또는 HA담지 기재막을 점착함으로써, 맨피부에 비하여 피부의 수분량이 증가하고 있었다. 기재막과 비교하여, HA담지 기재막쪽이 수분량의 평균값이 높고, 세정하여 HA담지 기재막을 제거한 피부의 수분량도 증가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박막으로부터 얻어진 HA담지 기재막은 피부에 점착함으로써 보습에 의한 스킨 케어 효과를 발휘하고,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 7에 따르면, 글리세린 수용액과 HA담지 기재막을 병용함으로써, 수분량이 증가하고 있는 점에서, 매우 우수한 보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박막을 박막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한층 더한 보습효과를 얻기 위해, 임의의 보습제 배합의 화장료(예를 들어, 화장수 등)을 도포한 후에 박막화장료를 점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0)

  1. (a)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supporting)시킨 기재막과, (b) 지지체가 적층되어 있고, (a)막의 두께가 10 ~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2. 제 1 항에 있어서,
    (b) 지지체가 수용성 고분자막 또는 천(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 막의 두께가 30 ~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막이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또는 폴리카프로락톤,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핀코팅법, 그라비어법, 마이크로그라비어법, 스프레이 코팅법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막이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 폴리에테르 또는 그 유도체, 폴리사카라이드류, 고분자 전해질 또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부직포 또는 메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박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화장료.
  9. 제 8 항에 기재된 박막화장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균일성 개선용 박막화장료.
  10. 제 8 항에 기재된 박막화장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가 및 입가용 박막화장료.
  11. 점착 직전에 수용성 고분자막을 용해 제거하고, 얻어진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기재막을,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가 피부에 접촉되도록 피부에 점착하고, 장시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8 항에 기재된 박막화장료의 사용방법.
  12. 피부를 적시고, 박막화장료를 점착하고, 천(布)만을 박리하여 얻어진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기재막을,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가 피부에 접촉되도록 피부에 점착하고, 장시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8 항에 기재된 박막화장료의 사용방법.
  13. 제 8 항에 기재된 박막화장료를 피부에 점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방법.
  14. 화장수, 유액, 미용액, 크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장료를 도포하는 단계와, 제 8 항에 기재된 박막화장료를 점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방법.
  15. 제 8항에 기재된 박막화장료와, 화장수, 유액, 미용액, 크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장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키트.
  16. 기재막 상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막을 성막하고, 또한 그 위에 지지체를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기재막 상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시킨 상기 막의 두께가 10 ~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의 제조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수용성 고분자막 또는 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우선 기재막 재료로 기재막을 작성하고, 상기 기재막 상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 함유 용액을 사용하여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를 담지하고, 이어서 수용성 고분자 용액을 적하하여 수용성막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의 제조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기재막 재료로 기재막을 작성하고, 상기 기재막 상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막을 담지하여, 얻어진 막 상에 수용성 고분자막을 적층시킨 후, 수용성 고분자막을 용해 제거하여, 메시 또는 부직포에 옮기는(寫し取る)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의 제조방법.
KR1020147000795A 2011-06-14 2012-06-14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담지 박막 및 박막화장료 KR201400688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32000 2011-06-14
JP2011132000 2011-06-14
PCT/JP2012/065268 WO2012173198A1 (ja) 2011-06-14 2012-06-14 ヒアルロン酸またはその誘導体の担持薄膜および薄膜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849A true KR20140068849A (ko) 2014-06-09

Family

ID=4735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795A KR20140068849A (ko) 2011-06-14 2012-06-14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담지 박막 및 박막화장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120144A1 (ko)
EP (1) EP2722169A4 (ko)
JP (1) JP5572263B2 (ko)
KR (1) KR20140068849A (ko)
CN (1) CN103826841A (ko)
TW (1) TWI597066B (ko)
WO (1) WO2012173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3678A1 (en) * 2012-04-11 2013-10-17 L'oreal Self-standing cosmetic sheet
US20150297470A1 (en) * 2012-10-12 2015-10-22 Shiseido Company, Ltd. Cosmetic method
CN104812367A (zh) * 2012-10-12 2015-07-29 株式会社资生堂 美容方法
JP6000139B2 (ja) * 2013-01-22 2016-09-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積層体およびシート状積層体の製造方法
JP5997068B2 (ja) * 2013-01-22 2016-09-21 ナノシータ株式会社 シート状積層体およびシート状積層体の製造方法
JP6057828B2 (ja) * 2013-04-26 2017-01-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非水溶性高分子薄膜転写用部材および非水溶性高分子薄膜転写用部材の製造方法
JP6419417B2 (ja) * 2013-05-24 2018-11-07 ロレアル 自立性美容シート
JP6405605B2 (ja) * 2013-07-10 2018-10-17 日立化成株式会社 ナノ薄膜転写シート及びナノ薄膜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JP6409253B2 (ja) * 2013-07-10 2018-10-24 日立化成株式会社 ナノ薄膜転写シート、ナノ薄膜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ナノ薄膜層の被着体への転写方法
JP6286903B2 (ja) * 2013-07-10 2018-03-07 日立化成株式会社 ナノ薄膜転写シート及びナノ薄膜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JP6539431B2 (ja) * 2014-07-17 2019-07-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積層体およびシート状積層体の製造方法
US10531988B2 (en) * 2014-12-10 2020-01-14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d film and medical sheet
JP6693049B2 (ja) * 2015-05-21 2020-05-13 日立化成株式会社 ナノ薄膜転写シート及び転写方法
TWI579414B (zh) * 2015-06-04 2017-04-21 廈門醫學高等專科學校 面膜塗佈高分子之電化學製作方法
JP6647890B2 (ja) * 2016-02-02 2020-02-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積層体およびシート状積層体の製造方法
WO2018003421A1 (ja) 2016-06-30 2018-01-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11724234B2 (en) 2016-08-31 2023-08-15 South Dakota Board Of Regents Multilayer thin film nanocomposite membranes prepared by molecular layer-by-layer assembly
JP6797740B2 (ja) * 2017-04-10 2020-12-09 ロレアル 自立性美容シート
JP6833028B2 (ja) 2017-05-30 2021-02-24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油性保湿剤
KR101891514B1 (ko) * 2017-09-25 2018-09-28 (주)아모레퍼시픽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피부 미용 팩 제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99023A (ko) 2018-12-04 2021-08-11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유성 보습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
JPWO2020116439A1 (ja) 2018-12-04 2021-10-21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油性保湿剤及びそれを含む皮膚外用組成物
KR102245629B1 (ko) * 2019-04-10 2021-04-30 주식회사 제네웰 히알루론산계 녹는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이형지
JP7268518B2 (ja) * 2019-07-24 2023-05-08 凸版印刷株式会社 転写シート
JP7415408B2 (ja) 2019-10-02 2024-01-17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薄膜、及び薄膜転写シート
JP2021083683A (ja) * 2019-11-27 2021-06-03 凸版印刷株式会社 転写用フィルム、転写用積層体、及び転写用積層体の転写方法
CN112773734A (zh) * 2020-12-28 2021-05-11 杭州欧菲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玻尿酸换肤精华露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24481B2 (en) * 1989-02-06 1992-06-1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Interface for iontophoresis
JPH0363209A (ja) * 1989-07-31 1991-03-19 Chisso Corp シート状ヒアルロン酸またはその塩の製造法およびその利用
JPH04108733A (ja) * 1990-08-27 1992-04-09 Kibun Food Chemifa Co Ltd ヒアルロン酸類の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0725083B1 (en) * 1994-08-11 2001-11-28 Shiseido Company Limited Low-molecular-weight acetylated hyaluronic acid, emollien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and purifying the acid
EP0748636B1 (en) * 1995-06-14 2003-08-27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Interface for iontophoresis
JP3905578B2 (ja) * 1995-06-14 2007-04-18 久光製薬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シス用インターフェイス
JP4089994B2 (ja) 1999-04-20 2008-05-28 株式会社資生堂 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
JP2004262777A (ja) * 2003-02-27 2004-09-24 Shiseido Co Ltd アセチル化ヒアルロン酸含有眼用医薬組成物
JP2006335754A (ja) * 2005-06-01 2006-12-14 Technofarm Axesz Kk 経皮投与剤担持薄膜とその製造法
US20070196311A1 (en) * 2006-02-21 2007-08-23 Gross Dennis F Methods and kits for topical administration of hyaluronic acid
JP2008050913A (ja) 2006-08-28 2008-03-06 Hikari Okamura 鋼管パイプ固定式バイブレーター
SG175689A1 (en) * 2006-10-27 2011-11-28 Takeoka Shinji Thin film-like polymer structur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20100062232A1 (en) * 2006-12-15 2010-03-11 Drexel University Multilayer films
JP2008208031A (ja) * 2007-02-23 2008-09-11 Kracie Home Products Kk 化粧料含浸積層体
CH699835B1 (de) * 2008-02-07 2010-05-14 Mibelle Ag Wasserdispergierbarer oder wasserlöslicher Polymerfilm als Träger von dermatologischen und kosmetischen Wirkstoffen.
US20100098794A1 (en) * 2008-10-17 2010-04-22 Armand Gerard Topical anti-wrinkle and anti-aging moisturizing cream
CN101390814A (zh) * 2008-10-29 2009-03-25 东南大学 基于电纺纳米纤维的美容面膜
JP5295943B2 (ja) * 2008-12-26 2013-09-18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シート
JP5563817B2 (ja) * 2008-12-26 2014-07-30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シートの付着方法
JP5503888B2 (ja) * 2009-03-25 2014-05-2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化粧品パック用ゲルシート
JP5340853B2 (ja) 2009-08-25 2013-1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スタンド装置
WO2011046226A1 (ja) * 2009-10-13 2011-04-21 株式会社バイオナノシータ 高分子超薄膜分散体及びその調製方法
EP2695621B1 (en) * 2011-04-08 2020-08-12 Nanotheta Co, Ltd. Pharmaceutical preparation
KR20140002071A (ko) * 2011-05-12 2014-01-07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기재가 부착된 박막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WO2013153678A1 (en) * 2012-04-11 2013-10-17 L'oreal Self-standing cosmetic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97066B (zh) 2017-09-01
JPWO2012173198A1 (ja) 2015-02-23
WO2012173198A1 (ja) 2012-12-20
US20140120144A1 (en) 2014-05-01
JP5572263B2 (ja) 2014-08-13
EP2722169A1 (en) 2014-04-23
EP2722169A4 (en) 2014-12-17
CN103826841A (zh) 2014-05-28
TW201304807A (zh)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8849A (ko) 히알루론산 또는 그 유도체의 담지 박막 및 박막화장료
JP6450945B2 (ja) 生体貼付用膜
TWI603746B (zh) 美容方法
TWI641394B (zh) 美容方法
AU2016284313B2 (en) Method for providing a benefit to skin
JP2014152160A (ja) 化粧用シート
WO2014122806A1 (ja) ナノ薄膜転写シート、ナノ薄膜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ナノ薄膜層の被着体への転写方法
JP6037371B2 (ja) 粉末担持薄膜
KR20190122641A (ko) 셀룰로오스막의 피부 붙임 방법, 붙임용 화장료
JP2015110294A (ja) 貼付用シート
US6458379B1 (en) Sheet for whitening cosmetic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7170231B2 (ja) 生体貼付用膜、積層体、及び美容方法
JP2007217687A5 (ko)
WO2019220702A1 (ja) 生体貼付用シート
JP7342428B2 (ja) 生体組織貼付用フィルム、および、転写シート
JP6955234B2 (ja) 肌貼付用フィルム、および、転写シート
JPH11171726A (ja) 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
JP2023075797A (ja) 生体組織貼付フィルム及び転写シート
JPH11116435A (ja) 美白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10120527A (ja) 化粧用シート
JP2015144641A (ja) 貼付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