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810A - 전선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810A
KR20140063810A KR1020147009804A KR20147009804A KR20140063810A KR 20140063810 A KR20140063810 A KR 20140063810A KR 1020147009804 A KR1020147009804 A KR 1020147009804A KR 20147009804 A KR20147009804 A KR 20147009804A KR 20140063810 A KR20140063810 A KR 20140063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ibrating
rollers
wire
support por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061B1 (ko
Inventor
다츠야 미즈타니
요시아키 핫토리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2Straigh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4Guiding surfaces within slot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6Supports for gui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전선 교정 장치는, 전선의 송출 정지 상태에서의 킹크 형성을 억제하면서, 킹크 교정 효과를 유지한다.
전선 교정 장치는 교정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교정 기구부는, 제1 지지부와, 이것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 지지부와, 외주부에 바닥부를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는 홈부를 갖고 제1 지지부에 대하여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와, 외주부에 바닥부를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는 홈부를 갖고 제2 지지부에 대하여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각각 제1 교정 롤러의 측방의 위치에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복수의 제2 교정 롤러를 갖고 있다. 교정 롤러는, 홈부의 바닥부가 송출 경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선 교정 장치{WIRE STRAIGHT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선의 킹크(kink)를 교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단자를 갖는 전선은, 연속 공급되는 전선을 소정의 길이로 조절하여 절단하고 절단된 전선의 단부(端部)에서의 피복을 제거하고, 코어선의 노출 부분에 단자를 압착함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서, 전선은, 권취 릴 등에 권취 수용된 상태에서 단자를 갖는 전선의 제조 공정에 공급되어, 상기 권취 릴로부터 인출하여 여러 처리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권취 릴 등에 권취된 전선에는, 말림 킹크(winding kink) 등의 킹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단자 압착 처리 등의 여러 처리를 실시함에 있어서, 사전에 전선의 킹크를 교정해 둘 것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는, 전선의 킹크를 교정하는 전선 교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선 교정 장치는, 하부 프레임체에 대하여 복수의 교정 롤러가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고, 상부 프레임체에 대하여, 다른 복수의 교정 롤러가, 하부 프레임체에 피봇 장착된 복수의 교정 롤러 사이에 위치하여 킹크 바로잡기 대상이 되는 전선을 상기 각 교정 롤러와 함께 협지하여 가압하도록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교정 롤러는, 단면이 V자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선 교정 장치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체에 피봇 장착된 복수의 교정 롤러와 상부 프레임체에 피봇 장착된 다른 복수의 교정 롤러 사이에 전선을 통과시키고, 별도의 송출 기구에 의해 전선을 송출함으로써, 전선이 복수의 교정 롤러와 다른 복수의 교정 롤러 사이에서 가압된다. 그리고, 전선이 복수의 교정 롤러와 다른 복수의 교정 롤러 사이를 빠져 나감으로써, 전선의 킹크가 교정된다.
이 전선 교정 장치는, 예컨대, 단자를 갖는 전선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길이 조절 장치의 송출 기구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송출 기구에 의해 송출됨으로써 권취 릴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의 킹크를 교정한다. 그리고, 길이 조절 장치에 의해 소정의 치수씩 길이를 조절하여 송출된 전선은, 절단 장치에 의해 상기 소정의 치수로 절단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58588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절 장치에 의해 소정의 치수씩 길이를 조절하여 송출한 전선을 절단 장치에 의해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기 때문에, 송출 기구는, 전선을 소정 치수 송출할 때마다 정지된다. 또한, 단자를 갖는 전선의 제조 공정에서는, 로트 생산에 의해 소정 개수의 동종의 단자를 갖는 전선이 제조되는 경우가 있는데, 로트 생산분의 소정 개수의 단자를 갖는 전선이 제조되면, 길이 조절 장치의 송출 기구는 일시 정지된다. 이들의 정지 상태에서는, 전선이 복수의 롤러 사이에 끼워져 가압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정지 상태에서(특히 정지 상태가 긴 경우) 복수의 롤러 사이에 끼워진 전선에 굽힘 킹크가 형성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굽힘 킹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을 사이에 끼우는 각 롤러끼리의 간격을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킹크 바로잡기 효과가 저하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선의 송출 정지 상태에서의 킹크 형성을 억제하면서, 킹크 교정 효과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양태는, 송출 경로를 따라 송출되는 전선의 킹크를 교정하는 전선 교정 장치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교정 기구부를 구비하고, 교정 기구부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 지지부와, 외주부에 바닥부를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는 홈부를 갖고,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와, 외주부에 바닥부를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는 홈부를 갖고, 상기 제2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교정 롤러의 측방의 위치에서, 상기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복수의 제2 교정 롤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1 교정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2 교정 롤러는, 상기 홈부의 상기 바닥부가 상기 송출 경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제1 교정 롤러는,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기 바닥부가 상기 송출 경로의 일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교정 롤러는,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기 바닥부가 상기 송출 경로의 타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양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로서, 상기 제1 교정 롤러 및 상기 제2 교정 롤러는,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기 바닥부가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양태는, 제1∼제3 중 어느 일양태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로서, 상기 교정 기구부를 복수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교정 기구부는, 다른 교정 기구부에 대하여, 상기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1 교정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2 교정 롤러의 간격이 상이한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5 양태는, 제4 양태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로서, 상기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1 교정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2 교정 롤러의 간격이, 상류측의 교정 기구부보다 하류측의 교정 기구부에서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6 양태는, 제5 양태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로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상대 접촉 분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정 기구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상대적으로 근접 압박하는 압박부를 더욱 갖고, 상기 상류측의 교정 기구부의 압박부는, 상기 하류측의 교정 기구부의 압박부보다 압박력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1 양태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에 의하면, 제1 지지부에 피봇 지지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 및 제2 지지부에 피봇 지지된 복수의 제2 교정 롤러가, 홈부의 바닥부가 송출 경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은, 송출 정지 상태에서는, 자신의 굽힘 강도에 의해 송출 경로로부터 각 제1 교정 롤러 또는 각 제2 교정 롤러의 홈부의 바닥부에 치우친 경로로 변위된다. 또한, 전선은, 송출 상태에서는, 송출 경로를 통과하여 각 제1 교정 롤러 또는 각 제2 교정 롤러의 홈부 중 바닥부보다 대직경인 외주면에 접촉하고, 각 제1 교정 롤러 및 각 제2 교정 롤러로부터 압박력을 받은 상태에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 사이를 빠져 나간다. 이에 따라, 전선의 송출 정지 상태에서의 킹크 형성을 억제하면서, 킹크 교정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제1 교정 롤러가,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의 바닥부가 송출 경로의 일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2 교정 롤러가,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의 바닥부가 송출 경로의 타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킹크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양태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에 의하면, 제1 교정 롤러 및 제2 교정 롤러는,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의 바닥부가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제1 교정 롤러를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의 바닥부가 송출 경로의 일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하고, 복수의 제2 교정 롤러를, 제1 교정 롤러와는 축방향에 있어서 반대의 자세로, 홈부의 바닥부가 송출 경로의 타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축방향에서의 교정 기구부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교정 기구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교정 기구부에 대하여,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복수의 제1 교정 롤러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의 간격이 상이한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종의 선직경의 전선의 킹크 교정을 행할 수 있다.
제5 양태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에 의하면,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복수의 제1 교정 롤러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의 간격이, 상류측의 교정 기구부보다 하류측의 교정 기구부에서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킹크 교정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6 양태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에 의하면, 교정 기구부가, 상대 접촉 분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상대적으로 근접 압박하는 압박부를 갖고, 상류측의 교정 기구부의 압박부가, 하류측의 교정 기구부의 압박부보다 압박력이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복수의 제1 교정 롤러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의 간격이 작아, 전선의 인출 저항이 커지기 쉬운 상류측의 교정 기구부에서, 굽힘 강도가 높은 대직경의 전선에 관해서도 보다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 1은 전선 교정 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전선 교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전선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전선 교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전선 교정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교정 롤러를 도시한 부분적으로 단면을 본 정면도이다.
도 7은 전선의 경로를 도시한 교정 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전선의 경로를 도시한 복수의 교정 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소직경의 전선을 교정 대상으로 한 경우의 전선 교정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대직경의 전선을 교정 대상으로 한 경우의 전선 교정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중직경의 전선을 교정 대상으로 한 경우의 전선 교정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선 교정 장치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전선 교정 장치는, 전선에 형성된 말림 킹크, 굽힘 킹크 등의 킹크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컨대, 전선 교정 장치는, 단자를 갖는 전선의 제조 공정에서 이용된다. 즉, 단자를 갖는 전선은, 권취 릴에 권취 수용된 전선을 인출하여, 소정의 치수로 길이를 조절하여 송출하고 상기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고, 절단된 전선의 단부에서의 피복을 제거하여 노출된 코어선에 단자를 압착하여 제조된다. 이 단자를 갖는 전선의 제조는, 길이 조절 장치, 절단 장치 및 단자 압착 장치 등을 갖는 절압기(切壓機) 등에 의해 행해지는데, 전선에 킹크가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절압기의 각 장치에서의 전선의 취급 위치(경로)로부터 전선이 비어져 나와, 압착 불량 등의 처리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제조된 복수의 단자를 갖는 전선을 묶음으로 정리하는 경우, 묶음 정돈성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미리 전선의 킹크를 교정해 둘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는, 전선 교정 장치(10)는, 절압기의 길이 조절 장치에서의 송출 기구부(80)의 상류측, 즉, 송출 기구부(80)와 권취 릴(9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송출 기구부>
송출 기구부(80)는, 쌍의 송출 롤러(82)를 갖고, 사이에 전선(2)을 끼운 상태에서 쌍의 송출 롤러(8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선(2)을 송출 경로(R)를 따라 하류측으로 송출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송출 경로(R)란, 송출되는 전선(2)이 통과하는 직선형의 경로이다. 쌍의 송출 롤러(82)는, 도시가 생략된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송출 기구부(80)는, 전선(2)을, 제조하는 단자를 갖는 전선의 종류에 따른 소정의 치수씩 길이를 조절하여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송출 기구부(80)는, 전선(2)을, 소정 치수 송출하고 일시 정지하고, 또한 소정 치수 송출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송출 기구부(80)는, 1종류의 단자를 갖는 전선의 로트 생산이 종료되었을 때 등에도 정지된다.
<전선 교정 장치의 전체 구조>
전선 교정 장치(10)는, 송출 경로(R)를 따라 송출되는 전선(2)의 킹크를 교정하는 장치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교정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선 교정 장치(10)는, 2개의 교정 기구부를 갖고, 그 중, 송출 경로(R)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교정 기구부를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 하류측에 배치되는 교정 기구부를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라고 한다. 각 교정 기구부(121, 122)는, 각각,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와, 압박부와,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를 갖고 있다(도 2∼도 5 참조).
개략적으로는, 전선 교정 장치(10)는, 송출 경로(R)로 안내되는 전선(2)을, 제1 지지부(22)에 지지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제2 지지부(24)에 지지된 제2 교정 롤러(502) 사이를 통해 빼냄으로써, 전선(2)의 킹크를 교정한다.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는, 각각,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또는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는, 예컨대, 편평한 대략 직방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는, 서로 대향하여 (나란히) 상대 접촉 분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는, 슬라이드 샤프트 기구에 의해 상대 접촉 분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지지부(22)가 토대로서의 베이스부(20)에 고정되고, 제2 지지부(24)가 상기 제1 지지부(2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지지부(22)에는, 일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쌍의 슬라이드 샤프트(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부(24)에는, 제1 지지부(22)의 한쌍의 슬라이드 샤프트(23)를 각각 삽입 관통 가능한 한쌍의 베어링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지지부(22)의 슬라이드 샤프트(23)가 제2 지지부(24)의 베어링부(25)에 대하여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24)가 제1 지지부(22)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하,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의 접촉 분리 방향을, 간단히 접촉 분리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의 근접 위치는, 스토퍼(28)에 의해 결정된다. 스토퍼(28)는, 제1 지지부(22)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으로, 제2 지지부(24)에 한쌍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스토퍼(28)는, 제2 지지부(24)에 나사 결합된 볼트이고, 돌출량을 가변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제1 지지부(22)에 대한 제2 지지부(24)의 근접 이동이 규제된다.
복수(여기서는 4개)의 제1 교정 롤러(501)는, 제1 지지부(22)에 대하여,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복수(여기서는 3개)의 제2 교정 롤러(502)는, 제2 지지부(24)에 대하여,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각각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의 측방(여기서는 사이)의 위치에서,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는, 각각,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의 접촉 분리 방향 및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축 둘레(즉 각각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는, 송출 경로(R)를 사이에 두고 번갈아 설치되어 있다.
또, 각 교정 롤러(501, 502)의 형상 및 배치 양태에 관해서는, 전선 교정 장치(1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 후에 상세히 서술한다.
상기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는, 에어 실린더(30)에 의해 상대 접촉 분리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30)는, 본체부에 대하여 진퇴부를, 진출 상태와 퇴피 상태 사이에서 진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부재이다. 이 에어 실린더(30)는, 본체부가 베이스부(20)에 고정되고 진퇴부의 선단부가 제2 지지부(24)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부(24)를 제1 지지부(22)에 대하여 접촉 분리 구동한다.
여기서, 에어 실린더(30)의 진퇴부가 퇴피 상태에 있을 때의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의 상대 위치를 이격 위치라고 하고,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대하여 접촉한 상태의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의 상대 위치를 근접 위치라고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의 이격 위치란,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가 송출 경로(R)로 안내되는 전선(2)에 비접촉, 즉, 전선(2)의 직경보다 큰 간격을 두는 위치이다. 또한 근접 위치란, 송출 경로(R)로 안내되는 전선(2)의 외주면에 대하여, 적어도 각 교정 롤러(501, 502)가 각각 접촉 분리 방향 양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위치이다.
또한, 에어 실린더(30)는,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를, 상대적으로 근접 압박 가능한 압박부로서도 작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실린더(30)는,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더욱 제1 지지부(22)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2 지지부(24)에 대하여 압박력을 작용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에어 실린더(30)는,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에 접촉하는 위치보다 근접 방향 전방에 진퇴부의 진출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지금까지 압박부가 에어 실린더(30)인 예로 설명해 왔지만, 압박부는,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를, 상대적으로 근접 압박 가능하면 되고, 코일 스프링 등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전선 교정 장치(10)는, 전선 교정 장치(10)에 있어서 전선(2)을 송출 경로(R)로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40)를 갖고 있어도 좋다(도 2 참조). 경로 안내부(40)는, 전선(2)을 삽입 관통할 수 있는 삽입 관통 구멍부를 갖고, 상기 삽입 관통 구멍부의 내주면이 전선(2)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전선(2)을 안내한다. 이 경로 안내부(40)는, 삽입 관통 구멍부가 송출 경로(R)를 둘러싸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경로 안내부(40)는, 베이스부(20)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지지부(22)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로 안내부(40)는,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에서의 제1 지지부(22)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와,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에서의 제1 지지부(22)의 하류측 단부의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에서의 제1 지지부(22)의 상류측 단부에 설치된 경로 안내부(40)는, 그 상류측에 파이프형의 부분이 이어져 설치되어 있다.
무엇보다, 경로 안내부(40)는, 전선 교정 장치(10)에 있어서 생략되어도 좋다. 즉, 경로 안내부는, 전선 교정 장치가 설치되는 설비 상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전선(2)이, 각 경로 안내부(40)에 삽입 관통되어,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 사이에서 송출 경로(R) 상을 통과한 상태에서, 제1 지지부(22) 및 제2 지지부(24)가 근접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각 교정 롤러(501, 502)가 전선(2)의 외주부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송출 기구부(80)에 의해 전선(2)이 송출되면, 전선(2)은,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 사이를, 각 교정 롤러(501, 502)로부터 접촉 분리 방향으로 압박력을 받아 사행하면서 빠져 나간다. 상기 동작에 의해, 전선(2)의 킹크가 교정된다.
<교정 롤러에 관해>
상기 제1 교정 롤러(501) 및 제2 교정 롤러(502)는, 외주부에 바닥부(53)를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는 홈부(52)를 갖고 있다(도 6, 도 7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교정 롤러(501, 502)의 홈부(52)는,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보면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는, 홈부(52)의 바닥부(53)가 송출 경로(R)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8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는,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가 송출 경로(R)의 일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는,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가 송출 경로(R)의 타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1 교정 롤러(501) 및 제2 교정 롤러(502)는,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가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 도 7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정 롤러(501, 502)는, 둘레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보면, 홈부(52) 중 축방향에서의 중심에, 바닥부(53)를 향하여 서서히 내주측으로 경사지는 교정 사면(54)을 갖고 있다. 즉, 교정 롤러(501, 502)는,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를 사이에 둔 일방측의 완만한 교정 사면(54)과, 교정 사면(54)보다 급한 타방측의 사면을 갖고 있다.
교정 사면(54)의 각도는, 송출 기구부(80)에 의한 송출 동작이 정지된 상태(송출 정지 상태)와 송출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송출 상태)에서 전환될 때에, 전선(2)이 교정 롤러(501, 502)의 축방향에 있어서 중심과 홈부(52)의 바닥부(53) 사이에서, 교정 사면(54)을 오르내릴 수 있을 정도로 완만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이 교정 사면(54)의 각도는, 송출 기구부(80)에 의한 전선(2)의 송출 속도, 송출 대상이 되는 전선(2)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면 된다.
이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는, 축방향에 있어서 반대 방향의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즉, 각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의 홈부(52)의 바닥부(53)는,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순서대로, 축방향에서의 송출 경로(R)의 일방측과 타방측으로 번갈아 배치된다. 여기서는,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는, 축방향에 있어서 단부가 가지런한 형태로,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으로 늘어서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전선(2)은, 송출 정지 상태에서, 각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의 홈부(52) 중, 축방향에 있어서 중심으로부터 바닥부(53)측으로 치우친 경로를 통과하는 형태로 정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선(2)은, 자신의 유연성에 의해, 각 교정 롤러(501, 502)의 홈부(52) 중, 축방향에서의 중심 위치로부터 교정 사면(54)을 내려가 바닥부(53)측으로 치우쳐 만곡하고자 한다. 이 때문에, 전선(2)은, 각 교정 롤러(501, 502)의 교정 사면(54) 중 바닥부(53) 근처의 부위에 교대로 접촉하여, 축방향에 있어서 송출 경로(R)의 양측방으로 교대로 편향하여 사행한다.
또한, 전선(2)은, 송출 상태에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의 홈부(52) 중, 축방향에 있어서 대략 중심을 빠져 나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선(2)은, 송출 동작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송출 경로(R)로 전선(2)을 안내하는 각 경로 안내부(40) 사이에서 직선형으로 이동하고자 한다. 이 때문에, 전선(2)은,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 사이에서,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 근처의 위치로부터 교정 사면(54)을 올라가 대략 중심의 위치를 빠져 나간다.
<복수의 교정 기구부에 관해>
복수의 교정 기구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교정 기구부는, 다른 교정 기구부에 대하여,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의 간격이 상이한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의 간격이, 상류측의 교정 기구부보다 하류측의 교정 기구부에서 크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선 교정 장치(10)는,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 및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의 2개의 교정 기구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보다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에서,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의 간격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또한, 여기서는,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보다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에서,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접촉할 때의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의 간격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보다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에서, 인접하는 제1 교정 롤러(501)와 제2 교정 롤러(502)의 간격이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선(2)이 각 교정 롤러(501, 502)로부터 받는 압박력은,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보다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 쪽에서 작아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제1 교정 롤러(501)와 제2 교정 롤러(502)의 간격이 커짐으로써,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 사이를 통과하는 전선(2)의 경로의 굽힘 각도가 완만해지고, 상기 전선(2)에 가해지는 접촉 분리 방향의 부하가 작아진다.
여기서, 전선 교정 장치(10)는, 소직경(예컨대 0.35 mm, 0.50 mm), 중직경(예컨대 0.75 mm), 대직경(예컨대 1.00 mm, 1.25 mm)의 각종 전선(2)을 교정 대상으로 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의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의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간격, 및,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접촉할 때의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의 간격은, 각각, 소직경의 전선(2)의 킹크를 교정하기에 알맞은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의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의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간격, 및,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접촉할 때의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의 간격은, 각각, 대직경의 전선(2)의 킹크를 교정하기에 알맞은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의 에어 실린더(30)는,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의 에어 실린더(30)보다 압박력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도 9, 도 10 참조).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의 에어 실린더(30)의 압박력은, 대직경의 전선(2)의 킹크를 교정하기에 알맞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에어 실린더(30)의 압박력은, 대직경의 전선(2)이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 사이를 빠져 나갈 때에, 그 전선(2)의 굽힘 강도에 의해,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가 이격되지 않을 정도로 크게 설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에 있어서, 대직경의 전선(2)은,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접촉한 상태에서,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 사이를 사행하여 빠져 나갈 수 있다.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의 에어 실린더(30)의 압박력은, 소직경의 전선(2)이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 사이를 빠져 나갈 때에, 상기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가 송출 경로(R) 상의 소직경의 전선(2)에 간섭할(소직경의 전선(2)을 가압하여 만곡한 경로로 통과시킬) 정도로 크게 설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압박력은, 소직경의 전선(2)의 굽힘 강도에 의해,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가 이격되지 않을 정도로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실린더(30)의 압박력은,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의 사이를 통과하여 배치된 대직경의 전선(2)이, 접촉 분리 방향으로 가능한 한 구부러지지 않도록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압박력은, 대직경의 전선(2)의 굽힘 강도에 의해, 적어도,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가 이격될 정도로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는, 소직경의 전선(2)의 교정에 알맞은 구성으로 설계되고,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는, 대직경의 전선(2)의 교정에 알맞은 구성으로 설계되어 있다.
<전선 교정 동작>
다음으로, 상기 전선 교정 장치(10)에서의 전선(2)의 교정 동작의 거동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도 11은, 소직경, 대직경 및 중직경의 전선(2)을 통과시킨 각 전선 교정 장치(10)에서의 송출 정지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 도 9∼도 11에서는, 설명을 위해,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 및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를 동일한 자세로 도시하고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전선(2)이,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 및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의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 사이에 통과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는, 에어 실린더(30)에 의해 근접 이동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2)은, 송출 정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소직경의 전선(2)의 교정 동작의 거동에 관해 설명한다(도 9 참조). 소직경의 전선(2)이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 사이에 통과된 상태에서,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에서는,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소직경의 전선(2)은, 송출 정지 상태에서,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의 축방향에서의 중심으로부터 홈부(52)의 바닥부(53)측으로 치우친 위치를 통과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직경의 전선(2)은,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보다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 쪽에서, 중심으로부터 홈부(52)의 바닥부(53)에 보다 가깝게 치우친 위치를 통과하여, 접촉 분리 방향에서 보아 보다 크게 사행한 경로로 배치된다.
또한, 소직경의 전선(2)은, 송출 기구부(80)에 의해 송출되기 시작하면,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의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측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교정 사면(54)을 올라가 이동한다.
또한, 소직경의 전선(2)은, 송출 상태에서는, 축방향에서의 중심 부근의 위치를 통과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의 중심의 위치를 통과하여, 접촉 분리 방향에서 보아 송출 경로(R)를 따른 직선형의 경로로 송출되면 된다. 또한, 소직경의 전선(2)은, 상기 축방향에서 보아 송출 정지 상태보다 접촉 분리 방향으로 크게 사행한 경로를 통과하고,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로부터 보다 큰 압박력을 받으면서 그 사이를 빠져 나간다.
다음으로, 대직경의 전선(2)의 교정 동작의 거동에 관해 설명한다(도 10 참조). 대직경의 전선(2)이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 사이에 통과된 상태에서,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에서는, 대직경의 전선(2)의 굽힘 강도에 의해 각 교정 롤러(501, 502)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2 지지부(24)가 밀려 복귀되어,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대직경의 전선(2)은, 송출 정지 상태에서, 접촉 분리 방향에서 보아,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에서는 대략 직선형의 경로를 통과하고,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에서는 사행한 경로를 통과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에서는, 대직경의 전선(2)은, 각 교정 롤러(501, 502)의 축방향에서의 중심으로부터 홈부(52)의 바닥부(53)측으로 치우친 위치를 통과한다. 또,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의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의 사이를 통과하는 대직경의 전선(2)도 약간 사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대직경의 전선(2)은, 송출 기구부(80)에 의해 송출되기 시작하면,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의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측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교정 사면(54)을 올라가 이동한다. 또,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에 있어서, 대직경의 전선(2)이 송출 정지 상태에서 직선형의 경로로 배치되어 있었던 경우에도, 적어도 송출 정지 상태보다 축방향의 중심으로 치우치고자 하는 힘이 강해진다.
또한, 대직경의 전선(2)은, 송출 상태에서는, 축방향에서의 대략 중심의 위치를 통과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방향의 중심의 위치를 통과하여, 접촉 분리 방향에서 보아 송출 경로(R)를 따른 직선형의 경로로 송출되면 된다. 그리고, 송출 상태에서는, 대직경의 전선(2)은,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에 있어서, 자신의 굽힘 강도에 의해 제2 지지부(24)를 밀어 복귀시켜, 축방향에서 보아 직선형의 경로를 통과한다. 또한, 대직경의 전선(2)은,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에 있어서, 축방향에서 보아 송출 정지 상태보다 크게 사행한 경로를 통과하고,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로부터 보다 큰 압박력을 받아 각 교정 롤러(501, 502) 사이를 빠져 나간다.
다음으로, 중직경의 전선(2)의 교정 동작의 거동에 관해 설명한다(도 11 참조). 중직경의 전선(2)이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 사이에 통과된 상태에서,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에서는, 중직경의 전선(2)의 굽힘 강도에 의해 각 교정 롤러(501, 502)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려 복귀되어,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스토퍼(28)의 제1 지지부(22)에 대한 이격 거리는, 대직경의 전선(2)의 경우보다 작다. 무엇보다, 중직경의 전선(2)의 경우, 직경의 크기(굽힘 강도)에 따라서는, 스토퍼(28)가 제1 지지부(22)에 접촉할 수 있지만, 각 교정 롤러(501, 502)에 대하여, 소직경의 전선(2)보다 큰, 밀어 복귀시키는 힘(pushing force)을 작용시키고 있다. 그리고, 중직경의 전선(2)은, 송출 정지 상태에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의 축방향에서의 중심으로부터 홈부(52)의 바닥부(53)측으로 치우친 위치를 통과하여 사행한 경로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직경의 전선(2)은, 축방향에 있어서,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에서는, 소직경의 전선(2)보다 중심 근처 또한 대직경의 전선(2)보다 홈부(52)의 바닥부(53) 근처의 위치를 통과하고,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에서는, 소직경의 전선(2)보다 바닥부(53) 근처 또한 대직경의 전선(2)보다 중심 근처의 위치를 통과한다.
또한, 중직경의 전선(2)은, 송출 기구부(80)에 의해 송출되기 시작하면,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의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측으로부터 중심측을 향하여 교정 사면(54)을 올라가 이동한다.
또한, 중직경의 전선(2)은, 송출 상태에서는, 축방향에서의 중심 부근의 위치를 통과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의 중심의 위치를 통과하여, 접촉 분리 방향에서 보아 송출 경로(R)를 따른 직선형의 경로로 송출되면 된다. 그리고, 송출 상태에서는, 중직경의 전선(2)은, 상기 축방향에서 보아 송출 정지 상태보다 크게 사행한 경로를 통과하고, 복수의 교정 롤러(501, 502)로부터 보다 큰 압박력을 받으면서 그 사이를 빠져 나간다.
상기 구성에 따른 전선 교정 장치(10)에 의하면, 제1 지지부(22)에 피봇 지지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제2 지지부(24)에 피봇 지지된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는, 홈부(52)의 바닥부(53)가 송출 경로(R)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2)은, 송출 정지 상태에서는, 자신의 굽힘 강도에 의해 송출 경로(R)로부터 각 교정 롤러(501, 502)의 홈부(52)의 바닥부(53)에 치우친 경로로 변위된다. 또한, 전선(2)은, 송출 상태에서는, 송출 경로를 통과하여 각 교정 롤러(501, 502)의 홈부(52) 중 바닥부(53)보다 대직경의 교정 사면(54)에 접촉하고, 각 교정 롤러(501, 502)로부터 압박력을 받은 상태에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와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 사이를 빠져 나간다. 이에 따라, 송출 정지 상태에서의 전선(2)은, 송출 상태와 비교하여,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로부터 받는 압박력이 작아져, 상기 압박력을 받는 것에 의한 킹크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송출 상태에서의 전선(2)은, 송출 정지 상태와 비교하여,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로부터 받는 압박력이 커져, 보다 확실하게 킹크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선(2)의 송출 정지 상태에서의 킹크 형성을 억제하면서, 킹크 교정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전선 교정 장치(10)에 있어서도, 송출 정지 상태에서, 전선(2)이 각 교정 롤러(501, 502)의 축방향에 있어서 만곡하여 사행하지만, 이것은 전선(2)이 자신의 유연성에 의해 도피하여 변형하고 있는 것으로, 에어 실린더(30)에 의해 (간접적으로) 압박된 교정 롤러(501, 502)에 가압된 상태에서 구부러져 사행하는 경우보다 킹크가 잘 남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가,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가 송출 경로(R)의 일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가,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가 송출 경로(R)의 타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킹크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교정 롤러(501) 및 제2 교정 롤러(502)는,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가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를 축방향에 있어서 홈부(52)의 바닥부(53)가 송출 경로(R)의 일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하고,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를, 제1 교정 롤러(501)와는 축방향에 있어서 반대의 자세로, 홈부(52)의 바닥부(53)가 송출 경로(R)의 타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축방향에서의 교정 기구부(121, 122)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와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에서,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의 간격이 상이한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종의 선직경의 전선(2)의 킹크 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의 간격이,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보다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에서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킹크 교정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중직경의 전선(2)에 관해서는, 단계적으로 킹크를 교정할 수 있어, 높은 킹크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교정 기구부(121, 122)가, 상대 접촉 분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를 상대적으로 근접 압박하는 에어 실린더(30)를 갖고,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의 에어 실린더(30)가,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의 에어 실린더(30)보다 압박력이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의 간격이 작아, 전선(2)의 인출 저항이 커지기 쉬운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에 있어서, 굽힘 강도가 높은 대직경의 전선(2)에 관해서도 보다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전선 교정 장치(10)에 관해, 2개의 교정 기구부(121, 122)를 갖는 구성인 예로 설명해 왔지만, 1개 또는 3개 이상의 복수의 교정 기구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는, 축방향에서의 중심에 홈부의 바닥부가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는, 홈부의 바닥부가 송출 경로(R)에 대하여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면 된다. 또,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는, 쌍방이 홈부의 바닥부를 송출 경로(R)에 대하여 축방향 일방측으로 변이되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고, 서로 홈부의 바닥부를 송출 경로(R)에 대하여 축방향의 상이한 방향으로 변이되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 송출 상태에서는, 전선(2)이 접촉 분리 방향에서 보아 송출 경로(R)를 대략 따른 경로로 각 교정 롤러(501, 502) 사이를 빠져 나가고, 송출 정지 상태에서는, 각 교정 롤러(501, 502)의 홈부(52)의 바닥부(53) 근처의 위치를 통과하는 경로로 배치된다.
또한, 제1 지지부(22)와 제2 지지부(24)는, 상대 접촉 분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별도의 부재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나란히 일체로 형성되어, 송출 경로(R)를 따른 라인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가 피봇 지지되고, 송출 경로(R)를 따른 상이한 라인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가 피봇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류측 교정 기구부(121)보다 하류측 교정 기구부(122) 쪽이, 송출 경로(R)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의 간격이 작게 설정되어 있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교정 기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501) 및 복수의 제2 교정 롤러(502)의 간격이 다른 교정 기구부와 상이한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복수 종류의 전선(2)의 킹크의 교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전선 교정 장치(10)는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서 예시로서,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 전선, 10 : 전선 교정 장치, 22 : 제1 지지부, 24 : 제2 지지부, 30 : 에어 실린더, 52 : 홈부, 53 : 바닥부, 121 : 상류측 교정 기구부, 122 : 하류측 교정 기구부, 501 : 제1 교정 롤러, 502 : 제2 교정 롤러, R : 송출 경로

Claims (6)

  1. 송출 경로를 따라 송출되는 전선의 킹크(kink)를 교정하는 전선 교정 장치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교정 기구부를 구비하고,
    교정 기구부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나란히 설치되는 제2 지지부와,
    외주부에 바닥부를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는 홈부를 갖고,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복수의 제1 교정 롤러와,
    외주부에 바닥부를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는 홈부를 갖고, 상기 제2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교정 롤러의 측방의 위치에서, 상기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의 제1 교정 롤러와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된 복수의 제2 교정 롤러
    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1 교정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2 교정 롤러는, 상기 홈부의 상기 바닥부가 상기 송출 경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전선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교정 롤러는,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기 바닥부가 상기 송출 경로의 일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교정 롤러는,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기 바닥부가 상기 송출 경로의 타측방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전선 교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정 롤러 및 상기 제2 교정 롤러는,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상기 바닥부가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전선 교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기구부를 복수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교정 기구부는, 다른 교정 기구부에 대하여, 상기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1 교정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2 교정 롤러의 간격이 상이한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인 전선 교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경로를 따르는 방향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1 교정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2 교정 롤러의 간격은, 상류측의 교정 기구부보다 하류측의 교정 기구부에서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인 전선 교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상대 접촉 분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정 기구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상대적으로 근접 압박하는 압박부를 더 갖고,
    상기 상류측의 교정 기구부의 압박부는, 상기 하류측의 교정 기구부의 압박부보다 압박력이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인 전선 교정 장치.
KR1020147009804A 2011-10-20 2012-02-27 전선 교정 장치 KR101643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30564A JP5853578B2 (ja) 2011-10-20 2011-10-20 電線矯正装置
JPJP-P-2011-230564 2011-10-20
PCT/JP2012/054700 WO2013057968A1 (ja) 2011-10-20 2012-02-27 電線矯正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810A true KR20140063810A (ko) 2014-05-27
KR101643061B1 KR101643061B1 (ko) 2016-07-26

Family

ID=4814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804A KR101643061B1 (ko) 2011-10-20 2012-02-27 전선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53864B2 (ko)
EP (1) EP2770596A4 (ko)
JP (1) JP5853578B2 (ko)
KR (1) KR101643061B1 (ko)
CN (1) CN103891070B (ko)
WO (1) WO2013057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0152B1 (en) * 2011-07-08 2017-09-13 Elco Enterprises, Inc. Wire guide module with a housing and rollers ; method of guiding a wire and a wire dispensing system with such module
WO2015136650A1 (ja) * 2014-03-12 2015-09-17 Ykk株式会社 線材送り量調整装置
JP6623330B2 (ja) * 2015-01-23 2019-12-25 西部電機株式会社 ワイヤ電極供給装置及びワイヤ電極供給方法
JP6487794B2 (ja) * 2015-06-30 2019-03-20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ロープ用掴線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架空線復旧方法
CN104979052B (zh) * 2015-06-30 2017-12-12 山西大唐国际云冈热电有限责任公司 一种多束导线绞制设备专用导线绷紧装置
MX2016014519A (es) * 2015-11-06 2017-05-08 Elco Entpr Inc Sistema de guia de alambre flexible.
IT201600117662A1 (it) * 2016-11-22 2018-05-22 A C M Srl Automatismi Costruzioni Mecc Apparato di lavoro multifunzione
CN109127960A (zh) * 2017-06-27 2019-01-04 深圳壮雄实业有限公司 一种自动焊线机
CN107539823A (zh) * 2017-09-11 2018-01-05 江门市欧布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裁线装置
CN108183424A (zh) * 2018-01-29 2018-06-19 山东博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电缆弯曲的切割装置
CN110104500B (zh) * 2019-06-06 2021-04-13 浙江富宇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自动化卷线设备
CN112756506A (zh) * 2019-11-01 2021-05-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线束压直装置
CN111957851A (zh) * 2020-08-05 2020-11-20 衡阳市华南电线有限公司 一种全自动电线折弯加工设备
CN112310900B (zh) * 2020-09-29 2022-03-22 山东诺环建工有限公司 一种低压电缆用接头连接辅助设备
CN112350134B (zh) * 2020-10-29 2022-01-11 巢湖学院 一种带电状态下断路线缆对接辅助装置
CN112871790A (zh) * 2020-12-31 2021-06-01 安徽华科实业有限公司 一种穿丝机设备及其使用方法
CN113245472B (zh) * 2021-04-25 2022-06-10 嘉兴东方钢帘线有限公司 一种具有加捻、弯曲、矫直功能的装置
CN113184626A (zh) * 2021-05-07 2021-07-30 江苏艾可森钢绳有限公司 一种有矫直刮油功能的改性高密度聚乙烯涂塑钢丝绳绕线装置
CN114263059B (zh) * 2021-12-01 2023-03-21 湖南湘钢金属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钢丝绳后变形器
CN115352959B (zh) * 2022-08-19 2024-05-14 北京华电瑞通电力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施工高效输送装置
CN117245021B (zh) * 2023-11-20 2024-01-23 自贡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高精度可转角度铝材矫直装置
CN117620035A (zh) * 2023-11-27 2024-03-01 德维嘉汽车电子系统(无锡)有限公司 线束储线卷引出线矫直系统与矫直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588A (ja) 1992-08-07 1994-03-01 Matsushita Seiko Co Ltd 送風パーティション
JPH08294210A (ja) * 1995-04-20 1996-11-05 Molex Inc 電線の癖取り方法および装置
JP2003334627A (ja) * 2002-05-16 2003-11-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線状体矯正装置
JP2007115433A (ja) * 2005-10-18 2007-05-1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癖取り装置
JP2007229745A (ja) * 2006-02-28 2007-09-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癖除去方法及び電線癖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4975A (en) * 1931-11-27 1933-06-20 Sleeper & Hartley Inc Wire straightening device
DE1222008B (de) * 1961-11-04 1966-08-04 Schumag Schumacher Metallwerke Vorrichtung zum Einfuehren eines in einem Bund starken Drahtes unregelmaessig liegenden Drahtanfanges in ein Richtsystem
US4949567A (en) * 1988-11-04 1990-08-21 Corbin Edward W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wire cast and helix
JPH0749756Y2 (ja) 1993-01-19 1995-11-13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電線矯正装置
DE19606875C1 (de) * 1996-02-23 1997-09-04 Witels App Masch Albert Gmbh Richteinrichtung zum Behandeln von draht-, mehrdraht- oder rohrförmigem Richtgut
JP2007044734A (ja) * 2005-08-10 2007-02-22 Hitachi Cable Ltd 線材矯正装置及び太陽電池の組み立て配線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588A (ja) 1992-08-07 1994-03-01 Matsushita Seiko Co Ltd 送風パーティション
JPH08294210A (ja) * 1995-04-20 1996-11-05 Molex Inc 電線の癖取り方法および装置
JP2003334627A (ja) * 2002-05-16 2003-11-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線状体矯正装置
JP2007115433A (ja) * 2005-10-18 2007-05-1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癖取り装置
JP2007229745A (ja) * 2006-02-28 2007-09-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癖除去方法及び電線癖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0596A1 (en) 2014-08-27
CN103891070A (zh) 2014-06-25
US9653864B2 (en) 2017-05-16
KR101643061B1 (ko) 2016-07-26
US20140216594A1 (en) 2014-08-07
JP2013090497A (ja) 2013-05-13
JP5853578B2 (ja) 2016-02-09
EP2770596A4 (en) 2015-11-25
WO2013057968A1 (ja) 2013-04-25
CN103891070B (zh)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061B1 (ko) 전선 교정 장치
US20160354820A1 (en) Wire straightening device
US20110049211A1 (en) Cable Transport Device
CN103503083B (zh) 带电线更换机构的电线尺寸调整装置
JP2008284560A (ja) 線材矯正装置および太陽電池の組立て装置
EP0615317B1 (en) Electric cable guiding device
US20160301178A1 (en) Wire discharge device
JP2009045699A (ja) チューブ挿入装置および挿入方法
EP2790191B1 (en) Electrical wire holding bar conveying device
US20210202155A1 (en) Coil-forming apparatus
CN106573428B (zh) 引导装置
JP6927824B2 (ja) 電線ガイド、電線クランプ装置、電線処理装置、および電線のガイド方法
JP4080399B2 (ja) 可動式電線送り装置
JP4649449B2 (ja) 電線加工機における電線測長装置
JP7217123B2 (ja) 電線クランプ装置および電線処理装置
WO2013061633A1 (ja) 端子圧着装置
CN115740277A (zh) 线材矫正装置及线材矫正方法
KR101770465B1 (ko) 플랫 케이블의 제조 방법 및 플랫 케이블
JP2002008462A (ja) 電線加工機における電線自動交換装置および電線測長装置
JP4252865B2 (ja) 電線送り装置
JP4201670B2 (ja) 電線送り装置
JP4255905B2 (ja) ピッチ変換装置
CN105836508A (zh) 卷筒纸卷绕方法及卷筒纸卷绕装置
JP2005176842A (ja) たばこ加工産業の被覆テープの搬送
JP2006072146A (ja) 線状体の被覆方法及び被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