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138A - 커넥터 부착 케이블 및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부착 케이블 및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138A
KR20140056138A KR1020137015519A KR20137015519A KR20140056138A KR 20140056138 A KR20140056138 A KR 20140056138A KR 1020137015519 A KR1020137015519 A KR 1020137015519A KR 20137015519 A KR20137015519 A KR 20137015519A KR 20140056138 A KR20140056138 A KR 20140056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substrate
connector
cable
magnet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839B1 (ko
Inventor
마사오 모리
코지 아제가미
신야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3144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06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9451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06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9450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068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4005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57Details of housings having a supporting carrier or a mounting substrate or a mounting pl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02B6/3827Wrap-back connectors, i.e. containing a fibre having an U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2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for coupling an active element with fibres without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fibres with plane ends, fibres with shaped ends, 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8Electrical aspects contain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84Electrical aspects of optical modules with disconnectable 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5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emiconductor devices activated by light through the light guide, e.g. thyristors, phototransis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3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surplus lengths, internal fibre loo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85Optical modules characterised by a connectorised pigtai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화이버를 가지는 케이블과,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전변환부를 탑재한 기판을 수용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부착 케이블이며, 상기 커넥터로부터 이어져 나오는 상기 케이블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상기 커넥터로부터 보아 상기 케이블쪽을 뒤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앞쪽으로 하는 것과 같이, 상기 기판으로부터 보아 상기 광전변환부쪽을 위로하고, 반대쪽을 아래로 했을때,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적어도 3개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2개의 만곡부의 일방이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타방이 상기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화이버가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부착 케이블 및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 {Cable Havin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Having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부착 케이블 및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기 간의 광전송을 하는 것에는, 예를 들면 전기신호와 광신호를 변환하는 광전변환부를 각 기기에 설치, 이 광전변환부에 광 커넥터를 사이에 두고 광케이블을 접속하여, 이 광화이버 케이블에 의해 광신호의 송수신을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식으로는, 광 커넥터에 오염이나 이물질이 부착하면 신호의 열화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방식으로는, 기기내에 광화이버 처리부나 광전변환부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광전변환부를 커넥터측에 설치한 커넥터 부착 케이블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출원공개 1993 - 226027호 공보
최근, 기기의 소형화 및 정보전송량 증대에 따라, 소형의 커넥터 내에 광화이버를 수용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한편, 케이블에 장력이 가해졌을 때 광화이버나 광결합부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커넥터 내에 광화이버의 여분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단, 커넥터 내에 광화이버의 여분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도, 커넥터 내부에서 광화이버가 움직이기 쉬운 상태라면, 광결합부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커넥터 내부에 광화이버가 움직이기 어렵도록 여분길이를 처리하면서, 광결합부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제 1 발명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화이버를 가지는 케이블과,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전변환부를 탑재한 기판을 수용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부착 케이블로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이어져 나오는 상기 케이블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상기 커넥터로부터 보아 상기 케이블쪽을 뒤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앞쪽으로 하는 것과 같이, 상기 기판으로부터 보아 상기 광전변환부쪽을 위로하고, 반대쪽을 아래로 했을때,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적어도 3개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2개의 만곡부의 일방이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타방이 상기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화이버가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에 의해 보다 명확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내부에 광화이버가 움직이가 어렵도록 여분길이를 처리하여, 광결합부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의 전체 사시도 이다.
[도 2]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복합케이블(2)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의 기능 블록도 이다.
[도 5] 도 5는, 카메라 측 커넥터(10)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6] 도 6은, 모기판(20)의 사시도 이다.
[도 7] 도 7은, 자기판(40)의 주변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8] 도 8a는, 발광부(41)과 광화이버(3)과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결합부(43)의 설명도 이다. 도 8b는, 광화이버(3)의 끝부분의 접착개소의 설명도이다.
[도 9] 도 9는, 카메라 측 커넥터(10) 의 단말부(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 도 10은, 도 9의 보호커버를 제외한 도면이다.
[도 11] 도 11은, 카메라 측 커넥터(10)의 단말부(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12] 도 12a는, 단말부(12)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b는 단말부(12)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본 실시형태 및 비교예의 광화이버(3)의 말단부(3I)의 설명도이다.
[도 14] 도 14는,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5] 도 15는,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자기판(140)의 주변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16] 도 16은,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단말부(1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17] 도 17은, 도 16의 보호커버(151)을 제외한 도면이다.
[도 18] 도 18은, 그래버 측 커넥터 100의 단말부(1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19] 도 19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의 제조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0] 도 20은, 제 1 변형예의 카메라 측 커넥터(10)의 단말부(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21] 도 21은, 제 2 변형예의 카메라 측 커넥터(10)의 단말부(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22] 도 22는, 제 3 변형예의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단말부(1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3] 도 23은, 제 4 변형예의 카메라 측 커넥터(10)의 자기판(40)의 주변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 도 24는, 제 6 변형예의 카메라 측 커넥터(10) 의 자기판(40)의 주변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 도 25는, 제 7 변형예의 카메라 측 커넥터(10) 의 자기판(40)의 주변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 도 26은, 만곡부를 1개로 한 경우의 여분길이 처리의 참고도이다.
후술하는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로부터,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하게 된다.
(1)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화이버를 가지는 케이블과,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전변환부를 탑재한 기판을 수용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부착 케이블로, 상기 커넥터로부터 이어져 나오는 상기 케이블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상기 커넥터로부터 보아 상기 케이블쪽을 뒤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앞쪽으로 하는 것과 같이, 상기 기판으로부터 보아 상기 광전변환부쪽을 위쪽으로로 하고, 반대쪽을 아래쪽으로 했을 때,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적어도 3개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2개의 만곡부의 일방이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타방이 상기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화이버가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이 명확하게 된다
이 같은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의하면, 커넥터 내부에 광화이버가 움직이기 어렵도록 여분길이를 처리하면서, 광결합부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판의 모서리에 요소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넥터의 내면과 상기 요소의 사이의 틈새를 상기 광화이버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의 하측과 상측의 배선을 연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판은 별개의 자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실장되어 있어,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의 배선이 용이한 구성이 된다.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광화이버가 끼워지듯이 배선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넥터 내에서 광화이버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앞쪽 2개의 만곡부에 대하여 뒷쪽에 형성된 만곡부는, 상기 기판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기판의 위쪽에 위치하는 2개의 상기 만곡부의 사이의 부분이,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의 끝부분이 움직이기 어렵게 되어, 광결합부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부와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가 구부러져, 상기 광화이버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 상기 광전변환부가 결합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된 요부를 가지고, 상기 광화이버가 상기 요부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광화이버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 상기 광전변환부가 결합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와 기판이 간섭하지 않는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광화이버의 피복의 일부가 상기 요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요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피복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가 접착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의 접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기판은 별개의 자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실장 되어있어,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탑재 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광화이버가 끼워져 배선 되어 있어,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끼워진 부분 보다도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 쪽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부에서의 상기 광화이버의 구부러진 방향과, 당해 만곡부와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의 사이에서의 상기 광화이버의 구부러진 방향이, 같은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의 끝부분이 극히 움직이기 어려운 구성이 된다.
상기 케이블은, 신호선을 더 갖추고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신호선의 끝부분을 스루홀 접속하기 위한 스루홀을 갖추고 있어,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어느 쪽의 상기 만곡부가, 상기 기판에 스루홀 접속된 상기 신호선의 피복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케이블쪽에 위치하는 뒤쪽 스루홀과, 상기 뒤쪽 스루홀 보다도 앞쪽에 형성된 앞쪽 스루홀을 구비하고, 상기 뒤쪽 스루홀에 상기 신호선의 상기 끝부분이 삽입되는 방향과, 상기 앞쪽 스루홀에 상기 신호선의 상기 끝부분이 삽입되는 방향이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기판의 양측에 신호선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어느 쪽의 상기 만곡부가, 상기 뒤쪽 스루홀에 스루홀 접속된 상기 신호선의 피복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루홀에 스루홀 접속된 신호선은 휘어지게 할 필요가 있으나, 뒤쪽 스루홀에 스루홀 접속된 신호선은 휘어지게 하지않아도 되기 때문에, 신호선과 만곡부의 부피가 커지지 않아도 배선이 가능하다.
상기 기판은 별개의 자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실장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탑재 되고, 상기 신호선의 피복위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부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광화이버가 끼워져 배선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넥터 내부에서의 광화이버가 움직이기 어렵게 되도록 여분길이를 처리하면서, 광결합부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화이버를 가지는 케이블과,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전변환부를 탑재한 기판을 수용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케이블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 상기 광전변환부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공정과, 상기 커넥터로부터 이어져 나오는 상기 케이블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상기 커넥터로부터 보아 상기 케이블 쪽을 뒤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앞쪽으로 하는 것과 같이, 상기 기판으로부터 보아 상기 광전변환부쪽을 위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아래쪽으로 했을 때,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를 적어도 3개 형성하고, 앞쪽 2개의 만곡부의 일방이 상기 기판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타방이 상기 기판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화이버를 배선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이 명확하게 된다.
이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면, 광결합부의 손상이 어려운 커넥터 부착 케이블을 제조가능하다.
(2)
그런데, 최근, 기기의 소형화 및 정보전송량의 증대에 따라서, 소형의 커넥터 내에 광화이버를 수용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한편, 케이블에 장력이 가해졌을 때, 광화이버나 광결합부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커넥터 내에 광화이버의 여분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제 2의 발명은, 커넥터 내에 광화이버의 여분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제 2의 발명은, 광화이버를 가지는 케이블과,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전변환부를 수용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로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이어져 나오는 상기 케이블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와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가 구부러져, 상기 광화이버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 상기 광전변환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이다. 이러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의하면, 커넥터 내에 광화이버의 여분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광전변환부를 실장하는 기판이 상기 커넥터에 수용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된 요부를 가지고, 상기 광화이버가 상기 요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광화이버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 상기 광전변환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와 기판이 간섭하지 않는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광화이버의 피복의 일부가 상기 요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요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피복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가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의 접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광전변환부를 실장한 자기판과, 상기 자기판을 탑재하고 상기 자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모기판이 상기 커넥터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의 배선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모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광화이버가 끼워져 배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넥터 내의 광화이버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모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끼워진 부분보다도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쪽에 위치하고, 상기 만곡부의 상기 광화이버의 구부러진 방향과, 상기 만곡부와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의 사이에 상기 광화이버의 구부러진 방향이 같은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의 끝이 극히 움직이기 어려운 구성이 된다.
상기 커넥터로부터 보아 상기 케이블 쪽을 뒤쪽으로 하여, 반대쪽을 앞으로 하고, 상기 모기판으로부터 보아 상기 자기판 쪽을 위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아래쪽으로 했을 때,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적어도 3개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2개의 만곡부의 일방이 상기 모기판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타방이 상기 모기판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화이버가 배선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넥터 내부에서 광화이버가 움직이기 어렵도록 여분길이를 처리하면서, 광결합부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블은 신호선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모기판은, 상기 신호선의 끝부분을 스루홀 접속하기 위한 스루홀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커넥터로부터 보아 상기 케이블쪽을 뒤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앞쪽으로 했을 때,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 보다도 뒤쪽에 별개의 만곡부인 뒤쪽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뒤쪽 만곡부가, 상기 기판에 스루홀 접속된 상기 신호선의 피복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의 손상을 억제 할 수 있다.
광화이버를 가지는 케이블과,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전변환부를 수용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케이블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 상기 광전변환부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공정, 상기 커넥터로부터 이어져 나오는 상기 케이블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상기 만곡부와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를 구부려,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 상기 광전변환부와의 결합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광화이버를 배선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이 명확하게 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커넥터 내에 광화이버의 여분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또한, 최근, 기기의 소형화 및 정보전송량의 증대에 따라서, 소형의 커넥터내에 광화이버를 수용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한편, 케이블에 장력이 가해졌을때 광화이버나 광결합부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커넥터 내에 광화이버의 여분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단,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커넥터 내의 기판에 스루홀 접속할 경우, 커넥터 내에서 여분길이 처리된 광화이버가 스루홀 접속의 납땜 엣지에 접촉하면, 광화이버를 손상시킬 염려가 있다. 그래서, 제 3 발명은, 커넥터 내에 광화이버의 여분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스루홀 접속의 납땜의 엣지에 의해 광화이버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는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제 3 발명은, 광화이버와 신호선을 가지는 케이블과, 상기 신호선의 끝부분을 스루홀 접속하기 위한 스루홀을 구비한 기판을 수용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부착 케이블로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이어져 나오는 상기 케이블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했을때,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판에 스루홀 접속된 상기 신호선의 피복위에 상기 만곡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이다. 이러한 커넥터 부착 케이블이라면, 커넥터 내에 광화이버의 여분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스루홀 접속 납땜의 엣지에 의해 광화이버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로부터 보아 상기 케이블 쪽을 뒤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앞쪽으로 했을 때, 상기 기판은, 상기 케이블 쪽에 위치하는 뒤쪽 스루홀과, 상기 뒤쪽 스루홀 보다도 앞쪽에 형성된 앞쪽 스루홀을 구비하고, 상기 뒤쪽 스루홀에 상기 신호선의 상기 끝부분이 삽입되는 방향과, 상기 앞쪽 스루홀에 상기 신호선의 상기 끝부분이 삽입되는 방향이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기판의 양쪽에 신호선을 분산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뒤쪽 스루홀에 스루홀 접속된 상기 신호선의 피복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루홀에 스루홀 접속된 신호선은 휘어지게 할 필요가 있으나, 뒤쪽 스루홀에 스루홀 접속된 신호선은 휘어지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신호선과 만곡부의 부피가 커지지 않게 배선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별개의 자기판에,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전변환부가 실장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커넥터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의 배선이 용이한 구성이 된다.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광화이버가 끼워져 배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넥터 내에서의 광화이버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신호선의 피복위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부의 양쪽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광화이버가 끼워져 배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만곡부가 기판에 향하는 힘을 받기 쉬운 구성일 경우 특히 유효하다.
상기 커넥터로부터 보아 상기 케이블쪽을 뒤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앞쪽으로 했을 때,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적어도 3개 형성 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앞쪽 2개의 만곡부가 상기 기판을 끼고 각각 반대쪽으로 위치 하도록, 상기 광화이버가 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넥터 내부에서 광화이버가 움직이기 어렵도록 여분길이를 처리하면서, 광결합부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 보다도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에 가까운 쪽에 별개의 만곡부인 앞쪽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앞쪽 만곡부와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가 구부러져서, 상기 광화이버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광화이버의 끝부분이 접속되어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화이버와 신호선을 가지는 케이블과, 상기 신호선의 끝부분을 스루홀 접속하기 위한 스루홀을 구비한 기판을 수용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케이블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신호선의 상기 끝부분을 상기 기판의 상기 스루홀에 스루홀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커넥터에서 이어져 나오는 상기 케이블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상기 기판에 스루홀 접속된 상기 신호선의 피복위에 상기 만곡부를 배치 하도록 상기 광화이버를 배선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 방법이 명확하게 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광화이버가 손상되기 어려운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가 가능하다.
=== 전체구성 ===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의 전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은, 복합 케이블(2)와, 복합 케이블(2)의 양끝에 설치된 2개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은, 카메라 링크 인터페이스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있어, 일방의 커넥터는 카메라 측 커넥터(10) (송신측 커넥터)가 되고, 타방의 커넥터는 그래버 측 커넥터(110) (수신측 커넥터)가 된다. 카메라 측 커넥터(10) 및 그래버 측 커넥터(110)은, 각각 26 핀 커넥터 단자를 가지고 있다.
카메라 링크 규격의 일종인 Base Configuration 에 의하면, 메탈 케이블로 구성된 차동신호선에 의해, 카메라 측 커넥터(10)과 그래버 측 커넥터(110)와의 사이에 신호 (영상신호나 제어신호)가 전송된다. 단, 차동신호선에 의한 영상신호의 전송시의 제약 때문에 카메라 링크 규격으로는, 전송거리가 최대 10m 로 규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차동신호선을 사용해 전송해야 하는 영상신호를, 시분할 다중방식으로 광화이버로 전송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부착 케이블은, 전송거리를 30m 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복합 케이블(2)의 단면도이다.
복합 케이블(2)는, 1개의 광화이버(3)과, 7개의 차동신호선(4)와, 2개의 전원선(6)을 구비하고 있다. 광화이버(3)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광화이버 소선, 광화이버 심선 및 광화이버 코드 등도 단순히 「광화이버」라고 하기로 한다. 차동신호선(4)는, 2개의 신호선(5)를 1조로 하는 메탈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합 케이블(2)는 14개의 신호선(5)를 구비하게 된다. 이들 차동신호선(4)는, 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영상신호를 전송할 경우에 비해 저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한다. 2개의 전원선(6)은, 신호선(5)에 비해 굵은 메탈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고, 일방의 전원선(6)의 전위는 12V 이며, 타방의 전원선(6)의 전위는 GND 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의 기능 블록도 이다.
카메라 측 커넥터(10)은, 발광부(41)과, 구동부(42)와, LVDS 시리얼라이저(21)과, 카메라 측 MCU(22) 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부(41)은, LD (Laser Diode : 레이저 다이오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부(41)로서, 기판에 수직한 빛을 출사하는 VCSEL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 수직공진기면발광레이저)가 채용되어 있다. 발광부(41)은, 구동부(42)로부터 출력된 바이어스 전류와 변조전류가 더해진 전류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광신호를 광화이버(3)에 출력한다.
LVDS 시리얼라이저(21)은, 4개의 영상신호 (X0 ~ X3) 및 영상신호용 클록신호 (XCLK)를 시분할로 다중화 하여, 시리얼 신호로 변환한다. 이 시리얼 신호에 반응한 광신호가, 광화이버(3)을 사이에 두고 전송되게 된다.
카메라 측 MCU(22)는, 예를들면, (1) 발광부(41)의 주변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데이터와, 발광부(41)에 출력하는 바이어스 전류 크기의 모니터 정보인 바이어스 전류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 (2) 온도 데이터와 바이어스 전류 데이터를 차동신호선(4)를 사이에 두고 그래버 측 MCU(122)로 송신하는 것, (3) 발광부(41)의 광신호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바이어스 전류의 설정 데이터와, 변조전류의 설정 데이터를 차동신호선(4)를 사이에 두고 그래버 측 MCU(122)로부터 취득하는 것, (4) 바이어스 전류의 설정 데이터와 변조전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광부(41)의 바이어스 전류와 변조전류를 설정하는 것, (5)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LVDS 디시리얼라이저(121)의 수신클록의 재생이 완료한 것을 통지하는 LOCK신호를 차동신호선(4)를 사이에 두고 그래버 측 MCU(122)로부터 취득하는 것, (6) LOCK신호를 LVDS 시리얼라이저(21)에 출력하는 것, 등을 행한다.
그래버 측 커넥터(110)은, 수광부(141)과, 전류전압변환부(142)와, LVDS 디시리얼라이저(121)과, 그래버 측 MCU(122)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부(141)은, PD (Photo Diode : 포토다이오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광부(141)로서, GaAs 의 PIN형 포토다이오드 (PIN-PD)가 채용되어 있다.
전류전압변환부(142)는, 수광부(141)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반응한 전압신호를 LVDS 디시리얼라이저(121)에 출력한다. 또한, 전류전압변환부(142)는, 수광부(141)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반응한 모니터전압을 그래버 측 MCU(122)에 출력한다.
LVDS 디시리얼라이저(121)은, 전류전압변환부(142)로부터 입력된 전압신호 (시리얼신호)에 기초하여, 4개의 영상신호 (X0 ~ X3) 및 영상신호용 클록신호 (XCLK)를 생성하여, 도시하지 않은 그래버에 출력한다.
그래버 측 MCU(122)는, 예를 들면, (1) 모니터전압을 감시하여, 발광부(41)의 상태(정상ㆍ이상)을 검출하는 것, (2) LVDS 디시리얼라이저(121)로부터 LOCK신호를 취득하여, LOCK신호를 차동신호선(4)를 사이에 두고 카메라 측 MCU(22)에 송신하는 것, (3) 온도 데이터와 바이어스 전류 데이터를 차동신호선(4)를 사이에 두고 카메라 측 MCU(22)로부터 취득하는 것, (4) 온도 데이터와 바이어스 전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이어스 전류의 설정 데이터와 변조전류의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차동신호선(4)를 사이에 두고 카메라 측 MCU(22)에 송신하는 것, 등을 행한다.
그런데, 카메라 측 커넥터(10) 및 그래버 측 커넥터(110)이 도 4에 나타낸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내부의 기판에 광화이버(3)과 메탈케이블(차동신호선(4), 전원선(6))의 양쪽을 접속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화이버(3)과 메탈케이블 각각의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메탈케이블이 접속되는 모기판과 별개로, 광화이버(3)을 접속하기 위한 자기판을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화이버(3)을 접속한 후의 자기판을, 메탈케이블 접속후의 모기판에 탑재(접속)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측 커넥터(10)의 자기판에는, 광전변환부로서 발광부(41)이 실장 되어 있다. 또한,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자기판에는, 광전변환부로서 수광부(141)이 실장 되어 있다.
=== 카메라 측 커넥터(10) ===
<구성>
도 5는, 카메라 측 커넥터(10) 의 분해 사시도이다. 카메라 측 커넥터(10) 은, 하우징(11)과, 단말부(12)를 구비한다.
하우징(11)은, 전자부품인 단말부(12)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11)에는, 복합케이블(2)를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의 도입구에 있어서, 복합케이블(2)의 구출부(7)의 가까이 코킹부재(8)이 유지된다. 하우징(11)은, 케이스(11A)와 커버(11B)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11A)에 단말부(12)를 수용한 후, 커버(11B)로 케이스(11A)의 수용부를 덮어, 양쪽을 나사로 고정하게 된다.
단말부(12)는, 모기판(20)과, 자기판(40)과, 단자부(52)를 구비한다. 모기판(20) 및 자기판(40)은, 프린트 회로기판이고, 각각 도 3에 나타낸 기능을 한다. 모기판(20) 및 자기판(40)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모기판(20)의 한 쪽 끝부분에는, 단자부(52)가 접속되어 있다. 단자부(52)에는, 26핀 커넥터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모기판(20)의 다른 쪽 끝부분에는, 복합케이블(2)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의 카메라 측 커넥터(10) 의 설명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후, 상하, 좌우를 정의한다. 즉, 카메라 측 커넥터(10) 으로부터 곧바로 이어져 나왔을 때의 복합케이블(2)의 방향을「전후방향」으로하고, 카메라 측 커넥터(10) 으로부터 보아 복합케이블(2)쪽을「뒤」로하고, 반대쪽을「앞」으로 한다. 또한, 모기판(20)의 법선방향을 따라「상하방향」을 정의하고, 모기판(20)으로부터 보아 자기판(40)쪽 (광전변환부가 되는 발광부(41)이 있는 쪽) 을 「위」로 하고, 반대쪽을「아래」로 한다 (도면에서는 상하의 위치관계가 반대로 되어있다). 또한,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고, 도면과 같이 「좌」와「우」를 정의한다. (상하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앞쪽으로부터 보았을때 오른손 쪽을 「우」로하고, 왼손 쪽을 「좌」로한다.)
<모기판(20)의 구성>
도 6은, 모기판(20)의 사시도 이다.
모기판(20)의 뒤쪽 (복합케이블(2)의 쪽)에는, 좌우방향에 나란한 스루홀의 열(스루홀 열)이 3열 있다. 3열의 스루홀 열 중에, 가장 뒤쪽의 스루홀 열을 「뒤쪽 스루홀 열(31A)」라고 하고, 뒤쪽 스루홀 열(31A) 보다 앞쪽에 있는 2개의 스루홀 열을 「앞쪽 스루홀 열(32A)」라고 한다.
뒤쪽 스루홀 열(31A)는, 6개의 스루홀로 구성되어 있다. 이 6개의 스루홀을 「뒤쪽 스루홀(31)」이라고 한다. 앞쪽 스루홀 열(32A)는, 각각 4개의 스루홀로 구성되어 있다. 앞쪽 스루홀 열(32A)의 스루홀을 「앞쪽 스루홀(32)」라고 한다.
* 모기판(20)의 뒤쪽에는, 전부 14개의 스루홀 (6개의 뒤쪽 스루홀(31)과, 8개의 앞쪽 스루홀(32))가 설치되게 된다. 이들 스루홀은 복합케이블(2)의 차동신호선(4)를 구성하는 신호선(5)를 납땜하여 붙이기 위한 관통공이다.
모기판(20)의 우측 모서리에는, 요소(24)가 형성되어 있다. 모기판(20)이 하우징(11)에 수납되면, 모기판(20)의 좌우의 모서리와 하우징(11)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거의 틈새가 없는 상태가 되나, 요소(24)에는, 하우징(11)의 내면과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 틈새에 광화이버(3)이 배선되는 것에 의해, 모기판(20)의 상하 양쪽에 광화이버(3)의 여분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광화이버(3)의 배선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모기판(20)의 우측에는, 2핀헤더용의 2개의 스루홀(33)이 전후방향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스루홀은, 모기판(20)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떨어져 형성되어 있어, 모기판(20)이 하우징(11)의 케이스(11A)에 수납 되었을 때, 2핀헤더(61)과 하우징(11)의 내면과의 사이에 광화이버(3)을 배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기판(20)의 좌측에는, 10핀헤더용의 10개의 스루홀(34)가 전후방향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 10개의 스루홀은, 모기판(20)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떨어져 형성되어 있어, 모기판(20)이 하우징(11)의 케이스(11A)에 수납되었을 때, 10핀헤더(62) (도시하지 않음)와 하우징(11)의 내면과의 사이에 광화이버(3)을 배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기판(20)에는, 4핀헤더용의 4개의 스루홀(35)와, 복합케이블(2)의 전원선(6)을 납땜하여 붙이기 위한 2개의 스루홀(36)이 형성되어 있다. 전원선용의 스루홀(36)은, 단자부(52)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25)에 가장 가까운 스루홀이다. 이것은, 모기판(20)위의 전원배선패턴을 극히 줄이기 것이다. 전원배선패턴을 줄이는 것에 의해, 신호패턴과의 클리어런스를 고려하는 부분이 줄어, 기판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자기판(40)의 구성>
도 7은, 자기판(40)의 주변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 이다. 자기판(40)에는, 주로 광학부품 (발광부(41) 및 그 구동부(42)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음)) 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자기판(40)에 탑재된 발광부(41)은, 광화이버(3)의 단면에 광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자기판(40)은, 2핀헤더(61), 10핀헤더(62) 및 4핀헤더(63)을 사이에 두고, 모기판(20)의 위쪽에 탑재된다. 이 때문에, 자기판(40)에도, 2핀헤더용 스루홀과, 10핀헤더용 스루홀과, 4핀헤더용 스루홀이 형성되어 있다.
자기판(40)에는, 요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44)는, 광화이버(3)의 단면을 발광부(41)과 광결합 시킬 때, 광화이버(3)의 심선의 피복이 자기판(40)과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형성된 절개부이다. 요부(44)의 폭은, 광화이버(3) (심선의 피복을 포함)의 외경 900㎛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3)의 단면으로부터 심선까지의 길이 L 을 짧게 할 수 있어, 광화이버(3)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화이버(3)의 피복의 일부를 요부(44)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자기판(40)과 광화이버(3)의 피복과의 사이를 접착고정 하는 것이 가능하다.(후술)
요부(44)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즉, 요부(44)의 절개방향은, 전후방향에 대하여 0˚<θ< 90˚의 관계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부(44)의 절개방향은, 전후방향에 대하여 30˚<θ< 60˚의 관계가 되는것이 좋다. 여기서, 요부(44)의 절개방향은, 전후방향에 대하여 45˚ 만큼 비스듬히 되어있다.
이로 인해, 요부(44)의 개구부가 오른쪽 앞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요부(44)의 개구부는, 하우징(11)에 수용되었을 때에 하우징(11)의 좌측 내면 (케이스(11A)의 우측의 내면) 쪽을 향하도록 된다. 요부(44)를 비스듬히 형성하는 것에 의해, 광화이버(3)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자기판(40)에 접속되게 된다.
요부(44)의 연장선 위에, 발광부(41)이 실장되어 있다. 발광부(41)은, 요부(44)를 따라서 자기판(40)위에 안내된 광화이버(3)의 단면과 광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8은, 발광부(41)과 광화이버(3)과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결합부(43)의 설명도이다. 광화이버(3)의 광축은 자기판(40)과 거의 평행이고, 발광부(41)의 광축은 자기판(40)의 면에 거의 수직이기 때문에, 서로의 광축은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결합부(43)의 구조 등에 관하여는, 일본 특허출원공개 2010-237642호 공보나 국제공개공보 WO 2011/83812 에도 기재되어 있다.
광결합부(43)은, 전송되는 빛에 대해서 투명한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단, 빛이 전송되는 수지내의 광로가 짧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투명성이 있으면 된다. 광결합부(43)은, 광화이버(3)의 단면(3J)의 전면을 덮어, 광화이버(3)의 상부까지 부착되어 있다. 단, 광결합부(43)은 광화이버(3)의 코어의 전단면을 덮고 있으면 되고, 광화이버(3)의 단면(3J)를 완전히 덮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광결합부(43)은, 발광부(41)의 발광면(41A)를 덮고 있으면 되고, 발광부(41)를 완전히 덮지 않아도 된다.
광결합부(43)의 외면(431)은,광결합부(43)을 구성하는 투명수지와 외부의 기체 (공기, 질소 등)와의 계면을 형성하고 있어, 발광부(41)로부터 조사된 빛은 외면(431)으로 반사하여 광화이버(3)에 입사한다. 광결합부(43)을 구성하는 투명수지는, 광화이버(3)의 광축과 발광부(41)의 광축이 교차하는 교점 P의 위치에는 존재하지 않고, 광결합부(43)의 외면(431)은, 광화이버(3)의 단면(3J) 및 발광부(41)의 발광면(41A)쪽에 파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결합부(43)의 외면(431)에서는, 발광부(41)의 발광면(41A)에 마주보는 위치 A와 광화이버(3)의 단면에 마주보는 위치 B에 있어서, 파인 형상으로 되어있고, 위치 A와 위치 B의 사이도 파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광결합부(43)을 구성하는 투명수지가, 발광부(41)의 광축과 광화이버(3)의 광축이 교차하는 교점 P의 위치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에 의해, 빛이 확산하는 범위가 좁아지게 되어, 손실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결합부(43)의 외면(431)을 파인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반사면으로서의 위치 및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지 않아도, 보다 낮은 제작정도로 확실한 광결합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화이버(3)의 단면(3J)와 발광부(41)과의 사이가 단일한 투명수지로 구성된 광결합부(43)으로 광결합 되기 때문에, 극히 낮은 코스트로, 또 간이한 공정으로 작성 가능하다.
도 8b는, 광화이버(3)의 끝부분 접착개소의 설명도 이다. 광화이버(3)은, 끝부분의 적어도 2개소로 접착고정 되어 있다.
제 1 접착부는, 광화이버(3)의 단면(3J)와 발광부(41)과의 사이를 접착공정 하는 부분이다. 상기의 광결합부(43)을 구성하는 투명수지가 접착제로 기능하는 것에 의해, 제 1 접착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접착부의 투명수지는, 광결합부(43)을 구성하는 기능과, 접착제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재료가 채용된다. 투명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UV경화성수지나 열경화성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접착부는, 광화이버(3)의 피복과 자기판(40)과의 사이를 접착고정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광화이버(3)의 끝부분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광결합부(43)의 파손을 억제한다. 또한, 광결합부(43)이 도 8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간결한 구성이기 때문에, 광화이버(3)의 광축이 자기판(40)의 표면에 근접한 상태가 되지만, 자기판(40)에 요부(4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화이버(3) (외경 900㎛)이 자기판(40)과 간섭하는 것이 회피되어, 광화이버(3)의 피복의 일부를 요부(44)의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2 접착부에 있어서 광화이버(3)의 피복과 자기판(40)과의 접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접착부의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접착부의 접착제는, 제 1 접착부의 투명수지와는 달리, 빛을 투과시키는 기능은 없어도 된다.
<광화이버(3)의 배선>
다음으로, 광화이버(3)의 배선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광화이버(3)은, 구부림 반경을 허용 구부림 반경보다 크게 설정하면서, 좁은 커넥터 내 (하우징(11) 내)에 수용할 필요가 있다.
도 9는, 카메라 측 커넥터(10) 의 단말부(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보호커버(51)을 제외한 도면이다. 도 11은, 카메라 측 커넥터(10)의 단말부(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a는, 단말부(12)를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b는, 단말부(12)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여기서는, 하우징(11)내의 광화이버(3)의 각 부분을, 복합케이블(2)의 구출부(7)로부터 광화이버(3)의 끝부분을 향하여 순서대로, 근원부(3A), 하측직선부(3B), 제 1 전측만곡부(3C), 이행부(3D), 제 1 상측직선부(3E), 후측만곡부(3F), 제 2 상측직선부(3G), 제 2 전측만곡부(3H), 말단부(3I) 라고 한다. 근원부(3A)는, 구출부(7)로부터 하측직선부(3B)까지의 사이부분이다. 하측직선부(3B)는, 모기판(20)의 왼쪽 아래에 있어서 거의 직선상에 배치된 부분이다. 제 1 전측만곡부(3C)는, 모기판(20)의 앞쪽 아래에 있어서,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이다. 이행부(3D)는, 모기판(20)의 요소(24)에 있어서 모기판(20)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에 연락시키고 있는 부분이다. 제 1 상측직선부(3E)는, 이행부(3D)와 후측만곡부(3F)와의 사이의 부분으로, 모기판(20)의 오른쪽 위에 있어서, 거의 직선상으로 배선된 부분이다. 후측만곡부(3F)는, 모기판(20)의 뒤쪽 위에 있어서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이다. 제 2 상측직선부(3G)는, 후측만곡부(3F)와 제 2 전측만곡부(3H)와의 사이의 부분으로, 모기판(20)의 왼쪽 위에 있어서 거의 직선상으로 배선된 부분이다. 제 2 전측만곡부(3H)는, 모기판(20)의 앞쪽 위에 있어서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이다. 말단부 (3I)는, 제 2 전측만곡부(3H)와 광결합부(43)과의 사이의 부분이다.
광화이버(3)은, 하우징(11)내를 대략 2회 감겨서 여분길이가 처리되어 있다. 이때문에, 광화이버(3)은, 하우징(11)내에 있어서, 전후방향의 방향을 3회 바꾸도록 처리되어 있다. 이 결과, 하우징(11)내의 광화이버(3)에는,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 (제 1 전측만곡부(3C), 후측만곡부(3F), 제 2 전측만곡부(3H)) 가 3개소 있다. 이처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있기 때문에, 복합케이블(2)에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광화이버(3)의 끝부분의 광결합부(43)까지 장력이 전해지지 않아, 광화이버(3)이나 광결합부(43)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하우징(11)의 뒤쪽으로부터 광화이버(3)이 삽입되어 2회 감긴 만큼 여분길이의 처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3개의 만곡부 중에 2개의 만곡부(제 1 전측만곡부(3C), 제 2 전측만곡부(3H))는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2개의 만곡부를 직접 상하로 겹쳐 배선해 버리면, 상하의 부피가 커져 버리게 된다. 또한, 상하로 부피가 커진 광화이버(3)은, 하우징(11)내에서 움직이기 쉬운 상태가 되어, 광결합부(43)을 손상시키는 등의 고장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쪽 2개의 만곡부중에 일방 (제 1 전측만곡부(3C))를 모기판(20)의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타방(제 2 전측만곡부(3H))를 모기판(20)의 위쪽에 위치 시키고 있다. 즉, 앞쪽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20)의 상하에 나누어지도록, 광화이버(3)을 배선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앞쪽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20)을 끼고 반대쪽으로 위치하도록, 광화이버(3)을 배선하고 있다. 이로 인해, 모기판(20)의 상하의 각각에서, 광화이버(3)이 겹치지 않고 해결된다. 또한, 광화이버(3)이 겹치지 않기 때문에, 광화이버(3)을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모기판(20)의 상하 양쪽으로 광화이버의 여분길이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하여, 모기판(20)에 요소(24)가 형성되어 있다. 요소(24)에는 하우징(11)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이 틈새를 광화이버(3)의 여분길이의 처리를 연락시키고 있다.
광화이버(3)의 하측직선부(3B)는, 10핀헤더(62) 및 전원선(6)보다 외측(좌측)에 배선되어 있다 (도 11, 도 12a 참조). 이로 인해, 하측직선부(3B)는, 하우징(11)과 10핀헤더(62) 및 전원선(6)과의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구속되어, 하우징(11)내에서 움직임이 제한된다.
광화이버(3)의 제 1 상측직선부(3E)는, 2핀헤더(61)보다 외측(우측)에 배선되어 있다. (도 7, 도 9, 도 10, 도 12b 참조). 이로 인해, 제 1 상측 직선부 3E는, 하우징(11)과 2핀헤더(61)과의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구속된다. 또한, 제 1 상측직선부(3E)는, 모기판(20)과 자기판(40)과의 사이에 배선되는 것에 의해, 상하방향으로도 구속된다. 따라서, 제 1 상측직선부(3E)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광화이버(3)의 제 2 상측직선부(3G)는, 10핀헤더(62)보다 외측(좌측)에 배선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로 인해, 제 2 상측직선부(3G)는, 하우징(11)과 10핀헤더(62)와의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구속된다. 또한, 제 2 상측직선부(3G)는, 모기판(20)과 자기판(40)과의 사이에 배선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하방향으로도 구속된다. 따라서, 제 2 상측직선부(3G)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제 2 상측직선부(3G)는, 제 1 상측직선부(3E)에 비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구속되는 부분이 길기 때문에, 하우징(11)내에서 움직이기 어렵게 된다. 즉, 제 1 상측직선부(3E)보다 광화이버(3)의 끝쪽의 제 2 상측직선부(3G)가 움직이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1)내에서 광화이버(3)의 끝부분이 움직이는 것에 의해 광결합부(43)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결합부(43)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광화이버(3)의 끝부분에 가까운 제 2 상측직선부(3G)를 가능한 한 길게하기 위해 (구속되는 부분을 길게하기 위해), 후측만곡부(3F)를 모기판(20)의 위쪽(자기판(40)이 탑재 되는 쪽)에 배치시키고 있다. 또한, 후측만곡부(3F)를 모기판(20)의 위쪽에 배치하는 것을 실현 시키기 위하여, 제 2 상측직선부(3G)와 좌우방향의 반대쪽(우측)에 이행부(3D)(및 모기판(20)의 요소(24))를 배치시키고 있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 및 비교예의 광화이버(3)의 말단부(3I)의 설명도이다. 좁은 하우징(11)내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U자형으로 만곡시킬 경우, 만곡부의 시점과 종점은, 어느 쪽이든 하우징(11)의 내면에 아주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한편, 자기판 20에 발광부(41)을 실장하기 위해서는, 광결합부(43)은, 하우징(11)의 내면으로부터 떨어뜨려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 2 전측만곡부(3H)보다 앞의 말단부(3I)에 있어서, 하우징(11)의 내면의 가까운 위치로부터, 하우징(11)의 내면에서 떨어진 위치까지, 배선할 필요가 있다.
비교예 에서는, 광결합부(43)에서 광화이버(3)의 방향이 전후방향과 평행하게 되어있다. 이 때문에, 비교예 예서는, 제 2 전측만곡부(3H)보다 앞의 말단부(3I)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2회 구부릴 필요가 생긴다. 이 결과, 비교예 에서는, 말단부(3I)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어, 카메라 측 커넥터 10의 전후방향이 길어져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 에서는, 광결합부(43)에서 광화이버(3)의 방향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비스듬히 되어 있다 (θ는, 예각 (˚0 <θ< 90˚의 범위내) 이고, 여기서는 45˚이다). 이로 인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측만곡부 보다 앞의 말단부(3I)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1회 구부리는 것만으로도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말단부(3I)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수있어, 카메라 측 커넥터(10)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말단부(3I)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1회 구부리는 것만으로 해결되도록 하기위해, 자기판(40)의 요부(44)의 절개방향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각도 θ (여기서는 45˚)만큼 비스듬히 되어있다. 이로 인해, 광결합부(43)에 있어서 광화이버(3)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광화이버(3)의 단면과 발광부(41)이 광결합 되도록 된다.
또한, 비교예에서는, 말단부(3I)에 있어서 광화이버(3)이 S자형으로 구부러져 있어, 말단부(3I)에 있어서 광화이버(3)의 2개소의 구부려진 방향이 다르게 되어있다(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위에서 보았을때, 광화이버(3)의 단면에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구부러진 곳과, 시계방향으로 구부러진 곳이 있다). 이 비교예처럼, 구부러진 방향의 다른 부분이 인접해 있으면, 광화이버(3)이 움직이기 쉽게 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비교예에서는, 광화이버(3)을 안정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지점(접착 등)을 늘리는 것 등이 필요하게 되어버린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말단부(3I)에는 광화이버(3)이 1회 구부러지는 것만으로, 말단부(3I)에는, 구부려진 방향이 다른 부분이 인접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비교예와 비교하여, 말단부(3I)에는, 광화이버(3)이 움직이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말단부(3I)에서의 광화이버(3)의 구부려진 방향이, 제 2 전측만곡부(3H)에서의 광화이버(3)의 구부려진 방향과, 같은 방향이 된다.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위에서 보았을때, 광화이버(3)의 단면으로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광화이버(3)은 제 2 전측만곡부(3H)에도 말단부(3I)에도 반시계방향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화이버(3)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구속된 제 2 상측만곡부(3G)와, 광화이버(3)이 접착고정된 광결합부(43) (및 도 8b의 제 2접착부)와의 사이에는, 광화이버(3)의 구부려진 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되어있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3)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구속된 제 2 상측만곡부(3G)와, 광화이버(3)이 접착고정된 광결합부(43) (및 도 8b의 제 2 접착부)와의 사이에는, 광화이버(3)의 구부려진 탄력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인해, 광화이버(3)이 극히 움직이기 어려운 구성이 되어있다.
상기한 것처럼 광화이버(3)을 배선하는 것으로 인해, 케이블 클램프등을 사용하거나, 접착개소를 늘리거나 하지 않아도, 좁은 하우징(11)내에 긴 광화이버(3)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신호선(5)ㆍ전원선 (6)의 배치>
다음으로, 도 7, 도 9 ~ 도 11, 도 12a 및 도 12b를 사용하여, 신호선(5) 및 전원선(6)의 배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14개의 신호선(5)는, 모기판(20)에 스루홀 접속된다. 표면실장이 아니고, 스루홀 접속을 채용한 이유는 케이블(2)에 장력이 걸려도 모기판(20)으로부터 신호선(5)를 떨어지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이다.
14개의 신호선(5)중에 6개의 신호선(5)는, 6개의 뒤쪽 스루홀(31)에 각각 스루홀 접속된다. 이 6개의 신호선(5)는, 끝부분이 위에서 아래를 향해 뒤쪽 스루홀(31)에 삽입되어, 납땜된다. 남은 8개의 신호선(5)는, 8개의 앞쪽 스루홀(32)에 각각 스루홀 접속된다. 이 8개의 신호선(5)는, 끝부분이 아래에서 위를 향해 삽입되어, 납땜된다.
즉, 뒤쪽 스루홀(31)과 앞쪽 스루홀(32)에는, 납땜된 방향이 반대로 된다. 이로 인해, 모기판(20)의 양쪽에 14개의 신호선(5)를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좁은 영역에 있어서 신호선(5)의 접속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모기판(20)의 양쪽으로부터 신호선(5)를 스루홀 접속하는 것에 의해, 신호선(5)에 장력이 걸려도 모기판(20)으로부터 신호선(5)가 떨어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뒤쪽 스루홀(31)에 접속되는 6개의 신호선(5)는, 어느 쪽이든 끝부분이 위에서 아래를 향해 뒤쪽 스루홀(31)에 삽입되어 있다. 즉, 이 6개의 신호선 의 끝부분은,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가 있는 모기판(20)의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는, 뒤쪽 스루홀(31)로부터 돌출한 납땜 엣지에 접촉하지 않아, 손상되지 않고 해결된다. 또한,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는, 6개의 신호선(5)의 피복의 위쪽에 배선되어 있어, 가령 신호선(5)에 접촉한다 해도 신호선(5)의 피복이 완충재가 되기 때문에, 손상되기 어렵다.
또한, 6개의 신호선(5)의 피복위에 있는 후측만곡부(3F)의 양쪽에 있는 제 1 상측직선부(3E) 및 제 2 상측직선부(3G)는, 어느 쪽이든 모기판(20)과 자기판(40) 과의 사이에 끼워져 배선되어 있다. 제 1 상측직선부(3E) 및 제 2 상측직선부 3G는, 자기판(40)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힘을 받기 때문에, 제 1 상측직선부(3E)와 제 2 상측직선부(3G)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후측만곡부(3F)에는 아래를 향한 힘이 작용하기 쉬워, 가령 후측만곡부(3F)의 아래쪽의 납땜 엣지가 있으면, 광화이버(3)을 손상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 1 상측직선부(3E) 및 제 2 상측직선부(3G)가 어느 쪽이든 모기판(20)과 자기판(40)과의 사이에 끼워져 배선되는 구성에서, 후측만곡부(3F)가 신호선(5)의 피복위에 위치하는 것은, 광화이버(3)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에, 특히 유효하게 된다.
뒤쪽 스루홀(31)에 접속되는 6개의 신호선(5)은, 휘어지게 하지 않고 스루홀 접속된다. 이것에 대해서, 앞쪽 스루홀(32)에 접속되는 8개의 신호선(5)는, 약간 휘어지게 하여 스루홀 접속된다 (도 12b 참조). 그 이유는, (1) 앞쪽 스루홀(32)에 8개의 신호선(5)를 접속시킬 때에, 뒤쪽 스루홀(31)로부터 돌출한 납땜 엣지의 아래쪽을 넘어서 배선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2) 뒤쪽 스루홀(31)의 납땜부분을 모기판(20)의 아래쪽으로부터 눈으로 보아 검사할 때, 앞쪽 스루홀(32)에 접속된 8개의 신호선(5)를 좌우방향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후측만곡부(3F)는, 뒤쪽 스루홀(31)에 휘어지게 하지 않고 스루홀 접속된 6개의 신호선(5)의 피복위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신호선(5)와 후측만곡부(3F)를 상하방향으로 부피를 크게 하지않고 배선할 수 있다. 가령, 앞쪽 스루홀(32)에 휘어지게 하여 스루홀 접속된 8개의 신호선(5)의 피복위에 후측만곡부(3F)를 배치하면, 신호선(5)와 후측만곡부(3F)가 상하방향으로 부피가 커질뿐만 아니라 후측만곡부(3F)가 모기판(20)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선되어 버려, 광화이버(3)이 움직이기 쉽게 되거나, 후측만곡부(3F)의 구부러진 반경이 작게 되거나 할 염려가 있다.
2개의 전원선(6)은, 신호선(5)보다 단자부(52)에 가까운 위치에 스루홀 접속된다. 이것은, 모기판(20)위에서의 전원배선 패턴을 극히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2개의 전원선(6)은, 4핀헤더(63)의 아래쪽을 넘어서 배선된다. 단, 전원선(6)의 피복은 신호선(5)의 피복에 비해 두껍기 때문에, 핀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이 일어나기 어려워, 이 같은 배선이 허용된다.
=== 그래버 측 커넥터(110) ===
다음으로, 그래버 측 커넥터(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래버 측 커넥터(110)은 카메라 측 커넥터(10)과 유사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각 구성요소를, 카메라 측 커넥터(10)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의 부호에 100을 가산한 부호로 나타내, 그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 구성 >
도 14는,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의 그래버 측 커넥터 (110)의 설명에서는,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후, 상하, 좌우를 정의한다. 즉, 그래버 측 커넥터 100으로부터 곧바로 이어져 나왔을 때의 복합 케이블(2)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그래버 측 커넥터(110)으로부터 보아 복합 케이블 쪽을 「뒤」로 하고, 반대쪽을 「앞」으로 한다. 또한, 모기판(120)의 법선방향을 따라서 「상하방향」을 정의하여, 모기판(120)으로부터 보아 자기판(140)쪽 (광전변환부가 되는 수광부(141)이 있는 쪽)을 「위」으로 하고, 반대쪽을 「아래」로 한다. 또한,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여, 도면과 같이 「우」와 「좌」를 정의한다 (상하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앞쪽으로부터 보아 오른손 쪽을 「우」로 하고, 왼손 쪽을 「좌」로 한다.
도 15는,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자기판(140)의 주변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자기판(140)에는, 발광부(41)이 아닌, 수광부(141)이 실장되어 있다.
모기판(120)의 뒤쪽 (복합 케이블(2)쪽)에는, 좌우방향에 나란히 스루홀 열이 2줄 있다. 뒤쪽 스루홀 열은, 6개의 뒤쪽 스루홀(131)로 구성되어 있다. 앞쪽 스루홀 열은, 8개의 앞쪽 스루홀(13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래버 측 커넥터(110)에서, 앞쪽 스루홀(132)가 1열인 것은,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모기판(120)의 좌우방향의 폭이 카메라 측 커넥터(10)에 비해 커서, 8개의 앞쪽 스루홀(132)를 좌우방향에 늘어놓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모기판(120)의 우측 모서리에는, 요소(124)가 형성되어 있다. 모기판 (120)이 하우징(11)1에 수납되면, 모기판(120)의 좌우 모서리와 하우징(111)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거의 틈새가 없는 상태가 되나, 요소(124)에는, 하우징(111)의 내면과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 틈새에 광화이버(3)이 배선되는 것에 의해, 모기판(120)의 상하 양쪽에 광화이버(3)의 여분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자기판(140)에는, 요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144)는, 광화이버(3)의 단면을 수광부(141)과 광결합 시킬 때, 광화이버(3)의 심선의 피복이 자기판(140)과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형성된 절개부이다, 요부(144)의 폭은, 광화이버(3) (심선의 피복을 포함)의 외경 900㎛ 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3)의 단면으로부터 심선의 피복까지의 길이 L 을 짧게 할 수 있어, 광화이버(3)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화이버(3)의 피복의 일부를 요부(144)의 사이에 위치 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자기판(140)과 광화이버(3)의 피복과의 사이를 접착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요부(144)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요부(144)의 절개 방향은, 전후방향에 대하여 45˚만큼 비스듬히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3)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자기판(140)에 접속되게 된다.
요부(144)의 연장선상에, 수광부(141)이 탑재되어 있다. 수광부(141)은, 요부(144)를 따라서 자기판(140)위에 안내된 광화이버(3)의 단면과 광학적으로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수광부(141)과 광화이버(3)과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결합부(143)은, 전술한 도 8a의 광결합부(43)과 거의 같은 구성이다. 또한, 광화이버(3)의 끝부분의 적어도 2개소의 접착개소는, 전술한 도 8b와 거의 같다.
< 광화이버(3)의 배선 >
도 16은,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단말부(1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보호커버(151)을 제외한 도면이다. 도 18은,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단말부(1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광화이버(3)은, 하우징(111)내를 대략 2회 감기게 하여 여분길이가 처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화이버(3)은, 하우징(111)내에 있어서, 전후방향의 방향을 3회 바꾸도록 처리되어 있다. 이 결과, 하우징(111)내의 광화이버(3)에는,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 (제 1 전측만곡부(3C), 후측만곡부(3F), 제 2 전측만곡부(3H)) 가 적어도 3개소가 있다. 이같이,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있기 때문에, 복합 케이블(2)에 장력이 가해져도, 광화이버(3)의 끝부분의 광결합부(143)까지 장력이 전해지지 않고, 광화이버(3)이나 광결합부(143)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쪽 2개의 만곡부 중에 일방 (제 1 전측만곡부(3C))를 모기판(120)의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타방(제 2 전측 만곡부 3H)를 모기판(120)의 위쪽에 위치시키고 있다. 즉, 앞쪽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120)의 상하로 나누어지도록, 광화이버(3)을 배선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앞쪽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120)을 끼고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광화이버(3)을 배선하고 있다. 이로 인해, 모기판(120)의 상하 각각에서, 광화이버(3)이 겹치지 않고 해결된다. 또한, 광화이버(3)이 겹치지 않기 때문에, 광화이버(3)을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모기판(120)의 상하 양쪽에 광화이버(3)의 여분길이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해, 모기판(120)에 요소(124)가 형성되어 있다. 요소(124)에서는, 하우징(111)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있어, 이 틈새를 광화이버(3)의 이행부(3D)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기판의 상하 양쪽에의 광화이버(3)의 여분길이를 연락시키고 있다.
광화이버(3)의 제 2 상측직선부(3G)는, 10핀헤더(162)보다 외부(좌측)에 배선되어 있다 (도 17 참조). 이로 인해, 제 2 상측직선부(3G)는, 하우징(111)과 10핀헤더(162)와의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구속된다. 또한, 제 2 상측직선부(3G)는, 모기판(120)과 자기판(140)과의 사이에 배선되는 것에 의해, 상하방향으로도 구속된다. 따라서, 제 2 상측직선부(3G)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다.
제 2 상측직선부(3G)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에 구속되는 부분이 길기 때문에, 하우징(111)내에서 움직이기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111)내에서 광화이버(3)의 끝이 움직이는 것에 의해 광결합부(143)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결합부(143)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광화이버(3)의 끝에 가까운 제 2 상측직선부(3G)를 가능한 한 길게 하기 위해 (구속되는 부분을 길게 하기 위해), 후측만곡부(3F)를 모기판(120)의 위쪽 (자기판(140)이 탑재되는 쪽)에 배치시키고 있다. 또한, 후측만곡부(3F)를 모기판(120)의 위쪽에 배치하는 것을 실현 시키기 위해, 제 2 상측직선부(3G)과 좌우방향의 반대쪽 (우측)에 이행부(3D) (및 모기판(120)의 요소(124))를 배치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결합부(143)에서의 광화이버(3)의 방향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각도 θ 만큼 비스듬히 되어 있다 (θ는, 예각 (0˚< θ < 90˚의 범위내)이고, 여기서는 45˚이다). 이로 인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측만곡부(3H)보다 앞의 말단부(3I)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1회 구부리는 것이면 된다 (도 13 참조).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말단부(3I)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말단부(3I)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1회 구부리는 것만으로 끝나도록 하기 위해, 자기판(140)의 요부(144)의 절개방향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각도 θ(여기서는 45˚)만큼 비스듬히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결합부(143)에 있어서 광화이버(3)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광화이버(3)의 단면과 수광부(141)이 광결합 되도록 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광화이버(3)을 배선하는 것에 의해, 케이블 클램프 등을 사용하거나, 접착개소를 늘리거나 하지 않아도, 좁은 하우징(11)내에 긴 광화이버(3)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 신호선(5)ㆍ전원선(6)의 배선 >
다음으로, 도 15 ~ 도 18을 사용하여, 신호선(5) 및 전원선(6)의 배선에 대해서 설명한다.
14개의 신호선(5)는, 모기판(120)에 스루홀 접속된다. 표면실장이 아닌, 스루홀 접속을 채용한 이유는, 케이블(2)에 장력이 걸려도 모기판(120)으로부터 신호선(5)를 떨어지기 어렵게 하기 위함이다.
14개의 신호선(5)중에 6개의 신호선(5)는, 6개의 뒤쪽 스루홀(131)에 각각 스루홀 접속된다. 이 6개의 신호선(5)는, 끝부분이 위에서부터 아래를 향하여 뒤쪽 스루홀(131)에 삽입되어, 납땜된다. 남은 8개의 신호선(5)는, 8개의 앞쪽 스루홀(132)에 각각 스루홀 접속된다. 이 8개의 신호선(5)는, 끝부분이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삽입되어, 납땜된다.
즉, 뒤쪽 스루홀(131)과 앞쪽 스루홀(132)에는, 납땜되는 방향이 반대가 된다. 이로 인해, 모기판(120)의 양쪽에 14개의 신호선(5)를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좁은 영역에 있어서 신호선(5)의 접속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모기판(120)의 양쪽으로부터 신호선(5)를 스루홀 접속하는 것에 의해, 신호선(5)에 장력이 걸려도 모기판(120)으로부터 신호선(5)가 떨어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뒤쪽 스루홀(131)에 접속되는 6개의 신호선(5)는, 어느 쪽이든 끝부분이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뒤쪽 스루홀(131)에 삽입되어 있다. 즉, 이 6개의 신호선(5)의 끝부분은,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가 있는 모기판(120)의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는, 뒤쪽 스루홀(131)으로부터 돌출한 납땜 엣지에는 접촉하지 않아, 손상되지 않고 해결된다. 또한,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는, 6개의 신호선(5)의 피복 위쪽에 배선되어 있어, 가령 신호선(5)에 접촉하여도 신호선(5)의 피복이 완충재가 되기 때문에, 손상되기 어렵다.
뒤쪽 스루홀(131)에 접속되는 6개의 신호선(5)는, 휘어지게 하지 않고 스루홀 접속된다 (도 17 참조). 이에 대하여, 앞쪽 스루홀(132)에 접속되는 8개의 신호선(5)는, 약간 휘어지게 하여 스루홀 접속된다 (도 18 참조). 그 이유는, 카메라 측 커넥터(10)에서의 신호선(5)의 배선과 같다.
후측만곡부(3F)는, 뒤쪽 스루홀(131)에 휘어지게 하지 않고 접속된 6개의 신호선(5)의 피복위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신호선과 후측만곡부(3F)를 상하방향으로 부피가 커지지 않게 배선할 수 있다.
2개의 전원선(6)은, 신호선(5)보다 단자부(152)에 가까운 위치에 스루홀 접속된다. 이것은, 모기판(120)위에서의 전원배선 패턴을 극히 줄이기 위함이다.
=== 제조방법 ===
도 19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의 제조방법의 설명도이다.
< 복합케이블(2)의 전처리 >
우선, 복합케이블(2)가 준비된다. 다음으로, 복합케이블(2)의 양끝의 전처리가 행해진다.
이 전처리에 있어서, 복합케이블(2)의 끝부분의 시즈를 제거하고, 광화이버(3), 신호선(5) 및 전원선(6)이 꺼내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화이버(3)을 커넥터 내에서 2회 감기게 하여 여분길이를 처리할 수 있는 길이가 되도록, 복합케이블(2)로부터 광화이버(3)이 꺼내어진다.
복합케이블(2)의 구출부(7)에 있어서, 광화이버(3)의 주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광화이버(3)과 신호선(5) 및 전원선(6)과의 사이가 접착된다 (도면 내에는 접착부가 검게 도시되어 있다). 이 접착에 의해, 복합 케이블(2)에 장력이 가해져도, 복합케이블(2)의 구출부(7)으로 먼저 그 장력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복합케이블(2)의 구출부(7)에는, 금속 링이 삽입되어, 이 금속 링이 코킹되어, 코킹부재(8)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킹부재(8)에 의해, 복합케이블(2)에 장력이 가해져도, 복합케이블(2)의 구출부(7)로부터 먼저 그 장력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 광화이버(3)의 접속 >
다음으로, 광화이버(3)의 끝부분이 자기판(40) (및 자기판(140)) 에 설치된다. 이 때, 우선, 광화이버(3)의 끝부분의 UV 피막을 제거하고 광화이버 소선이 꺼내어져, 광화이버 소선의 끝부분이 커트되고, 광화이버(3)이 단면처리된다. 이때의 광화이버(3)의 단면으로부터 심선의 피복까지의 길이는 L 이다 (도 7, 도 8b, 도 15 참조). 그리고, 단면처리된 광화이버(3)과 자기판(40)이 자동조심기에 세트되어, 자기판(40)에 탑재된 광전변환부 (발광부(41), 수광부141)과 광화이버(3)의 단면이 자동조심된 후, 광결합부(43)이 형성된다 (도 8a 참조). 광화이버(3)을 자기판(40)에 설치한 후, 광결합부(43)을 유지하기 위해, 보호커버(51)이 자기판(40)에 설치된다. 또한, 광결합부(43)은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자기판(40)의 요부(44)의 사이에 위치하는 광화이버(3)의 피복과 자기판(40)과의 사이를 접착고정 한다 (도 8b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기판(40)이 모기판(20)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조심기에 세트 해야 할 기판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자기판(40)을 커넥터 형상이나 사이즈에 의존하지 않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심공정의 자동화가 용이하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화이버(3)을 커넥터 내에서 2회 감아서 여분길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복합케이블(2)로부터 광화이버(3)이 꺼내어져 있다. 단, 광화이버(3)을 접속할 때 (예를들면 광화이버(3)을 단면처리 할 때), 실패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여분길이를 처리하는 길이를 1회 분으로 줄도록, 광화이버(3)을 짧게 커트하면 된다. 이 경우, 도 26의 참고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통상이라면 3개 있는 만곡부 (제 1 전측만곡부(3C), 후측만곡부(3F), 제 2 전측만곡부(3H)) 를 1개로 하여, 여분길이를 처리하면 된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3)의 접속에 1회 실패하여도, 복합케이블(2)를 포기하지 않고 해결된다.
< 신호선(5) ㆍ전원선(6)의 접속 >
다음으로, 신호선(5) 및 전원선(6)이 모기판(20) (및 모기판(120))에 납땜된다. 또한, 모기판(20)에는, 사전에 단자부(52)가 접속되어 있다.
우선, 6개의 신호선(5)가, 6개의 뒤쪽 스루홀(31)에 각각 스루홀 접속된다. 이 6개의 신호선(5)는, 끝부분이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뒤쪽 스루홀(31)에 삽입되어, 납땜된다. 남은 8개의 신호선(5)는, 8개의 앞쪽 스루홀(32)에 각각 스루홀 접속되어, 납땜된다. 또한, 2개의 전원선(6)도 모기판(20)에 스루홀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기판(20)과 자기판(40)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선(5)나 전원선(6)을 납땜할 때, 납땜인두로 광화이버를 손상하지 않고 해결되어, 플럭스 등의 비산에 의해 광결합부(43)을 오염시키지 않고 해결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뒤쪽 스루홀(31)과 앞쪽 스루홀(32)에는, 납땜하는 방향이 반대가 되기 때문에, 신호선(5)의 납땜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모기판(20)으로부터 신호선(5)가 떨어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앞쪽 스루홀(32)에 접속되는 8개의 신호선(5)가 약간 휘어져서 접속되기 때문에, 앞쪽 스루홀(32)에 접속된 8개의 신호선(5)를 좌우로 옮겨 뒤쪽 스루홀(31)의 납땜을 눈으로 보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 모기판과 자기판의 접속 (광화이버(3)의 배선) >
다음으로, 모기판(20)과 자기판(40)을 접속한다 (모기판(120)과 자기판(140)도 접속한다). 이때, 광화이버(3)의 배선도 행해진다.
우선, 작업자는, 도 11 (또는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기판(20)의 아래쪽에 있어서, 복합케이블(2)의 구출부(7) 부근의 광화이버(3)을 10핀헤더(62)보다 외측(좌측)에 배선하여, 근원부(3A)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광화이버(3)을 10핀헤더(62)의 외측에 있어서 10핀헤더(62)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배선하여, 하측직선부(3B)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광화이버(3)의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는 것에 의해, 제 1 전측만곡부(3C)를 형성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모기판(20)의 요소(24)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배선하여, 이행부(3D)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9 (또는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기판(20)의 위쪽에 있어서, 2핀헤더(61)보다 외측(우측)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광화이버(3)을 배선하여, 제 1 상측직선부(3E)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광화이버(3)의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는 것에 의해,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를 모기판(20)의 뒤쪽 위에 배선하여, 후측만곡부(3F)를 형성한다. 또한, 후측만곡부(3F)는, 뒤쪽 스루홀(31)에 접속된 6개의 신호선(5)의 피복위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광화이버(3)을 10핀헤더(62)의 외측에 있어서 10핀헤더(62)를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배선하여, 제 2 상측직선부(3G)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광화이버(3)의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는 것에 의해,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를 모기판(20)의 앞쪽 위에 배선하여, 제 2 전측만곡부(3H)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제 2 전측만곡부(3H)보다 앞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1회 구부려 말단부(3I)를 형성하면서, 2핀헤더(61), 10핀헤더(62) 및 4핀헤더(63)을 사이에 두고 모기판(20)에 자기판(40)을 탑재한다. 모기판(20)에 자기판(40)을 탑재할 때, 제 2 상측직선부(3G)를 모기판(20)과 자기판(40)과의 사이에 끼워 넣는다. 또한, 카메라 측 커넥터(10)의 경우, 제 1 상측직선부(3E)도 모기판(20)과 자기판(40)과의 사이에 끼워 넣는다. 모기판(20)과 자기판(40)과의 사이에 광화이버(3)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광화이버(3)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기판(20)과 자기판(40)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것과 같이 광화이버를 배선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카메라 측 커넥터(10)의 경우, 제 1 상측직선부(3E) 및 제 2 상측직선부(3G)가 어느 쪽이든 모기판(20)과 자기판(40)과의 사이에 끼워져 배선되기 때문에, 모기판(20)에 자기판(40)을 탑재할 때 후측만곡부(3F)에 아래쪽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기 쉽다. 단, 후측만곡부(3F)가 신호선(5)의 피복 위에 배치되어 있어, 신호선(5)의 피복이 완충재가 되어, 광화이버(3)의 손상이 억제된다.
모기판(20)에 자기판(40)을 탑재한 후, 작업자는, 2핀헤더(61), 10핀헤더(62) 및, 4핀헤더(63)의 각 핀을 납땜하는 것에 의해 모기판(20)과 자기판(4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단말부(12)를 완성한다. 이때, 자기판(40)에는, 보호커버(5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납땜인두로 광화이버를 손상하지 않고 해결되어, 플럭스 등의 비산에 의해 광결합부(43)을 오염시키지 않고 해결된다.
단말부(12)의 완성 후, 작업자는, 단말부(12)를 케이스(11A)에 수용하여, 커버(11B)로 케이스(11A)의 수용부를 덮고, 양쪽을 나사로 고정한다. 이로 인해,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이 완성된다.
=== 변형예 ===
< 제 1 변형예 : 광화이버(3)의 감는 횟수를 변경한 예 >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광화이버(3)이 커넥터 내를 대략 2회 감기게 하여 여분길이를 처리하고 있어, 커넥터 내에 만곡부가 3개소 있었다. 단, 커넥터 내의 광화이버(3)의 여분길이 처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광화이버(3)이 커넥터 내에 있어서 3회 이상 감겨서 여분길이를 처리하여도 된다.
도 20은, 제 1 변형예의 카메라 측 커넥터(10) 의 단말부(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모기판(20)의 위쪽의 구성 및 배선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한다.
제 1 변형예에서는, 광화이버(3)은 하우징(11)내를 대략 3회 감겨서 여분길이를 처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광화이버(3)은, 하우징(11)내에 있어서, 전후방향의 방향을 5회 바꾸도록 처리되어 있다. 이 결과, 하우징(11)내의 광화이버(3)에는,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5개소 있다. 5개의 만곡부 중에, 3개의 만곡부가 앞쪽에 위치하고, 2개의 만곡부가 뒤쪽에 위치한다. 앞쪽에 위치하는 3개의 만곡부 중에, 1개의 만곡부가 모기판(20)의 위쪽에 위치하고 (도 20에는 도시하지 않음),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20)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또한, 뒤쪽에 위치하는 2개의 만곡부 중에, 일방이 모기판(20)의 위쪽에 위치하고 (도 20에는 도시하지 않음), 타방이 모기판(20)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제 1 변형예 에서는, 앞쪽의 3개의 만곡부가 모기판(20)의 상하로 나누어지도록 광화이버(3)이 배선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변형예는, 3개의 만곡부가 모기판(20)의 일방에만 배선된 경우와 비교하여, 광화이버(3)이 상하로 부피가 커지지 않고 해결되어, 광화이버(3)이 하우징(11)내에서 움직이기 어렵게 된다.
또한, 제 1 변형예에 있어서도, 광결합부(43)에서의 광화이버(3)의 방향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 θ (예를들면 45˚)를 이루고 있으면, 제 2 전측 만곡부 3H (도 20에는 도시하지 않음)보다 앞의 말단부(3I) (도 20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1회만 구부려도 되기 때문에, 말단부(3I)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 참조).
또한, 제 1 변형예에 있어서도, 모기판(20)의 위쪽의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 (도 20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뒤쪽 스루홀(31)에 접속된 6개의 신호선(5)의 피복의 위쪽에 배선되어 있으면, 광화이버(3)을 손상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변형예와 같이, 하우징(11)내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3회이상 감기게 하여 여분길이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모기판(20)의 앞쪽 위에는 1개의 만곡부만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광결합부(43)이 있는 모기판(20)의 위쪽에는, 광화이버(3)이 겹치지 않고 해결되어, 광화이버(3)이 하우징(11)내에서 움직이기 어렵게 되므로, 광결합부(43)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모기판(20)의 아래쪽에는 만곡부가 상하로 겹치기 때문에, 광화이버(3)이 비교적 움직이기 쉽게 되지만, 광결합부(43)에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허용된다.
< 제 2 변형예 : 모기판과 자기판을 분리하지 않는 예 >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모기판과 자기판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광화이버(3), 신호선(5) 및 전원선(6)의 접속작업이나 배선작업이 용이하게 되어있다. 단, 접속작업이나 배선작업의 수고가 허용된다면, 모기판과 자기판을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모기판과 자기판을 분리하지 않을 경우, 광전변환부 (발광부(41)또는 수광부(141))은, 모기판(20)에 직접 실장되는 것에 의해, 모기판(20)에 탑재된다.
도 21은, 제 2 변형예의 카메라 측 커넥터(10) 의 단말부(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2 변형예에서는, 광전변환부인 발광부(41)이 모기판(20)의 위쪽에 실장되어, 광결합부(43)이 모기판(20)의 위쪽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2 변형예에 있어서도, 앞쪽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20)의 상하에 나누어지도록, 광화이버(3)이 배선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2 변형예에 있어서도, 모기판(20)의 상하의 각각에는, 광화이버(3)이 겹치지 않고 해결된다.
또한, 이 제2 변형예에 있어서도, 광결합부(43)에서의 광화이버(3)의 방향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 θ (여기서는 45˚)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제 2 변형예에 있어서도, 제 2 전측만곡부(3H)보다 앞의 말단부(3I)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1회만 구부려도 되기 때문에, 말단부(3I)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제 2 변형예에 있어서도,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가, 뒤쪽 스루홀(31)에 접속된 6개의 신호선(5)의 피복 위쪽에 배선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3)이 손상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변형예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기판(20)의 표면에 대하여 발광부(41)인 VCSEL의 발광면을 450㎛ 이상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모기판(20)과 발광부(41)과의 사이에 서브마운트(예를들면, 메탈라이즈 된 질화 알루미늄 기판)을 개재시켜도 된다.
< 제 3 변형예 : 모기판에 요소가 없는 예 >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모기판에 요소가 형성되어 있고, 요소에 있어서, 모기판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광화이버(3)이 배선되어 있었다. 단, 모기판에 요소가 없어도 된다.
도 22는, 제 3 변형예의 그래버 측 커넥터(110)의 단말부(1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3 변형예 에서는, 모기판(120)의 우측 모서리에는 요소(124)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 3 변형예 에서는, 광화이버(3)은, 모기판(120)의 우측 모서리의 외측을 지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배선되어 있다.
제 3 변형예 에서는, 하우징(111)의 내면과 모기판(120)의 우측 모서리와의 사이에 광화이버의 지름 정도의 틈새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 3 변형예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하우징(111)이 대형화된다.
이같은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도, 앞쪽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120)의 상하에 나누어지도록, 광화이버(3)이 배선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도, 모기판(120)의 상하의 각각에서는, 광화이버(3)이 겹치지 않고 해결된다.
또한, 이같은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도, 광결합부(143)에서의 광화이버(3)의 방향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 θ (여기서는 45˚)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도, 제 2 전측만곡부 3H보다 앞의 말단부(3I)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1회만 구부려도 되기 때문에, 말단부(3I)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제 3 변형예에 있어서도,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가, 뒤쪽 스루홀(131)에 접속된 6개의 신호선(5)의 피복 위쪽에 배선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3)이 손상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 제 4 변형예 : 자기판에 요부가 없는 예 >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자기판에 요부가 형성되어 있었다. 단, 자기판에 요부가 없어도 된다.
도 23은, 제 4 변형예의 카메라 측 커넥터(10)의 자기판(40)의 주변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4 변형예에서는, 자기판(40)에는 요부(44)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 4 변형예에서는, 광화이버(3)의 광축과 자기판(40)의 표면과의 거리가 광화이버(3) (심선의 피복을 포함)의 반경보다 짧을 경우, 광화이버(3)의 단면으로부터 심선의 피복까지의 길이 L' 을 짧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광화이버(3)이 손상되기 쉽게 되어 버린다. 또한, 제 4 변형예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광화이버(3)의 피복과 자기판(40)을 접착하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이 같은 제 4 변형예에 있어서도, 앞쪽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20)의 상하에 나누어지도록, 광화이버(3)이 배선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4 변형예에 있어서도, 모기판(20)의 상하의 각각 에서는, 광화이버(3)이 겹치지 않고 해결된다.
또한, 이 같은 제 4 변형예에 있어서도, 광결합부(43)에서의 광화이버(3)의 방향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 θ (여기서는 45˚)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제 4 변형예에 있어서도, 제 2 전측만곡부(3H)보다 앞의 말단부(3I)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제 4 변형예에 있어서도,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가, 뒤쪽 스루홀(31)에 접속된 6개의 신호선(5)의 피복 위쪽에 배선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화이버(3)이 손상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 제 5 변형예 : 광결합부에서 광화이버의 방향을 비스듬히 하지않는 예 >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광결합부에서 광화이버(3)의 방향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45˚ 비스듬히 되어 있었다. 단, 광결합부에서, 광화이버(3)의 방향이 전후방향과 평행이어도 된다.
광결합부에서 광화이버(3)의 방향이 전후방향과 평행일 경우, 도 13에 있어서, 비교예로서 설명했던 대로, 광화이버(3)을 2회 구부릴 필요가 생긴다. 이 결과, 광화이버(3)의 단말부 3I에서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버린다.
이 같은 경우라도, 앞쪽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20)의 상하에 나누어지도록, 광화이버(3)이 배선되어 있다면, 광화이버(3)이 겹치지 않고 해결된다.
또한, 이 같은 경우라도,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가, 뒤쪽 스루홀(31)에 접속된 6개의 신호선(5)의 피복 위쪽에 배선되어 있으면, 광화이버(3)이 손상되기 어렵게 된다.
< 제 6, 7 변형예 : 후측만곡부가 신호선의 피복 위에 위치하지 않는 예 >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가, 뒤쪽 스루홀에 접속된 6개의 신호선(5)의 피복 위쪽에 배선되어 있었다. 단, 광화이버(3)의 후측만곡부(3F)가, 신호선(5)의 피복 위쪽에 위치하지 않아도 된다.
도 24는, 제 6 변형예의 카메라 측 커넥터(10) 의 자기판(40)의 주변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 6 변형예에서는, 후측만곡부(3F)가, 앞쪽 스루홀(32)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앞쪽 스루홀(32)에서는, 신호선(5)의 끝부분이 아래로부터 위쪽을 향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앞쪽 스루홀(32)의 위쪽에 납땜 엣지가 돌출하여 있을 염려가 있다. 단, 이 같은 후측만곡부(3F)의 배치가 허용된다면, 제 6 변형예에 있어서도, 앞쪽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20)의 상하에 나누어지도록 광화이버(3)을 배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같은 후측만곡부(3F)의 배치가 허용된다면, 제 6 변형예에 있어서도, 광결합부(43)에서의 광화이버(3)의 방향을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5는, 제 7 변형예의 카메라 측 커넥터(10) 의 자기판(40)의 주변을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 7 변형예에서는, 뒤쪽 스루홀(31)과 앞쪽 스루홀(32)의 어느 쪽이든 납땜한 방향이 같아, 모기판(20)의 양쪽에 14개의 신호선(5)를 분산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제 7 변형예에서는, 뒤쪽 스루홀(31)에 접속되는 신호선(5)의 끝부분이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뒤쪽 스루홀(31)의 위쪽에는 납땜 엣지가 돌출하여 있을 염려가 있다. 단, 이 같은 배치가 허용된다면, 제 7 변형예에 있어서도, 앞쪽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20)의 상하에 나누어지도록 광화이버(3)을 배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같은 배치가 허용된다면, 제 7 변형예에 있어서도, 광결합부(43)에서의 광화이버(3)의 방향을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 참고예 : 만곡부를 2개로 나누지 않는 예 >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앞쪽 2개의 만곡부가 모기판의 상하에 나누어지도록, 광화이버가 배치되어 있었다.
도 26은, 참고예의 카메라 측 커넥터(10) 의 단말부(12)를 비스듬히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참고예에서는, 광화이버(3)은, 하우징(11)내를 대략 1회 감겨져 여분길이가 처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화이버(3)은, 하우징(11)내에 있어서, 전후방향의 방향을 1회 바꾸도록 처리되어 있다. 이 결과, 하우징(11)내의 광화이버(3)에는,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앞쪽 위에 1개 있을 뿐이다. 즉, 이 참고예에서는, 모기판(20)의 아래쪽에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같은 참고예에 있어서도, 광결합부(43) (도 26에는 도시하지 않음)에서의 광화이버(3)의 방향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 θ (여기서는 45˚)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참고예에 있어서도, 제 2 전측 만곡부 3H보다 앞의 말단부(3I)에 있어서, 광화이버(3)을 1회만 구부려도 되기 때문에, 말단부(3I)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커넥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 그 외 ===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면탈하는 일 없이, 예를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 개량될 수 있고,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까지도 없다.
< 커넥터 부착 케이블(1)에 관하여 >
전술한 커넥터 부착 케이블(1)은, 카메라 링크 인터페이스에 적합한 구성이었다. 단, 다른 용도에 사용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전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 케이블에 관하여 >
전술한 복합케이블(2)는 신호선(5)나 전원선(6)을 구비하고 있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신호선(5)나 전원선(6)이 없는 케이블의 끝부분에 커넥터가 설치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복합케이블(2)는, 광화이버를 1개만 구비하고 있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합케이블이 복수의 광화이버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 : 커넥터 부착 케이블 2 : 복합케이블
3 : 광화이버 3A : 근원부
3B : 하측직선부 3C : 제 1 전측만곡부
3D : 이행부 3E : 제 1 상측직선부
3F : 후측만곡부 3G : 제 2 상측만곡부
3H : 제 2 전측만곡부 3I : 말단부
3J : 단면 4 : 차동신호선
5 : 신호선 6 : 전원선
7 : 구출부 8 : 코킹부재
10 : 카메라 측 커넥터 11, 111 : 하우징
11A, 111A : 케이스 11B, 111B : 커버
12, 112 : 단말부 20, 120 : 모기판
21 : LVDS 시리얼라이저 22 : 카메라 측 MCU
24, 124 : 요소 25 : 접속부
31, 131 : 뒤쪽 스루홀 31A : 뒤쪽 스루홀 열
32, 132 : 앞쪽 스루홀 32A : 앞쪽 스루홀 열
33 : 2핀헤더용 스루홀 34 : 10핀헤더용 스루홀
35 : 4핀헤더용 스루홀 36 : 전원선용 스루홀
40, 140 : 자기판 41 : 발광부
41A : 발광면 42 : 구동부
43, 143 : 광결합부 44, 144 : 요부
51, 151 : 보호 커버 52, 152 : 단자부
61, 161 : 2핀헤더 62, 162 : 10핀헤더
63, 163 : 4핀헤더 110 : 그래버 측 커넥터
121 : LVDS 디시리얼라이저 122 : 그래버 측 MCU
141 : 수광부 142 : 전류전압변환부

Claims (14)

  1.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화이버를 가지는 케이블과,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전변환부를 탑재한 기판을 수용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케이블로서,
    상기 커넥터로부터 이어져 나오는 상기 케이블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상기 커넥터로부터 보아 상기 케이블쪽을 뒤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앞쪽으로 하는 것과 같이, 상기 기판으로부터 보아 상기 광전변환부쪽을 위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아래쪽으로 했을 때,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가 적어도 3개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앞쪽 2개의 만곡부의 일방이 상기 기판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타방이 상기 기판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화이버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2. 청구항 1 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모서리에 요소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넥터의 내면과 상기 요소와의 사이의 틈새를 상기 광화이버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의 아래쪽과 위쪽의 배선을 연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3.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는 별개의 자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실장되어 있어,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4. 청구항 3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광화이버가 끼워져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5. 청구항 4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앞쪽 2개의 만곡부에 대하여 뒤쪽에 형성된 만곡부는, 상기 기판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기판의 위쪽에 위치하는 2개의 상기 만곡부 사이의 부분이,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6.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부와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가 구부려져서, 상기 광화이버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 상기 광전변환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7. 청구항 6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된 요부를 가지고,
    상기 광화이버가 상기 요부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광화이버가 상기 전후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 상기 광전변환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8. 청구항 7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피복 일부가 상기 요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요부에 있어서,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피복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9. 청구항 6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는 별개의 자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실장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탑재되어 있어,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광화이버가 끼워져 배선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끼워진 부분보다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쪽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부에서의 상기 광화이버의 구부러진 방향과, 당해 만곡부와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의 사이에서의 상기 광화이버의 구부러진 방향이, 같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10. 청구항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신호선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신호선의 끝부분을 스루홀 접속하기 위한 스루홀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있어서, 어느 쪽이든 상기 만곡부가, 상기 기판에 스루홀 접속된 상기 신호선의 피복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11. 청구항 10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케이블 쪽에 위치하는 뒤쪽 스루홀과, 상기 뒤쪽 스루홀보다 앞쪽에 형성된 앞쪽 스루홀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뒤쪽 스루혹에 상기 신호선의 상기 끝부분이 삽입되는 방향과, 상기 앞쪽 스루홀에 상기 신호선의 상기 끝부분이 삽입되는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12. 청구항 11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어느 쪽이든 상기 만곡부가, 상기 뒤쪽 스루홀에 스루홀 접속된 상기 신호선의 피복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13. 청구항 10에 기재된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는 별개의 자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실장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판에 상기 광전변환부가 탑재되어 있어,
    상기 신호선의 피복위에 위치하는 상기 만곡부의 위쪽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자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광화이버가 끼워져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
  14.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화이버를 가지는 케이블과,
    상기 광화이버의 단면과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전변환부를 탑재한 기판을 수용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케이블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단면과 상기 광전변환부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공정과,
    상기 커넥터로부터 이어져 나오는 상기 케이블의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보아 상기 케이블 쪽을 뒤쪽으로 하여, 반대쪽을 앞쪽으로 하는 것과 같이, 상기 기판으로부터 보아, 상기 광전변환부 쪽을 위쪽으로 하고, 반대쪽을 아래쪽으로 했을 때, 상기 광화이버의 상기 전후방향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광화이버를 U자형으로 만곡시킨 만곡부를 적어도 3개 형성하는 것과 같이, 앞쪽 2개의 만곡부의 일방이 상기 기판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타방이 상기 기판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화이버를 배선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



KR1020137015519A 2011-09-28 2012-05-23 커넥터 부착 케이블 및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 KR101498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3144 2011-09-28
JP2011213144A JP5250679B2 (ja) 2011-09-28 2011-09-28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JP-P-2011-219450 2011-10-03
JP2011219451A JP5250681B2 (ja) 2011-10-03 2011-10-03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JP-P-2011-219451 2011-10-03
JP2011219450A JP5250680B2 (ja) 2011-10-03 2011-10-03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の製造方法
PCT/JP2012/063202 WO2013046799A1 (ja) 2011-09-28 2012-05-23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151A Division KR101558827B1 (ko) 2011-09-28 2012-05-23 커넥터 부착 케이블 및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138A true KR20140056138A (ko) 2014-05-09
KR101498839B1 KR101498839B1 (ko) 2015-03-04

Family

ID=479948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519A KR101498839B1 (ko) 2011-09-28 2012-05-23 커넥터 부착 케이블 및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
KR1020147010151A KR101558827B1 (ko) 2011-09-28 2012-05-23 커넥터 부착 케이블 및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151A KR101558827B1 (ko) 2011-09-28 2012-05-23 커넥터 부착 케이블 및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8740476B2 (ko)
KR (2) KR101498839B1 (ko)
CN (2) CN103339544B (ko)
TW (1) TW201319651A (ko)
WO (1) WO2013046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504637A (zh) * 2013-07-23 2015-02-01 Iner Aec Executive Yuan 利用切片取樣評估電纜老劣化之方法
US9736531B2 (en) 2015-09-08 2017-08-15 Google Inc. Video media streaming device
US10277275B2 (en) 2015-09-08 2019-04-30 Google Llc Audio media streaming device
DE102016107471B3 (de) 2016-04-22 2017-09-14 Krohne Ag Ultraschallwandler mit Abstrahlelement
CN106936006A (zh) * 2017-03-06 2017-07-0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有源光缆组件及其连接器
CN109103688A (zh) * 2018-07-26 2018-12-28 浙江兆龙互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视觉信号传输抗侧拉线缆组件
JP7135871B2 (ja) * 2019-01-10 2022-09-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US11768341B2 (en) * 2019-09-18 2023-09-2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ackage for optical module
JP2021150230A (ja) * 2020-03-23 2021-09-27 株式会社東芝 圧着判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8462A (ja) * 1985-11-29 1987-06-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伝送モジユ−ル内蔵アクテイブコネクタ
US5093885A (en) * 1990-07-11 1992-03-03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onnector module
JP3145442B2 (ja) 1991-10-25 2001-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式直流電源装置
JPH05226027A (ja) 1992-02-07 1993-09-03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 電気複合コネクタ
JPH05315767A (ja) 1992-05-07 1993-11-26 Fujitsu Ltd 光ファイバの余長処理構造
JPH08125615A (ja) * 1994-10-20 1996-05-17 Fujitsu Ltd レーザ光漏洩防止装置
JP3910815B2 (ja) * 2001-09-07 2007-04-25 富士通株式会社 光ユニット
JP2003139964A (ja) * 2001-10-30 2003-05-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メディア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設置方法
US6621975B2 (en) * 2001-11-30 2003-09-16 Corning Cable Systems Llc Distribution terminal for network access point
US20030219194A1 (en) * 2002-04-19 2003-11-27 Barthel William F. Optical fib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4287184A (ja) * 2003-03-24 2004-10-14 Hitachi Cable Ltd 光伝送モジュール
CA2558996A1 (en) 2004-03-08 2005-09-22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access terminal
CN101539650B (zh) * 2004-03-08 2016-01-27 Adc电信公司 光纤接入终端
CA2499651A1 (en) * 2005-03-04 2006-09-04 Itf Technologies Optiques Inc./Itf Optical Technologies Inc. All-fiber phase controlled delay interferomet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652204B2 (ja) * 2005-10-06 2011-03-16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バックプレーン及び光伝送方法
JP2007114369A (ja) * 2005-10-19 2007-05-10 Aisin Seiki Co Ltd 光回路実装装置
JP2008224744A (ja) 2007-03-08 2008-09-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心線
JP5157393B2 (ja) * 2007-11-29 2013-03-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付きケーブルユニット
JP3145442U (ja) * 2008-07-25 2008-10-09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光成端箱
JP2010066474A (ja) * 2008-09-10 2010-03-25 Tomoegawa Paper Co Ltd 光学接続構造
US8043131B2 (en) 2008-09-19 2011-10-2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able contact
JP4964218B2 (ja) * 2008-12-02 2012-06-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変換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5621206B2 (ja) 2009-04-03 2014-11-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複合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445026B2 (ja) 2009-10-22 2014-03-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光複合ハーネス
JP2011146259A (ja) * 2010-01-14 2011-07-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基板付光電気複合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39544A (zh) 2013-10-02
US20140212097A1 (en) 2014-07-31
KR20140057392A (ko) 2014-05-12
WO2013046799A1 (ja) 2013-04-04
US8740476B2 (en) 2014-06-03
US20130272662A1 (en) 2013-10-17
CN104035167B (zh) 2015-12-30
KR101558827B1 (ko) 2015-10-08
US20160223756A1 (en) 2016-08-04
CN103339544B (zh) 2014-09-03
KR101498839B1 (ko) 2015-03-04
CN104035167A (zh) 2014-09-10
TW201319651A (zh) 2013-05-16
US9335491B2 (en)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839B1 (ko) 커넥터 부착 케이블 및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
US10812193B2 (en) Optical transceiver
US7625133B2 (en) Method of assembling optoelectronic devices and an optoelectronic device assembled according to this method
US9103999B2 (en) Optical dat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EMI cage
JP5700297B2 (ja) 光電変換モジュール付きケーブル
JP5250680B2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5250679B2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9053280A (ja) 光モジュール
JP2007183314A (ja) データリンクモジュール
JP5250681B2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5692144B2 (ja) 光コネクタモジュール
JP4867047B2 (ja) 光モジュール
CN216351372U (zh) 光纤限位装置和光模块
JP5698277B2 (ja) 光結合方法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5417546B1 (ja) 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光電変換用基板
KR101493175B1 (ko) 광결합 방법 및 커넥터 부착 케이블의 제조방법
WO2018216241A1 (ja) 光ファイバガイド、光ファイバ付き光電変換ユニット、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付き光電変換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9053276A (ja) 光モジュール
JP2013218119A (ja) 光接続部材及び光モジュール
JP5223047B2 (ja) 光モジュール
JP2009053279A (ja) 光モジュール
JP2009229936A (ja) 光素子・電子部品実装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