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372A - 야채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야채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372A
KR20140055372A KR1020120122080A KR20120122080A KR20140055372A KR 20140055372 A KR20140055372 A KR 20140055372A KR 1020120122080 A KR1020120122080 A KR 1020120122080A KR 20120122080 A KR20120122080 A KR 20120122080A KR 20140055372 A KR20140055372 A KR 20140055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veyor
rotary gear
spline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709B1 (ko
Inventor
박상희
Original Assignee
박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희 filed Critical 박상희
Priority to KR1020120122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7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6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Abstract

본 발명은 야채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전동모터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전동모터와; 상기 제1전동모터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전동모터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야채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되는 야채를 상측에서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에 의하여 가압된 야채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으로 구성되어, 야채의 절단에 관한 모든 과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야채절단장치{A Vegetable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야채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채를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부품들의 분리와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야채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음식점이나 급식소 및 김치공장 등에서는 각종 무, 배추, 당근, 오이 등의 야채를 음식의 형태에 맞게 통상의 깍두기 형태나 채 형태 등으로 절단하는 작업을 기본적으로 수행한 다음, 깍두기나 무채요리, 나박김치, 무김치, 배추김치 등의 음식을 요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종 야채의 절단작업은 대량의 요리를 하는 음식점이나 급식소에서는 각 요리에 맞는 일정한 형태와 길이로 절단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대량의 야채를 칼로 절단해야 함으로써 많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일정두께로 균일하게 절단하는 작업도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의 공급만으로 야채 절단에 관한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야채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야채를 상측에서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를 야채가 놓이는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하여 컨베이어의 수리와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야채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전동모터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전동모터와; 상기 제1전동모터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전동모터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야채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되는 야채를 상측에서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에 의하여 가압된 야채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전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기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제1스플라인축과; 상기 제1스플라인축에 중앙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제2회전기어와; 상기 제1회전기어와 제2회전기어를 연결하여 제1회전기어의 회전력을 제1스플라인축에 전달하는 제1체인과; 상기 제1스플라인축에 중앙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제3회전기어와; 상기 가압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제2스플라인축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회전기어와; 상기 제3회전기어와 제4회전기어를 연결하는 제2체인과; 상기 제4회전기어에 연결되어 제4회전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1보조기어와; 상기 제1보조기어와 치결합되어 제1보조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2스플라인축의 끝단이 연결되어 제2스플라인축을 회전시키는 제2보조기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전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단이 제2전동모터의 모터축 주위를 회전하는 연결바와;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끝단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연결되어, 회동축과 함께 일정각도로 회동하는 제2브라켓과; 상기 회동축에 설치되는 제3브라켓과; 상기 제3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절단수단에 연결되는 제2링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외부고정틀과; 상기 외부고정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고정틀과; 상기 외부고정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복수개가 설치되고,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동력전달부의 제1스플라인축에 의하여 관통됨으로써 제1스플라인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을 둘러싸고,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여 야채를 이송시키는 이송벨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고정틀에는 상기 외부고정틀을 관통하는 간격조절봉이 설치되고, 상기 외부고정틀의 상면에는 상기 간격조절봉을 가압하는 가압손잡이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압컨베이어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외부고정틀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측면패널과; 상기 측면패널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복수개가 설치되고,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동력전달부의 제2스플라인축에 의하여 관통됨으로써 제2스플라인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을 둘러싸고,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여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된 야채를 가압하는 가압벨트와; 상기 외부고정틀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끼움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과 상기 외부고정틀에 설치되는 지지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제2링크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끝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야채를 절단하는 절단날;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야채절단장치는 야채를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벨트 위에 올려놓기만 하면 야채의 절단에 관한 모든 과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압컨베이어를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가압컨베이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서 가압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의 수리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를 일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를 타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절단수단을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제2동력전달부를 보인 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제2동력전달부와 절단수단의 관계를 보인 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제1전동모터와 이송컨베이어 및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를 일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를 타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절단수단을 보인 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제2동력전달부를 보인 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제2동력전달부와 절단수단의 관계를 보인 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제1전동모터와 이송컨베이어 및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1전동모터(20)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2전동모터(30)와, 상기 제1전동모터(20)에 연결된 제1동력전달부(40)와, 상기 제2전동모터(30)에 연결된 제2동력전달부(50)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6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60)에 설치되는 가압컨베이어(70)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50)와 동력적으로 연결된 절단수단(8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절편받이(9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각종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측에 설치된 다리부(11)에 회전가능하게 캐스터(11a)가 설치되었고, 4개의 다리부(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스크류 방식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받침(11b)이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높이조절받침(11b)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다리부(11)의 저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높이조절받침(11b)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하고, 일정한 장소로 이동한 후 야채절단장치를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높이조절받침(11b)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높이조절받침(11b)이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야채절단장치가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전동모터(2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0)와 상기 가압컨베이어(70)에 동력을 제공하여 이송컨베이어(60)와 가압컨베이어(70)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2전동모터(30)는 상기 절단수단(80)에 동력을 제공하여 야채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수단(80)을 동작시킨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40)는 상기 제1전동모터(2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이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이송컨베이어(60)와 가압컨베이어(70)에 전달한다.
이러한 제1동력전달부(40)는 제1회전기어(41-1)와, 제1스플라인축(42-1)과, 제2회전기어(41-2)와, 제1체인(43-1)과, 제3회전기어(41-3)와, 제2스플라인축(42-2)과, 제4회전기어(41-4)와, 제2체인(43-2)과, 제1보조기어(44-1) 및 제2보조기어(44-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기어(41-1)는 상기 제1전동모터(20)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모터축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1스플라인축(42-1)은 상기 이송컨베이어(60)에 연결되어 제1전동모터(2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송컨베이어(6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회전기어(41-2)는 상기 제1스플라인축(42-1)에 중앙이 관통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제2회전기어(41-2)는 제1스플라인축(42-1)의 외측면에 관통 고정되므로, 제2회전기어(41-2)가 회전하면 제1스플라인축(42-1)도 동일하게 회전한다.
상기 제1체인(43-1)은 상기 제1회전기어(41-1)와 제2회전기어(41-2)를 연결한다. 따라서, 제1회전기어(41-1)가 제1전동모터(20)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력은 상기 제2회전기어(41-2)를 통하여 상기 제1스플라인축(42-1)에 전달된다.
상기 제3회전기어(41-3)는 상기 제1스플라인축(42-1)에 중앙이 관통되어 고정된다. 즉, 제3회전기어(41-3)는 제2회전기어(41-2)의 바로 옆에 설치되거나 제2회전기어(41-2)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2회전기어(41-2)의 기어치 바로 옆에 다른 기어치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스플라인축(42-2)은 상기 가압컨베이어(70)에 연결되어 제1전동모터(2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가압컨베이어(7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부연하면,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는 축고정대(12)가 고정 설치되고, 이 축고정대(12)를 상기 제2스플라인축(42-2)이 관통한 후 후술할 이송컨베이어(60)의 외부고정틀(61) 상면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축고정대(12)를 관통한 제2스플라인축(42-2)의 끝단이 상기 가압컨베이어(70)에 연결된다.
상기 제4회전기어(41-4)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좀 더 부연하면,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는 기어고정대(13)가 고정 설치되고, 이 기어고정대(13)의 외측면에 상기 제4회전기어(41-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체인(43-2)은 상기 제3회전기어(41-3)와 제4회전기어(41-4)를 연결한다. 따라서, 제1회전기어(41-1)가 제1전동모터(20)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력은 제1체인(43-1)을 통하여 제2회전기어(41-2)와 제1스플라인축(42-1) 및 제3회전기어(41-3)에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이후 제2체인(43-2)을 통하여 제4회전기어(41-4)에 전달된다.
한편, 상기 제2체인(43-2)이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에는 쳐짐방지롤러(14)가 설치된다. 이로써 제2체인(43-2)의 길이가 길어진다 하더라도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기어(44-1)는 상기 제4회전기어(41-4)에 연결되어 제4회전기어(41-4)와 함께 회전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1보조기어(44-1)는 상기 기어고정대(13)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4회전기어(41-4)가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보조기어(44-2)는 상기 기어고정대(13)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보조기어(44-1)와 치결합되어 제1보조기어(44-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제2보조기어(44-2)는 상기 제2스플라인축(42-2)의 끝단이 연결되어 제2스플라인축(42-2)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4회전기어(41-4)에 전달된 제1전동모터(20)의 회전력은 상기 제1보조기어(44-1)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1보조기어(44-1)에 치결합되어 있는 제2보조기어(44-2)에 회전되며, 제2보조기어(44-2)의 회전에 의하여 제2스플라인축(42-2)이 회전된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50)는 상기 제2전동모터(3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이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절단수단(80)에 전달한다.
이러한 제2동력전달부(50)는 제1브라켓(51)과, 연결바(52)와, 회동축(53)과, 제2브라켓(54)과, 제3브라켓(55)과, 제1링크(56) 및 제2링크(57)로 구성된다.
상기 제1브라켓(51)은 상기 제2전동모터(30)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모터축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연결바(52)는 상기 제1브라켓(51)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브라켓(51)에 연결된 일단 부분이 제2전동모터(30)의 모터축 주위를 회전한다.
상기 회동축(53)은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베어링(15)에 회동축(53)의 양단이 설치됨으로써 그 베어링(15)을 중심으로 회동축(53)이 회동된다.
상기 제2브라켓(54)은 상기 회동축(53)의 끝단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바(52)의 타단에 연결된다. 즉, 회동축(53)의 일단이 제2전동모터(3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게 되면 회동축(53)은 자신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이 회동축(53)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제2브라켓(54)은 회동축(53)과 함께 일정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3브라켓(55)은 상기 회동축(53)에 설치된다.
상기 제1링크(56)는 일단이 상기 제3브라켓(5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링크(57)는 일단이 상기 제1링크(5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절단수단(80)에 연결된다. 좀 더 부연하면, 상기 회동축(53)이 일정각도 회동하면 제3브라켓(55)도 회동축(53)과 동일하게 회동하게 되고, 회동축(53)이 회동하면 상기 제1링크(56)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연이어 제2링크(57)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60)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4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야채를 이송하는 것으로서, 외부고정틀(61)과, 내부고정틀(62)과, 회전봉(63) 및 이송벨트(64)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고정틀(61)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외부고정틀(61)의 상면에는 가압손잡이(61a)가 설치되고, 외부고정틀(61)에는 측면 하측에는 지지핀(61b)이 설치되며, 상기 절단수단(80)에 가까운 일측에 끼움홈(61c)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손잡이(61a)는 스크류 방식으로 외부고정틀(61)에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돌리면 외부고정틀(61)에 조여지고 타방향으로 돌리면 외부고정틀(61)에서 풀리는 형식을 취한다.
상기 내부고정틀(62)은 상기 외부고정틀(6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내부고정틀(62)에는 상기 외부고정틀(61)을 관통하는 간격조절봉(62a)이 설치된다.
상기 간격조절봉(62a)은 상기 가압손잡이(61a)에 의하여 가압된다.
부연하면, 상기 내부고정틀(62)의 간격을 좁히고자 할 경우에는 간격조절봉(62a)을 안쪽으로 밀어서 내부고정틀(62) 사이의 거리를 좁게 한 후 가압손잡이를 일방향으로 돌려서 간격조절봉(62a)을 강하게 가압한다. 이렇게 가압손잡이(61a)에 의하여 간격조절봉(62a)이 가압되면 외력이 작용하여도 내부고정틀(62) 사이의 거리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회전봉(63)은 상기 외부고정틀(61)의 내부 하측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렇게 외부고정틀(6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전봉(63) 중에서 어느 하나, 특히 상기 절단수단(80)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회전봉(63)은 상기 제1동력전달부(40)의 제1스플라인축(42-1)에 의하여 스플라인 방싱으로 관통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제1스플라인축(42-1)이 회전하면 관통된 회전봉(63)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송벨트(64)는 상기 회전봉(63)을 둘러싸고,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여 야채를 상기 절단수단(80) 쪽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가압컨베이어(7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0)의 상부 일단에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0)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절단수단(80)에 가까운 쪽에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제1동력전달부(4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되는 야채를 절단수단(80)에 인접한 이송컨베이어(60)의 상측에서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컨베이어(70)는 측면패널(71)과, 회전봉(72)과, 가압벨트(73)와, 고정핀(74) 및 탄성스프링(75)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패널(71)은 상기 이송컨베이어(60)의 외부고정틀(61)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측면패널(71)은 그 전체적인 형태가 삼각형, 그 중에서도 직각삼각형에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봉(72)은 상기 측면패널(71)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렇게 측면패널(7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회전봉(72)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동력전달부(40)의 제2스플라인축(42-2)에 의하여 스플라인 방식으로 관통됨으로써 제2스플라인축(42-2)이 회전하면 관통된 회전봉(72)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압벨트(73)는 상기 측면패널(71)에 설치된 복수개의 회전봉(72)을 둘러싸고,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여 이송컨베이어(60)에 의하여 이송된 야채를 가압한다. 이렇게 절단수단(80)에 의하여 절단되기 직전에 가압벨트(73)와 이송컨베이어(60)에 의하여 야채가 가압됨으로써 절단수단(80)에 의하여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핀(74)은 상기 외부고정틀(61)의 끼움홈(61c)에 끼움된다.
상기 탄성스프링(75)은 상기 고정핀(74)과 상기 외부고정틀(61)의 지지핀(61b)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이송컨베이어(60)의 이송벨트(64)에 의하여 이송되는 야채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가압컨베이어(70)의 일단이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탄성스프링(75)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상기 절단수단(80)은 상기 제2동력전달부(5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컨베이어(60)와 가압컨베이어(70)에 의하여 가압된 야채를 절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절단수단(80)은 연결봉(81)과, 상기 연결봉(81)에 고정되는 지지바(82)와, 상기 지지바(82)에 설치되는 절단날(83)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봉(81)은 상기 제2동력전달부(50)의 제2링크(57) 상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2링크(57)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봉(81)도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을 관통하는 제2링크(57)의 상단부 외주면은 주름관(57a)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상기 지지바(82)는 상기 연결봉(81)의 끝단에 양단이 고정된다.
상기 절단날(83)은 상기 지지바(82)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60)에 의하여 이송되는 야채를 절단한다. 상기 연결봉(81)을 통하여 전달된 제2링크(57)의 왕복운동은 절단날(83)이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하방향 왕복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서 야채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절편받이(90)는 상기 절단수단(80)의 절단날(83)에 의하여 절단된 야채를 수집통과 같은 곳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절편받이(90)의 앞부분을 막음으로써 장치 조작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에는 투명한 보호막(16)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레버(17)가 설치되어 야채의 절단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즉, 이송컨베이어(60)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면 야채의 절단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송컨베이어(60)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하면 야채의 절단 두께가 얇아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야채절단장치의 작동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의 조작을 통하여 제1전동모터(20)와 제1전동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면 제1회전기어(41-1)와 제2회전기어(41-2)와 제3회전기어(41-3) 및 제4회전기어(41-4)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스플라인축(42-1)이 회전하게 되어 이송컨베이어(60)의 이송벨트(64)가 회전됨과 아울러 제2스플라인축(42-2)이 회전하게 되어 가압컨베이어(70)의 가압벨트(73)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동력전달부(50)의 회동축(53)이 수평방향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회동축(53)을 회전시키게 되어 제2링크(57)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제2링크(57)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절단수단(80)의 절단날(83)이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컨베이어(60)에 의하여 이송되고 이송컨베이어(60)에서 이탈되기 직전에 가압컨베이어(70)에 의하여 가압된 야채가 일정 간격으로 절단날(83)에 의하여 절단된다.
한편, 본 발명은 그 명칭을 야채절단장치로 하였으나, 야채만을 절단하는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홍어, 오징어와 같은 냉동수산식품 및 그 외 얇게 세절하는 것이 필요한 음식물의 절단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0: 프레임 11: 다리부
11a: 캐스터 11b: 높이조절받침
12: 축고정대 13: 기어고정대
14: 쳐짐방지롤러 15: 베어링
16: 보호막 17: 속도조절레버
20: 제1전동모터 30: 제2전동모터
40: 제1동력전달부 41: 제1회전기어
41-1: 제1회전기어 41-2: 제2회전기어
41-3: 제3회전기어 41-4: 제4회전기어
42-1: 제1스플라인축 42-2: 제2스플라인축
43-1: 제1체인 43-2: 제2체인
44-1: 제1보조기어 44-2: 제2보조기어
50: 제2동력전달부 51: 제1브라켓
52: 연결바 53: 회동축
54: 제2브라켓 55: 제3브라켓
56: 제1링크 57: 제2링크
60: 이송컨베이어 61: 외부고정틀
61a: 가압손잡이 61b: 지지핀
61c: 끼움홈 62: 내부고정틀
62a: 간격조절봉 63: 회전봉
64: 이송벨트 70: 가압컨베이어
71: 측면패널 72: 회전봉
73: 가압벨트 74: 고정핀
75: 탄성스프링 80: 절단수단
81: 연결봉 82: 지지바
83: 절단날 90: 절편받이

Claims (8)

  1.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1전동모터(20)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제2전동모터(30)와;
    상기 제1전동모터(2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1동력전달부(40)와;
    상기 제2전동모터(3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50)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4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야채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6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60)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4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되는 야채를 상측에서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70)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5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컨베이어(60)와 가압컨베이어(70)에 의하여 가압된 야채를 절단하는 절단수단(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40)는 상기 제1전동모터(20)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기어(41-1)와;
    상기 이송컨베이어(60)에 연결되는 제1스플라인축(42-1)과;
    상기 제1스플라인축(42-1)에 중앙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제2회전기어(41-2)와;
    상기 제1회전기어(41-1)와 제2회전기어(41-2)를 연결하여 제1회전기어(41-1)의 회전력을 제1스플라인축(42-1)에 전달하는 제1체인(43-1)과;
    상기 제1스플라인축(42-1)에 중앙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제3회전기어(41-3)와;
    상기 가압컨베이어(70)에 연결되는 제2스플라인축(42-2)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회전기어(41-4)와;
    상기 제3회전기어(41-3)와 제4회전기어(41-4)를 연결하는 제2체인(43-2)과;
    상기 제4회전기어(41-4)에 연결되어 제4회전기어(41-4)와 함께 회전하는 제1보조기어(44-1)와;
    상기 제1보조기어(44-1)와 치결합되어 제1보조기어(44-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고, 상기 제2스플라인축(42-2)의 끝단이 연결되어 제2스플라인축(42-2)을 회전시키는 제2보조기어(4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절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50)는 상기 제2전동모터(30)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1브라켓(51)과;
    상기 제1브라켓(51)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단이 제2전동모터(30)의 모터축 주위를 회전하는 연결바(52)와;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53)과;
    상기 회동축(53)의 끝단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바(52)의 타단에 연결되어, 회동축(53)과 함께 일정각도로 회동하는 제2브라켓(54)과;
    상기 회동축(53)에 설치되는 제3브라켓(55)과;
    상기 제3브라켓(5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56)와;
    상기 제1링크(5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절단수단(80)에 연결되는 제2링크(5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절단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6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외부고정틀(61)과;
    상기 외부고정틀(61)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고정틀(62)과;
    상기 외부고정틀(61)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복수개가 설치되고,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동력전달부(40)의 제1스플라인축(42-1)에 의하여 관통됨으로써 제1스플라인축(42-1)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봉(63)과;
    상기 회전봉(63)을 둘러싸고,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여 야채를 이송시키는 이송벨트(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절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부고정틀(62)에는 상기 외부고정틀(61)을 관통하는 간격조절봉(62a)이 설치되고,
    상기 외부고정틀(61)의 상면에는 상기 간격조절봉(62a)을 가압하는 가압손잡이(61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절단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컨베이어(7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60)의 외부고정틀(61)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측면패널(71)과;
    상기 측면패널(71)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복수개가 설치되고,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동력전달부(40)의 제2스플라인축(42-2)에 의하여 관통됨으로써 제2스플라인축(42-2)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봉(72)과;
    상기 회전봉(72)을 둘러싸고,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여 이송컨베이어(60)에 의하여 이송된 야채를 가압하는 가압벨트(73)와;
    상기 외부고정틀(61)에 형성되는 끼움홈(61c)에 끼움되는 고정핀(74)과;
    상기 고정핀(74)과 상기 외부고정틀(61)에 설치되는 지지핀(61b)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탄성스프링(7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절단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80)은 상기 제2링크(57)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연결봉(81)과;
    상기 연결봉(81)의 끝단에 양단이 고정되는 지지바(82)와;
    상기 지지바(82)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야채를 절단하는 절단날(8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절단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절단수단(80)에 의하여 절단된 야채를 안내하는 절편받이(9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절단장치.
KR1020120122080A 2012-10-31 2012-10-31 야채절단장치 KR10141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080A KR101411709B1 (ko) 2012-10-31 2012-10-31 야채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080A KR101411709B1 (ko) 2012-10-31 2012-10-31 야채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372A true KR20140055372A (ko) 2014-05-09
KR101411709B1 KR101411709B1 (ko) 2014-06-25

Family

ID=5088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080A KR101411709B1 (ko) 2012-10-31 2012-10-31 야채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70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3387A (zh) * 2015-04-01 2015-06-24 长江大学 一种落体式自动切菜机
CN106113112A (zh) * 2016-06-29 2016-11-16 芜湖市佳谷豆工贸有限公司 年糕切片印花装置
CN108748368A (zh) * 2018-07-17 2018-11-06 王小莉 一种立式切菜机
CN109352695A (zh) * 2018-08-29 2019-02-19 芜湖源码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小型自动切菜机
CN109514616A (zh) * 2018-11-10 2019-03-26 胡梦婷 一种切制均匀的板栗加工机器人
KR20190002222U (ko) 2018-02-26 2019-09-04 이재연 식품 절단기
CN110328695A (zh) * 2019-07-04 2019-10-15 深圳市康凯威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笋干切片装置
KR102075145B1 (ko) * 2019-09-10 2020-02-07 주식회사 마루에프앤씨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채소절단기
CN111496862A (zh) * 2020-04-15 2020-08-07 彭美兰 一种萝卜等量切片机
CN113681606A (zh) * 2021-08-25 2021-11-23 安徽省本草国药饮片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中药加工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5258A1 (zh) * 2016-04-27 2017-11-02 深圳市全球通用机械有限公司 全自动切菜机
KR101739237B1 (ko) * 2016-10-28 2017-05-23 정은숙 물결무늬 감자스틱을 제조하기 위한 감자절단장치
KR101968866B1 (ko) 2018-07-04 2019-04-12 김동휘 청소가 용이한 야채절단장치
KR102105964B1 (ko) 2019-03-13 2020-04-29 주식회사 마루에프앤씨 야채절단장치
KR102056736B1 (ko) * 2019-10-02 2019-12-17 김건우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
KR102058730B1 (ko) * 2019-10-07 2019-12-23 김지현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KR102132947B1 (ko) * 2019-11-12 2020-07-10 김지현 채소의 파지영역이 증가된 채소 절단기
KR102365035B1 (ko) * 2020-07-22 2022-02-17 김지현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KR102326755B1 (ko) * 2020-08-21 2021-11-17 주식회사 이노스텍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KR102355271B1 (ko) * 2020-08-28 2022-02-07 주식회사 이노스텍 가이드부재와 고정핀을 이용한 이동컨베이어 착탈식 채소 절단기
KR102629369B1 (ko) * 2021-06-14 2024-01-25 아이비씨 영농조합법인 과채 절단 장치
KR102384375B1 (ko) * 2021-09-02 2022-04-08 주식회사 제이푸드테크 절단영역에 대한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유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KR102568198B1 (ko) * 2021-10-21 2023-08-18 (주) 비엔비 섬유적층체의 모서리 가공장치
KR102531147B1 (ko) 2022-09-23 2023-05-10 박상희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618Y1 (en) * 1980-09-08 1981-12-29 Yung Ho Jang Auto cutting machine of vegetables
JP2742861B2 (ja) * 1993-03-26 1998-04-22 有限会社森川製作所 蔕切断装置
KR200356035Y1 (ko) 2004-04-16 2004-07-12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야채 절단기
KR200358545Y1 (ko) 2004-05-10 2004-08-11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야채 수직 절단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3387A (zh) * 2015-04-01 2015-06-24 长江大学 一种落体式自动切菜机
CN104723387B (zh) * 2015-04-01 2016-04-27 长江大学 一种落体式自动切菜机
CN106113112A (zh) * 2016-06-29 2016-11-16 芜湖市佳谷豆工贸有限公司 年糕切片印花装置
KR20190002222U (ko) 2018-02-26 2019-09-04 이재연 식품 절단기
CN108748368A (zh) * 2018-07-17 2018-11-06 王小莉 一种立式切菜机
CN109352695A (zh) * 2018-08-29 2019-02-19 芜湖源码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小型自动切菜机
CN109514616B (zh) * 2018-11-10 2019-07-16 山东绿之润食品有限公司 一种切制均匀的板栗加工机器人
CN109514616A (zh) * 2018-11-10 2019-03-26 胡梦婷 一种切制均匀的板栗加工机器人
CN110328695A (zh) * 2019-07-04 2019-10-15 深圳市康凯威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笋干切片装置
CN110328695B (zh) * 2019-07-04 2024-03-08 深圳市康凯威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笋干切片装置
KR102075145B1 (ko) * 2019-09-10 2020-02-07 주식회사 마루에프앤씨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채소절단기
WO2021049739A1 (ko)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제이푸드테크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채소절단기
CN111496862A (zh) * 2020-04-15 2020-08-07 彭美兰 一种萝卜等量切片机
CN113681606A (zh) * 2021-08-25 2021-11-23 安徽省本草国药饮片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中药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709B1 (ko)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709B1 (ko) 야채절단장치
JP3335989B2 (ja) 食品スライサ
KR101041470B1 (ko) 식품 슬라이서
KR100887680B1 (ko) 약재 절단기
US20070151431A1 (en) Food cutting machine
EP1749445B1 (en) Meat slicing machine
CN105128045B (zh) 一种切丝机及其切丝方法
CN104493864A (zh) 一种联动式切片机
CN109662130A (zh) 一种多功能切肉机
KR20140109582A (ko) 계육 수직 절단가공장치
KR200492015Y1 (ko) 식품 절단기
CN104585268A (zh) 油条切割设备
CN202127757U (zh) 鱼肉切片机
JP2008173700A (ja) ハム原木等のスライス装置
KR101473098B1 (ko) 배추 절단기
CN205167001U (zh) 一种半自动肉类或肉制品切片机
KR100957751B1 (ko) 생고기의 칼집 성형장치
JP2018122383A (ja) スライス装置およびこのスライス装置を用いたスライス方法
KR101675872B1 (ko) 양파의 뿌리 및 줄기 자동제거장치
CN105773688A (zh) 一种可以检测切片厚度的切药机
CN109910097A (zh) 一种蔬菜切割设备
JP7186387B2 (ja) 食肉スライサー
EP1020260A3 (de) Vorrichtung zum Aufschneiden von Lebensmittelprodukten
CN214238498U (zh) 一种切片机输送线设备
KR20150137496A (ko)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