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035Y1 - 야채 절단기 - Google Patents

야채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035Y1
KR200356035Y1 KR20-2004-0010526U KR20040010526U KR200356035Y1 KR 200356035 Y1 KR200356035 Y1 KR 200356035Y1 KR 20040010526 U KR20040010526 U KR 20040010526U KR 200356035 Y1 KR200356035 Y1 KR 200356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roller
support
coupled
veget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덕종합기계
Priority to KR20-2004-0010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0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0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추나 무 김치 등과 같은 다량의 야채를 일정크기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절단하여 조리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야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하부에 이송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 및 고정수단이 구비된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전면에는 전방 개구된 수용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요홈 주연부 일측에는 야채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야채를 세절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수용요홈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칼날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투입구과 일치하는 설치프레임 상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레일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이송수단에 의해 회전 되는 구동롤러와 장력조절수단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지지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 및 지지롤러에는 이송밸트가 이송 가능하게 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이송밸트에 놓인 야채가 지지플레이트의 투입구로 운반 및 유입되도록 하는 야채유입컨베이어와; 상기 칼날이 수용된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잠금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배면에는 상기 회전되는 칼날이 삽입되도록 하는 후방 개구된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투입구와 일치하는 삽입요홈의 주연부에는 세절된 야채가 배출되도록 하는 세절물배출구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요홈의 주연부 하측에는 야채가 세절되면서 발생된 잔여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잔여물배출구가 형성된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세절물배출구와 일치하는 개폐플레이트의 전방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레일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동수단에 의해 회전 되는 구동롤러와 장력조절수단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지지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 및 지지롤러에는 이송밸트가 이송 가능하게 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칼날에 의해 세절된 야채가 이송밸트를 따라 특정위치로 운반되도록 하는 세절물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투입구로 유입되어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일정크기로 세절되는 야채를 눌러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야재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야채 절단기{GREEN CUTTING MACHINE}
본 고안은 야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배추나 무 김치 등과 같은 다량의 야채를 일정크기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절단하여 조리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야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를 썰고자 할 경우에는, 대부분 도마 위에 야채를 올로 놓고 한 손으로는 야채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칼을 쥐어 야채를 썰었었는데 이는 야채를 잡고 있는 손이 베일 염려가 항상 내포되어 있었다.
또한, 집단 급식이 이루어지는 병원, 호텔, 요식업소, 급식업소 등에서 조리를 할 경우에는 다량의 야채가 소비되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야채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썰다보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이에따라 야채만을 별도로 썰어주는 인원의 증원이 필요하거나 또는 음식 조리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여유 있는 시간을 이용해 많은 량의 야채를 미리 썰어놓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시간이 지나게되면 야채의 신선도가 떨어짐은 물론 야채의 고유한 맛과 향을 잃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추나 무 김치 등과 같은 다량의 야채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일정크기로 세절할수 있도록 구성된 야채 절단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하부에 이송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 및 고정수단이 구비된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전면에는 전방 개구된 수용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요홈 주연부 일측에는 야채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야채를 세절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수용요홈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칼날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투입구과 일치하는 설치프레임 상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레일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이송수단에 의해 회전 되는 구동롤러와 장력조절수단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지지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 및 지지롤러에는 이송밸트가 이송 가능하게 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이송밸트에 놓인 야채가 지지플레이트의 투입구로 운반 및 유입되도록 하는 야채유입컨베이어와; 상기 칼날이 수용된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잠금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배면에는 상기 회전되는 칼날이 삽입되도록 하는 후방 개구된 삽입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투입구와 일치하는 삽입요홈의 주연부에는 세절된 야채가 배출되도록 하는 세절물배출구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요홈의 주연부 하측에는 야채가 세절되면서 발생된 잔여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잔여물배출구가 형성된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세절물배출구와 일치하는 개폐플레이트의 전방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레일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동수단에 의해 회전 되는 구동롤러와 장력조절수단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지지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 및 지지롤러에는 이송밸트가 이송 가능하게 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칼날에 의해 세절된 야채가 이송밸트를 따라 특정위치로 운반되도록 하는 세절물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투입구로 유입되어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일정크기로 세절되는 야채를 눌러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야재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가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야채 절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야채 절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야채 절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야채 절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설치프레임 111 : 바퀴
112 : 고정수단 112a : 받침나사
112b : 받침편 115 : 컨트롤박스
116 : 커버 120 : 지지플레이트
121 : 수용요홈 122 : 투입구
130 : 칼날 131 : 회전축
140 : 야채유입컨베이어 141 : 안내레일
142 : 구동롤러 143 : 지지롤러
143a : 지지롤러축 144 : 장력조절수단
144a : 가이드홀 144b : 가이드브라켓
144c : 손잡이 144d : 나사샤프트
145 : 이송밸트 150 : 개폐플레이트
151 : 힌지 152 : 잠금수단
152a : 끼움홀 152b : 결합돌기부
152c : 잠금볼트 152d : 걸림단턱부
152e : 손잡이부 152f : 핀
153 : 삽입요홈 154 : 세절물배출구
155 : 잔여물배출구 160 : 세절물이송컨베이어
161 : 안내레일 162 : 연동수단
162a : 연동기어 163 : 구동롤러
164 : 장력조절수단 164a : 가이드홀
164b : 가이드브라켓 164c : 손잡이
164d : 나사샤프트 165 : 지지롤러
165a : 지지롤러축 166 : 이송밸트
170 : 야재지지수단 171 : 회동판
172 : 힌지축 173 : 연동수단
173a : 연동스프로킷 173b : 동력전달샤프트
173c : 연결스프로킷 173d : 체인
173e : 구동스프로킷 173f : 체인
174 : 구동롤러 175 : 장력조절수단
175a : 안내장공 175b : 손잡이부
175c : 걸림단턱부 175d : 나사샤프트
176 : 지지롤러 176a : 지지롤러축
177 : 가압밸트 178 : 탄성스프링
180 : 회전수단 181 : 제1구동모터
181a : 구동축 182 : 풀리
183 : 밸트 190 : 이송수단
191 : 제2구동모터 191a : 구동축
192 : 감속기 192a : 입력축
192b : 출력축 193 : 풀리
194 : 밸트 195 : 동력전달기어
196 : 구동샤프트 197 : 연결스프로킷
198 : 체인 199 : 구동기어
이하 본 고안인 야채 절단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야채 절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야채 절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야채 절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야채 절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야채 절단기는 하부에 이송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111) 및 고정수단(112)이 구비된 설치프레임(110)과; 상기설치프레임(110)의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전면에는 전방 개구된 수용요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요홈(121) 주연부 일측에는 야채가 투입되는 투입구(122)가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를 통해 유입되는 야채를 세절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수용요홈(121)에 회전축(1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회전수단(180)에 의해 회전되는 칼날(13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과 일치하는 설치프레임(110) 상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레일(141)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이송수단(19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142)와 장력조절수단(144)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지지롤러(143)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142) 및 지지롤러(143)에는 이송밸트(145)가 이송 가능하게 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이송밸트(145)에 놓인 야채가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운반 및 유입되도록 하는 야채유입컨베이어(140)와; 상기 칼날(130)이 수용된 지지플레이트(12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151) 결합됨과 아울러 잠금수단(152)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배면에는 상기 회전되는 칼날(130)이 삽입되도록 하는 후방 개구된 삽입요홈(15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와 일치하는 삽입요홈(153)의 주연부에는 세절된 야채가 배출되도록 하는 세절물배출구(154)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요홈(153)의 주연부 하측에는 야채가 세절되면서 발생된 잔여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잔여물배출구(155)가 형성된 개폐플레이트(150)와; 상기 세절물배출구(154)와 일치하는 개폐플레이트(150)의 전방에수평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레일(161)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동수단(16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163)와 장력조절수단(164)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지지롤러(165)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163) 및 지지롤러(165)에는 이송밸트(166)가 이송 가능하게 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칼날(130)에 의해 세절된 야채가 이송밸트(166)를 따라 특정위치로 운반되도록 하는 세절물이송컨베이어(16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유입되어 회전하는 칼날(130)에 의해 일정크기로 세절되는 야채를 눌러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야재지지수단(170)으로 이루어져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에 놓인 야채가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유입되면서 칼날(130)에 의해 절단된 후 개폐플레이트(150)의 세절물배출구(154)를 통해 세절된 야채가 세절물이송컨베이어(160)로 배출되어 특정위치로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유입됨과 동시에 칼날(130)에 의해 세절되는 야채를 지지하는 야재지지수단(17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와 인접된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안내레일(141) 상측에 복수개의 회동판(171)이 힌지축(172)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평행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판(171) 상에는 연동수단(17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174)와 장력조절수단(175)에 의해 위치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176)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174) 및 지지롤러(176)에는 가압밸트(177)가 이송 가능하게 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동판(171)과 지지플레이트(120)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78)이 탄지되어 상기 이송되는 가압밸트(177)가 상기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이송밸트(145)에 놓여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유입되는 야채를 눌러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칼날(13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80)은 상기 설치프레임(110)에 속도 조절 가능한 구동축(181a)을 갖는 제1구동모터(18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칼날(130)을 지지플레이트(120)의 수용요홈(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회전축(131) 및 상기 제1구동모터(181)의 구동축(181a)에 각각 풀리(182)가 일직선상으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풀리(182)는 밸트(183)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구동모터(181)의 구동에 의해 칼날(130)이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유입된 야채를 세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구동롤러(142)를 회전시켜 이송밸트(145)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90)은 상기 설치프레임(110)에 속도 조절 가능한 구동축(191a)을 갖는 제2구동모터(191)와 입력된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출력하는 입력축(192a) 및 출력축(192b)을 갖는 감속기(19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모터(191)의 구동축(191a)과 감속기(192)의 입력축(192a)은 풀리(193) 및 밸트(194)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구동롤러(142)와 인접된 설치프레임(110) 선단부에는 동력전달기어(195)를 갖는 구동샤프트(196)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상기 구동샤프트(196)와 감속기(192)의 출력축(192b)은 연결스프로킷(197) 및 체인(198)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구동롤러(142) 상에는 상기 구동샤프트(196)의 동력전달기어(195)와 연동되게 결합되는 구동기어(199)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2구동모터(191)의 구동에 따라 구동롤러(142)가 회전되면서 이송밸트(145)를 이송시켜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이송밸트(145)에 놓인 야채를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절물이송컨베이어(160)의 구동롤러(163)를 회전시켜 이송밸트(166)를 이송시키는 연동수단(162)은 상기 세절물이송컨베이어(160)의 구동롤러(163) 상에 상기 구동샤프트(196)의 동력전달기어(195)와 연동되게 결합되는 연동기어(162a)가 결합되어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구동롤러(142)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기어(195)의 회전에 따라 세절물이송컨베이어(160)의 구동롤러(163)가 회전되면서 이송밸트(166)를 이송시켜 상기 칼날(130)에 의해 세절되어 개폐플레이트(150)의 세절물배출구(154)를 통해 이송밸트(166)로 놓여지는 세절된 야채를 특정위치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야재지지수단(170)의 구동롤러(174)를 회전시켜 가압밸트(177)를 이송시키는 연동수단(173)은 상기 힌지축(172)과 일직선상으로 일치되는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안내레일(141) 상에 연동스프로킷(173a)을 갖는 동력전달샤프트(173b)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73b)와 감속기(192)의 출력축(192b)은 연결스프로킷(173c) 및 체인(173d)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구동롤러(174)에는 구동스프로킷(173e)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구동롤러(174)의 구동스프로킷(173e)과 동력전달샤프트(173b)의 연동스프로킷(173a)은 체인(173f)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구동롤러(142)로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192)의 출력축(192b) 회전에 따라 구동롤러(174)가 회전되면서 가압밸트(177)를 이송시켜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이송밸트(166)(145)에 놓여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유입되는 야채를 눌러 지지하면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플레이트(150)가 지지플레이트(120)의 수용요홈(121)을 밀폐하며 결합된 상태를 잠금 고정하거나 해지하는 잠금수단(152)은 지지플레이트(120) 및 개폐플레이트(150)의 테두리에 각각 상호 일치되는 끼움홀(152a)을 갖는 결합돌기부(152b)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결합돌기부(152b)에는 잠금볼트(152c)가 핀(152f)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결합되며, 상기 잠금볼트(152c)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결합돌기부(152b)에 걸리는 걸림단턱부(152d) 및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152e)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 및 세절물이송컨베이어(160)의 이송밸트(145)(166)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144)(164)은 안내레일(141)(161)의 내측면에 지지롤러(143)(165)의 축(143a)(165a)이 전후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도록 지지결합되는 가이드홀(144a)(164a)을 갖는 가이드브라켓(144b)(164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161)(141)의 단부에는 손잡이(144c)(164c)를 갖는 나사샤프트(144d)(164d)가 지지 결합되며, 상기 나사샤프트(144d)(164d)의 단부에는 지지롤러(143)(165)의 축(143a)(165a)이 결합되어 상기 나사샤프트(144d)(164d)의 회전에 따라 지지롤러(143)(165)의 축(143a)(165a)이 가이드브라켓(144b)(164b)의 가이드홀(144a)(164a)을 따라 이송되면서 지지롤러(143)(165)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지지롤러(143)(165) 및 구동롤러(142)(163)에 이송 가능하도록 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된 이송밸트(145)(16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야재지지수단(170)의 장력조절수단(175)은 상기 회동판(171)에 안내장공(175a)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장공(175a)과 일치하는 회동판(171)의 테두리에는 손잡이부(175b) 및 걸림단턱부(175c)를 갖는 나사샤프트(175d)가 체결되며, 상기 안내장공(175a)에는 지지롤러(176)의 축(176a)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나사샤프트(175d)의 단부에 지지롤러(176)의 축(176a)이 체결되어 상기 나사샤프트(175d)의 회전에 따라 지지롤러(176)가 위치 이동되면서 가압밸트(177)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180)과 이송수단(190)의 제2구동모터(191)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컨트롤박스(115)는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용이한 설치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수단(180)과 이송수단(190)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커버(116)에 의해 감싸여지며, 상기 설치프레임(110)의 이동 후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수단(112)은 설치프레임(110)의 하부에 받침나사(112a)가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받침나사(112a)의 하단부에 바닥면과 밀착되는 받침편(112b)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야재 절단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컨트롤박스(115)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1구동모터(181)의 구동축(181a)을구동시키면, 상기 제1구동모터(181)의 구동축(181a)과 풀리(182) 및 밸트(183)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된 회전축(131)이 회전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수용요홈(121)에 설치된 칼날(130)이 회전하면서 야채의 세절을 준비하게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115)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2구동모터(191)를 구동시키면, 상기 제2구동모터(191)의 구동축(191a)과 풀리(193) 및 밸트(194)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된 감속기(192)의 입력축(192a)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되고, 상기 감속기(192)는 입력축(192a)으로 입력된 제2구동모터(191)의 구동축(191a)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출력축(192b)으로 동력을 출력하게되며, 상기 감속기(192)의 출력축(192b)으로 출력되는 동력은 체인(198) 및 연결스프로킷(197)에 의해 상기 감속기(192)의 출력축(192b)과 연동되도록 결합된 구동샤프트(196)를 회전시키게되고, 동시에 상기 구동샤프트(196)의 동력전달기어(195)와 연동되도록 결합된 구동기어(199)가 회전하면서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구동롤러(142)를 회전시키게되어 상기 구동롤러(142) 및 지지롤러(143)를 감싸면서 결합된 이송밸트(145)가 이송됨에 따라 상기 이송밸트(145)에 놓인 세절될 야채를 칼날(130)이 수용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이송 유입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감속기(192)의 출력축(192b)에 의한 구동샤프트(196)의 동력전달기어(195) 회전시 상기 동력전달기어(195)와 연동되게 결합된 연동기어(162a)가 회전하면서 세절물이송컨베이어(160)의 구동롤러(163)를 회전시키게되어 상기 구동롤러(163) 및 지지롤러(165)를 감싸면서 결합된 이송밸트(166)가 이송됨에 따라 상기 칼날(130)에 의해 세절되어 개폐플레이트(150)의 세절물배출구(154)를 통해 배출되는 세절된 야채를 특정위치로 이송시키게된다.
또한, 상기 감속기(192)의 출력축(192b) 회전력은 체인(173d) 및 연결스프로킷(173c)에 의해 감속기(192)의 출력축(192b)과 연동되도록 결합된 동력전달샤프트(173b)를 회전시키게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73b)의 회전력은 구동스프로킷(173e)과 연동스프로킷(173a)과 체인(173f)에 의해 동력전달샤프트(173b)와 연동되도록 결합된 구동롤러(174)를 회전시키게되어 상기 구동롤러(174) 및 지지롤러(176)를 감싸면서 결합된 가압밸트(177)가 이송되며, 이때 상기 구동롤러(174) 및 지지롤러(176) 등을 지지한 회동판(171)이 탄성스프링(178)에 의해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이송밸트(145) 방향으로 가압됨으로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이송밸트(145)에 놓여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유입되면서 세절되는 야재를 가압밸트(177)가 안정적으로 눌러 지지하면서 이송시키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절될 야채가 야채유입컨베이어를 통해 회전되는 칼날이 수용된 지지플레이트의 투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칼날에 의해 일정크기로 세절되고, 연속적으로 상기 세절된 야채는 개폐플레이트의 세절물배출구로 배출되어 세절물배출컨베이어를 통해 특정위치로 운반되며, 상기 칼날에 의해 야채가 세절되면서 발생된 야채 잔여물은 개폐플레이트의 잔여물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본 고안인 야채 절단기는 배추나 무 김치 등과 같은 다량의 야채를신속하고 안전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대량 급식이 이루어지는 병원, 호텔, 요식업소, 급식업소 등과 같은 주방에서의 조리업무에 대한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조리업무 대행업소 등과 같은 곳에서는 야채 세절에 필요한 인력난을 일소에 해결할 수 있음으로 인건비 절감에 따른 사업 경쟁력까지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하부에 이송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111) 및 고정수단(112)이 구비된 설치프레임(110)과; 상기 설치프레임(110)의 전방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전면에는 전방 개구된 수용요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요홈(121) 주연부 일측에는 야채가 투입되는 투입구(122)가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를 통해 유입되는 야채를 세절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수용요홈(121)에 회전축(1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회전수단(180)에 의해 회전되는 칼날(13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과 일치하는 설치프레임(110) 상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레일(141)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이송수단(190)에 의해 회전 되는 구동롤러(142)와 장력조절수단(144)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지지롤러(143)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142) 및 지지롤러(143)에는 이송밸트(145)가 이송 가능하게 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이송밸트(145)에 놓인 야채가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운반 및 유입되도록 하는 야채유입컨베이어(140)와; 상기 칼날(130)이 수용된 지지플레이트(12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151) 결합됨과 아울러 잠금수단(152)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배면에는 상기 회전되는 칼날(130)이 삽입되도록 하는 후방 개구된 삽입요홈(15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와 일치하는 삽입요홈(153)의 주연부에는 세절된 야채가 배출되도록 하는 세절물배출구(154)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요홈(153)의 주연부 하측에는 야채가 세절되면서 발생된 잔여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잔여물배출구(155)가 형성된 개폐플레이트(150)와; 상기 세절물배출구(154)와 일치하는 개폐플레이트(150)의 전방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레일(161)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연동수단(162)에 의해 회전 되는 구동롤러(163)와 장력조절수단(164)에 의해 전후 이송되는 지지롤러(165)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163) 및 지지롤러(165)에는 이송밸트(166)가 이송 가능하게 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칼날(130)에 의해 세절된 야채가 이송밸트(166)를 따라 특정위치로 운반되도록 하는 세절물이송컨베이어(16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로 유입되어 회전하는 칼날(130)에 의해 일정크기로 세절되는 야채를 눌러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야재지지수단(1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야재지지수단(17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투입구(122)와 인접된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안내레일(141) 상측에 복수개의 회동판(171)이 힌지축(172)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평행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판(171) 상에는 연동수단(17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174)와 장력조절수단(175)에 의해 위치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176)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174) 및 지지롤러(176)에는 가압밸트(177)가 이송 가능하게엔드리스 형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회동판(171)과 지지플레이트(120)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78)이 탄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180)은 상기 설치프레임(110)에 속도 조절 가능한 구동축(181a)을 갖는 제1구동모터(18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칼날(130)을 지지플레이트(120)의 수용요홈(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회전축(131) 및 상기 제1구동모터(181)의 구동축(181a)에 각각 풀리(182)가 일직선상으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풀리(182)는 밸트(183)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190)은 상기 설치프레임(110)에 속도 조절 가능한 구동축(191a)을 갖는 제2구동모터(191)와 입력된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출력하는 입력축(192a) 및 출력축(192b)을 갖는 감속기(192)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모터(191)의 구동축(191a)과 감속기(192)의 입력축(192a)은 풀리(193) 및 밸트(194)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구동롤러(142)와 인접된 설치프레임(110) 선단부에는 동력전달기어(195)를 갖는 구동샤프트(196)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상기 구동샤프트(196)와 감속기(192)의 출력축(192b)은 스프로킷(197) 및 체인(198)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구동롤러(142) 상에는 상기 구동샤프트(196)의 동력전달기어(195)와 연동되게 결합되는 구동기어(199)가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162)은 상기 세절물이송컨베이어(160)의 구동롤러(163) 상에 상기 구동샤프트(196)의 동력전달기어(195)와 연동되게 결합되는 연동기어(162a)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재 절단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173)은 상기 힌지축(172)과 일직선상으로 일치되는 야채유입컨베이어(140)의 안내레일(141) 상에 연동스프로킷(173a)을 갖는 동력전달샤프트(173b)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73b)와 감속기(192)의 출력축(192b)은 연결스프로킷(173c) 및 체인(173d)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구동롤러(174)에는 구동스프로킷(173e)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구동롤러(174)의 구동스프로킷(173e)과 동력전달샤프트(173b)의 연동스프로킷(173a)은 체인(173f)에 의해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절단기.
KR20-2004-0010526U 2004-04-16 2004-04-16 야채 절단기 KR200356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526U KR200356035Y1 (ko) 2004-04-16 2004-04-16 야채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526U KR200356035Y1 (ko) 2004-04-16 2004-04-16 야채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035Y1 true KR200356035Y1 (ko) 2004-07-12

Family

ID=4934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526U KR200356035Y1 (ko) 2004-04-16 2004-04-16 야채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0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709B1 (ko) 2012-10-31 2014-06-25 박상희 야채절단장치
KR101803913B1 (ko) 2016-04-14 2017-12-04 김경범 근채류 절단장치
KR101822956B1 (ko) * 2016-04-14 2018-02-01 타프기계공업(주) 배추 절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709B1 (ko) 2012-10-31 2014-06-25 박상희 야채절단장치
KR101803913B1 (ko) 2016-04-14 2017-12-04 김경범 근채류 절단장치
KR101822956B1 (ko) * 2016-04-14 2018-02-01 타프기계공업(주) 배추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45975A1 (en) Food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of use
CN203600324U (zh) 一种切菜机
KR200356035Y1 (ko) 야채 절단기
KR20200043821A (ko) 식품 자동 슬라이서
EP1610660B1 (en) Shredding appliance for shredding vegetables or other food articles
US51671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elical slices
KR200358607Y1 (ko) 야채 세절기
KR20120118137A (ko) 음식물용 세절기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KR200358545Y1 (ko) 야채 수직 절단기
KR20190002222U (ko) 식품 절단기
CN108214576A (zh) 可调节蔬菜料理机
KR102387801B1 (ko) 대파 절단장치
KR20220032979A (ko) 비대면 소형 자동야채절단기
US2886845A (en) Meat tenderizer
CN108081360A (zh) 多功能切菜机
KR200243902Y1 (ko) 식품 세단기
CN213320392U (zh) 一种提高切片效率的果蔬切片机
KR101759986B1 (ko)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KR200422830Y1 (ko) 냉장육 절단기의 윗 누름 장치
JP3882150B2 (ja) 野菜切削機
KR20020089714A (ko) 식품 세단기
KR200452170Y1 (ko) 슬라이스 커팅기
KR101803913B1 (ko) 근채류 절단장치
KR200459663Y1 (ko) 멀티 야채 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