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714A - 식품 세단기 - Google Patents

식품 세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714A
KR20020089714A KR1020010028381A KR20010028381A KR20020089714A KR 20020089714 A KR20020089714 A KR 20020089714A KR 1020010028381 A KR1020010028381 A KR 1020010028381A KR 20010028381 A KR20010028381 A KR 20010028381A KR 20020089714 A KR20020089714 A KR 20020089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onveyor
longitudinal cutting
elev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일승
Original Assignee
권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일승 filed Critical 권일승
Priority to KR1020010028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9714A/ko
Publication of KR2002008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5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 B26D1/6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and is rota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e.g. mounted on a rotary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두께와 폭으로 일차 절단된 우육, 돈육, 조육, 어류와 같은 식육(食肉)은 물론 햄, 치즈, 과물, 야체 등의 각종 식품을 깍두기 형태로 연속 절단하기 위한 식품 세단기(細斷機, 일명 Dicer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물의 절단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도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고, 세로절단장치 및 콘베어장치가 각각 세트화되어 분해 조립이 양호한 식품 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내에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하나의 모터(31)와, 브이벨트(32)로 연결된 구동축(33) 및 상기 모터(31)와 구동축(33)의 일 단부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대향 설치된 구동원판(34, 35)을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3)와; 상기 일 측의 구동원판(35)과 연결되어진 승강 조작용 롯드(41)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승강편(42)과, 이 승강편(42)을 가이드하기 위한 승강 가이드(43)와, 상기 승강편(42)에 대하여 일단부가 핀(44b)으로 유설되고, 타 단부는 구동기어(45)의 축(45a)에 라쳇트 베어링(44c)으로 축설되어 지렛대 작용을 하는 구동레버(44) 및 이 구동레버(44)의 작용으로 소정 반경씩 간헐적으로 회전 조작되는 구동기어(45) 및 종동기어(46)와, 이들 기어(54, 46)의 동력절단기어(451, 461)와 맞물려진 연결기어(47)(48)로 구성되고 각 기어 축(45a, 46a, 47a, 48a)으로 설치된 동력전달구(49a, 49b, 49c, 49d)를 포함하는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와; 상기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각기 회전되면서 절단물을 적재 이송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콘베어벨트(52)와, 하나 이상의 인출판(54)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인출롤(53) 및 상기 콘베어벨트의 축(52a) 및 인출롤 축(54a)으로 설치된 연결구(55a, 55b)를 포함하는 콘베어장치(5)와; 상기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원형절단칼(64, 66)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한 조의 세로절단롤 (63, 65)및 각 롤 축(66a, 66b)으로 각기 설치된 연결구(67a, 67b)를 포함하는 세로절단장치(6) 및; 상기 동력발생장치(3)의 또 다른 구동원판(34)과 연결되어진 승강 조작용 롯드(71)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승강편(72)과, 이 승강편(72)을 경사상으로 안내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의 베이스(2)에 대하여 경사 설치된 승강 가이드(73)와, 상기 승강편(72)에 일단부가 힌지(74)로 유설되고 타 단부로는 제1 고정축(75a)으로 유설된 크랭크(75)에 대하여 제2 고정축(75b)으로 유동 가능하게 경사 설치된 칼 고정대(76) 및 이에 장착된 가로 절단칼(77)을 포함하는 가로절단장치(7)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식품 세단기{Meat dicer machine}
본 발명은 소정의 두께와 폭으로 일차 절단된 우육, 돈육, 조육, 어류와 같은 식육(食肉)은 물론 햄, 치즈, 과물, 야체 등의 각종 식품을 깍두기 형태로 연속 절단하기 위한 식품 세단기(細斷機, 일명 Dicer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물의 절단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면서도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고, 세로절단장치 및 콘베어장치가 각각 세트화되어 분해 조립이 양호한 식품 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식품을 국거리용이나 탕수육, 카레 등의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작은 입방체(주사위 모양)모양으로 가늘게 절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각종 식품을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세단 하는 것은 조리 시간의 지체와 절단 작업의 번거로움을 초래하고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고, 비 숙련자의 경우 식품을 세단 함에 따른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며, 결과물이 균일하지 않아 상품성이 떨어지는 등의 비효율적인 측면이 많다.
특히, 일반 가정의 경우에는 많은 량의 음식을 한꺼번에 조리하는 것이 아니라 수작업도 가능하겠지만, 각종 음식점이나 정육점과 같이 대량의 음식을 신속하게 조리 제공하거나 또는 다량의 식품을 판매해야 되는 경우에는 조리자나 판매자가 식품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세단 한다는 것은 지극히 불합리 점이 많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도 각종 식품을 기계적으로 세단하기 위한 절단((Dicer)기가 고안된 바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90-19695호,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87-3287호 및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 97-53172호를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 출원 고안들은 식품의 세단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또한 대형이며, 매우 고가인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 제안된 세절기들은 주로 야체 절단(세로방향으로만 절단)을 목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식품의 적재 이송 및 절단이 연계되지 않아 투입구를 통해 절단물을 일일이 직접 집어넣어 주어야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용신안공개 제90-19695호는 절단인판과 세로컷터를 이용하여 절단물을 가로 및 세로로 절단하는 것이긴 하나 절단인 판이 단순히 크랭크 롯드에 의해 승강 조작되면서 절단물을 가로 절단하기 때문에 내동 상태의 절단물은 절단이 가능하나 생고기와 같이 어느정도 굳어있지 않은 절단물은 정확한 절단이 되지 못하고 짓 이겨지는 상태로 절단되는 것이어서 정확하고 확실한 절단작업이 진행되지 않으며, 또한 부정확한 절단에 의해 로스가 많이 발생되어 절단 식품의 낭비를 초래하게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종래 고안된 식품 절단기들은 무엇보다도 대형이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되고, 또한 운반 취급이 매우 용이하지 못하다는 설치상의 문제로 인해 보급이 일반화되지 못하고, 특정 업체에서만 제한적으로 구입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면서도 식품의 세단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절단 식품의 이송 및 절단이 연동 조작되며, 가로 절단칼의 경사 승강 조작에 의해 절단물의 절단이 매우 부드럽고 정확한 절단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콘베어장치나 세로절단장치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절단 후 세척 및 보수관리가 매우 간편 용이한 식품 세단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조립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기어 구성을 보인 발췌 측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콘베어장치 연결 구동상태를 보인 조립 정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절단장치의 절단롤 구성을 보인 발췌 측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로절단장치의 원형 절단칼 구동 및 배치 상태를 보인 조립 정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가로 절단칼이 하강된 상태의 발췌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의 가로 절단칼이 상승된 상태의 발췌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원판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세로절단장치 및 콘베어장치의 장착상태 발췌 측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세로절단장치 및 콘베어장치의 장착 상태를 평면에서 보인 평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세단기를 이용한 전단물의 가로 절단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프레임 2: 베이스
3: 동력발생장치 4: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
5: 콘베어장치 6: 세로절단장치
7: 가로절단장치 31: 모터
32: 벨트 33: 구동축
34,35: 구동원판 41, 71: 승강 조작용 롯드
42, 72: 승강편 43, 73: 승강 가이드
44: 구동레버 44b: 핀
44c: 라쳇트 베어링 45: 구동기어
46: 종동기어 451, 461: 동력절단기어
47, 48: 연결기어 45a, 56a, 47a, 48a: 축
49a, 49b, 49c, 49d: 동력 전달구 52: 콘베어벨트
52a, 52b: 콘베어 축 53: 인출롤
54: 인출판 54a: 인출롤 축
55a, 55b: 연결구 63, 65: 세로절단롤
64, 66: 원형 절단칼 64a, 66a: 축
67a, 67b: 연결구 74: 힌지
75: 크랭크 75a, 75b: 제1 및 제2고정축
76: 칼 고정대 77: 가로 절단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프레임내에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하나의 모터와, 벨트로 연결된 구동축 및 상기 모터와 구동축의 일 단부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대향 설치된 구동원판을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와; 상기 일 측의 구동원판과 연결되어진 승강 조작용 롯드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승강편과, 이 승강편을 가이드하기 위한 승강 가이드와, 상기 승강편에 대하여 일단부가 핀으로 유설되고, 타 단부는 구동기어의 축에 라쳇트 베어링으로 축설되어 지렛대 작용을 하는 구동레버 및 이 구동레버의 작용으로 소정 반경씩 간헐적으로 회전 조작되는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와, 이들 기어의 동력절단기어와 맞물려진 연결기어로 구성되고 각 기어 축으로 설치된 동력전달구를 포함하는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와; 상기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각기 회전되면서 절단물을 적재 이송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콘베어벨트와, 하나 이상의 인출판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인출롤 및 상기 콘베어벨트의 축 및 인출롤 축으로 설치된 연결구를 포함하는 콘베어장치와; 상기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원형절단칼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한 조의 세로절단롤 및 각 롤 축으로 각기 설치된 연결구를 포함하는 세로절단장치 및;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또 다른 구동원판과 연결되어진 승강 조작용 롯드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승강편과, 이 승강편을 경사상으로 안내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의 베이스에 대하여 경사 설치된 승강 가이드와, 상기 승강편에 일단부가 힌지로 유설되고 타 단부로는 제1고정축으로 유설된 크랭크에 대하여 제2고정축으로 유동 가능하게 경사 설치된 칼 고정대 및 이에 장착된 가로 절단칼을 포함하는 가로절단장치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세단기의 세단 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로서, 프레임(1)의 상단으로는 본 발명의 각 장치들이 안착 고정되는 베이스(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2)로는 동력발생장치(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기어장치(4)가 일 측으로 위치되고, 이 기어장치(4)와 연계 동작되는 콘베어장치(5) 및 세로절단장치(6)가 순차 배열되고, 상기 세로절단장치(6)의 선단부로는 가로절단장치(7)가 각각 연동 조작 가능하게 착탈 자재된다.
동력발생장치(3)는 이후 설명될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 및 가로절단장치(7)를 동시에 회전 및 승강 조작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프레임(1)에 설치된 하나의 모터(31)와, 벨트(32)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진 구동축(33) 및 모터(31)와 구동축(33)의 일 측으로 각기 대응되게 설치된 구동원판(34)(35)으로 이루어져 있다.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판(35)과의 사이로 유설된 승강 조작용 롯드(41)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승강편(42)과, 이 승강편(41)이 수직적으로 안내 이동되는 승강 가이드(43)와, 상기 승강편(42)에 대하여 유동공간(44a)으로 끼워진 핀(44b)으로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유설되고, 타 단부는 구동기어(45)의 축(45a)에 라쳇트 베어링(44c)으로 축설되어 구동기어(45)를 일 방향으로만 소정 반경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레버(44)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레버(44)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45)로는 종동기어46)가 축(46a)을 중심으로 상호 치합되어 있고, 각 구동 및 종동기어(45, 46)의 동 축상으로는 동력절단기어(451, 461)가 각각 연결기어(47)(48)가 축(47a)(48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치합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기어(45,46,47,48)의 축(45a, 46a,47a,48a)으로는 도1과 같이 각 기어의 회전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구(49a, 49b, 49c, 49d)가 각각 기어박스(4a)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베어장치(5)는 틀체(51)에 대하여 양 단부가 각기 축(52a, 52b)을 중심으로 긴장 설치된 콘베어벨트(52)와, 상기 배출단부의 축(52a)에 걸어지고 콘베어벨트(52)와 약간 이격되게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절단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하나의 인출롤(53)을 포함하는 바, 이 인출롤(53)은 외주면으로 절단물을 물고 배출시키기 위한 소정 형태의 침편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인출판(54)이 축(54a)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콘베어벨트(52)의 일 측 축(52a)과, 인출롤(54)의 축(54a)으로는 연결구(55a, 55b)가 각각 틀체(51)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콘베어장치(5)는 도4와 같이 콘베어벨트(52)와 인출롤(53)의 각 축(52a, 54a)에 형성된 연결구(55a, 55b)가 전술한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의 각 동력전달구(49a, 49b)와 상호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절단물의 인출 방향으로 상호 회전되어 지는 것이다.
세로절단장치(6)는 콘베어벨트(52)를 타고 이송 배출되는 절단물을 세로로 절단하기 위하여 틀체(61)내에 상하로 배치된 한 조의 세로절단롤(63)(65)을 포함하는 바, 각 세로절단롤(63)(65)은 외주면으로 예리한 날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원형 절단칼(64)(66)이 축(64a)(66a)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는데 이 때 각 원형 절단칼(64, 66)은 그 외주면의 날부가 상호 중첩되어지게 설치되어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절단물을 세절하게 되는 것이며, 각 축(64a, 66a)으로는 연결구(67a, 67b)가 틀체(61)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고정 설치되어 지고, 배출단부로는 절단대(68)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세로절단장치(6)의 각 세로절단롤(63, 65)의 각 원형 절단칼(64, 66)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의 외주면으로 반구형이나 그 이외의 형태를 갖는 요철(641, 661)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절단물의 절단시 상호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세로절단롤(63)(65)의 절단 중첩부로는 각 원형 절단칼(64a, 66a)의 중첩부에서 절단되는 절단물의 안정적인 절단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안전 가이드 판(69)이 각각 대응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절단장치(6)의 각 세로절단롤(63, 65)은 도6과 같이 각 축(64a,66a)으로 설치된 연결구(67a, 67b)가 전술한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의 각 동력전달구(49c, 49d)와 상호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절단물의 배출 방향으로 상호 회전되어 지는 것이며, 한 조의 안전 가이드 판(68)에 의해 절단물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절단되는 것이다.
다시 도1을 참조하여 가로절단장치(7)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가로절단장치(7)는 세로절단장치(6)에서 세로로 절단된 절단물을 깍두기 모양으로 가로 절단하기 위한 것인 바, 이는 동력발생장치(3)의 구동원판(34)과의 사이에 승강 조작용 롯드(71)가 유설된 승강편(72)과, 이 승강편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승강 가이드(73)와, 상기 승강편(72)에 일단부가 힌지(74)로 결합되고, 타 단부는 제1 및 제2고정축(75a, 75b)으로 유설된 크랭크(75)에 대하여 경사지게 유설되어 작두질과 같은 형태로 경사 승강 조작되는 칼 고정대(76)와, 이에 고정 설치된 가로 절단칼(77)로 구성되어 진다.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판(34)(35)은 각 승강 조작용 롯드(41)(71)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각 구멍(341, 351)이 중심 센트에 대하여 그 원주길이를 달리하여 필요시 각 기어의 회전속도나 가로 절단칼(77)의 승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승강 조작용 롯드(41)(71)의 길이는 같으나, 이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위치는 각 구멍(341)(351)의 원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기어 속도비나 가로 절단칼(77)의 승강 조작 거리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도10 및 도11과 같이 콘베어장치(5)와 세로절단장치(6)는 베이스(2)의 이동 저지편(81, 82)에 의해 안착 고정되는 바, 먼저 세로절단장치(6)를 도10과 같이 그선단부가 이동 저지편(81)에 받침되는 상태로 그 일 측으로 콘베어장치(5)를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면, 이 때 콘베어장치(5)의 틀체(51) 하단으로 설치된 받침편(56)의 일측이 이동 저지편(82)의 내 측으로 상호 걸려지며, 이 받침편(56)의 양단을 도11과 같이 고정구(83)로 조임하여 줌으로서 안착 고정되는 것이다.
도면상 미 설명 부로 90은 깍두기 형태로 절단된 절단물을 집수용기(91)에 낙하시키기 위한 유도편이고, 92는 각종 스위치가 설치된 콘트롤 박스이며, 100은 각 장치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콘베어장치(5)와 세로절단장치(6)의 조립상태를 우선 설명하면, 도1과 같이 베이스(2)의 가로절단장치(7) 부위로 분리 상태에 있는 세로절단장치(6)를 위치시켜 이에 형성된 각 연결구(55a, 55b)가 도6과 같이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로 대응되게 형성된 각 동력전달구(49c, 49d)에 각각 연결되도록 장착하며, 그 다음 콘베어장치(5)를 순차적으로 위치시키되, 이 역시 이에 형성된 연결구(67a, 67b)가 도4와 같이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로 대응되게 형성된 각 동력전달구(49a, 49b)에 각각 연결되도록 장착한 다음 고정구(83)로 받침편(56)을 압착 고정하여 주면 이들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콘베어장치(5)와 세로절단장치(6)는 조립시 베이스(2)의 각 이동 저지편(81, 82)에 의해 도10 및 도11과 같이 상호 걸림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이동이 확실하게 저지되어 진다. 그런 다음 각 장치들(4, 5, 6, 7)중 콘베어벨트(52)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커버(100)를 장착 고정하여 준다.
상기한 상태로 콘베어장치(5)와 세로절단장치(6)의 조립이 도2와 같이 완료된다음 작업자가 콘트롤 박스(92)의 온 오프 스위치를 조작하여 준다. 그러면 이 때 동력발생장치(3)의 구동모터(31)의 회전에 의해 이의 일 측으로 설치된 구동원판(34)이 소정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동시에 벨트(32)로 연결된 구동축(33)의 구동원판(35)이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게되는 바, 이하에서는 먼저 구동원판(35)에 의한 콘베어장치(5)와 세로절단장치(6)의 동력절단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다음에 가로절단장치(7)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판(35)의 구동에 의해 이에 일단부가 유설된 승강 조작용 롯드(41)가 승강 조작되는 것에 의해 이의 타 단부가 유설된 승강편(42)이 승강 가이드(43)를 중심으로 상하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승강편(42)에 핀(44b)으로 유설된 구동레버(44)가 지렛대 작용을 하면서 타 단부의 라쳇트 베어링(44c)으로 축설된 구동기어(45)의 축(45a)을 시계방향으로 소정 반경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 구동기어(45)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46)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또한 구동기어(45) 및 종동기어(46)의 동력전달기어(451, 461)에 물려있는 연결기어(47)(48)가 각각 시계 및 반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각 기어(45, 46, 47, 48)들의 회전에 의해 동 축(45a, 46a, 47a, 48)에 설치된 동력전달구(49a, 49b, 49c, 49d)가 각각 회전하게되고 동시에 이와 맞물려있는 콘베어장치(5)의 연결구(55a, 55b)와 세로절단장치(6)의 연결구(67a, 67b)가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 축(52a, 54a)상의 콘베어벨트(52)와 인출판(54)이 구비된 인출롤(53)을 회전시키게되며, 또한 동 축(64a, 66a)상으로다수의 원형 절단칼(64, 66)이 구비된 세로절단롤(63, 65)을 각각 회전시키게된다.
따라서 도2와 같이 콘베어벨트(52)에 올려진 절단물은 절단방향으로 서서히 이송되어지면서 인출롤(53)에 의해 세로절단장치(6)의 각 세로절단롤(63, 65)사이의 안전 가이드 판(69)을 통과하면서 이들 사이에 중첩된 원형 절단칼(64, 66)에 의해 세로로 일차 절단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세로로 절단되는 절단물의 세절 폭은 각 세로절단롤(63, 65)의 원형 절단칼(64, 66)의 설치 간격을 상호 조절하여 줌으로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세로절단장치(6)의 세로절단롤(63, 65)에 의해 세로로 절단된 절단물은 다시 칼 고정대(76)의 가로 절단칼(77)에 의해 이차적으로 가로로 절단되는 바, 이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판(34)의 회전에 의해 승강 조작용 롯드(71)가 승강 조작되는 것에 의해 승강편(72)이 경사 설치된 승강 가이드(73)를 중심으로 경사 승강 되어짐에 따라 상기 승강편(72)에 일 단부가 힌지(74)로 고정된 칼 고정대(76)가 타 단부의 제1 및 제2고정축(75a, 75b)으로 유설된 크랭크(75) 동작에 의해 세로절단장치(6)의 칼 고정대(76)에 대하여 가로 절단칼(77)이 작두질 형태로 경사 이동 조작하면서 절단물을 깍두기 모양으로 재차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12와 같이 가로절단장치(7)의 칼 고정대(76)는 이의 일단부가 경사 이동되는 승강편(72)에 힌지(74)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타 단부는 제1고정축(75a)으로 고정된 크랭크(75)에 대하여 제2고정축(75b)으로 유설되어 있기 때문에 가로 절단칼(77)은 절단물의 절단시 승강편(72)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실선과 같은 상태로 위치되나, 하강시에는 하부로 내려올수록 승강 가이드(73)가 베이스(2)에 대하여 하향 경사져 있음에 따라 그 타 단부는 승강편(72)의 경사 이동각 만큼 크랭크(75)가 제1고정축(75a)을 중심으로 제2고정축(75b)에 의해 이점쇄선과 같이 약간 후퇴 조작되면서 절단하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로 절단칼(77)은 단순히 일 지점을 중심으로 작두질되는 것이 아니라 제1고정축(75a)을 중심으로 제2고정축(75b) 부분이 이동 조작되는 크랭크(75)와, 경사 이동되는 승강편(72)에 의해 경사상으로 승강 조작되어지면서 절단되기 때문에 절단 작업이 매우 부드럽게 진행되는 것이어서 냉동 및 냉장육 또는 생고기의 구분 없이 절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로절단장치(7)에 의해 가로로 절단된 절단물은 유도편(90)에 가이드 되어 집수용기(91)로 모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동작으로 콘베어장치(5)의 콘베어벨트(52)를 타고 이송되는 절단물이 세로절단장치(6) 및 가로절단장치(7)에 의해 세로 및 가로로 순차 절단되어지는 것이며, 절단물의 이송 속도 및 절단 속도는 구동원판(34, 35)에 원주를 달리 형성한 구멍(341, 351)에 각 승강 조작용 롯드(41, 71)을 각각 조절 설치하여 줌으로서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절단물의 절단 작업이 완료되어 각 장치들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커버(100)를 제거시킨 다음 콘베어장치(5)의 고정구(83)를 조작하여 받침편(56)으로부터 조임력을 해제하고 콘베어장치(5)의 연결구(55a, 55b)를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의 동력전달구(49a, 49b)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로 분리해내고, 그 다음으로 세로절단장치(6)의 연결구(67a, 67b)를 해당 동력전달구(49c, 49d)로부터 분리해 내면 간편하게 각 장치들이 세트단위로 분해되는 것이어서 세척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로 절단된 절단물을 경사상으로 승강 조작되는 가로 절단칼에 의한 절단물의 가로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특정의 절단물에 구애됨 없이 절단작업이 매우 부드럽고 정확하며, 또한 세트화 된 각 장치들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세척 및 유지보수 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5)

  1. 프레임(1)내에 장착되고,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하나의 모터(31)와, 벨트(32)로 연결된 구동축(33) 및 상기 모터(31)와 구동축(33)의 일 단부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대향 설치된 구동원판(34, 35)을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3)와;
    상기 일 측의 구동원판(35)과 연결되어진 승강 조작용 롯드(41)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승강편(42)과, 이 승강편(42)을 가이드하기 위한 승강 가이드(43)와, 상기 승강편(42)에 대하여 일단부가 핀(44b)으로 유설되고, 타 단부는 구동기어(45)의 축(45a)에 라쳇트 베어링(44c)으로 축설되어 지렛대 작용을 하는 구동레버(44) 및 이 구동레버(44)의 작용으로 소정 반경씩 간헐적으로 회전 조작되는 구동기어(45) 및 종동기어(46)와, 이들 기어(54, 46)의 동력절단기어(451, 461)와 맞물려진 연결기어(47)(48)로 구성되고 각 기어 축(45a, 46a, 47a, 48a)으로 설치된 동력전달구(49a, 49b, 49c, 49d)를 포함하는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와;
    상기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각기 회전되면서 절단물을 적재 이송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콘베어벨트(52)와, 하나 이상의 인출판(54)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인출롤(53) 및 상기 콘베어벨트의 축(52a) 및 인출롤 축(54a)으로 설치된 연결구(55a, 55b)를 포함하는 콘베어장치(5)와;
    상기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원형절단칼(64, 66)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한 조의 세로절단롤(63, 65)및 각 롤 축(66a, 66b)으로 각기 설치된 연결구(67a, 67b)를 포함하는 세로절단장치(6) 및;
    상기 동력발생장치(3)의 또 다른 구동원판(34)과 연결되어진 승강 조작용 롯드(71)에 의해 승강 조작되는 승강편(72)과, 이 승강편(72)을 경사상으로 안내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의 베이스(2)에 대하여 경사 설치된 승강 가이드(73)와, 상기 승강편(72)에 일단부가 힌지(74)로 유설되고 타 단부로는 제1고정축(75a)으로 유설된 크랭크(75)에 대하여 제2고정축(75b)으로 유동 가능하게 경사 설치된 칼 고정대(76) 및 이에 장착된 가로 절단칼(77)을 포함하는 가로절단장치(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세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어장치(5) 및 세로절단장치(6)는 상기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에 대하여 각각 착탈 자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세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베어장치(5) 및 세로절단장치(6)는 상기 프레임(1)의 베이스(2)에 설치된 이동 저지편(81, 82)에 각각 걸림 됨과 동시에 상기 콘베어장치(5)로는 받침편(56)을 더 형성하고 이를 고정구(83)로 조임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세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절단롤(63, 65)의 각 중첩부로는 절단물의 안정적인 절단 이송을 위한 안전 가이드 판(69)이 대응되게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식품 세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판(34, 35)으로는 원주길이를 달리하는 구멍(341, 351)을 더 형성하여 승강 조작용 롯드(41, 71)의 일 단부를 각각 선택 고정하여 콘베어 및 세로절단롤 회전장치(4)의 구동기어(45)의 회전 속도 및 가로 절단칼(77)의 승강 조작 거리가 각기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세단기.
KR1020010028381A 2001-05-23 2001-05-23 식품 세단기 KR20020089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381A KR20020089714A (ko) 2001-05-23 2001-05-23 식품 세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381A KR20020089714A (ko) 2001-05-23 2001-05-23 식품 세단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160U Division KR200243902Y1 (ko) 2001-05-23 2001-05-23 식품 세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714A true KR20020089714A (ko) 2002-11-30

Family

ID=2770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381A KR20020089714A (ko) 2001-05-23 2001-05-23 식품 세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97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907B1 (ko) * 2010-01-15 2012-06-25 이명수 약재 절단장치
CN106378815A (zh) * 2016-09-29 2017-02-08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蔬果切丁机
KR20180051759A (ko) * 2016-11-09 2018-05-17 김민성 꼬치 꼬챙이 절단기
CN116922557A (zh) * 2023-09-14 2023-10-24 泰山石膏(忻州)有限公司 石膏板成型皮带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907B1 (ko) * 2010-01-15 2012-06-25 이명수 약재 절단장치
CN106378815A (zh) * 2016-09-29 2017-02-08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蔬果切丁机
KR20180051759A (ko) * 2016-11-09 2018-05-17 김민성 꼬치 꼬챙이 절단기
CN116922557A (zh) * 2023-09-14 2023-10-24 泰山石膏(忻州)有限公司 石膏板成型皮带机
CN116922557B (zh) * 2023-09-14 2023-12-12 泰山石膏(忻州)有限公司 石膏板成型皮带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700B1 (ko) 고기 세절기
KR200243902Y1 (ko) 식품 세단기
US4817245A (en) Meat saw and method of processing meat
KR20020089714A (ko) 식품 세단기
JP3174223U (ja) 食品切断装置
JP3597804B2 (ja) 食品細断装置
KR100726211B1 (ko) 냉장육 다이서
CN212553949U (zh) 一种萝卜切条设备
KR100455407B1 (ko) 고기 절단장치
US3965535A (en) Poultry leg boning machine
CN101716774B (zh) 自动食品切片切丝机
US3010497A (en) Potato slicing machine
US354890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mixed subdivided food material
US2886845A (en) Meat tenderizer
KR102387801B1 (ko) 대파 절단장치
KR200322068Y1 (ko) 다이서의 절단칼 어셈블리
KR200250125Y1 (ko) 식품 세단기
CN210452860U (zh) 一种电动式叶菜类切条机
KR200322263Y1 (ko) 다이서의 냉동육 압지장치
KR101759986B1 (ko)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KR200242105Y1 (ko) 식품 세단기
KR20050031134A (ko) 다이서
KR200354640Y1 (ko) 생선뼈와 생선살 분리장치
CN205995578U (zh) 一种螺旋式绞肉机
CN220458466U (zh) 一种带式禽类切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