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759A - 꼬치 꼬챙이 절단기 - Google Patents

꼬치 꼬챙이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759A
KR20180051759A KR1020160148473A KR20160148473A KR20180051759A KR 20180051759 A KR20180051759 A KR 20180051759A KR 1020160148473 A KR1020160148473 A KR 1020160148473A KR 20160148473 A KR20160148473 A KR 20160148473A KR 20180051759 A KR20180051759 A KR 20180051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finishing
housing
operation chamber
finish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212B1 (ko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김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성 filed Critical 김민성
Priority to KR102016014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2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3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3Rack-and-pin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4Crank and pi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꼬치 꼬챙이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꼬챙이에 꽂혀진 꼬치를 앞쪽에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입으로 순차적으로 뽑아 먹은 다음, 꼬치가 뽑혀진 꼬지를 절단기에 넣어 절단하여 전체적인 길이를 줄이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입 주위에 꼬치 양념이 전혀 묻지 않고, 옷이나 신체 일부로 양념이 튀지 않아 위생적으로 우수할 뿐만 아니라, 깔끔하게 섭취 가능하여 식욕을 돋구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꼬치 꼬챙이 절단기{skewered food stick cutter}
본 발명은 꼬치 꼬챙이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꼬챙이에 꽂혀진 꼬치를 앞쪽에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입으로 순차적으로 뽑아 먹은 다음, 꼬치가 뽑힌 꼬지를 절단기에 넣어 절단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입 주위에 꼬치 양념이 묻지 않아 섭취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구이는 작은 덩어리로 자른 꼬치(고기)를 대나무로 이루어진 꼬챙이에 끼운 상태로 갖은 양념을 하여 구워 먹는 조리방식으로, 가정에서는 제사 음식으로 육류와 야채 등의 다양한 음식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끼워 사용하고, 상업적(길거리 먹거리)으로 많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꼬치구이용 막대는 대부분 대나무 재질로 형성되고, 일자형으로 형성된 막대로 다수개의 꼬치를 연속하여 인접되도록 끼워 사용하게 되는데, 구울 때는 다수개의 꼬치를 집약적으로 구울 수 있어 요리가 간편하나, 먹을 때에는 막대의 한쪽 선단을 손으로 잡고 다른 쪽 선단으로 꼬치를 입으로 물어 하나씩 빼먹게 되므로 양쪽 선단에서 먼 거리에 끼워져 있는 꼬치는 접근이 어려워 먹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칫 입안이 찔리기도 하는 위험이 있었고, 손을 사용하여 꼬치를 앞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 등록번호 20-0329787(고안의 명칭: 꼬치 꼬챙이기구)호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지지대의 외측에 연장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고, 꼬치를 끼워 지지하는 복수개의 꼬챙이봉이 지지대에 대하여 예각의 결합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지대와 꼬챙이봉을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지지대에 대하여 예각을 유지하여 결합된 꼬지봉에 꼬치가 끼워지게 되어 사용자가 입이나 혀를 사용하여 꼬치를 뽑아 먹을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먹고 난 꼬지봉에 사용자의 입이 찔릴 위험성이 있고, 꼬치가 꼬지봉에 돌출되게 끼워져 있으나, 이 또한 사용자의 입 주위와 옷 등에 꼬치의 양념이 묻거나 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니퍼(전선을 절단하는 공구) 등을 사용하여 꼬지봉을 절단하였으나, 이는 사용자가 잘못 사용시 양념이 튀게 되는 문제점과 미관성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꼬챙이에 꽂혀진 꼬치를 앞쪽에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입으로 순차적으로 뽑아 먹은 다음, 꼬치가 뽑힌 꼬지를 절단기에 넣어 절단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입 주위에 꼬치 양념이 묻지 않아 위생적이고, 섭취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꼬치 꼬챙이 절단기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사각을 유지하여 조립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앙 영역과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된 보강마감대 및 상단마감판과; 상기 보강마감대 및 상단마감판 사이의 사각프레임 전,후방 및 좌,우측방에 전,후방마감판 및 좌,우측마감판으로 마감되어 하부동작실이 형성된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단마감판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내부에 상부동작실이 구비되고, 상부에 개폐 가능하고 잠금수단으로써 잠금이 유지되는 커버가 구비된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작동실과 상부하우징의 상부작동실 사이 영역에 구비되어 꼬치 꼬챙이를 절단하기 위한 꼬치꼬챙이 절단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꼬챙이에 꽂혀진 꼬치를 앞쪽에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입으로 순차적으로 뽑아 먹은 다음, 꼬치가 뽑힌 꼬지를 절단기에 넣어 절단하여 전체적인 길이를 줄이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입 주위에 꼬치 양념이 전혀 묻지 않고, 옷이나 신체 일부로 양념이 튀지 않아 위생적으로 우수할 뿐만 아니라, 깔끔하게 섭취가 가능하여 식욕을 돋구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꼬치 꼬챙이 절단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 및 도 5 본 발명에 따른 꼬치 꼬챙이 정면 및 측면 구성도.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꼬치 꼬챙이 절단기의 동작상태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꼬치 꼬챙이 절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9a,9b는 도 7의 동작상태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꼬치 꼬챙이 절단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 본 발명에 따른 꼬치 꼬챙이 정면 및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꼬치 꼬챙이 절단기는
사각을 유지하여 조립 유지되어 하단이 바닥면에 일치되는 수직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10)의 중앙 영역과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된 보강마감대(21) 및 상단마감판(22)과, 보강마감대(21) 및 상단마감판(22) 사이의 사각프레임(10) 전,후방 및 좌,우측방에 전,후방마감판(23)(24) 및 좌,우측마감판(25)(26)으로 마감되어 하부동작실(20a)이 형성된 하부하우징(20)과; 하부하우징(20)의 상단마감판(22)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내부에 상부동작실(30a)이 구비되고, 상부에 커버(40)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상부하우징(30)과; 하부하우징(20)의 하부작동실(20a)과 상부하우징(30)의 상부작동실(30a) 사이 영역에 구비되어 꼬치 꼬챙이(1)를 절단하기 위한 꼬치꼬챙이 절단장치(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하우징(3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상단마감판(22) 상부에 나사 체결되고, 상부에 힌지(32)로써 개폐 가능하고 잠금수단(50)으로써 잠금이 유지되어 커버(40)가 구비되어 상부하우징(30)의 상부작동실(30a)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잠금수단(50)은 커버(40)의 전면에 고정된 걸림고리(52)와; 상부하우징(30)의 전면에 고정된 고정체(54)와, 고정체(54)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앙 영역에 걸림고리(52)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되는 잠금 고리(55)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회동체(56)로 이루어진 클램프(57)로 이루어진다.
상기 꼬치꼬챙이 절단장치(60)는 하부작동실(20a)의 보강마감대(21) 상부와 수직프레임(20) 영역에 보강브라켓(61)으로써 장착된 솔레노이드(62)와; 솔레노이드(62)의 가동로드(62c) 상단에 하단이 하부회동핀(6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영역이 상단마감판(22)에 형성된 회동장공(22a)을 통하여 상부작동실(20a)로 돌출된 작동링크(64)와; 작동링크(64) 상단에 일측이 가동회동핀(65)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부작동실(30a)에 고정회동핀(66)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절단칼날(68)과; 상부하우징(30)의 전면에 관통 형성되어 꼬치 꼬챙이(1)가 삽입되는 꼬챙이삽입공(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회동핀(63)과 상단마감판(22) 사이에는 한 쌍의 지지스프링(72)이 연결되어 작동링크(64)의 상,하 직선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62)는 보강마감대(21) 상부와 수직프레임(20) 영역에 보강브라켓(61)으로써 장착되고, 내부에 코일(62b)이 감겨진 가동철심(62a)과; 가동철심(62a)과 코일(62b)을 상하부로 통과하여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가동로드(62c)로 이루어지고, 상용되는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단마감판(22)과 좌측마감판(25) 사이에는 절단칼날(68)에 의해 절단된 꼬치 꼬챙이(1)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가이드(74)가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러한 배출가이드(74)는 상단이 상단마감판(22)의 사각통공(22b)과 연통되고, 하단이 좌측마감판(25) 사이를 경사지게 관통되게 구비된다.
한편, 하부하우징(30) 하부 영역의 수직프레임(10) 상에는 꼬치꼬챙이 절단장치(60)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62)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판넬(76)이 구비되고, 이 조작 판넬(76)에는 유선으로 페달스위치(77)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발로써 솔레노이드(62)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62) 하부의 수직프레임(10) 상에는 솔레노이드(60)의 가동로드(62c)가 하부로 이동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80)가 구비된다.
이러한 완충부재(80)는 수직프레임(10) 하단에 구비되고, 전후방이 개방된 브라켓(82)과; 브라켓(82) 상부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부에 완충스프링(84)이 구비된 완충봉(85)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꼬치 꼬챙이 절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단면 구성도이며, 도 9a,9b는 도 7의 동작상태 단면 구성도이다. 이는 도 1 내지 도 5의 다른 실시예로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꼬치 꼬챙이 절단기는 사각을 유지하여 조립 유지되어 하단이 바닥면에 밀착되는 수직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10)의 중앙 영역과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된 보강마감대(21) 및 상단마감판(22)과, 보강마감대(21) 및 상단마감판(22) 사이의 사각프레임(10) 전,후방 및 좌,우측방에 전,후방마감판(23)(24) 및 좌,우측마감판(25)(26)으로 마감되어 하부동작실(20a)이 형성된 하부하우징(20)과; 하부하우징(20)의 상단마감판(22)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내부에 상부동작실(30a)이 구비되고, 상부에 커버(40)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상부하우징(30)과; 하부하우징(20)의 하부작동실(20a)과 상부하우징(30)의 상부작동실(30a) 사이 영역에 구비되어 꼬치 꼬챙이(1)를 절단하기 위한 꼬치꼬챙이 절단장치(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하우징(3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상단마감판(22) 상부에 나사 체결되고, 상부에 힌지(32)로써 개폐 가능하고 잠금수단(50)으로써 잠금이 유지되어 커버(40)가 구비되어 상부하우징(30)의 상부작동실(30a)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잠금수단(50)은 커버(40)의 전면에 고정된 걸림고리(52)와; 상부하우징(30)의 전면에 고정된 고정체(54)와, 고정체(54)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앙 영역에 걸림고리(52)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되는 잠금 고리(55)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회동체(56)로 이루어진 클램프(57)로 이루어진다.
상기 꼬치꼬챙이 절단장치(100)는 하부작동실(20a)의 보강마감대(21) 하단에 장착된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110)와; 구동모터(110)의 모터축(11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보강마감대(21) 상부에 장착된 기어박스(121)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베벨기어(120)와; 하부베벨기어(120)와 수직으로 치합되고, 기어박스(121) 내부에 수평축(131)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상부베벨기어(130)와; 상부베벨기어(130)의 수평축(131)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피니언(140)과; 하부가 피니언(140)에 치합되고, 상부에 상단마감판(22)의 회동장공(22a)을 통하여 상부작동실(20a)로 돌출된 작동링크(151)가 구비된 랙 기어(150)와; 작동링크(151) 상단에 일측이 가동회동핀(16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부작동실(30a)에 고정회동핀(162)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절단칼날(160)과; 상부하우징(30)의 전면에 관통 형성되어 꼬치 꼬챙이(1)가 삽입되는 꼬챙이삽입공(17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단마감판(22)과 좌측마감판(25) 사이에는 절단칼날(160)에 의해 절단된 꼬치 꼬챙이(1)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가이드(190)가 경사지게 구비된다.
한편, 하부하우징(30) 하부 영역의 수직프레임(10) 상에는 꼬치꼬챙이 절단장치(10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판넬(200)이 구비되고, 이 조작 판넬(200)에는 유선으로 페달스위치(21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발로써 구동모터(12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꼬치꼬챙이 절단기에 대한 동작상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도 6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꼬치 꼬챙이(1)의 꼬치를 뽑아 섭취한 다음, 꼬치가 분리된 꼬치 꼬챙이(1)를, 상부하우징(30)의 꼬챙이삽입공(70)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작판넬(76)에 유선으로 연결된 페달스위치(77)를 사용자가 밟게 되면, 솔레노이드(62)의 코일(62b)에 전원이 공급되어, 솔레노이드(62)를 구성하는 가동로드(62c)가 가동철심(62a)과 코일(62b)을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로드(62c) 상단에 하단이 하부회동핀(6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단마감판(22)에 형성된 회동장공(22a)을 통하여 상부작동실(20a)로 돌출된 작동링크(64)가 하방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고, 하부회동핀(63)과 상단마감판(22) 사이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스프링(72)이 늘어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작동링크(64) 상단에 일측이 가동회동핀(65)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절단칼날(68)이 가동회동핀(65)과 고정회동핀(66)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에 따라 꼬치 꼬챙이(1)를 절단하게 되어 하방으로 떨어져 상단이 상단마감판(22)과 연통 되고, 하단이 좌측마감판(25) 사이를 경사지게 관통되게 구비된 배출가이드(74)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별도로 처리된다.
이후, 페달스위치(77)에 발을 떼면, 솔레노이드(62)의 코일(62b)에 전원이 차단되어, 솔레노이드(62)를 구성하는 가동로드(62c)가 가동철심(62a)과 코일(62b)을 통과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작동링크(64)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작동링크(64)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절단칼날(68)이 가동회동핀(65)과 고정회동핀(6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절단위치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때, 하부회동핀(63)과 상단마감판(22) 사이에 연결되고, 늘어난 한 쌍의 지지스프링(72)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30) 내부의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커버(40)와 상부하우징(30) 전면 사이에 구비된 고정된 잠금수단(50)을 해제하고, 커버(40)를 힌지(32)를 중심으로 개방한 다음, 상부하우징(30) 내부의 상부작동실(30a)을 청소하게 되고, 청소후에는 잠금수단(50)으로써 잠금을 유지하여 상부하우징(30)의 상부작동실(30a)을 은폐하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꼬치 꼬챙이 절단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도 9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꼬치 꼬챙이(1)의 꼬치를 뽑아 섭취한 다음, 꼬치가 분리된 꼬치 꼬챙이(1)를, 상부하우징(30)의 꼬챙이삽입공(170)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작판넬(200)에 유선으로 연결된 페달스위치(210)를 사용자가 밟게 되면, 구동모터(110)가 역회전하게 되어, 기어박스(121) 하부의 하부베벨기어(120)와 상부베벨기어(130)가 역회전하게 되고, 상부베벨기어(130)와 수평축(131)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피니언(140)이 역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랙 기어(150)가 피니언(14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랙 기어(150) 상단의 작동링크(151) 상단에 일측이 가동회동핀(16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절단칼날(160)이 가동회동핀(161)과 고정회동핀(162)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에 따라 꼬치 꼬챙이(1)를 절단하게 되어 하방으로 떨어져 상단이 상단마감판(22)과 연통 되고, 하단이 좌측마감판(25) 사이를 경사지게 관통되게 구비된 배출가이드(19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별도로 처리된다.
이후, 페달스위치(210)에 발을 떼면, 구동모터(110)가 정회전하게 되어, 기어박스(121) 하부의 하부베벨기어(120)와 상부베벨기어(130)가 정회전하게 되고, 상부베벨기어(130)와 수평축(131)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피니언(140)이 정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랙 기어(150)가 피니언(140)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랙 기어(150) 상단의 작동링크(151) 상단에 일측이 가동회동핀(16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절단칼날(160)이 가동회동핀(161)과 고정회동핀(16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에 따라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꼬치 꼬챙이 절단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수직프레임 20 : 하부하우징
20a : 하부작동실 21 : 보강마감대
22 : 상단마감판 22a : 회동장공
23,24 : 전,후방마감판 25,26 : 좌,우측마감판
30 : 상부하우징 30a : 상부작동실
40 : 커버 50 : 잠금수단
60,100 : 꼬치꼬챙이 절단장치 61 : 보강브라켓
62 : 솔레노이드 62c : 가동로드
63 : 하부회동핀 64,151 : 작동링크
65,161 : 가동회동핀 66,162 : 고정회동핀
68,160 : 절단칼날 70,170 : 꼬챙이삽입공
72 : 지지스프링 74,190 : 배출가이드
80 : 완충부재 82 : 브라켓
84 : 완충스프링 85 : 완충봉
110 : 구동모터 111 : 모터축
120 : 하부베벨기어 121 : 기어박스
130 : 상부베벨기어 131 : 수평축
140 : 피니언 150 : 랙 기어

Claims (6)

  1. 사각을 유지하여 조립되는 수직프레임(10);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중앙 영역과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된 보강마감대(21) 및 상단마감판(22)과; 상기 보강마감대(21) 및 상단마감판(22) 사이의 사각프레임(10) 전,후방 및 좌,우측방에 전,후방마감판(23)(24) 및 좌,우측마감판(25)(26)으로 마감되어 하부동작실(20a)이 형성된 하부하우징(20);
    상기 하부하우징(20)의 상단마감판(22)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내부에 상부동작실(30a)이 구비되고, 상부에 개폐 가능하고 잠금수단(50)으로써 잠금이 유지되는 커버(40)가 구비된 상부하우징(30); 및
    상기 하부하우징(20)의 하부작동실(20a)과 상부하우징(30)의 상부작동실(30a) 사이 영역에 구비되어 꼬치 꼬챙이(1)를 절단하기 위한 꼬치꼬챙이 절단장치(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꼬챙이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치꼬챙이 절단장치(60)는
    상기 하부작동실(20a)의 보강마감대(21) 상부와 수직프레임(20) 영역에 보강브라켓(61)으로써 장착된 솔레노이드(62)와;
    상기 솔레노이드(62)의 가동로드(62c) 상단에 하단이 하부회동핀(6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단마감판(22)에 형성된 회동장공(22a)을 통하여 상부작동실(20a)로 돌출된 작동링크(64)와;
    상기 작동링크(64) 상단에 일측이 가동회동핀(65)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부작동실(30a)에 고정회동핀(66)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절단칼날(68)과;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전면에 관통 형성되어 꼬치 꼬챙이(1)가 삽입되는 꼬챙이삽입공(70)과;
    상기 하부회동핀(63)과 상단마감판(22)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링크(64)의 상,하 직선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지지스프링(7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꼬챙이 절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마감판(22)과 좌측마감판(25) 사이에 상기 절단칼날(68)에 의해 절단된 꼬치 꼬챙이(1)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가이드(74)가 경사지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꼬챙이 절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62) 하부의 수직프레임(10) 상에 솔레노이드(60)의 가동로드(62c)가 하부로 이동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80)를 구비하되,
    상기 완충부재(80)는 상기 수직프레임(10) 하단에 구비되고, 전후방이 개방된 브라켓(82)과;
    상기 브라켓(82) 상부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부에 완충스프링(84)이 구비된 완충봉(8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꼬챙이 절단기.
  5. 사각을 유지하여 조립 유지되어 하단이 바닥면에 일치되는 수직프레임(10);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중앙 영역과 상단에 수평으로 마감된 보강마감대(21) 및 상단마감판(22)과, 상기 보강마감대(21) 및 상단마감판(22) 사이의 사각프레임(10) 전,후방 및 좌,우측방에 전,후방마감판(23)(24) 및 좌,우측마감판(25)(26)으로 마감되어 하부동작실(20a)이 형성된 하부하우징(20);
    상기 하부하우징(20)의 상단마감판(22)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내부에 상부동작실(30a)이 구비되고, 상부에 개폐 가능하고 잠금수단(50)으로써 잠금이 유지되는 커버(40)가 구비된 상부하우징(30); 및
    상기 하부하우징(20)의 하부작동실(20a)과 상부하우징(30)의 상부작동실(30a) 사이 영역에 구비되어 꼬치 꼬챙이(1)를 절단하기 위한 꼬치꼬챙이 절단장치(1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꼬챙이 절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꼬치꼬챙이 절단장치(100)는
    상기 보강마감대(21) 하부에 장착된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의 모터축(11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보강마감대(21) 상부에 장착된 기어박스(121)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베벨기어(120)와;
    상기 하부베벨기어(120)와 수직으로 치합되고, 기어박스(121) 내부에 수평축(131)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상부베벨기어(130)와;
    상기 상부베벨기어(130)의 수평축(131)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피니언(140)과;
    상기 하부가 피니언(140)에 치합되고, 상부에 상단마감판(22)의 회동장공(22a)을 통하여 상부작동실(20a)로 돌출된 작동링크(151)가 구비된 랙 기어(150)와;
    상기 작동링크(151) 상단에 일측이 가동회동핀(16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부작동실(30a)에 고정회동핀(162)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절단칼날(160)과;
    상기 상부하우징(30)의 전면에 관통 형성되어 꼬치 꼬챙이(1)가 삽입되는 꼬챙이삽입공(1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꼬챙이 절단기.

KR1020160148473A 2016-11-09 2016-11-09 꼬치 꼬챙이 절단기 KR101961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73A KR101961212B1 (ko) 2016-11-09 2016-11-09 꼬치 꼬챙이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73A KR101961212B1 (ko) 2016-11-09 2016-11-09 꼬치 꼬챙이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759A true KR20180051759A (ko) 2018-05-17
KR101961212B1 KR101961212B1 (ko) 2019-07-17

Family

ID=6248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473A KR101961212B1 (ko) 2016-11-09 2016-11-09 꼬치 꼬챙이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2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1600A (zh) * 2021-02-25 2021-06-22 刘书珊 一种造纸加工用裁纸机
KR102270636B1 (ko) * 2019-12-31 2021-06-28 전정일 Pvc 창호용 보강 부재 가공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291A (ja) * 2000-04-27 2001-11-06 Seishaku Ka ペーパー切断機用切断刃の昇降装置
KR20020089714A (ko) * 2001-05-23 2002-11-30 권일승 식품 세단기
KR20050103599A (ko) * 2004-04-26 2005-11-01 김경중 밀폐포장(펙) 개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291A (ja) * 2000-04-27 2001-11-06 Seishaku Ka ペーパー切断機用切断刃の昇降装置
KR20020089714A (ko) * 2001-05-23 2002-11-30 권일승 식품 세단기
KR20050103599A (ko) * 2004-04-26 2005-11-01 김경중 밀폐포장(펙) 개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636B1 (ko) * 2019-12-31 2021-06-28 전정일 Pvc 창호용 보강 부재 가공장치
CN113001600A (zh) * 2021-02-25 2021-06-22 刘书珊 一种造纸加工用裁纸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212B1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957Y1 (ko) 회전식 구이기
KR101449700B1 (ko) 고기 세절기
KR101961212B1 (ko) 꼬치 꼬챙이 절단기
JP4873350B2 (ja) 回転式の炭火焼き板
KR101871123B1 (ko) 육계 절단장치
US2156860A (en) Electric broiler
CN205234346U (zh) 手柄可折叠的锅具
CN202068869U (zh) 手动穿串机
CN107897320A (zh) 一种香肠螺旋切花设备
CN105358024B (zh) 小型食物处理器
CN108527503B (zh) 火腿肠快速切丁器
KR200467359Y1 (ko) 생선가시 제거용 가위
US20200113384A1 (en) Rotatable griller for barbecues
KR101567009B1 (ko) 식재료 다짐기
KR20160142969A (ko) 타원형 석쇠
KR101841133B1 (ko) 꼬치구이 장치
KR200231486Y1 (ko) 김 절단기
EP1814426A2 (en) Grill for automatic cooking of meat, fish & other foodstuffs
US20120156347A1 (en) Cookie Shaping Device
KR102466434B1 (ko) 순대 및 김밥절단기
CN219948811U (zh) 包覆膜层掀开机构
KR102466088B1 (ko) 가공식품 배가름 절단장치
CN220133838U (zh) 箱门组件及包含其的烹饪机
CN208387733U (zh) 一种罗非鱼加工用便于清理鱼肚的杀鱼器
JP7360459B2 (ja) オーブン、ならびに、そのようなオーブンのクッキングキャビティーの中に配設されている容器の中に含有されている食料品を撹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ようなオーブンのための撹拌用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