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907B1 - 약재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약재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907B1
KR101158907B1 KR1020100003983A KR20100003983A KR101158907B1 KR 101158907 B1 KR101158907 B1 KR 101158907B1 KR 1020100003983 A KR1020100003983 A KR 1020100003983A KR 20100003983 A KR20100003983 A KR 20100003983A KR 101158907 B1 KR101158907 B1 KR 10115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edicine
working plat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977A (ko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이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filed Critical 이명수
Priority to KR1020100003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9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3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6Ca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Abstract

약재를 절단하기 위한 약재 절단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약재 절단장치는 본체, 절단날이 장착되는 절단부, 구동모터 및 구동전달부재로 구성되고, 본체에는 절단부의 상하 운동을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는 안내부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약재 절단장치에 의하면, 절단부가 약재의 절단을 위해 상하 운동시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절단부의 상하 운동에 따른 좌우 흔들림 및 절단날의 유동을 방지하여 약재의 절단면이 절단날에 의해 거칠게 절단되거나 찢어지듯 절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재 절단장치{CUTTING MACHINE FOR MEDICINAL STUFF}
본 발명은 약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날이 마련되는 절단부의 상하 운동을 안정되게 안내하여 약재의 절단시 절단부의 상하 운동에 따른 좌우 흔들림과 절단날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약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재 절단장치는 각종 황기, 오가피, 칡 등과 같은 식물성 약재 및 녹용과 같은 동물성 약재를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약재 절단장치는 작두를 사용해 왔으나, 이러한 작두는 사용자가 많은 약재를 절단하는 동안에 사용자의 양 손에 무리가 가해지게 되어 매우 힘이 들고, 반복적으로 약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어깨통증이나 손목통증과 같은 통증을 유발하게 되어 그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종래의 수동식 약재 절단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약재를 자동으로 절단하는 약재 절단장치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자동식 약재 절단장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상하 운동하는 절단부에 절단날을 마련하여 절단부의 상하 운동시 작업판 위에 놓인 약재를 자동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식 약재 절단장치는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하 운동하는 절단부를 통해 약재를 자동으로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으나, 절단부의 상하 운동을 안정되게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안내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절단날로 약재를 절단시 약재의 절단면이 거칠게 절단되거나 찢어지듯 절단됨으로써 상품가지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날이 마련되는 절단부의 상하 운동을 안정되게 안내함으로써 약재의 절단시 절단부의 상하 운동에 따른 좌우 흔들림과 절단날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약재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약재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작업판과, 상기 작업판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판의 상면 및 받침부재의 전면 일부에 내부로 함몰되는 배출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작업판의 상면에 일측이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의 일면에 약재를 절단하는 절단날이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 위치되게 장착되어 상기 약재의 절단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절단부;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판의 저면에 장착프레임을 매래로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부에 마련되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과 상기 절단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를 상하 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절단부로 전달하는 구동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판의 상면에는 상기 절단부의 타측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부의 상하 운동을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절단부의 타측 선단이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안내홈이 마련되는 안내부 몸체; 및
상기 안내부 몸체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안내홈의 양측에 상기 절단부의 타측 선단의 양측면과 구름 접촉되게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절단부의 상하 운동을 구름 회전에 의해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구름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에는 상기 약재의 절단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부재가 더 마련되되,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절단부의 타면에 상기 절단날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나사축;
상기 나사축에 상기 절단부와 평행하도록 결합되어 고정되는 간격조절판; 및
상기 간격조절판과 상기 절단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축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판은 상기 받침부재로부터 일정한 경사로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판의 전면이 상기 받침부재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작업판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각도제어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제어수단은 상기 받침부재의 표면에 호형상으로 마련되는 안내장공; 및
상기 안내장공을 통해 상기 장착프레임에 조임과 풀림이 자유롭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나사축이 배치되고, 타측에 조임과 풀림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배치되어 상기 작업판의 각도조절시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임레버와, 상기 조임레버의 나사축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판을 고정시 조임력이 증대되고, 조임에 의한 자연적인 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표면에 조임되어 밀착되는 조임와셔가 마련되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판에는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상기 약재가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고 상기 배출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튐 방지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의 일면측에는 상기 작업판의 상면에 일측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단부의 미작동시 상기 절단날을 상기 약재의 투입방향에서 차단할 수 있도록 안전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약재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배출안내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상기 약재를 상기 작업판의 평면상에서 다양한 각도로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각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상기 약재가 상기 작업판의 평면에 대해 일정한 입사각도로 유지되어 상기 절단날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도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에 따르면, 절단부가 약재의 절단을 위해 상하 운동시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절단부의 상하 운동에 따른 좌우 흔들림 및 절단날의 유동을 방지하여 약재의 절단면이 절단날에 의해 거칠게 절단되거나 찢어지듯 절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약재의 절단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약재가 놓이는 작업판를 일정한 경사로 조절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여 약재의 절단에 따른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작업판의 상면에서 약재를 절단부의 절단부로 다양하게 안내함으로써 약재를 다양한 각도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의 구동모터 및 구동전달부재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약재 절단장치의 간격조절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의 각도제어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의 다각안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다각안내부에 의해 작업판의 평면상에서 약재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의 각도안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각도안내부에 의해 작업판상에서 약재의 입사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의 구동모터 및 구동전달부재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약재 절단장치의 간격조절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의 각도제어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의 다각안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다각안내부에 의해 작업판의 평면상에서 약재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의 각도안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각도안내부에 의해 작업판상에서 약재의 입사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재 절단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절단부(110), 구동모터(160) 및 구동전달부재(170)를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100)는 약재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작업판(100A)과, 작업판(100A)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재(100B)로 구성된다.
작업판(100A)은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받침부재(100B)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작업판(100A)은 그 전면 양측이 받침부재(100B)의 전면 양측에 힌지부(102)를 매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작업판(100A)은 받침부재(10B)로부터 일정한 경사로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힌지부(102)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판(100A)의 상면에는 각도조절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04)가 마련되어 있다.
받침부재(100B)는 작업판(100A)과 대응되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판(100A)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때, 받침부재(100B)는 힌지부(102)를 매개로 작업판(100A)과 결합된다.
또한, 작업판(100A)의 상면 및 받침부재(100B)의 전면 일부에는 절단부(110)에 의해 절단되는 약재가 모여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로 함몰되는 배출부(106)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배출부(106)의 바닥면은 약재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배출부(106)에는 약재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평판형상의 배출안내판(108)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배출안내판(108)은 배출부(106)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절단부(110)는 약재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일정한 길이를 갖는 칼날몸체의 형상을 가지며 본체(100)의 전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작업판(100A)의 전면측의 상면에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절단부(110)는 그 일측이 작업판(100A)의 상면에 힌지부(112)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의 일면에는 약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114)이 배출부(106)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교체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절단부(110)는 절단날(114)에 의한 약재의 절단시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상하 운동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또한, 작업판(100A)의 상면에는 절단부(110)의 타측 선단에 배치되어 절단부(110)의 상하 운동에 따른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120)가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안내부(120)는 절단부(110)의 타측 선단이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안내홈(124)이 마련되는 안내부 몸체(122)와, 안내홈(124)의 양측에 절단부(110)의 타측 선단의 양측면과 구름 접촉되게 각각 배치되어 절단부(110)의 상하 운동을 구름 회전에 의해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구름베어링(126)으로 구성된다.
즉, 안내부(120)는 안내부 몸체(122)에 구름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름베어링(126)에 의해 안내홈(124)으로 삽입되는 절단부(110)의 타측 선단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절단부(110)의 상하 운동을 안정되게 안내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또한, 절단날(112)이 장착된 일면과 대응되는 절단부(110)의 타면에는 절단날(112)에 의해 절단되는 약재의 절단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간격조절부재(1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간격조절부재(130)는 절단부(110)의 타면에 절단날(112)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나사축(132)과, 나사축(132)에 절단부(110)와 평행하도록 결합되어 고정되는 간격조절판(134)과, 간격조절판(134)과 절단날(11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축(132)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구(136)로 구성된다. 이때, 간격조절구(136)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와셔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간격조절부재(130)는 절단부(110)의 절단날(114)에 의해 절단될 약재의 절단 간격에 따라 나사축(132)에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구(136)를 배치하여 간격조절판(134)과 절단날(11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약재의 절단 간격을 조절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즉, 절단부(110)의 절단날(114)에 의해 절단되도록 작업판(100A) 위에 놓이는 약재의 선단은 간격조절판(134)에 밀착되게 되는데, 이러한 간격조절판(134)과 절단날(114) 사이의 간격을 나사축(132)에 배치되는 간격조절구(136)의 개수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약재의 절단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간격조절부재(130)의 간격조절판(134)에는 절단부(110)의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약재가 배출부(106)로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튐 방지판(138)이 마련되어 있다. 튐 방지판(138)은 간격조절판(134)에 배출부(106)를 향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튐 방지판(138)은 절단부(110)의 절단날(114)에 의해 절단되는 약재가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고 배출부(106)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즉, 튐 방지판(138)은 간격조절판(134)에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약재를 절단날(114)로 절단시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외부로 튀는 약재는 튐 방지판(138)에 부딪히게 되어 배출부(106)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00)에는 받침부재(10B)로부터 힌지부(102)를 중심으로 일정한 경사로 각도조절되는 작업판(100A)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각도제어수단(140)이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각도제어수단(140)은 받침부재(100B)의 표면에 호형상으로 마련되는 안내장공(142)과, 안내장공(142)을 통해 장착프레임(162)에 조임과 풀림이 자유롭게 나사결합되어 받침부재(100B)에 대해 각도조절된 작업판(10A)을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임부재(144)로 구성된다.
조임부재(144)는 안내장공(142)을 통해 장착프레임(162)에 조임과 풀림이 자유롭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나사축(146A)이 배치되고, 타측에 조임과 풀림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146B)가 배치되어 상기 작업판(100A)의 각도조절시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임레버(146)와, 조임레버(146)의 나사축(146A)에 배치되고 작업판(100A)을 고정시 조임력이 증대되고, 조임에 의한 자연적인 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받침부재(100B)의 표면에 조임되어 밀착되게 마련되는 조임와셔(148)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도제어수단(140)은 받침부재(100B)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조절되는 작업판(100A)을 조임부재(144)로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때, 조임부재(144)의 조임레버(146)는 작업판(100A)의 고정시 받침부재(100B)의 표면에 조임와셔(148)를 통해 고정된다.
또한, 절단부(110)의 일면측에는 작업판(100A)의 상면에 일측이 힌지부(151)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절단부(110)의 미작동시 절단날(114)을 약재의 투입방향에서 차단할 수 있도록 안전판(150)이 마련되어 있다.
즉, 안전판(150)은 힌지부(151)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조에 의해 약재의 미절단시 절단부(110)의 절단날(114)을 약재의 투입방향에서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작업판(100A)의 상면에는 절단부(110)의 일면측에 배치되어 절단날(114)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바(152)가 마련되어 있다.
즉, 안전바(152)는 절단부(110)의 절단날(114)과 인접하도록 작업판(100A)의 상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상시 경각심을 제공함으로써 약재의 절단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손가락 등이 절단날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모터(160)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는 것으로, 받침부재(100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작업판(100A)의 저면에 장착프레임(162)을 매개로 장착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때, 구동모터(160)는 장착프레임(162)과 일체로 형성된다.
구동전달부재(170)는 구동모터(160)의 구동에 따른 회전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전환하여 절단부(110)로 전달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구동모터(160)의 출력부에 마련되는 회전캠(172)과, 회전캠(172)과 절단부(11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링크(174)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링크(174)는 절단부(110)의 타측 하단에 연결된다.
즉, 구동전달부재(170)는 구동모터(106)의 회전시 회전캠(172)의 회전 운동과 연결링크(174)의 상하 운동을 통해 최종적으로 절단부(110)의 상하 운동으로 전환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그리고 구동전달부재(170)는 본체(100)를 이루는 받침부재(100B)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160)에 의한 구동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동전달부재(17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절단부(110)는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상하 운동하여 절단날(114)에 의한 약재의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작업판(100A)의 상면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날(114)에 의해 절단되는 약재를 작업판(100A)의 평면상에서 다양한 각도로 안내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다각안내부(180)가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다각안내부(180)는 작업판(100A)의 상면에 밀착되게 지지되고 각도조절에 따른 호형상의 안내장공(184)이 형성되는 지지부(182)와, 지지부(182)의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안내벽(186)으로 구성된다.
다각안내부(180)의 지지부(182)는 안내장공(184)을 통과하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88)에 의해 작업판(100A)의 상면에 조임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다각안내부(180)는 작업판(100A)의 평면상에서 지지부(182)를 통해 안내벽(186)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약재를 다양한 각도로 안내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또한, 작업판(100A)의 상면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110)에 의해 절단되는 약재가 작업판(100A)의 평면에 대해 일정한 입사각도로 유지되어 절단날(114)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각도안내부(190)가 마련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각도안내부(190)는 일정간격을 두고 작업판(100A)의 상면에 수직하게 각각 배치되고 표면의 후면측에 호형상의 안내장공(194)이 마련되는 수직벽(192)과, 수직벽(192) 사이에서 약재의 입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단이 수직벽(192)의 전면 하단에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은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98)에 의해 수직벽(192)의 후면에 마련되는 안내장공(194)에 조임과 풀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입사각 조절판(19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도안내부(190)는 수직벽(192) 사이에 배치되는 입사각 조절판(196)을 통해 절단부(110)의 절단날(114)로 유입되는 약재의 입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약재를 절단할 경우, 구동모터(160)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전달부재(170)는 구동모터(106)의 회전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전환하여 절단부(110)로 전달하게 되고, 절단부(110)는 구동전달부재(170)에 의해 약재를 절단할 수 있도록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상하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판(100A) 위에 약재를 올려놓고 절단부(110)의 절단날(114)로 유입시키게 되면 절단부(11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약재가 절단되게 된다.
이때, 작업판(100A)의 상면에 마련되는 안내부(120)는 절단부(110)의 타측 선단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절단부(110)의 상하 운동에 따른 좌우 유동 및 절단날(114)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즉, 안내부(120)는 안내부 몸체(122)에 마련되는 구름베어링(126)을 통해 안내홈(124)으로 삽입되어 상하 운동하는 절단부(110)의 타측 선단의 양측면을 구름 회전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줌으로써 절단부(110)의 상하 운동을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절단부(110)의 안정된 상하 운동을 통해 절단날(114)로 약재를 균일하게 절단 가능함으로써, 종래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절단부의 상하 운동에 따른 유동에 의해 약재의 절단면이 거칠게 절단되거나 찢어지듯 절단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약재의 절단과정에서 약재의 절단 간격을 조절하려는 경우, 절단부(110)의 타면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부재(130)의 나사축(132)에 약재의 절단 간격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구(136)을 배치한 후 간격조절판(134)을 나사축(132)에 고정하는 작업을 통해 절단날(114)과 간격조절판(134)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혀서 약재의 절단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절단부(110)의 절단날(114)에 의해 절단되도록 작업판(100A) 위에 놓이는 약재의 선단은 간격조절판(134)에 밀착되며, 이러한 간격조절판(134)과 절단날(114) 사이의 간격을 간격조절구(136)의 개수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약재의 절단 간격을 사용자가 임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간격조절판(134)과 절단날(114) 사이의 나사축(132)에 간격조절구(136)가 배치되지 않거나 최소 개수만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들 사이의 간격의 좁아져 약재의 절단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나사축에 여러 개의 간격조절구(136)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간격조절판(134)과 절단날(114)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약재의 절단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또한, 간격조절부재(130)의 간격조절판(134)에 튐 방지판(138)을 마련함으로써 절단부(110)의 절단날(114)에 의한 약재의 절단시 약재가 외부로 튀지 않도록 방지하여 배출부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튐 방지판(138)은 간격조절판(134)에 수직하게 배치됨에 따라 절단날(114)에 의해 절단되는 약재가 반발력에 의해 외부로 튀어나갈 때 부딪히게 되므로 배출부(106)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약재의 절단과정에서 약재가 놓여지는 작업판(100A)을 받침부재(100B)에 대해 일정한 경사로 각도조절하려는 경우, 작업판(100A)은 받침부재(100B)로부터 힌지부(102)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되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작업판(100A)의 각도조절시 손잡이(104)를 이용하여 작업판(100A)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게 된다.
이때, 작업판(100A)의 저면에 장착프레임(162)을 매개로 장착되는 구동모터(160)는 작업판(100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각도제어수단(140)의 조임부재(144)는 나사축(146A)을 통해 장착프레임(162)에 나사결합되어 있어 작업판(100A)의 각도만큼 안내장공(142)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임부재(144)로 각도조절된 작업판(100A)을 조임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조임부재(144)는 조임시 조임레버(146)와 조임와셔(148)에 의한 조임력의 증대를 통해 받침부재(100B)의 표면에 밀착되어 작업판(100A)을 고정할 수 있고, 풀림시에는 조임력이 해제되어 작업판(100A)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렇게 작업판(100A)을 받침부재(100B)로부터 다양한 각도로 조절한 후 조임부재(144)에 의해 고정 및 해제하는 과정을 통해 작업판(100A)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고, 작업판(100A)의 경사조절을 통해 작업판(100A) 위에 놓이는 약재가 절단부(110)의 절단날(114)로 스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판(100A)의 상면에는 절단부(110)의 일면측에 안전판(150)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절단부(110)의 미작동시 절단날(114)을 약재의 투입방향에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재의 절단시 사용자의 신체, 예를 들어 손가락 등이 절단날(114)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작업판(110A)의 상면에 다각안내부(180)를 배치하여 작업판(100A) 위의 약재를 다양한 각도로 안내하여 절단할 수 있다.
즉, 다각안내부(180)는 작업판(100A)의 평면상에서 안내장공(184)이 마련되는 지지부(182)를 통해 안내벽(186)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약재를 다양한 각도로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판(100)의 상면에는 다각안내부(180) 이외에도 약재의 입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안내부(190)를 배치함으로써 약재가 절단부(110)의 절단날(114)로 절단될 때 각도안내부(190)에 의해 약재의 입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각도안내부(190)는 수직벽(192) 사이에 배치되는 입사각 조절판(196)의 각도를 안내장공(194)을 통해 다양하게 조절하여 약재의 절단시 다양한 입사각도를 제공함으로써, 작업판(100A)에 의한 각도조절 없이도 약재의 입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절단부(100)의 절단날(114)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본체 100A: 작업판
100B: 받침부재 102: 힌지부
110: 절단부 112: 힌지부
114: 절단날 120: 안내부
122: 안내부 몸체 126: 구름베어링
130: 간격조절부재 132: 나사축
134: 간격조절판 136: 간격조절구
138: 튐 방지판 140: 각도제어수단
142: 안내장공 144: 조임부재
146: 조임레버 148: 조임와셔
150: 안전판 152: 안전바
180: 다각안내부 190: 각도안내부

Claims (10)

  1. 삭제
  2. 약재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작업판(100A)과, 상기 작업판(100A)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받침부재(100B)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판(100A)의 상면 및 받침부재(100B)의 전면 일부에 내부로 함몰되는 배출부(106)가 마련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작업판(100A)의 상면에 일측이 힌지부(112)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의 일면에 약재를 절단하는 절단날(114)이 상기 배출부(106)의 상부에 위치되게 장착되어 상기 약재의 절단시 상기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절단부(110); 상기 받침부재(100B)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판(100A)의 저면에 장착프레임(162)을 매래로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160); 상기 구동모터(160)의 출력부에 마련되는 회전캠(172)과, 상기 회전캠(172)과 상기 절단부(11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링크(174)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110)를 상하 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160)의 회전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절단부(110)로 전달하는 구동전달부재(170); 및 상기 절단부(110)의 타측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부(110)의 상하 운동을 안정되게 안내하는 안내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부(120)는 상기 절단부(110)의 타측 선단이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안내홈(124)이 마련되는 안내부 몸체(122); 및
    상기 안내부 몸체(122)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안내홈(124)의 양측에 상기 절단부(110)의 타측 선단의 양측면과 구름 접촉되게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절단부(110)의 상하 운동을 구름 회전에 의해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구름베어링(1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절단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100A)은 상기 받침부재(100B)로부터 일정한 경사로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판(100A)의 전면이 상기 받침부재(100B)에 힌지부(102)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재(100B)에는 상기 작업판(100A)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각도제어수단(14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절단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10)의 일면측에는 상기 작업판(100A)의 상면에 일측이 힌지부(151)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단부(110)의 미작동시 상기 절단날(114)을 상기 약재의 투입방향에서 차단할 수 있도록 안전판(15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재 절단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03983A 2010-01-15 2010-01-15 약재 절단장치 KR10115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983A KR101158907B1 (ko) 2010-01-15 2010-01-15 약재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983A KR101158907B1 (ko) 2010-01-15 2010-01-15 약재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77A KR20110083977A (ko) 2011-07-21
KR101158907B1 true KR101158907B1 (ko) 2012-06-25

Family

ID=4492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983A KR101158907B1 (ko) 2010-01-15 2010-01-15 약재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4952A (zh) * 2015-12-07 2016-03-02 江苏知原药业有限公司 一种基于plc的药材切片机
CN107650168A (zh) * 2017-10-20 2018-02-02 马良彬 一种基于凸轮驱动原理的中药切片用设备
CN109015784A (zh) * 2018-09-11 2018-12-18 江西创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对废料进行收集的制药包装切割装置
CN109648625B (zh) * 2018-12-29 2021-04-13 庐山市环绿时代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块状根茎类中药材的切割装置
CN113319098B (zh) * 2021-05-11 2022-06-07 东莞市亿晟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锂电池回收再利用设备及其回收方法
CN114179148A (zh) * 2021-11-08 2022-03-15 贵州蔚源中药材产业开发有限公司 一种不规则形状的茎块药材切片装置
CN114789475B (zh) * 2022-05-09 2024-03-08 广东旭东一号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中药饮片生产用切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136A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경사면 가공용 보조정반
KR20020089714A (ko) * 2001-05-23 2002-11-30 권일승 식품 세단기
KR200409194Y1 (ko) * 2005-11-29 2006-02-20 김상수 절단용 작두
KR200422830Y1 (ko) * 2006-05-16 2006-07-31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냉장육 절단기의 윗 누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136A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경사면 가공용 보조정반
KR20020089714A (ko) * 2001-05-23 2002-11-30 권일승 식품 세단기
KR200409194Y1 (ko) * 2005-11-29 2006-02-20 김상수 절단용 작두
KR200422830Y1 (ko) * 2006-05-16 2006-07-31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냉장육 절단기의 윗 누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77A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907B1 (ko) 약재 절단장치
CN103560101A (zh) 一种柔性器件剥离设备
KR101458328B1 (ko) 매실씨 분리기
CN108789563A (zh) 一种蔬果切丝装置
KR101488977B1 (ko) 양파 가공기
US4278097A (en) Husking machine
KR20140031097A (ko) 안전 투입구
KR20170060301A (ko) 호두까기 장치
KR101283141B1 (ko) 야채 절단기의 절단두께 조절장치
CN206690354U (zh) 大理石便携切割设备
KR200318946Y1 (ko) 착즙기
CN209063233U (zh) 一种绞切机万用清理器
CN216452895U (zh) 一种白蚁防治地下式灌药器
CN206994337U (zh) 一种手动甘蔗去皮截断机械装置
KR101729753B1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양파껍질 탈피장치
CN109049076A (zh) 自动甘蔗切割机
CN220613213U (zh) 一种机械齿轮修补打孔辅助机构
CN213647689U (zh) 一种中药饮片制剂的切分装置
CN116984679B (zh) 一种板材造型切割机
CN104430792B (zh) 一种去鳞杀鱼装置
CN213386282U (zh) 一种振动输送器及垃圾处理系统
JP2001259135A (ja) 遊技盤の釘抜装置及び釘抜方法
CN218504617U (zh) 一种避孕套加工设备的花切刀装置
KR200243893Y1 (ko) 녹용 등의 약재절단기
CN108520803B (zh) 一种多齿轮传动的单刀铜排开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