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301A - 호두까기 장치 - Google Patents

호두까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301A
KR20170060301A KR1020150164553A KR20150164553A KR20170060301A KR 20170060301 A KR20170060301 A KR 20170060301A KR 1020150164553 A KR1020150164553 A KR 1020150164553A KR 20150164553 A KR20150164553 A KR 20150164553A KR 20170060301 A KR20170060301 A KR 20170060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walnut
pressing
plat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도감
Original Assignee
오도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도감 filed Critical 오도감
Priority to KR102015016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0301A/ko
Publication of KR2017006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6Nutcrack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서 호두를 가압하여 호두의 알맹이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호두의 단단한 껍데기만 깨뜨릴 수 있는 호두까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호두가 위치되는 받침프레임(100)과, 받침프레임(100)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200)과,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어 받침프레임(100)에 위치되는 호두를 가합하여 호두껍데기를 파손시키는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두까기 장치{NUT CRACKER}
본 발명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서 호두를 가압하여 호두의 알맹이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호두의 단단한 껍데기만 깨뜨릴 수 있는 호두까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두는 껍데기이 두꺼워 까기가 어렵고 장아찌와 같은 반찬을 담을 수 있는 매실은 딱딱한 씨가 내장되어 있어 칼로 썰어내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집게형태의 호두까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집게형태의 호두까기장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압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판과 가압판의 사이에 호두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판을 가압하면 호두가 깨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집게형태의 호두까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지지판을 중심으로 가압판이 호를 그리면서 회전되어서 호두를 가압하기 때문에, 가압판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하기 어려워서 가압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약한 경우에는 호두가 부분적으로 깨져서 호두알을 꺼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둘째, 부분적으로 깨진 호두를 다시 깰 수 없어서 집게와 같은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나머지 호두껍데기를 질을 깨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가압판이 상대적으로 강한 압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는 호두의 껍데기와 함께 호두알까지 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10-1248397호가 2013.03.22.일자로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서 호두를 가압하여 호두의 알맹이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호두의 단단한 껍데기만 깨뜨릴 수 있는 호두까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두까기 장치는, 호두가 위치되는 받침프레임(100)과, 받침프레임(100)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200)과,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어 받침프레임(100)에 위치되는 호두를 가합하여 호두껍데기를 파손시키는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가로판(110)과, 가로판(110)에 기립되게 형성되는 세로판(120)을 포함하며, 가로판(110)에는 지지프레임(200)이 겹쳐진 상태로 결합되기 위한 가로결합부(113)가 형성되고, 세로판(120)에는 지지프레임(200)이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한 세로결합부(121)가 형성되며, 가로결합부(113) 및 세로결합부(121)는 각각 나사탭으로 구성되고, 가로판(110)에는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가 관통되어서 포위되는 포위부(112)가 형성되며, 지지프레임(200)을 가로판(110)에 결합시키거나 세로판(1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400)를 포함하며, 결합부(400)는 지지프레임(200)의 관통홀(210)을 관통한 상태로 세로판(120)에 나사탭으로 구성되는 세로결합부(121)에 결합되거나 가로판(110)에 나사탭으로 구성되는 가로결합부(113)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받침프레임(100)은 양측에 위치되어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에 의해 파손되는 호두껍데기가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방지판(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는 받침프레임(100)쪽으로 하강하여서 받침프레임(100)에 위치되는 호두를 가압하여 파손시키는 가압부(310)와, 지지프레임(200)에 고정되어 가압부(310)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320)와,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어 가압부(31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30)와,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어 승강구동부(330)의 하강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받침프레임(100)에는 호두가 안착되는 안착판(111)이 형성되고, 안착판(111)은 호두의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오목홈이 형성되며, 가압부(310)의 직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압부(310)는 단부에 구비되어 호두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호두고정부(315)를 포함하고, 호두고정부(315)는 가압부(310)인 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되는 오목홈이나 요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압부(310)는 끝단에 가압팁(311)이 형성되고, 가압부(310)는 가압팁(31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12)를 포함하며, 높이조절부(312)는 가압부(310)에 형성되는 가압나사탭(313)과, 가압나사탭(313)에 나사결합되도록 가압팁(311)에서 돌출되는 가압나사축(3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안내부(320)는 기립되는 지지프레임(200)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판재로 구성되면서 가압부(310)가 관통되어서 안내되는 안내홀(321)이 형성되고, 스토퍼(340)는 안내부(320)의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기립되는 지지프레임(200)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판재로 구성되면서 가압부(310)가 관통되어서 이동되는 이동홀(3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승강구동부(330)는 지지프레임(200)에 설치되는 브래킷(331)과, 브래킷(331)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링크(332)와, 회전링크(332)의 타단에 고정되어 회전링크(33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333)와, 회전링크(332)의 중간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가압부(310)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링크(3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압링크(334)는 원호형태로 휘어지는 판재로 구성되어, 볼록하게 휘어진 부분이 스토퍼(340)에 걸려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두까기 장치는, 호두껍데기파손부재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서 호두를 가압할 수 있어서, 가압부에 힘이 집중되므로 호두의 단단한 껍데기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또한, 호두껍데기파손부재의 회전운동이 제한될 수 있어서 가압부의 하강거리가 제한되므로, 호두의 알맹이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호두의 단단한 껍데기만 깨뜨릴 수 있다. 즉, 파손되지 않은 호두알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두까기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판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받침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이 겹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손잡이고정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손잡이고정부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손잡이고정부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손잡이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회전손잡이가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회전손잡이가 지지프레임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속부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가로판이 지지프레임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측면을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두까기 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받침프레임(100)과, 지지프레임(200)과,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를 포함한다.
받침프레임(100)은 지면이나 테이블에 올려진 상태에서 호두가 위치되는 것으로, 지면에 지지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가로판(110)과, 가로판(110)에 기립되게 형성되는 세로판(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프레임(100)은 가로판(110)에 세로판(120)이 일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L'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에는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논슬립이 형성될 수 있다.
가로판(110)에는 호두가 안착되는 안착판(111)이 형성되고,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가 관통되어서 포위되는 포위부(112)가 형성되며, 지지프레임(200)이 겹쳐진 상태로 결합되기 위한 가로결합부(113)가 형성된다.
안착판(111)은 호두껍데기가 파손되는 과정에서 호두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은 경질의 재질로 구성되면서, 호두의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홈에 의해 안착판(111)에 안착된 호두가 안착판(111)의 중앙에 위치되게 하므로, 호두가 가압되어서 파손되는 과정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판(111)은 후술되는 가압부(310)의 직하부에 위치된다.
포위부(112)는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가 관통되면서 포위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홀로 구성될 수 있다.
세로판(120)에는 지지프레임(200)이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한 세로결합부(121)가 형성된다.
가로결합부(113) 및 세로결합부(121)는 각각 나사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프레임(100)은 양측에 위치되어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에 의해 안착판(111)에서 파손되는 호두껍데기가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안착판(111)을 커버하는 방지판(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지판(130)은 받침프레임(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의 파손동작은 허용하면서 파손되는 호두껍데기가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0)은 받침프레임(100)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판재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200)은 받침프레임(10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00)은 가로결합부(113) 및 세로결합부(121)에 대응되는 관통홀(210)이 일측 및 타측에 분산되게 형성될 수 있다.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는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어 받침프레임(100)에 위치되는 호두를 가합하여 호두껍데기를 파손시킨다.
이러한,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는 받침프레임(100)쪽으로 하강하여서 받침프레임(100)에 위치되는 호두를 가압하여 파손시키는 가압부(310)와, 지지프레임(200)에 고정되어 가압부(310)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320)와,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어 가압부(31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30)와,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어 승강구동부(330)의 하강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340)를 포함한다.
가압부(310)는 샤프트나 내부가 중공되는 파이프 또는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310)는 가로판(110)에 구비된 안착판(111)의 상부에 위치되어, 기립된 상태로 하강하면서 안착판(111)에 안착된 호두를 가압하여 파손시킬 수 있다.
도 3의 좌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10)는 단부에 구비되어 호두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호두고정부(315)를 포함한다. 이러한, 호두고정부(315)는 가압부(310)인 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되는 오목홈이나 요철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호두고정부(315)인 오목홈에 볼형태로 형성되는 호두의 상부부분이 삽입되어서 고정될 수 있어서, 가압부(310)인 샤프트가 호두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호두가 미끄러지면서 외부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호두를 다른 손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고,
그리고, 가압부(310)는 끝단에 가압팁(3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팁(311)은 볼형태를 이루는 호두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껍데기만 파손시키도록 끝단에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310)와 함께 하강하는 가압팁(311)은 호두껍데기의 상부를 가압하여 호두껍데기를 파손시킨다.
또한, 가압부(310)는 가압팁(31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12)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부(312)는 가압부(310)에 형성되는 가압나사탭(313)과, 가압나사탭(313)에 나사결합되도록 가압팁(311)에서 돌출되는 가압나사축(314)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압나사축(314)이 가압나사탭(313)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가압팁(311)만을 회전시켜서 가압팁(311)이 가압부(310)에 가까워지게 하거나 멀어지도록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압팁(311)이 가압부(310)에 가까워지면 가압팁(311)이 받침프레임(100)에서 멀어지게 되므로 가압팁(311)은 크기가 큰 호두를 용이하게 파손시킬 수 있고, 가압팁(311)이 가압부(310)에서 멀어지면 가압팁(311)이 받침프레임(100)에서 가까워지게 되므로 가압팁(311)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호두를 용이하게 파손시킬 수 있다.
안내부(320)는 기립되는 지지프레임(200)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판재로 구성되면서 가압부(310)가 관통되어서 안내되는 안내홀(3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안내부(320)는 안내홀(321)에 관통된 상태로 승강하는 가압부(3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되게 안내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330)는 지지프레임(200)에 설치되는 브래킷(331)과, 브래킷(331)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링크(332)와, 회전링크(332)의 타단에 고정되어 회전링크(33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333)와, 회전링크(332)의 중간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가압부(310)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링크(334)를 포함한다.
브래킷(331)은 요크형태로 형성된다.
회전링크(332)는 판재형태로 형성되어 핀에 의해 브래킷(33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회전손잡이(333)는 장방형의 샤프트로 구성되어 일단이 회전링크(332)에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손잡이(333)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링크(332)가 브래킷(331)을 기준으로 하방을 회전된다.
가압링크(334)는 원호형태로 휘어지는 판재로 구성되어, 양단이 각각의 핀에 의해 가압부(310) 및 회전링크(3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손잡이(333)에 의해 회전링크(332)가 하방으로 회전되면 가압링크(334)도 회전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압링크(334)의 회전에 의해 안내부(320)를 따라 가압부(310)가 하강하면서 호두를 가압하여 파손시킨다. 이때, 가압링크(334)의 볼록하게 휘어진 부분이 스토퍼(340)에 걸려서 정지되므로, 호두껍데기만 파손되면서 호두알은 파손되지 않는다. 물론, 회전손잡이(333)에 의해 회전링크(332)가 상방으로 회전되면 가압링크(334)도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된다. 즉, 회전링크(332)는 회전손잡이(333)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링크(332)와 함께 승강되어서 가압부(310)를 승강시킨다.
스토퍼(340)는 안내부(320)의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기립되는 지지프레임(200)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판재로 구성되면서 가압부(310)가 관통되어서 이동되는 이동홀(341)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340)는 가압부(310)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면서 가압링크(334)가 걸려서 정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승강구동부(330)는 회전운동 되면서 가압부(310)를 직선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승강구동부(330)가 큰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만큼 하강하는 가압부(310)에 강한 힘이 전달될 수 있어서, 단단한 호두껍데기가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다. 더욱이, 승강구동부(330)는 스토퍼(340)에 의해 하강동작이 정지될 수 있어서, 전술한 가압부(310)가 소정높이 까지만 하강하게 되므로 호두껍데기만 파손되면서 호두알은 파손되지 않는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200)을 가로판(110)에 결합시키거나 세로판(1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400)를 포함한다.
결합부(400)는 지지프레임(200)의 관통홀(210)을 관통한 상태로 세로판(120)에 나사탭으로 구성되는 세로결합부(121)에 결합되거나 가로판(110)에 나사탭으로 구성되는 가로결합부(113)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400)인 볼트가 세로결합부(121)인 나사탭에 나사결합되면 지지프레임(200)이 세로판(120)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200)이 받침프레임(100)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가 호두껍데기를 파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400)인 볼트가 가로결합부(113)인 나사탭에 나사결합되면 지지프레임(200)이 세로판(120)에 겹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200)이 받침프레임(100)에 겹쳐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전체적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어서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더욱이, 지지프레임(200)이 받침프레임(100)에 겹쳐지는 과정에서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가 가로판(110)의 포위부(112)에 관통되어서 위치되므로, 지지프레임(200)이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받침프레임(100)에 겹쳐질 수 있다. 또한, 회전손잡이(333)가 받침프레임(100)에 걸리고 회전링크(332)가 지지프레임(200)에 걸리게 되어, 회전손잡이(333)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받침프레임(100)의 안착판(111)에 호두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손잡이(333)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손잡이(333)에 연결된 회전링크(332)도 하방으로 함께 회전되므로, 회전링크(332)의 회전에 의해 가압링크(334)도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부(310)를 하강시킨다.
여기서, 회전손잡이(333)가 대략 30cm정도의 호를 그리면서 수직된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전되면, 가압부(310)가 대략 5.4cm의 직선으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손잡이(333)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으로 하강되는 가압부(310)에 힘이 집중된다. 즉, 하강하는 힘이 집중되는 가압부(310)에 의해 단단한 호두껍데기가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다.
이때, 회전하면서 하강되는 가압링크(334)가 스토퍼(340)에 걸려서 정지되므로 가압부(310)는 하강하다가 정지된다. 따라서, 가압부(310)는 하강되면서 호두껍데기를 가압하여 호두껍데기를 파손시키면서 호두알까지 충돌되기 전에 정지된다. 즉, 가압링크(334)가 스토퍼(340)에 걸리게 되므로 가압부(310)는 정해진 거리만큼만 하강되어서 호두껍데기만 파손시킬 수 있다.
만약, 호두껍데기가 중앙상부에 일부분만 파손된다면 호두의 파손되지 않은 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부(310)를 다시 하강시켜서 호두껍데기를 파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손잡이(333)를 상승시키면 승강구동부(330)가 역순으로 동작되어서 가압부(310)가 파손된 호두로부터 상승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손되어 부서진 호두껍데기를 분리하면서 파손되지 않은 온전한 호두알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330)는 회전손잡이(333)를 회전링크(33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손잡이고정부(335)를 포함한다.
먼저, 회전링크(332)에는 링크홀(332a)이 형성되고, 회전손잡이(333)에는 손잡이홀(333a)이 형성된다.
손잡이고정부(335)는 회전링크(332)의 링크홀(332a) 및 회전손잡이(333)의 손잡이홀(333a)을 관통하는 고정핀(336)과, 고정핀(336)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337)와, 고정핀(336)의 타단에 구비되어 편심회전 하는 편심핀(338)을 포함한다.
따라서, 편심핀(338)을 회전시켜서 고정핀(336)과 나란하게 한 상태로 회전링크(332)의 링크홀(332a) 및 회전손잡이(333)의 손잡이홀(333a)을 관통시키면, 편심핀(338)이 하방으로 회전되어 고정핀(336)과 다른 방향을 이루어서 'T'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요크형태인 회전링크(332)의 일측에 헤드(337)가 걸리게 되고, 회전링크(332)의 타측에 편심핀(338)이 걸리게 되어, 고정핀(336)이 회전링크(332)의 링크홀(332a) 및 회전손잡이(333)의 손잡이홀(333a)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회전링크(332)에 회전손잡이(333)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회전손잡이(333)를 회전시키면 회전링크(332)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손잡이(333)에서 손잡이고정부(335)를 분리시키면 회전링크(332)에서 회전손잡이(333)가 회전되므로, 회전손잡이(333)를 지지프레임(200)의 후방으로 회전시켜서 지지프레임(200)의 후면에 지지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손잡이(333)가 지지프레임(200)의 후면에 밀착되어 본 발명의 전체적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어서 휴대 및 보관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 한편,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프레임(100)은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가로판(110)과, 가로판(110)에 기립되게 형성되는 세로판(120)과, 지지프레임(200) 및 가로판(110)에 양단이 고정되어 지지프레임(200) 및 가로판(11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140)와, 회전지지부재(140)를 축으로 회전되는 지지프레임(200)을 세로판(120)과 함께 구속시켜서 고정시키는 구속부재(150)를 포함한다.
가로판(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00)에는 장홀(220)이 형성되고, 장홀(220)의 양측에 지지벽(230)이 형성된다.
세로판(120)에는 지지프레임(200)의 장홀(220)에 대응되는 구속홈(122)이 형성된다.
회전지지부재(140)는 힌지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 지지프레임(200)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서 세로판(120)에 지지되어서 기립되거나, 지지프레임(200)이 힌지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가로판(110)에 겹쳐질 수 있다.
구속부재(150)는 지지프레임(200)의 장홀(220)에 관통하면서 세로판(120)의 구속홈(122)에 삽입되는 수형구속부(151)와, 수형구속부(15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암형구속부(15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속부재(150)는 전술한 결합부(400)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수형구속부(151)는 지지프레임(200)의 지지벽(230)들에 양측면이 지지되는 육각볼트로 구성되고, 암형구속부(152)는 수형구속부(15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형구속부(151)인 육각볼트는 지지벽(230)들에 양측면이 지지되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암형구속부(152)인 너트를 나사결합 시킨 상태로 회전시키면 수형구속부(151) 및 암형구속부(152)가 조여질 수 있다.
또한, 수형구속부(151)는 육각너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암형구속부(152)는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는 노브와 노브에 형성되어 육각너트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형구속부(151)인 육각볼트가 장홀(220)에 관통되어서 암형구속부(152)인 너트에 최소한으로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수형구속부(151)인 육각볼트가 세로판(120)의 구속홈(122)에서 분리되면 지지프레임(200)이 회전지지부재(140)인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서 가로판(110)에 겹쳐질 수 있다. 이때,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가 포위부(112)에 관통되므로 가로판(110)에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00)이 가로판(110)에 겹쳐지면 전체적인 부피가 최소화되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다.
또한, 지지프레임(200)을 기립시켜서 세로판(120)에 지지되게 하는 상태서 수형구속부(151)인 육각볼트를 장홀(220)을 따라 이동시켜서 육각볼트의 양측면이 지지프레임(200)의 지지벽(230)에 지지되게 하면서 육각볼트의 나사축이 구속홈(122)에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수형구속부(151)인 육각볼트가 지지벽(230)에 지지되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암형구속부(152)를 회전시키면 수형구속부(151) 및 암형구속부(152)가 조여지면서 지지프레임(200)이 세로판(120)에 밀착되면서 기립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호두의 알맹이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호두의 단단한 껍데기만 깨뜨릴 수 있어서 호두까지 장치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받침프레임 110 : 가로판
111 : 안착판 112 : 포위부
113 : 가로결합부 120 : 세로판
121 : 세로결합부 130 : 방지판
140 : 회전지지부재 150 : 구속부재
151 : 수형구속부 152 : 암형구속부
200 : 지지프레임 210 : 관통홀
220 : 장홀 230 : 지지벽
300 : 호두껍데기파손부재 310 : 가압부
311 : 가압팁 312 : 높이조절부
313 : 가압나사탭 314 : 가압나사축
320 : 안내부 321 : 안내홀
330 : 승강구동부 331 : 브래킷
332 : 회전링크 333 : 회전손잡이
334 : 가압링크 340 : 스토퍼
341 : 이동홀 400 : 결합부

Claims (10)

  1. 호두가 위치되는 받침프레임(100)과,
    받침프레임(100)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200)과,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어 받침프레임(100)에 위치되는 호두를 가합하여 호두껍데기를 파손시키는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까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가로판(110)과,
    가로판(110)에 기립되게 형성되는 세로판(120)을 포함하며,
    가로판(110)에는 지지프레임(200)이 겹쳐진 상태로 결합되기 위한 가로결합부(113)가 형성되고,
    세로판(120)에는 지지프레임(200)이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한 세로결합부(121)가 형성되며,
    가로결합부(113) 및 세로결합부(121)는 각각 나사탭으로 구성되고,
    가로판(110)에는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가 관통되어서 포위되는 포위부(112)가 형성되며,
    지지프레임(200)을 가로판(110)에 결합시키거나 세로판(1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400)를 포함하며,
    결합부(400)는 지지프레임(200)의 관통홀(210)을 관통한 상태로 세로판(120)에 나사탭으로 구성되는 세로결합부(121)에 결합되거나 가로판(110)에 나사탭으로 구성되는 가로결합부(113)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까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프레임(100)은 양측에 위치되어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에 의해 파손되는 호두껍데기가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방지판(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까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호두껍데기파손부재(300)는
    받침프레임(100)쪽으로 하강하여서 받침프레임(100)에 위치되는 호두를 가압하여 파손시키는 가압부(310)와,
    지지프레임(200)에 고정되어 가압부(310)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320)와,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어 가압부(31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30)와,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어 승강구동부(330)의 하강동작을 정지시키는 스토퍼(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까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받침프레임(100)에는 호두가 안착되는 안착판(111)이 형성되고,
    안착판(111)은 호두의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오목홈이 형성되며,
    가압부(310)의 직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까기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가압부(310)는 단부에 구비되어 호두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호두고정부(315)를 포함하고,
    호두고정부(315)는 가압부(310)인 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되는 오목홈이나 요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까기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가압부(310)는 끝단에 가압팁(311)이 형성되고,
    가압부(310)는 가압팁(31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12)를 포함하며,
    높이조절부(312)는
    가압부(310)에 형성되는 가압나사탭(313)과,
    가압나사탭(313)에 나사결합되도록 가압팁(311)에서 돌출되는 가압나사축(3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까기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안내부(320)는 기립되는 지지프레임(200)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판재로 구성되면서 가압부(310)가 관통되어서 안내되는 안내홀(321)이 형성되고,
    스토퍼(340)는 안내부(320)의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기립되는 지지프레임(200)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판재로 구성되면서 가압부(310)가 관통되어서 이동되는 이동홀(3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까기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승강구동부(330)는
    지지프레임(200)에 설치되는 브래킷(331)과,
    브래킷(331)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링크(332)와,
    회전링크(332)의 타단에 고정되어 회전링크(33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333)와,
    회전링크(332)의 중간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가압부(310)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링크(3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까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가압링크(334)는 원호형태로 휘어지는 판재로 구성되어, 볼록하게 휘어진 부분이 스토퍼(340)에 걸려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까기 장치.
KR1020150164553A 2015-11-24 2015-11-24 호두까기 장치 KR20170060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53A KR20170060301A (ko) 2015-11-24 2015-11-24 호두까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53A KR20170060301A (ko) 2015-11-24 2015-11-24 호두까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301A true KR20170060301A (ko) 2017-06-01

Family

ID=5922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553A KR20170060301A (ko) 2015-11-24 2015-11-24 호두까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03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598A (ko) 2017-08-23 2019-03-06 송낙호 호두과피 제거장치
CN111387847A (zh) * 2020-03-06 2020-07-10 芮奕敏 一种杏仁压碎装置
KR102560492B1 (ko) 2022-09-05 2023-07-26 박정규 호두까기 집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598A (ko) 2017-08-23 2019-03-06 송낙호 호두과피 제거장치
CN111387847A (zh) * 2020-03-06 2020-07-10 芮奕敏 一种杏仁压碎装置
CN111387847B (zh) * 2020-03-06 2023-11-03 台州市柯氏电器有限公司 一种杏仁压碎装置
KR102560492B1 (ko) 2022-09-05 2023-07-26 박정규 호두까기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0301A (ko) 호두까기 장치
US7959967B2 (en) Tool to pierce and split a coconut
US6637685B1 (en) Pill crusher
CA3081920C (en) Soda machine pronged clamp
JP2009505122A (ja) 二つのクランプによって固定するコネクターを有するカメラ雲台
US10130217B2 (en) Nut cracker with mechanical advantage
KR101857740B1 (ko) 마네킹 헤드 고정용 클램프
KR20110083977A (ko) 약재 절단장치
KR200469977Y1 (ko) 미세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절단장치
TWM470619U (zh) 隨身杯與果汁機二合一結構
TW201600280A (zh) 切片器(二)
US2695642A (en) Reciprocating jaw nutcracker
TW201600279A (zh) 切片器(一)
AU2014100166A4 (en) Device for tamping coffee
JP5477646B2 (ja) 電動チャック
KR101711915B1 (ko) 절단 장치
KR101416221B1 (ko) 압력용기용 경판 면취기
KR101514568B1 (ko) 회전잠금이 가능한 위성체 조립치구 및 위성체 조립치구용 회전잠금장치
JP2011093039A (ja) 丸鋸切断機
CN201571392U (zh) 喂食架
KR20150077883A (ko) 목재 칩 가공용 자동 절단장치
US2133529A (en) Oyster opener
US20230236091A1 (en) Blade clamping device for microtome
JP2010263988A (ja) 錠剤除包装置
KR200479003Y1 (ko) 식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