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147B1 -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147B1
KR102531147B1 KR1020220120717A KR20220120717A KR102531147B1 KR 102531147 B1 KR102531147 B1 KR 102531147B1 KR 1020220120717 A KR1020220120717 A KR 1020220120717A KR 20220120717 A KR20220120717 A KR 20220120717A KR 102531147 B1 KR102531147 B1 KR 102531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food material
cutting
transmi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희
Original Assignee
박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희 filed Critical 박상희
Priority to KR102022012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송컨베이어의 이송거리를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동조절기를 구비하여 이송컨베이어에 의한 식재료의 이송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결국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식재료의 절단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자식이 아닌 기계식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식재료의 절단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습한 환경에서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고장이 잘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Food cutting device with manual adjustment of cutting length}
본 발명은 식재료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재료를 자동 절단하되 수동 조작에 의해 절단되는 식재료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이나 급식소 및 식품제조 공장 등에서는 음식을 만들기 위하여 고기, 야채 등을 포함하는 각종 식재료를 음식의 구성에 맞게 일정한 형태나 사이즈로 절단하는 기본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식재료 절단작업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많은 피로도를 유발시킨다.
이렇게 수작업에 의한 식재료의 절단작업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자동으로 식재료를 절단해주는 다양한 장치들이 제시되었다.
식재료를 자동으로 절단하는 장치들은 대부분 컨베이어벨트가 식재료를 이동시키면, 커터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식재료를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종래의 식재료 절단장치들은 식재료의 절단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커터의 상하방향 움직임 속도는 일정하기 유지하면서 컨베이어의 이송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하고 있는데, 컨베이어의 이송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자식 제어장치가 일측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식재료를 절단하는 음식점이나 식품 제조공장 등은 아무래도 주변환경을 청결히 하면서 식재료를 세척한 후 절단 작업을 수행하다 보니 다른 곳보다 습기가 많을 수밖에 없는 환경적 요인이 있고, 이러한 환경적 요인 때문에 전자식 제어장치에 습기에 의한 고장이 자주 발생하여 소비자들로부터 빈번한 AS 요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41170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식재료의 절단 작업은 자동으로 수행하되 식재료의 절단길이 조절은 전자식이 아닌 기계식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장발생 요인을 줄여 소비자들의 AS요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는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식재료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연결하여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체인과,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제1스플라인축과, 상기 제1스플라인축에 중앙이 관통되는 회동구와, 일단이 상기 회동구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와,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고정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커넥팅로드의 타단에 연결되는 수동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수동조절기는 회전시에 상기 커넥팅로드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회동구를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커넥팅로드가 밀리고 당겨지는 거리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이송컨베이어에 의한 식재료의 이송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절단날에 의한 식재료의 절단길이를 조절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동조절기는 후면이 상기 샤프트의 끝단과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되는 상하부블록과; 상기 상부블록과 하부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 옆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와; 상기 가이드봉에 관통되면서 상기 스크류에 나선결합되고, 상기 커넥팅로드의 타단이 전면에 연결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상부블록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스크류의 상단에 고정되어, 회전시에 상기 이동블록을 승강(昇降)시키는 회전노브;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노브에는 볼트가 관통 설치되고, 상기 볼트의 하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의 하단에는 볼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볼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원형을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모터축과 함께 회전되는 연결바와;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연결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단에 상기 절단날이 연결되는 제2링크;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3동력전달부와; 상기 제3동력전달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되는 식재료를 상측에서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3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스플라인축에 관통 설치되어 제1스플라인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회전기어와; 상기 제1회전기어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회전기어와; 상기 제1회전기어와 제2회전기어를 연결하여 제2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종동체인과; 상기 제2회전기어와 연결되는 제2회전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1보조기어와; 상기 제1보조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2보조기어와; 상기 제2보조기어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컨베이어에 연결됨으로써 가압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제2스플라인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압컨베이어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되는 측면패널과; 상기 측면패널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다수개가 설치되고, 어느 하나가 상기 제2스플라인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을 둘러싸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식재료를 가압하는 가압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는 작업자가 기구적 조립체인 수동조절기를 직접 조절하면 이송컨베이어에 의한 식재료의 이송속도가 조절되고, 식재료의 이송속도가 조절되면 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식재료의 절단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자방식이 아닌 작업자에 의한 수동작업 방식으로 식재료 절단길이를 조절하여 고장발생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노브를 회전시키면 볼이 다수의 삽입홈 중에서 특정 삽입홈 내에 삽입되고, 이를 이용하면 식재료의 절단길이가 얼마만큼 조절되는지를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모터와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 및 절단날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를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의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의 수동조절기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를 보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의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를 보인 도이며,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의 수동조절기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절단길이 수도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동력전달부(30)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3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식재료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40)와, 상기 구동모터(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50)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5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컨베이어(40)에 의해 이송되는 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날(60)과, 상기 구동모터(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3동력전달부(70)와, 상기 제3동력전달부(7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되는 식재료를 상측에서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와 부품들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측에 설치된 다리(11)에 회전 가능한 캐스터(1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20)는 이송컨베이어(40)와 절단날(60) 및 가압컨베이어(80)에 동력을 제공하여 이송컨베이어(40)와 절단날(60) 및 가압컨베이어(80)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30)는 구동기어(31)와, 상기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32)와, 상기 샤프트(32)에 설치되는 종동기어(33)와, 상기 구동기어(31)와 종동기어(33)를 연결하는 구동체인(34)과, 상기 이송컨베이어(40)에 연결되는 제1스플라인축(35)과, 상기 제1스플라인축(35)에 중앙이 관통되는 회동구(36)와, 일단이 상기 회동구(36)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37)와, 상기 샤프트(32)의 끝단에 고정되어 샤프트(32)와 함께 회전하는 수동조절기(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31)는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모터축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종동기어(33)는 샤프트(32)에 의해 중앙부분이 관통된다.
상기 구동체인(34)은 구동기어(31)와 종동기어(33)를 무한궤도 방식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구동기어(31)가 구동모터(20)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력은 구동체인(34)에 의해 종동기어(33)에 전달되어 종동기어(33)와 샤프트(32)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스플라인축(35)은 이송컨베이어(4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이송컨베이어(4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회동구(36)는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제1스플라인축(35)에 의해 중앙이 관통된다.
상기 커넥팅로드(37)는 일단이 회동구(3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수동조절기(3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팅로드(37)는 수동조절기(38)가 회전할 때 전후방향으로 왕복한다.
상기 수동조절기(38)는 샤프트(32)의 끝단에 결합되면서 커넥팅로드(37)의 타단에 연결되어, 샤프트(32)를 따라 회전할 때 커넥팅로드(37)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렇게 커넥팅로드(37)가 밀고 당겨지면 회동구(36)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을 한다.
이러한 수동조절기(38)는 커넥팅로드(37)가 밀고 당겨지는 거리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이송컨베이어(40)에 의한 식재료의 이송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절단날(60)에 의한 식재료의 절단길이를 조절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수동조절기(38)는 체결부(38a)와, 상기 체결부(38a)에 고정되는 상부블록(38b) 및 하부블록(38c)과, 상기 상부블록(38b)과 하부블록(38c)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38d)과, 상기 가이드봉(38d) 옆에 설치되는 스크류(38e)와, 상기 스크류(38e)에 나선결합되는 이동블록(38f)과, 상기 스크류(38e)의 상단에 고정되는 회전노브(38g)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38a)는 후면이 샤프트(32)의 끝단과 결합된다. 샤프트(32)의 끝단이 결합되는 체결부(38a)의 연결지점은 샤프트(32)의 중앙에서 하부블록(38c) 쪽으로 약간 치우친 지점이다.
상기 상부블록(38b)은 체결부(38a)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블록(38c)은 체결부(38a)의 하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블록(38b)과 하부블록(38c)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봉(38d)은 상단이 상부블록(38b)에 연결되고 하단이 하부블록(38c)에 연결된다.
상기 스크류(38e)는 가이드봉(38d)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이 상부블록(38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하부블록(38c)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이동블록(38f)은 가이드봉(38d)이 상하로 관통되고, 커넥팅로드(37)의 타단이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회전노브(38g)는 상부블록(38b)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스크류(38e)의 상단에 고정되어 회전시에 이동블록(38f)이 승강(昇降)된다. 즉 회전노브(38g)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블록(38f)이 상승하고 회전노브(38g)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블록(38f)이 하강한다.
이러한 회전노브(38g)는 볼트(38h)가 상하로 관통 설치되고, 볼트(38h)의 하단에는 스프링(38i)과 볼(38j)이 구비된다.
상기 볼트(38h)는 무두렌치볼트로서 회전노브(38g)를 상하로 관통한다.
상기 스프링(38i)은 회전노브(38g) 내부에 있으면서 볼트(38h)의 하단에 구비된다.
상기 볼(38j)은 스프링(38i)의 하단에 구비된다.
한편, 상부블록(38b)의 상면에는 삽입홈(38k)이 원형을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데, 볼(38j)이 삽입홈(38k)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노브(38g)를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볼(38j)은 다수의 삽입홈(38k) 중에서 특정 삽입홈(38k) 내에 삽입된다.
여기서 좀 더 부연하면, 회전노브(38g)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블록(38b)과 이동블록(38f)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이송컨베이어(40)에 의해 이송되는 식재료는 그 이송거리가 길고, 회전노브(38g)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블록(38b)과 이동블록(38f)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이송컨베이어(40)에 의해 이송되는 식재료는 그 이송거리가 짧아진다.
상기 이송컨베이어(40)는 고정틀(41)과 회전봉(42) 및 이송벨트(4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틀(41)은 프레임(10)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봉(42)은 고정틀(41)의 내부 하측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렇게 고정틀(41)에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봉(42) 중에서 절단날(60)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회전봉에 제1스플라인축(35)의에 관통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제1스플라인축(35)이 회전하면 관통된 회전봉(42)도 함께 회전되어 이송벨트(43)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송벨트(43)는 회전봉(42)을 둘러싸고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여 식재료를 절단날(60) 쪽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50)는 연결바(51)와, 상기 연결바(51)의 타단에 연결되는 회동축(52)과, 상기 회동축(52)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링크(53)와, 상기 제1링크(5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51)는 일단이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모터축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연결바(51)는 앞뒤로 전후진한다.
상기 회동축(52)은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연결바(51)의 타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회동축(52)은 연결바(51)가 앞뒤로 전후진하므로 일정각도 내에서 회동을 한다.
상기 제1링크(53)는 회동축(5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링크(53)는 회동축(52)이 회동을 하면 경사진 상태로 상하 전후진한다.
상기 제2링크(54)는 하단이 제1링크(53)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레임(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단에 절단날(60)이 설치된다. 즉 제1링크(53)가 상하로 움직이면 제2링크(54)도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따라서 절단날(60)도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이송컨베이어(40) 위에 있는 식재료가 일정길이로 절단된다.
상기 절단날(60)은 제2동력전달부(5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로 움직이면서 이송컨베이어(40)의 이송벨트(43) 위에 있는 식재료를 절단한다.
상기 제3동력전달부(70)는 제1회전기어(71)와, 상기 제1회전기어(71)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회전기어(72)와, 상기 제1회전기어(71)와 제2회전기어(72)를 연결하는 종동체인(73)과, 상기 제2회전기어(72)와 연결되는 제1보조기어(74)와, 상기 제1보조기어(74)와 치합되는 제2보조기어(75)와, 상기 제2보조기어(75)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2스플라인축(7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기어(71)는 이송컨베이어(40)의 옆쪽 프레임(10)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송컨베이어(40)의 회전봉(42)을 관통하는 제1스플라인축(35)에 관통되어 설치되어 제1스플라인축(35)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2회전기어(72)는 프레임(10)의 상면에 설치된 브라켓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종동체인(73)은 제1회전기어(7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회전기어(72)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1보조기어(74)는 제2회전기어(72)가 설치된 브라켓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제2회전기어(72)와 연결되어 제2회전기어(72)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한다.
상기 제2보조기어(75)는 제1보조기어(74)가 설치된 브라켓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제1보조기어(74)의 상측에서 제1보조기어(74)와 치합되어 회전한다.
상기 제2스플라인축(76)은 제2보조기어(75)가 설치된 브라켓을 관통하여 제2보조기어(75)의 중앙을 관통함으로써 제2보조기어(75)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제2스플라인축(76)은 가압컨베이어(80)에 연결되어 가압컨베이어(80)를 회전시킨다.
상기 가압컨베이어(80)는 이송컨베이어(40)에 의해 이송되는 식재료를 상측에서 가압하여 절단날(60)에 의한 식재료 절단시에 식재료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가압컨베이어(80)는 측면패널(81)과, 상기 측면패널(81)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봉(82)과, 상기 다수의 회전봉(82)을 둘러싸는 가압벨트(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패널(81)은 이송컨베이어(40)의 고정틀(41) 상측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봉(82)은 다수개가 측면패널(81)에 설치되는데 다수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제2스플라인축(76)에 관통되어 연결됨으로써 제2스플라인축(76)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가압벨트(83)는 이송컨베이어(40)의 이송벨트(43)에 의하여 이송되는 식재료를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의 작동모습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면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은 제1동력전달부(30)의 구동체인(34)을 거쳐 종동기어(33)와 샤프트(32)에 전달되고, 샤프트(32)를 통해 수동조절기(38)와 커넥팅로드(37) 및 회동구(36)에 전달된다.
회동구(36)에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회동구(36)는 일정각도 내에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반복되는 회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스플라인축(35)과 제1회전기어(71)도 회전을 하는데, 제1스플라인축(35)과 제1회전기어(71)는 회동구(36)가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할 때는 회전하지 않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을 할 때만 회동구(36)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이렇게 제1스플라인축(35)과 제1회전기어(7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이송컨베이어(40)의 회전봉(42)도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이송벨트(43)가 회전을 하면서 위에 놓인 식재료를 절단날(60) 쪽으로 이송시키며, 가압컨베이어(80)의 회전봉(8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가압벨트(83)가 회전을 하면서 이송벨트(43) 위의 식재료를 가압한다.
한편, 앞서 기재한 대로 회동구(36)는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의 회동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데, 반시계 방향의 회동상태에서 시계 방향의 회동으로 변동될 때 순간적으로 이송컨베이어(40)와 가압컨베이어(80)의 동작은 정지된다. 따라서 이송벨트(43) 위에 있는 식재료도 이송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정지된다.
이렇게 식재료가 정지된 그 짧은 순간에 절단날(60)이 제2링크(54)를 따라 하측으로 내려와서 식재료를 일정길이로 절단한다. 이렇게 식재료가 정지된 상태에서 절단날(60)에 의해 절단되므로, 이송벨트(43)가 정지되지 않고 계속 움직이는 상태에서 식재료가 절단되는 경우보다 식재료의 절단면은 훨씬 더 깨끗해진다.
그런데, 만약 식재료의 길이를 좀 더 길게 절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작업자는 수동조절기(38)의 회전노브(38g)를 손으로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블록(38f)이 상부블록(38b) 쪽으로 가깝게 이동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이동블록(38f)에 연결된 커넥팅로드(37)에 의해 회동구(36)의 회동각도가 더 커지고, 회동구(36)의 회동각도가 더 커지면 절단날(60)에 의한 식재료의 절단과 그 다음의 절단 사이에 이송컨베이어(40)의 이송벨트(43)가 더 많이 이동하여 식재료도 더 많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절단날(60)에 의한 식재료의 절단길이는 더 길어진다.
만약, 식재료의 절단길이는 더 짧게 하고 싶다면 수동조절기(38)의 회전노브(38g)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10: 프레임 11: 다리
11a: 캐스터 20: 구동모터
30: 제1동력전달부 31: 구동기어
32: 샤프트 33: 종동기어
34: 구동체인 35: 제1스플라인축
36: 회동구 37: 커넥팅로드
38: 수동조절기 38a: 체결부
38b: 상부블록 38c: 하부블록
38d: 가이드봉 38e: 스크류
38f: 이동블록 38g: 회전노브
38h: 볼트 38i: 스프링
38j: 볼 38k: 삽입홈
40: 이송컨베이어 41: 고정틀
42: 회전봉 43: 이송벨트
50: 제2동력전달부 51: 연결바
52: 회동축 53: 제1링크
54: 제2링크 60: 절단날
70: 제3동력전달부 71: 제1회전기어
72: 제2회전기어 73: 종동체인
74: 제1보조기어 75: 제2보조기어
76: 제2스플라인축 80: 가압컨베이어
81: 측면패널 82: 회전봉
83: 가압벨트

Claims (6)

  1. 프레임(10)에 설치된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동력전달부(30)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3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식재료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40)와, 상기 구동모터(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2동력전달부(50)와, 상기 제2동력전달부(5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컨베이어(40)에 의해 이송되는 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날(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30)는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31)와, 상기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샤프트(32)와, 상기 샤프트(32)에 설치되는 종동기어(33)와, 상기 구동기어(31)와 종동기어(33)를 연결하여 상기 샤프트(32)를 회전시키는 구동체인(34)과, 상기 이송컨베이어(40)에 연결되는 제1스플라인축(35)과, 상기 제1스플라인축(35)에 중앙이 관통되는 회동구(36)와, 일단이 상기 회동구(36)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37)와, 상기 샤프트(32)의 끝단에 고정되어 샤프트(32)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커넥팅로드(37)의 타단에 연결되는 수동조절기(3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수동조절기(38)는 회전시에 상기 커넥팅로드(37)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회동구(36)를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커넥팅로드(37)가 밀리고 당겨지는 거리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이송컨베이어(40)에 의한 식재료의 이송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절단날(60)에 의한 식재료의 절단길이를 조절하는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절기(38)는 후면이 상기 샤프트(32)의 끝단과 결합되는 체결부(38a)와;
    상기 체결부(38a)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되는 상하부블록(38b,38c)과;
    상기 상부블록(38b)과 하부블록(38c)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38d)과;
    상기 가이드봉(38d) 옆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38e)와;
    상기 가이드봉(38d)에 관통되면서 상기 스크류(38e)에 나선결합되고, 상기 커넥팅로드(37)의 타단이 전면에 연결되는 이동블록(38f)과;
    상기 상부블록(38b)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스크류(38e)의 상단에 고정되어, 회전시에 상기 이동블록(38f)을 승강(昇降)시키는 회전노브(38g);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노브(38g)에는 볼트(38h)가 관통 설치되고, 상기 볼트(38h)의 하단에는 스프링(38i)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38i)의 하단에는 볼(38j)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블록(38b)의 상면에는 상기 볼(38j)이 삽입되는 삽입홈(38k)이 원형을 이루며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50)는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20)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모터축과 함께 회전되는 연결바(51)와;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연결바(51)의 타단에 연결되는 회동축(52)과;
    상기 회동축(5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링크(53)와;
    상기 제1링크(5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단에 상기 절단날(60)이 연결되는 제2링크(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3동력전달부(70)와; 상기 제3동력전달부(7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이송되는 식재료를 상측에서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3동력전달부(70)는 상기 제1스플라인축(35)에 관통 설치되어 제1스플라인축(35)과 함께 회전하는 제1회전기어(71)와;
    상기 제1회전기어(71)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회전기어(72)와;
    상기 제1회전기어(71)와 제2회전기어(72)를 연결하여 제2회전기어(72)를 회전시키는 종동체인(73)과;
    상기 제2회전기어(72)와 연결되는 제2회전기어(72)와 함께 회전하는 제1보조기어(74)와;
    상기 제1보조기어(74)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2보조기어(75)와;
    상기 제2보조기어(75)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컨베이어(80)에 연결됨으로써 가압컨베이어(80)를 회전시키는 제2스플라인축(7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컨베이어(8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40)의 상측에 설치되는 측면패널(81)과;
    상기 측면패널(81)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다수개가 설치되고, 어느 하나가 상기 제2스플라인축(76)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봉(82)과;
    상기 회전봉(82)을 둘러싸고, 상기 이송컨베이어(40)에 의하여 이송되는 식재료를 가압하는 가압벨트(8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KR1020220120717A 2022-09-23 2022-09-23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KR102531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717A KR102531147B1 (ko) 2022-09-23 2022-09-23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717A KR102531147B1 (ko) 2022-09-23 2022-09-23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147B1 true KR102531147B1 (ko) 2023-05-10

Family

ID=8638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717A KR102531147B1 (ko) 2022-09-23 2022-09-23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1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002A (ko) * 1989-06-29 1991-01-29 이헌조 종자 발아기
KR101411709B1 (ko) 2012-10-31 2014-06-25 박상희 야채절단장치
KR101558820B1 (ko) * 2014-11-10 2015-10-08 서춘동 절입량 및 세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야채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002A (ko) * 1989-06-29 1991-01-29 이헌조 종자 발아기
KR101411709B1 (ko) 2012-10-31 2014-06-25 박상희 야채절단장치
KR101558820B1 (ko) * 2014-11-10 2015-10-08 서춘동 절입량 및 세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야채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709B1 (ko) 야채절단장치
KR101558820B1 (ko) 절입량 및 세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야채 절단기
US4163406A (en) Centering device for feeding articles to a food slicer
US7673575B2 (en) Soft goods slitter and feed system for quilting
EP2142694B1 (en) Improved soft goods slitter and feed system for quilting
US6736078B2 (en) Soft goods slitter and feed system for quilting
US7757602B2 (en) Product de-topper
JPS61152394A (ja) 丸太状巻き材切断用の自動刃物直径補償装置
KR101808767B1 (ko) 냉동육 고속 절단기
CN110640805B (zh) 一种根茎类中药材切片设备
KR102085551B1 (ko) 야채 절단기
KR102531147B1 (ko) 절단길이 수동조절이 가능한 식재료 절단장치
US2637057A (en) Machine for cleaning and scraping pallets of block molds
KR101449701B1 (ko) 순대 자동절단기
KR102056736B1 (ko)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
US4986155A (en) Cutting apparatus for extruded materials
US5313880A (en) Apparatus for dividing bread dough or the like
CN105690458A (zh) 纵横切割机
US4193431A (en) Fence slat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JP2600008B2 (ja) スライサー
KR200343565Y1 (ko) 갈비용 육류절단기
JP5992716B2 (ja) 牧草等ロールの細断装置
US20050263375A1 (en) Slip conveyor
CN220575992U (zh) 排废削底机
CN2882942Y (zh) 肉食品切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