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736B1 -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736B1
KR102056736B1 KR1020190122604A KR20190122604A KR102056736B1 KR 102056736 B1 KR102056736 B1 KR 102056736B1 KR 1020190122604 A KR1020190122604 A KR 1020190122604A KR 20190122604 A KR20190122604 A KR 20190122604A KR 102056736 B1 KR102056736 B1 KR 102056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utting
vegetables
bla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19012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8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cubes or the like
    • B26D3/185Grid like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 야채절단장치는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올려진 야채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본체부에 구성된 승강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야채를 절단하는 커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야채를 상측에서 가압하면서 상기 커터 측으로 이송시키는 가압컨베이어; 상기 커터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직각되게 설치되어, 상기 커터와 함께 연동하여 상하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커터에 의한 야채의 x방향 절단과 동시에, 상기 x방향에 직각인 y방향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여 야채를 복수 조각으로 절단하는 복수의 보조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 {auto vegetable cutting apparatus having up-down moving cutter for multi-piece cutting function}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 상에 놓여져 이송되는 야채를 상하 왕복 운동하는 커터가 소정간격으로 절단하는 자동 야채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야채를 상하 왕복 운동하면서 소정간격으로 절단하는 커터에 있어서, 이 커터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직각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날이 구비되어, 커터에 의해 절단되는 야채가 복수의 보조날에 의해 동시에 다수의 조각으로도 절단될 수 있는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음식 조리를 위해 야채를 썰고자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도마 위에 무우, 배추, 가지, 당근 등의 야채를 올려 놓고 한 손으로는 야채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칼을 쥐고 야채를 절단하였다.
또한, 대량 조리가 이루어지는 병원, 호텔, 요식업소, 급식업소 등에서는 다량의 야채가 소비되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야채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썰다보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야채만 별도로 썰어주는 인원을 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야채를 자동으로 절단해주는 야채절단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자동 야채절단장치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688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9435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585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88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170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 자동 야채절단장치는 야채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와,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야채를 절단하는 절단날과,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야채를 눌러주면서 절단날 측으로 송출시키는 가압컨베이어로 구성된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585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88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1709호에서는 전단날이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 하면서 이송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야채를 소정간격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자동 야채절단장치는 전단날이 단순히 일자형 단일날을 구비한 사각날 형태로만 이루어져 전단날이 한번의 상하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면 야채가 한 조각으로만 절단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전단날이 연속적으로 상하왕복 구동되어야만 야채를 여러조각으로 절단할 수 있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자동 야채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야채들은 절단된 절단야채 한조각을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추가 절단작업을 해야 하거나, 절단된 절단야채를 길이방향으로 다시 자동 야채절단장치에 공급하여 다수 조각으로 절단이 이루어지게 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688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9435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585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88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17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야채를 상하 왕복 운동하면서 소정간격으로 절단하는 커터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직각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보조날을 구비하여, 커터에 의한 야채의 x방향 절단과, 복수의 보조날에 의한 x방향과 직각인 y방향 절단이 동시에 이루어져, 1회의 상하왕복 커팅동작에 의해 야채가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될 수 있는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올려진 야채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본체부에 구성된 승강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야채를 절단하는 커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야채를 상측에서 가압하면서 상기 커터 측으로 이송시키는 가압컨베이어; 상기 커터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직각되게 설치되어, 상기 커터와 함께 연동하여 상하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커터에 의한 야채의 x방향 절단과 동시에, 상기 x방향에 직각인 y방향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여 야채를 복수 조각으로 절단하는 복수의 보조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보조날 각각은, 후단에는 끼움결합편이 구비되어, 상기 끼움결합편이 상기 커터 하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커터의 하부 전면으로부터 직각되게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날결합부; 상기 날결합부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날결합부 보다 전방으로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야채를 상기 커터의 절단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날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날부의 후단에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터 하부의 메인날에 형성된 경사부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밀착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날부의 전단에는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져 상기 날결합부에 대해 상기 절단날부의 전후 폭을 증가시키는 제1경사확장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1경사확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져 상기 절단날부의 전후 폭을 더욱 증가시키는 제2경사확장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야채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판넬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압컨베이어는, 상기 커버판넬부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 후단부에 상기 구동롤러 양측의 롤러축이 관통되어, 상기 구동롤러 양측의 롤러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판; 한 쌍의 회동판 각각의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회동판에 대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종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를 감싸고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야채를 눌러주면서 상기 커터 측으로 압송시키는 가압이송벨트; 상기 회동판과 상기 커버판넬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동판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압이송벨트가 상기 야채를 누르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편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 양측의 롤러축에 대해 상기 한 쌍의 회전편의 전단부를 상부로 회동시켜 상기 가압이송벨트의 전단부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대해 강제적으로 벌어지도록 조작하는 조작바;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하 왕복 동작하면서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야채를 절단하는 커터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직각되게 보조날들이 구비되어, 커터에 의해 야채가 x방향으로 절단됨과 동시에 복수의 보조날에 의해 x방향과는 직각인 y방향으로 절단되어, 야채가 한번의 절단동작에 의해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절단된 절단야채를 길이방향을 추가로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야채의 보다 신속한 조각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절단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야채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야채절단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야채절단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야채절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동작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커터를 상하왕복 구동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야채절단장치의 커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커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커터의 보조날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야채절단장치에서 이송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야채절단장치는 본체부(101), 이송컨베이어(120), 커터(131), 가압컨베이어(1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체부(101)는 지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이송컨베이어(120), 커터(131), 가압컨베이어(160) 등의 구성들이 지면에 대해 소정 높이에 설치되게 하는 프레임으로서 기능을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송컨베이어(120)는 본체부(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무우, 고추, 배추, 가지 등의 절단할 야채를 커터(131) 측으로 이송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체부(101)의 상부에는 폭방향 양측에 이송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야채가 측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하는 기능과 더불어 이송컨베이어(120)의 후방 구동롤러(121)와, 전방 종동롤러(12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커버판넬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120)는 후방 구동롤러(121), 전방 종동롤러(123), 이송벨트(12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후방 구동롤러(121)는 본체부(101)의 후방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후방 구동롤러(121)의 양측에 구비된 구동축(122)이 커버판넬부(115)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방 종동롤러(123)는 본체부(101)의 전방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전방 종동롤러(123)의 양측에 구비된 종동축(124)이 커버판넬부(115)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송벨트(125)는 후방 구동롤러(121)와 전방 종동롤러(123)를 감싸, 구동롤러(121)의 회전구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후방 구동롤러(121)의 구동축(122)은 본체부(101)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구동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구동축(122)을 회전시킴으로 후방 구동롤러(121)를 회전구동시켜 이송컨베이어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컨베이어(121)의 구성 및 동작 원리는 통상의 벨트컨베이어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터(131)는 좌우 폭방향으로 긴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야채가 절단될 수 있도록 점점 날카롭게 경사진 메인날(133)이 구성된다.
커터(131)는 이송컨베이어(121)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121)로부터 이송되어 공급되어지는 야채를 상하왕복동작하면서 야채를 연속적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커터(131)는 본체부(101)에 구성된 승강구동부(140)에 의해 상하왕복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승강구동부(140)는 모터의 회전을 커터(131)의 상하왕복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다양한 형태의 크랭크(crank)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승강구동부(140)는 본체부(101)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41)와, 본체부(101) 내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수직가이드봉(143)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로 설치되는 승강부재(142)와, 상기 승강부재(142)로부터 본체부(101)를 관통하여 본체부(101) 상부로 돌출되며, 상단부에 커터(131)의 양측단에 고정설치되는 연결바(148)와, 원형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며 구동모터(14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측부의 돌출부(145a)에 이동휠(145aa)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디스크(145)와, 승강부재(142)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바(147)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휠(145aa)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레일홈(146a)이 형성된 레일바(14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모터(141)의 구동에 의해 회전디스크(145)가 회전하면, 이동휠(145aa)이 레일홈(146a)을 타고 이동하면서, 레일바(146)를 상하로 승강시키고, 이에 따라, 레일바(146)의 승강과 함께 승강부재(142)가 상하 왕복운동하면서 승강부재(142)와 연결바(148)에 의해 연결된 커터(131)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터(131)가 승강구동부(140)의 구동에 따라 상하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터(131)의 상하왕복 동작에 따라 이송컨베이어(120)로부터 공급되는 야채가 연속적으로 슬라이스 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가압컨베이어(160)는 이송컨베이어(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아채를 상측에서 가압하면서 커터(131)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압컨베이어(160)는 구동롤러(161), 회동판(163), 종동롤러(165), 가압이송벨트(166), 탄성스프링(167)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롤러(161)는 양측에 롤러축(161a)을 구비하여, 롤러축(161a)이 커버판넬부(151)의 상측에 구비된 회전지지부(11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구동롤러(161)는 커버판넬부(117)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가압컨베이어(160)의 구동롤러(161)도 이송컨베이어(120)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1) 내에 구비된 컨베이어 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롤러(161)가 회전됨으로써, 가압컨베이어(160)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동판(163)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구동롤러(161)의 롤러축(161a) 관통되어 롤러축(161a)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종동롤러(165)는 양측의 축(165a)이 한 쌍의 회동판(163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이송벨트(166)는 구동롤러(161)와 종동롤러(165)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구동롤러(161)의 회전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회전하면서 이송컨베이어(120)에 의해 이송되는 야채(k)를 눌러주면서 커터(131)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탄성스프링(167)은 회동판(163)과 커버판넬부(115)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회동판(163)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가압이송벨트(166)가 야채(k)를 누르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모터의 구동에 따른 구동롤러(161)의 회전에 따라 가압이송벨트(166)가 이송컨베이어(120)의 이송벨트(125)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탄서으프링(167)의 탄성력에 의해 아채(k)를 눌러주면서 커터(131) 측으로 압송시켜줌으로써, 아채를 보다 안정적으로 커터(131)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회동편(163)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바(168)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바(168)의 후단을 사용자가 누름조작하면, 구동롤러(161)의 롤러축(161)에 대해 한 쌍의 회동편(163)의 전단부가 상부로 회동되면서 가압이송벨트(166)의 전단부가 이송컨베이어(120)에 대해 강제적으로 벌어지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압컨베이어(160)는 가압이송벨트(166)를 눌러 가압이송벨트(166)를 팽팽하게 하는 장력조절롤러(171)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회동판(163)을 연결하도록 회전지지축(172)이 설치되며, 이 회전지지축(172)이 장력조절롤러(171)의 중심을 관통하여, 장력조절롤러(171)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장력조절롤러(171)는 가압이송벨트(166)의 상면을 눌러 가압이송벨트(166)가 팽팽하게 하여 장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각각의 회동판(163)에는 상하로 형성된 장공(163b)이 각각 관통형성되며, 이 각각의 장공(163b)은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지지축(172)의 양측부는 각각의 장공(163b)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회동판(163)의 상측에 돌출형성된 돌출편(163a)에 위치조절볼트(175)가 관통하는 형태로 나사체결되며 위치조절볼트(175)의 하단이 회전지지축(172)의 측부에 회전지지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위치조절볼트(17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편(163a)에 대해 일방향으로 나사체결되면서 하부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회전지지축(172)이 장공(163b)의 하부로 위치이동됨과 함께 장력조절로러(171)도 하부로 이동되어 가압이송벨트(166)를 더욱 강하게 눌러 장력이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위치조절볼트(175)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편(163a)에 대해 타방향으로 나타사체결되면서 상부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회전지지축(172)이 장공(163b)의 상부로 위치이동됨과 함께 장력조절롤러(171)도 상부로 이동되어 가압이송벨트(166)를 보다 약하게 눌러 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120)와 가압컨베이어(160)에 의해 야채가 커터(131) 측으로 공급되고, 커터(131)가 상하 왕복 동작하여 야채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커터(131)은 이송컨베이어(120)와 가압컨베이어(160)에 의해 공급되는 야채(k)를 x방향으로 절단시킬 수 있으며, 커터(131)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지각되게 복수의 보조날(137)이 결합설치되어, 커터(131)의 메인날(133)에 의한 x방향 절단과 함께 복수의 보조날(137)에 의해 x방향과 직교되는 y방향 절단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커터(131)의 상하 1회 왕복 운동에 의해서도 야채가 복수조각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자동 야채절단장치는 상하 왕복 운동하는 커터(131)의 전단면에 소정간격으로 직각되게 복수의 보조날(137)이 설치됨으로써, 커터(131)에 의한 야채의 x방향 절단과, 복수의 보조날(137)에 의한 x방향과 직각인 y방향 절단이 동시에 이루어져, 1회의 상하왕복 커팅동작에 의해 야채가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자동절단장치에 절단된 야채를 별도 추가작업으로 조각화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비효율적인 면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커터(131)와 보조날(137)의 결합구조 및 보조날(137)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2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터(131)는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결합홀(135)이 형성되며, 양측단부에는 연결바(148)의 상단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32)이 형성된다.
복수의 보조날(137)은 날결합부(138)와 절단날부(139)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날결합부(138)는 후단에는 끼움결합편(138a)이 구비되어, 끼움결합편(138a)이 커터(131)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홀(135)에 끼움결합되며, 커터(131)의 하부 전면으로부터 직각되게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날결합부(138)의 끼움결합편(138a)이 결합홀(138)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용접방식의 결합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단날부(139)는 날결합부(138)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날결합부(138) 보다 전방으로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커터(131)에 의해 절단된 절단야채를 커터(131)의 메인날(133)에 의한 절단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절단이 이루어지게 한다.
절단날부(139)의 후단은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커터(131)의 메인날(133)의 경사면(133a)과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밀착부(139aa)가 구성된다.
절단날부(139)의 전단은 수직한 날결합부(138)의 전단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져 날결합부(138)에 대해 절단날부(139)의 전후 폭을 증가시키는 제1경사확장부(139b)가 형성되고, 이 제1경사확장부(139b)의 하단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져 절단날부(139)의 전후 폭을 더욱 증가시키는 제2경사확장부(139c)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경사확장부(139b)는 수직방향에 대해 30~60도의 각도(θ1)로 이루어지고, 제2경사확장부(139b)는 수직방향에 대해 10~40도의 각도(θ2)로 구성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제1경사확장부(139b)는 수직방향에 대해 40~50도의 각도(θ1)로 이루어지고, 제2경사확장부(139b)는 수직방향에 대해 20~25도의 각도(θ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조날(137)은 날결합부(138)가 절단날부(139)에 비해 전후폭이 얇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단날부(139)에 의해 절단된 야채조각이 보조날(137)에 달라붙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특히, 제1경사확장부(139b)는 수직방향에 대해 40~50도 범위의 경사각도로 이루어지고, 제2경사확장부(139c)는 제1경사확장부(139b)의 경사도에 비해 작은 20~25도의 경사각도로 이루어짐으로써, 절단날부(139)의 양호한 절단능력을 양호하면서도 절단된 야채조각이 보조날(137)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탈락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경사확장부(139b)와 제2경사확장부(139c)의 각각의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설계해서 절단날부(139)의 커팅능력 및 탈락성의 성능평가를 하고, 이를 통해 최적의 경사각도를 도출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1경사확장부(139b)는 수직방향에 대해 45도의 경사각도로 이루어지고, 제2경사확장부(139c)는 22도의 경사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1)의 전단부에 커터(131) 및 보조날(137)에 의해 절단된 조각야채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가이드판(150)이 구성되되, 이 배출가이드판(150)의 양측에 수직판(152)을 설치하고, 이 양측의 수직판(152) 상단을 연결하는 투명한 재질의 안전판넬(154)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커터(131) 및 보조날(137) 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뿐 아니라, 투명한 안전판넬(154)을 통해 절단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커터(131) 및 보조날(137)의 위생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세척 등의 위생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120)의 이송벨트(125)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측 커버판넬부(115)의 후단부 외면에는 구동롤러(121)의 구동축(12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84)이 설치되되, 이 베어링(184)은 커버판넬부(115)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관통형성되는 레일홀(183)을 따라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커버판넬부(115)로부터 돌출된 지지편(185)에 조절나사(185)가 관통되면서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조절나사(185)의 말단부는 베어링(184)과 접하여 베어링(184)을 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조절나사(184)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절나사(184)가 베어링(184)을 밀도록 전진시킴으로써, 후방 구동롤러(121)가 전방 종동롤러(123)에 대해 더 멀어지도록 후퇴시킴으로써, 이송벨트(125)의 장력을 증가시켜 이송벨트(125)의 노후화에 의해 이송벨트(125)가 느슨해지는 현상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미 참조부호 108은 본 발명의 자동 야채절단장치의 이송컨베이어(120), 가압컨베이어(160), 커터(131)를 구동하기 위한 승강구동부(1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 등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1...본체부
120...이송컨베이어
121...후방 구동롤러
123...전방 종동롤러
125...이송벨트
131...커터
133...메인날
140...승강구동부
141...구동모터
142...승강부재
143...수직가이드봉
145..회전디스크
146...레일바
147...연장바
160...가압컨베이어
161...구동롤러
163...회동판
165...종동롤러
166...가압이송벨트
167...탄성스프링
171...장력조절롤러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올려진 야채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본체부에 구성된 승강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야채를 절단하는 커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야채를 상측에서 가압하면서 상기 커터 측으로 이송시키는 가압컨베이어;
    상기 커터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직각되게 설치되어, 상기 커터와 함께 연동하여 상하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커터에 의한 야채의 x방향 절단과 동시에, 상기 x방향에 직각인 y방향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여 야채를 복수 조각으로 절단하는 복수의 보조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조날 각각은,
    후단에는 끼움결합편이 구비되어, 상기 끼움결합편이 상기 커터 하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커터의 하부 전면으로부터 직각되게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 날결합부;
    상기 날결합부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날결합부 보다 전방으로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야채를 상기 커터의 절단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자동 야채절단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부의 후단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터 하부의 메인날에 형성된 경사부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밀착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자동 야채절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부의 전단에는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져 상기 날결합부에 대해 상기 절단날부의 전후 폭을 증가시키는 제1경사확장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1경사확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져 상기 절단날부의 전후 폭을 더욱 증가시키는 제2경사확장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자동 야채절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야채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판넬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압컨베이어는,
    상기 커버판넬부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롤러;
    후단부에 상기 구동롤러 양측의 롤러축이 관통되어, 상기 구동롤러 양측의 롤러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회동판;
    한 쌍의 회동판 각각의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회동판에 대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종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를 감싸고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야채를 눌러주면서 상기 커터 측으로 압송시키는 가압이송벨트;
    상기 회동판과 상기 커버판넬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동판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압이송벨트가 상기 야채를 누르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자동 야채절단장치.


KR1020190122604A 2019-10-02 2019-10-02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 KR10205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604A KR102056736B1 (ko) 2019-10-02 2019-10-02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604A KR102056736B1 (ko) 2019-10-02 2019-10-02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736B1 true KR102056736B1 (ko) 2019-12-17

Family

ID=6905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604A KR102056736B1 (ko) 2019-10-02 2019-10-02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1500A (zh) * 2021-02-07 2021-06-25 嵊州市浙江工业大学创新研究院 一种家庭厨房蔬菜切片切丝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709B1 (ko) * 2012-10-31 2014-06-25 박상희 야채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709B1 (ko) * 2012-10-31 2014-06-25 박상희 야채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1500A (zh) * 2021-02-07 2021-06-25 嵊州市浙江工业大学创新研究院 一种家庭厨房蔬菜切片切丝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709B1 (ko) 야채절단장치
KR102056736B1 (ko)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
KR20200043821A (ko) 식품 자동 슬라이서
KR20200043819A (ko) 식품 슬라이서
US8082830B2 (en) Food product slicer and associated interlock system
CN211322826U (zh) 一种生牛肉切割机
KR102219265B1 (ko) 깍두기용 무 가공장치
US6647850B2 (en) Food slicing apparatus
US20070022860A1 (en) Apparatus for slicing vegetable or fruit
KR101783328B1 (ko) 냉동육 절단장치
KR200399808Y1 (ko) 육류 절단기
KR20190002222U (ko) 식품 절단기
JP6308481B1 (ja) スライス装置およびこのスライス装置を用いたスライス方法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US7832317B2 (en) Gage plate alignment mechanism and method for a food slicer
KR20020077954A (ko) 육절기
KR102547367B1 (ko) 냉동식육 슬라이스롤 절단 가공방법 및 그 절단장치
US7004056B2 (en) Cutting machine
KR100455407B1 (ko) 고기 절단장치
US3401728A (en) Potato slicer
KR20220077306A (ko)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
DE102009009657A1 (de) Multischneider-Küchenhäckse
KR101595480B1 (ko) 돼지 머릿고기 생육 절단기
WO1998030369A1 (fr) Appareil pour decouper des coins de legume
KR102322316B1 (ko) 식재료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