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306A -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306A
KR20220077306A KR1020200165941A KR20200165941A KR20220077306A KR 20220077306 A KR20220077306 A KR 20220077306A KR 1020200165941 A KR1020200165941 A KR 1020200165941A KR 20200165941 A KR20200165941 A KR 20200165941A KR 20220077306 A KR20220077306 A KR 20220077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aft
unit
gea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823B1 (ko
Inventor
양영진
김형찬
고정범
홍영선
오금윤
김영우
김찬훈
오승진
박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5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8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2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 B26D1/29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with cutting member mounted in the plane of a rotating disc, e.g. for slicing b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2015/008Sorting of fruit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을 이송부와 제1, 2 블레이드부 사이에 위치시키고, 제1, 2 블레이드부가 감귤을 슬라이싱하며, 슬라이싱된 감귤을 외부로 배출하는 전체적인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칼이나 슬라이서를 이용하여 직접 감귤을 슬라이싱하는 것보다 노동력을 감소시키고 구현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감귤을 효과적으로 슬라이싱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A citrus automatic slicing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귤을 자동으로 슬라이싱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식당에서는 조리시 야채나 과일을 썰기 위해 조리용 칼을 사용하게 되는데, 조리용 칼의 경우에는 실수로 손을 베일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야채나 과일을 썰기에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힘을 들이지 않고 안전하게 야채나 과일을 썰 수 있는 조리용 슬라이서가 개발되어 가정이나 식당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리용 슬라이서는 여러가지 형태가 있으나 대표적인 구성은 야채나 과일이 슬라이딩되는 미끄럼판의 일측에 칼날 또는 채썰기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칼날과 채썰기용 돌기는 일체형 또는 착탈형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조리용 슬라이서는, 칼날의 절삭각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야채나 과일의 종류나 단단한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썰지 못하고 한 가지 형태로밖에 썰 수 없다. 따라서, 식당에서와 같이 그 사용빈도가 빈번한 곳에서는 칼날의 절삭각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조리용 슬라이서를 구비해야만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과일 중 감귤은 직접 껍질을 까서 과육을 먹거나 감귤청을 담그기 위해 슬라이싱하여 얇은 형태로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사람이 직접 칼을 이용하여 감귤을 얇게 썰어서 슬라이싱하여 사용했으나, 이러한 방식은 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과 더불어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고, 사람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반자동 슬라이서나 자동 슬라이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93637호에 개시된 동심원통형 절단장치는 원통케이스에 식재료를 투입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손잡이에 결합된 칼날지지대에 형성된 원통칼날이 식재료를 절단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딱딱한 식재료가 투입될 경우, 이를 절삭하기 위한 힘을 가해야만 식재료의 절삭이 가능하므로 그에 따라 많은 힘이 소요되고, 부드러운 식재료가 투입될 경우, 절삭 과정에서 식재료가 뭉개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종래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3114호에 개시된 자동 슬라이서는 식재료가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고, 투입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모터 및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절단날이 식재료를 슬라이싱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절단날이 원뿔형상으로 회전함에 따라 식재료를 평평하게 슬라이싱하는 것이 아닌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슬라이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3637호(2012.08.23.)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3114호(2015.04.01.)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2 블레이드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감귤을 자동으로 슬라이싱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감지센서 및 감속센서를 이용하여 감귤을 이송시키는 투입 컨베이어를 제어함에 따라 복수 개의 감귤을 제1, 2 블레이드부로 제공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기립되어 연결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귤을 슬라이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로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와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감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의 내부로 통과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와 인접하면서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감귤의 투입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고정부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이송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이송부를 상기 감귤의 투입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기립된 한 쌍의 기립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기립부재를 연결하는 기립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내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가 위치하도록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기립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지지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모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는 제1 블레이드부 및 제2 블레이드부이고, 상기 제1 블레이드부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제1 블레이드날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를 등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 샤프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제2 블레이드날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를 등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의 외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여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블레이드의 직경은 137mm이고,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 사이의 거리는 1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블레이드의 두께는 1mm이고, 상기 제1, 2 스페이서의 두께는 6mm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 사이의 제1 이격거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 사이의 제2 이격거리는 6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부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샤프트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 회전지지부재;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샤프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페이서 중 최상부에 위치한 제1 스페이서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로크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 회전지지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샤프트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3 회전지지부재; 상기 제2 회전지지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샤프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4 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페이서 중 최상부에 위치한 제2 스페이서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로크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중심부에 상기 제1 샤프트의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일측 및 상기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기어의 외주부에 위치한 제1 톱니와 체결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의 일측 및 상기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어의 외주부에 위치한 제2 톱니와 체결되는 제3 기어; 및 중심부에 상기 제2 샤프트의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3 기어의 일측 및 상기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기어의 외주부에 위치한 제3 톱니와 체결되는 제4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 기어의 중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풀리축; 상기 제2 기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중심부로 상기 풀리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벨트가 체결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력을 상기 벨트로 전달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력을 상기 벨트로 전달하면, 상기 벨트가 회전하면서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고, 상기 풀리축과 상기 제2 기어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기어, 상기 제3 기어 및 상기 제4 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감귤을 슬라이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평판의 일측이 반호로 오목하게 함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가 적층된 상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플레이트의 타측을 둘러싸면서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의 일측은 상기 감귤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 중 최하부에 위치한 이송 플레이트의 하면 및 상기 결합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이송부가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이송부를 안내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전술한 바에 따른 자동 슬라이싱 장치; 지면을 지지하도록 기립되어 상기 자동 슬라이싱 장치가 장착되는 투입 하우징 및 상기 투입 하우징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감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 사이로 이송시키는 투입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투입 컨베이어부 및 상기 투입 컨베이어부와 수직하게 결합되는 배출 하우징 및 상기 배출 하우징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에 의해 슬라이싱된 감귤을 배출시키는 배출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장치;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감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확인센서 및 상기 투입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감귤의 속도를 감지하는 감속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 컨베이어는 상기 감귤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입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투입 하우징의 타측까지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로 삽입되어 상기 감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 사이로 통과시키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는 상기 감귤을 슬라이싱하고, 상기 배출 컨베이어는 상기 슬라이싱된 감귤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배출 하우징의 타측까지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입 컨베이어는 기설정된 최고이동속도로 상기 감귤을 이송시키고, 상기 감속센서는 상기 투입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감귤을 감지하면, 상기 투입 컨베이어로 감속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투입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센서는 상기 감속된 이동속도로 이송되는 감귤을 감지하면, 상기 투입 컨베이어로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투입 컨베이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제1, 2 블레이드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감귤을 자동으로 슬라이싱함에 따라 구현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감귤을 슬라이싱하고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위치감지센서 및 감속센서를 이용하여 감귤을 이송시키는 투입 컨베이어를 제어함에 따라 복수 개의 감귤을 제1, 2 블레이드부로 제공하여 감귤의 슬라이싱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블레이드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블레이드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블레이드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5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제1 블레이드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블레이드 모듈의 제1, 2 블레이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블레이드 모듈의 제1, 2 블레이드 및 제1, 3 회전지지부재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가이드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서 제1, 2 블레이드부와 이송 플레이트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후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서 제1 블레이드부와 이송 플레이트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3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감귤이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4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이송부가 제1, 2 블레이드부로 삽입되면서 감귤을 제1, 2 블레이드부의 내부로 위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5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이송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1, 2 블레이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슬라이싱된 감귤을 배출시키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300)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300)는 블레이드 모듈(100) 및 가이드모듈(200)을 포함한다.
블레이드 모듈(100)은 지지부(110),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 동력부(140) 및 동력전달부(1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블레이드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블레이드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블레이드 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110)는 지지부재(111), 블레이드 지지부재(112) 및 모터 지지부재(11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된 한 쌍의 기립부재 및 한 쌍의 기립부재를 연결하는 기립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지지부재(111)는 블레이드 지지부재(112) 및 모터 지지부재(113)를 지지한다.
블레이드 지지부재(112)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가 위치하도록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기립부재의 상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지지부재(112)는 창틀과 같이 내부가 뚫려있고 테두리로 구성되는 프레임 형상을 가진다. 상기한 블레이드 지지부재(112)는 지지부재(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를 내부에 위치시킨다.
모터 지지부재(1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지지부재(11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지지부재(111)와 결합된다.
도 5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제1 블레이드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블레이드 모듈의 제1, 2 블레이드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블레이드 모듈의 제1, 2 블레이드 및 제1, 3 회전지지부재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는 지지부(110)의 내부에 기립되어 연결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귤을 슬라이싱한다.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는 제1 블레이드부(120) 및 제2 블레이드부(13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블레이드부(120)는 제1 샤프트(121), 제1 블레이드(122), 제1 스페이서(123), 제1 회전지지부재(124), 제2 회전지지부재(125) 및 제1 로크너트(126)를 포함한다.
제1 샤프트(121)는 블레이드 지지부재(112)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기립되어 있다. 또한, 제1 샤프트(121)는 환봉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5의 (a), (b)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블레이드(122)는 제1 샤프트(121)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제1 블레이드날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블레이드(122)의 직경(d)는 137mm이고, 제1 블레이드(122)의 두께(t)는 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블레이드(122)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제1 블레이드날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 사이에는 제1 스페이서(123)이 위치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가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제1 블레이드(122)는 제1 샤프트(12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감귤을 슬라이싱하게 된다.
제1 스페이서(123)는 제1 샤프트(121)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 사이에 위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를 등간격으로 이격시킨다. 이를 위한 제1 스페이서(123)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1 스페이서(123)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를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시킴에 따라 감귤이 슬라이싱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회전지지부재(124)는 블레이드 지지부재(112)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1 샤프트(121)의 상부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지지부재(124)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는 관통되어 제1 샤프트(121)가 삽입된다.
상기한 제1 회전지지부재(124)는 제1 샤프트(121)를 x축, y축 및 z축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시키고 회전만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제2 회전지지부재(125)는 블레이드 지지부재(112)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 샤프트(121)의 하부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지지부재(125)는 제1 회전지지부재(124)와 동일하게 제1 샤프트(121)를 x축, y축 및 z축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시키고 회전만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때, 제1 샤프트(121)의 하부는 제2 회전지지부재(125)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제1 로크너트(126)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121)에 삽입되고 제1 회전지지부재(124)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페이서(123) 중 최상부에 위치한 제1 스페이서(123)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제1 로크너트(126)는 제1 회전지지부재(124)의 하부, 최상부에 위치한 제1 스페이서(123)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를 위한 제1 로크너트(126)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블레이드부(130)는 제2 샤프트(131), 제2 블레이드(132), 제2 스페이서(133), 제3 회전지지부재(134), 제4 회전지지부재(135) 및 제2 로크너트(136)를 포함한다.
제2 샤프트(131)는 제1 샤프트(121)와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블레이드 지지부재(112)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환봉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후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샤프트(121)와 제2 샤프트(131) 사이의 거리는 135mm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2 블레이드(122)의 직경은 137mm이므로 2mm가 서로 중첩된다. 이를 위한 제1 블레이드(122) 및 제2 블레이드(1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위아래로 위치하여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도 5의 (a), (b)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블레이드(132)는 제2 샤프트(131)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제2 블레이드날이 형성된다. 이때, 제2 블레이드(122)의 직경(d)는 137mm이고, 제2 블레이드(132)의 두께(t)는 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블레이드(132)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고 제2 블레이드날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 사이에는 제2 스페이서(133)이 위치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가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 사이의 제1 이격거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 사이의 제2 이격거리는 제1, 2 스페이서(123, 133)의 두께에 따라 6mm 이격되어 위치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의 외주부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 사이에 위치하여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상기한 제2 블레이드(132)는 제2 샤프트(13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감귤을 슬라이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2 블레이드(122, 132)의 직경(d)은 137mm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2블레이드의 두께는 1mm로 형성됨에 따라 감귤을 효과적으로 슬라이싱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133)는 제2 샤프트(131)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 사이에 위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를 등간격으로 이격시킨다. 이를 위한 제2 스페이서(133)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2 스페이서(133)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를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시킴에 따라 감귤이 슬라이싱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2 스페이서(123, 133)의 두께는 6mm로 형성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를 6mm 간격으로 이격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도 6mm 간격으로 이격시킨다.
제3 회전지지부재(134)는 제1 회전지지부재(124)와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블레이드 지지부재(112)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샤프트(131)의 상부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3 회전지지부재(134)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는 관통되어 제2 샤프트(131)가 삽입된다.
상기한 제3 회전지지부재(134)는 제2 샤프트(131)를 x축, y축 및 z축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시키고 회전만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제4 회전지지부재(135)는 제2 회전지지부재(125)와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블레이드 지지부재(112)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2 샤프트(131)의 하부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4 회전지지부재(135)는 제3 회전지지부재(134)와 동일하게 제2 샤프트(131)를 x축, y축 및 z축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시키고 회전만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이때, 제2 샤프트(131)의 하부는 제4 회전지지부재(135)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제2 로크너트(136)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샤프트(131)에 삽입되고 제3 회전지지부재(134)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페이서(133) 중 최상부에 위치한 제2 스페이서(133)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제2 로크너트(136)는 제3 회전지지부재(134)의 하부, 최상부에 위치한 제2 스페이서(133)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를 위한 제2 로크너트(136)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배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동력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생성하고 동력전달부(150)와 연결되어 생성된 회전력을 동력전달부(15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한 동력부(140)는 모터(141) 및 회전축(142)을 포함한다.
모터(141)는 모터 지지부재(113)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한다.
또한, 모터(141)에는 회전축(142)이 형성된다. 상기한 모터(141)는 생성된 회전력을 회전축(142)으로 전달하여 회전축(142)을 회전시킨다.
회전축(142)은 모터(141)와 연결되고 벨트(156)가 체결되어 모터(141)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벨트(156)로 전달한다. 이를 위한 회전축(142)의 일측은 벨트(156)가 회전하는 동안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와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를 회전시킨다. 이를 위한 동력전달부(150)는 제1 기어(151), 제2 기어(152), 제3 기어(153), 제4 기어(154), 풀리(155) 및 벨트(156)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기어(151)는 중심부에 제1 샤프트(121)의 하부가 결합되고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한다. 또한, 제1 기어(151)의 외주부에는 제1 톱니가 형성되어 제2 기어(152)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제2 톱니와 체결됨에 따라 제2 기어(152)가 풀리(155)에 의해 회전하면, 함께 회전한다.
이때, 제1 기어(151)는 제2 기어(15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기어(1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기어(15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샤프트(121) 및 제1 블레이드(12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152)는 제1 기어(151)의 일측 및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하고 제1 기어(151)의 외주부에 위치한 제1 톱니와 체결된다.
또한, 제2 기어(152)는 제3 기어(153)의 외주부에 위치한 제3 톱니와 체결됨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3 기어(153)를 회전시킨다.
아울러, 제2 기어(152)는 풀리에 형성된 풀리축과 결합됨에 따라 풀리와 함께 회전한다.
제3 기어(153)는 제2 기어(152)의 일측 및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하고 제2 기어(152)의 외주부에 위치한 제2 톱니와 체결된다.
또한, 제3 기어(153)는 제4 기어(153)의 외주부에 위치한 제4 톱니와 체결됨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4 기어(154)를 회전시킨다.
제4 기어(154)는 중심부에 제2 샤프트(131)의 하부가 결합되고 제3 기어(153)의 일측 및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하며 제3 기어(153)의 외주부에 위치한 제3 톱니와 체결된다.
전술한 제1 기어(151)는 제2 기어(152)와 체결되고, 제2 기어(152)는 제3 기어(153)와 체결되며, 제3 기어(153)는 제4 기어(154)와 체결되어 유기적으로 동작함에 따라 제1 샤프트(121)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 제2 샤프트(13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감귤을 슬라이싱하게 된다.
풀리(155)는 제2 기어(152)의 하부에 위치하고 중심부로 풀리축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풀리축은 제2 기어(152)의 중심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풀리(155)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2 기어(152)로 전달한다.
또한, 풀리(155)의 외주부는 풀리(155)의 중심방향으로 함입되어 벨트(156)가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벨트(156)는 풀리(155)의 외주면 및 회전축(142)에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풀리축은 회전축(142)과 평행하도록 위치하고, 풀리(155)와 모터(14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벨트(156)는 풀리(155)의 외주면과 모터(141)의 일측에 연결되되, 팽팽하게 장력이 유지되도록 설치되어 모터(14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풀리(155)로 전달한다.
즉, 모터(141)의 동작에 의해 회전축(142)이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벨트(156)로 전달하면, 벨트(156)가 회전하면서 풀리(155)를 회전시킨다.
이후, 풀리축과 제2 기어(152)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제1 기어(151), 제3 기어(153) 및 제4 기어(154)를 회전시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감귤을 슬라이싱한다.
만약, 모터(141)에 의해 회전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벨트(156), 풀리(155) 및 제2 기어(152)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 기어(151)와 제3 기어(15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4 기어(15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151)에 연결된 제1 샤프트(12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12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4 기어(154)에 연결된 제2 샤프트(13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1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구비된 가이드모듈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가이드모듈(200)은 이송부(210), 고정부(220), 가이드부(230) 및 슬라이딩부(240)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서 제1, 2 블레이드부와 이송 플레이트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후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서 제1 블레이드부와 이송 플레이트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이송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와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감귤(10)을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의 내부로 통과시킨다. 이를 위한 이송부(210)는 결합부재(211) 및 이송 플레이트(212)를 포함한다.
결합부재(211)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212)가 적층된 상태로 적어도 하나의 이송플레이트(212)의 타측을 둘러싸면서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211)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플레이트(212) 중 적어도 일부인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재(211)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플레이트(212)를 이격시키면서 지지하기 위한 이격부재가 복수 개로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재(211)는 고정부(220)의 적어도 일부 상에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송 플레이트(212)는 평판의 일측이 반호로 오목하게 함입되고,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212)의 일측은 감귤(10)을 지지한 상태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즉, 상기한 이송 플레이트(212)의 함입부는 감귤(10)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감귤(10)을 슬라이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 형태로 형성되는 농작물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송 플레이트(2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220)는 이송부(210)와 인접하면서 이송부를 지지한다. 이를 위한 고정부(220)는 제1 고정부재(221) 및 제2 고정부재(222)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재(221)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212) 중 최하부에 위치한 이송 플레이트(212)의 하면 및 결합부재(211)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가이드부(230)와 결합되어 가이드부(230)에 고정된다.
상기한 제1 고정부재(221)는 후술되는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600)에 구비된 투입 컨베이어부(41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222)는 가이드부(230)를 지지하면서 가이드부(230)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부(230)를 안내한다.
또한, 제2 고정부재(222)는 제1 고정부재(221)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후술되는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600)에 구비된 투입 컨베이어부(41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재(222)의 상부에는 가이드부(230)가 결합된다.
가이드부(230)는 고정부(220)에 삽입되어 감귤(10)의 투입방향과 평행하게 고정부(220) 상에서 슬라이딩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부(240)는 이송부(210)와 가이드부(230)에 결합되어 가이드부(230)를 따라 이송부(210)를 감귤(10)의 투입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를 위한 슬라이딩부(240)는 슬라이딩부재(241) 및 연결부재(242)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재(241)는 가이드부(23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된다.
연결부재(242)는 제1 연결부재(242a) 및 제2 연결부재(242b)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재(242a)는 슬라이딩부재(241)의 상면에 결합되어 가이드부(23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241)와 함께 이동한다.
제2 연결부재(242b)는 제1 연결부재(242a)와 결합부재(211)의 상면을 연결한다. 이를 위한 제2 연결부재(242b)는 가이드부(230)와 수직하도록 배치된다.
상기한 제2 연결부재(242b)는 가이드부(230)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241) 및 제1 연결부재(242a)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부재(211) 및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212)를 슬라이딩시킨다.
2.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300)의 동작
이하,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감귤이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4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이송부가 제1, 2 블레이드부로 삽입되면서 감귤을 제1, 2 블레이드부의 내부로 위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5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에 이송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1, 2 블레이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슬라이싱된 감귤을 배출시키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이다.
우선, 도 13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귤(10)과 자동 슬라이싱 장치(300)가 준비된다. 이때, 감귤(10)은 이송부(210)와 제1, 2 블레이드부(120, 130) 사이에 위치된다.
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부(140) 및 동력전달부(150)가 동작함에 따라 제1, 2 블레이드부(120, 13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6에서는 제1 블레이드(1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블레이드(1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 도 14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10)가 감귤(10)과 접한 상태에서 제1, 2 블레이드부(120, 130)를 향하여 슬라이딩됨에 따라 감귤(10)을 제1, 2 블레이드부(120, 130) 사이로 밀어 넣어 통과시킨다. 이때, 감귤의 이송방향과 제1, 2 블레이드부(120, 130)의 회전에 의한 절삭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감귤(10)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슬라이싱할 수 있다.
다음, 도 1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2 블레이드부(120, 13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됨에 따라 감귤(10)이 제1, 2 블레이드부(120, 130)에 의해 완전히 슬라이싱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다음 감귤(10)의 슬라이싱 작업을 위해 이송부(21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3.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600)
이하,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600)은 전술한 바에 따른 자동 슬라이싱 장치(300), 컨베이어장치(400) 및 센서장치(50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장치(400)는 투입 컨베이어부(410) 및 배출 컨베이어부(420)를 포함한다.
투입 컨베이어부(410)는 투입 하우징(411) 및 투입 컨베이어(412)를 포함한다.
투입 하우징(411)은 지면을 지지하도록 기립되어 자동 슬라이싱 장치(30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투입 하우징(411)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하방향의 모서리에는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입 하우징(411)의 상부 타측에는 제1 고정부재(221) 및 제2 고정부재(222)가 결합된다.
상기한 투입 하우징(411)의 상부 양측에는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롤러가 형성되어 회전하고, 투입 하우징(411)의 상부에는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롤러를 둘러싸면서 투입 컨베이어 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감귤(10)을 이송시키는 투입 컨베이어(412)가 위치한다.
투입 컨베이어(412)는 투입 하우징(411)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감귤(10)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212)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 사이로 이송시킨다.
배출 컨베이어부(420)는 배출 하우징(421) 및 배출 컨베이어(422)를 포함한다.
배출 하우징(421)은 지면을 지지하면서 투입 컨베이어부(410)와 수직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배출 하우징(421)은 투입 컨베이어(411)와 유사하게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하방향의 모서리에는 프레임이 형성되며, 투입 하우징(411)과 수직하게 결합된다.
상기한 배출 하우징(421)의 상부 양측에는 한 쌍의 배출 컨베이어 롤러가 형성되어 회전하고, 배출 하우징(421)의 상부에는 한 쌍의 배출 컨베이어 롤러를 둘러싸면서 배출 컨베이어 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1, 2 블레이드부(120, 130)에 의해 슬라이싱된 감귤(10)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컨베이어(422)가 위치한다.
배출 컨베이어(422)는 배출 하우징(421)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에 의해 슬라이싱된 감귤(10)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센서장치(500)는 위치확인센서(510) 및 감속센서(520)를 포함한다.
위치확인센서(510)는 이송부(210)를 바라보도록 제1 지지부재(111)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감귤(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상기한 위치확인센서(510)는 감속된 이동속도로 이송되는 감귤을 감지하면, 투입 컨베이어(412)로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투입 컨베이어(41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감속센서(520)는 감귤(10)의 투입방향(도 16 참조)과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투입 하우징(411)의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한 감속센서(520)는 투입 컨베이어(412)를 따라 이동하는 감귤(10)을 감지하면, 투입 컨베이어(412)로 감속신호를 전송하여 투입 컨베이어(412)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킨다.
4.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600)의 동작
최초, 투입 컨베이어(412)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감귤(10)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다음,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롤러로 전원이 인가되면,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롤러가 회전하면서 투입 컨베이어(412)가 회전하면, 투입 컨베이어(412)는 감귤(1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투입 하우징(411)의 일측으로부터 투입 하우징(411)의 타측까지 이송시킨다.
이때, 투입 컨베이어(412)는 기설정된 최고이동속도로 감귤(10)을 이송시킨다.
다음, 감속센서(520)가 최고이동속도로 이송되는 감귤(10)을 감지하면, 투입 컨베이어(412)로 감속신호를 전송하여 투입 컨베이어(412)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킴에 따라 감귤(10)의 투입속도를 낮춘다.
다음, 위치감지센서(510)가 감속된 이동속도로 이송되는 감귤(10)을 감지하면, 투입 컨베이어(412)로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투입 컨베이어(41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때, 위치감지센서(510)가 정지신호를 투입 컨베이어(412)로 전송하는 시기는 감귤(10)이 이송부(210)와 제1, 2 블레이드부(120, 130) 사이에 위치할 때이다.
다음, 이송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로 삽입되어 감귤(10)이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 사이로 통과시킨다.
다음,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는 감귤(10)을 슬라이싱하고, 이송부(210)는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120, 130)의 외부로 노출될 때까지 감귤(10)을 밀어낸다.
다음, 배출 컨베이어(422)는 완전히 슬라이싱된 감귤(1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배출 하우징(421)의 일측으로부터 배출 하우징(421)의 타측까지 이송시킨다.
마지막으로 다음 감귤(10)의 슬라이싱 작업을 위해 이송부(21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감귤을 이송부와 제1, 2 블레이드부 사이에 위치시키고, 제1, 2 블레이드부가 감귤을 슬라이싱하며, 슬라이싱된 감귤을 외부로 배출하는 전체적인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칼이나 슬라이서를 이용하여 직접 감귤을 슬라이싱하는 것보다 노동력을 감소시키고 구현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감귤을 효과적으로 슬라이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블레이드 모듈
110: 지지부
111: 지지부재
112: 블레이드 지지부재
113: 모터 지지부재
120: 제1 블레이드부
121: 제1 샤프트
122: 제1 블레이드
123: 제1 스페이서
124: 제1 회전지지부재
125: 제2 회전지지부재
126: 제1 로크너트
130: 제2 블레이드부
131: 제2 샤프트
132: 제2 블레이드
133: 제2 스페이서
134: 제3 회전지지부재
135: 제4 회전지지부재
136: 제2 로크너트
140: 동력부
141: 모터
142: 회전축
150: 동력전달부
151: 제1 기어
152: 제2 기어
153: 제3 기어
154: 제4 기어
155: 풀리
156: 벨트
200: 가이드모듈
210: 이송부
211: 결합부재
212: 이송 플레이트
220: 고정부
221: 제1 고정부재
222: 제2 고정부재
230: 가이드부
240: 슬라이딩부
241: 슬라이딩부재
242: 연결부재
242a: 제1 연결부재
242b: 제2 연결부재
300: 자동 슬라이싱 장치
400: 컨베이어장치
410: 투입 컨베이어부
411: 투입 하우징
412: 투입 컨베이어
420: 배출 컨베이어부
421: 배출 하우징
422: 배출 컨베이어
500: 센서장치
510: 위치확인센서
520: 감속센서
600: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

Claims (14)

  1.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기립되어 연결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귤을 슬라이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로 전달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와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감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의 내부로 통과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와 인접하면서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감귤의 투입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고정부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이송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이송부를 상기 감귤의 투입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기립된 한 쌍의 기립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기립부재를 연결하는 기립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재; 및
    내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가 위치하도록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기립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지지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모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는 제1 블레이드부 및 제2 블레이드부이고,
    상기 제1 블레이드부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제1 블레이드날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를 등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 샤프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제2 블레이드날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를 등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의 외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하여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블레이드의 직경은 137mm이고,
    상기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샤프트 사이의 거리는 13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블레이드의 두께는 1mm이고,
    상기 제1, 2 스페이서의 두께는 6mm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 사이의 제1 이격거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 사이의 제2 이격거리는 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부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샤프트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 회전지지부재;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샤프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페이서 중 최상부에 위치한 제1 스페이서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로크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부는,
    상기 제1 회전지지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샤프트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3 회전지지부재;
    상기 제2 회전지지부재와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샤프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4 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회전지지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페이서 중 최상부에 위치한 제2 스페이서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로크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중심부에 상기 제1 샤프트의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일측 및 상기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기어의 외주부에 위치한 제1 톱니와 체결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의 일측 및 상기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어의 외주부에 위치한 제2 톱니와 체결되는 제3 기어; 및
    중심부에 상기 제2 샤프트의 하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3 기어의 일측 및 상기 기립연결부재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기어의 외주부에 위치한 제3 톱니와 체결되는 제4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 기어의 중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풀리축;
    상기 제2 기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중심부로 상기 풀리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벨트가 체결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력을 상기 벨트로 전달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력을 상기 벨트로 전달하면, 상기 벨트가 회전하면서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고,
    상기 풀리축과 상기 제2 기어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기어, 상기 제3 기어 및 상기 제4 기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레이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감귤을 슬라이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평판의 일측이 반호로 오목하게 함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가 적층된 상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플레이트의 타측을 둘러싸면서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의 일측은 상기 감귤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 중 최하부에 위치한 이송 플레이트의 하면 및 상기 결합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이송부가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이송부를 안내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12. 제1 항에 따른 자동 슬라이싱 장치;
    지면을 지지하도록 기립되어 상기 자동 슬라이싱 장치가 장착되는 투입 하우징 및 상기 투입 하우징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감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 플레이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 사이로 이송시키는 투입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투입 컨베이어부 및 상기 투입 컨베이어부와 수직하게 결합되는 배출 하우징 및 상기 배출 하우징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에 의해 슬라이싱된 감귤을 배출시키는 배출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장치;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감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확인센서 및 상기 투입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감귤의 속도를 감지하는 감속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 컨베이어는 상기 감귤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입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투입 하우징의 타측까지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로 삽입되어 상기 감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 사이로 통과시키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부는 상기 감귤을 슬라이싱하고,
    상기 배출 컨베이어는 상기 슬라이싱된 감귤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배출 하우징의 타측까지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컨베이어는 기설정된 최고이동속도로 상기 감귤을 이송시키고,
    상기 감속센서는 상기 투입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감귤을 감지하면, 상기 투입 컨베이어로 감속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투입 컨베이어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센서는 상기 감속된 이동속도로 이송되는 감귤을 감지하면, 상기 투입 컨베이어로 정지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투입 컨베이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시스템.
KR1020200165941A 2020-12-01 2020-12-01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 KR102529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941A KR102529823B1 (ko) 2020-12-01 2020-12-01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941A KR102529823B1 (ko) 2020-12-01 2020-12-01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306A true KR20220077306A (ko) 2022-06-09
KR102529823B1 KR102529823B1 (ko) 2023-05-10

Family

ID=8198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941A KR102529823B1 (ko) 2020-12-01 2020-12-01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4995A (ko) 2022-11-05 2024-05-14 박찬진 끈끈이 쓰레기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902Y1 (ko) * 2001-05-23 2001-10-15 권일승 식품 세단기
KR20040023481A (ko) * 2002-09-11 2004-03-18 임창식 갈비용 육류절단기
KR20100108166A (ko) * 2009-03-27 2010-10-06 기관호 미역세절기
KR20120000038A (ko) * 2011-08-12 2012-01-03 박민지 양파 탈피 장치
JP2012217354A (ja) * 2011-04-05 2012-11-12 Prima Meat Packers Ltd スライス食品位置合わせ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902Y1 (ko) * 2001-05-23 2001-10-15 권일승 식품 세단기
KR20040023481A (ko) * 2002-09-11 2004-03-18 임창식 갈비용 육류절단기
KR20100108166A (ko) * 2009-03-27 2010-10-06 기관호 미역세절기
JP2012217354A (ja) * 2011-04-05 2012-11-12 Prima Meat Packers Ltd スライス食品位置合わせ装置
KR20120000038A (ko) * 2011-08-12 2012-01-03 박민지 양파 탈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4995A (ko) 2022-11-05 2024-05-14 박찬진 끈끈이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823B1 (ko) 202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1398B1 (en) Fod product slicer knife
US4163406A (en) Centering device for feeding articles to a food slicer
US8109065B2 (en) Automated method for placing sliced food stacks in packages
US4979418A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BE1019977A3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snijden van producten.
JP3167028B2 (ja) 切断アセンブリ
US20010008097A1 (en) Rotary apparatus for cutting a food product
EP1893390B1 (en) Apparatus for slicing apples
US20080000337A1 (en) Serrated blade for slicing machine
KR101968866B1 (ko) 청소가 용이한 야채절단장치
KR20220077306A (ko) 감귤의 자동 슬라이싱 장치 및 시스템
AU2012204524B2 (en) Lattice cutting machine
US5201259A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US20090193946A1 (en) Direct blade drive
JP6535512B2 (ja) 食品細割装置
KR101465883B1 (ko) 양파 자동절단장치
KR101759986B1 (ko)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KR101681304B1 (ko) 식재 커터
US3401728A (en) Potato slicer
KR101397719B1 (ko) 구근류 자동 절단 장치
KR102056736B1 (ko) 복수 조각화 기능을 갖는 상하왕복구동식 커터를 구비한 자동 야채절단장치
WO2023218602A1 (ja) 食材回転装置及び食材切断設備
US3722339A (en) Onion slicing machine
EP1949805B1 (en) Device for cutting elongated products such as vegetables or fruit
US6419575B1 (en) Cutting method of salmon ovary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cut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