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035B1 -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 Google Patents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035B1
KR102365035B1 KR1020200091226A KR20200091226A KR102365035B1 KR 102365035 B1 KR102365035 B1 KR 102365035B1 KR 1020200091226 A KR1020200091226 A KR 1020200091226A KR 20200091226 A KR20200091226 A KR 20200091226A KR 102365035 B1 KR102365035 B1 KR 102365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rame
rod
vegetable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2102A (ko
Inventor
김지현
전준호
Original Assignee
김지현
전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현, 전준호 filed Critical 김지현
Priority to KR102020009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0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2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소를 절단영역에 대해 근접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절단할 수 있으면서 채소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채소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A VEGETABLE CUTTING MACHINE THAT CAN HOLD A VEGETABLE NEAR A CUTTING AREA AND STABLY BY CONVEYOR BELT}
본 발명은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소를 절단영역에 대해 근접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절단할 수 있으면서 채소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채소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채소 식품 시장은 외식산업의 발달, 학교급식의 확대, 편의지향의 식품소비 흐름으로 인해 단순히 채소를 생산 및 판매하는 시장보다 채소의 전처리 및 가공 시장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산업발달, 맞벌이 가정 및 1인 가구의 증가 추세에 따라 대형 음식점 등의 중간 소비자뿐만 아니라 가정의 소비자에서도 전처리 후 식품, 특히 바로 조리가 가능한 2차 전처리 식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2차 전처리를 위해 슬라이스, 채썰기, 편설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절단기와 같은 가공 처리 장치의 수요와 시장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채소를 절단하는 채소 절단기에 관한 종래기술이 다수 존재하나, 채소 절단기를 이용하여 채소 절단시, 채소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견고하게 지지해주지 못해 채소가 움직여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세히 말해, 일반적으로 채소가 절단영역으로 진입시, 가압수단은 상부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가압수단의 회동범위로 인해 절단영역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압수단을 마련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가압수단은 채소를 가압하는 영역이 줄어들게 되어 채소가 흔들릴 수 있는 여지가 있고, 이러한 흔들림은 채소가 일정하지 못하게 절단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를 개발하여 2019. 10. 7.자로 출원하였고 2019. 12. 17.자로 한국등록특허 제10-2058730호(이하 "선등록특허"라 칭함)로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등록특허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10)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0)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10)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20)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0)와 가압컨베이어(20)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30), 및 상기 이동컨베이어(10), 가압컨베이어(20) 및 절단부(30)가 장착되는 본체부(40)를 포함하는 채소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컨베이어(20)는, 상기 이동컨베이어(10)와의 사이로 채소가 진입함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채소를 파지할 때 그 선단이 상기 절단부(30)의 영역으로 진입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절단부(30)와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가압컨베이어(20)는, 상기 본체부(4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롤러(21)와, 일단에 상기 주롤러(21)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0)에 의한 채소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10)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채소에 의해 상기 주롤러(21)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컨베이어프레임(22)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22)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4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승강되면서 채소를 가압하는 가압롤러(23)와, 상기 주롤러(21)와 가압롤러(23)를 둘러 배치되어 상기 주롤러(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24)와, 상기 가압롤러(23)의 승강에 따른 컨베이어프레임(22)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24)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압롤러(23)의 승강에 연동하여 상기 컨베이어프레임(22)에 대해 승강 이동되는 장력유지롤러(25)를 포함한다.
이때 채소가 진입함에 따라 느슨해지게 되는 컨베이어벨트(24)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장력유지롤러(25)를 밀어올리는 돌출경사면이 구비된다.
그런데 선등록특허에 따라 채소절단기를 구현하면, 이동프레임(27)의 후진에 따라 컨베이어프레임(22)의 길이가 축소되었을 때 축소된 만큼의 길이를 장력유지롤러(25)가 돌출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며 보상해주어야 하는데 그 보상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컨베이어벨트(24)의 장력이 느슨해지고, 이에 따라 채소에 대한 파지력이 저하됨과 아울러, 채소를 절단부로 진입시키는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개선사항이 발견되었다.
또한 선등록특허는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가압롤러(23)가 본체부(4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승강되면서 채소를 가압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채소가 진입함에 따라 컨베이어프레임(22)이 회동할 때 가압롤러(23)가 전방으로 전진하지 않고 직상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동작을 달성하였지만, 가압롤러(23)의 양측부가 가이드레일(4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채소절단기의 세척을 위한 가압컨베이어(20)의 분해작업이 복잡하고 난해해지게 되었다. 따라서 채소의 근접 파지를 위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자가 채소절단기를 기획한 본연의 목적, 즉 손쉬운 분해 및 조립을 통한 채소절단기의 청결유지가 달성되기 어려우므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KR10-2058730(2019.12.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개선사항을 해결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채소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채소절단영역 입구에 근접하게 배치하여 채소를 근접한 파지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채소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와 상기 이동컨베이어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와, 채소의 통과가 가능한 분리벽에 의해 상기 이동컨베이어 및 가압컨베이어와 구획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와 가압컨베이어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 및 상기 이동컨베이어, 가압컨베이어 및 절단부가 장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채소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컨베이어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롤러와, 일단에 상기 주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에 의한 채소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채소에 의해 상기 주롤러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컨베이어프레임과, 채소를 가압하고 채소의 진입에 따라 상기 분리벽에 측면이 지지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롤러가 선단에 장착되고 후단은 제1탄성수단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프레임의 선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프레임과, 상기 주롤러와 가압롤러를 둘러 배치되어 상기 주롤러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는 보조롤러가 장착되며 후단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과의 사이에는 선단이 들어올려져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후단을 탄성 구속하는 제2탄성수단이 연결되는 장력유지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프레임의 측면에는 폭방향으로 이동제한봉이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은, 상기 이동제한봉이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이동제한봉과 평행하게 제1설치봉이 장착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분리벽에 대면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의 외측으로 상기 가압롤러로부터 동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봉, 및 상기 이동제한봉과 제1설치봉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제1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제한봉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봉과 제2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제1봉과 제2봉에 대응되게 상기 이동프레임에 각각 제1공과 제2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탄성수단은 상기 이동제한봉의 제2봉과 상기 제1설치봉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유지프레임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는 보조롤러와, 상기 회전프레임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동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의 후단 외곽에 배치되는 제2설치봉과, 상기 제2설치봉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의 장착봉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조롤러의 일측에는,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봉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에 따르면, 채소가 절단부 영역으로 진입시 상기 가압컨베이어가 상하로 움직임과 동시에 슬라이드프레임이 후진하면서 상기 가압컨베이어가 절단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수직하게 상하로 움직이게 되되,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후진에 따라 느슨해지는 컨베이어벨트를 장력유지프레임이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지지하여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봉에 의해 가압컨베이어를 손쉽게 들어올려 채소절단기로부터 간편하게 분해할 수 있고, 역순으로 손쉽게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가압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가압컨베이어로부터 컨베이어벨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컨베이어프레임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컨베이어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를 통해 가압컨베이어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채소 절단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가압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가압컨베이어로부터 컨베이어벨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컨베이어프레임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컨베이어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를 통해 가압컨베이어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는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110)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120)와, 채소의 통과가 가능한 분리벽(141)에 의해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및 가압컨베이어(120)와 구획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 가압컨베이어(120)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140), 및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가압컨베이어(120) 및 절단부(140)가 장착되는 본체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컨베이어(120)는, 주롤러(121), 컨베이어프레임(122), 슬라이드프레임(125), 컨베이어벨트(132) 및 장력유지프레임(1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롤러(121)는 상기 본체부(15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컨베이어프레임(122)의 후단에 장착된다.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은 그 일단에 상기 주롤러(121)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에 의한 채소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채소에 의해 상기 주롤러(121)를 기준으로 회동한다.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25)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면서 선단에 배치된 가압롤러(129)로 채소를 파지하는 것으로, 채소를 가압하고 채소의 진입에 따라 상기 분리벽(141)에 측면이 지지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롤러(129)가 선단에 장착되고 후단은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선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슬라이드프레임(125)이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과 슬라이드프레임(125)에는 가이드기구가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측면에서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이동제한봉(123)과,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25)에서 상기 이동제한봉(123)이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127)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이동제한봉(123)이 장착된 상태에서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127)이 상기 이동제한봉(12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25)이 컨베이어프레임(12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25)은, 상기 가이드공(127)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평행하게 제1설치봉(128)이 장착되는 이동프레임(126)과,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가압롤러(129)와, 상기 분리벽(141)에 대면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외측으로 가압롤러(129)로부터 동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봉(130), 및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제1설치봉(128)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제1탄성수단(131)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제한봉(123)과 가이드공(127) 간의 결합이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따라 2개소에서 이루어져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제한봉(12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봉(123a)과 제2봉(123b)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공(127)은 상기 제1봉(123a)과 제2봉(123b)에 대응되게 상기 이동프레임(126)에 각각 제1공(127a)과 제2공(127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탄성수단(131)은, 상대적으로 인접 설치되는 상기 이동제한봉(127)의 제2봉(123b)과 상기 제1설치봉(128)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는 상기 주롤러(121)와 가압롤러(129)를 둘러 배치되어 상기 주롤러(1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보조롤러(135)도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게 되므로, 결국 컨베이어벨트(132)를 주롤러(121), 가압롤러(129) 및 보조롤러(135)에 의해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주롤러(121)에 의한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장력유지프레임(13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가 장착되며 후단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과의 사이에는 선단이 들어올려져 상기 컨베이어벨트(132)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후단을 탄성 구속하는 제2탄성수단(138)이 연결된다.
이러한 장력유지프레임(133)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장력유지프레임(13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프레임(134)과,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와,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동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후단 외곽에 배치되는 제2설치봉(137), 및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장착봉(124)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138)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롤러(135)의 일측에는,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봉(13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수단(131) 및 제2탄성수단(138)으로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고, 제1탄성수단(131)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25)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며, 제2탄성수단(138)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은 상기 장력유지프레임(133)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슬라이드프레임(125)의 전진이 장력유지프레임(133)의 회동에 대해 우선적으로 작동되도록 제1탄성수단(131)의 탄성력이 제2탄성수단(138)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채소를 절단할 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소가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가압컨베이어(120)에 접근시 채소의 크기만큼 상기 가압컨베이어(120)가 위로 회동되고, 채소가 상기 절단부(140)로의 진입을 위해 슬라이드프레임(125)이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압롤러(129)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25)의 이동프레임(126)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단부(140)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분리벽(141)에 대면하여 상기 분리벽(141)을 따라 상승하고, 이에 따라 이동프레임(126)은 컨베이어프레임(122)과 겹쳐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즉. 컨베이어프레임(122)에 설치된 이동제한봉(123)이 관통되는 가이드공(127)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26)이 후진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제1탄성수단(131)은 이동프레임(126)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므로, 이동프레임(126)이 상기 후진하면 제1탄성수단(131)은 이동제한봉(123)의 제2봉(123b)으로부터 제1설치봉(128)이 이격됨에 따라 신장하면서 탄성복원력이 증대된다.
또한 이동프레임(126)의 슬라이드 이동은 가이드공(127)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측면에 폭방향으로 장착되는 이동제한봉(123)에 대해 이동프레임(126)이 슬라이드 이동될 때 가이드공(127)의 일단 및 타단에서 이동제한봉(123)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이로써 이동프레임(126)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가 제한되어 결정된다.
한편, 이동프레임(126)이 후진하면, 컨베이어벨트(132)의 장력이 느슨해지게 되는데, 느슨해진 장력으로 상기 장력유지프레임(133)의 회동제한이 약화되면서 장력유지프레임(133)의 회전프레임(134) 선단은 상향 경사지게 회동된다. 즉 회전프레임(134)의 후단 외곽에 배치되는 제2설치봉(137)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장착봉(124)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138)의 탄성복원력이 발휘되어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이 상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프레임(134)의 회동은 컨베이어벨트(132)가 견고한 장력을 발휘할 수 있을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채소가 이동컨베이어(110)와 가압컨베이어(120) 사이를 통과할 대 상기 채소를 파지하고, 상기 채소가 통과하게 되면, 가압컨베이어(120)가 원위치로 회동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제1탄성수단(131)의 탄성복원력으로 슬라이드프레임(125)의 이동프레임(126)은 컨베이어프레임(122)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려 하므로, 이에 따라 가압롤러(129)는 분리벽(141)에 대면하면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프레임(126)의 전진에 따라 주롤러(121)와 가압롤러(129)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었으므로, 컨베이어벨트(132)는 그 길어진 길이만큼 보조롤러(135)를 압박하여 장력유지프레임(133)의 회전프레임(134)이 하방으로 회동한다. 이때 제2탄성수단(138)은 회전프레임(134)의 하방 회동에 따라 신장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컨베이어벨트(132)에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게 한다.
한편, 세척 등의 이유로 가압컨베이어(120)를 분리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롤러(135)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파지봉(136)을 파지하여 가압컨베이어(120)를 들어올릴 수 있고(도 7의 (a)에서 (c)에 도시된 방향),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승 회동된 가압컨베이어(120)를 채소절단기로부터 손쉽게 해체할 수 있다. 가압컨베이어(120)의 조립은 분리의 역순(도 7의 (c)에서 (a)에 도시된 방향)으로서 파지봉(136)을 파지하여 가압컨베이어(120)를 회동시킴으로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이동컨베이어 120 : 가압컨베이어
121 : 주롤러 122 : 컨베이어프레임
123 : 이동제한봉 124 : 장착봉
125 : 슬라이드프레임 126 : 이동프레임
127 : 가이드공 128 : 제1설치봉
129 : 가압롤러 130 : 지지봉
131 : 제1탄성수단 132 : 컨베이어벨트
133 : 장력유지프레임 134 : 회전프레임
135 : 보조롤러 136 : 파지봉
137 : 제2설치봉 138 : 제2탄성수단
140 : 절단부 141 : 분리벽
150 : 본체부

Claims (5)

  1.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110)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120)와, 채소의 통과가 가능한 분리벽(141)에 의해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및 가압컨베이어(120)와 구획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 가압컨베이어(120)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140), 및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가압컨베이어(120)및 절단부(140)가 장착되는 본체부(150)를 포함하는 채소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컨베이어(120)는,
    상기 본체부(15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롤러(121)와,
    일단에 상기 주롤러(121)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에 의한 채소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채소에 의해 상기 주롤러(121)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컨베이어프레임(122)과,
    채소를 가압하고 채소의 진입에 따라 상기 분리벽(141)에 측면이 지지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롤러(129)가 선단에 장착되고 후단은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선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프레임(125)과,
    상기 주롤러(121)와 가압롤러(129)를 둘러 배치되어 상기 주롤러(1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132)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가 장착되며 후단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과의 사이에는 선단이 들어올려져 상기 컨베이어벨트(132)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후단을 탄성 구속하는 제2탄성수단(138)이 연결되는 장력유지프레임(133)을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측면에는 폭방향으로 이동제한봉(123)이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프레임(125)은, 상기 이동제한봉(123)이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127)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평행하게 제1설치봉(128)이 장착되는 이동프레임(126)과,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가압롤러(129)와, 상기 분리벽(141)에 대면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외측으로 가압롤러(129)로부터 동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봉(130), 및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제1설치봉(128)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제1탄성수단(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봉(12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봉(123a)과 제2봉(123b)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제1봉(123a)과 제2봉(123b)에 대응되게 상기 이동프레임에 각각 제1공(127a)과 제2공(127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탄성수단은 상기 이동제한봉의 제2봉(123b)과 상기 제1설치봉(128)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프레임(13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프레임(134)과,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와,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동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후단 외곽에 배치되는 제2설치봉(137), 및 상기 제2설치봉(137)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장착봉(124)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1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135)의 일측에는,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봉(1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KR1020200091226A 2020-07-22 2020-07-22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KR10236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226A KR102365035B1 (ko) 2020-07-22 2020-07-22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226A KR102365035B1 (ko) 2020-07-22 2020-07-22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102A KR20220012102A (ko) 2022-02-03
KR102365035B1 true KR102365035B1 (ko) 2022-02-17

Family

ID=8026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226A KR102365035B1 (ko) 2020-07-22 2020-07-22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0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709B1 (ko) * 2012-10-31 2014-06-25 박상희 야채절단장치
KR102040582B1 (ko) * 2019-03-18 2019-11-06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식품 슬라이서용 벨트 컨베이어
KR102058730B1 (ko) * 2019-10-07 2019-12-23 김지현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709B1 (ko) * 2012-10-31 2014-06-25 박상희 야채절단장치
KR102040582B1 (ko) * 2019-03-18 2019-11-06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식품 슬라이서용 벨트 컨베이어
KR102058730B1 (ko) * 2019-10-07 2019-12-23 김지현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102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730B1 (ko)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EP0323791B1 (fr) Outil de presse pour installation d'emboutissage
KR102326755B1 (ko)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KR102132947B1 (ko) 채소의 파지영역이 증가된 채소 절단기
GB2400366A (en) Cutting apparatus with sliding member
WO2011064723A3 (en) Manual food dicer
CN110000420A (zh) 铜箔胚板裁切机
KR102365035B1 (ko)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CN215701946U (zh) 一种剁刀式中药切药机
EP0210095A1 (fr) Dispositif de découpe de feuilles de matière plastique
CN109201964B (zh) 一种电器教学实验用电线剪断机
KR20190002222U (ko) 식품 절단기
CN210525192U (zh) 一种新型切药机
KR101040894B1 (ko) 목재 제재기 안전장치
KR102384375B1 (ko) 절단영역에 대한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유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KR20040059220A (ko) 절단기
EP3347178A1 (fr) Machine verticale pour couper et empiler des tranches d'un pain et procédé correspondant
KR102105964B1 (ko) 야채절단장치
CN210791237U (zh) 一种能自动去除废料的自动模切设备
CN210551931U (zh) 一种柳编工艺品原材料剖片机
KR100995687B1 (ko) 계란판 공급장치
CN216731968U (zh) 一种等分送料切割装置
CN205258499U (zh) 一种皮革切片机
WO1998030369A1 (fr) Appareil pour decouper des coins de legume
CN209478336U (zh) 一种高精度pc配件用模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