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755B1 -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 Google Patents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755B1
KR102326755B1 KR1020200105491A KR20200105491A KR102326755B1 KR 102326755 B1 KR102326755 B1 KR 102326755B1 KR 1020200105491 A KR1020200105491 A KR 1020200105491A KR 20200105491 A KR20200105491 A KR 20200105491A KR 102326755 B1 KR102326755 B1 KR 102326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rame
moving
vegetables
sl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스텍
Priority to KR1020200105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드유닛과,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장력조절유닛이 구비되되, 탈착을 위해 슬라이드유닛의 단부측에 상향돌출부가 형성되고, 장력조절유닛의 단부측에 상기 상향돌출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하향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탈착시 슬라이드유닛이 분리벽과 분리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채소 절단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Easy putting on and taking off of the vegetable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채소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소를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채소 식품 시장은 외식산업의 발달, 학교급식의 확대, 편의지향의 식품소비 흐름으로 인해 단순히 채소를 생산 및 판매하는 시장보다 채소의 전처리 및 가공 시장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산업발달, 맞벌이 가정 및 1인 가구의 증가 추세에 따라 대형 음식점 등의 중간 소비자뿐만 아니라 가정의 소비자에서도 전처리 후 식품, 특히 바로 조리가 가능한 2차 전처리 식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2차 전처리를 위해 슬라이스, 채썰기, 편설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절단기와 같은 가공 처리 장치의 수요와 시장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채소를 절단하는 채소 절단기에 관한 종래기술이 다수 존재하나, 채소 절단기를 이용하여 채소 절단시, 채소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견고하게 지지해주지 못해 채소가 움직여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세히 말해, 일반적으로 채소가 절단영역으로 진입시, 가압수단은 상부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가압수단의 회동범위로 인해 절단영역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가압수단을 마련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가압수단은 채소를 가압하는 영역이 줄어들게 되어 채소가 흔들릴 수 있는 여지가 있고, 이러한 흔들림은 채소가 일정하지 못하게 절단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한국등록특허 제10-2058730호, 특허문헌 1)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1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10)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0)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10)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는 가압컨베이어(20)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0)와 가압컨베이어(20)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30), 및 상기 이동컨베이어(10), 가압컨베이어(20) 및 절단부(30)가 장착되는 본체부(40)를 포함하는 채소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컨베이어(20)는, 상기 이동컨베이어(10)와의 사이로 채소가 진입함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채소를 파지할 때 그 선단이 상기 절단부(30)의 영역으로 진입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절단부(30)와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가압컨베이어(20)는, 상기 본체부(4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롤러(21)와, 일단에 상기 주롤러(21)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0)에 의한 채소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10)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채소에 의해 상기 주롤러(21)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컨베이어프레임(22)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22)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4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승강되면서 채소를 가압하는 가압롤러(23)와, 상기 주롤러(21)와 가압롤러(23)를 둘러 배치되어 상기 주롤러(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컨베이어벨트(24)와, 상기 가압롤러(23)의 승강에 따른 컨베이어프레임(22)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24)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압롤러(23)의 승강에 연동하여 상기 컨베이어프레임(22)에 대해 승강 이동되는 장력유지롤러(25)를 포함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경우 가압롤러(23)의 양측부가 가이드레일(4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채소절단기의 세척을 위한 가압컨베이어(20)의 분해작업이 복잡하고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KR10-2058730(2019.12.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개선사항을 해결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드유닛,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장력조절유닛을 이용하여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채소를 용이하게 근접 가압하도록 하되, 탈착을 위해 슬라이드유닛의 단부측에 상향돌출부가 형성되고, 장력조절유닛의 단부측에 상기 상향돌출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하향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탈착시 슬라이드유닛이 분리벽과 분리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채소 절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110)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도록 컨베이어벨트(132)를 구비한 가압컨베이어(120)와, 채소의 통과가 가능한 분리벽(141)에 의해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및 가압컨베이어(120)와 구획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 가압컨베이어(120)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140), 및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가압컨베이어(120) 및 절단부(140)가 장착되는 본체부(150)를 포함하는 채소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컨베이어(120)는 본체부(15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유닛(125)과, 컨베이어벨트(132)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조절유닛(1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의 일측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향돌출부(12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의 일측 단부에는 하향돌출부(1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벽(141)의 상부 일측에는 슬라이드유닛(125)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돌출부(1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하향돌출부(134a)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핑홈(125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컨베이어(120)는, 상기 본체부(15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롤러(121)와, 일단에 상기 주롤러(121)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에 의한 채소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채소에 의해 상기 주롤러(121)를 기준으로 회동하며,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베이어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프레임(134)과,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와,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축(137a)과, 상기 회전축(137a)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설치봉(137)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장착봉(124)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138)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일측 단부에 상기 하향돌출부(134a)가 하향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은,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공(127)이 형성되고, 이동제한봉(123)이 상기 가이드공(127)을 관통하여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에 체결되며, 후단에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평행하게 제1설치봉(128)이 장착되는 이동프레임(126)과,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가압롤러(129)와,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제1설치봉(128)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제1탄성수단(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일측 단부에 상기 상향돌출부(125a)가 상향으로 꺾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드유닛,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장력조절유닛을 이용하여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채소를 용이하게 근접 가압하도록 하되, 탈착을 위해 슬라이드유닛의 단부측에 상향돌출부가 형성되고, 장력조절유닛의 단부측에 상기 상향돌출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하향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탈착시 슬라이드유닛이 분리벽과 분리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채소 절단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채소 절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가압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가압컨베이어로부터 컨베이어벨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컨베이어프레임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컨베이어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를 통해 가압컨베이어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채소 절단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가압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가압컨베이어로부터 컨베이어벨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컨베이어프레임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컨베이어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컨베이어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는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110)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도록 컨베이어벨트(132)를 구비한 가압컨베이어(120)와, 채소의 통과가 가능한 분리벽(141)에 의해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및 가압컨베이어(120)와 구획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 가압컨베이어(120)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140), 및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가압컨베이어(120) 및 절단부(140)가 장착되는 본체부(150)로 구성된다.
분리벽(141)은 컨베이어벨트(132)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두 개로 구성되며,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분리벽(141)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압롤러(129)를 감싼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42)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부재(142)의 상부에는 가압롤러(129)를 마주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3)가 형성되어 분리벽(141)을 타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롤러(129)를 일시적으로 후방으로 밀어내어 가압롤러(129)와 연결된 슬라이드유닛(125)을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돌출부(143)는 가압컨베이어(120) 부품들을 분리할 때,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상기 가압컨베이어(120)는, 본체부(15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유닛(125)과, 컨베이어벨트(132)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조절유닛(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의 일측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향돌출부(12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의 일측 단부에는 하향돌출부(134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컨베이어(120)가 본체부(150)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본체부(150)로부터 탈착하고자 할 때, 슬라이드유닛(125)은 탄성력으로 분리벽(141) 측으로 향하는 힘을 갖기 때문에 분리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한 돌출부(1443)에 의해 슬라이드유닛(125)이 일시적으로 후방으로 밀릴 때 슬라이드유닛(125) 단부측의 상향돌출부(125a)가 하향돌출부(134a)를 밀어내어 하향돌출부(134a)의 후방측으로 일시적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장력조절유닛(133)의 탄성에 의한 회전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서 하향돌출부(134a)에 의해 상향돌출부(125a)가 걸린 상태가 되면, 슬라이드유닛(125)은 원래의 위치 즉, 분리벽(141) 측으로 돌아가지 못하게 되어 손쉽게 가압컨베이어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주요 구성을 달성하기 위한 가압컨베이어(1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압컨베이어(120)는 슬라이드유닛(125)과 장력조절유닛(133)이 각각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하여 가압컨베이어(120)는 주롤러(121)와 컨베이어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롤러(121)는 상기 본체부(15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컨베이어프레임(122)의 후단에 장착된다.
컨베이어프레임(122)은 일측에 상기 주롤러(121)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에 의한 채소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채소에 의해 상기 주롤러(121)를 기준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면서 선단에 배치된 가압롤러(129)로 채소를 파지하는 것으로, 채소를 가압하고 채소의 진입에 따라 상기 분리벽(141)에 측면이 지지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롤러(129)가 선단에 장착되고 후단은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선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슬라이드유닛(125)이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과 슬라이드유닛(125)에는 가이드기구가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측면에서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이동제한봉(123)과,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에서 상기 이동제한봉(123)이 삽입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127)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이동제한봉(123)이 장착된 상태에서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127)이 상기 이동제한봉(12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이 컨베이어프레임(12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은, 상기 가이드공(127)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평행하게 제1설치봉(128)이 장착되는 이동프레임(126)과,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가압롤러(129)와, 상기 분리벽(141)에 대면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외측으로 가압롤러(129)로부터 동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봉(130), 및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제1설치봉(128)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제1탄성수단(131)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제한봉(123)과 가이드공(127) 간의 결합이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따라 2개소에서 이루어져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드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제한봉(12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봉(123a)과 제2봉(123b)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공(127)은 상기 제1봉(123a)과 제2봉(123b)에 대응되게 상기 이동프레임(126)에 각각 제1공(127a)과 제2공(127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탄성수단(131)은, 상대적으로 인접 설치되는 상기 이동제한봉(127)의 제2봉(123b)과 상기 제1설치봉(128)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는 상기 주롤러(121)와 가압롤러(129)를 둘러 배치되어 상기 주롤러(12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보조롤러(135)도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게 되므로, 결국 컨베이어벨트(132)를 주롤러(121), 가압롤러(129) 및 보조롤러(135)에 의해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상기 주롤러(121)에 의한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더하여,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의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향돌출부(125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프레임(126)의 일측 단부에 상기 상향돌출부(125a)가 상향으로 꺾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향돌출부(125a)의 안쪽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126)과 상향돌출부(125a)가 만나는 지점에 하향돌출부(134a)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핑홈(125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토핑홈(125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과정에서 하향돌출부(134a)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슬라이드유닛(125)의 불필요한 이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가 장착되며 후단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과의 사이에는 선단이 들어올려져 상기 컨베이어벨트(132)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후단을 탄성 구속하는 제2탄성수단(138)이 연결된다.
이러한 장력조절유닛(133)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프레임(134)과,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와,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축(137a)과, 상기 회전축(137a)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설치봉(137), 및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장착봉(124)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138)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롤러(135)의 일측에는,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봉(136)이 형성된다.
더불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후방에는 회전프레임(134)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상향돌출부 하방으로 돌출된 하향돌출부(134a)가 형성되어 있다.
하향돌출부(134a)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탈착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상향돌출부(125a)에 밀려난 후 제2탄성수단(138)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프레임(134)이 원래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에 의해 되돌아오면서 상기 상향돌출부(125a)의 앞쪽에 위치한 채 스토핑홈(125b)에 끼워져 슬라이드유닛(125)의 전진을 막아주게 된다.
상기 제1탄성수단(131) 및 제2탄성수단(138)으로는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고, 제1탄성수단(131)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며, 제2탄성수단(138)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은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채소를 절단할 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소가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가압컨베이어(120)에 접근시 채소의 크기만큼 상기 가압컨베이어(120)가 위로 회동되고, 채소가 상기 절단부(140)로의 진입을 위해 슬라이드유닛(125)이 상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압롤러(129)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의 이동프레임(126)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단부(140)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분리벽(141)에 대면하여 상기 분리벽(141) 및 지지부재(142)를 따라 상승하고, 이에 따라 이동프레임(126)은 컨베이어프레임(122)과 겹쳐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아울러, 컨베이어프레임(122)에 설치된 이동제한봉(123)이 관통되는 가이드공(127)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26)이 후진하면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제1탄성수단(131)은 이동프레임(126)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므로, 이동프레임(126)이 상기 후진하면 제1탄성수단(131)은 이동제한봉(123)의 제2봉(123b)으로부터 제1설치봉(128)이 이격됨에 따라 신장하면서 탄성복원력이 증대된다.
또한 이동프레임(126)의 슬라이드 이동은 가이드공(127)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측면에 폭방향으로 장착되는 이동제한봉(123)에 대해 이동프레임(126)이 슬라이드 이동될 때 가이드공(127)의 일단 및 타단에서 이동제한봉(123)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이로써 이동프레임(126)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가 제한되어 결정된다.
한편, 이동프레임(126)이 후진하면, 컨베이어벨트(132)의 장력이 느슨해지게 되는데, 느슨해진 장력으로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의 회동제한이 약화되면서 장력조절유닛(133)의 회전프레임(134) 선단은 상향 경사지게 회동된다.
즉 회전프레임(134)의 후단 외곽에 배치되는 제2설치봉(137)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장착봉(124)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138)의 탄성복원력이 발휘되어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이 상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프레임(134)의 회동은 컨베이어벨트(132)가 견고한 장력을 발휘할 수 있을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채소가 이동컨베이어(110)와 가압컨베이어(120) 사이를 통과할 대 상기 채소를 파지하고, 상기 채소가 통과하게 되면, 가압컨베이어(120)가 원위치로 회동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제1탄성수단(131)의 탄성복원력으로 슬라이드유닛(125)의 이동프레임(126)은 컨베이어프레임(122)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려 하므로, 이에 따라 가압롤러(129)는 분리벽(141)에 대면하면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프레임(126)의 전진에 따라 주롤러(121)와 가압롤러(129)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었으므로, 컨베이어벨트(132)는 그 길어진 길이만큼 보조롤러(135)를 압박하여 장력조절유닛(133)의 회전프레임(134)이 하방으로 회동한다.
이때 제2탄성수단(138)은 회전프레임(134)의 하방 회동에 따라 신장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컨베이어벨트(132)에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게 한다.
한편, 세척 등의 이유로 가압컨베이어(120)를 분리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롤러(135)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파지봉(136)을 파지하여 가압컨베이어(120)를 들어올리면, 주롤러(121)를 축으로 컨베이어프레임(122)이 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슬라이드유닛(125)은 컨베이어프레임(122) 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다가 가압롤러(129)를 감싼 컨베이어벨트(132)가 분리벽(141) 및 지지부재(142)를 타고 올라가다 돌출부(143)에 닿게 되면서 슬라이드유닛(125)은 후방으로 밀리게 되며, 상향돌출부(125a)가 하향돌출부(134a)를 밀어올리면서 통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유닛(125)은 전술한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원래 방향으로 되돌아오려는 힘을 갖게 되는데, 제2탄성수단(138)의 복원력에 의해 장력조절유닛(133)의 회전프레임(134)의 원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하향돌출부(134a)가 상향돌출부(125a)의 앞에 위치하고 스토핑홈(125b)에 끼워져 슬라이드유닛(125)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유닛(125)과 분리벽(141) 사이는 이격된 틈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는 손쉽게 가압컨베이어(120)를 상향 회전시키면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이동컨베이어 120 : 가압컨베이어
121 : 주롤러 122 : 컨베이어프레임
123 : 이동제한봉 124 : 장착봉
125 : 슬라이드유닛 125a : 상향돌출부
125b : 스토핑홈 126 : 이동프레임
127 : 가이드공 128 : 제1설치봉
129 : 가압롤러 130 : 지지봉
131 : 제1탄성수단 132 : 컨베이어벨트
133 : 장력조절유닛 134 : 회전프레임
134a : 하향돌출부 135 : 보조롤러
136 : 파지봉 137 : 제2설치봉
138 : 제2탄성수단 140 : 절단부
141 : 분리벽 142 : 지지부재
143 : 돌출부 150 : 본체부

Claims (5)

  1. 상부에 놓여진 채소를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컨베이어(110)와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의 상단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의 사이에서 상기 채소를 가압하도록 컨베이어벨트(132)를 구비한 가압컨베이어(120)와, 채소의 통과가 가능한 분리벽(141)에 의해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및 가압컨베이어(120)와 구획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 가압컨베이어(120) 사이에 파지된 채소에서 절단영역으로 진입한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140), 및 상기 이동컨베이어(110), 가압컨베이어(120) 및 절단부(140)가 장착되는 본체부(150)를 포함하는 채소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컨베이어(120)는 본체부(150)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1탄성수단(131)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유닛(125)과, 컨베이어벨트(132)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조절유닛(1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의 일측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상향돌출부(12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의 일측 단부에는 하향돌출부(1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벽(141)의 상부 일측에는 슬라이드유닛(125)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돌출부(1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컨베이어(120)는,
    상기 본체부(15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주롤러(121)와,
    일단에 상기 주롤러(121)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에 의한 채소의 진행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컨베이어(110)와의 사이에 진입하는 채소에 의해 상기 주롤러(121)를 기준으로 회동하며,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베이어프레임(1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유닛(133)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프레임(134)과,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보조롤러(135)와,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선단이 상향 경사지게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축(137a)과,
    상기 회전축(137a)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설치봉(137)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의 장착봉(124) 사이에 장착되는 제2탄성수단(138)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프레임(134)의 일측 단부에 상기 하향돌출부(134a)가 하향으로 꺾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에는 상기 하향돌출부(134a)의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핑홈(125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유닛(125)은,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공(127)이 형성되고, 이동제한봉(123)이 상기 가이드공(127)을 관통하여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22)에 체결되며, 후단에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평행하게 제1설치봉(128)이 장착되는 이동프레임(126)과,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32)를 지지하는 가압롤러(129)와,
    상기 이동제한봉(123)과 제1설치봉(128)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제1탄성수단(13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프레임(126)의 일측 단부에 상기 상향돌출부(125a)가 상향으로 꺾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KR1020200105491A 2020-08-21 2020-08-21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KR102326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491A KR102326755B1 (ko) 2020-08-21 2020-08-21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491A KR102326755B1 (ko) 2020-08-21 2020-08-21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755B1 true KR102326755B1 (ko) 2021-11-17

Family

ID=7870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491A KR102326755B1 (ko) 2020-08-21 2020-08-21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7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836A (ko) 2022-09-20 2024-03-27 전준호 모듈 교체가 가능한 채소절단기
KR20240059316A (ko) 2022-10-27 2024-05-07 전준호 채소절단기의 가압컨베이어 장치
KR102682032B1 (ko) * 2022-10-27 2024-07-04 전준호 채소절단기의 가압컨베이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3010U (ko) * 1987-09-08 1989-03-15
KR101411709B1 (ko) * 2012-10-31 2014-06-25 박상희 야채절단장치
KR102040582B1 (ko) * 2019-03-18 2019-11-06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식품 슬라이서용 벨트 컨베이어
KR102058730B1 (ko) 2019-10-07 2019-12-23 김지현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3010U (ko) * 1987-09-08 1989-03-15
KR101411709B1 (ko) * 2012-10-31 2014-06-25 박상희 야채절단장치
KR102040582B1 (ko) * 2019-03-18 2019-11-06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벨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식품 슬라이서용 벨트 컨베이어
KR102058730B1 (ko) 2019-10-07 2019-12-23 김지현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836A (ko) 2022-09-20 2024-03-27 전준호 모듈 교체가 가능한 채소절단기
KR20240059316A (ko) 2022-10-27 2024-05-07 전준호 채소절단기의 가압컨베이어 장치
KR102682032B1 (ko) * 2022-10-27 2024-07-04 전준호 채소절단기의 가압컨베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730B1 (ko)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KR102326755B1 (ko) 가압컨베이어의 착탈이 용이한 채소 절단기
KR102132947B1 (ko) 채소의 파지영역이 증가된 채소 절단기
US6966247B2 (en) Cutting apparatus
KR101381446B1 (ko) 양파의 뿌리 및 줄기 절단장치
CN107957607A (zh) 一种简易自动的光纤切割刀
CN101362521B (zh) 用于附装扣件的装置
CN110328692B (zh) 一种家用土豆切片机
CN112549141A (zh) 一种萝卜腌制前切条设备
CN112692928B (zh) 一种机械加工用条板自动打孔装置
AU2008221504B2 (en) Bread slicer
KR102365035B1 (ko) 절단영역에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에 의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CN202318690U (zh) 半导体封装溢料清除装置
CN109201964B (zh) 一种电器教学实验用电线剪断机
CN204505336U (zh) 家用蔬菜切割机
CN208093927U (zh) 一种端子铆接机
KR102384375B1 (ko) 절단영역에 대한 근접한 파지 및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유지가 가능한 채소 절단기
CN206066525U (zh) 一种往复式猕猴桃切片装置
KR102105964B1 (ko) 야채절단장치
CN210791237U (zh) 一种能自动去除废料的自动模切设备
CN210233375U (zh) 一种破竹机的竹筒支撑推送装置
CN210910291U (zh) 封面冲孔机构
CN114679847B (zh) 用于微割工艺中pcb板的工艺边的分离方法及分离装置
CN114342972B (zh) 一种面团分切装置
CN210102786U (zh) 一种新型编带裁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