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392A - 잔량 저감 부재 - Google Patents

잔량 저감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392A
KR20140054392A KR1020147008298A KR20147008298A KR20140054392A KR 20140054392 A KR20140054392 A KR 20140054392A KR 1020147008298 A KR1020147008298 A KR 1020147008298A KR 20147008298 A KR20147008298 A KR 20147008298A KR 20140054392 A KR20140054392 A KR 20140054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aining amount
contents
guide
shap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340B1 (ko
Inventor
노부유키 하나이
켄 오가타
히로카즈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2Dip-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가압 유체에 의해 주위가 폐쇄된 공간의 발생을 방지하여,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내장 주머니의 내부에의 장착이 용이하고, 또한 최후까지 원활하게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잔량 저감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에어로졸 용기(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내장 주머니(102)의 내부에 장착되어 토출되는 내용물(F)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는 잔량 저감 부재(110)로서, 중실의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내장 주머니(102)의 유입구(103)에 내용물(F)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120)와,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유도 홈(131)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부(1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잔량 저감 부재{RESIDUAL QUANTITY REDUCTION MEMBER}
본 발명은 에어로졸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내장 주머니의 내부에 장착되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는 잔량 저감 부재에 관한 것이다.
외부 캔의 내부에 가요성의 내장 주머니를 배치해서 일체화시키고, 내장 주머니에 토출해야 할 내용물을 수납함과 아울러 내장 주머니와 외부 캔 사이에 가압 유체를 충전함으로써 가요성의 내장 주머니를 압박하여, 내장 주머니에 수용된 내용물을 유입구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성한 에어로졸 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이러한 에어로졸 용기에서는, 내용물이 가압 유체와 접촉할 일이 없기 때문에 임의의 가압 유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가압 유체가 내용물과 함께 토출될 일이 없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이들 에어로졸 용기에서는 가요성의 내장 주머니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잔량이 줄어든 경우, 내장 주머니에 생긴 주름이나 구부러짐에 의해 주위가 폐쇄되는 공간이 생기고, 그 공간에 최후까지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기 위해서, 잔량 저감 부재로서 딥 튜브를 부착하고, 내용물을 유입구 근방과 딥 튜브의 선단 양쪽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할 수 있게 한 것이 공지이다.
딥 튜브를 구비한 것으로서, 도 8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예에서는, 에어로졸 용기(500)의 외부 캔(501)의 내부에 내용물(F)을 수용하는 내장 주머니(502)를 설치하고, 내장 주머니(502)에는 스템(505)을 상부에 갖고 내부로 유입구(503)가 개구된 스파우트(504)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캔(501)과 내장 주머니(502) 사이의 공간에는 질소 가스 등의 가압 유체(G)가 충전되어 있고, 스템(505)을 압박하면 내장 주머니(502)의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구(503)로부터 유입되어 스템(505)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잔량 저감 부재로서의 딥 튜브(511)가 유입구(503)에 삽입되고, 그때, 유입구(503)의 내주는 딥 튜브(511)와의 사이에 내용물(F)의 유로가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구(503) 근방과 딥 튜브(511)의 선단 근방의 양쪽으로부터 내용물(F)이 스템(505) 방향으로 유도되어서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1개의 외부 캔에 복수의 가요성의 내장 주머니를 배치하여,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혼합되지 않게 수용해서 동시에 토출시키도록 구성한 에어로졸 용기도 공지이다.
이러한 에어로졸 용기에서는 복수의 외부 캔을 연결하거나, 내부에 특수한 구조를 실시하거나 할 필요가 없이 토출될 때까지의 내용물의 혼합이 완전히 방지되고, 또한 가압 유체도 1개의 외부 캔에 한번 충전하면 되어 제조도 용이하게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등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04-75099호 공보(전 페이지, 전 도면) 일본 특허 공개 2005-231644호 공보(전 페이지, 전 도면) 일본 특허 공개 평 11-105893호 공보(전 페이지, 전 도면)
상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공지의 에어로졸 용기에 있어서의 불가피한 내용물의 잔류는 상기와 같은 공지의 잔량 저감 부재인 딥 튜브를 설치함으로써 어느 정도는 저감되어 최종 잔존량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유입구 근방으로부터도 딥 튜브의 선단으로부터도 떨어진 중간 위치에 주위가 폐쇄되는 공간이 생겼을 경우에는 여전히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또한 딥 튜브의 내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별도로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에어로졸 용기의 내장 주머니는 아니지만, 가요성의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잔류시키지 않고 인출하기 위한 잔량 저감 부재로서, 복수의 파임부(hollowed-out portion)를 갖는 강성 막대 형상체를 유입구로부터 내부로 연장시킨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등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공지의 잔량 저감 부재는 사람의 손에 의해 가요성의 용기의 외부로부터 내용물을 유입구로 향하도록 압박하는 것을 전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 유체에 의해 전체가 균등하게 압박되는 에어로졸 용기의 내장 주머니에 있어서는 이들의 잔량 저감 부재에 의해 주위가 폐쇄되는 공간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유입구로 유도할 수는 없고, 오히려 공지의 잔량 저감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나 파임부에 의해 폐쇄되는 공간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어 잔존량이 증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압 유체의 압력을 높여도 주위가 폐쇄되는 공간의 폐쇄력도 높이게 되어 내용물의 잔존량의 감소에는 기여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공지의 잔량 저감 부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가압 유체에 의해 주위가 폐쇄되는 공간의 발생을 방지하여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내장 주머니의 내부로의 장착이 용이하고, 또한 최후까지 원활하게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잔량 저감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은 에어로졸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내장 주머니의 내부에 장착되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는 잔량 저감 부재이로서, 중실의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장 주머니의 유입구에 내용물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유도 홈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부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장착부가 상기 유도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유도부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 홈이 외주의 원주 방향 9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유도 홈의 단면 형상이 끼인각 90°의 V자 형상이며, 상기 유도부의 단면 형상이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장착부의 끝면이 매끄러운 볼록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장착부와 유도부 사이에 길이와 수직인 방향의 단부 홈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장착부의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토출 홈이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7 항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장착부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 홈이 외주의 원주 방향 18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9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유도부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상기 유도 홈이 형성된 부분과는 단면 형상이 다르도록 형성된 중첩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청구항 10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중첩 방지부와 양측의 유도부 사이에 각각 길이와 수직인 방향의 중간 홈이 형성되고, 그 중첩 방지부의 외주에는 양측의 중간 홈을 연통함과 아울러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연통 홈이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1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중첩 방지부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 홈이 외주의 원주 방향 180°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2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9항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중첩 방지부가 상기 유도 홈에 인접하는 벽부를 상기 유도 홈측으로 팽출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3에 의한 발명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잔량 저감 부재의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중첩 방지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통 형상의 중첩 방지부의 내부에 사출성형시의 게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에 의하면, 내용물의 잔량이 감소한 경우에도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유도 홈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부가 내용물을 유입구를 향해서 유동시키는 통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잔량 저감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가압 유체에 의해 주위가 폐쇄된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토출의 최종 단계에서 내장 주머니 자체가 압력에 의해 유도 홈 내까지 변형되기 때문에, 유도 홈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도 매우 적고, 잔량 저감 부재 자체의 내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도 저렴하며, 또한 내장 주머니의 유입구에의 장착도 매우 용이하다.
본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잔량 저감 부재의 어느 단부에서도 유입구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시에 길이 방향의 방향을 맞출 필요가 없어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본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내장 주머니가 2매의 시트를 융착한 파우치와 같은 구조로 내용물의 잔량이 감소한 경우에도, 잔량 저감 부재의 축 둘레의 장착 각도에 관계없이 항상 유도 홈이 통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조시에 장착하는 각도를 결정할 필요가 없어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본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유도 홈의 용적을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최종 단계에서의 내장 주머니 자체의 압력에 의한 유도 홈 내까지 변형에 의해서 유도 홈의 용적이 매우 작아져, 잔량 저감 부재 자체의 내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등으로 성형할 때에 복잡한 금형의 구조가 불필요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도 적게 할 수 있다.
본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유입구에의 장착부의 장착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장착부의 끝면의 코너부에 의해 내장 주머니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유도 홈 내를 유동해 온 내용물이 단부 홈을 경유해서 유입구에 도달하는 유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구로의 장착부의 장착 구조에 기인하는 내용물의 유동의 장해를 방지할 수 있고, 최후까지 내용물을 원활히 토출할 수 있다.
본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유입구로의 장착부의 장착 구조가, 예를 들면 내용물의 유출용 홈이 내주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유입구에 종래의 튜브 대신에 본 발명의 장착부를 삽입해서 고정하는 경우, 토출 홈을 형성함으로써 중실이여도 내용물의 토출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로써 종래의 유입구로의 튜브의 장착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본 발명의 장착이 가능해진다.
본 청구항 8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내용물의 토출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지 등으로 성형할 때에 복잡한 금형의 구조가 불필요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도 적게 할 수 있다.
본 청구항 9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중첩 방지부를 설치함으로써 2개의 잔량 저감 부재가 겹쳐져서 분리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잔량 저감 부재를 합쳐서 공급해도 1개씩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어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청구항 10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중간 홈과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연통 홈을 형성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내용물의 유동을 위한 통로가 중첩 방지부에서 분단되지 않고 확보되기 때문에 최후까지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할 수 있다.
본 청구항 11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내용물의 유동을 위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지 등으로 성형할 때에 복잡한 금형의 구조가 불필요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도 적게 할 수 있다.
본 청구항 1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내용물의 유동을 위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지 등으로 성형할 때에 금형의 구조가 더욱 단순화되어 제조가 보다 용이하고 제조 비용도 적게 할 수 있다.
본 청구항 1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원통 내부에 사출성형시에 게이트를 설치함으로써 게이트에 형성되는 버(burr)가 내장 주머니에 접촉할 일이 없고, 버의 처리를 생략해도 내장 주머니에 상처를 입힐 일이 없어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되고, 제조 비용도 적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를 장착한 에어로졸 용기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평면도, (b) 정면도, (c) 측면도, (d)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평면도, (b) 정면도, (c)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평면도, (b) 정면도, (c) 측면도, (d) B-B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잔량 저감 부재(딥 튜브)를 장착한 에어로졸 용기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1개의 외부 캔에 2개의 내장 주머니를 배치한 에어로졸 용기에 (a) 본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 및 (b) 종래의 잔량 저감 부재(딥 튜브)를 장착한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에어로졸 용기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의 비교 실험 결과이다.
본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는 에어로졸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내장 주머니의 내부에 장착되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는 잔량 저감 부재로서, 중실의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내장 주머니의 유입구로 내용물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유도 홈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부를 구비하고, 가압 유체에 의해 주위가 폐쇄되는 공간의 발생을 방지하여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내장 주머니의 내부로의 장착이 용이하고, 또한 최후까지 원활하게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면,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110)는 상술한 공지의 에어로졸 용기(500)와 마찬가지의 에어로졸 용기(100)의 유입구(103)에 공지의 딥 튜브(511) 대신에 삽입된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용기(100)의 외부 캔(101)의 내부에 내용물(F)을 수용하는 내장 주머니(102)를 설치하고, 내장 주머니(102)에는 스템(105)을 상부에 갖고 내부에 유입구(103)가 개구된 스파우트(104)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로졸 용기(100)의 외부 캔(101)과 내장 주머니(102) 사이의 공간에는 질소 가스 등의 가압 유체(G)가 충전되어 있고, 스템(105)을 압박하면 내장 주머니(102)의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구(103)로부터 유입되어 스템(105)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장 주머니(102)의 유입구(103)에 장착부(120)와 유도부(13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110)가 삽입된다.
그때, 유입구(103)의 내주는 잔량 저감 부재(110)의 장착부(120)와의 사이에 내용물(F)의 유로가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잔량 저감 부재(110)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실의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 내장 주머니(102)의 유입구(103)로 내용물(F)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120)와,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유도 홈(131)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부(130)를 구비하고 있고, 장착부(120)와 유도부(130) 사이에는 길이와 수직인 방향의 단부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유도부(130)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유도 홈(131)은,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끼인각 90°의 V자 형상이고 외주의 원주 방향 9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도 홈(131)에 의해 유도부(130)의 단면 형상이 십자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120)에는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2개의 토출 홈(121)이 원주 방향 18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110)의 내용물(F)의 토출에 관한 동작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스템(105)을 압박하면 내장 주머니(102)에 수용된 내용물(F)은 유입구(103)와 잔량 저감 부재(110)의 장착부(120) 사이에 확보된 유로를 통과해서 스템(105)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장착부(120)의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2개의 토출 홈(1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딥 튜브(511) 대신에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110)를 삽입해도 내용물(F)의 토출량을 확보할 수 있고, 원활하게 내용물(F)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것으로써 종래의 유입구(503)의 딥 튜브(511)의 장착 구조를 변경하는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110)의 장착이 가능해진다.
내장 주머니(102)의 수용된 내용물(F)의 잔량이 감소해 오면 내장 주머니(102)가 잔량 저감 부재(110)의 유도부(130)에 접촉하게 되지만, 유도 홈(131)이 존재함으로써 내용물(F)의 길이 방향의 유로가 최후까지 확보되어 장착부(120)와 유도부(130) 사이에 형성된 단부 홈(122)을 통과하여 확실하게 유입구(103)로 안내된다.
따라서, 잔량 저감 부재(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어느 곳으로부터도 내용물(F)을 유입구(103)를 향해서 유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압 유체에 의해 주위가 폐쇄된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토출되는 내용물(F)의 최종 잔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내용물(F)의 토출의 최종 단계에서 내장 주머니(102) 자체가 압력에 의해 유도 홈(131) 내를 향해서 변형되어 최심부의 약간의 공간만이 남기 때문에, 유도 홈(131)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F)도 매우 적고, 잔량 저감 부재(110) 그 자체의 내부에 잔류하는 내용물(F)을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120)와 유도부(130) 사이에 형성된 단부 홈 (122)을 단면 십자 형상의 유도부(130)의 대향하는 부분을 잘라서 단면 일(一)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했지만, 단면 십자 형상의 유도부(130)의 모든 부분을 한사이즈 작은 단면 십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한, 유도 홈(131)의 수, 폭, 깊이, 형상 등은 내장 주머니(102)의 형상이나 재질, 내용물(F)의 점성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좋다.
또한, 장착부(120)에 형성되는 토출 홈(121)의 수, 폭, 깊이, 형상 등도 내용물(F)의 점성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좋다.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지의 사출성형 등으로 제조할 때에 단순한 2개의 금형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도 적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210)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잔량 저감 부재(110)의 구성에 추가해서 유도부(230)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중첩 방지부(240)가 설치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210)는 중실의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 내장 주머니(102)의 유입구(103)에 내용물(F)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220)와,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유도 홈(231)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부(230)를 구비하고 있고, 장착부(220)와 유도부(230) 사이에는 길이에 수직인 방향의 단부 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유도부(230)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유도 홈(231)은 단면 형상이 끼인각 90°의 V자 형상이고 외주의 원주 방향 9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도 홈(231)에 의해 유도부(230)의 단면 형상이 십자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220)에는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2개의 토출 홈(221)이 원주 방향 18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도부(230)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중첩 방지부(240)가 설치되어 있다.
중첩 방지부(240)와 양측의 유도부(230) 사이에는 각각 길이와 수직인 방향의 중간 홈(242)이 형성되며, 중첩 방지부(240)의 외주에는 양측의 중간 홈(242)을 연통함과 아울러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연통 홈(241)이 외주의 원주 방향 180°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연통 홈(241)은 유도부(230)의 유도 홈(231)과 위상을 어긋나게 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110)의 효과에 추가하여, 중첩 방지부(240)를 설치함으로써 2개의 잔량 저감 부재(210)가 겹쳐져서 분리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잔량 저감 부재를 합쳐서 공급해도 1개씩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어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양측의 유도부(230)의 유도 홈(231)으로 구성되는 길이 방향의 내용물의 유동을 위한 통로가, 중첩 방지부(240)의 중간 홈(242)과 연통 홈(241)을 형성함으로써 분단되지 않고 확보되기 때문에 최후까지 내용물(F)을 원활하게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중간 홈(242)은 상술한 단부 홈(222)과 마찬가지로 단면 십자 형상의 유도부(230)의 대향하는 부분을 잘라 단면 일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부 홈(222)과 마찬가지로 단면 십자 형상의 유도부(230)의 모든 부분을 한사이즈 작은 단면 십자 형상이 되도록 설치했지만, 단면 십자 형상의 유도부(230)의 모든 부분을 한사이즈 작은 단면 십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한, 중간 홈(242)의 수, 폭, 깊이, 형상 등은 내장 주머니(102)의 형상이나 재질, 내용물(F)의 점성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다.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지의 사출성형 등으로 제조할 때에 단순히 2개의 금형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도 적게 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310)는,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실의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 내장 주머니(102)의 유입구(103)에 내용물(F)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320)와,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유도 홈(331)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부(3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320)와 유도부(330) 사이에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같은 단부 홈(122, 222)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유도부(330)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유도 홈(331)은 단면 형상이 끼인각 90°의 V자 형상이며 외주의 원주 방향 9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유도 홈(331)에 의해 유도부(330)의 단면 형상이 십자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320)의 끝면(323)은 외주로부터 연속하는 곡면에 의해 매끄러운 볼록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같은 토출 홈(121, 221)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내장 주머니(102)의 유입구(103)의 내면에 형성된 홈부에 의해서 유입구(103)에 내용물(F)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도부(330)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중첩 방지부(340)가 설치되어 있다.
중첩 방지부(340)는 단면 형상이 십자 형상으로 된 유도부(330)의 대향하는 2개의 벽부(332)를 양측의 유도 홈(331)측으로 팽출시켜서 원통 형상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중첩 방지부(340)의 원통의 직경은 유도 홈(331)을 막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내용물의 유동을 위한 통로가 중첩 방지부(340)에 의해 분단되지 않고 확보되기 때문에 최후까지 내용물(F)을 원활하게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원통 형상의 중첩 방지부(340)의 원통 내부에 사출성형시에 게이트를 설치함으로써 게이트에 버가 잔존해도 원통의 외부로 연장될 일은 없어 내장 주머니를 상처를 입힐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210, 310)와 종래의 딥 튜브(511)를, 1개의 외부 캔에 2개의 내장 주머니를 배치한 에어로졸 용기에 사용했을 때의 각각의 내장 주머니에 수용된 내용물(F1, F2)의 최종 잔존량의 비교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에어로졸 용기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잔량 저감 부재(딥 튜브)의 장전 꼭대기부로부터 내장 주머니의 저부까지의 높이 LN=114.9㎜이며, 2개의 내장 주머니의 각각의 내용물(F1, F2)로서 2액 혼합 타입의 염모제의 2가지의 액제가 수용되고, 외부 캔과 내장 주머니 사이에 가압 유체(G)로서 질소 가스가 충전된 것을 사용했다.
종래예로서, 각각의 내장 주머니에 길이 LT=100㎜의 딥 튜브(511)가 장전된 것[도 9(b)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험예로서 종래의 딥 튜브(511) 대신에 길이 L=85.5㎜, 100㎜의 2종류의 제 2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210)가 장전된 것[도 9(a)에 나타낸다], 및 종래의 딥 튜브(511) 대신에 길이 L=86㎜의 제 3 실시예인 잔량 저감 부재(310)가 장전된 것(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을 준비했다.
도 10에 종래의 LT=100㎜의 딥 튜브(511), 길이 L=85.5㎜, 100㎜의 2종류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잔량 저감 부재(210) 및 길이 L=86㎜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잔량 저감 부재(310)를 장전한 것에 대해서 각각 3회의 계측을 행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공통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비중 : F1 0.999~1.001(20℃)
F2 0.999~1.001(20℃)
점도 : F1 10000~18000m㎩·s(25℃)
F2 5000~12000m㎩·s(25℃)
초기 수용량
F1 60g
F2 60g
충전 질소 가스압
0.64~0.66M㎩(25℃)
종래예, 본 발명의 각 실험예와 함께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스템으로부터의 토출이 종료되었을 때(전체 분사 후)의 잔량 저감 부재(딥 튜브)를 장전한 상태의 내장 주머니의 중량과, 해당 내장 주머니의 내부를 세정해서 완전하게 내용물(F1, F2)을 제거한 후(세정 후)의 중량의 차를 각각의 내용물(F1, F2)의 최종 잔존량(잔량)이라고 했다.
이 실험 결과로부터도 분명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210, 310)의 실험예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은, 점도가 낮은 F2에 있어서의 실험 결과의 수점의 예외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우에서 종래예보다 감소하고, 3회의 평균치를 취하면 길이 L=85.5㎜, 100㎜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잔량 저감 부재(210), 길이 L=86㎜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잔량 저감 부재(310)의 어느 경우에나 확실하게 종래의 딥 튜브(511)보다 최종 잔존량은 감소되어 있고, 상술한 내용물(F)의 토출에 관한 동작 및 작용에 의거하여 최후까지 원활하게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실험예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210, 310)는 종래의 딥 튜브(511)보다 약간 짧은 길이 쪽이 최종 잔존량을 보다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되어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잔량 저감 부재는, 상기 실시예나 실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1개의 내장 주머니를 갖는 에어로졸 용기나, 다른 내용물을 수용하는 2개의 내장 주머니를 갖는 에어로졸 용기의 각각의 내장 주머니에 사용되는 것 이외에, 또한 다수의 내장 주머니를 갖는 에어로졸 용기에 사용되어도 좋고, 다양한 사용 형태에 맞추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이용하여 구체적 형태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며, 에어로졸 용기의 외형이나 형태에 맞추어 적당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로졸 용기뿐만 아니라 사람의 손에 의해 가요성의 용기의 외부로부터 내용물을 유입구를 향하도록 압박하는 것을 전제로 구성된 용기나, 다른 압박 수단을 갖는 용기에 사용되어도 좋다.
100, 500 : 에어로졸 101, 501 : 외부 캔
102, 502 : 내장 주머니 103, 503 : 유입구
104, 504 : 스파우트 105, 505: 스템
110. 210, 310 : 잔량 저감 부재 511 : 딥 튜브(잔량 저감 부재)
120, 220, 320 : 장착부 121, 221 : 토출 홈
122, 222 : 단부 홈 323 : 끝면
130, 230, 330 : 유도부 131, 231, 331 : 유도 홈
332 : 벽부 240, 340 : 중첩 방지부
241 : 연통 홈 242 : 중간 홈
F : 내용물 G : 가압 유체

Claims (13)

  1. 에어로졸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요성의 내장 주머니의 내부에 장착되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최종 잔존량을 저감하는 잔량 저감 부재로서,
    중실의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장 주머니의 유입구에 내용물이 유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유도 홈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유도부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원기동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 홈은 외주의 원주 방향 9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홈의 단면 형상은 끼인각 90°의 V자 형상이고,
    상기 유도부의 단면 형상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끝면은 매끄러운 볼록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와 유도부 사이에 길이와 수직인 방향의 단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토출 홈이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 홈은 외주의 원주 방향 18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상기 유도 홈이 형성된 부분과는 단면 형상이 다르도록 형성된 중첩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방지부와 양측의 유도부 사이에 각각 길이와 수직인 방향의 중간 홈이 형성되고,
    그 중첩 방지부의 외주에는 양측의 중간 홈을 연통함과 아울러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연통 홈이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방지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 홈은 외주의 원주 방향 180°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방지부는 상기 유도 홈에 인접하는 벽부를 그 유도 홈측으로 팽출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방지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통 형상의 중첩 방지부의 내부에 사출성형시의 게이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저감 부재.
KR1020147008298A 2011-08-30 2012-08-16 잔량 저감 부재 KR101614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87222 2011-08-30
JP2011187222 2011-08-30
PCT/JP2012/070802 WO2013031546A1 (ja) 2011-08-30 2012-08-16 残量低減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392A true KR20140054392A (ko) 2014-05-08
KR101614340B1 KR101614340B1 (ko) 2016-04-21

Family

ID=4775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298A KR101614340B1 (ko) 2011-08-30 2012-08-16 잔량 저감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15315B2 (ko)
EP (1) EP2682354B1 (ko)
JP (1) JP5279970B1 (ko)
KR (1) KR101614340B1 (ko)
CN (1) CN103826990B (ko)
BR (1) BR112014003094B1 (ko)
WO (1) WO2013031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260B1 (ko) * 2012-06-22 2016-06-28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이중 에어로졸 장치
JP5901564B2 (ja) * 2013-04-03 2016-04-13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固定盤
FR3008397B1 (fr) * 2013-07-11 2016-07-08 Inospray Reservoirs a poche pour boitiers distributeurs de produits sous pression et boitiers les comprenant
EP3192749B1 (en) * 2015-04-24 2019-12-11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Residual quantity-reducing member
WO2018191626A1 (en) * 2017-04-13 2018-10-18 Clayton Corporation Hold-open for container-in-container dispenser
JP6954086B2 (ja) * 2017-12-19 2021-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CN109720099B (zh) * 2019-02-28 2020-06-02 珠海市拓佳科技有限公司 墨袋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1415A (en) * 1975-10-29 1976-09-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ispenser with expansible member and contracting fabric
GB1587731A (en) * 1976-08-20 1981-04-08 Metal Box Co Ltd Aerosol containers
US4809884A (en) * 1987-10-13 1989-03-07 Stackhouse Wells F Wine steward
US4953753A (en) * 1988-06-10 1990-09-04 The Norman Company Fluid dispensing apparatus with prestressed bladder
US5137186A (en) 1990-01-26 1992-08-11 Ccl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product from a product bag
JPH06286778A (ja) * 1991-04-29 1994-10-11 Ccl Ind Inc プロダクト・ディスペンス・バッグ組立体とそれを使用したプロダクト・ディスペンス装置
JPH06336272A (ja) * 1993-05-24 1994-12-06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発泡体用エアゾール缶
JP2575410Y2 (ja) * 1993-11-02 1998-06-25 東洋製罐株式会社 変形可能な内側層を備えた容器用の注出ポンプ
EP0701951B1 (en) * 1994-04-14 2000-03-22 Yoshino Kogyosho Co., Ltd. Pump device for a container
JP3565450B2 (ja) * 1995-05-12 2004-09-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ポンプ
JP3667826B2 (ja) * 1995-08-03 2005-07-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JP3437715B2 (ja) * 1996-06-10 2003-08-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容器用ポンプ装置
JP2606953Y2 (ja) * 1997-04-07 2001-02-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吸引式注出ポンプ装置
JPH11105893A (ja) 1997-09-30 1999-04-20 Toyo Seikan Kaisha Ltd スパウト付パウチ
JP2004075099A (ja) 2002-08-13 2004-03-11 Toyo Seikan Kaisha Ltd 二重構造容器
JP4191554B2 (ja) * 2003-07-25 2008-12-03 株式会社資生堂 スクイズ式積層剥離容器
JP4332444B2 (ja) 2004-02-17 2009-09-16 東洋製罐株式会社 染毛剤における二重構造エアゾール缶容器及びエアゾール缶容器に収納される内装パウチ
EP2657151B1 (en) * 2010-12-22 2020-10-21 Daizo Corporation Valve assembly and aerosol container equipped with same, and aerosol produc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2354A4 (en) 2014-04-23
JPWO2013031546A1 (ja) 2015-03-23
US9315315B2 (en) 2016-04-19
EP2682354A1 (en) 2014-01-08
EP2682354B1 (en) 2016-01-06
JP5279970B1 (ja) 2013-09-04
CN103826990A (zh) 2014-05-28
CN103826990B (zh) 2015-11-25
US20140197200A1 (en) 2014-07-17
BR112014003094A2 (pt) 2017-03-07
WO2013031546A1 (ja) 2013-03-07
BR112014003094B1 (pt) 2021-01-12
KR101614340B1 (ko)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340B1 (ko) 잔량 저감 부재
JP5897779B1 (ja) 残量低減部材
EP3599187A1 (en) Container pouring spout
KR100932782B1 (ko) 내부 팽창 복원력을 가진 튜브용기
EP1892198A1 (en) Pressure control fill valve
JP6396191B2 (ja) 二重容器
KR101346796B1 (ko) 액상 용기의 배출 장치
JP4884940B2 (ja) 詰め替え用容器
JP5114328B2 (ja) 二物質混合容器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JP2008296948A (ja) 流動体吐出ポンプ
JP5551889B2 (ja) 詰め替え容器
EP3623304A1 (en) Handle-equipped container
JP6037802B2 (ja) 詰め替え容器
CN110267884B (zh) 盖子
KR101875072B1 (ko) 용기용 디스펜서
JP5771669B2 (ja) 液体容器
WO2014155760A1 (ja) 輸液容器
KR20160089330A (ko) 용기
KR20150000668U (ko) 디스펜서 용기 및 디스펜서
JP2019119525A (ja) スクイズ容器
KR20120006965U (ko) 액상물 저장통
JP2019026345A (ja) 注出容器
JP2019177931A (ja) 注出容器
KR20130001416U (ko) 액체용기 외부공기 유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