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965U - 액상물 저장통 - Google Patents

액상물 저장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965U
KR20120006965U KR2020110002698U KR20110002698U KR20120006965U KR 20120006965 U KR20120006965 U KR 20120006965U KR 2020110002698 U KR2020110002698 U KR 2020110002698U KR 20110002698 U KR20110002698 U KR 20110002698U KR 20120006965 U KR20120006965 U KR 201200069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liquid
handle
air passage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환
Original Assignee
황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환 filed Critical 황의환
Priority to KR2020110002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965U/ko
Publication of KR201200069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9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물이 채워지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와 몸체의 상단에 액상물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입구와, 몸체의 상단에 파지를 위하여 형성되고,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손잡이를 통하여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고, 공기통로는 입구의 주변부와 주변부를 감싸는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되되, 입구의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입구에 편심되게 형성됨으로써 입구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손잡이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도록 한 액상물 저장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입구로부터 손잡이를 통해서 내부까지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액상물을 따를 때 쿨컥거리면서 불안정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액상물의 충진을 위한 충진기가 입구에 삽입시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충진기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충진기에 의한 충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액상물 저장통{LIQUID RESERVOIR}
본 고안은 액상물 저장통에 관한 것으로서, 액상물을 안정적으로 따르도록 하면서도 충진기에 의한 충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액상물 저장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연료유 등과 같은 액상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저장통이 사용된다.
이러한 액상물 저장통, 예컨대 플라스틱 말통의 경우 상단에 유체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입구와 손잡이가 각각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액상물 저장통은 기울여서 액상물을 배출시킬 때, 액상물이 나오면서 생기는 내부 압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액상물이 쿨컥거리면서 튀겨나오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액상물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고, 특히, 액상물이 인체에 해로운 것일수록 매우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함으로써 사용자의 심적 부담이 매우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94273호의 "기능성 플라스틱 통"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기능성 플라스틱 통은 입구에서 손잡이로 통하는 공기통로를 만들어서, 액상물을 따를 때 액상물이 쿨컥거리며 불안정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액상물이 밖으로 튀겨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플라스틱 통을 비롯한 액상물 저장통은 공기통로의 형성을 위하여 입구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액상물의 충진을 위하여 충진기가 입구에 삽입시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액상물의 충진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구로부터 손잡이를 통해서 내부까지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액상물을 따를 때 쿨컥거리면서 불안정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나아가서, 액상물의 충진을 위한 충진기가 입구에 삽입시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충진기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충진기에 의한 충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액상물의 저장통에 있어서, 액상물이 채워지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액상물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입구; 상기 몸체의 상단에 파지를 위하여 형성되고,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및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손잡이를 통하여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입구의 주변부와 상기 주변부를 감싸는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입구의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상기 입구에 편심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입구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액상물 저장통이 제공된다.
상기 입구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아크형상으로 마련되는 상기 주변부에 의해서,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공간에 편심되도록 구획되는 원형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입구를 개폐시키는 삽입부가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편심을 이루도록 차단부가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입구와 함께 공기통로의 상단을 차단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 저장통에 의하면, 입구로부터 손잡이를 통해서 내부까지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액상물을 따를 때 쿨컥거리면서 불안정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 액상물의 충진을 위한 충진기가 입구에 삽입시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충진기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충진기에 의한 충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저장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저장통의 입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저장통의 마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저장통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저장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저장통의 입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물 저장통(100)은 몸체(110)와, 몸체(110)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입구(120) 및 손잡이(130)와, 입구(120)로부터 손잡이(130)까지 마련되는 공기통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물이나 연료유 등의 액상물이 채워지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례로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입구(120)는 몸체(110)의 상단 일측에 액상물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해 마련되고, 본 실시예에서처럼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0)는 몸체(110)의 상단 타측에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위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공기의 흐름을 가능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중공부(131)가 형성된다.
공기통로(140)는 입구(120)로부터 손잡이(130)를 통하여 몸체(110)의 내측으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되, 이러한 공기통로(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20)의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손잡이(130)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공기통로(140)는 입구(120)의 주변부(121)와 주변부(121)를 감싸는 테두리부(141) 사이에 형성되되, 입구(120)의 곡률반경(R1)보다 큰 곡률반경(R2)을 가지도록 입구(120)에 편심되게 형성됨으로써 입구(120)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손잡이(130)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공기통로(140)는 입구(120)와 나란한 영역은 상기한 바와 같은 초생달과 같은 곡률의 단면 형상을 유지하되, 입구(120)를 벗어나서 손잡이(130)까지는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구(12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테두리부(141)의 내측에 아크(Arc)형상으로 마련되는 주변부(121)에 의해서, 테두리부(141)의 내측공간에 편심되도록 구획되는 원형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원에 가까운 아크형상의 주변부(121)가 입구(120)와 공기통로(140)를 구획하도록 접착이나 일체 형성에 의하여 테두리부(141)의 내측에 일체를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해 입구(120)의 주변부(121)와 테두리부(141) 사이에 형성된 갭(G)에 초생달에 유사한 형상의 공기통로(14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입구(120)의 곡률중심(O)과 공기통로(140)의 곡률중심(O')이 서로 불일치하게 됨으로써 입구(120)와 공기통로(140)가 편심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 저장통(100)은 마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50)는 입구(12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입구(120)를 개폐시키는 삽입부(151)가 하부에 마련되고, 삽입부(151)의 상단에 편심을 이루도록 차단부(152)가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입구(120)와 함께 공기통로(140)의 상단을 차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차단부(152)가 삽입부(151)의 상단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입구(120)의 상단을 차단하고, 삽입부(151)와 편심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공기통로(140)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차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 저장통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를 기울여서, 입구(120)를 통해 액상물을 따를 때, 액상물의 배출로 인한 몸체(110) 내의 압력변화가 발생하는데, 공기통로(140)를 통해서 손잡이(130)의 중공부(131)를 따라 몸체(110) 내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몸체(110) 내의 압력변화가 보상됨으로써, 액상물이 쿨컥거리면서 불안정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액상물을 따를 때 사용자의 불편이나 액상물이 튀게 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로(140)가 입구(120)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입구(120)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액상물의 충진을 위한 충진기가 입구(120)에 삽입시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충진기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충진기에 의한 충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상물 저장통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몸체 120 : 입구
121 : 주변부 130 : 손잡이
131 : 중공부 140 : 공기통로
141 : 테두리부 150 : 마개
151 : 삽입부 152 : 차단부

Claims (3)

  1. 액상물의 저장통에 있어서,
    액상물이 채워지기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액상물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입구;
    상기 몸체의 상단에 파지를 위하여 형성되고, 중공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및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손잡이를 통하여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입구의 주변부와 상기 주변부를 감싸는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입구의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상기 입구에 편심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입구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저장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아크형상으로 마련되는 상기 주변부에 의해서,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공간에 편심되도록 구획되는 원형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입구를 개폐시키는 삽입부가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 편심을 이루도록 차단부가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입구와 함께 공기통로의 상단을 차단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 저장통.
KR2020110002698U 2011-03-31 2011-03-31 액상물 저장통 KR201200069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698U KR20120006965U (ko) 2011-03-31 2011-03-31 액상물 저장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698U KR20120006965U (ko) 2011-03-31 2011-03-31 액상물 저장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965U true KR20120006965U (ko) 2012-10-10

Family

ID=4750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698U KR20120006965U (ko) 2011-03-31 2011-03-31 액상물 저장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96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02943B2 (en) * 2015-05-08 2021-01-07 Class Plastics (Aust) Pty Ltd Liquid Storage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02943B2 (en) * 2015-05-08 2021-01-07 Class Plastics (Aust) Pty Ltd Liquid Stor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789B1 (ko) 리필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및 포장 용기의 주출 유닛과의 연결 구조
JP5279970B1 (ja) 残量低減部材
TWI673212B (zh) 附有壺嘴之容器及再填充方法
JP6183847B2 (ja) 詰替え容器用栓体
KR20120006965U (ko) 액상물 저장통
JP4328830B1 (ja) 薬液詰め替え支援具
JP5977642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CN106004065A (zh) 液体容纳体
JP5977641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KR200451631Y1 (ko) 이중 구조의 저장용기
JP5977535B2 (ja) 注出キャップ
JP5978093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JP6276977B2 (ja) 注出キャップ
JP5955585B2 (ja) 注出キャップ
JP4393835B2 (ja) 開閉機構付きスパウト
JP2017154749A (ja) 液体計量容器
JP2015214348A (ja) キャ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339219A (zh) 用于将液体注入到液体容器中的构件
JP6114360B1 (ja) 漏斗
JP2016210489A (ja) 袋容器
JP2000118552A (ja) 液体注ぎ容器
KR101194350B1 (ko) 저장용기
JP2016008049A (ja) 液体容器
JP5823254B2 (ja) 詰替え容器
JP7440032B2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